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172B1 - 브레이크 토크 제어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토크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172B1
KR101310172B1 KR1020117017334A KR20117017334A KR101310172B1 KR 101310172 B1 KR101310172 B1 KR 101310172B1 KR 1020117017334 A KR1020117017334 A KR 1020117017334A KR 20117017334 A KR20117017334 A KR 20117017334A KR 101310172 B1 KR101310172 B1 KR 10131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orce
torque
mounting member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001A (ko
Inventor
제임스 엘. 허버드
다릴 제이. 마빈
스티븐 알. 니콜스
해롤드 테리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7285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101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1009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starting torq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5Force, torque, stress or st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예시적인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연계된 구성요소의 회전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요소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는 정지 표면에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센서는 상기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의 여하한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토크 제어{BRAKE TORQUE CONTROL}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건물 내의 다양한 층들 사이로 승객들을 이송하기에 유용하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차체의 이동 및 위치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및 모터를 포함하는 기계를 포함하여, 원하는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차체가 승강장에 정차될 때, 엘리베이터 차체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사용된다.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releasing) 들어올리기(lifting) 위한 다양한 제어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운행(elevator run)의 시작 시 엘리베이터 차체의 여하한의 바운싱(bouncing) 또는 떠밀림(jostle)을 회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들어올리기 전에 기계의 모터를 사전-토크가동(pre-torque)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승객들이 차체에 들어오거나 나감에 따라, 엘리베이터 차체의 부하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차체가 그 승강장을 막 떠나려 할 때, 엘리베이터 차체의 부하가 평형추(counterweight)와 균형이 맞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여하한의 불균형은, 브레이크가 해제될 때, 모터의 이동과 무관하게 차체가 수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엘리베이터 차체 내에서 사소한 충돌(bump) 또는 떠밀림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에 대처(address)하고, 운행 시작 시 여하한의 바람직하지 않은 차체 이동을 회피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기계 모터를 사전-토크가동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미국 특허 번호 4,995,478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차체 상의 승객 부하를 측정하거나 검출하는 것에 의존한다. 이러한 기술들과 연계된 단점들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기술은 미국 특허 번호 6,318,505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가이드레일에 바로 적용되는 브레이크에 중점을 둔 것이며, 이는 기계 브레이크와 같지 않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항상 개선을 위해 애쓰고 있다. 연계된 엘리베이터 차체에서의 부하의 측정에 의존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기계 브레이크의 토크 양을 제어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예시적인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연계된 구성요소의 회전에 저항하는 제동력(braking force)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요소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는 정지 표면에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센서는, 상기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의 여하한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기계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모터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는 상기 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브레이크 요소는 상기 트랙션 시브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저항한다. 장착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 부재는 브레이크 요소가 상기 트랙션 시브의 회전에 저항함에 따라(resulting from)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센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브레이크를 모니터링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브레이크 장착 부재가 연계된 정지 표면에 대해 이동하게 하는 힘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검출된 힘이 브레이크에 걸리는 허용가능한 양의 토크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에 관한 판단이 행해진다. 적어도 상기 힘이 상기 범위 밖에 있을 때, 표시가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부들 및 장점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수반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예시의 선택된 부분들을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예시의 선택된 부분들의 사시도;
도 5는 예시적인 제어 방식(example control strategy)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개시된 예시들의 기능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브레이크 토크의 일 예시적인 사용이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있다. 다음의 기술내용은 설명을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사용한다. 개시된 토크 제어 및 모니터링은 반드시 본 문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차체(22)는 평형추(24)와 연계된다. 로프 구성부(roping arrangement: 26)는 엘리베이터 차체(22) 및 평형추(24)를 매달고 있으며(suspend), 트랙션 시브(28)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차체(22)의 원하는 이동을 유도한다.
