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257B1 -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257B1
KR100880257B1 KR1020037005459A KR20037005459A KR100880257B1 KR 100880257 B1 KR100880257 B1 KR 100880257B1 KR 1020037005459 A KR1020037005459 A KR 1020037005459A KR 20037005459 A KR20037005459 A KR 20037005459A KR 100880257 B1 KR100880257 B1 KR 10088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torage medium
chassis
bia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656A (ko
Inventor
한자와히사시
오가와다이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the housing being a portable ca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stationary discs, or cards provided with a circular record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메모리를 사용하는 기억매체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내외에 걸쳐서 반송하는 반송장치이며, 기억매체(1)가 삽입 유지되고, 기억매체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이젝트위치와 기억매체의 장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되는 홀더(52)의 이동에 관련하여 이동하고, 또한 요동되는 요동레버(93)의 섀시(71)또는 홀더(52)에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홀더(52)를 기억매체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 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94)에 이젝트방향의 가세력을 축적하고, 홀더(52)를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95)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홀더(52)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의 이동과 이젝트방향의 이동의 전환을 행한다.

Description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Storage medium convey apparatus and convey method and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고체 메모리를 기억소자에 사용하는 기억매체를, 예를 들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내의 장착위치에 반송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 반송장치를 사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신호의 기억매체로서, 고체 메모리를 기억소자로 사용하는 기억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고체 메모리를 사용한 기억매체는, 큰 기억용량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기억매체를 사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한층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억매체의 평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억매체의 저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가 적용된 로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기억매체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기억매체와 함께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커넥터에 기억매체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홀더가 초기위치에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요동레버를 포함하는 로딩 제어기구가 설치된 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홀더를 섀시에 로크하는 로크기구가 설치된 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홀더가 초기위치에 이동되어 있을 때의 로딩 제어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홀더에 기억매체가 삽입되고, 기억매체의 접점부가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홀더에 기억매체가 삽입되고, 기억매체의 접점부가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요동레버가 홀더에 의해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이동된 후 요동하여 섀시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요동레버와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요동레버가 섀시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요동레버와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요동레버가 섀시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 제어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홀더에 삽입된 기억매체가 장착위치에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홀더가 제 2의 끌어당기는 코일스프링의 가세력을 받아서 기억매체 장착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홀더가 제 2의 끌어당기는 코일스프링의 가세력을 받아서 기억매체 장착위치에 이동된 상태에 있을 때의 로딩 제어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홀더에 장착한 기억매체를 이젝트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홀더에 장착한 기억매체를 이젝트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큰 기억용량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고체 메모리를 기억소자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억매체의 반송장치의 한층더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이 반송장치를 사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한층더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체 메모리를 기억소자로 사용하는 기억매체를 확실히 장치 내외의 반송가능하게 하는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장착위치에 반송된 기억매체를 확실히 이젝트하는 것이 이젝트기구를 갖춘 반송장치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는, 기억매체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기억매체의 선단측에 설치된 접점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홀더와, 홀더에 설치됨과 동시에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섀시에 로크되고, 홀더의 섀시에 대한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의 접점이 홀더의 접속단자에 접속될 때, 기억매체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기구와, 로크기구에 의한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어서 이동되는 홀더에 결합하고,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요동레버와,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요동레버를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홀더를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갖춘다. 이 반송장치는, 요동레버가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가세수단에, 요동레버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시킴과 동시에, 요동레버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홀더에의 결합이 해제되고, 또한 섀시로의 결합에 의해,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제 2가세부재에 의해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진다.
여기서, 요동레버는, 제 1가세수단에 의해 홀더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또, 요동레버는,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홀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측에 설치된 회동규제부에 의해 홀더에 대한 결합의 해제가 규제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에 사용되는 로크기구는, 섀시에 결합하는 로크편과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가압조작부를 가지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가세부재에 의해 로크편을 섀시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된 로크레버를 갖춘다.
반송장치의 섀시에는,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 삽탈구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체는, 가세부재에 의해 기억매체 삽탈구를 항상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는, 다시 기억매체의 홀더에 대한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섀시에 지지됨과 동시에, 요동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를 갖춘다. 여기서, 제 1가세수단은, 슬라이더와 섀시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를 갖춘다. 제 2가세수단은, 슬라이더와 홀더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홀더를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를 갖춘다. 요동레버는, 로크기구에 의한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고,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가세부재에 슬라이더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하고, 요동레버에 설치된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섀시측에 설치된 절결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동레버의 결합부에 대해서, 홀더에 의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힘과 요동레버에 대한 제 1가세부재에 의한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이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절결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부와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요동레버 및 슬라이더가 섀시에 대하여 로크됨과 동시에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제 2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진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는, 또한, 제 2가세수단에 의해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된 홀더를 제 2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조작시키는 이젝트 조작수단을 갖추고,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제 2가세수단에 의해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져서 기억매체의 로딩위치에 유지되었을 때, 이젝트 조작수단을 경유하여 홀더를 제 2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요동레버의 섀시에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을 받아서 요동레버와 일체로 홀더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홀더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젝트 조작수단은, 홀더와 일체로 이동하는 이젝트 조작편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는, 다시, 기억매체의 홀더에 대한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섀시에 지지됨과 동시에, 요동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를 갖춘다. 이 장치를 구성하는 제 1가세수단은, 슬라이더와 섀시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를 가지며, 제 2가세수단은, 슬라이더와 홀더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홀더를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를 갖춘다. 요동레버는, 로크기구에 의한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고,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가세부재에 슬라이더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하고, 요동레버에 설치된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섀시측에 설치된 절결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동레버의 결합부에 대하여, 홀더에 의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힘과 요동레버에 대한 제 1가세부재에 의한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이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절결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부와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요동레버 및 슬라이더가 섀시에 대하여 로크됨과 동시에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제 2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져서 기억매체의 로딩위치에 유지되고, 이젝트 조작수단을 경유하여 홀더를 제 2가세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 1가세부재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요동레버를 회동시켜서 요동레버 로크기구에 의한 섀시에의 로크를 해제시키고, 제 1가세부재의 가세력을 받아서 요동레버와 일체로 홀더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홀더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억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기억매체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기억매체의 선단측에 설치된 접점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홀더와, 홀더의 접속단자에 접점이 접속되는 기억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과, 홀더에 설치됨과 동시에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섀시에 로크되고, 홀더의 섀시에 대한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의 접점이 홀더의 접속단자에 접속될 때, 기억매체에 가압됨으로써 섀시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기구와, 로그기구에 의한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어서 이동되는 홀더에 결합하고,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요동레버와,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요동레버를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홀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갖춘다.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요동레버가 홀더와 일체로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가세수단에 요동레버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시킴과 동시에, 요동레버의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홀더에의 결합이 해제되고, 또한 섀시에의 결합에 의해,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제 2가세수단에 의해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진다.
