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071A - 선재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071A
KR20020008071A KR1020010043226A KR20010043226A KR20020008071A KR 20020008071 A KR20020008071 A KR 20020008071A KR 1020010043226 A KR1020010043226 A KR 1020010043226A KR 20010043226 A KR20010043226 A KR 20010043226A KR 20020008071 A KR20020008071 A KR 2002000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nozzle
wire rod
drive sour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230B1 (ko
Inventor
스기우찌요스께
Original Assignee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7145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80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4Dri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Winding machines having two or more work holders or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76Forming taps or terminals while winding, e.g. by wrapping or soldering the wire onto pins, or by directly forming terminals from the wire

Abstract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는 선재의 권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회전하는 보빈 (8) 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을 때 상기 보빈 (8) 을 그 회전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스핀들 (6) 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스핀들 (6) 에 각각 개별적으로 권취구용 스핀들 모터 (9) 를 형성하고, 상기 권취구용 스핀들 모터 (9) 를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재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WIRE}
본 발명은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방법 및 장치, 또는 고정된 권취구의 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코일보빈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코일보빈의 외주를 회전시키는 플라이어의 멀티 스핀들 기구는 잘 알려져 있다. 도 16 에 나타낸 장치도 그 하나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1 대의 모터 (106) 를 구동원으로 하고, 각 스핀들축 (105) 과는, 모터 (106) 및 각 스핀들축 (105) 에 설치한 풀리 (100a ∼ 100d) 사이를 벨트 (101) 에 의해 연결하여 모터 (106) 의 회전을 각 스핀들에 전동하고 있었다.
이 종래기술은 구동원이 하나이어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었지만, 이하에 서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풀리 (100a ∼ 100d)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가 사용함에 따라 마모되거나, 늘어나 느슨해지고, 벨트의 산 부분이 풀리의 산 부분을 타고 단을 넘어 회전위치가 어긋난다. 이 때문에, 보빈이 회전하는 타입 (축회전형 권선기) 의 것에서는, 프로그램으로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켜도 위치가 어긋나고, 보빈의 단자에 노즐로부터 풀려 나오는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겨 바른 권선작업이 불가능하다.
또, 보빈의 주위를 플라이어가 회전하는 플라이어형 권선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단을 넘지는 않는다 해도, 벨트와 풀리의 맞물림부의 느슨해짐에 의해 백래시가 생겨 위치결정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2) 상기와 같이 벨트가 느슨해진 경우, 벨트를 눌러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아이들풀리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또한 많이 느슨한 경우에는 벨트를 교환할 필요가 생겨서, 조정 및 정비 등의 부담이 크다.
3) 또, 벨트의 장력에 의해 풀리를 통해 스핀들축의 베어링에 레이디얼 하중이 가해지므로, 베어링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도 있다.
4) 또한, 스핀들축의 베어링, 벨트와 풀리, 아이들풀리의 베어링, 아이들풀리와 벨트 등, 기계적으로 접촉하고 회전하는 부분이 많으므로, 이들 개소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크고, 또한 베어링이 마모되어 열화되면 더욱 소리가 커진다.
5) 또, 기계적인 접촉부분이 많으므로, 그들 개소의 에너지의 손실이 커 마모에 의한 발열의 문제도 있다.
6) 복수의 풀리나, 아이들풀리를 스핀들축과 함께 회전시키므로, 관성 모멘트가 커지고, 추종성이 나빠 고속의 상승이나 급정지나, 미세한 동작의 정밀도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는 선재의 권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벨트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선재의 권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령신호에 응답성, 추종성이 양호한 선재의 권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선재를 보빈단자로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공급위치 결정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5 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보빈배치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보빈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7 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상기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플라이어 및 보빈배치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도 14 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도 15 는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도 16 은 종래예의 선재의 권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선재중계부 6: 스핀들
7: 보빈장착부 8A: 보빈
10: 수판 12: 프레임
15: 슬라이드판 18: 노즐
24: 선재 32: 인코더
34A : 권취지그 35: 보빈장착축
40: 고정나사 43: 볼플런저
본 발명은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를 그 회전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권취구를 회전시켜 그 귄취구의 외주면에 선재를 권회하는 방법이며, 권취구는 보빈이어도, 보빈 이외의 권심에 선재를 권회하여 코일을 상기 권심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여도 된다.
그리고, 그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권취구를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에도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권취구를 회전하는 구동원이 권취구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구동원으로 벨트에 의해 권취구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벨트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느슨해짐이 없어 지령신호에 응답성, 추종성이 양호한 선재의 권선방법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을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전의 초기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것도 본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노즐의 초기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기 때문에, 상기 선재의 권취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는 선직경의 선재라도 정밀도 좋게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때, 상기 노즐을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응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이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위치를 규제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計數)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동원은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는데,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가 송출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상기 회전구동원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노즐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구동원은 상기 권취구의 회전량도 제어하므로, 상기 노즐위치와 함께 상기 권취구의 회전량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로서,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기 권취구를 장착하여 회전 가능한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한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과,
상기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구는 보빈이어도, 보빈 이외의 권심에 선재를 권회하여 코일을 상기 권심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과, 상기 회전제어수단에 의해 그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권취구를 각각 장착하여 상기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권취구를 회전하는 구동원이 권취구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구동원으로 벨트에 의해 권취구를 회전시키므로,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벨트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느슨해짐이 없어 지령신호에 응답성, 추종성이 양호한 선재의 권선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권취구에 선단부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수단과,
상기 노즐수단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형성된 노즐용 회전구동원과,
상기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노즐수단의 선단부를 이동시켜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노즐위치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수단의 선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제 1 장치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노즐의 초기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므로, 상기 선재의 권취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는 선직경을 갖는 선재라도 정밀도 좋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동원은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는데,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가 송출되므로,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상기 회전구동원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노즐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구동원은 상기 권취구의 회전량도 제어하므로, 상기 노즐위치와 함께 상기 권취구의 회전량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를 그 회전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고, 또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노즐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노즐 선단부가 최외주의 선재의 외주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는 한,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적게 설정하고,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상기 노즐의 초기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노즐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가는 선직경의 선재에 대하여 상기 노즐의 초기위치를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적게 설정하고,
상기 권취구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1 구동원에 의해,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행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권취구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짧은,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행하므로, 복수의 선재권취부분을 갖는 보빈의 상기 구획부분인 플랜지부분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도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기 권취구를 장착하여 회전 가능한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한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과,
상기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수단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수단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기 권취구 지지체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향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노즐 선단부가 최외주의 선재의 외주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는 한,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수단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수단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보다도 적게 설정하고,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상기 노즐수단의 초기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노즐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가는 선직경의 선재에 대하여 상기 노즐의 초기위치를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노즐수단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수단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보다도 적게 설정하고,
상기 권취구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1 구동원에 의해,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행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권취구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짧은,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선재권취부분을 갖는 보빈의 상기 구획부분인 플랜지부분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제 2 장치발명에서도,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취구를 탈착 가능한 중간지지구와, 상기 중간지지구를 탈착 가능한 상기 권취구 지지체와, 상기 권취구 지지체에 의한 상기 중간지지구의 지지력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구를 상기 중간지지구와 함께 상기 권취구 지지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권취구를 상기 중간지지구와 함께 상기 권취구 지지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권취구의 사이즈에 대응한 상기 중간지지구로 교환함으로써 각종 권취구에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된 권취구의 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와 대향하여 배치된 선재공급부를 상기 권취구의 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개별적으로 상기 선재공급부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선재공급부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권취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권취구와 대향하여 배치된 선재공급부가 회전하여 권취구에 선재를 감는 것이고, 상기 선재공급부에는 선재공급부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선재공급부용 복수의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권취구는 보빈이어도, 보빈 이외의 권심에 선재를 권회하여 코일을 상기 권심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여도 된다.
