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28B1 -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 Google Patents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28B1
KR101648328B1 KR1020160036537A KR20160036537A KR101648328B1 KR 101648328 B1 KR101648328 B1 KR 101648328B1 KR 1020160036537 A KR1020160036537 A KR 1020160036537A KR 20160036537 A KR20160036537 A KR 20160036537A KR 101648328 B1 KR101648328 B1 KR 10164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hole
nose
discharge hole
in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현
Original Assignee
장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현 filed Critical 장광현
Priority to KR102016003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63Oboes; Bassoons; Bagpip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2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hollow pipes, e.g. speaking tubes

Abstract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피리는,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가 유입공에서부터 몸체의 하단면까지 설치된다.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긴 통로가 형성되므로, 넓은 대역의 음폭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斷面績)의 변화로 인하여, 고음과 저음을 모두 생성할 수 있으므로, 풍부한 음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콧구멍이 향하는 방향과 유입공이 향하는 방향이 대략 평행을 이루고, 유입공이 통로의 수직 상측에 위치되므로, 콧바람이 용이하게 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유입공으로 유입된 콧바람이 용이하게 통로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센 콧바람이 통로로 유입되므로, 센 음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NOSE PIPE WITH IMPROVED SOUND QUALITY}
본 발명은 음폭과 음향 및 음의 세기를 향상시켜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에 관한 것이다.
코피리란 콧바람의 강약과 입벌림 모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음계를 연주하는 간이 악기이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2157호에 개시된 종래의 코피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코피리는 몸체(110)와 조절판(120)을 포함한다. 몸체(110)에는 유입공(111a)과 배출공(113a)과 함몰로(117)가 형성되고, 조절판(120)은 함몰로(117)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입공(111a)으로 유입된 콧바람이 배출공(113a)으로 전달되도록 함몰로(117)와의 사이에 밀폐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코, 입 및 인중을 코밀착구(111), 입밀착구(113) 및 인중밀착구(115)에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콧바람을 불면, 콧바람은 유입공(111a)을 통하여 상기 밀폐 통로로 유입된 후, 일부는 배출공(113a)을 통하여 배출되고, 일부는 입으로 유입된다. 이때, 콧바람의 세기와 입모양을 변화시켜 주면 원하는 음이 연주되고, 조절판(12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면 원하는 높이의 음이 연주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피리는, 유입공(111a)과 배출공(113a)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통로가 음향 통로의 기능을 하므로, 음향 통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다. 즉, 배출공(113a) 하측의 몸체(110)의 부위는 개방되어 음향 통로의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음향 통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다. 이로 인해, 생성할 수 있는 음폭이 좁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코피리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조절판(12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음의 높이를 결정한 다음 연주를 한다. 즉, 조절판(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음, 중음 또는 저음을 결정한 상태에서 코피리를 연주하므로, 결정된 음만 연주된다. 따라서, 풍부한 음향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입공(111a)이 몸체(110)의 후면에서 전면측을 향하여 형성되므로, 유입공(111a)이 향하는 방향과 콧구멍이 향하는 방향은 대략 수직을 이룬다. 그리고, 콧구멍이 위치되는 코밀착부(111)의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콧구멍에서 나오는 콧바람이 유입공(111a)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기 어려우므로, 음의 세기가 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폭, 음향 및 음의 세기를 포함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피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는, 후면 상측 부위에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코 부위가 밀착되고, 후면 하측 부위에는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콧바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이 형성되어 입 부위가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콧바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제1배출공 사이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단부가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어 콧바람이 통과하는 제1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통로 하측의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후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제1통로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과 연통되며 상측 부위는 상기 제1배출공 및 상기 제2배출공과 각각 연통된 함몰로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로는 상기 커버에 의하여 밀폐되어 상기 제1통로를 통과한 콧바람이 통과하는 제2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는,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가 유입공에서부터 몸체의 하단면까지 설치된다.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긴 통로가 형성되므로, 넓은 대역의 음폭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斷面績)의 변화로 인하여, 고음과 저음을 모두 생성할 수 있으므로, 풍부한 음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콧구멍이 향하는 방향과 유입공이 향하는 방향이 대략 평행을 이루고, 유입공이 통로의 수직 상측에 위치되므로, 콧바람이 용이하게 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유입공으로 유입된 콧바람이 용이하게 통로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센 콧바람이 통로로 유입되므로, 센 음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피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는 몸체(110)와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모서리가 라운딩진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후면 상측 부위에는 사용자의 코 부위가 밀착될 수 있고, 후면 중간 부위에는 사용자의 인중 부위가 밀착될 수 있으며, 후면 하측 부위에는 사용자의 입 부위가 밀착될 수 있다.
