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663U - 응원용 도구 - Google Patents

응원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663U
KR20090006663U KR2020070020931U KR20070020931U KR20090006663U KR 20090006663 U KR20090006663 U KR 20090006663U KR 2020070020931 U KR2020070020931 U KR 2020070020931U KR 20070020931 U KR20070020931 U KR 20070020931U KR 20090006663 U KR20090006663 U KR 20090006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ring
air
detachable frame
tool
trum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익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편안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편안세상 filed Critical (주)에스피편안세상
Priority to KR2020070020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663U/ko
Publication of KR20090006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도구는, 착탈 프레임과, 탄성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인해 나선형으로 말린 주머니 형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진 권취부, 리드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탈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고정 결합된 나팔부 및, 공기 주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의 응원용 도구와는 전혀 다른 구성 및 기능을 갖춤으로써 응원시 전혀 새로운 느낌의 응원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강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를 동시에 겸비함으로써 주목을 유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응원용 도구 {AN INSTRUMENT FOR CHEERING}
본 고안은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스포츠 경기, 대항전 등 응원을 필요로 하는 행사에 임하여 응원전을 보다 화려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종 응원용 도구 중, 응원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형태의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대항전 형식의 스포츠 경기는 물론, 각종 구기 종목이나 기록 경기 등을 불문하고, 자신이 응원하는 팀 또는 선수 개인의 용기, 자신감 등을 북돋움으로써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하게 하여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경기에 참여하지 않는 관중의 입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응원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응원에는, 다수의 군중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 내는 카드섹션, 파도타기 등의 단체 응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개별적 응원이 있을 수 있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응원을 보다 눈에 띄고 화려하게 하기 위한 도구로서 각종 응원용 도구가 사용되고는 한다.
앞서 언급한 카드 섹션에서 사용되는 카드의 경우 시각적인 응원용 도구의 일종이며, 응원하는 팀의 구성원들이나 선수 개개인의 의욕을 북돋기 위한 문구가 적혀진 피켓, 팀을 상징하는 마스코트 인형, 가면 등이 시각적 응원용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강한 소리를 내는 나팔 등은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어온 청각적인 응원용 도구이며, 최근 십수년간 크게 유행한 막대 풍선의 경우도, 공기가 가득 넣어진 막대 형태의 풍선을 상호 부딪히며 발생하는 타격음을 이용해 응원을 한다는 점에서 청각적 요소가 강한 응원용 도구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응원용 도구는 시각, 청각적 자극을 이용하여 응원을 보다 눈에 띄고 화려하게 만드는 역할을 해왔는데, 최근 들어서도 새로운 응원용 도구를 개발해내려는 시도 등이 계속되고 있기는 하나,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들만이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전혀 새로운 형태의 응원용 도구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응원용 도구는 시각이나 청각 어느 한쪽에 치우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양 측면을 동시에 부각시켜 보다 효과적이고 화려한 응원용 도구는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본 고안은, 종래 제공되어 오던 응원용 도구와는 그 개념 및 구조가 전혀 상이한, 전혀 새로운 형태의 응원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가 동시에 강하게 발현되어 서로 어우러질 수 있는 응원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도구는, 통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통로가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헤어밴드, 선바이저 등과 같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부에 닿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외측면을 구비한 착탈 프레임과, 금속 등 고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우수한 형태 복원력을 지닌 나선형 탄성 와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내측면에 결합된 긴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주머니 내부 공간의 공기압이 높아지는 경우 상기 탄성 와이어와 함께 펼쳐져 막대형의 긴 주머니 형태가 되며, 내부 공간의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인해 나선형으로 말린 주머니 형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진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로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관통로에 공기 흐름이 발생할 경우 공기를 진동시켜 가청 주파수 내의 음을 발생시키는 리드부가 상기 관통로상의 일 지점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착 탈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고정 결합되되, 이때 상기 연결부의 상기 관통로와 상기 착탈 프레임 내부의 상기 공기 통로는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된, 나팔부 및, 일단이 상기 착탈 프레임의 상기 통공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사용자가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구비한 연질 관으로 이루어진 공기 주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착탈 프레임은, 통상의 헤어밴드에 주로 적용되는 형태인 말굽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머리 형상에 밀착되어 조이는 형태로 착용 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팔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나팔부에 구비된 리드부는 각각 다른 높이(다른 진동수)의 음을 발생시키되, 이들 음은 상호 화음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나팔부는 상기 착탈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종래의 응원용 도구와는 전혀 다른 구성 및 기능을 갖춤으로써 응원시 전혀 새로운 느낌의 응원이 가능해진다.
