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854A -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코올 및 hlb 5초과의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코올 및 hlb 5초과의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854A
KR20010062854A KR1020000087155A KR20000087155A KR20010062854A KR 20010062854 A KR20010062854 A KR 20010062854A KR 1020000087155 A KR1020000087155 A KR 1020000087155A KR 20000087155 A KR20000087155 A KR 20000087155A KR 20010062854 A KR20010062854 A KR 20010062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lkyl
radical
weight
fa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827B1 (ko
Inventor
꼬따르프랑소와
롱도크리스띤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5540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628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1006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합한 매질에 하나 이상의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케라틴성 섬유, 인간의 모발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을 중량비 [(III)/(I) + (II)+(IV)] 1 이하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I)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 임의의,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I) HLB 5초과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IV) 임의의, HLB 5 이하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계면활성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코올 및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HE OXIDATION DYEING OF KERATINOUS FIBRES COMPRISING A FATTY ALCOHOL HAVING MORE THAN TWENTY CARBON ATOMS AND AN OXYALKYLENATED NONIONIC SURFACTANT WITH AN HLB GREATER THAN 5}
본 발명은 케라틴성 섬유, 특히 인간의 케라틴성 섬유, 예컨대 모발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인데, 상기 조성물은 적합한 염색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산화 염료와, (I)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 임의의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I)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HLB: 5초과), 및 (IV)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계면활성제 (HLB: 5 이하)를 [(III)]/[(I)+(II)+(IV)]의 중량비 1이하로 함유한다.
산화 염색 전구체 (통상, "산화 베이스", 특히 오르코- 또는 파라-페닐렌디아민, 오르토- 또는 파라-아미노페놀, 및 헤테로고리형 베이스)를 함유하는 염료 조성물로 케라틴 섬유, 특히 인간의 모발을 염색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산화 염색 전구체는 초기에 단지 약간 착색되거나 되지 않는 화합물 (이는산화제의 존재에서 모발의 염색력을 향상시켜서 착색된 화합물이 된다) 이다. 이들 착색된 화합물은 "산화 베이스"의 산화 축합으로부터 또는 칼라 변색 화합물을 갖는 "산화 베이스", 또는 "커플러" (이들은 통상 산화 염색에 사용된 염색 조성물에 존재하고 메타-페닐렌디아민, 메타-아미노페놀 및 메타-디페놀, 및 어떤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에 의해 대표된다) 의 산화 축합으로부터 형성된다.
한편으로 "산화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플러"로 이루어진, 사용된 다양한 분자는 팔레트(palette)가 풍부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얼굴 위, 또는 염색하고자 하는 곳 이외로 흐르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균형잡힌 착색을 모발에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모발에 산화 염색 생성물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산화제와 혼합하기 전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유동점의 견해에서 장기간 안정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산화 염색 생성물을 제형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i) 각종 계면활성제와 종래의 증점제, 예컨대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의 결합물, 또는 (ii) 이들 계면활성제와 짧은 사슬의 지방 알코올의 결합물, 또는 (iii) 알맞게 선택된, HLB (친수성 친지방성 밸런스)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사용했는데, 이들은, 물 및/또는 계면활성제로 희석될 때, 겔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상기의 시스템은 조성물의 우수한 안정성, 용이하게 적용한, 모발의 균일한 착색, 및 우수한 미용 상태를 처리된 모발에 제공하면서도 낮은 선택도의 강한 색조 및 우수한 정착력(定着力)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또한, 산화 염료(들) 및 선행 기술의 증점 시스템을 함유하는 즉석 염료 조성물은 흐르거나 장기간 점도가 떨어지지 않고 충분히 정확하게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상기 문제에 대한 철저한 연구 후에, 본 출원인은 산화 염료(들)을 함유하는 염색 조성물에 하기의 배합물을 도입한다면 모발에 우수한 화장성을 제공하면서도, 흐르지 않고, 케라틴성 섬유에 쉽게 적용되고, 또한 화학 물질 (삼푸, 퍼머) 또는 천연 물질 (빛, 땀)에 대한 낮은 선택도와 강한 고착력과 함께 강한(밝은) 색조를 얻을 수 있는 즉석 산화 염색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의 발견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케라틴성 섬유, 특히 인간의 케라틴성 섬유, 예컨대 모발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적합한 매질에 하나 이상의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데,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을 중량비 [(III)/(I) + (II)+(IV)] 1 이하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 임의의,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I) HLB 5초과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IV) 임의의, HLB 5 이하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케라틴성 섬유, 특히 인간의 케라틴성 섬유, 예컨대 모발의 산화 염색용 즉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적합한 매질에 하나 이상의 산화 염료, 하나 이상의 산화제 및 상기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즉석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케라틴성 섬유에 즉시 적용하기 위한 어떤 조성물, 즉 사용하기 전에 있는 그대로 저장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조성물의 새로운 혼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라틴성 섬유, 특히 인간의 케라틴 섬유, 예컨대 모발의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합한 매질에 하나 이상의 산화제 및 상기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A)를 섬유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색상은 사용시 바로 조성물(A)와 혼합되거나 중간에 헹구지 않고 계속해서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B)의 도움으로 알칼리성, 중성 또는 산성 pH 에서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는 케라틴성 섬유, 특히 인간의 케라틴성 섬유, 예컨대 모발용 다구획 염색 장치 또는 "키트" 인 것으로서, 이의 첫 번째 구획은 하나 이상의 산화 염료 및 상기의 배합물을 함유하고, 두 번째 구획은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함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특징, 태양, 요지 및 이점은 명세서 및 하기의 실시예에 더욱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C 20 초과의 지방 알코올
C20초과의 지방 알코올은 어떤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의순수한 C20초과의 지방 알코올, 또는 30 중량% 초과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의 순수한 C20초과의 지방 알코올을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알코올의 예로서, 베헤닐 알코올 또는 에루실 알코올을 언급할 수 있다.
이의 제품의 예는 하기와 같다: 상표명 NAFOL 18-22, NAFOL 18-22B, NAFOL 18-22C, NAFOL 20+, NAFOL 20-22, NAFOL 22-98 (CONDEA Co.), CRODACID (CRODA Co.) 및 EDENOR U 122 (HENKEL Co.).
C20초과의 지방 알코올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을 함유하는데, 이들 지방 알코올은 순수한 형태 또는 혼합물 형태로 도입된다.
이의 예로는 특히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또는 올레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 추가적인 지방 알코올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0 내지 20 %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계면활성제(들)의 HLB, 즉 친수성-소수성 균형은 출판물 (J. Soc. Cosm. Chem. 1954 (Vo. 5), p. 249-256) 의 GRIFFIN 에 따른 HLB, 또는 "GALENICA 5: Les systemes disperses[Disperses systems]-Vol. I-Agents de surface et emulsions[Surfactants and emulsions]-Chapter IV-Notions de HLB etde HLB critique [Basics of HLB and critical HLB], p. 153-194-paragraph 1.1.2." (F. PUISIEUX 및 M. SEILLER) 에 정의된 바와 같은 실험적으로 측정된 HLB 이다.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의 분자 내에 하기의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가지고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CH2-CH2-0-, -CH2-CH2-CH2-O-, -CH2-CH(CH2)-O- 또는 이의 혼합물.
5초과의 HLB 를 갖는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초과의 HLB 를 갖는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제한없이 하기 부류에 속하는 화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 2몰 초과의 EO 를 갖는 옥시알킬렌화 알킬페놀,
- EO/PO 축합물 (PO/EO 비는 0.71 미만이다),
- 5몰 초과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식물성 오일,
- 2몰 초과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
- 지방산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스테르,
- 지방산과 소르비톨의 폴리옥시에틸렌화 에스테르.
특히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의 예는 하기와 같다:
HLB 5초과의 상기 옥실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중량의 약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20 % 일 수 있다.
HLB 5이하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제한되지 않는 예는 하기와 같다:
- 2 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알킬페놀,
- EO/PO 축합물 (PO/EO 비는 0.71 초과이다),
- 5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식물성 오일,
- 2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
특히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의 예는 하기와 같다:
HLB 5 이하의 상기 옥실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중량의 약 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10 % 일 수 있다.
산화 염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산화 염료는 산화 염기 및/또는 커플링제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산화 염기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산화 염기는 산화 염색에 있어서 종래에 공지된 것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염기로는 특히 오르토- 및 파라-페닐렌디아민, 이중 염기, 오르토- 및 파라-아미노페놀, 하기 헤테로시클릭 염기, 및 그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특히 하기를 들 수 있다:
- (I) 하기 화학식 I 의 파라-페닐렌디아민 및 그의 산 부가염:
[화학식 I]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원자, C1-C4알킬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라디칼,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라디칼, (C1-C4)알콕시(C1-C4)알킬 라디칼, 질소 함유기로 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 페닐 라디칼 또는 4'-아미노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C1-C4알킬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라디칼,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라디칼, (C1-C4)알콕시(C1-C4)알킬 라디칼, 또는 질소 함유기로 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1및 R2는 또한 그를 보유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알킬, 히드록실 또는 우레이도기로 임의 치환되는 5- 또는 6-원의 질소 함유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3는 수소 원자, 염소 원자와 같은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라디칼, 술포 라디칼, 카르복실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라디칼, 히드록시(C1-C4알콕시)라디칼, 아세틸아미노(C1-C4알콕시) 라디칼, 메실아미노(C1-C4알콕시) 라디칼 또는 카르바모일아미노(C1-C4알콕시) 라디칼을 나타내며;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I의 질소 함유 기들 중, 특히 아미노, 모노(C1-C4)알킬아미노, (C1-C4)디알킬아미노, (C1-C4)트리알킬아미노, 모노히드록시(C1-C4)알킬아미노, 이미다졸리늄 및 암모늄 라디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파라-페닐렌디아민들 중, 더욱 특히 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톨릴렌디아민,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 2,3-디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2,6-디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2,6-디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5-디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프로필-파라-페닐렌디아민, 4-아미노-N,N-디에틸-3-메틸아닐린, N,N-비스(β -히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4-N,N-비스(β-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아닐린, 4-N,N-비스(β-히드록시에틸)아미노-2-클로로아닐린, 2-β-히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플루오로-파라-페닐렌디아민, 2-이소프로필-파라-페닐렌디아민, N- (β-히드록시프로필)-파라-페닐렌디아민, 2-히드록시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메틸-3-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 (에틸-β-히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N-(β,γ-디히드록시프로필)-파라-페닐렌디아민, N- (4'-아미노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N-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2-β-히드록시에틸옥시-파라-페닐렌디아민, 2-β-아세틸아미노에틸옥시-파라-페닐렌디아민, N- (β-메톡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메틸-1-N-β-히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 의 파라-페닐렌디아민들 중, 가장 특히 바람직한 것은, 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톨릴렌디아민, 2-이소프로필-파라-페닐렌디아민, 2-β-히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β-히드록시에틸옥시-파라-페닐렌디아민, 2,6-디메틸 -파라-페닐렌디아민, 2,6-디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3-디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비스(β-히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이다.
- (Ⅱ)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염기" 는 아미노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고리 상에 보유하는 2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 조성물에서 산화 염기로 사용될 수 있는 이중 염기들 중, 특히 하기 화학식 Ⅱ 에 상응하는 화합물, 및 그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고:
[화학식 Ⅱ]
(상기 식 중,
- Z1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4알킬 라디칼 또는 결합절 Y 로 치환될 수 있는 히드록실 또는 -NH2라디칼을 나타내고;
- 결합절 Y 는 하나 이상의 질소 함유 기 및/또는 산소, 황 또는 질소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개재되거나, 이들이 그의 말단이 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또는 C1-C6알콕시 라디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4 의 직쇄 또는 분지 알킬렌 사슬을 나타내고;
- R5및 R6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라디칼,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라디칼, 아미노(C1-C4알킬) 라디칼 또는 결합절 Y 를 나타내며;
- R7, R8, R9, R10, R11및 R1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결합절 Y 또는 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Ⅱ 의 화합물은 분자 당 단 하나의 결합절 Y 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화학식 Ⅱ 의 질소 함유 기들 중, 특히 아미노, 모노(C1-C4)알킬아미노, (C1-C4)디알킬아미노, (C1-C4)트리알킬아미노, 모노히드록시(C1-C4)알킬아미노, 이미다졸리늄 및 암모늄 라디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Ⅱ 의 이중 염기들 중, 더욱 특히 N,N'-비스(β-히드록시에틸)-N,N'-비스(4'-아미노페닐)-1,3-디아미노프로판올, N,N'-비스(β-히드록시에틸)-N,N'-비스(4'-아미노페닐)에틸렌디아민, N,N'-비스(4-아미노페닐)테트라메틸렌디아민, N,N'-비스(β-히드록시에틸)-N,N'-비스(4-아미노페닐)테트라메틸렌디아민, N,N'-비스(4-메틸아미노페닐)테트라메틸렌디아민, N,N'-비스(에틸)-N,N'-비스(4'-아미노-3'-메틸페닐)에틸렌디아민, 1,8-비스(2,5-디아미노페녹시)-3,5-디옥사옥탄,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Ⅱ 의 이중 염기들 중, N,N'-비스(β-히드록시에틸)-N,N'-비스 (4'-아미노페닐)-1,3-디아미노프로판올, 1,8-비스(2,5-디아미노페녹시)-3,5-디옥사옥탄, 또는 이들의 산 부가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 (Ⅲ) 하기 화학식 Ⅲ 에 상응하는 파라-아미노페놀, 및 그의 산 부가염:
[화학식 Ⅲ]
(상기 식 중,
R13은 수소 또는 불소와 같은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C1-C4)알콕시(C1-C4)알킬, 아미노(C1-C4알킬) 또는 히드록시(C1-C4)알킬아미노(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14는 수소 또는 불소와 같은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아미노(C1-C4알킬), 시아노(C1-C4알킬) 또는(C1-C4)알콕시(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Ⅲ 의 파라-아미노페놀들 중, 더욱 특히 파라-아미노페놀, 4-아미노-3-메틸페놀, 4-아미노-3-플루오로페놀, 4-아미노-3-히드록시메틸페놀, 4-아미노-2-메틸페놀, 4-아미노-2-히드록시메틸페놀, 4-아미노-2-메톡시메틸페놀, 4-아미노-2-아미노메틸페놀, 4-아미노-2- (β-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페놀,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 (Ⅳ) 본 발명에서 산화 염기로 사용될 수 있는 오르토-아미노페놀은 특히 2-아미노페놀, 2-아미노-1-히드록시-5-메틸벤젠, 2-아미노-1-히드록시-6-메틸벤젠, 5-아세트아미도-2-아미노페놀, 및 이들의 산 부가염으로부터 선택된다.
