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094A -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 및 이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장착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 및 이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장착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094A
KR20000058094A KR1020000007732A KR20000007732A KR20000058094A KR 20000058094 A KR20000058094 A KR 20000058094A KR 1020000007732 A KR1020000007732 A KR 1020000007732A KR 20000007732 A KR20000007732 A KR 20000007732A KR 20000058094 A KR20000058094 A KR 2000005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module
cover
mounting structur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또가쯔히로
바바마사따께
니시야마미찌아끼
오가와도시히사
후지시로후미히꼬
미와도무
야노다까까즈
사또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5861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5809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5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커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를 제공한다. 장착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결합부쌍을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측부상에 제공되고,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체 부재의 측부에 제공되어, 제1 및 제2 결합부쌍은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체 부재 안으로 끼워맞춤으로써만 서로 결합한다.

Description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 및 이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LIQUID CRYSTAL MODULE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MOUNT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형 개인용 컴퓨터나 랩톱형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형의 개인용 컴퓨터나 랩톱형 컴퓨터에 장착된 액정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액정 모듈이 장착된 노트북형 개인용 컴퓨터나 랩톱형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개인용 컴퓨터는 본체(20)와 커버(10)를 포함한다.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액정 모듈(1)은 커버(10)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둘러싸는 주연 영역을 구비하며, 이 주연 영역은 다수의 나사 구멍(1b)을 구비한다. 커버(10)는 또한 액정 모듈(1)의 나사 구멍(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3)를 구비한다. 액정 모듈(1)은 나사 구멍(1b) 내로 밀접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2)에 의해 커버(10)에 고정된다. 액정 모듈(1)의 디스플레이 면적(1a)은 나사 구멍(1b)이 형성된 주연 영역으로 인해 액정 모듈(1)의 전체 부분보다 크기가 더 작다. 즉, 커버(10)의 확장 없이 액정 모듈(1)의 디스플레이 영역(1a)을 확장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액정 모듈(1)의 두께는 커버(10)에 액정 모듈(1)을 밀접하게 고정하는데 필요한 강도에 기초하여 나사(2)의 필요한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즉, 필요한 고정 길이를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도1의 종래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에 대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이 제시되었다. 도2는 분해된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액정 모듈(1)은 액정 모듈(1)의 디스플레이 표면(1a)에 수직인 2개의 대향 측면을 구비한다. 2개의 대향 측면의 각각은 축이 디스플레이 표면(1a)에 평행한 2개의 나사 구멍(4)을 구비한다. 액정 모듈(1)은 하부 프레임(5)의 내벽 내에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5)은 2개의 대향 측면을 구비하며, 그 각각은 액정 모듈(1)의 나사 구멍(4)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나사 구멍(5a)을 구비한다. 액정 모듈(1)은 하부 프레임(5) 내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액정 모듈(1)의 나사 구멍(4)은 하부 프레임(5)의 대응 나사 구멍(5a)에 정렬된다. 나사(6)는 액정 모듈(1)을 하부 프레임(5)에 밀접하게 고정하도록 나사 구멍(5a)과 나사 구멍(4) 내에 밀접하게 나사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7)은 하부 프레임(5) 상에 설치된다.
상기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은 이하의 단점을 갖는다. 도3은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은 외부 프레임에 장착하는 구조체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액정 모듈(1)은 외부 프레임(7)과 하부 프레임(5) 내에 결합되며, 여기에서 외부 프레임(7)의 내벽과 액정 모듈(1)의 백라이트부(8)의 측면 사이에는 거리 "D"가 존재하므로, 나사(6)는 하부 프레임(5)과 외부 프레임(7)을 관통하도록 나사 구멍 내에 나사 결합되어 액정 모듈(1)의 측면 부분으로 들어간다. 거리 "d"는 나사(6)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여유로서 필요하다. 나사 여유와 같은 이러한 거리 "d"는 결과적으로 액정 모듈(1)을 넓게 한다.
또한, 거리 "d"에 한정된 공간은 외부 프레임(7)과 백라이트부(8)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이나 거리 "d"는 액정 모듈(1)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1a)의 면적에 있어서의 비율을 작게 한다. 액정 모듈(1)의 면적은 액정 모듈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제한된다. 즉, 공간이나 거리 "d"는 커버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1a)의 면적에 있어서의 비율을 작게 한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외부 프레임의 나사 구멍을 구비한 측면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는 관점에서, 나사(6)용 나사 구멍을 형성하는 나사 구멍 형성부(4)는 외부 프레임(7)의 본체의 수지보다 더 무거운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외부 프레임(7)의 나사 구멍 형성부(4)용 금속 재료는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무게를 증가시킨다.
또한, 나사(6)는 직경 "r"을 갖는다. 나사 구멍 형성부(4)는 액정 모듈(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나사 구멍 형성부(4)는 여유 "m1" 및 "m2"를 갖는다. 나사 구멍 형성부(4)의 크기는 나사(6)의 직경 "r"과 여유 "m1" 및 "m2"의 합계인 "D"이다. 이러한 여유 "m1" 및 "m2"는 액정 모듈(1)의 두께를 더 감소시키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상기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의 나사 형성부(4)는 모듈 상에 구비된 드라이버 IC를 회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상의 자유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의 나사 형성부는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최적 배치를 이루기가 곤란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의 나사 형성부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나사 형성부 내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가 나사 결합된 다음 금속 파편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이 금속 파면은 전기 회로의 단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측면 장착 액정 모듈은 측면 장착 액정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충격을 수용한다면, 수용된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인 응력이 외부 프레임의 나사 형성부에 집중되는 단점을 더 갖는다. 이러한 기계적인 응력 집중은 액정 패널 및 외부 프레임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는 나사 수용부를 구비하므로, 슬라이드 주형이 커버를 형성하는데 필요하다. 이것은 제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비용이 높음을 의미한다.
커버의 나사 수용부는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내부까지 연장된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나사 수용부와 같은 리세스부의 연장은 커버의 폭을 넓힌다.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은 나사를 측면 방향으로 제거하므로 커버로부터 액정 모듈을 제거하는 데 있어 불편하다.
나사 수용부가 커버의 측면 부분 상에 제공되므로, 나사 구멍 형성 영역은 비싸고 무겁고 형성 능력이 낮지만 고강도 금속의 마그네슘 합금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갖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문제점이 없는 이동 단말기를 위한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이 없는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액정 모듈이 장착된 커버의 크기 및 무게 감소를 허용하는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커버의 조립에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 장착된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신규의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 장착된 커버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커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장착 구조체를 제공한다. 장착 구조체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측면 부분 상에 구비되고, 한편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측면 부분 상에 제공되므로, 제1 및 제2 결합부 쌍은 액정 모듈은 커버의 구조적 부재 내로 끼워맞춤으로써만 서로에 대하여 결합된다.
제2의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용의 커버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커버는 액정 모듈이 제1의 본 발명의 장착 구조체에 의해 장착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다.
제3의 본 발명은 본체와 제2의 본 발명의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액정 모듈이 장착된 노트북형 개인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분해된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의 사시도.
도3은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을 외부 프레임에 장착하는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외부 프레임의 나사 구멍을 구비한 측면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액정 모듈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저판 상에 구비된 가요성 돌출 부재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리세스부 사이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8a는 저판 상에 구비된 가요성 돌출 부재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리세스부 사이의 수정된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8b는 저판 상에 구비된 가요성 돌출 부재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리세스부 사이의 수정된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 상에 구비된 볼록부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리세스부 사이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1은 저판 상에 구비된 볼록부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리세스부 사이의 수정된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저판 상에 구비된 돌출부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안내 홈 사이의 수정된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4는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돌출부와 저판 상에 구비된 안내 홈 사이의 다른 하나의 수정된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5는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된 L형 돌출편과 저판 상에 구비된 상자형 결합부 사이의 또 다른 하나의 수정된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6은 도15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좌우측 금속 안내 부재와 액정 모듈 사이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20은 부착 테이프에 의한 액정 모듈과 저판 사이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하부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구비한 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22는 커버의 저판에 부착된 회전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액정 모듈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정 모듈
10a: 디스플레이 표면
20: 저판
18: 리세스부
21: 돌출 부재
30: 외부 프레임
50: 금속 보강 부재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액정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커버에 장착하는 장착 구조체를 제공한다. 장착 구조체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측면부 상에 마련되고,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측면부 상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결합부의 쌍은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부재 내로 단지 끼워맞춤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및 제2 결합부의 쌍은 액정 모듈의 마주하는 측면과 커버의 구조적 부재 상에 각각 마련되어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부재 내로 단지 끼워맞춤으로써 제1 및 제2 결합부의 쌍은 서로 결합되게 되어,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부재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신규 장착 구조체는 전술된 종래의 장착 구조체의 나사 형성 구역을 결코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신규 장착 구조체는 결코 나사를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체는 액정 모듈을 커버에 단단히 고정함에 있어서 액정 모듈의 두께가 필요한 강도를 기초로 하여 나사에 좌우되어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즉, 무나사 장착 구조체는 필요한 고정 또는 장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체는 종래의 측면 장착식 액정 모듈이 갖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나사의 구동을 위해 측면부 상에 가장자리가 필요없게 되며, 액정 모듈의 폭의 축소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후방 발광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액정 모듈의 영역이 액정 모듈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한정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표면의 면적비가 액정 모듈의 전체 부분으로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또한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외부 프레임의 본체의 수지 보다 더 무거운 금속 재료로 제조되어야 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외부 프레임에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중량 감소를 가져온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액정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 구멍 형성부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나사 구멍 형성부는 어떠한 가장자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가장자리를 없앰으로써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임의의 나사 형성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드라이버 IC 설계에 제한을 주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는 이동 단말기를 제작하게 된다. 이는 드라이버 IC의 신호 라인의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드라이버 IC의 신호 라인의 최적 설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대로,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또한 전자 회로 상에 단락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한 부서진 금속 조각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측면 장착 액정 모듈로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충격을 받는다면, 그후 받은 충격으로 인해 기계적 응력이 나사 형성 구역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문제점이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받은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 강도로 인해 손상이 없는 액정 패널과 외부 프레임을 제작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게 되고, 그 이유로 인해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 미끄럼 주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는 제작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비용이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신규한 액정 모듈의 장착 구조체는 액정 모듈의 측면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상에 마련된 제1 및 제2 결합부의 쌍이 단지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내로 끼워맞추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액정 모듈을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데 편리하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나사 수용부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이유로 인해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은 비싸고 무겁고 낮은 전단성을 갖는 마그네슘과 같은 고강도 금속을 이용하여 고강도를 허용하도록 하는 데 필요하다.
"구조적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커버의 양 기부판부를 포함함을 뜻하며, 액정 모듈의 후방면은 액정 모듈이 커버 내로 끼워맞춰질 때 커버의 기부판부와, 액정 모듈의 측면과 함께 있는 외부 프레임과 대면한다.
