KR101999648B1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648B1
KR101999648B1 KR1020170098780A KR20170098780A KR101999648B1 KR 101999648 B1 KR101999648 B1 KR 101999648B1 KR 1020170098780 A KR1020170098780 A KR 1020170098780A KR 20170098780 A KR20170098780 A KR 20170098780A KR 101999648 B1 KR101999648 B1 KR 10199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uthpiece
contact portion
lea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820A (ko
Inventor
김두한
Original Assignee
김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한 filed Critical 김두한
Priority to KR102017009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6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숨을 불어넣어 관 안쪽의 공기 기둥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성된 진폭 진동이 마우스피스 내(공기실)로 유동되는 공기로 전달되어 울림이 크고 깊은 소리를 낼 수 있게 제공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악기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wind instruments}
본 발명은 숨을 불어넣어 관 안쪽의 공기 기둥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성된 진폭 진동이 마우스피스 내(공기실)로 유동되는 공기로 전달되어 울림이 크고 깊은 소리를 낼 수 있게 제공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나무·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관악기(wind instrument) 또는 취주악기라고 한다.
이러한 관악기의 일종인 리드(LEED)를 갖는 유황악기는 리드가 한 장인 단황과 리드가 복수인 복황이 있는데, 전자에는 색소폰·클라리넷, 후자에는 오보에·코란그레·파고트·차르메라 등이 있다.
특히, 색소폰과 클라리넷에는 연주자의 입술이 닿는 마우스피스 (mouthpiece)가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는 진동에 의해 소리를 내는 전술한 리드가 설치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마우스피스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우스피스 구조는, 튜브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공기실(14)이 형성되는 마우스피스(10)와, 상기 마우스피스(10)에 결합되는 리드(16)로 구성된다.
마우스피스(10)는 입술 접촉부(a), 리드 접촉부(b) 및 넥 연결부(c)로 나누어진다.
마우스피스(10)의 넥 연결부(c)에는 도 3과 같이 관악기(60)의 넥(61)이 끼워진다.
또한, 마우스피스(10)의 입술 접촉부(a)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리어 벽(11)을 형성하고, 마우스피스(10)의 리드 접촉부(b)에는 타측으로 편평한 결합면(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드(16)는 결합면(12)에 결합되며 상기 배리어 벽(11)의 끝단으로 원호형상을 이루는 상단 궤도(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주자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단 궤도(13)와 리드(16) 진동판(16a)의 틈새를 통해 공기실(14)에 진입한 후 배리어 벽(11)과 리드(16) 간의 상호적인 반탄(resiliently pushing each other) 작용에 의해 진동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진동 주파수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여 공기실(14) 내부 공간에서 진동하게 되어 악기가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리드(16)는 크게 진동판(16a)과 지지판(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판(16a)은 일면이 테이퍼진 판이고, 지지판(16b)은 일면이 볼록한 원호형상인 판이다. 진동판(16a) 및 지지판(16b)의 타면은 평탄면이고, 이 평탄면 중 진동판의 타면이 마우스피스(10)의 배리어 벽(11) 상부에 놓이는 형태이다.
상기 지지판(16b)이 마우스피스(10)의 결합면(12)에 접촉한 상태에서 리가춰(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고정되지 않은 진동판(16a)은 관악기를 불 때 상하로 진동하면서 마우스피스(10) 내로 들어가는 공기에 그 진동을 전달하게 되어 소리가 나게 한다.
그러나, 단순히 진동판(16a)이 상하로 떨리는 진동만이 마우스피스(10) 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소리의 울림이 크지 않아 폐활량이 큰 사람만이 소리를 잘 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가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7400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는 몸체(10) 내부에 울림통(20)을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울림통(20)의 내부에는 도 6과 같이 굴곡진 라운드 형태의 공간부(21)로 형성되어 소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마우스피스 몸체(10) 내부에는 울림통(20)이 일체로 삽입되며, 상기 마우스피스 몸체(10)를 악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울림통(20)의 공명 진동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악기의 음색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울림통(20)은 마우스피스 몸체(10)의 밑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울림통(20)은 입술 접촉부(a)와, 리드 접촉부(b)의 일부 길이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울림통(20)이 배치된 것은 리드의 진동판과 부딪히는 위치에 한정한 것인데, 이러한 위치 제한은 공명에 따른 울림이 매우 약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진동판의 떨림이 미세하지만 지지판에도 전달되는 것을 간과했기 때문에, 마치 장구를 한쪽에서 치는 것만으로 공명을 생기게 하려고 했을 뿐 양쪽에서 장구를 치면 공명이 훨씬 커 울림도 더 크다는 사상에 이르지 못했던 것이다.
또한, 공간부가 넓게 형성되면서도 중심에 모일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한데, 종래의 공간부(21)는 중심에 모이는 형태도 아니고 밑면에만 배치되는 넓이를 가지고 있어, 공명이 약해 울림도 적다.
