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59B1 -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Google Patents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1259B1 KR102461259B1 KR1020200119761A KR20200119761A KR102461259B1 KR 102461259 B1 KR102461259 B1 KR 102461259B1 KR 1020200119761 A KR1020200119761 A KR 1020200119761A KR 20200119761 A KR20200119761 A KR 20200119761A KR 102461259 B1 KR102461259 B1 KR 1024612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onance tube
- length
- resonance
- makmyeong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막명 조음 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취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공명관과, 제1 공명관보다는 긴 원통형으로서, 제1 공명관과 동심축 상으로 배치된 제2 공명관; 제1 공명관의 일단에 고정되고, 무음 상태에서 제2 공명관의 일단에 접촉하고 있는 울림막; 및 제1 공명관 또는 제2 공명관과 연결되어 제1 공명관의 타단을 막는 환형의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막명 이중관 악기는 막명 조음 장치의 제2 공명관과 길이가 길거나 같은 원통형의 제3 공명관을 제2 공명관 내측으로 동심축 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막명 이중관 악기는 막명 조음 장치의 제2 공명관과 길이가 길거나 같은 원통형의 제3 공명관을 제2 공명관 내측으로 동심축 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울림막을 진동시킴으로써 음을 만들어 내는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선율을 연주할 수 있는 막명 이중관 악기에 관한 것이다.
막명 악기(膜鳴樂器) 또는 막울림 악기는 막의 진동에 의해 소리가 나는 악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막명 악기는 북 종류와 같이 막을 쳐서 그 진동에 의해 소리가 나는 타악기로서 리듬을 만들 수 있으나, 선율을 만들 수 없다. 예외적으로, 팀파니의 경우는 단지 몇 개의 음을 낼 수는 있으나, 연속적인 음의 높낮이가 변경되는 선율을 만들어내기 어렵다.
또한, 기명 악기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의 울림에 따라서 음을 내는 악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공기의 울림은 공기의 갈라짐이나 리드(얇은 판)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고, 관에 의하여 공명되어 선율을 만든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명 악기는 단순히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서는 좋은 음질의 음을 내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음을 내는데만 몇 달이 소요되는 등 연주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밀집된 생활 환경에서, 악기의 연주는 소음 공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음량이 작고 음색이 부드러운 악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울림막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켜 음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울림막의 진동을 사용하면서도 선율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기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기의 길이를 조절하여 음역대를 선택할 수 있는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는 제1 길이와 제1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취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공명관;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제1 공명관 내측에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공명관; 제1 공명관의 일단 측에 고정되고, 무음 상태에서 제2 공명관의 일단에 접촉하고 있는 울림막; 및 제1 공명관 또는 제2 공명관과 연결되어 제1 공명관의 타단을 막는 환형의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울림막은 제1 공명관의 일단에 의하여 미소하게 돌출되고, 이러한 미소 돌출 정도는 0-2 mm 범위이다.
환형의 연결부는 단면이 곡면, 경사면, 직각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울림막은 실리콘, 연질의 플라스틱, 가죽 또는 기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공명관, 연결부 및 제2 공명관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및 목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공명관과 제2 공명관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울림막은 제1 공명관의 원통 측면에 접착제, 핀 또는 나사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플랜지부와 덮개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부는 제1 공명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덮개부는 플랜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울림막은 플랜지부와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플랜지부와 덮개부를 통과하는 핀 또는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울림막을 별도의 환형의 고정 부재에 접착제, 핀 또는 나사로 결합시키고, 이러한 고정 부재 내측과 제1 공명관의 일단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는 상기 막명 조음 장치; 제2 길이와 같거나 긴 제3 길이와,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가지며, 제2 공명관 내측에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3 공명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 공명관은 울림막 측의 일단이 개방되고, 울림막 대향 측의 타단이 폐쇄된 형태이고, 제2 공명관과 제3 공명관 사이의 간극은 1-5 mm 범위이다.
