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419B1 -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419B1
KR960016419B1 KR1019920006311A KR920006311A KR960016419B1 KR 960016419 B1 KR960016419 B1 KR 960016419B1 KR 1019920006311 A KR1019920006311 A KR 1019920006311A KR 920006311 A KR920006311 A KR 920006311A KR 960016419 B1 KR960016419 B1 KR 960016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evice
peeling
opening
slide
se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290A (ko
Inventor
쿠니아키 나카노
야스유키 히라이
타니 마사히로 히가시
야스히로 마쯔오
신고 모리
히로미 사카타
마사히로 사코
미노루 키시가미
Original Assignee
미타 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미타 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88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85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74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69668A/ja
Application filed by 미타 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미타 쥰케이 filed Critical 미타 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터너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그 토너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복사기에 토너를 보급할 경우의 사용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단면도.
제5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셔트수용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
제9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
제10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1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제1셔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셔트수용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6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
제17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8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9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0도는 셔터수용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2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종단면도.
제23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24도는 그 토너카트리지의 횡단면도.
제25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6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7도는 시일부재 박리시의 시일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301 : 제1슬라이드장치(제1셔터)
2,102,302 : 제2슬라이드장치(제2셔터)
3,103,303 : 시일부재4,104,304 : 카트리지 본체
31,131,331 : 개구35,135,305 : 제1슬라이드가이드장치
41,141,306 : 제2슬라이드가이드장치52 : 삽입관통구멍
54,154 : 손잡이62,162 : 연장부
111 : 제1삽입관통구멍112 : 제2삽입관통구멍
310 : 제1연결장치329 : 제2연결장치
본 발명은 전자복사기 등의 정전식화상 형성장치에 적용되어, 정전하상(靜電荷像)을 가시화하기 위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정전식복사기나 레이져비임 프린터와 같은 정전식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화상의 형성이 행해진다. 즉, 균등하게 대전(帶電)된 감광체의 표면이 형성해야 할 화상에 대응하여 노광(露光)된다. 이것에 의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기록해야 할 화상에 대응한 정전잠상(靜電潛像)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현상장치에 의하여 토너상(像)으로 현상된다. 이 토너상이 기록용지에 전사되고, 다시 전사된 토너가 기록용지에 정착되는 것에 의하여, 인쇄가 완료된다.
현상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토너호퍼로부터 토너가 공급되고 있다. 토너호퍼내의 토너는 화상형성이 행해짐에 따라서 소비된다. 따라서, 토너허퍼내의 토너가 소진되었을 때에는, 토너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 토너의 보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토너카트리지이다.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토너카트리지에는, 일정량의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인 토너카트리지 본체의 개구에 필름형상의 시일부재를 접착하여 밀봉한 것이 있다. 토너보급시에는, 토너호퍼에 장착되고, 시일부재가 박리된다. 이것에 의하여, 토너카트리지 본체내의 토너가 개구를 통하여 토너호퍼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토너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54-2844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는, 시일부재가 토너카트리지 본체의 개구 일단에서 되접어 꺾어져, 이 개구의 타단가지 연장되어 있다. 토너카트리지가 토너호퍼에 장착된 다음에, 작업자는 되접어 꺾여진 시일부재의 선단을 연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시일부재가 상기한 개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박리되게 된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는, 시일부재의 토너가 부착하고 있는 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토너오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시일부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가 비산하여, 작업자의 의복이나 주위의 기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 이 선행기술에서는,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는, 개구 길이의 2배의 길이에 걸쳐서 시일부재의 선단을 인출하지 않으면 않된다. 즉, 박리스트로크가 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개구 길이의 2배 길이의 시일부재가 필요하므로 낭비가 심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일본국 실개소 59-41364호 공보에는, 토너오염 문제를 방지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 선행기술에서는, 시일부재는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에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커버에 의하여 덮혀 있다. 먼저, 슬라이드커버가 인출되고, 이어서 시일부재가 인출된다. 이때, 시일부재의 토너부착면은 슬라이드커버에 대면(對面)한다. 따라서, 시일부재의 토너부착면은 슬라이드커버에 차폐되므로, 토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는, 시일부재의 배치상태는 일본국 실개소 54-28447호 공보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박리스트로크가 길다고 하는 문제 및 시일부재의 낭비가 심하다고 하는 문제는 개선되지 않는다.
토너오염 문제를 방지한 다른 선행기술은, 일본국 실개소 63-1329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토너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 본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부재에 있어서 개구를 시일하는 부분에 연속된 연장부는, 셔터하면측으로 안내되고, 또 이 셔터의 선단부에 형성한 제1슬릿을 거쳐 개구와 셔터와의 사이에 안내된다. 이 시일부재의 연장부는 다시, 개구와 셔터 사이를 지나서 안내되어, 셔터의 후단부에 형성한 제2슬릿을 거쳐 셔터의 하면측으로 안내된 후, 제2슬릿보다도 더욱 후단측에 형성된 제3슬릿을 거쳐 다시 셔터의 상면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 시일부재의 연장부선단은, 토너카트리지의 개구 둘레가장자리에 고정부착된다.
셔터를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인출하면, 시일부재는 제1, 제2 및 제3슬릿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제3슬릿에 의하여 견인된다. 이것에 의하여 시일부재가 개구로부터 박리되어 간다. 이때 토너부착면은, 셔터의 상면에 마주 대하게 되므로, 토너오염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도, 박리스트로크가 길다고 하는 문제와 시일부재의 낭비가 많다고 하는 문제는 해소하지 못한다.
한편, 일본국 실개소 59-41365호 공보에는 또 다른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토너카트리지에서는, 시일부재의 재치상태는 일본국 실개소 54-28447호의 토너카트리지와 동일하며, 또 일본국 실개소 59-41364호의 토너카트리지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동 실개소 59-41364호의 토너카트리지와 다른 점은, 되접어 꺾어진 시일부재의 선단부가 슬라이드커버의 상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슬라이드커버를 완전히 인출하면, 시일부재는 개구의 절반 위치에가지 박리된다. 이때, 슬라이드커버의 상면에 시일부재가 노출되므로, 노출된 부분의 시일부재를 손으로 잡아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를 개구로부터 완전히 박리할 수가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시일부재의 박리에 필요한 스트로크 길이는 개구길이의 1.5배 정도로 단축된다. 그러나, 시일부재의 토너가 부착되어 있는 부위를 직접 손으로 잡아야 하므로, 손이나 의복이 더럽혀질 우려가 있어, 토너오염의 문제를 완전히는 회피할 수 없다. 또, 시일부재가 낭비된다고 하는 문제도 해결되지 않는다.
스트로크 길이를 단축하기 위한 선행기술은, 이외에도 일본국 특공평 1-60142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1-2807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평 1-6014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토너카트리지에서는, 시일부재가 고리(loop)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자재한 셔터가 구비되어 있고, 이 셔터는 시일부재에 둘러싸여지듯이 배치된다. 셔터를 슬라이드시키면, 시일부재의 고리가 셔터에 추종하고, 이것에 의하여 셔터의 슬라이드방향을 향하여 시일부재가 박리되어 간다. 이에 따라 개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셔터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하여, 시일부재를 완전히 박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하여, 스트로크 길이가 개구 길이와 대략 동등하게 된다.
