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439A - 토너공급용기및이토너공급용기로부터토너를수용하기위한토너수용용기 - Google Patents

토너공급용기및이토너공급용기로부터토너를수용하기위한토너수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439A
KR20000006439A KR1019990024125A KR19990024125A KR20000006439A KR 20000006439 A KR20000006439 A KR 20000006439A KR 1019990024125 A KR1019990024125 A KR 1019990024125A KR 19990024125 A KR19990024125 A KR 19990024125A KR 20000006439 A KR20000006439 A KR 20000006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supply container
opening
ton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076B1 (ko
Inventor
반유따까
엔도오미찌아끼
고사사히데아끼
다자와후미오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0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토너 수용 용기 내로의 토너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고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몸체와, 개구로부터 밀봉 부재를 제거하기 위한 힘을 적용하는 힘 적용부를 구비하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밀봉 부재와, 소정 위치로부터 밀봉 부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힘 적용부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 위치에서 밀봉 부재의 힘 적용부를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너 공급 용기 및 이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TONER SUPPLY CONTAINER AND TONER 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ONER FROM SAM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내로 토너를 재보충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와, 이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전자 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미세 입자 형태의 토너가 현상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의 현상제가 사용될 때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 장치 내로 공급된다. 토너는 미세 입자 형태이며, 1개 성분 토너 또는 2개 성분 토너일 수 있다.
토너는 매우 미세한 입자이기 때문에 이 토너는 재보충 작업 중에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해서 토너 공급 용기와 토너 공급 작업에 대한 각종 제안들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박스 형태의 용기 본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 상에 가요성 필름이 용착되어 그 부분을 밀봉한다. 필름은 용기를 개봉하도록 박리될 수 있다. 재보충 후에 토너 공급 용기의 내부에 잔류 침전된 소량의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재밀봉을 허용하는 셔터가 마련된 부가적인 개선안이 이루어져 왔다(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 제4-336565호).
한편, 복사기의 본체와 관련해서는, 토너 비산과 토너 오염의 감소를 달성하고 다른 종류의 토너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호퍼 또는 현상 장치(토너 수용 장치)에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덮는 덮개 부재가 마련된다(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 제4-336565호). 이러한 제안에 있어서, 토너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는 소정의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되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도록 로킹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수용 장치에 확실하게 장착된 후에 토너 공급 용기가 개봉되지 않으면 토너 수용 장치의 덮개 부재 또는 셔터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토너는 비산되기 쉽다. 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 제4-336565호를 감안해서 가요성 필름의 단부에 손잡이가 고정되고, 이 손잡이는 용기부의 본체에 장착된다. 손잡이가 토너 수용 장치에 장착된 후에 토너 수용 장치의 덮개 부재가 완전히 개방되며, 이 때 손잡이는 용기 본체로부터의 해제가 허용된다. 다음에 손잡이가 견인되면 가요성 필름과 셔터가 개봉 및 개방된다. 이것은 개봉에 대해 2단계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 제9-120206호는 손잡이가 가요성 필름의 일 단부에 고정되고, 또 이 손잡이가 용기의 본체에 장착되며,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수용 장치로의 장착에 의해 손잡이가 상부 방향으로 해제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손잡이를 견인함으로써 3개의 요소 즉 토너 수용 장치의 가요성 필름, 셔터 부재, 및 덮개 부재 또는 덮개가 일체식으로 개방됨으로써 한 단계 개방 작용을 허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예는 이하의 문제점들을 수반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 제4-336565호의 구조에 있어서는 밀봉 조작이 2단계 조작으로 된다. 조작자는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수용 장치에 장착한 후에 덮개 부재를 개방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숙지하고 있지 않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 제9-120206호에 따르면, 개봉 조작은 1단계 조작으로 되지만, 손잡이를 해제시키면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수용 용기로의 장착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며, 그 결과 손잡이가 상방으로 즉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숙련되지 못한 조작자는 손잡이가 상방으로 견인되어져야 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 상방으로 견인되는 것이 방지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이하의 특징, 즉
(1)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수용 용기로 확실하게 장착한 후에 토너 공급 용기의 개봉을 가능하게 하고,
(2) 손잡이의 개봉 방향을 조작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3) 손잡이 견인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개봉을 원활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 토너 공급 용기 및 토너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부분적으로 절결된 현상제 토너 용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
도3은 그 일부분은 단면도인 도1의 용기의 측면도.