또,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상기 선재공급부를 회전하는 구동원이 상기 선재공급부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구동원으로 벨트에 의해 권취구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벨트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느슨해짐이 없어 지령신호에 응답성, 추종성이 양호한 선재의 권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전의 초기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또,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노즐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노즐 선단부가 최외주의 선재의 외주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는 한,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또, 고정된 권취구의 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와, 권취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권취구의 축심과 동일한 축심을 가지며,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를 상기 축심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노즐부 회전체와, 상기 노즐부 회전체에 설치된 회전구동원을 각각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권취구와 대향하여 배치된 선재공급부가 회전하여 권취구에 선재를 감는 것이고, 상기 선재공급부에는 선재공급부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선재공급부용 복수의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권취구는 보빈이어도, 보빈 이외의 권심에 선재를 권회하여 코일을상기 권심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여도 된다.
또,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공급부를 회전하는 구동원이 상기 선재공급부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구동원으로 벨트에 의해 권취구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벨트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느슨해짐이 없어 지령신호에 응답성, 추종성이 양호한 선재의 권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를 상기 축심방향으로 전후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노즐부 전후동용 회전구동원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수단이고,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노즐의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노즐 선단부가 최외주의 선재의 외주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는 한,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선재를 권취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유효한 수단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선재를 보빈단자로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 도 5 는 보빈배치부의 1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도 5 의 사시도, 도 7 은 보빈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도 7 의 부분확대도, 도 9 는 도 7 의 사시도, 도 13 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기대 (1) 상에는 단면 L 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2A) 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2A) 의 전방측에는 선재를 권취하는 권취헤드 (25A) 가 배치된 선재권취부 (3A) 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권취헤드 (25A) 는 일측 선단에 보빈장착부 (7) 를 갖는 스핀들 (6) 상기 베어링 (33, 33)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 (6) 의 타측은 스핀들 모터 (9A) 의 회전축으로서 작용하도록 스핀들 모터 (9A) 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 (6), 베어링 (33, 33) 및 스핀들 모터 (9A) 로 구성되는 선재권취부 세트가 복수, 보빈을 외측으로 하여 권취헤드 (25A) 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2A) 에는 상기 복수의 스핀들 모터 (9A) (도시한 예에서는 4 개) 의 후단에 대면하여 후술하는 선재 (24) 를 보빈단자 (8Ab) (도 2) 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선재의 클램프 (77)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 (2A) 에는 기대 (1) 의 상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기립하는 면 (2Aa) 상에 좌우로 가이드레일 (51, 51) (좌측은 편의상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51, 51) 을 가이드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수판(受板) (10) 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판 (10) 은 2Aa 의 면에 도시하지 않은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봉이 블록체 (52) 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 (52) 의 하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53) 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 (53) 의 회전축 (53a) 은 나선 홈이 형성되어 블록체 (52) 에 나사식으로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 (53) 의 구동에 의해 수판 (10) 은 도 1 에서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판 (10) 에는 가이드레일 (11) 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11) 에 의해 프레임 (12) 이 좌우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12) 에는 나선 홈이 형성된 회전축 (21a) 상기 나사식으로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 (21a) 의 단부에는 풀리 (21) 가 고착되고, 한편, 수판 (10) 의 하면에는 모터 (19) 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 (19) 의 회전축은 풀리 (20) 가 고착되고, 상기 풀리 (20) 와 풀리 (21) 사이는 벨트 (46) 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 (19) 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 (12) 은 좌우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프레임 (12) 의 배면측에는 모터 (13) 가 배치되며, 프레임 (12) 의 상하동에 의해 상기 모터 (13) 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베이스 (2A) 의 높이는 제한되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12) 에는 슬리이딩판 (15) 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판 (15) 은 후단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봉재 (14, 14) 가 설치되고, 전단 가장자리에는 봉재 (16, 16) 가 고착되며, 프레임 (12) 전방 외측의 상기 봉재 (16, 16) 의 선단부에는 노즐 고정부 (17) 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13) 의 회전축은 나선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판 (15) 과 나사식으로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판 (15) 은 모터 (13) 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노즐 (18) 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노즐 (18) 은 도 1 상에 있어서, 전후, 좌우 및 상하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노즐 (18) 에 공급되는 선재 (24) 는 베이스 (2A) 의 배후에 배치된 선재중계부 (4) 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선재중계부 (4) 는 지주 (22) 에 형성되며, 선재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 (23) 로 구성됨과 동시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 (1) 의 배후에는 스풀 (31) 이 배치되어 있다.
