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710A -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도가 낮은불투명한 백색의 자외선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 - Google Patents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도가 낮은불투명한 백색의 자외선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710A
KR20010082710A KR1020010007788A KR20010007788A KR20010082710A KR 20010082710 A KR20010082710 A KR 20010082710A KR 1020010007788 A KR1020010007788 A KR 1020010007788A KR 20010007788 A KR20010007788 A KR 20010007788A KR 20010082710 A KR20010082710 A KR 2001008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aque white
weight
stabiliz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르샬우르술라
케른울리히
크라쓰구엔터
오베르라엔더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디츠 볼프강, 힐케르트 고트프리트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315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827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디츠 볼프강, 힐케르트 고트프리트,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츠 볼프강, 힐케르트 고트프리트
Publication of KR2001008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5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 성분이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인 두께 10 내지 500㎛의 불투명한 백색의 UV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당해 필름은 또한 안료로서의 적어도 황산바륨, 하나 이상의 난연제, 광 안정화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UV 안정화제 및 하나 이상의 형광증백제를 포함한다. 황산바륨 및/또는 형광증백제 및/또는 난연제 및/또는 UV 안정화제는 중합체가 제조될 때 열가소성 수지에 직접 혼입시키거나 필름의 제조 동안 마스터배치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공급된다. 신규한 필름은 내부 장식, 진열대 구성, 전시 필수품, 디스플레이, 플래카드, 라벨, 기계 또는 자동차 차단용 글레이징, 조명 분야, 상점 또는 가게 피팅시, 선전용 필수품 또는 적층 물질로서 또는, 식품 또는 음료 관련 용품에 특히 적합하고 지붕 시스템, 외부 클래딩, 차단용 덮개와 같은 옥외 용품, 건축 분야, 조명 광고 프로파일 또는 수송 분야에서 또는 전기 용품용으로도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도가 낮은 불투명한 백색의 자외선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Opaque, white UV-stabilized low-flammability film with low transparency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본 발명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되고 두께가 10 내지 500㎛이며 투명도가 낮은 불투명한 백색의 UV 안정화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당해 필름은 안료로서의 적어도 황산바륨, 가용성 난연제, 형광증백제 및 광 안정화제로서의 UV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연신성이 우수하고 투명도가 낮으며 광학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당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당해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두께가 10 내지 500㎛인 불투명한 필름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되어 있는 필름은 어떠한 유형의 가용성 난연제 또는 광 안정화제로서의 UV 안정화제 또는 형광증백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및 제품은 옥외용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옥외 적용시, 이들 필름은 단기간 후에도 황변하고, 이들의 기계적 특성은 일광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의 광산화 분해에 의해 악화된다. 당해 필름은 또한 DIN 4102 파트 2 및 파트 1의 연소 시험에 부응하지 못하고 UL 94 시험에도 부응하지 못한다.
유럽 특허 제0 620 245호에는 내열성이 향상된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필름은 필름 속에서 형성된 유리 라디칼을 제거하고 형성된 과산화물을 분해시키기에 적합한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해 특허 명세서에는 이러한 유형의 필름의 자외선 안정성(UV resistance)이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독일 특허 제23 46 787호에는 난연성 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중합체 이외에, 청구항들은 또한 필름 및 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당해 중합체의 용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필름이 당해 포스폴란 개질된 중합체로부터 생성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결점이 분명하다.
당해 중합체는 매우 가수분해되기 쉬우므로 매우 철저히 예비건조시켜야 한다. 중합체를 선행 기술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 이는 케이킹(caking)되고, 필름이 생성될 수 있다면 매우 어려운 조건하에서만 가능하다.
극히 비경제적인 조건하에서 생성된 필름은 고온에서 취화한다. 즉 이들의 기계적 특성은 상당한 취화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여 필름은 사용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취화는 고온에서 48시간 후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연신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 우수한 광학 특성 및낮은 황색도지수 이외에 무엇보다도 자외선 안정성이 높고 광선으로부터 차단 수준이 높으며 특히 고온에 노출시 취화되지 않는, 두께가 10 내지 500㎛인 불투명한 백색의 난연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연성은 불투명한 백색 필름이 연소 차단 시험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시험에서 DIN 4102, 파트 2의 조건, 특히 DIN 4102, 파트 1의 조건에 부응하고 난연성 물질에 대한 구성 물질 부류 B2, 특히 B1에 속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필름은 또한 이를 94 VTM-0 부류에 넣을 수 있도록 UL 94 시험 "플라스틱 재료의 인화성에 대한 수직 연소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는 분젠(Bunsen) 버너를 제거한지 10초 후에 필름은 더 이상 연소되지 않고 30초 후에는 연기가 나지 않으며 연소 물질이 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 자외선 안정성은 필름이 일광 또는 다른 UV선에 노출시 손상되지 않거나 극히 약간 손상되어 필름이 옥외용 및/또는 중요한 옥내용으로 적합함을 의미한다. 특히, 필름이 다년간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특히 황변되어서는 안되고 취화되어서도 안되고 표면이 균열되어서도 안되며 또한 기계적 특성이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고 자외선 안정성은 필름이 UV광을 흡수하고 가시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광을 투과시키지 않음을 의미한다.
우수한 광학 특성은 필름의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 줄무늬가 없는 균일한착색, 낮은 루미너스 투과율/투명도(≤ 40%), 허용되는 표면 광택도(≥ 10) 및 낮은 황색도지수(두께에 따라, 250㎛ 필름의 경우 ≤ 45 및 50㎛ 필름의 경우 ≤ 20)를 포함한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은 높은 탄성률(EMD≥ 3300N/mm2; ETD≥ 4200N/mm2), 우수한 인렬 강도(MD ≥ 120N/mm2; TD ≥ 170N/mm2) 및 우수한 종방향 및 횡방향 파단신도(MD ≥ 120%; TD ≥ 50%)를 포함한다.
