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125A - 외용 국소 마취제 - Google Patents

외용 국소 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125A
KR20000049125A KR1019990703209A KR19997003209A KR20000049125A KR 20000049125 A KR20000049125 A KR 20000049125A KR 1019990703209 A KR1019990703209 A KR 1019990703209A KR 19997003209 A KR19997003209 A KR 19997003209A KR 20000049125 A KR20000049125 A KR 20000049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ocaine
present
anesthetic
topical anesthetic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기도시오
마다아키라
Original Assignee
요시히로 미와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로 미와,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히로 미와
Publication of KR2000004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a)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 (b) 경피 흡수 촉진제, (c)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및 (d) 물을,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대 물의 혼합비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이고 pH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로 조정되도록 혼합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외용 경피 흡수형 국소 마취제가 제공되고, 이는 적용 및 박리시, 편리하게 사용되고, 광범위한 피부 표면에 적용 가능하며, 경피 흡수 및 속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외용 국소 마취제{Local anesthetic for external use}
외용 경피 흡수형 국소 마취제는, 예를 들어 투여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어떠한 통증도 야기시키지 않으며, 피부 또는 피하 주사와 같은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다른 형태의 마취제와 비교하여 광범위한 피부 표면을 마취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따라서, 외용 경피 흡수형 국소 마취제는 상당히 연구되어 왔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7-81408호, 제4-305523호 및 제6-40947호]. 병원과 같은 의료 시설에서, 외용 국소 마취제는 때때로 활성 마취제 성분을,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또는 겔 제제와 혼합하여, 투여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필름과 같은 매우 기밀한 수지 필름으로 기밀하게 밀봉된 병원성(nosocomial) 또는 임상적으로 제형화된 국소 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ODT법"; Hifu, 34(2), 237-242(1992)]에 따라서 사용된다. 최근에, 테이프형 약물이 개발되어 의학용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통상의 약제학적 제제에 대해 지적되고 있다. 즉, 각각의 특허 문헌에 기재된 약제학적 제제 중의 어느 것도 경피 흡수 및 속효성에 대해서는 불충분하다.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또는 겔형 제제로서 제형화된 병원성 국소 마취 약제학적 제제에 있어서, 약제학적 제제 중의 몇몇은 안정성이 불량하여, 이들을 사용할 경우 상기한 약제학적 제제가 제조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약제학적 제제는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이들은 마취 효과를 나타내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테이프형 약물은 광범위한 피부 표면을 마취시키기에는 부적합하다. 마취제는 높은 농도(30 내지 60%)에서 혼합되지만, 테이프형 약물은 경피 흡수 및 속효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은 외용 국소 마취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광범위한 피부 표면에 적용할 수 있으며 경피 흡수 및 속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한 외용 국소 마취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라이도카인을 함유하는 겔형 제제에 관하여, pH 값과 경피적으로 흡수된 라이도카인의 양(㎍/cm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라이도카인을 함유하는 겔형 제제에 관하여, 알콜/물의 중량비와 경피적으로 흡수된 라이도카인의 양(㎍/cm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점들을 고려하여, 적용 및 박리시 편리하게 사용되고, 광범위한 피부 표면에 적용 가능하며, 경피 흡수 및 속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한 외용 경피 흡수형 국소 마취제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졌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근면한 연구 결과,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물, 및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저급 알콜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에 함유되도록 한 다음, 생성된 용액에 추가로 경피 흡수 촉진제를 함유시켜 경피 흡수형 국소 마취제로서 사용되도록 약제학적 제제를 제형화하는 경우, 활성 성분의 경피 흡수를 향상시키고 마취 효과를 나타내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한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a)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 (b) 경피 흡수 촉진제, (c)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및 (d) 물을 함유하는 외용 국소 마취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 함유된 경피 흡수 촉진제(b)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지방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 중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은 탄소수 8의 카프릴산, 탄소수 18의 올레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c)과 물(d)을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대 물의 중량비 0.5 내지 1.2의 범위 내의 함량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pH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이다.
제제의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바람직하게는 겔형 제제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a)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 (b) 경피 흡수 촉진제, (c)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및 (d) 물을 함유한다. 상기한 각각의 성분(a) 내지 (d)를 하기에 계속해서 설명한다.
