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925Y1 -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 Google Patents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925Y1
KR200296925Y1 KR2020020022853U KR20020022853U KR200296925Y1 KR 200296925 Y1 KR200296925 Y1 KR 200296925Y1 KR 2020020022853 U KR2020020022853 U KR 2020020022853U KR 20020022853 U KR20020022853 U KR 20020022853U KR 200296925 Y1 KR200296925 Y1 KR 200296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e
sound
block
airway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용
Original Assignee
권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용 filed Critical 권형용
Priority to KR2020020022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925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소의 취구(2)와 라비움(3) 사이에 블럭(4)을 삽입시켜, 기도(7)를 만들어준 뒤 기도를 통해 보다 쉽게 소리를 내기 위한 것이다. 기도(7)를 통과한 바람은 빗각(5, 6)을 거쳐 정확히 라비움(3)에서 내관과 외경으로 양분돼 소리를 내는 방식이다.

Description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omitted}
본 고안은 단소의 라비움(3)과 취구(2) 사이에 블럭(4)을 삽입시킨 후 블럭면 상단과 내경 사이에 기도(7)를 만든 뒤 이 기도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소리가 나도록 설계된 것이다.
종래의 단소는 취구(2)에 라비윰(3)이 같이 있으므로 소리내기가 어려운게 문제점이였다. 원만한 단소음을 내기 위해서는 약 6개월의 소리내기 연습이 필요하다고 한다. 초보자는 단소를 잡는 팔의 자세, 각도, 입술의 열린형태, 바람의 강약조절 등 이 모든 동작 하나 하나가 잘 이루워져야만 소리가 나기 때문에 입 안의 혀밑에 풀잎이나 휴지를 대고 바람부는 연습이나 거울을 보면서 바람이 나가는 입술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연습을 해야만 소리를 낼 수 있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블럭과 내경 사이에 기도를 형성시킨 뒤 기도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나게 하는 원리다. 그러나 소리란 모두가 좋은 음으로 우리의 귀에 들리는건 아니다. 소리도 아름답지 못하면 소음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어떻게 전통 단소음에 가장 가까운 음색을 찾아내는가에 있다. 이 과정에서 빗각(5, 6) 원리를 이용했다. 즉, 빗각(5)은 아랫입술, 빗각(6)은 윗입술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전통단소와 같이 취구(2)와 라비움(3)에 바로 입술을 대고 부는 기능을 하도록 해 전통 단소의 음색을 만들 수 있는데 착안한 것이다. 이 빗각의 각도를 어느 기준에 맞추느냐에 따라 음색과 음폭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도 1은 종래 단소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블럭을 삽입한 단소의 사시도
도 3은 취구와 라비움 사이에 삽입할 블럭의 사시도
도 4은 블럭을 삽입시킨 단소의 단면도
도 5은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6은 기도를 통한 바람이 라비움에서 양분되면서 소리를 내는 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취구
3. 라비움 4. 블럭
5. 빗각 6. 빗각
7. 기도
본 고안의 단소는 취구(2)와 라비움(3) 사이의 원통내경에 기도를 만들수있도록 홈을 만든뒤 홈의 끝에서 단소의 외경을향해 빗각(6)을 만들어준다. 이곳 즉 취구(2)와 라비움(3)사이에 빗각(5)처리된 블럭(4)을 삽입시키면 일정한 양의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기도(7)가 만들어진다.
기도(7)를 통과한 바람은 라비움(3)에서 단소의 내관과 외경으로 정확히 배분이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배분시 마찰음에 의해 소리가나게되며 이소리는 단소의긴하부내관을 통과하면서 음의 증폭에 의해 단소음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빗각(5.6)의 기능이다. 기도(7)를 통과한 바람이 라비움(3)에서 정확한 배분이 이루워지도록 빗각(5)은 아랫입술 빗각(6)은 윗입술의 기능을 하며 또한 전통 단소의 연주시 취구(2)에 바로닿는 입술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본 블록 삽입식 단소는 사전에 소리내는 연습을 할 필요가 없는게 특징이다. 5세 이상의 어린이라면 누구라도 기도(7)에 바람만 불어 넣어주면 호루라기 부는 것처럼 쉽게 소리가 나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음역대의 단소를 만들 수가 있다. 즉, 소프라노, 알토, 베이스처럼 다양한 음색을 지닌 악기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우리의 전통 음악을 보다 다양한 음색으로 연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소재 또한 자연 목재나 플라스틱 모두 가능하므로 생산성을 높이고 단가는 낮출 수가 있으며 외관의 모양도 어린이와 신세대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이 가능하다.

Claims (1)

  1. 취구(2)와 라비움(3)사이에 블럭(4)을 삽입시켜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기도(7)를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한 블럭삽입식 단소.
KR2020020022853U 2002-07-30 2002-07-30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KR200296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53U KR200296925Y1 (ko) 2002-07-30 2002-07-30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53U KR200296925Y1 (ko) 2002-07-30 2002-07-30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925Y1 true KR200296925Y1 (ko) 2002-12-05

Family

ID=7312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853U KR200296925Y1 (ko) 2002-07-30 2002-07-30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9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473A1 (en) Mouthpiece for a wind instrument
US7667118B1 (en) Mouthpiece for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TWI652667B (zh) 調整吹氣壓力的減音裝置及其轉接器、以及吹奏樂器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US4041827A (en) Tone enhancing device for reed type musical instruments
KR200296925Y1 (ko) 블럭 삽입식 개량 단소
US6031168A (en) Practice bagpipe chanter
CN217847424U (zh) 双簧管哨片稳定器
US5796022A (en) Helical air path induction in wind instruments
KR20120121600A (ko) 관악기
KR101565252B1 (ko) 음향 출력레벨 조절수단을 갖는 섹소폰 연습기구
Hopkin Membrane reeds: Indonesia and Nicasio
Lawson The Chalumeau in the works of Fux
CN203870963U (zh) 一种bE调中音萨克斯啦叭口
JP3240035U (ja) 音響改善リング
JP2545159Y2 (ja)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KR20090077505A (ko) 리코더
CN2507103Y (zh) 竖篪
CN100527221C (zh) 巴芦笛
KR200497968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CN218069328U (zh) 一种便携式卡祖笛
CN212380098U (zh) 一种泛音笛
US11769474B2 (en) Flute head joint, method of producing a flute head joint and flute
KR200256916Y1 (ko) 개량형 피리
KR20230171129A (ko)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