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599A -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599A
KR20020040599A KR1020010072898A KR20010072898A KR20020040599A KR 20020040599 A KR20020040599 A KR 20020040599A KR 1020010072898 A KR1020010072898 A KR 1020010072898A KR 20010072898 A KR20010072898 A KR 20010072898A KR 20020040599 A KR20020040599 A KR 2002004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disk
optical
coating lay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710B1 (ko
Inventor
무라타모리히로
스즈키아키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4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1Protecting the head, e.g. against dust or impact with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의 손상을 방지 및 감소하도록,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픽업 장치를 제공한다. 광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한다.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쪽으로 더 돌출된다.

Description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DISK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의 손상을 방지 및 경감을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정보 기록 매체로서,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compact disk recordable), CD-RW(compact disk rewritable), DVD-ROM(digital versatile disk read only memory), DVD-RW(digital versatile disk rewritable) 등의 광학 판독식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상변화형 디스크 등 여러 가지 광디스크가 있다.
광디스크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의 초점을 맞추도록 포커스 서보(servo)를 이용하지만,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면, 빔광의 초점을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맞추고 있는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가 충돌하여 광디스크나 대물 렌즈가 손상을 입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의 광디스크에 대향한 면에 부직포나 펠트(felt) 등의 완충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 완충재를 배치하고, 포커스 서보가 벗어난 경우에는,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충돌하기 전에 완충재에 충돌함으로써, 대물 렌즈가 광디스크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광디스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완충재로부터 실 부스러기 등의 먼지가 마찰되어 떨어져 나와 장치내에 흩어져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광디스크의 대용량화 및 고밀도화에 따라, 작업 공간, 즉, 서보 모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의 대물 렌즈와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의 충돌 위험성이 증대된다.
대용량, 고밀도화에 따라,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을 덮고 있는 보호층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로 인하여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에 따라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광학 픽업 장치 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4와 같이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7과 같이 제2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의 문제점을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2 실시예의 이점을 설명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마스킹(masking)의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3과 같이 제4 실시예의 기본이 되는 렌즈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렌즈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5와 같이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구조의 렌즈 홀더와 광디스크를 충돌시킨 후에서의 신호의 판독 시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광디스크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별도 구조의 렌즈 홀더와 충돌시킨 후에서의 신호의 판독 테스트를 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광디스크를, 제4 실시예의 렌즈 홀더와 충돌시킨 후에서의 신호의 판독 테스트를 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도 22와 같이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7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4와 같이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8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하는 동시에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의 손상을 방지 및 경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광학 픽업 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되고,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또한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쪽으로 대물 렌즈보다 더 돌출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손상이 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학 픽업 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대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렌즈 홀더에 설치된 렌즈 보호기, 및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되고,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쪽으로 대물 렌즈보다 더 돌출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가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은, 광디스크에 대향하여 대물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는 단면을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에 근접시켜 배치하여, 렌즈 홀더와 광디스크가 접근했을 때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의 충돌을 피하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고,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진 부분에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광학 픽업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가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대물렌즈 보호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 보호면과 면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 회전 장치에 의해서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포함하고,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되고,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쪽으로 대물 렌즈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가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 회전 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포함하고, 이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대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렌즈 홀더에 설치된 렌즈 보호기, 및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상에 형성된 코팅층,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되고,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광디스크쪽으로 대물 렌즈보다 더 돌출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가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므로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또다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 회전 장치에 의하여 회전된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실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여 대물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는 단면을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에 근접시켜 배치하여, 렌즈 홀더와 광디스크가 접근했을 때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간의 충돌을 피하도록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고,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가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대물 렌즈 보호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 보호면과 면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이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를 광디스크(2)에 대한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적용하며, 디스크 회전 장치(3) 및 광학 픽업 장치(4)를 구비한다.
광디스크(2)로서는 CD-ROM, CD-R, CD-RW, DVD-ROM 및 DVD-RW 등의 광학 판독식의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상변화형 광학 디스크 등의 여러 가지 광디스크를 들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템이나 크기는 불문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재생 또는 기록 전용 장치 이외에 재생 및 기록 양자 모두가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고, 그 사용 형태에 있어서 고정용 또는 휴대용 여부는 불문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서, 광디스크(2)를 디스크 회전 장치(3)에 의해서 회전시키고, 회전중인 광디스크(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학 픽업 장치(4)에 의해서 광디스크(2)에 대한 신호를 기록 및/또는 판독한다.
디스크 회전 장치(3)는 섀시(5)상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6)와 스핀들 모터(6)에 의해서 회전되는 턴테이블(7)을 구비하고, 광디스크(2)는 턴테이블(7)상에서 지지된 상태로 회전한다.
