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416A - 유기 전해질 전지 - Google Patents

유기 전해질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416A
KR20010106416A KR1020017001070A KR20017001070A KR20010106416A KR 20010106416 A KR20010106416 A KR 20010106416A KR 1020017001070 A KR1020017001070 A KR 1020017001070A KR 20017001070 A KR20017001070 A KR 20017001070A KR 20010106416 A KR20010106416 A KR 2001010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battery
ma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986B1 (ko
Inventor
안도노부오
야마구치마사키
하토유키노리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소이치
가네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소이치, 가네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소이치
Publication of KR2001010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7Electrodes based on electro-a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2010/4292Aspects relating to capacity ratio of electrodes/electrolyte or anode/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01M4/745Expanded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를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에 관한 것이다.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는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양극 활성물질 및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음극 유래 리튬 또는 양극 유래 리튬이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상기 리튬의 전부 또는 그 일부가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함으로써 담지된다. 이 리튬의 대향 면적은 음극 면적의 40% 이하이다.

Description

유기 전해질 전지{Organic electrolytic cell}
최근, 도전성 고분자, 천이 금속 산화물 등을 양극으로 하고, 음극으로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사용한 2차 전지가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점에서, Ni-Cd 전지, 납 전지 대신에 전지로써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2차 전지는 반복 충전·방전을 행하면 양극 또는 음극의 열화에 의한 용량 저하가 크기 때문에 실용하는데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특히, 음극의 열화는 수지형 결정(dendrite)이라는 이끼 형상의 리튬 결정의 생성을 동반하여, 충전·방전의 반복에 의해 결국 수지형 결정이 세퍼레이터를 관통하고 전지 내부에서 쇼트를 발생시켜,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가 파열하는 등 안전면에 있어서도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 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하고, 양극으로 LiCoO2등의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을 사용한 전지가 제안되고 있다. 이 전지는 전지 조립 후, 충전함으로써 양극의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로부터 음극에 리튬을 공급하고, 또한 방전으로는 음극 리튬을 양극으로 되돌리는, 소위 로킹체어형(rocking chair-type) 전지이다. 이 전지는 고전압 및 고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리튬 전지의 장점인 고에너지 밀도를 얻지는 못한다.
또한, 최근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 가능한 음극 재료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탄소 재료의 이론 용량인 C6Li를 초과하는 리튬을 담지 가능한 재료나 주석계의 산화물 등이 고용량 리튬계 2차 전지의 음극 재료로써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이며,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는 C2Li까지 리튬을 도프할 수 있다(Synthetic Metal, 73(1995)P273). 그러나, 이 불용불융성 기재를 음극으로 하고, 양극으로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을 사용한 상기 로킹체어형 전지는 이것을 조립한 경우, 탄소 재료에 비해 고용량을 얻을 수 있지만, 그 용량에는 아직 불만족스런 점이 남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의 출원에 따른 국제 공개 특허 제 95-8852호에는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 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고 음극이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로,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이며, 이 음극 불용불융성 기재에 대해 전지내에 포함된 총 리튬양이 500mAh/g 이상이고, 또한 음극 유래의 리튬이 100mAh/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가 제안되고 있다. 이 전지는 고용량을 얻을 수 있지만, 원통형 전지 등의 실용 전지를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용적이며 간편하게 음극 유래의 리튬을 담지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8-162159호, 8-162160호, 8-162161호, 및 8-255633호 등에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방법은 균일성 및 조작성에 문제가 있어, 완전한 문제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이 구체적 방법 중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써는 음극상에 리튬 금속을 부착시키고, 양극, 세퍼레이터와 함께 전지 용기에 삽입하고, 전해액을 주액하여 방치함으로써, 음극에 리튬을 담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부착시키는 리튬 금속박의 두께의 양산 하한가는 약 30㎛인 점에서, 음극의 두께가 증대하여 전지 설계에 제약을 가하게 되고, 특히 충전·방전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문제가 되어 있다.
본 발명가들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고용량이며 고전압을 갖는 유기 전해질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방전 특성이 우수한 2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충전·방전이 가능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2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저항이 낮은 2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2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고용량, 고전압을 가지며 충전·방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 전해질 전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3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4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5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6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7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8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9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내의 전극 배치의 제 10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부호에 대해서 1은 양극을 나타내고, 2는 음극을 나타낸다. 1'는 집전체(양극)를 나타내고, 2'는 집전체(음극)를 나타낸다. 3은 세퍼레이터, 4는 리튬 금속, 4'는 집전체(리튬)를 나타내며, 5 및 5'는 도선을 나타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 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음극 유래의 리튬이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 금속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상기 리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함으로써 음극에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 유기 전해질 전지의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기공율이 1%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음극 유래의 리튬이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고, 또한 상기 리튬의 대향 면적이 음극 면적의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용매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양극 및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양극 유래의 리튬이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 양극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상기 리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한 후, 양극에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극 활성물질은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로서,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는 상기 음극 활성물질에 대해, 전지내에 포함된 총 리튬양이 500mAh/g 이상이고 또한 음극 유래의 리튬이 100mAh/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기공율이 1%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양극 및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양극 유래의 리튬의 적어도 일부가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고, 상기 리튬의 대향 면적이 양극 면적의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극 활성물질은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로서,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의 음극 활성물질은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여러 종류의 탄소 재료, 폴리아센계 물질, 주석 산화물, 규소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로서,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고용량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란 방향족 탄화 수소 화합물과 알데히드류와의 축합물을 말한다. 방향족 탄화 수소 화합물로써는 예를 들어,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등과 같은, 소위 페놀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식
(여기에서,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다)
으로 표현되는 메틸렌·비스페놀류일 수 있고, 또는 히드록시·비페닐류, 히드록시나프탈렌류일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용적으로는 페놀류, 특히 페놀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로써는 상기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방향족 탄화 수소 화합물의 1부를 페놀성 수산기를 갖지 않는 방향족 탄화 수소 화합물, 예를 들어 크실렌, 톨루엔, 아닐렌 등으로 치환한 변성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 예를 들어, 페놀과 크실렌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멜라민, 요소로 치환한 변성 방향족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고, 푸란 수지도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로써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푸르푸랄 등의 알데히드를 사용할 수가 있고, 이들 중에서도 포름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로써는 노볼랙형이나 레졸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이면 된다.
