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488A -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 Google Patents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488A
KR20190118488A KR1020180114391A KR20180114391A KR20190118488A KR 20190118488 A KR20190118488 A KR 20190118488A KR 1020180114391 A KR1020180114391 A KR 1020180114391A KR 20180114391 A KR20180114391 A KR 20180114391A KR 20190118488 A KR20190118488 A KR 2019011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d
diameter
instrument
articulation device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4995B1 (ko
Inventor
우광혁
Original Assignee
우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혁 filed Critical 우광혁
Priority to PCT/KR2019/0041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99000A1/ko
Publication of KR2019011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명 조음 장치는 일 축으로 긴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풍공; 풍공과 장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취구; 풍공의 취구 쪽 내측 벽에 형성되어, 풍공과 연결되는 송풍구; 및 풍공의 취구 대향측으로 경사진 유도 사면으로 이루어진 분풍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기명 조음 장치가 기둥 또는 뿔대의 형태를 가진 몸체에 연결되어 기명 악기를 이룬다.

Description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Wind-articulation apparatus and aero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음을 만들어 내는 조음 장치와 이를 장착하여 음을 연주할 수 있는 기명 악기에 관한 것이다.
기명 악기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공기의 울림에 따라서 음을 내는 악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가장 간단한 예로서는 손 피리나 오카리나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10-1509352호는 오카리나의 공기 주입부를 모듈화하여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하여 오카리나 본체와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 10-1509352호의 공기 주입부는 이러한 공기 주입부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오카리나 본체와 분리되거나 조립되는 것일 뿐, 다른 몸체에 연결되기는 어렵다.
또한, 이러한 오카리나는 음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연주가 어렵고 연주자에 따른 조바꿈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명 악기는 연주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 연주하기가 불편하고, 음역이 상대적으로 좁은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바꿈이 용이하고 쉽게 소망하는 음을 낼 수 있는 기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음 장치의 취구를 돌출시켜 연주자가 용이하게 음을 만들어낼 수 있는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명 조음 장치를 모듈화하여 사용자가 이를 사용하여 기명 악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음 장치의 취구 또는 이와 연결되는 교체관을 교환할 수 있는 기명 조음 장치와 기명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주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도 연주하기 편리하고, 음역이 상대적으로 넓은 기명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는 일 축으로 긴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풍공; 풍공과 장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취구; 풍공의 취구 쪽 내측 벽에 형성되어, 풍공과 연결되는 송풍구; 풍공의 취구 대향측으로 경사진 유도 사면으로 이루어진 분풍부로 이루어진다.
돌출 형성된 취구는 기명 조음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장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구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장축 상의 길이가 단축 상의 폭의 4~5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명 조음 장치는 취구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끼워지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교체관을 포함할 수 있고, 교체관은 그 길이 중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취구의 외주면이 경사면이거나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교체관의 다양한 직경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명 조음 장치는 하부에 옆쪽으로 연장되는 고정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는 기명 악기는 상기한 기명 조음 장치와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밑면; 및 상기 밑면과 연결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옆면을 포함하는 기둥, 뿔대, 및 옆면이 적어도 오목부를 가지는 절구 또는 항아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밑면과 대향하는 측은 개방되어 있고, 조음 장치는 상기 밑면 또는 상기 옆면에 연결된다.
이때, 밑면의 직경 대 옆면의 높이의 비율은 1:1.2-2.0이다.
조음 장치가 몸체의 옆면에 연결되는 경우 가로형 기명 악기이고, 취구가 몸체의 개방측으로 향하고 분풍부가 상기 몸체의 밑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몸체의 옆면에 적어도 하나의 운지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 음역을 넓힐 수 있다.
