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366A -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366A
KR20020069366A KR1020027009362A KR20027009362A KR20020069366A KR 20020069366 A KR20020069366 A KR 20020069366A KR 1020027009362 A KR1020027009362 A KR 1020027009362A KR 20027009362 A KR20027009362 A KR 20027009362A KR 20020069366 A KR20020069366 A KR 20020069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film
thermoforming
flame retardant
thermofor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르쉬알우르술라
크라스군더
케른울리치
오베르랜더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039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6936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00217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002179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02362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023623A1/d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ublication of KR2002006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8Thermoform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6Roofs, roof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두께 10㎛∼350㎛의 백색 방염성, UV-안정성, 열성형성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색 안료, 방염제 및 UV흡수제를 포함하며, 우수한 연신성, 열성형성, 우수한 광학적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 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White, flame-retardant, UV-resistant, thermoformable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두께가 10㎛∼350㎛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필름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필름에는 광안정화제로서 어떠한 UV흡수제나 어떠한 방염제도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필름 및 이로 제조된 제품은 화재방지 및 방염성이 요구되는 실외용 제품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필름은 DIN 4120의 2부와 1부 및 UL-Test 94에 따른 화재시험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상기 필름은 열성형성이 부적합하다.
상기 필름을 단기간이라도 실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태양광에 의한 광산화 분해반응에 의해 필름이 황색화되고 기계적 특성이 열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EP-A-0 620 245호에는 내열성을 개선한 필름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들 필름은 필름내에 형성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고, 형성된 과산화물을 저하시키는데 적합한 산화방지제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그 명세서에는 이 필름의 UV저항성이 어떻게 개선되는지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지 않다.
DE-A 23 46 787에는 방염성 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중합체외에 필름 및 섬유 제조용 중합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포스포레인개질 중합체로부터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이 중합체는 매우 가수분해되기 쉽고, 철저하게 예비건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중합체를 공지의 건조기로 건조하는 경우 응집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조건하에서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극한적이고 비경제적인 조건하에서 제조된 필름은 열에 노출되는 경우 취화(embrittle)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열화로 인해 필름은 유용성이 없어진다. 이러한 취화는 열에 노출된지 적어도 48시간 후에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두께가 10㎛∼350㎛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백색, 방염성, UV저항성, 열성형성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색 안료, 방염제 및 UV흡수제를 포함하고, 우수한 배향성, 열성형성, 매우 우수한 광학적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비용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우수한 배향성 및 우수한 기계적 광학적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방염성을 가지며, 열에의 노출시에도 취화되지 않아 열성형성 및 고 UV저항성을 갖는 두께 10㎛∼350㎛의 백색 방염성 내UV성 열성형성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염성이란 화재방지시험에서 필름이 DIN 4102 2부 조건, 특히 DIN 4102 1부 조건에 따르고, 저방염성 재료의 구조재료 B2급, 특히 B1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필름은 UL 94 시험 "플라스틱 재료의 연소에 대한 수직 연소시험"에 합격하여, 94 VTM-0 급으로 갈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필름이 번슨(Bunsen)버너를 제거하고 10초 후에 더 이상 연소되지 않고, 30초 후에는 연기가 관찰되지 않으며, 연소적하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 UV저항성이란 햇빛 또는 다른 UV방사에 의해 필름이 손상되지 않거나 약간의 손상만 있기 때문에 필름이 야외 및/또는 실내용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필름은 야외에서 다년간 사용한 후에도 황색으로 변하지 않고, 필름이 취화되거나 표면이 갈라지지 않으며 기계적 특성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고 UV저항성이란 필름이 UV광을 흡수하여 가시영역에 도달될 때까지 빛이 전이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성형성이란 필름을 비경제적인 예비건조없이 상용의 열성형기에서 열성형하여 복합물 및 대면적의 몰딩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수한 광학 특성의 예로는 균질하고, 표면광택이 높으며(15 이상), 광투과도가 낮고(70% 이하), 방염성 UV개질 필름에 비해 황색지수의 변화가 없는 것을 들 수 있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의 예로는 고 탄성계수(EMD> 3200 N/㎟; ETD> 3500 N/㎟), 및 우수한 파단 인장강도(MD > 100 N/㎟; TD > 130 N/㎟)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우수한 배향성이란 필름제조시 파단(break-off)없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필름을 배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방염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료와 원료 구성요소를 종래의 공업표준 건조기로 건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원료는 엉기지 않고 열적으로 열화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공업용 건조기에는 진공건조기, 유동층건조기, 고정층건조기(탑건조기)가 있다. 이들 건조기는 100℃∼170℃에서 작동되는데, 여기에서 방염성 중합체가 엉기거나 파여서 필름제조가 불가능하게 된다.
가장 원만한 조건의 진공건조기의 경우, 원료는 50mbar의 감압하에서 약 30∼130℃로 통과된다. 이후 100∼130℃에서 3∼6시간 동안 호퍼에서 후건조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도 중합체가 상당할 정도로 덩어리진다.
상기의 목적은 두께가 10㎛∼350㎛이고, 주성분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색 안료,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안정화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염제를 포함하고, 상기 UV안정화제 및 방염제는 필름제조시 마스터배치로 직접 첨가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백색, 방염성, UV저항성, 열성형성 배향 필름은 주성분으로 결정성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한다. 적합한 결정성 또는 부분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텔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는 결정성 단일중합체, 결정성 공중합체, 결정성 화합물(혼합물), 결정성 재생물 및 다른 형태의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백색 필름은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또 필름은 다양한 공중합에스테르 또는 접착촉진제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색 필름은 UV흡수제와 방염제를 함유한다. UV흡수제는 필름제조시에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직접 첨가하며, UV안정화제의 농도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5중량%이다.
