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945A -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945A
KR20010085945A KR1020017005011A KR20017005011A KR20010085945A KR 20010085945 A KR20010085945 A KR 20010085945A KR 1020017005011 A KR1020017005011 A KR 1020017005011A KR 20017005011 A KR20017005011 A KR 20017005011A KR 20010085945 A KR20010085945 A KR 2001008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holder
plate
chassis
e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가와타이조
시오모토신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Abstract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를 기억매체에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고, 이 장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를 갖추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의 위치에 이 장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를 갖추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의 위치에 장치본체에 장착된 메모리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조작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모드의 선택과 메모리의 이젝트조작의 오조작을 방지한다.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는 장치본체에 출몰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동시에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조작가능하고, 이젝트조작부는 장치본체의 일면에 평행으로 이동된다. 이젝트조작부는 메모리의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서 메모리를 장치본체에서 이젝트한다.

Description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torage medium}
종래, 퍼스널컴퓨터나 오디오·비주얼기기에 내장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나, 이들 기기의 외부기억장치로서 이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을 기록매체로 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오디오정보나 비디오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자기테이프나 자기디스크, 혹은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 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집적회로나 플래쉬메모리 등의 고체메모리를 갖추고 보다 소형화가 도모된 판상의 메모리를 기억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고체메모리를 이용한 판상의 메모리는 큰 기억용량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메모리를 이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한층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고체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를 기억매체에 이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테이프카세트나 디스크카트리지에 비하여 충분히 소형화가 도모되는 메모리에 포함시켜 한층 소형화가 가능하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소형화 되면, 이장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나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메모리를 이젝트 조작하기 위한 이젝트조작부 등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여 설치된다.
이와같이 복수의 조작부가 근접하게 배치하여 설치되면, 잘못된 조작을 할 우려가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조작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오류이젝트조작부가 조작되어 메모리가 이젝트되어 버리면, 정확한 정보의 기록이 행하여지지 않게 될 뿐만아니라,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기억매체로서 판상의 메모리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상의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이 장치에 메모리를 삽탈시키는 로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이용되는 판상메모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판상메모리의 저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구성하는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홀더를 섀시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판상메모리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판상메모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서 판상메모리를 이젝트조작할때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파지하여 각종의 조작모드를 선택조작할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c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파지하여 각 종의 조작모드를 선택조작할때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선택조작부를 구성하는 회동가압형 스위치의 기본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회동가압형 스위치를 회동조작한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회동가압형 스위치를 가압조작 하였을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회동가압형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회동가압형 스위치에 설치되는 웨이퍼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판상메모리의 로딩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그 평면도이다.
도 18은 로딩장치를 구성하는 홀더에 부착된 규제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19는 섀시에 부착되는 덮개체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20은 섀시에 부착되는 이젝트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21은 로딩장치에 판상메모리가 삽입되었을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섀시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에 판상메모리가 완전히 꼽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그 측면도이다.
도 24는 판상메모리가 로딩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로딩장치에 장착된 판상메모리를 배출할때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그 측면도이다.
도 27은 판상메모리의 로딩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로딩장치의 비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섀시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에 판상메모리가 완전히 꼽혀진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판상메모리가 로딩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태는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판상의 메모리를 이용하고, 한층 소형화가 도모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이 장치에 기억매체를 로딩하고 혹은 언로딩하는 로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소망의 조작모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을 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를 갖추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의 위치에 적어도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를 설치하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의 위치에 장치본체에 장착된 메모리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조작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모드의 선택과 메모리의 이젝트조작이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설치되는 조작되는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는 장치본체에 출몰(出沒)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동시에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조작 가능하고, 이젝트조작부는 장치본체의 일면에 평행하게 이동된다.
이젝트조작부는 메모리의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서 메모리를 장치본체에서 이젝트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장치본체의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되는 장착 및 분리구가 설치되는 면측에, 적어도 외부기기에서 공급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적어도 데이터의 입력이 행하여질때, 메모리의 이젝트조작이 규제되고, 데이터의 기록중에 메모리가 이젝트되어 데이터의 오기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장치본체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모리의 장치본체로의 삽입단측에 설치된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부가 설치된 홀더와, 홀더에 삽입된 메모리의 일편의 면이 적어도 일부를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창부와, 본체에 설치된 접속부를 덮는 동시에, 홀더의 이동에 관련하여 이동되고, 적어도 홀더가 메모리를 이젝트하는 위치에 이동된때 창부를 거쳐서 장치본체의 외편으로 향하는 덮개판을 갖추고 있다. 이 덮개판에 의해 창부를 크게 하면서, 홀더가 이젝트위치로 이동되었을때 접속부를 외편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판의 창부로 향하는 면에 메모리의 삽입방향이나 메모리의 장착의 유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한층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를 가지고, 장치본체의 일면에 장치본체에 설치된 표시체의 표시면을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제 1창부와 홀더에 삽입된 메모리의 일편의 면에 적어도 일부를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제 2창부를 설치하고, 제 1 및 제 2창부가 일체로 형성된 투시판에 의해 덮으므로써 각 창부에 면하는 표시체의 표시면이나 홀더에 삽입된 메모리에 시행된 표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한층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한층 명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판상의 메모리를 기억매체에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판상메모리(1)를 기억매체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 판상메모리(1)는 합성수지를 몰드성형한 메모리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체(2)를 갖추고, 이 케이스체(2)의 내부에 예를들면 32메가바이트 이상의 크기를 기억용량을 갖는 플래시메모리 등의 메모리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판상메모리(1)는 예를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단변의 길이(W1)를 대략 21.45mm으로 이루고, 장변의 길이(L1)를 대략 50mm로 이루고, 두께(D1)를 대략 2.8mm로 이루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판상메모리(1)를 구성하는 케이스체(2)의 일편의 단변측인 전면(2a)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2a)에서 저면(2b)에 걸치도록 단자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3)에는 서로 칸막이벽(3a)으로 분리된 복수의 전극(3b)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내에 설치된 메모리소자에 대한 정보의 독출 또는 기입동작은 단자부(3)에 설치된 전극(3b)을 거쳐서 행하여진다. 또 단자부(3)는 칸막이벽(3a)에 의해 결합오목부(3c)가 형성되고, 전극(3b)은 결합오목부(3c)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손가락 등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2)의 단자부(3)가 형성된 전면(2a)측의 일편의 코너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호형으로 절결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의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절결부(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절결부(4)가 형성된 측의 일편의 측면(2c)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케이스체(2)의 저면(2b)측을 개방한 오삽입방지홈(5)이 절결부(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4) 및 오삽입방지홈(5)은 판상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될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대한 삽입방향을 규제하여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체(2)의 저면(2b)측에는 단자부(3)의 근방에 위치하여 오류정보신호를 반도체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기록방지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오기록방지스위치(6)는 케이스체(2)내의 조작자에 연결되고, 일편으로 슬라이드된때 새로운 정보신호가 덮어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케이스체(2)의 일편의 측면(2c)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삽입되었을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측에 설치된 결합유지부에 결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2)의 다른편의 측면(2d)측의 개략 중앙부에는 장착검출용의 결합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오목부(8)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측에 설치되는 검출부가 결합함으로써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의 장착의 유무를 검출한다.
판상메모리(1)의 케이스체(2)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평면(2e)측에서 배면(2f)에 걸쳐서 또 저면(2b)측에 걸쳐서 라벨접착부(9)가 설치되어 있다. 라벨접착부(9)는, 케이스체(2)의 평면(2e)측에서 배면(2f)에 걸쳐서, 또 저면(2b)에 걸치는 부분에 오목형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라벨접착부(9)는 라벨(10)이 라벨접착부(9)에 접착될때, 라벨(10)이 케이스체(2)의 외주면에서 돌출하지 않는 혹은 면으로 되는 깊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라벨접착부(9)의 평면(2e)측 부분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케이스체(2)의 배면(2f)측에서 전면(2a)측의 근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라벨접착부(9)에 접착되는 라벨(10)에는 이 판상메모리(1)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명이나 판상메모리(1)에 기록되는 기록내용 등을 나타내는 표시가 표시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판상메모리(1)가 기억매체로서 이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를 판상메모리(1)에 기록하고, 또는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것이다.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합성수지를 성형한 상하 한쌍의 하우징반체(12a, 12b)를 맞대어 결합한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2)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2)내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를 장착하고, 또 자동적으로 판상메모리(1)를 배출하는 로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딩장치는 판상메모리(1)가 삽입유지되는 홀더(13)와, 이 홀더(13)가 부착되는 섀시(14)를 갖추고,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홀더(13)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1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저판(15)의 상대향하는 양측에 한쌍의 제 1 및 제 2측벽(16, 17)이 수직으로 형성되어서 단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섀시(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를 지지하는 메모리지지판(18)의 상대향하는 양측에 한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13)의 개방된 일단측에는 이 홀더(13)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판상메모리(1)의 삽탈구(21)로 이루어진다. 홀더(13)의 삽탈구(21)가 설치된 일단측에 대향하는 타단측에는 이 홀더(13)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에 설치된 단자부(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22)가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3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는 제 1접속단자(2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접속단자(23)는 커넥터(22)의 내편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22)에는 홀더(13)측에 돌출하도록 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내에 설치되는 신호처리회로와 판상메모리(1)내의 메모리와의 사이에서 판상메모리(1)에 기록되고 또는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수수(授受)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로 이루는 제 2접속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22)의 상면측에는 홀더(13)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커넥터(22)의 외편으로 향하는 제 2접속단자(24)를 덮는 덮개판(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판(25)은 홀더(13)가 하우징(12)내에 설치되었을때 후술하는 바와같이 하우징(12)에 설치된 창부를 거쳐서 외편으로 면하여진다. 덮개판(25)의 표면에는 홀더(13)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방향이나 판상메모리(1)의 장착의 유무를 나타내는 표시부(26)가 인쇄나 각인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홀더(13)는 섀시(14)의 저판(15)상에 재치하도록 하고, 도 6중 화살표(B)방향 및 반화살표(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홀더(13)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가이드축을 섀시(14)측에 설치한 이동가이드공에 결합지지함으로써 섀시(14)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저판(15)상을 도 6중 화살표(B)방향 및 반화살표(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다.
홀더(13)와 섀시(14)와의 사이에는 토글스프링(27)이 부착되어 있다.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로의 삽탈을 가능하게 이루는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삽입되고, 도 6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홀더(13)가 섀시(14)의 도중위치까지 이동되면, 토글스프링(27)의 가세방향이 반전함으로써, 토글스프링(27)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6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Eh한 이동되어 소정의 메모리장착위치로 이동된다.