장력부여부 (23) 는 중계롤러 (57), 선단에 중계롤러 (58) 를 배치하고, 축 (56) 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한 중계암 (54) 과, 상기 중계암 (54) 에 시계방향의 탄성지지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 (55)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계롤러 (57) 는 장치가 동작중에는 전자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적당한 마찰이 작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5 를 이용하여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보빈배치부의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권취헤드 (25A) 에는 인코더 (32) 를 갖는 모터 (9A) 가 장착됨과 동시에, 스핀들 (6A) 이 그 선단부 (6Aa) 를 모터 (9A) 의 중심에 삽입하여 베어링 (33, 33) 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 (6Aa) 는 예컨대 단면 타원형으로 형성하며, 모터측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타원형 축부분이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스핀들 (6A) 의 우단부에는 구멍 (6Ab) 이 깎여 형성되고, 상기 구멍 (6Ab) 에는 권취 지그 (34A) 의 가는 직경부 (34Ab) 가 삽입되어 고정나사 (40) 로 나사고정된다. 권취 지그 (34A) 의 굵은 직경부 중앙에는 구멍 (34Aa) 이 깎여 형성되며, 상기 구멍 (34Aa) 에는 보빈장착축 (35) 의 후단 (35b) 이 삽입되어 고정나사 (40) 로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보빈장착축 (35) 의 우단은 단면 펜촉형으로 슬릿 (35a) 이 형성되며, 보빈삽입중의 선재권취시에 마찰저항을 부여하여 원활한 선재권취를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7 을 이용하여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보빈배치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권취헤드 (25B) 에는 인코더 (32) 를 갖는 모터 (9A) 가 장착됨과 동시에, 스핀들 (6B) 이 그 선단부 (6Ba) 를 모터 (9A) 의 중심에 삽입하여 베어링 (33, 33) 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 (6Ba) 는 예컨대 단면 타원형으로 형성하며, 모터측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타원형 축부분이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스핀들 (6B) 의 우단부 (6Bb) 에는 나사 홈이 깎여 형성되며, 상기 나사 홈에는 너트 (41) 가 나사식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권취 지그 (34B) 가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권취 지그 (34B) 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측 공간 (34Ba) 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측 공간 (34Ba) 에 연통하는 6 개의 연통구멍 (34Bb) 이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 방향으로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볼플런저 (43a, 43b) 와 코일스프링 (44) 이 배치되고, 상기 연통구멍 (34Bb) 의 내면측은 외주면측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볼플런저 (43a) 가 내면측 (34Ba) 으로의 낙하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 권취 지그 (34B) 의 외주면측에는 플런저 푸셔 (38) 가 축심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이고, 플런저 푸셔 (38) 의 후단면 (38a) 과 권취 지그 (34B) 의 후단 플랜지부 사이는 스프링 (39) 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며, 너트 (51) 에 의해 빠짐이 방지된다. 플런저 푸셔 (38) 의 내면에는 전방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된 캠면 (38b) 이 형성되고, 플런저 푸셔 (38) 가 자연상태에서는 볼플런저 (43a) 의 내면측 공간 (34Ba)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이 증대하고, 플런저 푸셔 (38) 가 도 7 상좌측으로 이동하면 볼플런저 (43a) 의 내면측 공간 (34Ba)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내직경측 공간 (34Ba) 에는 수수 (受授) 지그 (42) 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수수지그 (42) 의 삽입부분에는 홈 (42d) 이 깎여 형성되며, 볼플런저 (43a) 가 홈 (42d) 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는 홈 (42d) 의 저면 (42b) 및/또는 경사면 (42c) 에 볼플런저 (43a) 의 둘레면이 맞닿아 수수지그 (42) 가 축방향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둘레방향으로는 수수지그 (42) 에 형성한 볼록부와 권취 지그 (34B) 에 형성한 노치의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수수지그 (42) 의 굵은 직경부 중앙에는 구멍 (42a) 이 깎여 형성되며, 상기 구멍 (42a) 에는 보빈장착축 (35) 의 후단 (35b) 이 삽입되어 고정나사 (40) 로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보빈장착축 (35) 의 우단은 단면 펜촉형으로 슬릿(35a) 이 형성되며, 보빈삽입중의 선재권취시에 마찰저항을 부여하여 원활한 선재권취를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도 7 에 있어서, 권취헤드 (25B) 의 베어링 (33) 의 하측에는 에어 실린더 (36) 가 배치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 (36) 로부터는 전방을 향해 실린더축 (45) 이 돌출되며, 상기 실린더축 (45) 의 선단에는 분리핸들 (37) 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분리핸들 (37) 의 전방에는 기립벽 (37a) 이 플런저 푸셔 (38) 의 플랜지부 (38a) 와 맞닿아 걸어맞춤 가능하게 기립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 (36) 가 작동하여 좌방향으로 실린더축 (45) 이 이동하면, 분리핸들 (37) 의 기립벽 (37a) 이 플런저 푸셔 (38) 의 후단부 (38a) 에 맞닿아 플런저 푸셔 (38) 가 좌측으로 가고, 볼플런저 (43a) 의 가압력이 감소하여 수수지그 (42) 를 권취 지그 (34B) 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내부에 CPU 와 입력 및 출력측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기제어장치 (62) 는 프로그램 입력장치 (61) 로부터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기제어장치 (62) 는 복수의 스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스핀들 제어회로 (80) 와,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위치를 제어하는 노즐위치 제어회로 (81) 가 접속되며, 복수의 상기 스핀들 제어회로 (80) 및 노즐위치 제어회로 (81) 를 각각 동기시켜 제어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핀들 제어회로 (80) 는 복수의 스핀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스핀들에 직결한 인코더 (32) 를 갖는 모터 (9)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9) 는 카운터 (63), D/A 변환회로 (64), 증폭기 (65) 를 통해 전기제어장치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장치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32)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9)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또, 인코더 (32) 는 모터 (9) 의 회전축이 1 회전중의 소정위치에 왔을 때 원점위치펄스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기제어장치 (62) 는 제어펄스를 출력하여 원점위치펄스가 들어올 때까지 모터 (9) 를 회전시키고, 제어펄스의 송출을 정지하면 피드백 펄스가 들어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가 정지하여 스핀들을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위치에서 선재 (24) 의 선단이 보빈 (8) 의 걸림부분에 걸리고 그 후에 보빈 (8) 으로 선재 (24) 를 감기 위한 모터 (9) 의 회전이 동작한다.
노즐위치 제어회로 (81) 는 도 1 에 나타낸 노즐 고정부 (17) 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노즐위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이 각각 별도의 모터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노즐위치는 통상의 권선작업 이외의 메인티넌스에 있어서도 이동을 필요로 한다.