광학 픽업 장치(4)는 슬라이드베이스(8)상에 구축되어 있고, 슬라이드베이스(8)는, 섀시(5)에 설치된 가이드축(9)과 피드 스크류(10)에 의해 턴테이블(7)상에 유지된 광디스크(2)의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즉, 슬라이드베이스(8)의 일단부(8a)는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가이드축(9)에 맞물리고, 슬라이드베이스(8)의 타단부(8b)는 피드 스크류(1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피드 스크류(10)는 이송 모터(11)에 의해서 회전되어, 피드 스크류(10)의 회전은 슬라이드베이스(8)의 타단부(8b)를 피드 스크류(10)의 축방향, 즉, 턴테이블(7)상의 광디스크(2)의 반경 방향으로 보내기 때문에, 슬라이드베이스(8)의 일단부(8a)도 동일 방향으로 미끄러지므로, 광학 픽업 장치(4)는 턴테이블(7)상의 광디스크(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은 광학 픽업 장치(4)를 턴테이블(7)상의 광디스크(2)의 반경 방향으로 보내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며, 광학 픽업 장치(4)를 턴테이블(7)상의 광디스크(2)의 반경 방향으로 보내는 메커니즘은 도 1에 나타낸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광학 픽업 장치(4)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이다.
광학 픽업 장치(4)는, 반도체 레이저 등의 레이저 광원(12), 광검출기(13), 빔 스플리터(14), 거울(15) 및 대물 렌즈(16)를 포함한다.
레이저 광원(12)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광(17)은 빔 스플리터(14)를 투과하여 거울(15)에 의해서 광로가 90°상승하고, 광디스크(2)의 신호 기록층(2a)에 집광된다. 광디스크(2)의 신호 기록층(2a)에 의해서 반사된 반사 레이저광(18)은 대물 렌즈(16) 및 거울(15)을 사이에 두고 빔 스플리터(14)에 의해서 반사되어 광검출기(13)에 의해서 검출된다. 광검출기(13)에 의한 반사 레이저광(18)의 검출에 따라 포커스 에러 신호 및 추적 에러 신호를 얻고, 재생시에는 재생 신호를 얻는다. 재생 신호를 처리하여, 광디스크(2)의 신호 기록층(2a)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재생)한다.
대물 렌즈(16)는 2축 액츄에이터(19)에 의해서 초점 방향, 즉, 턴테이블(7)로 지지된 광디스크(2)의 신호 기록층(2a)에 대한 이접(離接) 방향 및 추적 방향, 다시 말하면, 턴테이블(7)상에 유지된 광디스크(2)의 신호 기록층(2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축 액츄에이터(19)는 가동부(20)를 포함하고, 이 가동부(20)에 렌즈 홀더(21)를 사이에 두고 대물 렌즈(16)를 지지한다. 이 가동부(20)는 슬라이드베이스(8)상에 지지되어, 고정된 지지부(22)에 구비된 미세한 탄성력이 있는 선재로 이루어진 서스펜션(23, 23, …)을 사이에 두고 초점 방향(도 2의 화살표 F 참조) 및 추적 방향(도 2의 화살표 T 참조)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2축 액츄에이터(19)에 도시하지 않은 자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광검출기(13)로부터 얻어진 초점 에러 신호 및 추적 에러 신호에 따라 자기 회로가 구동되므로, 가동부(20)가 초점 방향 및 추적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물 렌즈(16)에 의해서 광디스크(2)의 신호 기록층(2a)에 조사되는 레이저광(17)이 신호 기록층(2a)에 형성된 기록 트랙 또는 안내용 홈을 추적하고, 기록 트랙 또는 안내용 홈상에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광학 픽업 장치(4)의 구조는 기본적인 구조이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광원(12)과 광검출기(13)를 따로 설치하는 대신에, 레이저 광원과 광검출기가 일체로 합쳐진 레이저 연결기(coupler)를 사용하거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광디스크를 거쳐 광검출기에 이르는 광로중에 전술한 것 이외의 광학 소자를 개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물 렌즈(16)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21)에 특징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렌즈 홀더(21)는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대략 원통형이다. 대물 렌즈(16)는 렌즈 홀더(21)의 중심 구멍(21a)에 지지된다. 대물 렌즈(16)는 개구 직경을 넓히기 위하여, 전단 렌즈(16a)와 후단 렌즈(16b)로 이루어진 2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도 4 참조).
렌즈 홀더(21)의 디스크측 단면,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21b)에 코팅층(24)이 형성된다. 코팅층(24)은 광디스크(2)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재료로서, 불화탄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화탄소계 수지 코팅재를 고려할 수 있다. 코팅층(24)은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홀더(21)의 디스크측 단면(21b)에 형성된 코팅층(24)이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포커스 서보가 벗어난 경우라도 대물 렌즈(16)가 광디스크(2)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24)이 광디스크(2)와 접촉하기 때문에, 대물 렌즈(16)가 손상되지 않고, 광디스크(2)는 자신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24)과 충돌하기 때문에, 잘 손상되지 않아 충돌로 인해 신호 판독을 할 수 없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홀더(21A)에서 디스크측 단면(21b) 중 광디스크(2)의 회전(회전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한 부분(21c)(이하, 단차면이라고 함)의 외측 부분에 코팅층(24)을 형성한다. 코팅층(24)은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단차면(21c)을 형성한 이유를 이하에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한다.