조음 장치가 밑면에 연결되는 경우 세로형 기명 악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는 기명 악기에 사용하는 몸체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밑면; 및 상기 밑면과 연결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옆면;으로 이루어지고, 옆면은 밑면과 연결되고, 최대로 큰 부분이 제2 직경을 가지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와 연결되어, 최소로 작은 부분이 제3 직경을 가지는 오목부; 오목부와 연결되고, 제4 직경을 가지는 개방된 단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직경이 제2 직경과 같은 경우 절구형 몸체가 되거나 제1 직경이 제2 직경보다 작은 항아리형 몸체가 된다. 또한, 오목부의 제3 직경은 제1 직경 및 제2 직경보다 작으며, 오목부에 연주자의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감싸서 연주하게 된다.
밑면의 제1 직경 대 옆면의 높이의 비율은 1:1.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직경이 점직적으로 작아지다가 제3 직경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상기 개방된 단부로 이어지고, 볼록부는 상기 밑면으로부터 직경이 일정할 수도 있고,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제2 직경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질수도 있다. 항아리형 몸체인 경우 제2 직경 > 제1 직경 ≥ 제4 직경 > 제3 직경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는 연주 시 조바꿈이 용이하고, 누구든지 취구를 불기만 하면 쉽게 소리를 내고 소망하는 음을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연주가 용이하고, 연주자가 악보를 모르더라도 음을 기억하고 있으면 연주를 할 수 있어서 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연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음 장치의 취구를 돌출시키고, 이에 교환 가능한 교체관 등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악기의 경우 악기 자체를 입에 붙여서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악기 본체와 일정 거리를 띄우고 연주할 수 있어서 연주가 용이하다. 또한, 취구가 침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에 대하여, 교체관을 교환하기만 하면 되므로 항상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명 조음 장치는 모듈화되기 때문에 적당한 원통형 몸체를 사용하여 기명 악기를 만들 수 있고, 음료수 병이나 각종 뚜껑 등을 재활용하여 연주자 자신만의 악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기명 악기는 연주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도 연주하기 편리하고, 음역이 넓고 음색이 풍부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를 포함하는 가로형 기명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와 몸체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를 포함하는 세로형 기명 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와 몸체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명 조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형 기명 악기의 연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형 기명 악기의 연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형 기명 악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형 기명 악기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도 16a의 세로형 기명 악기의 연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대략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그 중앙 부분에 일 축으로 긴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풍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풍공의 장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취구(110)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높이는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연주자는 돌출 형성된 취구(110)에 입을 대고 바람을 불어넣어 연주하기 때문에 연주자가 편리하게 연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한다.
송풍구(130)는 대략 장축이 단축보다 현저히 큰 타원형으로서, 장축 방향의 내벽 중 취구(110) 쪽 내측 벽에 형성되며, 이러한 송풍구(130)와 취구(110)는 서로 연결되어 바람의 통로를 형성한다. 이 때, 바람의 통로는 직각으로 꺾이게 되는데,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로 내부는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구(130)는 취구(110)보다 그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취구(110)로 들어온 바람은 송풍구(130)로 나갈 때 압축된다.
또한, 풍공의 취구의 대향측으로는 경사진 유도 사면으로 이루어진 분풍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 사면은 대략 송풍구의 높이에서, 그 두께가 가장 얇은 정점(141)을 이루게 되어, 송풍구(130)에서 나온 바람이 정점(141)의 위와 아래로 갈라지게 한다. 즉, 연주자가 취구(110)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 취구(110)와 연결된 송풍구(130)로 바람이 나와 일부는 분풍부(140)의 유도 사면을 따라 올라가고 일부는 풍공(120)의 아래로 가게 되어 소리를 만들게 된다.
성인용의 조음 장치의 경우, 송풍구(130)는 대략 그 장축 상의 길이가 7mm, 단축 상의 폭이 1.5mm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축 상의 길이가 단축 상의 폭의 4~5배 범위이다. 풍공(120)은 장축 상의 길이가 대략 10-11mm, 단축 상의 길이가 7mm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3b 내지 도 5a-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를 이용하는 기명 악기에 대한 실시예이다. 이러한 기명 악기는 한쪽이 막힌 기둥형 또는 뿔대형의 몸체에 조음 장치(100)가 부착된 것으로서, 그 부착 위치에 따라 가로형 기명 악기와 세로형 기명 악기로 나눌 수 있다. 도 3a-3c는 가로형 기명 악기의 예시이고, 도 5a-5b는 세로형 기명 악기의 예시이다.