도4는 도1의 용기의 정면도.
도5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6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전방부의 저면도.
도7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전방부를 시트 견인 방향으로 본 종단면도.
도8은 시트 팝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9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사시도.
도10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13은 도12의 방향에 수직한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14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5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6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7의 (a), (b), 및 (c)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현상제 수용 용기에 로킹시키는 장치의 측면도.
도18은 현상제 공급 기능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9는 현상제 공급 기능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0은 현상제 공급 후의 덮개 부재 폐쇄 조작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1은 현상제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와 시트 폭간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22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와 시트 자유 단부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23은 현상제 수용 용기의 개구를 밀봉하는 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너 수용 용기
2, 4 : 덮개 부재
3 : 토너 공급 용기
3a : 용기 몸체
3c : 개구
5 : 시트 또는 밀봉 부재
7 : 로킹 부재
9 : 탄성 부재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료하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일부분이 절결된 현상제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용기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5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6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일부분의 저면도. 도7은 도3의 횡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토너 밀봉체의 자유 단부 또는 선행 단부를 로킹하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10과 도11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3은 도12가 취한 선에 수직한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14 내지 도16과 도18 내지 도20은 개봉 조작의 개봉 기능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7은 현상제 공급 용기를 현상제 수용 용기에 로킹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1은 토너 밀봉체의 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1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는 그 저부측에 개구(3c)를 갖는 대체로 입방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개구(3c) 주위에는 플랜지(3f)를 포함한다. 플랜지(3f)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주면(32)을 가지며, 이 활주면(32)을 따라 덮개 부재(4)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요성 시트(5)가 박리 가능하게 용착되고, 이후에 설명될 시트 견인 부재(견인되어야 할 부재)(6) 상에 접착된다. 시트 견인 부재(6)는 이 예에서는 합성 수재 재료로 된 손잡이이다. 이 손잡이는 조작자가 개구(3c)를 개봉하기 위해 손으로 견인력을 적용하는 힘 적용부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견인 부재(6)와 그 주위 부분은 시트 견인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채널형 단면을 갖는 덮개부(3p)에 의해 덮여진다. 공간(3q)덮개부 자체와 플랜지(3ff)(전방측) 사이에 제공된다.
채널형 덮개부(3p)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본체(3a), 플랜지(3ff) 및 실린더(3j) 등과 일체형이고, 공간(3q)은 도1에서처럼 시트 견인 부재(6)와 푸셔(8)를 수용한다. 조작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를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하기 전에 채널형 덮개부(3p)는 공간(3q) 내의 팝업(pop-up) 장치와 시트 단부로의 접촉을 방지한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3a)의 후방부 단부벽(3a1)에는 원통형의 현상제 공급 개구(3r)가 형성되며, 이 공급 개구 내로는 현상제 덮개 부재(13)가 제거 가능하게 억지 끼워 맞춤된다.
현상제는 용기 몸체(3a)의 개구(3c)가 시트(5)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현상제 공급 개구(3r)를 통해서 용기 몸체(3a) 내로 공급되며, 현상제 덮개 부재(13)가 현상제 공급 개구(3r) 내로 억지 끼워 맞춤된다.
도9, 도12, 도13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마련된 현상제 수용 용기(1)를 도시하고 있다. 현상제는 용기(1)로부터 스크류 등에 의해서 현상제를 정전 화상 보유 부재에 공급해서 현상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구비한 현상 장치로 공급된다. 용기(1)의 개구(1f)는 도12의 우측으로 활주 가능한 활주형의 덮개 부재(2)에 의해 덮여진다. 현상제 수용 용기(1)의 후방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플랜지(3f)의 후방부에 마련된 돌출부(3b)가 삽입되는 요부(14)와, 삽입을 안내하는안내부(14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용기 몸체(3a)는 적절한 양의 공급용 현상제를 수용하며, 개구(3c)는 도12의 우측으로 활주 가능한 활주형의 덮개 부재(4)에 의해 덮여진다.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일 단부에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내향 활주 방향으로 단부(22)와 결합되는 돌기(41)가 마련되며, 현상제 공급 용기의 덮개 부재(4)에는 활주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개구를 갖는 얕은 중공부(42)가 마련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전방부의 하부측에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전방 상부측에 형성된 요부(21)와 결합 가능한 돌기(43)가 마련된다.