단차면(21c)이 없는 렌즈 홀더에서, 즉,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렌즈 홀더(21)에서, 광디스크(2)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코팅층(24) 부분에 먼지 등[광디스크(2)와 코팅층(24)간의 충돌에 따라 생기는 광디스크(2) 및 코팅층(24)이 깎인 찌꺼기 및 먼지(25, 25, …)]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도 6a 참조),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16)에 접근하는 때, 광디스크(2)는 코팅층(24)에 충돌하고, 코팅층(24)상에 있는 먼지 등(25, 25, …)을 광디스크(2) 회전의 하류측에 날려버린다. 먼지 등(25, 25, …)의 위치가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날려버린 먼지 등(25, 25, …)이 대물 렌즈(16)상에 놓여(도 6b 참조), 먼지 등(25, 25, …)이 대물 렌즈(16)를 투과하여 레이저광(17)을 차단하므로[도 6c 참조], 신호 판독 및/또는 기록에 장애가 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광디스크(2)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면(21c)을 구비하고, 단차면(21c)은 코팅층(24)보다 광디스크(2)에서 보다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단차면(21c)상에 먼지 등(25, 25, …)이 놓여 있으므로(도 7a 참조),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16)에 접근해서 코팅층(24)에 충돌하더라도, 먼지 등(25, 25, …)이 놓인 단차면(21c)은 코팅층(24)보다 광디스크(2)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먼지 등(25, 25, …)을 광디스크(2) 회전의 하류측에 날려보내지 않는다(도 7b 참조). 따라서 먼지 등(25, 25, …)이 대물 렌즈(16)를 투과하여 레이저광(17)을 차단하지 않는다(도 7c 참조).
도 8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렌즈 홀더(21A')에서,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2)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1c')을 다른 부분보다 광디스크(2)로부터 멀리 위치한 단차면으로 형성하고, 코팅층(24)을 렌즈 홀더(21A)'의 디스크측 단면 전체에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코팅층(24) 중 단차면(21c')상에 형성된 것(24a)은 다른 부분에 형성된 것보다 광디스크(2)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렌즈 홀더(21A)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코팅층(2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코팅층(24)의 형성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9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렌즈 홀더(21B)에서 디스크측 단면(21b) 중 광디스크(2)의 회전(회전 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1c)(단차면)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1d)(이하, '하류측 단차면'이라고 함)을 제외한 부분에 코팅층(24, 24)이 형성된다. 코팅층(24, 24)은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렌즈 홀더(21B)에서, 상류측 단차면(21c)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내지만, 하류측 단차면(21d)은 특별한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렌즈 홀더(21B)의 디스크측 단면(21b)상에 코팅층(2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마스킹 기술이 적용되지만, 상류측 단차면(21c)과 대물 렌즈(16)를 덮는 마스킹(26)(도 10a의 사선부 참조)을 실시하기보다는 상류측 단차면(21c)에서 대물 렌즈(16)를 지나서 하류측 단차면(21d)에 이르는 마스킹(27)(도 10b의 사선부 참조)을 실시하는 쪽이 정밀도가 낮아도 되므로, 코팅층(24)의 형성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코팅재의 사용량도 적어도 충분하다. 코팅층(24, 24)이 광디스크(2)와 대물 렌즈(16)간의 충돌을 피하는 동시에, 충돌시 광디스크(2)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효과에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렌즈 홀더에서 별 차이가 없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렌즈 홀더(21B')에서, 디스크측 단면(21b) 중 광디스크(2)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1c')(단차면)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1d')(이하, '하류측 단차면'이라고 함)을 다른 부분보다 광디스크(2)에서 멀리 위치한 단차면으로 형성하고, 코팅층(24)은 렌즈 홀더(21B')의 디스크측 단면의 전체위에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코팅층(24) 중 단차면(21c', 21d')에 형성된 부분(24a, 24a)은 다른 부분에 형성된 것보다 광디스크(2)에서 멀리 위치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렌즈 홀더(21B)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이 변형예에서는, 코팅층(2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이 필요하지 않아 코팅층(24)의 형성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기초가 되는 렌즈 홀더를 나타낸다.
렌즈 홀더(21X)는 홀더 본체(28)와 렌즈 보호기(29)로 이루어진다.
홀더 본체(28)는 대직경부(28a)와 이 대직경부(28a)의 상측에 연결된 소직경부(28b)로 이루어지고, 소직경부(28b)의 외형은 원형을 이룬다. 홀더 본체(28)의 중심부를 관통한 중심 구멍(28c)에는 대물 렌즈(16)[전단 렌즈(16a) 및 후단 렌즈(16b)]가 지지된다.
