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135B1 -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135B1
KR102065135B1 KR1020190075055A KR20190075055A KR102065135B1 KR 102065135 B1 KR102065135 B1 KR 102065135B1 KR 1020190075055 A KR1020190075055 A KR 1020190075055A KR 20190075055 A KR20190075055 A KR 20190075055A KR 102065135 B1 KR102065135 B1 KR 10206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instrument
key
playing
flut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헌순
Original Assignee
사헌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헌순 filed Critical 사헌순
Priority to KR102019007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135B1/ko
Priority to PCT/KR2020/007635 priority patent/WO20202628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 상에 손가락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 해주어, 저 연령의 어린아이나 손이 작은 성인 등이 정확한 음으로 연주를 완료해내도록 할 수 있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는,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연주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WIND INSTRUMENT PERFORMANCE GUIDE}
본 발명은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 상에 손가락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란 금속, 나무 내지 합성수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말한다.
이러한 관악기들은 모두 그 관의 길이와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어 각기 다른 특유의 음색을 가진다. 즉, 대체적으로 관악기의 길이가 짧을수록 고음을 내고, 길이가 길수록 저음을 내는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관악기 중의 하나인 플루트는 일반적으로 모든 음역에서 고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본 음색 또한 그 특유의 진동으로 인해 마치 연기처럼 움직이는 가벼운 느낌을 갖게 함과 아울러 호흡의 양과 진동의 강도를 연주자가 입술로써 직접 조절하기 때문에 소리의 특성에 미치는 연주자의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연주자는 소리에 경쾌한 느낌과 힘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부드럽게 흐르는 선율을 연주할 수 있음은 물론 감정적 폭을 충분하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악기이다.
이러한 플루트는 음정을 조정하는 구멍(tone hole) 위의 키(key)가 뚫려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프랑스식의 오픈키(open key)와 독일식의 커버드 키(covered key)로 분류되고, 최초에는 나무로 제작되었지만 오늘날 대부분이 금속에 니켈 또는 은 등으로 도금한 것이 주로 사용되며, 연주용으로는 일부분을 은으로 제작하거나 아니면 전체를 은, 금 또는 백금 등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나아가, 플루트는 일단부에 볼륨(volume)을 조절할 수 있는 헤드 스크류(head screw)와 입술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마우스피스부(mouth piece: 취공)를 포함하는 윗관(head joint)과, 음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hole)이 제공되는 본관(body joint) 및 아랫관(foot)을 포함한다.
한편, 플루트는 크기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예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근래에 들어 플루트를 배우고자 하는 동호인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어린아이들이 조기에 많이 배우고 있고, 최근에 특기생을 인정하는 입시제도 때문에 어릴 때부터 플루트를 배우고자하는 아이들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플루트는 어린아이의 경우 신체적 차이로 인하여 배우기를 포기하거나 9세 이상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경우가 많으며 대체 악기인 피페나 리코드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기초를 익히고 있다.
나아가, 피페나 리코드의 사용은 그 기능 및 소리가 교육에 적절하지 않아 외국에서는 피콜로나 유아 전용 플루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피콜로나 유아 전용 플루트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조기에 배우기를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신체적 차이가 해소되는 고학력의 어린이로 성장하면 일반 플루트를 사용하여 연주하게 되는 것으로, 5세에서 7~9세 정도의 어린아이들은 어린이용 플루트로 연주하고 그 이후에 일반용 플루트로 재구입하여 연주하였다.
