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108A -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108A
KR20010073108A KR1020017002807A KR20017002807A KR20010073108A KR 20010073108 A KR20010073108 A KR 20010073108A KR 1020017002807 A KR1020017002807 A KR 1020017002807A KR 20017002807 A KR20017002807 A KR 20017002807A KR 20010073108 A KR20010073108 A KR 2001007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rive machine
elevator drive
starting torqu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510B1 (ko
Inventor
무스탈라티요르마
아울란코에스코
하칼라하리
Original Assignee
살로메키 유하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살로메키 유하,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살로메키 유하
Publication of KR2001007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starting torqu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 모터의 시동 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의 가이드 레일(2)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 내에 엘리베이터 카 하중을 발생시키는 불균형 모멘트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워 센서(3, 4, 5, 6)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ARRANGEMENT FOR SETTING THE STARTING TORQUE OF THE MOTOR OF AN ELEVATOR MACHINERY}
엘리베이터 카, 균형추 및 이들을 구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불균형 모멘트 때문에 큰 진동이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지점에서 정지할 때마다, 그것의 하중이 변화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뷸균형 모멘트에 변화를 야기하므로,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의 시동토크는 항상 작용하중에 따라 설정되어야만 한다.
현재, 필요한 시동토크는 예컨대 앨리베이터 카 내의 하중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결정되고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파워 센서가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체화된 엘리베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을 구비한 소위 프레임 없는 엘리베이터 카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긴 전송 라인들이 엘리베이터 카와 제어 시스템 사이에 요구되며, 이 전송 라인들은 갖가지 외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은 로프의 무게 및 가이드 레일의 마찰력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브레이크 밸런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동토크가 측정된 다음 이 제동토크와 동일한 크기로 시동토크가 설정된다. 그 다음, 모터가 제동토크를 제로로 만드는 토크를 생성할 때 브레이크는 해제된다. 이 해결책이 유효하긴 하지만, 힌지에서의 마찰력과 비이상적인 브레이크 슈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제 3의 대안으로서, 하나의 로프의 단부에 현수된 하나의 하중측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하중측정장치의 현수지점상에 작용하는 힘이 측정된다. 이때의 하나의 단점은 1:1 현수인 경우에, 로프 끝이 이동한다는 점이다. 이 결점은 1:2 현수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가이드의 마찰력이 오차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들을 해소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된 목적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의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실제 작용력을 정밀하게 측정하며 적은 구성요소와 짧은 전송 라인을 구비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청구의 범위에 잘 나타나 있다.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의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의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는 비전환식 연결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에 연결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카 작용하중이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에 생성하는 불균형 모멘트를 검출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파워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모터의 요구 시동토크를 결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하중 측정이 엘리베이터 카 자체 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그 대신 엘리베이터 카 하중 측정은 적합한 파워 센서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들 파워 센서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프레임워크 구조물들 내의 부동지점들과 그것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부분들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워센서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가이드 레일 고정구,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베이링 캐리어 및 엘리베이터 구동기계가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가이드 레일 등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현저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로프 등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마찰력 등으로 인한 오차의 가능성이 없는, 구동기계상에 작용하는 실제 힘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더욱이, 센서들이 구동기계 근처에 장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장비 근처에 장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송 라인이 단축되어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1 은 상부 및 하부 부품으로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유지하는 레일 고정장치(8)에 의해 엘레베이터 샤프트 내의 가이드 레일(2)에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가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센서(5)는 레일 고정장치(8)와 연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 하중이 변하면, 와이어 로프(9) 상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 그리고 어쩌면 힘의 방향 또한 변화된다. 도 1에서, 엘레베이터 구동기계의 중심은 수직력(Fy)과 가이드 레일(2)을 지탱하는 제 1 베어링으로서 작용한다. 파워 센서(5)의 부착 지점은 또한 토크로부터 발생하는 힘(Fn)을 수용하는 베어링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를 통해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에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고, 이 비틀림력, 즉 불균형 모멘트는 파워 센서(5)에 의해 측정된다.