또 홀더(13)는 장착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6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고, 섀시(14)의 도중위치까지 이동되면, 토글스프링(27)의 가세방향이 반전함으로서 토글스프링(27)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6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또한 이동되어 판상메모리(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삽탈위치로 이동된다.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내의 메모리장착위치로이동된 홀더(13)는 섀시(14)의 제 1측벽(16)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이젝트부재(28)가 도 6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조작됨으로써 도 6중 반화살표(B)로 이동되어 삽탈위치로 이동된다. 이젝트부재(28)는 판상메모리(1)를 홀더(13)에 삽입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서 홀더(13)에 삽입유지된 판상메모리(1)의 이젝트조작을 행하는 것이므로, 판상메모리(1)의 이젝트조작의 조작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젝트부재(16)는 이젝트부재(28)와 섀시(14)의 제 1측벽(16)과의 사이에 길게 설치된 인장스프링(30)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6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이동가세되어 있다.
또한 섀시(14)의 홀더(13)의 삽탈구(21)가 면하는 일단측에는 삽탈구(21)를 개폐하는 덮개체(29)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체(29)는 도시하지 않는 가세부재에 의해 상시 삽탈구(21)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또 덮개체(29)는 이젝트부재(28)의 도 6중 화살표(B)방향으로의 이동조작에 연동하여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삽탈구(2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된다.
판상메모리(1)는 단자부(3)가 설치된 전면(2a)측을 삽입단으로 하고, 평면(2e)측을 상편으로 향해서 홀더(13)에 삽입된다. 따라서 판상메모리(1)는 홀더(13)에 삽입되었을때 평면(2e)에 설치된 라벨접착부(9)가 한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서 외편으로 면한다.
상술과 같이 섀시(14)상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홀더(13)는 삽탈구(21)를 하우징(12)의 배면(31)에 설치된 메모리삽탈구(32)에 대향시켜서 하우징(12)내에 설치된다. 이때 홀더(13)는 상면측의 한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하우징(12)의 평면(33)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우징(12)내에 설치된다.
그런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2)의 긴방향에 걸치는 중앙부에서 전면(35)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우징(12)내에 설치된 액정표시체등에 의해 구성된 표시체(34)의 표시면(34a)을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제 1창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창부(36)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우징(12)의 평면(33)의 일단측에 위차하여 하우징(12)의 양측에 걸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2)의 긴쪽방향에 걸치는 중앙부에서 배면(31)측에 위치하는 타단측의 평면(33)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우징(12)내에 설치된 홀더(13)를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제 2창부(37)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13)는 상면측에 개방된 부분을 하우징(12)의 평면(33)측에 대향시켜서 하우징(12)내에 설치됨으로써 이 개방된 부분이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하우징(12)의 외편으로 향하고, 홀더(13)에 삽입된 판상메모리(1)도 제 2창부(37)를 거쳐서 외편으로 향한다.
제 2창부(37)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3)의 상면측의 한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 사이의 개방된 부분 및 커넥터(22)의 제 2접속단자(24)를 덮는 덮개판(25)을 하우징(12)의 외편으로 향하게 하도록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 2창부(37)가 형성됨으로써 도 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3)에 삽입된 판상메모리(1)의 평면(2e)측에 설치된 라벨접착부(9)에 접착된 라벨(10)에 표시된 표시를 하우징(12)의 외부에서 볼 수 있고, 판상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종류나,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덮개판(25)에 표시된 표시부(26)도 제 2창부(37)를 거쳐서 외편으로 향하고, 사용자는 하우징(12)의 외부에서 표시부를 볼 수 있다.
그런데 덮개판(25)은 홀더(13)와 동시에 이동하는 커넥터(2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판상메모리(1)의 삽탈에 관련하여 홀더(13)와 동시에 제 2창부(37)내를 이동한다. 그래서 제 2창부(37)에 크기를 홀더(13)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덮개판(25)의 제 2창부(37)에 대향하는 양이 변화하도록 크게 형성함으로써, 덮개판(25)에 표시되는 표시부(26)의 제 2창부(37)로 향하는 상태를 가변할 수 있다. 표시부(26)에 의해 홀더(13)에 판상메모리(1)를 삽입된 상태로 있지만, 판상메모리(1)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있는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홀더(13)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의 삽탈을 가능하게 이루는 하우징(12)의 배면(31)측에 설치된 메모리 삽탈구(32)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을때 예를들면 덮개판(25)에 설치된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구성한 표시부(26)의 전체가 하우징(12)의 외편으로 향한다. 홀더(13)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홀더(13)에 삽입유지된 판상메모리(1)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내의 장착위치에 장착시키는 위치로 이동한때, 표시부(26)를 구성하는 화살표의 화살의 부분이 덮히도록 크게 제 2창부(37)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홀더(13)에 대한 판상메모리(1)의 삽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창부(36, 37)는 하우징(12)의 공통의 면인 평면(33)에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통의 1장의 투시판(40)에 의해 덮을 수 있다. 투시판(40)은 광투과성을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투시판(40)은 제 1 및 제 2창부(36, 37)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및 제 2투시부(41, 42)가 설치되고, 다른 부분은 착색이 채색되어서 불투명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이 투시판(40)은 적어도 제 1 및 제 2투시부(41, 42)에 홀로그램이 설치되고, 시야각을 제한 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 1 및 제 2투시부(41, 42)의 시야각을 제한 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투시부(41, 42)를 거쳐서 표시체(34)에 표시되는 내용이나 표시부(26)에 기재된 내용을 제 3자가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체(34)의 표시면(35)을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제 1창부(36) 및 홀더(13)의 일부를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제 2창부(37)는 하우징(12)의 공통의 면인 평면(33)에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를 한쪽손으로 파지할때 제 1 및 제 2창부(36, 37)를 동시에 볼 수 있으므로 판상메모리(1)의 장착의 유무나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종류등을 식별하고, 표시체(34)의 표시부(34a)에 표시되는 조작모드 등을 식별하면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망의 정보를 정확히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뿐만 아니라, 조작상태를 확실히 파악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하우징(12)의 한편의측면(45)측으로서, 하우징(12)의 전면(35)측에 위치하는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의 위치에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조작부(46)는 하우징(12)내에 설치된 회동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도 7중 화살표(X1) 및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조작되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기록모드나 재생모드 등의 조작모드를 선택하고, 하우징(12)의 측면(45)에 직교하는 화살표(Y1)방향으로 가압 조작됨으로서 선택된 조작모드를 결정한다.
선택조작부(46)가 설치된 하우징(12)의 일편의 측면(45)의 긴쪽방향의 중앙부에는 선택된 조작모드를 고정하는 홀드버튼(47)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동일한 측면(45)에는 조작모드의 일람을 표시체(34)의 표시부(34a)에 표시시키기 위한 메뉴버튼(45)이 설치되어 있다.
홀더(13)는 상면측의 한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의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제 2창부(37)에 대향하도록 하여 하우징(12)내에 설치된다. 제 1측벽(16)측에 설치된 이젝트부재(28)는 하우징(12)의 다른편의 측면(48)측에 위치한다. 이젝트부재(28)에 설치된 조작부(28a)가 하우징(12)의 다른편의 측면(48)측에 돌출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다른편의 측면(48)에 따라서 도 4중 화살표(B)방향 및 화살표(B)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이젝트조작부(50)에 결합되어 있다. 이젝트조작부(50)가 판상메모리(1)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내에 삽입하는 도 4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조작됨으로써 홀더(13)에 삽입유지된 판상메모리(1)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외편으로 돌출시키는 이젝트조작을 행한다. 이 이젝트조작부(5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우징(12)의 다른편의 측면(48)측에 위치하고,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배면(31)측의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46)가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이젝트조작부(50)가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를 도 9a, 9b, 9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한쪽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선택조작부(46)에 엄지손가락 혹은 집게손가락을 향하게 하면, 이젝트조작부(50)가 손가락에 의해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이젝트조작부(50)를 조작하도록 엄지손가락을 위치시키면, 선택조작부(46)가 손가락에 의해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이므로 사용자가 기록 또는 재생중에 잘못해서 이젝트조작부(50)를 조작해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를 이젝트하여 버리는 오조작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선택조작부(46)를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이젝트조작부(50)를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더구나 선택조작부(46)와 이젝트조작부(50)를 하우징(12)의 다른 측면(45, 48)에 배치함으로써 선택조작부(46)와 이젝트조작부(50)의 오조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메모리삽탈구(32)가 설치되는 하우징(12)의 배면(31)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퍼스널컴퓨터(51)나 디스크드라이브장치(52)등의 외부기기에서 공급되는 제어데이터나 오디오데이터등의 데이터나 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부(55)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입력부(55)는 하우징(12)으로의 접합면에 설치한 커넥터부(56)를 하우징(12)의 배면(31)측에 메모리삽탈구(32)와 병렬하여 설치된 접속단자부(57)에 접속하여 하우징(12)에 부착된다. 입력부(55)의 일편의 측면에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도모하는 데이터입력용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제 1접속부(58)가 설치되고, 타편의 측면에 외부전원입력용의 전원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제 2접속부(59)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접속부(58)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준거하고 있고, 접속코드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51)나 디스크드라이브장치(52)와 접속된다. 그리고 판상메모리(1)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입력부(55)가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전기통신회선(53)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51)에 다운로드된 오디오데이터나 디스크드라이브장치(52)에서 재생되는 광디스크등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가 기록된다. 여기서 전기통신회선(53)은 인터넷, 공중전화회선, 위성통신, 무선통신을 포함한다.
입력부(55)는 메모리삽탈구(32)를 덮어서 하우징(12)의 배면(31)측에 부착되므로, 메모리삽탈구(32)를 폐색하고, 외부기기에서 판상메모리(1)에 기록되는 데이터나 제어용데이터가 입력될때. 확실히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로부터의 이젝트를 규제한다. 후술하지만, 메모리삽탈구(32)를 덮는 덮개체(29)와 이젝트조작부(50)는 연동하고 있기때문에, 입력부(55)가 덮개체(29)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연동되는 이젝트조작부(50)도 규제되고, 결과적으로 기억매체의 이젝트가 규제된다. 따라서 입력부(55)는 외부기기에서 데이터가 입력되었을때, 판상메모리(1)의 이젝트조작이 규제되기때문에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데이터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공급된 데이터의 확실한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록/및 도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46)는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회동가압형 수위치(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개구(71a)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웨이퍼(71)와, 이 웨이퍼(71)에 회동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72)와, 이 조작체(72)의 하면에 고정된 도전성 탄성판으로 되는 접동자(73)와, 중앙의 권회부(74a)의 양단에서 한쌍의 가로대부(74b, 74c)가 돌출하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과, 웨이퍼(71)내에 배치된 클리크판(75)과 웨이퍼(71)의 상부개구(71a)를 덮는 덮개부재(76)로 구성되어 있다.