도 3a의 가로형 악기(300)는 조음 장치(100)와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의 몸체(310)로 이루어진다. 원기둥 형상의 몸체(310)는 밑면(312)과, 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옆면(311)으로 이루어지며, 밑면(312)에 대향하는 측의 밑면은 개방된 단부(313)로 이루어진다. 조음 장치(100)는 몸체(310)의 옆면의 가운데 부분에 연결된다. 이때 조음 장치(100)는 취구(110)가 몸체(310)의 개방 단부(313)로 향하고 분풍부(140)가 몸체(310)의 밑면(312) 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밑면(312) 또는 개방된 단부(313)의 직경은 연주자의 손바닥으로 가려질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할 수 있고, 밑면(312) 또는 개방된 단부(313)의 직경 대 옆면의 높이의 비율은 1:1.2-2.0이며, 바람직하게는 1.5이다.
도 4에는 조음 장치(100)가 몸체(310)에 부착되는 방식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몸체(310)의 적절한 곳에 조음 장치(100)의 윤곽에 해당하는 구멍(319)이 천공되어 있어서, 조음 장치(100)가 구멍이 끼워져서 조립되며, 이 때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음 장치(100)나 옆면(311)에 홈 등의 적절한 고정부를 형성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3b의 가로형 악기(300)는 조음 장치(100)와 속이 빈 육각 기둥 형태의 몸체(320)로 이루어진 예시이다. 즉, 육각 기둥 형태의 몸체(320)는 밑면(322)과, 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옆면(321)으로 이루어지며, 밑면(322)에 대향하는 측의 밑면은 개방된 단부(323)로 이루어진다. 조음 장치(100)는 몸체(320)의 옆면의 가운데 부분에 연결된다. 도 3b에는 육각 기둥 형태의 몸체를 예시하고 있으나, 몸체는 육각 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각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는 기둥형태뿐 아니라 뿔대의 형태도 가능하여, 원뿔대나 다각뿔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c의 가로형 악기는 조음 장치(100)와 속이 빈 원기둥 형태의 몸체(330)로 이루어지되, 원기둥 형태의 몸체(330)에 운지 구멍(334, 335, 336)이 형성되어 있는 예시이다. 원기둥의 몸체는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밑면(332), 옆면(331) 및 개방된 단부(333)로 이루어지고, 옆면(331)에 운지 구멍(334, 335, 336)을 형성하여 기명 악기가 낼 수 있는 음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역의 확장은 운지 구멍의 개수에 대응하며, 필요에 따라 1-4개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지 구멍이 3개인 경우 3도 확장할 수 있다.
도 5a의 세로형 악기(200)는 조음 장치(100)와, 속이 빈 원뿔대 형상의 몸체(210)로 이루어진다. 세로형 악기(200)는 기둥 또는 뿔대의 밑면에 조음 장치가 연결되는 형태이다. 원뿔대 형상의 몸체(210)는 조음 장치(100)와 연결되는 원형의 밑면(212)과, 이에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옆면(211)을 가지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밑면(212)에 대향하는 측의 밑면은 개방된 단부(213)로 이루어진다. 세로형 악기(200)의 경우 밑면(212)이 작게 형성되는 경우, 조음 장치(100)는 밑면의 일부에 걸쳐지도록 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세로형 악기(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주자의 두 손으로 감쌀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의 크기가 연주자의 손 크기에 제한되며, 가로형 악기보다는 작게 된다. 성인용의 경우, 대략 밑면의 직경이 38mm일 때 옆면의 높이는 50-70mm 범위이고, 개방 단부(213)의 직경은 40mm 정도이다. 바람직한 밑면의 직경 대 옆면의 높이의 비율은 1:1.2-2.0이다. 동일한 밑면의 직경을 가지는 경우 옆면의 높이가 크면 음역이 넓어진다.
