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315Y1 -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 Google Patents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315Y1
KR200474315Y1 KR2020130003109U KR20130003109U KR200474315Y1 KR 200474315 Y1 KR200474315 Y1 KR 200474315Y1 KR 2020130003109 U KR2020130003109 U KR 2020130003109U KR 20130003109 U KR20130003109 U KR 20130003109U KR 200474315 Y1 KR200474315 Y1 KR 200474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lue
sound
holes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종
Original Assignee
임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종 filed Critical 임성종
Priority to KR2020130003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 G10D9/047Valves; Valve controls for wood wind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입김을 불어넣는 취구; 청을 붙여 떨림음을 발생하는 청공;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아 음계를 조절하는 6개의 지공; 음을 조절하기 위한 칠성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구, 청공 및 6개의 지공 중 제2지공부터 제6지공은 대금의 축과 평행한 대금 상부의 일직선상에 천공되고, 제1지공은 상기 일직선상이 아닌 대금 하부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대금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전통대금의 지공의 위치를 인체의 손 구조에 맞도록 변경함으로써 대금을 장시간 연주하여도 손의 피로를 감소하게 하면서도 청아한 전통대금의 음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인들이 쉽게 대금을 배울 수 있도록 하여 대금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Improved Korean Flute for easy playing}
본 고안은 개량대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대금의 일부 지공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연주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전통대금과 동일한 음을 낼 수 있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통대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통대금은 젓대 또는 만파식적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신라시대부터 전해온 유서깊은 목관악기로서 청아하고 깊은 음색을 낼 수 있는 악기이다.
대금은 삼국사기에 중금·소금과 함께 신라 삼죽(三竹)이라 하여 그 어휘가 처음 보이며, 재료로는 여러 해묵은 황죽(黃竹)을 이용하였으나 현재에는 쌍골죽(雙骨竹)을 즐겨 쓴다. 음역은 2옥타브 반 정도에 이르며, 음색은 저취(低吹,저음을 내기 위하여 여리게 부는 것)에서는 폭넓고 부드러운 소리, 평취(平吹, 중간 정도의 세기로 부는 것)에서는 맑은 소리, 역취(力吹, 세게 부는 것)에서는 꿋꿋한 느낌의 장쾌한 소리 등을 지니고 있으며 그 변화가 다양하여 독주악기로 애용된다.
대금의 종류에는 정악대금과 이보다 장2도 정도 높은 소리를 내는 산조대금(시나위대금)이 있는데, 길이는 정악대금이 80cm 안팎이고 산조대금은 70cm정도 된다.
대금은 한쪽 끝이 막혀 있고 막힌 쪽에 입김을 불어넣는 취구가 하나 뚫려 있다. 손가락으로 짚어 음계를 조절하는 구멍인 지공은 총 여섯 개가 있고, 취구 반대편 끝자락에는 음을 조절하기 위해서 손으로 짚지 않는 칠성공을 판다. 칠성공은 악학궤범에 따르면 다섯 개 파는 것이 원칙이라 되어 있으나 요즘은 한 개나 두 개만 판다.
취구와 지공 사이에는 청공이라는 구멍이 하나 더 있다. 이 청공에는 '청'이라고 해서 갈대 속에서 채취한 얇은 막을 팽팽하게 붙여 놓는데, 고음을 불면 이 청이 진동하면서 대금 특유의 호쾌한 소리가 난다. 청은 아주 얇아서 잘 찢어지기도 하거니와 청을 과도하게 울리면 청이 늘어지거나 닳아서 소리가 영 좋지 않아지기 때문에 대금의 청공 위에는 금속으로 만든 청가리개를 씌운다. 청가리개로 청공을 얼마나 가리느냐에 따라서 청소리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청가리개를 많이 열어놓을수록 청소리가 커진다.