웨이퍼(71)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개략 원형의 저부(77)와, 이 저부(77)의 주위에 전 주변에 걸쳐서 입설된 주벽(78)으로 되고, 주벽(78)에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한쌍의 가로대부(74b, 74c)가 계지되는 한쌍의 결합단부(78a, 78b)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77)의 중앙에는 조작체(72)를 축지지하는 지지축(79)이 입설되어 있다. 지지축(79)에는 조작체(72)가 가압조작된때의 가압력을 받는 평면부(79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부(77)에는 조작체(72)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회동검출용의 제 1 및 제 2고정접점(80, 81)과, 조작체(72)의 가압조작을 검출하는 제 3고정접점(82)과, 지지축(79)을 끼워서 제 3고정접점(82)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GND에 접속된 공통접점(8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내지 제 3고정접점(80∼82)은 각각 주벽(78)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내지 제 3의 외부출력단자(80a∼8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공통접점(83)도 주벽(78)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외부단자(8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벽(78)은 지지축(79)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형부분에는 조작체(72)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단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단부(84)는 조작체(72)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조작체(72)가 가압조작된때 이동하는 조작체(72)의 가이드를 행하는 가이드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주벽(78)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하우징(12)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공(8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웨이퍼(71)에 설치되는 조작체(72)는 좌우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웨이퍼(71)내에 배치되는 기부(87)와, 웨이퍼(71)에서 돌출하는 조작부(88)와, 이들 기부(87)와 조작부(88)를 연결하는 연결부(89)로 이루고, 연결부(89)는 웨이퍼(71)의 규제단부(84)에 결합되어 있다. 기부(87)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돌기(91)가 입설되어 있고, 이 돌기(91)에 형성된 삽통공(90)은 조작체(72)의 가압방향을 긴쪽방향으로서 형성되고, 지지축(79)이 삽통된다. 또 삽통공(90)의 주위에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을 설치하기 위한환형홈(8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홈(87a)에는 각각 경사진 상방향으로 향해서 한쌍의 결합홈(92, 9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권회부(74a)는 돌기부(91)에 감합되어서 환형홈(87a)내에 설치되고, 양가로대부(74b, 74c)는 결합홈(92, 93)에 결합되고, 또한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 78b)에 계지된다. 또한 삽통공(90)의 평면부(79a)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이 삽통공(90)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부(90a)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90a)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비조작시에는 평면부(79a)와 이간한 상태에 있고, 회동조작된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평면부(79a)와 위치가 엇갈린 상태에 있고, 가압조작된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평면부(79a)가 접촉된다.
조작부(88)는 기부(97)를 중심으로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이 조작부(88)의 중앙의 내측에는 가이드오목부(85)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9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조작체(72)의 회동조작시에 이 가이드돌기(94)는 가이드오목부(85)와 비결합상태에 있고, 웨이퍼(71)의 규제단부(84)의 외측을 이동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조작체(72)의 센터위치에서의 가압조작시에 가이드돌기(94)는 웨이퍼(71)의 가이드오목부(85)에 가이드 되어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조작체(72)에 부착되는 접동자(73)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고, 기부(87)의 하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부착부(95, 96)와, 이들 부착부(95, 96)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접접부(摺接部)(97, 98)를 가지고 있다. 각 접접부(97, 98)에는 돌출하여 제 1 및 제 2가동접점(97a, 98a)이 형성되고, 제 2가동접점(98a)은 공통접점(83)과 상시 접촉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1가동접점(97a)은 조작체(72)가 가압조작 또는 회동조작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제 1 내지 제 3고정접점(80∼82)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조작체(72)가 부착된 웨이퍼(71)에는 상부개구(71a)를 폐색하도록 덮개부재(76)가 부착된다. 이 덮개부재(76)를 웨이퍼(71)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계지부(99)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76)는 이들 계지부(99)를 웨이퍼(71)의 주벽(78)에 따라서 삽입하고, 웨이퍼(71)의 하면에 계지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웨이퍼(71)의 상부개구(71a)를 폐색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동가압형 수위치(70)의 조작방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조작체(72)가 가압조작된때와, 일편에 회동조작된때와, 타편에 회동조작된때의 3개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비사용시에는 조작체(72)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양가로대부(74b, 74c)가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 78b)에 각각 계지되고, 권회부(74a)가 조작체(72)의 돌기(91)에 권회되어서 있기때문에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에 의해 센터위치로의 가세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때 조작체(72)의 가이드돌기(94)는 웨이퍼(71)의 가이드오목부(85)와 비결합상태에 있고, 또 조작체(72)의 삽통공(90)의 평면부(90a)와 지지축(79)의 평면부(79a)가 이간한 상태에 있다. 또 접동자(73)의 제 2가동접점(98a)은 공통접점(83)에 항시 접촉되어 있지만, 제 1가동접점(97a)은 제 1 내지 제 3고정접점(80∼82)의 어느것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어느 전기신호도 출력하고 있지않은 오프상태에 있다.
어느 전기신호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기본상태로 하고, 이 기본상태에서 조작체(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작체(72)에 연동하여 접동자(73)도 지지축(79)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접동자(73)의 제 1가동접점(97a)이 회동검출용의 제 2고정접점(81)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제 2외부단자(81a)에서 제 1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일편의 가로대부(74b)는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에 계지되고, 다른 가로대부(74c)는 조작체(72)의 결합홈(93)의 단부에 의해 회동방향으로 가압되어서 결합단부(78b)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다. 즉,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은 가로대부(74b, 7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조작체(2)에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하고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88)를 손으로 놓으면, 조작체(72)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되돌아 간다.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제 1가동접점(97a)이 회동검출용의 제 2고정접점(81)에서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절단되는 것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가고, 오프의 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체(72)의 회동조작중에 가이드돌기(94)는 가이드오목부(85)에서 분리되고, 규제단부(84)의 외측을 이동한다. 회동가압형 수위치(70)는 조작체(72)의 회동동작시에 잘못해서 조작체(72)에 가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가이드돌기(94)가 규제단부(84)에 접촉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조작체(72)를 가압조작할수 없게 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하게 조작체(7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된 경우 접동자(73)의 제 2가동접점(98a)은 공통접점(83)에 상시 접촉하고 있고, 제 1가동접점(97a)은 회동검출용의 제 1고정접점(80)에 접촉하고, 공통접점(82a)과 도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 1외부단자(80a)를 제 2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조작체(2)가 가압조작되는 경우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작체(72) 및 접동자(73)는 삽통공(90)의 가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서 클리크판(75)이 기부(87)에 가압되어서 좌굴변형하기때문에 클리크감이 생기게 된다. 이것과 동시에 접동자(73)의 제 1가동접점(97a)은 제 3고정접점(8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온의 상태로 되고, 제 3외부단자(82a)를 거쳐서 제 3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은 양가로대부(74b, 74c)가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 78b)에 계지되어 있지만, 권회부(74a)가 조작체(72)의 돌기(91)에 의해 가압방향으로 이동하기때문에 이들 가로대부(74b, 7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되고, 조작체(72)를 센터위치로 가세한다. 사용자가 조작부(88)를 손으로 놓으면 조작체(72)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가세력에서 상승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제 1가동접점(97a)은 가압검출용의 고정접점(82)에서 분리되고,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재차 오프상태로 된다.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조작체(72)의 가압조작중에 가이드돌기(94)가 가이드오목부(85)에 가이드되어서 이동하기때문에 조작체(72)의 가압조작시에 잘못해서 회동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가이드돌기(94)가 가이드오목부(85)의 벽면에 접촉하여 조작체(2)의 회동을 금지하는 것으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46)는 이상과 같은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작체(72)가 도 7중 화살표(X1)방향 또는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하고, 또 도 7중 화살표(Y1)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가 선택되어 결정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는 선택조작부(46)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판상메모리(1)에 기억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을 하고 있을때, 선택조작부(46)가 도 8중 화살표(Y1)방향으로 한번 가압되면, 재생동작을 일시 정지하고, 도 8중 화살표(X1)방향으로 한번 회동되면, 재생중의 곡의 선두출력을 행하고, 단속하여 도 8중 화살표(X1)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된 회전각도분, 전기에 기록된 곡의 선두출력을 행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고 있을때 선택조작부(46)가 도 8중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되면, 현재 재생중의 곡의 다음에 기록된 곡의 선두출력을 행하고, 단속하여 도 8중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된각도분후에 기록된 곡의 선두출력을 행한다. 또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고 있을때 선택조작부(46)가 도 8중 화살표(X1)방향으로 회동되어 계속되면, 재생중의 오디오데이터를 감아 되돌리고, 도 8중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되어 계속되면, 재생중의 오디오데이터를 빠르게 이송한다.
게다고 또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도 4에 나타내는 메뉴버튼(44)이 눌려진때, 표시체(34)의 표시면(34a)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메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메뉴버튼(44)이 눌려진때 표시체(34)의 표시면(34a)에는 재생되는 오디오데이터의 저음을 강조하도록 음질을 변경하는 음질변경기능,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를 반복하여 재생하기 위한 리피드기능, 이어폰등으로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을때에 재생음이 이어폰에서 흘러 주위의 사람에 괴로움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때문에 음량을 제한하는 음량제한기능등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기능의 일람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술한 선택조작부(46)를 도 8중 화살표(X1)방향 또는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표시면(34a)에 표시된 조작메뉴중에서 1개를 선택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선택조작부(46)를 도 8중 화살표(Y1)방향으로 가압조작하는 것으로, 선택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동작이 결정된다. 사용자는 또한 선택조작부(46)를 도 8중 화살표(X1)방향 또는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선택한 동작의 온, 오프를 선택하고, 이어서 도 8중 화살표(Y1)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온, 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메뉴버튼(44)을 가압하고, 표시면(34a)에 표시된 조작메뉴중에서 선택조작부(46)를 도 8중 화살표(X1)방향 또는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음질변경기능을 선택하고, 도 8중 화살표(Y1)방향으로 가압조작하면, 표시면(34a)에는 음질표시기능의 온과 오프의 표시가 된다. 사용자는 또한 선택조작부(46)를 도 8중 화살표(X1)방향 또는 화살표(X2)방향으로 회동하고, 음질표시기능의 온오프를 선택하고, 도 8중 화살표(Y1)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음질변경기능의 온, 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는 선택조작부(46)는 3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적은 조작버튼에서 많은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손바닥 싸이즈까지 소형화 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와 같은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조작버튼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도 적기때문에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는 선택조작부(46)를 설치하는 것은 유효하다.