- (V) 본 발명에서 산화 염기로 사용될 수 있는 헤테로시클릭 염기들 중, 더욱 특히 피리딘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졸 유도체,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피리딘 유도체들 중, 더욱 특히, 예를 들어, 특허 GB 1,026,978 및 GB 1,153,196 에 기재된 화합물들, 예컨대 2,5-디아미노피리딘, 2- (4-메톡시페닐)아미노-3-아미노피리딘, 2,3-디아미노-6-메톡시피리딘, 2- (β-메톡시에틸)아미노-3-아미노-6-메톡시피리딘, 3,4-디아미노피리딘,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피리미딘 유도체들 중, 독일 특허 DE 2,359,399 또는 일본 특허 JP 88-169,571 및 JP 91-10659 또는 특허 출원 WO 96/15765 에 기재된 화합물의 예는 하기와 같다: 예컨대 2,4,5,6-테트라아미노피리미딘, 4-히드록시-2,5,6-트리아미노피리미딘, 2-히드록시-4,5,6-트리아미노피리미딘, 2,4-디히드록시-5,6-디아미노피리미딘, 2,5,6-트리아미노피리미딘, 및 프랑스 특허 출원 제2,750,048호에 언급된 것과 같은 피라졸로피리미딘 유도체 (이들 중, 피라졸로[1,5-a]피리미딘-3,7-디아민; 2,5-디메틸피라졸로[1,5-a]피리미딘-3,7-디아민; 피라졸로[1,5-a]피리미딘-3,5-디아민; 2,7-디메틸피라졸로[1,5-a]피리미딘-3,5-디아민; 3-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7-올; 3-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5-올; 2- (3-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7-일아미노)에탄올; 2- (7-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아미노)에탄올; 2-[(3-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7-일)(2-히드록시에틸)아미노]에탄올; 2-[(7-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2-히드록시에틸)아미노]에탄올; 5,6-디메틸피라졸로[1,5-a]피리미딘-3,7-디아민; 2,6-디메틸피라졸로[1,5-a]피리미딘-3,7-디아민; 2,5,N7,N7-테트라메틸피라졸로[1,5-a]피리미딘-3,7-디아민; 3-아미노-5-메틸-7-이미다졸릴프로필아미노피라졸로[1,5-a]피리미딘; 및 그의 부가염 및 토토머 평형이 존재하는 경우 그의 토토머 형태와, 그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음).
피라졸 유도체들 중, 더욱 특히, 특허 DE 3,843,892, DE 4,133,957 및 특허 출원 WO 94/08969, WO 94/08970, FR-A-2,733,749 및 DE 195 43 988 에 기재된 화합물들, 예컨대 4,5-디아미노-1-메틸피라졸, 3,4-디아미노피라졸, 4,5-디아미노-1- (4'-클로로벤질)-피라졸, 4,5-디아미노-1,3-디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3-메틸-1-페닐피라졸, 4,5-디아미노-1-메틸-3-페닐피라졸, 4-아미노-1,3-디메틸-5-히드라지노피라졸, 1-벤질-4,5-디아미노-3-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3-tert-부틸-1-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1-tert-부틸-3-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1- (β-히드록시에틸) -3-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1- (β-히드록시에틸)피라졸, 4,5-디아미노-1-에틸-3-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1-에틸-3- (4'-메톡시페닐)피라졸, 4,5-디아미노-1-에틸-3-히드록시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3-히드록시메틸-1-메틸피라졸, 4,5-디아미노-3-히드록시메틸-1-이소프로필피라졸, 4,5-디아미노-3-메틸-1-이소프로필피라졸, 4-아미노-5- (2'-아미노에틸)아미노-1,3-디메틸피라졸, 3,4,5-트리아미노피라졸, 1-메틸-3,4,5-트리아미노피라졸, 3,5-디아미노-1-메틸-4-메틸아미노피라졸, 3,5-디아미노-4- (β-히드록시에틸)아미노-1-메틸피라졸, 및 이들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 염기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대략 0.0005 내지 12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005 내지 8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커플링제는 산화 염색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것인데, 즉, 메타-아미노페놀, 메타-페닐렌디아민, 메타-디페놀, 나프톨 및 헤테로시클릭 커플링제, 예를 들어 인돌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세사몰 및 그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피라졸로트리아졸 유도체, 피라졸론, 인다졸, 벤즈이미다졸, 벤조티아졸, 벤족사졸, 1,3-벤조디옥솔, 퀴놀린, 및 그의 산 부가염이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더욱 특히 2,4-디아미노-1- (β-히드록시에틸옥시)벤젠, 2-메틸-5-아미노페놀, 5-N-(β-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3-아미노페놀, 1,3-디히드록시벤젠, 1,3-디히드록시-2-메틸벤젠, 4-클로로-1,3-디히드록시벤젠, 2-아미노-4-(β-히드록시에틸아미노)-1-메톡시벤젠, 1,3-디아미노벤젠, 1,3-비스 (2,4-디아미노페녹시)프로판, 세사몰, 1-아미노-2-메톡시-4,5-메틸렌디옥시벤젠, α-나프톨, 6-히드록시인돌, 4-히드록시인돌, 4-히드록시-N-메틸인돌, 6-히드록시인돌린, 2,6-디히드록시-4-메틸피리딘, 1-H-3-메틸피라졸-5-온, 1-페닐-3-메틸피라졸-5-온, 2-아미노-3-히드록시피리딘, 3,6-디메틸피라졸로[3,2-c]-1,2,4-트리아졸, 2,6-디메틸피라졸로[1,5-b]-1,2,4-트리아졸, 또는 그의 산 부가염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커플링제는, 존재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대략 0.0001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005 내지 5 중량%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산화 염기 및 커플링제의 산 부가염은 특히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술페이트 및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및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산화 염료 외에도, 광택 색조를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직접 염료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직접 염료는 특히 중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니트로, 아조 또는 안쓰라퀴논 염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갖는 증점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증점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증점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유형이다.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며 음이온성 유형인 증점 중합체 중에서, 다음을 언급할 수 있다:
- (I)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위 및 지방사슬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알릴 에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것들, 더욱 특별하게는 친수성 단위가 에틸렌 불포화 음이온성 단량체, 더욱 특히 비닐카르복실산, 가장 특별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지방사슬을 포함하는 알릴 에테르 단위는 하기 식 (Ⅰ)의 단량체에 대응하는 것들:
CH2=C(R')CH2OBnR (Ⅰ)
[식중, R' 는 H 또는 CH3를 나타내며, B 는 에틸렌옥시 라디칼을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내지 100 의 정수이고, R 은 8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4,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아릴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시클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화학식 I 의 특히 바람직한 단위체는 R' 이 H 이고, n 은 10 이며, R 은 스테아릴 (C18) 라디칼인 단위체이다.
이러한 종류의 음이온성 친양쪽성 중합체는 EP-0,216,479 에 기술된 에멀션 중합 반응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친양쪽성 중합체 가운데, 20 내지 60 중량 % 의 아크릴산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5 내지 60 중량 % 의 저급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식 (Ⅰ)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2 내지 50 중량 % 의 알릴에테르, 및 디알릴프탈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와 같이 공지된 공중합 가능한 폴리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인, 0 내지 1 중량 % 의 가교화제로부터 형성된 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다.
후자 가운데, 메트아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레스-10-알릴에테르 (40/50/10) 의 가교화 3원 중합체를 30 % 함유하는 수성 에멀션인, 메트아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10 EO) 스테아릴알콜에테르 (스테아레스 10) 의 가교화 3원 중합체, 특히 ALLIED COLLOIDS 사에서 SALCARE SC 80 및 SALCARE SC 90 의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것들이 가장 바람직하다.
- (II)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형의 (C10∼C30)알킬에스테르만의 하나 이상의 소수성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중합체는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친수성 단위체가 하기 식 (Ⅱ) 를 갖는 단량체에 상응하는 것들, 즉,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또는 에트아크릴산 단위체 :
(Ⅱ)
[식중, R1은 H 또는 CH3또는 C2H5를 나타낸다],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형의 (C10∼C30)알킬에스테르의 소수성 단위체가 하기 식 (Ⅲ) 을갖는 단량체에 상응하는 것들 :
(Ⅲ)
[식중, R2는 H 또는 CH3또는C2H5(즉, 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트아크릴레이트 단위체) 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H (아크릴레이트 단위체) 또는 CH3(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체) 이며, R3는 C10∼C30, 바람직하게는 C12∼C22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0∼C30)알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상응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음이온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특허 US-3,915,921 및 4,509,949 에 따라 제조된다.
이러한 종류의 음이온성 회합 중합체 중에서, 특히 하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가 사용될 것이다:
(i) 필수 아크릴산,
(ii) 상술한 식 (Ⅲ)을 갖는 에스테르, 식중, R2는 H 또는 CH3를 나타내고, R3는 탄소수 12 내지 22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냄,
(iii) 및 공지된 공중합 폴리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인 가교결합제, 예를 들면 디알릴 프탈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이러한 종류의 음이온성 증점 중합체 중에서, 더욱 특히 95 내지 60 중량%의 아크릴산(친수성 단위), 4 내지 40 중량%의 C10∼C30알킬아크릴레이트(소수성 단위), 및 0 내지 6 중량%의 가교 중합가능한 단량체로 구성된 것들이 사용되고, 또는 이와는 달리 98 내지 96 중량%의 아크릴산(친수성 단위), 1 내지 4 중량%의 C10∼C30알킬 아크릴레이트(소수성 단위) 및 0.1 내지 0.6 중량%의 상기 기재된 것들과 같은 가교 중합가능한 단량체로 구성되는 것들이 사용된다.
상기 중합체 가운데, GOODRICH 사로부터 PEMULEN TR1, PEMULEN TR2, CARBOPOL 1382 및 바람직하게는 PEMULEN TR1, 및 S.E.P.P.I.C. 사로부터 COATEX SX 의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본 발명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다.
- (III) 말레 무수물/C30∼C38의 α-올레핀/알킬 말리에이트의 3원중합체, 예를 들면 NEWPHASE TECHNOLOGIES 사의 상품명 PERFORMA V 1608로 시판되는 제품(말레 무수물/C30∼C38의 α-올레핀/이소프로필 말리에이트 공중합체).
- (IV) 하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3원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a) α, 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갖는 약 2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카르복실산
(b) (a)와 상이한 α, 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갖는 약 20 중량% 내지 80중량%의 비계면활성 단량체
(c) 1가의 계면활성제와 특허 출원 EP-A-0,173,109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더욱 특히 실시예 3에 기재된, 즉 25 % 수분산액 중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에톡실화된 (40 EO) 벤질알콜의 디메틸 메타이소프로페닐 벤질 이소시아네이트 3원중합체인 약 0.5 내지 60 중량%의 비이온성 모노우레탄.
- (V) 그의 단량체 중에서 α, β-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물을 갖는 카르복실산 및 α, β-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물을 갖는 카르복실산과 옥시알킬렌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들 화합물은 단량체로서 α, β-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물과 C1C4 알코올을 갖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의 예로서, ACULYN 22 (ROHM 및 HAAS)를 언급할 수 있는데, 이는 옥시알킬렌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삼원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형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증점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 (1)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기에 의해 개질된 셀룰로오즈;
예로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알킬, 아릴알킬 또는 알킬아릴기,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중,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C8∼C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기에 의해 개질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내부의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C8∼C22이며, 예를 들면, AQUALON사의 NATROSOL PLUS GRADE 330 CS(C16알킬) 제품, 또는 BEROL NOBEL사의 BERMOCOLL EHM 100제품,
- AMERCHOL사의 AMERCELL POLYMER NM-1500(노닐페놀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5) 에테르)과 같은 알킬페놀기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로 개질된 것들.
- (2) LAMBERTI사의 ESAFLOR HM 22(C22알킬 사슬)제품 및 RHONE POULENC사의 RE 210-18(C14알킬 사슬) 및 RE 205-1(C20알킬 사슬) 제품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기로 개질된 히드록시프로필구아.