단순한 열에의 노출에도 취화되지 않는다는 것은 순환공기 가열오븐에서, 130℃ 100시간 동안의 가열조건 후에도 필름 또는 몰딩의 기계적 특성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방염제를 함유하며, 필름제조시에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직접 첨가하며, 방염제의 농도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5중량%∼3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20.0중량%이다. 마스터배치 생성시에 통상적으로 유지되는 방염제대 열가소성수지의 중량비율은 60:40%∼10:90%이다.
통상적인 방염제로는 브롬화합물, 클로로파라핀 및 다른 염소화합물, 삼산화안티몬 및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할로겐화합물은 할로겐화 부산물이 생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내광성이 낮고, 연소시에 할로겐화수소가 생성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바람직한 방염제로는 카르복시포스핀산과 그 무수물 및 디메틸메틸포스포네이트 등의 유기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인 화합물은 열가소성수지에 가용성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하지 않으면 소정의 광학특성을 만족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방염제는 어느 정도 가수분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추가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수분해안정화제로는 페놀안정화제, 알칼리금속/알칼리토금속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알칼리금속/알칼리토금속 카르보네이트이고, 그 함량은 0.01∼1.0중량%이다. 페놀안정화제의 사용량은 0.05∼0.6중량%, 바람직하게는 0.15∼0.3중량%이고, 그 몰량은 500g/mol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이다.
백색 안료는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료 생산기에 직접 첨가할 수도 있다. 백색 안료의 농도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0.2중량%∼4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25중량%이다.
바람직한 백색안료로는 이산화티탄(TiO2), 황산바륨, 탄산칼슘, 카올린, 이산화실리콘을 들 수 있고, 특히 이산화티탄 또는 황산바륨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은 애너테이스 또는 루틸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애너테이스보다 불투명력이 큰 루틸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산화티탄 입자는 적어도 95중량% 이상의 루틸형으로 구성된다. 이는 종래의 공정, 예를 들어 염산 또는 황산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기저층에서의 함유량은 기저층을 기준으로 0.3중량%∼25중량%이며, 그 평균입경은 비교적 적고, 바람직하게는 0.10㎛∼0.30㎛이다.
상기한 이산화티탄은 필름제조시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이산화티탄 입자는 무기산화물의 피복재로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피복재는 내광성 개선을 위해서 종이나 페인트에 TiO2백색 안료용 피복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TiO2는 광활성을 갖는다.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자유라디칼이 입자표면에 형성된다. 자유라디칼은 필름형성 중합체 내에서 저하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름을 황색변형시킬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산화물로는 알루미늄, 실리콘, 아연 및 마그네슘 산화물, 및 이들 2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EP-A-0 044 515 및 EP-A-0 078 633호에 이들 화합물로 제조된 TiO2입자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 코팅은 극성 및 비극성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유기화합물은 중합체 용융물을 압출함에 따라 필름 제조시에 충분한 열적 안정성이 있다. 극성기로는 -OH; -OR; -COOX(X=R, H 또는 Na, R=탄소원자 1∼34개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화합물로는 알킬기에 탄소원자 8∼30개를 갖는 알칸올 및 지방산, 특히 탄소원자 12∼24개를 갖는 지방산 및 일차 n-알칸올, 및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오르가노히드실록산,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메틸히드로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산화티탄 안료입자의 피막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티탄 입자 100g을 기준으로 무기산화물 1∼12g, 바람직하게는 2∼6g, 및 유기화합물 0.5∼3g, 바람직하게는 0.7∼1.5g을 함유한다. 이 피막은 수성 현탁액으로 입자에 가한다. 무기산화물은 수성 현탁액에서 수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알칼리금속 질화물, 특히 질화나트륨, 규산나트륨(물유리) 또는 실리카로부터 침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Al2O3또는 SiO2등의 무기산화물은 정확한 구성이나 구조가 알려져 있지 않는 수산화물 및 여러 탈수물, 예를 들어 산화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또는 실리콘 등의 산화수화물을 수성현탁액에서 하소된 가루 TiO2안료에 침전시킨 후, 안료를 수세하고 건조시킨다. 이러한 침전은 현탁액에서 직접 일어날 수 있어 하소공정 이후에 습식분쇄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각 금속의 산화물 및/또는 산화수화물은 공지의 pH 범위내에서 수용성 금속염으로부터 석출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은 수용액(pH 4 이하)에서 황산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산화수화물은 암모니아 수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5∼9, 바람직하게는 7∼8.5에서 석출된다. 출발물질이 물유리용액 또는 알칼리금속 알루미네이트용액인 경우 초기 TiO2현탁액의 pH는 강알칼리범위(pH: 8 이상)이다. 이후 황산 등의 무기산을 첨가하여 pH 5∼8에서 석출된다. 금속산화물이 석출되면 석출된 층을 에이징하면서 현탁액을 15분에서 약 2시간 정도 교반한다. 수용성 분산액으로부터 코팅된 안료를 분리하고 수세한 후 승온하에, 특히 70∼100℃에서 건조한다.
