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870B1 - 고음향 출력 혼 - Google Patents

고음향 출력 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870B1
KR100628870B1 KR1020060019764A KR20060019764A KR100628870B1 KR 100628870 B1 KR100628870 B1 KR 100628870B1 KR 1020060019764 A KR1020060019764 A KR 1020060019764A KR 20060019764 A KR20060019764 A KR 20060019764A KR 100628870 B1 KR100628870 B1 KR 10062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rn
tube
casing
output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훈
Original Assignee
에이엘넷(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엘넷(주) filed Critical 에이엘넷(주)
Priority to KR102006001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압력 예를 들어, 입으로 바람을 불어 100dB 이상의 고음향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음향 출력 혼에 관한 것으로, 사운드 홀(23) 속으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에어가 사운드 튜브(11) 속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가요성 판막(22)에서 음향이 발생한다. 그리고 가변형 음폭튜브(31)에 의해 출력 음향의 진폭을 바꾸어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대략 100dB 이상의 고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극히 심플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휴대가 용이하여 각종 이벤트나 응원 도구에 적합한 소형 고음향 출력 혼을 제공할 수 있다.
혼, 경음기, 고음향, 경적

Description

고음향 출력 혼{HIGH ACOUSTIC OUTPUT HOR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의 제1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의 음폭 변경수단을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혼의 조립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의 케이싱을 구 형상으로 변형시킨 일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b)는 도 5에 도시된 구형 혼의 응용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혼 11:사운드 튜브
12:소리 방출단부 13:소리 발생단부
14:케이싱 15:칸막이
16:케이싱의 단부 21:공간층
22:가요성 판막 13:사운드 튜브
23:사운드 홀 24, 24a, 24b:체결링
25, 25a, 25b:계단부 26:체결면
30:음폭 변경수단 31:가변형 음폭튜브
32a:에어구멍 32b:장공
33:손잡이 D1:사운드 튜브의 내경
D2:케이싱의 단부 내경 t:후퇴 공차
V:가요성 판막의 두께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압력 예를 들어, 입으로 바람을 불어 100dB 이상의 고음향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음향 출력 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스포츠 게임의 응원, 각종 이벤트 행사, 공항 주변의 조류 퇴치시 혹은 위급 상황시 고음향을 발생시켜 시선을 집중시키거나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축포나 확성기 혹은 호각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음향 발생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시 안전해야 하며, 또한 사용의 편리성도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고음향 출력용 혼(horn) 장치는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985-00056579호(1985. 08. 28) "휴대기기용 소형 고압가스용기", 국내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87-0005773호(1987. 04. 24)"휴대용 경적기"와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98-1988호(1998. 03. 30) "압축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혼"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고음향 발생 혼은 질소가스나 불활성 가스가 충진된 용기의 상측에 가스 분출노즐과 혼을 연결시켜 가스 분출압에 의해 고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혼은 용기와 혼의 연결구성과 가스의 개폐수단 등 많은 부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높고 잔고장이 많으며, 압축가스의 폭발 위험성으로 인해 취급시 신중해야 하고 또, 용기의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하며, 또한, 충진된 가스가 소모되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고음향 출력 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비교적 낮은 압력,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으로 불어 약 100dB 이상의 고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음향 출력 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음향의 진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소형 고음향 출력 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극히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여 각종 이벤트 용품이나 스포츠용 응원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고음향 출력 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은;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소리 발생단부 및 소리 방출단부를 지니고, 상기 소리 발생단부의 내경이 D1인 사운드 튜브와;
상기 사운드 튜브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사운드 튜브를 지지하고 공간층을 구성하는 칸막이와 상기 공간층으로 바람을 불어넣는 사운드 홀을 구비하고, 일측 단부의 내경이 D2이고, 상기 소리 발생단부로부터 후퇴 공차(t)만큼 후퇴된 케이싱과;
두께(V)가 0.01 ~ 2㎜이고, 상기 사운드 튜브의 소리 발생단부 및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펼쳐지게 위치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종이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가요성 판막과;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가요성 판막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체결링 및
상기 사운드 홀 내로 공기를 불어 넣으면, 상기 가요성 판막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사운드 튜브의 소리 방출단부로 방출하되, 상기 후퇴 공차(t)의 범위는 0.1 ~ 0.3이고, 상기 D2/D1의 범위는 1.1 ~ 1.7이며, D2/V의 범위는 1000 ~ 2000의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은 경량이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혼은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사운드 튜브 및 상기 케이싱과 사운드 튜브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가요성 판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공기를 불어 넣는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의 단부와 사운드 튜브의 단부는 그 전체에 가요성 판막이 펴지게 조립되어 있고, 케이싱의 외경 단부는 사운드 튜브의 단부 보다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막의 중앙부분은 사운드 튜브의 단부에 펴진 상태로 밀 착되고, 가요성 판막의 테두리부분은 케이싱의 체결링에 의해 합체되지만 후퇴 공차만큼 경사지게 조립된다. 