몸체(110)의 후면 상측 부위에서 하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코 부위, 인중 부위 및 입 부위가 밀착되므로, 몸체(110)의 후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몸체(110)의 전면과 점점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지게(도 4 참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의 후면 상측 부위에는 몸체(110)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11)에는 몸체(110)의 전면측 및 하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3)는 코끝과 코날개와 코밑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함몰부(113)의 하면에는 콧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공(115)은 몸체(110)의 상하방향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공(115)이 몸체(110)의 상하방항으로 형성되므로, 함몰부(113)에 코 부위를 밀착시켰을 때, 유입공(115)이 향하는 방향과 콧구멍이 향하는 방향이 평행을 이룰 수 있다. 그러면, 콧구멍에서 나온 콧바람이 원활하게 유입공(115)으로 유입되므로, 센 콧바람이 유입공(115)에 유입되어 음의 세기가 향상될 수 있다.
몸체(110)의 후면 하측 부위에는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콧바람이 배출되는 제1배출공(117)이 형성될 수 있고, 제1배출공(117)이 형성된 몸체(110)의 후면 부위에 입 부위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배출공(117)은 몸체(110)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50)는 몸체(1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측 부위에는 제1배출공(117)과 대향되게 제2배출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공(151)도 커버(15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콧바람은 제2배출공(151)으로도 배출될 수 있다.
몸체(110)의 내부 구성 및 커버(15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는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콧바람은 통로(131)를 통과하면서, 일부는 제1배출공(117)으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2배출공(151)으로 배출되며, 또 다른 일부는 몸체(110)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통로(131)는 제1통로(131a)와 제2통로(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로(131a)는 유입공(115)과 제1배출공(117) 사이의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부는 유입공(115)과 연통될 수 있다. 제1통로(131a)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제1통로(131a)는 밀폐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1통로(131a) 하측의 몸체(110)의 전면에는 후면측으로 함몰된 함몰로(118)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로(118)의 상단부는 제1통로(131a)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몸체(110)의 하면 외측과 연통되며, 상측 부위는 제1배출공(117) 및 제2배출공(151)과 각각 연통된다.
함몰로(118)는 전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함몰로(118)의 전면은 커버(150)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이때, 함몰로(118)와 커버(1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제2통로(131b)이다. 그러면, 제2통로(131b)의 상단부는 제1통로(131a)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몸체(110)의 하면 외측과 연통되며, 상측 부위는 제1배출공(117) 및 제2배출공(151)과 각각 연통된다. 그러므로,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콧바람은 제1통로(131a)를 통하여 제2통로(131b)로 유입되므로, 콧바람의 일부는 제1배출공(117)으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2배출공(151)으로 배출되며, 또 다른 일부는 몸체(110)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제2통로(131b)는 몸체(110)의 함몰로(118)와 커버(150)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제2통로(131b)로 유입된 콧바람이 몸체(110)와 커버(15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누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함몰로(118) 외측의 몸체(110)의 전면에는 함몰로(118)를 감싸는 형태로 제1삽입로(119a)가 형성되고, 커버(150)의 후면에는 제1삽입로(119a)에 삽입 결합되는 제1삽입레일(15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통로(131b)로 유입된 콧바람이 몸체(110)와 커버(15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몸체(110)와 커버(150)를 간편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함몰로(118)를 기준으로, 함몰로(118) 외측의 몸체(110)의 전면 테두리부측에는 제2삽입로(119b)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150)의 후면 테두리부측에는 제2삽입로(119b)에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레일(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삽입로(119a)의 하단부와 제2삽입로(119b)의 하단부는 상호 연통될 수 있고, 제1삽입레일(153)의 하단부와 제2삽입레일(155)의 하단부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통로(131a)와 제2통로(131b)로 구획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131)의 단면적(斷面績)이 좁으면 상대적으로 고음이 생성되고, 넓으면 상대적으로 저음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의 통로(131)는, 제1통로(131a)의 전후방향 폭(w1)이 제2통로(131b)의 전후방향 폭(w2) 보다 좁다. 그러면, 제1통로(131a)와 제2통로(131b)의 단면적 차이로 인하여 제1통로(131a)에서는 고음이 생성되고, 제2통로(131b)에서는 저음이 생성되므로, 풍부한 음향을 얻을 수 있다.
