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098A - 개폐기 - Google Patents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098A
KR20010106098A KR1020007010269A KR20007010269A KR20010106098A KR 20010106098 A KR20010106098 A KR 20010106098A KR 1020007010269 A KR1020007010269 A KR 1020007010269A KR 20007010269 A KR20007010269 A KR 20007010269A KR 20010106098 A KR20010106098 A KR 2001010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weight
molded article
magnesium hydroxid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베슈운이치
후쿠야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10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01H71/0257Strength considerations

Abstract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50 중량%, 강화재가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30∼40 중량% 인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로된 성형품의 절연 구성물을 광체에 사용한 개폐기이다. 또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45 중량%, 강화재가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30∼40 중량%, 무기물이 5∼15 중량% 로한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로 해도 되고, 무기물을 소성 클레이, 왈라스트나이트로 해도 된다.
그리고 개폐기를 구성하는 성형품의 치수변화율을 저감시키고 동시에 성형품의 강성, 크립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 성형품의 변형을 저감시키고, 표면 광택이 양호하고 손상이 가기 힘들게 한다.

Description

개폐기{SWITCH}
종래,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8-171847 호 공보에는 나일론 6 이 45∼80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15∼50 중량%, 유리섬유가 5∼40 중량% 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사용한 개폐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조성물을 포함한 성형품을 사용한 개폐기는 소요의 강성, 강도, 소요의 크립성, 개폐기 차단후의 절연성, 난연성등을 제공하나, 성형후에 치수변화가 생기고 생산 불량율이 높아진다는 과제, 얻어진 성형품의 강성이 저하해서(단, 저하후도 상기 소요의 강성은 충족시킨다) 당해 성형품의 좀더한 소형화, 얇게하는것이 어렵다는 과제 및 얻어진 성형품의 크립성이 저하한다(단, 저하후도 상기 소요의 크립성을 충족시킨다)는 과제를 발견하였다. 이 치수변화, 강성의 저하 및 크립성의 저하는 나일론 6 이 흡습성의 수지이고, 성형후에 대기 또는 외기로부터 수분등을 흡습한것이 주요인이라고 추측한다.
그런데 성형직후의 성형품은 대기중의 수분등을 흡습해서 그 치수가 변화하는것이 알려져있고, 이 치수변화의 변화비율은 성형품의 보관상태, 계절등의 외인에 의해 다르다.
또 개폐기를 조립해서 제작할때에 사용하는 성형품은, 성형품의 성형과 개폐기의 조립과는 떨어진 장소에서 실시되고, 작업효율의 향상을 위해, 통상 성형후 수시간∼수주간후에 조립에 사용된다. 따라서 성형후 수시간∼수주간의 단기간 사이에, 성형품의 외형치수가 크게 변화하면, 특히 허용치수외로 변화하면 당해 성형품은 조립용 부품으로 사용할 수 없게되 개폐기의 조립효율에 기인하는 생산 불량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된것으로,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의 알로이와 강화재와, 수산화마그네슘을 특정의 비율로 배분함으로써, 차단후의 절연성이 높고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은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또 개폐기의 차단후에 절연성을 갖고 난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고, 성형후에 강성이 높고 내 크립성이 우수한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에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강화재와, 수산화마그네슘과, 강화재의 배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무기물을 특정한 비율로 배분함으로써 보다더,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고, 성형후에 강성이 높고 또 내 크립성이 우수한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에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표면 광택이 양호하고 상처가 나기 힘든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는 35∼50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15∼25 중량% 의 강화재와, 30∼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 조성물의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되었으므로 차단후의 절연성이 높고,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다.
또,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45∼50 중량%, 강화재는 20∼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은 30∼35 중량% 이므로, 용융 수지온도나 금형온도등 성형 조건 폭이 넓고 용이하게 성형할 수가 있는 동시에 강화재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표면에의 석출이 적다.
또,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35∼45 중량%, 강화재는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은 30∼40 중량% 이므로, 보다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다.