우수한 연신성은 필름의 제조 동안 파단없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필름의 우수한 능력을 포함한다.
저렴한 생성 조건은 중합체 및 난연성 필름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다른 원료 성분들이 선행 기술에 속하는 공업 건조기에 의해 건조되는 능력을 포함한다. 이들 원료가 케이킹되지 않고 열 분해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공업 건조기는 진공 건조기, 유동상 건조기 및 고정상 건조기(타워 건조기)를 포함하며, 이들은 지금까지 공지된 난연성 중합체가 케이킹되고 채광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거되어야 하므로 필름의 제조를 불가능하게 하는 온도인 10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작동한다.
가장 온화한 건조 작용을 갖는 진공 건조기에서, 원료는 50mbar의 압력에서 약 30 내지 130℃의 온도로 통과된다. 그 다음, 100 내지 130℃ 온도의 호퍼(hopper) 속에서 체류시간 3 내지 6시간 동안 후건조로서 공지되어 있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공정에서조차도 공지된 중합체는 과도하게 케이킹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온에서 단기간 동안 노출시 취화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순환 공기 건조 캐비넷 속에서 100℃에서 100시간 후 필름이 취화되지 않고 불량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신규한 필름은 더구나 재생가능해야 한다. 즉 연속 필름의 제조 동안에 제조된 어떠한 절단 재료도 필름으로부터 특히 광학 특성 또는 기계적 특성의 손실없이 재분쇄와 같은 생성 공정으로 역으로 공급되어 여전히 옥내용으로 예를 들면 진열대 구성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안료로서의 적어도 황산바륨, 하나 이상의 가용성 난연제, 광 안정화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UV 안정화제 및 하나 이상의 형광증백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성분이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인 두께 10 내지 500㎛의 불투명한 백색 필름에 의해 성취된다.
신규한 필름은 주요 성분으로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적합한 결정성 또는 반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이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는 결정성 단독중합체, 결정성 공중합체, 결정성 화합물, 결정성 재생 물질 또는 또 다른 유형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이다.
신규한 필름은 하나의 층을 가질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층을 가질 수 있으며, 각종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접착 증진제로 피복될 수 있다.
신규한 필름은 광 안정화제로서 하나 이상의 UV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이는 적합하게는 필름의 제조동안 마스터배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직접 공급되며, UV 안정화제의 양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이다.
필름은 안료로서 적어도 황산바륨을 포함하고, 안료의 양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다. 황산바륨은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제조 동안에 마스터배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에 공급된다.
필름은 하나 이상의 형광증백제를 포함하고, 형광증백제의 사용량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50,000ppm, 특히 20 내지 30,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00ppm이다. 형광증백제는 필름의 제조 동안에 마스터배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신규 필름은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하는데, 이는 필름의 제조 동안에 마스터배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직접 공급되고 난연제의 양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중량%이다. 난연제 대 열가소성 수지의 비는 일반적으로 마스터배치의 제조 동안에 60:40 내지 10:90중량%로 유지된다.
통상적인 난연제는 브롬 화합물, 클로로파라핀 및 기타 염소 화합물, 삼산화안티몬 및 알루미나 삼수화물을 포함하지만, 할로겐 화합물의 사용은 할로겐 함유부산물이 발생되므로 불리하다. 더구나 이러한 재료가 제공된 필름의 낮은 내광성은 연소시 수소 할라이드가 발생되므로 큰 단점이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적합한 난연제의 예는 카복시포스핀산, 이들의 무수물 및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질적인 요소는 유기 인 화합물이 열가소성 수지에 가용성이라는 것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 요구되는 광학 특성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이다.
난연제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가수분해되기 쉬우므로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되는 가수분해 안정화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페놀계 안정화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카보네이트 0.01 내지 1.0중량%이다. 페놀계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6중량%, 특히 0.15 내지 0.3중량%이고, 이들의 몰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500g/mol 이상이다. 특히 유리한 화합물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이다.
광, 특히 태양 방사선의 자외선 함량, 즉 280 내지 400nm의 파장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의 분해를 유도하여 색 변화 또는 황변으로 인해 외관을 변화시키고 기계적/물리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광산화 분해의 억제는 공업적으로 및 경제적으로 상당히 중요한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수의 열가소성 수지의 적용이 철저히 제한되기 때문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한 UV광 흡수는, 예를 들면, 360nm 미만에서 개시되고 320nm 미만에서 현저히 증가하며 300nm 미만에서 매우 뚜렷하다. 최대 흡수는 280 내지 300nm에서 일어난다.
산소의 존재시, 주로 쇄 절단이 일어나지만 가교결합되지는 않는다. 양의 면에서 주요 광산화 생성물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카복실산이다. 에스테르 그룹의 직접 광분해 이외에 과산화물 라디칼을 통해서 이산화탄소를 형성시키는 산화 반응을 고려해야 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광산화시 에스테르 그룹에 대한 알파 위치에서 수소가 절단되어 이들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분해 생성물을 또한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쇄 절단과 동반될 수 있다[참조: H. Day, D.M. Wiles: J. Appl. Polym. Sci 16, 1972, p. 203].