플랜지(3f)는 용기 몸체(3a)의 하부면 개구(3c)의 주위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플랜지(3f)에는 필름 형태의 가요성 시트(5)가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고착 강도로 용착 등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시트(5)의 전체 길이는 시트(5)의 개봉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용기 몸체(3a)의 개구(3c)의 한 측면보다 2배만큼 길다. 용기 몸체(3a)의 플랜지(3f)에 고정되지 않은 시트(5)의 나머지 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b)에 인접한 부분(5a)에서 되접힌 다음, 현상제 공급 용기의 덮개 부재(4)에 있는 공간(42) 내로 연장되어 용이한 제거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로 시트 견인 부재(6)에 고정된다. 시트 견인 부재(6)는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시트(5)의 단부를 유사한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덮개 부재(4)의 내부 공간(42)에서부터 시트 견인부재(6)에 고정된 부분까지의 길이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트 견인 부재(6)가 용기 몸체(3a)로부터 튀어나올 때 조작자가 그것을 파지해서 견인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시트 견인 부재(6)가 가요성 시트(5)에 로킹되면, 시트(5)의 나머지 부분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의 덮개 부재(4)와 시트 견인 부재(6) 사이에 절첩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개구들의 치수는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 4)의 견인 방향으로의 길이 K1이 K2보다 크고 개방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된 폭 W1이 W2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현상제 수용 용기(1)의 개구(1a)는 용기 몸체(3a)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4, 2)용 안내 레일이 비산된 현상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보다 크다. 용기 몸체(3a)의 시트(5)가 부착되는 플랜지(3f)의 플랜지면(31)에는 현상제 용기의 덮개 부재(4)의 활주면(32)에 대한 시트(5)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시트로의 무거운 가압을 회피하기 위한 단차부가 제공된다. 돌출부(3b)를 갖는 후방측과는 반대측에 있는 전방부 플랜지(3f)의 좌우 측면(3ff)에는 도1, 도2,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견인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슬릿(3g)이 각 측면에 형성되고, 슬릿(3g)들 사이의 부분은 이동 가능하며,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에 돌기(로킹부)로서의 기능을 하는 갈고리(3h)를 구성한다. 로킹부는 돌기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결합이 달성되기만 한다면 요부 또는 다른 요소일 수 있다.
갈고리(3h)는 시트 견인 부재(6)의 좌우측에서 외향 돌출된 돌기(결합되어야 할 부분)(6a)를 차단함으로써, 시트 견인 부재(6)의 외향 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갈고리(3h)는 현상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 전에 시트 견인 부재(6)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가동부(3i)의 폭은 이 가동부(3i)가 돌기(6a)와 갈고리(3h)간의 접촉부의 외측에 있게 될 정도로 충분히 크다.
결합되어야 할 부분은 돌기로 제한되지 않으며, 요부 또는 구멍일 수도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견인 부재에는 가요성 시트(5)의 단부가 그 위에 부착되는 시트 고착 판부와, 시트 견인 부재(6)가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6c)가 마련된다. 이들 부재들은 좌우 측면의 각각에 마련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측에서 봤을 때) 요부(홈)(6d)가 시트 고착 판부(6b)와 힘 수용부(6c) 사이에 마련된다. 시트 고착부(6b)와 시트 고착 판부(6b)의 (좌우) 돌기(6a)는 동일한 판 부재의 일부분들이다.