도 2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가 두 지점에 의해 가이드 레일(2)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워 센서(6)는 가이드 레일(2)에 대한 부착 지점에 밀접하게 엘리베이터 구동기계 상에 장착되어있다. 가이드 레일(2) 상에 전체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지탱하는 적절한 지지 아암 또는 레그(10) 상에 센서(6)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불균형 모멘트는 측정될 수 있고 적절하게 모터의 시동 토크를 설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가 상부 부품(11)에 의해서만 가이드 레일(2)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부품(12)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계는 수직 평면으로 회전이동을 허용하는 지레받침 핀(13)에 의해 가이드 레일(2)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는 이러한 장착 장치를 측면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 및 힘과 장력의 통로가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2) 사이에 장착된 2 개의 파워 센서(3)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되어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거쳐서 통과하는 로프를 통해 작용하는 불균형 모멘트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에 가해지면, 상단부(11)에서의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단단한 연결장치 및 하단부(12)에서의 지레받침 핀 연결장치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적소에 단단하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하단부에서 장착하는 지레받침 핀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지레받침 핀(13) 주위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이것은 지레받침 핀(13)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엘리베이터 구동기계가 상단부(11)에 의해서만 가이드 레일(2) 상에 단단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프 상에 작용하는 불균형 모멘트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상단부(11)를 통해서만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로부터 가이드 레일(2)로 전달된다. 센서(3)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상단부(11)의 연결지점 근처의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균형 모멘트는 가이드 레일(20의 가장 큰 비틀림력을 정확하게 센서(3)의 구역에 발생시키고, 그 결과 센서들로부터 결정되는 불균형 모멘트 및 모터를 위해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되는 시동 토크를 허용한다.
도 4는 도 3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하단부(12)에 있는 지레받침 핀(13)을 가진 도 3에 대응하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상단부(11)에서는, 파워 센서(4)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지탱하는 베어링(7) 상에, 즉 가이드 레일(2) 상에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영역 내에서 가능하겠지만 상기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실례에 의해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의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로프 등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마찰력 등으로 인한 오차의 가능성이 없는, 구동기계 상에 작용하는 실제 힘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며, 센서들이 구동기계 근처에 장착될 수 있어서 제어장비 근처에 장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송 라인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의 시동 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의 가이드 레일(2) 상에 장착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하중에 의해 발생된 불균형 모멘트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워 센서(3, 4, 5, 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센서는 비전환 연결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워 센서(3)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1)와 가이드 레일(2)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파워 센서(4)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를 지지하는 베어링(7)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파워 센서(5)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레일 고정장치(8)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파워 센서(6)가 엘리베이터 구동기계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는 2 개의 파워 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1-7002807A 1998-09-04 1999-09-02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KR100413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81887 1998-09-04
FI981887A FI981887A (fi) 1998-09-04 1998-09-04 Hissijärjestely hissikoneiston moottorin lähtömomentin asettamiseks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108A true KR20010073108A (ko) 2001-07-31
KR100413510B1 KR100413510B1 (ko) 2004-01-03

Family

ID=855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807A KR100413510B1 (ko) 1998-09-04 1999-09-02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401873B1 (ko)
EP (1) EP1109734B1 (ko)
JP (1) JP3621647B2 (ko)
KR (1) KR100413510B1 (ko)
CN (1) CN1170756C (ko)
AT (1) ATE378282T1 (ko)
AU (1) AU742393B2 (ko)
BR (1) BR9913451A (ko)
CA (1) CA2342878C (ko)
DE (1) DE69937566T2 (ko)
ES (1) ES2294856T3 (ko)
FI (1) FI981887A (ko)
HK (1) HK1038339A1 (ko)
NO (1) NO321369B1 (ko)
