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521A -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 Google Patents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521A
KR20020037521A KR1020000067468A KR20000067468A KR20020037521A KR 20020037521 A KR20020037521 A KR 20020037521A KR 1020000067468 A KR1020000067468 A KR 1020000067468A KR 20000067468 A KR20000067468 A KR 20000067468A KR 20020037521 A KR20020037521 A KR 20020037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oxide
width
floating gate
memory cell
floating g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918B1 (ko
Inventor
신광식
박규찬
장성남
최정달
이원홍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6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918B1/ko
Priority to US10/001,460 priority patent/US6624464B2/en
Publication of KR2002003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 2 플로팅 게이트가 종래에 비해 폭이 좁고 높이가 크며,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측벽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 형성시 사진 및 식각공정의 공정변수로 인한 선폭변화를 줄이게 되어, 각 메모리 셀 간의 커플링 계수의 차가 적어 프로그램 또는 삭제시 프로그램 속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진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가진 제 2 플로팅 게이트를 설계할 수 있게 되므로 고집적화된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Highly integrated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having high program speed}
본 발명은 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화된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타가 휘발되는 대신 데이터의 입출력이 빠른 RAM제품과, 한번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데이타의 입출력이 느린 ROM(read only memory)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ROM에는 특히,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가 있다. 플래쉬 메모리는 회로보드로부터 제거하지 않으면서 전기적 소거가 가능한 EEPROM의 진보적 형태로서, F-N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 또는 열전자(hot electron)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일반적인 플래쉬 메모리 장치의 불활성 메모리 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불활성 메모리 셀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 필드 산화막(1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드 산화막(110) 사이의 전기적 활성영역(미도시) 상에 터널 산화막층(120), 플로팅 게이트(130, 140), 유전막(150) 및 컨트롤 게이트(180)가 순차 형성된 스택형 게이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플로팅 게이트(130, 140)는 선폭이 활성영역의 선폭과 동일하게 활성영역에 한정되어 있는 제 1 플로팅 게이트(130)와 필드 산화막(110) 상으로 확장되어 그 선폭이 제 1 플로팅 게이트보다 큰 제 2 플로팅 게이트(140)로 구성된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130, 140)가 두 개의 전극 구조를 가지는 것은 프로그램시의 커플링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래쉬 메모리에서 데이타를 저장(이를 프로그램이라고 한다)하고 삭제(erase)할 때 중요한 변수(parameter)는 커플링 계수(coupling ratio)로, 이것은 컨트롤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플로팅 게이트에 커플링되는 전압의 비를 의미한다. 프로그램시에 커플링 계수(C/Rp)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시되고,
(여기서, Cono는 유전막의 커패시턴스를, Ctun은 터널 산화막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삭제시의 커플링 계수(C/Re)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프로그램시의 커플링 계수는 통상 0.55 ~ 0.65 정도의 값에서 유지되는데(따라서, 삭제시의 커플링 계수는 약 0.35 ~ 0.45), 이와 같이 프로그램시에 높은 커플링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유전막(150)의 커패시턴스(Cono)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유전막(150)으로 터널 산화막(120)에 비해 유전 상수가 큰 산화막/질화막/산화막의 복합막을 사용하거나, 이와 동시에 유전막(150)과 제 2 플로팅 게이트(140)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커플링 계수를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유전막(150)의 커패시턴스는 제 2 플로팅 게이트(140)와 유전막(150)의 접촉면적에 비례하므로,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 각 플로팅 게이트(140)의 접촉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셀 내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면 셀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삭제할 때 커플링 계수가 셀 마다 편차를 가지게 되어 일정 전압에서 프로그램 또는 삭제시 각 셀의 일관된 동작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또는 삭제시의 오동작은 프로그램을 위해 프로그램 횟수를 늘려야 하는 부담이 있고, 따라서 프로그램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디바이스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 셀을 보면, 유전막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폭이 산화막상으로 걸치게 되어 높이(H)가 선폭(W)에 비해 작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접촉면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전막(150)과 접촉하는 제 2 플로팅 게이트(140)의 상면면적이며, 상면면적은 제 2 플로팅 게이트(140)의 선폭(W)에 의해 거의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 2 플로팅 게이트(140)의 선폭(W)은 이를 패터닝하기 위한 사진 및 식각공정에서의 공정변수로 인한 선폭변화(critical dimension error)에 매우 민감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진 및 식각공정에는 선폭변화를 일으킬 많은 공정변수가 있는데, 예컨대 사진공정에서 마스크의 제작단계에서 발생하는 근접효과 및 식각공정에서 발생하는 로딩효과 등이 그것이며, 이러한 공정변수들은 반도체 회로의 고집적화에 따른 디자인 룰의 감소와 패턴 밀도의 증가로 인해 그 제어가 점차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셀의 커플링 계수의 변동폭이 적어 프로그램 속도가 빠른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불활성 메모리 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NAND 플래쉬 메모리 장치를 도시한 평면 레이아웃이다.
