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000B1 - 팬플루트 - Google Patents

팬플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000B1
KR101242000B1 KR1020110016827A KR20110016827A KR101242000B1 KR 101242000 B1 KR101242000 B1 KR 101242000B1 KR 1020110016827 A KR1020110016827 A KR 1020110016827A KR 20110016827 A KR20110016827 A KR 20110016827A KR 101242000 B1 KR101242000 B1 KR 10124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cylindrical tube
main body
transparent
transparen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559A (ko
Inventor
남궁주용
Original Assignee
남궁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주용 filed Critical 남궁주용
Priority to KR102011001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0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26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air currents blown into an opening arrang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tube, e.g. transverse flutes, piccolos or fif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악기로 다양한 조성의 악곡과 음계를 쉽게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표에 대한 이해가 쉽고 빠르며, 음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경제적이고 이동성이 좋아 학생들이 반음 키가 필요없는 악기를 이용한 음악 수업을 쉽고 재미있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팬플루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직경과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투명원통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투명원통관의 외측면에 조성별로 음정눈금이 표시되는 음정선과; 상기 투명원통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정선에 맞추어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정조절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팬플루트{Panflute}
본 발명은 팬플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악기로 다양한 조성의 악곡과 음계를 쉽게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표에 대한 이해가 쉽고 빠르며, 음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경제적이고 이동성이 좋아 학생들이 반음 키가 필요없는 악기를 이용한 음악 수업을 쉽고 재미있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팬플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플루트는 팬파이프라고도 불려지며 속이 빈 대나무로 제작된 여러개의 관을 뗏목처럼 다발로 엮어서 차례대로 연결시켜 놓고, 대나무의 한쪽 구멍을 코르크 등을 이용하여 막아 코르크의 높낮이로 음을 조율하여 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한 기명악기(氣鳴樂器)로서, 관의 끝부분에 입김을 불어넣어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관의 직경 및 길이의 차이에 의해 음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관의 직경이 좁고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공명음의 파장길이가 짧아 지면서 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반대로, 관의 직경이 넓고 길이가 긴 경우에는 공명음의 파장길이가 넓어져 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관의 직경 및 길이의 차이를 갖는 다수개의 관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악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8세기말까지만 해도 8개의 대나무 관을 연결시켜 연주하여 좁은 음역을 연주하는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점차 개량되고 발전되면서 그 수가 증가해 18관, 20관, 22관 25관으로 늘어 현재는 30관으로 팬플루트의 음역을 더욱 확대시켜 나가고 있으며 경음악은 물론 팝, 클래식 음악까지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음계는 7음계로 되어 있으며 각 조별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나 보편적으로 G장조(Em), F장조(Dm), C장조(Am)의 악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2관 C장조(Am)의 악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금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팬파이프는 19개의 파이프가 한조를 이루어서 한음정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어서 피아노등과 같이 반음(半音) 모두를 소리나게 한다면 여러 조의 팬파이프가 필요하게 되어 그러한 곡은 연주가 거의 불가능하였으므로 종래에 사용되었던 전통적 팬파이프는 주로 조(調)별로 제작되어 왔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곡들은 그 조가 서로 다르고 또한 한곡조 안에서도 반음의 변화가 있는 것이 보통이어서 조가 다른 곡들을 연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조가 다른 곡들의 조숫자만큼의 팬파이프가 필요하였을 뿐만아니라 동일한 곡내에서의 반음변화에 따른 연주가 거의 불가능하였으므로 종래의 팬파이프는 그 활용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랐으며 널리 대중들에게 보급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오랜 세월동안 연주활동과 음악교사 생활을 해왔던 본원인은 학생들이 더욱 쉽게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다. 통상 음악수업은 대부분 이론이나, 가창, 리코더, 단소 등 매우 제한적이며 획일적인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해 동안 음악수업을 받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음악적인 실력에 대한 안타까운 결과를 보면서 하루빨리 스스로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의 개발을 원하였고, 특히 실기가 없는 수업에서 음악이론은 이해하기 힘들며 단시간에 악기를 연주한다는 것도 숙련되지 않은 학샐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악기로 다양한 조성의 악곡과 음계를 쉽게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표에 대한 이해가 쉽고 빠르며, 음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경제적이고 이동성이 좋아 학생들이 반음 키가 필요없는 악기를 이용한 음악 수업을 쉽고 재미있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팰루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팬플루트의 한 형태는, 직경과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투명원통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투명원통관의 외측면에 조성별로 음정눈금이 표시되는 음정선과; 상기 투명원통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정선에 맞추어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정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정조절부는 투명원통관의 직경에 상응하게 다수의 장축 수직리브를 가지며, 상기 장축 수직리브의 상부측에 상.