그런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이용되는 판상메모리(1)의 하우징(12)내에 설치되는 로딩장치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로딩장치(120)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우징(12)에 부착되는 섀시(14)와, 이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판상메모리(1)를 유지하는 홀더(13)를 갖춘다.
섀시(14)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금속판을 타발하여 절곡되게 형성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저판(15)과, 이 저판(15)의 긴쪽방향의 양측에 서로대략 평행하게 이루도록 수직되게 형성된 제 1 및 제 2측벽(16, 17)을 갖추고, 전체가 단면 대략 コ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13)는 저판(15)과 제 1 및 제 2측벽(16, 17)으로 둘러싸는 영역에 판상메모리(1)의 삽입방향과 동일하게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B)방향 및 반화살표(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홀더(13)가 설치되는 저판(15)은 긴쪽방향의 길이가 판상메모리(1)의 긴쪽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배면측에 홀더(1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공(129, 129)이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공(129, 129)은 홀더(13)의 저면에 돌출한 가이드돌기가 결합되고, 홀더(13)의 이동영역을 규제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측벽(16, 17)에는 홀더(13)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영역을 규제하는 가이드공(130, 130)이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저판(15)의 판상메모리(1)의 삽입측으로 이루는 전면측에는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한 홀더(13)를 동일 도면 중 화살표(B)방향으로 가이드시키는 회동아암(131)이 부착되어 있다. 이 회동아암(131)은 중간이 저판(15)에 설치된 지지축(132)에 축지지되고, 이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C)방향 또는 반화살표(C)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아암(131)은 제 1 및 제 2측벽(16, 17)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제 1 측벽(61)측의 일단부에 홀더(13)를 도 16 및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3)가 형성되고, 제 2측벽(17)측의 타단부에이젝트부재(28)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134)가 형성되게 된다. 회동아암(131)의 일단부에 형성된 가압부(133)는 저판(15)에 형성된 개구부(135)에서 외편으로 향해져 있다. 또 타단부에 형성된 피가압부(134)는 이젝트부재(28)와의 접속을 도모하기 위해 섀시(14)의 저판(15)과 제 2측벽(17)에 걸쳐서 형성된 개구부(136)에서 외편으로 향해져 있다.
회동아암(131)은 이젝트부재(28)의 조작자(28a)에 의해 피가압부(134)가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C)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동일 도면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하고, 타단측의 가압부(133)를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섀시(14)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133)에 가압되어서, 섀시(14)의 전면측 즉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또한 저판(15)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하우징(12)에 부착되기 위한 복수의 부착공(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홀더(13)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13)는 메모리지지판(18)의 전면측 양측에 판상메모리(1)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는 메모리지지판(18)의 양측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판상메모리(1)와 두께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서로 대략 평행한 측벽(144, 145)과, 이들 측벽(144, 145)의 선단측을 메모리지지판(18)과 평행하게 이루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지지편(146, 147)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13)의 전측면에는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와 메모리지지판(18)으로 구성되는 판상메모리(1)를 삽탈하기 위한 삽탈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메모리유지부(19)와 제 2메모리유지부(20)와의 사이에는 개방되어 있고,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가 판상메모리(1)를 유지한때 사용자는 라벨접착부(9)에 접착된 라벨(10)을 하우징(12)의 제 2창부(37)를 거쳐서 눈으로 볼 수 있다.
또 홀더(13)의 배면측에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단에 설치된 전극(3b)이 접속되는 커넥터가 부착되는 커넥터부착부(1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착부(148)는 메모리지지판(18)의 전면측을 제외한 측연에 형성된 커넥터의 부착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벽(149a, 149b, 149c)과 메모리지지판(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규제벽(149a, 149b, 149c)의 선단에는 커넥터부착부(148)에 커넥터를 계지하기 위한 커넥터계지편(151)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착부(148)를 구성하는 메모리지지판(18)에는 커넥터를 위치결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위치결정공(150, 150)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착부(148)에 부착되는 커넥터(22)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의 전극(3b)과의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단자판(153)과, 이 단자판(153)에 부착되는 단면 대략 コ자형의 커버(154)로서 구성된다. 커넥터(22)는 단자판(153)에 커버(154)가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판상메모리(1)의 전면측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전면측에 단자부(3)가 형성된 판상메모리(1)의 전면이 삽입되는 삽입구(15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154)에는 한편의 측벽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 때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오목부(7)에 결합되는 탈락방지편을 구성하는 탄성결합편(160)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되는 것으로, 판상메모리(1)를 홀더(13)내에 유지하고, 로딩장치(120)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가 탈락하지 않도록 한다.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오목부(7)에 결합할때 탄성변위하는 것으로, 이용자에 클리크감을 부여하고, 이용자에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인식시킨다. 이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에서 삽입되지 않을때, 판상메모리(1)가 홀더(13)내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오삽입방지편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커넥터(22)에는 커버(154)의 배면벽에 판상메모리(1)의 배면에 설치된 절결부(4) 및 오삽입방지홈(5)에 결합하는 탈락방지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커넥터(22)의 저면을 구성하는 단자판(153)에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23)와, 신호처리회로 등의 전기회로가 끼워진 프린트배선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플렉시블 프린트배선기판이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전극(3b)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접속단자(23)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부가 상편에 돌출하고, 판상메모리(1)의 전극(3b)에 가압되어서 탄성변위한다.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때,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개방측에서 진입하고, 전극(3b)에 가압상태에서 접촉하는 것으로,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접속단자(24)에는 신호처리회로등의 전기회로가 끼워진 프린트배선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배선기판이 접속된다. 즉, 제 1접속단자(23)에 단자부(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메모리(1)는 제 2접속단자(24)와 하우징(12)에 설치되는 프린트배선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배선기판을 거쳐서 프린트배선기판에 설치된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제 2접속단자(24)는 플렉시블 프린트배선기판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구(155)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배선기판은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와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제 1접속단자(23)와 제 2접속단자(24)가 설치된 커넥터(22)를 구성하는 단자판(153)의 이면측에는 홀더(13)의 메모리지지판(18)에 구성된 커넥터부착구(148)에 위치결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위치결정돌기(158, 158)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22)를 구성하는 커버(154)의 천정판에는 상술한 덮개판(25)이 접착등에 의해 부착된다. 덮개판(25)은 단자판(153)에 설치된 제 2접속단자(24)를 덮도록 커버(154)의 천정판에 부착되어 있다. 이 덮개판(25)은 로딩장치(120)가 하우징(12)에 부착된때 하우징(12)의 제 2창부(37)를 거쳐서 외편으로 면하게 된다. 즉, 덮개판(25)은 제 2접속단자(24)를 은폐할 수 있는 정도로 또한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 때, 라벨접착부(9)에 접착된 라벨(10)을 은폐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덮개판(25)의 표면에는 홀더(13)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방향이나, 판상메모리(1)의 장착의 유무를 나타내는 표시부(26)가 인쇄나 각인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단자판(153)에 커버(154)가 부착된 커넥터(22)는 메모리기판(18)의 커넥터부착부(148)에 형성된 위치결정공(150, 150)에 단자판(153)의 위치결정돌기(158, 158)가 결합되고, 커넥터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벽(149a, 149b, 149c)의 선단부에 형성된 커넥터계지편(151)이 절곡되어 커넥터(22)가 계지되는 것으로, 커넥터부착부(148)에 부착된다. 또한 단자판(153)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158, 158)는 메모리지지판(18)의 위치결정공(150, 150)을 삽통하고, 홀더(13)의 메모리지지판(18)에서 돌출하고, 이 돌출한 부분이 섀시(14)에 형성된 가이드공(129, 129)에 결합하는 것으로,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하여 이동할때의 가이드돌기로서도 기능한다.
홀더(13)의 측벽(144, 145)과 평행한 커넥터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판(149a, 149b)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외측의 면에 섀시(14)의 제 1 및 제 2측벽(16, 17)에 형성된 가이드공(130, 13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59, 159)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13)의 메모리지지판(18)에는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가이드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공(171)에는 섀시(14)의 저판(15)에 부착된 회동아암(131)의 지지축(132)이 결합된다. 즉 이 지지축(132)도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하여 이동할때의 가이드돌기로서도 기능한다.
홀더(13)의 제 2메모리유지부(20)를 구성하는 측벽(145)에는 도 16,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에 대한 홀더(1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61)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규제부재(161)는 기단측에 축공(162)이 형성되고, 홀더(13)의 측벽(145)에 설치되어 지지축(162a)에 삽통됨으로써 도 18중 화살표(D) 및 반화살표(D)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규제부재(161)는 선단측에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삽입된때,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부(163)는 홀더(13)에 유지된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결합되도록 홀더(13)의 메모리지지판(18) 및 측벽(145)에 걸쳐서 형성된 개구부(164)에서 홀더(13)내에 면하여진다. 또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의 또한 선단측에는 메모리지지판(18) 및 측벽(145)에 형성된 개구부(164)의 주연의 이면측에 계지되고, 규제부재(161)의 도 18중 화살표(D)방향의 회동영역을 규제하는 계지부(1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165)의 근방에는 홀더(13)가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부착된때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부착되었을때, 섀시(14)의 저판(15)의 개구부(136)의 근방에 설치된 결합돌기(170)에 결합되는 규제공(166)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공(166)은 섀시(14)에 형성된 결합돌기(170)에 결합하는 것으로,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슬라이드 하는 것을 금지한다. 즉,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때, 홀더(13)가 규제부재(161)에 의해 삽탈위치에 록되어 있기때문에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가 제 1접속단자(23)에 확실히 접속된다.