- (3) 비닐피롤리돈 및 지방 사슬을 갖는 소수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예로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I.S.P사의 ANTARON V216 또는 GANEX V216 제품(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 I.S.P사의 ANTRON V 220 또는 GANEX V220 제품(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 (4) 예를 들면, GOLDSCHMIDT 사의 상품명 ANTIL 208으로 시판되는 옥시에틸렌화 스테아릴 아트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C1∼C6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지방사슬을 함유하는 양쪽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 (5)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친수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지방사슬을 함유하는 소수성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 (6)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성질의 친수성 서열 및 지방족 사슬 단독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사슬일 수 있는 소수성 서열 모두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7)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갖는 아미노플래스트 에테르 주쇄를 갖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친수성 서열에 의해 분리되는, 탄소수 C6∼C30인 둘 이상의 소수성 탄화수소 사슬을 함유하고, 탄화수소 사슬이 친수성 서열의 말단에서 매달린(pendent) 사슬이 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펜던트 사슬이 포함될 수 있다. 덧붙여, 중합체는 친수성 서열의 한쪽 말단 또는 양 말단에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폴리블록, 특히 트리블록 형이다. 소수성 서열은 사슬의 각 말단(예를 들면, 친수성 중앙 서열을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에 또는 사슬의 양 말단(예를 들면, 폴리블록 공중합체)에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일한 중합체는 또한 그래프트 단위형일 수 있거나, 또는 별-모양일 수 있다.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비이온성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친수성 서열이 50 내지 1000개의 옥시에틸렌화된 기를 함유하는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사슬인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다. 비이온성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명칭의 기원이된, 친수성 서열간의 우레탄 결합을 함유한다.
신장에 의해, 친수성 서열이 다른 화합결합에 의해 친유성 서열에 연결된 것들은 또한 비이온성 회합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중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비이온성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의 예로서, RHEOX사에 의해 시판되는 우레아 관능기를 갖는 Rheolate 205, 또는 택일적으로 Rheolate 208. 204, 또는 212 뿐만 아니라, RHOM & HAAS사의 Acrysol RM 184, Aculyn 44 및 Aculyn 46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CULYN 46은 150 또는 18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데실 알콜 및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SMDI) 의 중축합물이며 프로필렌 글리콜 (39%) 및 물 (26%) 중에 35 중량%로 있음].
또한, AKZO사의 C12∼C14의 알킬 사슬을 함유하는 ELFACOS T210 제품 및 C18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ELFACOS T212를 언급할 수 있다.
물 중 건조 물질 함량 20 %로 판매되는 C20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RHOM & HAAS의 DW 1206B 제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물 또는 수성-알콜 매질중의 이러한 중합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합체의 예로서, RHEOX사의 Rheolate 255, Rheolate 278 및 Rheolate 244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DW 1206F 및 DW 1206J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은 특히 문헌에 기재된 것들이다(G. Fonnum, J. Bakke 및 Fk. Hansen - Colloid Polym. Sci 271, 380, 389, 199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회합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4차화된 셀룰로오즈 유도체 및 아민함유 측기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4차화된 셀룰로오즈 유도체는 특히 하기이다:
- 탄소수 8 이상의 알킬, 아릴알킬 또는 알킬아릴기,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기로 개질된 4차화된 셀룰로오즈,
- 탄소수 8 이상의 알킬, 아릴알킬 또는 알킬아릴기,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지방사슬을 함유하는 기로 개질된 4차화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상기 4차화된 셀룰로오즈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에 의해 수반되는 알킬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30이다. 아릴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페닐, 벤질, 나프틸 또는 안트릴기를 나타낸다.
C8∼C30지방사슬을 포함하는 4차화된 알킬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의 예로서 AMERCHOL사의 제품 QUATRISOFT LM 200, QUATRISOFT LM-X 529-18-A, QUATRISOFT LM-X 529-18B(C12알킬) 및 QUATRISOFT LM-X 529-8(C18알킬) 및 CRODA 사의 제품 CRODACEL QM, CRODACEL QL (C12알킬), 및 CRODACEL QS (C18알킬)을 언급할 수 있다.
4차화된 또는 그외의 아민-함유 측기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스테아레트 20 형(폴리옥시에틸렌화된 (20) 스테아릴 알콜)의 소수성기를 갖는다.
측쇄를 포함하는 아민을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 NATIONAL STARCH사의 폴리머 8781-121B 또는 9492-103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색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지방 사슬을 갖는 증점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의 지방 사슬을 갖는 증점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염색 조성물의 총중량의 약 0.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성물에서, 염색 조성물(A) 및/또는 산화 조성물(B) 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직접 중합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양이온성 중합체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라는 표현은 양이온성 기 및/또는 양이온성 기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중합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모발의 화장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그 자체 이미 공지된 모든 중합체 (즉, 특히 특허출원 EP-A-0 337 354 및 프랑스 특허 FR-2,270,846, 2,383,660, 2,598,611, 2,470,596 및 2,519,863에 기술되어 있는 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중합체 주쇄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여기에 직접 결합된 측쇄 치환기가 보유할 수 있는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대략 500 내지 5 x 106, 바람직하게는 대략 103내지 3 x 106이다.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더욱 특히 폴리아민, 폴리아미노 아미드 및 4차 폴리암모늄형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공지된 제품이다. 이들은 특히 프랑스 특허 제2,505,348호 또는 동 제2,542,997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중합체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1) 하나 이상의 하기 식 (I), (Ⅱ), (Ⅲ) 또는 (Ⅳ)의 단위를 포함하며,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로부터 유래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상기 식 중,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또는 CH3라디칼을 나타내고;
A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탄소 원자수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의 직쇄 또는 분지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4, R5및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탄소 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벤질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X는 무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 예를 들어 메토술페이트 음이온 또는 할라이드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를 나타낸다.].
상기 패밀리 (1)의 공중합체는, 질소 상에서 저급 (C1-C4) 알킬,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비닐락탐 (예를 들어 비닐피롤리돈) 또는 비닐카프로락탐, 비닐 에스테르로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패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공단량체로부터 유래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밀리 (1)의 공중합체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 디메틸 술페이트 또는 디메틸 할라이드로 4차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Hercules사가 상표명 Hercofloc로 시판하는 제품);
- 예를 들어 특허 출원 EP-A-080 976에 기술되어 있으며, Ciba Geigy사가 상표명 Bina Quat P 100으로 시판하는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 Hercules사가 상표명 Reten으로 시판하는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토술페이트의 공중합체;
- 4차화 또는 비4차화 비닐피롤리돈/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ISP사가 상표명 "Gafquat"로 시판하는 제품 (예를 들어 "Gafquat 734" 또는 "Gafquat 755"), 또는 이와는 달리 "Copolymer 845, 958 및 937"로 알려진 제품). 상기 중합체는 프랑스 특허 제2 077 143호 및 동 제2 393 573호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비닐카프로락탐/비닐피롤리돈 3원중합체, 예를 들어 ISP사가 상표명 Gaffix VC 713으로 시판하는 제품;
- 특히 ISP사가 상표명 Styleze CC 10으로 시판하는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공중합체;
- 4차화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예를 들어 ISP사가 상표명 "Gafquat HS 100"으로 시판하는 제품.
(2) 프랑스 특허 제1,492,597호에 기술되어 있는 4차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테르 유도체, 특히 Union Carbide Corporation사가 상표명 "JR" (JR 400, JR 125 및 JR 30M) 또는 "LR" (LR 400 또는 LR 30M)으로 시판하는 중합체. 또한, 상기 중합체는 트리메틸암모늄기로 치환된 에폭시드와 반응시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의 4차 암모늄으로 CTFA 사전에 정의되어 있다.
(3) 특히 미국 특허 제4,131,576호에 기술되어 있는, 수용성 4차 암모늄 단량체와 그래프팅된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셀룰로스 공중합체와 같은 양이온성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특히 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또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염과 그래프팅된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예를 들어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상기 정의에 상응하는 시판 제품은 더욱 특별하게는 National Starch 사가 상표명 "Celquat L 200" 및 "Celquat H 100"으로 시판하는 제품이다.
(4) 더욱 특별하게는 미국 특허 3,589,578호 및 동 제4,031,307호에 기술되어 있는 양이온성 다당류, 예를 들어 양이온성 트리알킬암모늄기를 포함하는 구아 검. 예를 들어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염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로 개질된 구아 검이 사용된다.
이러한 제품은 Meyhall사가 상표명 Jaguar C13 S, 상표명 Jaguar C15, 상표명 Jaguar C17 또는 상표명 Jaguar C162로 시판한다.
(5) 임의로 산소, 황 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에 의해 개재되어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 라디칼과, 피페라지닐 단위로 구성된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의 산화 및/또는 4차화 생성물. 이러한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제2,162,025호 및 동 제2,280,361호에 기술되어 있다.
(6) 특히 산 화합물과 폴리아민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폴리아미노 아미드. 상기 폴리아미노 아미드는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시드, 디언히드라이드, 불포화 디언히드라이드, 2불포화 유도체, 비스할로히드린, 비스아제티디늄, 비스할로아실디아민, 알킬비스할라이드, 또는 비스할로히드린, 비스아제티디늄, 비스할로아실디아민, 알킬비스할라이드,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시드 또는 2불포화 유도체와 반응성이 있는 2관능성 화합물의 반응으로부터 생기는 올리고머와 가교결합될 수 있으며; 가교결합제는 폴리아미노 아미드의 아민 기 당 0.025 내지 0.35 몰 범위의 비율로 사용되고; 상기 폴리아미노 아미드는 알킬화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이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관능기를 포함할 경우, 4차화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제 2,252,840호 및 동 제2,368,508호에 기술되어 있다.
(7)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폴리카르복실산의 축합, 이어서 2관능화제를 사용한 알킬화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아미노 아미드 유도체. 그의 예로는 알킬 라디칼이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을 나타내는 아디프산/디알킬아미노히드록시알킬디알킬렌-트리아민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제1,583,363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유도체로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Sandoz사가 상표명 "Cartaretine F, F4 또는 F8"로 시판하는 아디프산/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중합체를 들 수 있다.
(8) 2개의 1차 아민기 및 하나 이상의 2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탄소 원자수 3 내지 8의 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디글리콜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카르복실산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중합체.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몰 비는 0.8:1 내지 1.4:1이며; 그로부터 생성된 폴리아미노 아미드는, 폴리아미노 아미드의 2차 아민기를 기준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몰 비 0.5:1 내지 1.8:1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다. 상기 중합체는 특히 미국 특허 3,227,615호 및 동 제2,961,347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형태의 중합체는 특히 Hercules Inc사가 상표명 "Hercosett 57"로, 또는 이와는 달리 아디프산/에폭시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공중합체의 경우, Hercules사가 상표명 "PD 170" 또는 "Delsette 101"로 시판한다.
(9) 사슬의 주 구성원으로서, 하기 화학식 Ⅴ는 Ⅵ 의 단위를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알킬디알릴아민 또는 디알킬디알릴암모늄의 시클로호모체:
[화학식 Ⅴ]
[화학식 Ⅵ]
[상기 식 중,
k 및 t는 0 또는 1이며, 합 k + t는 1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 내지 22의 알킬기, 알킬기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저급 (C1-C4)아미도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7및 R8이 그에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피페리디닐 또는 모르폴리닐과 같은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낼 수 있고;
R7및 R8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보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비술페이트, 비술파이트,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이다].
상기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제2,080,759호 및 추가 증명서 제2,190,406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정의된 중합체로는, 더욱 특별하게는 Calgon사가 상표명 "Merquat 100"으로 시판하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독중합체 (그의 저중량평균분자량의 상동체) 및 상표명 "Merquat 550"으로 시판하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10) 하기 화학식 Ⅶ 에 해당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4차 디암모늄 중합체:
[화학식 Ⅶ]
[상기 식 중,
R10, R11, R12및 R1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아릴지방족 라디칼 또는 저급 히드록시알킬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R10, R11, R12및 R13은 그에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질소 외에 제2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R10, R11, R12및 R13은 니트릴, 에스테르, 아실 또는 아미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 C1-C6알킬 라디칼, 또는 기 -CO-O-R14-D 또는 -CO-NH-R14-D기 (여기서, R14는 알킬렌이고, D는 4차 암모늄기임)를 나타내고;
A1및 B2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고 주쇄에 결합되거나 삽입된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 또는 하나 이상의 산소 또는 황 원자 또는 술폭시드, 술폰, 디술파이드, 아미노, 알킬아미노, 히드록실, 4차 암모늄, 우레이도,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기를 함유할 수 있는 C2-20의 폴리메틸렌 기를 나타낸다.
X-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래한 음이온을 나타낸다;
A1, R10및 R12는 부착된 2개의 질소 원자와 함께 피페라질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A1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 라디칼을 나타내고, B1는 기 - (CH2)n-CO-D-OC- (CH2)n- (여기서, D 는 하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a) 식 -O-Z-O- (여기서, Z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하기 식 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기를 나타낸다) 의 글리콜 잔기:
- (CH2-CH2-O)x-CH2-CH2-및 -[CH2-CH(CH3)-O]y-CH2-CH(CH3)- (여기서, x 및 y 는 한정되고 유일한 중합도를 나타내는 1 내지 4 의 정수, 또는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는 1 내지 4 중의 어떤 것을 나타낸다);
(b) 2개의 2차 디아민 잔기, 예컨대 피페라진 유도체;
(c) 식 -NH-Y-NH- (여기서, Y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2가 라디칼 -CH2-CH2-S-S-CH2-CH2-을 나타낸다) 의 2개의 1차 디아민 잔기;
(d) 식 -NH-CO-NH-의 우레일렌 기;
X-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예컨대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이다.