상기 노즐위치 제어회로 (81) 는 상술한 스핀들 제어회로 (80) 와 동일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상하방향 제어회로 (82) 는 프레임 (12)에 직결하여 인코더 (69) 를 갖는 모터 (53)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53) 는 카운터 (66), D/A 변환회로 (67), 증폭기 (68) 를 통해 전기제어회로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회로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69)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53)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또, 인코더 (69) 는 모터 (53) 회전축이 1 회전중의 소정위치에 왔을 때 원점위치펄스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기제어장치 (62) 는 제어펄스를 출력하여 원점위치펄스가 들어올 때까지 모터 (53) 를 회전시키고, 제어펄스의 송출을 정지하면 피드백 펄스가 들어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가 정지하여 프레임 (12) 을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우방향 제어회로 (83) 는 프레임 (12) 에 연결하여 인코더 (73) 를 갖는 모터 (19)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19) 는 카운터 (70), D/A 변환회로 (71), 증폭기 (72) 를 통해 전기제어회로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회로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73)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19)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는 프레임 (12) 에 설치되며 노즐 고정부 (17) 에 연결하는 슬라이딩판 (15) 에 연결하여 인코더 (95) 를 갖는 모터 (13)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13) 는 카운터 (74), D/A 변환회로 (75), 증폭기 (76) 를 통해 전기제어회로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회로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95)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13)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인코더 (69, 73 또는 95) 는 모터 (53, 19 또는 13) 의 회전축이 1 회전중의 소정위치에 왔을 때 원점위치펄스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기제어장치 (62) 는 제어펄스를 출력하여 원점위치펄스가 들어올 때까지 모터 (53, 19 또는 13) 를 회전시키고, 제어펄스의 송출을 정지하면 그 제어펄스수와 일치한 수의 피드백 펄스가 들어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가 정지하여 노즐 고정부 (17) 를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선재 (24) 의 선단이 보빈 (8) 의 걸림고정부분에 걸리고 그 후에 보빈 (8) 으로 선재 (24) 를 감기 위한 스핀들 모터 (9) 의 회전이 동작한다.
그리고, 전기제어장치 (62) 의 출력단에는 에어 실린더 (36) 에 에어 콤프레서 (59) 로부터 배관 (60) 을 통과해 공급되는 공기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의 출력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권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31) 로부터의 선재 (24) 를 전자브레이크에 의해 선재 (24) 에 장력을 가하는 중계롤러 (57 및 58) 에 감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18) 로부터 선재 (24) 의 선단을 하측으로 늘어뜨린다.
다음으로, 각 스핀들의 보빈장착축 (35) 에 보빈 (8A) 이 장착된 상태에서입출력수단 (85) 을 조작하여 노즐위치 제어회로 (81) 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하방향 제어회로 (82) 가 동작하여 노즐의 상하위치를 설정한 후, 좌우방향 제어회로 (83) 가 동작하여 노즐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설정한 후,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가 동작하여 노즐의 전후방향의 위치가 설정된다.
노즐위치 제어회로 (81) 의 동작개시에 동기하여 스핀들위치 제어회로 (80) 가 동작을 개시하여 각 보빈 (8A) 이 초기각도위치로 설정된다. 그 상태에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의 선재 (24) 가 클램프 (77) 의 선재끼임부 (78) 에 끼워지고, 그 상태에서 노즐 (18) 이 각 보빈 (8) 의 보빈단자 (8Ab) 주위를 회전하여 선재 (24) 를 맨다. 그 후, 맨 선재 (24) 의 선단부분을 보빈단자의 근방에서 커터 (79) 로 절단한다. 또, 클램프에 지지된 나머지 선재 (24) 는 클램프의 선재끼임부 (78) 를 개방하여 배출한다.
다음으로, 입출력수단 (85) 을 조작하여 각 스핀들 모터 (9A) 를 동작시키면, 선재 (24) 는 보빈 (8A) 에 권취된다. 이 권취 개시에 동기하여 상하위치방향 제어회로 (82) 에 의해 보빈 (8A) 에 권회된 선재 (24) 의 외주와 노즐 (18) 선단의 거리가 소정위치로 제어되고, 좌우방향 제어회로 (83) 에 의해 노즐 (18) 의 위치가 선재의 권층에 대응하여 제어되며,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에 의해 선재 (24) 의 권수에 대응하여 노즐 (18) 의 위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하위치방향 제어회로 (82), 좌우방향 제어회로 (83) 및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에 의해 노즐 (18) 의 위치가 제어되기 때문에, 보빈에 0.02 mm 정도의 가는 선을 권회하는 경우에도 권회하는 선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즐선단위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공급위치 결정 기구의 구성도, 도 14 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3 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 1 실시예가 각 스핀들에 대응하는 노즐위치를 3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상하, 좌우 및 전후를 조정하고 있었던 것임에 대해, 본 제 2 실시예는 상하 및 좌우의 노즐위치 제어회로를 생략함과 동시에, 각 스핀들에 전후방향 제어회로와, 전후방향 미세조정 제어회로를 개별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 (1) 의 배후에 도 1 에서 설명한 선재중계부 (4) 가 배치됨과 동시에, 기대 (1) 에는 도 1 에 관련하여 설명한 도 5 ∼ 도 9 에 기재되어 있는 스핀들, 스핀들 모터 및 보빈이 배치되는 권취헤드 (25Ba ∼ 25Bd) 가 배치되어 있다.
선재선단위치 조정부 (5B) 는 선재권취부 (3B) 의 권취헤드 (25B) 에 대응한 위치에 지주 (92) 에 고착되는 노즐제어부 (30) 로서 구성된다.
