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295B1 -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Google Patents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295B1 KR102179295B1 KR1020190091395A KR20190091395A KR102179295B1 KR 102179295 B1 KR102179295 B1 KR 102179295B1 KR 1020190091395 A KR1020190091395 A KR 1020190091395A KR 20190091395 A KR20190091395 A KR 20190091395A KR 102179295 B1 KR102179295 B1 KR 102179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ixing
- wind instrument
- accommodating
- seat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으로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하여 운지함으로써 소리의 공명주파수를 변화시켜 음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가 구비되는 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홈이 길이방향으로 파이는 형태인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중앙에는 양측을 구분하는 구분판이 형성되어 본체의 상부방향에 개방되는 부위를 도입공으로 구분하고, 본체의 지공이 형성되는 도입공의 타측을 배출공으로 구분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분판은 상측단부가 안착홈의 바닥면 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도입공과 배출공의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체 및 본체를 수용하여 유도체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는 다수의 지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에 구분판에 의해 구분되는 도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입공과 배출공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에 의해 본체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주면 입김이 도입공을 거쳐 유도체와 구분판 사이를 거친 후 배출공으로 배출되어 별다른 호흡의 기술이 없는 초보자들도 연주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관악기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는 다수의 지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에 구분판에 의해 구분되는 도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입공과 배출공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에 의해 본체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주면 입김이 도입공을 거쳐 유도체와 구분판 사이를 거친 후 배출공으로 배출되어 별다른 호흡의 기술이 없는 초보자들도 연주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관악기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의 상부에서 연주자가 입김에 의한 음파가 도입공에 도달하게 되면 구분판에 부딪혀 상측으로 유동되고, 상측으로 유동된 음파는 구분판과 유도체 하측면의 이격된 부위로 유도된 후 배출공으로 온전히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초보자들도 플루트 계열의 음색에 대한 연주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량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관악기는 금속·나무·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로서, 이러한 관악기는 크게 목관악기(피리류)와 금관악기(나팔류)로 나뉘고, 서양에는 목관악기(플루트,오보,클라리넷,바순)과 금관악기(트럼펫,트럼본,호른,튜바)가 있고 전통 국악관악기에는 목관악기(대금,중금,퉁소,피리,단소,태평소)와 금관악기(나팔)가 있다.
대금의 형태는 대금은 한쪽 끝이 막혀 있고 막힌 쪽에 입김을 불어넣는 취구가 하나 뚫려 있다. 손가락으로 짚어 음계를 조절하는 구멍인 지공은 총 여섯 개가 있고, 취구 반대편 끝자락에는 음을 조절하기 위해서 손으로 짚지 않는 칠성공을 판다.
칠성공은 악학궤범에 따르면 다섯 개 파는 것이 원칙이라 되어 있으나 요즘은 한 개나 두 개만 판다.
취구와 지공 사이에는 청공이라는 구멍이 하나 더 있다. 이 청공에는 '청'이라고 해서 갈대 속에서 채취한 얇은막을 팽팽하게 붙여 놓는데, 고음을 불면 이 청이 진동하면서 대금 특유의 호쾌한 소리가 난다.
또한, 대부분의 관악기가 그렇듯이, 대금의 호흡도 복식호흡으로 한다. 복식호흡은 아랫배의 압력 변화로 가슴과 배 사이의 횡격막을 내리고 올려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방법이다.
단소는 5개의 지공(指孔)과 취구(吹口)를 포함한다. 단소는 취구가매우 작고 섬세하여 입술과 취구의 위치가 조금만 바뀌어도 음질의 변화가 예민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위, 아래 입술을 바르게 일치시키고 가볍게 미소를 띄우는 입술 모양을 만들어 입술의 양끝을 가볍게 당겨서 주름을핀 후 입술을 취구에 대고 가볍게 불면 소리가 난다.
