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125A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125A
KR20020021125A KR1020017016065A KR20017016065A KR20020021125A KR 20020021125 A KR20020021125 A KR 20020021125A KR 1020017016065 A KR1020017016065 A KR 1020017016065A KR 20017016065 A KR20017016065 A KR 20017016065A KR 20020021125 A KR20020021125 A KR 2002002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se
circuit breaker
weigh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114B1 (ko
Inventor
가쓰베순이치
후쿠야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2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01H1/221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 H01H2001/223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using a torsion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2009/0077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using recyclable materials, e.g. for easier recycling or minimising the pack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가동접촉자(4)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고 베이스(1B)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로스바(7)를 소유하고, 경년시의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상온상습에서의 베이스(1B) 및 크로스바(7)의 구부림 탄성율(Eb),(Ec)는 다음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종래의 회로차단기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09-161641호 공보에 제시된바와같이, 베이스와 커버에 의해 구성되는 몰드케이스와, 이 몰드케이스내에 설치된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 이 가동접점과 이 접하는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 회로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 베이스에 지지되고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성형된 크로스와, 이 크로스바중 통해서 가동접촉자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와, 회로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압압하는 접압스프링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사용중의 개페조작의 반복이나 통전시의 개폐에 따르는 아크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 도는 그 양쪽의 요인에 의해 접점이 마모 소모된다.
이와같이 접점이 마모, 소모된 경우에도 접점간의 접촉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오버 트라벨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오버트라벨이라는 것을 회로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 고정접촉자 및 고정접점을 제거했을때, 그 전후에서의 가동접점의 이동량, 즉 접점의 접속여유를 표시하는 량이고, 통상접점의 두께의 1~2배 정도이다.
회로차단기의 구성부품인 크로스바 및 베이스는 기계적강도, 내열성, 절연성 등이 요구됨으로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사용되어 있다.
예를들면 30암페어 프레임용의 회로차단기로서, 크로스바가 페놀 52중량%, 유리섬유 15중량%, 무기충전재 10중량% 목분 15중량%, 안료기타 8중량%로 된 재료로 성형되고, 베이스가 페놀 50중량%, 목분30중량%, 무기충전재 15중량%, 안료기타 5중량%로 된 재료로 성형된것이 있었다.
종래의 회로차단기는 플라스틱 부품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베이스가 페놀수지나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두께의 얇기가 곤란하고 소형화나 경량화의 방해가 되었었다.
특히, 열경화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은 성형상의 제약으로부터, 베이스 내부를 구성하는 장소는 베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소정의 두께이상이 필요하게 되어, 필요이상으로 베이스내부를 구성하는 장소가 두껍게 되어 있어 베이스의 소형화가 곤란하였었다.
예를들면 225암페어프레임 이하의 소형의 회로차다니에서 극간피치가 35mm이하 접압스프링에 의한 접점간의 접압이 20N 이하의 것에서는 높이 2mm이상의 리브의 두께는 성형상의 제약에 의해 2mm 정도이상 필요하게 되어, 필요이상으로 베이스내부를 구성하는 장소가 두껍게 되어 있었다.
여기서 리브의 두께 2mm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열경화성 수지의 최소 두께 기준 1mm~3mm 이상을 충족시킬수 있도록 약간 여유를 가지고 경정된 값이다.
또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베이스는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므로, 성형시의 발생하는 밀나오는 부분, 사출성형시에 발생하는 스플이나 런너등의 소각 또는 매립이 필요로 해졌다.
그리고 세부의 성형정밀도가 높은 등의 이유로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품을 채용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으나 특히 베이스에 적용할때는 베이스로서 요구되는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08-171847호에 제시된 열가소성 수지와 200℃이상에서 탈수반응하는 무기화합물과 강화재를 함유하는 성형품은 난연성 및 전극개폐후의 절연성능이 우수하고 회로차단기용의 성형품으로도 적합하였다.
그러나 커버 핸들등에 비교해 고온이고 또 고응력하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특히 통전시에 100℃이상이 되어 크로스바를 통해서 강한 응력을 받는 베이스에 적용할때는 베이스와 크로스바와의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크럽변형이 서로 간여하는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커서 충분하지 않았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시행착오끝에,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크리프변형이 서로 관여하는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열가소성 수지가 주성분의 베이스를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으므로 여기에 보고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베이스를 얇게 할 수 있고 또 환경에 적합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회로차단기는,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이접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접점의 접촉시에 이 양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 크기주의 하링크에 연결되고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에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 링크기구의 축세 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 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온 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을 Eb의 성형품이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로 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c의 성형품이고 다음식의 관계를 충족시킴으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베이스를 얇고, 경량화할 수 있고 또 환경에 대해서도 우수하다.
또 베이스의 얇기가 가능하므로 표면절연거리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 구부림 탄성율 Eb, Ec 는 다음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더욱 적다.
또 구부림 탄성율 Eb, Ec 는 다음식의 관계를 충족시킴으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더욱 적고, 성형의 생산성이 양호하며 또 외관이 우수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지방족 폴리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및 이들의 알로이 재료의 적어도 어느하나이므로, 내 약품성 및 내환경성이 우수한 동시에 사이클이 쉽게 실현될 수 있다.
또,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6, 나일론 MXD6, 나일론 46, 및 나일론 6T의 적어도 어느하나이므로, 내충격성 또 개폐내구시의 발생열에 대한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이들의 알로이 재료의 적어도 어느하나이므로, 흡습수의 치수변화가 적고, 또 개폐내구시의 발생열에 대한 보존성이 높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55~70중량%와 강화재가 30~45중량%를 함유하므로 단자 체결시에 깨지는 것 최소판으로 할 수 있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 레이트가 40~70중량%와 강화재가 30~60중량%를 함유하므로 내열성, 내클리프성이 우수하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가 첨가된 폴리아미드가 56~60중량%와 강화개 40~44중량%를 함유하므로 내충격성 및 차단후의 절연성능이 우수하다.
또 크로스바는 페놀수지를 주성분을 하므로, 난연성이 우수하고, 또 오버트라벨특성이 보다 더 향상한다.
또 회로차단기는 다극으로서, 베이스의 저벽에 직교하는 벽에 그벽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리트를 소유함으로, 성형후의 치수변형이 적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슬리트는 직교하는 벽을 균등한 두께로 분할하므로 성형후의 치수변화를 예측하기 쉽고, 오버트레블의 감소에 기열할수가 있다.
또 슬릿은 베이스의 표리측에서 교호로 설치되었으므로 성형후의 치수변형이 더욱 적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직교하는 벽은 상간벽이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의해 기여할 수 있다.
또 슬릿간의 베이스 두께와, 베이스 접겨의 두께가 같으므로 성형후의 치수변화를 예측하기 쉽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직교하는 벽은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수납하는 접점수납부와, 개폐기구부를 수납하는 개폐기구수납부 사이의 벽이므로, 접점측에서 개폐기구부측에의 열전도율을 저하시킬수가 있고, 개폐기구부등에 사용하는 윤활제의 열화를 지연시킬 수가 있다.
또 슬릿은 베이스의 이면측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었으므로, 효율적으로 방열할수가 있다.
또 베이스저벽의 두께보다도 슬릿과 베이스내측의 사이의 벽의 두께를 얇게 하였으므로, 베이스 내측에서 슬릿에 열이 전달되기 쉽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 및 엘리스토머가 첨가된 폴리아미드가 56~60중량%와 강화제가 40~44중량%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베이스를 얇게 경량화할 수 있고 또 환경에도 우수하다.
