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812B1 -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오카리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812B1
KR101430812B1 KR1020120095871A KR20120095871A KR101430812B1 KR 101430812 B1 KR101430812 B1 KR 101430812B1 KR 1020120095871 A KR1020120095871 A KR 1020120095871A KR 20120095871 A KR20120095871 A KR 20120095871A KR 101430812 B1 KR101430812 B1 KR 10143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carina
sound hole
airwa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495A (ko
Inventor
이용렬
Original Assignee
이용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렬 filed Critical 이용렬
Priority to KR102012009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8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의 연주에도 불구하고 소리의 깨짐현상이 없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를 합성수지재질로 제작하면서 연주중 발생하는 수증기의 응축으로 인한 소리의 파열이 연주자에 있어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도(101)의 배출단부(101b)가 소리구멍(110)의 내주면따라 길게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한 기도가 소리구멍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하여 기도를 통과한 공기가 소리구멍의 외주면의 상측절곡부(110c)를 접하면서 대부분이 외부로 방출토록 하며,특히 대부분이 공명발생부((Re)에 접하여 소리발생에 이용토록 하였다.
본 발명은 기도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단부를 통과하고 나서 대부분이 소리구멍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수증기의 응축현상이 최소화되었고 특히 부분적으로 발생한 응축수도 확산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공명발생부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중에 발생하는 내부 수증기에 의한 소리의 깨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오카리나{Ocarina}
본 발명은 폐관악기인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 시 타액에 의해 취구가 막히거나, 취구를 통해 고이는 응축수가 잘 방출되어 선명한 소리가 오래 유지하도록 제작된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는 사용자가 취구를 통해 본체 내에 바람을 불어넣으면서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음계구멍을 선택적으로 막거나, 개방함에 따라 본체의 내부가 폐쇄되어 있어 울리는 소리가 본체의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에서 반사되므로 폐관악기 특유의 독특한 음을 발생하게 된다.
원래의 오카리나는 도자기로 제작하였으나,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낮아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며 가격이 비싸고 무거우며 파손이 쉬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정한 품질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합성수지재 오카리나가 제작되고 있다. 합성수지는 제작 단가가 낮고 가벼우며 파손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자기에 비해 음색이 좋지 않고 제품의 완성도가 낮은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합성수지재 오카리나의 주요한 단점의 하나는 수분 흡수 문제이다. 도자기 재질 오카리나는 연주 시 취구로 공기와 함께 들어가는 소량의 타액이 도자기에 흡수된다. 흡수된 타액은 연주가 끝나고 보관 시에 다시 건조된다. 그러나 합성수지 오카리나는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취구가 타액에 의해 막혀 연주 중 가끔씩 타액을 털어내야만 한다. 또한 막히지 않더라도 타액이 오카리나의 본체로 흘러내려 연주 중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실용등록 제 20-0386107호에서는 도 1에 도시하듯이 폐관악기인 오카리나에 있어서, 흙으로 제작된 공기주입부(취구)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합성수지취구와 도자기 재질의 몸체의 결합으로 인하여 연주시 발생하는 결로된 수분의 부분적이 흡수제거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연주를 위한 공기가 방출구를 빠져나가면서 방출구에 충돌하여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취부의 입구부에서부터 방출구에 이르기까지의 전체면적에 고르게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즉, 합성수지재질의 취구자체에서도 결로현상이 발생하므로 완벽한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한 단점을 보다 개선한 것으로 등록특허 10-0620892호에서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하듯이 "일측 끝단에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취구(120)로부터 연장된 기도(110)가 형성된 소리발생부(100)가 소리발생부 상부체(102)와 소리발생부 하부체(104)의 접착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리발생부 상부체(102)의 상단에는 소리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소리배출구(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리배출구(101)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소리발생부 하부체(104)에는 끝단으로 진행하면서 공간이 점점 넓어지는 나팔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운지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는 울림발생부 상부체(202)와 복수의 운지구멍(205)이 형성되어 있는 울림발생부 하부체(206)가 접착 결합되어 울림발생부(200)가 형성되고,
상기 울림 발생부(200)는 내측에 울림공간부(208)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소리발생부(100)의 상기 나팔부의 끝단과 대응하는 개구(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팔부(103)의 끝단과 상기 울림발생부(200)의 상기 개구(210)측 끝단이 접착 결합되어 상기 소리발생부(100)와 상기 울림발생부(200)가 결합되어 오카리나가 형성되며,
상기 소리발생부 상부체(102), 상기 소리발생부 하부체(104), 상기 울림발생부 상부체(202) 및 상기 울림발생부 하부체(206)는 수분흡수성이 있는 목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리발생부(100)의 소리발생부 상부체(102)를 단일체로 형성하여 기도(101)와 소리발생부 상부체(102) 상부에 형성된 소리배출구(101) 사이에 이음매가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오카리나."를 개발하였다. 특히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형성하여 울림발생부가 공기가 오래 머물게 하여 고음에서 소리깨짐이 없는 오카리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발명은 하부 재질을 목재로 구성하여 공기중의 수분이 응결되더라도 이 목재에 의하여 흡수제거하고 있다.