(a)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라이도카인 및 프릴로카인 둘 다는 국소 마취제로서 공지된 화합물들이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화학 합성에 의해 쉽게 수득된다. 따라서, 상기 공지된 화학적으로 합성된 생성물은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시판되는 생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라이도카인 또는 프릴로카인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함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이들 대신에 또는 이들외에 라이도카인 및 프릴로카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구체적으로, 예들 들어 라이도카인의 염산염 및 프릴로카인의 염산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서,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의 함량은 약제학적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이지만, 활성 성분의 함량은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 제제가 사용되는 위치 및 제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변한다.
(b) 경피 흡수 촉진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 함유된 경피 흡수 촉진제는, 흡수 촉진제가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활성 성분으로서의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고, 흡수 촉진제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화합물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경피 흡수 촉진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들은 각각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지방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탄소수 8 내지 18인 지방산은, 예를 들어 카프릴산, 카프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들 중에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용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은 탄소수 8의 카프릴산 및 탄소수 18의 올레산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및 아연염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지방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이 경피 흡수 촉진제로서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경피 흡수 촉진제의 함량은 약제학적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이지만, 경피 흡수 촉진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변한다.
(c)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및 (d) 물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외용 국소 마취제에 기제로서 함유된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 기제로서 혼합되고 함유된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대 물의 비는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대 물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0.5 대 1.2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대 1.2의 범위 내이다.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의 총 함량, 즉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 중의 기제의 함량은 약제학적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59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80중량%이지만,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의 총 함량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 및 경피 흡수 촉진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상기한 각각의 성분(a) 내지 (d)를 함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경우에 따라, 임의 성분이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로 함유되는 한, 일반적으로 통상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 함유된 임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임의 성분은 우선 pH 조절제로서 예시된다. 경피 흡수면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범위 내이다.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내로 pH를 조절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예를 들어 염산, 락트산,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각종 pH 조절제로부터 선택된 제제를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다. pH 조절제의 함량은 약제학적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5중량%이다.
상기한 pH 조절제외에,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 함유될 수 있는 임의 성분은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를 적용할 수 있는 각종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에 따라서 적합하게 함유된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를 적용할 수 있는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는, 예를 들어 연고, 크림, 겔, 액제, 습포 및 경고 형태의 제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겔형 제제이다. 각종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에 따라서 적합하게 함유된 임의 성분으로 유용한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가 본 발명에 바람직한 겔형 제제일 경우, 임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 및 셀룰로즈 유도체와 같은 다가 알콜 및 고분자량 첨가제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약 1700 내지 2400인 것들을 포함한다. 