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544B1 - 가변음정 색소폰 - Google Patents

가변음정 색소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544B1
KR101118544B1 KR1020090113672A KR20090113672A KR101118544B1 KR 101118544 B1 KR101118544 B1 KR 101118544B1 KR 1020090113672 A KR1020090113672 A KR 1020090113672A KR 20090113672 A KR20090113672 A KR 20090113672A KR 101118544 B1 KR101118544 B1 KR 10111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xophone
neck
variable pitch
tone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319A (ko
Inventor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이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한 filed Critical 이재한
Priority to KR102009011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5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소폰의 음정을 연주자의 의도대로 바꿀 수 있는 가변음정 색소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다수의 키를 적의 배치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접속 또는 접합되는 넥과, 리드를 리카춰로 마우스피스에 체워서 상기 넥에 끼워지는 상기 마우스피스로 이루어지는 색소폰에 있어서, 상기 넥과 마우스피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세컨드 넥을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종래의 색소폰이 다양한 음역을 그 특색에 따라 7가지 이상의 악기로 나누어 각각의 악기가 각 하나씩의 음역을 맞도록 제공되는 것을 하나의 악기로 연주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역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악보의 이조 없이도 악기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정을 손쉽게 바꾸어 이조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색소폰을 제공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가변, 음정변경, 색소폰