상기 불용불융성 기재는 상기 방향족계 폴리머를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것으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성 1-44212호, 평성 3-24024호 등에 기재된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불용불융성 기재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를 비산화성 분위기(진공도 포함한다) 중에서 400∼800℃의 적당한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함으로써,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이하 H/C라고 기재한다)가 0.5∼0.05, 바람직하게는 0.35∼0.10의 불용불융성 기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성 3-24024호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600m2/g 이상의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을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를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초기 축합물과 무기염, 예를 들어 염화아연을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용액을 가열하여 형내에서 경화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경화체를 비산화성 분위기(진공도 포함한다)중에서 350∼800℃의 온도까지, 바람직하게는 400∼750℃의 적당한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한 후, 물 또는 희염산 등에 의해 충분히 세정함으로써, 상기 H/C를 가지며 또한, 예를 들어 600m2/g 이상의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을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불용불융성 기재는 X선 회절(CuKα)에 의하면, 메인·피크의 위치는 2θ로 표시하고 24도 이하에 존재하며, 또한 상기 메인·피크 이외에 41∼46도 사이에 다른 브로드(broad) 피크가 존재한다. 즉, 상기 불용불융성 기재는 방향족계 다환 구조가 적절하게 발달한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가지며 또한 비결정의 구조를 갖는다고 시사되어 리튬을 안정하게 도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지용 활성물질로써 유용하다.
이 불용불융성 기재는 H/C가 0.5∼0.05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H/C가 0.5를 초과하는 경우는 방향족계 다환 구조가 충분히 발달해 있지 않기 때문에, 리튬의 도핑, 탈도핑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으며, 전지를 조립할 때에 충전·방전 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H/C가 0.05 미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지의 용량이 감소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의 음극은 상기 불용불융성 기재(이하, PAS라 한다)등의 음극 활성물질로 이루어지고, 분말 형상, 입자 형상, 단섬유 형상 등 성형하기 쉬운 형상으로 음극 활성물질을 바인더로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인더로써는 폴리4불화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불소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불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이하, F/C라고 기재한다)가 1.5 미만 0.75 이상인 불소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 미만 0.75 이상인 불소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바인더로써는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3불화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4불화에틸렌 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주쇄(principal chain)의 수소를 알킬기로 치환한 불소계 함유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불화비닐리덴의 경우 F/C는 1이고, 불화비닐리덴-3불화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불화비닐리덴의 몰 성분비율이 50%일 때, 80%일 때, 각각 F/C는 1.25, 1.1이다. 프로필렌-4불화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프로필렌의 몰 성분비율이 50%일 때 F/C는 0.75가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불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의 몰 성분비율이 50% 이상인 불화비닐리덴-3불화에틸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실용적으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PAS를 갖는 리튬의 도프 능력(용량)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의 음극에는, 음극 활성물질로써 PAS, 산화물을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아세틸렌블랙, 그라파이트, 금속 분말 등의 도전재를 적절하게 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의 양극으로써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LiXCoO2, LiXNiO2, LiXMnO2, LiXFeO2등의 LiXMYOZ(M은 금속, 2종 이상의 금속이어도 된다)의 일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리튬을 전기화학적으로 도프, 탈도프가능한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 또는 코발트, 망간, 니켈 등의 천이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AS 등의 도전성 고분자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전압, 고용량을 요구하는 경우는 리튬 금속에 대해 4V 이상의 전압을 갖는 리튬 함유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리튬 함유 코발트 산화물, 리튬 함유 니켈 산화물 또는 리튬 함유 코발트-니켈 복합 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의 양극 활성물질로써는, 리튬을 전기화학적으로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LiXCoO2, LiXNiO2, LiXMnO2, LiXFeO2등의 LiXMYOZ(M은 금속, 2종 이상의 금속이어도 된다)의 일반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이들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은 전기화학적 산화, 즉 충전에 의해 리튬을 방출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타입 1의 양극 활성물질이라 한다), 또는 코발트, 망간, 바나듐, 티탄, 니켈 등의 천이 금속 산화물 또는 황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AS 등의 도전성 고분자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양극의 활성물질은 크게 2가지로 구별된다. 즉 전기화학적 산화에 의해, 다시 말하면 충전에 의해 리튬을 방출할 수 있는, 리튬 함유 코발트 산화물, 리튬 함유 니켈 산화물, 리튬 함유 코발트-니텔 복합 산화물 등의 양극 활성물질(본 발명에서는 타입 1의 양극 활성물질이라 한다)및 그 이외의 양극 활성물질(본 발명에서는 타입 2의 양극 활성물질이라 한다)이다. 특히, 고전압을 요구하는 경우는 리튬 금속에 대해 4V 이상의 전압을 갖는 리튬 함유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리튬 함유 코발트 산화물, 리튬 함유 니켈 산화물, 리튬 함유 코발트-니켈 복합 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의 양극은 상기 각종 활성물질에 필요에 따라 도전재, 바인더 등을 가해 성형한 것으로 도전재, 바인더의 종류, 조성 등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로써는 금속 니켈 등의 금속 분말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흑연 등의 탄소계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도전재의 혼합비는 상기 활성물질의 전기전도도, 전극 형상 등에 의해 다르지만, 활성물질에 대해 2∼40%의 비율로 가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에 사용하는 후술의 전해액에 불용성인 것이라면 되고, 예를 들어 SBR 등의 고무계 바인더, 폴리4불화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계 함유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혼합비는 상기 활성물질에 대해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의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는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부직포,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펀칭 메탈(punched metal), 네트,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관통구멍의 형태, 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전해액 중의 리튬 이온이 전극 집전체에 차단되지 않고, 전극의 표리면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전극 집전체의 기공율을 조절함으로써, 관통구멍의 비율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전극 집전체의 기공율이란 {1-(집전체 중량/집전체 비중)/(집전체 겉보기 체적)}의 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전극 집전체의 재질로써는 일반적으로 리튬계 전지로 제안되고 있는여러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양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등, 음극 집전체로는 스텐레스, 구리, 니켈 등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튬을 직접 부착하는 경우, 스텐레스 등의 리튬과 합금하지 않고 전기화학적 산화에 내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는, 음극 활성물질에 대해 전지내에 포함된 총 리튬양이 500mAh/g 이상이고, 또한 음극 유래 리튬이 100mAh/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내에 포함된 총 리튬양이란 양극 유래의 리튬, 전해액 유래의 리튬, 음극 유래의 리튬양의 총합계이다. 양극 유래의 리튬이란 전지 조립시, 양극에 포함된 리튬으로 상기 리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외부 회로에서 전류를 통하는 조작(충전 등)에 의해 음극에 공급된다. 또한, 전해액 유래의 리튬이란 세퍼레이터, 양극, 음극 등에 포함된 전해액 중의 리튬이고, 음극 유래의 리튬이란 음극 활성물질에 담지되어 있는 리튬으로, 상기 양극 유래의 리튬 및 전해액 유래의 리튬 이외의 리튬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음극 유래의 리튬은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그 전부 또는 그 일부가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하여 음극에 담지된다. 여기에서 리튬이란 리튬 금속 또는 리튬-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적어도 리튬을 함유하고, 리튬 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배치된 리튬이 인접하는 전극이 음극인 경우, 상기 인접 음극에는 직접 리튬이 담지되지만, 그 이외의 인접하지 않은 음극에는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을 관통한 리튬이 담지된다. 또한 배치된 리튬이 인접하는 전극이 양극인 경우, 모든 리튬은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을 관통한 후 음극에 담지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양극 유래의 리튬이란 양극에 포함된 리튬으로, 전부 또는 일부가 음극이나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양극에 담지된다. 예를 들어 LiCoO2를 양극 활성물질로 하는 경우 LiCoO2는 이미 전지 조립시 리튬을 함유하고 있지만,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된 리튬을 가해 양극 유래의 리튬이 된다. 한편, V2O5를 양극 활성물질로 하는 경우에는 이것이 리튬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양극 유래의 리튬의 전부가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게 되는 것이다. 양극 유래의 리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외부 회로에서 전류를 통하는 조작(충전 등)에 의해 음극에 공급된다. 또한, 전해액 유래의 리튬이란 세퍼레이터, 양극, 음극 등에 포함된 전해액 중의 리튬이고, 음극 유래의 리튬이란 음극 활성물질에 담지되어 있는 리튬으로, 상기 양극 유래의 리튬 및 전해액 유래의 리튬 이외의 리튬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양극 유래의 리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 화학적 접촉에 의해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한 후 양극에 담지된다.
