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982Y1 -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 Google Patents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7982Y1 KR890007982Y1 KR2019850008689U KR850008689U KR890007982Y1 KR 890007982 Y1 KR890007982 Y1 KR 890007982Y1 KR 2019850008689 U KR2019850008689 U KR 2019850008689U KR 850008689 U KR850008689 U KR 850008689U KR 890007982 Y1 KR890007982 Y1 KR 8900079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trument
- wind
- mouthpiece
- inlet hole
- lip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국악관악기 1´: 취구부
2 : 보조 취구체 3 : 유입구멍
4,4´: 입술안치요입홈 5 : 턱접지부
6 : 구멍 7 : 차단벽
본 고안은 단소나 퉁소등의 새로로 쥐고 부는 관악기의 연주를 단기에 숙달시킬수 있도록 한 개량 국악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단소나 퉁소등 세로로 쥐고 부는 악기의 고유 음색은 건반 악기나 타악기 및 현악기와는 달리 상, 하 입술을 모아 부는 바람의 진도에 의하여 음률을 나타내는 악기인 만큼 높고 좋은 음률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소리가 가장 잘 발생될수 있도록 관악기의 취구(吹口)에 상, 하 입술을 정확하게 갖다 대어야 하고 상, 하 입술로 부는 바람의 허실이 적어야 함이 요구된다.
종래의 국악관악기는 위구 온통 개방된 상태여서 초보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가장 힘들어 하고 어려워 하는 것은 바람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입술이 자욱이 날 정도로 입술과 턱을 취구에 바짝붙여 악기를 쥐고 운지(運指)해야 되는 것과 유입구멍의 바른 위치를 찾기 위하여 전문가들도 혀끝을 내밀어서 확인하는 등 소리가 가장 잘날수 있는 관악기의 취구에 정확하게 상,하 입술을 위치시키는 일이다.
따라서 초, 중, 고의 교사들이 우리나라 전래의 국악기를 학생들에게 보급시키고자 하여도 비교적 쉽다고 하는 단소등 세로로 쥐고 부는 국악기마저도 그 소리내가 여간 어렵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배우려는 의욕을 중도에서 잃어버리기가 일쑤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악기 고유의 음색이나 연주법에 변화를 주지 않고 쉽게 소리를 낼수 있도록 하여 악기 공부의 초기 과정을 단축시키고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를 높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 국악관악기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중간에 뚫은 길쭉한 유입구멍(3) 양측으로는 입술안치요입홈(4)(4')을 요설하고 이의 하방은 약간 경사상으로 삭설하여 턱점지부(5)를 형성하는 한편 유입구멍(3)의 하방에는 구멍(6)이 형성되게 차단벽(7)을 형성한 보조취구체(2)를 기존의 국악관악기(1)의 취구부(1')에 끼워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보조 취구체(2)의 유입구멍(3)이 기존 국악관악기(1)의 취구부(1')의 유입구멍과 일치되게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 취주코져 입술을 입술안치요입홈(4)(4')에 갖다 대기만 하면 절로 불기 양호한 상태로 입술을 위치시켜 주면서 경사상으로 형성된 턱접지부(5)는 턱의 경사상으로 접속되어 악기를 몸과 45°정도의 각도로 자연스럽게 불기 좋은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입술에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입술의 자연스러운 진동이 용이하고, 또한 차단벽(7)을 형성하여 바람의 허실을 방지되게 하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힘을 들어 불지 않더라도 안전된 음정의 소리를 용이하게 발항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술이 작은 어린이도 쉽게 불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는 방법의 학습과정을 단시간에 끝내고 다음 학습단계인 악기를 가벽게 쥐고 운지하는 과정을 바로 배울수 있게 되므로 악기의 숙달과정을 대폭적으로 단출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상부 중간에 뚫은 길쭉한 유입구멍(3) 양측으로는 입술안치요입홈(4)(4')을 요설하고 이의 하방은 약간 경사상으로 삭설하여 턱접지부(5)를 형성하는 한편 유입구멍(3)의 하방엔느 구멍(6)의 형성되게 차단벽(7)을 형성한 보조취구체(2)를 기존의 국악관악기(1)의 취구부(1')에 끼워 고정시켜서 된 개량국악관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50008689U KR890007982Y1 (ko) | 1985-07-09 | 1985-07-09 |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50008689U KR890007982Y1 (ko) | 1985-07-09 | 1985-07-09 |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2797U KR870002797U (ko) | 1987-03-18 |
KR890007982Y1 true KR890007982Y1 (ko) | 1989-11-18 |
Family
ID=1924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50008689U KR890007982Y1 (ko) | 1985-07-09 | 1985-07-09 |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7982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931U (ko) | 2019-02-25 | 2020-09-02 | 노재춘 | 단소의 취구 구조 |
-
1985
- 1985-07-09 KR KR2019850008689U patent/KR89000798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2797U (ko) | 1987-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75270B2 (en) | Transverse whistle flute and method of playing | |
US5027685A (en) | Woodwind instrument | |
KR890007982Y1 (ko) |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 |
KR100828997B1 (ko) | 티자형 오카리나 | |
KR200435519Y1 (ko) | 오카리나 | |
Stanley | Your voice: Applied science of vocal art | |
KR100798393B1 (ko) | 오카리나 | |
US9613601B1 (en) | Minawi straw | |
CN215730823U (zh) | 一种小提琴弱音辅助器 | |
KR910006531Y1 (ko) | 개량 국악 관악기(國樂 管樂器) | |
Thompson | Extended techniques for the horn: an historical overview with practical performance applications | |
Myers | The Mary Rose'Shawm' | |
CN201435204Y (zh) | 高八度bE调萨克斯管 | |
RU54U1 (ru) | Духовой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 |
US1284280A (en) | Musical wind instrument. | |
CN108109607A (zh) | 单簧管 | |
CN206224983U (zh) | 一种内锥管式管乐器 | |
RU1763U1 (ru) | Духовой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 |
JACKMAN | EARLY CLARINET PEDAGOGY FOR MODERN PERFORMERS PART III: ARTICULATION | |
Chenoweth | THE MARIMBA COMES INTO ITS OWN. | |
KR20050037282A (ko) | 연주하기 용이한 기타 | |
KR20200001931U (ko) | 단소의 취구 구조 | |
JPS629394A (ja) | ゴム笛 | |
KR200296925Y1 (ko) |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 |
KR200216471Y1 (ko) | 현악기 활긋기 교정용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