UV 안정화제, 즉 UV 흡수제인 광 안정화제는 광 유도된 분해의 물리 화학적 공정에 개입할 수 있는 화학적 화합물이다. 카본 블랙 및 기타 안료는 광으로부터 다소 차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불투명한 백색 필름용으로는 부적합한데, 왜냐하면 이들은 변색 또는 색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불투명한 백색 필름용으로 적합한 유일한 화합물은 안정화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색 변화를 일으키지 않거나 극히 약간 일으키는 유기 화합물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이다. 광 안정화제로서 적합한 UV 안정화제는 180 내지 380nm,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350nm의 파장 영역에서 UV광을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흡수하는 것이다. 이들은 26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적으로안정하다면, 즉 절단 생성물로 분해되지 않고 기체의 방출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특히 적합하다. 광 안정화제로서 적합한 UV 안정화제의 예는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유기니켈 화합물, 살리실산 에스테르,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옥사닐리드, 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입체 장애 아민 및 트리아진이고, 이들 중에서 2-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트리아진이 바람직하다.
신규 필름에 존재하는 또 다른 첨가제는 형광증백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형광증백제는 360 내지 380nm 영역에서 UV선을 흡수할 수 있고 이를 보다 장파장, 가시 청색-보라색 광으로서 재방출시킬 수 있다.
적합한 형광증백제는 비스벤족사졸, 페닐쿠마린 및 비스스테아릴비페닐, 특히 페닐쿠마린,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페닐쿠마린이며, 이들은 스위스 바슬에 소재하는 시바-가이기(Ciba-Geigy)가 제품 티노팔(RTinopal)로서, 독일 클라리안트(Clariant)가 호스탈룩스(RHostalux) KS로 또는 이스트만(Eastman)이 이스토브라이트(REastobrite) OB-1로서 시판하고 있다.
형광증백제 이외에, 폴리에스테르에 가용성인 청색 염료가 유용한 경우, 이를 또한 가할 수 있다.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된 염료는 코발트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및 안트라퀴논 염료, 특히 수단 블루(Sudan Blue) 2[시판원: 바스프(BASF), 독일 루드비히샤펜 소재]이다.
청색 염료의 사용량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10,000ppm, 특히 20 내지 5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ppm이다.
매우 놀랍게도 위에서 언급한 황산바륨, UV 안정화제, 가용성 난연제, 형광증백제 및, 존재하는 경우, 청색 염료의 혼합물을 필름에 사용함으로써 목적하는 결과가 수득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인들은 아마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의 자외선 안정성을 달성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시작하였지만, 필름은 풍화작용에 대하여 급속히 황변하는 것으로 밝혀졌을 것이다.
UV 안정화제는 UV광을 흡수하므로 차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당해 분야의 숙련인들은 시판되는 UV 안정화제를 사용한 후, 당해 UV 안정화제는 열 안정성이 불만족스럽고 200 내지 240℃의 온도에서 분해되거나 기체를 방출시키고, UV광이 적합하게 흡수되어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대량(약 10 내지 15중량%)의 UV 안정화제를 사용해야 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고 농도에서, 필름은 황색도지수 편차(YID) 약 25로, 제조된 후 즉시 황변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또한, 이의 기계적 특성이 악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된다. 연신은 불만족스러운 강도, 즉 탄성률로 인한 파단, 프로파일 변화를 일으키는 다이 부착물, 광학 특성의 손상(불량한 헤이즈, 불완전한 접착, 불균일한 표면)을 일으키는 UV 안정화제로부터의 롤러 부착물 및 필름으로 떨어지는 연신 프레임(frame) 또는 열경화 프레임의 부착물과 같은 이례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저 농도의 혼합물조차도 우수한 UV 차단을 달성하는 것은 보다 놀랍다. 이러한 우수한 UV 차단과 함께 첨가제들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필름의 황색도지수는 안정화되지 않은 필름의 황색도지수보다 높지 않고 낮으며, 즉 필름은 보다 백색이고, 기체 방출, 다이 부착물 및 프레임 압축이 없어서 필름은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프로파일 및 레이플랫(layflat)을 가지며, UV 안정화된 필름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신뢰할 만하고 안정한 방식으로 고속 필름 라인에서 420m/분 이하의 속도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은 저렴하기도 하다.
마스터배치 기술, 적합한 예비건조 및/또는 예비결정화 과정을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소량의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건조기 속에서 케이킹되지 않으면서 저렴한 방식으로 요구되는 특성을 갖고 인화성이 낮은 필름을 생성시킬 수 있고 고온에 노출시키는 경우 당해 필름은 취화되지 않고 중첩시 파단되지 않는 것은 더욱 놀랍다.
이러한 우수한 결과, 필요한 난연성 및 높은 자외선 안정성과 함께, 측정 정확도 내에서 개질되지 않은 필름에 비해 필름의 황색도지수에 대한 역효과가 없고, 기체 방출, 다이 부착물 및 프레임 압축이 없어서 필름은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프로파일 및 레이플랫을 가지며, 난연성 UV 안정화된 필름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신뢰할 만하고 안정한 방식으로 고속 필름 라인에서 420m/분 이하의 속도로 생성될 수 있음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또한, 절단된 필름 재료는 필름의 황색도지수에 대한 어떠한 악영향도 없이 필름을 생성시키기 위해 재분쇄로서 재생될 수 있음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는 침강 등급의 황산바륨을 사용한다. 침강 황산바륨은 바륨염 및 황산염 또는 황산으로부터 미립자 무색 분말로서 수득되고 분말의 입자 크기는 침전 조건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침강 황산바륨은 문헌[참조: Kunststoff-Journal 8, No. 10, 30-36 and No. 11, 36-31 (1974)]에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황산바륨의 양은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합하게는 0.2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중량%이다.