본 발명은, 기억매체의 반송방법이고, 기억매체가 홀더 내에 삽입되는 스텝과, 기억매체의 접점과 홀더 내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텝과, 기억매체의 접점과 홀더 내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에, 홀더를 섀시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기억매체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스텝과, 기억매체와 함께 홀더가 다시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텝과, 홀더와 결합됨으로써 홀더와 일체로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레버가 섀시에 결합됨과 동시에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스텝과, 레버가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사이에 삽입방향으로 대향하는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을 제 1가세수단에 축적하는 스텝과, 레버에 의한 결합이 해제된 홀더만이 제 2가세수단에 의해 기억매체와 동시에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지는 스텝을 갖춘다.
이 기억매체의 반송방법은, 또한, 레버에 의한 결합이 해제된 홀더만이 제 2가세수단에 의해 기억매체와 함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 로딩위치에 유지하는 스텝과, 로딩위치에 유지된 홀더를 제 2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요동레버의 섀시에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을 받아서 요동레버와 일체로 홀더를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홀더를 초기위치에 이동시키는 스텝을 갖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한층 명백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가 적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사용되는 기억매체를 설명하면, 이 기억매체(1)는, 고체 메모리를 메모리소자에 사용한 것이며, 합성수지를 몰드성형한 메모리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체(2)를 갖추고, 이 케이스체(2)의 내부에, 예를 들면, 32메가바이트 이상의 큰 기억용량을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기억매체(1)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의 길이(W1)를 대략 21.45mm로 하고, 장변의 길이(L1)를 대략 50mm로 하고, 두께(D1)를 대략 2.8mm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억매체(1)를 구성하는 수납체(2)의 한쪽의 단변측에 있는 일단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치도록 접점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3)에는, 서로 칸막이 벽(3a)에 분리된 복수의 접점(3b)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 내에 설치된 메모리소자에 대한 정보의 독출 또는 기입동작은, 접점부(3)에 설치된 접점(3b)을 경유하여 행해진다.
케이스체(2)의 접점부(3)가 형성된 일단면측의 한쪽의 코너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절결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의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절결부(4)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체(2)의 절결부(4)가 형성된 측의 한쪽의 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체(2)의 저면측을 개방한 오삽입 방지구(5)가 절결부(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4) 및 오삽입 방지구(5)는, 판형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될 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대한 삽입방향을 규제하여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납체(2)의 저면측에는, 접점부(3)의 근방에 위치하여, 잘못하여 정보신호를 반도체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기록 방지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오기록 방지스위치(6)는, 케이스체(2) 내의 조작자에 연결되고, 한쪽에 슬라이드 되었을 때, 정보신호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쪽에 슬라이드 되었을 때, 새로운 정보신호가 덮어쓰기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수납체(2)의 한쪽의 측면 및 다른 쪽의 측면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삽입되었을 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측에 설치한 결합유지부에 결합하고, 혹은 장착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결합하는 제 1및 제 2결합오목부(7, 8)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기억매체(1)를 사용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기록재생장치는,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를 기억매체(1)에 기록하고, 또는 기록매체(1)에 기억된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것이다. 이 기록재생장치(11)는,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서 이루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한 직방체형태로 형성된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2)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2) 내에는, 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가 적용된 기억매체(1)의 로딩장치가 내장되고, 이 로딩 장치를 경유하여 기억매체(1)의 로딩이 행해진다. 하우징(12)의 저면에는, 하우징(12)에 내장된 로딩장치에 기억매체(1)를 삽탈하기 위한 기억매체 삽탈구(13)가 설치되어 있다. 기억매체 삽탈구(13)는, 기억매체(1) 접점부(3)가 설치된 일단측을 삽입단으로서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억매체 삽탈구(13)는, 로딩장치 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에 의해 폐색된다.
하우징(12) 내에는, 장착된 기억매체(1)에 대하여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고, 혹은 기억매체(1)에 기억된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회로나 기타의 신호처리부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2)의 일 측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매체(1)에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모드를 선택하는 기록모드 선택키(19), 재생모드 선택키(14), 기록모드 등의 조작모드를 정지하는 정지키(15), 기타의 조작모드의 선택을 행하는 각종 조작키(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2)의 전면측의 상편측의 위치에는, 액정소자 등으로 이루는 표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17)에는, 현재의 조작모드나 기억매체(1)에 기록되는 정보의 인덱스 등이 표시된다. 이 표시부(17)가 설치된 전면측 상편측의 코너부에는, 외부음성의 집음을 행하는 마이크로폰(18)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속코드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나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와의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준거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춘 기록재생장치는, 기억매체 삽탈구(13)를 경유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억매체(1)를 장치본체 내의 장착위치에 장착하고, 기록모드 선택키(19)를 조작하여 기록조작모드로 함으로써, 접속부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데이터와 마이크로폰(18)을 경유하여 집음되는 음성의 기록이 행해진다. 또, 재생모드 선택키(14)를 조작하여 재생조작모드로 함으로써, 장착된 기억매체(1)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예로서, 콤팩트 디스크(CD) 등의 광디스크를 기억매체에 사용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나 자기디스크를 기억매체에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일체적으로 내장한 기록재생장치(21)가 있다.
이 기록재생장치(2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22)의 상부측에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23)가 설치되어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23)의 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광디스크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회전구동기구에 착탈자재로 장착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23)에 대한 광디스크의 착탈은, 하우징(22)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체(24)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하우징(22)의 상부를 개방하고, 광디스크 드라이브(23)의 디스크회전 구동기구를 외부방향으로 임하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덮개체(24)의 해방조작은, 하우징(22)의 정면측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방조작버튼(25)을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자기디스크를 일체적으로 부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자기디스크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하우징(22) 내에 내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기록재생장치(21)는, 또한, 하우징(22) 내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기억매체(1)가 착탈자재로 장착되는 기억매체 장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기억매체 장착부(26)에 대한 기억매체(1)의 장착조작은, 하우징(22)에 내장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로딩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로딩장치에의 기억매체(1)의 삽탈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정면 중앙부에 설치된 기억매체 삽탈구(27)를 경유하여 행해진다. 이 기억매체 삽탈구(27)도, 상술한 휴대형의 기록재생장치(11)와 동일하게, 기억매체(1)가 접점부(3)가 설치된 일단측을 삽입단으로서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로딩장치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에 의해 폐색된다.