Description

가변음정 색소폰{TONE CHANGEABLE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소폰의 음정을 연주자의 의도대로 바꿀 수 있는 가변음정 색소폰에 관한 발명이다.
색소폰은 벨기에 알프레도 색스가 만들어 1846년 파리에서 특허를 얻은 악기 발명품으로, 마우스 피스는 클라리넷과 비슷하고 리드는 싱글리드이고 관은 금속으로 된 포물형 원추관(圓錐管)이다. 또 클라리넷은 폐관진동(閉管振動)이지만 이것은 플루트나 오보에처럼 개관진동(開管振動)인데, 관은 처음부터 금속제였으나 리드를 사용하여 발음하고 키 시스템이기 때문에 목관악기로 분류되는 싱글 리드의 목관악기이다.
최초 발명자 색스의 의도는 목관악기와 금관악기의 중간 음색을 내는 악기를 만들고, 취주악에서 두 음색이 융화되도록 하는 데 있었으며, 색소폰에는 소프라니노?소프라노(도 2a, 도 2b 참조)?알토(도 1a, 도 2b 참조)?테너?바리톤?베이스?콘트라베이스 등 음역이 다른 7종류가 취주악용과 관현악용으로 나누어 개발되었고, 소프라노?테너?베이스 색소폰은 B♭ 악기, 그 외는 E♭악기이고, 처음에는 관현악용으로 F관?C관악기도 만들었지만, 오늘날에는 관현악에서도 B♭관?E♭ 관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알토와 테너가 넓은 분야의 음악에 쓰이고 있으며, 소프라노는 관이 곧지만 알토 이하는 상부와 하부가 S자형이고(도 1참조), 음색은 목관과 금관의 중간으로 폭넓은 육성적인 울림이 독특하며, 저음악기에서 고음악기까지 음색의 통일이 잘 되어 있는데, 실음음역은 알토 색소폰이 D~A, 테너 색소폰이 A~E 이지만 기보(記譜)에는 어느 악기나 고음부보표를 사용하고, 음역은 B~F이다. 취주악 외에 포퓰러음악, 특히 재즈의 주된 역할을 하는 악기이다.
연주법은 다른 목관악기보다 쉬우며 발명 후 급속히 일반화되었다. 취주악에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관현악에서는 독특한 울림 때문에 다른 목관악기와 조화가 잘 잡히지 않아 효과면에서 독주부분에 쓰이는 일은 있어도 목관악기로서의 정석적으로 자리잡고 있지는 않지만, 경음악분야에서는 재즈의 유행과 함께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주요한 악기가 되었다. 예술음악에서는 발명 직후에 프랑스의 작곡가들이 사용하였는데, 특히 G.비제의 모음곡 《아를의 여인》이 유명하다. C.L.A.토마, 마스네, R.슈트라우스, 힌데미트와 같은 작곡가들도 곡 중에 이 악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a 및 도 2a는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색소폰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1b 및 도 2b는 전형적인 색소폰의 분해상태도이다.
도 1b 및 도 2b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색소폰은 본체(1; Body)와, 본체(1)의 상부에 삽입되는 넥(2)과, 넥(2)에 꼿히는 마우스피스(3)로 이루어지고, 마우스피스에는 일종의 갈대 뿌리로 되는 리드(32)가 리가춰(31)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연주자가 색소폰의 조립상태에서{도 1a 및 도 2a 상태} 마우스피스(3)를 물고 불면, 리드(32)의 떨림이 넥(2)을 거쳐 본체(1)에서 공명되어 소리가 울리는데, 본체(1)에는 다수의 음을 나타내는 키(11; 통상 25키가 표준임)가 배열되어 연주자가 누름에 따라 본체(1)의 공명관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요구하는 음이 공명되어 나오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색소폰에 있어서, 각 음역을 담당하는 다양한 색소폰을 하나로 통일하면서 연주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음정 및 음역으로의 변조를 가능하게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에 관한 발명인데, 색소폰이 개발된 이래로 정확한 음정되 아름다운 음색을 내는 색소폰의 개발에는 각 악기사에서 앞다투어 투자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음정의 변경을 모색하는 선행발명은 전혀 연구되거나 제시된 바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프로 뮤지션이라면 가수 또는 다른 연주자의 음정(코드)에 맞추어 변조(조 바꿈)를 하여 연주를 하는 경우라도 악보의 변경 없이도 이조(移調)하여 연주가 가능하지만, 초/중급자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많아서 이조된 악보를 새로 그려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종래의 색소폰이 다양한 음역을 가지는 각각의 악기로 제공되는 것을 하나의 악기로 연주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역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의 또 다른 과제는 악보의 이조 없이도 악기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정을 손쉽게 바꾸어 이조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색소폰을 제공하는데에도 있다.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다수의 키를 적의 배치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접속 또는 접합되는 넥과, 리드를 리카춰로 마우스피스에 체워서 상기 넥에 끼워지는 상기 마우스피스로 이루어지는 색소폰에 있어서, 상기 넥과 마우스피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세컨드 넥을 추가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컨드 넥은 상기 넥의 좁은 관과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넥에 끼워지는 부위는 관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넥과 상기 세컨드 넥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접속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세컨드 넥과 상기 마우스피스의 접속부위에는 압축되어 접속부위의 틈을 메꾸는 어뎁터가 부착된 것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컨드 넥은 끼워질때 색소폰의 음정이 반음, 온음, 1½음, 2음, 2½음, 3음, 3½음, 4음, 4½음, 5음, 5½음, 일옥타브음 낮아지는 길이로 된 것 중 하나인 것으로 이루어지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컨드 넥이 곡선으로 말려있는 것으로 이루어지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컨드 넥이 다수회 말려지고, 말려진 각각은 한쌍의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를 잇는 한쌍의 직선부로 이루지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선부는 일단이 끊겨서 삽입되는 내외통으로 이루지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선부의 내통에 눈금이 새겨진 것으로 이루어지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 한쌍의 원호부 중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원호부간에는 연결봉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종래의 색소폰이 다양한 음역을 그 특색에 따라 7가지 이상의 악기로 나누어 각각의 악기가 각 하나씩의 음역을 맞도록 제공되는 것을 하나의 악기로 