일본국 특개평 1-2807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재하게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시일부재는 일본국 실개소 54-28447호 공보의 토너카트리지와 같이 되접어 꺾여 배치되고, 그 선단부는, 셔터에 형성한 구멍을 통하여 카트리지 본체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의 동작은, 일본국 특공편 1-60142호 공보의 동작과 대략 동일하다.
이 특공평 1-60142호 공보 및 특개평 1-280781호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모두 셔터를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시일부재의 토너부착면이 하면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토너의 낙하가 발생되기 쉬워서, 토너오염 문제는 불가피하다. 그 뿐아니라 시일부재는 개구 길이의 2배 길이만큼 필요하다.
상기한 특공평 1-60142호 공보에는 또, 셔터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활차를 설치하고, 이 활차에 고리형상의 시일부재를 감아 거는 것과 아울러, 시일부재의 고리를 셔터와 카트리지 본체 사이에서 형성시키도록 한 토너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토너카트리지에서는, 시일부재의 토너부착부분은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와 셔터 사이로 들어가 버리므로 토너오염 문제가 억제된다. 그러나, 시일부재가 낭비된다고 하는 문제는, 이 선행기술로서도 회피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일부재의 박리를 위한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공급작업을 경감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일부재의 길이를 단축하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시일부재의 박리를 위한 스트로크를 단축하여 시일부재의 박리작업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토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의 개구를 시일하는 시일부재의 박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시일부재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의 개구를 시일하는 시일부재의 박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 본체에 형성된 토너배출용 개구를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셔터를 슬라이드시켜서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인출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제1셔터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시일부재의 박리과정은, 박리위치가 박리개시위치로부터 박리중간위치가지의 범위에 위치하는 제1박리과정과 박리중간위치로부터 박리완료위치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는 제2박리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박리과정에서는 시일부재는 선단부로부터 잡아 당겨지고, 제2박리과정에서는 시일부재는 중간부로부터 잡아 당겨진다. 이 제2박리과정에서는, 카트리지 본체 내부로 대향하는 토너부착면이 내측이 되도록 시일부재가 안으로 접어 넣어진다.
제1박리과정에서는 박리길이의 2배의 길이만큼만 제1 및 제2셔터를 스트로크시키게 되므로, 제1박리과정에서의 박리길이를 x라고 하면, 이 제1과정에서의 박리스트로크는 2x가 된다. 또, 제2박리과정에서는, 시일부재를 접어 넣으면서 박리하는 까닭에, 박리길이가 박리스트로크는 동일하게 된다. 즉, 개구길이를 L이라고 하면, 제2박리과정에서의 박리길이는 L-x로 되기 때문에, 박리스트로크는 L-x로 된다.
이 결과, 개구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한 박리스트로크는,
2x+(L-x)=L+x
가 된다. 예를 들어, 박리중간위치를 개구의 중앙부에 설정하면, x=L/2가 되므로, 박리스트로크는 1.5L이 된다. 이와 같이 박리스트로크는 짧다.
또, 토너부착면이 내측이 되도록 시일부재가 접혀 들어가므로, 토너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시일부재의 선단을 예를 들어 제1셔터의 선단에 고정하면, 개구의 길이보다 약간 긴 시일부재가 필요하게 될 뿐이다. 따라서, 시일부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어 제2셔터를 끌어 당기면 제1셔터가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므로, 조작도 용이하다. 이에 따라 토너보급 작업량을 경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의 사시도이다. 이 토너카트리지(10)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본체(4)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4)의 상부 개구에는 커버(33)가 접착되어 있다. 이 커버(3)의 대략 중앙부에는, 카트리지 본체(4)내에 토너를 충전하기 위한 토너충전구(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충전구(7)는 캡(32)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4)의 하부에는 셔터부착체(34)가 접착되어 있다. 이 셔터부착체(34)에는, 제1셔터(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제1셔터(1)에는 제2셔터(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4)의 하부 개구(31)는, 시일부재(3)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 토너카트리지(10)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사기의 현상장치(11)에 토너를 공급할 경우에 사용된다. 즉, 현상장치(11)의 토너호퍼(12)내의 토너가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호퍼(12) 위에 토너카트리지(10)를 세트하여, 토너카트리지(10)내의 토너를 호퍼(12)에 보급하는 것이다. 또, 제3도에 있어서 부호(13)는 복사기의 감광체드럼을 나타낸다.
제4도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제4(a)도는, 제1, 제2셔터(1)(2)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른 종단면도이고, 제4(b)도는 제1, 제2셔터(1)(2)의 슬라이드 방향에 교차하는 횡단면도이다. 셔터부착체(34)는 수지재료를 얇은 두께의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셔터부착재(34)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카트리지 본체(4)의 개구(31)에 대응하는 토너배출구(36)가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양측부의 내측면(35)은 제1셔터(1)를, 시일부재(3)를 박리할 때의 박리방향(m1) 또는, 제1, 제2셔터(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방향(m2)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으로 되어 있다. 또, 셔터부착체(34)의 박리방향(m1)을 따라서 한쪽의 끝부분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한쌍의 계지용 돌기(68)가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계지용 돌기(68)에는 오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제2셔터(2)가 셔터부착체(34)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제2셔터(2)의 계지돌기(67)가 오목부(69)에 계합하여 셔터(1)(2)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셔터부착체(34)의 하면에는 제1셔터(1)의 탈락방지와, 부착체(34)의 보강을 겸한 가교부(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그 카트리지(10)를 토너호퍼(12)에 장착했을 때의 계지장치로서의 계지부(38)와, 도시하지 않은 호퍼커버의 록크해제수단으로서의 한쌍의 돌기부(39) 및 토너호퍼(12)의 도시하지 않은 안내부에 안내되는 한쌍의 안내설편(舌片)(40)이 설치되어 있다.
제1셔터(1)는 수지재료를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저부와 한쌍의 측부를 보유한다. 그 양측부의 내면은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셔터(2)를 안내하는 안내홈(41)으로서 기능한다. 또, 제1셔터(1)의 선단부 하면에는, 한쌍의 탈락방지용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탈락방지용 돌기(42)는, 부착체(34)의 가교부(37)에 맞닿아 제1셔터(1)의 탈락을 방지한다. 또, 제1셔터(1)의 선단부 하면에는, 한쌍의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호퍼(12)에 카트리지(10)를 정착하면, 토너호퍼(12)측에 설치한 토너 균일화 장치(도면 표시 않음)가 돌기(43)에 계지된다. 따라서, 제1셔터(1)를 변위시키면, 호퍼(12)내의 토너층의 높이를 균일화할 수가 있다.