하로 한 쌍의 원형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측 원형리브의 중앙부에 다수의 단축 수직리브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패킹 고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패킹 고정리브 외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측에 패킹 고정리브보다 작은 직경으로 개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 중간에 간극홈이 형성되며, 상단부 중간에 볼록부가 형성된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진 피스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정조절부는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지지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턱의 하부측에 외측나선부를 형성하고, 내측나선부를 갖는 체결구가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음정조절봉을 구비하여 상기 음정조절봉의 내측나선부가 피스톤 로드의 외측나선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는 공기를 누설없이 각 투명원통관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 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피스는 본체부의 각 투명원통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원통관 삽입홀을 갖는 원호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호형의 상부경사판과 하부판의 사이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부의 각 투명원통관에 대응되게 다수의 지지리브에 의해서 구획 형성된 하부 경사형의 공기주입통로와; 상기 베이스판의 원통관 삽입홀을 통하여 본체부의 투명원통관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부경사판 및 하부판 하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원호형의 하부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우스 피스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피아노 건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명원통관은 취구 부위를 절곡 형성한 엘보우형 투명원통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원통관의 내부에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진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투명원통관의 외측면에 조성별로 음정눈금이 표시된 음정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음정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쉽게 음정을 찾아 조작, 발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의 길이에 따른 음정의 높고 낮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조성에 따라 변화되는 반음만 올리거나 내리므로 여러 악기나 반음 키가 필요없이 하나의 악기로 다양한 조성의 악곡과 음계를 쉽게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투명원통관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마우스 피스를 구비함으로써 연주 경험이 없는 초보자라도 쉽게 팬플루트의 음을 낼 수 있어 학생들이 포기하지 않고 보다 흥미를 갖고 음악수업에 임할 수 있음은 물론 마우스 피스에 건반이 표시되어 있어 건반학습과 함께 팬플루트 연주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해 피아노나 바이올린 등과 같이 경제적인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팬플루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정조절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마이스 피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팬플루트와 마찬가지로 직경과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원통관을 상.하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원호형태의 지지대(12a)(12b)에 연이어 삽입 및 접착시켜 팬플루트 본체를 형성하나, 여기서 차이는 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투명원통관(11)의 조합으로 본체부(1)를 형성한 것에 있고, 이렇게 본체부(1)를 투명원통관(11)으로 형성한 것은 후술되어질 음정조절부(3)를 투명원통관(11)의 외측면에 조성별로 음정눈금이 표시된 음정선(2)에 맞추어 연주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도 3 참조.)
즉, 본 발명의 본체부를 나타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투명원통관(11)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가" 또는 "나"와 같이 장조를 표시하고 그 위쪽으로 "도", "레", "미" 등과 같이 조성별로 음정눈금으로써 음정선(2)이 표시되어 있어, 연주자가 투명원통관(11)의 내부에 구비된 음정조절부(3)를 손으로 잡고 조성별로 음정선(2)에 맞추어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통상, 악곡에 따라 조성이 바뀌게 되면 연주 중 반음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어렵고 실수하기 쉬우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정조절부를 이용해 연주전 미로 조표에 해당하는 음만 내리거나 올린 상태에서 연주하게 되면 쉽게 악곡을 연주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조성의 곡이라도 쉽게 연주가 가능하며 다양한 패턴 및 가락 또는 음계를 만들어 놓고 연주하여 쉽게 합주 및 독주가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또다른 관건은, 학생들이 음정조절부(3)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정조절부(3)는 투명원통관(1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피스톤(32) 및, 피스톤 로드(31)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 로드(31)는 방사선 형태, 여기서는 십자 형태로 수직방향의 리브(rib)가 일체로 형성된 장축 수직리브(311)로 형성되고, 상기 장축 수직리브(311)의 상단부에는 보강을 위해 장축 수직리브(311)의 직경에 상응하는 한 쌍의 원형리브(312a)(312b)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측 원형리브(312a)의 중간에는 다소 직경이 작은 원형리브(312a) 형태를 이루면서 역시 십자 형태의 단축 수직리브(313)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패킹 고정리브(3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축 수직리브(311)는 투명원통관(11)의 직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피스톤(32)의 상.