셀룰로즈 유도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예를 들어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다가 알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에 무관하게, 타르 염료와 같은 착색제를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착색된 약제학적 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색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약사법에 의해 규정된 착색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착색 물질은, 타르 염료로서, 예를 들어 아마란트(Amaranth), 뉴 콧신(New Coccine), 플록신(Phloxine) B 및 로즈 벵갈(Rose Bengal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가 적용되는 각종 제제의 종류 또는 형태에 상응하게 사용되는 통상의 제조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가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체에 바람직한 종류 또는 형태의 제제인 겔형 제제일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예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외용 국소 마취제를 제조하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경피 흡수 촉진제, 및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에 용해시킨다. 달리는, 활성 성분 및 경피 흡수 촉진제를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또는 물, 또는 이의 혼합 용액에 개별적으로 각각 용해시키고, 수득된 각각의 용액은 서로 혼합한다. 이후에, 고분자량 첨가제 또는 다가 알콜과 같은 겔화제를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물, 또는 이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킴으로써 수득된 용액을 활성 성분 및 경피 흡수 촉진제를 함유하는 상기한 용액과 혼합하여 겔형 제제를 수득한다. 이 공정 동안, 경우에 따라, 미리 활성 성분의 일부 및/또는 경피 흡수 촉진제의 일부를 겔화제의 용액에 가할 수도 있다. 상기한 용해 공정 및/또는 혼합 공정 동안, 예를 들어 가열 및 진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수행된 용해 공정 및/또는 혼합 공정 동안, 경우에 따라, pH 조절제, 착색제, 다가 알콜 및 향료와 같은 임의 성분들을 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피부에 덜 자극적이고, 이는 피부에 충분한 흡수력을 가지면서 광범위한 피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우수하고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예를 들어 쉽게 적용되고 편리하게 박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사용될 경우 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활성 성분은 경피적으로 잘 흡수되고, 단기간 내에 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체는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될 경우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16
외용 국소 마취제, 즉 라이도카인 겔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화된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즉, 용액(용액 A)은 그룹 A의 각각의 성분들을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키고 혼합함으로써 제조되고, 용액(용액 B)은 그룹 B의 각각의 성분들을 가온하고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용액 A를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된 용액 B에 가한 다음, 진탕시켜 균질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균질한 혼합물에 그룹 C의 각각의 성분들을 가한 다음, 진탕시키고 균질화하여 겔형 제제를 제조한다. 이어서, 수득된 각각의 겔형 제제의 pH를 측정한다. 수득된 각각의 겔형 제제에 대해 알콜(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대 함유된 물의 중량비(이후에는 경우에 따라, "알콜/물의 중량비"라고 함)를 측정한다. 알콜/물의 중량비를 pH와 함께 표 1의 중간 부분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병원성 약제학적 제제로서 지금까지 사용된 것과 대등한 외용 국소 마취제, 즉 라이도카인 크림은 비교 실시예로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화된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즉, 표 2에 나타낸 그룹 A의 성분들을 충분히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한 다음, 그룹 B의 성분들을 균질하게 도입하여 라이도카인 크림을 제조한다. B 성분으로서 사용된 존네 주약(Sonne Base)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알콜, 세탄올, 경량 무수 규산, 경랍,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및 정제수의 혼합 성분을 포함하는, 소니보드 파마슈티컬 캄파니, 리미티드(SONYBOD PHARMACEUTICAL CO., LTD.) 제품인 유성 로션의 연고 기제이다.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평가)
실시예들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을 함유하는 각각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약제학적 제제는 다음 방법에 따라서 마취 효과, 경피 흡수 및 안정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여 평가한다.
(1) 마취 효과 시험
하틀리형 기니아 피그(생후 4주, 수컷)로부터 면도(탈모제를 또한 사용한다)하여 털을 제거한다. 약제학적 제제(0.75g)를 각각의 기니아 피그의 등 부분(9cm2 ,3cm × 3cm)에 균질하게 적용한다. 약제학적 제제를 적용한지 30분 후에 박리 제거한다. 약제학적 제제를 박리 제거한 후, 약제학적 제제가 적용된 등 부분을 만돌린 와이어로 6회 자극하여 피부의 수축 반응의 존재 여부를 관찰한다. 수축 반응이 관찰되지 않는 횟수를 총 횟수(6회)에 대한 비로서 퍼센트(%)로 나타낸다. 퍼센트는 마취 효과로서 간주한다. 마취 효과 시험은 이의 평균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약제학적 제제에 대해 2마리의 기니아 피그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2) 경피 흡수 시험
마취 효과 시험을 완결한 후, 모든 기니아 피그에 대해 약제학적 제제가 적용된 등 부분을 알콜에 침지된 면으로 충분히 닦는다. 이후에, 중심 부분에 상응하는 피부(4cm2, 2cm×2cm)를 절제한다. 절제된 피부에 함유된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의 농도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HPLC법)에 따라서 측정하여 단위 면적 당 흡수량(㎍/cm2)을 계산한다. 상기 시험한 2마리의 기니아 피그에 대해 수득된 값의 평균을 각각의 약제학적 제제에 대해 측정한다.