연주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역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악보의 이조 없이도 악기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정을 손쉽게 바꾸어 이조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색소폰을 제공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3은 알토 색소폰을 모체로 하는 본 발명 가변음정 색소폰의 일 구성상태 도이고, 도 4는 소프라노 색소폰을 모체로하는 본 발명 가변음정 색소폰의 다른 구성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주 요부중 하나인 세컨드 넥(4)을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종래의 색소폰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음정의 변경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라서, 전체적으로는 본체(1), 넥(2) 및 마우스피스(3)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구조도 종래의 색소폰과 완전히 동일함으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색소폰의 구조에 따라서 본체(1)와 넥(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있지만, 이 경우라도 옥타브 키(1 옥타브 높은 소리를 내는 경우 열리는 키)가 장착된 부분을 넥(2)으로 구분한다면 구조상의 차이점은 무시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
그런데,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종래의 색소폰에서 넥(2)과 마우스피스(3)사이에 세컨드 넥(4)을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세컨드 넥(4)은 원래 존재하는 넥(2)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함으로서 끼우지 않았을때의 공명통의 길이보다 긴 공명통의 길이를 허여하여 원래보다 진동수가 적은 낮은 소리를 만들게 된다.
이때, 세컨드 넥(4)은 결합의 편리함 및 결합 후 공명되는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우스피스(3)가 끼워지는 부분에는 코르크와 같은 재질로 외주를 둘러싼 어뎁터(21)로 되고, 넥(2)과의 결합부분인 삽입부(22)는 외경이 확관(擴管) 되는 구조로 하면 넥(2)과 세컨드 넥(4)의 내경을 일치하여 틈 없이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게다가, 세컨드 넥(4)의 길이는 반음이 낮게 나오는 길이로 부터 반음간격으로 일옥타브 낮아지는 길이까지 12개를 한세트로 하여 보급한다면, 연주자는 가수 도는 가창자가 원하는 키(코드)에 맞추어 세컨드 넥(4)을 꼽고 연주를 함으로서 이조된 악보가 없어도 기본 악보만 보고도 이조하여 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반은간격으로 12개의 세컨드 넥(4)이 요구되는 것은 일옥타브가 7도의 차이를 가지지만, 2개의 반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컨드 넥(4)이 너무 길면 연주자의 입에 물리는 마우스피스(3)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본체(1)의 키(11)간 이격거리가 멀어져 연주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세컨드 넥(4)을 곡선으로 말아서 어뎁터(41)와 삽입부(42)간의 거리를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컨드 넥(4)의 길이가 아주 길다면 2회 이상 말아서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하나의 세컨드 넥(4)이 하나의 음정만큼 변경된 것으로 고정된 것이지만, 이하에는 하나의 세컨드 넥(4)으로 다양한 음정 변경이 가능한 세컨드 넥(4)을 설명하는데, 이를 특히 조절넥(43)으로 호칭하였으며, 그 상세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에 사용되는 조절넥(43)은 다수회 말려서 이루어지는 것인데(도면에서는 3회 말린 상태를 도시함), 말려진 각각은 장원상으로 되어 도 5에서 상하방면의 한쌍의 원호부(431)와 이들 상하 원호부(431)를 잇는 한쌍의 직선부(432)로 이루지도록 하여 음손실을 최소화하였으며, 또한, 직선부(431)는 일단이 끊겨서 삽입되는 내외통으로 이루지도록 하여 직선부(432)에서 슬라이드가 손쉽게 이루어져서 전체적인 길이를 연주자가 임의로 조절함으로서 조절넥(43)의 전체 공명 길이를 손쉽게 바꾸어 음정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더구나, 직선부(432)의 내통에 눈금(433)을 새겨 놓되, 그들 눈금은 반은 간격을 표시하도록 하면 음정 조절이 보다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조절넥(43)이 2회 이상 말려진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 원호부(431) 중 하부를 형성하는 원호부(431, 431)간에는 연결봉(44)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말려진 각부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한데, 이때 상부 원호부(431, 431…)들은 각각이 음정의 변경을 위해 뽑혀지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나 하부 원호부(431)는 위치가 일정하기 때문에 이들간에 연결봉(44)으로 고정시키면 조절넥(43)을 이루는 각 부품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가변음정 색소폰은 그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일 예나 제시된 도면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일지라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예컨대, 세컨드 넥(4)을 소프라노 색소폰과 알토 색소폰을 예로들어 도시하고 있지만, 테너 색소폰이나 소프라니노 색소폰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세컨드 넥(4)은 삽입하면 음을 낮추는 역확을 함으로 가장 고음역을 담당하는 소프라니노 색소폰에 적용하는 경우 가장 폭넓은 음역대를 커버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또한 세컨드 넥(4)이 직선형 및 장원형인 것만을 예로서 도시하였지만, 기억자 상으로 꺽어진 것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말린 것이라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하다.
게다가, 세컨드 넥(4)을 조절넥(43)으로 하는 경우 도면에서는 3회 감긴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2회를 감거나, 4회 이상을 감아도 좋으며, 눈금(433)은 반음 간격을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일 구성상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가변음정 색소폰의 일 구성상태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 가변음정 색소폰의 다른 구성상태 분리도,
도 5는 도 4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부호의 설명
1. 본체
11. 키
2. 넥(Neck)
21. 어뎁터(코르크) 22. 삽입부
3. 마우스피스
31. 리카춰 32. 리드
4. 세컨드 넥
41. 어뎁터 42. 삽입부
43. 조절넥 431. 원호부 432. 직선부 433. 눈금
44. 연결봉