WO (1) WO20000140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72B1 (ko) * 2009-03-10 2013-09-2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브레이크 토크 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192B (fi) * 1999-09-16 2000-12-15 Kone Corp Hissin nostokoneisto
JP4885884B2 (ja) * 2005-02-25 2012-02-2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モータブレーキのトルク測定装置
FI20105661A (fi) * 2010-06-10 2011-12-11 Kone Corp Nostokoneiston kiinnitysjärjestely sekä hissikokoonpano
EP2873637B1 (en) * 2013-11-13 2016-02-03 Kone Corporation A hoisting machine, an elevator assembly, and method for improving vibration damping of a hoisting machine and in an elevator assembly
DE102014220445B4 (de) * 2014-10-09 2017-06-08 Thyssenkrupp Ag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von Führungen
SG11201806441PA (en) 2016-01-29 2018-08-30 Magne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ion in a counterbalancing system
EP3872019A1 (en) * 2020-02-28 2021-09-01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3606A (en) * 1965-01-06 1967-06-06 Otis Elevator Co Elevator load weighing apparatus
JPS6288792A (ja) * 1985-10-15 1987-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荷重検出装置
JPH01271382A (ja) * 1988-04-21 1989-10-30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始動保償装置
DE3911391C5 (de) * 1989-04-07 2010-04-29 TÜV SÜD Industrie Servic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r Treibfähigkeit
US5156239A (en) * 1991-12-17 1992-10-20 Otis Elevator Company Disc brake/load weighing assembly for elevator drive sheave
US5407030A (en) * 1993-03-04 1995-04-18 Otis Elevator Company Recalibrating an elevator loadweighing system
FI95689C (fi) * 1994-06-23 1996-03-11 Kone Oy Hissikoneisto
US5899301A (en) * 1993-12-30 1999-05-04 Kone Oy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ATE201380T1 (de) * 1995-03-10 2001-06-15 Inventio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wingungsdämpfung an einer aufzugskabine
US5862886A (en) * 1995-11-29 1999-01-26 Otis Elevator Company Pretorque to unload elevator car/floor locks before retraction
JPH10139316A (ja) * 1996-11-14 1998-05-26 Otis Elevator Co サイドフォーク型ホームエレベーターのかご構造
FI107249B (fi) * 1996-12-20 2001-06-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kuorman mittaamiseksi
JPH11314868A (ja) * 1998-04-28 1999-11-16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機のかご荷重検出装置
JP2000086114A (ja) * 1998-09-14 2000-03-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72B1 (ko) * 2009-03-10 2013-09-2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브레이크 토크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21369B1 (no) 2006-05-02
BR9913451A (pt) 2001-10-09
JP3621647B2 (ja) 2005-02-16
ATE378282T1 (de) 2007-11-15
CA2342878C (en) 2005-03-01
NO20011101D0 (no) 2001-03-02
NO20011101L (no) 2001-05-04
AU742393B2 (en) 2002-01-03
EP1109734B1 (en) 2007-11-14
ES2294856T3 (es) 2008-04-01
CA2342878A1 (en) 2000-03-16
JP2002524368A (ja) 2002-08-06
DE69937566D1 (de) 2007-12-27
EP1109734A1 (en) 2001-06-27
US6401873B1 (en) 2002-06-11
KR100413510B1 (ko) 2004-01-03
FI981887A (fi) 2000-03-05
HK1038339A1 (en) 2002-03-15
CN1322183A (zh) 2001-11-14
FI981887A0 (fi) 1998-09-04
AU5519599A (en) 2000-03-27
CN1170756C (zh) 2004-10-13
DE69937566T2 (de) 2008-03-06
WO2000014004A1 (en) 200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4558B2 (ja) エレベータの負荷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KR100413510B1 (ko)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KR20010007506A (ko)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운반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03269A (ko) 총합부하 측정기구를 구비한 케이블 승강기용 내하 수단
KR101504152B1 (ko) 리프트의 승강실 하중 결정 장치
NO20015334D0 (no) Anordning for måling av dreiemoment som tilföres trommelakselen for en heis
JP4102760B2 (ja) 測定装置
JPH11171425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ロープ緩み検出装置
CN109916604B (zh) 一种滚轮疲劳试验装置
CN208887827U (zh) 同步无齿轮曳引机制动力检测装置
KR100923174B1 (ko) 하중 측정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KR100260201B1 (ko) 엔진 마운트의 가진 시험장치
CN212480031U (zh) 一种应用于全自动加样臂的同步带张紧调试装置
JPH03192081A (ja) エレベータ荷重データ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23281590A1 (ja) 測定方法及び測定用装置
CN213957120U (zh) 一种滑轮摩擦系数试验机
KR100235880B1 (ko) 스티어링 지지계의 비틀림 강성 측정장치
SU1696936A1 (ru) Стенд дл испытани крановой грузовой тележки
CN115479713A (zh) 一种曳引式电梯制动力矩测量设备及方法
CN111186742A (zh) 一种电梯平衡系数检测装置及方法
CN118010538A (zh) 一种电梯补偿绳疲劳试验机及检测系统
JPH09286578A (ja) エレベータ用垂下ロープの制振装置
JPH10243509A (ja) 延線張力検出装置
JPS63314459A (ja) エレベ−タ用金属テ−プ探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