상기 노즐제어부 (30) (도시한 예에서는 4 개) 의 구성은 모두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도 4 에서 대표하여 노즐제어부 (30a) 를 설명한다. 노즐제어부 (30a) 내에는 제 1 트래버스대 (26) 가 가이드레일 (30b) 에 의해 가이드레일 (30b) 의 연장설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주 (92) 에장착된 제 1 트래버스 모터 (28) 의 회전축과 연결하는 회전축 (28a) 은 나선 홈이 깎여 형성되고, 그 회전축 (28a) 은 제 1 트래버스대 (26) 에 형성한 나선구멍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모터 (28) 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 (28a) 의 연장설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트래버스대 (26) 의 프레임부분 (26a) 에는 노즐 (18) 을 설치한 제 2 트래버스대 (27) 가 가이드레일 (29b) 에 의해 가이드레일 (29b) 의 연장설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트래버스대 (26) 의 프레임부분 (26a) 의 우단에는 제 2 트래버스 모터 (29) 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트래버스 모터 (29) 의 회전축과 연결하는 회전축 (29a) 은 상기 회전축 (28a) 의 나선 홈보다 미세한 피치로 나선 홈이 깎여 형성되며, 그 회전축 (29a) 은 제 2 트래버스대 (27) 에 형성한 나선구멍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모터 (29) 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 (29a) 의 연장설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노즐제어부 (30) 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 (8) 위치에 대하여 소정위치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노즐위치의 상하, 좌우방향의 조정설정을 하지 않고 모터 (28) 및 모터 (29) 를 제어하여 노즐 (18) 을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선재 (24) 의 선단을 보빈 (8) 의 걸어맞춤 단부에 맨 후에 모터 (9A) 를 동작시킴으로써 선재 (24) 를 보빈 (8) 에 권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를 이용하여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내부에 CPU 와 입력 및 출력측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기제어장치 (62) 는 프로그램 입력장치 (61) 로부터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기제어장치 (62) 는 복수의 스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스핀들 제어회로 (80) 와,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위치를 제어하는 노즐위치 제어회로 (93) 가 접속되며, 복수의 상기 스핀들 제어회로 (80) 및 노즐위치 제어회로 (93) 를 각각 동기시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핀들 제어회로 (80) 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3 과 동일한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노즐위치 제어회로 (93) 는 도 3 에 나타낸 노즐 (18) 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노즐위치는 전후방향이,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와 전후방향 미세조정 제어회로 (91) 에 의해 각각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상기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회로와 동일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는 제 1 트래버스대 (26) 에 연결하여 인코더 (94) 를 갖는 모터 (28)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28) 는 카운터 (74), D/A 변환회로 (75), 증폭기 (76) 를 통해 전기제어회로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회로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94)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28)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전후방향 미세조정 제어회로 (91) 는 제 2 트래버스대 (27) 에 연결하여 인코더 (89) 를 갖는 모터 (90)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90) 는 카운터 (86), D/A변환회로 (87), 증폭기 (88) 를 통해 전기제어회로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회로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89)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90)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인코더 (89, 94) 는 모터 (90, 28) 의 회전축이 1 회전중의 소정위치에 왔을 때 원점위치펄스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기제어장치 (62) 는 제어펄스를 출력하여 원점위치펄스가 들어올 때까지 모터 (90, 28) 를 회전시키고, 제어펄스의 송출을 정지하면 그 제어펄스수와 일치한 수의 피드백 펄스가 들어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가 정지하여 노즐의 전후방향의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선재 (24) 의 선단이 보빈 (8) 의 걸림고정부분에 걸리고 그 후에 보빈 (8) 으로 선재 (24) 를 감기 위한 스핀들 모터 (9) 의 회전이 동작한다.
그리고, 전기제어장치 (62) 의 출력단에는 에어 실린더 (36) 에 에어 콤프레서 (59) 로부터 배관 (60) 을 통과해 공급되는 공기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의 출력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권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31) 로부터의 선재 (24) 를 중계롤러 (57 및 58) 에 감고,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18) 로부터 선재 (24) 의 선단을하측으로 늘어뜨린다.
다음으로, 각 스핀들의 보빈장착축에 보빈 (8) 이 장착된 상태에서 입출력수단 (85) 을 조작하여 노즐위치 제어회로 (93) 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가 동작하여 제 1 트래버스대 (26) 가 초기위치로 세트된다.
노즐위치 제어회로 (93) 의 동작개시에 동기하여 스핀들위치 제어회로 (80) 가 동작을 개시하여 각 보빈 (8) 이 초기각도위치로 설정된다. 그 상태에서 선재 (24) 의 선단이 각 보빈 (8) 의 걸림고정부인 보빈단자에 수동 또는 도시하지 않은 매직 핸드로 묶인다. 그 후, 맨 선재 (24) 의 선단부분을 보빈단자의 근방에서 절단한다.
다음으로, 육안 또는 도시하지 않은 계측수단에 의해 선재 (24) 가 보빈플랜지 근방의 보빈단자로부터 노즐 (18) 의 선단까지,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즉 보빈축선과 직각으로 선재 (24) 가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선재 (24) 가 직각이 아닐 때에는 입출력수단 (85) 을 조작하여 전기제어장치 (62) 로부터 미세조정 펄스를 송출하여 제 2 트래버스대 (27) 를 전후동시켜 노즐위치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입출력수단 (85) 을 조작하여 각 스핀들 모터 (9) 를 동작시키면, 선재 (24) 는 보빈 (8) 에 권취된다. 상기 권취개시에 동기하여 전후방향 제어회로 (84) 에 의해 선재 (24) 의 권수에 대응하여 노즐 (18) 의 위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 미세조정 제어회로 (91) 에 의해 노즐 (18) 의 위치가 제어되기 때문에, 보빈플랜지의 전방측 내면 및 후방측면에 대략 평행하게 선재(24) 가 설정되어 권회되므로, 보빈 내측면에 선재 (24) 가 걸린 상태로 트래버스되는 일이 없다.
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이 복수의 섹션으로 나뉘어져 있는, 즉 보빈의 선재권취부분이 복수이며,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분 (플랜지) 을 구비한 섹션 권취 보빈 (고압의 이그니션 코일 등으로 가는 선을 다수 권회하는 것) 인 경우에는 선재권취부분의 이동을 모터 (28) (제 1 회전구동원) 로 행하고, 플랜지부분의 이동을 모터 (29) (제 2 구동원) 로 행함으로써, 상기 보빈 (8B) 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짧은,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으로 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선재권취부분을 갖는 보빈의 상기 구획부분인 플랜지부분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11, 15 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를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선재의 권선장치의 사시도, 도 11 은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플라이어 및 보빈배치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 는 도 11 의 사시도, 도 15 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 1 실시예가 각 스핀들에 보빈을 장착하고 있는 것에 대해, 본 제 2 실시예는 스핀들을 전후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스핀들에 플라이어를 장착, 플라이어에 대향하여 보빈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선재위치 조정부 (5A) (도 1) 를 동작시키는 대신 권취헤드 (25C) 를 전후동시킴으로써 선재위치가 조정되며, 권취헤드 (25C), 상기 권취헤드 (25C) 를 전후동시키는 모터 (28) 와 인코더 (94) 로 선재위치 조정부 (5C) 가 구성된다.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 (1) 의 배후에 도 1 에서 설명한 선재중계부 (4) 가 배치됨과 동시에, 베이스 (2B) 의 수평면 (2Ba) 상에는 4 개의 스핀들 (6C), 스핀들 모터 및 플라이어 (46) 가 배치되는 권취헤드 (25C)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어 (46) 에 대향하여 보빈 (8) 이 장착부 (47) 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여 스핀들 (6), 스핀들 모터 (9) 및 플라이어 (46) 를 설명한다.