제1 및 제2 결합부의 다수 쌍들이 제공되어, 다수의 제2 결합부가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측면 상에 마련되는 동안 다수의 제1 결합부가 액정 모듈의 측면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결합부의 다수의 쌍들은 액정 모듈을 커버에 견고히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부의 다수의 쌍들은 서로 직각이고 제 위치에 균형을 얻도록 액정 모듈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수직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제2 결합부가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측면을 따라 부착된 보강 부재 상에 마련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액정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액정 모듈이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측면을 따라 부착된 보강 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제2 결합부가 보강 부재 상에 마련되기 때문에, 제2 결합부를 커버의 구조적 부재 상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커버의 구조적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금속 보강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커버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결합부를 갖춘 보강 부재는 커버의 구조적 부재에 부착되고, 그 이유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구조적 부재는 임의의 결합부가 존재하지 않아 액정 모듈이 커버의 구조적 부재에 장착될 수 있게 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커버의 구조적 부재를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는 줄어들 수 있다. 커버의 구조적 부재를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를 줄임으로써 제작비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커버의 구조적 부재는 보강 부재 상에 마련된 결합부가 결합부의 위치 및 크기 변경을 위해 조절되기 때문에 액정 모듈 상에 마련된 결합부의 위치 및 크기의 다양한 변경에 공통될 수 있다. 이는 제작비를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설계 변경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가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가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체는 매우 간단하여 액정 모듈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내에 끼워맞춰질 때 액정 모듈의 측면 상에 마련된 제1 결합부로서의 돌출부가 리세스부 내에 결합되거나 끼워맞춰진다. 이 경우에,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 내로 끼워맞춰지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 내에 코킹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리세스부 내를 돌출부로 코킹함으로써 그들 간의 연결 강도가 증가되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의 액정 모듈의 장착 강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가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가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체는 매우 간단하여 액정 모듈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내에 끼워맞춰질 때 액정 모듈의 측면 상에 마련된 제2 결합부로서의 돌출부가 액정 모듈의 측면 상에 마련된 리세스부에 결합되거나 끼워맞춰진다. 이 경우에,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 내로 스냅 결합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 내에 코킹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리세스부 내를 돌출부로 코킹함으로써 그들 간의 연결 강도가 증가되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의 액정 모듈의 장착 강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안내 및 수용하기 위한 안내 홈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안내 홈은 돌출부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 제1 홈부와,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해 제1 홈부에 연결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홈부는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제2 홈부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커버의 구조적 부재의 측면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커버의 구조적 부재는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홀더는 제1 및 제2 결합부 간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여, 액정 모듈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간의 상대 운동을 차단한다. 이러한 구조체는 제1 및 제2 결합부 간의 접속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의 액정 모듈의 장착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안내 및 수용하기 위한 안내 홈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안내 홈은 돌출부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 제1 홈부와,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해 제1 홈부에 연결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홈부는 액정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제2 홈부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액정 모듈의 측면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액정 모듈의 측면은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홀더는 제1 및 제2 결합부 간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여, 액정 모듈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간의 상대 운동을 차단한다. 이러한 구조체는 제1 및 제2 결합부 간의 접속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의 액정 모듈의 장착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액정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판부와, 제1 가요성판부에 수직이고 액정 모듈의 표면에 평행 연장하는 제2 가요성판부를 더 포함하는 L자형 가요성판을 포함하여, 제2 가요성판부는 공간에 의해 액정 모듈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가요성판부의 내부면은 공간 내의 액정 모듈의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제2 가요성판부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와, 제2 가요성판부가 판 부재의 대향 측면 상에서 액정 모듈의 표면으로 활주하도록 제1 가요성판부를 안내하기 위한 개구에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판부가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판부가 판 부재의 대향 측면 상에서 활주할 때 제2 가요성판부 상에 마련된 돌출부가 구멍 내로 스냅 결합시키기 위한 구멍을 더 구비하는 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모듈은 홈을 포함하는 라인 세그먼트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체는 기계적 응력을 줄이거나 액정 모듈이 외부 충격과 같은 외부 응력을 받을 때 지점에 대한 기계적 응력 집중을 차단한다. 기계적 응력의 감소 또는 기계적 응력 집중의 차단으로 인해 액정 모듈 및 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그 이유로 인해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전술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L자형 가요성 판을 포함하고, L자형 가요성 판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요성 판 부분과, 제1 가요성 판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커버의 일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을 포함하며, 제2 가요성 판 부분은 커버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소정 공간만큼 분리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대면하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의 내부면은 상기 공간 내로 그리고 커버의 상기 표면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며; 제1 결합부는 판 부재를 포함하고, 판 부재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을 도입시키는 개구와, 제2 가요성 판 부분이 판 부재의 대향 표면 상에서 커버의 상기 표면으로 활주하도록 제1 가요성 판 부분을 안내하기 위해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 부분이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 부분이 판 부재의 대향 표면 상에서 활주할 때 제2 가요성 판 부분 상에 제공된 돌출부가 내부에 스냅 체결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액정 모듈은 홈을 포함하는 선분에 의해 지지된다. 이 구조체는 액정 모듈이 외부 충격과 같은 외부 응력을 수용할 때 점들로의 기계적 응력 집중을 방지하거나 기계적 응력을 줄인다. 기계적 응력의 감소 또는 기계적 응력 집중의 방지는 액정 모듈 및 커버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러한 이유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전술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액정 모듈 및 커버의 구조 부재 각각을 접착시킬 수 있는 대향 표면들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러한 이유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전술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을 보유 유지하기 위한 회전식 모듈 홀더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회전식 모듈 홀더가 회전식 모듈 홀더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회전식 모듈 홀더를 소정 각도에서 고정하도록 회전식 모듈 홀더를 기계적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액정 모듈은 별도의 지점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 구조체는 액정 모듈이 외부 충격과 같은 외부 응력을 수용할 때 점들로의 기계적 응력 집중을 방지하거나 기계적 응력을 줄인다. 기계적 응력의 감소 또는 기계적 응력 집중의 방지는 액정 모듈 및 커버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 모듈 홀더는 액정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보강 부재로서 작용한다. 액정 모듈 상에 결합부를 형성이 불필요한 것은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하고, 그에 의해 제조 비용은 감소되고, 액정 모듈의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러한 이유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전술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회전식 모듈 홀더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원통형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홀더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과 대면하는 한 쌍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판 부재는 회전식 모듈 홀더의 본체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식 모듈 홀더가 회전식 모듈 홀더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제1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원형 구멍과, 제2 원통형 돌출부가 내부에서 스냅 체결되게 하여 회전식 모듈 홀더를 고정시키도록 제2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2 원형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액정 모듈은 별도의 지점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 구조체는 액정 모듈이 외부 충격과 같은 외부 응력을 수용할 때 점들로의 기계적 응력 집중을 방지하거나 기계적 응력을 줄인다. 기계적 응력의 감소 또는 기계적 응력 집중의 방지는 액정 모듈 및 커버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러한 이유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전술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회전 모듈 홀더는 액정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보강 부재로서 작용한다. 액정 모듈 상에 결합부를 형성이 불필요한 것은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하고, 그에 의해 제조 비용은 감소되고, 액정 모듈의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러한 이유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전술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2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에 액정 모듈의 대향 측면을 보유 유지하는 고정 모듈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음을 내지 않고 액정 모듈을 단단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고정 모듈 홀더는 액정 모듈의 대향 표면을 회전식 모듈 홀더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착 구조체에 의해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장치용 커버를 제공한다.
제3 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커버와 몸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4 실시예는 액정 모듈을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를 두비한다. 장착 구조체는 액정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접착 테이프를 통해 커버의 저판부에 부착되도록, 액정 모듈의 후방 표면과 커버의 저판부를 각각 부착할 수 있는 양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 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접착 테이프는 액정 모듈의 후면과 직면하는 커버의 후면판 부분 상에 각각 구비되어서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 부재에 단지 끼우는 것은 액정 모듈을 커버에 부착시키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장착 구조체는 전술된 종래 장착 구조체의 나사 형성 영역을 가질 필요가 없다. 즉, 새로운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은, 액정 모듈을 커버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강도에 기초하여 액정 모듈의 두께가 나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즉,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는 필요한 고정 또는 장착 강도는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은, 종래의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와 관련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구멍의 형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나사의 구동을 위한 측부 상의 여유부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액정 모듈의 폭을 줄인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역광부 사이에 공간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이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전체 면적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의 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액정 모듈의 면적은 액정 모듈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한정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다음의 장점을 더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외부 프레임의 몸체의 합성 수지보다 더 무거운 금속 재료로 만들어져야 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외부 프레임을 위한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이동식 단말기의 무게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액정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유부가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사 형성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은 이동 단말기가 드라이버 IC(driver IC)를 배열시키는 데 있어서의 한계와 관련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는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드라이버 IC의 최적의 신호선 배열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전기 회로 상의 단락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의 파편의 발생 가능성을 갖는 통상의 문제를 제거하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또한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이 나사 형성 구역에 집중되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액정 패널 및 외부 프레임이 가해진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슬라이드 금형이 커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다. 이는 제조 라인을 구성하는 비용의 절감을 의미한다.
액정 모듈의 전술된 새로운 장착 구조체는 액정 모듈 및 커버의 후면판 부분이 액정 모듈을 커버의 후면판 부분 내에 끼우는 단지 하나의 작업에 의해서 접착 테이프를 거쳐서 서로 접착되기 때문에 커버로부터 액정 모듈을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의 형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이 Mg 합금 등의 고강도 금속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Mg 합금은 비싸고 무겁고 성형성이 낮다.
복수의 접착 테이프가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실시예는 장치용 커버가 상기 제4 실시예에 의한 장착 구조체에 의해 액정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장치용 커버를 제공한다.
제6 실시예는 상기 제5 실시예에 의한 커버와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7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 단말기의 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를 제공한다. 장착 구조체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 끼움으로써만 상기 제1 및 제2 쌍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에 제공된다. 제1 및 제2 결합부의 복수의 쌍은 복수의 제1 결합부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제공되고 복수의 제2 결합부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에 제공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커버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을 단단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직면하는 측면 상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고, 그에 의해 커버의 구조 부재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한다. 이러한 새로운 장착 구조체는 전술된 종래 장착 구조체의 나사 형성 영역을 가질 필요가 없다. 즉, 새로운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커버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힘에 기초해서 나사에 따라 결정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갖고 있지 않다. 즉, 무나사 장착 구조는 필수 고정 또는 장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는 종래의 측면 장착식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 구조가 갖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구멍을 성형하지 않게 되면 나사를 구동시키기 위한 측면부 상의 가장자리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을 얇게 한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역광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공간이 없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의 영역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다음의 장점을 더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외부 프레임의 몸체의 합성 수지보다 더 무거운 금속 재료로 만들어져야 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외부 프레임을 위한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이동식 단말기의 무게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나사 구멍 형성부가 없다면 가장자리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장자리가 없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나사 형성부를 성형하지 않게 되면 이동 단말기는 드라이버 IC를 배치함에 있어서의 제한을 받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이것은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영역이 없게 되면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최적 배치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금속 파편을 생성할 수도 있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자 회로 상에 단락을 형성할 수 있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측면 장착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는 나사 형성 영역에 집중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도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부 프레임이 외부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로 인해 커버를 형성하는 데 슬라이드 금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제조 라인의 형성하는 데에 드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술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로부터 제거하는데 편리한 이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단지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 끼워맞추는 단일 조작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들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제공된 제1 및 제2 결합 쌍 부품들이 상호 결합되기 때문이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구멍 형성 영역을 위한 나사 수용부가 불필요함을 의미하는데, 그러한 나사 구멍 형성 영역은 고가이고 중금속이며 낮은 성형성을 갖는 Mg 합금과 같은 고강도 금속을 이용하여 고강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용어 "구조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커버로 끼워맞춤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면이 대면하게 되는 커버의 저판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들과 함께 있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1 및 제2 결합 부품들의 구성 쌍들은 제위치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서로에 대해 수직이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면에 대해 수직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는데, 그런 연유로 전술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게되는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2 결합 부품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을 따라 부착된 보강 부재 상에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을 따라 부착된 보강 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2 결합 부품이 보강 부재에 제공되므로, 제2 결합 부품을 커버의 구조 부재에 제공할 필요는 없다. 커버의 구조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금속 보강 부재들이 제공됨으로써 커버의 구조 부재들의 기계적 강도가 그 만큼 작을 수 있다. 