도 3은 도 2의 B-B'방향으로 워드라인을 따라 자른 메모리 셀 어레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의 구조 중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는 기판 상에 일정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배열된 돌출된 필드 산화막들과 상기 돌출된 필드 산화막에 의해 분리된 전기적 활성영역들, 상기 각각의 전기적 활성영역 상에 국한되어 순차적층된 복수개의 절연층 및 제 1 플로팅 게이트, 상기 각각의 제 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그 폭은 상기 필드 산화막상으로 확장되고, 높이에 따라 그 폭이 감소하도록 측벽이 경사지며, 상기 필드 산화막으로부터의 높이가 상면에서의 폭 보다 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상에 형성된 유전막 및 상기 유전막 상부를 따라 형성된 연속적인 컨트롤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 상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제 2 플로팅 게이트와의 간격이 게이트 산화막 상에서의 상기 인접하는 제 2 플로팅 게이트 간의 간격의 1.4 ~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들 간의 상부 간격이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상면 폭이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의 폭보다 크거나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필드 산화막으로부터의 높이와 상기 상면에서의 폭의 비가 1 ~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필드산화막으로부터의 높이는 약 2000~4000Å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상기 측벽 경사는 약 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NAND 플래쉬 메모리 장치를 도시한 평면 레이아웃이다.
도 2을 보면, 플래쉬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은 스트링 선택라인(string select line; SSL)과 접지 선택라인(ground select line; GSL)을 각각 게이트로 하는 두개의 선택 트랜지스터에 워드라인(W/L1, W/L2, …, W/L16)을 게이트로 하고 기판 상의 활성영역(A; F는 필드 산화막 영역을 도시) 상에 형성된 다수의 셀 트랜지스터(C)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스트링을 구성한다. 스트링은 비트라인(B/L1, B/L2, …)에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 선택라인 및 접지 선택라인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플로팅 게이트가 필요없는 일반적인 모스(MOS) 트랜지스터이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는 비트라인 컨택홀(210)을 통해 비트라인과 연결되고,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는 공통 소스라인(common source line; CSL)이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도 2의 평면도에서 워드라인을 따라 자른(B-B') 단면을 도시하면 도 3과 같은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의 단면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위 메모리 셀은 반도체 기판(300) 상의 활성영역(A)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층(320), 제 1 플로팅 게이트(330), 제 2 플로팅 게이트(340), 유전막(350) 및 컨트롤 게이트(380)로 이루어진다.