제2셔터(2)는 수지재료를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양측부에는 안내돌기(51)가 소정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돌기(51)는 제1셔터(1) 양측부의 안내홈(41)과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셔터(2)는, 제1셔터(1)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안내돌기(51)의 일단부(51a)가 제1셔터(1)의 안내홈(41)의 박리방향(m1) 하류측의 내부끝면(41a)에 맞닿는 것에 의해, 제2셔터(2)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2셔터(2)가 카트리지 본체(4)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제2셔터(2)의 선단부에는, 시일부재(3)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슬릿형상의 시일견인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단부에는 작업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54) 근방의 양측부에는, 계지용 돌기(68)의 오목부(69)에 계합하는 계지돌기(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돌기(67)가 오목부(69)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제2셔터(2)가 셔터부착체(34)에 계지된다. 또, 제2셔터(2)의 후단부 하면에는, 제1셔터(1)의 후단면과 맞닿는 압압돌기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부재(3)는 필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3)는, 카트리지 본체(4)의 개구(31)를 밀봉하는 밀봉부(61)와, 밀봉부(61)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장부인 비밀봉부(62)를 보유하고 있다. 비밀봉부(62)는 밀봉부(61)를 따라서 되접어 꺾여진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밀봉부(61)의 박리방향(m1)에 따르는 일단(63)은, 셔터부착체(34)의 내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 일단(63)에 연속하는 중간부(64)가 카트리지 본체(4)의 개구(31)에 박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이 개구(31)를 밀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중간부(64)에 연속하는 타단(65)이 셔터부착체(34)의 내면에 이르는 부분까지 박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비밀봉부(62)는, 밀봉부(61)의 타단(65)에 연속되어 있으며, 제2셔터(2)의 시일견인구(52)를 통과하여 종단(66)이 제1셔터(1)의 선단부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토너카트리지(10)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토너카트리지본체(4)에 토너가 수용된다. 그후 시일부재(3)의 밀봉부(61)가 접착되어 카트리지 본체(4)의 개구(31)가 밀봉된다. 이 상태로, 미리 제1셔터(1)를 장착한 제2셔터(2)를 셔터부착체(34)의 후방으로부터, 수용방향(m2)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부착체(34) 내부에 장착한다. 이어서, 시일부재(3)의 비밀봉부(62)의 종단(66)이 제2셔터(2)의 시일견인구(52)에 삽입관통되어서, 이 종단(66)이 제1셔터(1)의 선단부에 고정부착된다. 또, 제2셔터가 제1셔터(1)와 함께 셔터부착체(34)에 수용되고, 이 제2셔터(2)가 카트리지 본체(4)에 계지된다. 이와 같이하여 토너카트리지(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을 보유하는 본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의 시일박리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는, 제5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에서는, 시일부재(3)의 박리과정은, 박리위치의 존재 영역에 따라 2개의 과정으로 분류된다. 즉, 제1박리과정은, 박리개시위치로부터 개구(31)의 박리방향(m1)의 중앙에 해당하는 박리중간위치(m)까지의 범위에 박리위치가 위치하고 있는 과정이다. 그리고, 제2박리과정은, 박리중간위치(m)로부터 박리완료위치가지의 범위에 박리위치가 위치하고 있는 과정이다.
먼저, 제1박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박리과정은, 작업자가 제2셔터(2)의 손잡이(54)를 잡고 시일박리방향(m1)으로 이 제2셔터(2)를 인출할 때에, 제1셔터(1)가 제2셔터(2)의 시일견인구(52)에 견인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제1셔터(1)의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시일부재(3)의 선단이 시일박리방향(m1)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3)는 시일박리개시위치로부터 박리방향(m1)을 향하여 서서히 박리된다.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셔터(1)의 시일박리방향(m1)으로의 이동은, 탈락방지용 돌기(42)가 셔터부착체(34)의 가교부(37)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제1셔터(1)는 개구(31)를 완전 개방하는 위치까지의 길이(L)(이 길이는 개구(31)의 박리방향(m1)의 길이와 같다)만큼 박리방향(m1)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 결과,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일부재(3)는 개구길이(L)의 절반의 길이(L/2)만큼 박리되게 된다. 시일부재(3)의 박리에 따라서, 개방된 개구(31)로부터 토너가 하방으로 배출되어 간다.
다음에 제2박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박리과정은, 제5도의 상태로부터 다시 제2셔터(2)를 박리방향(m1)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제5도의 상태에서는 제1셔터(1)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제2셔터(2)만 슬라이드한다. 이 슬라이드 이동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안내돌기(51)의 끝면(51a)이 제1셔터(1) 측부의 안내홈(41)의 박리방향(m1)하류측의 끝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규제된다. 이 상태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셔터(2)는 개구(31)의 길이(L)의 절반의 길이에 걸쳐 이동하게 된다. 이 제2박리과정에서는, 제2셔터(2)의 스트로크길이와 시일부재(3)의 박리길이는 동일하므로, 제2셔터(2)의 길이(L/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개구(31)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때,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된 시일부재(3)는 토너부착면(70)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절첩되므로, 토너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너카트리지(10)의 박리스트로크는, 개구(31)의 박리방향(m1)에 따르는 길이(L)의 1.5.배이다. 즉, 상술한 제1박리과정에 있어서의 스트로크는, 제5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L이다. 또, 제2박리과정에 있어서의 스트로크는, 제6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0.5L이다. 따라서, 전체의 박리스트로크는 개구(31) 길이의 1.5배인 1.5L이 된다. 이와 같이 박리스트로크는 비교적 짧다.
또, 토너호퍼(12)에의 토너 보급이 완료된 후에는, 시일박리시와 역순의 조작이 행해진다. 즉,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셔터(2)를 수납방향(m2)으로 압입하면, 제2셔터(2)의 압압돌기부(21)에 제1셔터(1)의 후단면이 맞닿는다. 따라서, 제2셔터(2)를 더욱 압입하면, 제1셔터(1) 및 제2셔터(2)는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셔터부착체(34)에 수용된다. 이때, 개구(31)는 시일부재(3)에 의하여 본래대로 밀봉된다. 또, 제1셔터(1) 및 제2셔터(2)도, 본래대로 개구(31)를 밀폐한다. 셔터부착체(34)에 제1셔터(1) 및 제2셔터(2)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제2셔터(2)의 계지돌기(67)가 부착체(34)의 계지용 돌기(68)의 오목부(69)에 계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0)를 운반할 때에도, 셔터(1),(2)가 탈락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구(31)가 노출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토너가 비산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에 의하면, 시일박리스트로크가 짧고, 또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제4도에서 명확하듯이, 시일부재(3)의 길이는, 개구(31)의 길이(L)보다도 약간 길 정도이어서, 종래와같이 개구의 2배 길이의 시일부재를 필요로 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하여 시일부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셔터(1)가 제2셔터(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10)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를 변형하여 제1셔터의 탈락방지용 돌기(42)를 삭제하거나, 제2셔터(2)의 압압돌기부(21)를 삭제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 시일견인구(52)에 의해 시일부재(3)를 견인하는 대신에, 제2셔터(2)의 견인구(52)의 위치에 활차 등을 달아서, 이것에 시일부재(3)를 감아 걸고, 이것에 의하여 시일부재(3)를 견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박리과정과 제2박리과정이 차례로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박리과정과 제2박리과정이 동시에 진행되어도 좋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제10도는 이 토너카트리지(100)의 단면도이며, 제10(a)도는 박리방향(m1)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제10(b)도는 박리방향(m1)으로 교차하는 횡단면도이다. 이 토너카트리지(100)는, 주로 카트리지 본체(104), 커버(133), 셔터부착체(134), 제1셔터(101), 제2셔터(102) 및 시일부재(10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104)는, 대략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104) 상부의 개구에는 커버(133)가 접착되어 있다. 이 커버(133)의 대략 중앙부에는, 카트리지 본체(104)내에 토너를 충전하기 위한 토너충전구(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충전구(107)는 캡(132)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104)의 하부에는, 셔터부착체(134)가 접착되어 있다. 이 셔터부착체(134)에는, 제1셔터(10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제1셔터(101)에는 제2셔터(10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104)의 하부 개구(131)는, 시일부재(103)에 의하여 밀봉된다.