이것은 커버의 구조 부재들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커버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결합 부품들과 보강 부재들은 커버의 구조 부재들에 부착되고, 이로써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구조 부재들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 부재들에 장착시킬 수 있는 임의의 결합부들이 없으므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커버의 구조 부재들을 형성하는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커버의 구조적 부재들을 형성하기 위한 필요한 성형 공정들의 수가 줄어듬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의 구조적 부재들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공된 결합 부품들의 위치 및 크기들에서 다양한 변경들에 대해 공통적일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보강 부재들에 제공된 결합 부품들이 결합 부품들의 위치 및 크기들의 변화에 조정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 다양한 설계 변경의 요구에 부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이로써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얻게 되는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1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2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끼워맞춤될 때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제공된 제1 결합 부품의 돌출부가 리세스부로 결합되거나 끼워맞춤됨으로써 매우 간단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가 리세스부로 스냅될 수 있도록 가요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들을 사용하지 않고, 이로써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얻게 되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로 코킹될 수 있도록 가요적이다. 돌출부를 리세스부로 코킹시키는 것은 그들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시키는 강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2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1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끼워맞춤될 때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의 측면에 제공된 제2 결합 부품의 돌출부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제공된 리세스부로 결합되거나 끼워맞춤되므로 현저히 단순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로 스냅 체결될 수 있도록 가요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돌출부가 리세스부로 코킹될 수 있도록 가요적이다. 돌출부를 리세스부로 코킹시키는 것은 그들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시키는 강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1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2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안내하고 수용하는 안내 홈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보다 양호하게는, 안내 홈은 돌출부를 도입하는 개구를 갖는 제1 홈부와, 돌출부를 안내하는 제1 홈부와 연결된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홈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홈부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커버의 구조 부재는 돌출부를 보유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홀더는 제1 및 제2 결합 부품들 사이의 상대 운동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사이의 상대 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결합 부품들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시키는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2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1 결합 부품은 돌출부를 안내하고 수용하는 안내 홈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보다 양호하게는, 안내 홈은 돌출부를 도입하는 개구를 갖는 제1 홈부와, 돌출부를 안내하는 제1 홈부와 연결된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홈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홈부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은 돌출부를 보유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홀더는 제1 및 제2 결합 부품들 사이의 상대 운동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 사이의 상대 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결합 부품들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시키는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1 결합 부품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요성 판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 평행하고 제1 가요성 판부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2 가요성 판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L형 가요성 판을 포함하고, 이로써 제2 가요성 판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떨어지고, 그 간격에 대면하는 제2 가요성 판부의 내부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을 향하고 그 간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제2 결합 부품은 제2 가요성 판부를 도입하는 개구와, 제2 가요성 판부가 판 부재의 반대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1 가요성 판부를 안내하는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부가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부가 판 부재의 반대면에서 미끄러질 때 제2 가요성 판부 상에 제공된 돌출부가 스냅 체결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판 부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홈들을 포함하는 라인 세그먼트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 쇼크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를 수용할 때 기계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기계적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계적 스트레스의 완화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의 집중 방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커버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2 결합 부품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요성 판부와, 커버의 표면에 평행하고 제1 가요성 판부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2 가요성 판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L형 가요성 판을 포함하고, 이로써 제2 가요성 판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떨어지고, 그 간격에 대면하는 제2 가요성 판부의 내부면은 커버의 표면을 향하고 그 간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제1 결합 부품은 제2 가요성 판부를 도입하는 개구와, 제2 가요성 판부가 판 부재의 반대면에서 커버의 표면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1 가요성 판부를 안내하는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부가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부가 판 부재의 반대면에서 미끄러질 때 제2 가요성 판부 상에 제공된 돌출부가 스냅 체결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판 부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홈들을 포함하는 라인 세그먼트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 쇼크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를 수용할 때 기계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기계적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계적 스트레스의 완화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의 집중 방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커버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 부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커버의 구조 부재를 각각 부착시킬 수 있는 반대면들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제1 결합 부품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한 측면을 보유하는 회전 모듈 홀더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2 결합 부품은 홀더 지지체를 포함하고 그 홀더 지지체는 회전 모듈 홀더가 회전 모듈 홀더이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모듈 지지체를 기계식 및 선회식으로 지지하고 또한 회전 모듈 홀더를 소정 각으로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별도의 위치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 쇼크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를 수용할 때 기계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기계적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계적 스트레스의 완화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의 집중 방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커버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 모듈 홀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 부재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결합 부품들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회전 모듈 홀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한 측면을 따라 연장된 본체와, 그 본체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원통형 돌출부와, 그 본체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반면에 홀더 지지체는 본체의 반대 측면과 대면하는 한 쌍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는 회전 모듈 홀더의 본체를 선회식으로 지지하고 회전 모듈 홀더가 회전 모듈 홀더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제1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원형 구멍과, 제2 원통형 돌출부가 제2 원형 구멍들로 스냅 체결될 수 있어서 회전 모듈 홀더를 고정시키는 제2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2 원형 구멍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별도의 위치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 쇼크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를 수용할 때 기계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기계적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계적 스트레스의 완화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의 집중 방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커버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회전 모듈 홀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 부재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결합 부품들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전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양호하게는, 제2 결합 부품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반대 측면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한 측면에 보유하는 고정 모듈 홀더를 더 포함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고정 모듈 홀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덜컹거리는 소음없이 제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반대 측면을 회전 모듈 홀더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개인용 컴퓨터 커버의 구성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액정 모듈 장착 구조의 사시도이다. 액정 모듈(10)은 개인용 컴퓨터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저판(20)에 부착된다. 저판(20) 및 외부 프레임(30)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저판(20)은 액정 모듈(10)의 후방면에 대면한다. 액정 모듈(10)은 후방면에 대향하는 디스플레이 표면(10a)을 갖는다. 액정 모듈(10)은 커버의 저판과 외부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된다. 액정 모듈(10)은 이하의 새로운 액정 장착 구조에 의해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저판(20)에 이하의 부착 공구에 의해 부착된다.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어떻게 장착되고, 외부 프레임이 커버의 저판(20)에 어떻게 부착되는지가 설명되기 전에 액정 모듈(10)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액정 모듈의 개별적인 구성 부품의 사시도이다. 액정 모듈(10)은 전방 프레임(13),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 백 라이트 유닛(12), 후방 프레임(14), 인쇄 회로 기판(15)을 포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백 라이트 유닛(12)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백 라이트 유닛(12)의 적층이 전방 프레임(13)과 후방 프레임(14) 사이에 삽입되도록 적층된다. 전방 프레임(13) 및 후방 프레임(14)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결합된 전방 및 후방 프레임(13, 14)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백 라이트 유닛(12) 적층의 4 개의 주변 측면을 덮는다. 결합된 전방 및 후방 프레임(13, 14)은 액정 모듈(10)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드라이버 IC(15a)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15)을 구비한다. 인쇄 회로 기판(15)의 드라이버 IC(15a)는 가요성 배선 기판(15b)을 통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 회로 기판(15)의 드라이버 IC(15a)가 외부 장치로부터 유입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신호는 가요성 배선 기판(15b)을 통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로 전송되고, 이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 신호에 따른 액정 셀을 제어한다.
백 라이트 유닛(12)은 자체 바닥 측면을 따른 형광 램프(12a)를 수용한다. 형광 램프(12a)는 전원 단자(12b)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된다. 형광 램프(12a)은 백 라이트 유닛(12)의 바닥 측면으로부터 전파된 빛을 상부 측면으로 발광한다. 백 라이트 유닛(12)은 도시되지 않은 반사판을 또한 갖는다. 빛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형광 램프(12a)로부터 발광된다. 빛은 백 라이트 유닛(12)의 전면으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디스플레이 표면으로 일정하고 강하게 발광되고, 이에 의해 화상 및 형상은 액정 장치에 의해 조정된 광선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에 표시된다.
액정 모듈(10)의 조립에서, 가요성 배선 기판(15b)은 절첩되고 백 라이트 유닛(12)과 인쇄 회로 기판(15)을 고정하기 위한 후방 프레임(14) 사이에 삽입된다.
도5에서, 액정 모듈(10)은 결합 부품으로써 2개의 리세스부(18)를 각각 구비한 우측면 및 좌측면을 갖는다. 2개의 리세스부(18)는 서로 이격되고 액정 모듈(10)의 좌우측면의 각각의 대향 단부에서 대향 모서리에 밀착 위치된다. 특히, 4개의 리세스부(18)는 전후방 프레임(13, 14)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저판(20)은 내부 우측 및 좌측 림 면(20b, 20c)을 갖는 우측 및 좌측 림을 갖는다. 내부 우측 및 좌측 림 면(20b, 20c)은 2개의 리세스부(18) 상에 상응되는 부분에 2개의 가요성 돌출 부재(21)를 각각 구비하여 4개의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4개의 리세스부(18)와 결합된다. 각각의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가요성 크루(crew)부(22)가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될 수 있도록 내향 돌출된 가요성 크루부(22)를 갖는다. 각각의 가요성 크루부(22)가 내측으로부터 경사진 안내면(23)을 갖으므로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더 밀착되어 제작되면 가요성 돌출 부재(21)의 안내면(23)이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10b, 10c)과 압착되고 접촉되어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비스듬하게 되고, 그 다음 리세스부(18)는 가요성 돌출 부재(21)에 상응되는 부분 내로 인접하고,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가요성 크루부(22)가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되고, 이에 의해 제1 결합 부품으로써 리세스부(18)는 제2 결합 부품으로써의 가요성 돌출 부재(21)와 결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4개의 나사(40)의 사용에 의해 저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외부 프레임(30)의 4개의 코너 근방에서 4개의 나사 구멍(31)을 갖는다. 저부판(20)이 저부판(20)의 4개의 코너 근방, 즉 4개의 나사 구멍(3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4개의 나사 수용부(24)를 가져서, 외부 프레임(30)이 저부판(20)과 함께 따라오게 됨으로써, 4개의 나사(40)가 4개의 나사 구멍(31)으로부터 4개의 나사 수용부(24) 내로 나사 결합되어 외부 프레임(30)을 저부판(20)에 부착시킨다. 각각의 4개의 나사 수용부는 저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형상의 부분은 나사(40)가 삽입되는 나사 형성 구멍(25)을 갖는다.
도7은 액정 모듈에 제공된 리세스부 및 저판에 제공된 가요성 돌출 부재 사이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돌출 부재(21)의 가요성 크루부(22)는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된다. 각각의 가요성 크루부(22)가 내측으로부터 경사진 안내면(23)을 갖으므로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더 밀착되어 제작되면 가요성 돌출 부재(21)의 안내면(23)이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10b, 10c)과 압착되고 접촉되어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비스듬하게 되고, 그 다음 리세스부(18)는 가요성 돌출 부재(21)에 상응되는 부분 내로 인접하고,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가요성 크루부(22)가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되고, 이에 의해 제1 결합 부품으로써 리세스부(18)는 제2 결합 부품으로써의 가요성 돌출 부재(21)와 결합된다. 그 결과로, 액정 모듈(10)은 가요성 돌출 부재(21)와 리세스부(18) 사이 결합에 의해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액정 모듈(10)의 주변 부분 외부 프레임(30)과 저판(20) 사이에 삽입되도록 나사(40)에 의해 저판(20)에 추가로 부착되고, 이에 의해 액정 모듈(10)이 커버로 수용된다.
도5에서, 저판(20)은 서로 이격된 2개의 리세스(20a)를 갖는 바닥 림을 갖는다. 외부 프레임(30)은 2개의 리세스(20a)에 상응되는 부분에 2개의 리세스(30a)를 갖는 바닥 측면을 또한 갖는다. 리세스(20a, 30a)는 커버를 몸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 공구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액정 모듈(10)은 바닥 프레임(20)에 밀착되도록 위치되고 액정 모듈(10)은 바닥 프레임(20) 내로 밀린다.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더 밀착되어 제작되면 가요성 돌출 부재(21)의 안내면(23)이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10b, 10c)과 압착되고 접촉되어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비스듬하게 되고, 그 다음 리세스부(18)는 가요성 돌출 부재(21)에 상응되는 부분 내로 인접하고,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가요성 크루부(22)가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되고, 이에 의해 제1 결합 부품으로써 리세스부(18)는 제2 결합 부품으로써의 가요성 돌출 부재(21)와 결합된다. 그 결과로, 액정 모듈(10)은 가요성 돌출 부재(21)와 리세스부(18) 사이 결합에 의해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액정 모듈(10)의 주변 부분 외부 프레임(30)과 저판(20) 사이에 삽입되도록 나사(40)에 의해 저판(20)에 추가로 부착되고, 이에 의해 액정 모듈(10)이 커버로 수용된다.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측부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저판(20)의 좌우측 림의 내부면 상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단지 액정 모듈(10)을 바닥부(20) 내에 끼움으로써 가요성 돌출 부재(21)가 리세스부(18)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써 액정 모듈(10)을 좌우측 림을 통해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킬 수 있게 한다.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키는 이러한 신규한 장착 구조체는 전술한 종래의 장착 구조체의 나사 형성 구역을 제공할 필요가 전혀 없다. 즉,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키는 신규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는, 액정 모듈(10)을 커버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강도에 기초하여 액정 모듈(10)의 두께가 나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즉,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는 필요한 고정 또는 장착 강도는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는, 종래의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와 관련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구멍의 형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나사의 구동을 위한 측부 상의 여유부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액정 모듈(10)의 폭을 줄인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역광부 사이에 공간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이 없게 되면 액정 모듈(10)의 전체 면적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의 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액정 모듈(10)의 면적은 액정 모듈(10)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한정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추가로 이하의 장점이 제공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외부 프레임 몸체의 수지보다 더 무거운 금속 재료로 제작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외부 프레임을 위한 금속 재료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유부가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사 형성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은 이동 단말기가 드라이버 IC를 배열시키는 데 있어서의 한계와 관련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는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드라이버 IC의 최적의 신호선 배열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전기 회로 상의 단락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의 파편의 발생 가능성을 갖는 통상의 문제를 제거하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또한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이 나사 형성 구역에 집중되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액정 패널 및 외부 프레임이 가해진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슬라이드 금형이 커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다. 이는 제조 라인을 구성하는 비용의 절감을 의미한다.