이러한 대금과 단소는 취구에 숨을 불어넣어도 쉽게 소리가 나지 않아 많은 연습이 필요하고, 연습과정에서 학습자의 자세나 입술 모양이 불안정하여 소리가 잘 나지 않는 경우 대금을 배우는 일에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어느 정도 연주가 가능한 수준까지 도달하여도 대금의 취구가 큰 편이어서, 취구에 숨을 불어넣는 상태에서 고개를 살짝 숙이거나 악기를 살짝 틀기만 해도 음높이 변화가 심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초보자들이 대금와 단소를 연주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어 배움이 더디고, 대금와 단소를 조금이라도 연주하는 사용자라도 대금와 단소의 취구가 숨을 불어넣는 입과의 이격거리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능숙하게 연주하는 수준이 아니면 소리가 너무 둔탁하게 나서 대금와 단소 고유의 청명한 소리를 연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왔다.
이와 더불어 리코더의 경우 사용자의 임깁을 불어넣는 부위와 진동에 의해 소리가 나는 부위로의 공기 흐름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플루트 계열과 같은 부드러운 소리가 나지 않고 딱딱한 소리가 나는 단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수의 지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에 구분판에 의해 구분되는 도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입공과 배출공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에 의해 본체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주면 입김이 도입공을 거쳐 유도체와 구분판 사이를 거친 후 배출공으로 배출되어 별다른 호흡의 기술이 없는 초보자들도 플루트 계열인 음색의 연주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으로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하여 운지함으로써 소리의 공명주파수를 변화시켜 음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가 구비되는 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홈이 길이방향으로 파이는 형태인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중앙에는 양측을 구분하는 구분판이 형성되어 본체의 상부방향에 개방되는 부위를 도입공으로 구분하고, 본체의 지공이 형성되는 도입공의 타측을 배출공으로 구분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분판은 상측단부가 안착홈의 바닥면 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도입공과 배출공의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체 및 본체를 수용하여 유도체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지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에 구분판에 의해 구분되는 도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입공과 배출공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에 의해 본체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주면 입김이 도입공을 거쳐 유도체와 구분판 사이를 거친 후 배출공으로 배출되어 별다른 호흡의 기술이 없는 초보자들도 연주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플루트 계열 관악기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체는 안착홈에서 이동되어 배출공이 일부 밀폐 또는 개방시켜 구분판과 유도체 하측면의 이격된 부위에서 음파의 진동을 조절함으로써, 연주소리를 조절할 수 있수 있게 되어 호흡법이 다소 서툴러도 최적의 연주소리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안착홈에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유도체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바람작힌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 (b)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안착홈에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유도체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바람작힌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 (b)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안착홈에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다수의 지공(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입김을 불어넣으면 연주자의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하여 지공(11)을 운지함으로서, 소리의 공명주파수를 변화시켜 음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국악기의 재료로 쓰이는 대나무와 같이 목재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도 있고, 금속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홈이 길이방향으로 파이는 형태인 안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0)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중앙에는 양측을 구분하는 구분판(30)이 형성되어 본체(10)의 상부방향에 개방되는 부위를 도입공(40)으로 구분하고, 그리고 본체(10)의 지공(11)이 형성되는 도입공(40)의 타측을 배출공(50)으로 구분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분판(30)은 상측단부가 안착홈(20)의 바닥면 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20)에 안착되어 도입공(40)과 배출공(50)의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도체(60) 및 본체(10)를 수용하여 유도체(60)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수단(7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본체(10)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주면 입김이 도입공(40)을 거쳐 유도체(60)의 하측면과 구분판의 상측 사이를 거친 후 배출공(50)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연주자의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하여 지공(11)을 운지함으로서, 소리의 공명주파수를 변화시켜 연주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연주자의 입김이 도입공(40)에 도달하게 되면 구분판(30)에 부딪혀 상측으로 유동되고, 상측으로 유동된 입김은 구분판(30)과 유도체(60) 하측면의 이격된 부위로 유도된 후 배출공(50)으로 온전히 이동되어 별다른 호흡의 기술이 없는 초보자들도 연주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주자 입김에 의한 음파는 도입공에서 구분판(30)과 유도체(60) 하측면의 이격된 부위로 이동되어 다시 배출공(50)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굴곡이 발생하여 보다 부드러운 소리나게 되는 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도체(60)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0)에서 이동되어 배출공(50)이 일부 밀폐 또는 개방시켜 구분판(30)과 유도체(60) 하측면의 이격된 부위에서 음파의 진동을 조절함으로써 연주소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호흡법이 다소 서툴러도 최적의 연주소리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연주소리를 보다 명확히 내기 위해서는 연주자의 입김이 직접 인입되는 개방되는 본체(10)의 상부 직경을 10 ~ 20㎜로 형성하고, 본체(10) 최상부에서 도입공(40)까지의 길이를 5 ~ 15㎝로 이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가 목재로 가공되었을 경우, 파손이나 쪼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외주연을 감싸는 다수의 권취줄(80)이 구비된다.