또,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35∼40 중량%, 강화재는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은 30∼40 중량% 이므로, 대단히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다.
또, 성형품은 광체이므로, 회로 차단기의 구성부품중 가장 큰 구성부품의 하나이고 생산 불량율의 저감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
또, 35∼45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15∼25 중량%의 강화재와 30∼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5∼15 중량% 의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의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되었으므로, 차단후의 절연성이 높고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보다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다.
또, 무기물은, 소성 클레이 및 왈라스트나이트(Wallastnite) 또는 어느 한쪽이므로 성형품에 손상이 가기 힘들다.
또, 성형품은 광체이므로, 회로 차단기의 구성부품중 가장 큰 구성부품의 하나이고 생산 불량율의 저감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 또 성형품은 광체의 베이스이므로 표면 광택 및 표면에 상처가 나기 힘들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에 관한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품이 고강성, 고강도를 갖고, 개폐기 차단후의 절연성을 유지하고, 난연성을 제공하고 성형품의 비틀림이 적고, 표면 광택이 좋고 손상이 잘 안되는것에 관한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차단기의 광체의 베이스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차단기의 광체의 커버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표시한 커버의 정면도.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개폐기의 그 일부를 구성하는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은 35∼50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15∼25 중량% 의 강화재와 30∼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을 금형에 사출성형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흑색계의 성형물을 성형할때에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에, 예를들면 흑색계의 염료나 블랙 카본을 첨가한다.
나일론 6계 알로이는 나일론 6 과 나일론 66, 나일론 6 과 아크리로니트릴 부타디엔 공중합체(ABS), 나일론 6 과 변성 폴리 페닐렌 옥사이드(변성 PPO), 나일론 6 과 MXD 6, 나일론 6 과 나일론 66 과 MXD 6 등이고, 어느것이나 성형시의 수지 용융 온도가 수산화마그네슘 탈수온도와 비교해서 낮다. 따라서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수산화마그네슘과의 혼련시 및 혼련해서 얻어진 재료를 성형할때에, 수산화마그네슘이 탈수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는 차단기의 전극(도시않음)의 개폐시에 차단기의 광체 및 내부를 구성하는 유기조성물,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등에서 발생하는 유리탄소 및 접점 및 내부를 구성하는 금속부품(전극, 접점, 트립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승화 금속이나 비산하는 용융 금속액적을 상기 성형품 중에 함유된 약 250℃ 이상에서 탈수반응을 하는 수산화마그네슘에서 발생하는 절연성 부여 가스에 의해 효율적으로 절연체화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한다.
강화재는 유리섬유 또는 세라믹스 섬유로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것이다. 유리섬유의 직경은 1∼15㎛ 아스펙트비가 10 이상인 것이 강성, 강도면에서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의 배합비율에 의한 성형후의 치수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후의 치수변화 시험]
우선 시험용 성형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차단기의 광체의 베이스(90mm폭 ×155mm 길이 ×40mm 높이)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a 는 폭방향 외형치수를 표시하고, 치수허용범위는 89.5∼90.0mm 이다.
당해 성형품을 성형(성형직후의 폭방향 외형치수 a0은 89.5mm∼89.6mm 이다)한후 30℃-습도 90% 로 보존된 항온 항습조내에 240시간 보존한다. 항온 항습조에서 인출한후, 폭방향 외형치수 a 를 측정하고, 치수 a 가 상기 치수허용범위에 있으면 합격, 허용치수범위에서 벗어나면 불합격으로 한다. 환인하면, 치수차 △a(=치수a-치수a0)가 소정의 범위(0∼0.4mm)이면 합격이고 이 치수차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비교예 1 로서 70 중량% 의 나일론 6 과, 2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강화재로서 10 중량% 의 유리섬유로된 조성의 성형품을 사용하였다.
표 1 에 시험결과를 표시한다. 또 표중의 ×는 불합격, O, ◎는 합격이고, ◎는 치수차 △a가 대단히 작고, 또 치수 a 가 치수허용범위의 대략 중앙에 속하고 치수변화에 관해 보다 바람직한것을 의미한다.