트랙션 시브(28)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계(30)가 제공된다. 상기 기계(30)는 트랙션 시브(28)가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모터(32)를 포함한다. 제어부(34)는 상기 모터(32)의 작동을 제어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36)는 트랙션 시브(28)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저항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36)는, 예를 들어 원하는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차체(22)를 정차시키고 원하는 수직 위치에 엘리베이터 차체를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나타낸 예시에서, 브레이크 디바이스(36) 및 모터(32)는 공통 기계 프레임(common machine frame: 38)에 의해 지지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예시적인 브레이크 디바이스(36)를 나타낸다. 장착 부재(40)는 정지 표면에 브레이크 디바이스(36)를 장착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이 예시에서는 기계 프레임(38) 상의 표면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42)는 브레이크 부재(44)가 트랙션 시브(28)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저항하게 한다. 센서(46)는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와 연계된 힘을 검출한다. 이 예시에서, 센서(46)는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기계 프레임(38)의 정지 표면에 대해 장착 부재(40)의 여하한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장착 부재(40)는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력적으로(resiliently) 장착됨에 따라, 장착 부재(40)는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장착 부재(40)의 이동은 매우 제한된 범위 내에 있어, 힘의 모니터링을 허용하면서도, 트랙션 시브(28)의 회전에 저항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36)와 연계된 부하들을 지탱하는(carrying) 안정한 구성을 여전히 제공한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예시는 볼트와 같은 앵커(anchor: 50) 및 부싱(bushing: 52)이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견고하게(rigidly) 고정되는 탄성 장착 구성부를 포함한다. 부싱(52)은 장착 부재(40)의 개구부(54) 내에 수용된다. 부싱(52)과 연계된 탄성 부재(56)는, 브레이크 부재(44)와 연계된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가 트랙션 시브(28)의 회전에 저항함에 따라 장착 부재(40)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편향(deflect)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일 예시에서, 탄성 부재(56)는 O-링(ring)을 포함한다.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장착 부재(40)의 어느 정도의 편향 또는 약간의 이동을 허용하면, 센서(46)가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와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타낸 예시적인 센서(46)는 장착 부재(40)와 기계 프레임(38) 사이의 여하한의 상대 이동과 연계된 제 1 방향으로의 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1 감지 요소(60)를 포함한다. 제 2 감지 요소(62)는 상기 제 1 힘의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의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상기 도면의 투시도(perspective)에 따르면, 이 예시에서 제 1 감지 요소(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힘의 표시를 제공하는 한편, 제 2 감지 요소(62)는 시계 방향으로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감지 요소들은 힘 감지 저항기(force sensing resistor)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감지 요소들은 피에조-저항 센서(piezo-resistive sensor)들을 포함한다. 제 1 감지 요소(60) 및 제 2 감지 요소(62)로서 유용한 다른 예시적인 센서들은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strain gauge sensor), 용량성 센서(capacitive sensor), 유도성 센서(inductive sensor), 전위차 센서(potentiometric sensor), 압력 스위치, 및 정밀 마이크로-스위치들을 포함한다. 장착 부재(40)와 기계 프레임(38) 사이의 편향 또는 상대 이동의 양은 매우 적을 것이며, 제 1 감지 요소(60) 및 제 2 감지 요소(62)는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장착 부재(40) 방위의 매우 사소한 변화들과 연계된 힘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감지 요소들(60 및 62)은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감지 블록(66) 상의 대응하는 반응 표면들(64)에 맞닿아 수용된다(received against). 이 예시에서, 기계 프레임(38)은 감지 블록(66)을 지지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감지 블록(66)은 기계 프레임(38)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설정 부재들(70)은, 감지 요소들이 기계 프레임(38)에 대해 장착 부재(40)의 대응하는 이동에 응답하여 압축되는 방식으로 감지 요소들(60 및 62)을 고정시킨다. 나타낸 예시는 감지 요소들과 연계된 탄성 완충 부재(elastomeric cushion member: 72)들을 포함하여, 상기 감지 요소들의 적절한 부분들에 걸쳐 설정 부재들(70)로부터 부하를 고르게 분산시킨다.
감지 요소들(60 및 62)로부터의 표시들은 센서(46)에 의해 검출된 힘들에 관한 표시를 제어부(34)에 제공하는 토크 모듈(80)(도 1에 도시됨)에 의해 해석된다.
