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173Y1 - 개량된 정악대금 - Google Patents

개량된 정악대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173Y1
KR200303173Y1 KR20-2002-0031697U KR20020031697U KR200303173Y1 KR 200303173 Y1 KR200303173 Y1 KR 200303173Y1 KR 20020031697 U KR20020031697 U KR 20020031697U KR 200303173 Y1 KR200303173 Y1 KR 200303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uxiliary
cover
pri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원
Original Assignee
임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원 filed Critical 임재원
Priority to KR20-2002-003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적인 B♭관 정악대금의 한계(올림조표를 표현할 독자적인 지공이 없음)를 극복하여 별도의 보조공을 추가하여 전통 대금의 운지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올림조표에 대해서도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개량된 정악대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B♭관 정악대금은 전통 정악대금에, 청공(9)과 제1지공(1)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1보조공(11)과, 제3지공(3)과 제4지공(4) 사이에 형성된 제2보조공(12)과, 제6공(6)과 칠성공(7) 사이에 형성된 제3보조공(13)이 추가된 형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개량된 정악대금 {Improved Daegum}
본 고안은 정악대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통적인 B♭관 정악대금의 한계(올림조표를 표현할 독자적인 지공이 없음)를 극복하여 별도의 보조공을 추가하여 전통 대금의 운지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올림조표에 대해서도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개량된 정악대금에 관한 것이다.
대금에는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이 있다. 양자는 관의 길이와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공명주파수를 갖고 있다. 대략, 정악대금은 B♭관이고 산조대금은 C관이라고 설명된다.
도1a는 전통적인 대금(정악대금과 산조대금을 모두 포함함)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대금은 기본적으로, 한쪽이 막힌 대나무나 합성수지 등 견고한 재질의 원통 몸체에 입김을 불어넣어 공명음을 내는 악기이다. 도면에서 보면, 대금은 원통 몸체(10)의 막힌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8)와, 여섯 손가락으로 몸체(10) 내의 소리의 공명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막아서 다양한 음정을 내는 제1~제6의 6개 지공(1~6)으로 이루어진다. 취구(8)와 제1지공(1)과의 사이에 있는 구멍은 청공(7)이라고 하며, 갈대 속줄기에서 벗겨낸 얇은 청을 붙여서 막는다. 이 청에 의해서 대금 특유의 떨림 음색이 나오는 것이다. 그리고, 제6지공(6)보다 먼 쪽 부분에 형성된 구멍은 칠성공(7)이다. 이 칠성공(7)은 대금악기의 자체 음정을 조절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대금에 따라서 한 개 이상 다수로 형성된다.
도1b는 대금의 연주자세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제3공(1,2,3)은각각 왼손 검지, 중지, 약지가 담당하고, 제4~제6공은 각각 오른손 검지, 중지, 약지가 담당한다. 따라서, 왼손의 엄지와 소지, 오른손의 엄지와 소지는 대금연주시에 본체를 잡아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도2는 전통적인 B♭관 정악대금의 음정에 따른 운지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2는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운지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실제로는 역취, 평취, 저취에 따라 또는 연주테크닉에 따라 조금씩 운지법이 달라진다. 어떻든 종래의 B♭관 정악대금에서 나오는 소리의 음정은 "B♭(임), C(남), D♭(무), D(응), E♭(황), F(태), G♭(협), G(고), A♭(중)"이 된다.
이렇듯 전통적인 B♭관 정악대금은 6개의 지공으로 상기 나열한 음정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E♭, A♭, B♭음이 기본음인 음계(내림조표)에 대해서는 무리없이 연주할 수 있으나, B, E, A음이 기본음으로 되어 있는 음계(올림조표)에 대해서는 독자적인 운지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지공의 개폐만으로 정확한 음정을 발음하기가 쉽지 않다.
종래에 이러한 올림조표의 연주를 위해서는, 대금의 취구(8)가 윗입술쪽으로 가까와지도록 대금을 숙여서 불거나(이럴 경우에는 제 음정보다 대략 반음이 낮아진다), 취구(8)가 윗입술에서 멀어지도록 대금을 밖으로 젖혀서 불어야 한다(이 때에는 제 음정보다 대략 반음 정도 높아진다).