도 3을 보면, 반도체 기판(300)의 표면을 따라 필드 산화막영역(F)과 활성영역(A)이 교번되어 비트라인과 평형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필드 산화막(310)은 얕은 트렌치(sallow trench) 구조를 가지며, 반도체 기판(300)의 트렌치로부터 기판 표면 상부로 일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된 필드 산화막(310)에 의해 한정되는 활성영역(F) 상에는 F-N 터널링을 위한 터널 산화막(320)과 제 1 플로팅 게이트(330)가 순차 적층되어 있다. 상기 터널 산화막(320)은 예컨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나이트라이드막으로 형성되며, 그 두께는 약 70~100Å이다.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320)는 주로 인시튜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약 300~1000Å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330)의 선폭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사진공정이 가능한 최소 선폭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 2 플로팅 게이트(330)는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320) 상으로부터 상기 필드 산화막(310)에 걸쳐 있으며 폭(W2)에 비해 높이(H)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측벽은 위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경사져 있다.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폭(W2)과 높이(H)는 보다 정확히 표현하면, 제 2 플로팅게이트(340) 상면에서의 폭(W2)에 비해 상기 필드 산화막(310)으로부터의 높이(H)가 더 크도록 설정된다.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제 2 플로팅 게이트(340)들은 필드 산화막(310) 상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각각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유전막(350)은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와 컨트롤 게이트(380) 사이에 게재되며, 플로팅 게이트(330, 340)에 충전된 전하특성을 유지시키고 컨트롤 게이트(380)의 전압을 플로팅 게이트(330, 340)에 전달한다.
컨트롤 게이트(380)는 상기 유전막(350) 상에 비트라인과 수직방향으로 연속된 층을 형성하며 이어지며, 워드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 게이트(380)는 폴리실리콘층(360)/실리사이드층(370)의 다중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증착되는 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것이 패턴의 선폭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에 비해 훨씬 용이하다. 본 발명의 메모리 셀은 제 2 플로팅 게이트(340)가 종래의 플로팅 게이트에 비해 선폭보다 높이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리 셀은 유전막과의 접촉면적에 있어서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측벽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사진공정 및 식각공정의 공정변수로 인한 선폭변화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로팅 게이트 구조는 각 메모리 셀 간의 커플링 계수의 차가 줄어들게 되어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보장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의 플로팅 게이트(340)의 폭을 일정하게 하고 높이가 변화할 때, 예컨대 높이가 2000Å에서 2500Å으로 변함에 따라 프로그램 전압은 0.5V 낮아지게 되므로 그만큼 프로그램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의 제 2 플로팅 게이트(340)는 상기 측벽이 경사져 있으므로 유전막(350)과 접하는 전체 면적 중 측벽의 면적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상기 측벽의 경사(θ)는 후술하는 식각공정 및 선폭을 고려할 때 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높이(H)는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면 폭(W)보다 큰데, 상면 선폭이 0.14㎛(즉 1400Å)인 경우 그 높이는 2000Å~4000Å인 것이 적당하다. 따라서, 상기 선폭에 대한 높이의 비는 약 1~3의 범위에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잘 드러내도록 각 메모리 셀의 간격 또는 선폭이 적절히 조절된 플로팅 게이트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의 구조를 제 2 플로팅 게이트(340)를 중심으로 한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4의 구조에서 제 1 플로팅 게이트(330)의 선폭(W1) 및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상부 간격(D1)은 동일하며, 그 크기는 사진공정이 가능한 최소 선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상부 폭(W2)은 상기 최소 선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필드 산화막(310)에 걸쳐 있는 인접한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간격(D2)은 측벽이 경사져 있으므로 인해 사진공정 가능한 최소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상면 폭(W2)을 감소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메모리 셀의 집적도는 증가하며, 상기 상면 폭이 사진공정 가능한 최소 선폭과 동일할 때, 본 발명의 메모리 셀은 최대 집적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필드 산화막(310) 상에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340) 간격(D2)과 사진공정 가능한 최소 선폭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상면 폭(W2)이 상기 최소 선폭과 동일한 경우 필드 산화막(310) 상에서의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의 간격 D2=D1-2X가 된다. 예를 들어 D1이 0.14㎛이고, X를 0.03㎛ 라 하면, D2는 0.08㎛이므로 C값의 0.57배가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드 산화막(310) 상에서의 플로팅 게이트의 간격(D2)은 사진공정으로 구현 가능한 최소선폭보다 상당히 작은 값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벽 경사에 따라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340)가 필드 산화막(310) 상에 걸치는 부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D2/D1는 약 0.4 ~ 0.8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간략히 예시한다.