셔터부착체(134)는, 수지재료를 상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셔터부착체(134)는, 내부에 제1셔터(101)를 수용시키고, 또한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중앙부에는, 카트리지 본체(104)의 개구(131)에 대응하는 토너배출용 개구(136)가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착체(134)의 양측 내측면(135)은, 제1셔터(10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면으로 되어 있다. 또, 셔터부착체(134)의 하면에는, 제1셔터(101)가 슬라이드했을 때의 탈락방지와, 부착체(134)의 보강의 역할을 겸한 가교부(1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셔터부착체(134)에는, 그 카트리지를 도시하지 않은 토너호퍼에 장착했을 때의 계지장치로서의 계지부(138)와, 도시하지 않은 호퍼커버의 록크해제장치로서의 한쌍의 돌기부(139) 및 도시하지 않은 토너호퍼의 안내부에 안내되는 한쌍의 안내설편(140)이 설치되어 있다.
제1셔터(101)는, 수지재료를 판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저부와, 이 저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양측부를 보유하고 있다. 이 양측부의 내면은,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2셔터(10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41)으로서 기능한다. 제1셔터(101)의 선단부에는 시일부재(103)의 일부가 삽입관통되는 제1슬릿(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셔터(101)의 선단부 하면에는 부착체(134)의 가교부(137)와 맞닿아, 제1셔터(101)의 이동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제2셔터(102)는, 수지재료를 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후단부에는 시일부재(103)의 일부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제2슬릿(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12)은, 시일부재(103)를 박리방향(m1)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견인구로서 기능한다. 또, 제2셔터(102)의 후단부에는, 작업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154)가 설치되어 있다. 제2셔터(102)의 후단부 하면에는,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21)는, 제2셔터(102)를 수용방향(m2)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제1셔터(101)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2셔터(102)를 수용방향(m2)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제1셔터(101) 및 제2셔터(102)를 동시에 카트리지 본체(104)내에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가 있다.
제2셔터(102)의 양측부에는 안내홈(141)에 계합하는 안내돌기(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돌기(151)의 일단부가 안내홈(141)의 내부끝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제2셔터(102)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2셔터(102)가 카트리지 본체(104)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부재(103)는, 카트리지 본체(14)의 하부 개구(131)의 일단으로부터 개구부 전면(全面)을 밀봉하고 있다. 이 시일부재(103)는 필름현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131)를 밀봉하는 밀봉부(161)와, 이 밀봉부(161)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장부인 비밀봉부(162)를 보유하고 있다. 비밀봉부(162)는 밀봉부(161)를 따라서 되접이 꺾어져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밀봉부(161)의 박리방향(m1)을 따르는 일단(163)은 셔터부착체(134)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박리가능하게 접착되어, 개구(131)를 밀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중간부(164)에 연속하는 타단(165)이 셔터부착체(134)의 내면에 이르는 부분까지 박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비밀봉부(162)는, 밀봉부(161)의 타단(165)에 연속되어 있고, 이 타단(165)측에서 되접어 꺾여져 있다. 이 비밀봉부(162)는, 제1셔터(101)의 하면측으로부터 제2셔터(102)측을 향하여 제1슬릿(111)을 삽통관통하여, 제1셔터(101)와 제2셔터(102) 사이를 통과한 후, 제2슬릿(112)을 통해 제1셔터(101)의 단부에 설치한 고정부(126)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보유하는 본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0)에 있어서의 시일박리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시일부재(103)를 박리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시일부재(103)는 개구(131)의 전체면을 덮고 있다. 또, 이 제10도에서는, 돌기(121)가 제1셔터(101)에 맞닿아 있지 않지만, 이 돌기(121)를 제1셔터(101)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1셔터(101) 및 제2셔터(102)를 셔터부착체(134)내에 수용할 수도 있다.
시일부재(103)의 박리는, 작업자가 제2셔터(102)의 손잡이(154)를 파지하고, 박리방향(m1)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제2셔터(102)를 슬라이드시키면, 시일부재(103)는 제2슬릿(112)에 의하여 견인력을 받는다. 그 결과,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부재(103)는 제2슬릿(112) 및 제1슬릿(111)내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그런데, 시일부재(103)는 제1셔터(101)의 고정부(12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활차의 원리에 의하여 제2셔터(102)보다도 늦게 제1셔터(101)가 박리방향(m1)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셔터(101)의 박리방향(m1)으로의 이동은, 돌기(120)가 셔터부착체(134)의 가교부(137)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즉, 제1셔터(101)는 개구(131)의 길이(1)와 동일한 길이 만큼 제2셔터(102)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에 따라서, 시일부재(103)는 제2슬릿(112)에 의하여 견인된다. 그 결과, 시일부재(103)의 밀봉부(161)는 개구(131)의 박리개시위치로부터 서서히 박리된다. 시일부재(103)가 박리되는 것에 의해, 개구(131)가 개방되고, 카트리지 본체(104)내의 토너가 하방으로 배출되어 간다.
또, 제1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120) 대신에 제1셔터(101)의 외측면에 돌기(170)를 설치하고, 가교부(137) 대신에 돌기(170)에 계합하는 구멍(171)을 셔터부착체(134)의 측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13(b)도는, 돌기(170)와 구멍(171)과의 계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1도는 약 L/2의 길이 만큼 시일부재(103)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2도는 개구(131)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명확하듯이, 제1셔터(101)와 제2셔터(102)와의 박리스트로크는 동일하지 않다. 즉, 시일부재(103)가 박리종료위치가지 박리될 때까지에, 제1셔터(101)가 L만큼 이동하는데 대하여, 제2셔터(102)는 3L/2 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자에 요구되는 박리스트로크는 1.5L이 된다.