이 기록재생장치(21)에 있어서도, 하우징(12) 내에는, 장착된 기억매체(1)에 대하여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고, 혹은 기억매체(1)에 기억된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한 기록재생회로나 기타의 신호처리부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치본체 측의 덮개체(24)의 상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 드라이브(23)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모드 선택키(28)가 설치되어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23)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함께, 기억매체 장착부(26)를 설치하고, 기억매체(1)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한 복합형의 기록재생장치(21)는, 광디스크 드라이브(23),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기억매체 기록재생부와의 사이에서 상호 정보신호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예를 들면, 광디스크에 기억된 오디오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또는 기억매체(1)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광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기억매체(1)에 기록하고, 혹은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기억매체(1)에 기록하고, 다시, 기억매체(1)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하드디스크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 하드디스크 및 기억매체(1)와의 사이에 상호 정보신호의 전송을 행하고, 각 기록매체 사이에서의 오디오데이터 등의 정보신호의 기록은, 덮개체(24)의 상면에 설치한 복수의 조작키로 이루는 기록모드 선택부(29)의 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덮개체(24)의 상면에는, 휴대형의 기록재생장치(11)와 동일하게, 액정소자 등으로 이루는 표시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30)에는, 현재의 조작모드나 기억매체(1)에 기록되는 정보의 인덱스 등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재생장치(11, 21)내의 기억매체 장착부에 기억매체(1)를 로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딩장치(5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재생장치(11, 21)에 장착되는 기억매체(1)가 삽입유지되는 홀더(52)를 갖춘다. 홀더(52)는, 얇은 금속판을 구멍을 뚫고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이고, 기억매체(1)가 접점부(3)를 설치된 일단측을 삽입단으로서 삽입되기에 충분한 폭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삽입되는 기억매체(1)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53, 54)이 상승하여 형성되고, 일단측을 기억매체(1)의 삽입측으로 하고 있다. 한쪽의 측벽(53)에는, 홀더(52)에 삽입된 기억매체(1)에 설치된 제 1결합 오목부(7)에 결합하는 결합유지편(55)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유지편(55)은, 한쪽의 측벽(53)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되고, 기단부측을 측벽(53)에의 연결부로서, 기억매체(1)의 삽입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선단부에 기억매체(1)의 제 1결합 오목부(7)에 결합하는 결합부(56)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56)는, 결합유지판(55)의 선단부를 원호형으로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고, 홀더(52)의 기억매체(1)의 삽입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홀더(52)의 타단측에는, 홀더(52)에 삽입된 기억매체(1)의 일단측에 설치한 접점부(3)의 각 접점(3b)이 각각 전기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57)를 설치한 커넥터(58)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5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이루는 단자 지지체(59)에 복수의 접속단자(57)를 병렬하여 지지하고, 단자 지지체(59)의 타단측에 외부접속용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60)이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58)는, 얇은 금속판을 구멍을 뚫어 접어 구부려서 단면 ⊃자형으로 형성한 커넥터 케이스(61)에 부착되고, 커넥터 케이스(61)를 경유하여 홀더(52)의 타단측에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 케이스(61)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커넥터(58)의 지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홀더(52)에의 부착편이 되는 한 쌍의 측벽(62, 63)이 상승하여 형성되고, 배면측에 커넥터(58)의 부착위치를 규제하는 상승벽(64)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58)는, 단자 지지체(59)의 양단을 한 쌍의 측벽(62, 63)에 의해 협지하고, 단자 지지체(59)의 배면측을 상승벽(64)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부착위치가 위치규제되어서 커넥터 케이스(61)에 지지된다. 이 때, 커넥터(58)는, 커넥터 케이스(61)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 지지체(59)의 양단에 설치된 결합오목부를 측벽(62, 63)의 일부를 팽출 형성한 결합돌기부에 결합시켜서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58)를 부착한 커넥터 케이스(6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58)측을 홀더(52)에 대향시켜, 한 쌍의 측벽(62, 63)을 홀더(52)의 한 쌍의 측벽(53, 54) 사이에 끼워 맞추도록하여 부착된다. 이 때, 커넥터 케이스(61)는, 측벽(62, 63)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한 복수의 결합편(65)을, 홀더(52)측의 측벽(53, 54)에 뚫어 설치한 복수의 결합공(66)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홀더(52)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커넥터 케이스(61)는, 홀더(52)에 부착되어, 홀더(52)와 함께 기억매체(1)가 유지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즉, 측벽(62, 63)의 선단측에는, 홀더(52)에 삽입된 기억매체(1)의 저면측을 지지하는 L자형을 이루는 기억매체 지지편(67, 68)이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커넥터(58)를 부착한 커넥터 케이스(61)를 홀더(52)에 조합함으로써, 홀더(52)와 커넥터 케이스(61)와의 사이에 기억매체(1)의 수납유지부가 구성된다. 기억매체(1)는, 접점부(3)측을 삽입단으로서, 홀더(52)의 커넥터(58)가 설치되는 측으로 대향하여 개방된 일단측에서 홀더(52)와 커넥터 케이스(61)와의 사이의 수납유지부에 삽입되고, 접점부(3)를 커넥터(58)에 접속시킨다.
그런데, 커넥터(58)에 설치되는 복수의 접속단자(57) 중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전원의 그랜드단자로 이루는 2개의 접속단자(571, 5710)의 길이(L1)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접속단자(57)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기억매체(1)가 홀더(52)에 삽입되었을 때, 양측의 접점(3a)이 그랜드단자가 되는 2개의 접속단자(571, 5710)에 가장 끝에 접속되고, 장치본체측과 전원과의 확실한 접속을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복수의 접속단자(57) 중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기억매체(1)의 삽입발출을 검출하는 접속단자(575)는, 가장 짧은 길이(L3)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발출 검출용의 접속단자(575)를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매체(1)를 홀더(52)에 삽입할 때에는, 다른 접속단자(57)에 접점(3a)이 접속된 후 삽입발출 검출용의 접속단자(575)에 접속되고, 기억매체(1)를 홀더(52)로부터 뽑아내는 이젝트를 행할 때에는, 가장 끝에 접점(3a)과의 접속이 해소되었기 때문에, 기억매체(1)의 커넥터(58)에 대한 정확한 접속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기억매체(1)와 장치본체 측과의 확실한 신호의 수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홀더(52)의 타편의 측벽(54) 측에는, 장착위치에 로딩된 기억매체(1)를 이젝트할 때, 이젝트 조작기구에 의해 조작되는 이젝트 조작편(69)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기억매체(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58)를 부착한 홀더(52)는, 홀더(52)에 삽입 유지된 기억매체(1)를 장치본체 내의 소정 장착위치에 로딩할 수 있도록,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2, 22) 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섀시(71)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섀시(71)는, 얇은 금속판을 구멍을 뚫고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이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의 틀체를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홀더(52)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지지벽(72, 73)이 상승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지지벽(72, 73)에는, 홀더(52)의 제 1 및 제 2측벽(53, 54)의 일부를 돌출시켜서, 제 1 및 제 2측벽(53, 54)에 일체로 형성한 지지축(74, 75)이 결합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공(76, 77)이 뚫어져서 설치되는 동시에, 홀더(52)의 저면측을 지지하는 홀더지지편(78, 79)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공(76, 77)은, 섀시(71)를 기기본체 내에 부착하였을 때, 기기본체의 내편에 위치하는 측에 설치되고, 홀더 지지편(78, 79)은, 기억매체(1)가 삽입되는 측에 위치하고, 단면 L자형을 이루는 것같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52)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71)의 제 1 및 제 2지지벽(72, 73) 사이에 끼워맞추도록 설치되고, 지지축(74, 75)을 슬라이드 가이드공(76, 77)에 삽입 결합시켜서, 저면측의 양측을 홀더 지지편(78, 7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기억매체(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이젝트위치와 기억매체(1)를 장착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로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홀더(52)의 제 1 및 제 2측벽(53, 54)에는, 섀시(71)측의 제 1 및 제 2지지벽(72, 73)과의 접촉저항을 작게 하는 돌출부(53a, 5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53a, 54a)가 형성됨으로써, 홀더(52)는 섀시(71)에 대한 원활한 이동이 보증된다.