액정 모듈(10)의 상기 신규한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을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데 편리한데, 이는 액정 모듈(10)의 측면들 상에 제공된 리세스 형성부(18)와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제공된 볼록부(52)가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부판(20) 내로 끼우는 단일 작업만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의 형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이 Mg 합금 등의 고강도 금속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Mg 합금은 비싸고 무겁고 성형성이 낮다.
도7에 도시된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7은 저판 상에 제공된 가요성 돌출 부재와 액정 모듈 상에 제공된 리세스부 사이의 변형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크루부(22)를 갖는 가요성 돌출 부재(21) 대신에 리세스부(1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바닥부의 우측 및 좌측 림의 내부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액정 모듈(10)이 바닥부에 끼워질 때, 크루부(22)가 리세스 리세스부(18) 내로 삽입된다. 가요성 돌출 부재(21)가 없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의 측부와 커버의 측부 사이의 공간은 감소된다.
결합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8b는 저판 상에 마련되는 가요성 돌출 부재와 액정 모듈 상에 마련되는 리세스부 사이의 다른 변형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리세스부(18) 대신에, 액정 모듈(10)의 측부면(10b)들로부터 연장되는 크루부(crew, 18a)가 구비된다. 크루부(18a)는 액정 모듈(10)의 측부면(10b)으로부터 연장되는 외향 돌출 만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크루부(22)가 구비된 가요성 돌출 부재(21) 대신에, 크루부(22)는 저판(20)의 좌우측 테두리의 내부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서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끼워지면, 크루부(22)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루부(18a)와 맞물린다. 가요성 돌출 부재(21)가 구비되지 않으면, 액정 모듈(10)의 측부면과 커버의 측부면 사이의 공간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좌우측 측부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저판(20)의 좌우측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된다. 추가의 변형예로서,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상하 측부면 상에 구비되고,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저판(20)의 상하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저판(20)의 좌우측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가요성 돌출 부재(21)가 외부 프레임(20)의 좌우측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좌우 측부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하부면(20)의 좌우측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액정 모듈(10)의 상하 측부면 상에 구비되고, 리세스부(18)는 커버의 저판(20)의 상하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좌우 측부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저판(20)의 좌우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액정 모듈(20)의 상하 측부면 상에 구비되고, 리세스부(18)는 커버의 외부 프레임(30)의 상하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좌우 측부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커버의 저판(20)의 좌우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가요성 돌출 부재(21)는 외부 프레임(30)의 상하 테두리부의 내부면 상에 구비되고,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상하 측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액정 모듈을 장착시키기 위한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좌우측 보강 부재(50)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또한 액정 모듈(10)을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액정 모듈(10)은 한 쌍의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에 장착된다.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저판(20)에 부착된다. 저판(20)과 외부 프레임(30)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저판(20)은 액정 모듈(10)의 후방면을 대면한다. 액정 모듈(10)은 후방면과 대향하는 디스플레이면(10a)을 갖는다. 액정 모듈(10)은 저판(20)과 커버의 외부 프레임(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액정 모듈(10)은 다음의 신규한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에 의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다음과 같은 부착 공구에 의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액정 모듈(10)의 구조는 제1 실시예 및 도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되므로, 이러한 이유로 액정 모듈(1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중복을 파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액정 모듈(10)은 결합 부품으로서 2개의 리세스부(18)가 각각에 구비되는 좌우 측부면을 갖는다. 2개의 리세스부(18)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액정 모듈(10)의 각 좌우 측부면의 대향 단부에서 대향한 코너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상기한 2개의 리세스부(18)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볼록부(52)를 각각 갖는 내부면을 갖고 있어서, 2개의 볼록부(52)가 2개의 리세스부(18)와 맞물리게 된다. 좌우측 보강 부재(50)가 저판(20)의 좌우측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가 저판(20)에 부착됨으로써,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끼워지면, 액정 모듈(10)의 좌우 측부면(10b, 10c)은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내부면들과 만나게 된다. 그 결과,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볼록부(52)는 액정 모듈(10)의 좌우 측부면(10b) 상에 형성된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된다.
외부 프레임(30)은 2개의 나사(40)를 사용함으로써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외부 프레임(30)의 4개의 코너 부근에 2개의 나사 구멍(31)을 갖는다. 각각의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그 대향 단부에서 외부 프레임(30)의 나사 구멍(31)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2개의 나사 구멍(51)을 갖는다. 저판(20)은 저판(20)의 4개의 코너 부근, 즉 2개의 나사 구멍(31) 및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나사 구멍(51)에 대응하는 지점에 4개의 나사 수용부(24)를 갖고 있어서, 외부 프레임(30)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 및 저판(20)과 조립되면, 4개의 나사 수용부(24)는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4개의 나사 구멍(51) 및 외부 프레임(30)의 나사 구멍(31)과 정렬되게 되고, 이로써 4개의 나사(40)는 4개의 나사 구멍(31)으로부터 나사 체결되고 4개의 나사 구멍(51)은 4개의 나사 수용부(24)로 나사 체결되어, 외부 프레임(30)을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저판(20)에 부착시키게 된다. 4개의 나사 수용부(24) 각각은 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부품을 포함한다.
도10은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 상에 구비되는 볼록부와 액정 모듈 상에 구비되는 리세스부 사이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부(18)가 볼록부(52)와 위치가 대응하게 되면, 볼록부(52)는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되고, 이로써 제1 결합 부품으로서의 리세스부(18)는 제2 결합 부품으로서의 볼록부(52)와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액정 모듈(10)은 볼록부(52와 리세스부(18)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나사(40)에 의해 저판(20)에 더욱 부착되어 액정 모듈(10)의 주연부는 외부 프레임(30)과 저판(20) 사이에 개재되고, 이로써 액정 모듈(10)은 커버 내에 수용되게 된다.
도9를 참조하여, 저판(20)은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리세스(20a)를 갖는 하부 테두리를 갖는다. 외부 프레임(30)은 또한 2개의 리세스(20a)에 대응하는 지점에 2개의 리세스(30a)를 갖는 하부 측면을 갖는다. 리세스(20a, 30a)는 커버를 본체에 힌지 연결시키는 힌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모듈(10)이 하부 프레임(20)에 더 가깝게 위치된 후에 액정 모듈(10)을 하부 프레임(20) 내로 가압한다. 리세스부(18)가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볼록부(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볼록부(52)는 리세스부(18) 내로 스냅 체결되고, 이로써 제1 결합 부품으로서의 리세스부(18)는 제2 결합 부품으로서의 볼록부(52)와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액정 모듈(10)은 볼록부(52)와 리세스부(1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나사(40)에 의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저판(20)에 더욱 부착되어, 액정 모듈(10)의 주연부는 외부 프레임(30)과 저판(20)의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들 사이에 보유됨으로써, 액정 모듈(10)은 커버 내에 수용된다.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며 액정 모듈(10)은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또한 액정 모듈(10)이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구비는 저판(20) 및 외부 프레임(30)의 기계 강도를 저하시킨다. 이는 저판(20)과 외부 프레임(30)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커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볼록부(52)는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마련된다. 즉, 볼록부(52)가 구비된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가 형성된다. 볼록부(52)가 구비된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는 저판(20)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저판(20)은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장착되게 하는 임의의 결합부가 구비되지 않고, 이로써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저판(20)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저판(20)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의 감소는 제조 비용의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액정 모듈(10) 상에 구비되는 리세스부(18)의 위치와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해도 저판(20)은 공통되는데, 그 이유는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구비되는 볼록부(52)는 리세스부(18)의 위치와 크기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제조 비용의 절감은 유지하면서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화시키고자 하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리세스부(18)는 액정 모듈(10)의 측부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볼록부(52)는 커버의 저판(20)의 좌우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의 내부면 상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단지 액정 모듈(10)을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 내에 끼움으로써 볼록부(52)가 리세스부(18)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써 액정 모듈(10)을 좌우측 금속 보강 부재(50)를 통해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킬 수 있게 한다.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키는 이러한 신규한 장착 구조체는 전술한 종래의 장착 구조체의 나사 형성 구역을 제공할 필요가 전혀 없다. 즉,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키는 신규한 장착 구조체는 나사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은, 액정 모듈(10)을 커버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강도에 기초하여 액정 모듈(10)의 두께가 나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즉,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는 필요한 고정 또는 장착 강도는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장착 구조체은, 종래의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와 관련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구멍의 형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나사의 구동을 위한 측부 상의 여유부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액정 모듈(10)의 폭을 줄인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역광부 사이에 공간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이 없게 되면 액정 모듈(10)의 전체 면적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의 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액정 모듈(10)의 면적은 액정 모듈(10)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유부가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사 형성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은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가 드라이버 IC(driver IC)를 배열시키는 데 있어서의 한계와 관련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는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드라이버 IC의 최적의 신호선 배열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전기 회로 상의 단락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의 파편의 발생 가능성을 갖는 통상의 문제를 제거하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또한 측면 장착형 액정 모듈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이 나사 형성 구역에 집중되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나사를 이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액정 패널 및 외부 프레임이 가해진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슬라이드 금형이 커버를 성형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다. 이는 제조 라인을 구성하는 비용의 절감을 의미한다.
액정 모듈(10)의 상기 신규한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을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데 편리한데, 이는 액정 모듈(10)의 측면들 상에 제공된 리세스 형성부(18)와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제공된 볼록부(52)가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부판(20) 내로 끼우는 단일 작업만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의 형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이 Mg 합금 등의 고강도 금속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Mg 합금은 비싸고 무겁고 성형성이 낮다.
도10에 도시된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11은 저부판 상에 제공된 볼록부와 액정 모듈 상에 제공된 리세스 형성부 사이의 변형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볼록부(52) 대신에 설부(53)가 리세스 형성부(18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직접 형성되어, 액정 모듈(10)이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에 끼워질 때, 설부(53)가 리세스 형성부(18b) 내로 삽입되도록 코킹된다. 볼록부(52)가 없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의 측부와 커버의 측부 사이의 공간은 감소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리세스 형성부(18)는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상에 제공되고, 볼록부(52)는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제공된다. 추가 변형예로서, 리세스 형성부(18b)는 액정 모듈(10)의 상부 및 저부 측면 상에 제공되고 볼록부(52)는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 상부 및 저부 금속 보강 부재 상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리세스 형성부(18)는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상에 제공되고, 볼록부(52)는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제공된다. 추가 변형예로서, 볼록부(52)는 액정 모듈(10)의 상부 및 저부 측면 상에 제공되고 리세스 형성부(18)는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리세스 형성부(18b)는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상에 제공되고, 볼록부(52)는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 우측 및 좌측 금속 보강 부재(50) 상에 제공된다. 추가 변형예로서, 볼록부(52)는 액정 모듈(10)의 상부 및 저부 측면 상에 제공되고 리세스 형성부(18b)는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 상부 및 저부 금속 보강 부재 상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2는 액정 모듈을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액정 모듈(10)은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저부판(20)에 장착된다. 저부판(20) 및 외부 프레임(30)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저부판(20)은 액정 모듈(10)의 후방면에 대면한다. 액정 모듈(10)은 후방면에 대향한 디스플레이 표면(10a)을 갖는다. 액정 모듈(10)은 커버의 저부판(20)과 외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액정 모듈(10)은 다음의 신규한 액정 장착 구조에 의해 커버의 저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다음의 부착 공구에 의해 커버의 저부판(20)에 부착된다.