예를 들어, B(이)음은 B♭보다 대략 반음 정도 높기 때문에 B♭에 해당하는 운지를 한 상태에서 대금을 밖으로 젖혀서 발음한다. 그리고, E(대)음은 E♭보다 반음이 높으므로 E♭에 해당하는 운지를 한 채로 대금을 밖으로 젖혀서 발음한다.마찬가지로, A(유)음은 A♭보다 음가가 반음이 높으므로 A♭에 해당하는 운지를 한 상태에서 대금을 밖으로 젖혀서 발음한다.
그러나, 이렇게 대금 몸체를 젖혀서 발음하는 종래의 연주방법에 따르면, 곡에 따라서는 시종일관 취구를 젖혀야 할 일이 생길 수가 있고, 이때에는 마찰음(바람소리)이 심하여 제 음정을 내기가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속주곡의 경우에 가락을 충실히 표현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취구를 젖혀서 표현해야 하는 음정의 시가가 짧은 경과음의 경우에는 그런대로 연주를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시가가 긴 음정의 경우에는 정확한 음정으로 그 음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올림조표가 많은 서양음악과 대금이 협연하기에도 곤란한 일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통 B♭관 정악대금으로 B, E, A음 등을 자연스럽게 발음할 수만 있다면 대금으로도 보다 많은 5음 음계(#이 붙은 모든 조표)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기존의 정악대금 악기조건에서 B, E, A음을 자연스럽게 발음할 수 있도록, 청공과 제1공 사이에 별도의 제1보조공을, 제3공과 제4공 사이에 별도의 제2보조공을, 제6공과 칠성공 사이에 별도의 제3보조공을 마련하였다. 이들 세 개의 보조공들이 독자적으로 B, E, A음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도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통 대금의 연주시에 왼손의 엄지와 소지 및 오른손의 소지(오른손 엄지는 악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주로 함)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들 보조공을 담당하는 손가락으로서 왼손의 엄지와 소지, 오른손의 소지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공의 운지에 문제가 없으며 기존 전통 대금의 연주방식을 전혀 훼손하지 않는다.
도1a는 종래의 대금 구조도.
도1b는 대금의 연주 자세도.
도2는 종래의 정악대금의 운지법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악대금의 기본 구성도.
도3b는 도3a의 일부 상세도.
도4는 보조공개폐키의 구조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악대금의 실제 구성도.
<도면부호의 설명>
제1지공(1), 제2지공(2), 제3지공(3), 제4지공(4), 제5지공(5), 제6지공(6), 칠성공(7), 취구(8), 청공(9), 대금몸체(10), 제1보조공(11), 제2보조공(12), 제3보조공(13), 포스트(41a,41b), 연결봉(42), 보조공덮개(44), 손잡이(46), 제1보조공덮개키(51), 손잡이(54), 제2보조공덮개키(52), 손잡이(55), 제3보조공덮개키(53), 손잡이(56)
본 고안에 따른 개량 정악대금의 기본구조를 도3a,b에 나타낸다.
도3a를 보면, 본 고안에 따른 B♭관 정악대금은, 상기 청공(9)과 제1지공(1)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1보조공(11)과, 상기 제3지공(3)과 제4지공(4) 사이에 형성된 제2보조공(12)과, 상기 제6공(6)과 칠성공(7) 사이에 형성된 제3보조공(13)을 추가로 갖는다.
제1보조공(11)을 열게 되면, 도2의 운지법에서는 불가능하였던 A음이 발음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보조공(11)을 열면, E음을 발음할 수 있으며, 제3보조공(11)을 열면, B음을 발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보조공의 위치를 설명한다. 도3b를 보면, 상기 제1보조공(11)과 제1지공(1)과의 거리는 약 15~30mm (바람직하게는 23mm), 상기 제2보조공(12)과 제3지공(3)과의 거리는 약 15~30mm (바람직하게는 23mm), 상기 제3보조공(13)과 제6지공(6)과의 거리는 약 40~60mm (바람직하게는 50mm)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치수는 출원인이 제작한 정악대금의 경우의 치수로서, 대금재료의 재질, 관직경, 대금길이, 두께, 구멍직경 등에 따라서 그 수치가 가변될 수 있다.