또 베이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표면절연거리의 확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 내충격성 및 차단후의 절연성능이 우수하다.
또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8~32 중량%와 강화재가 43~47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3~27중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보다 적다.
또, 난연재 및 엘라스토머는, 폴리아미드 100에 대해, 할로겐 계화합물이50~70, 엘라스토머가 20~30의 중량비율이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또 난연성이 높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 베이스는 난연재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45~60중량%와 강화재가 40~55중량%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베이스를 얇고 경향화할 수 있고 또 환경에 대해 우수하다.
또 베이스의 두께를 얇게 할수 있으므로 표면절연거리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55~65중량%와 강화재가 10~25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10~25중량%를 함유하므로, 성형이 용이 또 연속성형시의 호퍼낙하성이 우수하다.
또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5~35중량%와 강화재가 40~50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0~30중량%를 함유하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보다 적다.
또, 난연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드(100)에 대해, 할로겐계화합물이 25~40의 중량 비율이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또 난연성이 높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40~70중량%와 강화재가 30~60중량%를 함유하고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5~35 중량%와 강화재가 40~50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0~30중량% 함유되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베이스를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고 환경에 대해서도 우수하다.
또 베이스의 두께를 얇게 할수 있으므로 표면절연거리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40~70중량%와, 강화제가 30~60중량% 함유되고,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55~65중량%와 강화재가 10~25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10~25중량%를 함유하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도 성형성이 우수하다.
또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브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55~70중량%와 강화재가 30~45중량%를 함유하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베이스중 얇게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 환경에 대해 우수하다.
또 베이스의 얇기가 가능해지므로 표면절연거리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 미세부분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 단자 체결시의 갈라짐이 발생하기 힘들다.
또,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5~35중량%와 강화재가 40~50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0~30중량%를 함유하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보다 적다.
또,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55~65중량%와 강화재가 10~25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10~25중량%를 함유하므로 성형이 쉽고 또 연속성형시의 포허낙하성이 우수하다.
또, 난연재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100)에 대해 할로겐 계화합물이 25~40의 중량비율이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또 난연성이 높고 내 충격성이 우수하다.
또, 베이스의 주수지가 열가소성 수지로 되고 이 베이스의 저벽에 직교하는 벽에 그 벽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을 가지므로, 성형후의 치수변형이 적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슬릿은, 직교하는 벽을 균등한 두께로 분할하므로 성형후의 치수변화를 예측하기 쉽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슬릿은 베이스의 표리측에서 교호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성형후의 치수변형이 더욱 적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직교하는 벽은 상간벽이므로,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의해 기여할 수 있다.
또, 슬릿간의 베이스 두께와, 베이스 저벽의 두께가 같으므로 성형후 치수변화를 예측하기 쉽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직교하는 벽은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수납하는 접점수납부와, 개폐기구부를 수납하는 개폐기구 수납부 사이의 벽이므로, 접점측에서 개폐기구부측에의 열전도율을 저하시킬수가 있고, 개폐기구부에 사용하는 윤활제의 열화를 지연시킬수가 있다.
또 슬릿은 베이스의 이면측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었으므로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가 있다.
또, 베이스 저벽의 두께보다도 슬릿과 베이스내측 사이의 벽의 두께를 얇게 하였으므로 베이스 내측에서 슬릿에 열이 전달되기 쉽다.
본 발명은 배선전로의 보호에 사용되는 몰드케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이 베스에 지지되어 가동접촉자를 보존하는 크로스바를 갖는 회로차단기, 특히 핸들의 온 오프 조작의 속도에 관계없이 토글 링크 기구의 축세력에 의해 크로스바를 회동시켜 가동접속자를 급속투입(quick-make)및 급속차단(quick-break)하는 기능을 소유하고 개폐시의 접점 용착 방지나 각극의 동시투입이 우수한 회로차단기, 예를들면 IECC 60947-2에 규정되어 있는 회로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폐로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크로스바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점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베이스와 개폐기구부의 체결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크로스바와 접점 접촉부를 접점측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베이스를 일부 잘라내서 표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베이스의 이면도.
도 9는 도 7의 1X-1X 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X1-X1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100암페어 프레임의 크로스바 성형용의 금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100암페어 프레임의 베이스성형용 음형을 표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아래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폐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베이스 및 크로스바를 도 1의 Ⅱ-Ⅱ선에서 자른 단면, 기타의 장소 예를들면 개폐기부등은 그 구성이 알기쉽게 표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크로스바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한극만 가동접촉자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해서, 1은 커버(1A)와 베이스(1B)로 되는 몰드케이스이고 베이스(1B)는 주성분이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품이다.
도 2를 참조하고, 2는 베이스(1B)에 장착되어 고정접점(3)을 갖는 고정접촉자, 4는 고정접점(3)에 대향하는 가동접점(5)를 갖는 가동접촉자이고 축지핀(6)에 의해 회동자재에 지승되어 있다.
7은 절연물에 의해 형성되어 각극의 축지핀(6)이 고정되어 각극의 가동접촉자(4)를 보존부(7b)(도3)에서 회동자재로 보존하는 크로스바이고, 핀공(7c)(도3)에 삽통된 후술하는 개폐기구부(9)의 핀(10)을 통해서 구동되어 각극의 가동접촉자(4)를 회동시켜, 가동접점(5)를 고정접점(3)에 접리시킨다.
회로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는, 도 3및 도 6을 참조하고, 크로스바(7)의 회전축(7a1),(7a2)가 베이스(1B)의 지승부(1a1),(1a2)에 지지된다.
도 2에 도라나, 8은 가동접촉자(4)와 크로스바(7)의 사이에 개장되어서 회로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 가동접촉자(4)를 폐로하는 방향(도 2에서 시계방향)에 항상 작동하고, 이 접점(3)(5)간에 소정의 접촉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이다.
10은 개폐기구부(9)의 하링크(11)과 크로스바(7)을 연결하는 연결핀이고, 하링크(11)의 구동력을 크로스바(7)에 전달한다.
18은 프레일(17)을 베이스(1B)에 고정하는 나사이다.
20은 가동접촉자(4)와 과전류검출부(2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도체이고, 과전류 검출부(21)은 통전전류에 따라 변형하는 바이메틸과 통전전류에 따라 아마추어가 요크에 흡인되는 전자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22는 과전류검출부(21)과 단자판(2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이고, 단자판(23)의 베이스(1B)에 체결나사(23a)로 고정되고 외부의 전선케이블(25)을 체결나사 (26)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회로차단기내의 통전전로는 고정접촉자(2), 고정접점(3), 가동접점(5), 가동접촉자(4), 가요성도체(20), 과전류검출장치(21), 도체(22), 단자판(23)의 경로에 의해 구성된다.
개폐기구부(9)는 하링크(11), 링크핀(12), 상링크(13), 레버핀(14), 레버(15),메인스프링(16)등으로 된 토글링크기구, 프레임(17), 핸들(19)등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19)를 조작함으로써, 메인스프링(16)의 작용선이 토글링크기구의 데드포인트를 초과하고 ON 조작에서 토글링크기구는 급속하게 신장하고, 한편 OFF조작에서 토글링크기구는 급속하게 굴곡하고, 핸들(19)의 조작속도에 관계없이 가동접촉자(4)는 개폐된다.
