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605B1 - 피페 - Google Patents

피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605B1
KR101169605B1 KR1020050047028A KR20050047028A KR101169605B1 KR 101169605 B1 KR101169605 B1 KR 101169605B1 KR 1020050047028 A KR1020050047028 A KR 1020050047028A KR 20050047028 A KR20050047028 A KR 20050047028A KR 101169605 B1 KR101169605 B1 KR 10116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way
shielding plate
flu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155A (ko
Inventor
양강석
Original Assignee
양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강석 filed Critical 양강석
Priority to KR102005004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6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마 플루트(flute) 또는 가로 피리라고도 불리는 대표적인 교육용 악기인 피페(fif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부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바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폐하기 위해 형성되어 그 전방측 내부에 공기저장통부를 형성하게 되는 차폐판과, 관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차폐판의 미세 개구된 부분에 연통되는 일정길이의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차폐판의 자유단측에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판과, 상기 기도가 끝나는 부분의 상기 관의 외주면상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도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라비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쉽게 소리가 형성되므로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그 이용 확대를 꾀할 수 있고, 풍부한 음량과 다양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어 연주자가 그 음악적 표현을 자유스럽게 할 수 있으며 연주용으로도 손색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50047028
피페, 플루트, 피리, 관악기, 교육용, 악기