도3b에서, 새로 추가된 제1~제3보조공(11~13)의 위치는 제1~제6공(1~6)이 이루는 직선보다 아래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앞으로 설명될 보조공개폐키의 설치구조상 그렇게 처리한 것이고, 도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금 본체(10)의 횡단방향(Y방향)상에서는 어느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관계없다.
상기 제1~제3보조공(11~13)은 평소에 닫혀 있어야 하고 필요할 때에만 개방되어야 한다. 평상시에는 전통 대금의 연주를 행하면서 필요할 때에만 A, E, B음을 발음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면서, 동시에 양손가락으로 모든 구멍을 막고 있어야 한다면 손가락이 벌어지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동시에 9개의 구멍을 모두 막고 제대로 개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1~제3보조공을 플룻이나 클라리넷 등의 관악기에 사용되고 있는 개폐키(도4 참조)를 이용하여, 평소에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닫혀 있고 키를 누를 때에만 보조공들이 개방되도록 하였다.
개폐키(본 고안에서는 "보조공개폐키"라고 명명함)의 구조는 도4와 같다.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제3보조공에 인접하여 대금본체(10)에 대금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두 개의 포스트(41a,41b),
상기 각 포스트(41a,41b)를 연결하며 상기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고정되되, 어느 한쪽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탄성체(도면에 없음)에 의해 다른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는 작용을 하는 연결봉(42),
상기 연결봉(42)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봉과 대략 직각으로 돌출된 암(43) 및 이 암(43)의 끝에 부착되어 상기 각 제1, 제2, 제3보조공을 완전히 덮는 보조공덮개(44),
상기 연결부(42)에서 돌출된 암(43)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2의 암(45) 및 이 암(45)의 끝에 부착되어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손잡이(46)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조에서, 손잡이(46)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각 포스트(41a, 41b)와 상기 연결봉(42)이 접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상기 보조공덮개(44)가 올라오는데, 이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보조공덮개(44)가 올라온다. 다음에, 손잡이(46)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상기 연결봉(42)과 각 포스트의 결합부분에 있는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보조공덮개(44)가 보조공을 다시 막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추가로 형성된 제1~제3보조공개폐키는 본 고안에 따른 정악대금의 개량구조를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공개폐키의 설치 구조는 도5와 같다. 즉, 도4와 같이 구성되는 각 보조공개폐키를 실제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제1보조공덮개키(51)는 특별한 역할이 없는 왼손의 엄지가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54)가 제1지공(1) 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2보조공덮개키(52)는 역시 특별한 역할이 없는 왼손의 소지가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55)가 제3지공(3) 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3보조공덮개키(53)는 역시 특별한 역할이 없는 오른손의 소지가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56)가 제6지공(6) 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개량 정악대금의 구성은 산조대금 및 다른 유사악기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에서와 같이 대금 몸체를 젖히는 등의 방법으로 밖에는 발음할 수 없었던 올림조표를 별도의 독자적인 지공을 써서 발음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음정을 길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속주곡의 경우에도 가락을 충실히 표현할 수 있고, 서양음악과 대금과의 협연이 수월해진다. 본 고안에 의하더라도, 평소에는 세 개의 보조공이 모두 막혀 있고 나머지 손가락의 운지법은 종래의 대금과 동일하므로, 전통음악의 시김새는 물론 특징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오히려 음계 확장 효과를 가져와 다양하고 풍요로운 대금음악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취구, 청공, 제1~제6지공, 칠성공을 포함하고 있는 공지의 B♭관 정악대금에 있어서,
    상기 청공과 제1지공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1보조공(11)과, 상기 제3지공과 제4지공 사이에 형성된 제2보조공(12)과, 상기 제6공과 칠성공 사이에 형성된 제3보조공(13)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보조공(11)과 제1지공과의 거리는 약 15~30mm, 상기 제2보조공(12)과 제3지공과의 거리는 약 15~30mm, 상기 제3보조공(13)과 제6지공과의 거리는 약 40~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B♭관 정악대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보조공(11, 12, 13)은 각각,