도 11 에 있어서, 권취헤드 (25C) 에는 인코더 (32B) 를 갖는 모터 (9B) 가 장착됨과 동시에, 스핀들 (6C) 이 그 선단부 (6Ca) 를 모터 (9B) 및 인코더 (32B) 의 중심에 삽입하여 베어링 (33, 33) 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 (6Ca) 는 예컨대 단면 타원형으로 형성하며, 모터측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타원형 축부분이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스핀들 (6C) 의 축심위치에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연통하는 연통구멍 (6Cb) 이 깎여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멍 (6Cb) 에는 선재중계부 (4) (도 10) 로부터의 선재 (24) 가 배치된다.
스핀들 (6C) 의 우단부에는 플라이어 (46a, 46b) 가 지지부 (48) 를 통해 고정나사 (40) 에 의해 장착되며, 플라이어 (46a) 는 도시위치에 정지하고 있으나, 도 12 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어 (46a) 에는 중계롤러 (46c, 46d), 노즐 (46e) 이 설치되며, 연통구멍 (6b) 을 통과해 선재 (24) 가 중계롤러 (46c, 46d), 노즐 (46e) 을 통해 보빈 (8) 측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어 (46) 에 대향하는 위치에 보빈장착축 지지부 (50) 가 장착부 (47) 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장착축 지지부 (50) 에는 구멍 (50a) 이 깎여 형성되며, 상기 구멍 (50a) 에는 보빈장착축 (35) 의 후단 (35b) 이 삽입되어 고정나사 (40) 로 나사고정된다. 또, 보빈장착축 (35) 의 좌단은 단면 펜촉형으로 슬릿 (35a) 이 형성되며, 보빈삽입중의 선재권취시에 마찰저항을 부여하여 원활한 선재권취를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헤드 (25C) 는 가이드레일 (49) 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전후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모터 (28) 와 직결하고 있는 회전축 (28a) 은 나선형 홈이 깎여 형성되고, 권취헤드 (25C) 에 나사식으로 형성된 나선구멍에 상기 회전축 (28a) 이 나사식으로 결합하며, 권취헤드 (25C) 는 모터 (28) 의 회전에 의해 전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5 를 이용하여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제어장치의 전기적 블록도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내부에 CPU 와 입력 및 출력측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기제어장치 (62) 는 프로그램 입력장치 (61) 로부터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기제어장치 (62) 는 복수의 스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스핀들 제어회로 (80) 와,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위치를 제어하는 노즐위치 제어회로 (95) 가 접속되며, 복수의 상기 스핀들 제어회로 (80) 및 노즐위치 제어회로 (95) 를 각각 동기시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핀들 제어회로 (80) 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3 과 동일한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노즐위치 제어회로 (95) 는 도 11 에 나타낸 노즐 (46e) 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노즐위치는 전후방향이 전후방향 제어회로 (96a ∼ 96d) 에 의해 각각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상기 전후방향 제어회로 (96) 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회로와 동일한 회로구성을 갖는다.
전후방향 제어회로 (96) 는 인코더 (94) 를 갖는, 플라이어 (46) 와 연결하는 모터 (28) 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28) 는 카운터 (74), D/A 변환회로 (75), 증폭기 (76) 를 통해 전기제어회로 (62) 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전기제어회로 (62) 의 제어펄스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며, 인코더 (94) 가 발하는 피드백 펄스수가 입력한 상기 제어펄스수와 일치하였을 때 모터 (28) 가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인코더 (94) 는 모터 (28) 의 회전축이 1 회전중의 소정위치에 왔을 때 원점위치펄스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기제어장치 (62) 는 제어펄스를 출력하여 원점위치펄스가 들어올 때까지 모터 (28) 를 회전시키고, 제어펄스의 송출을 정지하면 그 제어펄스수와 일치한 수의 피드백 펄스가 들어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터가 정지하여 노즐의 전후방향의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선재 (24) 의 선단이 보빈 (8) 의 걸림고정부분에 걸리고 그 후에 보빈 (8) 으로 선재 (24) 를 감기 위한 스핀들 모터 (9B) 의 회전이 동작한다.
그리고, 전기제어장치 (62) 의 출력단에는 에어 실린더 (36) 에 에어 콤프레서 (59) 로부터 배관 (60) 을 통과해 공급되는 공기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의 출력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권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31) 으로부터의 선재 (24) 를 중계롤러 (57 및 58) 에 감고,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46e) 로부터 선재 (24) 의 선단을 하측으로 늘어뜨린다.
다음으로, 각 스핀들의 보빈장착축 (35) 에 보빈 (8) 이 장착된 상태에서 입출력수단 (85) 을 조작하여 노즐위치 제어회로 (95) 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전후방향 제어회로 (96a ∼ 96d) 가 동작하여 권취헤드 (25C) 가 초기위치로 세트된다. 노즐 (46e) 의 선단과 보빈의 플랜지 내면의 위치관계는 보빈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으나, 육안으로 입출력수단 (85) 에 의해 조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 상태에서 선재 (24) 의 선단이 각 보빈 (8) 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고정부인 보빈단자에 수동 또는 도시하지 않은 매직 핸드로 묶인다. 그 후, 맨 선재 (24) 의 선단부분을 보빈단자의 근방에서 절단한다.
