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922B1 -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922B1
KR100924922B1 KR1020090049845A KR20090049845A KR100924922B1 KR 100924922 B1 KR100924922 B1 KR 100924922B1 KR 1020090049845 A KR1020090049845 A KR 1020090049845A KR 20090049845 A KR20090049845 A KR 20090049845A KR 100924922 B1 KR100924922 B1 KR 10092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power terminal
emergenc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천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to KR1020090049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922B1/ko
Priority to US12/777,598 priority patent/US8519285B2/en
Priority to CN2010101754671A priority patent/CN10190842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7/00Electrically-operated selec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8Application transfer; between utility and emergenc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절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던 기존 차단부의 구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단부의 조립누적공차에 따른 동작시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킨 전원절환개폐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본 발명은 상부 양측에 변전소 또는 비상발전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단자 또는 비상 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이격되게 하부 일측에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는 부하단자가 마련된 모듈과, 상기 상용 전원단자 또는 비상 전원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단자 연결부 및 부하단자 연결부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력을 갖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를 제공한다.
전원절환개폐기, 전원단자, 모듈, 부하단자

Description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Power transfer switch of one body type}
본 발명은 전원절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던 기존 차단부의 구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단부의 조립누적공차에 따른 동작시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킨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절환개폐기는 자체 발전설비가 구비된 사업장이나 빌딩 등에 변전소로부터 전력공급이 차단되면 옥내 배선단자를 자체발전기측으로 자동절환시켜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면서 변전소측의 전력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다시 자동절환되어 변전소측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절환개폐기는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또는 스타결선전원과 델타결선전원 같은 2개의 서로 다른 전원을 택일적으로 부하측에 접속하는 것으로, 그 용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실용신안공고 제87-1383호에는 조작레버, 제어축, 가동접촉자, 포 인트판 및 래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절환개폐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실용신안의 고안보다 더 개량된 전원절환개폐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96-32363호(1996. 8. 2 출원)로서 출원한 바 있다.
도 1 은 일반 가정용을 비롯하여 작은 용량에 사용하는 전원절환개폐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절환개폐기(1)는 크게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또는 스타결선전원과 델타결선전원 같은 2개의 상이한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시키 것으로 각 상(R,S,T,N)이 외부로 표출되는 차단부(10)와 자력이 발생되는 구동부(20)로 구성되어 송전측인 변전소측의 접지에 따라 부하측인 옥내배선단자와의 접점이 가변되면서 전력이 필요한 제품 등에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전원절환개폐기(1)는 상용 전원단자(미도시), 비상 전원단자(12) 및 부하단자(13)로 이루어진 각 상(R,S,T,N)이 별개의 프레임(10')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볼트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조립결합하여 차단부(10)를 이루고, 그 일측으로 구동부(20)가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절환개폐기(1)는 각 상(R,S,T,N)이 별개의 프레임(10')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조립결합됨으로써, 조립 누적공차에 따른 동작시 전류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상(R,S,T,N)을 순차적으로 조립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불편하고 조립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순차적인 결합에 이루어지던 전원절환개폐기의 차단부 구성을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시 발생하였던 조립누적공차를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변전소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 상용 전원단자와, 비상발전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 비상 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이격되게 하부 일측에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는 부하단자가 마련된 모듈과, 상기 상용 전원단자 또는 비상 전원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단자 연결부 및 부하단자 연결부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력을 갖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듈은 상기 상용 전원단자 또는 비상 전원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는 차단부의 구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시 발생하였던 조립누적공차를 없애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 차단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조립공정을 없앰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서술한 바와 같이, 전원절환개폐기는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시키는 차단부(100)와, 자력이 발생되는 구동부(100')로 이루어지되, 본 발명에 사용된 차단부(100)는 상용 전원단자(120)와 비상 전원단자(130)로 이루어진 두개의 전원단자(120,130)와, 상기 전원단자(120,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단자(140) 및 상기 전원단자(120,130) 및 부하단자(140)와 접촉되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가동접촉자(15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절환개폐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차단부(10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모듈(110)과, 상기 모듈(110)의 측방향 양측 상부에 각각 비상 전원단자(120) 및 상용 전원단자(130)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110)의 측방향 일측 하부에 상기 전원단자(120,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단자(120,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부하단자(140)가 형성되되, 상기 전원단자(120,130)와 부하단자(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가동접촉자(150)가 마련되는 구조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10)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 상(R,S,T,N)이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상부에 각각 4개의 상용전원단자 연결부(112) 및 비상전원단자 연결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 연결부(112,114)와 이격되게 일측방향 하부에 부하단자 연결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상(R,S,T,N)이 결합되는 전원단자 연결부(112,114) 및 부하단자 연결부(116) 사이에는 각 상(R,S,T,N)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격벽(118)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는 종래의 전원절환개폐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전원절환개폐기는 사출성형을 통해 모듈(11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원단자(120,130,140)만을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는 반면, 종래의 전원절환개폐기는 상기 각 상(R,S,T,N)을 개별적인 프레임에 각각 설치한 후 이 프레임을 다시 볼트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재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원절환개폐기를 제작하였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며 조립시간이 길어지며 이로 인해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전원절환개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상(R,S,T,N)을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격벽이 구비된 프레임에 각각 설치한 후 이를 다시 결합함으로써, 모듈을 형성함에 있어, 격벽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과 함께, 재료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모듈(110)은 이러한 단점이 없으며, 오히려 상기 격벽의 두께를 종래의 가늘게 형성하여 제품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는 기존 순차적으로 조립결합되던 모듈(110)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전원절환개폐기에서 발생하였던 조립 누적공차를 없애 전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원절환개폐기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용 전원단자(120)와 부하단자(140)가 상기 가동접촉자(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다, 정전 등으로 인하여 변전소로부터 전력공급이 차단되면, 비상 전원단자(130)측으로 자동절환시켜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의 기술은 매우 단순하나, 그 기술적 효과는 매우 크다는 점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은 매우 명확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일반 가정용을 비롯하여 작은 용량에 사용하는 전원절환개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차단부 100' : 구동부
110 : 모듈 112 : 상용전원단자 연결부
114 : 비상전원단자 연결부 116 : 부하단자 연결부
118 : 격벽 120 : 상용 전원단자
130 : 비상전원단자 140 : 부하단자
150 : 가동접촉자