상기 케이싱과 사운드 튜브 사이는 상기한 가요성 판막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가요성 판막은 두께(V)가 약 0.01 ~ 2㎜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종이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전술한 후퇴 공차(t)는 0.1 ~ 0.3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2이다. 사운드 홀의 직경은 0.2 ~ 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외측의 케이싱 직경(D2) 대 내측의 사운드 튜브의 직경(D1) 비는 1.1 ~ 1.7이며, 직경(D2)과 가요성 판막의 두께(V) 사이의 비가 1000 ~ 2000일 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D2/V의 범위가 1400일 때, 가장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상기 가요성 판막이 사운드 튜브의 소리 발생단부에 펴진 상태로 접해지고, 사운드 튜브의 단부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후퇴 공차에 의해 10kPa 정도의 낮은 압력으로도 매우 큰 소리의 진폭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음향 출력 혼은 혼의 음향 진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음폭 변경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폭 변경수단의 일 예로서는 상기 사운드 튜브의 소리 방출단부속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주면에 에어통로가 마련되며, 일측단이 폐쇄된 가변형 음폭튜브로 달성될 수 있다.
가변형 음폭튜브는 원주면에 마련된 에어 구멍 혹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음폭 변경수단을 상기한 사운드 튜브속에서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사운드 튜브 내의 공간면적이 증감됨으로 울림현상에 변화되어 진폭이 다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고, 도 2(a)에는 도 1의 A-A선 단면도가, 도 2(b)는 도 2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고음향 출력 혼(10)은 케이싱(14)과 상기 케이싱(14)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된 소리 방출단부(12)와 소리 발생단부(13)를 구비한 사운드 튜브(11)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4)은 사운드 튜브(11) 사이에 칸막이(15)가 설치되어 구획된 공간층(21)이 마련된다.
상기 케이싱(14)의 공간층(21)은 가요성 판막(2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가요성 판막(22)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종이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그 두께(V)는 0.01 ~ 2㎜이며, 바람직한 두께는 0.2㎜이다.
상기 케이싱(14)의 단부(16)는 사운드 튜브(11)의 소리 발생단부(13) 보다 뒤쪽에 위치되어 도면에서 "t"로 표기된 후퇴 공차 만큼 후퇴되어 있다.
상기 사운드 튜브(14)의 내경은 D1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4)의 단부의 내경은 단부(16)에서 D2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튜브는 모두 원통형이다.
상기 케이싱(14)는 원주면에 사운드 홀(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23)을 통해 공기를 공간층(21)내로 불어 넣을 수 있다. 상기 케이싱(14)의 단부에 합체된 상기 가요성 판막(22)은 케이싱(14)의 계단부(25)에 억지 끼워진 체결링(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체결링(24)의 외면은 계단부(25)의 외면과 동일 높이로 되어 있고, 체결링(24)의 체결면(26)은 약간 비스듬히 가공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4)의 단부와 사운드 튜브(11)의 소리 발생단부(13)에는 그 전체가 가요성 판막(22)이 펼쳐지게 조립되는데, 상기 케이싱(14)의 일측 단부가 상기 사운드 튜브(11)의 단부 보다 후퇴되어 있어 후퇴 공차(t)를 지니고 있어 상기한 가요성 판막(22)의 중앙부분은 상기 사운드 튜브(11)의 단부(13)에 펴진 상태로 밀착되고, 상기 막(22)의 테두리부분은 상기 케이싱(14)의 체결링(24)에 의해 합체되지만 후퇴 공차(t) 만큼 경사지게 조립된다. 상기한 케이싱(14)과 사운드 튜브(11)는 모두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홀(23)의 직경은 0.2 ~ 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음향 출력 혼(10)은 사용자가 사운드 홀(23) 속으로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 에어가 압력에 의해 공간층에서 사운드 튜브(11) 속으로 유입될 때, 가요성 판막(22)과 사운드 튜브(11)의 단부(13)사이에서 음향이 발생되어 낮은 압력으로 100dB의 고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10)은 음폭 변경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폭 변경수단을 예시하 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음폭 변경수단(30)을 채용한 고음향 출력 혼의 요부 부분절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튜브(11)의 내경 즉, 상기 사운드 튜브(11)의 소리 방출 단부(12)쪽으로 가변형 음폭튜브(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가변형 음폭튜브(31)는 일측단이 폐쇄되어 있고, 사운드 튜브(11)의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튜브의 원주면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에어 구멍(32a) 혹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음폭튜브(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32b)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구멍(32a) 혹은 장공(32b)은 가변형 음폭튜브(31)가 사운드 튜브(11)로부터 인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 구멍(32a) 혹은 장공(32b)의 노출면적이 달라진다. 결국, 노출면적의 증감은 상기 사운드 튜브(11) 내의 공간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소리 울림현상의 차이로 음향의 음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33은 가변형 음폭튜브(31)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10)은 케이싱(14)을 구형상으로 변형시켜 디자인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a),(b)를 참조하면, 도 5는 고음향 출력 혼의 케이싱을 구 형상으로 변경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구형 케이싱(14)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공 형상 혹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공과 같은 형상과 모양으 로 음각 혹은 양각할 수 있다.
상기한 구형 케이싱은 도 6(a) 및 (b)에 도시된 축구공 혹은 농구공 이외에도 특정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볼의 형상과 모양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공 혹은 농구공 형상을 갖는 혼의 경우 그 외부표면에는 사운드 홀(23)을 마련하고, 그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튜브(11) 및 가요성 판막(22)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함은 당연하다. 다만, 상기 케이싱(14)의 계단부(25)를 그 양측단에 각각 마련하고, 각각의 계단부(25a, 25b / 도 5도 참조)에 각각의 체결링(24a)(24b)으로 조립하여 완전한 구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입으로 낮은 압력으로도 고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음향 출력 혼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인 목적으로 대표적인 실시예와 일부 변경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예 및 변경예를 기초로 다양한 응용예나 변경예를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응용예나 변경예들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정의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Claims (9)