표 1 에 표시한 바와같이, 비교예 1 의 성형품은 치수 a 가 치수허용범위에서 벗어났으나, 시료 1∼4 는 치수 a 가 치수허용범위에 있고 흡습후의 치수변화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 비교예 1 의 성형품이라도 예를들면 성형후 즉시 개폐기의 조립에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조립하는것이 가능하나 상술한 바와같이(배경기술의란 참조), 성형후 수시간∼수주간의 단기간(시험에서는 240시간)도 보관해둘 수가 없고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시험결과,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의 비율이 작아질수록 흡수후의 치수변화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 중량% 미만인 경우 재료 혼련시, 강화재나 수산화마그네슘을 혼련하기 힘들어지는 경향이 있는것을 알았다. 한편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50 중량% 를 초과하는경우, 당해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로된 성형품의 흡습율이 상승해서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커지는 경향, 성형품의 강성이 저하 하는 경향, 크립 성능이 저하 하는 경향이 있는것을 알았다.
따라서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35∼50 중량%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 강화재가 15 중량% 미만인 경우, 당해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로된 성형품의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역으로 25 중량% 이상인 경우, 강화재의 배향이 커지고 성형품의 비틀림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것을 알았다.
따라서 강화재는 15∼25 중량%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산화마그네슘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차단후의 절연성능이 저하하는 가능성이 있고 역으로 40 중량% 를 초과하는경우, 부스러지기 쉬워져 강성, 기계적 강도가 저하 하는 경향이 있는것을 알았다. 따라서, 수산화마그네슘은 30∼40 중량%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45∼50 중량%, 강화재가 20∼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30∼35 중량% 일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료 1, 2 일때 즉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45∼50 중량%, 강화재가 20 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35 중량% 일때,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을 혼련한후, 이 혼련 조성물을 사출 성형할때에 용융 수지온도나 금형온도등 성형조건 폭이 넓은 동시에 성형후에 강화재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성형품의 표면에의 석출이 적었다. 따라서 성형품을 쉽게 성형할 수가 있는 동시에 표면이 매끄러운 성형품을 얻는것이 가능하다.
또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에 흑색계의 염료가 첨가 되었을때는 흑색계의 성형품이 얻어지나,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을 당해 조성으로 하면 강화재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성형품의 표면에의 석출이 적으므로 성형품의 백화가 적고, 외관이 양호한 성형품이 얻어진다. 특히 광체는 외관이 중요하므로, 당해 광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융 수지온도나 금형온도등 성형조건이 넓으므로 핸들에 비교해 구조가 복잡한 광체의 베이스 및 커버, 특히 베이스의 복잡 형상을 용이하게 얻는것이 가능하다. 또 광체의 베이스 및 커버는 핸들, 크로스바 등의 부품에 비교해 크므로, 성형전후에 큰 온도구비가 생기나, 용융 수지온도나 금형온도등 성형조건 폭이 넓은 조성으로 하면 온도 제어등의 성형조건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고 당해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생산 효율에 기여한다.
또,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45 중량%, 강화재가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30∼40 중량% 일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료 2∼4 일때, 즉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45 중량%, 강화재가 20∼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35∼40 중량% 일때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보다 작고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다. 특히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40 중량%, 강화재가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30∼40 중량% 일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료 3, 4 일때 즉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가 35∼40 중량%, 강화재가 20∼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이 40 중량% 일때, 대단히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작고 생산 불량율이 대단히 낮다.
상술한 시험에서는 시료 1∼4 의 설명에서,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로써 나일론 6 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나일론 6계 알로이의 경우에도 성형후의 치수변화에 관해서는 거의 동등 이상의 결과였다. 여기서 나일론 6 과 나일론 6계 알로이에 대해 각각의 특징이 있으므로 설명한다.