렌즈 보호기(29)는 원환형이고, 내경은 홀더 본체(28)의 소직경부(28b)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렌즈 보호기(29)는 그 소직경부(28b)에 외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접착 등에 의해 홀더 본체(28)에 고정된다. 렌즈 보호기(29)가 홀더 본체(28)에 고정된 상태에서,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은 대물 렌즈(16)(구체적으로는 전단 렌즈(16a)의 디스크측 단면)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고, 렌즈 보호기(29)를 불화탄소계 수지로 형성한 렌즈홀더(21X)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현저한 충돌에 견디는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것에서는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를 1000회 충돌시킨 후의 신호의 판독 에러수를 측정하면, 신호를 판독할 수 없었다. 불화탄소계 수지로 형성한 렌즈 보호기(29)를 채택한 경우에는 신호 판독 에러는 있었지만, 판독 불능이 되는 것은 없었다. 충돌 후의 신호 판독 에러수의 측정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4 실시예의 따른 렌즈 홀더(21C)는 기본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구조를 가지고 있고,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상에 코팅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30)은 광디스크(2)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팅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재로서는, 예를 들면, 불화탄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화탄소계 수지 코팅재를 고려한다. 코팅층(30)은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렌즈 홀더(21X)에서는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이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쪽에 더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제4 실시예의 렌즈 홀더(21C)에서는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이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될 필요는 없고, 디스크측 단면(29a)에 형성된 코팅층(30)이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 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된 상태이면 충분하다.
제4 실시예에서는 렌즈 홀더(21C)의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에 형성된 코팅층(30)이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가 벗어난 경우, 대물 렌즈(16)가 광디스크(2)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30)이 광디스크(2)에 충돌하므로 대물 렌즈(16)가 손상되지 않고, 광디스크(2)는 자신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30)과 충돌하기 때문에, 광디스크(2)도 잘 손상되지 않아 충돌에 의해 신호 판독이 불가능해질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은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5 실시예의 렌즈 홀더(21D)에서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중 광디스크(2)의 회전(회전 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한 부분(29b)(이하, '단차면'이라고 함)을 제외한 부분에 코팅층(30)이 형성된다. 코팅층(30)은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다.
단차면(29b)을 형성한 의미는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광디스크(2)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상당하는 부분에 단차면(29b)을 구비하고, 단차면(29b)은 코팅층(30)보다 광디스크(2)에서 더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단차면(29b)상에 먼지 등이 놓인 상태에서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16)에 접근하여 코팅층(30)에 충돌하더라도 먼지(25, 25, …) 등이 놓인 단차면(29b)은 코팅층(30)보다 광디스크(2)에서 먼 위치에 있으므로 먼지(25, 25, …) 등을 광디스크(2)의 회전의 하류측에 날려 보내지지 않는다. 따라서, 먼지 등이 대물 렌즈(16)를 투과하는 레이저광(17)을 차단하지 않는다.
도 17은 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6 실시예의 렌즈 홀더(21E)에서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29a) 중 광디스크(2)의 회전(회전 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9b)(단차면)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9c)(하류측 단차면)을 제외한 부분에 코팅층(30, 30)을 형성한다. 코팅층(30, 30)은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다.
제6 실시예의 렌즈 홀더(21E)는 제3 실시예의 렌즈 홀더(21B)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구조를 가지고, 렌즈 보호기(29)를 각각 FL3093(NTN 주식회사에서 제조한 불화탄소계 수지의 제품명)으로 형성한 것(제1 샘플), FE5000(NTN 주식회사에서 제조한 불화탄소계 수지의 제품명)으로 형성한 것(제2 샘플) 및 렌즈 홀더를 제4 실시예의 구조를 가지고, 렌즈 보호기(29)를 ABS 수지로 형성하며, 불화탄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30)을 형성한 것(제3 샘플)으로 준비한다. 광디스크(2)와 각 샘플과 충돌시킨 후의 신호 판독 에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다.
측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한 광디스크는 직경이 약 120mm, 두께가 약 1.2mm[약 100㎛의 보호층(2b)의 두께를 포함]인 형상을 가지는 고밀도 기록의 광디스크이다. 포커스 서보가 동작중인 경우,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의 표면(2c) 사이의 간격(작업 공간)이 약 150㎛, 광디스크(2)의 표면(2c)과 렌즈 보호기(29)[또는 렌즈 보호기(29)상에 형성된 코팅층(30)] 사이의 간격이 약 120㎛, 렌즈 보호기(29)의 디스크측 단면[또는 코팅층(30)의 디스크측 단면]과 대물 렌즈(16) 사이의 간격이 약 30㎛로서 신호를 판독한다(도 15 참조).
제1 샘플 및 제2 샘플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1,000회 충돌시킨 후, 제1 샘플에 대해서는 27000번째 트랙에서 28000번째 트랙까지의 홀수번째 트랙에 대해 트랙당 신호 판독 에러의 수를, 제2 샘플에 대해서는 19000번째 트랙에서 20000번째 트랙까지의 홀수번째 트랙에 대해 트랙당 신호 판독 에러의 수를, 제3 샘플에 대해서는 2,000회 충돌 후 62000번째 트랙에서 63000번째 트랙까지의 홀수번째 트랙에 대해 트랙당 신호 판독 에러의 수를 각각 측정한다. 1회 충돌시 광디스크(2)는 약 24,000 트랙 정도의 폭에 걸쳐 손상된다.
도 18 내지 도 20의 그래프에서 횡축에 트랙수를, 종축에 신호 판독 에러수를 나타내고, 3.00E-03선은 사양상 허용되는 목표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광학 픽업 장치에 대해 유사한 측정을 행한 결과, 1,O00회 충돌 후 신호 판독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샘플에서는 1 트랙당 최대 12000개 이상의 신호 판독 에러가 있었지만, 신호 판독이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았다.