(1) 마취 효과 시험 및 (2) 경피 흡수 시험의 결과를 표 1 및 2의 최하단부에 나타내었다. 실시예들에서 수득된 각각의 라이도카인 겔 제제에 대한 경피 흡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라이도카인 겔 제제의 pH 값과 기니아 피그에 경피적으로 흡수된 라이도카인의 양(㎍/cm2)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래프(도 1)가 수득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라이도카인 겔 제제의 알콜/물의 중량비와 기니아 피그에 경피적으로 흡수된 라이도카인의 양(㎍/cm2)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래프(도 2)가 수득된다.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겔 제제를 기니아 피그에 투여할 경우,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크림에 비하여, 적용한지 30분 후에 수득된 경피적으로 흡수된 라이도카인의 양은 많고, 마취 효과는 적성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해 결과를 지금까지 병원성 약제학적 제제로서 사용되어 온 라이도카인 크림에 대하여 ODT법으로 수득된 시험 결과와 비교할 경우, 라이도카인 크림이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크림의 조성과 거의 동일하다는 것, 즉 크림의 적용 후 충분한 마취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약 2시간이 소요된다[Hifu, 34(2), 237-242(1992]는 사실은,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의 경우 마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매우 짧다는 것을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겔 제제에 관하여, 알콜/물의 중량비가 0.5 내지 1.2의 범위 내이거나 pH가 6 내지 8.5의 범위 내인 라이도카인 겔 제제가 경피 흡수량 및 마취 효과면에서 특히 우수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기니아 피그의 사용에 기초하는 시험에 있어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겔 제제는, 예를 들어 이들이 적용 및 박리시 매우 편리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가 편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및 5 내지 10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겔 제제를 각각 유리병에 넣고, 이들의 기밀하게 밀봉한다. 이어서, 이들을 50℃, 열경화 탱크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한다. 1개월 후에, 모든 유리병을 열경화 탱크로부터 꺼내어 이들을 개방하여 각각의 라이도카인 겔 제제에 대해 외관상의 변화(변색 및 분리)의 유무를 관찰한다. 라이도카인 함량은 50℃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한 후 각각의 라이도카인 겔 제제에 대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HPLC법)으로 측정하여 약제학적 제제의 제형화시 라이도카인의 함량에 대한 50℃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한 후의 라이도카인 함량의 비율을 결정한다. 비율을 라이도카인의 잔류율(%)로서 간주한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관상의 어떤 변화도 관찰되지 않는다, 즉 엄격한 조건하에 50℃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한 후, 각각의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겔 제제에 대해 변색도 분리도 관찰되지 않았다. 제형화시 약제학적 제제에 혼합된 라이도카인은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된 라이도카인 겔 제제 중의 어느 것이라도 상기한 조건하에 저장 후 약 100%의 잔류율로 약제학적 제제에 잔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국소 마취제는 안정성면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인지된다.
본 발명의 외용 경피 흡수형 국소 마취제는 적용 및 박리 제거시 편리하게 사용되고, 광범위한 피부 표면에 적용할 수 있으며, 경피 흡수 및 속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하다.

Claims (6)

  1. (a) 라이도카인, 프릴로카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 (b) 경피 흡수 촉진제, (c)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및 (d) 물을 함유하는 외용 국소 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대 물의 함량비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1.2의 범위 내인 외용 국소 마취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H가 6.0 내지 8.5의 범위 내인 외용 국소 마취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피 흡수 촉진제가, 각각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지방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외용 국소 마취제.
  5. 제4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카프릴산 또는 올레산인 외용 국소 마취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겔형 제제인 외용 국소 마취제.
KR1019990703209A 1996-10-14 1997-10-06 외용 국소 마취제 KR20000049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81396 1996-10-14
JP96-270813 1996-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125A true KR20000049125A (ko) 2000-07-25

Family

ID=1749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209A KR20000049125A (ko) 1996-10-14 1997-10-06 외용 국소 마취제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6429228B1 (ko)
EP (1) EP0957906B1 (ko)
JP (1) JP2001503035A (ko)
KR (1) KR20000049125A (ko)
CN (1) CN1135104C (ko)
AT (1) ATE214599T1 (ko)
AU (1) AU731946B2 (ko)
BG (1) BG103325A (ko)
BR (1) BR9711911A (ko)
CA (1) CA2268535A1 (ko)
CZ (1) CZ129899A3 (ko)
DE (1) DE69711237T2 (ko)
DK (1) DK0957906T3 (ko)
EA (1) EA001611B1 (ko)
EE (1) EE03743B1 (ko)
ES (1) ES2173485T3 (ko)
HU (1) HUP9904109A3 (ko)
ID (1) ID21773A (ko)
IL (1) IL129335A (ko)
LT (1) LT4585B (ko)
MY (1) MY118301A (ko)
NO (1) NO991731L (ko)
NZ (1) NZ335056A (ko)
PL (1) PL332724A1 (ko)
PT (1) PT957906E (ko)
RO (1) RO120604B1 (ko)
SK (1) SK284332B6 (ko)
TR (1) TR199900814T2 (ko)
TW (1) TW450815B (ko)
WO (1) WO1998016212A1 (ko)
YU (1) YU193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902A (ko) * 2011-06-20 2014-03-20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리도카인 함유 파프제
WO2019198964A1 (ko) * 2018-04-11 2019-10-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구조의 피부 흡수 증강제, 미세구조의 피부 흡수 증강제를 포함하는 국소 마취제, 및 미세구조의 피부 흡수 증강제를 포함하는 국소 마취제를 이용한 마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8086B2 (en) * 1999-09-28 2003-03-04 Zar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rug delivery involving phase changing formulations
AU2001231189A1 (en) * 2000-01-27 2001-08-07 Childrens Hospital Research Foundation Transdermal anesthetic and vasodilator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US6894078B2 (en) * 2001-09-17 2005-05-17 James G. Castillo Alcohol based topical anesthetic formulation and method
US20040077593A1 (en) * 2002-10-21 2004-04-22 Marron Susan M. Numbing gel for hair removal
US20040076671A1 (en) * 2002-10-21 2004-04-22 Aletha Tippett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wound treatment
MXPA05009816A (es) * 2003-03-21 2005-12-05 Nexmed Holdings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el tratamiento de la eyaculacion precoz.