  1.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소리 발생단부 및 소리 방출단부를 지니고, 상기 소리 발생단부의 내경이 D1인 사운드 튜브와;
    상기 사운드 튜브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사운드 튜브를 지지하고 공간층을 구성하는 칸막이와 상기 공간층으로 바람을 불어넣는 사운드 홀을 구비하고, 일측 단부의 내경이 D2이고, 상기 소리 발생단부로부터 후퇴 공차(t)만큼 후퇴된 케이싱과;
    두께(V)가 0.01 ~ 2㎜이고, 상기 사운드 튜브의 소리 발생단부 및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펼쳐지게 위치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종이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가요성 판막과;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가요성 판막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체결링 및
    상기 사운드 홀 내로 공기를 불어 넣으면, 상기 가요성 판막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사운드 튜브의 소리 방출단부로 방출하되, 상기 후퇴 공차(t)의 범위는 0.1 ~ 0.3이고, 상기 D2/D1의 범위는 1.1 ~ 1.7이며, D2/V의 범위는 1000 ~ 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은 음폭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폭 변경수단은 일측단이 폐쇄되고 소정의 길이를 지니는 튜브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리 방출단부속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원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에어 구멍이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한 가변형 음폭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퇴 공차(t)가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2/D1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2/V는 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홀의 직경이 0.2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홀의 직경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음향 출력 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구 형상으로 구성하고, 구의 표면에 특정 볼의 형상과 모양을 음각 혹은 양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향 출력 혼.
KR1020060019764A 2006-03-02 2006-03-02 고음향 출력 혼 KR10062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764A KR100628870B1 (ko) 2006-03-02 2006-03-02 고음향 출력 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764A KR100628870B1 (ko) 2006-03-02 2006-03-02 고음향 출력 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870B1 true KR100628870B1 (ko) 2006-09-27

Family

ID=3762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764A KR100628870B1 (ko) 2006-03-02 2006-03-02 고음향 출력 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60Y1 (ko) * 2010-07-14 2013-04-08 우동재 다용도 농작물 지주대
KR20220037158A (ko) * 2020-09-17 2022-03-24 우광혁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60Y1 (ko) * 2010-07-14 2013-04-08 우동재 다용도 농작물 지주대
KR20220037158A (ko) * 2020-09-17 2022-03-24 우광혁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KR102461259B1 (ko) * 2020-09-17 2022-10-28 우광혁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0816B2 (en) Circular percusive sound generation instrument
KR100628870B1 (ko) 고음향 출력 혼
US5179255A (en) Baseball bat having the functions of resonators and microphones
US6555736B1 (en) Rhythm shaker
US7642438B1 (en) Novelty noise making device
US7097533B2 (en) Injection molded noise making device
US20060196405A1 (en) Sport horn and method making and using the horn
JP6185119B1 (ja) 遊戯用ボール
JP3232650U (ja) ボール状具
JP2006209146A (ja) 金管楽器用消音器
KR200440543Y1 (ko) 응원기구
US9870760B2 (en) Musical instrument
US6257949B1 (en) Tubular device that produces sound
US9293121B2 (en) Musical instrument
JP2001249661A (ja) 響鳴室を有するマラカス
US9105258B2 (en) Musical instrument
WO2001059756A1 (en) Whistle with flickering lamp
US8113906B2 (en) Air blown noisemaker
CN202059549U (zh) 入耳式多声道环绕声耳机
KR200402881Y1 (ko) 호루라기
JP2021179541A (ja) ベル挿嵌型管楽器用消音器
KR200281124Y1 (ko) 나팔
KR200280698Y1 (ko) 응원용 도구
JP2599520Y2 (ja) バッティング練習用の笛付きバット
WO2004095418A1 (en) Acoustic generator having an air-blowing hole, an air-compression chamber and a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