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359Y1 -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 Google Patents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359Y1
KR200448359Y1 KR2020070019012U KR20070019012U KR200448359Y1 KR 200448359 Y1 KR200448359 Y1 KR 200448359Y1 KR 2020070019012 U KR2020070019012 U KR 2020070019012U KR 20070019012 U KR20070019012 U KR 20070019012U KR 200448359 Y1 KR200448359 Y1 KR 200448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atonic
pitch
flute
chr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214U (ko
Inventor
우광혁
Original Assignee
우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혁 filed Critical 우광혁
Priority to KR2020070019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35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팬플류트의 기능을 확대시킨 키플류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나사 형태의 조율나사를 이용하여 각 관의 음높이를 손쉽게 조절하고 모든 음조를 연주할 수 있는 조율장치를 가진 키플류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온음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온음계관; 상기 온음계관 사이에 위치하여 반음(사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 상기 온음계관과 상기 반음계관에 형성된 암나사선; 및 상기 암나사선과 결합되는 조율나사를 포함하는 피치조절 용이한 키플류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팬, 키, 플룻, 피치, 조율, 나사

Description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Key-flute having tuning screws}
본 고안은 팬플류트의 기능을 확대시킨 악기(이하 키플류트라고 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나사 형태의 조율나사를 이용하여 각 관의 음높이를 손쉽게 조절하고 모든 음조를 연주할 수 있는 조율장치를 가진 키플류트에 관한 것이다.
팬플류트는 18세기 말까지만 해도 8개의 대나무관을 연결시켜 연주하였으나, 점차 그 수가 증가해 18관 20관 22관 25관으로 늘어 현재는 30관까지 등장해 팬플류트의 음역을 더욱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음계는 7음계로 되어 있으며 각조(調)별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나 보편적으로 G장조(Em) F장조(Dm) C장조(Am)의 악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의 경우 22관 C장조(Am)의 악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팬플류트는 세계적 표준 음높이인 라(A) 440Hz에 조율되어 생산되고 있지만 연주하는 사람의 입술 모양과 실력에 따라 음높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 므로 초보자의 경우 악기를 입술에 대는 위치와 각도, 바람의 세기 등에 유의해야 하며, 초보자의 실력으로 악기의 음계를 연주해 보고 악기의 음이 틀리다고 섣불리 단정 짓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악기는 온음과 반음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쉽게 반음 소리를 낼 수 있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팬플류트는 반음계관이 없으므로 인위적으로 온음계관의 구멍을 2/3 정도 덮고 소리를 내야하는 불편함 내지 숙련된 연주기술이 요구된다. 그래서 팬플류트의 반음 연주는 무엇보다 개인적인 숙달을 필요로 한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팬플류트는 거의 모두가 C장조 스케일로 조율되어 있어 미(E), 파(F)와 시(B), 도(C) 사이가 반음관계이고 나머지는 모두 온음으로 조율되어 있다. 따라서 반음 소리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얻는다.
도 2와 도 3은 종래의 팬플류트를 이용하여 온음과 반음을 내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반음을 내는 방법은 온음계관에서 소리를 낸 후, 입술을 떼지 말고 그대로 밀착시킨 채 팬플류트만 앞쪽으로 약 45도 정도의 기울기가 되도록 민다. 그 다음 턱을 앞으로 약간 내밀어서 정면으로 바람을 불도록 한다. 이 상태는 입술이 관의 구멍을 2/3 정도 막아버린 상태가 되는데, 소리를 내보면 그 관의 원음으로부터 1/2 정도 내려간 반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바람의 세기는 온음으로 불 때보다 약하게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팬플류트가 갖고 있는 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문가가 아니면 하기 어려운 조율방법, 피아노 건반의 방향과 달라 수시로 혼동을 야기하는 음계의 진행방향, 연주곡의 음조가 바뀔 때마다 조율을 다시 하거나 아예 각 음조에 따라 조율된 팬플류트를 여러 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온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온음계관; 상기 온음계관 사이에 위치하여 반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음계관; 상기 온음계관과 상기 반음계관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선; 및 상기 암나사선과 결합되는 조율나사를 포함하는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룻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피치 조절이 가능한 키플룻은 초보자들도 음의 피치 및 조율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주곡의 음조에 따라 수시로 조율을 하거나 미리 여러 음조의 악기를 준비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피아노의 건반배열과 일치하여 혼동 없이 한 손으로 피아노를, 다른 손으로 키플류트를 든 채 1인 2중주가 가능하다.