Description

피페{FIFE}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피페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피페에 대한 투시도,
도 3은 종래의 피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페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페의 요부에 대한 다른 측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윗관 12, 102 : 마우스피스부
14, 104 : 뚜껑 16, 106 : 막음판
20, 200 : 본관 22, 202 : 톤홀
108 : 차폐판 110 : 공기저장통부(울림통부)
112 : 안내판 114 : 기도
116 : 라비움 116a : 유출면
본 발명은 관악기인 피페(fif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쉽게 소 리를 형성할 수 있고, 음량이 크며, 음색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피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루트(flute)의 원조격인 피페(fife)(일명, 꼬마 플루트 또는 가로 피리)는 플루트와 동일한 형태 및 연주법을 가지고 있으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가격도 저렴하여 교육용 악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피페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그 투시도이며, 도 3은 그 단면도이다.
피페는 전체적으로 일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도면상, 좌측단)이 뚜껑(14)에 의해 막히고 그 외주면상에는 연주자가 입술을 대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취공이 형성된 마우스피스(mouth piece)부(12)가 구비되어 소리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윗관(head joint)(10)과, 그 일단이 윗관(10)의 타단(도면상, 우측단)에 탈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주면상에는 다수개의 톤홀(tone hole)(22)이 형성되어 있어 음정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본관(body joint)(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윗관(10)의 뚜껑(14)은 윗관(10)의 일단을 폐쇄하도록 부착 고정되며, 내부적으로 뚜껑(14)측의 마우스피스부(12) 옆에는 막음판(16)이 형성되어 있어 막혀져 있고, 마우스피스부(12)는 그 외형이 연주자의 입술에 맞으면서 적절하게 소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윗관(10)의 타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조금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해당하는 그 내측면은 본관(20)의 우측단이 형합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 으며, 해당 내측면의 끝 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본관(20)의 우측단이 걸릴 때까지 끼워져 결합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관(20)은 그 양측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음정을 변화시켜 주는 구멍인 다수개의 톤홀(22)중 왼손 엄지손가락용인 썸홀(thumb hole)은 후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그 재질은 대부분이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사출성형 등을 통해 제조되게 되며, 여기서는 윗관(10)과 본관(20)이 상호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나 일체형으로 된 것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연주자가 피페를 우측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마우스피스부(12)에 그 입술을 대고 취공을 통해 공기를 관속으로 불어 넣으면서 손가락으로 톤홀(2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음정을 변화시키면서 연주를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연주자는 마우스피스부(12)의 상하방향으로 일부 공기가 갈라지도록 불어넣어 줌으로써 공기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마우스피스부(12)에 마찰되어 진동되게 됨으로써 소리가 만들어지도록 하게 된다.
즉, 피페는 연주자가 직접 소리를 만들어 주면서 연주해야 하는 악기로서, 소리내기가 다소 어려워, 초보자에게 관악기는 어렵다는 선입관을 갖게 하고, 쉽게 싫증을 내게 만듦으로써, 그 이용 확대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주자가 입술의 미세한 변화를 능숙하게 주어야만 음량과 음색의 표현이 가능하고, 마우스피스부(12)를 통해 공기를 불어 넣으면 해당 공기가 관 내부를 통해 그대로 흘러가게 되어 내부에서의 진동에 따른 울림이 적어 음량이 매우 낮게 되고 음색도 단순하게 표현되게 되므로, 낮은 음량에 따라 오케스트라 등에서 연주용으로 이용될 수 없고, 단순한 음색에 따라 연주자가 음악적인 감성적 표현을 풍부하게 할 수 없어 더더욱 연주용으로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쉽게 소리를 형성할 수 있고, 풍부한 음량과 다양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는 피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페는, 마우스피스부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바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폐하기 위해 형성되어 그 전방측 내부에 공기저장통부를 형성하게 되는 차폐판과, 관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차폐판의 미세 개구된 부분에 연통되는 일정길이의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차폐판의 자유단측에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판과, 상기 기도가 끝나는 부분의 상기 관의 외주면상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도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라비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그 요부에 대한 다른 측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페는 소리를 쉽게 형성하면서 높은 음량과 다양한 음색을 표현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공기저장통부(울림통부)와, 이 공기저장통부로부터 압력에 밀려서 빠져 나온 공기가 빠른 유속으로 흐르게 되는 좁은 통로인 기도(windway)와, 기도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 떨청인 라비움(labium)을 구비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윗관(100)과 본관(20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본관(200)은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윗관(100)은 종래와 동일하게 그 좌측단이 뚜껑(104)에 의해 폐쇄되며, 내부적으로 막음판(10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상에는 취공이 형성된 마우스피스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막음판(106) 반대측의 마우스피스부(102)의 이격된 옆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차폐판(108)이 형성되어 마우스피스부(102)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차폐되도록 하여 그 전방측에 공기가 모여지는 공기저장통부(울림통부)(11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차폐판(108)은 윗관(100)의 내측면에 대한 그 일부가 미세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그 개구된 미세 부분을 통해 공기저장통부(110)로부터 공기가 빠져 나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저장통부(110)에 저장되었던 공기가 차폐판(108)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빠져 나간 후, 소정길이의 미세한 공기통로를 통해 안내되면서 빠른 유속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차폐판(108)의 자유단측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 도록 안내판(112)이 형성되게 되며, 즉 안내판(112)은 윗관(100)의 내측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형성되게 되고,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108)을 기준으로 마우스피스부(102)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안내판(112)이 형성됨에 따라 안내판(112)과 윗관(100) 내측면 사이를 통해 바람길인 기도(114)가 형성되게 된다.
나아가, 기도(114)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윗관(100)의 외주면상에는 관통공인 라비움(116)이 형성되되, 외부로 공기가 원활히 빠져 나가면서 적절하게 마찰되도록 하기 위해 완만하게 테이퍼(tape)진 유출면(116a)을 그 일측에 구비하도록 형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기도(114)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는 라비움(116)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고, 일부는 관 내부를 통해 계속적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로써,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부(102)를 통해 단순히 공기를 불어 넣으면, 주입된 공기가 공기저장통부(110)에 우선 저장되었다가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에 밀려서 기도(114)를 통해 빠른 유속으로 빠져 나가게 되며, 기도(114)를 통해 빠르게 흐른 공기는 기도(114) 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라비움(116)을 통해 일부는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라비움(116)의 테이퍼진 유출면(116a)과의 마찰에 의한 진동으로 소리를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주자가 소리를 만드는 것이 아니고 라비움(116)을 통해 자연스럽게 소리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연주가 매우 용이하게 되고, 빠른 유속에 의해 형성되는 소리의 음량도 매우 커지게 된다.
또한, 공기저장통부(110)에 공기가 모아져 내부에서 충분히 진동되게 되므로, 다양하면서 풍부한 음색을 표현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연주자가 소리를 만들면서 불어줄 필요가 없이 편하게 공기를 불어 넣어 주기만 하면 되므로, 그 연주가 매우 쉬워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음량이 큰 점과 더불어 다양한 음색의 표현이 가능한 점으로부터 연주자의 풍부한 감성적인 표현이 가능할 수 있어 연주용으로도 손색없이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의하면, 윗관(100) 내부에 차폐판(108), 안내판(112)이 형성됨에 따라 윗관(100)의 구조가 복잡해져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는 윗관(100)을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없게 되므로, 그 제조가 가능하도록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부분(100a, 100b)으로 나누어져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조인트되는 위치는 마우스피스부(102)를 기준으로 좌우측 어느 측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쉽게 소리가 형성되므로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그 이용 확대를 꾀할 수 있고, 풍부한 음량과 다양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어 연주자가 그 음악적 표현을 자유스럽게 할 수 있으며 연주용으로도 손색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