또 과전류 트립핑시는, 과전류 검출부(21)로부터의 트립핑동작에 의해 래치가 해제되고, 이 래치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레버(15)가 그 구속에서 석방되고, 링크 핀(15a)이 메인스프링(16)의 작용선을 넘어서 토글링크기구는 급속하게 굴곱해서 가동접점(5)를 개리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는 급속투입(quick-make)및 급속차단(quick-break)하는 기능을 갖고 개폐시의 접점용착 방지나 각극의 동시투입에 우수한 것이고, 예를들면 IEC 60947-2에 규정하는 회로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접점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파선은 폐로상태, 실선은 폐로상태에서 고정접촉자 및 고정접촉자를 제외시킨 상태를 표시한다.
도면에서, 파선으로 표시하는 폐로상태에서 고정접촉자(2)및 고정접점(3)을 제거하면, 가동접촉자(4)는 접압스프링(8)의 압압력에 의해, 후지핀(6)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크로스바(7)의 계지부(7a)에 닿을때까지 회전시킨다.
이때의 가동접점(5)의 이동량은 오버트라벨이라 불리우고, 이 오버트라벨은 통상 고정접점(3)의 두께의 1~2배 정도이고, 도 4에 OT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 오버트라벨은, 개폐조작의 반복이나 통전시의 개폐에 따른 아크에 의해 접점(3),(5)가 전기적 및 기계적 또는 그 양쪽의 요인에 의해 마모,소모한 경우 및 접점(3),(5)의 접촉을 완화하도록 베이스(1B)와 크로스바(7)가 변형(특히 크리프변형)한 경우라도 접촉의 안전성을 얻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존재의 베이스를 사용한 회로차단기에서는 오버트라벨에 미치는 영량에서 후자의 변형에 의한 영향은 전자의 접점의 마모, 소모에 비교해 충분히 작고 후자의 변형은 그다지 고려되어 있지 않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베이스와, 개폐기구부와의 체결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개폐기구부(9)는 그 프레임(17)에서 나사(18)에 의해 베이스(1B)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개폐기구부(9)의 프레임(17)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핀(14)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레버(15)에 일체로 형성된 버링축(15a)에 상링크(13)가 계지되어 있다.
상링크(13)과 하링크(11)는, 링크핀(12)으로 연결되어 있고, 링크핀(12)에는 메인스프링(16)의 하중이 걸려있다.
폐로상태에서, 고정접점(3)과 가동접점(5)와의 사이에는 접압스프링(8)에 의해 접촉압력이 작용하고 있고, 고정접점(3)이 고착되어 있는 고정접촉자(2)는 베이스(1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반력으로 가동접촉자(4)와 접압스프링(8)을 통해서 크로스바(7)에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상시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또, 하중 A의 분렬이 연결핀(10)을 통해서 상링크(13)와 타링크(11)등으로 되는 토글링크기구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려, 이 결과 레버(15) 또 프레임(17)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따라서, 폐로상태에서는 베이스(1B)에 나사(18)가 삽입된 부위를 중심으로 해서 상시, 상방향의 하중 E가 작용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크로스바와 접점접촉부를 접점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폐로상태에서 접압스프링(8)의 하중에 의해 크로스바(7)의 중앙극에는 상방향의 하중(B1)이 상시 작용하고 있다.
크로스바(7)의 좌우극에는 각각 상방향의 하중(B2)이 상시 작용하고 있다.
또 베이스(1B)의 지지부(1a1)(1a2)에는 크로스바(7)의 회전축(7a1),(7a2)에서 각각 하방((도 5에도 표시함)의 하중이 상시 작용하고 있다.
또 베이스(1B)에는, 고정접촉자(2)를 통해서 하방향의 하중 D(도 5에도 표시), 프레임(17)및 나사(18)를 통해서 상방향의 하중(E)가 작용하고 있다.
또 회로차단기의 암페어 프레임이 클수록, 메인스프링(16)의 하중, 크로스바(7)의 A방향에 걸리는 상시 접압스프링(8)의 하중, 베이스(1B)에 나사(18)가 삽입된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상방향의 하중 E, 크로스바(7)에 대한 하중(B1),(B2)크로스바(7)의 회전축(7a1),(7a2)에서 받는 하방향(C)의 하중도 커진다.
상술한바와같이 베이스(1B)및 크로스바(7)에는 폐로시 및 개폐동작시에, 작용하는 하중 및 그에 따른 모멘트, 또 베이스(1B)나 크로스바(7)의 사용온도에 의존한 잔류응력 완화에 기인하는 치수변화, 흡습에 의해 치수변화, 그 온도, 습도시간, 그 조성등의 조건에 따라 크리프 변형이 진행하게 되나 여러가지 조건이 있으므로, 크리프 변형량을 추측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이 크리프 변형은 어느것이나 응력을 완화하는 방향, 즉 오버트라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베이스(1B)의 주성분을 열가소성 수지로 한것으로 인해 주성분을 열경화성 수지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같은 암페어 프레임의 베이스(1B)와 크로스바(7)을 갖는 회로 차단기에서의 경련시의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현저해지는 경향이 보였다.
예를들면 주성분을 열가소성 수지로 하는 상술한 일본국 특개평 08-171847호 공보에 기재한 조성의 베이스를 사용한 회로차단기의 오버트라벨의 감소는 큰것이 있다.
발명자등은, 회로차단기의 베이스(1B)로서 주성분이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품을 사용할때에,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우수한 베이스(1B)및 크로스바(7)의 호적한 조성을 찾아냈다.
또 그때에, 베이스(1B)와 크로스바(7)과의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의 관계 및 베이스(1B)의 형상을 고려하면 된다는 것을 알었다.
여기서 상온이라는 것은 섭시 21도~섭시 25도, 상습이라는 것은 섭시 21도~섭시25도, 상습이라는 것은 습도 60%~70%의 분위기에서의 측정치(의 평균치)이다.
[베이스와 크로스바의 구부림 탄성율]
·베이스
베이스(1B)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온 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b의 성형품이다.
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들면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지방족폴리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및 이들의 알로이 재료를 들수가 있다.
폴리아미드라는 것은, 화학 구조중에 아미드기(-CO-NH-)를 갖는 것으로, 나일론 6, 날일론 66, 나일론 MXD6, 나일론 46, 나일론 6T, 또는 이들의 알로이 재료이다.
또,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지방족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또는 이들의 알로이 재료는 결정성 수지이고, 폴리카보네이트(PC)등의 비정성수지와 비교해서, 내약품성 및 내환경성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회로차단기를 오일미스트 분위기나 암모니아 가스분위기나 유황계 가스분위기등 여러가지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 열가소성 수지중에서 폴리아미드는 내충격성이나 차단시의 아크로폭로에 의한 재료표면의 절연성능이 저하하기 힘들다는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또, 정격전류의 통전-차단을 반복하는 개폐내구 시험에서의 형상 보존성(내열성)의 점에서 나일론 66, 나일론 MXD6, 나일론 46, 또는 나일론 6T 가 바람직하다.
또, 흡습시에 구부림 탄성율이 저하하기 힘들고, 또 흡습에 의한 치수변화가 작은 점에서,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지방산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화이드(PPS)및 이들의 알로이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개폐내구 시험에서의 형상보존성(내열성)의 점에서 폴리에틸렌 텔레브탈레이트(PET)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또는 이들의 알로이 재료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이외의 성분으로는, 유리섬유등의 강화재나 무기질의 충전재, 기타 첨가재가 있다.
·크로스바
크로스바(7)은 상시 상온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c 의 성형품이다.
이 성형품의 주성분이 되는 절연성 수지로는 베이스 1B와 같은것에 더해,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텔, 페놀수지 등을 들수가 있다.