액정 모듈(10)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도6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한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6에 대한 설명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다.
액정 모듈(10)은 우측부 및 좌측부를 갖는데, 각각의 측부에는 결합 부분으로서의 2개의 돌출부(16)가 제공된다. 2개의 돌출부(16)는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고 액정 모듈(10)의 각각의 우측부 및 좌측부의 대향 단부들에서 대향 코너들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상세하게 말하면, 4개의 돌출부(16)는 전방 프레임(13) 또는 후방 프레임(14) 중 하나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저부판(20)은 내측 우측 및 좌측 림면(20b, 20c)을 갖는 우측 및 좌측 림을 갖는다. 각각의 내측 우측 및 좌측 림면(20b, 20c)이 2개의 돌출부(16) 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2개의 안내 홈(26)을 가져서, 4개의 안내 홈(26)이 4개의 돌출부(16)와 결합된다. 각각의 안내 홈(26)은 제1 안내 홈부(26a)와 제1 안내 홈부(26a)와 연결된 제2 안내 홈부(26b)를 포함한다. 제1 안내 홈부(26a)는 저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안내 홈부(26b)는 저부판(20)의 우측 및 좌측 림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 안내 홈부(26b)가 제1 안내 홈부(26a)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L자형의 안내 홈(26)을 형성한다. 액정 모듈(10)이 저부판(20) 내로 가압될 때, 돌출부(16)가 안내 홈(26)의 제1 안내 홈부(26a)를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액정 모듈(10)이 저부판(20) 상으로 활주되어, 돌출부(16)가 안내 홈(26)의 제2 안내 홈부(26b)의 단부들과 접촉되게 될 때까지 안내 홈(26)의 제2 안내 홈부(26b)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돌출부(16)가 안내 홈(26)과 결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4개의 나사(40)의 사용에 의해 저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외부 프레임(30)의 4개의 코너 근방에서 4개의 나사 구멍(31)을 갖는다. 저부판(20)이 저부판(20)의 4개의 코너 근방, 즉 4개의 나사 구멍(3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4개의 나사 수용부(24)를 가져서, 외부 프레임(30)이 저부판(20)과 함께 따라오게 됨으로써, 4개의 나사(40)가 4개의 나사 구멍(31)으로부터 4개의 나사 수용부(24) 내로 나사 결합되어 외부 프레임(30)을 저부판(20)에 부착시킨다. 각각의 4개의 나사 수용부는 저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형상의 부분은 나사(40)가 삽입되는 나사 형성 구멍(25)을 갖는다.
저부판(20)은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리세스(20a)를 구비한 저부 림을 갖는다. 외부 프레임(30)도 2개의 리세스(20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2개의 리세스(30a)를 구비한 저부 측부를 갖는다. 리세스(20a, 30a)는 본체에 대해 커버를 힌지 작용시키는 힌지 공구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액정 모듈(10)은 저부 프레임(20)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다가, 액정 모듈(10)은 저부 프레임(20) 내로 가압된다. 액정 모듈(10)이 저부판(20)에 근접하게 될 때, 액정 모듈(10)의 돌출부(16)가 안내 홈(26)의 제1 안내 홈부(26a)를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액정 모듈(10)이 저부판(20) 상으로 활주되어, 돌출부(16)가 안내 홈(26)의 제2 안내 홈부(26b)의 단부들과 접촉되게 될 때까지 안내 홈(26)의 제2 안내 홈부(26b)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돌출부(16)가 안내 홈(26)과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액정 모듈(10)은 안내 홈(26)과 돌출부(16)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저부판(20)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의 외주부가 외부 프레임(30)과 저부판(20) 사이에 개재되도록 외부 프레임(30)이 나사(40)에 의해 저부판에 추가로 부착됨으로써, 액정 모듈(10)이 커버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16)가 액정 모듈(10)의 측면 상에 제공되고 안내 홈(26)이 커버의 저부판(20)의 우측 및 좌측 림의 내측면 상에 각각 제공되어,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부판(20) 내로 끼우기만 하면 안내 홈(26)이 돌출부(16)와 결합됨으로써, 액정 모듈(10)이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부판(20)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부판(20)에 장착하는 이러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상기된 종래 장착 구조의 나사 형성 구역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부판(20)에 장착하는 신규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없는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의 두께가 액정 모듈(10)을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데 필요한 강도에 기초하여 나사에 따라 결정되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 즉, 나사 없는 장착 구조는 필요한 고정 또는 장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없는 장착 구조는 종래의 측부 장착형 액정 모듈 장착 구조가 가졌던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 나사의 사용도 없고 나사 구멍의 형성도 없기 때문에 나사를 진입시키기 위한 측부 상의 여유가 필요 없어서, 액정 모듈(10)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백 라이트부(back-light portion)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액정 모듈(10)의 면적은 액정 모듈(10)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제한되지만, 공간이 없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의 면적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나사의 사용이 없기 때문에 다음의 장점이 추가로 제공된다. 나사의 사용이 없기 때문에 외부 프레임의 수지로 된 본체보다 무거운 금속 재료로 제조되었어야 했던 나사 구멍 형성부의 형성도 필요 없다. 외부 프레임을 위해 금속 재료의 사용이 없기 때문에 이동식 단자의 중량이 감소된다.
또한, 나사의 사용이 없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가 없다. 나사 구멍 형성부가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한 여유도 필요 없다. 이러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액정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사 형성부의 형성이 없기 때문에 드라이버 IC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제한을 갖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는 이동식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드라이버 IC의 신호 라인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구역의 형성이 없기 때문에 드라이버 IC의 신호 라인의 최적 설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금속 재료의 사용이 없기 때문에 전자 회로 상에서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었던 금속 파편의 발생 가능성을 갖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나사의 사용도 나사 형성 구역의 형성도 없기 때문에 측부 장착 액정 모듈이 장착된 이동식 단자가 외부 충격을 수용하면 수용된 충격으로 인한 역학적인 응력이 나사 형성 구역에 집중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이 추가로 제공된다. 나사의 사용도 나사 형성 구역의 형성도 없기 때문에 수용된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없는 액정 패널 및 외부 프레임이 제조될 수 있다.
이동식 단자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는 나사 수용부가 없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활주 주형이 커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는 제조 라인을 구성하는 비용이 감소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정 모듈(10)의 상기 신규한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을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데 편리한데, 이는 액정 모듈(10)의 측면들 상에 제공된 돌출부(16)와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부판(20) 상에 제공된 안내 홈(26)이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부판(20) 내로 끼우는 작업만에 의해 서로 결합된 다음에 저부판(20) 상으로 활주되는 액정 모듈(10)의 운동되기 때문이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의 형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이 Mg 합금 등의 고강도 금속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Mg 합금은 비싸고 무겁고 성형성이 낮다.
도12에 도시된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13은 저부판 상에 제공된 돌출부와 액정 모듈 상에 제공된 안내 홈 사이의 변형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액정 모듈(10)은 우측부 및 좌측부를 갖고, 각각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는 결합 부분으로서의 2개의 안내 홈(17)이 제공된다. 2개의 안내 홈(17)은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고 액정 모듈(10)의 각각의 우측부 및 좌측부의 대향 단부들에서 대향 코너들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각각의 안내 홈(17)은 L자 형상이고, 제1 안내 홈부와 제1 안내 홈부와 연결된 제2 안내 홈부를 포함한다. 안내 홈(17)의 제1 안내 홈부는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 홈(17)의 제2 안내 홈부는 액정 모듈(10)의 우측부 및 좌측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안내 홈(17)의 제2 안내 홈부는 L자 형상의 안내 홈(17)을 형성하도록 안내 홈(17)의 제1 안내 홈부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저부판(20)은 내측 우측 및 좌측 림면(20b, 20c)을 갖는 우측 및 좌측 림을 갖는다. 각각의 내측 우측 및 좌측 림면(20b, 20c)가 상기 2개의 안내 홈(2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2개의 돌출부(27)를 가져서, 4개의 돌출부(27)가 4개의 안내 홈(26)으로 결합된다. 액정 모듈(10)이 저부판(20) 내로 가압될 때, 액정 모듈(10)의 안내 홈(17)의 제1 안내 홈부는 저부판(20)의 돌출부(27)를 수용한다. 다음에, 액정 모듈(10)이 저부판(20) 상으로 활주되어, 저부판(20)의 돌출부(27)가 안내 홈(17)의 제2 안내 홈부의 단부들과 접촉되게 될 때까지 액정 모듈(10)의 안내 홈(17)의 제2 안내 홈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저부판(20)의 돌출부(27)가 액정 모듈(10)의 안내 홈(17)과 결합된다.