리튬과 양극의 전기화학적 접촉은 전해액이 전지계에 주액되었을 때에 개시되지만, 상기 타입 1의 양극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미 방출가능한 리튬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해액이 전지계에 주액 후 즉시, 상기 전지계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타입 2의 양극 활성물질도 전해액이 전지계에 주액 후, 모든 리튬이 양극 활성물질에 완전히 담지되기 전에 상기 전지계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충전 조작은 담지 시간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양극이 과방전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고, 리튬의 담지 조작에 의해 양극의 열화를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음극 유래 또는 양극 유래의 리튬은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 양극 또는 음극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상기 리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하여 담지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리튬이란 리튬 금속 또는 리튬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적어도 리튬을 함유하고, 리튬 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 모두를 말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음극 유래의 리튬은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고, 또한 상기 리튬의 대향 면적은 음극 면적의 40% 이하이다. 또한,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양극 유래의 리튬의 적어도 일부는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고, 또한 상기 리튬의 대향 면적은 양극 면적의 40% 이하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리튬이란 리튬 금속 또는 리튬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적어도 리튬을 함유하고, 리튬 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6은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복수개의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전지의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은 상기 타입의 전지 케이스내에 있어서의 전극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집전체(2')의 양면에 성형된 음극(2)과 스텐레스 메시(mesh), 구리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리튬 금속 집전체(4')에 압착된 리튬 금속(4)이 도선(5)에 의해 접속되고, 리튬 금속(4)은 적층 유닛의 하부에 배치된다. 음극 집전체(2')와 리튬 금속 집전체(4)는 직접 용접할 수도 있다. 양극 집전체(1')의 양면에 성형된 양극(1)과 상기 음극(2)은 세퍼레이터(3)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다. 이 세퍼레이터(3)는 전해액 또는 전극 활성물질 등에 대해 내구성이 있는 연통기공을 갖는 전자 전도성이 없는 다공체 등으로 이루어져, 통상적으로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 부직포, 다공체가 사용된다. 세퍼레이터(3)의 두께는 전지의 내부 저항을 작게 하기 때문에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해액의 지지량, 유통성, 강도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세퍼레이터(3)에는 전해액이 함투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에는 도핑될 수 있는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전술한 화합물이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액상이어서 세퍼레이터(3)에 함투되지만, 세퍼레이터(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전해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겔 또는 고체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2') 및 양극 집전체(1')는 각각이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각각에 전지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에 접속된다.
도 2는 상기 전극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리튬 금속 집전체(4')에 압착된 리튬 금속(4)을 적층 유닛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는 리튬 금속(4)을 적층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도 4는 상기 타입의 전극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양극 집전체(1')의 양면에 성형된 양극(1)과 스텐레스 메시, 구리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리튬 금속 집전체(4')에 압착된 리튬 금속(4)이 도선(5)에 의해 접속되고, 리튬 금속(4)은 적층 유닛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1')와 리튬 금속 집전체(4')는 직접 용접할 수도 있다. 또한, 음극 집전체(2')의 양면에 성형된 음극(2)과 상기 양극(1)은 세퍼레이터(3)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전극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리튬 금속 집전체(4')에 압착된 리튬 금속(4)을 적층 유닛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다른 변형예는 리튬 금속(4)을 적층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적층 타입의 전지의 전극 배치에 있어서는 리튬 금속(4)의 배치위치를 상기 예와 같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7∼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원통 전지 등에 사용하는 와인딩형(wound-type) 구조의 전지를 도시한다. 도 7은 최외주의 음극 집전체(2)상에 리튬 금속(4)을 부착하는 예이고, 도 8은 최외주의 양극 집전체(1)상에 리튬 금속(4)을 부착(도면에 있어서 부착한 부분에 리튬 금속(4)만을 나타낸다)하는 예이며, 도 9는 와인딩형 구조의 중심에 원주 형상의 리튬 금속(4)을 배치한 예이다.
도 10은 기공율 80%의 익스팬디드 메탈과 기공율 7%의 펀칭 메탈을 사용한 전극을 도시한다. 익스팬디드 메탈은 특히 모서리 부분에 활성물질의 탈락이 보인다. 이 활성물질의 탈락이 전지의 용량 저항, 단락의 원인이 된다.
이들 예에서, 음극 또는 양극 및 리튬을 니켈, 구리, 스텐레스 등의 도전 물질을 개재시키거나 음극 집전체 또는 양극 집전체 상에 리튬을 부착함으로써 접촉시키지만,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는 특히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리튬을 직접 음극 또는 양극 상에 부착함으로써 접촉시켜도 되고, 또한 음극 케이스 또는 양극 케이스에 리튬을 직접 부착시켜도 된다. 즉, 여기에서 필요한 것은 전지조립시, 전해액을 주입할 때, 모든 음극 또는 양극 및 리튬이 전기화학적 접촉하고, 전해액을 사이에 두고 리튬이 음극 활성물질 또는 양극 활성물질에 담지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리튬 금속 집전체로써 스텐레스 메시 등의 도전성 다공체를 사용하고, 이 도전성 다공체의 기공부에 리튬 금속의 80% 이상을 충전하여 배치함으로써, 리튬이 도핑되어도 리튬의 소실에 의해 전극간에 발생하는 사이를 적게 하고, 리튬이 음극 활성물질에 원활하게 담지되게 된다.