Claims (1)

  1.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변전소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 상용 전원단자와, 비상발전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 비상 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이격되게 하부 일측에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는 부하단자가 마련된 모듈과,
    상기 상용 전원단자 또는 비상 전원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단자 연결부 및 부하단자 연결부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력을 갖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KR1020090049845A 2009-06-05 2009-06-05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KR10092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845A KR100924922B1 (ko) 2009-06-05 2009-06-05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US12/777,598 US8519285B2 (en) 2009-06-05 2010-05-11 One body-type power transfer switch
CN2010101754671A CN101908423B (zh) 2009-06-05 2010-05-14 一体型电源转换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845A KR100924922B1 (ko) 2009-06-05 2009-06-05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922B1 true KR100924922B1 (ko) 2009-11-05

Family

ID=4156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845A KR100924922B1 (ko) 2009-06-05 2009-06-05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19285B2 (ko)
KR (1) KR100924922B1 (ko)
CN (1) CN101908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9256B2 (en) * 2013-03-07 2015-08-04 Asco Power Technologies, L.P. Cover assembly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BR302014000630S1 (pt) * 2013-08-20 2014-09-16 Siemens Ag Configuração aplicada em equipamento para distribuição de energia
USD784933S1 (en) * 2013-08-20 2017-04-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witching device
USD853341S1 (en) * 2015-04-01 2019-07-09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module
US9865416B2 (en) 2016-04-21 2018-01-09 Hartland Controls, Llc Electrical power transfer switch
US10083809B2 (en) 2016-04-21 2018-09-25 Hartland Controls, Llc Electrical power transfer switch
USD845908S1 (en) * 2017-04-28 2019-04-16 Abb Oy Electric switch
USD937786S1 (en) * 2018-04-24 2021-12-07 Abb Schweiz Ag Equipment for distribution or control of electric p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383Y1 (ko) * 1984-09-19 1987-04-08 가부시끼가이샤 아이찌덴끼 세이사꾸쇼 전원 절환 개폐기
JPH08171847A (ja) * 1994-12-19 1996-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無機複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器
KR200243879Y1 (ko) 2001-05-17 2001-10-29 김용학 자동 전원 절환장치
KR20010106098A (ko) * 1999-01-18 2001-11-29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개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524A (ja) * 1984-09-17 1986-04-12 株式会社 愛知電機製作所 電源切替開閉器
KR100189126B1 (ko) 1996-08-02 1999-06-01 장순명 전원절환개폐기
US6815622B2 (en) * 2001-03-13 2004-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US6784385B2 (en) * 2002-04-29 2004-08-31 Hernandez-Perez Ruben Electrical transfer switch
CN2704914Y (zh) * 2004-04-14 2005-06-15 浙江省天台县正大模具厂 双电源缺相自动检测转换开关
US7498923B2 (en) * 2004-09-08 2009-03-03 Iversen Arthur H Fast acting, low cost, high power transfer switch
KR20060034895A (ko) * 2004-10-20 2006-04-26 주식회사 서일파워텍 너비변경이 가능한 전원절환개폐기의 케이싱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383Y1 (ko) * 1984-09-19 1987-04-08 가부시끼가이샤 아이찌덴끼 세이사꾸쇼 전원 절환 개폐기
JPH08171847A (ja) * 1994-12-19 1996-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無機複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器
KR20010106098A (ko) * 1999-01-18 2001-11-29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개폐기
KR200243879Y1 (ko) 2001-05-17 2001-10-29 김용학 자동 전원 절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07895A1 (en) 2010-12-09
CN101908423B (zh) 2013-05-01
CN101908423A (zh) 2010-12-08
US8519285B2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22B1 (ko) 일체형 전원절환개폐기
CN111863483A (zh) 混合开关控制机构
CN102254732B (zh) 高压电源快速切换方法和快速切换高压开关
CN205211618U (zh) 高压双电源切换机构
CN202190118U (zh) 中压双电源负荷开关
CN201061087Y (zh) 开关柜用触头盒
CN114694987B (zh) 一种集约型换相开关
CN111600320B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三相换相继电器组合结构
CN216362113U (zh) 混合开关隔离装置
CN201576598U (zh) 多触点翘板式双控开关
CN216904530U (zh) 一种带有缺相保护装置的三相异步电动机
CN117012568A (zh) 一种自动转换开关
CN202205641U (zh) 快速切换高压开关
CN216362112U (zh) 复用固态控制式混合开关
CN201742353U (zh) 电机换向控制器装置
CN215988503U (zh) 混合开关控制机构
RU2461108C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CN209217714U (zh) 一种双电源电气联锁控制系统
CN201417706Y (zh) 145kV分箱组合电器单相操作断路器
CN110970239B (zh) 自动转换开关、双电源自动转换开关及其制造方法
CN201000850Y (zh) 三相一体水平排列的高压断路器
CN201732717U (zh) Sf6断路器静触头装配结构
CN101958673B (zh) 直流电机换向控制器
CN201178076Y (zh) 一种用于控制与保护开关电器的控制装置
CN201655648U (zh) 126kV分箱组合电器单相操作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