US20050014823A1 (en) * 2003-07-17 2005-01-20 Soderlund Patrick L. Topical anesth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administration
ATE529133T1 (de) 2004-08-18 2011-11-15 Medrx Co Ltd Topisches präparat
WO2007002304A2 (en) 2005-06-22 2007-01-04 Vnus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tumescent fluid to body tissue
USRE46397E1 (en) 2007-11-07 2017-05-09 Svip5 Llc Slow release of organic salts of local anesthetics for pain relief
KR101258336B1 (ko) 2008-10-02 2013-04-25 밀란 인크. 다층 접착제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DE102009007152A1 (de) * 2009-02-02 2010-08-05 Müller-Glewe, Gunter Ultraschall-Gel
AU2011234415C1 (en) * 2010-04-01 2014-07-10 Pharmanest Ab Bioadhesive compositions of local anaesthetics
CN102018696B (zh) * 2010-11-22 2013-07-03 北京泰德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利多卡因或其药用盐的皮肤外用制剂
FR2983731B1 (fr) * 2011-12-07 2014-04-25 Univ Paris Descartes Emulsions topiques a base de melanges eutectiques d'anesthesiques locaux et d'acide gras
CN103505791A (zh) * 2012-06-28 2014-01-15 杨德普 透皮吸收局麻无痛注射穿刺酒精棉片
CN103550675A (zh) * 2013-09-04 2014-02-05 赵会霞 一种止痛贴
CN110090197A (zh) * 2019-04-19 2019-08-06 广州芮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成膜的麻醉面膜膏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487A (en) * 1979-01-08 1990-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netrating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A1165240A (en) * 1980-07-09 1984-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netrating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57142913A (en) * 1981-02-27 1982-09-03 Nitto Electric Ind Co Ltd Donor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US4748022A (en) 1985-03-25 1988-05-31 Busciglio John A Topical composition
US4764381A (en) * 1985-12-06 1988-08-16 Key Pharmaceuticals, Inc. Percutaneous penetration enhancer of oleic acid and 2-ethyl-1, 3-hexanediol
US5209724A (en) 1988-04-11 1993-05-11 Dhaliwal Avtar S Composite anesthetic article and method of use
US5378730A (en) * 1988-06-09 1995-01-03 Alza Corporation Permeation enhancer comprising ethanol and monoglycerides
EP0378644A1 (en) * 1988-06-09 1990-07-25 Alza Corporation Permeation enhancer comprising ethanol and glycerol monooleate
JPH0755167B2 (ja) * 1988-09-21 1995-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体
US4892737A (en) * 1988-09-22 1990-01-09 University Of Florida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permeability of topical drugs
GB9101986D0 (en) 1991-01-30 1991-03-13 Smith & Nephew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H04261119A (ja) * 1991-02-13 1992-09-17 Lintec Corp 経皮吸収型貼付剤
JP3115625B2 (ja) 1991-03-30 2000-12-11 帝國製薬株式会社 リドカイン含有外用貼付剤
JP2775203B2 (ja) 1991-05-11 1998-07-16 久光製薬株式会社 吸収促進組成物