한편, 리튬 금속을 음극판의 단면 방향 또는 양극판의 단면 방향에 배치하고, 전지내에 음극 또는 양극 및 리튬 금속을 전기화학적 접촉시켜 음극 활성물질 또는 양극 활성물질에 리튬을 담지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지만, 이 경우 전지내를 도핑할 때 불균일이 발생하며, 충전·방전에 의해 부분적으로 음극 상에 리튬이 퇴적되고, 담지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을 양산에 사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는 음극 유래 또는 양극 유래의 리튬을 특정 위치에 국소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리튬의 대향 면적을 음극 면적 또는 양극 면적의 40% 이하로 하고, 전지 설계상의 자유도 및 양산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우수한 충전·방전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예와 같이 음극 또는 양극의 대부분에 리튬 금속을 부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공업 생산에 맞지 않아 양산이 곤란해진다. 또한 리튬 금속의 면적이 음극 면적 또는 양극 면적의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리튬 금속의 두께 등에 의해 전극 두께가 결정되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목적하는 충전·방전 특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전지에 있어서, 음극 유래 또는 양극 유래의 리튬양은 목적하는 전지, 음극 활성물질 또는 양극 활성물질에 의해 결정할 수 있지만, 음극 활성물질로써 상기 PAS를 사용하고, 하기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특히 고용량의 전지를 얻을 수 있다. 즉, 음극 활성물질에 PAS를 사용하는 경우, 전지내의 총 리튬양은 음극 PAS에 대해 500mAh/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mAh/g 이상인 것이 충분한 용량을 얻을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음극 유래의 리튬은 음극 PAS에 대해 100mAh/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mAh/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총 리튬양이 음극 PAS에 대해 500mAh/g 이상이라도 음극 유래의 리튬이 100mAh/g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용량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양극에 리튬 함유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극 유래의 리튬을 음극 PAS에 대해 600mAh/g 이하로 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양극 유래의 리튬 및 전해액 유래 리튬의 양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양극으로써 리튬 함유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극 유래 리튬이 음극 PAS에 대해 300mAh/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상술한 타입 1의 양극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는, 본래 양극이 갖는 리튬양에 더해 양극 유래 리튬을 음극 PAS에 대해 100mAh/g 이상 담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mAh/g 이상 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동일한 방법 등을 사용하고, 음극 유래 리튬을 음극 활성물질에 PAS에 미리 담지시켜 두어도 되고, 특히 상술한 타입 2의 양극 활성물질의 경우, 담지시킨 리튬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음극, 양극의 양쪽으로 구별하여 필요한리튬양을 담지시키는 것도 담지 시간을 빠르게 하므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해질 전지에 사용하는 전해액을 구성하는 용매로써는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가 사용된다. 이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로써는, 예를 들어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솔란(dioxolane), 염화메틸렌, 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의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일 또는 혼합의 용매에 용해시킨 전해질은 리튬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전해질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전해질로써는 예를 들어, LiI, LiClO4, LiAsF6, LiBF4, LiPF6, LiHF2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해질 및 용매는 충분히 탈수된 상태에서 혼합되어, 전해액으로 하지만, 전해액 중 전해질의 농도는 전해액에 의한 내부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적어도 0.1mol/ℓ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1.5mol/ℓ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의 전지 형상으로써는 원통형, 각형, 상자형 등을 들 수 있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두께 0.5㎜의 페놀 수지 성형판을 실리콘 유닛(silicon unit) 전기로 중에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500℃까지 50℃/시간의 속도로, 다시 10℃/시간의 속도로650℃까지 승온하고 열처리하여 PAS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PAS판을 디스크밀(disc mill)로 분쇄함으로써, 평균 입자 직경이 약 7㎛인 PAS 분체를 얻었다. 이 PAS 분체의 H/C 비는 0.22였다.
다음에, 상기 PAS 분체 100중량부와 아세틸렌블랙 10중량부를, 폴리불화비닐리덴 분말 10중량부를 N-메틸프로리돈 12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25㎛(기공율 28%)의 구리 부직포 양면에 성형하고, 프레스 200㎛의 PAS 음극을 얻었다. 또한, LiCoO2100중량부와 그라파이트 5중량부를, 폴리불화비닐리덴 분말 3.5중량부를 N-메틸프로리돈 5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35㎛(기공율 20%)의 알루미늄 부직포 양면에 성형하고, 프레스 300㎛의 LiCoO2양극을 얻었다.
상기 전극을 소정의 사이즈로 절삭한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9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음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13㎛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2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음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음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 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4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분해한 전지의 음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을 꺼내고, 리튬을 반대 극으로 사용한 비이커형 전지를 조립하여 각각의 음극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모두 0.25V∼0.26V이고,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
음극No. 전위(v)
1(한쪽 면) 0.25
2 0.26
3 0.26
4 0.26
5 0.26
6 0.26
7 0.26
8 0.26
9 0.26
10(한쪽 면) 0.26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8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2]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60㎛(기공율 70%)의 구리 익스팬디드 메탈(쌍크 주식회사 제, LW:1㎜, SW:0.5㎜)을 사용하고,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240㎛(기공율 88%)의 알루미늄 익스팬디드 메탈(쌍크 주식회사 제, LW:2㎜, SW:1㎜)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륨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분해한 전지에서 음극을 꺼내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각의 음극의 전위를 조사하였다. 음극의 전위는 모두 0.25V이고(표 2),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
음극No. 전위(V)
11(한쪽 면) 0.26
12 0.26
13 0.26
14 0.26
15 0.26
16 0.26
17 0.26
18 0.26
19 0.26
20(한쪽 면) 0.26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8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3]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20㎛(기공율 7%)의 구리 펀칭 메탈을 사용하고,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기공율 7%)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륨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음극 9장(한쪽 면 2장, 양면 8장)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0.25V∼0.26V이고(표 3),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
음극No. 전위(V)
21(한쪽 면) 0.25
22 0.25
23 0.25
24 0.26
25 0.26
26 0.26
27 0.26
28 0.26
29 0.26
30(한쪽 면) 0.26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8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양극, PAS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음극 9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양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68㎛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200㎛, 2.0×3.0cm2)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5일간 실온에서 방치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분해한 전지의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을 꺼내고, 리튬을 반대 극으로 사용한 비이커형 전지를 조립하여 각각의 양극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모두 3.89V이고,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표 4).
양극No. 전위(V)
1(한쪽 면) 3.89
2 3.89
3 3.89
4 3.89
5 3.89
6 3.89
7 3.89
8 3.89
9 3.89
10(한쪽 면) 3.89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가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8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5]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60㎛(기공율 70%)의 구리 익스팬디드 메탈(쌍크 주식회사 제, LW:1㎜, SW:0.5㎜)을 사용하고,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240㎛(기공율 88%)의 알루미늄 익스팬디드 메탈(쌍크 주식회사 제, LW:2㎜, SW:1㎜)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3일간 실온에서 방치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분해한 전지의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을 꺼내고, 리튬을 반대극으로 사용한 비이커형 전지를 조립하고 각각의 양극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모두 3.89V이며,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표 5).