한편, 상기 마우스피스 몸체(1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선택되어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질은 입술에 대고 부는 사람에게 친환경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넥 연결부(c)에 넥(61)이 빡빡하게 끼워질 때 넥 연결부(c)에 균열이 생겨 깨질 수 있다.
특허문헌 :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740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명현상이 잘 일어나면서도 공명현상에 의해 생긴 진동 진폭이 공기실로 들어가는 공기에 집중시킬 공간부가 형성 배치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는, 배리어 벽을 갖는 입술 접촉부, 리드 결합면을 갖는 리드 접촉부 및 넥 연결부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입술 접촉부, 리드 접촉부 및 넥 연결부는 울림통인 제1,2,3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는 상기 배리어 벽인 제1외통과, 상기 제1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내통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1공간부의 횡단면은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2공간부는 상기 리드 접촉부의 외주면인 제2외통과, 상기 제2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내통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3공간부는 상기 넥 연결부의 외주면인 제3외통과, 상기 제3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3내통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3공간부의 횡단면은 튜브 형상이고, 상기 제2공간부의 횡단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항아리 형상이고, 상기 리드 결합면과 상기 제2내통 사이의 공간이 공기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입술 접촉부, 리드 접촉부 및 넥 연결부는 PLA(Poly Lactic Acid)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입술 접촉부, 리드 접촉부 및 넥 연결부 모두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공명 공간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공기실 중심으로 향해 전달되어 공기실을 유동하는 공기에 큰 진동을 전달하여 울림이 강하고 깊은 소리를 내게 한다.
특히, 넥 연결부가 튜브 형상으로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관악기의 넥이 끼워져도 내통이 어느 정도 변형을 담당해서 억지 끼움에 따른 넥 연결부의 균열이나 잘 빠지지 않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가 옥수수 전분 등의 PLA(Poly Lactic Acid)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환경에 좋고 가공하기 쉽고 소리도 좋은 소리가 나오는 최적의 재료이다.
도 1은 종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마우스피스를 일반 색소폰 악기의 넥에 연결된 사시도.
도 4는 종래 다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울림통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도 9,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9-9선, 10-10선 및 11-11선을 취하여 본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인은 관악기를 불 때 매우 힘들게 공기를 불어넣어야 함은 물론 소리의 울림이 강하지 않고 깊은 소리가 나지 않아 그 이유를 살펴 본바, 마우스피스가 단순히 튜브 형상이라 불어넣는 공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 공명에 의해 떨림이 리드에만 의존해서 매우 약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공명현상을 크게 하기 위해서 특허문헌과 같이 마우스피스의 일부를 울림통으로 형성해서 불어보았지만 진동판의 상하 떨림에 대한 공명이 제한된 울림통에 전달되고, 이 울림통의 공명이 다방면으로 퍼져서 실질적으로 마우스피스의 공기실로 유동하는 공기에 거의 전달되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울림통이 종래(특허문헌)와 같이 배리어 벽 쪽에만 둠으로써 전체적인 공명이 약할 뿐만 아니라 진동의 방향성에도 문제가 있음을 알고, 본 출원인은 공명이 잘 일어나면서도 그 공명에 의한 진동이 마우스피스의 공기실에 잘 전달되는 형상으로 가급적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가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져 공기실의 중심으로 공명에 따른 진공의 집중으로 울림이 크고 깊이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8-8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도 9,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9-9선, 10-10선 및 11-11선을 취하여 본 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00)는 크게 외형을 이루는 입술 접촉부(a), 리드 접촉부(b) 및 넥 연결부(c)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제1,2,3공간부(A,B,C)인 울림통이 형성되어 있다.
입술 접촉부(a)는 선단에서 리드 접촉부(b)를 향해 점점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갖는 배리어 벽(11)과 마주하는 리드(16)의 진동판(16a) 사이의 틈새로 숨을 불어 넣는다.
리드 접촉부(b)에는 리드(16)의 지지판(16b)이 놓여 지지되는 결합면(12)이 형성되어 있다.
넥 연결부(c)에는 관악기의 넥(61)이 착탈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인 입술 접촉부(a), 리드 접촉부(b) 및 넥 연결부(c)는 울림통인 제1,2,3공간부(A,B,C)가 형성되어 있다.
제1공간부(A)는 배리어 벽인 제1외통(11)과, 제1외통(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내통(11a) 사이의 공간이다.
즉, 제1공간부(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이다.
제2공간부(B)는 리드 접촉부(b)의 외주면인 제2외통(110)과, 제2외통(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내통(110a) 사이의 공간이다.
제2공간부(B)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항아리 형상이다.
리드 결합면(12)과 제2내통(110a) 사이의 중심 공간이 불어넣는 숨이 유동하고 공명의 진동을 전달받는 공기실(14)로 된다.