도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샘플에서는 에러수가 대부분의 트랙에서 목표치 이하이며, 몇몇 트랙에서만 목표치 이상의 신호 판독 에러가 야기되었다.
도 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샘플에서는 제1 샘플과 제2 샘플의 충돌 회수의 2배인 2,000회의 충돌후에도 모든 트랙에서 신호 판독 에러수가 목표치보다 낮아서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21 및 도 22는 제7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7 실시예의 렌즈 홀더(21F)에서 디스크측 단면(21b) 중 광디스크(2)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21e)(이하, '단차면'이라고 함)을 제외한 부분이, 단차면(21e)보다 광디스크(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대물 렌즈 보호면(21f)으로서 형성된다. 대물 렌즈 보호면(21f)은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다.
제7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홀더(21F)의 디스크측 단면(21b)에 형성된 대물 렌즈 보호면(21f)이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가 벗어난 경우, 대물 렌즈(16)가 광디스크(2)와 충돌하기 전에 대물 렌즈 보호면(21f)이 광디스크(2)에 충돌하므로 대물 렌즈(16)가 손상되지 않는다.
제7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 보호면(21f)과 면접촉하므로 광디스크(2)의 손상이 경미해진다.
렌즈 홀더(21F)와 광디스크(2)의 충돌에 기인한 광디스크(2)의 손상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대물 렌즈 보호면(21f)을 광디스크(2)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단차면(21e)을 형성한 의미는, 제2 실시예에서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단차면(21e)은 대물 렌즈 보호면(21f)보다 광디스크(2)로부터 멀리 위치하므로, 단차면(21e)상에 먼지 등(25, 25, …)이놓인 경우,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16)에 접근하므로, 대물 렌즈 보호면(21f)에 충돌하더라도 먼지 등(25, 25, …)은 광디스크(2) 회전의 하류측에 날리지 않는다. 따라서 먼지 등(25, 25, …)이 대물 렌즈(16)를 투과하여 레이저광(17)을 차단하지 않는다.
레이저광(17)은 대물 렌즈(16)의 중심부를 투과하고, 대물 렌즈(16)의 광디스크(2)측 렌즈면(16c)에서의 레이저광(17)의 투과 영역 E(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를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다.
따라서,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16)에 접근하여 렌즈 홀더(21F)에 충돌하는 경우, 대물 렌즈 보호면(21f)상에 놓인 먼지 등(25, 25, …)은 광디스크(2)의 회전의 하류측으로 날릴 수 있지만, 단차면(21e)상에 놓인 먼지 등(25, 25, …)은 광디스크(2)의 회전의 하류측에 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렌즈 홀더(21F)의 단차면(21e)의 내주측의 단부의 폭 W를 대물 렌즈(16)의 직경 D1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대물 렌즈 보호면(21f)에 놓인 먼지 등(25, 25, …)이 광디스크(2)의 회전의 하류측에 날릴 때 투과 영역 E를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21F)의 단차면(21e)의 내주측의 단부의 폭 W는 투과 영역 E의 직경 D2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홀더(21F)의 대물 렌즈 보호면(21f)에 광디스크(2)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 예를 들면, 불화탄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화탄소계 수지의 코팅재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코팅층을 대물 렌즈 보호면(21f)에 형성함으로써, 포커스 서보가 벗어났을 때, 광디스크(2)가 코팅층과 충돌하기 때문에, 광디스크(2)가 잘 손상되지 않아서 충돌로 인해 신호를 판독하지 못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8 실시예의 렌즈 홀더(21G)는 광디스크(2)측에 배치되고 대략 평판 모양인 직사각형부(31) 및 이 직사각형부(31)를 사이에 끼고 광디스크(2)의 반대측에 배치된 원통부(32)로 이루어진다. 렌즈 홀더(21G)는 직사각형부(31)의 디스크측 단면(31a) 중 광디스크(2)의 회전(회전 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냄)에 대하여 대물 렌즈(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31b), 대물 렌즈(1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31c) 및 부분(31b, 31c)에 직교하는 위치 부분(31d, 31e)[이하, 부분(31b, 31c, 31d, 31e)을 '단차면'이라고 함]을 제외한 4개의 분리된 부분이, 단차면(31b, 31c, 31d, 31e)보다 광디스크(2)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으로 형성된다.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은 대물 렌즈(16)의 전단 렌즈(16a)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다.
제8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홀더(21G)의 디스크측 단면(31a)에 형성된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이 대물 렌즈(16)보다 광디스크(2)측에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가 벗어난 경우, 대물 렌즈(16)가 광디스크(2)에 충돌하기 전에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 중의 하나가 광디스크(2)에 충돌하므로 대물 렌즈(16)가 손상되지 않는다.
제8 실시예에 따르면, 광디스크(2)가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과 면접촉하므로, 광디스크(2)의 손상이 경미해진다.