    상기 제1, 제2, 제3보조공에 인접하여 대금본체(10)에 대금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두 개의 포스트(41a,41b),
    상기 각 포스트(41a,41b)를 연결하며 상기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고정되되, 어느 한쪽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탄성체에 의해 다른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는 작용을 하는 연결봉(42),
    상기 연결봉(42)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봉과 대략 직각으로 돌출된 암(43) 및 이 암(43)의 끝에 부착되어 상기 각 제1, 제2, 제3보조공을 완전히 덮는 보조공덮개(44),
    상기 연결부(42)에서 돌출된 암(43)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2의 암(45) 및 이 암(45)의 끝에 부착되어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손잡이(46)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46)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각 포스트(41a, 41b)와 상기 연결봉(42)이 접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상기 보조공덮개(44)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올라오고, 상기 손잡이(46)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상기 연결봉(42)과 각 포스트의 결합부분에 있는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보조공덮개(44)가 보조공을 다시 막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공개폐키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B♭관 정악대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공덮개키(51)는 왼손의 엄지가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54)가 제1공(1) 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2보조공덮개키(52)는 왼손의 소지가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55)가 제3공(3) 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제3보조공덮개키(53)는 오른손의 소지가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56)가 제6공(6) 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B♭관 정악대금.
KR20-2002-0031697U 2002-10-24 2002-10-24 개량된 정악대금 KR200303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697U KR200303173Y1 (ko) 2002-10-24 2002-10-24 개량된 정악대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697U KR200303173Y1 (ko) 2002-10-24 2002-10-24 개량된 정악대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051A Division KR20040036211A (ko) 2002-10-24 2002-10-24 개량된 정악대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173Y1 true KR200303173Y1 (ko) 2003-02-06

Family

ID=4940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697U KR200303173Y1 (ko) 2002-10-24 2002-10-24 개량된 정악대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1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5Y1 (ko) * 2013-04-22 2014-09-16 임성종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KR200494321Y1 (ko) * 2020-12-31 2021-09-13 이기근 대금용 운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5Y1 (ko) * 2013-04-22 2014-09-16 임성종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KR200494321Y1 (ko) * 2020-12-31 2021-09-13 이기근 대금용 운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17233A1 (fr) Violon numérique multifonctions
JPS62112199A (ja) 四分音達成装置
US6696629B1 (en) Keyless plastic saxophone
KR200303173Y1 (ko) 개량된 정악대금
US3142222A (en) Bassoon
KR100828997B1 (ko) 티자형 오카리나
KR20040036211A (ko) 개량된 정악대금
CN215069191U (zh) 一种六指多孔半音笛
CN101409069B (zh) 倍低音萨克斯
US20160035327A1 (en) Soprano saxophone
CN101833945B (zh) 一种降e超高音唢呐萨克斯管
KR200282888Y1 (ko) 개량산조대금
KR101118544B1 (ko) 가변음정 색소폰
Blaikley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Musical Instruments recently exhibited at the Royal Military Exhibition, London, 1890
Puglisi A survey of Renaissance Flutes
CN201707889U (zh) 一种降e超高音唢呐萨克斯管
Baines Shawms of the sardana coblas
CN2742527Y (zh) 活塞箫
CN211788128U (zh) 一种十二音孔唢呐
CN213211671U (zh) 一种九孔短箫
CN202512866U (zh) 一种加键拓宽音域的f调洞箫
JP3528578B2 (ja) 木管楽器
CN201142208Y (zh) 独管乐器
CN201435205Y (zh) C大调萨克斯管
US20210256944A1 (en) Handheld Polyphonic Musical Win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