제3 공명관이 제2 공명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탈 방지부는 제2 공명관의 타단에 소정 길이 연장한 연장부; 및 연장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3 공명관이 제2 공명관으로 제2 길이 이상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입 방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입 방지부는 제3 공명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져 돌출부가 제2 공명관의 타단과 접촉함으로써 제3 공명관이 제2 공명관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방지할 수 있다.
취구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송풍관이 연결되고, 송풍관은 그 길이 중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는 취구를 불기만 하면 울림막이 떨려서 소리가 나므로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공기를 불어넣어 울림막을 떨리게 하면서도 선율까지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막명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는 악기의 크기를 조절하여, 연주하고자 하는 장소에 맞추어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이나 큰 음량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부드러운 음색을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는 악기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소망하는 음역대의 음을 생성할 수 있어서, 연주자의 취향에 맞추어 악기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에서 제2 공명관의 미소 돌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울림막이 제1 공명관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예시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에서 제2 공명관의 미소 돌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울림막이 제1 공명관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예시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100)는 크게 원통형의 제1 공명관(110), 제1 공명관(110) 내에 동심축 상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 공명관(130), 및 제1 공명관(110)에 고정되는 울림막(1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공명관의 '일단'이라는 용어는 울림막 측의 단부를 지칭하는데 사용하며, '타단'이라는 용어는 울림막 대향 측의 단부를 지칭하는데 사용한다.
제1 공명관(110)은 제1 길이(L1)와 제1 직경(D1)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형 측벽의 일 지점에 취구(120)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취구(120)는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관통 구멍으로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넣는 구멍이다. 취구(120)의 위치는 울림막(150)과의 거리가 멀수록 음질이 안정되고, 연주할 때 편리하다.
제2 공명관(130)은 제2 길이(L2)와 제2 직경(D2)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제2 길이(L2)는 제1 공명관(110)의 제1 길이(L1)보다 길고, 제2 직경(D2)은 제1 공명관의 제1 직경(D1)보다 작다. 예를 들어, D1은 30-50 mm, D2는 20-30 mm, 각 관의 두께는 1-5 mm, L1은 40-200 mm, L2는 L1 보다는 긴 길이로 300 mm 정도의 범위에서 시험하였다. 제1 공명관과 제2 공명관의 직경, 길이, 두께는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이하에서 예시하는 다른 부재의 직경, 길이, 두께도 마찬가지이다.
제2 공명관(130)이 제1 공명관(110)의 내측으로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며, 제2 공명관(130)의 일단을 제1 공명관(110)의 일단과 평면 상으로 맞추게 된다. 제1 공명관(110)의 타단에는, 제2 공명관(130)과 연결되어 제1 공명관(110)의 타단을 막는 환형의 연결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제1 공명관(110) 또는 제2 공명관(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1 공명관(110), 제2 공명관(130) 및 연결부(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4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공명관(110)의 측벽과 수직한 직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6a에서와 같이 경사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서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명관(110), 제2 공명관(130) 및 연결부(14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또는 목재일 수 있다. 제1 공명관(110), 제2 공명관(130) 및 연결부(140)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울림막(150)은 탄성 재질의 막으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연질 플라스틱, 가죽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울림막(150)은 제1 공명관(110)의 일단 원주 둘레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 즉 무음 상태에서는 제2 공명관(130)의 일단과 접촉하고 있다.
울림막이 제2 공명관(130)의 일단과 접촉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하여, 제2 공명관(130)의 일단이 제1 공명관(110)의 일단보다 미소하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제2 공명관(130)의 일단이 제1 공명관(110)의 일단보다 ΔL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미소 돌출 길이 ΔL은 0~2 mm 내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울림막(150)은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제1 공명관(110)의 일단 원주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a는 울림막(150)이 제1 공명관(110)의 측면에 복수 개의 핀 또는 나사(111)로 고정되어 있는 예시이다.