이와 같이하여, 개구(131)의 박리방향(m1)을 따르는 길이(L)의 1.5배만큼 제2셔터(102)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개구(131)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셔터(101),(102)를 사용하지 않고, 시일부재(103)를 박리방향(m1)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의 박리스트로크는 2L이다. 이때, 박리에 요구되는 인장력을 f라고 하면, 활차의 원리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부재 박리에 1.5f의 인장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1-280781호 공보나 일본국 특공평 1-6014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는, 박리스트로크가 L이며, 박리에 필요한 인장력은 2f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100)에서는, 박리스트로크가 짧고, 또 박리에 필요한 인장력이 작다. 이것에 의해, 토너호퍼로의 토너보급에 필요한 공간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고, 또 토너보급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셔터(101),(102)를 개방했을 때에, 시일부재(103)의 토너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은, 제1셔터(101)와 제2셔터(102)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수납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100)로부터 토너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12도에 나타내는 완전 개구상태에 있어서는, 시일부재(103)의 토너부착면 박리방향(m1)측의 선단부분은 제1셔터(101)로 차폐되지 않고 노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 노출하는 부분은, 상기한 비밀봉부(162)이므로, 토너가 부착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에 의한 오염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일부재(103) 등의 특징적인 배치에 의하여, 셔터수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100)가 커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술한 각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개시로부터 박리종료까지, 일정한 힘으로 원활하게 셔터를 잡아 당길 수가 있으므로, 조작에 위화감이 없다.
토너보급을 완료한 후에는,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부재(103)의 박리시와는 반대로 제2셔터(102)가 셔터부착체(134)에 압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제2셔터(101),(102)가 모든 카트리지본체(104)에 수납되어, 제10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즉, 제2셔터(102)를 압입하면, 돌기(121)가 제1셔터(101)의 단부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2셔터(102)를 더욱 압입하는 것에 의해, 제1셔터(102)는 제2셔터(102)와 함께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셔터(101),(102)를 카트리지본체(104)내에 또한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가 있다. 또, 돌기(121)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시일부재(103)는 제2셔터(102)의 선단부에서 압압되며, 이것에 의해 제10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2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200)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 유사하므로, 제8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각부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부재(103)의 제1,제2셔터(101),(102)에 대한 상대위치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돌기(121)에 대응하는 돌기(122)의 위치가, 제2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부재(103)의 비밀봉부(162)는, 제1슬릿(111)을 통과한 후에, 제2셔터(102)와 시일부재(103)의 밀봉부(161) 사이를 통과하여, 제2슬릿(112)을 제2셔터(102)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삽입관통되어, 그 선단부가 제1셔터(101)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부(127)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2셔터(102)의 후단부 하면에는 제1셔터(101)에 맞닿아 제2셔터(102)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22)의 형성위치는, 박리방향(m1)에 관하여, 제2슬릿(112)보다도 상류측이다. 이 돌기(122)의 작용에 의하여, 제2셔터(102)를 카트리지본체(104)에 압입했을 때에, 제1셔터(101)도 함께 압입되게 된다.
다음에, 시일부재(103) 박리시의 동작에 대하여, 제17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7도 내지 제19도는, 각각 제2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술한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박리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일부재(103)의 박리에 있어서는, 제2셔터(102)의 손잡이(154)가 파지되어, 박리방향(m1)으로 인출된다. 이때,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일부재(103)는 제2슬릿(112)에 의하여 견인력을 받는다. 그 결과, 시일부재(103)가 제2슬릿(112) 및 제1슬릿(111)내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이때, 시일부재(103)의 선단부는 제1셔터(101)의 고정부(12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활차의 원리에 의하여, 제1셔터(101)는 제2셔터(102)보다도 늦게 박리방향(m1)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박리스트로크가 짧고, 또한 박리에 요하는 힘이 비교적 작으므로, 토너보급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제2셔터(101),(102)를 개방했을 때에, 시일부재(103)의 토너가 부착되어 있는 면이 제2셔터(102)에 대면하는 상태로 되므로, 토너오염이 방지된다.
토너보급을 완료한 후에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부재(3)의 박리시와 반대의 수순으로 제2셔터(102)가 수용방향(m2)으로 압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제2셔터가 모두 카트리지본체(104)내에 수용되어, 제17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된다.이때의 동작은 상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돌기(122)가 없어도 제17도의 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한 것도,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토너카트리지(300)는, 토너를 수용한 통형상의 카트리지본체(304)를 보유하고 있다. 이 토너카트리지본체(304)의 예를 들어 저면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는 후술하는 시일부재로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일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제1셔터(301) 및 제2셔터(302)가 구비되어 있다. 제1셔터(301)는 개구의 양측변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305)에 안내되어 슬라이드하고, 제2셔터(302)는 제1셔터(301)에 구비된 제2가이드레일(306)에 안내되어 슬라이드한다.
카트리지본체(304)의 상면에는, 토너충전구(307)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토너충전구(307)에는 착탈가능한 캡(332)이 끼워져 있다. 카트리지본체(304)에 토너를 충전할 경우에는, 캡(332)을 벗기고 토너충전구(307)를 통해 토너를 넣는다. 또, 카트리지본체(304)에 토너를 충전할 경우에는, 카트리지본체(304)를 거꾸로 하여, 제21도의 하면 개구로부터 토너를 넣도록 하면, 토너충전구(307)는 없어도 된다.
제22도는, 제21도에 있어서의선 22-22에 따른 토너카트리지(300)의 종단면도이고, 제23도는 제22도의 요부확대도이고, 또 제24도는 제21도에 있어서의 선 24-24에 따르는 토너카트리지(300)의 절단단면도이다.
먼저, 제22도 및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본체(304)의 하면에는 개구(33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331)의 주위는 수평방향으로 내어 붙인 개구둘레 가장자리(323)로 둘러싸여 있다. 개구(331)를 폐색하듯이 시일부재(303)가 배치되어 있다. 시일부재(303)의 주위는 접착제(324)에 의하여 개구둘레 가장자리(323)에 접착되어 있다. 시일부재(303)는, 예를 들어 가소성이 있는 얇은 시이트이다.
또, 개구둘레가장자리(323)에는, 그 좌우 양측변에 연결되어 있는 제1가이드레일(305)이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레일(305)은,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면이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가이드레일(305)은, 제1셔터(301)의 좌우 양측부를 감싸듯이 보존유지하여, 제1셔터(301)가 박리방향(m1) 및 수용방향(m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제1셔터(301)의 좌우 양측변에는, 제2가이드레일(306)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레일(306)은, 제1셔터(301)의 좌우양측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단면이 역 L자 형상을 하고 있따. 이 제2가이드레일(306)은, 제2셔터(302)의 좌우 양측부를 감싸듯이 보존유지하여, 제2셔터(302)를 박리방향(m1) 및 수용방향(m2)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고 있다.
제2가이드레일(306)에 의해 안내되는 제2셔터(302) 및 제1가이드레일(305)에 의해 안내되는 제1셔터(301)는, 모두 그 후단부(제22도 우측)에, 상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뻗어 있는 조작부(326),(327)를 보유하고 있다. 또, 카트리지본체(304)에도, 이들 조작부(326),(3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부(328)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왼손으로 본체의 조작부(328)를 잡고, 오른손으로 조작부(327)(326)를 차례로 잡아 제1셔터(301) 및 제2셔터(302)를 개방한다.