상술과 같이 섀시(7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홀더(52)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52)가 기억매체(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초기위치이며, 이 홀더(52)에 삽입되는 기억매체(1)의 접점부(3)가 홀더(52)측에 설치된 커넥터(58)에 접속되기까지 홀더(52)를 로크하고, 그 후 로크를 해제하고, 홀더(52)의 기억매체 장착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크기구(81)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기구(81)는, 홀더(52)의 내편측의 한편의 코너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레버(82)를 갖추고 있다. 로크레버(8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에 섀시(71)의 일부에 결합하는 로크편(83)이 설치되고, 기단부 측에 추지공(樞支孔)(84)이 뚫어저 있다. 이 로크 레버(8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지공(84)을 홀더(52)의 평면부의 일부를 돌출시켜서 형성한 지지축(85)에 추지함으로써, 이 지지축(8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레버(82)는, 기단부측에 설치한 기억매체 가압편(86)과 홀더(52)에 부착된 커넥터(58)의 단자지지체(59)에 설치된 스프링결합 오목부(87)와의 사이에 설치된 가세부재인 압축 코일스프링(88)에 의해, 선단측의 로크편(83)이 섀시(71)측에 돌출하는 도 8중 화살표(A1)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로크레버(8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52)가 기억매체(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초기위치에 있을 때, 압축 코일스프링(88)에 가세되고, 로크편(83)을 홀더(52)의 제 1측벽(53)에 삽입유지편(55)을 형성함으로써 뚫어진 삽통공(89)을 경유하여 섀시(71)측에 돌출되어 있다. 섀시(71)측에 돌출된 로크편(8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71)의 제 1지지벽(72)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결합 오목부(90)에 결합하고, 홀더(52)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의 도 8중 화살표(X1)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가 적용된 로딩장치는, 기억매체(1)가 삽입된 홀더(52)의 로딩과 이젝트를 제어하는 로딩제어기구(91)가 설치되어 있다. 로딩 제어기구(91)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52)를 기억매체(1)의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섀시(71)의 제 2지지벽(73)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로딩 제어기구(91)는, 제 2지지벽(73) 상을 도 9중 화살표(X1) 방향 또는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92)와, 슬라이더(9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더(92)와 함께 이동되는 요동레버(93)와, 슬라이더(92)와 섀시(71)와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되어서 슬라이더(92)를 도 9중 화살표(X2)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 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로서의 제 1의 끌어들이는 코일스프링(94)과, 슬라이더(92)와 홀더(52)와의 사이에 걸쳐서 팽팽히 설치되어서 홀더(52)를 도 9중 화살표(X1)방향의 기억매체(1)의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로서의 제 2의 잡아당기는코일스프링(95)을 갖춘다.
슬라이더(9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한 세판형으로 형성되고, 긴쪽방향의 양측을 섀시(71)의 제 2지지벽(73)의 양측에 형성한 복수의 계지편(96, 97)에 계지되고, 제 2지지벽(73) 상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요동레버(93)는, 기단부측에 설치된 지지축(98)을 슬라이더(92)의 일단측에 뚫어설치한 추지공(103)에 추지시킴으로써, 지지축(98)을 중심으로 도 9, 도 11 중에 화살표(C) 방향 및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레버(93)의 지지축(98)을 중심으로한 회동범위는, 섀시(71)의 일부와 이 섀시(7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홀더(52)에 의해 규제된다. 즉, 요동레버(93)는, 도 9,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지지벽(73)의 일측연을 반복하여 형성한 회동규제편(99)과 홀더(52)의 일측연에서 돌출설치된 회동규제편(100)과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회동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요동레버(93)는, 섀시(71)의 측벽(73)과 슬라이더(92)와의 사이에 협지되도록 하여 설치됨으로써 슬라이더(9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지지축(98)은, 요동레버(93)의 일부를 타출에 의해 돌출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92)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73)과의 사이에 요동레버(93)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반복부(92a, 92b)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레버(93)의 선단측의 일측에는, 홀더(52)의 일부에 결합하는 경사면부로서 형성된 결합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101)는,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52)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하여 설치되고, 홀더(52)가 도 8에 나타내는 초기위치에 있을 때 홀더(52)의 일부에 결합한다. 홀더(52) 측의 결합부(101)가 결합하는 부분은, 요동레버(93)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규제편(100)의 선단측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한 부분이며, 요동레버(93)의 가압조작편(102)이다.
요동레버(93)의 결합부(101)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측연의 중도부에는, 섀시(71)측의 회동규제편(99)에 당접하고, 홀더(52)가 초기치에서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의 이동, 즉 도 8중 화살표(X1)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되었을 때, 섀시(71)측의 회동규제편(99)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결합공(105)에 결합하는 결합편(106)이 뚫어져 있다. 또한, 결합공(105)의 결합편(106)이 결합하는 측에 측연에는, 결합편과의 확실한 결합을 도모하기 위해, 상승편(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요동레버(93)를 지지한 슬라이더(92)는, 긴쪽 방향의 중도부에 형성한 스프링 계지편(108)과 섀시(71)에 설치된 스프링 계지편(109)과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제 1의 잡아당기는코일스프링(94)에 의해, 도9, 도 11 중 화살표(X2)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92)는, 제 1의 잡아당기는코일 스프링(94)에 의해, 홀더(52)에 기억매체(1)를 삽입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젝트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92)와 홀더(52)와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되는 제 2인장코일스프링(95)은, 슬라이더(92)의 선단측에 형성한 스프링 계지편(110)과 홀더(52)의 일측의 중도부에 형성한 스프링 계지편(111)과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되고, 홀더(52)를 도 9 중 화살표(X1)방향의 기억매체(1)의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세하고 있다.