특히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 즉 파장 280∼400nm의 빛은 열가소성수지를 열화시켜 변색 또는 황색화에 의한 외관변화뿐만 아니라 필름의 기계적/물리적 특성에 상당히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광산화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공업상 경제상 상당히 중요하다. 그러하지 않으면 많은 열가소성수지의 적용범위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UV광흡수는 360nm 이하에서 시작하여 320nm 이하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며, 300nm 이하에서 매우 뚜렷해 진다. 최대 흡수는 280∼300nm에서 일어난다.
산소가 존재하는 경우 주사슬이 절단되지만, 가교결합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량의 광산화물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카르복시산이다. 에스테르기의 직접 광분해외에는 과산화라디칼에 의해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다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광산화에 있어서, 에스테르기의 α위치에서 수소가 절단되어 히드로과산화물과 그 분해생성물로 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슬절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H.Day, D.M.Wiles,J.Appl. Polym. Sci. 16 [1972], p203).
UV안정화제, 즉 UV흡광체인 광안정화제는 빛에 의한 기계적 화학적 열화가 진행되는 것을 방해하는 화합물이다. 카아본블랙 및 그외의 다른 안료로 인해 빛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될 수 있으나, 탈색 또는 변색때문에 투명 필름에는 적합하지 않다. 투명 무광택 필름에 대해서는 안정화된 열가소성 수지에 채색이나 변색이 일어나지 않거나 극히 적으며, 즉 열가소성 수지에 가용해성인 유기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만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적합한 광안정화제인 UV안정화제는 파장 180∼380nm, 바람직하게는 280∼350nm의 UV광을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흡수하는 것이다. 이들이 열안정성이 있으면, 즉 260∼300℃에서 분해되어 절단생성물로 되지않고 가스도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적합한 광안정화제인 UV안정화제로는 2-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유기니켈화합물, 살리실에스테르, 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옥사닐리드, 히드록시벤조에스테르, 벤족사지논, 입체장애 아민 및 트리아진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트리아진을 들 수 있다.
UV안정화제(들)는 외층(들)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UV안정화제는 코어층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UV안정화제를 필름에 사용함에 따라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다는 것은매우 놀랄만한 것이었다. 당업자는 우선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내UV성을 얻고자 할 수 있지만, 풍화시 필름이 급격하게 황화된다는 것을 알것이다.
UV안정화제가 UV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보호된다는 기술에 비추어, 당업자는 상용의 UV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할 것이다.
·이 UV안정화제는 열안정성이 미흡하고, 200∼240℃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방출한다.
·UV광이 흡수되어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량(약 10∼15중량%)의 UV안정화제가 혼합되어야 한다.
이렇케 고농도인 경우, 필름제조 직후에도 황색지수(YI)가 약 25가 되고, 기계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배향의 경우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미흡한 강도, 즉 너무 낮은 탄성계수에 따른 파단(break-offs),
·외형 변형을 야기하는 다이부착,
·광학특성(부착결함, 비균일면)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는 UV안정화제에 의한 롤러부착,
·스크래치 프레임 또는 열고정 프레임에서 필름으로의 적하 침적.
따라서 저농도의 UV안정화제로도 UV보호가 우수하다는 것은 매우 놀랄만한 것이었다. 우수한 UV보호성과 함께,
·본 필름의 황색지수는 정확한 측정범위 내에서 불안정한 필름의 황색지수에서 변동이 없으며,
·가스방출이 전혀 없고, 다이 부착 또는 프레임응결이 없으며, 따라서 본 필름은 광학특성이 우수하고 외형 및 레이플랫(layflat)이 우수하고,
·내UV성 필름은 신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420m/min 이상의 속도로 고속 필름 라인 상에서 확실하고 안정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소정의 특성을 갖는 방염성 열가소성 필름을 마스터배치 기술, 예비건조 및/또는 예비 결정, 필요한 경우 소량의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건조기에서 엉기지 않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열에 노출되어도 취화되지 않고 접는 경우에도 꺾기지 않는다는 것은 놀랄만한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우수한 결과, 소정의 방염성, 열성형성 및 고 UV저항성과 함께,
- 본 필름의 황색지수는 불안전한 필름에 비해 정확한 측정범위 내에서 악영향이 없으며,
- 가스방출이 전혀 없고, 다이 부착 또는 프레임응결이 없으며, 따라서 본 필름은 광학특성이 우수하고 외형 및 레이플랫(layflat)이 우수하며,
- 본 방염성 내UV성 필름은 신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420m/min 이상의 속도로 고속 필름 라인 상에서 확실하고 안정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은 놀랄만한 것이었다.
또한 본 필름은 비용경제적이다.
필름 내의 디에틸렌 글리콜의 함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함량 및/또는 IPA의 함량이 표준 열가소성 수지에서 보다 많아 상용의 열성형성 플랜트에서 비용경제적으로 열성형할 수 있고, 필름 재생산성이 우수하게 된다는 것은 매우 놀랄만한 것이었다.
또한 필름 또는 몰딩에서 얻어진 분쇄물(regrind)을 필름의 황색지수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놀랄만한 것이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백색 방염성 필름은 주성분으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상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상인 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가용성인 방염제로서 유기인화합물(디메틸메틸포스포네이트) 1중량%∼20중량%를 함유하며, 2-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UV흡수제 0.01중량%∼5.0중량%를 함유하고, 입경이 0.10㎛∼0.50㎛m인 이산화티탄, 바람직하게는 루틸형 이산화티탄 0.5중량%∼25중량%를 함유한다. 이산화티탄 대신에, 입경이 0.20㎛∼1.20㎛인 황화바륨을 백색 안료로 사용할 수 있고, 그 농도는 1.0중량%∼25중량%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의 혼합물, 또는 상기 백색 안료 중 어느 하나와 다른 백색 안료와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필름은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0.01∼5.0중량%,또는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프로필)페놀] 0.01∼5.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두 UV안정화제의 혼합물, 또는 상기 두 UV안정화제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다른 UV안정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안정화제의 총함량은 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5.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결정화 열가소성수지는 디에틸렌 글리콜(DEG)의 함량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특히 1.3중량% 이상이고,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의 함량은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특히 1.3중량% 이상이며, 이소프탈산(IPA)의 함량은 3∼10중량%이라는 것이다.