시일부재(303)의 연장부(310)는, 시일면과 반대측으로 되접어 꺾어져, 제1셔터(301)의 선단(301a)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또, 시일부재의 대략 중앙부에는, 박리방향(m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띠(329)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연결띠(329)는 제2셔터(302)의 선단(302a)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제1셔터(301)의 선단(301a) 및 제2셔터(302)은, 시일부재 고정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시일부재(303)의 연장부(310)는 제1연결장치에 대응하고, 연결띠(329)는 제2연결장치에 대응한다.
다음에, 카트리지본체(304)내의 토너를 토너호퍼에 보급하기 위하여 시일부재(303)를 박리할 경우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5도는 시일부재(303)를, 박리개시위치로부터 박리중간위치(m)가지 박리한 상태의 토너카트리지(300)의 단면도이고, 제26도는 시일부재(303)를 박리완료위치까지 완전히 박리한 상태의 토너카트리지(300)의 단면도이다.
제2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셔터(301)를 박리방향(m1)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303)를 박리개시위치로부터 박리중간위치(m)가지 박리할 수 있다. 또,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셔터(302)를 박리방향(m1)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303)를 박리중간위치(m)로부터 박리완료위치까지 박리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개구(331)가 완전히 개방된다.
제27도는, 제1셔터(301) 및 제2셔터(302)의 개방에 따른 시일부재(303) 상태의 천이(遷移)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시일부재(303)는 선단이 시일면과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꺾여져 제1셔터(301)의 선단에 고정부착 되어 있다. 따라서, 제27A도의 상태로부터, 제1셔터(301)를 박리방향(m1)으로 슬라이드시켜, 완전히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303)는 그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하여 개구둘레 가장자리(323)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된다. 그리고, 제1셔터(301)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시일부재(203)는, 개구(331) 중앙부의 박리중간위치(m)까지 박리된다(제27B도 참조).
다음에, 이 상태에서, 제2셔터(302)를 박리방향(m1)으로 잡아 당겨 개방시킨다. 그러면, 연결띠(329)를 개재하여, 시일부재(303) 중앙부가 잡아 당겨져서(제27C도 참조), 제2셔터(302)의 슬라이드에 따라, 시일부재(303)는 시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잡아 당겨져 간다(제27D도 참조). 그러므로, 제2셔터(302)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개구(331)가 완전히 개방되어, 시일부재(303)는 시일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된다(제27E도 참조). 따라서, 시일부재(303)의 오염면, 즉 토너가 정전기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시일면은 서로 마주보고 있어서, 밖으로 드러나는 면에는 토너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의복등이 더렵혀질 염려가 없다.
또, 제1셔터(301)의 스트로크길이는 개구(331)의 길이(L)와 같고, 제2셔터(302)의 스트로크길이는 L/2이다. 따라서, 박리스트로크는 1.5L이 된다. 더구나, 제22도로부터 명확하듯이, 시일부재의 길이는, 대략 개구(331)의 길이(L) 정도이므로, 시일부재의 낭비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 제1셔터(301)를 길이 L만큼 인출하면 되고, 제2셔터(302)는 제1셔터(301)보다도 길게 인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적은 공간에서 토너보급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 이 제4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본체(304)의 하방부에 제1셔터(301)의 가이드레일(305)이 설치되고 있고, 제2셔터(302)의 가이드레일(306)은 제1셔터(301)에 설치되어 있지만, 양 셔터의 가이드레일이 모두 카트리지본체(304)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1셔터(310) 및 제2셔터(302)의 슬라이드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2셔터(302)와 시일부재(303)와의 연결개소를 시일부재(303)의 중앙보다도 박리개시위치 부근(즉, 박리중간위치(m)보다도 수용방향(m2)측)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시일부재(303)나 연결띠(329)는 셔터(301),(302)의 각 선단에 고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서 셔터(301)의 박리방향으로 따라 중앙부 등에 시일부재(303)나 연결띠(329)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제2, 제3 및 제4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셔터부착제나 카트리지본체에 계지하기 위한 계지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계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운반했을 때에 제1, 제2셔터가 탈락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토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의 토너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외형이 직방체로 되어 있지만, 카트리지본체(304)의 외형형상은 임의이어서, 원기둥형상이어도 좋고, 단면이 반원형이나 반타원형상인 통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 제1, 제2셔터에 형성된 시일부재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슬릿 등의 삽통구멍 위치에 활차를 배치하고, 이 활차에 시일부재를 감아 걸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1셔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3도의 구성을 상기한 제1, 제3 또는 제4실시예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상기한 각 실시예는 한가지 예에 불과하여,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것이다.

Claims (37)

  1.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본체(4)에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31)를 보유하며, 그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박리가능한 시일부재(3)가 접착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라이드장치(1)와,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일부재(3)를 삽통관통시켜서, 시일부재(3)를 견일할 수 있는 삽입관통구멍(52)을 시일부재(3)의 박리개시위치측에 보유하는 제2슬라이드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한 시일부재(3)는 박리개시위치로부터 연장된 연장부(62)를 보유하고, 그 연장부(62)는, 실질적으로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2)에 형성된 삽입관통구멍(52)을 삽입관통하여,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 및 제2슬라이드장치(2)는,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2)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 및 제2슬라이드장치(2)가 연동하여 시일부재(3)를 박리하는 시일박리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일부재(3)는, 박리종료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본체(4)의 내부에 대향하는 면이 내측으로 되도록 안으로 접어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2)는 손잡이(5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손잡이(54)를 조작하여 제2슬라이드장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이 제2슬라이드장치(2), 시일부재(3) 및 제슬라이드장치(1)가 협동(協動)하여 시일부재(3)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2)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시일부재(3)를 개재하여 견인력이 제1슬라이드장치(1)에 부여되고, 이 제1슬라이드장치(1)가 제2슬라이드장치(2)와 연동하여 소정위치가지 이동하여 정지하고, 이 제1슬라이드장치(1)의 상기한 소정위치가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시일부재(3)가 박리도중위치가지 박리되고, 제1슬라이드장치(1)의 이동정지후 다시 제2슬라이드장치(2)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시일부재(3)가 상기한 박리도중위치로부터 박리종료위치가지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개구(31)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제1슬라이드장치(1)를 안내하기 위한 제1슬라이드가이드장치(35)가 구비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장치(1)에는, 제2슬라이드장치(2)를 안내하기 위한 제2슬라이드장치(4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1)가 카트리지본체(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37),(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2)가 카트리지본체(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41a),(5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8. 제5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2)는 손잡이(5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손잡이(54)를 조작하여 제2슬라이드장치(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시일부재(3)를 개재하여 제1슬라이드장치(1)에 견인력이 부여되고, 이 제1슬라이드장치(1)가 제2슬라이드장치(2)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1)가 카트리지본체(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37),(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2)가 카트리지본체(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41a),(5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가 상기한 개구(31)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2)가 상기한 개구(31)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 및 제2슬라이드장치(2)는, 개구(31)를 개폐하는 셔터이며, 이 제1슬라이드장치(1) 및 제2슬라이드장치(2)가 개구(31)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들을 카트리지본체(4)에 계지하는 장치(67),(68),(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4.