섀시(71)의 일단측, 즉, 홀더(52)에 대하여 기억매체(1)의 삽탈을 행하기 위한 기억매체 삽탈부(112)가 설치되는 측에는,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개폐하고, 이 로딩장치(51)를 상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록재생장치(11, 21)에 짜 넣어질 때, 이들 기록재생장치(11, 21)에 설치된 기억매체 삽탈구(13, 27)에 대향하여, 이들 삽탈구(13, 27)를 개폐하는 개폐덮개(115)가 부착되어 있다.
개폐덮개(115)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개폐하는 덮는부(116)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암(117, 118)을 섀시(71)의 기억매체 삽탈부(112)가 형성된 측의 양측에 지지시킴으로써,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개폐덮개(115)는, 회동암(117, 118)의 선단부에 뚫어 설치한 추지공(117a, 118a)을 섀시(71)의 제 1 및 제 2지지벽 측벽(72, 73)에 돌출설치한 지지축(119, 120)에 추지시켜서, 이들 지지축(119, 12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덮개(115)는, 회동가세부재로서의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에 의해 기억매체 삽탈부(112) 혹은 기억매체 삽탈구(13, 27)를 항상 폐색하는 방향의 도 9중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은, 코일부를 타편의 회동암(118)에 돌출설치한 지지축(118b)에 삽통하고, 한쪽의 암부(121a)를 섀시(71)측에 설치된 스프링 계지편(109)에 계지하고, 타편의 암부(121b)를 개폐덮개(115) 측에 설치한 스프링 계지부(123)에 형성시킴으로써, 개폐덮개(115)를 도 9중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 가세하고 있다.
개폐덮개(115)는, 섀시(71)의 양측에 돌출설치한 회동규제편(124, 125)에 회동암(117, 118)을 당접시킴으로써,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에 의한 회동가세 위치가 규제되고,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폐색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개폐덮개(115)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는부(116)를 섀시(71)의 선단에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섀시(71)로부터 돌출한 덮는부(116)의 상면은, 홀더(52)에 삽입되는 기억매체(1)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가압조작부(116b)로 되어 있다. 즉, 개폐덮개(115)는, 덮는부(116)의 상면의 가압조작부(116b) 측에서 가압 조작됨으로써,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개방하는 방향의 도 9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조작된다.
덮는부(116)의 내면, 즉, 홀더(52)에 삽입된 기억매체(1)의 배면과 대향하는 면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면(116a) 혹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덮는부(116)의 내면에 만곡면(116a) 혹은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홀더(52)로부터 이젝트되는 기억매체(1)에 의해 만곡면(116a) 혹은 경사면이 가압 조작됨으로써, 개폐덮개(115)를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개폐덮개(115)는, 기억매체(1)의 이젝트조작에 관련하여 기억매체 삽탈부(112) 혹은 기억매체 삽탈구(13, 27)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로딩장치(51)는, 홀더(52)가 기억매체(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이젝트위치인 초기위치에 있을 때, 홀더(52)는, 기억매체(1)의 삽탈부측을 섀시(71)의 기억매체 삽탈부(112)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요동레버(93)를 지지한 슬라이더(92)는, 제 1인장코일 스프링(94)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9 및 도 11 중 화살표(X2)방향으로 이동 가세되고, 이 슬라이더(92)에 지지된 요동레버(93)도 동방향으로 이동 가세되어 있다. 요동레버(93)는, 초기위치에 있을 때, 결합편(106)을 섀시(71)에 설치된 회동규제편(99)에 당접시켜서, 도 11중 화살표(C)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형태에서, 결합부(101)를 홀더(52)에 설치한 가압조작편(102)에 당접 결합시키고 있다. 이 때,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에 의해 도 9 및 도 11 중 화살표(X2)방향으로 이동가세된 슬라이더(92)에 지지 되었지만 요동레버(93)는, 도 9 및 도 11 중 화살표(X2)방향으로 이동 가세되면서 결합편(106)을 회동규제편(99)에 당접시키고 있으므로, 회동규제편(99)에의 당접방향과는 역방향의 지지축(98)을 중심으로 도 9 및 도 11 중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 가세된 상태에 있고, 결합부(101)를 홀더(52)의 가압조작편(102)에 압접시키고 있다.
홀더(52)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초기위치에 있을 때, 요동레버(93)의 결합부(101)가 가압조작편(102)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92)와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제 2인장코일스프링(95)에 의한 도 9, 도 11중 화살표(X1)방향으로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또한, 홀더(52)의 초기위치는, 지지축(74, 75)을 섀시(71)측의 슬라이드 가이드공(76, 77)의 단부에 당접시킴으로써 규제되고 있다.
또한, 홀더(52)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로크기구(81)를 구성하는 로크레버(82)가 압축 코일스프링(88)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8 중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고, 로크편(83)을 섀시(71)의 결합오목부(90)에 결합시키고, 홀더(52)의 도 8중 화살표(X1) 방향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둔다.
그리고 또, 개폐덮개(115)도,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을 받아서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폐색한 위치에 회동 가세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가 적용된 로딩장치(51)를 사용하여 기억매체(1)를 기록재생장치 내의 기억매체 장착부에 장착시키는 데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3)가 설치된 일단측을 삽입단으로서 기억매체(1)를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경유하여 홀더(52) 내에 삽입한다. 기억매체(1)를 홀더(52)에 삽입할 때, 기억매체(1)의 삽입단측의 평면에 의해 가압조작부(116b)를 가압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덮개(115)를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회동시켜서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개방한다.
이 때, 기억매체(1)는, 오삽입 방지홈(5)이 설치된 측을 홀더(52) 내의 로크레버(82)가 설치된 측에 위치시켜서 삽입된다.
기억매체(1)의 삽입단이 되는 접점부(3)가 설치된 측에는, 복수의 접점(3a)을 구분하는 구분벽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점부(3)측을 개폐덮개(115)에 당접시켜도, 개폐덮개(115) 등이 접점(3a)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개폐덮개(115)를 회동시켜, 접점부(3)가 설치된 측을 홀더(52)에 임하게 하고, 다시 기억매체(1)를 홀더(52) 내에 삽입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3)의 각 접점(3a)이 홀더(52)측에 설치된 커넥터(58)의 각 접속단자(57)에 전기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접점부(3)가 커넥터(58)에 접속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긴 그랜드단자가 되는 2개의 접속단자(571, 5710)에 양측의 접점(3a)이 최선에 접속되고, 최후에 가장 짧은 접속단자(575)에 중앙의 접점(3a)이 접속되므로, 전부의 접점(3a)이 커넥터(58)측의 접속단자(57)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홀더(52)에 기억매체(1)가 삽입된 것이 검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억매체(1)의 홀더(52)에의 확실한 삽입을 실현할 수 있다.