나일론 6계 알로이는 나일론 6 과 비교해서 흡습성이 낮은 재료와의 알로이이므로 나일론 6 보다도 더 흡습후의 치수변화에서 보다 효과적이었다. 한편, 나일론 6 및 나일론 6 과 나일론 66 의 알로이는 나일론 6계 알로이(나일론 6 과 나일론 66 과의 알로이를 제외)에 비교해 차단후의 절연성능이 좋은것을 알았다.
이상과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로된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강화재와 수산화마그네슘을 특정한 비율로 배분 하였으므로, 개폐기 차단후에 고절연성을 갖고 난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적고, 또 생산 불량율도 적고, 성형후에 강성이 높고 내 크립성이 우수하다. 또 이 성형품은 난연성 부여재로써 할로겐 계통이나 린계의 첨가재를 사용하지않으므로 연소시에 다이옥신이나 포스핀 등의 발생의 염려가 없고 독이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 자체가 수지로는 비교적 분해 온도가 높으므로 차단후의 절연성능의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 시료 1, 2 의 조성은, 용융 수지온도나 금형온도등 성형조건 폭이 넓은 동시에 강화재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표면에의 석출이 적으므로, 생산성 및 외관에 대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시료 3, 4 조성은, 치수차 △a 가 대단히 작고 또 치수 a 가 치수허용범위의 대략 중앙에 속하므로, 흡습후에 치수변화에 대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형품으로 차단기의 광체 베이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의 부품 예를들면 커버, 핸들, 크로스바 등이라도 된다. 커버, 베이스, 커버와 베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광체는 개폐기의 구성부품중 그 전장이 가장 큰 부품의 하나이므로 본 실시의 형태의 조성의 성형품을 사용함으로써 성형후의 치수변화의 영향이 저감되어 생산 불량율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조립후의 성형품의 치수변화에 대해서는 성형품은 조립에 의해 그 일부가 타부품에 의해 고정되는것도 가해져, 개폐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치수변화는 거의 없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개폐기의 그 일부를 구성하는 절연 구성물의 성형품은 35∼45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15∼25 중량% 의 강화재와, 30∼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5∼15 중량% 의 배향성이 작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을 금형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은 알루미나, 소성 클레이, 미소성 클레이, 실리카, 규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왈라스트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물을 한 종류 이상으로 사용하면 된다.
이들중에서, 성형품의 표면 광택이 좋은점에서, 소성 클레이, 실리카, 탄산칼슘, 왈라스트나이트가 바람직하다.
더나가서는 상처가 나기 힘든 점에서 소성 클레이, 왈라스트나이트가 바람직하다.
계속해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의 배합 비율에 의한 성형품의 변형량,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품 변형량 측정]
우선, 시험용 성형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차단기의 광체의 커버(90mm 폭 ×155mm 길이 ×28mm 높이)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표시한 커버를 도 2 의 A 방향에서 본 도면, 즉 정면도이다.
도 3 에서 b 는 변형량이다.
당해 성형품을 성형(성형직후의 폭방향 외형치수 a0는 89.5mm∼89.6mm 이다)하고 계속해 상온 상습에서 24시간 방치하고, 그후 성형품의 변형량 b 를 측정하였다. 또 각 시료(비교예 포함)마다에 계 100개의 성형품의 변형량을 측정하였다. 변형량이 0.5mm 이내에 있는 성형품이 97개이상 있으면 합격 96개이하면 불합격으로 한다. 하술하는 표 2 중의 ×는 불합격, O,◎ 는 합격, 또 ◎ 는 변형량의 흐트러짐이 대단히 적어(변형량의 표준편차가 작고)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부품반송시의 불량율]
자동인출기에 의해 성형품을 금형에서 인출하고 벨트컨베이어상에 놓은 공정, 벨트컨베이어상의 성형품을 상자에 채우는 공정, 상자에 채워진 성형품을 운반하는 공정, 성형품을 조립에 사용하기위해 상자에 넣은 성형품을 상자에서 인출하는 공정으로된 통상의 생산 공정을 거친, 성형품(부품)의 외관면을 검사해서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을 산출하였다.