상술과 같은 규제부재(161)는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167)에 의해 홀더(13)의 내편측인 도 18중 화살표(D)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67)은 기체부(167a)가 홀더(13)의 측벽(145)에 직립된 지지축(162a)에 규제부재(161)의 상측에서 결합된다. 또한 토션스프링(167)의 일편의 아암부(167b)가 홀더(13)의 측벽(145)에 형성된 계지편(168)에 계지되고, 다른편의 아암부(167c)가 규제부재(161)에 형성된 계지편(169)에 계지된다. 상술의 구성에 의해 토션스프링(167)은 규제부재(161)를 도 18중 화살표(D)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규제부재(161)는 선단부의 계지부(165)를 개구부(164)의 근방의 메모리지지판(18)의 이면측에 계지시키고, 결합돌기부(163)를 개구부(164)에서 홀더(13)내에 면하여진 상태에서 측벽(145)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홀더(13)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넥터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판(149a, 149b)에 설치된 가이드돌기(159, 159)가 섀시의 가이드공(130, 130)에 결합하고, 커넥터부착부(148)에 부착된 단자판(153)의 위치결정돌기(158, 158)가 섀시(14)의 가이드공(129, 129)에 결합한다. 또한 홀더(13)는 섀시(14)측의 회동아암(131)의 지지축(132)이 홀더(13)의 메모리지지판(18)에 형성된 가이드공(171)에 결합됨으로써 섀시(14)의 제 1 및 제 2측벽(16, 17)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홀더(13)는 판상메모리(1)내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걸쳐서 슬라이드 된다. 여기서 삽탈위치와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장착위치와는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이다. 홀더(13)가 삽탈위치에 있을때 판상메모리(1)의 삽탈이 행하고, 홀더(13)가 장착위치에 있을때,판상메모리(1)내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이 행하여진다.
섀시(14)와 홀더(13)와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가세부재인 토글스프링(27)에 의해 접속된다. 이 토글스프링(27)은 선형부재가 권회되어서 이루는 코일부(174)와, 코일부(174)에서 다른편측에 연장된 제 2아암부(176)로 된다. 그리고 제 1 아암부(175)의 선단부에는 섀시(14)측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175a)가 형성되고, 제 2아암부(176)의 선단부에는 홀더(13)측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17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결합부(175a)는 섀시(14)를 구성하는 저판(15)의 이면측에 설치된 제 1결합돌기(177)에 결합되고, 제 2결합부(176a)는 홀더(1`3)를 구성하는 메모리지지판(18)의 이면측에 설치된 제 2결합돌기(178)에 결합된다.
상술과 같이 섀시(14)와 홀더(13)를 접속한 토글스프링(27)은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에 이동한 삽탈위치에 있을때 도 16 및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상태에 있다.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토글스프링(27)은 홀더(13)를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상태로 반전하고, 홀더(13)를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슬라이드 시킨다. 또 홀더(13)가 장착위치에 있을때, 섀시(14)의 저판(15)에 부착된 회동아암(131)이 도 17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아암(131)의 일단에 형성된 가압부(133)는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한다. 제 2상태에 있는 토글스프링(27)은 회동아암(131)의 가압부(133)가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홀더(13)가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홀더(13)를 가세하는 제 1상태로 반전하고, 홀더(13)를 삽탈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과 같이 홀더(1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섀시(14)에는 홀더(13)의 전면측에 형성된 판상메모리(1)의 삽탈구(21)와 섀시(14)의 전면을 개폐하는 덮개체(29)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체(29)는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삽탈구(21) 및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폐색판(182)과, 이 폐색판(18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회동지지아암(183, 184)을 갖춘다.
폐색판(182)은 홀더(13)의 삽탈구(21) 및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제 1폐색부(185)와, 섀시(14)의 저판(15)의 전면에 형성된 절결부(180)에 감압하는 폐색부(186)로 이룬다.
섀시(14)의 제 1측벽(16)측에 위치하는 제 1회동지지아암(183)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선단측에 덮개체(29)를 회동지지 하기 위한 제 1지지공(1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지지공(187)은 섀시(14)의 제 1측벽(16)의 전면측에 설치된 제 1지지축(188)에 결합된다. 덮개체(29)는 제 1회동지지아암(183)측에서,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189)에 의해 삽탈구(21)를 폐색하는 도 20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89)은 기체부(189a)가 섀시(14)의 제 1측벽(16)에 형성된 결합편(191)에 결합된다. 또한 토션스프링(189)은 한편의 아암부(189b)가 제 1이동지지아암(183)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지부(192)에 계지되고, 타편의 아암부(189c)가 제 1측벽(16)에 형성된 계지부(193)에 계지되는 것으로, 덮개체(29)를 도 20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가세하고 있다.
섀시(14)의 제 2측벽(17)측에 위치하는 제 2회동지지아암(184)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선단측에 제 2지지공(187)과 동시에 덮개체(29)를 회동지지하기 위한 제 2지지공(1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지지공(194)은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전면측에 설치된 제 2지지축(195)에 결합된다. 제 2회동지지아암(184)의 선단부에는 이젝트부재(28)에 의해 가압되어서 덮개체(29)를 도 20중 반화살표(E)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돌기부(196)가 설치된다. 돌기부(196)의 하측에는 폐색판(182)측에 이젝트부재(28)의 캠부가 접촉하기 쉽기때문에 경사면부(197)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덮개체(29)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 1 및 제 2지지공(187, 194)에 제 1 및 제 2지지축(188, 195)이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지지축(188, 195)을 중심으로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E)방향 및 반화살표(E)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덮개체(29)는 토션(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제 2회동지지아암(184)에 형성된 돌기부(196)의 경사면부(197)가 이젝트부재(28)의 캠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으로, 덮개체(29)는 도 19 및 도 20중 반화살표(E)방향으로 제 1 및 제 2지지축(188, 195)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 및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한다.
섀시(14)의 제 2측벽(17)에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의 배면측인 장착위치에 있는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젝트부재(28)가 설치된다. 이젝트부재(28)는 제 2측벽(17)에 긴쪽방향, 즉 도 20중 화살표(B)방향 및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젝트부재(28)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의 제 1측벽(17)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장축의 대략 직사각형으로 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부재(28)에는 긴쪽방향에 따라서 제 1가이드공(202)과 제 2가이드공(20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가이드공(202)에는 섀시(14)의 제 2측벽(17)에 설치된 가이드돌기부(204)가 결합되고, 제 2가이드공(203)에는 제 2측벽(17)에 형성된 가이드편(205)이 결합된다. 이젝트부재(28)는, 제 1가이드공(20)에 제 2측벽(17)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204)에 형성된 나사공(206a)에 고정나사(206)가 나사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제 2측벽(17)에 부착된다.
이젝트부재(28)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가세부재인 인장스프링(30)에 의해 도 20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30)은 일단이 이젝트부재(28)의 섀시(14)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계지편(211)에 계지되고, 타단이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긴쪽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계지편(212)에 계지되는 것으로, 이젝트부재(28)를 도 20중 화살표(B)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섀시(14)의 제 2측벽(17)에 부착되는 이젝트부재(28)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에 섀시(14)의 저판(15)과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하고, 상술한 덮개체(29)의 제2회동지지아암(184)에 형성된 돌기부(196)를 가압하는 캠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207)는 섀시(14)의 저판(15)에 형성된 개구부(136)에서 섀시(14)내에 면하여져 있다. 그리고 캠부(207)는 덮개체(29)의 제 2회동지지아암(184)에 설치된 돌기부(196)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부(197)를 가압하기 쉽기때문에 섀시(14)의 배면측으로 이루는 측에 하측에 절곡한 절곡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부재(28)의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에는 상술한 회동아암(131)의 타단측에 형성된 피가압부(134)를 섀시(14)의 배면측, 즉 도 20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동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상술과 같은 이젝트부재(28)는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 20중 화살표(B)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젝트부재(28)를 도 20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젝트부재(28)가 도 20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캠부(207)는 덮개체(29)의 제 2회동지지아암(184)에 설치된 돌기부(196)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부(197)를 가압하고, 덮개체(29)를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하는 도 20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조작편(209)에 형성된 가압부(210)는 회동아암(131)의 피가압부(134)를 도 20중 화살표(C)방향으로 가압하고, 동방향으로 회동아암(131)을 회동시킨다. 회동아암(131)의 일단에 형성된 가압부(133)는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하고, 홀더(13)를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회동아암(131)의 가압부(133)가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홀더(13)가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홀더(13)가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토글스프링(27)은 홀더(13)를 도 17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상태로 반전하고, 홀더(13)를 삽탈위치에 가세하고, 홀더(13)를 삽탈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로딩장치(120)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기때문에 판상메모리(1)내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지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비사용시의 로딩장치(120)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한 삽탈위치에 있고, 섀시(14)와 홀더(13)를 접속하는 토글스프링(27)은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가세하는 제 1상태에 있다.
덮개체(29)는 덮개체(29)측의 계지부(192)와 섀시(14)측의 계지부(193)에 계지된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가세되고, 섀시(14)의 전면 및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폐색한다. 덮개체(29)는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 로딩장치(120)내에 진애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회동아암(131)은 가압부(133)가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도 17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다. 또 섀시(14)의 제 1측벽(16)에 부착된 규제부재(16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한편의 아암부(167b)가 측벽(145)에 형성된 계지편(168)에 계지되고, 타편의 아암부(167c)가 회동아암(131)에 형성된 계지편(169)에 계지된 토션(167)에 의해 도 18중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가세된다.규제부재(16)는 선단부의 계지부(165)가 홀더(13)의 메모리지지판(18)에 형성된 개구부(164)의 근방의 이면에 계지된 상태에 있고, 선단측에 설치된 결합돌기부(163)가 홀더(13)내에 면하고, 규제공(166)이 섀시(14)의 저판에 설치된 결합돌기(170)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즉, 홀더(13)는 규제부재(161)의 규제공(166)이 섀시(14)의 결합돌기(170)에 결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섀시(14)에 대하여 배면측으로 이루는 도 17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젝트부재(28)는 이젝트부재(28)측의 스프링계지편(211)과 섀시(14)측의 스프링계지편(212)에 계지된 인장스프링(30)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루는 도 17 및 도 20중 반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 표시부(26)를 볼 수 있고, 사용자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로의 삽입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비사용시의 로딩장치(120)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가 설치된 전면측을 삽입단으로 하고, 주면(2a)을 섀시(14)의 저판(15)과 대향하는 하측으로 하여 삽입된다. 판상메모리(1)가 로딩장치(120)의 전면측에서 삽입되었을때 덮개체(29)는 손가락 또는 판상메모리(1)의 전면부를 당기는등 하여, 덮개체(29)를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E)방향으로 가세하는 토션(189)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섀시(14)의 전면측, 즉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하는 동일 도면 중 반화살표(E)방향으로 회동된다.