페놀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나 불포화 폴리에스텔과 비교해서, 고온 크리프 특성이 우수하고 또 사출성형, 압축성형 어느것에는 대응가능하고, 쉽게 성형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보락계, 레롤계 어느것이나 상관없으나 성형품의 치수안정성 점에서 노보락계 페놀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크로스바(7)의 주성분의 수지에는 유기질의 충전재인 목분분쇄포,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텔, 폴리아크릴 등도 포함된다.
즉, 본 명에서에서 크로스바(7)의 충전재는 무기질의 충전재를 의미하고, 유기질의·충전재는 절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무기질의 충전재는 주로 성형품의 강도 및 구부림 탄성율의 향상에 기여하나, 한편 유기질의 충전재는 무기질의 충전재에 비해 구부림 탄성율의 향상에는 별로 기여하지 않고 주로 성형품의 성형성 및 내충격성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특성에 의한 것이다.
절연성 수지이외의 성분은 유리섬유등의 강화제나, 무기질의 충전재, 기타 첨가재를 들수 있다.
상술한 베이스(1B),크로스바(7)의 유리섬유, 무기질의 충전제, 기타의 첨가제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유리섬유는 유리로 된 섬유상물의 것을 말하며 주기율 표 1A 족의 금속의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을 만족하고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소재로는, E유리, S유리, D유리, T유리 또는 실리카 유리등을 들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바와같이, 유리섬유의 직경이 6~13㎛, 애스펙트비가 10이상인것이 내충격 강도향상의 점에서 바람직스럽다.
무기질의 충전재는 알루미나, 탄산칼슘,마이카,클레이,탈크,카오린,와라스트나이트등을 들수가 있다.
기타 첨가제는, 스테아린산 칼슘등의 내부 박리제등 안료등 예를들면 베이스 1B용으로 불랙카본이다.
구부림 탄성율
상술한 베이스 1B의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b 및 크로스바(7)의 상온 상습에서의 구부립 탄성율 Ec 는 다음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또 구부림 탄성율은 일반적으로 온도,습도의 증가와 함께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조합에 의해 베이스 1B와 크로스바(7)의 내 크리프성이 주요인이라고 생각되는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우수한다는 것을 실험에 의해 알수 있었다.
이때, Eb<8000MPa, 및 Ec<9000MPa 의 적어도 어느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저하하였다.
또,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부터, 베이스(1B)의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b 및 크로스바(7)의 상온 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c 는 다음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Eb+Ec<20500MPa, Eb<9000MPa, 및 Ec<9000MPa 의 적어도 어느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오버트라베의 특성이 저하하였다.
또, 경년사의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저감하고 신뢰성이 더욱 형상함으로서, 베이스 1B의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b 및 크로스바(7)의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c 는 다음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Eb가 22000MPa 를 초과하면 유리섬유나 무기질의 충전재의 비율이 많아지고, 베이스 1B를 성형하는 경우 성형시의 재료유통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충전재가 성형품 표면에 떠서 성형품 외관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Eb22000MPa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 크로스바(7)은, 사출성형 및 압축성형의 어느성형방법으로도 공급이 가능하나, 생산성이 높은 점에서 사출성형이 바람직하다.
크로스바(7)을 사출성형하는 경우, 구부림 탄성율 Ec 가 17000MPa를 초과하면, 재료 혼련 공정에서의 유리섬유의 절손이 적고 재료페렛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이 재료 페렛이 홉퍼에서 실린더로 낙하하기가 어려워지고, 실런더에 의한 재료 계량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Ec17000MPa 인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1B)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였으므로,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성형시에 발생하는 빠져나옴, 사출성형시에 발생하는 스풀이나 런너등의 소각 또는 매립이라는 산업폐기물 처리의 문제가 없고 환경에 대해 우수하다.
또 베이스(1B)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였으므로 리사이클도 가능하다.
또 베이스(1B)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였으므로 베이스(1B)의 주성분이 페놀수지의 경우에 비해, 내 트래킹성이 양호하고 절연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또 페놀제조과정의 부생성물인 암모니아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베이스(1B)의 주성분이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로 구성될때에 비해 사용시의 미반응의 스틸렌이 발생할 문제가 없다.
또 베이스(1B)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였으므로, 예를들면 높이 2mm이상의 리브에 대해서도 2mm 이하의 두께도 성형가능하고 얇게 설계할수가 있다.
그리고 얇게 할 수 있으면, 동일공간내에서의 리브나 홈의 개수를 즈악하고 성형품 표면상을 경로로 하는 절연거리를 크게할 수가 있고 같은 절연거리가 보다 작은 공간으로 확보할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1B)에서는 그 성형조건이나 재료물성에 의해 얇은 리브 선단에서의 재료 충전부족이나 유리섬유등의 강화제의 충전부족에 의한 강도부족이 현저하고 얇게 하기가 곤란했었다는 문제를, 베이스(1B)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의 성형품으로 하고 얇은 부분의 선단까지 재료가 충전되므로 해소할 수 있다.
또 베이스(1B)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였으므로 회로차단기를 경량화할수가 있다.
[베이스의 형상]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베이스를 1부단면에의해 표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이면도, 도 9~도 11은 도 7을 IX-IX 선, X-X선, XI-X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베이스(1B)는 베이스저면에 직교해서 연재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외측벽(30),(30)과 상간벽(41),(41)에 의해 3상분으로 격리되어 있다.
각상은 양접점(3),(5)가 배치되는 접점부(24)와 크로스바(7)이나 개폐기구부(9)가 배치되는 크로스바부(26)(개폐기구수납부)가, 폐로상태에서 전로의 과전류를 검출하고 접점을 개로시키도록 개폐기구부(9)에 트리거를 부여하는 과전류 검출장치(21)가 배치되는 트립핑부(28)에 의해 형성된다.
32는 회로차단기를 부착하는 고정나사의 삽통공, 32A(도1~도6에서는 번호를 안부침)상통공(32)의 주위에서 베이스(1B)이면의 주면에서 대략 C자형상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지지돌출부이고, 회로차단기를 배전반등에 부착했을때, 이 지지돌출부(32A)가 스페이서가 되어 베이스(1B)이면의 주면이 배전반등에서 이간한다.
또한 지지돌출부(32A)는 베이스(1B)이면의 주면이 배전반등에서 이간하는 스페이서기능을 완수하는 것이면 그 형상, 배치위치는 묻지 않는다.
33은 상간벽(41)의 트립측의 단부이고, 커버(1A)의 리브가 삽입되는 슬릿(33a)이 설치되어 있다.
36은 단자부착부(34)와 트립부(28)사이에 설치된 트립부 측벽이고, 단자부착부(34)에 설치된 트립부 측벽이고, 단자부착부(34)에 설치된 벽부(36A), 트립부(28)에 설치된 벽부(3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해서, 벽부(36B)에 각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릿(36a)과 슬릿(36d)이 베이스(1B)의 내면측(표면측)과 이면측으로 교호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1B)의 성형후의 치수가 안정되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공헌할 수 있다.
또 슬릿(36a),(36d)간의 벽(36g)의 두께(to1)와 슬릿(36d)의 표면측벽(36h)의 두께(to2), 슬릿(36a)의 이면측벽(36i)의 두께(to3), 슬릿(36a)와 트립부(28)간의 벽(36j)(도 7참조)의 두께(to4)는 대략 균등한 두께이므로, 다시금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공헌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해, 40은 단자부착부(38)와 접점부(24)사이에 설치된 접점측벽이다.