기억매체(1)가 접점부(3)와 커넥터(58)와의 접속이 행해지는 위치까지 홀더(52) 내에 삽입되면, 삽입유지편(55)의 결합부(56)가 제 1결합 오목부(7)에 결합하고, 기억매체(1)의 홀더(52)에 대한 확실한 유지를 도모한다.
홀더(52)는, 기억매체(1)의 접점부(3)가 홀더(52)에 부착된 커넥터(58)에 완전히 접속되기까지 로크기구(81)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놓여져 있다. 즉, 기억매체(1)의 접점부(3)가 커넥터(58)에 완전히 접속되기까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레버(82)가 섀시(71)의 결합오목부(87)에 결합하고 홀더(52)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접점부(3)와 커넥터(58)와의 접속이 행해지기까지, 홀더(52)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접점부(3)와 커넥터(58)와의 접속을 기억매체(1)의 홀더(52)에의 삽입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고, 기억매체(1)의 홀더(52)에의 삽입조작, 전기적이고 또한 기계적인 접속조작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접점부(3)와 커넥터(58)과의 접속이 행해진 후, 다시 기억매체(1)를 도 12중 화살표(X1)방향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삽입하면, 기억매체(1)의 삽입단에 의해 기억매체 가압편(86)이 가압되고, 로크홀더(82)가 압축 코일스프링(8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 12중 화살표(A2)방향으로 회동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편(83)의 결합오목부(90)에의 결합이 해제되고, 홀더(52)의 도 14 중 화살표(X1)방향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의 또 다른 삽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홀더(52)는, 기억매체(1)가 홀더(52)에 삽입되는 로크레버(82)의 로크가 해제된 시점까지 초기위치이므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딩제어기구(91)를 구성하는 요동레버(93)의 결합부(101)가 가압조작편(102)에 당접한 상태에 있다. 즉, 홀더(52)는, 로크기구(81)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고,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고, 가압조작편(102)을 요동레버(93)의 결합부(101)에 당접시킨 상태에 있다.
여기서, 기억매체(1)를 가압 조작하고 홀더(52)를, 도 14중 화살표(X1) 방향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다시 삽입하면, 가압조작편(102)에 의해 결합부(101)가 가압되고, 요동레버(93)가 도 13중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요동레버(93)가 지지된 슬라이더(92)가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을 신장시키도록 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은, 슬라이더(92)가 이동되어서 신장됨으로써, 홀더(52)를 초기위치 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이 축적된다.
이 때, 요동레버(93)는, 결합편(106)을 섀시(71)측의 회동규제편(99)에 당접한 상태로 있고, 도 13중 화살표(C) 방향의 회동이 규제되고, 결합부(101)를 홀더(52)측의 가압조작편(102)에 당접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즉, 요동레버(93)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지점이 되는 지지축(89)을 통과하는 중심선(P1)에서 한 쪽에 편의한 위치에 설치한 결합부(101)가 홀더(52)측의 가압조작편(102)에 의해 도 11중 화살표(G) 방향의 직선방향으로 가압되면, 지지축(89)을 중심으로 도 11중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 가세된다. 따라서, 요동레버(93)는, 홀더(52)에 의해 가압 조작될 때, 결합부(101)를 가압조작편(102)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10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조작편(102)에 의한 가압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θ)만큼 경사시킨 경사면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부(101)는, 가압조작편(102)에 의해 회동 가세되는 방향으로 경사되어 있으므로, 가압조작편(102)에 의한 가압력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받도록 할 수 있고, 효율 좋게 홀더(52)에 의해 요동레버(93)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조작편(102)이 결합부(101)에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52)에 삽입된 기억매체(1)를 손가락에 의해 가압하고, 홀더(52)를 도 14중 화살표(X1) 방향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다시 삽입하면, 요동레버(93)는,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을 신장시키면서 슬라이더(92)와 일체로 도 14중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편(106)이 섀시(71)측에 설치된 회동규제편(99)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결합공(105)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회동규제편(99)에 의한 요동레버(93)의 회동규제가 해제되고, 요동레버(93)는 도 15 및 도 16중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되고, 결합부(101)의 가압조작편(102)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결합편(106)을 결합공(105)에 결합시킨다.
요동레버(93)의 결합편(106)이 섀시(71)측의 결합공(105)에 결합하면, 슬라이더(92)는, 홀더(52)에 의해 이동 조작되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을 신장시킨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 홀더(52)는, 가압조작편(102)의 요동레버(93)의 결합부(101)에 대한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을 신장시킨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슬라이더(9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홀더(52)는, 이 홀더(52)와 슬라이더(92)와의 사이에서 신장된 상태에 있는 제 2인장코일스프링(95)의 가세력을 받고, 도 14 및 도 15중 화살표(X1) 방향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매체 장착위치까지 이동되고, 유지한 기억매체(1)를 장착위치에 로딩한다.
또한, 홀더(52)가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이동할 때, 요동레버(93)는, 결합부(101)가 설치된 선단측의 일측이 홀더(52)측의 회동규제편(100)에 당접하고, 도 19중 화살표(D) 방향의 회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요동레버(93)의 도 19중 화살표(D) 방향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결합편(106)의 섀시(71)측의 결합공(105)으로의 결합상태가 확실히 유지되고,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을 신장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기억매체(1)를 유지한 홀더(52)가 기억매체 장착위치까지 끌어 들이면, 기억매체(1)는 장치내에 완전히 끌어 들여지고, 홀더(52)에 삽입되는 기억매체(1)에 의해 회동되어 있던 개폐덮개(115)가,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을 받아서 회동되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폐색하고, 기억매체(1)의 로딩조작을 완료한다.
또한, 기억매체(1)가 삽입된 홀더(52)를 기억매체 장착부에 끌어 들이는 끌어 들이는 힘은, 제 2인장코일스프링(95)의 역량을 가변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로딩장치(51)는, 접점부(3)가 커넥터(58)에 접속되기까지 기억매체(1)를 홀더(52)에 삽입하고, 다시 손가락에 의해 기억매체(1)를 손가락에 의해 가압하면, 기억매체(1)를 스프링 등의 가세부재의 가세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기억매체 장착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매체 장착위치에 장착된 기억매체(1)를 이젝트하는 데는, 홀더(52)에 설치된 이젝트 조작편(69)을 조작하고, 홀더(52)를 제 2인장코일스프링(95)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 17 및 도 18중 화살표(X2) 방향의 기억매체(1)를 이젝트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송장치가 적용된 로딩장치(51)를 상술한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억재생장치(11, 21)에 적용한 경우에는, 기록재생장치(11, 21)측에 설치된 이젝트레버 등으로 구성된 이젝트 조작기구를 이젝트 조작편(68)에 관련시켜서, 이젝트 조작기구를 구성하는 이젝트 조작버튼(41, 42)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이젝트 조작편(68)을 이동 조작함으로써, 홀더(52)를 이동시킨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이젝트 조작기구는, 수동에 의한 조작이나 전자구동수단 등을 사용한 전동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사용된다.