상기한 발명은 목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한 응축수를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있으나 역시 장기간 연주, 특히 외부기온이 낮은 경우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목재의 특성상 제작방법이 수동으로 원목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제작단가가 높고, 장시간 사용으로 유기질 재질의 목재에 수분이 흡수되면서 내부에 각종 미생물이 번식하여 위생상 좋지 않다. 특히 침에서 발생하는 각종 효소와 유기물 그리고 입안의 각종 미생물들이 이곳에서 번식할 경우 위생문제는 물론 이취발생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연주가 장시간 진행되어도 결로현상발생이 없어 연주중 방출구의 응결된 수분에 의한 음의 깨어짐 현상이 없는 오카리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주자가 직접 입을 대고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의 하단측 방출구에 취구를 통과한 공기가 소리발생부에 접하면서 수분응축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소리발생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카리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기도의 배출단부를 소리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지면서, 이곳을 통과한 공기의 대부분이 외부로 방출토록 하였다. 특히 공명발생부에 대부분이 접하면서 부분적으로 응축수가 발생하여도 확산부의 급격한 확산구조로 외부로 배출토록 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 공기중 일부가 역류하여도 확산유도턱에 의하여 확산부로 유도하여 발생가능한 응축현상을 최대한 억제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따라 비록 합성수지재질의 오카리나이면서도 2,3 시간의 연속적인 연주에도 불구하고 응축현상을 억제하여 소리깨짐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 은 종래 오카리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2 는 종래 오카리나의 분해상태사시도,
도 3 은 종래 오카리나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AA선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AA선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정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우측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우측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소리구멍부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하부보디와 상부보디를 일체로 체결하여 제작한 오카리나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소리구멍부에서 기도를 빠져나온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소리구멍부분의 확대개념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제 제작한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실물사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제 제작한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다른 각도에서 본 실물사진임.
본 발명은 장시간 연주시 발생하는 수분응결현상을 차단하여 연주중 음의 파열현상이 없는 새로운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오카리나를 상부와 하부로 2분형성하며, 상부의 취구를 하부와 분리하여 독립구조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부에 원하는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하부를 일체화하면 다양한 형태의 오카리나를 생산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구조는 도 4에 도시하며, 도 5 는 오카리나 하부보디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하부보디의 평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오카리나 하부보디의 평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AA선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평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AA선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정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우측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단면처리한 하부보디의 우측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오카리나의 하부보디(A)는 연주자가 직접 입을 대고 연주를 위한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吹口), 취구로 주입된 공기를 유도하여 소리구멍으로 유도하는 기도(氣道), 기도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를 배출하는 소리구멍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한 하부보디와 상부보디를 일체로 구성하여 내부공간부로 공명부를 구성하며, 상부보디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운지공들에 의하여 음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카리나에 있어서,
기도(101)의 배출단부(101b)가 소리구멍(110)의 내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한 기도가 소리구멍의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하여 기도를 통과한 공기가 소리구멍의 외주면의 상측절곡부(110c)에 접하면서 갈라져 외부로 방출토록 하부보디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기도는 오카리나 연주자가 호흡에 의하여 공기를 불어넣으면 공기가 흘러가는 통로이다. 이 통로는 소리구멍을 빠져 나오면서 도 8 과 도 14에 도시하듯이 소리구멍의 내주면의 외측단의 공명발생부(Re)를 따라 외측으로 방출한다. 이러한 방출현상으로 인하여 내부에서 소리가 발생한다. 상측절곡부(110c)에 부딪혀서 갈라지는데, 관내부로 유입된 기류는 와류를 형성하여 진동을 일으키면서 공진음을 발생시키며,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는 내부에서 생성된 발진음을 실어서 공명발생부(Re)를 지나 확산부(114)를 타고 외부로 방사한다. 이러한 방출현상으로 인하여 내부에서 소리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취입된 기류가 진행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류속에 포함된 수분입자가 응결하여 야기하는 결로현상을 최소화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하듯이 기도(101)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관 표면에 붙으려는 점성력으로 공기보다 무거운 수분입자를 기도 내부의 양 가장자리로 밀어내어 배출단부(101b) 까지 실어 나른다. 배출단부의 폭을 소리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기도의 가장자리로 몰린 수분입자가 소리구멍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배출단부턱(110a)으로 견인되어 확산부(114)로 옮겨져서 외부로 배출된다.