또한, 솔페이지 교육에 있어서 두 악기 사이의 교육적 시너지효과가 높고 개인마다 다른 호흡량이나 턱, 입술구조 등에 따라 자신에 맞게 조율을 함으로써 합주 시 통일된 음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피치 조절이 가능한 키플류트 입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음계의 음을 내는 복수의 온음계관(410)이 나란히 배열되어 하나의 키플류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음계를 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사이음관(420)이 온음계관(410)으로 구성된 키플류트의 전면 또는 후 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바인더(430)에 의하여 온음계관(410)과 반음계관(420)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견고히 지지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온음계관과 반음계관은 평행하게 배열하거나 전체적으로 곡면의 형상(도 4b)으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반음계관(420)은 피아노의 검은 건반이 흰 건반 사이에 위치한 것과 유사하게 하나의 온음계관(410)과 그 이웃한 온음계관(410) 사이, 즉, 온음계관(410)과 다른 온음계관(410)이 부착되어 형성된 경계면의 전면 또는 후면(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부착된다. 단, 반음계관(420)의 취구부(442) 높이는 온음계관(410)의 취구부(441) 높이와 달리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음계관(420)이 온음계관(410)의 외측면에 부착될 경우, 반음계관(420)의 취구부(442)가 온음계관(410)의 취구부(441)의 높이보다 높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반음계관(420)이 온음계관(410) 내측면에 부착될 경우, 반음계관(420)의 취구부(442)가 온음계관(410)의 취구부(441) 높이보다 낮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온음계관과 반음계관의 취구부 높이를 달리할 경우, 종래의 팬플류트를 이용하여 반음을 내는 것과 같이 키플류트의 취구부에 입술을 대는 위치와 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어 보다 용이하게 반음을 낼 수 있다.
그리고 취구부에서 입술이 닿는 부분은 비스듬히 절단되어 있거나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어 입술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치 조절이 가능한 키플류트의 정면도이다.
키플류트를 구성하는 온음계관(410) 및 반음계관(420)을 포함하는 음향관의 소재는 대나무, 갈대 및 PVC 소재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을 이용할 경우, 다양한 색의 도료를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 음역, 테너 음역, 알토 음역 또는 소프라노 음역을 선택하여 키플류트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음향관의 수는 줄이거나 증가시켜, 개인의 취향에 따른 키플류트를 형성할 수 있다.
기존의 팬플류트는 음향관의 일단, 취구부의 맞은편이 코르크(혹은 고무)에 의하여 막혀있다. 즉, 입에서 배출된 호흡이 음향관의 내부로 들어가 다시 외부로 나오면서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음향관 내부에 위치한 코르크(혹은 고무)의 위치에 따라 해당 음향관의 음조 또는 음의 피치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팬플류트의 조율은 다른 악기와 마찬가지로 특정 음향관의 음을 다른 악기나 기구를 이용하여 설정한 다음, 이를 기준으로 다른 음향관을 조율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팬플류트를 이용하여 독주를 할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다른 악기와 협연을 할 경우에는, 조율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특히, 팬플류트의 경우, 같은 팬플류트를 사용하더라도, 연주자마다 그 소리가 다르다. 이는 팬플류트 음향의 특성이 연주자의 입 크기, 모양, 호흡량과 함께 연주 자세를 포함하는 연주 습성에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동일한 모델의 팬플류트를 가지고 합주를 할 경우에도, 각 각의 팬플류트에서 나오는 소리가 서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모든 팬플류트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각 음향관의 조율을 위하여, 스틱을 이용하여 코르크(혹은 고무)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러나 스틱을 이용할 경우, 코르크(혹은 고무)의 위치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없어 반복적인 작업을 해야 하며 숙달된 기술자가 아니고는 음을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키플류트는 음향관 내부 벽면에 암나사선(510)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수나사선이 형성된 조율나사(520)를 이용한다. 이때 암나사선(510)은 음향관(410,420) 전체에 형성하거나 일단에 소정의 길이에만 형성할 수 있다.
음향관 전체에 암나사선을 형성할 경우, 음향관 하나에서 가능한 모든 음조의 소리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율나사(520)의 소재는 PVC 등의 고무, 플라스틱, 나무 및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조율나사(520)의 머리부분에는 '-','+' 또는 육각형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와 대응되는 드라이버 또는 렌치를 이용하여 조율나사(52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팬플류트와 음역,
도 2는 팬플류트을 연주하는 방법,
도 3은 팬플류트을 이용하여 반음을 내는 방법,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피치 조절이 가능한 키플류트의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치 조절이 가능한 키플류트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온음계관 420 : 반음계관
510 : 암나사선 520 : 조율나사