백색, 내UV성, 열성형성, 방염성 필름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DIN 67530(측정각 20°)에 따라 측정한 표면광택은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ASTM-D 1003에 따라 측정된 광투과율 L(투명도)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이로 인해 방염성과 함께 UV저항성이 우수하였다.
DIN 53728에 따라 디클로로아세트산에서 측정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표준점도 SV(DCA)는 600∼1000, 바람직하게는 700∼900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 백색 안료, UV안정화제 및 방염제를 함유하는 백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단층 필름 또는 다층 필름일 수 있다.
다층필름인 경우에,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층으로 구성되며, 특히 A-B-A 또는 A-B-C의 3층구조가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층의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표준점도, DEG 함량 및/또는 PEG 함량은 코어층에 인접하는 외층의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비슷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단일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층의 열가소성수지의 표준점도, DEG 함량 및/또는 PEG 함량은 코어층의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비슷하다.
다층 실시예에 있어서, UV흡수제는 외층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코어층에도 UV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층 실시예에 있어서, 백색 안료 및 방염제는 코어층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외층에도 백색 안료 및/또는 방염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백색 안료, 방염제 및 UV흡수제는 외층에 함유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또는 화재방지성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는 외층에 "기본" 방염제로 알려진 것을 함유할 수 있다.
단일층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다층 필름에서의 백색안료, 방염제 및 UV안정화제의 농도는 개질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Atlas C165 Weather Ometer를 사용하여 ISO 4892에 따른 기후시험을 한 결과, 3층 필름의 경우 내UV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0.5㎛∼2㎛ 두께의 외층에 UV안정화제가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두께가 5㎛∼300㎛인 본 발명의 필름이 DIN 4102 1부 및 2부에 따른 화재시험과 UL 94 시험을 충족시킨다는 것은 놀랄만한 것이었다.
이것은 공지의 공압출기술로 제조된 방염성 UV저항성 열성형성 다층 필름이 단일 필름에 비해 방염성 및 내UV성을 얻는데 필요한 UV안정화제 및 방염제의 양이 상당히 적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상당한 이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는 긁힘방지성 피막, 공중합에스테르 또는 접착촉진제를 구비할 수 있다.
기후테스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염성 내UV성 필름은 실외에서 5∼7년 사용한 후(기후 테스트에서 부연)에도 일반적으로 황색화, 취화, 표면광택 손상, 표면 균열 및 기계적 특성의 열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필름 또는 몰딩은 100℃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열에 노출되어도 취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적당한 예비 결정, 예비 건조, 마스터배치 기술 및 UV 안정화의 시너지 작용에 의한 것이다.
본 필름은 예비 건조없이 열성형될 수 있고, 따라서 복합물 몰딩을 제조할 수 있다.
열성형 공정은 일반적으로 예비 건조, 가열, 성형, 냉각, 탈형(demolding), 열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열성형 공정시에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미리 예비 건조없이도 열성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께에 따라 100∼120℃의 온도에서 10∼15시간의 예비 건조시간이 필요한 열성형성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또는 열성형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필름의 이점으로 인해 성형공정의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열성형 공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 변수가 필요하다.
공정단계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예비 건조 불필요
몰드 온도(℃) 100∼160
가열 시간 필름두께 10㎛당 5초 이하
성형시 필름 온도(℃) 160∼220
가능한 배향인자 1.5∼2.0
세부 재생 우수
수축(%) 1.5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몰딩은 용이하게 환경오염없이 그리고 기계적 특성의 손상없이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예방 및 열성형성이 필요한 전시대 구조 또는 다른 선전용품 등의 임시 광고플랜카드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방염성 열성형성 내UV성 필름은 압출라인상의 압출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염제는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첨가한다. 방염제는 운반체에 충분하게 분산된다. 운반체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 자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 열가소성수지와 충분히 양립되는 다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UV안정화제 및 백색 안료는 원료가 열가소성 중합체 생산기를 벗어나기 전에 공급하거나, 또는 필름제조시에 압출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DEG 함량 및/또는 PEG 함량은 중합과정시에 중합체 제조기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색 안료와 UV안정화제는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안정화제 또는 백색 안료는 고형 운반체에 충분하게 분산된다. 