예시적인 브레이크 디바이스(36)를 수반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제어 방식이 도 5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차체(22)가 승강장에 주차(park)된다. 평형추(24)와 엘리베이터 차체(22) 간의 부하 불균형이 존재한다. 그 결과로, 9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가 존재한다. 모터(32)가 동력제거(de-energize)됨에 따라, 모터(32)의 전류는 92에 나타낸 것과 같이 0 값을 갖는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제 1 감지 요소(60)는 90에 나타낸 토크 레벨에 대응하는 힘의 표시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차체가 그 승강장을 떠나기 전에, 브레이크에 걸리는 토크를 경감시켜, 엘리베이터 차체가 가속되기 시작하는 때에 정지 위치로부터 부드러운 전이(smooth transition)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4)는 모터(32)에 전류를 제공하여, 곡선(94)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토크를 증가시킨다. 모터(32)에 에너지가 공급되어, 감지 요소(60)에 의해 나타내어진 토크를 상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모터(32)는 제 1 감지 요소(60)에 의해 검출된 힘을 경감시키는 방향으로(예를 들어, 상기 나타내어진 힘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트랙션 시브(28)를 회전시키려고 시도한다. 그 결과, 제 1 감지 요소(60)에 의해 검출된 힘에 의해 나타내어진 토크는 곡선(96)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한다. 브레이크 토크가 98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값에 도달할 때,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는 완전히 경감된다. 센서(46)는 일 예시에서 토크 모듈(80)에 이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제어부(34)는 토크 모듈(80)로부터 대응하는 출력값을 수용한다.
일 예시는 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토크 값을 달성하도록 모터(32)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의 예시는 98에서의 0 토크 값에 관해 어느 정도의 허용 대역(tolerance band)을 허용한다. 이 예시는 센서(46)에 의해 나타내어진 힘이 도 5에서 10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때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토크 모듈(80)은 언제 제 1 감지 요소(60)에 의해 나타내어진 힘이 허용가능한 범위(100) 밖에서부터 그 범위 안으로 전이되는지를 판단한다. 이 전이 지점은 102에 도시되어 있다. 일 예시에서는, 토크 모듈(80)이, 브레이크 디바이스(36)에 걸리는 토크가 허용가능한 범위(100) 내에 있는 출력값을 제공하자마자, 모터(32)는 대응하는 양의 토크를 트랙션 시브(28) 상에 유지한다.
일 예시는, 제 2 감지 요소(62)가, 상기 감지 요소에 의해 검출된 힘이 범위(100)의 해당 임계치를 초과했음을 나타낼 때까지 모터 토크를 계속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도 5에 104로 도시되어 있다. 모터 토크는 센서(46)에 의해 나타내어진 힘들이 허용가능한 범위(100) 안과 밖 사이에서 전이되는 지점들을 검출하도록 앞뒤로(back and forth) 연속하여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전이 지점들(102 및 104)은 106 및 108 각각에 도시된 연계된 모터 전류를 갖는다. 일 예시에서, 토크 모듈(80)과 상호작용하는 제어부(34)는 전위 위치들(106 및 108)에서 전류 값들을 판단한다. 그 후, 이러한 2 개의 전류 값들은 브레이크 디바이스(36)의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 들어올리기 전에 모터(32)에 공급될 사전-토크 전류를 판단하도록 평균화된다. 전이 지점들(106 및 108)에서의 전류 값들의 평균을 이용하는 것은, 98에서 0 토크 지점을 정확히 찾으려고 항상 애쓰는 것에 비해 더 쉬운 판단들을 용이하게 한다(facilitate). 이러한 방식으로 평균화를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센서(46)의 구성요소들의 가능한 마모 및 시스템의 잠재 이력(potential hysteresis)을 고려한다.