JPH0640947A (ja) * 1992-07-28 1994-02-15 T T S Gijutsu Kenkyusho:Kk 経皮吸収製剤用組成物および経皮吸収製剤
JPH0694891A (ja) 1992-09-10 1994-04-08 Kawasaki Heavy Ind Ltd 使用済燃料貯蔵・輸送容器
JPH08286701A (ja) 1995-04-11 1996-11-01 Nissan Motor Co Ltd 複数ロボット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902A (ko) * 2011-06-20 2014-03-20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리도카인 함유 파프제
WO2019198964A1 (ko) * 2018-04-11 2019-10-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구조의 피부 흡수 증강제, 미세구조의 피부 흡수 증강제를 포함하는 국소 마취제, 및 미세구조의 피부 흡수 증강제를 포함하는 국소 마취제를 이용한 마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48299A3 (en) 2000-01-18
JP2001503035A (ja) 2001-03-06
LT4585B (lt) 1999-12-27
TW450815B (en) 2001-08-21
CN1240353A (zh) 2000-01-05
EP0957906A1 (en) 1999-11-24
LT99036A (en) 1999-07-26
DE69711237D1 (de) 2002-04-25
AU731946B2 (en) 2001-04-05
SK284332B6 (sk) 2005-01-03
DE69711237T2 (de) 2002-10-17
ID21773A (id) 1999-07-22
EP0957906B1 (en) 2002-03-20
MY118301A (en) 2004-09-30
RO120604B1 (ro) 2006-05-30
HUP9904109A2 (hu) 2000-04-28
TR199900814T2 (xx) 1999-07-21
CZ129899A3 (cs) 1999-09-15
BG103325A (en) 2000-01-31
EA199900376A1 (ru) 1999-10-28
AU4399697A (en) 1998-05-11
HUP9904109A3 (en) 2000-11-28
PT957906E (pt) 2002-07-31
ATE214599T1 (de) 2002-04-15
NO991731D0 (no) 1999-04-13
YU19399A (sh) 2001-09-28
ES2173485T3 (es) 2002-10-16
NO991731L (no) 1999-06-14
IL129335A (en) 2004-08-31
PL332724A1 (en) 1999-10-11
EE03743B1 (et) 2002-06-17
EA001611B1 (ru) 2001-06-25
IL129335A0 (en) 2000-02-17
EE9900144A (et) 1999-12-15
BR9711911A (pt) 2000-01-18
WO1998016212A1 (en) 1998-04-23
CN1135104C (zh) 2004-01-21
CA2268535A1 (en) 1998-04-23
NZ335056A (en) 2000-08-25
DK0957906T3 (da) 2002-05-27
US6429228B1 (en) 200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9125A (ko) 외용 국소 마취제
US5654337A (en) Topical formulation for local delivery of a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
US4605670A (en) Method for percutaneously administering metoclopramide
US5093133A (en) Method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ibuprofen using hydroalcoholic gel
JP2021152080A (ja) 医薬組成物
JP4195178B2 (ja) 消炎鎮痛外用剤
JPS60209515A (ja) 消炎鎮痛クリ−ム剤
US4525348A (en) Pranoprofen gelled ointment
JP2000143510A (ja) 外用組成物
JPS58185514A (ja) 新規な局所用消炎鎮痛ゲル状クリ−ム剤
JPS6218526B2 (ko)
JP2570342B2 (ja) 外用液剤
JPS63145217A (ja) 経皮投与組成物
JP3571730B2 (ja) サリチル酸配合製剤
TW550080B (en) Transdermic preparation comprising cerebral function activating agent
JPH11199482A (ja) 外用剤組成物
JPS63166825A (ja) 尿素を安定に含む透明ゲル製剤
JPH0276816A (ja) 外用剤
GB2131693A (en) Composition for local corticotherapy containing hydrocortisone
JPS61165325A (ja) 消炎鎮痛ゲル軟膏剤
JPH05117141A (ja) 副腎エキス含有消炎鎮痛ゲル剤
JPH07179341A (ja) 安定なミコフェノール酸含有皮膚外用剤
JPS6287528A (ja) N−アルキルモルホリン含有外皮投与用組成物
JPH05271075A (ja) 消炎鎮痛クリーム製剤
JPS6081125A (ja) ベンシクラン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