단자부착부(38)및 접점측벽(40)근방의 외측벽(30)의 표면 이면에는 각각 슬릿(30a),(30d)가 상간방향으로 교호로 설치되어 있다.
슬릿(30a),(30d)는 외측벽(30)을 그 두께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있다.
상간벽(41)은, 접점측의 상간벽부(42)지지부(1a1),(1a2), 트립장치측의 상간벽부(44)에 의해 형성되어 상간벽부(42)는 슬릿(42b)에 의해 제1상측벽(42a)과 제2상측벽(42c)에 균등하게 분할되어 있다.
또 베이스(1B)의 이면측은, 슬릿(42d)에 의해 제1상측벽(42a)과 제2상측벽(42c)은 균등에 의해 제1상측벽(42a)과 제2상측벽(42c)는 균등하게 분할되어 있다.
슬릿(42b)와 슬릿(42d)는 두께(to5)의 벽(42g)(도 11)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42e는 베이스(1B)에 커버(1A)를 고정하는 고정나사의 삽통공이다.
상간벽부(42)의 지지부(1a1),(1a2)측에는 가동접촉자(4)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조리게부(42i),(42j),(42i)가 설치되어 있다.
42X는 프레임(18)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다.
조리게부(42i)는 측벽(30)에서 상간벽(41)측에 연재하는 리브(42i 1)(도 10)와, 베이스 저벽(42p)로부터 커버(1A)측으로 연재하는 리브(42i2), 상간벽(41)으로부터 측벽(30)측으로 연재하는 리브(42i3)에 의해 형성되고 또 리브(42i1),(42i2),(42i3)에는 그 연재방향에 슬릿(42I)(도 7)가 설치되어 있고, 연면거리가 길게되어 있다.
리브(42i3)와 상간벽(41)사이의 기부(42h)에는 슬릿(42f)(도 8, 도 10)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개부(42j)는 서로의 상간벽(41)측에 연재하는 리브(42j 1)과 베이스 저벽(42p)로부터 커버(1A)측에 연재하는 리브(42j 2)에 의해 형성되고 또 리브(42j 1),(42j 2),(42j 1)에는 그 연재방향에 슬릿(42n)이 설치되어 있고 연면거리가 길어진다.
조리개부(42i),(42j),(42i)및 기부(42h)는 접점(3),(5)와 개폐기구부(9)를 구획하는 벽이 되고, 접점(3),(5)가 개리해서 아크를 차단할때의 압력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의 개폐기구부(9)측에의 유입을 억제한다.
또 접점(3),(5)와 개폐기구(9)를 구획하는 벽이 되는 기부(42h)에 슬릿(42f)를 설치하고, 이 슬릿(42f)의 공간(즉 공기층)의 열전도율은 기부(42)가 수지에 의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낮으므로 베이스(1B)에서의 접점 3, 5 측에서 개폐기구부(9)에의 열전도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통전시의 접점(3),(5)의 발열이 개폐기구부(9)측에 전달되기 어려워지고, 개폐기구부(9)에 사용되는 오일이나 그러스등의 윤활재의 열화진행을 지연할 수 있다.
또 베이스(1B)이면의 주면은 지지돌출부(32A)에 의해 배전반등의 설치면에서 이간해 있고 슬릿(42f)을 베이스(1B)이면측에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지에 의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방열면적이 커지고 베이스(1B)의로 열이 방출되기 쉽고 윤활제의 열화진행을 보다 더 지연시킬수 있다.
또 베이스저벽(42p)의 두께 to6(to1~to5와 거의 같다)보다도 슬릿(42f)와 베이스(1B)내측과의 사이의 벽 예를들면 슬릿벽(42g)의 두께(to7)는 얇고 슬릿(42f)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가 있다.
중간벽부(44)는 상간벽(41)의 연재방향으로 베이스(1B)의 표면, 이면 교호로 설치된 슬릿(44a),(44d)(특히 44d2),(44b)에 의해 제1상측(도 7의 중앙상)과 제2상측 (도 7의 우상)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있다.
슬릿(44d)는 공간(44d1),(44d2),(44d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릿(44d)와 트립측단부(33)측의 공간과의 사이의 벽(44g)의 두께(t10), 및 슬릿(44d)와 슬릿(44a),(44b)와의 사이의 벽(44h),(44i),(44j),(44k)의 두께(t11),(t12),(t13),(t14)는 각각 두께 (t01)과 거의 같은 두께이다.
44X,44y는 위치결정용의 凸부, 44z는 커버(1A)와 감합하는 凸부이다.
슬릿(44a),(44d)(특히 44d2),44b는 베이스(1B)의 표면이면 교호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1B)의 성형후의 치수가 안정되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공헌할 수 있다.
또 벽(44g),(44h),(44i),(44j),(44k)의 두께(t10),(t11),(t12),(t13),(t14)는 거의 균등하므로 보다 치수가 안정되고 오버트라벨의 감소에 공헌할 수 있다.
49A는 베이스(1B)의 표면측에서 측벽(30)에 설치된 슬릿,(49B),(49c)는 베이스(1B)의 표면측에서 측벽(30)에 설치된 슬릿이다.
이상과 같이 슬릿(30a),(30d),(36a),(36d),(42b),(42d),(44a),(44b),(44d), (49A),(49B),(49c)에 의해 두께가 일정치 이상의 벽을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균등하게 분할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1B)의 성형후의 치켜 올려짐과 탈락등의 완화에 의한 치수의 정밀도를 높이고, 베이스(1B)와 크로스바(7)과의 크리프변형에 따른 오버트라벨 감소량의 저감에 기여하는 것이 판명하되었다.
특히 상간벽(41)에 슬릿을 설치했을때 오버트라벨 감소가 현저했었다.
또 슬릿을 베이스(1B)의 표면, 이면에 교호로 설치했을때도 오버트라벨 감소가 현저하였었다.
또 슬릿을 형성하는 벽(36g),(36h),(36i),(36j),(42q),(42g),(44h),(44i), (44j),(44k)를 거의 균등한 3두께로 하였으므로 성형후의 치켜올려짐이나 탈락의 완화에 의한 치수변화의 예측이 쉬워졌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에서는 100암페어 프레임용의 회로차단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회로 차단기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중에서 설명한 대로이고, 극간 피치가 30mm 3극의 제품의 경우 베이스(1B)폭방향 치수가 90mm, 접압스프링에 의한 접점간의 접압이 20N 이하이다.
(샘플 예(11)~(41)크로스바의 성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100암페어 프레임의 80은 상금형 80A 및 하금형 80B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크로스바(7)에 따른 모양으로 형성된 금형이다.
81은 상금형(80A)및 하금형(80B)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의 주입구이다.
혼합재료는, 금형(80)의 길이방향단부에 위치하는 주입구(81)에, 75000kg(75톤)사출성형기로, 금형 온도 174~176도, 실린더 전부온도를 80~85도, 실린더 후부온도를 60~70도, 사출시간 9~11초의 조건으로 성형한다.
성형한 크로스바(7)를 표1~표4에 표시하는 조건으로 열처리하였다.
이와같이 해서 표1~표4에 표시하는 샘플예(11)~(41)의 크로스바를 얻었다.
샘플예(11)~(41)은 크로스바가 페놀수지와 유리섬유(GF)와 충전재로 된것으로, 각각 배합비율이나 열처리조건을 변경한 것이다.