먼저 도 5a 내지 도 5b는 반도체 기판(500) 상에 제 1 플로팅 게이트(530) 및 얕은 트렌치법(shallow tranch isolation)으로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500) 상에 실리콘 산화막(520), 폴리실리콘막(520), 실리콘 질화막(532) 및 고온산화막(high temperature oxide; 534)을 순차 형성하고, 통상의 사진공정 및 건식식각공정을 통해 고온 산화막(534)을 개구시켜 전기적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하드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식각마스크로 하여 하부의 실리콘 질화막(532), 폴리실리콘막(530), 실리콘 산화막(520) 및 반도체 기판(500)을 소정깊이로 순차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질화막(532)은 후속 화학기계적 연마공정시 식각정지막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어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 내부를 충진시키는 필드 산화막(510)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온 산화막(534)을 제거하고 소자분리용 산화막, 예컨대 USG막으로 상기 트렌치 내부 및 실리콘 질화막 상부를 도포한다. 이어서, 상기 실리콘 질화막(532)을 식각정지막으로 하여 상기 USG막을 화학기계적 연마방법으로 제거한 뒤, 상기 실리콘 질화막(532)을 인산스트립으로 제거한다.
도 5c는 제 2 플로팅 게이트(540)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필드 산화막(510) 및 제 1 플로팅 게이트(530) 상에 일정두께로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하고 상기 폴리실리콘막 상에 통상의 사진공정을 적용하여 소정 선폭의 개구부를 갖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식각마스크로 하여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등방성 건식식각법 또는 경사식각법으로 식각하여 측벽이 경사진 제 2 플로팅 게이트(540)를 형성한다. 여기서 증착되는 폴리실리콘막은 형성될 제 2 플로팅게이트의 상면 폭(W), 즉 상기 사진공정에 의해 폴리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의 개구부 선폭보다 높게 증착되어야 한다. 상기 식각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진공정으로 형성가능한 최소선폭, 즉 인접한 두 제 2 플로팅 게이트 간의 상면 간격(D1)보다 필드 산화막(510) 상에서의 간격(D2)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그 결과 각 제 2 플로팅 게이트(540)간의 평균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메모리 셀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등방성 건식식각법은 예컨대, 플라즈마 이온의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를 짧게 하여 이온의 직진성을 둔화시켜 이방성 식각특성을 감소시키거나 SF6와 같은 반응성이 큰 가스를 이용한 반응성 이온식각공정으로 이방성 식각특성을 감소시켜 식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경사 식각법은 식각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비휘발성 폴리머가 이온이 입사되는 면의 측면에 축적됨으로써 그 축적된 부분이 식각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측면에 경사를 가진 식각면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5d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 상에 유전막(550) 및 컨트롤 게이트(580)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전막(550)으로는 통상의 실리콘 산화막을 사용하거나, 유전상수를 높이기 위해 산화막/질화막/산화막의 다층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층막의 형성과정은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화막은 열산화법 또는 저압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질화막은 저압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착되는 다층막의 두께는 커플링 계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전막(550) 상에 형성되는 컨트롤 게이트(580)는 폴리실리콘/실리사이드의 이중막으로 된 컨트롤 게이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컨트롤 게이트(580), 유전막(550), 제 2 플로팅 게이트(540) 및 제 1 플로팅 게이트(530)를 순차 식각함으로써, 워드라인 방향으로 배열된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를 얻을 수 있다. 도 5d에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D-D' 방향의 단면은 도 3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 2 플로팅 게이트가 종래에 비해 폭이 좁고 높이가 크기 때문에 패턴 형성시 사진 및 식각공정의 공정변수로 인한 선폭변화를 줄이게 되어, 각 메모리 셀 간의 커플링 계수의 차가 적어 프로그램 또는 삭제시 프로그램 속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그 측벽이 경사져 있어, 사진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가진 제 2 플로팅 게이트를 설계할 수 있게 되므로 고집적화된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기판 상에 일정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배열된 돌출된 필드 산화막들과 상기 돌출된 필드 산화막에 의해 분리된 전기적 활성영역들;
    상기 각각의 전기적 활성영역 상에 국한되어 순차적층된 복수개의 필드 산화막 및 제 1 플로팅 게이트;
    상기 각각의 제 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그 폭은 상기 필드 산화막상으로 확장되고, 높이에 따라 그 폭이 감소하도록 측벽이 경사지며, 상기 필드 산화막으로부터의 높이가 상면에서의 폭 보다 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상에 형성된 유전막; 및
    상기 유전막 상부를 따라 형성된 연속적인 컨트롤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 상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제 2 플로팅 게이트와의 간격이 게이트 산화막 상에서의 상기 인접하는 제 2 플로팅 게이트 간의 간격의 1.4 ~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들 간의 상부 간격이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상면 폭이 상기 제 1 플로팅 게이트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상기 측벽 경사가 약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필드 산화막으로부터의 높이와 상기 상면에서의 폭의 비가 1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산화막으로부터의 높이는 약 2000~4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막을 산화막/질화막/산화막이 순차 적층된 복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게이트는 폴리실리콘막 및 실리사이드막이 순차적층된 이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KR10-2000-0067468A 2000-11-14 2000-11-14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KR10038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68A KR100389918B1 (ko) 2000-11-14 2000-11-14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US10/001,460 US6624464B2 (en) 2000-11-14 2001-10-29 Highly integrated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having a high program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68A KR100389918B1 (ko) 2000-11-14 2000-11-14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521A true KR20020037521A (ko) 2002-05-22