조립된 상태에서 전방부 플랜지(3ff)의 중앙은 시트 견인 부재(6)의 요부(6d)에 마련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수용부(6c)의 단부를 밀기 위한 푸셔 부재(8)가 대체로 요크 형상으로 제공되며, 이 푸셔 부재의 좌우 측면에는 시트 견인 부재(6)의 힘 수용부(6c)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8a)가 마련된다. 평행한 요크 봉(8b)이 용기 몸체(3a) 및, 플랜지(35)와 일체형이거나 용기 몸체(3a)에 고정된 실린더(3j)를 관통하며, 요크 봉(8b)의 외경부를 지나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 스톱퍼(8c)를 구비한다. 요크 봉(8b)은 실린더(3j)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8d)를 구비하며, 이 플랜지(8d)와 실린더(3j)의 후방측에 있는 단부벽(3k)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0)이 압축되어 요크 봉(8b) 주위에서 지지된다. 요크 봉(8b)은 단부벽(3k)에 있는 구멍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 플랜지(3ff)의 가동부(3i)는 갈고리(3h)에 인접해서 해제 접촉부(3m)를 구비한다. 해제 접촉부(3m)를 화살표 α 방향으로 밀면 가동부(3i)의 단부는 상방으로 변형되어 갈고리(3h)를 이동시킨다. 압축 코일 스프링(10)의 스프링력에 의해 시트 견인 방향으로 가압된 푸셔 부재(요크)(8)는 시트 견인 부재(6)의 힘 수용부(6c)를 통해서 갈고리(3h)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시트 견인 방향으로 튀어나오며, 이에 따라 시트 견인 부재(6)가 시트 견인 방향으로 튀어나온다. 시트 견인 부재(6)에 이어지는 가요성 시트(5)를 전방부 플랜지(3ff)와,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로부터 견인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판(4a)(도12 참조)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게 함으로써도 이 가요성 시트를 튀어나오게 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돌기(2a)가 현상제 수용 용기(1)에 장착된 덮개 부재(2)의 견인 방향으로 전방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가 현상제 수용 용기(1)에 장착되면 돌기(2a)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로킹부로서의 갈고리(3h)에 인접한 접촉부(3m)에 맞닿으며, 현상제 공급 용기(3)가 삽입되면 갈고리(3h)는 시트 고착부(6b)에 마련된 돌기로부터 해제되도록 이동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용기(1)에는 이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2)의 폐쇄 시에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자동적인 상승에 의한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용 안내 레일(30) 외측의 벽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플랜지를 갖는 플런저(11)가 마련된다. 플런저(11)는 압축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된다. 플런저(11)의 상단부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절결부에서 (좌우) 플랜지(3f) 상에 마련된 돌기(3n)가 압축 코일 스프링(12)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런저(11)를 밀도록 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3a)의 저면 전방 단부로부터 돌기(33)가 하방으로 연장된다. 돌기(33)에는 결합 요부(33a)가 마련된다. 돌기(33)의 전방 모퉁이는 둥글게 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용기(1)에는 후방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슈트(shoot, 1c)가 마련된다. 돌기(33)의 자유 단부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현상제 수용 용기(1)로의 장착 시에 슈트와 미끄럼 접촉 상태에 있다. 터널(1e)이 슈트(1c)에 인접한 가교부(1d)에 의해 형성된다. 터널(1e)은 시트 견인 부재(6)가 사실상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현상제 공급 용기(3)의 현상제 수용 용기(1)로의 장착과 현상제의 공급 조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상부가 수평이 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를 바닥에 놓는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를 현상제 수용 용기(1)의 후방 요부(14) 쪽으로 (전방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후방 돌출부(3b)를 삽입하는 동안에 현상제 공급 용기(3)의 후방부를 수용 용기(1) 상에 놓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돌출부(3b)는 상방 이동이 요부(14)에 있는 안내부(14a)에 의해 제한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b)를 요부(14) 내에 삽입한 상태로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전방측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좌우 측면의 플랜지(3f) 상에 마련된 돌기(3n)는 토너 수용 용기(1)의 플런저(11)에 맞닿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3)는 돌출부(3b)를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요부(14) 내에 있게 한 채로 돌기(3n)를 지지하는 플런저(11)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전방측은 플런저(11)를 상승시키는 압축 코일 스프링(12)의 하방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눌러짐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전방측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요부(14)와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돌출부(3b)간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하강한다. 다음에, 현상제 공급 용기(3)로부터 연장된 돌기(33)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슈트에 맞닿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3)를 하방으로 누르면 돌기(33)는 슈트(1c) 상에서 활주해서 현상제 공급 용기(3)를 후방으로 누르게 되고, 이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돌출부(3b)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후방측으로 눌려지므로 현상제 공급 용기(3)는 현상제 수용 용기(1)에 대해 대체로 위치 설정된다(도16 참조).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돌기(33)가 슈트(1c)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전방측에 있는 가동부(3i)의 해제 접촉부(3m)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에 마련된 돌기(2a)에 맞닿게 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를 하강시키면 해제 접촉부(3m)는 덮개 부재(2)의 돌기(2a)에 의해 차단되므로 해제 접촉부(3m)가 그 위에 마련된 가동부(3i)의 기부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시트 고착 판부(6b)도 하강된다. 시트 고착 부재에 연결된 시트 견인 부재(6)의 돌기(6a)가 갈고리(3h)로부터 해제되고, 시트 견인 부재(6)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가압된 푸셔 부재(6)의 전진에 의해 튀오나오게 된다. 전방측에 있는 시트 견인 부재(6)와 덮개 부재(4) 사이의 공간에 절첩된 가요성 시트(5)의 일부분도 역시 튀오나오게 된다. 이 때, 시트 견인 부재(6)의 이동 방향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터널(1e)에 의해 수평이 되게 규제된다.