운반체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 자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 열가소성수지와 충분히 양립되는 다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마스터배치 기술에 있어서, 마스터배치의 입경 및 벌크밀도를 열가소성수지의 입경 및 벌크밀도와 비슷하게 하는 것이, 분산이 균일하게 되고 UV저항성이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적당한 경우는 다른 중합체, 방염제, 백색 안료, UV흡수제 및/또는 1.0중량∼30중량%의 종래의 다른 첨가제로부터 단일층 또는 다층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면의 특성이 같거나 또는 다른 공압출 필름, 예를 들어 안료가 일면에는 존재하나 타면에는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종래의 방법에 의한 기능성 피막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터배치는 방염제를 함유하고, 필요한 경우 가수분해 안정화제는 예비 결정 또는 예비 건조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예비 건조는 감압(20∼80mbar, 바람직하게는 30∼60m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mbar)하에서 마스터배치를 점차적으로 가열 교반하고, 적당한 경우 일정한 승온하에서, 다시 감압하에서 후건조한다. 마스터배치는 상온하에 공급용기로부터 기저층 및/또는 외층의 중합체와 함께, 적당한 경우는 다른 원료성분과 함께 배합물 형태로 배치식으로 진공건조기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건조기는 건조시간 또는 잔류시간 동안에 온도가 10∼160℃, 바람직하게는 2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30℃에서 변위한다. 잔류시간이 약 6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에, 원료혼합물을 10∼70rpm, 바람직하게는 15∼65rp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rpm으로 교반한다. 수득된 예비 결정화되고 예비 건조된 원료혼합물을 하류 용기에서, 진공하에 90∼180℃, 바람직하게는 100∼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60℃에서 2∼8시간, 바람직하게는 3∼7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4∼6시간 동안 후건조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압출공정에 있어서, 용융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슬롯다이를 통해 압출시키고, 냉각로울에서 실질적으로 무정형 예비 필름형태로 냉각한다. 이후 필름을 재가열하고 세로와 가로방향으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또는 세로방향, 가로방향과 다시 세로 및/또는 가로방향으로 배향한다. 신축온도는 일반적으로 Tg+10℃∼Tg+60℃(Tg=필름의 유리전이온도)이고, 세로신축의 신축비는 2∼6, 바람직하게는 3∼4.5이고, 가로신축의 신축비는 2∼5, 바람직하게는 3∼4.5이다. 또 2차 세로신축 또는 가로신축은 1.1∼5로 한다. 또 1차 세로신축은 가로신축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동시신축). 이어서, 필름을 180∼260℃, 바람직하게는 220∼250℃의 오븐에서 열처리한 후, 냉각하고 권취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여러 특성을 조합하면, 예를 들어 인테리어장식, 전시대 구조, 전시필수품, 디스플레이, 플랜카드, 기계 또는 자동차용 광택보호제, 조명분야, 가게 또는 상점 밖의 조립물, 선전용품, 적층매체, 비닐하우스, 지붕시스템, 인테리어 금속피복판, 보호덮개, 구조분야, 조명광고프로우필, 블라인드, 전기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열성형성에 의해 소정의 실내외용 몰딩을 열성형하기에 적합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각 물성을 다음과 같은 규격과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시험방법
DEG 함량, PEG 함량 및 IPA 함량
DEG 함량, PEG 함량 및 IPA 함량은 크레졸에 열가소성 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하였다.
표면광택
표면광택은 DIN 67530에 따라 20°의 측정 각도에서 측정하였다.
광투과도(투명도: Transparency)
광투과도는 입사광의 총 량과 총 투과광과의 비이다. 광투과율은 ASTM D 1003에 따라 측정기 "HAZEGARD plu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헤이즈(Haze)
탁도는 입사광 중심으로부터 2.5°이상 편차가 나는 투과광의 백분율이다. 투명도는 2.5°이하의 각도에서 측정하였다.
탁도는 ASTM D 1003에 따라 측정기 "HAZEGARD plu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결함
표면 결함은 시각적으로 구하였다.
기계적 특성
탄성계수, 인장강도 및 인장변형은 ISO 527-1-2에 따라 길이 방향과 횡방향에서 측정하였다.
SV(DCE), IV(DCE)
표준점도 SV(DCA)는 디클로로아세트산에서 DIN 53726에 따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고유점도(IV)는 표준점도로부터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IV (DCA)= 6.67ㆍ10-4SV(DCA) + 0.118
연소성적
연소성적을 DIN 4102 2부, 구조재료 B2급 및 DIN 4102 1부 구조재료 B1급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또 UL 94시험으로 측정하였다.
풍화(양쪽) 및 내UV성
내UV성은 ISO 4892 시험분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검사하였다.
시험장비: Atlas Ci65 Weather-Ometer
시험조건: ISO 4892에 따름, 즉 인공풍화
조사시간: 1,000 시간(면당)
조사: 0.5W/㎡, 340nm
온도: 63℃
상대습도: 50%
제논램프: 붕규산염으로 제조된 국내 및 외국필터
조사사이클: UV광 102분, 견본에 물스프레이하면서 UV광 18분, 다시 UV광 102분 조사
황색지수(Yellowness)
황색지수(YI)는 착색으로부터 "노랑"쪽으로 편차를 갖는 것으로 DIN 6167에 따라 측정하였다. 황색지수(YID)가 5 이하이면 보이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백색 필름은 압출라인상에서 제조된 여러 두께를 갖는 필름이다.
모든 필름은 Atlas Ci65 Weather-Ometer를 사용하여 ISO 4892 시험규정에 따라 면당 1000시간 동안 양면을 기계적 특성, 항색지수(YI), 표면결함, 광투과 및 광택을 검사하였다.
모든 필름은 DIN 4102 2부 및 1부, UL 94 Test에 따라 연소시험을 하였다.
(실시예 1)
두께가 50㎛이고, 주성분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며, 이산화티탄 7.0중량%, UV안정화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Tinuvin 1577, Ciba Geigy사) 1.0중량% 및 방염제 2.0중량%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산화티탄은 루틸형이고, 평균 입경은 0.20㎛이며, Al2O3로 코팅되어 있다.
Tinuvin 1577은 융점이 149℃이고, 약 330℃까지 열적으로 안정하다.