KR100389918B1 KR100389918B1 (ko) 2003-07-04

Family

ID=1969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68A KR100389918B1 (ko) 2000-11-14 2000-11-14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24464B2 (ko)
KR (1) KR1003899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60B1 (ko) * 2002-11-27 2005-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02745B1 (ko) * 2005-05-27 2008-02-12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메모리 셀 어레이 형성 방법 및 메모리 셀 어레이
KR100815305B1 (ko) * 2005-06-08 2008-03-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2층 게이트 전극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1235B1 (ko) * 2006-12-01 2008-06-26 한국과학기술원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구동방법
KR100878088B1 (ko) * 2006-04-24 2009-01-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KR101234107B1 (ko) * 2003-06-20 2013-02-19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수직 프로젝션을 갖는 플로우팅 게이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0499B2 (en) * 2001-02-08 2014-04-15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ventory
KR20020091982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762092B2 (en) * 2001-08-08 2004-07-13 Sandisk Corporation Scalable self-aligned dual floating gat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array
US6780712B2 (en) * 2002-10-30 2004-08-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fabricating a flash memory device having finger-like floating gates structure
US6673720B2 (en) * 2002-02-22 2004-01-0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flash memories
JP2003282745A (ja) * 2002-03-26 2003-10-03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474739B1 (ko) * 2002-04-08 2005-03-08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셀의 경사진 플로팅 게이트 제조방법
AU2003237515A1 (en) * 2002-06-19 2004-01-06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6894930B2 (en) * 2002-06-19 2005-05-17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KR100476934B1 (ko) * 2002-10-10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JP3762385B2 (ja) * 2003-04-28 2006-04-0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3964828B2 (ja) * 2003-05-26 2007-08-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2005085903A (ja) 2003-09-05 2005-03-31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5962B2 (ja) * 2003-09-22 2007-11-14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714881B2 (ja) * 2004-08-31 2011-06-29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分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69814A (ja) * 2005-03-24 2006-10-05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03308A (ja) * 2005-04-22 2006-11-0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08377B1 (ko) * 2005-05-02 2006-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셀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EP1786036A1 (en) * 2005-11-11 2007-05-16 STMicroelectronics S.r.l. Floating gate non-volatile memory cel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KR100673018B1 (ko) * 2005-12-0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이피롬 및 그 제조 방법
JP4829015B2 (ja) * 2006-06-20 2011-11-30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790296B1 (ko) * 2006-12-04 2008-0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00910B1 (ko) * 2006-12-28 2008-02-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70293B1 (ko) * 2007-03-05 2008-1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7745285B2 (en) 2007-03-30 2010-06-29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and operating NAND memory with side-tunneling
US7888210B2 (en) * 2007-12-19 2011-02-15 Sandisk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fabrication and isolation for composite charge storage structures