유리섬유는 유리로 된 섬유상물질을 말하며, 주기율표 1 A족의 금속의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을 만족하고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리소재로는 E유리, S유리,D유리,T유리 또는 실리카 유리등을 들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바와같이, 유리섬유의 직경이 6~13㎛, 아스펙트버가 10이상이어야 하는 것이 내충격강도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충전재는, 무기질의 충전재로서, 알루미나, 탄산칼슘, 마이카,클레이, 탈크, 카오린등, 유기질의 충전재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텔,폴리아크릴등을 들수 있다.
상술한바와같이, 그 특성에서 유기질의 충전재는 페놀수지에 포함된 배합비율로 하고 있다.
(샘플예(11)~(41)베이스의 성형)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100 암페어프레임용 베이스 성형용의 금형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90은, 고정금형(90A)및 가동금형(90B)로 되고, 그 내부가 베이스(1B)에 따른 형태로 형성된 금형이다.
91은 고정금형(90A)에 형성된 혼합재료의 주입구이다.
혼합재료는, 고정금형(90A)의 중심에 위치하는 주입구(91)에서, 1600Kg(160톤)수를 성형기로 가동금형온도 80~100도, 고정 금형온도 120~140도, 실린더 온도를 250도~320도, 보압시간과 사출시간과의 합계가 4~6초의 조건으로 도1, 도 2, 도 4~도 11에 표시한 베이스(1B)를 성형하였다.
다음, 시험방법, 판정방법 및 그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구부림 탄성율 측정)
표1~표4의 샘플예(11)~(41)에 표시하는 베이스(1B), 크로스바(7)를, 섭시 21도~섭시 25도, 습도 60%~70%의 분위기에서 측정에서 그 평균치를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Eb),(Ec)로 하고, 그 값을 표1~표4에 표시한다.
단, 폴리아미드(PA)는 습도에 의한 구부림 탄성율의 변화가 다른 수지에 비해 크고, 비교 검토를 위해, 절건(섭시 21도~섭시 25도, 습도상대 0%)의 조건에서도 측정하였다.
절건에의 구부림 탄성율은 샘플예(31)가 7500MPa, 샘플예(32),(33)이 10500MPa였었다.
(고온 고습 오버트라벨 시험)
도 2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구조에서는, 폐로상태로 했을때, 크로스바(7)에 가해지는 응력은, 오버트라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회로차단기가 사용되는 기간은 통상 10~15년이다.
이동안, 동남아세아 지역이나 터널내등의 고온고습상태에서 폐로상태가 유지되면, 오버트라벨성능이 떨어지는 크로스바(7)이나 베이스(1B)를 사용한 경우, 양 접점간의 접촉압력이 거의 없어지고, 통전의 신뢰성을 손상하게 된다.
즉 오버트라벨의 주요인으로 생각되는 크리프변형량은 응력이 가해져 있는 한 포화되는 일없이 최종적으로는 성형품이 크리프 파괴에 이르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베이스(1B)와 크로스바(7)사이의 오버트라벨 감소량의 판정을 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성형한 베이스(1B)및 크로스바(7)인 샘플예(11)~(41)을 사용해서, 회로차단기(100암페어프레임)을 조립해 고온고습 오버트라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조립회로 차단기를 개로상태에서 섭시 85도, 또 상대습도 85%의 항온항습조에서 1주간보존하고, 그후 회로차단기를 폐로하고 그 상태에서 섭시 40도로 또 상대습도 85%의 항온항습조에 3000시간방치한후, 들어내어, 각극의 가동접점(5)의 오버트라벨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 즉 오버트라벨 특성의 측정결과로부터, 15년후의 오버트라벨 감소량을 측정하고, 접점의 두께에 따라 감소량이 기준치(실시예 1의 경우에는 1.2mm)이하의 경우를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시험결과)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의 고온고습 오버트라벨 시험의 결과를 각각 표1~표4에 표시한다.
또 상술한 이유에 의해, 표1~표4중의 크로스바(7)의 충전재는 무기질의 충전재를 표시하고, 유기질의 충전재는 수지를 포함해서 표시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샘플예(11)~(15)는 베이스(1B)가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와 유리섬유(GF)로 된것으로서, 구부림 탄성율의 합(Eb+Ec)가 작은 샘플예(13)및 구부림 탄성율(Eb)이 작은 샘플예(13)(14)는 고온고습 오버트라벨 시험이 불합격이 되었다.
난연재라는 것은 예를들면 할로겐계 화합물(디브롬 폴리에틸렌 및 취소화 에폭시등)이고,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100)에 대해 25~40의 중량비율이다.
또 샘플예(11),(12),(15)는 내충격강도가 우수할분 아니라, 후술하는 표2~표4의 것에 비해 단자판(23)(도2)에 전선케이블(25)을 나사로 체결할때에 갈라짐이 발생하기 힘든것이 있다.
베이스(1B)로서,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가 55~70중량%, 강화재가 30~45중량%일때,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우수한것이 있다.
이때, 크로스바(7)로서 오버트라벨 특성으로부터 수지가 25~35중량%, 강화재가 40~50중량%, 충전재가 20~30중량%의 것, 또 성형성이 양호한 점으로부터 수지가 55~65중량% 강화재가 10~25중량%, 충전재가 10~25중량%의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이었다.
(표 1)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샘플예(21) ~ (29)는 베이트(1B)가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와 유리섬유(GF)로 된 것으로, 구부림 탄성율(Eb)가 작은 샘플예(23),(24) 및 구부림탄성율 Ec가 작은 샘플예(27)는 고온고습 오버트라벨시험이 불합격이 되었다.
난연제라는 것은 예를 들면 할로겐계 화합물(디부론 폴리에틸렌, 디부론 폴리에틸렌 및 취소화 에폭시 등)이고,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100에 대해 25~40의 중량비율이다.
샘플예(21),(25),(26),(28),(29)는 샘플예(22) 보다도 다시 (21),(25)(28),(29)는 샘플예(26) 보다도 오버트라벨의 감소가 적고 양호하였다.한편, 샘플예(22),(26)은 샘플예(21),(25),(28),(29) 보다도 유리섬유의 배향의 영향이 적고 성형품의 비틀림, 튕겨오름을 억제하는 점에서 우수하였었다.
또, 샘플예(21),(25),(26),(28),(29)는 표 1의 샘플에 비교해서 성형품의 융점이 높고, 베이트(1B)가 과부하 내구성시험으로 용융하기 힘든 것이었다.
베이스(1B)로서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가 45 ~ 60중량%, 강화재가 40 ~ 55중량% 일때,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우수하였었다.
이때, 크로스바 1로서, 오버트라벨의 특성에서 수지가 25 ~ 35중량%, 강화재가 40 ~ 50중량%, 충전재가 20 ~ 30중량%의 것, 또 성형성이 양호한 점에서 수지가 55 ~ 65중량%, 강화재가 10 ~ 25중량%, 충전재가 10 ~ 25의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이었다.
(표 2)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샘플에(31)는 베이스(1B)가 폴리아미드(PA)와 유리섬유(GF)와 수산화마그네슘으로 된 것으로 특개평 8-171847호에 개시된 것에 상당한다. 이 샘플예(31)는 오버트라벨시험이 불합격이 되었다. 또, 샘플예(32)는 오버트라벨시험이 불합격이 되고, 샘플예(33)는 오버트라벨시험이 합격이 되었다.
난연제라는 것은 예를 들면 할로겐화합멀(디브롬 폴리에틸렌 및 취소화 에폭시 등), 엘라스토머라는 것은 폴리올레핀 코폴리머의 아이오노머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폴리아미드(PA) 10에 대해, 난연제가 50 ~ 70, 엘라스토머가 20 ~ 30의 중량비율이다.