Claims (8)

  1. 온음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온음계관;
    상기 온음계관 사이에 위치하여 반음(사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음계관;
    상기 온음계관과 상기 반음계관에 형성된 암나사선; 및
    상기 암나사선과 결합되는 조율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반음계관은 온음계관의 외측에 부착되고, 상기 반음계관의 취구부의 높이가 온음계관의 취구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나사의 머리에는 일자형, 십자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홈이 형성된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음계관과 반음계관의 소재는 대나무, 갈대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나사의 소재는 고무, 플라스틱, 나무 및 금속 중 어느 하나인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구부는 입술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경사면 또는 라운딩의 형태로 형성된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음계관은 상기 온음계관이 접합된 사이에 위치한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음계관과 상기 반음계관은 평행하게 배열하거나 곡면으로 배열하여 형성한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KR2020070019012U 2007-11-27 2007-11-27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KR200448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12U KR200448359Y1 (ko) 2007-11-27 2007-11-27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12U KR200448359Y1 (ko) 2007-11-27 2007-11-27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14U KR20090005214U (ko) 2009-06-01
KR200448359Y1 true KR200448359Y1 (ko) 2010-04-07

Family

ID=4129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012U KR200448359Y1 (ko) 2007-11-27 2007-11-27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3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130B1 (ko) 2011-07-27 2012-10-24 안진모 키플루트 : 팬플루트의 건반연주장치
KR101242000B1 (ko) 2011-02-25 2013-03-11 남궁주용 팬플루트
KR101964668B1 (ko) 2018-04-23 2019-04-02 이종원 팬 플루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27Y1 (ko) * 1984-01-10 1985-09-25 김대철 음계 교체 가능한 팬 플류트(pan plute)
KR200328994Y1 (ko) 2003-07-01 2003-10-04 정찬국 하모니 팬 플류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27Y1 (ko) * 1984-01-10 1985-09-25 김대철 음계 교체 가능한 팬 플류트(pan plute)
KR200328994Y1 (ko) 2003-07-01 2003-10-04 정찬국 하모니 팬 플류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000B1 (ko) 2011-02-25 2013-03-11 남궁주용 팬플루트
KR101194130B1 (ko) 2011-07-27 2012-10-24 안진모 키플루트 : 팬플루트의 건반연주장치
KR101964668B1 (ko) 2018-04-23 2019-04-02 이종원 팬 플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14U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98033B (zh) 一种排箫
KR200448359Y1 (ko)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JP2005316419A (ja)
Terzēs Musical instruments of Greek and Roman antiquity
US4378724A (en) Wind instrument practice accessory
US5027685A (en) Woodwind instrument
KR100828997B1 (ko) 티자형 오카리나
CN205541863U (zh) 24孔复音口琴
US11127382B1 (en) Tone-a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KR102179295B1 (ko)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CN201181568Y (zh) 改良十一孔笛子
KR101019110B1 (ko) 클라리넷
CN214847693U (zh) 一种管乐器
US8697971B1 (en) Musical instrument training aid
KR200310152Y1 (ko) 이중 음색을 낼 수 있는 리코더
US20230317036A1 (en) Instrument with interior body walls having airflow disruption apparatus
JP6799866B2 (ja) ファゴット
KR102065135B1 (ko)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US20070157792A1 (en) Ocarina
Lynn Window to the Past: Exploring Two Centuries of Early Flutes Via the Sigal Music Museum
CN201435204Y (zh) 高八度bE调萨克斯管
CN115662370A (zh) 一种可降低音调的萨克斯笛头
GB2417603A (en) Single reed wind instrument
Goodale The Instrumental Director: Containing Rules for All Musical Instruments in Common Use, Laid Down in a Plain and Concise Manner to which is Added a Variety of Instrumental Music of the Richest and Most Popular Kind Extant
KR101453480B1 (ko)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