이들 중합체는 통상 1,000 내지 100,000 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중합체는 특히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2,320,330, 2,270,846, 2,316,271, 2,336,853 및 2,413,907, 및 미국 특허 2,273,780, 2,375,853, 2,388,614, 2,454,547, 3,206,462, 2,261,002, 2,271,378, 3,874,870, 4,001,432, 3,929,990, 3,966,904, 4,005,193, 4,025,617, 4,025,627, 4,025,653, 4,026,945 및 4,027,020.
특히 하기 식(Ⅷ) 에 상응하는 반복 단위체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Ⅷ]
(식 중,
R10, R11, R12및 R13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약 C1-4의 알킬 또는 히드록시알킬을 나타내고,
n 및 p 는 약 2 내지 20 의 정수이고,
X-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래한 음이온이다).
(11) 하기 식(Ⅸ) 의 반복 단위체로 이루어진 4차 폴리암모늄 중합체:
[화학식 Ⅸ]
(식 중,
p 는 약 1 내지 6 의 정수이고,
D 는 0 일 수 있거나 기 - (CH2)r-CO- (여기서, r 은 4 또는 7 이다) 를 나타내고,
X-는 음이온이다).
그와 같은 중합체는 미국 특허 No. 4,157,388, 4,702,906, 및 4,719,282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특허 출원 EP-A-122,324 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예를 들어 제품, "Mirapol A 15", "Mirapol AD1", "Mirapol AZ1" 및 "Mirapol 175" (Miranol Co.) 가 있다.
(12) 4차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이미다졸 중합체, 예컨대 제품, 상표명 LuⅥquat FC 905, FC 550 및 FC 370 (B.A.S.F. Co.).
(13) 폴리아미드, 예컨대 Polyquart H (Henkel), CTFA 사전의 "Polyethylene glycol (15) Tallow Polyamine" 참조.
(14) 메타크릴로일록시(C1-C4알킬)트리(C1-C4알킬)암모늄 염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예컨대 메틸 클로라이드로 4원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으로, 또는 아크릴아미드와, 메틸 클로라이드로 4원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으로 수득한 중합체; 단독중합 또는 공중합은 올레핀 불포화물을 함유하는 화합물, 특히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로의 가교결합이 뒤따른다. 더욱 특히, 광물성 오일 중 하기의 공중합체 50 중량%를 함유하는 분산물 형태로 가교결합된 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로일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중량비 20/80) 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물은 상표명 "SALCARE SC 92"(ALLIED COLLOIDS) 로 시판되고 있다. 광물성 오일 또는 액체 에스테르 중 단독중합체 50 중량% 정도를 함유하는 가교결합된 메타크릴로일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독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분산물은 상표명 "SALCARESC 92" 및 "SALCARE SC 96" (ALLIED COLLOIDS) 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양이온성 중합체는 폴리알킬렌이민, 특히 폴리에틸렌이민, 비닐피리딘 또는 비닐피리디늄 단위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폴리아민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축합물, 4차 폴리우레일렌 및 키틴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양이온성 중합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부류 (1), (9), (10), (11) 및 (14) 의 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식 (W) 및 (U) 의 반복 단위체를 갖는 중합체, 특히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된 분자량 9,500 내지 9,900 의 중합체 및 분자량 약 1,200 의 중합체를 사용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양이온성 중합체 농도는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이다.
양쪽성 중합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양쪽성 중합체는 중합체 사슬에 통계학적으로 분포된 단위체 K 및 M 을 함유하는 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데, K 는 하나이상의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를 나타내고, M 은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기를 함유하는 산성 단량체로부터 유래하는 단위체를 함유하거나, K 및 M 은 카르복시베타인 또는 술포베타인의 쯔비터이온성 단량체로부터 유래하는 기를 나타내고;
또한, K 및 M 은 1차, 2차, 3차 또는 4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중합체 사슬 (여기서, 하나 기의 하나 이상은 탄화수소 라디칼을 통해 결합된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기를 가지고 있음) 를 나타내거나, K 및 M 은 α, β-디카르복실 에틸렌 단위체 (여기서, 카르복실 기 중의 하나는 하나 이상의 1차 또는 2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민과 반응한다) 를 갖는 중합체의 사슬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의 정의에 상응하는 양쪽성 중합체는 하기의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1)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과 같은 카르복실 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와,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염기성 원자를 갖는 치환된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염기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부터 수득한 중합체. 상기의 화합물은 미국 특허 No. 3,836,537 에 기재되어 있다. 상표명 POLYQUART 3033 (HENKEL Co.) 로 시판되고 있는 소듐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비닐 화합물은 디알-디알릴암모늄 염, 예컨대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아크릴 단량체와 후자의 공중합체는 상표명 MERQUAT 280,MERQUAT 295 및 MERQUAT PLUS 3330 (CALGON Co.)로 제공된다.
(2) 하기로부터 유래하는 단위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a) 알킬 라디칼에 의해 질소 상에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
b) 하나 이상의 반응성 카르복실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산성 공단량체, 및
c) 하나 이상의 염기성 공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1차, 2차, 3차 및 4차 아민 치환체를 갖는 에스테르, 및 디메틸 또는 디에틸 술페이트를 갖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4차화 생성물.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N-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는 알킬 라디칼이 C2-12를 갖는 기, 특히 N-에틸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N-tert-옥틸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N-데실아크릴아미드, N-도데실아크릴아미드, 및 이에 상응하는 메타크릴아미드이다.
산성 공단량체는 특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멜레산 및 푸마르산 및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 무수물 또는 산의 C1-4의 알킬 모노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염기성 공단량체는 아미노에틸, 부틸아미노에틸, N,N'-디메틸아미노에틸, N-tert-부틸아미노에틸의 메타크릴레이트이다.
특히 CTFA 명 (제4판, 1991) 이 하기인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컨대 상표명 AMPHOMER 또는 LOVOCRYL 47 (NATIONAL STARCH Co.) 으로 시판되는 제품.
(3) 하기 화학식의 폴리아미노아미드로부터 유도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알킬화 및 가교결합된 폴리아미노아미드:
[화학식 X]
[식 중, R19는 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성 지방족 산, 상기 산의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칸올의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이가 라디칼 또는, 비스-일차 또는 비스-이차 아민을 갖는 상기 산 중 어느 하나의 첨가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Z 는 비스-일차, 모노-또는 비스-이차 폴리알킬렌-폴리아민, 바람직하게는 하기를 나타내는 라디칼을 나타낸다:
a) 60 내지 100 몰 % 의 비로, 하기의 라디칼
[화학식 XI]
(식 중, x = 2, p = 2 또는 3 이고, 선택적으로 x = 3, p = 2 이고, 상기 라디칼은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또는 디프로필렌트리아민임);
b) 0 내지 40 몰 % 의 비로, 식 중, x = 2, p = 1 이고,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라디칼 (XI), 또는 하기의 피페라진으로부터 유도된 라디칼:
c) 0 내지 20 몰 % 의 비로,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라디칼 -NH- (CH2)6-NH-로서, 상기 폴리아미노아민이 폴리아미노아민의 아민기 당 0.025 내지 0.35 몰의 가교결합제에 의해,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시드, 디안히드리드, 비스-불포화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이관능부성 가교결합제를 첨가함으로써 가교결합되고, 아크릴산, 클로로아세트산 또는 알칸술톤 또는 그것들의 염의 작용에 의해 알킬화된 라디칼].
포화 카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산, 예컨대 아디프산, 2,2,4-트리메틸아디프산, 2,4,4-트리메틸아디프산, 테레프탈산, 에틸렌 이중결합을 가진 산, 예컨대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및 이타콘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알킬화에 사용되는 알칸술톤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판 또는 부탄술톤이고, 알킬화제의 염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염이다.
4) 하기 화학식의 쯔비터이온 단위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화학식 XⅡ]
(식 중, R20은 중합가능 불포화기, 예컨대 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기를 나타내고, y 및 z 는 1 내지 3 의 정수를 나타내고, R21및 R22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을 나타내고, R23및 R24는 수소 원자 또는 R23및 R24중 탄소 원자의 합이 10 이하이도록 하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단위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틸 또는 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비-쯔비터이온성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메틸 디메틸카르복시메틸암모니오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예컨대 SANDOZ 사에 의해 상품명 DIAFORMER Z301 로 시판되는 상품을 들 수 있다.
(5) 하기 화학식 XⅢ, XⅣ, XV 에 상응하는 단량체성 단위체를 포함하는 키토산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화학식 XⅢ]
[화학식 XⅣ]
[화학식 XV]
[XⅢ 단위체는 0 내지 30 % 의 비로 존재하고, XⅣ 단위체는 5 내지 50 % 의 비로 존재하고, F 단위체는 30 내지 90 % 의 비로 존재하고, 상기 XV 단위체에서, R25는 하기 화학식의 라디칼을 나타낸다:
(식 중, q = 0 인 경우, R26, R27및 R2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은 수소 원자, 메틸, 히드록실, 아세톡시 또는 아미노 잔기,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로 임의 차단되고/되거나, 하나 이상의 아민, 히드록실, 카르복실, 알킬티오 또는 술폰기로 임의 치환된 모노알킬아민 잔기 또는 디알킬아민 잔기를 나타내고, 이 중 알킬기는 아미노 잔기를 운반하고, R26, R27및 R28라디칼 중 하나 이상은 이러한 경우, 수소 원자이거나;
q = 1 인 경우, R26, R27및 R28각각은 수소 원자 뿐만 아니라, 염기 또는 산을 가진 상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염을 나타낸다)].
(6) JAN DEKKER 사에 의해 상품명 "EVALSAN" 으로 시판되는 N-카르복시메틸 키토산 또는 N-카르복시부틸 키토산과 같은 키토산의 N-카르복시알킬화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
(7) 예컨대 프랑스 특허 제 1,400,366 호에 기재된 하기 화학식 XⅥ 에 상응하는 중합체:
[화학식 XⅥ]
[식 중, R29는 수소 원자, CH3O, CH3CH2O 또는 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30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R31은 수소또는 저급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R32는 저급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또는 에틸, 또는 화학식, -R33-N(R31)2(식 중, R33은 -CH2-CH2-, -CH2-CH2-CH2-또는 -CH2-CH(CH3)-기를 나타내고, R31은 상기 언급된 의미를 가짐) 에 상응하는 라디칼 뿐만 아니라, 상기 라디칼의 고급 동족체를 나타내고 6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함):
(8)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D-X-D-X-형의 양쪽성 중합체:
a)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대한 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또는 클로로아세트산의 작용에 의해 수득되는 중합체:
[화학식 XⅦ]
-D-X-D-X-D- (XⅦ)
(식 중, D 는 라디칼를 나타내고,
X 는 기호 E 또는 E' 을 나타내고, E 또는 E'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히드록실기로 비치환 또는 치환된 주요 사슬에 7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렌 라디칼이며,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 1 내지 3 개의 방향족 및/또는 복소환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이가 라디칼을 나타내고; 산소, 질소 및 황 원자는 에테르, 티오에테르, 술폭시드, 술폰, 술포늄, 알킬아민 또는 알케닐아민기, 또는 히드록실, 벤질아민, 산화아민, 사차 아민, 아미드, 이미드, 알코올, 에스테르 및/또는 우레탄기임).
b) 하기 화학식의 중합체:
[화학식 XVⅢ]
-D-X-D-X- (XVⅢ)
(식 중, D 는 라디칼를 나타내고,
X 는 기호 E 또는 E' 을 나타내며, 하나 이상이 E' 이고; E 는 상기 지시된 의미를 갖고, E' 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라디칼로 비치환 또는 치환된 주요 사슬에서 7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갖는 알킬렌 라디칼인 이가 라디칼이고, 질소 원자는 산소 원자에 의해 임의 차단된 알킬 사슬로 치환되고, 필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 관능기 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관능기를 포함하고, 클로로아세트산 또는 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과의 반응에 의해 베타인화됨).