양극Np. 전위(V)
11(한쪽 면) 3.89
12 3.89
13 3.89
14 3.89
15 3.89
16 3.89
17 3.89
18 3.89
19 3.89
20(한쪽 면) 3.89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가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8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6]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20㎛(기공율 7%)의 구리 펀칭 메탈을 사용하고,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기공율 7%)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7일간 실온에서 방치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분해한 전지의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을 꺼내고, 리튬을 반대극으로 사용한 비이커형 전지를 조립하고, 각각의 양극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모두 3.88V∼3.89V이며,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표 6).
양극No. 전위(V)
21(한쪽 면) 3.88
22 3.88
23 3.89
24 3.89
25 3.89
26 3.89
27 3.89
28 3.89
29 3.89
30(한쪽 면) 3.89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80mAh였다(9개의 평균치).
[비교예 1]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음극 9장(한쪽 면 2장, 양면 8장)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리튬에 인접한 음극의 전위만 0.08V이고 그 이외에 대해서는 2.30V∼2.52V였다(표 7).
음극 No. 전위(V)
31(한쪽 면) 0.08
32 2.31
33 2.34
34 2.52
35 2.41
36 2.35
37 2.30
38 2.52
39 2.48
40(한쪽 면) 2.45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390mAh였다(9개의 평균치).
[비교예 2]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18㎛의 구리막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음극 9장(한쪽 면 2장, 양면 8장)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음극의 전위는 2.71V∼2.91V였다(표 8).
음극No. 전위(V)
41(한쪽 면) 2.85
42 2.82
43 2.71
44 2.88
45 2.91
46 2.77
47 2.86
48 2.83
49 2.83
50(한쪽 면) 2.89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390mAh였다(9개의 평균치).
[비교예 3]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의 알루미늄박,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18㎛의 구리막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전지 조립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하고,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390mAh였다(9개의 평균치).
[비교예 4]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전지 조립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하고,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390mAh였다(9개의 평균치).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 290㎛의 PAS 음극과, 두께 440㎛의 LiCoO2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2.0×3.0cm2) 및 PAS 음극(2.2×3.2cm2)를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6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음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58㎛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33㎛, 2.0×3.0cm2, 외측의 2장에 대해서는 1.5×2.0cm2) 를 음극판에 부착시켰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4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음극판(한쪽 면 2장, 양면 5장)의 전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전위는 0.26V였고(표 9), 리튬 도핑시의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
음극No. 전위(V)
51(한쪽 면) 0.26
52 0.26
53 0.26
54 0.26
55 0.26
56 0.26
57 0.26
58 0.26
59 0.26
60(한쪽 면) 0.26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520mAh였다(9개의 평균치).
양산 가능한 리튬 금속의 하한가인 33㎛의 리튬박을 음극 1장씩에 부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공업생산에 맞지 않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또한, 음극 방전 특성 개량을 위해서는 전극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얇은 리튬박이 필요하여 양산하는 것이 더욱 곤란해진다.
이하에, 원통 전지에 있어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 210㎛의 PAS 음극과, 두께 300㎛의 LiCoO2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폭 5.4×길이 34.0cm2) 및 PAS 음극(폭 5.6×길이 36.0cm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원통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리튬 금속박을 압착하기 위해, 음극의 양측에 길이 4.8cm의 집전체를 음극 활성물질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만들었다(음극 전체 길이는 36.0cm+4.8cm). 리튬 금속박(180㎛, 5.4×4.8cm2)을 음극 집전체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도 7과 같이 음극,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와인딩 원통 전지로 하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 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00mAh/g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4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190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8]
실시예 7과 양극, PAS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원통 전지(18650타입)을 10개 조립하였다. 리튬 금속박을 압착하기 위해, 양극의 양측에 길이 5.2㎝의 양극 활성물질을 형성하지 않은 집전체만의 부분을 만들었다(양극 전체 길이는 34.0㎝+5.2㎝). 리튬 금속박(180㎛, 5.4×4.8㎝2)을 양극 집전체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도 8과 같이, 음극,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와인딩 원통 전지로 하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 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00mAh/g였다. 전해액을 주액한 후 즉시 50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4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1900mAh였다(9개의 평균치).
[비교예 5]
실시예 7과 동일하게 두께 210㎛의 PAS 음극과, 두께 300㎛의 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폭 5.4×길이 34.5cm2) 및 PAS 음극(폭 5.6×길이 36.5cm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원통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리튬은 전지내에 배치하지 않았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 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00mAh/g였다.
상기 전지에 4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1300mAh였다(10개의 평균치).
이와 같이 음극 유래의 리튬양이 0mAh/g인 경우, 또는 양극이 본래 갖는 리튬에 가하여, 미리 리튬을 전기화학적으로 담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충분한 용량을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00㎛의 PAS 음극을 얻었다. 또한, V2O5(타입 2의 양극)100중량부와 아세틸렌블랙 10중량부를, 폴리불화비닐리덴 분말 3.5중량부를 N-메틸프로리돈 8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30㎛(기공율 7%)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 양면에 성형하고, 580㎛의 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2.0×3.0cm2) 및 PAS 음극(2.2×3.2cm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9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양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304㎛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8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은 양극 면적(6×18(양면 8장, 한쪽 면 2장)=108cm2)의 5.6%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1000mAh/g 상당이다. 전해액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050mAh/g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3.3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3.3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1.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3.3V-1.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70mAh였다(9개의 평균치).
[실시예 10]
두께 0.5㎜의 페놀 수지 성형판을 실리콘 유닛 전기로 중에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500℃까지 50℃/시간의 속도로, 다시 10℃/시간의 속도로 650℃까지 승온하고 열처리하여 PAS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PAS판을 디스크밀로 분쇄함으로써, 평균 입자 직경 약 7㎛의 PAS 분체를 얻었다. 이 PAS 분체의 H/C 비는0.22였다.
다음에, 상기 PAS 분체 100중량부와 아세틸렌블랙 10중량부를, 폴리불화비닐리덴 분말 10중량부를 N-메틸프로리돈 12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20㎛(기공율 7%)의 구리 펀칭 메탈 양면에 성형하고, 프레스 후 520㎛의 PAS 음극을 얻었다.
또한, LiCoO2100중량부와 그라파이트 5중량부를, 폴리불화비닐리덴 분말 3.5중량부를 N-메틸프로리돈 5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30㎛(기공율 7%)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 양면에 성형하고, 프레스 후 780㎛의 LiCoO2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 음극 각각 10장(60㎝×150㎝) 의 시료를 제작할 때의 신장율 및 탈락의 유무는 표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신장율은 {(프레스 후의 전극 길이-프레스 전의 전극 길이)/프레스 전의 전극 길이}×100으로 얻어진 수치이다.
양극 및 음극 모두 신장율도 작고, 또한 탈락도 없어 전극 수율로써는 100%였다.