또, 샘플예(33)는 오버트라벨의 특성에 더해 내충격성 및 접점간의 아크 차단후의 절연특성도 우수햇서 회로차단기의 베이스(1B)로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또, 샘플예(33)의 베이스(1B)의 폴리아미드에 엘라스토머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것은 내충격성에서 샘플예(33)에 뒤떨어지나,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좋은것이 있다.
또, 폴리아미드(PA)는 습도에 의한 구부림탄성율의 변화가 비교적 크고, 상온상습의 구부림탄성율 Eb가 같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 비교해, 오버트라벨량이 약간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표 3) 폴리아미드(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샘플예(41)는 베이스(1B)가 충전재가 첨가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와 유리섬유(GF)로 된 것으로, 고온고습 오버트라벨시험은 합격이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에 첨가되는 충전재는 무기질의 충전재인 탄산칼슘이고,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100에 대해, 70 ~ 80의 중량비율이다.
샘플예(41)는 성형 비틀림이 적고, 또 표 1, 표 2의 샘플 보다도 성형품의 융점이 높은 것이었다.
(표 4)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이상과 같이 샘플예(11),(12),(15),(21),(22),(25),(26),(28),(29),(33), (41)일때, 즉또,또,일때, 고온고습 오버트라벨시험이 합격되었다.
또, 샘플예(15),(21),(25),(28),(29),(41) 일때, 즉, 또, 또일때, 고온고습 오트라벨의 특성이 더욱 양호하였다.
또, 샘플예(21),(29),(41) 일때, 즉, 또, 또일때, 고온고습 오버트라벨의 특성이 양호하였다.
또, 표 3에 표시하는 성형품의 주성분이 폴리아미드(PA)인 경우, 성형품의 솟음과 함몰이나 흡습에 의한 치수변화가 크리프변형에 의한 오버트라벨의 감소를 조장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성형품의 주성분으로서 오버트라벨의 특성으로 부터는 표 1, 2, 4에 표시한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회로차단기의 베이스(1B)로서 요구되는 소형화, 경량화, 성형시에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을 것, 내열성, 기계적 강도, 충격강도, 외관, 난연성, 아크 차단 후의 절연저항, 트래킹, 코스트 등의 요구를 밸런스 좋게 충족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회로차단기는 배전반용 또는 분전반이나 제어반의 주간용의 회로차단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39)

  1.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접점의 접촉시에 이 양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요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어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로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을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으로부터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b의 성형품이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온상습에서의 구부림 탄성율 Ec의 성형품이고, 다음 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구부림 탄성율 Eb, Ec는 다음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3. 구부림 탄성율 Eb, Ec는 다음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4.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지방족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이들의 알로이재료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5. 폴리아미드 나일론 66, 나일론 MXD 6, 나일론 46 및 나일론 6T의 적어도 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기재의 회로차단기.
  6.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이들의 알로이재료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기재의 회로차단기.
  7.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55 ~ 70중량%와 강화재가 30 ~ 4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8.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40 ~ 70중량%와 강화재가 30 ~ 6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9. 베이스는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가 첨가된 폴리아미드가 56 ~ 60중량%와 강화재가 40 ~ 44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10. 크로스바는 페놀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11. 회로차단기는 다극으로 베이스의 저벽에 직교하는 벽에 그 벽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회로차단기.
  12. 슬릿은 직교하는 벽을 균등한 두께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기재의 호로차단기.
  13. 슬릿은 베이스의 표리측에서 교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기재의 회로차단기.
  14. 직교하는 벽은 상간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기재의 회로차단기.
  15. 슬릿간의 베이스두께와 베이스저벽의 두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기재의 회로차단기.
  16. 직교하는 벽은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수납하는 접점수납부와 개폐기구 수납부 사이의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기재의 회로차단기.
  17. 슬릿은 베이스의 이면측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기재의 회로차단기.
  18. 베이스저벽의 두께부다도 슬릿과 베이스 내측과의 사이의 벽의 두께를 얇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기재의 회로차단기.
  19.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의 접촉시에 이 양 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가동 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어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에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단절 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가 첨가된 폴리아미드가 56 ~ 60중량%와 강화재가 40 ~ 44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0.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8 ~ 32중량%와 강화재가 43 ~ 47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3 ~ 27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기재의 회로차단기.
  21.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는 폴리아미드(100)에 대해 할로겐계 화합물이 50 ~ 70, 엘라스토머가 20 ~ 30의 중량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기재의 회로차단기.
  22.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의 접촉시에 양 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고,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를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프탈레이트가 45 ~ 60중량%와 강화재가 40 ~ 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3.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55 ∼ 65중량%와 강화재가 10 ∼ 25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10 ~ 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2기재의 회로차단기.
  24.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5 ~ 35중량%와 강화재가 40 ~ 50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0 ~ 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2기재의 회로차단기.
  25. 난연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100에 대해 할로겐계 화합물이 25 ~ 40의 중량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2기재의 회로차단기.
  26.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하는 가동접점을 갖는가동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의 접촉시에 이 양 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어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에 회전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48 ~ 70중량%와 강화재가 30 ~ 60중량%를 함유하고,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5 ~ 35중량%와 강화재가 40 ~ 50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20 ~ 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7.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이접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의 접촉시에 이 양 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어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에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40 ~ 70중량%와 강화재가 30 ~ 60중량%를 함유하고,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55 ~ 65중량%와 강화재가 10 ~ 25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10 ~ 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8.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의 접촉시에 양 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전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어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에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투입 및 급속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55 ~ 70중량%와 강화재가 30 ~ 4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9.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25 ~ 35중량%와 강화재가 40 ~ 50중량%와 무기질의 충전개가 20 ~ 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8기재의 회로차단기.
  30. 크로스바는 페놀수지가 55 ~ 65중량%와 강화재가 10 ~ 25중량%와 무기질의 충전재가 10 ~ 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8기재의 회로차단기.
  31. 난연제는 폴리부탈렌 텔레프탈레이트 100에 대해 할로겐계 화합물이 25 ~ 40의 중량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8기재의 회로차단기.
  32.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의 접촉시에 이 양 접점간에 접압력을 부여하는 접압스프링과, 절연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일체 성형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보존하는 동시에 토글링크기구의 하링크에 연결되어 이 토글링크기구의 동작에 따라 그 회동축 주위에 회동하는 크로스바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글링크기구의 축세스프링의 축세를 개방시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급속입력 및 급속단절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 개폐기구부를 고정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핸들측에서 이 베이스에 씌운 커버에 의해 형성된 몰드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촉자를 다수 소유하는 다극의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베이스의 주수지가 열가소성 수지로 되고, 이 베이스의 저벽에 직교하는 벽에 그 벽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3. 슬릿은 직교하는 벽을 균등한 두께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32기재의 회로차단기.
  34. 슬릿은 베이스의 표리측에서 교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기재의 회로차단기.
  35. 직교하는 벽은 상간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기재의 회로차단기.
  36. 슬릿간의 베이스두께와 베이스저벽의 두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기재의 회로차단기.
  37. 직교하는 벽은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수납하는 접점수납부와, 개폐기구부를 수납하는 개폐기구수납부 사이의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기재의 회로차단기.
  38. 슬릿은 베이스의 이면측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7기재의 회로차단기.
  39. 베이스저벽의 두께 보다도 슬릿과 베이스 내측 사이의 벽의 두께를 얄벡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7기재의 회로차단기.