KR20120040761A (ko) * 2010-08-26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TWI506768B (zh) * 2010-12-22 2015-11-01 Powerchip Technology Corp 非揮發性記憶體及其製造方法
US8765608B2 (en) * 2012-05-01 2014-07-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s for forming trenches
JP2014220367A (ja) * 2013-05-08 2014-11-2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N105336590B (zh) * 2014-06-05 2018-10-2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和电子装置
CN105575905B (zh) * 2014-10-09 2019-04-0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和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715A (en) * 1987-05-20 1989-10-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ad only memory with improved channel length control and method of forming
FR2616576B1 (fr) 1987-06-12 1992-09-1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ellule de memoire eprom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7202047A (ja) * 1994-01-11 1995-08-04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15926A (ko) * 1994-10-31 1996-05-22 김주용 플레쉬 이.이.피. 롬
JP3484023B2 (ja) * 1996-10-24 2004-01-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54633A (ja) 1997-07-29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5973353A (en) * 1997-12-18 1999-10-26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orming a tapered floating gate in non-volatile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US6403421B1 (en) * 1998-04-22 2002-06-11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237344B2 (ja) * 1998-09-29 2009-03-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14056A (ko) * 2000-06-20 2001-12-29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60B1 (ko) * 2002-11-27 2005-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234107B1 (ko) * 2003-06-20 2013-02-19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수직 프로젝션을 갖는 플로우팅 게이트 구조
KR100802745B1 (ko) * 2005-05-27 2008-02-12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메모리 셀 어레이 형성 방법 및 메모리 셀 어레이
KR100815305B1 (ko) * 2005-06-08 2008-03-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2층 게이트 전극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8088B1 (ko) * 2006-04-24 2009-01-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KR100841235B1 (ko) * 2006-12-01 2008-06-26 한국과학기술원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918B1 (ko) 2003-07-04
US6624464B2 (en) 2003-09-23
US20020080659A1 (en)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918B1 (ko)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갖는 고집적 불활성 메모리 셀 어레이
US6028336A (en) Triple polysilicon flash EEPROM arrays having a separate erase gate for each row of floating g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arrays
US5879992A (en) Method of fabricating step poly to improve program speed in split gate flash
US6720611B2 (en) Fabrication method for flash memory
US20070034929A1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8711B1 (ko) 액티브 패턴 구조물 및 그 형성 방법,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20000602A1 (en) V-shaped flash memory structure
US6893921B2 (en) Nonvolatile memories with a floating gate having an upward protrusion
JP3941517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22098B1 (ko) 플래시 eeprom 단위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어레이 구조체
EP1588421A2 (en) Floating gate isolation and method of making
KR100269509B1 (ko) 분리게이트플레쉬메모리셀 제조방법
JP2003282745A (ja) 半導体記憶装置
US712580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cells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6995060B2 (en)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 elements in structures with protruding features
US630343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creased hot electron injection efficiency
KR0161391B1 (ko) 불휘발성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7373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with narrow variation in threshold voltages of memory cells
US6887756B2 (en) Method of forming flash memory with protruded floating gate
KR100649308B1 (ko) 자기 정렬 플로팅 게이트 어레이 형성 방법 및 자기 정렬플로팅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KR100549346B1 (ko) 플래쉬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
KR100486075B1 (ko) 트렌치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셀과 그 제조 방법
JP3144484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209340B1 (ko)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48248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