도 5a에는 원뿔대 형태의 몸체를 예시하고 있으나, 몸체는 원뿔대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각뿔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b의 세로형 악기(200)는 조음 장치(100)와 원기둥 형상의 몸체(220)로 이루어진다. 원기둥 형상의 몸체(220)는 조음 장치(100)와 연결되는 원형의 밑면(222)과, 이와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옆면(221)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하부의 밑면은 개방된 단부(223)로 이루어진다. 도 5b에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를 예시하고 있으나, 몸체는 원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a-15b 및 도 16a-16b는 세로형 기명 악기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세로형 기명 악기는 파지용 오목부가 형성된 절구 형상의 몸체와 굽이 있는 항아리 형상의 몸체를 사용하는 예시이다.
먼저, 도 15a 및 15b의 세로형 악기(201)는 조음 장치(100)와 절구 형상의 몸체(230)로 이루어진다. 세로형 악기(201)는 절구 형상의 몸체(230)의 밑면(232)에 조음 장치가 연결되는 형태이다. 절구 형상의 몸체(230)는 조음 장치(100)와 연결되는 원형의 밑면(232)과, 이에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옆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밑면(212)에 대향하는 측의 밑면은 개방된 단부(233)로 이루어진다.
도 15a에는 세로형 악기(201)의 조음 장치(100)가 밑면(232) 상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밑면(232)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음 장치(100)의 일부만이 밑면(232)에 걸쳐지도록 몸체(2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절구형 세로형 악기(201)의 몸체(230)의 옆면(231)은 밑면(232)으로부터 연결되는 원통면(234)과, 원통면(234)로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소정의 최소 직경(d3)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는 오목부(235)와, 오목부(235)와 연결되는 개방된 단부(2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오목부(235)의 최소 직경(d3) < 밀면(232)의 직경(d1) 이다. 절구형 세로형 악기(201)의 경우, 밑면(231)의 직경(d1)은 35-45mm 사이, 높이는 45-65mm, 최소 직경(d3)은 25-35mm, 개방된 단부(243)의 직경(d4)은 30-40mm 범위이다.
오목부(235)는 어린이나 여성과 같이 손이 작은 연주자가 기명 악기(201)를 잡기에 용이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개방된 단부(233)의 직경(d4)이 최소 직경(d3)보다 커짐으로써 연주자의 손가락이 오목부(235)에 걸리기 쉽게 되어 연주가 용이해진다. 더욱이, 몸체(230)의 하단부에 오목부(235)를 형성함으로써 몸체 상단부에서 발생한 소리가 일정 정도 고이게 하여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까지 하게 됨으로써 기둥형 또는 뿔대형 몸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세로형 악기(202)는 몸체를 오목부가 형성된 항아리형으로 형성하여 음역을 더 넓게 할 수 있다.
도 16a의 세로형 악기(202)는 조음 장치(100)와 항아리 형상의 몸체(240)로 이루어지며, 조음 장치(100)가 항아리 형상의 몸체(240)의 밑면(242)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항아리 형상의 몸체(240)는 조음 장치(100)와 연결되는 원형의 밑면(242)과, 이에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항아리형 옆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밑면(212)에 대향하는 측의 밑면은 개방된 단부(243)로 이루어진다.
도 16a에는 세로형 악기(202)의 조음 장치(100)가 밑면(242) 상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밑면(242)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음 장치(100)의 일부만이 밑면(242)에 걸쳐지도록 몸체(24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세로형 악기(202)의 몸체(240)의 옆면은 밑면(242)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최대 직경(d2)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볼록부(244)와, 볼록부(244)와 연결되어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최소 직경(d3)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다시 커지는 오목부(245)와, 오목부(245)와 연결되는 개방된 단부(243)로 이루어진다.
즉, 최소 직경(d3) < 개방된 단부(243)의 직경(d4) ≤ 밀면(242)의 직경(d1) < 최대 직경(d2)의 관계가 된다. 항아리형 세로형 악기(202)의 경우, 밑면(242)의 직경(d1)은 35-45mm 사이, 높이는 45-55mm, 최대 직경(d2)은 40-50mm, 최소 직경(d3)은 25-35mm, 개방된 단부(243)의 직경(d4)은 30-45mm 범위이다.