상기 권취줄(80)은 본체(10)를 보호할 뿐 아니라 권취줄(80)의 개수 및 형태에 의해 연주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진동량을 조절하여 연주소리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착홈에서의 유도체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비되며, 보다 상세한 형태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0)과 유도체(60)의 상측부위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71) 및 본체(10)의 일부위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72)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작동볼트(b)에 의해 제1, 2수용부(71, 72)의 수용직경을 조절하도록 제1, 2수용부(71, 72)의 후측은 양측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제1, 2수용부(71, 72)의 구분된 일측 상, 하부에 각각 볼트공(74)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73)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고정부(73)가 형성되는 타측 제1, 2수용부(71, 72)의 상, 하부에는 나사공(76)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7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70)은 외측으로 제2고정부(75)의 나사공(76)과 치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77)와, 상기 체결부(77)의 후측으로 제1고정부(7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마찰부(78)와, 상기 마찰부(78)의 후측으로 손으로 회전 가능한 판 형태의 회전부(79)로 이루어지는 작동볼트(b)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작동볼트(b)의 체결부(77)가 제1, 2고정부(73, 75)에 인입된 상태에서 회전부(7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찰부(78)가 제1고정부(73)를 가압하여 제1, 2수용부(71, 72)의 직경을 줄여주게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부(79)를 회전시키면 마찰부(78)와 체결부(77)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2수용부(71, 72)의 직경을 넓혀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70)으로 인해 안착홈(20)에서 이동되는 유도체(6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수용부(72)는 제1수용부(71) 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유도체(60)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유도체(60)는 제2수용부(72)의 하측에서 인입될 수 있도록 선단에서 후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도체(60)를 안착홈(20)에서 제2수용부(72) 방향으로 이동시켜 임의로 고정시킨 후 작동볼트(b)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고정하여 유도체(60)의 고정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 본체 11 : 지공
20 : 안착홈 30 : 구분판
40 : 도입공 50 : 배출공
60 : 유도체 70 : 고정수단
71 : 제1수용부 72 : 제2수용부
73 : 제1고정부 74 : 볼트공
75 : 제2고정부 76 : 나사공
77 : 체결부 78 : 마찰부
79 : 회전부 b : 작동볼트
20 : 안착홈 30 : 구분판
40 : 도입공 50 : 배출공
60 : 유도체 70 : 고정수단
71 : 제1수용부 72 : 제2수용부
73 : 제1고정부 74 : 볼트공
75 : 제2고정부 76 : 나사공
77 : 체결부 78 : 마찰부
79 : 회전부 b : 작동볼트
Claims (3)
-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으로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하여 운지함으로써 소리의 공명주파수를 변화시켜 음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공(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10)가 구비되는 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홈이 길이방향으로 파이는 형태인 안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0)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구멍(Hole)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중앙에는 양측을 구분하는 구분판(30)이 형성되어 본체(10)의 상부방향에 개방되는 부위를 도입공(40)으로 구분하고, 본체(10)의 지공(11)이 형성되는 도입공(40)의 타측을 배출공(50)으로 구분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분판(30)은 상측단부가 안착홈(20)의 바닥면 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0)에 안착되어 도입공(40)과 배출공(50)의 상측에 위치되는 유도체(60)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체(60) 및 본체(10)를 수용하여 유도체(60)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수단(7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안착홈(20)과 유도체(60)의 상측부위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71) 및 본체(10)의 일부위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72)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2수용부(71, 72)의 후측은 양측으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용부(71, 72)의 구분된 일측 상, 하부에 각각 볼트공(74)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73)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고정부(73)가 형성되는 타측 제1, 2수용부(71, 72)의 상, 하부에는 나사공(76)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75)가 형성되며,