노즐위치 제어회로 (95) 의 초기위치 설정완료에 동기하여 스핀들위치 제어회로 (80a ∼ 80d) 가 동작을 개시하고, 플라이어 (46) 가 회전을 개시하여 선재 (24) 는 보빈 (8) 에 권취된다. 상기 권취개시에 동기하여 전후방향 제어회로 (96a ∼ 96d) 에 의해 선재 (24) 의 권수에 대응하여 노즐 (18) 의 위치가 제어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제 1 및 제 2 발명은 권취구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이 권취구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또 제 3 발명은 고정된 권취부에 선재를 공급하는 선재공급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이 상기 선재공급부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구동원으로 벨트에 의해 권취구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선재를 매는 경우에 노즐과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 매는데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벨트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느슨해짐이 없어 지령신호에 응답성, 추종성이 양호한 선재의 권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를 그 회전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을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전의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응하여 각각 별개로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적게 설정하고,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상기 노즐의 초기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서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의 이동량보다 적게 설정하고,
    상기 권취구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1 구동원에 의해,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10. 고정된 권취구의 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와 대향하여 배치된 선재공급부를 상기 권취구의 축심과 동일한 축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선재공급부용 회전구동원을 형성하고, 상기 선재공급부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전의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방법.
  14. 회전하는 권취구의 회전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기 권취구를 장착하여 회전 가능한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권취구 지지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한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과,
    상기 복수의 권취구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에 선단부를 대향하여 배치하며,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수단과,
    상기 노즐수단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형성된 노즐용 회전구동원과,
    상기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제어하고 상기 노즐수단의 선단부를 이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노즐위치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수단의 선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로의 상기 선재를 노즐수단을 통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수단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에 따라 상기 권취구 지지체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향위치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수단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수단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보다 적게 설정하고,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상기 노즐수단의 초기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수단을 이동시키는 노즐용 회전구동원을 상기 선재의 권취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구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상기 노즐수단이 이동하는 제 1 회전구동원과,
    상기 제 1 회전구동원과는 다른 제 2 회전구동원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을 상기 제 1 회전구동원의 단위회전수에 의한 상기 노즐수단의 이동량보다 적게 설정하고,
    상기 권취구의 선재권취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1 구동원에 의해, 상기 선재권취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분의 상기 노즐의 이동을 상기 제 2 회전구동원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를 탈착 가능한 중간지지구와, 상기 중간지지구를 탈착 가능한 상기 권취구 지지체와, 상기 권취구 지지체에 의한 상기 중간지지구의 지지력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구를 상기 중간지지구와 함께 상기 권취구 지지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22. 고정된 권취구의 축심과 평행한 외주에 선재를 감는 선재의 권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와, 상기 권취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권취구의 축심과 동일한 축심을 가지며, 선재를 공급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를 상기 축심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노즐부 회전체와, 상기 노즐부 회전체에 형성한 회전구동원을 각각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회전구동원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재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를 상기 축심방향으로 전후동하여 소정위치로 조정하는 노즐부 전후동용 회전구동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을, 제어펄스를 송출함으로써 회전구동하고,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주기의 피드백 펄스를 송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펄스와 동일한 수의 상기 피드백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권선장치.
KR1020010043226A 2000-07-19 2001-07-18 선재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KR100767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9809A JP3638858B2 (ja) 2000-07-19 2000-07-19 線材の巻線方法及び装置
JPJP-P-2000-00219809 2000-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71A true KR20020008071A (ko) 2002-01-29
KR100767230B1 KR100767230B1 (ko) 2007-10-16

Family

ID=1871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226A KR100767230B1 (ko) 2000-07-19 2001-07-18 선재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79449B2 (ko)
EP (1) EP1174889B2 (ko)
JP (1) JP3638858B2 (ko)
KR (1) KR100767230B1 (ko)
CN (1) CN1214413C (ko)
DE (1) DE60139969D1 (ko)
TW (1) TW5303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760B1 (ko) * 2001-07-25 2004-05-10 (주)누리 이엔지 복수 스핀들 구동형 권선기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9754B2 (ja) * 2004-06-25 2010-09-2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コイル製造方法及びコイル製造装置
JP4325617B2 (ja) * 2005-12-26 2009-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巻線装置
JP4999837B2 (ja) * 2006-03-31 2012-08-15 株式会社多賀製作所 巻線装置
JP4875952B2 (ja) * 2006-09-15 2012-02-15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コイルの巻線方法
US8253524B2 (en) * 2007-10-04 2012-08-28 Keihin Corporation Coil winding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molded coil
ATE515825T1 (de) * 2008-07-10 2011-07-15 Siemens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wickeln einer einschichtigen spule
TWI459421B (zh) * 2008-12-26 2014-11-01 Delta Electronics Dongguan Co Ltd 製造一線圈總成之方法及裝置
ITAL20090001A1 (it) * 2009-02-17 2010-08-17 Cravanzola E Veglio S N C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bonine eletriche e simili