볼록부(244)를 형성하는 것은 몸체 내부의 공간이 클수록 더 낮은 음이 날 수 있어서 음역대를 넓힐 수 있다. 즉, 도 15a-15b의 절구형 몸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201)에 비하여 도 16a-16b의 기명 악기는 동일한 밑면의 직경을 가지고도 몸체 내부의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음역대가 더 넓어진다. 또한, 손이 작은 연주자가 쉽게 기명 악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부(245)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볼록부(244)를 형성하여 몸체 내부의 공간을 확장하면서, 볼록부(244)와 연결된 오목부(245)를 형성하여 손이 작은 어린이나 여성도 몸체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즉, 볼록부(244)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몸체 내부의 공간은 커지면서도, 오목부(245)가 연주자의 손이 파지하기에 적당한 최소 직경(d3)까지 축소됨으로써, 연주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개방된 단부(243)의 직경 역시 오목부(245)의 최소 직경(d3)보다는 커짐으로써 오목부(245)에 연주자의 손이 걸리기 쉽게 됨으로써 연주자의 손이 미끄러질 염려 없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몸체 내부의 공간이 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몸체(230)의 하단부에 오목부(245)를 형성함으로써 몸체 상단부인 볼록부(244)에서 발생한 소리가 일정 정도 고이게 하여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까지 하게 되어 음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풍공(120), 취구(110), 송풍구(130) 및 분풍부(140)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하단에 고정판(150)이 부착되어 있다. 고정판(150)은 탄성을 가지는 얇은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풍공(120)에 해당하는 부분이 역시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조음 장치(100)는 고정판(150)이 형성되어 기명 악기용 몸체에 부착할 때 편리하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를 원통형 몸체(310)의 옆면(311)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4에서 원통형 몸체(310)의 옆면(311)에 부착하기 위해서 조음 장치(100)의 윤곽에 해당하는 개구를 형성하여야 하나, 도 8에서는 고정판(15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319')를 형성한 후, 고정판(150)을 개구(319')가 덮이도록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옆면(311)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판(150)이 있는 경우는 사용자가 조음 장치(100)를 다양한 몸체에 부착시키기가 편리하다. 예를 들어, 몸체(310)를 플라스틱 재질로 된 다양한 음료수 병이나 뚜껑 등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50)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정되는 옆면(311)이 평면이거나 곡면이거나에 관계없이 이에 맞추어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풍공(120), 취구(110), 송풍구(130) 및 분풍부(140)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취구(110)에 교체관(160)이 더 장착되는 것이다. 도 9에서는 교체관(160)이 취구(1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취구(11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교체관(1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관으로서 취구(110)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교체관(160)은 양측 원통부(161, 163) 사이에 주름부(162)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교체관(160)은 상용적으로 판매하는 일자형 빨대 또는 주름형 빨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관(160)을 사용하는 경우, 교체관(160)의 길이에 따라서 취구의 높이가 연장되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명 악기를 편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침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경우 자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름부가 있는 교체관의 경우에는 연주자의 편의에 의하여 그 각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도 10a-10b와 도 11a-1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제5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제5 실시예는 직경이 서로 다른 교체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예이다.