황산바륨의 평균 입자 크기는 비교적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세디그래프법(Sedigraph method)]이다. 사용되는 황산바륨의 밀도는 4 내지 5g/cm3이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신규한 필름은 주요 성분으로서 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적합하게는 입자 직경이 0.4 내지 1㎛인 침강 황산바륨, 특히 바람직하게는 블랑크 픽스(RBlanc fixe) XR-HX 또는 블랑크 픽스 HXH[시판원: 사흐틀레벤 헤미(Sachtleben Chemie)] 1 내지 25중량%도 포함한다.
이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신규한 필름은 또한 각각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화학식의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0.01 내지 5.0중량% 또는 화학식의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2,2-테트라메틸프로필)페놀 0.1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언급된 UV 안정화제들의 혼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UV 안정화제와 다른 UV 안정화제와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광 안정화제의 총량은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이다.
신규한 필름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에 가용성인 형광증백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페닐쿠마린 티노팔(시판원: 시바-가이기), 호스탈룩스 KS(시판원: 클라리안트) 또는 이스토브라이트 OB-1(시판원: 이스트만)을 10 내지 50,000ppm 포함한다.
이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은 난연제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용성 유기 인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아름가드(RArmgard) P 1045, 시판원: 알브라이트 앤드 윌슨(Albright and Wilson)] 1 내지 20중량%를 추가로 포함한다.
DIN 67530에 따라서 측정된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의 표면 광택도(측정각 20˚)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ASTM-D 1003에 따라서 측정된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의 루미너스 투과율(투명도)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착색은 필름의 직선으로 잰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 균일하고 줄무늬가 없다.
첨가제인 황산바륨, 난연제, UV 안정화제, 형광증백제 및, 존재하는 경우, 청색 염료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은 보다 백색이다. 즉 황산바륨만 제공된 필름에 비해 황색 색조를 덜 나타낸다.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의 종방향 탄성률(ISO 527-1-2)은 3300N/mm2이상, 바람직하게는 3600N/mm2이상이다. 횡방향 탄성률(ISO 527-1-2)은 4800N/mm2이상, 바람직하게는 5100N/mm2이상이다.
DIN 53728에 따라서 디클로로아세트산 속에서 측정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표준 점도 SV(DCA)는 600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이다.
고유 점도 IV(DCA)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표준 점도 SV(DCA)로부터 계산된다.
적어도 황산바륨, 하나 이상의 난연제, 하나 이상의 형광증백제, 하나 이상의 UV 안정화제 및, 필요한 경우,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불투명한 백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하나의 층을 갖거나 2개 이상의 층을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에 있어서, 필름은 하나 이상의 코어층 및 하나 이상의 외부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고, A-B-A 또는 A-B-C의 3층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에 대한 실질적인 요소는 코어층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표준 점도가 코어층에 인접하는 외부층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표준 점도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 있어서, 외부층은 또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단독중합체로 이루어지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거나 임의의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양태에 있어서, 외부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표준 점도도 코어층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표준 점도와 유사하다.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에 있어서, 황산바륨, 난연제, 형광증백제 및, 존재하는 경우, 청색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코어층에 존재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외부층의 변형도 가능하다.
그러나,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에 있어서, UV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외부층에 존재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UV 안정화제를 코어층에 제공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에 있어서, 1층인 양태와 달리 첨가제의 제공되는 양은 첨가제가 제공되는 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필름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내스크래치성 피막,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접착증진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우 놀랍게도, 아틀라스(Atlas) Ci 65 내후도 시험기를 사용하는 ISO 4892의 시험 내역에 따른 내후도 시험은 3층 필름의 경우 두께가 0.5 내지 2㎛인 외부층에 UV 안정화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층을 갖고 공지된 동시압출 기술로 생산된 UV 안정화된 필름은 필적하는 UV 안정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UV 안정화제가 현저히 적기 때문에 완전 UV 안정화된 단일필름에 비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내후도 시험은 옥외 적용시 5 내지 7년 후에도(내후도 시험으로 추정) 신규한 UV 안정화된 필름이 일반적으로 황변의 증가, 취화, 표면 광택도의 손실, 표면 균열 및 기계적 특성의 손상을 나타내지 않음을 입증한다.
놀랍게도, DIN 4102 파트 1 및 파트 2 및 UL 94 시험에 따른 연소 시험도 신규 필름이 10 내지 500㎛의 두께에서도 요건에 부응함을 나타낸다.
측정 결과는 신규한 필름이 100℃의 온도에서 장기간 노출되는 동안 취화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적합한 예비결정화, 예비건조, 마스터배치 기술 및 혼합 내역의 상승 작용에 기인한다.
필름의 제조 동안 UV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은 파단없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생성 공정 동안 UV 안정화제로부터 또는 난연제로부터 어떠한 유형의 기체 방출도 일어나지 않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소인데, 왜냐하면 대부분의 UV 안정화제 또는 난연제는 260℃ 이상의 압출 온도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불쾌한 기체를 방출시켜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신규한 필름은 환경 오염 및 기계적 특성의 손실 없이 재활용하기에 쉬우므로, 예를 들면, 단기 선전용 플래카드, 라벨 또는 기타 선전용 필수품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신규한 필름의 제조방법의 예는 압출 라인에서의 압출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난연제는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공급된다. 난연제는 캐리어 물질 속에 완전히 분산된다.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 자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거나, 열가소성 수지와 혼화성인 기타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황산바륨, UV 안정화제, 형광증백제 및, 존재하는 경우, 청색 염료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직접 혼입시키거나 필름의 제조 동안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압출기 속의 열가소성 수지에 공급할 수 있다. 황산바륨, UV 안정화제, 형광증백제 및, 존재하는 경우, 청색 염료 및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를 고체 캐리어 물질 속에 완전히 분산시킨다.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 자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충분히 상용성인 다른 중합체이다.