섀시(14)의 전면을 덮개체(29)가 개방함과 동시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는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를 삽입단으로서 삽입된다.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의 전면측의 선단과 주면(2a)측에 형성된 결합오목부(8)와의 사이의 영역이 홀더(13)내에 면하여진 규제부재(161)상을 도 21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때 규제부재(161)는 홀더(13)내에 면하여진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가 판상메모리(1)의 선단과 주면(2a)측에 형성된 결합오목부(8)와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 가압되는 것으로, 토션스프링(167)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지지축(162a)을 회동지지점으로서 도 21중 반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된다. 규제부재(161)가 반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규제부재(161)의 규제공(166)은 도 18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측의 결합돌기(170)와 결합되고,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에 수반해서 섀시(14)의 배면측의 도 21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을 금지된 상태로 된다.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가 홀더(13)에 설치된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에 접속되기까지 규제부재(161)에 의해 삽탈위치에 록되는 것으로, 확실히 단자부(3)를 구성하는 전극(3b)이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에 접속된다.
또한 판상메모리(1)가 로딩장치(120)내에 삽입되면,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즉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을때 판상메모리(1)가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되면, 판상메모리(1)는홀더(13)의 배면측에 설치된 커넥터(22)의 삽입구(155)에서 삽입된다.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개방단에서 결합오목부(3c)에 결합하고, 전극(3b)을 가압한 상태에서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도모된다.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3c)에 제 1접속단자(23)가 결합하고, 전극(3b)과 제 1접속단자(23)가 접속된때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는 홀더(13)내의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의 상편에 위치한다. 그러면 여기까지 판상메모리(1)의 선단에서 결합오목부(8)에 걸치는 영역에 결합돌기부(163)가 가압되고, 도 23중 반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던 규제부재(161)는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와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가 결합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으로, 토션스프링(167)의 가세력에 의해 도 23중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고, 결합돌기부(163)가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여기까지 섀시(14)의 결합돌기부(170)에 결합되어 있던 규제부재(161)의 규제공(166)과 결합돌기(170)와의 결합상태는 해제되고, 홀더(13)는 섀시(14)의 배면측인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2 및 도 23 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된다.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때,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넥터(22)에 설치된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오목부(7)에 결합하고, 판상메모리(1)가 홀더에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오목부(7)에 결합한때 탄성변위하는 것으로 이용자에 클리크감을 부여하고, 판상메모리(1)가 홀더(13)내에 완전히 삽입된 것, 즉 단자부(3)와 제 1접속단자(23)가 확실히 결합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 인식시킨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사용자가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 표시부(26)를 볼 수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판상메모리(1)가 상술과 같은 정규한 상태에서 로딩장치(12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즉 판상메모리(1)가 배면측에서 삽입된 경우나 판상메모리(1)가 주면(2a)을 상측으로 되어서 삽탈구(21)에서 삽입된 경우에는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삽입된 경우라도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가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어도 홀더(13)내의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의 상편에는 판상메모리(1)의 결합돌기부(8)가 없기때문에, 규제부재(161)는 결합돌기부(163)가 판상메모리(1)의 주면에 가압된채의 상태이다. 즉 규제공(166)이 섀시(14)의 결합돌기(170)와 결합된 상태가 계속되게 된다. 따라서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에 수반해서 섀시(14)의 배면측의 도 21중 화살표(B)방향 슬라이드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것에 의해 로딩장치(120)는 판상메모리(1)가 오삽입된 경우에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2 및 도 23중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금지되고,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판상메모리(1)가 정규의 상태에서 삽입되지 않을때,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오목부(7)에 결합하지 않기때문에 판상메모리(1)가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단자부(3)의 결합오목부(3c)에 제 1접속단자(23)가 결합하여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까지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고,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후 또한 판상메모리(1)가 도 22 및 도 23중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되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는 로딩장치(120)내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로딩장치(120)에 장착되고,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 또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또한 가압되면, 홀더(13)는 규제부재(161)의 규제공(166)과 섀시(14)의 결합돌기(170)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섀시(14)의 배면측인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2 및 도 23중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 있다.
홀더(13)가 판상메모리(1)에 의해 도 24중 화살표(B) 방향으로 가압되면, 토글스프링(27)이 도 24중 화살표(B) 방향으로 가세되어서 제 1상태에서 반전하고, 동일 도면중 반화살표(B) 방향으로 홀더(13)를 가세하는 제 2상태로 된다. 토글스프링(27)이 도 24 중 화살표(B) 방향으로 가세되는 것으로, 홀더(13)는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슬라이드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22)에 접속된 판상메모리(1)는 로딩장치(120)내에 완전히 수납된다, 판상메모리(1)의 배면측에서 섀시(14)의 전면측을 폐색하는 것을 저지되어 있던 덮개체(29)는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23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고, 로딩장치(120)내에 진애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섀시(14)의 저판(15)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회동아암(131)은 홀더(13)가 도 24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일단측의 가압부(133)가 토글스프링(27)의 제 2아암부(176)의 결합부(176a)가 결합된 제 2결합돌기(178)에 의해 가압되고, 도 24중 반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된다.
상술과 같이 판상메모리(1)의 제 1전극(3b)과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가 접속된 상태에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는 커넥터(22)의 제 2접속단자(24)에 접속된 플렉시블배선기판을 거쳐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판상메모리(1)는 이 장착위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컴퓨터등의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카드본체(2)에 내장된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이 행하고 혹은 반도체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신호의 독출이 행하여진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라벨접착부(9)에 접착된 라벨(10)의 기재를 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판상메모리(1)가 장착된 로딩장치(120)는 다음과 같은 판상메모리(1)를 로딩장치(120)에서 배출한다. 즉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장치본체의 케이스체에서 외편으로 면하는 이젝트조작부(50)를 거쳐서 조작자(28a)가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B)방향으로 가압되면, 이젝트부재(28)는 인장스프링(30)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이젝트부재(28)의 캠부(207)는 덮개체(29)의 제 2회동지지아암(184)에 설치된 돌기부(196)를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B)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캠부(207)에는 절곡부(208)가 형성되고, 돌기부(196)에는 하측의 절곡부(208)와 대향하는 위치에 경사면부(19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부(207)는 돌기부(196)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캠부(207)가 덮개체(29)의 돌기부(196)를 가압하는 것으로,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고 있는 덮개체(29)는 캠부(207)가 덮개체(29)의 돌기부(196)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도 26중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을 개방하고, 판상메모리(1)를 배출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와 동시에 이젝트부재(28)의 조작편(209)에 형성된 가압부(210)는 도 25중 반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되고, 피가압부(134)가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회동아암(131)의 피가압부(134)에 접촉된다. 그리고 이젝트조작부(50)가 또한 조작되고, 또 이젝트부재(28)가 또한 도 25 및 26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가압부(210)는 회동아암(131)의 피가압부(134)를 가압하고, 회동아암(131)을 도 25중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이젝트부재(28)의 가압부(21)가 회동아암(131)의 피가압부(134)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회동아암(131)의 가압부(133)는 토글스프링(27)의 제 2아암부(176)의 결합부(176a)가 결합된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한다. 섀시(14)와 홀더(13)를 접속한 제 2상태에 있는 토글스프링(27)은 반전하고, 홀더(13)를 도 25중 반화살표(B)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상태로 돌아가고, 홀더(13)를 도 25 및 도 26중 반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섀시(14)의 배면측에 있던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유지하고 있는 판상메모리(1)의 배면측을섀시(14)의 전면에 의해 로딩장치(120)외로 면하게 한다.
섀시(14)의 전면에서 배면측이 외편으로 향하여진 판상메모리(1)는 이용자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서 뽑아내고,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와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후 덮개체(29)는 토션(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 및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폐색하고, 로딩장치(120)내에 진애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판상메모리(1)의 로딩장치(120)는 판상메모리(1)를 배출할때 이용자가 장치본체의 케이스체에 설치된 이젝트조작부를 조작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있는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홀더(13)에 부착된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전극(3b)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이 로딩장치(120)에서는 최종적인 판상메모리(1)의 취출은 이용자에 의해 행하여진다. 따라서 로딩장치(120)는 이젝트버턴을 가압조작하는 것으로,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전극(3b)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로딩장치에 비하여 이젝트조작부를 조작하는 조작력이 작게 되고, 용이하게 판상메모리(1)의 이젝트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판상메모리(1)가 오삽입된때에는 규제공(166)이 섀시(14)측의 섀시(14)의 결합돌기(170)와 결합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로딩장치(120)로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의 설명에서는 판상메모리(1)의 로딩장치(120)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수단으로서 규제부재(161)를 이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로딩장치(220)는 규제부재의 부분을 해제하여서 상술한 로딩장치(12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때문에 로딩장치(120)와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로딩장치(220)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3)를 구성하는 측벽(145)측에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서 섀시(14)의 배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부제(221)가 부착된다. 이 규제부재(221)는 홀더(13)의 측벽(145)에 따라서 설치되도록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221)는 중앙에 지지공(222)이 형성된다. 이 지지공(222)에 홀더(13)의 측벽(145)과 나란하게 형성된 커넥터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벽(149b)에 설치된 지지축(223)이 삽통되는 것으로, 도 27중 화살표(F) 방향 및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로딩장치(220)는 홀더(13)의 배면측이 개방된 상태에 있다.