둘째, 강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를 동시에 겸비함으로써 주목을 유발 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셋째, 구성,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공급 및 보관 등이 용이하고 낮은 비용으로 양산이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 프레임(10)은 통상의 헤어밴드에 적용되는 형태와 같이 말굽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는 착용자의 둥근 머리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며, 플라스틱 등과 같이 탄성 있는 소재로 제조됨으로써 머리에 착용되는 경우 머리를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도 1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착탈 프레임(10)은, 내부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통로(15, 도 2에 도시됨) 등의 구성을 포함하기 위하여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착탈 프레임(10)의 외측면, 즉 착용자의 머리부에 닿는 내측면의 맞은편에 위치한 면에는 나팔부(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예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다섯개의 나팔부(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나팔부(2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나팔부(20)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아이들의 장난감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특정한 종류의 나팔 장난감의 구성을 차용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도 3 내지 도 4는 그러한 종래의 나팔 장난감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나팔 장난감은 본 고안의 나팔부(20)와 극히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나팔부(20)의 권취부(21)에 해당되는 나팔 장난감의 권취부(21)는, 평상적인 상태에서 나선으로 말린 형태를 가진다.
해당 권취부(21)는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길다란 주머니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공기가 주입될 경우 팽팽하게 부푸는 반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면 빈 주머니와 같이 납작하게 되는 성질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취부(21)가 도 3에서와 같이 나선으로 말린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이유는, 권취부(21) 내측에 나선으로 말린 형태의 와이어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와이어는, 통상 형태 복원력이 우수한 고탄성의 금속 철선 등과 같은 탄성 와이어로서, 외력에 의해 모양이 다소 변하는 경우에도, 해당 외력이 제거되면 최초의 말린 형태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가진다.
한편, 탄성 와이어가 내측에 결합된 권취부(21)의 일 단부에는 통상 경질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피리부(2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리부(29)는 본 고안의 연결부(22)에 해당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권취부(2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 유출되기 위한 통기로의 역할을 한다. 즉, 후술할 연결부(22)와 마찬가지로, 피리부(29)는 권취부(21)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로를 구비함으로써, 사 용자가 피리부(29)의 타단부에 입을 대고 공기를 불어넣을 경우 상기 관통로를 경유하여 권취부(2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권취부(21)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지게 되면, 권취부(21)는 팽팽하게 팽창되어 나선의 말린 상태가 펴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의 막대 풍선과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
이와 같은 권취부(21)의 막대 형상은, 사용자가 피리부(29)에서 입을 떼어 권취부(21)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전술한 탄성 와이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나선의 말린 형태로 복원되는데, 이는 공기를 불어넣거나 입을 떼는 동작에 의해 반 영구적으로 반복된다.
한편, 피리부(29)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일정한 음을 낼 수 있도록, 피리부(29)의 관통로 일 지점에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일정한 주파수의 음을 발생시키는 리드부(25)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리드부(25)는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연결부(21)에도 역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코더의 발음부나 목관 악기의 리드와 같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높이의 음을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나팔부(2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말굽 형태의 착탈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의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각 나팔부(20)의 권취부(21) 내로 동시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방사형으로 뻗는 막대의 형상을 보이게 되어 마치 공작이 날개를 펼치는 듯한 시각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부(21)들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다양한 색채를 내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팔부(20) 내로의 공기 주입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착탈 프레임(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나팔부(20)의 위치와 착탈 프레임(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15)의 구성 및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용 도구의 사용자가 공기 주입구(31)를 통해 공기를 불어 넣으면, 공기 주입관(30)과 연결된 통공(11)을 통해 착탈 프레임(10)의 내부 공기 통로(15)로 공기가 주입되게 되는데, 공기 통로(15)와 각 나팔부(20)의 연결부(22)가 결합된 외측면과의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로(15)와 권취부(21)를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공기 주입구(31)를 이용한 한 번의 공기 주입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도구에 구비된 모든 나팔부(20)의 권취부(21)가 동시에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 개의 나팔부(20)가 포함된 경우, 각 나팔부(20)에서 내는 음이 각각 다른 높이가 되도록 하며, 이때 각 음은 상호 화음 관계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통상 3도의 음 높이 차를 가지고 쌓아 올린 3개의 음은 안정적인 메이저 화음을 내게 되므로 이와 같이 메이저 관계에 있는 세 종류의 음을 낼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그 밖에도 각종 화성법에 따른 다양한 화음을 임의적으로 넣을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전술한 리드부의 구성에 종래의 목관 악기 등에 적용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경우, 말렸다 펼쳐지는 상태를 반복하는 권취부(21)의 구성에 의해 훌륭한 시각적 자극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음을 결합함으로써 청각적으로도 우수한 응원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응원용 도구의 착탈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응원용 도구에 적용되는 나팔부와 극히 유사한 구성을 가진 종래 나팔 장난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0: 착탈 프레임 11: 통공
15: 공기 통로 20: 나팔부
21: 권취부 22: 연결부
25: 리드부 29: 피리부
30: 공기 주입관 31: 공기 주입구