균일한 UV 안정화 및 균일한 불투명한도와 함께 균일한 분산을 이루기 위해서 마스터배치의 입자 크기 및 벌크 밀도는 열가소성 수지의 입자 크기 및 벌크 밀도와 유사한 것이 중요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와, 필요한 경우, 다른 중합체 및 형광증백제, UV 안정화제, 난연제, 황산바륨, 필요한 경우, 청색 염료 및/또는 0.1 내지 최대 10중량%의 통상적인 양의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단일필름 또는, 필요한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구성된 표면을 갖는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동시압출된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한쪽 표면에는 안료 및 UV 안정화제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쪽 표면에는 안료 및/또는 UV 안정화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필름의 한쪽 표면 또는 양쪽 표면에 통상적인 기능성 피막을 제공하는 공지된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소는 난연제 및, 사용되는 경우,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가 예비결정화되거나 예비건조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비건조는 감압(20 내지 80mbar,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mbar, 특히 40 내지 50mbar)에서 교반시키면서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필요한 경우, 일정한 승온에서 감압하에 후건조시킴을 포함한다. 마스터배치는 실온에서 계량 용기로부터 바람직한 혼합물로서 기재층 및/또는 외부층의 중합체 및, 필요한 경우, 다른 원료 성분과 함께 한꺼번에 진공 건조기 속으로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 시간 또는 체류 시간 동안 온도 프로파일은 1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특히 30 내지 130℃로 움직인다. 약 6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특히 4시간의 체류 시간 동안 중합체 혼합물을 10 내지 70rp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5rpm, 특히 20 내지 60rpm으로 교반한다. 생성된 예비결정화되거나 예비건조된 중합체 혼합물을 하류 용기에서 후건조시키고 마찬가지로 9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70℃, 특히 110 내지 16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시간, 특히 4 내지 6시간 동안 배기시킨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압출 방법에 있어서, 용융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슬롯 다이를 통해 압출시키고 냉각 롤로 실질적으로 무정형 예비필름으로 급냉시킨다. 그 다음, 당해 필름을 재가열하고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거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신시키거나 종방향, 횡방향 및 다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연신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연신 온도는 Tg+ 10K 내지 Tg+ 60K(여기서, Tg는 유리 전이 온도이다)이고, 본 발명에 따르는 종방향 연신비는 2 내지 6, 특히 2.5 내지 4.5이고 횡방향 연신비는 2 내지 5, 특히 3 내지 4.5이며, 수행된 두번째 종방향 연신비는 1.1 내지 3이다. 첫번째 종방향 연신은, 필요한 경우, 횡방향 연신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동시 연신). 그 다음, 200 내지 260℃, 특히 220 내지 250℃의 오븐에서 열경화시킨다. 그 다음, 필름을 냉각시키고 권취한다.
종방향 연신에 대한 공정 파라미터가 필름의 광학 특성(투명도)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은 완전히 예기치 못한 발견이다. 종방향 연신에 대한 공정 파라미터는 특히 종방향 연신비 및 종방향 연신 온도를 포함한다. 투명도가 종방향 연신비의 변화에 현저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놀랍다. 예를 들면, 필름 생산설비가 투명도가 본 발명에 따르는 값을 초과하는 필름을 생산하는 경우, 종방향 연신 공정 동안 종방향 연신비를 증가시킴으로써 투명도가 보다 낮은 신규한 필름을 생산할 수 있다. 종방향 연신비가 상대적으로 7% 증가하면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15 내지 20% 감소된다.
우수한 특성들의 놀라운 조합으로 신규한 필름은 내부 장식과 같은 각종 상이한 용도, 진열대 구성, 전시 필수품, 디스플레이, 플래카드, 라벨, 및 기계 또는 자동차 차단용 글레이징, 조명 분야, 상점 또는 가게 피팅(fitting)시, 선전용 필수품 또는 적층 물질로서 및 식품 또는 음료 관련 용품에 매우 적합하다.
신규한 필름의 우수한 자외선 안정성으로 인해 이는 또한 옥외 용도, 예를 들면, 지붕 시스템, 외부 클래딩, 차단용 덮개, 건축 분야, 조명 광고 프로파일 또는 수송 분야에 적합하다.
신규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은 낮은 인화성으로 인해 전기 용품용으로도 적합하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표준 및 방법이 개별 특성을 시험할 때 사용된다.
시험 방법
표면 광택도
표면 광택도는 DIN 67530에 따라서 측정각 20°에서 측정한다.
루미너스 투과율/투명도
본 발명에 있어서, 루미너스 투과율/투명도는 투과된 총 광 대 입사광의 양의 비이다.
루미너스 투과율은 ASTM D 1003에 따라서 "헤이즈가드 플러스(Hazegard plus)"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표면 결함 및 불균일한 착색
표면 결함 및 불균일한 착색은 시각적으로 측정한다.
기계적 특성
탄성률, 인렬 강도 및 파단 신도는 ISO 527-1-2에 따라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측정한다.
SV(DCA) 및 IV(DCA)
표준 점도 SV(DCA)는 디클로로아세트산 속에서 DIN 53726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고유 점도(IV)는 표준 점도(SV)로부터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다.
황색도지수
황색도지수(YID)는 "황색" 계열에서 무색 상태로부터의 편차이며 DIN 6167에 따라서 측정된다.