(9) N,N-디알킬아미노알킬아민, 예컨대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을 사용한 반아미드화 또는 N,N-디알칸올아민을 사용한 반에스테르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형된 공중합체 (C1-C5) 알킬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이 공중합체는 기타 비닐 공단량체, 예컨대 비닐카프로락탐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중합체는 계열 (1) 의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쪽성 중합체(들)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중량 % 내지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 내지 5 중량 %,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 내지 3 중량 % 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조성물에서, 염색 조성물 (A) 및/또는 산화 조성물 (B) 는 하나 이상의 추가 계면활성제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계면활성제
이들은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특히 하기와 같다:
(i)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게면 활성제의 예로서, 하기 화합물의 특정 (비제한 목록) 염 (특히 알칼리 금속, 특히 나트륨 염, 암모늄 염, 아민 염, 아미노 알코올 염 또는 마그네슘 염) 을 들 수 있다: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미도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릴폴리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아미드술포네이트, 알킬 아릴 술포네이트, α-올레핀술포네이트, 파라핀술포네이트; (C6-C24)알킬 술포숙시네이트, (C6-C24)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C6-C24)알킬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C6-C24)알킬 술포아세테이트; (C6-C24)아실 사르코시네이트 및 (C6-C24)아실 글루타메이트. (C6-C24)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컨대 알킬 글루코시드 시트레이트,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타르트레이트 및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나메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및 N-아실타우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상기 모든 다양한 화합물의 알킬 또는 아실 라디칼은 바람기하게는 12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아릴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지방산의 염, 예컨대 올레산, 리시놀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코프라 오일 또는 수소첨가된 코프라 오일의 산의 염; 아실 라디칼이 8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아실락틸레이트도 들 수 있다. 알킬 D-갈락토시드 유론산 및 그것의 염, 폴리옥시알킬렌화된 (C6-C24)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 폴리옥시알킬렌화된 (C6-C24)알킬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 폴리옥시알킬렌화된 (C6-C24)알킬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그것들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특히 이들은 2 내지 50 알킬렌, 특히 에틸렌, 옥시드기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자체가 또한 그 자체로 잘 알려진 (이점과 관련하여, 특히 "Handbook of Surfactants", M.R, Porter, Blackie & Son (Glasgow and London) 출판, 1991, pp. 116-178 참조) 화합물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그 성질은 어떠한 중요한 특성도 가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특히 (비제한 목록) 예컨대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사슬을 갖는 폴리에톡실화된 또는 폴리프로폭실화된 알킬페놀, 알파-디올 또는 알코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산화에틸렌 또는 산화프로필렌기의 수가 특히 2 내지 50 의 범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에틸렌 또는 산화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지방족 알코올과 산화에틸렌및 산화프로필렌의 축합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몰의 산화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톡실화된 지방족 아미드, 평균 1 내지 5 개, 특히 1.5 내지 4 개의 글리세롤기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롤화된 지방족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몰의 산화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톡실화된 지방족 아민; 2 내지 30 몰의 산화에틸렌을 포함하는 소르비탄의 옥시에틸렌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N-알킬글루카민 유도체, 산화아민, 예컨대 (C10-C14)-알킬아민의 산화물 또는 N-아실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가 특히 본 발명에 특히 매우 적절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구성하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ⅲ)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 활성제(들):
그 성질이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 아닌,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특히 (비제한 목록) 지방족 라디칼이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수-용해성 음이온성기 (예컨대 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 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인, 지방족 이차 또는 삼차 아민의 유도체일 수 있고; (C8-C20)알킬베타인, 술포베타인, (C8-C20)알킬아미도(C1-C6)알킬베타인 또는 (C8-C20)알킬아미도(C1-C6)알킬술포베타인을 더 들 수 있다.
아민 유도체 중, 각각 하기 구조를 갖는 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암포카르복시프로피오네이트의 이름으로, 특허 US-2,528,378 및 US-2,781,354 에 기재되고, [CTFA 사전, 제 3 개정, 1982] 에 분류된, 상품명 MIRANOL 로 시판되는 상품을 들 수 있다:
R34-CONHCH2CH2-N(R35)(R36)(CH2COO-)
(식 중,
R34는 가수분해된 코프라 오일에 존재하는 R34-COOH 산의 알킬 라디칼, 헵틸, 노닐 또는 운데실 라디칼을 나타내고, R35는 베타-히드록시에틸기, R36은 카르복시메틸기를 나타낸다);
R34'-CONHCH2CH2-N(B)(C)
(식 중,
B 는 -CH2CH2OX' 을 나타내고, C 는 - (CH2)z-Y' (식 중, z = 1 또는 2) 를 나타내고,
X' 은 -CH2CH2-COOH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Y' 은 -COOH 또는 -CH2-CHOH-SO3H 를 나타내고,
R34' 은 코프라 오일 또는 가수분해된 아마인 오일에 존재하는 R37-COOH 산의 알킬 라디칼, 알킬 라디칼, 특히 C7, C9, C11또는 C13, C17알킬 라디칼 및 그것의 이소형 또는 불포화 C17라디칼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은 [CTFA 사전, 제 5 개정, 1993] 에서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카프릴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카프릴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카프릴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카프릴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온산, 코코암포디프로피온산의 이름으로 분류된다.
예로서, RHODIA CHIMIE 사에 의해 상품명 MIRANOL C2M 으로 시판되는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ⅳ)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특히 (비제한 목록): 임의 폴리옥시알킬렌화된 일차, 이차 또는 삼차 아민염; 사차 암모늄염, 예컨대 테트라알킬암모늄, 알킬아미도알킬트리알킬암모늄, 트리알킬벤질암모늄, 트리알킬히드록시알킬암모늄 또는 알킬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이미다졸린 유도체 또는 양이온성 성질의 산화아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이용가능한 조성물에서, 염색 조성물 (A) 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하는 계면 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 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이용가능한 조성물은 또한, 염색 조성물 (A) 및/또는 산화 조성물 (B) 내에, 기타 유동-조정제, 예컨대 셀룰로오스 증점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세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세룰로오스 등), 구아검 및 그것의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구아 등), 미생물 기원의 검 (잔탄검, 스클레로글루칸검 등), 합성 증점제,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의 가교결합된 동종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증점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 % 에 해당할 수 있다.
조성물에 대한 적절한 염색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하는 수성 매질이고, 유리하게는 더욱 특히 알코올, 예컨대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 글리콜 또는 글리콜 에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의 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그것의 에테르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그릴콜, 디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메틸 에테르 뿐만 아니라 디에틸렌 글리콜의 알킬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에틸 에테르 또는 모노부틸 에테르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5 내지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0 중량 % 로 포함하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산화 염색에 미리 더욱 알려진 유효량의 기타 제제, 예컨대 다양한 통상의 보조제, 예컨대 봉쇄제, 예컨대 EDTA 및 에티드론산, UV-차단제, 왁스, 고리형 또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 유기변형된 (특히 아민기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그렇지 않으면, 보존제, 세라미드, 슈도세라미드, 식물성, 미네랄 또는 합성 오일, 비타민 또는 프로비타민, 예컨대 판테놀, 불투명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환원제 또는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아황산나트륨, 티오글리콜산, 티오락트산, 아황산수소나트륨, 데히드로아스코르브산, 히드로퀴논, 2-메틸히드로퀴논, tert-부틸히드로퀴논 및 호모겐티스산으로부터 선택되고, 통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05 내지 1.5 중량 % 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20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방족 알코올은 순수 형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도입된다. 그 중, 더욱 특히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또는 올레일 알코올 및 그것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이 부가 지방족 알코올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001 내지 20 중량 % 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가능한 부가 화합물(들)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즉시 이용가능한 조성물이 고유하게 갖는 유리한 성질이, 부가된 첨가(들)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산화 조성물 (B) 에서, 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알칼리 금속 브로메이트 또는 페리시아니드, 과염, 예컨대 퍼보레이트 및 퍼술페이트로부터 선택된다. 과산화수소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는 유리하게는 그 적정량이 더욱 특히 약 1 내지 40 부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40 에서 변화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의 용액을 포함한다.
적절한 경우, 그 각각의 공여자 또는 공통 인자의 존재 하에, 산화제로서, 하나 이상의 산화-환원 효소, 예컨대 락카아제, 퍼옥시다아제 및 2 개의 전자를 포함하는 옥시도리덕타아제 (예컨대, 우리카아제)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색 조성물 (A) 또는 케라틴 섬유에 적용되는 즉시 이용가능한 조성물 [염색 조성물 (A) 및 산화 조성울 (B) 의 혼합물로부터 생성되는 조성물] 의 pH 는, 통상 4 내지 12 의 값이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1 이고, 케라틴 섬유를 염색하기 위한 분야에 잘 알려진 산성화제 또는 알칼리화제로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알칼리화제 중, 예로서, 수성 암모니아,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알칸올아민, 예컨대 모노-, 디-및 트리에탄올아민 및 그것들의 유도체, 옥시에틸렌화된 및/또는 옥시프로필렌화된 에틸렌디아민 및 히드록시알킬아민,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및 하기 화학식 XIX 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XIX]
(식 중,
R 은 C1-C4알킬 라디칼 또는 히드록실기로 임의 치환된 프로필렌 잔기이고; R38, R39, R40및 R41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C1-C4알킬 또는 C1-C4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산성화제는 예로서, 통상 무기 또는 유기산, 예컨대 염산, 오르토인산, 카르복실산, 예컨대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락트산 또는 술폰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조성물 (A) 및 (B) 로부터 사용시에 신선하게 제조되는 즉시 이용가능한 조성물을 건조 또는 습윤 케라틴 섬유에 적용하고, 그것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6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45 분의 노출 시간 동안 작용하도록 하고, 섬유를 린스하고, 선택적으로는 샴푸로 그것을 세척한 후, 다시 린스하고,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례는 하기에 나와 있으나, 제한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산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지방족 알코올 2.3 g
옥시에틸렌화된 지방족 알코올 0.6 g
지방족 아미드 0.9 g
글리세린 0.5 g
과산화수소 7.5 g
향료 적당량
탈염수 합량 100 g
염색 조성물:(g 으로 표시됨)
C18내지 C24직쇄 알코올의 혼합물[C18/C20/C22/C24, 7/58/30/6, 알코올 함량 > 95 %] (NAFOL 20-22) 3
옥시에틸렌화된 C18내지 C24직쇄 알코올의 혼합물[C18/C20/C22/C24, 7/58/30/6, 알코올 함량 > 95 %]30 EO (NAFOLOX 20-22 30EO) 1.35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2
프로필렌 글리콜 5
코프라산의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2
ROHM & HAAS 사에 의해 시판되는 Aculyn 44 1.4 AS*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0.6
화학식 W 의 양이온성 중합체 3 AS*
CALGON 사에 의해 시판되는 Merquat 100 0.4 AS*
환원제 0.7
봉쇄제 0.2
1,3-디히드록시벤젠 (레소르시놀) 0.6
1,4-디아미노벤젠 0.5
1-히드록시-3-아미노벤젠 0.1
1-히드록시-2-아미노벤젠 0.05
1-히드록시-4-아미노벤젠 0.09
6-히드록시벤조몰핀 0.017
1-β-히드록시에틸옥시-2,4-디아미노벤젠, 디히드로클로라이드 0.039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5
순수 모노에탄올아민 1.06
수성 암모니아 (20.5 % 암모니아 함유) 11.1
합량 100
AS* = 활성 물질
사용시에, 염색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서 2 분 동안 상기 주어진 산화 조성물과, 산화 조성물 1.5 부 당 염색 조성물 1 부의 양으로 혼합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90 % 흰색인 천연 회색 모발단에 적용하고, 30 분 동안 작용하도록 하였다.
그 후, 모발단을 물로 린스하고, 샴푸로 세척하고, 다시 물로 린스한 후, 건조시키고, 풀어놓았다.
그 후, 모발을 강한 밝은 밤갈색 색조로 염색하였다.
본 발명의 즉석 산화 염색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 염료(들)을 함유하는 염색 조성물에 하기의 배합물을 도입한다면 모발에 우수한 화장성을 제공하면서도, 흐르지 않고, 케라틴성 섬유에 쉽게 적용되고, 또한 화학 물질 (삼푸, 퍼머) 또는 천연 물질 (빛, 땀)에 대한 낮은 선택도와 강한 고착력과 함께 강한(밝은) 색조를 얻을 수 있는 즉석 산화 염색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1)

  1. 적합한 매질에 하나 이상의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케라틴성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를 함유하는 배합물을 중량비 [(III)/(I) + (II)+(IV)] 1 이하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I)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 임의의,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III) HLB 5초과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IV) 임의의, HLB 5 이하의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화 계면활성제.