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본체(104)에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131)를 보유하며, 그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박리가능한 시일부재(103)가 접착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한 개구(1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개구(131) 박리개시위치측으로부터 시일부재(103)를 삽입관통시킬 수 있는 제1삽입관통구멍(111)을 보유하는 제1슬라이드장치(101)와, 상기한 개구(1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시일부재(103)의 박리종료위치측에 제2삽입관통구멍(112)을 보유하는 제2슬라이드장치(102)를 포함하며, 상기한 시일부재(103)는 박리개시위치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62)를 보유하고, 이 연장부(162)는 박리개시위치측에서 되접어 꺾여져 상기한 제1삽입관통구멍(111) 및 제2삽입관통구멍(112)을 삽입관통하여,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 및 제2슬라이드장치(102)는,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102)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하여, 제1슬라이드장치(101)와 제2슬라이드장치(102)가 연동하여 시일부재(103)를 박리하는 시일박리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 및 제2슬라이드장치(102)는 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이며, 상기한 시일부재(103)의 연장부(162)가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와 카트리지본체(104)와의 사이를 통과함과 아울러, 시일부재(103)의 박리개시위치측에서 상기한 제1삽입관통구멍(111)을 삽입관통하고, 시일부재(103)의 박리종료위치측에서 제2삽입관통구멍(112)을 삽입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 및 제2슬라이드장치(102)는 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이며, 상기한 시일부재(103)의 연장부(162)가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와 제2슬라이드장치(102)와의 사이를 통과함과 아울러, 시일부재(103)의 박리개시위치측에서 제1삽입관통구멍(111)을 삽입관통하며, 시일부재(103)의 박리종료위치측에서 제2삽입관통구멍(112)을 삽입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7. 제14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102)는 손잡이(15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손잡이(154)를 조작하여 제2슬라이드장치(10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이 제2슬라이드장치(102), 시일부재(103) 및 제1슬라이드장치(101)가 협동하여 시일부재(103)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8. 제14항에 있어서, 개구(131)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제1슬라이드장치(101)를 안내하기 위한 제1슬라이드장치(135)가 구비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장치(101)에는 제2슬라이드장치(102)를 안내하기 위한 제2슬라이드가이드장치(14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101)가 카트리지본체(10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120),(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0. 제18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102)가 카트리지본체(10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141),(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1. 제18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102)는 손잡이(15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손잡이(154)를 조작하여 제2슬라이드장치(10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시일부재(103)를 개재하여 제1슬라이드장치(101)에 견인력이 부여되고, 이 제1슬라이드장치(101)가 제2슬라이드장치(102)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2. 제14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101)가 카트리지본체(10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장치(120),(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3. 제14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101)가 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4. 제14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드장치(102)가 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101) 및 제2슬라이드장치(102)는, 개구(131)를 개폐하는 셔터이며, 이 제1슬라이드장치(101) 및 제2슬라이드장치(102)가 개구(131)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들을 카트리지본체(104)에 계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6.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본체(304)에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331)를 보유하며, 그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박리가능한 시일부재(303)가 접착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한 개구(3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시일부재(303)를 고정하기 위한 시일부재 고정부(301a)를 상기한 개구(331)의 박리방향의 길이에 걸쳐서 변위시킬 수 있는 제1슬라이드장치(301)와, 상기한 개구(3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시일부재(303)를 고정하기 위한 시일부재 고정부(302a)를 상기한 개구(331)의 박리방향 길이의 절반의 길이에 걸쳐서 변위시킬 수 있는 제2슬라이드장치(302)와, 시일부재(303)의 일단부와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301)의 시일부재 고정부(301a)를 연결하는 제1연결장치(310)와, 시일부재(303)의 상기한 개구(331)의 대략 중앙부위와 제2슬라이드장치(302)의 시일부재 고정부(302a)를 연결하는 제2연결장치(329)를 포함하며,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301) 및 제2슬라이드장치(302)는 시일부재(303)를 박리하기 위한 시일박리장치를 구성하고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301)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를 박리도중위치까지 박리할 수 있고, 제2슬라이드장치(302)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시일부재를 박리도중위치로부터 박리종료위치까지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301)의 시일부재 고정부(301a)가, 제1슬라이드장치(301)의 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302)의 시일부재 고정부(302a)가, 제2슬라이드장치(302)의 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연결장치(301)가 시일부재(303)를 연장한 연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0. 제26항에 있어서, 개구(331)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제1슬라이드장치(301)를 안내하기 위한 제1슬라이드가이드장치(305)가 구비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장치(301)에는, 제2슬라이드장치(302)를 안내하기 위한 제2슬라이드가이드장치(30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1. 제26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장치(301) 및 제2슬라이드장치(302)는, 각각 손잡이(326),(327)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슬라이드장치(301)가 개구(331)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302)가 개구(331)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4. 내부를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본체(4)에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31)를 보유하며, 그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박리가능한 시일부재(3)가 접착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박리개시위치로부터 박리도중위치까지 시일부재(3)를 선단부로부터 박리할 수 있으며, 시일부재(3)의 박리길이에 대하여 박리스트로크가 2배가 되도록 시일부재(3)를 박리하는 제1박리장치와,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한 박리도중위치로부터서 박리완료위치까지 시일부재(3)를 박리할 수가 있으며, 시일부재(3)의 박리길이와 박리스트로크가 동등하게 되도록 시일부재(3)를 박리하면서, 시일부재(3)를 토너카트리지본체(4)내에 대향하는 표면이 내측이 되도록 안으로 접어넣는 제2박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박리장치는,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라이드장치(1)와,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일부재(3)를 삽입관통시켜, 이 시일부재(3)를 견인할 수 있는 삽입관통구멍(52)를 시일부재(3)의 박리개시위치측에 보유하는 제2슬라이드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2박리장치는 제2슬라이드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한 시일부재(3)는 박리개시 위치로부터 연장된 연장부(62)를 보유하고, 그 연장부(62)는 제2슬라이드장치(2)에 형성된 삽입관통구멍(52)를 삽입관통하여, 제1슬라이드장치(1)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6.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본체(4)에 형성된 개구(31)에 피착되어 있는 시일부재(3)를 박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한 제1슬라이드장치(1)와, 상기한 개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함과 아울러, 시일부재(3)를 삽입관통시킬 수 있는 삽입관통구멍(52)을 보유하는 제2슬라이드장치(2)를 설치하고, 제1슬라이드장치(1)에 의하여 시일부재(3)의 박리개시위치측 끈부분을 잡아 당겨서, 이 제1슬라이드장치(1)와 제2슬라이드장치(2)를 연동시켜, 박리도중위치까지 시일부재(3)를 박리하고, 시일부재(3)의 상기한 박리개시위치측 끝부분과 상기한 박리도중위치 부위와의 사이의 부분을 삽입관통구멍(52)에 삽입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제2슬라이드장치(2)를 잡아 당겨서, 박리종료위치까지 시일부재(3)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37.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본체(304)에 형성된 개구(331)에 피착되어 있는 시일부재(303)를 박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한 제1슬라이드장치(301)와, 제2슬라이드장치(302)를 설치하고, 제1슬라이드장치(301)에 의하여 시일부재(303)의 박리개시위치측 끝부분을 잡아 당겨서, 박리도중위치까지 시일부재(303)를 박리하고, 제2슬라이드장치(302)에 의하여 시일부재(303)의 박리도중위치 부위를 잡아 당겨서, 박리종료위치까지 시일부재(303)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KR1019920006311A 1991-04-19 1992-04-15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KR960016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88776A JP2628565B2 (ja) 1991-04-19 1991-04-19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91-88776 1991-04-19