도 10a-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풍공(120), 취구(110'), 송풍구(130) 및 분풍부(140)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취구(110')의 외면이 계단형으로 그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도 10a는 직경이 작은 교체관을 취구(110')에 끼운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0b는 직경이 큰 교체관을 취구(110')에 끼운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취구(110')의 외면이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관(160)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6mm의 빨대와 10mm의 빨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연주자는 두 빨대를 모두 그 직경에 맞는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a-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풍공(120), 취구(110"), 송풍구(130) 및 분풍부(140)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취구(110')의 외면이 점진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1a는 직경이 작은 교체관을 취구(110")에 끼운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1b는 직경이 큰 교체관을 취구(110")에 끼운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취구(110")의 외면이 점진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교체관(16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풍공(120), 송풍구(130) 및 분풍부(140)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취구(111)가 제1 실시예와 같이 조음 장치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음 장치에 형성된 원통형 홈(112)에 장착되는 점이 다르다. 즉, 조음 장치(100)의 취구가 형성될 위치에 원통형 홈(112)이 형성되고 이러한 원통의 홈(112)에 취구(111)가 끼워져 장착된다. 이때 취구(111)는 원통형 관이거나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교체관, 특히 주름부가 형성된 교체관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a-13c, 도 14a-14c 및 도 17a-도 17f를 참조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포함하는 기명 악기의 연주 방법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a-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포함하는 가로형 기명 악기(300)의 연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주자는 한 손(410)으로 가로형 기명 악기(300)의 밑면 쪽을 쥐게 되고 다른 손(420)으로는 개방 단부를 막게 된다.
연주자가 취구(110, 110', 110", 111) 또는 교체관(160)을 통하여 바람을 불어넣으면 취구에 연결된 송풍구(130)로 바람이 압축되어 나가게 되고 분풍부(140)의 정점(141)에서 위와 아래로 갈라지게 된다. 따라서 일부의 바람은 분풍부(140)의 유도 사면을 따라 위로 올라가고, 일부의 바람은 풍공(120) 아래의 몸체(310)로 들어가게 된다.
몸체(310)로 향한 바람은 기명 악기의 몸체(310) 내에서 울리게 되며 이때 연주자의 손(420)이 몸체(310)의 개방 단부를 막는 정도에 따라서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된다. 도 13a는 연주자의 손(420)이 개방 단부를 모두 막은 상태이고 도 13b는 연주자의 손(420)이 개방 단부를 개방한 상태이며 도 13c는 도 13b보다 더 개방한 상태이다. 이때 도 13a의 상태가 가장 낮은 음이 되며 개방 단부가 많이 개방될수록 높은 음이 나온다. 또한, 기명 악기(300)에 도 3c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운지 구멍(335, 334, 336)이 형성된 경우, 개방 단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운지 구멍을 하나씩 열어서 더욱 높은 음을 낼 수도 있다.
도 14a-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를 포함하는 세로형 기명 악기(200)의 연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주자는 한 손(420)으로 세로형 기명 악기(200)의 옆면 측을 감싸게 되고, 다른 손(410)으로 나머지 옆면과 아래쪽을 감싸게 된다.
세로형 기명 악기의 경우도 가로형 기명 악기와 유사하게, 연주자가 취구(110)로 바람을 불어넣으면 일부의 바람은 분풍부(140)의 유도 사면을 따라 올라가고 일부는 풍공(120)의 아래로 향하게 되어, 기명 악기의 몸체(210) 및 양손(410, 420)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울리게 되며 이때 연주자의 손(410)이 이러한 공간을 개방하는 정도에 따라서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된다. 도 14a는 연주자의 손(410)이 상기 공간을 모두 막은 상태이고 도 14b는 연주자의 손(410)이 화살표 방향으로 열려서 약간의 개방부(400)를 형성한 상태이며, 도 14c는 도 14b보다 개방부(400)가 더 커진 상태이다. 이때 도 14a의 상태가 가장 낮은 음이 되며 개방부(400)가 거질수록 높은 음이 나온다.
도 17a-1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음 장치와 도 16a-16b의 몸체를 포함하는 세로형 기명 악기(202)의 연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주자는 한 손(420)의 엄지와 검지로 세로형 기명 악기(202)의 오목부에 걸고 나머지 손가락을 둥굴게 말아 공간을 형성하며, 다른 손(410)으로 한 손(420)이 형성한 공간의나머지 옆면과 아래쪽을 감싸게 된다.