조작자가 토너를 공급할 때 이 조작자는 무엇을 견인해야 하는 지에 대해 의아해 하지 않고, 덮개부(3p)로부터 튀어나온 시트 견인 부재(6)를 견인해야 한다는 것을 즉시 이해할 수 있다. 시트 견인 부재(6)는 이제는 외부에 있기 때문에 쉽게 파지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의 현상제 수용 용기(1)로의 장착 조작 시에, 현상제 공급 용기(3)를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요부(145) 내에 있게 한 채로 시트 견인 부재(6)가 결합하게 되는 현상제 공급(3)측(전방측)을 하강시키면, 현상제 공급 용기(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현상제 수용 용기(1)에 로킹된다. 도1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가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수용 용기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수용 용기(1)에 마련되고 탄성 부재(판 스프링)(9)에 의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 로킹 부재(7)는 덮개 부재(2)의 개폐 활주 작용을 방지하는 클로(claw) 부분(71)에 의해 덮개 부재(2)의 슬릿(24)과 결합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가 장착되면,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돌기(33)에 의해 눌려진 로킹 부재(7)는 탄성 부재(9)에 대항해서 회전 중심(74)을 중심으로 한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33)와 갈고리 부재(73)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도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는 탈착을 방지하도록 로킹된다. 로킹 부재(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클로 부분(71)이 회전하게 되며 도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가 로킹된 상태에서 클로 부분(71)과 덮개 부재(2)의 슬릿(24)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덮개 부재(2)의 활주 운동을 허용한다.
시트 견인 부재(손잡이부)(6)가 견인 방향으로 견인되면, 용기 몸체(3a)의 개구(3c) 주위에서 플랜지(3f)에 고정된 시트(5) 부분은 되접힘측에서부터 점차적으로 플랜지로부터 박리되며, 되접힘 위치(5a)는 시트 견인 방향으로 이동되고 되접힘부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를 개방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내향 활주 방향의) 선행 연부(22)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후방부에서 돌기(41)에 의해 눌려지게 되므로,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와 함께 개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3)의개구(3c)는 더욱 개방되어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 용기(3)로부터 받은 용기(1) 현상제 내로 떨어지게 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가 완전히 개방되고 모든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 용기(1) 내로 떨어지게 되면 [즉 시트(5)가 완전히 견인되면], 현상제가 그 위에 침전된 시트(5) 부분은 여전히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중공부(42)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시트(5) 상에 잔류한 현상제에 접촉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시트(5)로부터 현상제를 긁어내기 위해 청소 패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현상제 공급 장치가 소형화되고, 그 비용이 절감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제가 공급된 후에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는 도19의 화살표 β 방향으로 폐쇄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단부(22)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돌기(41)와 결합하게 되며, 이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가 폐쇄되고, 이 때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는 시트(5) 및 시트 견인 부재(6)를 후방 내측으로 견인하면서 폐쇄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3) 내의 현상제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현상제는 덮개 부재(2, 4)들간의 틈새를 침입하지 않는데, 이는 현상제 수납 용기(1)의 덮개 부재(2)와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폐쇄 방향으로의) 단부들이 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현상제의 첨단부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 4)에 의해 균일한 상태로 소멸되기때문이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5)의 폭은 시트가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의 연부에 고정되는 영역에 있는 개구의 폭 W2(도13 참조)보다 큰 W3이지만, 시트가 덮개 부재(4)로부터 견인되게 되는 영역에 있는 폭 W3보다는 작은 W4이다. 폭 W4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단부에서 활주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2개의 손잡이부(28)들 사이의 통과를 허용하며,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폐쇄 시에 시트(5)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손잡이부(28)들 사이를 통과해서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덮개 부재(4)의 공간(42) 내로 견인된다.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폐쇄 시에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4)에 의해 폐쇄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1)의 개구(1a)는 덮개 부재(2)에 의해 폐쇄된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8)는 시트가 통과하게 되는 표면(27)에 대해 단차지게 되며, 이로써 덮개 부재(2)의 폐쇄 시에 조작자가 시트(5)를 통해 덮개 부재(2)를 무심결에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트(5)의 폭은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를 덮는 부분 이외의 개구(3c) 부분의 폭보다 작으며, 이에 따라 현상제 공급 중에 박리된 시트(5)는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폐쇄 시에 단차부의 [덮개 부재(2)의 손잡이부(28)보다 낮은] 하부면(27)을 따라 통과하므로, 현상제 공급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현상제 수용 용기(1)의 개구(1a)가 덮개 부재(2)에 의해 폐쇄되고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가 덮개 부재(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면 시트 견인 부재(6)는 용기 몸체(3a) 밖으로 약간 연장된다.