양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음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31 3.21 없음 61 2.11 없음
32 3.31 없음 62 1.91 없음
33 3.15 없음 63 2.05 없음
34 3.44 없음 64 2.16 없음
35 3.11 없음 65 2.07 없음
36 3.62 없음 66 1.95 없음
37 2.99 없음 67 2.16 없음
38 3.16 없음 68 2.00 없음
39 3.44 없음 69 1.98 없음
40 3.06 없음 70 2.00 없음
상기 전극을 소정의 사이즈로 절삭한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4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음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270㎛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24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음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음극(한쪽 면 2장, 양면 3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은 음극 면적(7.04cm2×8(양면 3장, 한쪽 면 2장)=56.32cm2)의 10.7%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72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실시예 11]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25㎛(기공율 28%)의 구리 펀칭 메탈을,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5㎛(기공율 20%)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00㎛의 PAS 음극, 두께 300㎛의 LiCoO2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 음극 각각 10장(60㎝×150㎝)의 시료를 제작할 때의 신장율 및 탈락의 유무는 표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양극 및 음극 모두 신장율도 작고, 또한 탈락도 없어 전극 수율로써는 양극, 음극 모두 80%였다.
양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음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41 5.82 없음 71 3.86 없음
42 5.80 없음 72 3.80 있음
43 5.77 없음 73 3.75 없음
44 6.01 없음 74 3.62 없음
45 5.78 없음 75 3.35 없음
46 6.05 있음 76 3.80 없음
47 5.93 없음 77 3.92 있음
48 5.93 있음 78 3.93 없음
49 5.88 없음 79 3.55 없음
50 5.78 없음 80 3.62 없음
상기 전극을 소정의 사이즈로 절삭한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10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음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113㎛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2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음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음극(한쪽 면 2장, 양면 9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면적(6cm2)은 음극 면적(7.04cm2×20(양면 9장, 한쪽 면 2장)=140.82cm2)의 4.3%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0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5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실시예 12]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두께 200㎛의 PAS 음극과 두께 300㎛의 LiCoO2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10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음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13㎛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1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음극에 대향하도록 전극 적층 유닛의 상하에 2장 배치하였다. 음극(한쪽 면 2장, 양면 9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면적(6cm2×2(양면 2장)=12cm2)은 음극 면적(7.04cm2×18(양면 9장, 한쪽 면 2장)=140.82cm2)의 8.5%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0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5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실시예 13]
실시예 10과 동일한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음극 4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양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412㎛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24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3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은 양극 면적(6×8(양면 3장, 한쪽 면 2장)=48cm2)의 12.5%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을 주액한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7일간 실온에서 방치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를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72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실시예 14]
실시예 11과 동일한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음극 10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양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68㎛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2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9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은 양극 면적(6×20(양면 9장, 한쪽 면 2장)=120cm2)의 5.0%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0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5일간 실온에서 방치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실시예 15]
실시예 12와 동일한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5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음극 9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양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68㎛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1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양극에 대향하도록 전극 적층 유닛의 상하에 2장 배치하였다.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2(양면 2장)=12cm2)은 양극 면적(6×18(양면 8장, 한쪽 면 2장)=108cm2)의 11.1%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0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5일간 실온에서 방치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6]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60㎛(기공율 70%)의 구리 익스팬디드 메탈(쌍크 주식회사 제, LW:1㎜, SW:0.5㎜)을 사용하고, 양극 집전체로 두께 240㎛(기공율 88%)의 알루미늄 익스팬디드 메탈(쌍크 주식회사 제, LW:2㎜, SW:1㎜)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양극, 음극 각각 10장(60㎝×150㎝)의 시료를 제작할 때의 신장율 및 탈락의 유무는 표 1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신장율이 크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고, 또한 활성물질의 탈락도 커서, 전극 수율로써는 양극 50%, 음극 60%였다. 2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이 때 3개의 전지가 단락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710mAh였다(6개의 평균치).
양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음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51 19.0 있음 81 11.2 없음
52 19.9 있음 82 12.9 없음
53 19.5 없음 83 14.3 있음
54 20.6 있음 84 14.3 없음
55 20.8 없음 85 15.1 있음
56 18.4 없음 86 16.1 있음
57 20.6 있음 87 13.7 없음
58 21.6 있음 88 14.3 있음
59 19.5 없음 89 15.4 없음
60 18.3 없음 90 15.0 없음
[비교예 7]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30㎛(기공율 40%)의 구리 펀칭 메탈을 사용하고, 양극 집전체로 두께 45㎛(기공율 35%)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양극, 음극 각각 10장(60㎝×150㎝)의 시료를 제작할 때의 신장율 및 탈락의 유무는 표 1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신장율이 크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고 또한 활성물질의 탈락도 커서, 전극 수율로써는 양극 60%, 음극 70%였다. 5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이 때 1개의 전지가 단락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40mAh였다(8개의 평균치).
양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음극No. 신장율(%) 탈락의 유무
61 10.2 있음 91 6.89 있음
62 9.89 없음 92 6.35 없음
63 9.23 없음 93 6.52 있음
64 10.3 있음 94 6.50 없음
65 9.56 없음 95 5.89 없음
66 9.68 없음 96 5.88 없음
67 8.99 없음 97 6.13 없음
68 10.2 있음 98 5.55 없음
69 9.78 있음 99 6.23 있음
70 9.23 없음 100 6.00 없음
[비교예 8]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9]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18㎛의 구리박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0]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두께 290㎛의 PAS 음극과 두께 438㎛의 PAS양극을얻었다. 이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양극 7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음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175㎛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33㎛, 2.0×3.0cm2, 외측의 2장에 대해서는 1.5×2.0cm2)을 음극판에 부착시켰다. 리튬 면적(6cm2×6+3cm2×2=42cm2)은 음극 면적(7.04cm2×14(양면 6장, 한쪽 면 2장)=98.56cm2)의 42.6%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0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8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1]
비교예 6과 동일한 전극을 사용하고,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이 때, 3개의 전지가 단락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710mAh였다(6개의 평균치).
[비교예 12]
비교예 7과 동일한 전극을 사용하고,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5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이 때, 1개의 전지가 단락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40mAh였다(8개의 평균치).
[비교예 13]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의 알루미늄박,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18㎛의 구리막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4]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5]
음극 집전체로써 두께 18㎛의 구리박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20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이 거의 남아 있었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6]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두께 290㎛의 PAS 음극과 두께 438㎛의 PAS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2.0×3.0㎝2) 및 PAS 음극(2.2×3.2㎝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음극 7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음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234㎛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33㎛, 2.0×3.0cm2, 외측의 2장에 대해서는 1.5×2.0cm2)을 양극판에 부착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6+3cm2×2=42cm2)은 양극 면적(6cm2×14(양면 6장, 한쪽 면 2장)=84cm2)의 50%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극, 세퍼레이터, 리튬 금속의 총 두께는 실시예 10과 거의 동일하고, 전해액도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5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150mA의 정전류로 4시가 충전한 후, 7일간 실온에서 방치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한 후,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65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0 및 비교예 16과 같이 양산 가능한 리튬 금속의 하한가인 33㎛의 리튬박을 음극 1장씩에 부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공업 생산에 맞지 않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10,11,13,1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방전 특성 개량을 위해 전극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얇은 리튬박이 필요하게 되어 양산하는 것이 더욱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0∼실시예 15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음극 유래의 리튬을 갖는 전지계, 즉 미리 음극에 리튬을 담지시킨 전지계에 있어서, 방전 특성 등 설계의 자유도가 큰 음극 리튬의 담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원통 전지에 있어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두께 210㎛의 PAS 음극과 두께 300㎛의 PAS 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폭 5.4×길이 34.0cm2) 및 PAS 음극(폭 5.6×길이 36.0cm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원통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리튬 금속박을 압착하기 위해, 음극의 양측에 길이 4.8cm의 집전체를 음극 활성물질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만들었다(음극 전체 길이는 36.0cm+4.8cm).