도 14a-도 14b와 유사하게, 도 17a-17f에서도 연주자가 취구(110)로 바람을 불어넣으면 일부의 바람은 분풍부(140)의 유도 사면을 따라 올라가고 일부는 풍공(120)의 아래로 향하게 되어, 기명 악기(202)의 몸체(240) 및 양손(410, 420)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울리게 되며 이때 연주자의 양 손(410, 420)이 이러한 공간을 개방하는 정도에 따라서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된다. 도 17a는 연주자의 양 손(410, 420)이 상기 공간을 모두 막은 상태이고 도 17b는 연주자의 손(410)이 화살표 방향으로 열어서 약간의 개방부(400)를 형성한 상태이고, 도 17c는 도 17b보다 개방부(400)가 더 커진 상태이며, 도 17d는 다른 손(410)을 완전히 편 상태이다. 이후에 한 손(420)의 엄지와 검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펴게 되면, 개방부(400)가 더 커지게 되고, 도 17e는 양손(4110, 420)을 완전히 펴서 개방부(400)를 최대로 한 상태이다. 이때 도 17a의 상태가 가장 낮은 음이 되며 개방부(400)가 커질수록 높은 음이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기명 악기는 연주자가 취구에 바람을 넣을 때의 음 높이에 따라서 음역이 결정되기 때문에 연주자에 따른 조 바꿈 가능하여 연주가 쉬워진다. 즉, 누구든지 취구를 불기만 하면 쉽게 소리를 내고 소망하는 음을 낼 수 있다. 또한, 연주 시 손의 떨림에 따라 바이브레이션을 줄 수 있어서 다양한 연주 기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휘파람을 불 때와 마찬가지로 연주자가 악보를 모르더라도 음을 기억하고 있으면 연주를 할 수 있어서 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연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음 장치의 취구를 돌출시키고, 이에 교환 가능한 교체관 등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악기의 경우 악기 자체를 입에 붙여서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악기 본체와 일정 거리를 띄우고 연주할 수 있어서 연주가 용이하다. 또한, 취구가 침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에 대하여, 교체관을 교환하기만 하면 되므로 항상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명 조음 장치는 모듈화되기 때문에 적당한 원통형 몸체를 사용하여 기명 악기를 만들 수 있고, 음료수 병이나 각종 뚜껑 등을 재활용하여 연주자 자신만의 악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절구형 또는 항아리형의 몸체를 사용하는 기명 장치는 상대적으로 손이 작은 어린이나 여성이 연주하기 편리할 뿐 아니라 음역이 넓고 음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00: 기명 조음 장치
110: 취구 120: 풍공
130: 송풍구 140: 분풍부
150: 고정판 160: 교체관
200, 201, 203: 세로형 기명 악기
210, 220: 몸체 211, 221, 231, 241: 옆면
212, 222, 232, 242: 밑면 213, 223, 233, 243: 개방 단부
244: 볼록부 235, 245: 오목부
300: 가로형 기명 악기
310, 320, 330: 몸체 311, 321, 331: 옆면
312, 322, 332: 밑면 313, 323, 333: 개방 단부
334, 335, 336: 운지 구멍

Claims (22)

  1. 기명 조음 장치로서,
    일 축으로 긴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풍공;
    상기 풍공과 장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취구;
    상기 풍공의 취구 쪽 내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풍공과 연결되는 송풍구; 및
    상기 풍공의 취구 대향측으로 경사진 유도 사면으로 이루어진 분풍부
    를 포함하는 기명 조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구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끼워지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교체관;
    을 더 포함하고, 교체관은 취구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기명 조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성된 취구는 그 외주면이 경사면이거나 계단형으로 이루어진 기명 조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관은 그 길이의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기명 조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성된 취구는 상기 기명 조음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장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기명 조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기명 조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장축 상의 길이가 단축 상의 폭의 4~5배 범위인 기명 조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옆쪽으로 연장되는 고정판
    을 더 포함하는 기명 조음 장치.