도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가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눌려지면 덮개 부재(2)의 캠면(25)은 덮개 부재(2)가 완전히 폐쇄되기 약간 이전에 로킹 부재(7)의 클로 부분(71)을 누르게 되고 로킹 부재(7)는 탄성 부재(9)에 대항하는 δ 방향(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3)의 돌기(33)와 클로 부분(73)이 서로 해제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12)의 스프링력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3)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플런저(11)가 현상제 수용 용기(1)의 요부(14) 내로 삽입된 돌기(3b)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3)를 상승시킨다. 현상제 공급 용기(3)는 요부(14)로부터 돌출부(3b)를 제거하는 동안에 현상제 수용 용기(1)로부터 제거된다.
조작자가 커버 부재(2)의 누름 작용을 멈추게 되면 덮개 부재(2)는 탄성 부재(9)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 로킹 부재(7)의 클로 부분(71)의 캠면(25)으로의 누름 작용에 의해 덮개 개방 방향으로의 활주 운동을 회복하게 되고, 그 직후에 클로 부분(71)이 탄성 부재(9)의 가압력에 의해 덮개 부재(2)의 구멍(24) 내에 결합되며, 이로써 현상제 수용 용기(1)의 덮개 부재(2)의 운동이 중지되고 로킹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3)의 사용전 상태에서 갈고리(3h)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 덮개 부재(4)의 견인측 모퉁이에 있는 절결부(4e)[폭이 약 5㎜임]의 후미측에서 돌기(33)에 인접해서 배치되며, 이로써 갈고리(3h)는 무심결에 눌려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3)의 개구(3c)가 시트(5)에 의해 밀봉되고 덮개 부재(4)가 제공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덮개 부재(4)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개구(3c)는 덮개 부재(4)에 의해서만 밀봉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도2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a)는 덮개 부재(4)의 견인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시트 견인 부재(6)는 덮개 부재(4)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4)와 시트 견인 부재(6)가 별도의 부재로 될 수 있고 이 덮개 부재(4)와 시트 견인 부재(6)는 짧은 가요성 부재(6e)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가압된 푸셔(8)는 덮개 부재(4)를 직접 밀어내거나, 또는 시트 견인 부재(6)를 밀어냄으로써 덮개 부재(2)와 시트 견인 부재(6)를 연결하는 가요성 부재(6e)를 전개시킨다. 이로써, 조작자에 의해 견인되는 부분이 튀어나오게 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튀어나오게 되는 부재인 시트 견인 부재(6)는 강성 부재(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제한되지 않으며, 튀오나올 수 있기만 하면 어떠한 것으로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견인 부재는 견인 부재가 밀어내어진 후에 조작자가 가요성 시트의 일부분을 파지해서 현상제 공급 용기를 개봉하도록 된 구조일 수도 있다.