규제부재(221)가 규제벽(149b)에 부착된때, 규제부재(221)의 홀더(13)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후단부에는 홀더(13)의 내편으로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편(224)이 형성된다. 이 절곡편(224)에는 판상메모리(1)가 홀더(13)내에 삽입된때, 판상메모리(1)의 삽입단측에 형성된 경사면부(3a)가 돌출결합되어 가압되는 피가압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가압부(225)는 홀더(13)의 배면측에서 홀더(13)내에 면하고, 홀더(13)내에 정규한 상태에서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때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와 대향하도록 절곡편(224)의 하단에서 하편으로 향해서 예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221)에는 하단측의 중앙에 홀더(13)의 삽탈위치에서 장착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26)가 형성되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226)는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록할때 섀시(14)의 저판(15)과 제 2측벽(17)에 걸쳐서 형성된 결합공(227)에 결합된다. 섀시(14)의 저판(15)과 제 2측벽(17)에 걸치는 위치에는 결합공(227)에서 섀시(14)의 배면측에 규제부(226)의 도피로 되는 슬릿(228)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226)는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기까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때문에 후단측에 수직면부(229)가 형성되고, 결합공(227)의 후단에 확실히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규제부(226)는 홀더(13)가 판상메모리(1)를 이젝트하기때문에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서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할때 슬릿(228)의 전단을 원활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경사면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221)는 지지공(222)에 홀더(13)의 규제벽(149b)에 형성된 지지축(223)이 삽통되어 규제벽(149b)에 도 27중 화살표(F) 방향 및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규제부재(221)는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231)에 의해 도 27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31)은 기체부(231a)가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가 형성된 후단부와 대향하는 전단부에 설치된 부착편(232)에 부착된다. 이 토션스프링(231)은 일편의 아암부(231b)가 홀더(13)를 구성하는 측벽(145)에 형성된 계지편(233)에 계지되고, 타편의 아암부(231c)가 규제부재(221)의 하단에 형성된 계지편(234)에 계지된다. 토션스프링(231)은 규제부재(221)를 도 27중 화살표(F) 방향으로 가세하고, 규제부(226)를 결합공(227)에 결합시킨다.
도 27중 화살표(F)방향에 가세되어 있는 규제부재(221)는 동일 도면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규제돌기(235)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규제돌기(235)는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상단의 캠부(236)에 결합된다.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을때, 회동규제돌기(235)는 제 1수평면부(236a)와 결합한다.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있을때 회동규제돌기(235)는 제 2수평면부(236b)와 결합한다. 캠부(236)는 제 1 및 제 2수평면부(236a, 236b)와, 이들 제 1 및 제 2수평면부(236a, 236b)를 연결하는 경사면부(236c)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수평면부(236a)는 제 2수평면부(236b)에서 1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규제돌기(235)는 홀더(13)가 삽탈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할때 제 1수평면부(236a), 경사면부(236c), 제 2수평면부(236b)상을 이 순서에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규제부재(221)는 지지공(222)에 삽통된 홀더(13)의 지지축(223)은 섀시(14)의 제 2측벽(17)에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공(237)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로딩장치(220)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어서 판상메모리(1)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홀더(13)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한 삽탈위치에 있다. 이때 규제부재(221)는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의해 지지축(223)을 중심으로 하여 도 28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되고, 규제부(226)를 섀시(14)의 결합공(227)에 결합시킨 상태에 있다. 따라서 규제부재(221)가 부착되어 있는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기록된 상태에 있다. 이때 규제부재(221)의 회동규제돌기(235)는 캠부(236)를 구성하는 제 1수평면부(236a)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 표시부(26)를 볼 수 있고, 이용자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로의 삽입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로딩장치(220)에는 도 29에 나타태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가 단자부(3)측을 삽입단으로서 삽탈위치에 규제부재(221)에 의해 록되어 있는 홀더(13)에 삽입된다. 판상메모리(1)가 로딩장치(220)의 전면측에서 삽입된때, 덮개체(29)에 손가락 또는 판상메모리(1)의 전면부를 당겨서 거는 등 하고, 덮개체(29)를 섀시(14)의 전면을 개방하는 도 29중 반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한다.
섀시(14)의 전면이 개방됨과 동시에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를 삽입단으로서 삽입된다. 이때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개방단에서 결합오목부(3c)에 결합하고, 전극(3b)을 가압한 상태에서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접속단자(23)와 전극(3b)이 접속되기까지 규제부재(221)의 규제부(226)는 섀시(14)의 결합공(227)에 결합되고, 홀더(13)가 삽탈위치에 록되어 있는 것으로,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가 결합오목부(3c)에 결합하고, 단자부(3)와 확실히 전기적인 접속이 도모된다. 판상메모리(1)가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되면,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는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가압된다. 그러면 규제부재(221)는 지지축(223)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도 29중 반화살표(F)방향으로 회동되고, 규제부(226)와 결합공(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서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사용자가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표시부(26)를 볼 수 있는 상태이다.
판상메모리(1)가 상술한 바와같은 정규한 상태에서 로딩장치(22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접속단자(23)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결합오목부(3c)에 결합되지 않는다.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도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가압되지 않는다. 규제부재(221)는 도 29중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없고, 규제부(226)와 섀시(14)의 결합공(227)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고, 홀더(13)는 삽탈위치에 록된채의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로딩장치(220)는 판상메모리(1)가 오삽입된 경우에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8중 화살표(B)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금지되고,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 후 또한 판상메모리(1)가 도 29중 화살표(B) 방향으로 가압되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는 로딩장치(220)내에 완전히 수납되고 로딩장치(220)에 장착되어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 또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는 규제부재(221)가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도 30중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하고, 규제부(226)와 결합공(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규제부재(221)의 회동규제돌기(235)는 캠부(236)를 구성하는 제 1수평면부(236a)에서 경사면부(236c)를 거쳐서 제 1수평면부(236a)에서 1단 높은 제 2수평면부(236b)로 이동한다. 규제부재(221)는 제 1수평면부(236a)에서 1단 높은 제 2수평면부(236b)로 이동하는 것으로,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의해 도 30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29)는 도 30중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되고, 홀더(13)의 삽탈구(21) 및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고, 로딩장치(220)내에 진애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이고,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라벨접착부(9)에 접착된 라벨(10)의 기재를 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판상메모리(1)가 장착된 로딩장치(220)는 다음과 같이 판상메모리(1)를 로딩장치(220)에서 배출한다. 즉 장치본체의 케이스체에서 외편으로 향하여진 이젝트조작부(50)가 조작되면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있는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도 30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규제부재(221)는 회동규제돌기(235)가 캠부(236)를 구성하는 제 2수평면부(236b)에서 1단 낮은 제 1수평면부(236a)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 29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홀더(13)에는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어 있기때문에 규제부재(221)는 피가압부(225)가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가압된 상태이고, 도 29중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판상메모리(1)의 배면측은 덮개체(29)가 개방하고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 외편으로 향하여진다.
판상메모리(1)가 이용자에 의해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서 뽑아 냄으로서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와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는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의해 도 28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재(221)의 규제부(226)는 섀시(14)의 결합공(227)에 결합되고,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록된다. 판상메모리(1)가 완전히 로딩장치(220)에서 뽑아낸후 덮개체(29)는 도 28중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되고,삽탈위치에 있는 홀더(3)의 삽탈구(21)를 폐색하고, 로딩장치(220)내에 진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로딩장치(220)도 전술한 로딩장치(120)와 동시에 커넥터(22)를 홀더(13)에 부착하고, 판상메모리(1)의 삽탈조작을 사용자에 위임하는 것으로, 판상메모리(1)를 로딩장치(220)에서 배출할때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사용편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로딩장치(220)는 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에서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삽입된때에 한해서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가 가압되고, 규제부(226)와 섀시(14)의 결합공(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정보신호의 기억 또는 재생을 행하는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에서 홀더(13)에 삽입되지 않은때는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가 가압되지 않고, 규제부(226)와 결합공(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기때문에 홀더(13)가 삽탈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로딩장치(220)도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의 예에서는 규제부재가 홀더(13)에 부착되어 있지만, 규제부재는 섀시(14)에 대하여 홀더(1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라면 좋다. 따라서 규제부재는 섀시(14)에 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로딩장치(120, 120)는 홀더(13)가 판상메모리(1)를 유지한상태에서 삽탈위치와 장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따라서 덮개판(25)은 홀더(13)와 동시에 이동하는 커넥터(2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판상메모리(1)의 삽탈에 관련하여 홀더(13)와 동시에 제 2창부(37)내를 이동한다. 따라서 로딩장치(120, 220)를 갖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제 2창부(37)의 크기가 홀더(13)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덮개판(25)의 제 2창부(37)에 대향하는 양이 변화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덮개판(25)에 표시하는 표시부(26)의 제 2창부(37)에 면하는 상태가 가변된다. 또한 표시부(26)에 의해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 상태에 있지만, 판상메모리(1)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있는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홀더(13)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판상메모리(1)의 삽탈을 가능하게 이루는 하우징(12)의 배면(31)측에 설치된 메모리삽탈구(32)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을때 예를들면 덮개판(25)에 설치된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구성한 표시부(26)의 전체가 하우징(12)의 외편에 면하고, 홀더(13)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홀더(13)에 삽입유지된 판상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내의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위치에 이동된때, 표시부(26)를 구성하는 화살표의 일부 예를들면 화살의 부분이 덮어지는 크기로 제 2창부(37)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홀더(13)에 대한 판상메모리(1)의 삽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된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의 위치에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를 설치하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의 위치에 장치본체에 장착된 판상메모리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조작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모드의 선택과 판상메모리의 이젝트조작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이룬다. 소형화가 가능한 판상메모리를 이용함으로서 한층 소형화가 도모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조작성의 향상을 달성한다.