도12에 도시된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더 변경될 수도 있다. 도14는 액정 모듈 상에 마련된 돌출부와 저판 상에 마련된 안내홈 사이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단편 단면도이다. 액정 모듈(10)은 결합부로서 두개의 돌출부(16)를 각각 구비하는 우측면 및 좌측면을 갖는다. 두개의 돌출부(16)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각각의 대향단들에서 대향 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저판(20)은 내측 우측면(20b) 및 좌측면(20c)을 갖는 우측 림 및 좌측 림을 갖는다. 각각의 내측 우측 림면(20b) 및 좌측 림면(20c)은 상기 두개의 돌출부(16)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두개의 안내홈(26)을 가지며, 이로써 4개의 안내홈(26)이 4개의 돌출부(16)에 결합된다. 각각의 안내홈(26)은 제1 안내홈부(26a) 및 이 제1 안내홈부에 연결된 제2 안내홈부(26b)를 포함한다. 제1 안내홈부(26a)는 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안내홈부(26b)는 저판(20)의 우측 및 좌측 림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 안내홈부(26b)는 제1 안내홈부(26a)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L형상의 안내홈(26)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안내홈(26)은 L형상의 안내홈(26)의 모서리 공동 내에서 제2 안내홈부(26b)에 핀치를 형성하도록 탄성 부재(26c)를 갖는다. 액정 모듈(10)이 저판(20) 안으로 밀려나면, 돌출부(16)가 안내홈(26)의 제1 안내홈부(26a)를 통해서 삽입된다. 또한, 액정 모듈(10)은 저판(20) 상으로 활주하여서 돌출부(16)가 안내홈(26)의 제2 안내홈부(26b)를 따라 이동하며, 여기서 돌출부(16)들은 탄성 부재(26c)의 좁은 부분에 접촉하게 되어서 탄성 부재(26c)의 좁은 부분이 개방되어 넓어지게 되어서 돌출부(16)가 안내홈(26)의 제2 안내홈부(26b)에 들어가게 해준다. 액정 모듈(10)은 돌출부(16)가 안내홈(26)의 제2 안내홈부(26b)에 수용된 탄성 부재(26c)의 단부들에 접촉할 때까지 저판(20) 상에서 활주하고, 개방된 탄성 부재(26c)는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와서 좁게 되거나 핀치부를 갖게 되며, 이로써 돌출부(16)는 안내홈(26)에 결합하게 되고 탄성 부재(26c)의 좁은 또는 핀치부는 돌출부(16)가 제1 안내홈부(26a)로부터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12에 도시된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더 변경될 수도 있다. 도15는 액정 모듈 상에 마련된 L형 돌기편과 저판 상에 마련된 상자형 결합부 사이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단편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결합 구조의 단편 단면도이다. 액정 모듈(10)은 결합부로서 두개의 L형 돌기편(19)을 각각 구비하는 우측면 및 좌측면을 갖는다. 두개의 L형 돌출부(19)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각각의 대향단들에서 대향 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각각의 L형 돌기편(19)은 액정 모듈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평행한 돌출 전방부를 갖는다. 각각의 L형 돌기편(19)의 돌출 전방부는 볼록부(19a)를 갖는다. 저판(20)은 4개의 L형 돌기편(19)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상자형 결합부(28)를 갖고 있다. 각각의 상자형 결합부(28)는 정방형 개구부(28a), 이 개구부에 연결된 안내홈(28b), 상기 개구부 및 안내홈에 인접한 고정벽(28c) 및 이 고정벽에 형성된 구멍(28d)을 갖는다. 정방형 개구부(28a)는 L형 돌기편(19)의 돌출 전방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이로써 L형 돌기편(19)의 돌출 전방부가 정방형 개구부(28a)를 통해서 상자형 결합부(28)에 도입될 수 있게 된다. L형 돌기편(19)은 돌출 기부와 이 돌출 기부에 의해 지지된 돌출 전방부를 포함한다. 돌출 기부는 돌출 전방부에 수직하게 되도록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홈(28b)은 L형 돌기편(19)의 돌출 전방부가 정방형 개구부(28a)를 통해서 상자형 결합부(28)에 도입된 후에 액정 모듈(10)이 저판(20) 상으로 활주할 때 L형 돌기편(19)의 돌출 기부가 안내홈(28b)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폭을 갖는다. 액정 모듈(10)을 저판(20) 상으로 활주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L형 돌기편(19)의 돌출 기부가 안내홈(28b)을 따라 이동할 때 L형 돌기편(19)의 돌출 기부가 상자형 결합부(28)의 고정벽(28c)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돌출 전방부 상의 볼록부(19a)가 상자형 결합부(28)의 구멍(28d) 안에 스냅 체결되어서 4개의 상자형 결합부(28)가 L형 돌기편(19)에 결합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L형 돌출부(19)는 액정 모듈(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상에 마련된 반면에 상자형 결합부(28)는 커버의 저판(20) 상에 마련된다. 또 다른 변경으로서, L형 돌기편(19)은 액정 모듈(10)의 상부면 및 바닥면 상에 마련할 수 있으며, 상자형 결합부(28)를 커버의 저판(20)에 마련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액정 모듈(10)을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하는 액정 모듈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한쌍의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액정 모듈(10)을 장착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액정 모듈(10)은 한쌍의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저판(20) 및 외부 프레임(30)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저판(20)은 액정 모듈(10)의 후방면에 대면한다. 액정 모듈(10)은 후방면에 대향하는 디스플레이 표면(10a)을 갖는다. 액정 모듈(10)은 저판(20)과 커버의 외부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된다. 액정 모듈(10)은 어떠한 장착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우측 및 좌측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은 이의 우측면 및 좌측면이 우측 및 좌측 금속 부재(29)에 긴밀하게 끼워질 때까지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따라 활주하며, 이로써 액정 모듈(10)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다음의 부착 공구에 의해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액정 모듈(10)의 구조는 도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따라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액정 모듈(1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프레임(30)은 4개의 나사(40)를 사용하여 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이의 4개의 모서리 공동에 4개의 나사 구멍(31)을 갖는다. 저판(20)은 이의 4개의 모서리 공동에, 즉 4개의 나사 구멍(31)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나사 수용부(24)를 가지며, 이로써 외부 프레임(30)이 저판(20)과 함께 이동될 때 4개의 나사 수용부(24)가 외부 프레임(30)의 4개의 나사 구멍(31)에 정렬되어서 4개의 나사(40)가 4개의 나사 구멍(31)으로부터 4개의 나사 수용부(24)까지 나사 체결되어서 외부 프레임(30)을 저판(20)에 부착하게 된다. 각각의 4개의 나사 수용부(24)는 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는 나사(40)가 삽입되게 되는 나사형성 구멍(25)을 갖는다.
도18은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들과 액정 모듈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편 단면도이다. 액정 모듈(10)은 어떠한 부착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은 이의 우측면 및 좌측면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긴밀하게 끼워질 때까지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따라 활주하며, 이로써 액정 모듈(10)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다음의 부착 공구에 의해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도17을 다시 보면, 저판(20)은 서로 이격된 두개의 리세스(20a)를 갖춘 바닥 림을 갖는다. 외부 프레임(30)은 두개의 리세스(2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두개의 리세스(30a)를 갖는 바닥면도 갖고 있다. 리세스(20a, 30a)는 커버를 본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 공구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액정 모듈(10)은 어떠한 부착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은 이의 우측면 및 좌측면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긴밀하게 끼워질 때까지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따라 활주하며, 이로써 액정 모듈(10)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나사(40)에 의해 저판(20)에도 부착되며, 이로써 액정 모듈(10)의 주연부가 외부 프레임(30)과 저판(20) 사이에 협지되고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 사이에 유지되게 되어 액정 모듈(10)이 커버에 수용되게 된다.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액정 모듈(10)은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배 부재(29)를 통해서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액정 모듈(10)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통해서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마련하면 저판(20)과 외부 프레임(30)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켜도 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저판(20) 및 외부 프레임(3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해주어서 커버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해준다는 의미이다.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저판(20)에 부착되며, 그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저판(20)이 액정 모듈(10)이 저판(20)에 장착될 수 있게 해주는 어떠한 결합부도 갖지 않으며, 이로써 플라스틱제의 저판(20)을 성형하는 데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저판(20)을 성형하는 데 필요한 성형 공정의 수를 감소시키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는 커버의 저판(20)에 각각 부착되며, 이로써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따라 그리고 저판(20) 상으로 활주하도록 된 액정 모듈(10)의 이동만이 액정 모듈(10)을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통해서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하게 된다.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하는 이러한 새로운 장착 구조는 상기에 설명한 종래의 장착 구조의 나사형성 구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하는 이러한 새로운 장착 구조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없는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액정 모듈(10)을 커버에 긴밀하게 고정하는 데 필요한 강도에 기초하여 나사에 따라 결정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한다. 즉, 나사 없는 장착 구조는 필요한 고정 또는 장착 강도는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없는 장착 구조는 종래의 측면 장착식 액정 모듈 장착 구조에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구멍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나사를 구동하기 위해 측면부 상에 여유부를 둘 필요가 있어서 액정 모듈(10)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백라이트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공간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의 영역이 액정 모듈(10)이 장착되게 되는 커버에 의해 제한되더라도 액정 모듈(10)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 영역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가 필요 없다. 나사 구멍 형성부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여유부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어떠한 나사 형성부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를 드라이버 IC를 배치함에 따른 제한과 관련한 종래의 문제로부터 자유롭게 해준다. 이는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을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회로를 단락시킬 수 있는 금속 파편이 생성되는 것과 관련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측면 장착 액정 모듈로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의 충격을 받아서 이러한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이 나사 형성 구역에 집중되는 경우와 관련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 형성 구역을 형성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액정 패널 및 외부 프레임이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로써 커버를 형성하는 활주 주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제조 라인을 구성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상기에 설명한 액정 모듈(10)의 새로운 장착 구조는,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홈(29)을 따라 활주하도록 그리고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판(20) 상으로 활주하도록 액정 모듈(10)을 이동시키는 단일 작동에 의해서만 액정 모듈(10)이 우측 및 좌측 금속 안내 부재(29)를 통해서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판(20)에 장착되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을 커버로부터 제거하기가 편리하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영역을 값비싸고 무거우며 낮은 성형성을 갖는 Mg 등의 고강도 금속을 사용하여 강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액정 모듈을 개인용 컴퓨터의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액정 모듈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접착 테이프(41) 세트는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부착하기 위해 저판(20) 상에 마련된다.
액정 모듈(10)은 4개의 접착 테이프(41) 세트를 거쳐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된다. 4개의 접착 테이프(41)는 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저판(20)에 부착된다. 저판(20) 및 외부 프레임(30)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4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갖춘 저판(20)은 액정 모듈(10)의 후방면에 대면한다. 액정 모듈(10)은 후방판의 반대쪽에 디스플레이 표면(10a)을 갖는다. 액정 모듈(10)은 저판(20)과 커버의 외부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된다. 액정 모듈(10)은 어떠한 다른 장착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4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서 저판(20)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은 저판(20)으로 밀려나서 액정 모듈(10)의 후방면이 4개의 접착 테이프(41)에 접촉하여 이에 부착되며, 이로써 액정 모듈(10)이 4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다음의 부착 수단에 의해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액정 모듈(10)의 구조는 도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액정 모듈(1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프레임(30)은 네 개의 나사(40)에 의해 저판(20)에 부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외부 프레임(30)의 네 개의 코너 근처에 네 개의 나사 구멍(31)을 갖는다. 저판(20)은 저판(20)의 네 개의 코너 근처에, 즉 네 개의 나사 구멍(31)의 대응 위치에 네 개의 나사 수납부(24)를 가져서, 외부 프레임(30)이 저판(20)과 서로 접촉하게 될 때, 네 개의 나사 수납부(24)는 외부 프레임(30)의 네 개의 나사 구멍(31)에 정렬되며, 이로 인해 외부 프레임(30)을 저판(20)에 부착시키기 위해 네 개의 나사(40)는 네 개의 나사 구멍(31)으로부터 네 개의 나사 수납부(24)로 나사 체결된다. 각각의 네 개의 나사 수납부(24)는 저판(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부분은 나사(40)가 삽입되는 나사 구멍(25)을 갖는다.
도20은 접착 테이프에 의한 액정 모듈과 저판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액정 모듈(10)은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에 부착되어서 어떠한 장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정 모듈(10)을 저판(20)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을 저판(20)으로 밀게 되면, 액정 모듈(10)의 배면이 접착 테이프(41)에 부착됨으로써, 액정 모듈(10)은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에 의해 커버의 저판(20)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다음의 부착 공구에 의해 커버의 저판(20)에 부착된다.
도19를 참조하면, 저판(20)은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리세스(20a)를 갖는 바닥 림을 갖는다. 외부 프레임(30)은 두 개의 리세스(20a)의 대응 위치에 두 개의 리세스(30a)를 갖는 바닥 측면도 갖는다. 리세스(20a, 30a)는 커버를 본체에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모듈(10)은 어떠한 장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 저판에 장착된다. 액정 모듈(10)은 액정 모듈(10)의 좌우측이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와 단단하게 접합될 때까지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따라 면해있으며, 이에 의해 액정 모듈(10)은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에 장착된다. 외부 프레임(30)은 액정 모듈(10)의 외주부가 외부 프레임(30) 및 저판(20)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 사이에 유지되도록 나사(40)에 의해서도 저판(20)에 부착되어서, 액정 모듈(10)은 커버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접착 테이프(41)는 접착제가 도포된 양 면을 갖는 고무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는 저판(20)과 액정 모듈(10)의 배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해서, 저판(20)이 액정 모듈(10)의 배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액정 모듈(10)을 저판(2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액정 모듈(100의 진동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는 액정 모듈(10)이 커버의 저판(20)에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 장착되도록 제공된다.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는 저판(20)에 부착되며, 이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저판(20)에는 액정 모듈을 저판(20)에 장착하기 위한 어떠한 결합부도 없고, 이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저판(20)을 성형하기 위한 필수 성형 공정의 수는 저감될 수 있다. 저판(20)을 성형하기 위한 필수 성형 공정의 수를 저감시키게 되면 제조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의 저판(20)에 각각 부착되는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는, 액정 모듈(10)이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따라 저판(20) 위로 활주하는 이동을 하는 경우에만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 액정 모듈(10)을 장착시키도록 제공된다. 액정 모듈(2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키기 위한 이러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상술한 종래의 장착 구조의 나사 형성 영역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액정 모듈(2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20)에 장착시키기 위한 이러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의 두께가 커버에 액정 모듈(10)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힘에 기초해서 나사에 따라 결정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갖고 있지 않다. 즉, 무나사 장착 구조는 필수 고정 또는 장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는 종래의 측면 장착식 액정 모듈 장착 구조가 갖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구멍을 성형하지 않게 되면 나사를 구동시키기 위한 측면부 상의 가장자리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서, 액정 모듈(10)의 폭을 얇게 한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역광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공간이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의 영역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액정 모듈(10)의 영역도 액정 모듈(10)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나사 구멍 형성부가 없다면 가장자리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장자리가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나사 형성부를 성형하지 않게 되면 이동 단말기는 드라이버 IC를 배치함에 있어서의 제한을 받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이것은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영역이 없게 되면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최적 배치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금속 파편을 생성할 수도 있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자 회로 상에 짧은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측면 장착 액정 모듈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는 나사 형성 영역에 집중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도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액정 패널과 외부 프레임이 외부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로 인해 커버를 형성하는 데 슬라이드 금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제조 라인의 형성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신규한 액정 모듈(10)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이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판(20)에 장착되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 저판(20)상으로 미는 단일 작업에 의해서만 액정 모듈(10)을 커버로부터 제거하기가 편리하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의 형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이 Mg 합금 등의 고강도 금속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Mg 합금은 비싸고 무겁고 성형성이 낮다.