도 5b는 울림막(15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공명관(110)의 일단에 플랜지(112)를 형성한 예시이다. 즉, 제1 공명관(110)에 플랜지(112)를 형성하고, 플랜지(1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의 덮개(113)를 별도로 마련한다. 울림막(150)을 플랜지(112)와 덮개(113) 사이에 위치시키고 복수의 핀 또는 나사(114)로 고정한다. 이 때, 나사(114)는 플랜지(112)까지 관통하는 볼트로 하고 플랜지(112)에서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c는 울림막(150)을 제1 공명관(110)의 일단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공명관의 일단 측면에 나사 결합하는 환형 고정 부재(116)에 접착제, 핀 또는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환형 고정 부재(116)는 그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제1 공명관의 일단 외측에도 대응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시킨다. 도 5c의 울림막(150)은 환형 고정 부재(116)와 모듈화되어, 울림막을 교체하기에 편리하다.
또 다른 대안으로, 울림막(150)은 제1 공명관(110)의 원주 둘레에 접착제와 함께 또는 접착제 없이 고정띠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이러한 막명 조음 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연주자가 취구(120)에 입을 대고 공기를 불어넣으면, 제1 공명관(110)과 제2 공명관 사이의 환형의 간극(180)에서 공기가 상방으로 흐르게 되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울림막(150)을 진동시켜서 울림막(150)이 제2 공명관(130)의 일단과 접촉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 공명관(130)의 일단과 울림막(150) 사이의 틈으로 공기의 흐름이 빠져 나오게 되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울림막(150)이 제2 공명관(130)의 일단에 붙었다 떨어졌다는 반복하여 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리가 제2 공명관(130)의 내부에서 공명하여 악음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에서 나오는 음은 제1 공명관(110)의 제1 직경(D1) 및 제1 길이(L1), 제2 공명관(130)의 제2 직경(D2) 및 제2 길이(L2)에 따라 그 높낮이와 음량, 음색이 달라진다. 공명관들의 관의 굵기, 즉 직경은 음량과 관계되고, 관의 길이는 음 높이와 관계된다. 공명관들의 직경이 크면 상대적으로 음량이 커지고, 직경이 작으면 상대적으로 음량이 작아진다. 또한, 공명관들의 길이가 길면 상대적으로 낮은 음이 만들어지고, 길이가 짧으면 높은 음이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200)를 설명한다. 이러한 막명 이중관 악기(200)는 전술한 막명 조음 장치를 사용하여, 높낮이가 다른 음을 생성하여 선율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200)는 막명 조음 장치(100)의 내부에 원통형의 제3 공명관(210)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제3 공명관(210)은 제3 길이(L3)와 제3 직경(D3)을 가지는 원통형 관으로서, 울림막(150) 쪽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형태이다. 제3 공명관(210) 역시 플라스틱, 금속 또는 목재 등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고, 제3 공명관(210)의 타단의 폐쇄는 양쪽으로 개방된 원통형의 타단을 마개 등으로 폐쇄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으로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때, 제3 공명관(210)의 제3 길이(L3)는 제2 공명관(130)의 제2 길이(L2)와 대략 동일하고, 제3 직경(D3)은 제2 공명관(130)의 제2 직경(D2)보다 작다.
제3 공명관(210)의 제3 직경(D3)이 제2 공명관(130)의 제2 직경(D2)보다 작기 때문에, 제3 공명관(210)의 외경과 제2 공명관(130)의 내경 사이의 간극(280)이 생기고, 제3 공명관(210)은 제2 공명관(13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직경(D3)과 제2 직경(D2)의 차이는 10-30 mm 정도이고, 간극(280)은 1-5 mm 정도가 적당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a는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서, 제3 공명관(210)이 울림막(150)에는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도 7b는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 내에서 중간쯤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이고, 도 7c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다.
이러한 막명 이중관 악기는 연주자가 막명 조음 장치(100)의 취구(120)에 공기를 불어넣는 경우 제1 공명관(110)과 제2 공명관(130) 사이의 환상의 간극(180)을 따라 공기가 흐르고(도 3 참조), 이러한 공기가 울림막(150)을 진동시켜 제2 공명관(130) 내부로 흐르게 된다. 이후에 공기는 제2 공명관(130)과 제3 공명관(210) 사이의 환상의 간극(280)을 따라 흐르게 되고 공명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높낮이가 다른 음의 생성은 제2 공명관(130)과 제3 공명관(210)의 이중관 효과에 의한 것이다. 즉, 제3 공명관(210)의 영향으로 공명관이 이중화되어, 결과적으로 공명관이 길어진 효과가 생겨 음이 내려간다. 따라서, 이중화된 길이만큼 음이 낮아지게 되고, 이중화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낮이가 다른 음이 생성된다.