도 2 에서, 외관면(의장면)에 길이 2mm 이상의 손상이 3개이상 있는경우를 불합격, 2개이하이면 합격으로 하였다. 외관면이라는것은 도 2 에서 측면 ①,② 및 상면 ③에서 보이는 면이다. 또 각 시료(비교예 포함)마다에 계 1000개의 성형품의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로써 50 중량% 의 나일론 6 과 25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강화재로써 25 중량% 의 유리섬유로된 조성의 성형품, 비교예 3 으로써 50 중량% 의 나일론 6 과 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강화재로써 10 중량% 의 유리섬유로된 조성의 성형품을 사용하였다. 하술한 표 2 중의 ×는 불합격, O,◎ 는 합격이고, ◎ 는 대단히 불량율이 양호한 경우(불량율이 0.6% 이하)를 의미한다.
표 2 에 시험결과를 표시한다.
표 2 에 표시한 바와같이 비교예 2 의 성형품은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은 양호하나 변화량이 크고, 비교예 3 의 성형품은, 변화량은 작고 양호하나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이 높아 허용범위외이다.
한편, 시료 5∼8 은 변화량은 허용 최대치 0.5mm
내에 있고 부품반송시의 불량율도 1.0% 이하로 낮고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시료 7, 8 일때, 즉 35∼40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거의 15 중량% 의 유리섬유(강화재)와, 35∼35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대략 15 중량% 의 왈라스트나이트(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일때, 변화량 및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의 점에서 대단히 우수한것이 판명되었다.
또, 당해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의 조성에서 사용되는 무기물이 5 중량% 미만의 경우, 성형품의 변형의 저감이 불충분하고 역으로 15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얻어진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표 2 에서 무기물에 소성 클레이를 사용한 경우도 왈라스트나이트와 거의 같은 결과이다.
또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을 조성에 갖는 본 실시의 형태의 시료 5∼8 에 관한 성형품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성형후의 치수변화 시험에 관해서는 모두 치수차 △a 가 대단히 적고, 또 치수 a 가 치수허용범위의 대략 중앙에 속하고 치수변화에 관해 보다 바람직한 결과였다.
이상과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로된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 개폐기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강화재와 수산화마그네슘과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을 특정한 비율로 배분하였으므로 개폐기의 차단후에 고절연성을 갖고, 난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성형후의 치수변화가 대단히 작고 생산 불량율이 낮고 성형후에 강성이 높고 또 내 크리프 성의 우수하고 또,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이 적다. 특히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을 사용하지 않는 성형품과 비교해 본 실시의 성형품은 변형량 및 부품반송시의 불량율의 점에서 각별히 우수하고 생산성 불량율을 격감시킬 수가 있었다.
또, 무기물로써, 소성 클레이, 실리카, 탄산칼슘, 왈라스트나이트를 사용하면, 성형품의 표면 광택이 좋아진다.
또, 소성 클레이, 왈라스트나이트를 사용하면, 성형품에 손상이 가기 힘들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을 사용 하지 않는 성형품과 비교해 본 실시의 형태의 성형품은 표면광택 및 손상이 잘 안되는 점에서 각별하게 우수하다.
또 성형품으로써 차단기의 광체 커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의 부품예를들면 베이스 핸들, 크로스바 등도 상관없다.
또 커버, 베이스 등의 광체는 그 전장이 가장 큰 부품이므로, 본 실시의 형태의 조성의 성형품을 사용함으로써 변형을 적게할 수 있고 생산 불량율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광체의 커버에 본 실시의 형태의 조성의 성형품을 사용하면, 표면에 손상이 잘 안가므로 바람직하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는 소형으로 고차단용량의 개폐기에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9)

  1. 35∼50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15∼25 중량% 의 강화재와, 30∼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의 성형품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기.