이로 인하여 유아기 등에서 조기에 플루트를 배우기 위하여 고가의 플루트를 구입하고 성장 후에 일반용 플루트를 구입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클 뿐만 조기 교육을 망설이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600호(2012.11.0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 상에 손가락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 해주어, 저 연령의 어린아이나 손이 작은 성인 등이 정확한 음으로 연주를 완료해내도록 할 수 있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 제작된 관악기에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는,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연주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주키는,
관악기의 지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관악기에 구비된 연결봉에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 구비되는 연주키에 장착되고, 내부에 손가락이 수용되며 상기 연주키에 구비된 중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된 정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주키가 결합되는 관악기의 연결봉과 관악기에 구비된 트릴키를 연결하여, 본체부와 트릴키가 일률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주키의 사이에 배치되고, 관악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가 트릴키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악기에 손과 손목을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악기에 장착되는 제1장착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며, 손등이 장착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착부는,
상기 연주키의 외주연을 감싸며, 탄성적 신축을 가이드하는 신축가이드홀이 형성된 제1정착부재, 상기 제1정착부재의 끝단에서 제1정착부재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연주키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며, 내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홀이 형성된 제2정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기구는, 관악기를 연주할 때,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 상에 손가락을 고정시켜 연주자가 정확한 음으로 연주를 완료해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 제작된 관악기에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악기에 구비되는 트릴키를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어, 손이 작은 성인이나 어린이가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면서 편리하게 연주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위치고정부가 관악기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위치고정부가 관악기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100)는, 관악기를 연주할 때,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 상에 손가락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 해주어, 연주자가 정확한 음으로 연주를 완료해내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플루트(1)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100)는, 기 제조된 플루트(1)에 설치되는 연주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주키(11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루트(1)의 지공 상에 배치되는 본체부(111), 본체부(111)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회동축을 매개로 플루트(1)에 결합되는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1)는 중공(111a)이 플루트(1)에 구비된 지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플루트(1)에 배치되며, 연결부(112)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111a)이 형성되어 플루트(1)에 구비된 연결봉(3)에 장착된다.
이때, 플루트(1)의 연결봉(3)은 공지된 바와 같이 플루트(1)에 축 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으며,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복원수단을 통해 회동 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본체부(111)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연결봉(3)이 회동되어, 본체부(111)가 플루트(1)의 외면에 접촉되고, 본체부(111)에서 손가락을 이격시키면 연결봉(3)이 복원수단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어 본체부(111)도 플루트(1)에서 이격된다.
이러한 연주키(110)를 플루트(1)에 결합하는 방식은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부(111)에는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이탈방지부(11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이탈방지부(1111)는 손가락이 본체부(111) 전체에 접촉되면서 손가락의 끝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부(1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탈방지부(1111)는 손가락의 끝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곡선 형상이나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1111)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기구는, 플루트(1)를 연주하기 위해 본체부(111)에 손가락을 위치시키면, 이탈방지부(1111)가 해당 손가락의 끝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막아 본체부(111)에서 손가락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이탈방지부(1111)가 손가락을 지지하여 본체부(111)에 정착시킴에 따라,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손이 작은 어린이들도 플루트(1)를 연주 시 정확한 음을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는 전술한 연주키(110) 및 플루트(1)에 구비된 트릴키(5)를 일률적으로 회동작동 시키기 위한 커플러(220), 연주키(110)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부가 트릴키(230), 연주자가 올바른 자세로 플루트(1)을 파지하도록 도와주는 위치고정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플루트(1)에는 트릴키(5)가 결합되는 연결봉(미도시)이 더 구비되고, 이 연결봉 역시 플루트(1)에 축 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으며,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복원수단을 통해 회동 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연주키(110)와 트릴키(5)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바, 사용자는 연주를 하다가도 플루트(1)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연주키(110)를 제어하는 손가락 이외의 다른 손가락으로 트릴키(5)를 더 눌러야 하기 때문에, 트릴키(5)를 더 활용한 연주가 쉽지 아니할 수 있다.