  2. 제 1 항에 있어서,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이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에루실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이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에루실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방 알코올이 베헤닐 알코올 또는 에루실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알코올이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30 % 를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20초과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20이하의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2내지 2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2 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알킬페놀,
    - EO/PO 축합물 (PO/EO 비는 0.71 초과이다),
    - 5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식물성 오일,
    - 2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
    - 지방산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스테르, 및
    - 지방산과 소르비톨의 폴리옥시에틸렌화 에스테르.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0.1 내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2 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알킬페놀,
    - EO/PO 축합물 (PO/EO 비는 0.71 초과이다),
    - 5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식물성 오일, 및
    - 2몰 이하의 EO 를 갖는 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0 내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 염료가 산화 염기 및 커플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산화 염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산화 염기가 오르토- 또는 파라-페닐렌디아민, 이중 염기, 오르토- 또는 파라-아미노페놀 및 헤테로고리형 염기, 및 산을 갖는 이들 화합물의 부가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파라-페닐렌디아민이 하기의 구조식 (I) 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I]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원자, C1-C4알킬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라디칼,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라디칼, (C1-C4)알콕시(C1-C4)알킬 라디칼, 질소 함유기로 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 페닐 라디칼 또는 4'-아미노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C1-C4알킬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라디칼,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라디칼, (C1-C4)알콕시(C1-C4)알킬 라디칼, 또는 질소 함유기로 치환된 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또한, R1및 R2는 그를 보유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알킬, 히드록실 또는 우레이도기로 임의 치환되는 5- 또는 6-원의 질소 함유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3는 수소 원자, 염소 원자와 같은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라디칼, 술포 라디칼, 카르복실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라디칼, 히드록시(C1-C4알콕시) 라디칼, 아세틸아미노(C1-C4알콕시) 라디칼, 메실아미노(C1-C4알콕시) 라디칼 또는 카르바모일아미노(C1-C4알콕시) 라디칼을 나타내며;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이중 염기는 하기 구조식 (Ⅱ) 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Ⅱ]
    (상기 식 중,
    - Z1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4알킬 라디칼 또는 결합절 Y 로 치환될 수 있는 히드록실 또는 -NH2라디칼을 나타내고;
    - 결합절 Y 는 하나 이상의 질소 함유 기 및/또는 산소, 황 또는 질소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개재되거나, 이들이 그의 말단이 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또는 C1-C6알콕시 라디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4의 직쇄 또는 분지 알킬렌 사슬을 나타내고;
    - R5및 R6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라디칼,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라디칼,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라디칼, 아미노(C1-C4알킬) 라디칼 또는 결합절 Y 를 나타내며;
    - R7, R8, R9, R10, R11및 R1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결합절 Y 또는 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Ⅱ 의 화합물은 분자 당 단 하나의 결합절 Y 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질소-함유기가 아미노, 모노(C1-C4)알킬아미노, (C1-C4)디알킬아미노, (C1-C4)트리알킬아미노, 모노히드록시(C1-C4)알킬아미노, 이미다졸리늄 또는 암모늄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4 항에 있어서, 파라-아미노페놀이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III]
    [상기 식 중,
    R13은 수소 원자, 불소와 같은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C1-C4)알콕시(C1-C4)알킬 또는 아미노(C1-C4알킬), 또는 히드록시(C1-C4)알킬아미노(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14는 수소 원자, 불소와 같은 할로겐 원자, C1-C4알킬, 모노히드록시(C1-C4알킬), 폴리히드록시(C2-C4알킬), 아미노(C1-C4알킬), 시아노(C1-C4알킬) 또는(C1-C4)알콕시(C1-C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19. 제 14 항에 있어서, 헤테로시클릭 염기가 피리딘 유도체, 피라졸로피리미딘을 포함하는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피라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2 항에 있어서, 산화 염기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5 내지 12 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 12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메타-페닐렌디아민, 메타-아미노페놀, 메타-디페놀, 헤테로시클릭 커플링제 또는 이들 화합물의 산 부가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 12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 14 항에 있어서, 산화 염기 및 커플링제의 산 부가염이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또는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직접 염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갖는 하나 이상의 증점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갖는 하나 이상의 증점 중합체가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증점 증합체가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위체, 및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알릴 에테르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 27 항에 있어서, 친수성 단위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음이온성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 27 항에 있어서, 지방사슬을 포함하는 알릴 에테르 단위체는 하기 식 (Ⅰ)의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CH2=C(R')CH2OBnR (Ⅰ)
    [식 중, R' 는 H 또는 CH3를 나타내며, B 는 에틸렌옥시 라디칼을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내지 100 의 정수이고, R 은 8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4,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아릴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시클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30.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증점 중합체는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위체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C10-C30)알킬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소수성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 30 항에 있어서,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친수성 단위체가 하기 식 (Ⅱ) 를 갖는 단량체이고,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C10∼C30)알킬 에스테르의 소수성 단위체가 하기 식 (Ⅲ) 을 갖는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Ⅱ)
    [식 중, R1은 H 또는 CH3또는 C2H5를 나타낸다], 및
    (Ⅲ)
    [식 중, R2는 H 또는 CH3또는 C2H5이며, R3는 C10∼C30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32.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증점 중합체가 말레산 무수물/C30-C38의 α- 올레핀/알킬 말레에이트의 3원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증점 중합체가 하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3원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α, 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갖는 카르복실산,
    (b) (a)와 상이한 α, 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갖는 비계면활성 단량체,
    (c)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와 1가의 계면활성제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모노우레탄.
  34.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증점 중합체가 α, β-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카르복실산과, 카르복실산과 α, 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와 옥시알킬렌성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5.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증점 중합체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기에 의해 개질된 셀룰로오즈;
    (2) 하나 이상의 C10-30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기로 개질된 히드록시프로필구아;
    (3) 사슬에, 지방족 사슬, 지환족 사슬 및 방향족 사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화 본성의 친수성 배열과 소수성 배열 모두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4) 지방 사슬을 갖는 소수성 단량체 및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5) C1-C6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와 양쪽성 단량체 (이는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함) 의 공중합체;
    (6) 친수성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와 소수성 단량체 (이는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함) 의 공중합체;
    (7)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갖는 아미노플래스트 에테르 주쇄를 갖는 중합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친수성 배열에 의해 분리된 C6-30의 둘 이상의 친지방성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사슬은 친수성 배열의 말단에 매달린 사슬 또는 사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7. 제 35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이 폴리블록 배열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8. 제 26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증점 중합체가 4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비고리형 아민 함유 측면 기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9. 제 25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증점 중합체(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01 내지 10 % 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중량의 0.05 내지 3 중량% 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환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조성물 (A) 및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B)의 혼합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즉석 조성물.
  42. 제 41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과산화수소, 우레아 퍼옥시드, 알칼리 금속 브로메이트 또는 페리시아나이드, 과염, 또는 필요할 경우 각각의 공여체 또는 보조인자의 존재 하에 락카아제, 퍼옥시다제 및 2개의 전자를 포함하는 옥시도리덕타제와 같은 산화-환원 효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3. 제 42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과산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4. 제 43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그의 적정량이 1 내지 40 부피에서 변하는 과산화수소의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 내지 12 범위의 pH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6. 제 41 항에 있어서, 조성물 (A) 및/또는 조성물 (B)가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7. 제 46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하기 식 (W)에 상응하는 반복 단위로 구성된 4차 폴리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8. 제 46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하기 식 (U)에 상응하는 반복 단위로 구성된 4차 폴리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9. 제 46 항에 있어서, 양쪽성 중합체가 단량체로서 하나 이상의 아크릴산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의 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0. 제 46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들)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1. 제 41 항에 있어서, 조성물 (A) 및/또는 조성물 (B)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2. 제 5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0.01 내지 4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3. 제 41 항에 있어서, 조성물 (A) 및/또는 조성물 (B)가 셀룰로스 유도체, 구아 유도체, 미생물 유래의 고무, 지방 사슬을 포함하지 않는 합성 증점제로부터 선택되는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4. 제 53 항에 있어서, 증점제(들)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염색 조성물 (A)를 케라틴 섬유에 적용하고, 조성물 (A)의 사용시에 첨가되거나 중간 헹굼 없이 연속적으로 적용되는 제36항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B)의 도움으로 알칼리성, 중성 또는 산성 매질에서 색채를 발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염색 방법.
  56. 2개 이상의 구획을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조성물 (A)를 포함하고, 다른 것은 적합한 매질에 산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의 다구획 장치 또는 "키트".
  57. 제 1 항, 제 41 항,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케라틴성 섬유가 인간의 모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8. 제 6 항에 있어서, C20초과의 지방 알코올(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05 내지 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9. 제 58 항에 있어서, C20초과의 지방 알코올(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0. 제 9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0.5 내지 2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1. 제 60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1 내지 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2. 제 11 항에 있어서,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0 내지 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3. 제 28 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음이온성 단량체가 비닐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4. 제 29 항에 있어서, 식 (I) 의 R 이 C10-24의 알킬, 아릴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시클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5. 제 64 항에 있어서, 식 (I) 의 R 이 C12-18의 알킬, 아릴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시클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6. 제 31 항에 있어서, 식 (III) 의 R3가 C12-22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7. 제 37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이 블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8. 제 39 항에 있어서, 지방 사슬을 함유하는 증점 중합체(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1 내지 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9. 제 50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05 내지 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0. 제 69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들)이 조성물의 총중량의 0.1 내지 3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1. 제 5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의 총중량의 0.1 내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0-0087155A 1999-12-30 2000-12-30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콜 및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KR100416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6760 1999-12-30
FR9916760A FR2803196B1 (fr) 1999-12-30 1999-12-30 Composition pour la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lcool gras ayant plus de vingt atomes de carbone et un tensioactif non-ionique oxyalkylene de hlb superieure a 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54A true KR20010062854A (ko) 2001-07-07
KR100416827B1 KR100416827B1 (ko) 2004-02-05

Family

ID=955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155A KR100416827B1 (ko) 1999-12-30 2000-12-30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콜 및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695887B2 (ko)
EP (1) EP1142557B2 (ko)
JP (1) JP2001206829A (ko)
KR (1) KR100416827B1 (ko)
CN (1) CN1308931B (ko)
AR (1) AR027910A1 (ko)
AT (1) ATE410205T1 (ko)
AU (1) AU749404B2 (ko)
BR (1) BR0006584B1 (ko)
CA (1) CA2330335A1 (ko)
DE (1) DE60040455D1 (ko)
ES (1) ES2313876T5 (ko)
FR (1) FR2803196B1 (ko)
PL (1) PL344850A1 (ko)
PT (1) PT1142557E (ko)
RU (1) RU220783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861B1 (en) * 2000-03-24 2005-01-11 Networks Associates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iruses on handheld computers
JP4870883B2 (ja) * 2001-08-06 2012-02-08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
JP4612249B2 (ja) * 2001-08-10 2011-01-12 ホーユー株式会社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組成物及び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
FR2833837B1 (fr) * 2001-12-21 2005-08-05 Oreal Composition pour la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mide d'acide gras de colza oxyethylene
DE60303752T2 (de) * 2002-09-30 2006-09-21 Rohm And Haas Co. Verdickungsmittel für wässerige Systeme mit einem hohen Gehalt an grenzflächenaktiven Mitteln
DE102004005769A1 (de) * 2004-02-05 2005-08-25 Wella Ag Färbemittel mit Perlglanz für Keratinfasern
DE102004005767A1 (de) * 2004-02-05 2005-09-01 Wella Ag Färbemittel für Keratinfasern mit Perlglanz
JP2006076914A (ja) * 2004-09-09 2006-03-23 Kao Corp 染毛用又は脱色用第1剤組成物
BRPI0518802A2 (pt) * 2004-12-02 2008-12-09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para tingimento e descoloraÇço de cabelos espessadas com polÍmero
JP4515308B2 (ja) * 2005-03-31 2010-07-2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処理剤用組成物
US20070134191A1 (en) * 2005-12-14 2007-06-14 L'oreal Hair sty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ionic amphiphilic polymer in combination with styling polymers and emulsifying agents
FR2895241B1 (fr) * 2005-12-22 2008-07-04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pour fibres keratiniques avec un colorant direct cationique tetraazapenta-methinique et un agent tensio-actif non-ionique
WO2007071683A1 (en) * 2005-12-22 2007-06-28 L'oréal Composition for dyeing keratin fibres with a tetraazapentamethine cationic direct dye and a nonionic surfactant
CN100415984C (zh) * 2006-03-14 2008-09-03 苏州润宝化学品有限公司 一种瓜尔胶真丝印花糊料及其制备方法
US20080131391A1 (en) * 2006-12-01 2008-06-05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a quaternary ammonium polymer, a fatty quaternary agent and a nonionic surfactant
FR2923388B1 (fr) 2007-11-09 2009-11-27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cellulose a substituants hydrophobes, un colorant d'oxydation et un alcool gras a chaine longue
FR2923382B1 (fr) 2007-11-09 2012-08-03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derive de cellulose modifie, un amide et/ou ester d'acide gras et des colorants d'oxydation, procede de teinture et utilisation
FR2925307B1 (fr) 2007-12-21 2009-12-18 Oreal Procede de coloration directe eclaircissante ou d'oxydation en presence d'une amine organique particuliere et dispositif
FR2925323B1 (fr) 2007-12-21 2009-12-18 Oreal Procede de coloration en presence d'un agent oxydant et d'une amine organique particuliere et dispositif
FR2925311B1 (fr) 2007-12-21 2009-12-18 Oreal Procede d'eclaircissement de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et une amine organique particuliere et dispositif approprie
EP2242456A2 (en) * 2007-12-31 2010-10-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ifurcation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s
US8118882B2 (en) * 2008-01-17 2012-02-21 Basf Se Polymeric hair dyes
DE102008061857A1 (de) * 2008-10-22 2010-04-29 Henkel Ag & Co. Kgaa Färbemittel auf Basis von CH-aciden Verbindungen
EP2198843B1 (fr) 2008-12-19 2017-09-13 L'Oréal Eclaircissement de fibres kératiniques humain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melange monoethanolamine / acide amine basique et dispositif
FR2940092B1 (fr) *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amide ou ester
FR2940055B1 (fr) 2008-12-19 2015-03-27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le para-aminophenol, du dipropyleneglycol, et un precurseur de colorant additionnel.