연소 성능
연소 성능은 DIN 4102 파트 2 구성 물질 부류 B2 및 DIN 4102 파트 1 구성 물질 부류 B1에 따라서 측정되고 UL 94 시험으로도 측정된다.
(양 측면에 대한) 내후도 및 자외선 안정성
자외선 안정성은 ISO 4892의 시험 내역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시험한다.
시험 장치: 아틀라스 Ci 65 내후도 시험기
시험 조건: ISO 4892, 즉 인공 풍화
조사 시간: 1000시간(한 측면당)
조사: 0.5W/m2, 340nm
온도: 63℃
상대 습도: 50%
크세논 램프: 보로실리케이트로부터 제조된 내부 및 외부 필터
조사 사이클: UV광을 102분 동안 조사한 다음, 시험편에 물을 분무하면서 UV광을 18분 동안 조사하고, 그 다음 또 다시 UV광으로 102분 동안 조사
다음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각각의 필름은 기재된 압출 라인으로 생성된 1층 불투명한 백색 필름이다.
각각의 필름을 아틀라스 Ci 65 내후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한 측면당 1000시간 동안 ISO 4892 시험 내역에 따라서 내후도를 시험한 후, 기계적 특성, 변색, 표면 결함, 루미너스 투과율 및 광택에 대해 시험한다.
DIN 4102 파트 2 및 파트 1 및 UL 94 시험에 따른 연소 시험을 각각의 필름에 대하여 수행한다.
실시예 1
두께 50㎛의 불투명한 백색 필름을 제조하는데, 이는 주요 성분으로서의 투명 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RT49, 시판원:코사(KoSa)], 안료로서의 황산바륨(블랑크 픽스 XR-HX, 시판원: 사흐틀레벤 헤미) 18중량%, 광안정화제로서의 UV 안정화제(티누빈 1577, 시판원: 시바-가이기) 0.5%, 200ppm의 형광증백제(티노팔, 시판원: 시바-가이기), 4.0%의 난연제(암가르드 P1045, 시판원: 알브라이트 앤드 윌슨), 0.2%의 가수분해 안정화제[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시판원: 시바-가이기] 및 40ppm의 청색 염료(수단 블루 2, 시판원: 바스프)를 포함한다.
첨가제인 황산바륨, 난연제, 가수분해 안정화제, UV 안정화제, 형광증백제 및 청색 염료를 마스터배치로서 가한다. 필름을 생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표준 점도 SV(DCA)가 810이고 이는 고유 점도 0.658dl/g에 상응한다.
마스터배치(1)는 투명 중합체 RT49 64중량%와 황산바륨 36중량%로 이루어진다. 마스터배치(2)는 UV 안정화제 20중량%, 형광증백제 8000ppm, 청색 염료 2000ppm 및 투명 중합체 79중량%로 이루어진다. 마스터배치(3)는 투명 중합체 이외에 난연제 20중량%와 가수분해 안정화제 1중량%를 포함한다.
압출시키기 전에 마스터배치(1) 50중량%, 마스터배치(2) 2.5중량%, 마스터배치(3) 2.5중량% 및 투명 중합체 45중량%를 150℃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후, 압출기 속에서 용융시킨다. 필름의 제조 동안에 설정된 종방향 연신비는 정확히 3.1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반복하되, 단 종방향 연신비를 2.9로 감소시킨다.
실시예 3
혼합 내역은 실시예 1의 혼합 내역에 상응하지만, 종방향 연신 온도를 변함없이 유지시키면서 종방향 연신비를 3.3으로 증가시킨다.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2를 반복하되, 단 마스터배치(2)를 필름에 가하지 않는다.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1을 반복하되, 단 마스터배치(2)와 마스터배치(3) 둘 다를 필름에 가하지 않고, 따라서 필름에 존재하는 유일한 첨가제는 안료인 황산바륨이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생성된 불투명한 백색 PET 필름과 비교 실시예 1 및 2의 필름은 다음 표에 기재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다.
특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두께[㎛] 50 50 50 50 50
표면 광택도(측정 각 20°) 측면 1 20 19 21 20 20
측면 2 21 20 21 21 20
루미너스 투과율/투명도[%] 19.1 22.5 16.3 22.9 22.7
황색도지수(YID) 18 19 18 24 25
종방향 탄성률[N/mm2] 3600 3650 3500 3550 3650
횡방향 탄성률[N/mm2] 5100 5200 5150 5100 5200
종방향 인렬 강도[N/mm2] 145 160 155 160 150
횡방향 인렬 강도[N/mm2] 240 240 230 230 230
종방향 파단 신도[%] 185 190 185 185 180
횡방향 파단 신도[%] 70 65 60 60 65
착색 선명한백색 선명한백색 선명한백색 담황색 담황색
내후도 시험 결과
아틀라스 Ci 65 내후도 시험기로 한 측면당 내후도를 시험한지 1000시간 후, 실시예 1 내지 3의 필름의 외관은 내후도 시험하지 않은 필름의 외관과 거의 다르지 않다. 내후도 시험하지 않은 필름과 비교해 보면 기계적 특성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아틀라스 Ci 65 내후도 시험기로 한 측면당 내후도 시험한지 1000시간 후 비교 실시예 1 및 2의 필름은 표면 균열을 갖고 취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더 이상 이의 특성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필름은 또한 보다 황색으로착색된 것으로 보인다.
연소 시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필름 및 비교 실시예 1의 필름은 DIN 4102의 구성 물질 부류 B2 및 B1에 대한 요건에 부응한다.