Claims (100)

  1. 기록매체가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조작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이젝트조작부가 설치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이젝트조작부가 설치되는 면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이젝트를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삽탈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기억매체삽탈구가 설치되는 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의 구동전원을 상기 장치본체에 공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와 퍼스널컴퓨터를 접속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와 디스크구동장치를 접속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외부기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준거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상기 기억매체의 이젝트를 규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기억매체삽탈구를 폐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기억매체삽탈구를 개폐하도록 회동자재로 설치된 덮개체와, 상기 이젝트조작부에 연결되어서 상기 덮개체와 결합하는 이젝트부재를 갖추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덮개체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덮개체에 결합되는 이젝트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이젝트부재에 연결되는 이젝트조작부의 이동을 규제하여 이루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창부를 설치하여 이루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측으로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조작모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상기 표시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또 다른 창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 및 상기 또 다른 창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투시판에 의해 덮어지고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은 적어도 상기 창부 및 상기 또 다른 창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시야각이 제한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은 홀로그램인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덮는 동시에 상기 창부에서 상기 장치본체의 외편으로 면하는 덮개판을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을 표시하는 심볼이 설치되고, 상기 심볼은 상기 창부에서 투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기억매체에 접착된 라벨을 상기 장치본체의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신호처리회로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에 상기 기억매체를 로딩하는 로딩부를 갖추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로딩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를 거쳐서 상기 기억매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에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를 가지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 2접속단자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기억매체가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와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가 제 1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조작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이젝트조작부가 설치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이젝트조작부가 설치되는 면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이젝트를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삽탈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기억매체삽탈구가 설치되는 면에 삽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의 구동전원을 상기 장치본체에 공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와 퍼스널컴퓨터를 접속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와 디스크 구동장치를 접속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6.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외부기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준거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7.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상기 기억매체의 이젝트를 규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입력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기억매체삽탈구를 폐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9.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기억매체삽탈구를 개폐하도록 회동자재로 설치된 덮개체와, 상기 이젝트조작부에 연결되어서 상기 덮개체와 결합하는 이젝트부재를 갖추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덮개체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덮개체에 결합되는 이젝트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이젝트부재에 연결되는 이젝트조작부의 이동을 규제하여 이루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창부를 설치하여 이루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측으로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조작모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상기 표시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또다른 창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 및 상기 또 다른 창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투시판에 의해 덮어지고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은 적어도 상기 창부 및 상기 또 다른 창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시야각이 제한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은 홀로그램인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6.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덮는 동시에 상기 창부에서 상기 장치본체의 외편으로 면하는 덮개판을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을 표시하는 심볼이 설치되고, 상기 심볼은 상기 창부에서 투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8.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기억매체에 접착된 라벨을 상기 장치본체의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신호처리회로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에 상기 기억매체를 로딩하는 로딩부를 갖추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로딩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를 거쳐서 상기 기억매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에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를 가지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 2접속단자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에 접속되기까지, 상기 홀더의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장치본체내의 섀시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규제부를 갖음으로써 상기 홀더의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억부에 접속된후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를 해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상기 제 1위치에 규제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홀더에 회동자재로 설치되는 동시에 일편에 가세되고, 상기 섀시에 형성되는 결합부에 결합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의 전면측과 상기 돌기부가 결합하는 동시에 타편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쥬제부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고, 상기 기억매체의 오목부와 상기 돌기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일편에 회동되고, 상기 규제부의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재차 해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섀시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하는 규제부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단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가지고,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제 1위치에 있는 홀더에 삽입되고,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삽입단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와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7.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홀더에 회동자재로 설치되는 동시에 일편에 가세되고,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단에 상기 피가압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타편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규제부와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8.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홀더에 오삽입된 때,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의 해제가 금지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9.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섀시에 형성되는 돌기부에 결합되는 구멍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0.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섀시에 형성되는 구멍부에 결합하는 돌기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1.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상기 섀시에 계지되는 가세부재의 타단이 계지됨으로써 상기 섀시에 접속되고, 상기 규제부재에 의한 상기 제 1위치로의 규제의 해제후, 상기 가세부재에 의해 상기 제 2위치의 방향으로 가세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성기 이젝트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이젝트부재를 갖추고, 상기 홀더는 상기 이젝트부재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이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3.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회동자재로 설치되는 회동아암을 갖추고, 상기 회동아암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단이 가압됨으로써, 타단이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이동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4.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부재는 이젝트방향으로 가세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5.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의 삽탈을 행하는 섀시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섀시의 전면측을 폐색하는 폐색부와, 상기 폐색부를 상기 섀시에 대하여 회동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7.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일단이 상기 섀시에 계지되어 타단이 상기 회동지지부에 계지되는 가세부재에 의해 폐색방향으로 가세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트부재를 갖추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이젝트부재에 가압됨으로써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9.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이젝트부재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상기 회동지지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가압되고,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상기 섀시의 전면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0.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기억매체가 정규한 상태에서 삽입된 때 상기 기억매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되는 오삽입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1. 기억매체를 장치본체에 장착하는 스텝과,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되는 선택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스텝과,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는 이젝트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의 이젝트가 행하여지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2.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조작되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3.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를 이젝트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가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평행하게 이동조작되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4.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를 이젝트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가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조작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이젝트가 행하여지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5.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삽탈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6.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기억매체삽탈구가 설치되는 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입력부가 적어도 외부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전송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7.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외부전원으로부터의 구동전원을 상기 장치본체에 공급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8.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장치본체와 퍼스널컴퓨터를 접속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79.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장치본체와 디스크구동장치를 접속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0.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입력이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이젝트를 규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입력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기억매체삽탈구를 폐색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2.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덮개체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덮개체에 결합되는 이젝트부재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이젝트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이젝트조작부의 이동이 규제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3.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4.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창부에서 상기 장착되는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5. 제 84항에 있어서,
    덮개판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덮는 동시에 상기 창부에서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6.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에 접착되는 라벨이 상기 창부에서 외편으로 면하여지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7.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신호처리회로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에 상기 기억매체를 로딩하는 스텝을 갖추고, 상기 덮개판이 외편으로 면하게 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제 2접속단자를 덮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8.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가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스텝은 또한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스텝과, 상기 홀더가 제 1위치에 규제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와 상기 홀더에 설치된 커넥터가 접속되는 스텝과,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과, 상기 규제가 해제되고,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상기 홀더를 수납하는 제 2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89.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규제되는 스텝은 상기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에 의해 규제부재가 회동하는 스텝과, 상기 회동되는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섀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제 1위치에 규제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0.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은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기억매체의 오목부와 상기 규제부재의 돌기부가 결합하여 상기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1.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규제가 해제된 후 상기 기억매체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되어 온 홀더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2. 제 9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가 상기 제 2위치까지 이동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3.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조작부에 결합되는 이젝트부재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텝과, 상기 제 2위치에 있는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를 상기 이젝트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 1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4. 상기 홀더가 상기 제 1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텝은, 상기 이동되는 이젝트부재에 일단이 가압됨으로써 섀시에 설치되는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스텝과,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5.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제 1위치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던 홀더가 상기 기억매체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가 상기 제 1위치까지 이동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6.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가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스텝은 또한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접속되는 스텝과,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홀더에 상기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과, 상기 규제가 해제되고, 상기 기억매체를유지하는 상기 홀더를 수납위치인 제 2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7.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은, 상기 단자부와 상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에 의해 규제부재가 회동하는 스텝과, 상기 규제부재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재와 섀시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8.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던 홀더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가세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가 상기 제 2위치까지 이동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99. 홈페이지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고,
    상기 장치는,
    기록매체가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내를 파지하는 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가능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되는 기억매체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조작부를 갖추고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0. 기억매체가 손바닥사이즈의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스텝과.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되는 선택조작부를 상기 장치본체를 파지하는 손가락에 의해 조작하는 스텝과,
    상기 조작에 따라서 상기 장착되는 기억매체에 액세스 하는 스텝과,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는 이젝트조작부를 상기 장치본체를 파지하는 손가락 상태가 변경된 후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하는 스텝을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방법.
KR1020017005011A 1999-08-24 2000-08-18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KR20010085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762199 1999-08-24
JP99-237621 1999-08-24
JP35086199 1999-12-09
JP99-350861 1999-12-09
PCT/JP2000/005559 WO2001015068A1 (fr) 1999-08-24 2000-08-18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our le chargement d'un support d'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945A true KR20010085945A (ko) 2001-09-07

Family

ID=2653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011A KR20010085945A (ko) 1999-08-24 2000-08-18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32858A4 (ko)
JP (1) JP4539005B2 (ko)
KR (1) KR20010085945A (ko)
CN (1) CN1327568A (ko)
AU (1) AU6596700A (ko)
CA (1) CA2348550A1 (ko)
WO (1) WO2001015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82873B3 (de) * 1999-08-24 2014-09-18 Sony Corporation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Laden eines Aufzeichnungsträgers
EP1600886A1 (en) * 2004-05-18 2005-11-30 Aiptek International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expansible function module
JP2015106537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リコー 電源供給ケーブル、中継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ユニット
JP7316561B2 (ja) * 2019-03-11 2023-07-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21190152A (ja) * 2020-06-04 2021-12-13 船井電機株式会社 記憶装置の着脱構造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9990A (ja) * 1986-06-09 1987-12-16 Hitachi Ltd 透視窓付icカ−ド採用電気品
JPH01169690A (ja) * 1987-12-25 1989-07-04 Toshiba Corp メモリカード
JPH03110566U (ko) * 1990-02-23 1991-11-13
JP3529394B2 (ja) * 1992-10-19 2004-05-24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情報処理装置
JP3019280U (ja) * 1995-05-18 1995-12-1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カード用ホルダ
JPH10111917A (ja) * 1996-10-04 1998-04-28 Olympus Optical Co Ltd 携帯型音声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178691A (ja) * 1996-12-19 1998-06-30 Sony Corp アダプタ装置の着脱機構及びスピーカユニットの着脱機構
JPH10198772A (ja) * 1997-01-09 1998-07-31 Hitachi Ltd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JP4051728B2 (ja) * 1997-08-07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1195867A (ja) * 1997-09-18 1999-04-09 Toshiba Corp 取り外し可能なカード形の電子部品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H11163984A (ja) * 1997-11-25 1999-06-18 Denso Corp 無線通信装置
JPH11282500A (ja) * 1998-03-31 1999-10-15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再生装置
JPH11296199A (ja) * 1998-04-15 1999-10-29 Yukihiko Ohashi 音声録音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7568A (zh) 2001-12-19
CA2348550A1 (en) 2001-03-01
JP4539005B2 (ja) 2010-09-08
EP1132858A4 (en) 2004-10-27
EP1132858A1 (en) 2001-09-12
WO2001015068A1 (fr) 2001-03-01
AU6596700A (en) 200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5317B2 (ja) 電子機器
JP2910114B2 (ja) 電子機器
US6768645B2 (en) IC card and IC-card adaptor
CN100426839C (zh) 电子装置
JP2002189992A (ja) 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と携帯型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
JP2008243369A (ja) 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032715A (ja)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ー装置
KR100880257B1 (ko)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20010085945A (ko)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JP4240706B2 (ja)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H10135669A (ja) 電子機器
KR100764032B1 (ko)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JP4669746B2 (ja) 情報記憶媒体挿入機器
JPH1120556A (ja) 電子機器の車載用取付け装置
US7222795B2 (en) Loading device for storage medium having connection terminal
MXPA01003981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torage medium
KR100303554B1 (ko) 디스크 수납용 카트리지 어댑터의 인식홀 변환장치
JP2002042059A (ja) 蓋開閉装置
JP3198650B2 (ja) コンピュータ制御電子機器
JP4158215B2 (ja) 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7192451A (ja) 記憶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記録再生装置
JP2001067859A (ja) ディスク装置
GB2300315A (en) Station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JPH10302366A (ja) 蓋体のロック機構及び電子機器
JP2002093135A (ja) カード状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