제1통로(131a)의 전후방향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유입공(115)과 연통되는 제1통로(131a)의 상단부의 폭이 넓으므로,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콧바람이 제1통로(131a)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함몰부(113)에 코 부위를 밀착시키고, 제1배출공(117)의 주위에 입 부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콧바람을 불면, 콧바람은 유입공(115)을 통하여 제1통로(131a)로 유입된다. 제1통로(131a)로 유입된 콧바람은 제2통로(131b)의 유입되며, 제2통로(131b)로 유입된 콧바람의 일부는 제1배출공(117)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배출되고, 콧바람의 다른 일부는 제2배출공(151)을 통하여 커버(150)의 전면으로 배출되며, 콧바람의 또 다른 일부는 제2통로(131b의 하단부를 통하여 몸체(110)의 하단부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콧바람의 세기와 입모양을 적절하게 변화시켜 주면 원하는 음이 연주된다.
제2통로(131b)는 좌우방향 폭이 균일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통로(131b)가 직선형이면, 바이브레이션(Vibration)이 짧으므로, 상대적으로 깨끗한 음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음이 생성되는 제2통로(131b)에서는 깨끗한 저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는 경량화를 위하여, 통로(131) 외측의 몸체(110)의 전면 부위는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는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131)의 길이가 유입공(115)에서부터 몸체(110)의 하단면까지이다. 이로 인해, 콧바람이 통과하는 통로(13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므로, 생성할 수 있는 음폭이 넓어질 수 있다.
그리고, 통로(131)의 단면적(斷面績)의 변화로 인하여, 고음과 저음을 모두 생성할 수 있으므로, 풍부한 음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입공(115)은 제1통로(131a)의 상단부 수직 상측에 위치되어 제1통로(131a)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콧바람이 제1통로(131a)로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센 콧바람이 제1통로(131a)로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음의 세기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에는 걸림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50)는 몸체(110)의 상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로(110a)(도 2 내지 도 3 참조)에 하측 부위가 삽입될 수 있다. 걸림구(50)의 하측 부위를 걸림로(110a)에 삽입한 상태에서, 몸체(110)에 커버(150)를 결합하면, 걸림구(50)가 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걸림구(50)의 상측 부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를 목 등에 걸어서 휴대하기 위한 끈 등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피리(100)는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피리(200)는 제1배출공(217)과 제2배출공(251)이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배출공(217) 하측의 제2통로(231b)는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공(217) 하측의 제2통로(231b)의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함몰로(218)를 중심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저음이 생성되는 제2통로(231b)가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면, 바이브레이션(Vibration)이 상대적으로 길다. 이로 인해, 더 낮은 저음이 생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피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결합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피리(300)는 제1배출공(317)과 제2배출공(351)이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공(317)의 상측 부위와 좌측 부위와 우측 부위 및 하측 부위를 포함한 모든 외측 부위는 제2통로(331b)의 상측 부위에 의하여 감싸일 수 있고, 제2배출공(351)의 상측 부위와 좌측 부위와 우측 부위 및 하측 부위를 포함한 모든 외측 부위는 제2통로(331b)의 상측 부위에 의하여 감싸일 수 있다. 그러면, 제1통로(331a)에서 제2통로(331b)로 유입된 콧바람이 소용돌이를 일으키므로, 긴 저음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공(317)의 수직 하측에 위치되는 몸체(310)의 부위는 몸체(310)의 후면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통로(331b)의 부위 중, 제1배출공(317)의 수직 하측에 위치된 제2통로(331b)의 전후방향 폭(W21)은 제2통로(331b)의 다른 부위의 전후방향 폭(W22) 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러면, 제2통로(331b)의 단면적의 변화로 인하여, 제1통로(331a)에서 제2통로(331b)로 유입된 콧바람이 더욱 소용돌이를 일으키므로, 더욱 긴 저음이 생성될 수 있다.