공명발생부와 기도의 상측절곡부(110c)의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켜 통과한 공기에 의한 수분응축이 발생가능한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였다. 이러한 공기접촉부의 면적최소화는 자연스럽게 공기중의 수분응축면적이 좁아져 결로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도를 빠져나간 공기는 소리구멍의 상측절곡부에 접하지만 접한 공기는 소리구멍의 내측, 즉 하부보디의 내측 공명부로 일부가 진입하고 나머지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중 소리구멍의 공명발생부(Re)에서 수분응축현상이 발생한다 하여도 그 양이 적으며, 기도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어나오는 공기의 유속에 의하여 대부분 확산부(114)에 맺힌다. 즉, 공명발생부(Re)에는 응축수가 맺히지 않게 되어 연속적인 연주시에 발생한 응축수에 의한 소리의 깨짐현상이 차단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을 보다 완벽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하듯이 기도(101)의 시작부(101a)의 폭(h)이 배출단부(101b)의 높이(h1) 보다 45 내지 55% 크게 구성하여 수분입자를 더욱 강하게 가장자리로 밀어내도록 유도하였다. 수분입자의 소리구멍(110)내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배출단부턱(110a)의 끝자락이 소리구멍의 최대내경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하여, 가장 최적의 소리발생이 가능하며 특히 연주자의 호흡에 의하여 발생한 수분의 응축수발생이 최소화함을 발견하였다.
기도를 관통한 공기가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면서 좁은 기도를 탈출한 공기의 유속이 가속되어 통과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45% 내지 55%의 범위를 벗어나면 급속한 공기팽창으로 응축현상이 가속화되거나 소리의 찌그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기도의 배출단부에서 소리구멍(110)에 노출되는 길이(d1)가 소리구멍 전체의 폭(d)의 40 내지 60%로 하였다. 본 발명은 공명발생부와 기도의 배출단부(101b)의 사이의 거리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시험한 결과 소리구멍의 폭의 40%보다 작게 되면 기도를 통과한 공기가 소리구멍의 외주면 내측에 접할 시간이 많게 되므로 응축수의 발생가능성이 많게 된다. 그 결과 발생된 응축수가 공명발생부(Re)에 맺혀 소리의 찌그러짐이 발생한다. 반대로 60% 보다 크게 되면 기도를 통과한 공기가 공명발생부에 너무 단시간에 접하면서 충분한 공명의 발생이 되지 않아 원하는 소리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6에 도시하듯이 소리구멍(110)의 외측으로 소리구멍의 횡경(L1)보다 2.5 내지 4 배의 폭을 갖는 확산부(114)를 설치하여, 배출단부를 빠져나온 기류가 확산부(114)를 통과하면서 비행기의 낼개효과와 같은 가속을 얻도록 하였다. 이로써 기류에 포함된 수분입자를 견인하는 힘이 공명발생부(Re)에 작용하여 외부로의 발산을 촉진시키게 된다. 소리구멍을 빠져나온 공기가 이곳을 통하여 급속하게 확산하면서 순간적인 저기압으로 인하여 내부에 머물러 있던 공기중의 수분이 확산하여 응축이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부는 도 6에 도시하듯이 확산각도를 45 내지 50도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확산각도는 45도보다 적게 할 경우 충분한 확산이 되지 못하여 목적한 공기확산을 이루기 어려우며 그결과 공기중의 수분응축이 쉽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50도보다 크게 하면 너무 확산이 퍼지면서 발생된 소리가 좋지 않으며, 특히 공기가 크게 확산되면서 충분한 유속을 얻지 못하므로 이곳에 부분적으로 맺히는 응축수의 배출도 어렵게 한다.