하 이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32)은 피스톤 로드(31)의 패킹 고정리브(314)보다 작은 직경의 개방부(321)가 하부측에 형성되고, 외측 둘레의 중간에는 간극홈(322)이 형성되며, 상단부 중간에 볼록부(323)가 형성된 고무패킹(320)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무패킹(320)은 개방부(321)를 벌려 피스톤 로드(31)의 패킹 고정리브(314)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간극홈(322)는 투명원통관(11)의 내측에 밀착된 고무패킹(320)을 강제로 이동시킬 때 고무패킹(320)의 상.하부 사이에 여유공간을 갖도록 하고, 상기 볼록부(323)는 고무패킹(320)의 상.하 이동시 투명원통관(11)의 내측면과의 마찰로 인한 변형의 여유를 갖도록 함으로써 피스톤(32)의 상.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고무패킹(320)에 간극홈(322)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밀폐성은 좋으나 여유가 없어 피스톤(32)을 상.하로 이동시킬 때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연주를 위한 피스톤 조작성에 불편성을 초래하므로 고무패킹(320)에 간극홈(322)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고무패킹(320)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부(323)는 투명원통관(11) 내부로
또한, 상기 음정조절부(3)는 피스톤 로드(31)의 하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음정조절봉(33)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지지턱(315)과 함께 외측나선부(316)가 형성되고, 음정조절봉(33)은 상기 외측나선부(316)에 나선 결합되는 내측나선부(33b)를 갖는 체결구(33a)가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구(33a)는 피스톤 로드(31)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턱(315)과 동일한 직경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피스톤 로드(31)에 음정조절봉(33)을 결합시키게 되면, 피스톤(32)의 상.하 이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어 본체부(1)의 각 투명원통관(11) 외측면에 표시된 음정선(2)에 맞추어 음정의 높낮이 폭 또한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연주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와함께 본 발명은 연주자가 다수의 투명원통관(11)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를 손으로 잡고 취구, 즉 공기를 불어 넣는 구멍에 입을 대고 불 때 공기가 누설없이 본체부(1)의 각 투명원통관(11)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마우스 피스(4)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통상 팬플루트는 연주 경험이 없는 일반인이 입으로 불어 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우나 상기 마우스 피스(4)를 본체부(1)에 끼워 불게 되면 하모니카와 같이 간단하게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우스 피스(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형상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본체부(1)의 각 투명원통관(11) 상부 외측에 삽입되는 다수의 원통관 삽입홀(41a)을 갖는 베이스판(41)과, 상기 베이스판(41)의 원통관 삽입홀(41a)을 통하여 삽입된 투명원통관(11) 측으로 주입된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통로(42)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공기주입통로(42)는 다수의 지지리브(42c)에 의해서 본체부(1)의 각 투명원통관(11)에 대응되게 구획 형성된다. 이를 첨부된 도 5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기주입통로(42)는 베이스판(4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전술한 지지리브(42c)에 의해서 서로 이격된 상부경사판(42a) 및 하부판(42b)에 의해서 하부측, 즉 투명원통관(1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한 것으로서, 연주자가 마우스 피스(4)에 입을 대고 불면, 공기주입통로(42) 측으로 주입된 공기는 점차 줄어드는 간격으로 인해 유속이 빨라지면서 투명원통관(11)의 내측으로 유도되므로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팬플루트의 연주 경험이 없는 일반인, 특히 학생들이 어려움없이 소리를 낼 수 있어 팬플루트의 연주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본체부(1)를 구성하는 투명원통관(11)을 취구 부분이 절곡된 엘보우형 투명원통관(11a)을 형성한 것에 있으며, 이렇게 투명원통관(11)을 엘보우형 투명원통관(11a)으로 형성하게 되면 투명원통관의 외측면에 형성된 음정눈금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음정 찾기가 용이하고 피스톤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악기로 다양한 조성의 악곡과 음계를 쉽게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표에 대한 이해가 쉽고 빠르며, 음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경제적이고 이동성이 좋아 학생들이 반음 키가 필요없는 악기를 이용한 음악 수업을 쉽고 재미있게 연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팬플루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본체부
11: 투명원통관 11a: 엘보우형 투명원통관
12a,12b: 지지대
2: 음정선
3: 음정조절부
31: 피스톤 로드 32: 피스톤
33: 음정조절봉 33a: 체결구
33b: 내측나선부 311: 장축 수직리브
312a,312b: 원형리브 313: 단축 수직리브
314: 패킹 고정리브 315: 지지턱
316: 외측나선부 320: 고무패킹
321: 개방부 322: 간극홈
323: 볼록부
4: 마우스 피스
41: 베이스판 41a: 원통관 삽입홀
42: 공기주입통로 42a: 상부경사판
42b: 하부판 42c: 지지리브
43: 하부지지판 44: 건반 표시부

Claims (7)

  1. 삭제
  2. 직경과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투명원통관(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와, 상기 투명원통관(11)의 외측면에 조성별로 음정눈금이 표시되는 음정선(2)과, 상기 투명원통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정선(2)에 맞추어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정조절부(3);로 구성된 팬플루트에 있어서,