균일한 분산을 위해서, 이산화티탄 및 UV흡수제를 중합체 생산기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에 첨가하였다.
방염제는 PET가용성 유기인 화합물 Amgard P1045(Albright & Wilson, 독일)이다.
방염제는 마스터배치 형태로 공급한다. 마스터배치는 방염제 10중량% 및 PET 80중량%로 구성되어 있고, 그 벌크밀도는 750kg/㎥이다.
본 필름은 PET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PET는 고유점도 IV(DCE) 0.658 dl/g에 해당하는 표준점도 SV(DCE) 810을 가지며 마스터베치용으로 사용된다. DEG 함량 및 PEG 함량은 1.6중량%이다.
50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0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생물 및 20중량%의 마스터배치를 상온에서 별개의 공급용기로부터 진공건조기에 넣고, 25∼130℃에서 유지시간 동안 유지한다. 약 4시간의 유지시간동안 원료 혼합물은 61 rpm으로 교반시킨다.
예비 결정 또는 예비 건조한 원료혼합물을 하류 호퍼에서 진공하에 140℃에서 4시간 동안 후건조하였다. 그후 압출공정에 의해 50㎛의 단일필름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공정 단계는 다음과 같다.
길이방향 연신: 온도: 85∼135℃
길이방향 연신율: 4.0:1
횡방향 연신: 온도: 85∼135℃
횡방향 연신율: 4.0:1
열경화: 온도: 230℃
제조된 백색 PET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물성을 나타낸다.
두께: 50㎛
표면광택(일측): 72
타측(측정각 20°): 68
광투과도: 28%
㎡당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3700 N/㎟
횡방향 탄성계수: 480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30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205 N/㎟
황색지수(YI): 48
착색: 균일
본 필름은 구조재료 등급 B2 및 B1에서 DIN 4102 2부 및 1부의 요건을 만족하고, UL 94 시험을 통과하였다.
순환공기 건조카비넷에서, 100℃에서 200시간 동안의 가열조건 후에도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변하지 않았고, 어떤 종류의 취화현상도 일어나지 않았다.
Atlas Ci Weather Ometer로 면당 1000시간의 기후시험 후, PET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
두께: 50㎛
표면광택(일측): 65
타측(측정각 20°): 60
광투과도: 35%
㎡당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3550 N/㎟
횡방향 탄성계수: 465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18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190 N/㎟
황색지수(YI): 49
(실시예 2)
공압출 기술을 이용하여 두께가 17㎛이고, 층 순서가 A-B-A(여기에서, B는 코어층, A는 외층)인 다층 PET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어층 B의 두께는 15㎛이고, 코어층을 덮는 두외층의 두께는 각각 1㎛이다.
코어층(B)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UV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코터층은 방염제 2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방염제는 마스터배치 형태로 첨가하였다. 마스터배치는 방염제 10중량%와 PET 90중량%로 구성되어있다.
외층의 PET는 표준점도 SV(DCE)가 810이고, Tinuvin 1577 1중량%와 Sylobloc 0.3중량%가 함유되어 있다. 외층에는 이산화티탄과 방염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1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0중량%, 재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0중량% 및 마스터배치 20중량%로 구성된 코어층을 예비 결정화, 예비 건조 및 후건조하였다.
외층 중합체는 특별히 건조시키지 않았다. 공압출 기술을 이용하여 층 순서가 A-B-A인 두께 17㎛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물성은 다음과 같다.
층구조: A-B-A
총두께: 17㎛
표면광택(일측): 131
타측(측정각 20°): 126
광투과도: 49%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3550 N/㎟
횡방향 탄성계수: 413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20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155 N/㎟
황색지수(YI): 13.3
착색: 균일
순환공기 건조카비넷에서, 100℃에서 200시간 동안의 가열조건 후에도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변하지 않았고, 어떤 종류의 취화현상도 일어나지 않았다.
본 필름은 구조재료 등급 B2 및 B1에서 DIN 4102 2부 및 1부의 요건을 만족하고, UL 94 시험을 통과하였다.
Atlas Ci Weather Ometer로 면당 1000시간의 기후시험 후, PET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
층구조: A-B-A
총두께: 17㎛
표면광택(일측): 125
타측(측정각 20°): 116
광투과도: 45%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3460 N/㎟
횡방향 탄성계수: 405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10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145 N/㎟
황색지수(YI): 15.1
착색: 균일
(실시예 3)
실시예 2와 같이, 코어층(B)의 두께가 16㎛이고 외층(A)의 두께가 2㎛인 두께 20㎛의 A-B-A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어층(B)은 실시예 2와 같이, 방염제 마스터배치 5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외층은 방염제 마스터배치가 코어층에만 20중량% 함유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같다.
코어층과 외층에 대한 원료와 마스터배치를 실시예 1과 같이 예비 결정, 예비 건조 및 후건조하였다.
공압출 기술을 이용하여 두께 20㎛의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물성은 다음과 같다.
층구조: A-B-A
총두께: 20㎛
표면광택(일측): 136
타측(측정각 20°): 128
광투과도: 41%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3400 N/㎟
횡방향 탄성계수: 410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20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160 N/㎟
황색지수(YI): 13.1
순환공기 건조카비넷에서, 100℃에서 200시간 동안의 가열조건 후에도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변하지 않았고, 어떤 종류의 취화현상도 일어나지 않았다.
본 필름은 구조재료 등급 B2 및 B1에서 DIN 4102 2부 및 1부의 요건을 만족하고, UL 94 시험을 통과하였다.