예시적인 센서(46)에 의해 제공된 또 다른 예시적인 모니터링 기능은 드래깅(dragging) 브레이크 조건을 검출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운행 시작 시 브레이크가 맞물림-해제될(disengaged) 때를 나타내도록 의도된 전용 브레이크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스위치들은 전체 운행 동안에 브레이크가 맞물림-해제된 채로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스위치들의 한가지 단점은, 이들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이동만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실제 브레이크 토크의 여하한의 표시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스위치들이 그 자리에 있더라도, 브레이크 드래그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센서(46)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래그가 바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요소(44)가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센서(46)는 엘리베이터 차체 이동 동안 브레이크에 걸리는 토크를 나타내는 출력값을 제공할 것이다. 일 예시에서, 여하한의 브레이크 드래그 표시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때, 토크 모듈(80)은 대응하는 출력값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서 유지보수 담당자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브레이크 드래그와 연계된 나타내어진 토크가 선택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토크 모듈(80)은 제어부(34)에 경고 출력값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제어부(34)는 정상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을 차단(interrupt)하기 위한 요구로서 이러한 경고를 해석하며, 적절한 승강장으로 엘리베이터 차체(22)를 진행시키고, 차체 도어들이 개방되어, 여하한의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차체에서 내리도록 한다. 그 후, 적절한 유지보수 담당자가 브레이크 디바이스(36)의 작동 상태를 검증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차체는 서비스 중지된다.
개시된 예시들의 한가지 특징은, 브레이크에서의 정확한 토크 측정을 위한 요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신, 프레임(38)에 대해 장착 부재(40)의 제한된 양의 이동과 연계된 힘만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센서(46)는 엘리베이터 차체 상의 부하를 흡수하거나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 프레임(38) 및 장착 부재(40)의 상대 이동과 연계된 힘을 검출한다. 개시된 예시들의 또 다른 특징은, 모터(32)의 사전-토크 값을 계산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차체 상의 부하를 측정하는 것을 필수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개시된 예시들을 이용하면, 엘리베이터 운행 시작 시 브레이크를 들어올리기 전에, 이전의 기술들에 비해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모터 토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언로딩(unload)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브레이크 스위치들이 제거될 수 있으며, 개시된 브레이크 드래그 모니터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전의 서술내용은 본질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적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예시들에 대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 범위는 오직 다음의 청구항들을 검토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Claims (22)

  1. 삭제
  2.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연계된 구성요소의 회전에 저항하는 제동력(braking force)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요소;
    정지 표면(stationary surface)에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 부재 -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함 -; 및
    상기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의 여하한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indication)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장착 부재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하는 제 1 감지 요소, 및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장착 부재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하는 제 2 감지 요소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내어진 힘이 선택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토크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모듈은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걸리는 토크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요소들로부터의 표시들에 기초하여 0 토크에 대한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걸리는 토크가 상기 0 토크에 대한 허용가능한 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값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정지 표면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는 부싱(resilient bushing)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는 부싱은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탄성 o-링(ring)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힘 저항 센서 또는 피에조-저항 센서(piezo-resistiv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8. 삭제
  9. 삭제
  10. 엘리베이터 기계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상기 트랙션 시브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저항하는 브레이크 요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장착 부재 -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요소가 상기 트랙션 시브의 회전에 저항함에 따라,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함 -;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하는 센서; 및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가 상기 센서로부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토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장착 부재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하는 제 1 감지 요소,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장착 부재의 이동과 연계된 힘의 표시를 제공하는 제 2 감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내어진 힘이 선택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모듈은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요소들로부터의 표시들에 기초하여 0 토크에 대한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가 상기 0 토크에 대한 허용가능한 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값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반응 표면(reaction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표면에 맞닿아 있는(against)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요소들은 상기 장착 부재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편중되는(biased) 엘리베이터 기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대응하는 토크를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토크 모듈의 출력값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에 의해 제공된 토크를 조정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모듈의 출력값은 상기 트랙션 시브의 임의의 이동(desired movement) 동안 드래깅 브레이크(dragging brake)의 표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착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는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는 부싱은 상기 브레이크 요소에 걸리는 토크에 응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되는 엘리베이터 기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탄성 o-링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힘 저항 센서 또는 피에조-저항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18. 브레이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착 부재가 연계된 정지 표면에 대해 이동하게 하는 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힘이 상기 브레이크에 걸리는 허용가능한 양의 토크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힘이 상기 범위 밖에 있는 지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모니터링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연계된 엘리베이터 차체가 정차될 때,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힘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의 상쇄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힘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동안 상기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모니터링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힘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 연계된 모터의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상기 작동 조건에 따른 상태에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모니터링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힘이 상기 범위 내로 전이되도록 유도하는, 상기 상쇄력에 대응하는 제 1 모터 전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힘의 양이 상기 범위 밖에 있을 때까지 상기 제 2 방향으로 추가 상쇄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범위 밖으로 전이되는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힘에 대응하는 제 2 모터 전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 전류들의 평균 전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시점에, 상기 브레이크와 연계된 모터에 상기 평균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모니터링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와 연계된 엘리베이터 차체가 이동하고, 상기 브레이크가 맞물림-해제(disengage)되어야 하는 때, 상기 힘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드래깅 브레이크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모니터링 방법.