    상기 음정조절부(3)는 투명원통관(11)의 직경에 상응하게 다수의 장축 수직리브(311)를 가지며, 상기 장축 수직리브(311)의 상부측에 상.하로 한 쌍의 원형리브(312a)(31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측 원형리브(312a)의 중앙부에 다수의 단축 수직리브(313)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패킹 고정리브(314)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 로드(31)와;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패킹 고정리브(314) 외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측에 패킹 고정리브(314)보다 작은 직경으로 개방부(321)가 형성되고, 외측면 중간에 간극홈(322)이 형성되며, 상단부 중간에 볼록부(323)가 형성된 고무패킹(320)으로 이루어진 피스톤(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팬플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조절부(3)는 피스톤 로드(31)의 하단부에 지지턱(315)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턱(315)의 하부측에 외측나선부(316)를 형성하고, 내측나선부(33b)를 갖는 체결구(33a)가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음정조절봉(33)을 구비하여 상기 음정조절봉(33)의 내측나선부(33b)가 피스톤 로드(31)의 외측나선부(3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팬플루트.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는 공기를 누설없이 각 투명원통관(11)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 피스(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 피스(4)는 본체부(1)의 각 투명원통관(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원통관 삽입홀(41a)을 갖는 원호형의 베이스판(41)과;
    상기 베이스판(4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호형의 상부경사판(42a)과 하부판(42b)의 사이에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부(1)의 각 투명원통관(11)에 대응되게 다수의 지지리브(42c)에 의해서 구획 형성된 하부 경사형의 공기주입통로(42)와;
    상기 베이스판(41)의 원통관 삽입홀(41a)을 통하여 본체부(1)의 투명원통관(11)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부경사판(42a) 및 하부판(42b)의 하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원호형의 하부지지판(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팬플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4)는 베이스판(41)의 상면에 피아노 건반 표시부(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팬플루트.
  7. 삭제
KR1020110016827A 2011-02-25 2011-02-25 팬플루트 KR10124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27A KR101242000B1 (ko) 2011-02-25 2011-02-25 팬플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27A KR101242000B1 (ko) 2011-02-25 2011-02-25 팬플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559A KR20120097559A (ko) 2012-09-05
KR101242000B1 true KR101242000B1 (ko) 2013-03-11

Family

ID=4710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27A KR101242000B1 (ko) 2011-02-25 2011-02-25 팬플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4198B1 (ja) * 2021-12-10 2022-08-23 冬耀 中川 管楽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28Y1 (ko) * 1984-01-13 1985-09-25 김대철 음계 변조 가능한 팬 플류트(panplute)
US4770080A (en) * 1987-08-17 1988-09-13 Otto Jivoin Panpipe having tone setting controls
KR20090131701A (ko) * 2008-06-19 2009-12-30 안영일 팬 플룻의 반음 조절 장치
KR200448359Y1 (ko) 2007-11-27 2010-04-07 우광혁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28Y1 (ko) * 1984-01-13 1985-09-25 김대철 음계 변조 가능한 팬 플류트(panplute)
US4770080A (en) * 1987-08-17 1988-09-13 Otto Jivoin Panpipe having tone setting controls
KR200448359Y1 (ko) 2007-11-27 2010-04-07 우광혁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KR20090131701A (ko) * 2008-06-19 2009-12-30 안영일 팬 플룻의 반음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559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386B2 (en) Cycle of fifths steel pan
US20080087159A1 (en) Musical instrument training device with multiple mouthpieces
CN106098033B (zh) 一种排箫
KR101242000B1 (ko) 팬플루트
CN104040617A (zh) 打击乐器
CN205845500U (zh) 一种排箫
US9613601B1 (en) Minawi straw
KR101295646B1 (ko)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Blair Notable Percussion Excerpts of the 21 st Century Wind Band: A Continuation of Studies by Charles Sivils and Daniel Mccloud
US454748A (en) Wind musical instrument
Ployhar Band today
Patterson An approach to contemporary music pedagogy for beginning and intermediate level bassoonists, including sixty-four original etudes
CN201435204Y (zh) 高八度bE调萨克斯管
Heagney Peter Klatzow's Six Concert Etudes for Marimba: a performer's guide
Mitchell Beneath a Canvas of Green: A Conductor's Analysis and Comprehensive Survey of Related Works for Percussion Ensemble and Winds
Hendrix From chromatic to diatonic–and back-Exploring the different ways of playing the melodeon
Bland The bass clarinetist's pedagogical guide to excerpts from the wind band literature
Cheesman An introductory guide to vibraphone: Four idiomatic practices and a survey of pedagogical material and solo literature
Hood The kendang arja: improvised paired drumming in Balinese music
Jähnichen et al. Experiencing the Viola in Hindustani Classical Music
Spearman The Published Chamber Percussion Ensemble Music of Christopher Deane: A Theoretical, Performance, and Pedagogical Guide
JP3191282U (ja) 縦式篠笛に着脱自在に設けた歌口具
Rios Extended Program Notes on a Saxophone Recital
Porter A new six-mallet marimba technique and its pedagogical approach
da Silva The Snare Drum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