커플러(220)는 이러한 부분을 개선해주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221), 수평부(2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중공을 구비하여 연결부(112)가 결합된 연결봉(3)에 결합되는 제1다리부(222), 수평부(221)의 타측에 형성되고 트릴키(5)에 고정되는 제2다리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1)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플루트(1)에 접촉시키면 커플러(220)가 회동되고, 이로 인해 트릴키(5)가 연동되어 회동되면서 플루트(1)를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본체부(111)에서 손가락을 이격시키면 트릴키(5)가 자동으로 플루트(1)와 이격시킨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다리부(223)는 중공을 구비하여 트릴키(5) 대신 트릴키(5)가 결합되는 연결봉(3)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부가 트릴키(230)는 연주키(1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연주키(110)와는 별개로 작동되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부가 트릴키(230)는 전술한 연주키(110) 및 트릴키(5)와 동일한 구성과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부가 트릴키(230)를 연주키(110)의 사이마다 배치함에 따라, 연주키(110)와 비교적 멀리 이격된 트릴키(5) 대신 연주키(110)와 근접한 위치에서 부가 트릴키(230)를 편리하게 제어하여 진동음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부가 트릴키(230)를 연주키(110) 주면에 배치함에 따라, 고급자가 아닌 초보자 들도 용이하게 진동음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손이 작은 성인이나 어린이가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면서 편리하게 연주하도록 해줄 수 있다.
한편, 위치고정부(240)는 플루트(1)에 손과 손목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왼손용과 오른손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왼손용과 오른손용은 플루트(1)에 위치할 왼손과 오른손의 간격에 맞게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각각의 위치고정부(24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루트(1)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장착부(241), 장착부(241)의 저면에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부(242), 간격유지부(242)와 연결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 및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된 거치부(243), 장착부(241)의 측면에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는 부가간격유지부(244), 부가간격유지부(244)와 연결되며 손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45)는 손바닥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홀(2431)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하고, 지지부(245)에 손바닥을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접촉 시키면 플루트(1)를 연주하는 과정에서 손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즉, 위치고정부(240)는 플루트(1) 상에서 손을 부동자세 만들어줘, 플루트(1)를 연주하는 과정에서 손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등 올바른 자세로 플루트(1) 연주를 마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200)는, 기 제작된 플루트(1)의 연주키(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 시에는 플루트(1)에 구비된 지공 상에 손가락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도와주어, 정확한 음으로 연주를 이루어내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200)는, 정착부(210), 커플러(220), 부가 트릴키(230), 위치고정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커플러(220), 부가 트릴키(230), 위치고정부(240)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설명되어 있음으로, 이하에서는 정착부(210)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정착부(210)는 제1정착부재(211)와 제2정착부재(212)를 포함하여 연주자의 손가락을 플루트(1)에 구비된 연주키(2) 상에 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정착부(210)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정착부재(211)는 연주키(2)의 단면과 동일하게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주키(2)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정착부재(211)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신축 가능한 소재로 적용되어, 연주키(2)를 가압하면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정착부재(211)는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신축가이드홀(211a)을 더 포함하여, 연주키(2)에 장착 시 탄성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제2정착부재(212)는 제1정착부재(211)의 상단에서 제1정착부재(211)의 중공 방향으로 절곡되며,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정착부재(211)를 연주키(2)에 장착 시 연주키(2)의 상면 가장자리에 접촉된다.
그리고, 제2정착부재(2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내부에 제1정착부재(211)의 중공과 연결되며, 연주키(2)와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이탈방지홀(212a)이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홀(212a) 상으로 연주키(2)의 상면이 노출된다. 따라서 이탈방지홀(212a)에 손가락을 위치시키면 연주키(2)와 접촉된다.
그리고, 제2정착부재(2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 손가락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 기능도 수행한다.