JP91-174419 1991-06-18
JP3174419A JPH04369668A (ja) 1991-06-18 1991-06-18 トナーカートリッジ
SG1996007565A SG47105A1 (en) 1991-04-19 1992-04-15 Toner cartridge having opening for discharging toner sealed with sealing member and method of stripping seal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90A KR920020290A (ko) 1992-11-20
KR960016419B1 true KR960016419B1 (ko) 1996-12-11

Family

ID=2730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311A KR960016419B1 (ko) 1991-04-19 1992-04-15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294963A (ko)
EP (1) EP0514666B1 (ko)
KR (1) KR960016419B1 (ko)
DE (1) DE69213551T2 (ko)
SG (1) SG47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8358C (en) * 1991-05-14 1998-12-22 Yoshihiko Yamada Developer replenishing cartridge and developer receiving apparatus within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ed
US5402216A (en) * 1992-12-28 1995-03-28 Mita Industrial Co., Ltd.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toner falling aperture
JP2873532B2 (ja) * 1993-01-13 1999-03-24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JP3210175B2 (ja) * 1993-06-10 2001-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前記容器の組み立て方法
JP2875464B2 (ja) * 1993-11-11 1999-03-31 株式会社リコー 感光体クリーニング装置
JP2987083B2 (ja) * 1994-10-21 1999-12-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386624B2 (ja) * 1995-02-16 2003-03-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0129183Y1 (ko) * 1995-03-09 1999-03-20 김광호 화상형성 장치의 토너 누출 방지 장치
US5555080A (en) * 1995-12-08 1996-09-10 Eastman Kodak Company Slide cover for marking particle cartridge
JP3284334B2 (ja) * 1996-11-18 2002-05-2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シャッタ部材及びこれを使用するトナー補給装置
US5836358A (en) * 1997-07-23 1998-11-17 Litton Systems, Inc. Fill port covers
US5878307A (en) * 1998-02-12 1999-03-02 Nashu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having rotary seal
US5999770A (en) * 1999-05-05 1999-12-07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Developer container with sliding cover means
JP4054521B2 (ja) * 1999-11-29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6484412B1 (en) * 2000-07-14 2002-11-26 Penshar, Inc. Non-spill chalk line and measured refill cartridge
JP4573972B2 (ja) 2000-09-01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2048546A3 (en) * 2000-09-01 2011-03-16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TW525794U (en) 2001-11-12 2003-03-21 Gen Plastic Ind Co Ltd Powder supply apparatus of carbon powder cartridge
US6668145B2 (en) * 2002-03-08 2003-12-23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Toner cartridge opening control arrangement
CN2742471Y (zh) * 2004-09-07 2005-11-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粉盒
KR100694128B1 (ko) * 2005-06-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378374B2 (ja) * 2006-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87934B2 (ja) * 2009-12-15 2014-05-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35116B2 (ja)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5719339B2 (ja) * 2012-11-22 2015-05-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CN111770884B (zh) * 2018-02-05 2022-08-30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用于非接触式化学品分配的包装和对接系统
WO2020163470A1 (en) 2019-02-05 2020-08-13 Ecolab Usa Inc. Packaging and docking system for non-contact chemical disp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447A (en) * 1977-08-04 1979-03-03 Ihara Chemical Ind Co Method of deororizing phosphine odor drainage
US4448922A (en) * 1980-09-18 1984-05-15 Norwood Industries, Inc. Coagulated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JPS591378A (ja) * 1982-06-17 1984-01-06 コニカ株式会社 粉体容器
JPS5941364A (ja) * 1982-09-01 1984-03-07 Sumitomo Chem Co Ltd カロチノイド類を含有する着色剤
JPS59181457U (ja) * 1983-05-18 1984-12-0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カ−トリツジ容器
JPS60177372A (ja) * 1984-02-24 1985-09-11 Ricoh Co Ltd トナ−カ−トリツジ
DE3637836A1 (de) * 1986-11-06 1988-05-19 Wacker Chemie Gmbh Waessrige silicondispersionen
US4732277A (en) * 1987-01-20 1988-03-22 Xerox Corporation Toner cartridge with removable sleeve closure
JPS63132962U (ko) * 1987-02-20 1988-08-31
JPH07101326B2 (ja) * 1987-03-31 1995-11-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カ−トリツジ
JPS63249870A (ja) * 1987-04-06 1988-10-17 Mita Ind Co Ltd シ−ル開封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現像剤収納容器並びにシ−ル開封補助部材
JPS6460142A (en) * 1987-08-31 1989-03-07 Nec Corp Regulating device for incoming call connection
JPH01280781A (ja) * 1989-03-17 1989-11-10 Konica Corp 粉体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4666B1 (en) 1996-09-11
KR920020290A (ko) 1992-11-20
US5294963A (en) 1994-03-15
DE69213551D1 (de) 1996-10-17
EP0514666A2 (en) 1992-11-25
DE69213551T2 (de) 1997-03-27
EP0514666A3 (en) 1993-11-03
SG47105A1 (en) 1998-03-20
US5363177A (en) 1994-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419B1 (ko) 토너배출용 개구를 시일부재로 밀봉한 토너카트리지 및 시일부재의 박리방법
KR0132139B1 (ko) 현상제 보충용 카아트리지
US6289193B1 (en) Toner supply container and toner 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oner from same
US5475479A (en) Developer cartridge having an automatic lid closing mechanism
DE69624610T2 (de) Tonerbehälter und Prozesskassette
KR940011867B1 (ko) 현상장치
US5206619A (en) Toner cartridge
JPS5953868A (ja) 現像剤貯蔵容器
KR950003008B1 (ko) 현상장치에 설치되는 토너팩 및 토너팩으로 부터 현상장치에 토너를 보급하는 방법
JP2701291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4291562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974216B2 (ja) 現像剤補給装置
KR970001197B1 (ko) 현상제 보충기구
JP262856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17124Y2 (ja) 現像剤用カートリッジ容器
JP281091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3103881A (ja) 現像装置
JP2701292B2 (ja) トナー補給装置
US6878429B2 (en) Sealing member for developer container
JPH04151682A (ja) 現像剤補給装置
JPS63318579A (ja) 現像剤補給装置
JP2000081777A (ja) 現像剤補給容器
JPS63178273A (ja) トナ−補給装置
JP2840628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346377A (ja)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