또한 상기한 확산부는 하부보디의 외측단부(115)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배출단부턱(110a)을 도 8과 도 9에 도시하듯이 형성하여 소리구멍을 통과한 공기의 부분적인 역류도 근본적으로 차단하였다. 배출단부턱은 도 13에 도시하듯이 공명발생부(Re)만이 아니라, 기도를 빠져나온 공기중 일부가 역으로 회전하면서 소리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공기중의 수분이 충분히 배출되지 않으면서 소리구멍의 내주면이나 그 상부에 수분이 응축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출단부턱의 설치로 역류하는 공기를 방지하여 응축수의 발생억제 효과를 거두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연주시의 기도를 통과한 연주자의 호흡에 의한 공기는 도 13에 도시하듯이 기도를 빠져나와 소리구멍을 통과한다. 이때 일부는 내부 공명부로 진입하고 일부는 화살표에 굵게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대부분이 정면을 향하여 배출되며, 일부는 가는 화살표에 도시하듯이 일부가 역류한다. 이러한 역류는 배출단부턱(110a)에 의하여 도시하듯이 앞으로 유도하여 준다. 따라서 배출단부턱에 의하여 유도한 공기는 공명발생부(Re)에 접하지 않고 외부 배출되므로 발생가능한 응축수의 발생을 없애준다.
101:기도 101b:배출단부 110:소리구멍 110a: 배출단부턱 110c:상측절곡부 114:확산부

Claims (5)

  1. 연주자가 연주를 위한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吹口), 취구로 주입된 공기를 유도하는 기도(氣道), 기도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를 배출하는 소리구멍으로 구성되는 하부보디, 상기한 하부보디와 일체로 된 내부공간부로 공명부를 구성하며,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운지공들에 의하여 음계를 조절할 수 있는 상부보디로 구성된 합성수지재질의 오카리나에 있어서,
    기도(101)의 배출단부(101b)가 소리구멍(110)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하며, 배출단부턱(110a)의 끝자락이 소리구멍의 최대내경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하고, 배출공 전체의 폭(d)의 40 내지 60%로 형성하는 동시에 기도(101)의 시작부(101a)의 높이(h)가 배출단부(101b)의 높이(h1) 보다 45 내지 55% 크게 형성하며,
    상기 소리구멍(110)의 외측으로 소리구멍의 폭(L1)보다 2.5 내지 4 배의 폭과 확산각도(B)가 45 내지 50도를 갖는 확산부(114)를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부는 하부보디의 외측단부(115)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배출단부턱(110a)를 형성하여 소리구멍을 통과한 공기를 확산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95871A 2012-08-30 2012-08-30 오카리나 KR10143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71A KR101430812B1 (ko) 2012-08-30 2012-08-30 오카리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71A KR101430812B1 (ko) 2012-08-30 2012-08-30 오카리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95A KR20140030495A (ko) 2014-03-12
KR101430812B1 true KR101430812B1 (ko) 2014-08-18

Family

ID=5064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871A KR101430812B1 (ko) 2012-08-30 2012-08-30 오카리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00B1 (ko) * 2018-09-08 2020-02-24 이상진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58A (ja) * 1992-06-27 1994-01-21 Mino Nendo Kk 陶製オカリナ
JP2001215955A (ja) * 2000-01-31 2001-08-10 Mino Nendo Kk オカリナ
KR20020046262A (ko) * 2002-05-20 2002-06-20 이호준 오카리나 악기
KR20080041515A (ko) * 2006-11-07 2008-05-13 이일용 티자형 오카리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58A (ja) * 1992-06-27 1994-01-21 Mino Nendo Kk 陶製オカリナ
JP2001215955A (ja) * 2000-01-31 2001-08-10 Mino Nendo Kk オカリナ
KR20020046262A (ko) * 2002-05-20 2002-06-20 이호준 오카리나 악기
KR20080041515A (ko) * 2006-11-07 2008-05-13 이일용 티자형 오카리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00B1 (ko) * 2018-09-08 2020-02-24 이상진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95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670A (en) Whistle
KR101430812B1 (ko) 오카리나
JPS6077774A (ja) 球技用ラケツト
CN108140367A (zh) 管乐器
KR101656645B1 (ko)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KR100620892B1 (ko) 오카리나
JP6701759B2 (ja) 木管楽器用リード
US4116108A (en) Musical tube
US2754714A (en) Pipe harmonica
KR200390550Y1 (ko) 오카리나
KR101812481B1 (ko)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KR100717357B1 (ko) 합성수지재용 오카리나
US7811020B2 (en) Writing instrument
JP2021179540A (ja) 吹き口装着型管楽器用消音器
KR102507438B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TWI571289B (zh) Can be sounded frisbee
KR101169605B1 (ko) 피페
KR200180668Y1 (ko) 민속악 단소
KR200330872Y1 (ko) 단소
JP6959810B2 (ja) リコーダー
US11568839B2 (en) Performance support device and air reed instrument
KR200330873Y1 (ko) 플루트
KR102067532B1 (ko) 관악기
KR200275661Y1 (ko) 오카리나
KR200285835Y1 (ko) 플라스틱 오카리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