EP2198831B1 (fr) 2008-12-19 2017-05-10 L'Oréal Procédé d'éclaircissement ou de coloration directe éclaircissante ou d'oxydation en présence d'une amine organique et d'une base minérale et dispositif approprié
BRPI0907287B1 (pt) 2008-12-19 2018-01-02 L'oréal "processo de clareamento ou de coloração das fibras queratínicas e dispositivo com vários comportamentos"
FR2940067B1 (fr) * 2008-12-19 2011-02-25 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cationique, un amide gras et un agent-oxygene
FR2940077B1 (fr) 2008-12-19 2012-07-20 Oreal Procede de coloration eclaircissante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colorante comprenan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FR2940107B1 (fr) 2008-12-19 2011-03-18 Oreal Procede d'eclaircissement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emulsion comprenan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FR2940106B1 (fr) 2008-12-19 2013-04-12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silicate,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FR2940108B1 (fr) 2008-12-19 2011-04-29 Oreal Procede d'eclaircissement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EP2198834B1 (fr) 2008-12-19 2015-03-18 L'Oréal Eclaircissement de fibres kératiniques humain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et un mélange monoéthanolamine / acide amine basique et dispositif approprié
FR2940102B1 (fr) * 2008-12-19 2016-03-11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un epaississant et un precurseur de colorant d'oxydation
FR2940090B1 (fr) 2008-12-19 2011-02-25 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huile, un alcool gras et un alcool gras oxyalkylene
FR2940105B1 (fr) * 2008-12-19 2011-04-08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tensioactif oxyethylene particulier,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FR2940078B1 (fr) 2008-12-19 2011-05-13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polymere cationique,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FR2940079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 alcool gras solide,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JP5808521B2 (ja) 2008-12-19 2015-11-10 ロレアル アンモニウム塩の存在下で、淡色化し、あるいは淡色化直接染色し、あるいは酸化染色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デバイス
JP5808077B2 (ja) 2008-12-19 2015-11-10 ロレアル 無機塩基の存在下で着色または明色化する方法及びキット
FR2940101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derive 4,5-diaminopyrazole
FR2940100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la n,n bis (beta-hydroxyethyl)-paraphenylene diamine
FR2940061B1 (fr) 2008-12-19 2011-03-04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derive de diaminopyrazolone.
FR2940103B1 (fr) 2008-12-19 2011-06-10 Oreal Procede de coloration eclaircissante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emulsion comprenant un colorant e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FR2940104B1 (fr) 2008-12-19 2011-08-19 Oreal Procede de traitement des cheveux mettant en oeuvre une emulsion directe comprenant un agent oxydant et une composition contenant un agent alcalin
FR2954159B1 (fr) 2009-12-22 2012-02-10 Oreal Agent de coloration et/ou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agent alcalinisant et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oxydant, l'une ou l'autre des compositions pouvant contenir un corps gras
FR2954160B1 (fr) 2009-12-22 2012-03-30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ou d'eclaircissement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polymere amphotere
FR2954121B1 (fr) 2009-12-22 2016-03-25 Oreal Agent de coloration et/ou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en deux parties, comprenant un corps gras particulier et une reductone.
FR2954127B1 (fr) 2009-12-22 2015-10-30 Oreal Agent de coloration et/ou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en deux parti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agent sequestrant.
US20130205515A1 (en) * 2010-05-07 2013-08-15 L'oreal Ready-to-use cosmetic composition for oxidation dyeing keratin fibers
FR2968206B1 (fr) 2010-12-07 2012-12-07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d'oxydation, un polycondensat d'oxyde d'ethylene et d'oxyde de propylene et un alcool gras insature
FR2968207B1 (fr) * 2010-12-07 2013-04-12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d'oxydation, un polycondensat d'oxyde d'ethylene et d'oxyde de propylene et un tensioactif non ionique glycerole non oxyalkylene
FR2968204B1 (fr) 2010-12-07 2012-12-14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precurseur de colorant d'oxydation, un polycondensat d'oxyde d'ethylene et d'oxyde de propylene et un polymere cationique de densite de charge superieure ou egale a 4 meq/g
FR2968202B1 (fr) * 2010-12-07 2013-07-12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precurseur de colorant d'oxydation, un polycondensat d'oxyde d'ethylene et d'oxyde de propylene et un acide gras polyoxyalkylene
FR2970176B1 (fr) * 2011-01-10 2015-01-02 Oreal Procede de coloration ou d'eclaircissement de fibres keratiniques en deux parties, a partir d'une emulsion directe alcaline riche en huile a base de tensioactif non ionique solide de hlb allant de 1,5 a 10.
FR2970174B1 (fr) 2011-01-10 2013-07-05 Oreal Procede de coloration ou d'eclaircissement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riche en corps gras comprenant un alcool a au moins 20 carbone, compositions et dispositif
KR101076914B1 (ko) * 2011-04-22 2011-10-25 동성제약주식회사 거품형 모발 염색제 조성물
FR2977482B1 (fr) 2011-07-05 2013-11-08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mettant en oeuvre un ether a longue chaine d'un alcool gras alcoxyle et un polymere cationique, procedes et dispositifs
CN103619321A (zh) * 2011-07-05 2014-03-05 莱雅公司 包含聚氧亚烷基化脂肪醇醚和直接染料和/或氧化染料的富含脂肪物质的化妆品组合物、染色方法和装置
FR2977480B1 (fr) * 2011-07-05 2013-07-05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 ether d'alcool gras alcoxyle et un alcool gras
EP2729115B1 (en) 2011-07-05 2016-12-28 L'oreal Dye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oxylated fatty alcohol ether and a fatty alcohol or a fatty acid ester
FR2984116B1 (fr) * 2011-12-19 2014-08-22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des alcools gras particuliers, un corps gras liquide et un polymere cationique
FR2984135B1 (fr) * 2011-12-19 2013-12-2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mere associatif anionique ou non ionique, un polymere fixant et un tensioactif particulier et utilisation en coiffage
FR2988592B1 (fr) * 2012-03-30 2016-07-15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mettant en œuvre le (2,5-diaminophenyl)ethanol, un alcool gras aliphatique dans un milieu riche en corps gras, le procede de coloration et le dispositif
ES2748836T3 (es) * 2012-03-30 2020-03-18 Oreal Composición compuesta por (2,5-diaminofenil) etanol, un tensioactivo alquilpoliglucósido no iónico, un éster de sorbitán oxietilenado o un alcohol graso polialcoxilado o poliglicerolado en un medio rico en sustancias grasas, proceso de teñido y dispositivo correspondiente
FR2994084B1 (fr) 2012-08-02 2014-10-31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sous forme de creme comprenant au moins une huile, pas ou peu d'alcool gras solide, procede de coloration et dispositif approprie
FR2994091B1 (fr) * 2012-08-02 2014-08-01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de la gomme de guar non ionique ou l'un de ses derives non ionique, procede et dispositif
CN104507446A (zh) * 2012-08-02 2015-04-08 莱雅公司 包含脂肪物质、非离子瓜尔胶、两性表面活性剂和非离子或阴离子表面活性剂和氧化剂的染色组合物、染色方法和合适的装置
WO2014020146A2 (en) 2012-08-02 2014-02-06 L'oreal Dyeing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fatty substance, at least one oxidizing agent and at least one non-ionic, anionic and amphoteric surfactant
FR3000675B1 (fr) * 2013-01-09 2014-12-26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exempte d'agent oxydant chimique comprenant un colorant d'oxydation, un alkylsulfate, un alkylpolyglycoside, un corps gras et de la gomme de guar non ionique
US9789051B2 (en) 2013-06-28 2017-10-1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39600B2 (en) 2013-06-28 2017-12-12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95555B2 (en) 2013-06-28 2017-10-24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84003B2 (en) 2013-06-28 2018-02-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01804B2 (en) 2013-06-28 2017-10-31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84002B2 (en) 2013-06-28 2018-02-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84004B2 (en) 2013-06-28 2018-02-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89050B2 (en) 2013-06-28 2017-10-1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88627B2 (en) 2013-06-28 2017-10-1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95556B2 (en) 2013-06-28 2017-10-24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FR3008614B1 (fr) * 2013-07-19 2015-07-31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 tensio actif amphotere particulier et un tensioactif sulfate
CN105377224B (zh) * 2013-07-19 2021-02-12 莱雅公司 染色组合物
BR112015032053B1 (pt) * 2013-07-19 2020-12-01 L'oreal composição cosmética e processo para a tintura das fibras queratínicas
DE102013226587A1 (de) * 2013-12-19 2015-06-25 Henkel Ag & Co. Kgaa Oxidationsfärbemittel mit verringerter Haarschädigung
JP6847570B2 (ja) * 2014-12-16 2021-03-24 ロレアル O/wエマルション型組成物
FR3030233B1 (fr) * 2014-12-17 2016-12-09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et un polymere amphotere ou cationique dans un milieu riche en corps gras
FR3030243B1 (fr) 2014-12-17 2018-11-09 L'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et une base d'oxydation heterocyclique
FR3030237B1 (fr) * 2014-12-17 2017-07-14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un tensio actif amphotere dans un milieu riche en corps gras
FR3030239B1 (fr) 2014-12-17 2016-12-09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et une base additionnelle
US9295632B1 (en) * 2014-12-17 2016-03-29 L'oreal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color of hair
FR3030244B1 (fr) 2014-12-17 2018-07-06 L'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et un coupleur particulier
FR3030234B1 (fr) 2014-12-17 2018-05-18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un tensio actif non ionique dans un milieu riche en corps gras
FR3030235B1 (fr) * 2014-12-17 2017-07-14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un alcool gras particulier dans un milieu riche en corps gras
FR3030255B1 (fr) * 2014-12-17 2016-12-23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un epaississant polysaccharide dans un milieu riche en corps gras
US9801808B2 (en) 2014-12-19 2017-10-31 Loreal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and wax dispersions
US9814668B2 (en) 2014-12-19 2017-11-14 L'oreal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US9750678B2 (en) * 2014-12-19 2017-09-05 L'oreal Hair color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US10195122B2 (en) 2014-12-19 2019-02-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US9814669B2 (en) 2014-12-19 2017-11-14 L'oreal 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atex polymers and a silicone-organic polymer compound
US10813853B2 (en) 2014-12-30 2020-10-2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US10478643B2 (en) * 2015-04-16 2019-11-19 Kao Germany Gmbh Hair dyeing composition
EP3181115A1 (en) * 2015-12-14 2017-06-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loring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acrylate monomers
EP3181113A1 (en) * 2015-12-14 2017-06-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loring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acrylic compounds
DE102015225360A1 (de) * 2015-12-16 2017-06-22 Henkel Ag & Co. Kgaa Kombinationen von Konservierungsmitteln für Haarfarben
DE102015225461A1 (de) * 2015-12-16 2017-06-22 Henkel Ag & Co. Kgaa Modische Kupfernuancen in nichtionischer Basis
DE102016225380B4 (de) * 2016-12-19 2022-03-31 Henkel Ag & Co. Kgaa Cremeförmiges Haarfärbemittel
DE102016225377B4 (de) * 2016-12-19 2022-04-28 Henkel Ag & Co. Kgaa Cremeförmiges Haarfärbemittel II
DE102016225379B4 (de) * 2016-12-19 2022-03-31 Henkel Ag & Co. Kgaa Cremeförmiges Haarfärbemittel
DE102016225378A1 (de) * 2016-12-19 2018-06-21 Henkel Ag & Co. Kgaa Cremeförmiges Haarfärbemittel III
FR3060319B1 (fr) * 2016-12-20 2019-05-24 L'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gomme de scleroglucane et un sequestrant phosphore
EP4262687A1 (en) * 2020-12-16 2023-10-25 L'oreal Composition for caring for the skin

Family Cites Families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1378A (en) 1939-08-30 1942-01-27 Du Pont Pest control
US2273780A (en) 1939-12-30 1942-02-17 Du Pont Wax acryalte ester blends
US2261002A (en) 1941-06-17 1941-10-28 Du Pont Organic nitrogen compounds
US2388614A (en) 1942-05-05 1945-11-06 Du Pont Disinfectant compositions
US2375853A (en) 1942-10-07 1945-05-15 Du Pont Diamine derivatives
US2454547A (en) 1946-10-15 1948-11-23 Rohm & Haas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salts
US2528376A (en) 1947-08-01 1950-10-31 Super Density Tie Connector Co Combination bale tie and connector
US2781354A (en) 1956-03-26 1957-02-12 John J Mccabe Jr Imidaz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US2961347A (en) 1957-11-13 1960-11-22 Hercules Powder Co Ltd Process for preventing shrinkage and felting of wool
BE626050A (ko) 1962-03-30
US3227615A (en) 1962-05-29 1966-01-04 Hercules Powder Co Ltd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he permanent waving of hair