리튬 금속박(180㎛, 5.4×4.8cm2)을 음극 집전체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도 7과 같이 음극,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와인딩 원통 전지로 하였다. 리튬의 면적(25.92cm2)은 음극 면적(403.2cm2)의 6.4%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 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00mAh/g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4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200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실시예 17]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두께 210㎛의 PAS 음극과 두께 300㎛의 양극을 얻었다. 양극 집전체로써 두께 30㎛(기공율 7%)의 스텐레스 펀칭 메탈(SUS316)을 사용하였다. 이 양극(폭 5.4×길이 34.0cm2) 및 PAS 음극(폭 5.6×길이 36.0cm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원통 전지(18650 타입)를 10개 조립하였다.
리튬 금속박을 압착하기 위해, 양극의 양측에 길이 5.2cm의 집전체를 양극 활성물질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만들었다(양극 전체 길이는 37.0cm+5.2cm). 리튬 금속박(180㎛, 5.4×4.8cm2)을 양극 집전체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도 8과 같이 음극,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와인딩 원통 전지로 하였다. 리튬 면적(25.92cm2)은 양극 면적(399.6cm2)의 7.1%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250mAh/g 상당이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 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00mAh/g였다. 전해액 주액 후 즉시 500mA의 정전류로 4시간 충전한 후, 7일간 실온에서 방치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각각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방전한 후, 4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198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비교예 17]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두께 210㎛의 PAS 음극과 두께 300㎛의 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폭 5.4×길이 34.5cm2) 및 PAS 음극(폭 5.6×길이 36.5cm2)을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원통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리튬은 전지내에 배치하지 않았다.
전해액으로써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의 1:1(중량비) 혼합액에, 1mol/ℓ의 농도로 LiPF6을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500mAh/g였다.
상기 전지에 4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그 후 4.2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20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2.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4.2V-2.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1400mAh였다(10개의 평균치). 10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음극 유래의 리튬양이 0mAh/g의 경우에는 충분한 용량을 얻을 수없다.
[실시예 18]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200㎛의 PAS 음극을 얻었다. 또한, V2O5(타입 2의 양극)100중량부와 아세틸렌블랙 10중량부를, 폴리불화비닐리덴 분말 3.5중량부를 N-메틸프로리돈 8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30㎛(기공율 7%)의 알루미늄 펀칭 메탈 양면에 성형하고, 580㎛의 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2.0×3.0cm2) 및 PAS 음극(2.2×3.2cm2)를 사용하고,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한(음극 9장) 전지를 10개 조립하였다. 외측의 2장의 양극은 양면에 성형된 상기 양극의 한쪽 면을 벗겨서 얻은 두께 304㎛의 것을 사용하였다.
리튬 금속으로써는 리튬 금속박(800㎛, 2.0×3.0cm2) 을 두께 80㎛의 스텐레스망에 압착한 것을 사용하고, 양극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양극(한쪽 면 2장, 양면 8장)과 리튬을 압착한 스텐레스망은 각각 용접하고, 접촉시켰다. 리튬의 대향 면적(6cm2)은 양극 면적(6×18(양면 8장, 한쪽 면 2장)=108cm2)의 5.6%였다. 리튬 금속은 음극 PAS에 대해 1000mAh/g 상당이다. 전해액은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였다. 전지내의 음극 PAS에 대한 총 리튬양은 1050mAh/g였다. 7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개를 분해한 결과 리튬 금속은 완전히 없어졌다.
상기 남은 전지 9개에 15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3.3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3.3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을 12시간 행하였다. 다음에, 70mA의 정전류로 전지 전압이 1.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 3.3V-1.0V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3회째 방전에 있어서 전지 용량을 평가한 결과 470mAh였다(9개의 평균치). 9개의 전지는 모두 쇼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한 것을 표 14에 기재한다.
집전체기공율양극/음극(%) 전극수율양극/음극(%) 셀 용량(mAh) 쇼트율(%) 비고
실시예 10 7/7 100/100 720 0
실시예 11 20/28 80/80 650 0
실시예 12 20/28 80/80 650 0
실시예 13 실시예 10과 동일 실시예 10과 동일 720 0
실시예 14 실시예 11과 동일 실시예 11과 동일 650 0
실시예 15 실시예 12와 동일 실시예 12와 동일 650 0
비교예 6 88/70 50/60 710 33
비교예 7 35/40 60/70 640 11
비교예 8 0/7 100/100 450 0
비교예 9 7/0 100/100 450 0
비교예 10 7/7 100/100 680 0 생산성없음
비교예 11 비교예 6과 동일 비교예 6과 동일 710 33
비교예 12 비교예 7과 동일 비교예 7과 동일 640 11
비교예 13 0/0 0/0 450 0
비교예 14 비교예 8과 동일 비교예 8과 동일 450 0
비교예 15 비교예 9와 동일 비교예 9와 동일 450 0
비교예 16 비교예 10과 동일 비교예 10과 동일 650 0 생산성없음
실시예 16 7/7 100/100 2000 0
실시예 17 실시예 12와 동일 실시예 12와 동일 1980 0
비교예 17 7/7 100/100 1400 0 음극유래Li없음
실시예 18 실시예 10과 동일 실시예 10과 동일 470 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해질 전지는 제조가 용이하고 고용량및 고전압을 가지며, 충전·방전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 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음극 유래의 리튬이 양극 또는 음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 음극을 전기화학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시켜 음극에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음극 활성물질이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이며,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3. 제 2항에 있어서, 음극 활성물질에 대해 전지내에 포함된 총 리튬양이 500mAh/g 이상이고, 또한 음극 유래의 리튬이 100mAh/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4.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 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양극 및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양극유래의 리튬이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 양극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상기 리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어도 1층 이상의 양극 또는 음극을 투과한 후, 양극에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5. 제 4항에 있어서, 음극 활성물질이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이며,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기재된 유기 전해질 전지의 제조방법.