즉, 플루트(1)를 연주하기 위해 이탈방지홀(212a)에 손가락을 수용하면 제2정착부재(212)의 내벽면(2121)이 손가락을 지지하여 이탈방지홀(212a) 및 연주키(2)에 정착시킴에 따라,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손이 작은 어린이들도 플루트(1)를 연주 시 정확한 음을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플루트 3 : 연결봉
5 : 트릴키 2, 110 : 연주키
111 : 본체부 111a : 중공
1111 : 이탈방지부 112 : 연결부
210 : 정착부 211 : 제1정착부재
211a : 신축가이드홀 212 : 제2정착부재
212a : 이탈방지홀 2121 : 내벽면
220 : 커플러 221 : 수평부
222 : 제1다리부 223 : 제2다리부
230 : 부가 트릴키 240 : 위치고정부
241 : 장착부 242 : 간격유지부
243 : 거치부 2431 : 거치홀
244 : 부가간격유지부 245 : 지지부

Claims (6)

  1. 관악기에 구비된 지공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연주키를 포함하고,
    상기 연주키는,
    관악기의 지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관악기에 구비된 연결봉에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2. 삭제
  3. 관악기에 구비되는 연주키에 장착되고, 내부에 손가락이 수용되며 상기 연주키에 구비된 중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된 정착부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키가 결합되는 관악기의 연결봉과 관악기에 구비된 트릴키를 연결하여, 본체부와 트릴키가 일률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키의 사이에 배치되고, 관악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가 트릴키를 더 포함하는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악기 상에 손을 고정해주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관악기의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저면에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부,
    상기 간격유지부와 연결되며 손가락이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된 거치부,
    상기 장착부의 측면에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는 부가간격유지부,
    상기 부가간격유지부와 연결되며 손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손바닥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KR1020190075055A 2019-06-24 2019-06-24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KR10206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55A KR102065135B1 (ko) 2019-06-24 2019-06-24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PCT/KR2020/007635 WO2020262862A1 (ko) 2019-06-24 2020-06-12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55A KR102065135B1 (ko) 2019-06-24 2019-06-24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135B1 true KR102065135B1 (ko) 2020-01-10

Family

ID=6915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055A KR102065135B1 (ko) 2019-06-24 2019-06-24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5135B1 (ko)
WO (1) WO202026286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1386A (ja) * 2000-04-18 2004-01-15 ラウカ、カリ 楽器を支持するためのハンドレスト
US20070256539A1 (en) * 2006-05-04 2007-11-08 Flynn Mark E Finger alignment trai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263A (en) * 1979-03-08 1981-08-25 Henry Larsen Wind-instrument fingering guide
KR101456846B1 (ko) * 2013-01-16 2014-11-07 최정환 초보자를 위한 악기 연주용 자세 교정 장치
US10410613B2 (en) * 2017-01-14 2019-09-10 David Garland Harris Flute with enhanced flute-finger conn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1386A (ja) * 2000-04-18 2004-01-15 ラウカ、カリ 楽器を支持するためのハンドレスト
US20070256539A1 (en) * 2006-05-04 2007-11-08 Flynn Mark E Finger alignment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862A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einhammer The art of trombone playing
Havas The twelve lesson course in a new approach to violin playing
US9767706B2 (en) Stringless bowed musical instrument
KR101886770B1 (ko) 식압 조정 약음 장치, 및 그 어댑터
US5027685A (en) Woodwind instrument
KR102065135B1 (ko) 관악기용 연주 가이드
KR200483190Y1 (ko)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KR200448359Y1 (ko)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Stanley Your voice: Applied science of vocal art
Méndez et al. Prelude to brass playing
Blaikley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Musical Instruments recently exhibited at the Royal Military Exhibition, London, 1890
Ely et al. Wind talk for brass: A practical guide to understanding and teaching brass instruments
JP2008152217A (ja) 改良版土笛に吹口部品を装着した簡易オカリナ
KR101271068B1 (ko) 플루트
Ely et al. Wind talk for woodwinds: A practical guide to understanding and teaching woodwind instruments
Keeler Burma
KR101565252B1 (ko) 음향 출력레벨 조절수단을 갖는 섹소폰 연습기구
McIvor No More" Bad Days"-A Trumpet and Brass-Instrument Warm-Up Routine that Works
Dodge et al. The acoustics of three Maori flutes
US11138900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olin and viola vibrato training
KR20090077505A (ko) 리코더
KR102433036B1 (ko) 관악기 연습장치
Brockschmidt The Harmonium Handbook: Owning, Playing, and Maintaining the Devotional Instrument of India
KR102179295B1 (ko)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Neufeld A Clarinetist's Guide to Multiple Woodwi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