이러한 이중관 효과에 의한 음의 높낮이를 살펴보면, 도 7a와 같이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가장 낮은 음이 생성되고, 도 7b에서와 같이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 내에서 타단 쪽으로 슬라이드될수록 높은 음이 생성된다. 도 7c와 같이 제3 공명관(210)이 없이 제2 공명관(130) 만이 있는 상태일 때 가장 높은 음이 생성된다. 즉, 제2 공명관(130)과 제3 공명관(210)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가 긴 경우 낮은 음이 형성되고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은 경우 높은 음이 형성되는 이중관 효과가 생기는 것이다. 이때, 생성음의 높낮이는 제2 공명관(130)과 제3 공명관(210)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에 정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음이 높아질수록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 차이는 작아진다. 예를 들어, 도 7a가 '도'의 음정이 나는 상태이고 도 7c가 1 옥타브 위의 '도'라면, 도 7b와 같이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의 1/2 정도 슬라이드 되었을 때 '레', 3/4 정도 슬라이드 되었을 때 '미'음이 생성된다. 음의 높낮이는 제1 내지 제3 공명관의 길이를 조절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조절하여 소망하는 음역대를 생성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를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201)를 설명한다. 막명 이중관 악기(201)는 도 7a-7c의 막명 이중관 악기(200)와 유사하나, 제3 공명관의 제3 길이(L3)가 제2 공명관의 제2 길이(L2)보다 소정 길이(L4)만큼 더 긴 것이다.
이와 같이 제3 공명관(210)의 제3 길이(L3)가 제2 공명관(130)의 제2 길이(L2)보다 긴 경우에,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생성되는 음이 도 7a의 상태에서 생성되는 음이 더 낮아진다. 이때 소정 길이(L4)가 계속 커진다고 하여 음이 무한정 낮아지는 것은 아니며, 대략 L3: L4의 길이가 3.5~4:1 정도가 될 때 2-3도 더 낮은 음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 공명관(210)의 제3 길이(L3)가 소정 길이(L4)만큼 제2 공명관(130)의 제2 길이(L2)보다 긴 경우, 제3 공명관(210)을 제2 공명관(130) 내부에서 슬라이드시킬 때 제3 공명관(210)을 지나치게 진입시켜 제3 공명관(210)의 일단이 울림막(150)을 누르거나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울림막(150)의 진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으로 지나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입 방지부(220)를 제3 공명관(210)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 방지부(220)의 가장 간단한 예시는 제3 공명관(210)에 제2 길이(L2)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는 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가 제2 공명관(130)의 타단과 접촉함으로써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 내부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202)를 설명한다.