  7.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용매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기공율이 1% 이상 30% 이하이고,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음극 유래의 리튬이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고, 또한 상기 리튬의 대향 면적이 음극 면적의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음극 활성물질이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이며,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9. 제 8항에 있어서, 음극 활성물질에 대해 전지내에 포함된 총 리튬양이 500mAh/g 이상이고, 또한 음극 유래의 리튬이 100mAh/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10. 양극, 음극 및 전해액으로써 리튬염의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 용액을 구비한 유기 전해질 전지로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각각 표리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기공율이 1% 이상 30% 이하이고, 양극 및 음극 활성물질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담지가능하고, 양극 유래 리튬의 적어도 일부가 음극 또는 양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접촉에 의해 담지되고, 또한 상기 리튬의 대향 면적이 양극 면적의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음극 활성물질이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이며, 수소원자/탄소원자의 원자비가 0.5∼0.05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불용불융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해질 전지.
  12. 제 7항 또는 제 10항에 기재된 유기 전해질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17001070A 1998-07-27 1998-07-27 유기 전해질 전지 KR100544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3366 WO2000007255A1 (en) 1998-07-27 1998-07-27 Organic electrolytic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416A true KR20010106416A (ko) 2001-11-29
KR100544986B1 KR100544986B1 (ko) 2006-01-24

Family

ID=1420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070A KR100544986B1 (ko) 1998-07-27 1998-07-27 유기 전해질 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40454B1 (ko)
EP (1) EP1104941B1 (ko)
JP (1) JP4126157B2 (ko)
KR (1) KR100544986B1 (ko)
CN (1) CN1170334C (ko)
AU (1) AU760974B2 (ko)
CA (1) CA2338717C (ko)
WO (1) WO20000072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509A (ko) * 2015-06-18 201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026492A1 (ja) * 2005-08-30 2009-03-0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4924966B2 (ja) 2005-10-17 2012-04-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4813152B2 (ja) 2005-11-14 2011-11-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07180431A (ja) 2005-12-28 2007-07-12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CN101595541B (zh) * 2006-10-17 2012-02-15 麦斯韦尔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能量存储装置的电极及其制备方法
JP4857084B2 (ja) * 2006-11-10 2012-01-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264271B2 (ja) * 2008-04-30 2013-08-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0510B2 (ja) * 2008-08-06 2013-06-2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EP2323201A4 (en) * 2008-09-09 2012-01-11 Panasonic Corp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2605316B8 (en) 2010-08-11 2019-01-23 KRI, Inc. Method for lithium predoping,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s, and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se methods
EP2639801A4 (en) 2010-11-10 2018-03-28 JM Energy Corporation Lithium ion capacitor
JP2012216401A (ja) * 2011-03-31 2012-11-08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蓄電デバイス
JP2012212632A (ja) 2011-03-31 2012-11-01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FR2973950B1 (fr) * 2011-04-06 2013-10-04 Electricite De France Precurseur d'accumulateur lithium-ion a electrode sacrificielle de lithium et electrode textile positive a conversion
FR2973949B1 (fr) * 2011-04-06 2013-10-11 Electricite De France Precurseur d'accumulateur lithium-ion a electrode sacrificielle de lithium et electrode textile negative a conversion
JPWO2013038946A1 (ja) * 2011-09-14 2015-03-26 株式会社Gsユアサ 円筒形電池
US9548165B2 (en) 2012-05-09 2017-01-17 Shin-Etsu Chemical Co., Ltd. Predoping method for lithium, lithium-predoped electrode,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JP6161328B2 (ja) 2012-05-18 2017-07-12 Jsr株式会社 電極活物質、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WO2014156892A1 (ja) 2013-03-25 2014-10-02 Jsr株式会社 電極活物質、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KR101784739B1 (ko) * 2013-12-10 2017-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9941506B2 (en) 2014-02-21 2018-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urrent collector, secondary battery,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630071B2 (ja) 2014-09-01 2020-01-15 Jsr株式会社 電極材料、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CN112018325A (zh) 2014-10-24 2020-12-0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二次电池及二次电池的制造方法
JP6628485B2 (ja) * 2015-03-23 2020-01-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前駆体
JP6668642B2 (ja) 2015-08-27 2020-03-18 Tdk株式会社 安定化リチウム粉末、およびそれを用いた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725261B2 (ja) * 2016-02-25 2020-07-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7052304B2 (ja) 2017-11-10 2022-04-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蓄電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995B2 (ja) 1991-11-25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030996B2 (ja) 1991-11-25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121902B2 (ja) 1992-03-03 2001-01-09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EP0639202B1 (en) * 1992-04-30 1998-11-25 Cor Therapeutics, Inc. Stable polypeptide composition
CA2172378C (en) 1993-09-22 2001-05-29 Hajime Kinoshita Organic electrolytic cell
JPH08162159A (ja) 1994-12-06 1996-06-21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2869354B2 (ja) 1994-12-06 1999-03-10 鐘紡株式会社 有機電解質電池
JPH08162161A (ja) 1994-12-06 1996-06-21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2869355B2 (ja) 1994-12-06 1999-03-10 鐘紡株式会社 有機電解質電池
JP3403856B2 (ja) 1995-03-17 2003-05-06 カネボウ株式会社 有機電解質電池
JP3002123B2 (ja) * 1995-10-05 2000-01-24 鐘紡株式会社 有機電解質電池
EP0964468B1 (en) * 1997-01-27 2007-05-30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Organic electrolytic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509A (ko) * 2015-06-18 201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4986B1 (ko) 2006-01-24
WO2000007255A1 (en) 2000-02-10
CA2338717C (en) 2009-06-30
EP1104941B1 (en) 2015-09-02
CA2338717A1 (en) 2000-02-10
JP4126157B2 (ja) 2008-07-30
EP1104941A4 (en) 2007-06-13
CN1309822A (zh) 2001-08-22
AU8359398A (en) 2000-02-21
AU760974B2 (en) 2003-05-22
CN1170334C (zh) 2004-10-06
US6740454B1 (en) 2004-05-25
EP1104941A1 (en) 2001-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986B1 (ko) 유기 전해질 전지
KR100381526B1 (ko) 유기 전해질 전지
KR100814881B1 (ko) 전지용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전지
US5851504A (en) Carbon based electrodes
US7422826B2 (en) In situ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for making gel polymer lithium ion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s
US20030104282A1 (en) In situ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for making gel polymer lithium ion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s
US6777135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KR20090008121A (ko) 축전 디바이스
EP0492586A2 (en) Non 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KR20150016897A (ko) 플렉시블 집전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7261976B2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10587A (ko) 전극판,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US6846593B2 (en)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employing the same
JPH087926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218285B2 (ja) 有機電解質電池
JP3403856B2 (ja) 有機電解質電池
JP3002123B2 (ja) 有機電解質電池
JP307688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62161A (ja) 有機電解質電池
JPH08162159A (ja) 有機電解質電池
JPH10106546A (ja)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3403857B2 (ja) 有機電解質電池
JP3278837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9102301A (ja) 有機電解質電池
JPH087928A (ja) 有機電解質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