외측으로 제2고정부(75)의 나사공(76)과 치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77)와, 상기 체결부(77)의 후측으로 제1고정부(7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마찰부(78)와, 상기 마찰부(78)의 후측으로 손으로 회전 가능한 판 형태의 회전부(79)로 이루어지는 작동볼트(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72)는 제1수용부(71) 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체(60)는 제2수용부(72)의 하측에서 인입될 수 있도록 선단에서 후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395A KR102179295B1 (ko) | 2019-07-29 | 2019-07-29 |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395A KR102179295B1 (ko) | 2019-07-29 | 2019-07-29 |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295B1 true KR102179295B1 (ko) | 2020-11-16 |
Family
ID=7368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395A KR102179295B1 (ko) | 2019-07-29 | 2019-07-29 |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29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862A (ja) * | 1998-02-09 | 1999-08-27 | Kuniyoshi Sugawara | 尺八の歌口 |
KR20050103036A (ko) * | 2004-04-23 | 2005-10-27 | 유연실 | 단소와 단소 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0416394Y1 (ko) * | 2005-12-23 | 2006-05-16 | 강행복 |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
KR20080001677U (ko) | 2006-12-06 | 2008-06-11 | 박견우 | 대금 |
JP4695225B1 (ja) * | 2010-08-30 | 2011-06-08 | 株式会社石森管楽器 | 楽器のリガチャー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395A patent/KR1021792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862A (ja) * | 1998-02-09 | 1999-08-27 | Kuniyoshi Sugawara | 尺八の歌口 |
KR20050103036A (ko) * | 2004-04-23 | 2005-10-27 | 유연실 | 단소와 단소 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0416394Y1 (ko) * | 2005-12-23 | 2006-05-16 | 강행복 |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
KR20080001677U (ko) | 2006-12-06 | 2008-06-11 | 박견우 | 대금 |
JP4695225B1 (ja) * | 2010-08-30 | 2011-06-08 | 株式会社石森管楽器 | 楽器のリガチャ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098033B (zh) | 一种排箫 | |
TWI652667B (zh) | 調整吹氣壓力的減音裝置及其轉接器、以及吹奏樂器 | |
US7678980B2 (en) | End blown flute having an acoustic air space | |
KR102179295B1 (ko) |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 |
US8822797B2 (en) | Continuous pitch wind musical instrument | |
US11749235B2 (en) | Instrument mouthpiece with curvilinear air flow disruption apparatus | |
US11538447B2 (en) | Instrument mouthpiece with air flow disruption apparatus | |
Fletcher | The physiological demands of wind instrument performance | |
KR20090005214U (ko) |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 |
KR101565252B1 (ko) | 음향 출력레벨 조절수단을 갖는 섹소폰 연습기구 | |
JP5848967B2 (ja) | 複数管オカリナ | |
US20230317036A1 (en) | Instrument with interior body walls having airflow disruption apparatus | |
US20140366703A1 (en) | Continuous pitch wind musical instrument and a composite string instrument and continuous pitch wind musical instrument | |
KR101041254B1 (ko) | 섹소폰 연습기구 | |
JP2545159Y2 (ja) |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 |
KR20120121600A (ko) | 관악기 | |
CN214847693U (zh) | 一种管乐器 | |
Dodge et al. | The acoustics of three Maori flutes | |
JP3242813U (ja) | 横笛の発音補助具 | |
JP6799866B2 (ja) | ファゴット | |
Wyman | An acoustical study of alto saxophone mouthpiece chamber design | |
KR102331567B1 (ko) | 개량 전통 관악기 | |
WO2006027819A1 (ja) | 唄口、接続管及びそれを有する管楽器 | |
WO2022173474A1 (en) | Instrument mouthpiece with curvilinear air flow disruption apparatus | |
JP2018120195A (ja) | 手のひらで音高を変えるオカリ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