  9. 기명 악기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명 조음 장치; 및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밑면; 및
    상기 밑면과 연결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옆면
    을 포함하는 기둥, 뿔대, 및 옆면이 적어도 오목부를 가지는 절구 또는 항아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밑면과 대향하는 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기명 조음 장치는 상기 밑면 또는 상기 옆면에 연결되는 기명 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명 조음 장치는 상기 옆면에 연결되는 가로형 기명 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명 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옆면에 적어도 하나의 운지 구멍이 형성되는 기명 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명 조음 장치는 상기 취구가 상기 몸체의 개방측으로 향하고 상기 분풍부가 상기 몸체의 밑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명 악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명 조음 장치는 상기 밑면에 연결되는 세로형 기명 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명 악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의 직경 대 옆면의 높이의 비율은 1:1.2-2.0인 기명 악기.
  15. 기명 악기에 사용하는 몸체로서,
    제1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밑면; 및
    상기 밑면과 연결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옆면;
    을 포함하고,
    상기 옆면은
    상기 밑면과 연결되고, 최대로 큰 부분이 제2 직경을 가지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와 연결되어, 최소로 작은 부분이 제3 직경을 가지는 오목부;
    오목부와 연결되고, 제4 직경을 가지는 개방된 단부
    를 포함하는 기명 악기용 몸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과 같거나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기명 악기용 몸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직경은 제1 직경 및 제2 직경보다 작은 기명 악기용 몸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연주자의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감싸는 기명 악기용 몸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직경이 점직적으로 작아지다가 제3 직경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상기 개방된 단부로 이어지는 기명 악기용 몸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밑면으로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제2 직경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명 악기용 몸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직경 > 제1 직경 ≥ 제4 직경 > 제3 직경
    인 기명 악기용 몸체.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의 직경 대 옆면의 높이의 비율은 1:1.2-2.0인 기명 악기용 몸체.
KR1020180114391A 2018-04-10 2018-09-21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KR10210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4153 WO2019199000A1 (ko) 2018-04-10 2019-04-08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1820 2018-04-10
KR1020180041820 2018-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88A true KR20190118488A (ko) 2019-10-18
KR102104995B1 KR102104995B1 (ko) 2020-04-27

Family

ID=6846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391A KR102104995B1 (ko) 2018-04-10 2018-09-21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9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931A (ko) * 2007-12-12 2009-06-17 유우섭 크리스탈 유리 소재의 클라리넷 배럴
KR20090077505A (ko) * 2008-01-11 2009-07-15 김계용 리코더
KR101656645B1 (ko) * 2016-05-12 2016-09-22 이상진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JP2017068109A (ja) * 2015-09-30 2017-04-06 ヤマハ株式会社 エアリード楽器およびエアリード楽器用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931A (ko) * 2007-12-12 2009-06-17 유우섭 크리스탈 유리 소재의 클라리넷 배럴
KR20090077505A (ko) * 2008-01-11 2009-07-15 김계용 리코더
JP2017068109A (ja) * 2015-09-30 2017-04-06 ヤマハ株式会社 エアリード楽器およびエアリード楽器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656645B1 (ko) * 2016-05-12 2016-09-22 이상진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995B1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0505B (zh) 铜管乐器的吹口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KR20190118488A (ko)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US8686267B2 (en) Brass instrument practice device
US6342662B1 (en) Tune changeable panpipe without harming the lips of a player
WO2008056839A1 (en) T-type ocarina
KR200448359Y1 (ko)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CN201117236Y (zh) 改良多孔巴乌
WO2019199000A1 (ko)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CN210984247U (zh) 一种三原调加嘴可变音排箫
KR100451632B1 (ko) 오카리나 악기
US3721151A (en) Teaching aid
KR101120720B1 (ko) 오카리나
CN206741919U (zh) 十二平均律魔笛
KR102504049B1 (ko) 단소
KR102507438B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KR200275588Y1 (ko) 오카리나
CN211181620U (zh) 一种带有倒圆角的平行吹孔竹笛
CN216957415U (zh) 一种双鸟哨型卡祖笛
KR102546022B1 (ko) 악기용 소음기
KR101309116B1 (ko) 관악기용 약음장치
CN210722428U (zh) 一种音域超过两个八度的埙
CN208538463U (zh) 一种便于掌握含吹咀量的葫芦丝
KR20200001931U (ko) 단소의 취구 구조
US20070157792A1 (en) Ocar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