막명 이중관 악기(202)는 도 8의 막명 이중관 악기(201)와 유사하나, 제2 공명관(130)에 이탈 방지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탈 방지부(160)는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2 공명관(1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의 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막명 이중관 악기에서 가장 높은 음을 내기 위하여 제3 공명관(210)을 제2 공명관(1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상태(예를 들어 도 7c와 같은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후에, 선율을 연속적으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제3 공명관(210)을 제2 공명관(130)으로 바로 삽입시켜야 하는데, 연주 중 완전히 분리된 제3 공명관(210)을 제2 공명관(130)으로 리듬에 맞추어 끼워넣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도 9a-9b의 실시예에서의 막명 이중관 악기(202)는 이탈 방지부(160)를 형성하여 제3 공명관(210)이 이탈 방지부(160)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가장 높은 음을 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160)는 제2 공명관(130)의 제2 길이(L2)에 소정 길이 L2'만큼 연장한 연장부(161)를 형성하고, 연장부(161)에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162)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탈 방지부(160)에는 연장부(161)에 관통 구멍(16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러한 연장부(161)가 공명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연장부(161)에서는 공기가 관통 구멍(162)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제2 공명관(130)에 연장부(161)가 형성되어 있더라고, 제2 공명관(130)의 공명관으로서의 유효 길이는 여전히 제2 길이(L2)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장부(161)의 길이(L2')는 연주되는 음에 영향을 주지는 않게 된다. 연장부(161)의 이탈 방지 효과를 위하여 20-50 mm 범위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b에는 제3 공명관(210)의 일단이 이러한 이탈 방지부(160)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제3 공명관(210)이 제2 공명관(130)의 제2 길이(L2)의 외부에 있으면서도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아서 다음의 낮은 음을 내기 위하여 제2 공명관(13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60)의 관통 구멍(162)은 연장부(161)가 관의 기능을 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공명관(210) 타단(연장부)까지 천공되어 머리빗과 같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사선 형상의 구멍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명 이중관 악기(203)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막명 이중관 악기(203)는 취구(120)에 송풍관(1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취구(120)에 송풍관(170)을 돌출시켜 형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취구(120)와 소정 거리 떨어져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송풍관(170)은 제1 내지 제3 공명관과 같은 경질의 재료로 만들 수도 있고, 호스와 같이 휘어지는 연질의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송풍관은 그 길이 중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를 취할 수 있게 하여 연주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송풍관(170)을 취구(120)의 내주면에 끼워 사용하거나 제1 공명관(1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는 취구를 불기만 하면 울림막이 떨려서 소리가 나므로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공기를 불어넣게 울림막을 떨리게 하면서도 이중관 효과로 선율까지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막명 악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는 악기의 크기를 조절하여, 연주하고자 하는 장소에 맞추어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이나 큰 음량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부드러운 음색을 만들어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막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는 악기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소망하는 음역대의 음을 생성할 수 있어서, 연주자의 취향에 맞추어 악기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00: 막명 조음 장치
110: 제1 공명관 120: 취구
130: 제2 공명관 140: 연결부
150: 울림막
160: 이탈 방지부
161: 연장부 162: 관통 구멍
170: 송풍관
200, 201, 202, 203: 막명 이중관 악기
210: 제3 공명관 220: 진입 방지부
180, 280: 환상의 간극
110: 제1 공명관 120: 취구
130: 제2 공명관 140: 연결부
150: 울림막
160: 이탈 방지부
161: 연장부 162: 관통 구멍
170: 송풍관
200, 201, 202, 203: 막명 이중관 악기
210: 제3 공명관 220: 진입 방지부
180, 280: 환상의 간극
Claims (13)
- 제1 길이와 제1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취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공명관;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제1 공명관 내측에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공명관;
상기 제1 공명관의 일단 측에 고정되고, 무음 상태에서 상기 제2 공명관의 일단에 접촉하고 있는 울림막;
상기 제1 공명관 또는 제2 공명관과 연결되어 제1 공명관의 타단을 막는 환형의 연결부;
상기 제2 길이와 같거나 긴 제3 길이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공명관 내측에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어, 제2 공명관 내측에서 슬라이드되는 원통형의 제3 공명관; 및
상기 제3 공명관이 상기 제2 공명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2 공명관의 타단에 소정 길이 연장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 구멍
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공명관은 상기 울림막 측의 일단이 개방되고, 울림막 대향 측의 타단이 폐쇄된 형태이고,