연주법은 취구 쪽 끝을 왼쪽 어깨에 얹은 다음 악기를 땅과 수평이 되게 잡는다. 고개를 왼쪽으로 돌려 살짝 숙여 취구에 입술을 대고, 양팔은 땅과 수평이 되게 들고 왼손 검지/중지/약지로 각각 제1, 2, 3공, 오른손 검지/중지/약지로 각각 제4,5,6공을 짚는다. 실제로 해 보면 고개도 아프고 팔도 많이 뻗어야 하고 지공 사이가 멀어서 손가락도 많이 벌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힘든 자세이다. 직접 해보면 고개가 왼쪽으로 90도 돌아가고 손목도 90도로 굽혀야 하기 때문에 관절에 무리가 올 때도 있다. 초심자들은 목 근육에 염증이 생기거나 손목에 건초염이 걸리기도 하고, 특히 손이 작거나 유연하지 못한 사람은 처음 배울 때 매우 고생을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통대금은 일반인들이 쉽게 배워 연주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금은 가로로 부는 전통악기 중 가장 큰 악기로서 지공과 지공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 대금의 운지법이 어렵다. 특히 손이 작거나 유연성이 떨어지는 사람은 대금을 연주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대금에 대한 일반인들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서양악기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최선의 악기가 되도록 변신을 거쳐 오늘날에 전수되었다. 그러나 국악기는 그에 비해 과거의 악기에 대한 체계적인 개선이 부족하여 과거의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통대금의 일부 지공의 위치를 인체의 손구조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손목과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청아한 전통대금의 음은 그대로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량대금은 입김을 불어넣는 취구; 청을 붙여 떨림음을 발생하는 청공;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아 음계를 조절하는 6개의 지공; 음을 조절하기 위한 칠성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구, 청공 및 6개의 지공 중 제2지공부터 제6지공은 대금의 축과 평행한 대금 상부의 일직선상에 천공되고, 제1지공은 상기 일직선에서 벗어난 대금 하부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공은 전통대금의 음과 동일하도록 취구와 제2지공로부터의 거리를 유지하여 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공과 동일 원주 상의 대금 상부에 추가로 천공된 제7지공; 상기 제1지공이나 상기 제7지공 중 어느 하나를 밀착하여 막기 위한 신축성 있는 마개와; 상기 마개와 상기 대금 몸체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마개끈을 포함하며, 상기 제7지공은 상기 취구와 제2지공 내지 제6지공과 일직선상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통대금의 일부 지공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대금을 장시간 연주하여도 손의 피로를 감소하게 하면서도 청아한 전통대금의 음은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또한, 일반인들이 쉽게 대금을 배울 수 있도록 하여 대금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통대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통대금의 운지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대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대금의 운지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대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통대금의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취구(7), 청공(8), 청가리개(9),지공(1~6), 칠성공(10)으로 구성된다
취구(7)는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곳이다. 청공(8)은 갈대속으로 만든 청을 붙여 떨림음을 발생하며, 청가리개(9)는 청공(8)을 덮어서 청공(8)의 청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청울림 소리를 조절하기 한 것이다. 지공(1~6)은 손가락으로 막고 떼는 방법으로 음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구멍으로 6개가 있다. 칠성공(10)은 대금의 정확한 음정을 잡기 위해 뚫으며 연주시 사용되지는 않는다.
도 2는 전통대금의 운지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통대금의 제1지공(1), 제2지공(2), 제3지공(3)은 각각 왼손 검지, 왼손 중지, 왼손 약지가 운지를 담당하고, 제4지공(4), 제5지공(5), 제6지공(6)은 오른손 검지, 오른손 중지, 오른손 약지가 담당한다.
대금은 오른쪽 가로로 비껴들고 취구(7)에 입술을 대고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상기 취구(7), 청공(8), 지공(1~6), 칠성공(10)은 대금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부표면의 일직선상에 천공하게 된다. 대금의 제작과정에서는 작업틀에 대금을 고정하고 먹줄을 튕겨서 일직선을 표시하고 그 선상에 취구(7), 청공(8), 지공(1~6), 칠성공(10)을 간격에 맞추어 천공하게 된다. 상기 취구(7), 청공(8), 지공(1~6), 칠성공(10)은 연주시 하늘방향을 향하게 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대금의 둥근 단면을 기준으로 연주시 하늘을 향하게 되는 반원 부분을 대금의 상부, 나머지 땅을 향하게 되는 반원 부분을 대금의 하부로 구분하겠다.
관악기의 원리는 관을 채우고 있는 공기가 진동하면서 악기 고유의 소리가 나는 것이며, 음의 높낮이는 악기를 구성하는 관의 길이에 따라 좌우된다. 관의 길이는 관을 따라 뚫린 여러 개의 구멍을 손가락으로 열거나 닫아 관 속에서 진동하는 공기 기둥의 길이를 달라지게 함으로써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관악기의 원리에 따르면 지공(1~6)이 취구(7)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여 공기기둥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 지공(1~6)을 대금의 상부나 하부의 어디에 천공하는가에 관계없이 취구(7)로부터의 거리만 동일하다면 동일한 음을 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취구(7)로부터 지공(1~6)까지의 거리는, 취구(7)의 중심을 대금의 축에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원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지공(1~6)의 중심을 대금의 축에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원단면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전통대금과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량대금의 대나무 재질, 굵기, 길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개량대금의 취구(7)로부터 개량대금의 제1지공(1')까지의 거리(L')가 전통대금의 취구(7)로부터 제1지공(1)까지의 거리(L)와 동일할 경우, 대금 속에서 진동하는 공기기동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개량대금의 제1지공(1')과 전통대금의 제1지공(1)은 동일한 음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악서 악학궤범에 따르면 상기 취구(7)로부터 상기 청공(8)까지의 거리는 5치 9푼, 청공(8)부터 제1지공(1)까지는 4치 1푼, 제1지공(1)부터 제2지공까(2)지는 1치 3푼 등으로 수치가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악학궤범의 수치에 따를 경우 본 고안에 따른 개량대금의 제1지공(1')은 취구(7)로부터 10치, 청공(8)으로부터는 4치1푼, 제2지공(2)으로부터는 1치3푼의 거리에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운지하기 편안한 대금 하부에 천공하면 된다.