  2.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40∼50 중량%, 강화재는 20∼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은 30∼35 중량% 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1 기재의 개폐기.
  3.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35∼45 중량%, 강화재는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은 30∼40 중량% 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개폐기.
  4.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는 35∼40 중량%, 강화재는 15∼25 중량%, 수산화마그네슘은 30∼40 중량% 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1 기재의 개폐기.
  5. 성형품은 광체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3 에 기재한 개폐기.
  6. 35∼45 중량% 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계 알로이와 15∼25 중량% 의 강화재와, 30∼40 중량% 의 수산화마그네슘과 5∼15 중량% 의 배향성이 적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유기 무기 복합 조성물의 성형품으로 그 일부가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개폐기.
  7. 무기물은 소성 클레이 및 왈라스트나이트 또는 어느 한쪽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6 기재의 개폐기.
  8. 성형품은 광체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6 기재의 개폐기.
  9. 성형품은 광체의 베이스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8 기재의 개폐기.
KR1020007010269A 1999-01-18 1999-01-18 개폐기 KR20010106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0121 WO2000042107A1 (fr) 1999-01-18 1999-01-18 Commuta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98A true KR20010106098A (ko) 2001-11-29

Family

ID=1423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269A KR20010106098A (ko) 1999-01-18 1999-01-18 개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83203A1 (ko)
KR (1) KR20010106098A (ko)
CN (1) CN1158353C (ko)
WO (1) WO20000421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22B1 (ko) * 2009-06-05 2009-11-05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9083A (ja) * 2001-03-23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CN100434936C (zh) * 2006-11-07 2008-11-19 西安交通大学 一种光开关低温有机-无机复合薄膜材料的制备方法
CN111171563A (zh) * 2020-03-06 2020-05-19 广州华新科智造技术有限公司 聚酰胺材料及制备方法
KR102389730B1 (ko) * 2020-04-02 2022-04-22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소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309061D1 (de) * 1993-01-07 1998-11-19 Bayer Ag Schwerentflammbare Polyamidformmassen
DE4307682A1 (de) * 1993-03-11 1994-09-15 Basf Ag Halogenfreie flammgeschützte thermoplastische Polyamidformmassen
JPH06290637A (ja) * 1993-03-30 1994-10-18 Hitachi Cable Ltd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
JP3016344B2 (ja) * 1994-12-19 2000-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22B1 (ko) * 2009-06-05 2009-11-05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3699A (zh) 2001-05-02
EP1083203A1 (en) 2001-03-14
CN1158353C (zh) 2004-07-21
WO2000042107A1 (fr) 200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1754B2 (en) Switch and arc extinguishing material for use therein
JP3016344B2 (ja) 開閉器
EP1787307B1 (en) Arc-extinguishing composition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KR100454114B1 (ko) 회로차단기
KR20010106098A (ko) 개폐기
KR20170072213A (ko) 보강 중합체 성형 조성물
US5895607A (en) Electrically conductive casings for electronic devices
EP0717423B1 (en) Insulating structure of switch
US5429656A (en) Silver-based contact material for use in power engineering switchgear
EP1244128B1 (en) Circuit breaker
JP3359422B2 (ja) 消弧用絶縁材料組成物、消弧用絶縁材料成形体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消弧装置
CN108711530B (zh) 一种功能梯度型灭弧喷口及其制备方法
EP037517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 polysulfone molding compositions improved in mold-release characteristics and the compositions obtained by this process.
KR20040023729A (ko) 퓨즈 소자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퓨즈 소자
KR930008196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20040084253A (ko)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0643097A1 (en) Glass/polymer composites with phosphoric acid ester stabilizers
JP3817616B2 (ja) 有接点電気・電子部品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288653A (ja) 開閉器及びその開閉器用ベ―スの製造方法
JP3547911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製自動車用ワイヤーハーネスコネクター
CN112011178A (zh) 改性尼龙56及其应用
GB1579474A (en) Insul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appliance
KR20120048816A (ko) 탄소장섬유를 이용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