Claims (5)

  1. 통공(11)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통로(15)가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헤어밴드, 선바이저 등과 같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부에 닿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외측면을 구비한 착탈 프레임(10)과;
    금속 등 고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우수한 형태 복원력을 지닌 나선형 탄성 와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내측면에 결합된 긴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주머니 내부 공간의 공기압이 높아지는 경우 상기 탄성 와이어와 함께 펼쳐져 막대형의 긴 주머니 형태가 되며, 내부 공간의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인해 나선형으로 말린 주머니 형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진 권취부(21) 및, 상기 권취부(21)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21)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로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관통로에 공기 흐름이 발생할 경우 공기를 진동시켜 가청 주파수 내의 음을 발생시키는 리드부(25)가 상기 관통로상의 일 지점에 형성된, 연결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22)를 경유하여 상기 착탈 프레임(10)의 외측면 상에 고정 결합되되, 이때 상기 연결부(22)의 상기 관통로와 상기 착탈 프레임(10) 내부의 상기 공기 통로(15)는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된, 나팔부(20) 및;
    일단이 상기 착탈 프레임(10)의 상기 통공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사용자가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공기 주입구(31)를 구비한 연질 관으로 이루어진 공기 주입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원용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프레임(10)은, 통상의 헤어밴드에 주로 적용되는 형태인 말굽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머리 형상에 밀착되어 조이는 형태로 착용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부(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나팔부(20)에 구비된 리드부(25)는 각각 다른 높이(다른 진동수)의 음을 발생시키되, 이들 음은 상호 화음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부(20)는 상기 착탈 프레임(10)의 외측면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KR2020070020931U 2007-12-28 2007-12-28 응원용 도구 KR20090006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31U KR20090006663U (ko) 2007-12-28 2007-12-28 응원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31U KR20090006663U (ko) 2007-12-28 2007-12-28 응원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63U true KR20090006663U (ko) 2009-07-02

Family

ID=4133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931U KR20090006663U (ko) 2007-12-28 2007-12-28 응원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6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67B1 (ko) * 2016-01-29 2016-10-27 탄탄안전 주식회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US20230056199A1 (en) * 2021-08-20 2023-02-23 Barrett Reek Balloon headdr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67B1 (ko) * 2016-01-29 2016-10-27 탄탄안전 주식회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US20230056199A1 (en) * 2021-08-20 2023-02-23 Barrett Reek Balloon headdress
US11730220B2 (en) * 2021-08-20 2023-08-22 Barrett Reek Balloon headdr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642B2 (en) Whistle with finger grip
US6837177B2 (en) Whistle having air flow converter
JP3143895U (ja) 吹き戻しグッズ
US6555736B1 (en) Rhythm shaker
US5803840A (en) Sound producing baseball bat
KR20090006663U (ko) 응원용 도구
US7435894B2 (en) Musical ball
US6257949B1 (en) Tubular device that produces sound
EP2416312B1 (en) Whistle with finger grip
JP3250379B2 (ja) 吹き戻し
US1683910A (en) Combined sounding figure toy and return ball
US1247942A (en) Toy horn.
KR101969027B1 (ko) 신축 및 팽창 가능한 놀이 악기
KR200474315Y1 (ko)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KR200272367Y1 (ko) 응원용 기구
JP6928926B1 (ja) 音体感装置
JP3218257U (ja) 歌口可動回転式横笛補助具
US5375498A (en) Recorder
KR200165062Y1 (ko)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CN203038647U (zh) 一种叶笛及其固定卡子
JP3003196U (ja) 環状ハーモニカ
JP3209207U (ja) 可動回転式篠笛補助具
Boyd The musical instruments of Lamu
JP3192797U (ja) 補助具付き篠笛
McIvor No More" Bad Days"-A Trumpet and Brass-Instrument Warm-Up Routine that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