도23의 (b)는 덮개 부재(4)가 사용되지 않고, 스트링(string, 5)이 일 단부(15a)에서부터 되접힘부(15b)까지 개구(3c)의 주연부 상에 고착된 시트(5) 상에서 시트(5)의 배면측(토너에 면한 측) 상에 강력하게 접합되고, 이되접힘부(15b)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견인 부재(6)에 고정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견인 부재(6)를 견인함으로써, 시트(5)는 되접힘부로부터 일 단부(15a)를 향해 파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들을 참조로 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 목적에 들 수 있는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수용 용기에 확실하게 장착된 후에 토너 공급 용기의 개봉이 가능해지며, 손잡이의 개봉 방향을 조작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손잡이 견인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개봉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토너 수용 용기 내로의 토너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고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몸체와,
    상기 개구로부터 밀봉 부재를 제거하기 위한 힘을 적용하는 힘 적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밀봉 부재와,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상기 힘 적용부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힘 적용부를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로 장착하는 작용과 상호 관련해서 해제되며, 상기 힘 적용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적용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로킹 부재의 해제 시에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를 로킹하도록 상기 손잡이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돌기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가 소정 위치에서 로킹될 때 상기 손잡이에 접촉되고 상기 손잡이가 소정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손잡이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제거와 상호 관련해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에는 상기 개구를 덮는 부분을 지나 연장체가 마련되며, 상기 연장체에는 상기 밀봉 부재가 개구 방향을 향해서 되접히는 위치에서 절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체의 일 단부는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힘 적용부를 로킹하고 있을 때 절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 후에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과 상호 관련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3.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토너 수용 용기 내로의 토너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고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몸체와,
    상기 개구로부터 밀봉 부재를 제거하기 위한 힘을 적용하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밀봉 부재와,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 전에 상기 손잡이를 덮기 위한 덮개 부분과,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과 상호 관련해서 상기 손잡이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덮개 부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튀어나오게 하는 팝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수단은 상기 손잡이가 상기 덮개 부분으로 덮여지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상기 덮개 부분으로부터 노출되는 제2 위치를 향해서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덮개 부분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를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과 상호 관련해서 해제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를 로킹하도록 상기 손잡이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돌기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가 소정 위치에서 로킹될 때 상기 손잡이에 접촉되고 상기 손잡이가 소정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손잡이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제거와 상호 관련해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에는 상기 개구를 덮는 부분을 지나 연장체가 마련되며, 상기 연장체에는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팝업 수단의 팝업 방향을 향해서 되접히는 위치에서 절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체의 일 단부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덮개 부분에 의해 덮여 있을 때 절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 후에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과 상호 관련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수단에 의한 상기 손잡이의 팝업 방향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가 견인되는 방향과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6.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로서,
    토너 수용 용기 내로의 토너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고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몸체와, 상기 개구로부터 밀봉 부재를 제거하기 위한 힘을 적용하는 힘 적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밀봉 부재와,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상기 힘 적용부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힘 적용부를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장착부로의 장착 시에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로킹 부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개구와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토너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용기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 후에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과 상호 관련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덮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 및 상기 개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장착부로의 장착 시에 상기 로킹 부재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KR1019990024125A 1998-06-24 1999-06-24 토너 공급 용기 및 이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 KR100295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68398A JP3495914B2 (ja) 1998-06-24 1998-06-24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トナー補給方法
JP98-193683 1998-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39A true KR20000006439A (ko) 2000-01-25
KR100295076B1 KR100295076B1 (ko) 2001-07-12

Family

ID=1631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25A KR100295076B1 (ko) 1998-06-24 1999-06-24 토너 공급 용기 및 이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89193B1 (ko)
EP (2) EP1403738B1 (ko)
JP (1) JP3495914B2 (ko)
KR (1) KR100295076B1 (ko)
CN (1) CN1122885C (ko)
DE (1) DE69921740T2 (ko)
ES (2) ES2229631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2357B2 (en) 2004-12-14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spacer and leak preve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077B2 (en) * 2000-05-08 2003-07-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therefor