비교 실시예 2의 필름은 DIN 4102에 따르는 구성 물질 부류 B2 및 B1에 대한 요건에 부응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연신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 우수한 광학 특성 및 낮은 황색도지수 이외에 무엇보다도 자외선 안정성이 높고 광선으로부터 차단 수준이 높으며 특히 고온에 노출시 취화되지 않는, 두께가 10 내지 500㎛인 불투명한 백색의 난연성 필름을 제공한다.

Claims (20)

  1. 안료로서의 적어도 황산바륨, 광 안정화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UV 안정화제, 하나 이상의 난연제 및 하나 이상의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주요 성분이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인 두께 10 내지 500㎛의 불투명한 백색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황산바륨이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중량%로 필름 속에 존재하고 필름의 제조 동안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로 공급되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50,000ppm, 특히 20 내지 30,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00ppm으로 필름 속에 존재하고 필름의 제조 동안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로 공급되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가 비스벤족사졸, 페닐쿠마린 및 비스스테아릴비페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페닐쿠마린,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페닐쿠마린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정화제로서의 UV 안정화제가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중량%로 필름 속에 존재하고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유기니켈 화합물, 살리실산 에스테르,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옥사닐리드, 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입체 장애 아민, 트리아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트리아진이고 필름의 제조 동안 마스터배치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공급되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연제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중량%로 필름 속에 존재하고 카복시포스핀산, 이의 무수물 및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열가소성 수지에 가용성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놀계 안정화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수분해 안정화제 0.01 내지 1.0중량%가 필름 속에 추가로 존재하고 페놀계 안정화제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6중량%, 특히 0.15 내지 0.3중량%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발트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및 안트라퀴논 염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에스테르 가용성 청색 염료, 특히 수단 블루 2가 필름 속에 추가로 존재하고 청색 염료의 양이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10,000ppm, 특히 20 내지 5,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ppm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산바륨이 침강 황산바륨으로서 필름 속에 존재하고 세디그래프법(Sedigraph method)으로 측정된 평균 입자 크기가 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인 무색 미립자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IN 67530(측정각 20°)에 따라서 측정된 필름의 표면 광택도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ASTM-D 1003에 따라서 측정된 필름의 루미너스 투과율(투명도)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이 하나 이상의 층을 갖고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가 하나 이상의 코어층과 하나 이상의 외부층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A-B-A 또는 A-B-C의 3층 구조인 불투명한 백색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양태에서 황산바륨, 난연제, 형광증백제 및, 존재하는 경우, 청색 염료가 바람직하게는 코어층에 존재하고 UV 안정화제가 외부층에 존재하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14. 제12항에 있어서, 외부층에 황산바륨, 난연제, 형광증백제 및, 필요한 경우, 청색 염료를 추가로 제공한 불투명한 백색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스크래치성 피막,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접착 증진제가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제공되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16. 압출기 속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실질적으로 무정형인 예비필름으로서 압축시키고, 슬롯 다이를 통해 압출시키고, 냉각 롤로 급냉시킨 후, 재가열하고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거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신시키거나 종방향, 횡방향 및 다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연신 온도를 Tg+ 10K 내지Tg+ 60K로 설정하고 종방향 연신비를 2 내지 5, 특히 2.5 내지 4.5로 설정하고, 횡방향 연신비를 2 내지 5, 특히 3 내지 4.5로 설정하고, 필요한 경우, 수행될 수 있는 두번째 종방향 연신비를 1.1 내지 3으로 설정함을 포함하는, 압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필름의 열경화가 200 내지 260℃, 특히 220 내지 250℃의 오븐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필름의 광학 특성(투명도)이 종방향 연신에 대한 공정 파라미터, 특히 종방향 연신 온도 및/또는 종방향 연신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설정되는 방법.
  19. 내부 장식, 진열대 구성, 전시 필수품, 디스플레이, 플래카드, 라벨, 기계 또는 자동차 차단용 글레이징, 조명 분야, 상점 또는 가게 피팅시, 선전용 필수품 또는 적층 물질로서 또는, 식품 또는 음료 관련 용품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필름의 용도.
  20. 지붕 시스템, 외부 클래딩, 차단용 덮개와 같은 옥외 용품, 건축 분야, 조명 광고 프로파일 또는 수송 분야에서 또는 전기 용품을 위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의 용도.