홀더(52)는, 도 17 및 도 18 중 화살표(X2) 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되면, 결합편(106)을 섀시(71)측의 결합공(105)에 결합시킨 상태에 놓여진 요동레버(9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홀더(52)가, 다시 도 17 및 도 18중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동규제편(100) 상에 선단측의 일측을 당접시켜, 도 18중 화살표(D)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었던, 요동레버(93)가 도 18중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을 신장시킨 위치로 유지되고 도 21중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 가세된 슬라이더(92)에 지지된 요동레버(93)는, 도 21중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 가세되면서 결합편(106)을 섀시(71)측의 결합공(105)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21중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 가세된 상태에 있다.
홀더(52)가, 또한 도 21중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하고, 요동레버(93)의 선단측의 일측과 회동규제편(100)과의 당접을 해제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요동레버(93)는, 지지축(98)을 중심으로 하여 도 21중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되고, 선단측의 일측에 설치된 결합부(101)를 홀더(52)측의 가압조작편(102)에 결합 시킨다. 이 결합과 동시에, 요동레버(93)는, 섀시(71)측의 결합공(105)에 대한 결합편(106)의 결합을 해제한다.
요동레버(93)는, 섀시(71)측에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의 가세력을 받아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요동레버(93)는, 홀더(52)의 가압조작편(102)에 결합부(101)를 결합시키므로, 홀더(52)와 일체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은, 슬라이더(92)를 도 20 및 도 21중 화살표(X2) 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92)와 일체로 이동하는 요동레버(93)를 경유하여 홀더(52)를 도 20 및 도 21중 화살표(X2) 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홀더(52)가 도 20 및 도 21중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하면, 홀더(52)에 유지된 기억매체(1)에 의해 개폐덮개(115)의 만곡면(116a)이 가압 조작되고, 개폐덮개(115)가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회동되어서 기억매체 삽탈부(112)가 개방되고,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경유하여 기억매체(1)의 일부가 장치 외부에 돌출한다. 기억매체 삽탈부(112)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파지하고, 기억매체(1)를 뽑아냄으로써, 접점부를 커넥터(58)로부터 이탈시켜서 이젝트가 완료한다. 기억매체(1)의 이젝트와 함께, 개폐덮개(115)가 비트는 코일스프링(121)의 가세력을 받아 회동되어서 기억매체 삽탈부(112)를 폐색한다.
이 때, 홀더(52)는, 도 8에 나타내는 초기위치로 이동하고, 로크기구(81)의 로크레버(82)가 압축 코일스프링(88)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8중 화살표(A1)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섀시(71)에 결합하고 로크된 상태에 놓인다.
그런데, 요동레버(93)에 설치한 섀시(71)측의 결합공(105)에 결합하는 결합편(106)은, 요동레버(93)의 긴쪽방향의 선단측의 측연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결합편(106)은, 요동레버(93)의 회동지지점이 되는 지지축(89)을 통과하는 중심선(P1)에 대하여 편의한 위치에서, 지지축(89)에서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요동레버(93)가 제 1인장코일스프링(94)에 의해 중심선(P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세되었을 때, 결합공(105)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방향에서 당접한다. 이 때, 요동레버(93)는, 도 19중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가세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결합편(106)의 결합공(105)에의 당접면을 중심선(P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하여 둠으로써, 결합공(105)에 대한 계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요동레버(93)가 가세되어서 결합편(106)이 결합공(105)에 당접할 때에 가해지는 힘이, 요동레버(93)가 회동 가세되는 방향으로 향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홀더(52)에 장착된 기억매체(1)의 이젝트 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로딩제어기구(91)를 구성하는 요동레버(93)는, 슬라이더(92)에 지지되고, 슬라이더(92)와 함께 홀더(5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슬라이더(92)는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요동레버(93)는, 홀더(52)의 이동에 관련하여 이동되고, 또한 홀더(52)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지지축(98)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섀시(71) 또는 홀더(52)에 결합함으로써, 서로 역방향의 가세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인장코일스프링(94, 95)의 가세력을 홀더(52)에 부여하도록 하면 좋다. 즉, 요동레버(93)는, 섀시(71)의 제 2지지벽(73)에, 회동 가능하고, 홀더(52)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직접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억매체가 삽입 유지되고, 기억매체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이젝트위치와 기억매체의 장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되는 홀더의 이동에 관련하여 이동하고, 또는 요동되는 요동레버의 섀시 또는 홀더에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서, 홀더를 기억매체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이동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에 이젝트방향의 가세력을 축적하고, 홀더를 기억매체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를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홀더의 기억매체 삽입방향의 이동과, 이젝트방향의 이동의 전환을 1개의 요동레버의 이동 및 요동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기억매체의 로딩을 제어하는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 고, 게다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매체를 한쪽 방향으로 삽입 조작하므로, 기록재생장치 내의 커넥터에의 접속이 도모되고, 또한 기억매체 장착위치에의 장착을 행할 수 있으므로, 기억매체의 반송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홀더를 기억매체 삽입방향 또는 이젝트방향의 이동을 인장 코일스프링 등의 가세부재를 사용하여 행하고 있으므로, 가세부재의 강도를 적의 선택함으로써, 동작력을 임의 설정할 수 있고, 기억매체의 안정한 장착조작 및 이젝트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기억매체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기억매체의 선단측에 설치된 접점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섀시에 로크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섀시에 대한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의 접점이 상기 홀더의 접속단자에 접속될 때, 상기 기억매체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기구와,
    상기 로크기구에 의한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어서 이동되는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요동레버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상기 요동레버를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상기 홀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갖추고,
    상기 요동레버가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가세수단에 상기 요동레버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시킴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의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홀더에의 결합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섀시에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상기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레버는, 상기 제 1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홀더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레버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홀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섀시측에 설치된 회동규제수단에 의해 상기 홀더에 대한 결합의 해제가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섀시에 결합하는 로크편과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가압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가세부재에 의해 상기 로크편을 상기 섀시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된 로크레버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 삽탈구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는, 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 삽탈구를 상시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홀더에 대한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섀시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를 갖추고,
    상기 제 1가세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섀시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2가세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홀더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홀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를 가지며,
    상기 요동레버는, 상기 로크기구에 의한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고,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가세부재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하고, 상기 요동레버에 설치된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상기 섀시측에 설치된 절결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요동레버의 결합부에 대하여, 상기 홀더에 의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힘과, 상기 요동레버에 대한 상기 제 1가세부재에 의한 상기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이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회전력에 의한 상기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상기 절결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와 상기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요동레버 및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섀시에 대하여 로크됨과 동시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상기 제 2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 조작시키는 이젝트 조작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상기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져서 기억매체의 로딩위치에 유지되었을 때, 상기 이젝트 조작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요동레버의 상기 섀시에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을 받아서 상기 요동레버와 일체로 상기 홀더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홀더를 초기위치로 이동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조작수단은, 상기 홀더와 일체로 이동하는 이젝트 조작편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홀더에 대한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섀시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를 갖추고,
    상기 제 1가세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섀시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가세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2가세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홀더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홀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부재를 가지며,