Atlas Ci Weather Ometer로 면당 1000시간의 기후시험 후, PET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
층구조: A-B-A
총두께: 20㎛
표면광택(일측): 124
타측(측정각 20°): 117
광투과도: 38%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3350 N/㎟
횡방향 탄성계수: 400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05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140 N/㎟
황색지수(YI): 15.8
열성형성
실시예 1 내지 3의 필름을 상용의 열성형기(lllig사)에서 예비 건조없이 열성형하여 몰딩을 얻었다. 몰딩에서의 세부 재생성은 우수하고, 표면이 균일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이 필름에는 UV흡수제와 방염제 마스터배치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DEG 함량은 0.7중량%이고, PEG는 함유되지 않았다.
제조된 불안전 백색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
층구조: A-B-A
총두께: 17㎛
표면광택(일측): 139
타측(측정각 20°): 130
광투과도: 50%
표면결함: 없음
종방향 탄성계수: 4250 N/㎟
횡방향 탄성계수: 4700 N/㎟
종방향 파단인장강도: 180 N/㎟
횡방향 파단인장강도: 215 N/㎟
황색지수(YI): 12.0
착색: 균일
비개질 필름은 DIN 4102 1부 및 2부와, UL 94 시험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상기 필름은 열성형성이 불충분하였다.
Atlas Ci Weather Ometer로 면당 1000시간의 기후시험 후, 필름 표면에는 균열과 취화현상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특성을 더 이상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필름에는 가시적인 황변현상이 나타났다.

Claims (27)

  1. 두께가 1㎛∼350㎛이고, 주성분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색 안료,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안정화제, 및 열가소성 수지에 가용성이고 필름제조시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직접 첨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염제를 함유하고, 상기 마스터배치는 감압하에서 점차적으로 가열 교반하여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하에서 점차적인 가열 교반한 다음에 일정한 승온하에서 후건조하고, 다시 감압하에서 후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안정화제의 농도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안정화제는 2-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렌 및 트리아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V안정화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또는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기인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디메틸-메틸포스포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는 방염제가 0.5∼3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는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카올린 및 실리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다수의 백색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는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의 함량은 백색안료가 함유된 중합체 층을 기준으로 0.2∼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의 평균 입경은 0.10㎛∼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IN 67530(측정각 20°)에 따라 측정된 표면광택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STM D 1003에 따라 측정된 광투과도는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SO 527-1-2에 따라 측정된 탄성계수는 길이방향이 3200 N/㎟ 이상이고, 횡방향이 350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6.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 및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결정성 가소성 수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재생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외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층을 갖는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1. 제20항에 있어서, 2개의 외층 및 상기 외층 사이에 코어층을 갖는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안정화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색 안료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염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성형성 필름.
  25.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출기에서 용융시키고, 얻어진 필름층의 조성에 해당하는 중합체 용융물, 또는 외층 및 기저층 구성에 해당하는 중합체 용융물을 다이나 공압출다이에 공급하고, 냉각로울 상의 다이로부터 압출한 후, 얻어진 예비 필름을 이축배향 및 열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기저층 층 및/또는 외층용 중합체 용융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염제 및/또는 백색 안료가 함유되고, 상기 외층용 용융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안정화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백색 열성형성 필름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제, UV안정화제 및/또는 백색 안료는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방법.
  27. 인테리어장식, 디스플레이, 플랜카드, 보호유리, 조명분야, 가게 또는 상점 밖의 조립물, 선전용품, 적층매체, 비닐하우스, 지붕시스템, 인테리어 금속피복판, 보호덮개, 구조분야, 조명광고프로우필 또는 전기분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1항의 필름의 용도.
KR1020027009362A 2000-01-20 2001-01-11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20069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2179A DE10002179A1 (de) 2000-01-20 2000-01-20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2179.4 2000-01-20
DE10023623.5 2000-05-13
DE10023623A DE10023623A1 (de) 2000-05-13 2000-05-13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PCT/EP2001/000254 WO2001053407A2 (de) 2000-01-20 2001-01-11 Weiss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366A true KR20020069366A (ko) 2002-08-30

Family

ID=2600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62A KR20020069366A (ko) 2000-01-20 2001-01-11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9454B2 (ko)
EP (1) EP1274788B1 (ko)
JP (1) JP2003524691A (ko)
KR (1) KR20020069366A (ko)
WO (1) WO20010534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40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넥스필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pet 필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2269B2 (de) * 1999-05-10 2008-11-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e, UV-stabilis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
DE10002171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2173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schwerentflammbare, thermoformbare, UV-stabile Folie aus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2163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2244247A (ja) * 2001-02-14 2002-08-30 Fuji Photo Film Co Ltd 紫外線吸収剤練り込み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ベース支持体および画像形成要素
DE10222357A1 (de) * 2002-05-21 2003-12-0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Siliziumverbindungen enthaltender Thermoplast-Roh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DE102004031794A1 (de) * 2004-07-01 2006-01-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axial orientierten Folien auf Basis vo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unter Verwendung von aufkondensiertem Regenerat
US20060096911A1 (en) * 2004-11-08 2006-05-11 Brey Larry A Particle-containing fibrous web
US20060254427A1 (en) * 2004-11-08 2006-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rticle-containing fibrous web
EP1728815B1 (de) * 2005-06-01 2008-07-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opak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und verbesserter Durchschlagsfestigkeit
JP5239448B2 (ja) * 2007-06-04 2013-07-17 東レ株式会社 帯電防止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90009107A (ko) * 2007-07-19 2009-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
FR2952063B1 (fr) 2009-10-30 2012-10-12 Seb Sa Materiau polymere thermoplastique a base de pe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rticle