KR1020010007788A 2000-02-19 2001-02-16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도가 낮은불투명한 백색의 자외선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 KR20010082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7672A DE10007672A1 (de) 2000-02-19 2000-02-19 Weiß-opake, schwer entflammbare, UV-stabilisiert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DE10007672.6 2000-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710A true KR20010082710A (ko) 2001-08-30

Family

ID=763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788A KR20010082710A (ko) 2000-02-19 2001-02-16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도가 낮은불투명한 백색의 자외선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0915B2 (ko)
EP (1) EP1125966B1 (ko)
JP (1) JP4815676B2 (ko)
KR (1) KR20010082710A (ko)
DE (2) DE100076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219A (ko) * 2008-04-24 2011-01-21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불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2163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20069366A (ko) * 2000-01-20 2002-08-30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US7360504B2 (en) * 2003-01-09 2008-04-22 T.F.H. Publications, Inc. Radiopaque animal chew
US20060100330A1 (en) * 2004-11-10 2006-05-11 Natarajan Kavilipalayam M Composition for use in forming an article
US7375167B2 (en) * 2005-05-09 2008-05-20 Basf Se Hydrolysis-resistance composition
EP1728815B1 (de) * 2005-06-01 2008-07-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opak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und verbesserter Durchschlagsfestigkeit
DE102006015941A1 (de) 2006-04-05 2007-10-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weiße Polyesterfolie
JP5239448B2 (ja) * 2007-06-04 2013-07-17 東レ株式会社 帯電防止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DE102007026553A1 (de) 2007-06-08 2008-12-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Polyesterfolie für Karten
DE102007051241A1 (de) 2007-10-26 2009-04-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weiß-opake, einseitig mat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TWI531511B (zh) * 2008-04-24 2016-05-01 沙地基本工業公司 可撓性中型散裝容器
DE102008047683A1 (de) 2008-09-18 2010-03-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übe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Lichtdurchlässigkeit
CN103467932B (zh) * 2013-08-20 2016-12-28 杨柏容 Pet阻燃薄膜母粒及其制备方法、pet阻燃薄膜制品
JP2015151477A (ja) * 2014-02-15 2015-08-24 三菱樹脂株式会社 白色難燃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151476A (ja) * 2014-02-15 2015-08-24 三菱樹脂株式会社 白色難燃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530604B2 (ja) * 2015-01-06 2019-06-12 株式会社エクセディ 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6787C3 (de) 1973-09-17 1980-05-08 Hoechst Ag, 6000 Frankfurt Schwer entflammbare lineare Polyest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T1123063B (it) * 1975-10-23 1986-04-30 Ici Ltd Pellicole di materiali polimerici sintetici
JPS562343A (en) * 1979-06-20 1981-01-12 Toray Ind Inc Preparation of polyester
DE3725568A1 (de) * 1987-08-01 1989-02-0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ut regenerierbaren polyesterfolie enthaltend gleitmittelzusatz
JPH0768371B2 (ja) * 1989-03-06 1995-07-26 帝人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297660B2 (ja) * 1991-12-20 2002-07-02 帝人株式会社 金属缶外面貼合せ用二軸配向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TW252135B (ko) * 1992-08-01 1995-07-21 Hoechst Ag
JP3205140B2 (ja) * 1992-09-17 2001-09-04 帝人株式会社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GB9307002D0 (en) 1993-04-02 1993-05-26 Ici Plc Polyester film
US5660931A (en) * 1994-03-17 1997-08-26 Skc Limited Polymeric film with paper-like characteristics
JPH08100074A (ja) * 1994-09-29 1996-04-16 Mitsubishi Chem Corp 不透明樹脂延伸フィルム
JP3640026B2 (ja) * 1994-10-25 2005-04-20 東レ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5178B2 (ja) * 1995-09-29 2001-04-09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US5972445A (en) * 1996-01-17 1999-10-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ultilayer polyester sheet
US5683793A (en) * 1996-06-03 1997-11-04 Xerox Corporation Ink jet transparencies
JP3720478B2 (ja) * 1996-07-23 2005-11-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JPH1045923A (ja) * 1996-08-01 1998-02-17 Mitsubishi Chem Corp 照明器具用ポリエステルシート
EP0857749B1 (en) * 1996-08-05 2003-07-16 Toray Industries, Inc. Cards, for recording information, of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10157026A (ja) * 1996-12-02 1998-06-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US6410122B1 (en) * 1997-01-16 2002-06-25 Sekisui Chemical Co., Ltd. Fire-resistant sheetlike molding, fire-resistant laminate for covering steel, fire-resistant structure fo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ire-resistant steel and fire-resistant wall
JPH10211679A (ja) * 1997-01-30 1998-08-11 Nippon Petrochem Co Ltd 積層体および一軸配向積層体
US6270888B1 (en) * 1997-08-07 2001-08-07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 Polymeric film
AU3653999A (en) * 1998-04-20 1999-11-08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fabric having both uv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and related methodfor its manufacture
JP2000334870A (ja) * 1999-05-26 2000-12-05 Kyowa Chem Ind Co Ltd 難燃性発泡樹脂積層成形品
DE19962018A1 (de) * 1999-12-22 2001-06-28 Bayer Ag Vinylcyclohexan basierende Einschichtfolien
DE10007671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opak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DE10007673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opake, UV-stabilisiert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DE10112493A1 (de) * 2001-03-15 2002-09-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mit hohem Weißgrad und mit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219A (ko) * 2008-04-24 2011-01-21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불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5676B2 (ja) 2011-11-16
US7090915B2 (en) 2006-08-15
EP1125966B1 (de) 2006-03-29
DE50109343D1 (de) 2006-05-18
JP2001261984A (ja) 2001-09-26
EP1125966A1 (de) 2001-08-22
DE10007672A1 (de) 2001-08-23
US20030017317A1 (en)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345B1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한 난연성 자외선 안정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6689454B2 (en) White flame-resistant UV-stable thermoformable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a method for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KR20010082710A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도가 낮은불투명한 백색의 자외선 안정화된 난연성 필름
US7045200B2 (en) White, UV-stabilized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US6521351B2 (en) Opaque, white UV-resistant film with low transparency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KR20020073395A (ko) 고백색도 및 추가 기능성을 갖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제조된 백색 이축배향 필름
US7186455B2 (en) White flame-resistant uv-stable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a method for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KR100604623B1 (ko) 결정화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uv-안정화된 투명 필름
US6875803B2 (en) Transparent, flame-retardant, thermoformable, UV-resistant film made from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20020128358A1 (en) Transparent, flame-retardant, oriented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2003522659A (ja) シール性、耐紫外線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3520883A (ja) 結晶性熱可塑性樹脂から成り熱成型可能で耐紫外線性を有する白色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EP1276794B1 (de) Eingefärbte, schwer 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23623A1 (de)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10076399A (ko) 결정화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한 난연성배향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DE10002179A1 (de)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