제3공간부(C)는 넥 연결부(c)의 외주면인 제3외통(130)과, 제3외통(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3내통(130a) 사이의 공간이다.
제3공간부(C)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튜브 형상이다.
제1내통(11a)과 제2내통(110a)은 배리어 외벽(11)의 상단 궤도(13)에서 넥 연결부(c)의 제3내통(130a)까지 연장되는 경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2,3공간부(A,B,C)가 결합면(12)를 제외한 마우스피스(100)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공명의 생성 공간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또한 공명의 진동이 공기실(14)의 중심을 향해 전달시키게 원형 공간이라서 그 울림이 더욱더 크다.
특히 넥 연결부(c)의 제3공간부(C)가 튜브 형상으로 되어 있어, 넥(61)이 끼워질 때 제3내통(130a)이 미세하게 탄성 변성되어 억지 끼움에 따른 균열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100)는 PLA(Poly Lactic Acid) 재질로 성형되는 게 좋다.
PLA(Poly Lactic Acid)는 가공하기 쉽고 소리도 좋은 소리가 나오므로 최적의 재료로서,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입니다.
이러한 친환경 수지는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아기가 입으로 물거나 빨아도 환경 호르몬은 물론,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에 근접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a : 입술 접촉부 b : 리드 접촉부
c : 넥 연결부 A,B,C : 제1,2,3공간부
100 : 마우스피스 11 : 배리어 벽(제1외통)
11a : 제1내통 12 : 결합면
14 : 공기실 110 : 제2외통
110a : 제2내통 130 : 제3외통
130a : 제3내통

Claims (2)

  1. 배리어 벽을 갖는 입술 접촉부(a), 리드(16)의 지지판(16b)이 놓여 지지되는 리드 결합면(12)을 갖는 리드 접촉부(b) 및 관악기의 넥(61)에 착탈되는 넥 연결부(c)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입술 접촉부(a), 리드 접촉부(b) 및 넥 연결부(c)는 울림통인 제1,2,3공간부(A,B,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A)는 상기 배리어 벽인 제1외통과, 상기 제1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내통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1공간부(A)의 횡단면은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2공간부(B)는 상기 리드 접촉부(b)의 외주면인 제2외통과, 상기 제2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내통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2공간부(B)의 횡단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항아리 형상이고,
    상기 제3공간부(C)는 상기 넥 연결부(c)의 외주면인 제3외통과 상기 제3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3내통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3공간부(C)의 횡단면은 튜브 형상이고,
    상기 리드 결합면(12)과 상기 제2내통 사이의 공간이 공기실(14)이고,
    상기 제1,2,3공간부(A,B,C)가 상기 리드 결합면(12)를 제외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진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술 접촉부(a), 리드 접촉부(b) 및 넥 연결부(c)는 PLA(Poly Lactic Acid)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KR1020170098780A 2017-08-04 2017-08-04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KR10199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80A KR101999648B1 (ko) 2017-08-04 2017-08-04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80A KR101999648B1 (ko) 2017-08-04 2017-08-04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20A KR20190014820A (ko) 2019-02-13
KR101999648B1 true KR101999648B1 (ko) 2019-07-12

Family

ID=6536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780A KR101999648B1 (ko) 2017-08-04 2017-08-04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095A (ko) 2019-04-17 2020-10-27 윤여명 리드의 안정 체결구조를 갖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89Y1 (ko) * 2013-06-11 2014-07-02 권석순 에코 밸리가 형성되도록 한 색소폰의 리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991B1 (ko) 2012-09-18 2014-06-18 김종민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89Y1 (ko) * 2013-06-11 2014-07-02 권석순 에코 밸리가 형성되도록 한 색소폰의 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20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451U (ja) 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リード
KR101999648B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US5179255A (en) Baseball bat having the functions of resonators and microphones
CN108140366A (zh) 管乐器
CN105448285B (zh) 具有蛛网状传感器的电子鼓和钹
JP2006326115A (ja) おりん(仏鈴)
US8946530B1 (en) Hand-operated clapping percussion and rhythm device with controllable tone of sound
US982732A (en) Musical instrument.
US747078A (en) Horn for campaign marching clubs.
KR101006588B1 (ko) 에코 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
US879917A (en) Acoustical instrument.
JP4837008B2 (ja) 金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
JP6690330B2 (ja) マウスピース及びアタッチメント
KR101812481B1 (ko)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TWM540369U (zh) 薩克斯風管體結構
KR200390550Y1 (ko) 오카리나
JP2009003357A (ja)
KR102081000B1 (ko)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JP2005148086A (ja) 打楽器、及び打楽器群
US11568842B2 (en) Drumstick
KR102461259B1 (ko)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JP3212958U (ja) 金管楽器
JP3132023U (ja) 金管楽器のマウスピース
KR101974981B1 (ko) 관악기용 키트
TWM504324U (zh) 薩克斯風吹嘴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