JP5874153B2 (ja) 2010-01-13 2016-03-02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インク 剥離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2012097164A (ja) * 2010-10-29 2012-05-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5951645B2 (ja) * 2011-01-31 2016-07-13 トーレ・フィルムズ・ユアロップ 多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の一部としてのフィルムの使用
US20130333756A1 (en) * 2012-06-19 2013-12-19 Richard A. DeLucca Backsheet for a photovoltaic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cell module including same
JP2015052038A (ja) * 2013-09-06 2015-03-19 三菱樹脂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CN104448721A (zh) * 2014-12-31 2015-03-25 沈阳德润新材料有限公司 有机磷系共混阻燃聚酯切片及其生产方法
KR101633058B1 (ko) * 2015-11-24 2016-06-24 한국신소재(유) 섬유 접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직물
GB201806916D0 (en) 2018-04-27 2018-06-13 Dupont Teijin Films Us Lp Polyester fil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432A (en) * 1963-08-19 1967-10-03 American Cyanamid Co Flame-retardant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ophosphonic acids
US3947423A (en) * 1973-06-11 1976-03-30 Fmc Corporation Polyesters containing bicyclic phosphate flame retardant
DE2346787C3 (de) 1973-09-17 1980-05-08 Hoechst Ag, 6000 Frankfurt Schwer entflammbare lineare Polyest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4295886A (en) * 1973-10-09 1981-10-20 Avtex Fibers Inc. Flame-retardant polyester fiber compositions
JPS536016B2 (ko) * 1974-10-17 1978-03-03
FI62130C (fi) 1980-07-18 1982-11-10 Kemira Oy Ytbelagt titandioxidpigment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daerav
GB2108097B (en) 1981-10-30 1985-01-03 Tioxide Group Plc Improved pigments and their preparation
JPS58101021A (ja) * 1981-12-12 1983-06-16 Toyobo Co Ltd 2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4440924A (en) * 1982-10-05 1984-04-0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ester
JP2617607B2 (ja) * 1990-05-30 1997-06-0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紙
US5248713A (en) * 1990-06-13 1993-09-28 Raychem Corporation Stabilized polymeric compositions
GB9307002D0 (en) 1993-04-02 1993-05-26 Ici Plc Polyester film
TW318861B (ko) * 1994-08-16 1997-11-01 Mitsui Toatsu Chemicals
US5972445A (en) * 1996-01-17 1999-10-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ultilayer polyester sheet
JPH09316254A (ja) * 1996-05-27 1997-12-09 Arai Pump Mfg Co Ltd ローラ用ゴム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媒体搬送ローラ
GB9617185D0 (en) 1996-08-15 1996-09-25 Ici Plc Polymeric film
US6270888B1 (en) * 1997-08-07 2001-08-07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 Polymeric film
DE69942518D1 (de) 1998-03-10 2010-08-0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 Weisser Polyesterfilm
DE19813266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GB2344596A (en) * 1998-12-09 2000-06-14 Du Pont Flame retarded and UV light stabilised polyester film
EP1038905A3 (de) 1999-03-26 2001-01-3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UV-stabilis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
EP1052269B2 (de) * 1999-05-10 2008-11-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e, UV-stabilis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
DE10002163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7719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opak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mit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DE10007721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Folie aus einem kir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mit hohem Weißgrad
DE10007672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opake, schwer entflammbare, UV-stabilisiert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DE10007671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opak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DE10007673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opake, UV-stabilisiert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DE10112493A1 (de) * 2001-03-15 2002-09-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mit hohem Weißgrad und mit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40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넥스필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pet 필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12937A1 (en) 2003-01-16
WO2001053407A3 (de) 2002-05-10
EP1274788A2 (de) 2003-01-15
JP2003524691A (ja) 2003-08-19
EP1274788B1 (de) 2011-08-24
WO2001053407A2 (de) 2001-07-26
US6689454B2 (en) 200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9366A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백색 방염성 내uv성열성형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0772345B1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한 난연성 자외선 안정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7045200B2 (en) White, UV-stabilized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KR20020073395A (ko) 고백색도 및 추가 기능성을 갖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제조된 백색 이축배향 필름
KR20020065926A (ko) 무광택 내uv성 방염성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용도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2816A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불투명하게 착색된내가수분해성 이축배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6902818B2 (en) Transparent, UV resistant, thermoformable film made from crystallizable thermoplastics,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7090915B2 (en) Opaque, white UV-stabilized low-flammability film with low transparency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JP2001261858A (ja) 白色不透明フィルム
US7186455B2 (en) White flame-resistant uv-stable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a method for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KR100604623B1 (ko) 결정화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uv-안정화된 투명 필름
KR20030028361A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내가수분해성 투명 무정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3522659A (ja) シール性、耐紫外線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20076257A (ko) 결정성 열가소성수지로 제조된 투명 필름, 그 제조방법 및그 용도
KR20020069365A (ko) 결정성 열가소성수지로 제조된 투명 방염성 열성형성 배향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US6869991B2 (en) White UV-stabilized thermoformable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ts use
KR100716762B1 (ko) 투명 이축배향 uv안정성 차단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용도
DE10023623A1 (de)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2179A1 (de)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thermoformbare Folie aus einen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10076399A (ko) 결정화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투명한 난연성배향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