US3206462A (en) 1962-10-31 1965-09-14 Dow Chemical Co Quaternary poly(oxyalkylene)alkylbis(diethylenetriamine) compounds
FR1400366A (fr) 1963-05-15 1965-05-28 Oreal Nouveaux composés pouvant être utilisés en particulier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DE1492175A1 (de) 1965-07-07 1970-02-12 Schwarzkopf Gmbh Hans Verfahren zum Faerben von lebenden Haaren
FR1492597A (fr) 1965-09-14 1967-08-18 Union Carbide Corp Nouveaux éthers cellulosiques contenant de l'azote quaternaire
CH491153A (de) 1967-09-28 1970-05-31 Sando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kationaktiven, wasserlöslichen Polyamiden
SE375780B (ko) 1970-01-30 1975-04-28 Gaf Corp
IT1035032B (it) 1970-02-25 1979-10-20 Gillette Co Composizione cosmetica e confezione che la contiente
US3836537A (en) 1970-10-07 1974-09-17 Minnesota Mining & Mfg Zwitterionic polymer hairsett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same
LU64371A1 (ko) 1971-11-29 1973-06-21
US4013787A (en) 1971-11-29 1977-03-22 Societe Anonyme Dite: L'oreal Piperazine based polymer and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R2280361A2 (fr) 1974-08-02 1976-02-27 Oreal Compositions de traitement et de conditionnement de la chevelure
US3986825A (en) 1972-06-29 1976-10-19 The Gillette Company Hair coloring composition containing water-soluble amino and quaternary ammonium polymers
GB1394353A (en) 1972-06-29 1975-05-14 Gillette Co Hair treating composition
US3893803A (en) * 1972-10-10 1975-07-08 Procter & Gamble Hair dyeing premixes containing peroxidase enzymes stabilized with heme complexing agents
DE2359399C3 (de) 1973-11-29 1979-01-25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Haarfärbemittel
US4003699A (en) 1974-11-22 1977-01-18 Henkel & Cie G.M.B.H. Oxidation hair dyes based upon tetraaminopyrimidine developers
US4277581A (en) 1973-11-30 1981-07-07 L'oreal Polyamino-polyamide crosslinked with crosslinking agent
US4172887A (en) 1973-11-30 1979-10-30 L'oreal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rosslinked polyaminopolyamides
LU68901A1 (ko) 1973-11-30 1975-08-20
FR2368508A2 (fr) 1977-03-02 1978-05-19 Oreal Composition de conditionnement de la chevelure
US4025627A (en) 1973-12-18 1977-05-2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3929990A (en) 1973-12-18 1975-12-30 Millmaster Onyx Corp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3874870A (en) 1973-12-18 1975-04-01 Mill Master Onyx Corp Microbiocidal polymeric quarternary ammonium compounds
DK659674A (ko) 1974-01-25 1975-09-29 Calgon Corp
IT1050562B (it) 1974-05-16 1981-03-20 Oreal Agente cosmetico a base di polimeri quaternizzati
US5196189A (en) 1974-05-16 1993-03-23 Societe Anonyme Dite: L'oreal Quaternized polymer for use as a cosmetic agent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hair and skin
CH606154A5 (ko) 1974-07-02 1978-11-15 Goodrich Co B F
US4005193A (en) 1974-08-07 1977-01-25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3966904A (en) 1974-10-03 1976-06-29 Millmaster Onyx Corporation Quaternary ammonium co-polymers for controlling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US4026945A (en) 1974-10-03 1977-05-31 Millmaster Onyx Corporation Anti-microbial quaternary ammonium co-polymers
US4025617A (en) 1974-10-03 1977-05-2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Anti-microbial quaternary ammonium co-polymers
US4001432A (en) 1974-10-29 1977-01-0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ethod of inhibiting the growth of bacteria by the application thereto of capped polymers
US4027020A (en) 1974-10-29 1977-05-31 Millmaster Onyx Corporation Randomly terminated capped polymers
US4025653A (en) 1975-04-07 1977-05-2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T365448B (de) 1975-07-04 1982-01-11 Oreal Kosmetische zubereitung
US4197865A (en) 1975-07-04 1980-04-15 L'oreal Treating hair with quaternized polymers
CH599389B5 (ko) 1975-12-23 1978-05-31 Ciba Geigy Ag
US4031307A (en) 1976-05-03 1977-06-21 Celanese Corporation Cationic polygalactomannan compositions
LU76955A1 (ko) 1977-03-15 1978-10-18
CA1091160A (en) 1977-06-10 1980-12-09 Paritosh M. Chakrabarti Hair preparation containing vinyl pyrrolidone copolymer
US4223009A (en) 1977-06-10 1980-09-16 Gaf Corporation Hair preparation containing vinyl pyrrolidone copolymer
US4157388A (en) 1977-06-23 1979-06-05 The Miranol Chemical Company, Inc. Hair and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ic ionenes
LU78153A1 (fr) 1977-09-20 1979-05-2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a base de polymeres polyammonium quaternaires et procede de preparation
US4131576A (en) 1977-12-15 1978-12-26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raft copolymers of a water soluble monomer and polysaccharide employing a two-phase reaction system
FR2470596A1 (fr) 1979-11-28 1981-06-12 Oreal Composition destinee au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a base de polymeres amphoteres et de polymeres cationiques
FR2471777A1 (fr) 1979-12-21 1981-06-26 Oreal Nouveaux agents cosmetiques a base de polymeres polycationiques,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LU83349A1 (fr) 1981-05-08 1983-03-24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 mousse aerosol a base de polymere cationique et de polymere anionique
EP0080976B1 (de) 1981-11-30 1986-09-24 Ciba-Geigy Ag Gemische aus quaternären, polymeren Ammoniumsalzen auf Acrylbasis, aus quaternären, mono- bis oligomeren Ammoniumsalzen und aus Tensid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kosmetischen Mitteln
LU83876A1 (fr) 1982-01-15 1983-09-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u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traitement de celles-ci
US5139037A (en) 1982-01-15 1992-08-1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keratin fibres, and process for treating the latter
LU84708A1 (fr) 1983-03-23 1984-11-14 Oreal Composition epaissie ou gelifiee de conditionnement des cheveux contenant au moins un polymere cationique,au moins un polymere anionique et au moins une gomme de xanthane
DE3375135D1 (en) 1983-04-15 1988-02-11 Miranol Inc Poly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509949A (en) 1983-06-13 1985-04-09 The B. F. Goodrich Company Water thickening agents consisting of copolymers of crosslinked acrylic acids and esters
US4514552A (en) 1984-08-23 1985-04-30 Desoto, Inc. Alkali soluble latex thickeners
AU612965B2 (en) 1985-08-12 1991-07-25 Ciba Specialty Chemicals Water Treatments Limited Polymeric thickeners and their production
FR2586913B1 (fr) * 1985-09-10 1990-08-03 Oreal Procede pour former in situ une composition constituee de deux parties conditionnees separement et ensemble distributeur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AU583162B2 (en) * 1985-11-15 1989-04-20 Clairol Incorporated Oxidation hair dye composition with colour indication
US4719282A (en) 1986-04-22 1988-01-12 Miranol Inc. Polycationic block copolymer
LU86429A1 (fr) 1986-05-16 1987-12-16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renfermant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polymere anionique comme agent epaississant
MY105119A (en) 1988-04-12 1994-08-30 Kao Corp Low irritation detergent composition.
JP2526099B2 (ja) 1988-07-07 1996-08-21 花王株式会社 角質繊維染色組成物
DE3843892A1 (de) 1988-12-24 1990-06-28 Wella Ag Oxidationshaarfaerbemittel mit einem gehalt an diaminopyrazolderivaten und neue diaminopyrazolderivate
EP0384415B1 (en) * 1989-02-23 1994-06-01 Kao Corporation Hair treatment composition
DE4133957A1 (de) 1991-10-14 1993-04-15 Wella Ag Haarfaerbemittel mit einem gehalt an aminopyrazolderivaten sowie neue pyrazolderivate
FR2687570A1 (fr) * 1992-02-21 1993-08-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agents tensio-actifs non-ioniques et de polymeres substantifs cationiques ou amphoteres et son utilisation comme support de teinture ou de decoloration.
DE4234885A1 (de) 1992-10-16 1994-04-21 Well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5-Diaminopyrazol-Derivaten, deren Verwendung zum Färben von Haaren sowie neue Pyrazol-Derivate
DE4234887A1 (de) 1992-10-16 1994-04-21 Wella Ag Oxidationshaarfärbemittel mit einem Gehalt an 4,5-Diaminopyrazolderivaten sowie neue 4,5-Diaminopyrazol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4440957A1 (de) 1994-11-17 1996-05-23 Henkel Kgaa Oxidationsfärbemittel
CA2150596A1 (en) * 1994-12-16 1996-06-17 Yoshio Tsujino Oxidation hair dye composition
FR2729565A1 (fr) * 1995-01-20 1996-07-26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teinture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FR2733749B1 (fr) 1995-05-05 1997-06-13 Oreal Compositions pour la teinture des fibres keratiniques contenant des diamino pyrazoles, procede de teinture, nouveaux diamino pyrazol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DE19539264C2 (de) 1995-10-21 1998-04-09 Goldwell Gmbh Haarfärbemittel
DE19543988A1 (de) 1995-11-25 1997-05-28 Wella Ag Oxidationshaarfärbemittel mit einem Gehalt an 3,4,5-Triaminopyrazolderivaten sowie neue 3,4,5-Triaminopyrazolderivate
FR2750048B1 (fr) 1996-06-21 1998-08-14 Oreal Compositions de teinture des fibres keratiniques contenant des derives pyrazolo-(1, 5-a)-pyrimidine, procede de teinture, nouveaux derives pyrazolo-(1, 5-a)-pyrimidine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FR2753094B1 (fr) * 1996-09-06 1998-10-16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pour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amphiphile anionique
FR2753093B1 (fr) * 1996-09-06 1998-10-16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pour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amphiphile anionique
DE19714370A1 (de) * 1997-04-08 1998-10-15 Henkel Kgaa Wäßrige pflegende Haut- und Haarbehandlungsmittel
US6015574A (en) * 1997-06-09 2000-01-18 L'oreal Lipophilic carrier systems
DE19757509A1 (de) * 1997-12-23 1999-06-24 Henkel Kgaa Verwendung von Zuckertensiden in Haarfärbe- und/oder Tönungsmitteln
US6143286A (en) * 1998-08-05 2000-11-07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fade resistance of hair and related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9404B2 (en) 2002-06-27
AR027910A1 (es) 2003-04-16
DE60040455D1 (de) 2008-11-20
CN1308931A (zh) 2001-08-22
ES2313876T3 (es) 2009-03-16
ES2313876T5 (es) 2017-06-29
CA2330335A1 (fr) 2001-06-30
AU7228600A (en) 2001-07-05
PT1142557E (pt) 2009-01-14
EP1142557B2 (fr) 2017-03-08
PL344850A1 (en) 2001-07-02
EP1142557B1 (fr) 2008-10-08
CN1308931B (zh) 2012-07-18
BR0006584A (pt) 2001-07-31
US20020184717A9 (en) 2002-12-12
BR0006584B1 (pt) 2013-07-30
ATE410205T1 (de) 2008-10-15
JP2001206829A (ja) 2001-07-31
FR2803196B1 (fr) 2002-03-15
US20020010970A1 (en) 2002-01-31
KR100416827B1 (ko) 2004-02-05
US6695887B2 (en) 2004-02-24
RU2207839C2 (ru) 2003-07-10
FR2803196A1 (fr) 2001-07-06
EP1142557A1 (fr)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827B1 (ko)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콜 및 hlb 5초과의 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KR100416826B1 (ko)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증점 중합체 및 탄소수 20 초과의 지방 알콜을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KR100416825B1 (ko) 하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증점 중합체 및 모노-또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 알콜을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산화 염색용 조성물
US6800098B1 (en) Oxidation dye composition for keratinic fibres containing a thickening polymer with an ether plastic skeleton
KR100733744B1 (ko) 옥시에틸렌 평지씨 지방산 아미드를 포함하는, 케라틴섬유용 염색 조성물
KR100622333B1 (ko) 모노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 알콜 및 특정 폴리올을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KR100570945B1 (ko) 옥시알킬렌화 카르복실산 에테르, 회합 중합체 및 불포화지방 알콜을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을 위한조성물
US7066966B2 (en) Oxidation dyeing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comprising a cationic poly(vinyllactam)
KR100570946B1 (ko) 옥시알킬렌화 카르복실산 에테르 및 지방쇄 4 차화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을 위한조성물
US7198649B2 (en) Oxidation dyeing composition for keratinous fibers comprising glycerine and a polyol other than glycerine in a specific ratio
US7172631B2 (en) Dyeing composition for human keratinous fibers with oxidation dyes and dicationic compounds
KR100574210B1 (ko) 옥시알킬렌화 카르복실산 에테르, 모노 또는폴리글리세롤화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옥시알킬렌화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을 위한조성물
US7101405B2 (en) Oxidation dyeing composition for karatinous fibers comprising a cationic associative polyurethane
KR20030053462A (ko) 옥시알킬렌화 카르복실산 에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특정 중합체를 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을 위한조성물
KR100570944B1 (ko) 옥시알킬렌화 카르복실산 에테르, 모노-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계면활성제 및 불포화 지방 알콜을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 염색을 위한 조성물
US7147672B2 (en) Oxidation dyeing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comprising a cationic poly(vinyllactam) and at least one C10-C14 fatty acid, methods and devices for oxidation dyeing
US7323015B2 (en) Oxidation dyeing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comprising a cationic poly(vinyllactam) and at least One C10-C14 fatty alcohol, methods and devices for oxidation dyeing
KR100416828B1 (ko) 두개의 특정한 4 차화 폴리암모늄을 포함하는 케라틴섬유의 산화 염색용 조성물
JP2005126401A6 (ja) カチオン性ポリ(ビニルラクタム)及び少なくとも一つのc10〜c14脂肪アルコールを含むケラチン繊維の酸化染色組成物、酸化染色方法及び装置
JP2005126401A (ja) カチオン性ポリ(ビニルラクタム)及び少なくとも一つのc10〜c14脂肪アルコールを含むケラチン繊維の酸化染色組成物、酸化染色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