렌즈 홀더(21G)와 광디스크(2)의 충돌에 기인한 광디스크(2)의 손상을 경감하기 위하여,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을 광디스크(2)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단차면(31b)을 형성한 의미는 제7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렌즈 홀더(21G)의 단차면(31b)의 폭 W'는 제7 실시예와 동일한 이유로 대물 렌즈(16)의 직경 D1보다 작고, 투과 영역 E의 직경 D2보다 넓게 만들어진다.
렌즈 홀더(21G)의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상에 광디스크(2)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 예를 들면, 불화탄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화탄소계 수지의 코팅재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코팅층을 대물 렌즈 보호면(31f, 31f, …)상에 형성함으로써, 포커스 서보가 벗어났을 때, 광디스크(2)는 코팅층과 충돌하므로 광디스크(2)가 잘 손상되지 않아, 충돌로 인해 신호 판독이 불가능해질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제8 실시예의 렌즈 홀더(21G)에서 하류측 단차면(31c)은 특별한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제3 실시예의 렌즈 홀더(21B)와 유사하게 마스킹시의 정밀도가 낮아도 되어, 코팅층의 형성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한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학 픽업 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이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픽업 장치에서,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된 먼지 등이 광디스크와의 충돌로 인하여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된 먼지 등이 광디스크와의 충돌로 인하여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동시에,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코팅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가 적어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이므로, 충돌에 의해서 광디스크에 주는 손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직경이 약 120mm, 두께가 약 1.2mm이고, 그 중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작동중인 상태에서의 대물 렌즈와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 이고, 코팅층과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이기 때문에, 신호를 고밀도로 판독 및/또는 기록할 수 있어서, 고밀도화에 기인한 작업 공간의 감소에 따른 광디스크와 렌즈 홀더간의 충돌 위험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광디스크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해되는 것처럼, 별도의 광학 픽업 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로서,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이 대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렌즈 홀더상에 설치된 렌즈 보호기, 및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이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별도의 광학 픽업 장치에서,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 등이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광디스크와의 충돌로 인하여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 등이 광디스크와의 충돌로 인하여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코팅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이 적어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이므로, 충돌에 의해서 광디스크에 주는 손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직경이 약 120mm, 두께가 약 1.2mm이고 이 중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작동중인 상태에서의 대물 렌즈와 디스크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이고, 코팅층과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이므로, 신호를 고밀도로 판독 및/또는 기록할 수 있어서, 고밀도화에 따른 작업 공간의 감소에 기인한 광디스크와 렌즈 홀더간의 충돌 위험성의 증가에 불구하고, 광디스크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별도의 광학 픽업 장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광학 픽업 장치로서,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및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여 대물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는 단면을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에 가깝게 배치하여, 렌즈 홀더가 광디스크에 접근했을 때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의 충돌을 방지하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고,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적어도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별도의 광학 픽업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대물 렌즈 보호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서 대물 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 보호면과 면접촉하므로, 광디스크가 경미하게 손상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대물 렌즈 보호면상에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므로, 광디스크의 손상은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이 적어도 충분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해되는 것처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장치, 및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포함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이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된 먼지 등이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광디스크와의 충돌로 인하여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된 먼지 등이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광디스크와의 충돌로 인하여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며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이 적어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이기 때문에, 충돌로 광디스크에 주는 손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직경이 약 120mm, 두께가 약 1.2mm이고, 그 중에서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대물 렌즈와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 코팅층과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이기 때문에, 고밀도로 신호를 판독 및/또는 기록할 수 있고, 고밀도화에 따른 작업 공간의 협소화에 기인한 광디스크와 렌즈 홀더간의 충돌 위험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광디스크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해되는 것처럼, 별도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장치 및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포함하고,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이 대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렌즈 홀더에 설치된 렌즈 보호기, 및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상에 형성된 코팅층,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하고, 이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별도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에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코팅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코팅층과 접촉하지만, 코팅층은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된 먼지 등이 광디스크와의 충돌에 의해서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은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에 부착된 먼지 등이 광디스크와의 충돌에 의해서 대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코팅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이 적어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이므로, 충돌에 의해서 광디스크에 가해지는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직경이 약 120mm, 두께가 약 1.2mm이며 그 중에서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 약 10O㎛의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대물 렌즈와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 코팅층과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 이기 때문에, 고밀도로 신호를 판독 및/또는 기록할 수 있어서, 고밀도화에 따른 작업 공간의 감소에 기인한 광디스크와 렌즈 홀더의 충돌 위험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광디스크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명백히 이해되는 것처럼, 별도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장치 및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포함하며, 광학 픽업 장치는,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및 이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하고,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광디스크에 대향하여 대물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는 단면을 대물 렌즈보다 광디스크에 더 가깝게 배치하여, 렌즈 홀더가 광디스크에 접근했을 때 대물 렌즈와 광디스크간의 충돌을 피하도록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고,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적어도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은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별도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가 벗어나 광디스크가 대물 렌즈가 접근하더라도,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와 충돌하기 전에 대물 렌즈 보호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와 대물 렌즈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서 대물 렌즈가 손상되지 않는다.
또,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 보호면과 면접촉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이 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대물 렌즈 보호면에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손상은 경미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코팅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코팅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는 재료가 적어도 충분하다.