AU2016231607B2 (en) * 2009-07-02 2018-09-13 C.R. Bard, Inc. Checkering balloon winding machine
US8236223B2 (en) * 2009-07-02 2012-08-07 C.R. Bard, Inc. Checker balloon winding machine
CN102117697B (zh) * 2009-12-31 2013-01-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装置和包含该绕线装置的绕线机
CN102136366B (zh) * 2011-01-20 2012-10-10 珠海恒阳科技有限公司 双工位多头绕线机
CN102360934B (zh) * 2011-08-12 2012-12-05 云南(炬锋)电焊机有限公司 扁线立绕机
CN102784856A (zh) * 2012-07-30 2012-11-21 林淑琴 一种卧式盘圆机
CN102773382A (zh) * 2012-07-30 2012-11-14 林淑琴 一种立式盘圆机
US9230735B2 (en) * 2013-03-11 2016-01-05 Regal Beloit America, Inc. Electrical coil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ing electrical coils
JP6112714B2 (ja) * 2013-04-12 2017-04-12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製造装置
JP6309732B2 (ja) 2013-09-30 2018-04-11 株式会社東芝 巻線装置、巻線方法
JP6428771B2 (ja) * 2014-05-22 2018-1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線巻線方法及び多線巻線装置
CN104079125B (zh) * 2014-05-28 2016-08-24 苏州市圣玛特电机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工位绕线机
CN104085734B (zh) * 2014-07-24 2017-09-29 牙克石市胜利塑料编织包装有限公司 圆织麻线分线机和缠绕小麻线团的方法
CN104299724A (zh) * 2014-09-26 2015-01-21 安徽蛟龙科技有限公司 一种镀锡铜丝镀完锡后的收线装置
CN105761927B (zh) * 2014-12-15 2017-11-07 深圳市有钢机电设备有限公司 绕线机及绕线方法
CN105129517B (zh) * 2015-08-11 2019-05-28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一种小绳缆自动包装成型机
CN105600587A (zh) * 2015-10-15 2016-05-25 王波 自动绕绳机
JP7058454B2 (ja) * 2017-09-28 2022-04-22 Nittoku株式会社 分割部材の巻線装置及びその巻線方法
CN110419086B (zh) * 2018-02-28 2021-03-12 日特有限公司 线圈制造装置和线圈制造方法
JP2019153705A (ja) * 2018-03-05 2019-09-12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線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製造設備及び巻線方法並びに完成品の製造方法
CN109850703B (zh) * 2019-02-27 2023-12-01 大连萌羽机械有限公司 一种飞机发动机卡箍减震垫的绕线加工工装
CN112141815B (zh) * 2020-10-20 2022-06-07 湖南腾博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环式结构型调节绕线装置
CN114188789A (zh) * 2021-12-15 2022-03-15 天津斯巴克瑞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高压骨架过渡线自动绕线焊接装置及实现方法
CN114703575A (zh) * 2021-12-27 2022-07-05 宜宾恒丰丽雅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防霉菌的腈纶混纺纱线及其制备工艺
CN114242449B (zh) * 2022-02-25 2022-05-20 绵阳聚贤自动化设备有限公司 网络滤波器的自动绕脚设备
CN114538208A (zh) * 2022-03-22 2022-05-27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高铁行车设备故障诊断装置
WO2024023614A1 (en) * 2022-07-26 2024-02-01 G.D S.P.A. Method and machine to manufacture windings around multiple suppor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1954A (en) * 1943-02-06 1946-06-11 Western Electric Co Testing apparatus
DE3049406C2 (de) * 1980-12-23 1986-11-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m schraubenförmigen Anwickeln der Drahtenden gewickelter elektrischer Spulen an Aufnahmestiften
JPS5910162A (ja) 1982-07-05 1984-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ブラシレス化直流モ−タ
CH656597A5 (fr) * 1983-11-02 1986-07-15 Sarcem Sa Machine electromecanique de bobinage et de fixation des extremites d'un fil.
DE3527311A1 (de) * 1985-07-26 1987-01-29 Siemen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spule mit mehreren wicklungen
US4807430A (en) 1987-10-22 1989-02-28 Walker Magnetics Group, Inc. Thread wrapping apparatus
JPH0658858B2 (ja) * 1990-07-09 1994-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巻線方法およびその巻線装置
US5314129A (en) * 1991-04-24 1994-05-24 Tekma Kinomat S.R.L. Coil winder with spindlehead movable in a horizontal plane
US5202610A (en) 1991-08-30 1993-04-13 Platt Saco Lowell Method and apparatus for yarn end-down detection in a textile yarn winding machine
JP2747167B2 (ja) * 1992-05-15 1998-05-06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巻線機
US5582357A (en) * 1993-11-08 1996-12-10 Sony Corporation Coil winding apparatus
JP3503183B2 (ja) * 1994-04-21 2004-03-02 ソニー株式会社 捲線における線材配置の検査装置と検査方法
US5538196A (en) * 1994-06-06 1996-07-23 Bachi, L.P. Spindle coil winding machine
JP3177193B2 (ja) 1997-07-02 2001-06-18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線機および巻線方法
DE69932961T2 (de) 1998-03-13 2007-05-10 Murata Kikai K.K. Textilmaschine mit Einzelspindelantrieb wobei die Spindelantriebe in modularen Einheiten aufgeteilt sind.
CA2240008A1 (en) * 1998-06-08 1999-12-08 Ats Automation Tooling Systems Inc. Coil hitching device
DE69914283T2 (de) 1998-11-05 2004-10-21 Toyota Jidoshokki Kariya Kk Ringspinnmaschine mit Individuellen Spindelantrieb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760B1 (ko) * 2001-07-25 2004-05-10 (주)누리 이엔지 복수 스핀들 구동형 권선기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4413C (zh) 2005-08-10
JP2002043157A (ja) 2002-02-08
EP1174889B1 (en) 2009-09-23
TW530314B (en) 2003-05-01
JP3638858B2 (ja) 2005-04-13
EP1174889B2 (en) 2014-12-10
US6679449B2 (en) 2004-01-20
EP1174889A2 (en) 2002-01-23
EP1174889A3 (en) 2002-01-30
US20020030134A1 (en) 2002-03-14
CN1335630A (zh) 2002-02-13
KR100767230B1 (ko) 2007-10-16
DE60139969D1 (de)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230B1 (ko) 선재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EP1110895B1 (en) Coil winding apparatus and winding method
JP5196913B2 (ja) スピンドル巻線装置
US9646765B2 (en) Coil winding device and winding method thereof
EP2682961B1 (en) Wire winding apparatus and wire winding method
WO2007048528A1 (en) Apparatus for fully-automatized control of the length of a yarn
WO2002033809A1 (en) Machine for winding dynamo-electric stators
JP4799186B2 (ja) コイル巻線装置及びコイル巻線方法
KR20030010058A (ko) 코어리스 코일 권선용 보빈유닛, 권선기용 스핀들유닛,복수 스핀들 구동형 권선기, 권선기용 텐션장치, 및 코일권선 시스템
CN100481313C (zh) 灯丝自动绕制设备的钨丝送丝控制装置
US5647405A (en) Device for winding coils for electrical machines
CN111788648B (zh) 使用绕线装置的制造设备、以及完成品的制造方法
JP4729372B2 (ja) 線材のフォーミング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2788205B2 (ja) コイル巻線方法並びに装置
US4966337A (en) Multi-spindle machine for winding wire on bobbins
JPH05267086A (ja) 空芯コイルの製造装置
JP4733469B2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S635213Y2 (ko)
JP4001769B2 (ja) スピンドル旋回巻線機
JP3622321B2 (ja) 巻線装置
JPH04196303A (ja) 内周巻線装着装置
JPS5877711A (ja) フイラメント製造機
JP2001298918A (ja) 巻線方法および巻線装置
JPH107326A (ja) ワキシング装置
JPH0244749B2 (ja) Kosokukaitennofuraiyanainoakuchueetaseimitsuichigimekudohoh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