상기 제3 공명관이 상기 제2 공명관 내측에서 슬라이드될 때 제2 공명관과 제3 공명관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에 따라서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연결부는 단면이 곡면, 경사면, 직각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막은 실리콘, 연질의 플라스틱, 가죽 또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공명관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및 목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막은 제1 공명관의 원통 측면에 접착제, 핀 또는 나사로 고정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덮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울림막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덮개부를 통과하는 핀 또는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막은 환형의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환형의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명관의 외측 일단에는 상기 환형의 고정 부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관과 상기 제2 공명관은 일체로 형성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명관이 제2 공명관 내측에서 슬라이드될 때 제2 공명관과 제3 공명관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은 음이 생성되고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높은 음이 생성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명관이 상기 제2 공명관으로 제2 길이 이상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입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방지부는
상기 제3 공명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공명관의 타단과 접촉함으로써 제3 공명관이 제2 공명관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취구와 연결되는 송풍관
을 더 포함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761A KR102461259B1 (ko) | 2020-09-17 | 2020-09-17 |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761A KR102461259B1 (ko) | 2020-09-17 | 2020-09-17 |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158A KR20220037158A (ko) | 2022-03-24 |
KR102461259B1 true KR102461259B1 (ko) | 2022-10-28 |
Family
ID=8093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9761A KR102461259B1 (ko) | 2020-09-17 | 2020-09-17 |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125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124Y1 (ko) * | 2002-04-02 | 2002-07-13 | 채헌정 | 나팔 |
US20060065475A1 (en) * | 2004-09-24 | 2006-03-30 | David Wishinsky | Acoustic device |
KR100628870B1 (ko) * | 2006-03-02 | 2006-09-27 | 에이엘넷(주) | 고음향 출력 혼 |
JP2006259649A (ja) * | 2005-03-14 | 2006-09-28 | Eiji Sato | 平笛(平面素材から作成可能な音程調整スライドを持つ笛) |
JP2011197621A (ja) * | 2010-03-18 | 2011-10-06 | Yoko Ikeda | 音高調整機能付きオカリナ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56546B2 (ja) * | 1994-04-18 | 2003-10-14 | 株式会社コルグ | リムの着脱が可能なドラム |
KR19990041127A (ko) * | 1997-11-21 | 1999-06-15 | 정몽규 | 공명기의 주파수 가변장치 및 방법 |
KR20120072700A (ko) * | 2010-12-24 | 2012-07-04 | 영동군 | 울림판을 갖는 난타 북 |
-
2020
- 2020-09-17 KR KR1020200119761A patent/KR1024612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124Y1 (ko) * | 2002-04-02 | 2002-07-13 | 채헌정 | 나팔 |
US20060065475A1 (en) * | 2004-09-24 | 2006-03-30 | David Wishinsky | Acoustic device |
JP2006259649A (ja) * | 2005-03-14 | 2006-09-28 | Eiji Sato | 平笛(平面素材から作成可能な音程調整スライドを持つ笛) |
KR100628870B1 (ko) * | 2006-03-02 | 2006-09-27 | 에이엘넷(주) | 고음향 출력 혼 |
JP2011197621A (ja) * | 2010-03-18 | 2011-10-06 | Yoko Ikeda | 音高調整機能付きオカリ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158A (ko) | 2022-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9469B2 (en) | Pitch modulator drum | |
CN101019170B (zh) | 改进的鼓 | |
US7563970B2 (en) | Woodwind instrument | |
US7335831B2 (en) | Brass instrument | |
US20100175535A1 (en) | Percussion resonance system | |
US5323678A (en) | Hand-held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comprising elongate tube shaped as a ring, incorporating dividers, and incoporating contained sound-generating elements | |
US6673992B1 (en) | Saxophone mouthpiece | |
TWI652667B (zh) | 調整吹氣壓力的減音裝置及其轉接器、以及吹奏樂器 | |
US7470845B2 (en) | Musical shaker | |
KR102461259B1 (ko) |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 |
US4212223A (en) |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 |
US5780757A (en) | Acoustical ring and bell sound system | |
US20120085218A1 (en) | Ligature for the mouthpieces of single-reed wind instruments | |
US4345503A (en) | Interchangeable tone chamber | |
Fletcher | Acoustics of the Australian didjeridu | |
US3339444A (en) | Trumpet embouchure | |
US2513600A (en) | Musical humming instrument | |
EP0874350B1 (en) | Acoustical ring and bell sound system | |
KR200269518Y1 (ko) |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 |
US20220310041A1 (en) | Musical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 |
JPH0667649A (ja) | 切り込み弁式竹製打楽器 | |
JP2005148086A (ja) | 打楽器、及び打楽器群 | |
JP2537347Y2 (ja) | ハーモニカのベンディング装置 | |
US20180301127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reverb in snare drum | |
Fletcher | The winds of music—art and sci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