Claims (34)

  1.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로서,
    상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상기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상기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대물 렌즈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광학 픽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광학 픽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광학 픽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광학 픽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광학 픽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광학 픽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직경이 약 120mm이고, 두께가 약 1.2mm이며, 이 중에서 상기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이며, 상기 코팅층과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 인 광학 픽업 장치.
  8.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로서,
    상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상기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상기 대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렌즈 홀더상에 설치된 렌즈 보호기 및
    상기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즉 상기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대물 렌즈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광학 픽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광학 픽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광학 픽업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광학 픽업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광학 픽업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광학 픽업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직경이 약 120mm, 두께 약 1.2mm이고 그 중에서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이고, 상기 코팅층과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인 광학 픽업 장치.
  15.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로서,
    상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및
    상기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상기 광디스크에 대향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는 단면을 상기 대물 렌즈보다 상기 광디스크에 근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광디스크에 접근했을 때,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광디스크간의 충돌을 피하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는 광학 픽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 보호면에는, 상기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 픽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는 광학 픽업 장치.
  18.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
    상기 광학 픽업 장치는,
    상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상기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상기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하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대물 렌즈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직경이 약 120mm이고, 두께가 약 1.2mm이며 그 중에서 상기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이며, 상기 코팅층과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5.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
    상기 광학 픽업 장치는,
    상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상기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상기 대물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렌즈 홀더에 설치된 렌즈 보호기 및
    상기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즉 상기 광디스크에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하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대물 렌즈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돌출되어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렌즈 보호기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기 광디스크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주성분이 불화탄소계 수지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직경이 약 120mm이고, 두께가 약 1.2mm이며 그 중에서 상기 신호 기록층을 덮는 보호층의 두께가 약 10O㎛인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에 사용되고, 포커스 서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50㎛이며, 상기 코팅층과 상기 디스크 표면 사이의 간격이 약 120㎛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2.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장치와, 회전하고 있는 상기 광디스크의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호 기록층에 대한 신호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
    상기 광학 픽업 장치는,
    상기 신호 기록층에 빔광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 및
    상기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즉 상기 광디스크에 대향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는 단면을 상기 대물 렌즈보다 상기 광디스크에 근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광디스크에 접근했을 때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광디스크의 충돌을 피하도록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상기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 보호면에는 상기 광디스크보다 부드럽고 슬립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디스크측 단면 중,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부분에는 상기 대물 렌즈 보호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20010072898A 2000-11-22 2001-11-22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803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5864 2000-11-22
JP2000355864 2000-11-22
JP2001301594A JP4569800B2 (ja) 2000-11-22 2001-09-28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JP-P-2001-00301594 2001-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99A true KR20020040599A (ko) 2002-05-30
KR100803710B1 KR100803710B1 (ko) 2008-02-15

Family

ID=2660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898A KR100803710B1 (ko) 2000-11-22 2001-11-22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81946B2 (ko)
EP (1) EP1209670B1 (ko)
JP (1) JP4569800B2 (ko)
KR (1) KR100803710B1 (ko)
CN (1) CN1193356C (ko)
DE (1) DE60142279D1 (ko)
HK (1) HK1049541B (ko)
MY (1) MY126101A (ko)
SG (1) SG96664A1 (ko)
TW (1) TW58365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8553B2 (en) 2003-02-18 2007-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766204B1 (ko) * 2005-08-31 2007-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대물렌즈의 보호부재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7125B2 (en) * 2001-12-10 2005-02-15 Akros Limited Contact member to optical disk, protecting film for optical disk and coating composition
JP4017896B2 (ja) * 2002-03-15 2007-12-05 Ntn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の対物レンズ保護部材
JP2004045330A (ja) * 2002-07-15 2004-02-12 Ricoh Co Ltd 非接触温度検知装置
JP2004118992A (ja) * 2002-09-30 2004-04-15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ディスク再生装置、対物レンズ、保護部材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004185721A (ja) * 2002-12-03 2004-07-02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40202063A1 (en) * 2003-04-09 2004-10-14 Osamu Mizuno Optical disk apparatus