  1. 마우스피스부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바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폐하기 위해 형성되어 그 전방측 내부에 공기저장통부를 형성하게 되는 차폐판과,
    관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차폐판의 미세 개구된 부분에 연통되는 일정길이의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차폐판의 자유단측에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판과,
    상기 기도가 끝나는 부분의 상기 관의 외주면상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도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라비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비움은,
    외부로 공기가 원활히 빠져 나가면서 적절하게 마찰되도록 하기 위해 완만하게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유출면을 일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페.
KR1020050047028A 2005-06-02 2005-06-02 피페 KR10116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28A KR101169605B1 (ko) 2005-06-02 2005-06-02 피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28A KR101169605B1 (ko) 2005-06-02 2005-06-02 피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801U Division KR200399697Y1 (ko) 2005-06-02 2005-06-02 피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155A KR20060125155A (ko) 2006-12-06
KR101169605B1 true KR101169605B1 (ko) 2012-08-03

Family

ID=3772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028A KR101169605B1 (ko) 2005-06-02 2005-06-02 피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06A1 (ko) * 2020-04-02 2021-10-07 공명국 취구와 리드부가 형성된 관악기의 헤드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관악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64A (ja) 1999-11-11 2001-05-25 Jinbo Seisakusho:Kk
KR200330872Y1 (ko) 2003-08-05 2003-10-22 전홍찬 단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64A (ja) 1999-11-11 2001-05-25 Jinbo Seisakusho:Kk
KR200330872Y1 (ko) 2003-08-05 2003-10-22 전홍찬 단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06A1 (ko) * 2020-04-02 2021-10-07 공명국 취구와 리드부가 형성된 관악기의 헤드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관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155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2667B (zh) 調整吹氣壓力的減音裝置及其轉接器、以及吹奏樂器
US4041827A (en) Tone enhancing device for reed type musical instruments
KR101169605B1 (ko) 피페
KR200399697Y1 (ko) 피페
KR101405991B1 (ko)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JPH05507365A (ja) スピーカ・ベント
KR100620892B1 (ko) 오카리나
US4422364A (en) Fipple type headjoint assembly for use with existing transverse flutes
JP2021179540A (ja) 吹き口装着型管楽器用消音器
WO2021035567A1 (en) A mouthpiece for use with a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20121600A (ko) 관악기
KR20180003648U (ko) 관악기
KR200330872Y1 (ko) 단소
Dodge et al. The acoustics of three Maori flutes
CN213303621U (zh) 一辅助工具及木管乐器
KR102181661B1 (ko)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KR102507438B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KR20090077505A (ko) 리코더
CN218069328U (zh) 一种便携式卡祖笛
CA1153915A (en) Fipple type headjoint assembly for use with existing transverse flute
KR102067532B1 (ko) 관악기
US5375498A (en) Recorder
CN209843230U (zh) 集声高音笛身和竖笛
CN106251839A (zh) 一种内锥管式管乐器
US20210201859A1 (en) Performance Support Device and Air Re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