    상기 요동레버는, 상기 로크기구에 의한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고,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가세부재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하고, 상기 요동레버에 설치된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상기 섀시측에 설치된 절결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요동레버의 결합부에 대하여, 상기 홀더에 의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힘과 상기 요동레버에 대한 상기 제 1가세부재에 의한 상기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이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 로크기구가 상기 절결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와 상기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요동레버 및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섀시에 대하여 로크됨과 동시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상기 제 2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져서 기억매체의 로딩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이젝트 조작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가세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가세부재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를 회동시켜서 상기 요동레버 로크기구에 의한 상기 섀시에의 로크를 해제시키고, 상기 제 1가세부재의 가세력을 받아서 상기 요동레버와 일체로 상기 홀더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홀더를 초기위치에 이동시켜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10. 기억매체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기억매체의 선단측에 설치된 접점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접속단자에 상기 접점이 접속되는 기억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과,
    상기 홀더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섀시에 로크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섀시에 대한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기억매체의 접점이 상기 홀더의 접속단자에 접속될 때, 상기 기억매체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기구와,
    상기 로크기구에 의한 상기 섀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어서 이동되는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요동레버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이젝트방향으로 상기 요동레버를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상기 홀더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갖추고,
    상기 요동레버가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가세수단에 상기 요동레버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세력을 축적시킴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의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홀더에의 결합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섀시에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상기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지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은,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홀더만이 상기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짐으로써 당해 기억매체가 위치하는 재생위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접속단자에 상기 접점이 기억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기억매체가 홀더 내에 삽입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접점과 상기 홀더 내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접점과 상기 홀더 내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에, 상기 홀더를 섀시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상기 기억매체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와 동시에 상기 홀더가 다시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텝과,
    상기 홀더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홀더와 일체로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레버가 상기 섀시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스텝과,
    상기 레버가 상기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사이에 상기 삽입방향으로 대향하는 이젝트방향으로의 가세력을 제 1가세수단에 축적하는 스텝과,
    상기 레버에 의한 결합이 해제된 상기 홀더만이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함께 상기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여지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반송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의한 결합이 해제된 상기 홀더만이 제 2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함께 상기 삽입방향으로 끌어들이는 로딩위치에 유지하는 스텝과,
    상기 로딩위치에 유지된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요동레버의 상기 섀시에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을 받아서 상기 요동레버와 일체로 상기 홀더를 상기 이젝트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홀더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텝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의 반송방법.
KR1020037005459A 2001-08-21 2002-08-16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880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0904 2001-08-21
JP2001250904A JP2003058828A (ja) 2001-08-21 2001-08-21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CT/JP2002/008327 WO2003017190A1 (fr) 2001-08-21 2002-08-16 Appareil et procede de transport de moyens de memorisation et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re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656A KR20040028656A (ko) 2004-04-03
KR100880257B1 true KR100880257B1 (ko) 2009-01-28

Family

ID=190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459A KR100880257B1 (ko) 2001-08-21 2002-08-16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5271B2 (ko)
JP (1) JP2003058828A (ko)
KR (1) KR100880257B1 (ko)
CN (1) CN1253827C (ko)
WO (1) WO2003017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419B2 (ja) * 2003-03-06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接続端子を有する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4652672B2 (ja) * 2003-05-20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メディア駆動装置
US7522409B2 (en) * 2004-10-04 2009-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sitioning mechanism
JP2007066838A (ja) * 2005-09-02 2007-03-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TWM289541U (en) * 2005-11-07 2006-04-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ejection device assembly
JP4473226B2 (ja) * 2006-01-30 2010-06-0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1458544B (zh) * 2007-12-10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存储设备锁固及推出装置
KR100958819B1 (ko) * 2008-05-06 2010-05-2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외장형 전자기기
CN102074816A (zh) * 2009-11-24 2011-05-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2015149151A (ja) * 2014-02-05 2015-08-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173A (ja) * 1994-04-14 1995-10-27 Sony Corp カードリーダーユニット
JP2001060253A (ja) * 1999-08-23 2001-03-06 Sony Corp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649A (en) * 1994-03-01 1999-03-3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ard-shaped adapter for smaller and larger storage medium
US5597316A (en) * 1994-12-07 1997-01-28 Berg Technology, Inc. Memory c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eject mechanism and method of use
US6010344A (en) * 1995-03-31 2000-01-04 The Whitaker Corporation Ejection protection mechanism for card media
US5655918A (en) * 1996-02-29 1997-08-12 Berg Technology, Inc. Selectable ejector for a double-deck PCMCIA eject header
JP3734998B2 (ja) * 2000-02-04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US6739890B2 (en) * 2000-04-12 2004-05-25 Molex Incorporated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ej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173A (ja) * 1994-04-14 1995-10-27 Sony Corp カードリーダーユニット
JP2001060253A (ja) * 1999-08-23 2001-03-06 Sony Corp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lectronics & Communication Engineering Journal vol. 3, Issue 5, 1991 pages 207-2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58828A (ja) 2003-02-28
KR20040028656A (ko) 2004-04-03
CN1253827C (zh) 2006-04-26
WO2003017190A1 (fr) 2003-02-27
US20050070142A1 (en) 2005-03-31
CN1466734A (zh) 2004-01-07
US7125271B2 (en)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3681B2 (ja) カートリッジのイジェクト機構
JP4725317B2 (ja) 電子機器
JP2002189992A (ja) 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と携帯型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
KR100880257B1 (ko) 기억매체의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327460B1 (ko) 전자장치의섀시구조
JP315829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着脱装置
JP2001307036A (ja) アダプタ装置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240706B2 (ja)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US200600806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liance
JP4539005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38080B2 (ja)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方法及びローディング装置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649814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7222795B2 (en) Loading device for storage medium having connection terminal
JP3033268B2 (ja) ディスククランパ取付装置
KR19980071393A (ko) 전자장치
JP2742339B2 (ja) 記憶媒体ドライブ装置
JP352545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イジェクト機構
JP4940581B2 (ja) 電子機器
JP2002042059A (ja) 蓋開閉装置
JP3198650B2 (ja) コンピュータ制御電子機器
JP4254331B2 (ja) データ記録装置
JP2602458Y2 (ja) カートリッジ吸引機構
JP2001022897A (ja) メモリカード装着装置
US20090086371A1 (en) Recording-medium driving device
JPH0794874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