JP2005108365A (ja) * 2003-10-01 2005-04-21 Ntn Corp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レンズホルダおよびレンズプロテク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5149665A (ja) * 2003-11-19 2005-06-09 Fujitsu Ltd 光磁気ヘッドおよび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6012210A (ja) * 2004-06-22 2006-01-12 Canon Inc 光ディスク装置
CN1755829B (zh) * 2004-08-31 2012-05-16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光拾取器装置及其透镜单元、透镜单元用镜框和装配方法
JP2006155825A (ja) * 2004-11-30 2006-06-15 Sharp Corp レンズ支持機構、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4516446B2 (ja) * 2005-02-23 2010-08-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ホログラムを用いた記録媒体装置
US20080259777A1 (en) * 2005-03-17 2008-10-23 Boku Kouretsu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JP5065010B2 (ja) * 2005-03-22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7018632A (ja) * 2005-07-08 2007-01-25 Sharp Corp 対物レンズ保持装置およびその利用
JP2007080316A (ja) * 2005-09-12 2007-03-29 Sanyo Electric Co Ltd 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ク装置
TW200713251A (en) * 2005-09-14 2007-04-01 Lite On It Corp Micro optical pickup head
WO2007043578A1 (ja) * 2005-10-14 2007-04-19 Pioneer Corporation 衝突防止機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0418A (ja) * 2006-01-25 2007-08-09 Funai Electric Co Ltd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8084503A (ja) * 2006-09-29 2008-04-10 Funai Electric Co Ltd 対物レンズのチルト調整機構
WO2008096565A1 (ja) * 2007-02-08 2008-08-14 Konica Minolta Opto, Inc. 複合対物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8210458A (ja) * 2007-02-27 2008-09-11 Funai Electric Co Ltd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9015934A (ja) * 2007-07-03 2009-01-22 Funai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用レンズホルダ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
US7898929B2 (en) * 2007-07-20 2011-03-01 Sanyo Electric Co., Ltd. Objectiv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JP2009032301A (ja) * 2007-07-24 2009-02-12 Pioneer Electronic Corp アクチュエータ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9104740A (ja) 2007-10-25 2009-05-14 Funai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JP4591589B2 (ja) * 2008-10-16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10192035A (ja) * 2009-02-18 2010-09-02 Funai Electric Co Ltd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WO2013046621A1 (ja) * 2011-09-30 2013-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情報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9333A (ja) * 1987-04-28 1988-11-07 Pioneer Electronic Corp 光学式ピツクアツプ装置
JPH0254433A (ja) * 1988-08-18 1990-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ピックアップ
JPH04129039A (ja) * 1990-09-18 1992-04-30 Sony Corp 光学式ピックアップ
EP0551190A3 (en) 1992-01-07 1994-10-26 Ibm Optical data storage system with reduced particle contamination
JP2593998B2 (ja) * 1992-04-15 1997-03-26 ソニー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
JPH06302001A (ja) * 1993-04-15 1994-10-28 Seiko Epson Corp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記録再生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H09120562A (ja) 1996-05-07 1997-05-06 Ntn Corp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アクチュエータ用レンズホルダー支持軸の製造方法
JPH10221583A (ja) * 1997-02-03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217968B1 (en) * 1997-04-21 2001-04-17 Hitachi Maxell,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optical head and optical recording device
US5995304A (en) * 1997-07-02 1999-11-30 Fuji Photo Optical Co., Ltd. Plastic lens
EP0911653B1 (de) 1997-09-05 2006-07-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Immersionssystem
JP3259029B2 (ja) 1998-10-02 2002-02-18 東北大学長 不等厚断面形状部材を曲げ非球面を形成する方法
JP2000111710A (ja) * 1998-10-08 2000-04-21 Sony Corp プラスチックスレンズ
EP1057177A1 (en) 1998-12-21 2000-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canning device
JP4136160B2 (ja) * 1999-02-19 2008-08-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対物レンズ
JP2001209956A (ja) * 2000-01-27 2001-08-03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JP4141622B2 (ja) * 2000-07-05 2008-08-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8553B2 (en) 2003-02-18 2007-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766204B1 (ko) * 2005-08-31 2007-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대물렌즈의 보호부재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
US7515356B2 (en) 2005-08-31 2009-04-07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disk apparatus with protection member for objectiv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710B1 (ko) 2008-02-15
SG96664A1 (en) 2003-06-16
HK1049541B (zh) 2005-10-14
EP1209670A2 (en) 2002-05-29
CN1193356C (zh) 2005-03-16
US20020060974A1 (en) 2002-05-23
HK1049541A1 (en) 2003-05-16
US6781946B2 (en) 2004-08-24
EP1209670B1 (en) 2010-06-02
JP4569800B2 (ja) 2010-10-27
CN1357883A (zh) 2002-07-10
DE60142279D1 (de) 2010-07-15
JP2002222535A (ja) 2002-08-09
TW583651B (en) 2004-04-11
MY126101A (en) 2006-09-29
EP1209670A3 (en)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710B1 (ko) 광학 픽업 장치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9990037156A (ko) 광픽업장치 및 광디스크장치
JP3948028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KR890002318B1 (ko) 광학 디스크의 결함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271859B1 (ko) 광디스크장치 및 광디스크 판별방법
US6542454B2 (en) Pickup device
KR100200873B1 (ko) 광 픽업 장치
JP2007018632A (ja) 対物レンズ保持装置およびその利用
JP2001067700A (ja) 光学ヘッド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20000053390A (ko) 광학 픽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JP3624624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JP2863206B2 (ja) 光情報記録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情報記録媒体
JP3575181B2 (ja) 光学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ピックアップ
JPH0366081A (ja) 対物レンズ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2055024A (ja) 収差検出方法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501690B1 (ko) 자기디스크드라이브에서의클럭신호기록,독출장치및방법과그를위한구조의디스크
JPS6390036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708024B2 (ja) 光ディスクの判別方法
JPS61243950A (ja) 光学ヘツド
WO2003042987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et procede d'evaluation d'u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JP2002039914A (ja) 収差検出方法、収差検出装置並びに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175986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00024922A (ko) 고밀도 기록매체의 재생장치
JPS63155481A (ja) カセツト
JPH1127313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