Claims (14)

  1. 다수의 키를 적의 배치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접속 또는 접합되는 넥과, 리드를 리카춰로 마우스피스에 체워서 상기 넥에 끼워지는 상기 마우스피스로 이루어지는 색소폰에 있어서,
    상기 넥과 마우스피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세컨드 넥을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넥은 상기 넥의 좁은 관과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넥에 끼워지는 부위는 관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넥과 상기 세컨드 넥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접속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세컨드 넥과 상기 마우스피스의 접속부위에는 압축되어 접속부위의 틈을 메꾸는 어뎁터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넥은 끼워질때 색소폰의 음정이 반음, 온음, 1½음, 2음, 2½음, 3음, 3½음, 4음, 4½음, 5음, 5½음, 일옥타브음 낮아지는 길이로 된 것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넥이 곡선으로 말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넥이 다수회 말려지고, 말려진 각각은 한쌍의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를 잇는 한쌍의 직선부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넥이 다수회 말려지고, 말려진 각각은 한쌍의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를 잇는 한쌍의 직선부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일단이 끊겨서 삽입되는 내외통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일단이 끊겨서 삽입되는 내외통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내통에 눈금이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내통에 눈금이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원호부 중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원호부간에는 연결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원호부 중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원호부간에는 연결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원호부 중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원호부간에는 연결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원호부 중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원호부간에는 연결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음정 색소폰.
KR1020090113672A 2009-11-24 2009-11-24 가변음정 색소폰 KR10111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672A KR101118544B1 (ko) 2009-11-24 2009-11-24 가변음정 색소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672A KR101118544B1 (ko) 2009-11-24 2009-11-24 가변음정 색소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319A KR20110057319A (ko) 2011-06-01
KR101118544B1 true KR101118544B1 (ko) 2012-03-20

Family

ID=4439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672A KR101118544B1 (ko) 2009-11-24 2009-11-24 가변음정 색소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81A (ko) 2017-12-28 2019-07-08 이수철 자동튜닝 색소폰 및 그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250A (ja) 1998-12-03 2000-06-23 Nobuo Koyama 単リード式管楽器での従来型、マウスピースのリガチャアに 取り付けられるリードの振動改善装置
KR20010096174A (ko) * 2000-04-17 2001-11-07 임재동 플루트의 음색 및 음량 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004157486A (ja) 2002-11-01 2004-06-03 Yoshikazu Matsuura サキソフォンマウスピース用音色調整リング及びサキソフォンの音色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250A (ja) 1998-12-03 2000-06-23 Nobuo Koyama 単リード式管楽器での従来型、マウスピースのリガチャアに 取り付けられるリードの振動改善装置
KR20010096174A (ko) * 2000-04-17 2001-11-07 임재동 플루트의 음색 및 음량 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004157486A (ja) 2002-11-01 2004-06-03 Yoshikazu Matsuura サキソフォンマウスピース用音色調整リング及びサキソフォンの音色調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81A (ko) 2017-12-28 2019-07-08 이수철 자동튜닝 색소폰 및 그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319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31374A1 (en) Keyless plastic saxophone
Erickson Arranging for the concert band
KR101118544B1 (ko) 가변음정 색소폰
CN101409069B (zh) 倍低音萨克斯
CN101833945B (zh) 一种降e超高音唢呐萨克斯管
US4993303A (en) Hornette
CN201435204Y (zh) 高八度bE调萨克斯管
CN201707889U (zh) 一种降e超高音唢呐萨克斯管
JP3528578B2 (ja) 木管楽器
KR101019110B1 (ko) 클라리넷
JP6799866B2 (ja) ファゴット
KR200303173Y1 (ko) 개량된 정악대금
Read Extending the tonal resources of wind instruments: Some contemporary techniques
CN214847693U (zh) 一种管乐器
US20230317036A1 (en) Instrument with interior body walls having airflow disruption apparatus
KORDOWSKI Instrumentation and Types of Polish Wind Orchestras.
KR101453480B1 (ko)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CN101567181A (zh) 高八度bE调萨克斯管
Lambert Technical Development of Musical Instruments: Brass
Carse XVII Century Orchestral Instruments
Daehn Nottingham Castle
Webb The Cornophone as Wagner Tuba
Chandler His Body Lies, His Soul Marches
TW201331928A (zh) 修正樂器振動能量的設備與系統
CN201435205Y (zh) C大调萨克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