KR10-2001-7016065A 2000-04-14 2001-02-22 회로차단기 KR100454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2461 WO2001080268A1 (fr) 2000-04-14 2000-04-14 Interrupteur de circuit
JPJP-P-2000-00002461 2000-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25A true KR20020021125A (ko) 2002-03-18
KR100454114B1 KR100454114B1 (ko) 2004-10-26

Family

ID=1173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065A KR100454114B1 (ko) 2000-04-14 2001-02-22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70481B2 (ko)
JP (1) JP4496698B2 (ko)
KR (1) KR100454114B1 (ko)
CN (2) CN100449672C (ko)
CA (1) CA2370476C (ko)
DE (1) DE10191111B4 (ko)
TW (1) TW444220B (ko)
WO (2) WO2001080268A1 (ko)
ZA (1) ZA200109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4259A1 (de) * 2002-11-21 2004-06-03 Abb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s für ein elektrisches Schaltgerät
JP4395022B2 (ja) * 2004-07-13 2010-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4552655B2 (ja) * 2005-01-12 2010-09-29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回路遮断器
US20080061037A1 (en) * 2006-09-07 2008-03-13 Thangavelu Asokan Composite arc suppression device
US20080073326A1 (en) * 2006-09-21 2008-03-27 Thangavelu Asokan Ablative Circuit Interruption Device
JP4906881B2 (ja) * 2009-03-27 2012-03-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熱動形過負荷継電器
JP5286537B2 (ja) * 2009-09-28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消弧用絶縁成型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路遮断器
EP2515318B1 (en) * 2011-04-20 2017-06-07 Rockwell Automation Switzerland GmbH Compact bus bar assembly, switchin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CA2900227C (en) * 2013-02-07 2018-04-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rc-extinguishing insulation material molded product and gas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KR101447042B1 (ko) 2013-11-19 2014-10-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투입하중증가수단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US20160240335A1 (en) * 2015-02-17 2016-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rossbar assembly and method
US10577832B2 (en) 2016-11-03 2020-03-03 Schlage Lock Company Llc Dual function security/fire locking mechanism for fire rated devices
US10340103B2 (en) * 2017-09-12 2019-07-02 Siemens Industry, Inc. Switching assemblies with integral handle and rotor and methods of assembly
JP7010706B2 (ja) * 2018-01-10 2022-01-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US10847333B2 (en) * 2018-09-17 2020-11-24 Siemends Industry, Inc. Circuit breakers including dual trigge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2339324B1 (ko) 2021-01-15 2021-12-16 조영창 전자회로의 온도 예측 및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6041A (en) * 1972-12-08 1974-01-15 Standard Oil Co Melamine-formaldehyde resin containing alumina hydrate
US3912671A (en) * 1974-05-23 1975-10-14 Denki Kagaku Kogyo Kk Flame-retardant resinous composition
JPS59140242A (ja) * 1983-01-31 1984-08-11 Shin Etsu Chem Co Ltd 難燃性ゴム組成物
US4668718A (en) * 1984-10-05 1987-05-26 Ciba-Geigy Corporation Self-extinguishing, track-resistant epoxy resin mould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H01286224A (ja) * 1988-05-12 1989-1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しや断器
JPH07113072B2 (ja) * 1988-07-25 1995-12-06 株式会社ボロ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 自消性重合体組成物
US4950852A (en) * 1989-04-03 1990-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circuit breaker arc chute composition
JPH03163448A (ja) 1989-11-21 1991-07-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4975551A (en) * 1989-12-22 1990-12-04 S & C Electric Company Arc-extinguishing composition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US5216063A (en) * 1990-01-13 1993-06-01 Bip Chemicals Limited Polyamide compositions
US5147918A (en) * 1991-06-12 1992-09-1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Low wear polyamide compositions containing aluminosilicate ceramic fiber
US5166651A (en) * 1991-07-26 1992-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rc exhaust gas controller
JP2925402B2 (ja) * 1991-09-11 1999-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高熱伝導性低収縮湿式不飽和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を成形してなる筐体を有する回路遮断器
US5290835A (en) * 1991-10-01 1994-03-01 Teijin Limited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formed of polybutylene naphthalenedicarboxylate
US5304761A (en) * 1992-02-18 1994-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Arc-pro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H0668769A (ja) * 1992-08-21 1994-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
US5304204A (en) * 1993-02-09 1994-04-19 Ethicon, Inc. Receiverless surgical fasteners
TW293130B (ko) * 1994-03-10 1996-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JP3298340B2 (ja) * 1994-12-16 2002-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の絶縁構成物
JP3016344B2 (ja) * 1994-12-19 2000-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3390112B2 (ja) * 1995-10-16 2003-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3853862B2 (ja) * 1995-12-13 2006-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3651096B2 (ja) * 1996-02-13 2005-05-25 東レ株式会社 携帯機器用筐体
JPH10294054A (ja) * 1997-04-21 1998-11-04 Hitachi Ltd 回路遮断器
JPH10321112A (ja) * 1997-05-19 199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の筐体
JPH113648A (ja) 1997-06-11 1999-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および開閉器のクロスバーの製造方法
JP2000067730A (ja) 1998-08-24 2000-03-03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
JP3387435B2 (ja) * 1999-02-19 2003-03-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用ベースの製造方法
JP2001093394A (ja) * 1999-09-28 2001-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JP2001123041A (ja) * 1999-10-26 2001-05-08 Fudow Co Ltd フェノール樹脂成形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6698B2 (ja) 2010-07-07
CA2370476C (en) 2005-04-05
DE10191111T1 (de) 2002-04-11
US6570481B2 (en) 2003-05-27
TW444220B (en) 2001-07-01
US20030048169A1 (en) 2003-03-13
KR100454114B1 (ko) 2004-10-26
WO2001080269A1 (fr) 2001-10-25
ZA200109388B (en) 2003-02-14
CN1652280A (zh) 2005-08-10
WO2001080268A1 (fr) 2001-10-25
CA2370476A1 (en) 2001-10-25
CN1366697A (zh) 2002-08-28
DE10191111B4 (de) 2005-06-16
CN1217370C (zh) 2005-08-31
CN100449672C (zh)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114B1 (ko) 회로차단기
KR100204526B1 (ko) 유기무기복합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폐기
GB2137418A (en) Braidless movable contact with wiping action
US7009129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breaker mechanism
EP1244128B1 (en) Circuit breaker
KR100197052B1 (ko) 개폐기의 절연구성물
US7202427B2 (en) Switch contact arrangement comprising a device for increasing a contact-force acting between switch contacts
EP1475817B1 (en) Circuit breaker
KR101232453B1 (ko) 회로차단기
US5294901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insulated armature latch arrangement
CA1066748A (en) Visible blade switch
TW494421B (en) Circuit breaker
US7280018B2 (en) Housing including strengthening member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101416261B (zh) 用于保护开关的具有灭弧材料的灭弧装置
KR20010106098A (ko) 개폐기
CN108461359A (zh) 具有可分离电触点和空气开关的用于电流的开关设备
JP2001093394A (ja) 回路遮断器
WO2009012931A2 (en) Electrical devices
CN117373876A (zh) 断路器和配电柜
JP4719253B2 (ja) 回路遮断器
JPH113648A (ja) 開閉器および開閉器のクロスバーの製造方法
JP4769272B2 (ja) 回路遮断器
SI9111264A (en) Protective interrupter with bridge conductive part with two opening contacts
CN101944461A (zh) 电机操作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