KR1020117017334A 2009-03-10 2009-03-10 브레이크 토크 제어 KR101310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9/036622 WO2010104502A1 (en) 2009-03-10 2009-03-10 Brake torque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001A KR20110098001A (ko) 2011-08-31
KR101310172B1 true KR101310172B1 (ko) 2013-09-23

Family

ID=4272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334A KR101310172B1 (ko) 2009-03-10 2009-03-10 브레이크 토크 제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00366B2 (ko)
EP (1) EP2406163B2 (ko)
JP (1) JP5540023B2 (ko)
KR (1) KR101310172B1 (ko)
CN (1) CN102348628B (ko)
BR (1) BRPI0924496A2 (ko)
ES (1) ES2675740T5 (ko)
HK (1) HK1167254A1 (ko)
RU (1) RU2484004C2 (ko)
WO (1) WO2010104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0207B2 (en) * 2010-06-23 2013-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assembled and pretorqued friction brake and method of making a safety device containing such a friction brake
US8430206B2 (en) * 2010-06-23 2013-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afety devices comprising a load-bearing composite polymeric housing and a load-bearing anchorage plate
WO2012158172A1 (en) * 2011-05-19 2012-11-22 Otis Elevator Company Brake for electric motor
JP6002775B2 (ja) * 2011-11-02 2016-10-0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ブレーキトルクの監視および状態評価
FI123612B (fi) * 2012-06-04 2013-08-15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vetopyörähissin korin kuorman mittaamiseksi
JP6325801B2 (ja) * 2013-11-20 2018-05-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動ウインチ装置
CN103803366B (zh) 2013-12-19 2016-04-27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抱闸力矩检测方法
WO2015137967A1 (en) * 2014-03-14 2015-09-17 Otis Elevator Company Robust startup method for ropeless elevator
CN106132864B (zh) 2014-03-14 2019-09-10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确定无绳电梯系统中磁性部件的磁场取向的系统和方法
US10532908B2 (en) 2015-12-04 2020-01-14 Otis Elevator Company Thrust and mo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linear motor alignment in an elevator system
US10207896B2 (en) 2017-01-30 2019-02-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chine brake control
DE102017116956A1 (de) * 2017-07-26 2019-01-31 Zollern Gmbh & Co. Kg Winde, insbesondere Freifallwinde mit einer Bremse
DE102017120490A1 (de) * 2017-09-06 2019-03-07 Liebherr-Components Biberach Gmbh Freifallwinde
CN108404314B (zh) * 2018-03-19 2023-10-31 西安科技大学 一种扭矩感应可伸缩多功能安全绳
US11415191B2 (en) * 2019-10-04 2022-08-16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identify conditions indicative of electromagnetic brake temperature
US20210101782A1 (en) * 2019-10-04 2021-04-08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220363512A1 (en) * 2021-05-17 2022-11-17 Magnetek, Inc.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 Dragging Brake in an Elevator Application
CN115258857B (zh) * 2022-07-27 2024-02-2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起动补偿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108A (ko) * 1998-09-04 2001-07-31 살로메키 유하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119649A (ko) * 2007-09-18 2007-1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모터 브레이크 토크 측정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7494A (en) 1959-09-02 1963-05-29 Inventio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rting arrangements of electric drives with mechanical holding brakes
US3224957A (en) 1962-01-12 1965-12-21 Nalco Chemical Co Process of reducing deposition of deposits on heat exchange surfaces in petroleum refinery operations
US3610342A (en) 1969-12-18 1971-10-05 Otis Elevator Co Load weighing apparatus for elevators
JPH0772060B2 (ja) * 1985-09-03 1995-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起動補償装置
AU580453B2 (en) 1985-11-04 1989-01-12 Johns Perry Industries Pty. Ltd. Lift sheave
JP2540872B2 (ja) * 1987-07-23 1996-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ブレ−キ油圧制御装置
US4738337A (en) 1987-07-29 1988-04-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ad compensation signal for a traction elevator system
US4754850A (en) 1987-07-29 1988-07-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for providing a load compensation signal for a traction elevator system
JPH0780646B2 (ja) * 1988-03-18 1995-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1271382A (ja) 1988-04-21 1989-10-30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始動保償装置
JPH0645430B2 (ja) * 1988-12-07 1994-06-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
FR2705286B1 (fr) * 1993-05-18 1995-09-08 Smh Management Services Ag Véhicule comprenant un système de freinage électrique et mécanique.