JP3927767B2 (ja) 2000-07-12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JP3907408B2 (ja) 2000-12-28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S2433741T3 (es) * 2001-02-19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óner y sistema de suministro de tóner
US6990301B2 (en) *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834173B2 (en) * 2001-11-05 2004-1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apparatus process cartridge having a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cartridge from disengaging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a cartridge
TW525794U (en) 2001-11-12 2003-03-21 Gen Plastic Ind Co Ltd Powder supply apparatus of carbon powder cartridge
JP3663542B2 (ja) * 2002-01-23 2005-06-22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機のトナー供給容器
US6668145B2 (en) * 2002-03-08 2003-12-23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Toner cartridge opening control arrangement
JP3854893B2 (ja) * 2002-04-25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US7088944B2 (en) * 2004-03-05 2006-08-08 Himes William D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radially extending drive lug
JP4579655B2 (ja) * 2004-11-12 2010-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36853B2 (ja) * 2004-11-1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07100141A1 (ja) * 2006-02-28 2007-09-07 Canon Kabushiki Kaisha 粉体充填装置、粉体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81575B2 (ja) * 2007-10-23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の取付け方法
JP4511583B2 (ja) * 2007-11-09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974034B2 (ja) * 2009-03-31 2012-07-1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EP2381317A1 (en) * 2010-04-21 2011-10-26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18516B2 (ja) * 2010-10-07 2013-06-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収容体
JP6083954B2 (ja)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FR3002215B1 (fr) * 2013-02-20 2015-03-20 Rexam Dispensing Smt Poche presentant une enveloppe souple delimitant un reservoir dans lequel un produit a distribuer est destine a etre conditionne
FR3002121B1 (fr) * 2013-02-20 2015-04-03 Rexam Dispensing Smt Ensembl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mprenant un boitier et une cassette
JP6173079B2 (ja) 2013-07-09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543406B1 (ko) * 2015-04-11 2023-06-1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카세트
JP2019003137A (ja) * 2017-06-19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451070A1 (en) * 2017-08-28 2019-03-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650B2 (ja) 1989-01-27 1996-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5268722A (en) 1990-04-13 1993-12-07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developer supply container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prohibiting detachment
JP2598832B2 (ja) * 1990-04-27 1997-04-09 三田工業株式会社 イメージングユニット
US5682579A (en) * 1990-11-06 1997-10-28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2068358C (en) * 1991-05-14 1998-12-22 Yoshihiko Yamada Developer replenishing cartridge and developer receiving apparatus within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ed
JP2953678B2 (ja) 1991-05-14 1999-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2907625B2 (ja) 1992-02-03 1999-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3082111B2 (ja) * 1992-05-28 2000-08-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生成機の現像装置
JPH0627810A (ja) 1992-07-13 1994-02-04 Mita Ind Co Ltd 画像生成機の現像装置
JP3387596B2 (ja)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3320285B2 (ja) 1995-10-26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507222B2 (ja) 1995-10-26 2004-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471992B2 (ja) * 1995-10-26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2357B2 (en) 2004-12-14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spacer and leak preventer
US8145093B2 (en) 2004-12-14 2012-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pacer and a leakage preventer
US8787790B2 (en) 2004-12-14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pacer and a leakage prev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3738A2 (en) 2004-03-31
EP0969331B1 (en) 2004-11-10
DE69921740T2 (de) 2005-10-27
ES2371869T3 (es) 2012-01-10
EP0969331A3 (en) 2001-01-10
JP2000010396A (ja) 2000-01-14
DE69921740D1 (de) 2004-12-16
JP3495914B2 (ja) 2004-02-09
EP1403738A3 (en) 2006-11-29
ES2229631T3 (es) 2005-04-16
EP0969331A2 (en) 2000-01-05
CN1122885C (zh) 2003-10-01
US6289193B1 (en) 2001-09-11
CN1241735A (zh) 2000-01-19
KR100295076B1 (ko) 2001-07-12
EP1403738B1 (en)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076B1 (ko) 토너 공급 용기 및 이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
KR0132128B1 (ko) 현상제 용기
KR960016419B1 (ko)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US5018560A (en) Developer supplying structure for a developing device
JPH0318087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940011867B1 (ko) 현상장치
JP3826110B2 (ja) トナー補給容器
US6721525B2 (en) Cartridge with a replaceable toner container for a laser printing imaging apparatus
JP2509229B2 (ja) 現像剤補給装置
JP3356249B2 (ja) 画像形成装置
KR970001197B1 (ko) 현상제 보충기구
JPH0695245B2 (ja) トナ−カ−トリツジの着脱機構
MXPA99005992A (en) Tank supply container and tank receiver container to receive toner from such tonalized supply container
JPH0412378A (ja) トナー補給機構
KR100213118B1 (ko) 프린팅기기용 잉크카트리지 및 그 접속장치
JP3498016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1228694A (ja) 画像形成装置
JP2862284B2 (ja) 現像装置
JP2782063B2 (ja) 現像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5197286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H0617124Y2 (ja) 現像剤用カートリッジ容器
JP2701290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701292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3119442B2 (ja) 現像剤補給機構
JPH0626917Y2 (ja) トナ−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