제6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에서 액정 모듈을 퍼스널 컴퓨터의 커버의 바닥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액정 모듈 장착 구조를 갖는 저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2는 커버의 저판에 부착된 회전 홀더에 의해 유지된 액정 모듈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커버(102)는 액정 모듈(10)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 홀더(61) 및 저판(60)을 갖는다. 회전 홀더(61)는 저판(60)의 한 측면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저판(60)은 제1 대향면들 상에 두 측벽(60a)을 갖는다. 회전 홀더(61)는 저판(61)의 제2 대향면들중 하나에 부착된다. 래치 부재(62)는 저판(61)의 제2 대향면들중 다른 곳에 제공된다. 래치 부재(62)는 액정 모듈(10)의 상면과 접촉하는 루프를 갖는다. 래치 부재(62)는 액정 모듈(10)을 회전 홀더(61)쪽으로 미는 탄성 부재(63)를 갖는다. 저판(60)의 각 측벽은 저판(60)의 제1 대향면들중 하나의 근처에 대경 구멍(60b) 및 소경 구멍(60c)을 갖는다. 회전 홀더(61)는 각각 저판(60)의 대경 구멍(60b)에 결합된 대경 돌출부(61a) 및 저판(60)의 소경 구멍(60c)에 결합된 소경 돌출부(61d)를 갖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들(61c)을 갖는 가느다란 상자형 부재를 갖는다. 저판(60)의 대경 구멍(60b)에 대경 돌출부(61a)를 결합시키게 되면 회전 홀더(61)가 제1 대향면들중 하나에 평행하게 연장된 축의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 홀더(61)는 액정 모듈(10)의 한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가느다란 상자형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모듈 지지판(61b)도 갖는다. 액정 모듈(10)의 한 측면은 상부 및 하부 모듈 지지판(61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회전 홀더(61)가 저판(61b)에 평행하게 놓이게 되면, 소경 돌출부(61d)는 저판(60)의 측벽의 소경 구멍(60c)에 스냅 결합되고, 회전 홀더(61)에 의해 유지된 액정 모듈(10)도 놓이게 되어서, 액정 모듈(10)은 래치 부재(62)에 의해 래치 결합됨으로써, 액정 모듈(10)은 탄성 부재(63)에 의해 회전 홀더(61)로 밀리게 된다. 또한, 저판(60)의 측벽(60a)들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래치 부재(62)를 갖는 측면의 근처에서 좁게 제조되어서, 회전 홀더(61)에 의해 유지되는 액정 모듈(10)도 놓여지게 되고 액정 모듈(10)은 적어도 래치 부재를 갖는 측면 근처에서 저판(60)의 측벽(60a)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된다. 결국, 액정 모듈(10)은 회전 홀더(61)에 의해 커버의 저판(60)에 고정 장착된다. 탄성 부재(63)는 고무 재료 또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홀더(61)는 액정 모듈(10)을 수용하는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액정 모듈(10)이 커버의 저판(60)에 회전 홀더(61)를 거쳐 장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회전 홀더(61)의 제공은 저판(60)의 기계적 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저판(6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커버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전 홀더(61)는 저판(60)에 부착되며, 그 이유로 해서 저판(60)은 액정 모듈(10)을 저판(60)에 장착하기 위한 어떠한 결합부도 없고, 이로 인해 저판(60)을 성형하기 위한 필수 성형 공정의 수는 저감될 수 있다. 저판(60)을 성형하기 위한 필수 성형 공정의 수를 저감시키게 되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60)에 장착하기 위한 신규한 구조는 상술한 종래의 나사 형성 영역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서의 저판(60)에 장착시키기 위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구조는 액정 모듈(10)의 두께가 커버에 액정 모듈(10)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힘에 기초해서 나사에 따라 결정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갖고 있지 않다. 즉, 무나사 장착 구조는 필수 고정 또는 장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액정 모듈(10)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 장착 구조는 종래의 측면 장착식 액정 모듈 장착 구조가 갖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구멍을 성형하지 않게 되면 나사를 구동시키기 위한 측면부 상의 가장자리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서, 액정 모듈(10)의 폭을 얇게 한다. 또한, 외부 프레임과 역광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공간이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전체 부분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면의 영역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액정 모듈(10)의 영역도 액정 모듈(10)이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액정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 형성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나사 구멍 형성부가 없다면 가장자리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장자리가 없게 되면 액정 모듈의 두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나사 형성부를 성형하지 않게 되면 이동 단말기는 드라이버 IC를 배치함에 있어서의 제한을 받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이것은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나사 형성 영역이 없게 되면 드라이버 IC의 신호선의 최적 배치를 얻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전기 회로 상의 단락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의 파편의 발생 가능성을 갖는 통상의 문제를 제거하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측면 장착 액정 모듈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충격을 받게 되는 경우 그 충격으로 바닥 기계적 스트레스는 나사 형성 영역에 집중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도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나사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액정 패널과 외부 프레임이 수용된 충격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이동 단말기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이로 인해 커버를 형성하는 데 슬라이드 금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제조 라인의 형성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신규한 액정 모듈(10)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10)이 네 개의 접착 테이프(41)를 거쳐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의 저판(20)에 장착되기 때문에, 액정 모듈(10)을 커버의 구조적 프레임으로서 저판(20)상으로 미는 단일 작업에 의해서만 액정 모듈(10)을 커버로부터 제거하기가 편리하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나사 수용부의 형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사 구멍 형성 구역이 Mg 합금 등의 고강도 금속의 사용에 의해 고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Mg 합금은 비싸고 무겁고 성형성이 낮다.
상술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액정 모듈을 이동식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액정 모듈을 임의의 다른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신규한 장착 구조는 이동식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동식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임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조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이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개조는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액정 모듈이 장착된 커버의 크기 및 무게 감소를 허용하고, 커버의 조립에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54)

  1. 액정 모듈을 이동 단말기의 커버에 장착하는 장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조체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 상에 제공되고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의 일 측면 상에 제공되어, 쌍을 이룬 제1 및 제2 결합부는 액정 모듈을 커버의 구조 부재 내로 끼워맞춤으로써만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제공되어, 복수개의 제1 결합부가 액정 모듈의 측면들 상에 제공되고 복수개의 제2 결합부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들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서로에 대해 직각이고 액정 모듈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수직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을 따라 부착된 보강 부재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리세스부 내로 스냅 체결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리세스부 내로 코킹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리세스부 내로 스냅 체결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0.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리세스부 내로 코킹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안내하고 수용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안내 홈은 돌출부를 도입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1 홈 부분과, 돌출부를 안내하도록 제1 홈 부분과 연결된 제2 홈 부분을 포함하며, 제1 홈 부분은 커버의 구조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홈 부분은 제1 방향에 대해 직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의 종축을 따라서도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커버의 구조 부재는 돌출부를 보유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안내하고 수용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안내 홈은 돌출부를 도입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1 홈 부분과, 돌출부를 안내하도록 제1 홈 부분과 연결된 제2 홈 부분을 포함하며, 제1 홈 부분은 액정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홈 부분은 제1 방향에 대해 직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액정 모듈의 측면의 종축을 따라서도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액정 모듈의 측면은 돌출부를 보유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7.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L자형 가요성 판을 포함하고, L자형 가요성 판은 액정 모듈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액정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요성 판 부분과, 제1 가요성 판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액정 모듈의 일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을 포함하며, 제2 가요성 판 부분은 액정 모듈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소정 공간만큼 분리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대면하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의 내부면은 상기 공간 내로 그리고 액정 모듈의 상기 표면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며; 제2 결합부는 판 부재를 포함하고, 판 부재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을 도입시키는 개구와, 제2 가요성 판 부분이 판 부재의 대향 표면 상에서 액정 모듈의 상기 표면으로 활주하도록 제1 가요성 판 부분을 안내하기 위해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 부분이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 부분이 판 부재의 대향 표면 상에서 활주할 때 제2 가요성 판 부분 상에 제공된 돌출부가 내부에 스냅 체결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8. 제1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L자형 가요성 판을 포함하고, L자형 가요성 판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요성 판 부분과, 제1 가요성 판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커버의 일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을 포함하며, 제2 가요성 판 부분은 커버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소정 공간만큼 분리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대면하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의 내부면은 상기 공간 내로 그리고 커버의 상기 표면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며; 제1 결합부는 판 부재를 포함하고, 판 부재는 제2 가요성 판 부분을 도입시키는 개구와, 제2 가요성 판 부분이 판 부재의 대향 표면 상에서 커버의 상기 표면으로 활주하도록 제1 가요성 판 부분을 안내하기 위해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 부분이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 부분이 판 부재의 대향 표면 상에서 활주할 때 제2 가요성 판 부분 상에 제공된 돌출부가 내부에 스냅 체결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19.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액정 모듈 및 커버의 구조 부재 각각을 접착시킬 수 있는 대향 표면들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0.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을 보유 유지하기 위한 회전식 모듈 홀더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회전식 모듈 홀더가 회전식 모듈 홀더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회전식 모듈 홀더를 소정 각도에서 고정하도록 회전식 모듈 홀더를 기계적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1. 제20항에 있어서, 회전식 모듈 홀더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원통형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홀더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과 대면하는 한 쌍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판 부재는 회전식 모듈 홀더의 본체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식 모듈 홀더가 회전식 모듈 홀더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제1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원형 구멍과, 제2 원통형 돌출부가 내부에서 스냅 체결되게 하여 회전식 모듈 홀더를 고정시키도록 제2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2 원형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액정 모듈의 일 측면에 대해 액정 모듈의 대향 측면을 보유 유지하는 고정 모듈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3.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모듈 홀더는 액정 모듈의 대향 표면을 회전식 모듈 홀더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4. 제1항에 따른 장착 구조체에 의해 액정 모듈을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장치용 커버.
  25. 제24항에 의한 커버와 몸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26. 액정 모듈을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에 있어서,
    액정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접착 테이프를 통해 커버의 저판부에 부착되도록, 액정 모듈의 후방 표면과 커버의 저판부를 각각 부착할 수 있는 양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7. 제26항에 있어서, 복수의 접착 테이프가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28. 장치용 커버에 있어서,
    청구항 26항에 의한 장착 구조체에 의해 액정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29. 청구항 제28항에 의한 커버와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30.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 단말기의 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의 구조 부재로 끼움으로써만 상기 제1 및 제2 쌍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부의 복수의 쌍은 복수의 제1 결합부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제공되고 복수의 제2 결합부가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에 제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부의 복수의 쌍은 서로 수직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수직한 제1 및 제2 방향으로 대칭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3. 제30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을 따라 부착된 보강 부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4. 제30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부 내로 스냅 체결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부내에 코킹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7. 제30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부 내로 스냅 체결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부내에 코킹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0. 제30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를 안내 및 수납하기 위한 안내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돌출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를 갖는 제1 홈부와,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1 홈부와 연결된 제2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홈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홈부는 커버의 구조 부재의 측면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2. 제40항에 있어서, 커버의 구조 부재는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3. 제30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를 안내 및 수납하기 위한 안내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돌출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를 갖는 제1 홈부와,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1 홈부와 연결된 제2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홈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홈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5. 제4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은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6. 제30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L자형 가요성 판을 구비하고,
    상기 L자형 가요성 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판부와, 공간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공간을 향하는 그 내부 표면이 상기 공간 내로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가요성 판부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가요성 판부를 더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는 제2 가요성 판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와, 상기 제2 가요성 판부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 대한 상기 판 부재의 대향 표면으로 활주시킬 수 있도록 제1 가요성 판부를 안내하기 위한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부가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부가 판 부재의 대향 표면을 활주할 때 제2 가요성 판부 상에 제공된 돌출부를 그 내부로 스냅 체결하기 위한 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7. 제30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L자형 가요성 판을 구비하고,
    상기 L자형 가요성 판은 커버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커버의 구조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판부와, 공간에 의해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공간을 향하는 그 내부 표면이 상기 공간 내로 그리고 커버의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도록 커버의 표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가요성 판부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가요성 판부를 더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는 제2 가요성 판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와, 상기 제2 가요성 판부를 커버의 표면에 대한 상기 판 부재의 대향 표면으로 활주시킬 수 있도록 제1 가요성 판부를 안내하기 위한 개구와 연결된 안내 홈과, 제1 가요성 판부가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고 제2 가요성 판부가 판 부재의 대향 표면을 활주할 때 제2 가요성 판부 상에 제공된 돌출부를 그 내부로 스냅 체결하기 위한 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8. 제30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의 구조 부재를 각각 부착할 수 있는 양 표면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49. 제30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측면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식 모듈 홀더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회전식 모듈 홀더를 그 종방향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식 모듈 홀더를 기계적으로 회동 지지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상기 회전식 모듈 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50. 제49항에 있어서, 회전식 모듈 홀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한 쌍의 제1 원통형 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한 쌍의 제2 원통형 돌출부를 구비하며; 홀더 지지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다른 측면을 향하는 한 쌍의 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판 부재는 회전식 모듈 홀더의 몸체를 회동 지지하고 회전식 모듈 홀더를 그 종방향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원통형 돌출부를 수납하는 한 쌍의 제1 원형 구멍과, 제2 원통형 돌출부를 제2 원형 구멍 내로 스냅 체결시켜 회전식 모듈 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원통형 돌출부를 수납하는 제2 원형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51. 제50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향 측면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측면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식 모듈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52. 제51항에 있어서, 고정식 모듈 홀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향 측면을 회전식 모듈 홀더를 향해 압착하기 위한 압착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체.