EP0638508B1 (de) * 1993-08-12 1999-03-03 Inventio Ag Druckknopfelement
JPH08310371A (ja) * 1995-05-19 1996-11-26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930743A (ja) * 1995-07-14 1997-02-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起動補償装置
US6601828B2 (en) * 2001-01-31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 machin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JP2001019292A (ja) 1999-06-25 2001-01-23 Inventio Ag 鉛直搬送装置の荷重支持手段の鉛直方向変位と鉛直方向振動と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6488128B1 (en) 2000-12-12 2002-12-03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shaft sensor for load measurement and torque control in elevators and escalators
US7748793B2 (en) * 2002-05-28 2010-07-06 Estop Gmbh Fail-safe concept for an electromechanical brake
JP4292155B2 (ja) * 2002-10-15 2009-07-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過大抵抗および有効制動動作の点検方法
US7377363B2 (en) * 2003-02-24 2008-05-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th variable drag for car and counterweight
JP4566587B2 (ja) 2004-03-17 2010-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MY192706A (en) * 2004-12-17 2022-09-02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with a braking device, and method for braking and holding a lift installation
WO2006093487A1 (en) 2005-02-25 2006-09-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otor brake torque measurement device
FI120193B (fi) 2008-01-09 2009-07-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n liikkeenohjaus
JP6002775B2 (ja) * 2011-11-02 2016-10-0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ブレーキトルクの監視および状態評価
JP6256277B2 (ja) 2014-09-24 2018-01-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108A (ko) * 1998-09-04 2001-07-31 살로메키 유하 엘리베이터 구동기계의 모터 시동토크를 설정하기 위한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119649A (ko) * 2007-09-18 2007-1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모터 브레이크 토크 측정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00366B2 (en) 2018-06-19
JP2012520219A (ja) 2012-09-06
HK1167254A1 (en) 2012-11-23
JP5540023B2 (ja) 2014-07-02
RU2011132276A (ru) 2013-04-20
ES2675740T5 (es) 2022-05-12
KR20110098001A (ko) 2011-08-31
CN102348628A (zh) 2012-02-08
US20110303493A1 (en) 2011-12-15
BRPI0924496A2 (pt) 2019-09-24
CN102348628B (zh) 2015-04-15
EP2406163A4 (en) 2014-11-26
EP2406163B1 (en) 2018-06-27
RU2484004C2 (ru) 2013-06-10
WO2010104502A1 (en) 2010-09-16
EP2406163A1 (en) 2012-01-18
EP2406163B2 (en) 2022-04-06
ES2675740T3 (es)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172B1 (ko) 브레이크 토크 제어
US8261886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9776827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monitoring arrangement to activate multiple emergency braking procedures associated with different deceler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370339B1 (en) Elevator car positioning using a vibration damper
US8104586B2 (en) Elevator motor brake torque measurement device
EP1930275B1 (en) Elevator apparatus
JP3936578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制御システム
US10654683B2 (en) Monitored braking blocks
MXPA00006285A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impedir desplazamientos verticales y oscilaciones verticales de medios de recepcion de carga de instalaciones de transporte vertical.
KR101975775B1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WO2007144456A1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slack rope of an elevator
KR2015008907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326474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CN104671022A (zh) 电梯的控制装置及电梯的控制方法
EP1767483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US20240076163A1 (en) Setting a rescue time period
CN109956381B (zh) 安全电梯系统
CN116648419A (zh) 悬挂装置及其在电梯设备中的用途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