제1배출공(317) 및 제2배출공(351)을 감싸는 제2통로(331b)의 상측 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공(317) 하측의 제2통로(331b)의 하측 부위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균일하거나,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몸체
118: 함몰로
119a, 119b: 제1삽입로, 제2삽입로
131: 통로
131a: 제1통로
131b: 제2통로
150: 커버
153: 155: 제1삽입레일, 제2삽입레일

Claims (8)

  1. 후면 상측 부위에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코 부위가 밀착되고, 후면 하측 부위에는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콧바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이 형성되어 입 부위가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콧바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제1배출공 사이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단부가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어 콧바람이 통과하는 제1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통로 하측의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후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제1통로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과 연통되며 상측 부위는 상기 제1배출공 및 상기 제2배출공과 각각 연통된 함몰로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로는 상기 커버에 의하여 밀폐되어 상기 제1통로를 통과한 콧바람이 통과하는 제2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로 외측의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함몰로를 감싸는 형태로 제1삽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제1삽입로에 삽입 결합되는 제1삽입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제2배출공은 대향하고,
    상기 제2통로는 좌우방향 폭이 균일한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제2배출공은 대향하고,
    상기 제1배출공 하측의 상기 제2통로는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공 하측의 상기 제2통로의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제2배출공은 대향하고,
    상기 제1배출공 및 상기 제2배출공의 외측 부위는 상기 제2통로의 상측 부위에 의하여 감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공 및 상기 제2배출공을 감싸는 상기 제2통로의 상측 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 하측의 상기 제2통로의 하측 부위는 하측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균일하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공의 수직 하측에 위치된 상기 몸체의 부위는 상기 몸체의 후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2통로의 부위 중, 상기 제1배출공의 수직 하측에 위치된 상기 제2통로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제2통로의 다른 부위의 전후방향 폭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로를 기준으로, 상기 함몰로 외측의 상기 몸체의 전면 테두리부측 및 상기 커버의 후면 테두리부측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로 및 제2삽입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로의 하단부와 상기 제2삽입로의 하단부는 연통되며,
    상기 제1삽입레일의 하단부와 상기 제2삽입레일의 하단부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피리.
  8. 삭제
KR1020160036537A 2016-03-28 2016-03-28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KR10164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537A KR101648328B1 (ko) 2016-03-28 2016-03-28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537A KR101648328B1 (ko) 2016-03-28 2016-03-28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328B1 true KR101648328B1 (ko) 2016-08-12

Family

ID=5671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537A KR101648328B1 (ko) 2016-03-28 2016-03-28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702B1 (ko) 2021-06-18 2022-07-20 장광현 사용자의 정확한 파지유도가 가능한 고리 및 로프타이 겸용 코피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835B1 (ko) * 2015-07-06 2015-08-19 장광현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835B1 (ko) * 2015-07-06 2015-08-19 장광현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702B1 (ko) 2021-06-18 2022-07-20 장광현 사용자의 정확한 파지유도가 가능한 고리 및 로프타이 겸용 코피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64769U (zh) 用于管乐器的吹嘴簧片
US5086726A (en) Whistle
US7326840B2 (en) Mouth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JP3563046B2 (ja) ホイッスル
KR101648328B1 (ko)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KR100922157B1 (ko) 음 조절이 가능한 코피리
KR101545835B1 (ko)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KR200480609Y1 (ko) 음을 생성할 수 있는 음통로부재를 구비한 코피리
US20070144330A1 (en) Enhanced resonator for banjo or other musical instrument
KR200480560Y1 (ko)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KR20170000261U (ko) 고음과 저음을 생성할 수 있는 음통로부재를 구비한 코피리
JP4052946B2 (ja) ハーモニカコーム
KR101545823B1 (ko)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피리
KR102050693B1 (ko) 듀얼 소리홀을 갖는 오카리나
KR20220130816A (ko) 개량 하모니카
US7265286B1 (en) Harmonica
US894778A (en) Mouth-accordion.
EP2416312B1 (en) Whistle with finger grip
KR101812481B1 (ko)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JPH05197370A (ja) フルートの歌口
Saenger Regime-change-induced modification of jet flow in flute-like instruments with a hysteresis region
CN110288963A (zh) 共振系统和包括共振系统的弦乐器
US20230090968A1 (en) Air reed instrument
Fabre et al. How do flute players adapt their control to modifications of the flute bore?
JPH01207796A (ja) リ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