  53. 청구항 제30항에 의한 장착 구조체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장치용 커버.
  54. 청구항 제53항에 의한 커버와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00007732A 1999-02-18 2000-02-18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 및 이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장착된 이동 단말기 KR20000058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40640 1999-02-18
JP4064099 1999-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094A true KR20000058094A (ko) 2000-09-25

Family

ID=1258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732A KR20000058094A (ko) 1999-02-18 2000-02-18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 및 이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장착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654078B1 (ko)
KR (1) KR20000058094A (ko)
TW (1) TW4693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4714C (zh) * 2002-09-03 2007-12-12 三星电子株式会社 平板显示装置
KR101431154B1 (ko) * 2007-11-08 2014-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0799B2 (ja) * 1999-04-07 2006-01-05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TWI319526B (en) * 2001-07-10 2010-01-11 Fujitsu Ltd Plane unit structure, portable computer and display unit (2)
TW545611U (en) * 2002-01-22 2003-08-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housing thereof
US6809713B2 (en) * 2002-02-27 2004-10-26 Ching-Lung Peng Aluminum-extruded LCD frame
JP2003279935A (ja) * 2002-03-25 2003-10-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3990193B2 (ja) * 2002-05-30 2007-10-10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225748B2 (ja) * 2002-07-31 2009-02-1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878206B1 (ko) * 2002-08-1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JP3920172B2 (ja) * 2002-08-26 2007-05-30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蓋保持フレーム及び電子部品の封止方法
US6956627B2 (en) * 2002-09-10 2005-10-18 Au Optronics Corp. Electronic apparatus with liquid crystal display, digitizer, and housing, fastened by screws
KR100887633B1 (ko) * 2002-09-30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084166B2 (ja) * 2002-11-13 2008-04-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KR100928482B1 (ko) * 2002-12-24 2009-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47177B1 (ko) * 2002-12-27 2010-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70264B1 (ko) * 2003-07-24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모듈용 수납유닛, 이를 갖는 표시모듈 및 표시장치
DE102004041826A1 (de) * 2004-08-27 2006-03-16 Siemens Ag Doppelwandgehäuse für Industrie-Panels und Panel-PC's
JP4176695B2 (ja) * 2004-09-27 2008-11-05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
JP4581726B2 (ja) * 2004-12-2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20060080274A (ko) * 2005-01-04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4610352B2 (ja) * 2005-01-19 2011-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064952B1 (en) * 2005-02-01 2006-06-20 Chunghwa Picture Tubes, Ltd.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heat-sink structure thereof
CN100443973C (zh) * 2005-02-03 2008-12-1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可拆卸式散热结构
JP4036228B2 (ja) * 2005-06-20 2008-01-23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7065874A (ja) * 2005-08-30 2007-03-15 Toshiba Corp 電子機器
US7580089B2 (en) * 2005-10-31 2009-08-25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874587Y (zh) * 2005-11-18 2007-02-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
JP5061277B2 (ja) * 2005-11-21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TW200720795A (en) * 2005-11-25 2007-06-0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TWM313819U (en) * 2006-10-27 2007-06-11 Heng-Lan Tsau Integrated structure of a touch pane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48151B1 (ko) * 2007-05-31 2014-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9021674A (ja) * 2007-07-10 2009-01-29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用電子機器
CN201035465Y (zh) * 2007-09-12 2008-03-12 联想(北京)有限公司 笔记本电脑屏幕以及笔记本电脑
CN101466212B (zh) * 2007-12-21 2012-06-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TWI385432B (zh) * 2008-05-09 2013-02-11 Wintek Corp The enhancement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5257010B2 (ja) * 2008-11-14 2013-08-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770092A (zh) * 2008-12-31 2010-07-0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框架、以及该框架的制造方法
WO2011013588A1 (ja) * 2009-07-29 2011-02-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作装置
JP5493825B2 (ja) * 2009-12-22 2014-05-14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ベゼル取付け構造
TWI398834B (zh) * 2009-12-30 2013-06-11 Au Optronics Corp 具抗震鎖固結構之平面顯示模組
JP2011180237A (ja) * 2010-02-26 2011-09-15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表示装置
KR101325913B1 (ko) * 2010-04-27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660713B2 (en) 2010-05-17 2014-02-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n improved in-trail procedures display
TWI422909B (zh) 2010-10-25 2014-01-1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器模組
US9558668B2 (en) * 2010-10-26 2017-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n in-trail procedures request
US8422220B2 (en) * 2010-10-29 2013-04-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Latch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608772A (zh) * 2011-01-24 2012-07-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视窗安装治具
KR101841904B1 (ko) * 2011-04-22 2018-03-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0998B1 (ko) * 2011-06-29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465111B (zh) * 2011-09-15 2014-12-11 Wistron Corp 用來固定顯示面板之固定結構與其顯示裝置
US8823899B2 (en) * 2011-09-28 2014-09-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lastic frame thereof
JP5935282B2 (ja) * 2011-09-30 2016-06-15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TW201317676A (zh) * 2011-10-20 2013-05-01 Wistron Corp 具有散熱鰭片的顯示裝置及其電子裝置
TWI506338B (zh) * 2011-12-15 2015-11-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彈性外框
JP5259004B1 (ja) * 2012-01-12 2013-08-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WO2013136639A1 (ja) * 2012-03-13 2013-09-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
KR101346083B1 (ko) * 2012-04-26 2013-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07960B1 (ko) * 2012-04-26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890249B2 (ja) * 2012-05-14 2016-03-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表示装置保持構造
US8988866B2 (en) * 2012-08-27 2015-03-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US9084338B2 (en) * 2012-08-27 2015-07-1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US9072167B2 (en) * 2012-08-27 2015-06-3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JP5616996B2 (ja) * 2012-11-29 2014-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4142507A (ja) * 2013-01-24 2014-08-07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JP6098329B2 (ja) * 2013-04-18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TW201637543A (zh) * 2015-04-15 2016-10-16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10412843B2 (en) * 2017-01-09 2019-09-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05439B2 (en) * 2017-01-09 2019-09-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98245B2 (en) * 2017-01-09 2018-10-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207783372U (zh) * 2018-01-26 2018-08-28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止挡结构
CN208969557U (zh) * 2018-12-18 2019-06-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组件
KR102613522B1 (ko) * 2019-02-18 202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 처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0618562A (zh) * 2019-10-31 2019-12-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组装方法、显示设备
US11829032B2 (en) 2019-10-31 2023-11-28 K-Tronics (Suzhou)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including fixing member, display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TWI727636B (zh) * 2020-01-30 2021-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11640185B2 (en) * 2020-09-14 2023-05-0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ssembly proce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6886A (ja) * 1994-09-05 1996-03-22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の取付構造
KR960011617A (ko) * 1994-09-05 1996-04-20 강인구 노트북 겸용 노트패드의 lcd 패널구조
JPH09160670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あるいは部品の取付け装置
US5872606A (en) * 1997-05-24 1999-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ounting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JPH1185319A (ja) * 1997-09-04 1999-03-3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組立体及び情報処理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129B2 (ja) 1985-11-11 1996-10-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平面表示素子の光学フイルタ取り付け装置
JPH0451595A (ja) 1990-06-20 1992-02-20 Hitachi Ltd フラツトパネルデイスプレイ取付方式
JPH0611718A (ja) 1991-12-16 1994-01-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317996B2 (ja) * 1992-06-03 2002-08-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機器の表示装置
JP3301848B2 (ja) 1994-03-02 2002-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JP3513899B2 (ja) 1994-03-18 2004-03-31 松下電工株式会社 表示機器の取付構造
JPH085998A (ja) 1994-06-21 1996-01-12 Fujitsu Ltd 表示装置
JPH08314389A (ja) 1995-05-19 1996-11-29 Canon Inc 情報機器
JP2839085B2 (ja) * 1996-07-25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147724A (en) * 1997-04-04 2000-11-14 Hitachi, Ltd. Back light system for minimizing non display area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18581B1 (ko) 1997-04-08 1999-09-01 구자홍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KR19980063233U (ko) 1997-04-15 1998-11-16 윤종용 리벳 결합 구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JPH10319864A (ja) 1997-05-09 1998-12-0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US6295103B1 (en) * 1997-08-29 2001-09-25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part protecting structure having deformable pins
JP3163323B2 (ja) * 1997-11-07 2001-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6292239B1 (en) * 1998-05-28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frame to hold the panel and the back light unit using notch and tabs
JP2000307258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部付き携帯電子機器
KR200218685Y1 (ko) * 1999-06-28 2001-04-02 김순택 액정 표시소자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6886A (ja) * 1994-09-05 1996-03-22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の取付構造
KR960011617A (ko) * 1994-09-05 1996-04-20 강인구 노트북 겸용 노트패드의 lcd 패널구조
JPH09160670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あるいは部品の取付け装置
US5872606A (en) * 1997-05-24 1999-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ounting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JPH1185319A (ja) * 1997-09-04 1999-03-3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組立体及び情報処理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4714C (zh) * 2002-09-03 2007-12-12 三星电子株式会社 平板显示装置
US7567314B2 (en) 2002-09-03 2009-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fixing member to secure display module
KR101431154B1 (ko) * 2007-11-08 2014-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3230A1 (en) 2003-04-03
TW469366B (en) 2001-12-21
US6816213B2 (en) 2004-11-09
US6654078B1 (en) 200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8094A (ko)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 및 이 액정 모듈 장착 구조체가장착된 이동 단말기
US5929950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341095B1 (ko) 평면표시장치
KR10050101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0269943B1 (ko)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US7508655B2 (en) Display device
EP2423733B1 (en) Display apparatus
KR100367954B1 (ko) 액정 디스플레이와 그 제조 방법
KR20040015796A (ko) 평면 유닛 구조체
US7004614B2 (en) Backlight module
KR10092848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00351A (ko) 액정 모니터
KR20060046509A (ko) 액정 표시 장치
EP2042914A2 (en) Bezel attachment schem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2001337622A (ja) Lcdパネルの固定構造
US642678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019381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32591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2072914A (ja) 平面表示装置
KR10057831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램프 어셈블리
JP200528382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31920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41201B1 (ko) 액정표시모듈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및 액정표시모듈 실장방법
US8253881B2 (en) Attachment frame for a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H09329777A (ja) 液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902

Effective date: 200507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34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902

Effective date: 200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