전통대금의 6개의 지공(1~6), 취구(7), 청공(8), 칠성공(10)은 모두 대금 상부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과는 다르게, 본 고안에 따른 개량대금은 제1지공(1')을 대금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경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 자연스럽게 쥐어지는 방향에 따라 왼손엄지로 제1지공(1')이 운지가 되기 때문에 연주가 매우 편안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대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대금에 익숙한 연주자와 종래의 전통대금에 익숙한 연주자 모두를 위하여 제1지공(1')에 추가하여 제7지공(11)을 상부에 천공하고 필요시 제1지공(1')이나 제7지공(11)의 어느 하나의 지공을 막을 수 있는 신축성 있는 마개(미도시)를 이용할 경우, 하나의 대금으로 도 2에 도시된 전통대금의 운지법과 도 4에 도시된 개량대금의 운지법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제7지공(11)은 개량대금의 제1지공(1')과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며, 전통대금의 제1지공(1)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전통대금에 익숙한 연주자를 위하여 개량대금의 제1지공(1')을 막거나, 개량대금에 익숙한 연주자를 위하여 제7지공(11)을 막아서 연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개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등 신축성이 있어 지공의 공기를 밀폐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한다. 마개는 마개끈으로 개량대금의 제1지공(1') 근방이나 대금 끝부분에 원으로 둘러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7지공(11)이나 제1지공(1') 중 어느 하나를 접착성 있는 테이프로 막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대다수의 연주자가 운지의 어려움을 느끼는 전통대금의 제1지공(1)의 위치를 대금의 상부에서 하부로 변경하는 대금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으나, 연주자의 필요에 맞게 운지가 어려운 지공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의 운지가 어려울 경우 제4지공(4)의 위치를 하부에 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퉁소, 단소 등 다른 관악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 전통대금의 제1지공 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공
2~6 : 제2지공 ~ 제6지공
7 : 취구 8 : 청공
9 : 청가리개 10 : 칠성공
11 :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7지공

Claims (6)

  1. 입김을 불어넣는 취구;
    청을 붙여 떨림음을 발생하는 청공;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아 음계를 조절하는 6개의 지공; 및
    음을 조절하기 위한 칠성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구, 청공 및 6개의 지공 중 제2지공부터 제6지공은 각각 왼손 검지, 왼손 중지, 오른손 검지, 오른손 중지, 오른손 약지로 운지할 수 있도록 대금의 축과 평행한 대금 상부의 일직선상에 천공되고, 제1지공은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운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일직선에서 벗어난 대금 하부에 천공되며, 상기 취구로부터 상기 제1지공까지의 거리는 전통대금의 취구로부터 제1지공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공은 취구로부터 10치, 청공으로부터 4치 1푼, 제2지공으로부터 1치3푼의 거리의 대금 하부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공과 동일 원주 상의 대금 상부에 추가로 천공된 제7지공;
    상기 제1지공이나 상기 제7지공 중 어느 하나를 밀착하여 막기 위한 신축성 있는 마개; 및
    상기 마개와 상기 대금 몸체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마개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7지공은 상기 취구와 제2지공 내지 제6지공과 대금 상부의 일직선 상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KR2020130003109U 2013-04-22 2013-04-22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KR200474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109U KR200474315Y1 (ko) 2013-04-22 2013-04-22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109U KR200474315Y1 (ko) 2013-04-22 2013-04-22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315Y1 true KR200474315Y1 (ko) 2014-09-16

Family

ID=520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109U KR200474315Y1 (ko) 2013-04-22 2013-04-22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302A (zh) * 2017-12-18 2018-05-01 许昌学院 具有笛膜保护件的笛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73Y1 (ko) * 2002-10-24 2003-02-06 임재원 개량된 정악대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73Y1 (ko) * 2002-10-24 2003-02-06 임재원 개량된 정악대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302A (zh) * 2017-12-18 2018-05-01 许昌学院 具有笛膜保护件的笛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2862A1 (en) Bow hold training device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KR101886770B1 (ko) 식압 조정 약음 장치, 및 그 어댑터
KR200474315Y1 (ko)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US6777600B2 (en)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TWI406265B (zh) Flute
US20050204893A1 (en) Plectrum
US20060223675A1 (en) Blowing device
Griffin Buzz to Brilliance: a beginning and intermediate guide to trumpet playing
Ely et al. Wind talk for brass: A practical guide to understanding and teaching brass instruments
Wittry Baton basics: Communicating music through gestures
Fox Essentials of brass playing
US8686267B2 (en) Brass instrument practice device
JP3175916U (ja) 練習用尺八
US20180286270A1 (en) Violin training apparatus and process
US9613601B1 (en) Minawi straw
Rebbeck A Practical Guide for Teaching the Saxophone to Beginners
Montagu How old is music?
JP2015225337A (ja) 片手オカリナ
CN219225881U (zh) 一种木管乐器辅助套筒
CN204706331U (zh) 一种手笛
KR102504049B1 (ko) 단소
KR20090006663U (ko) 응원용 도구
US20150279344A1 (en) Bird Whistle
CN207397688U (zh) 一种24孔小调口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