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867B1 -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867B1
KR940011867B1 KR1019900014704A KR900014704A KR940011867B1 KR 940011867 B1 KR940011867 B1 KR 940011867B1 KR 1019900014704 A KR1019900014704 A KR 1019900014704A KR 900014704 A KR900014704 A KR 900014704A KR 940011867 B1 KR940011867 B1 KR 94001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ack
toner pack
main body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798A (ko
Inventor
사토시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411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10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28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228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장치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각각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와 상면도 및 정면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하는 조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4 도는 장전전의 측면도이고, 제 5 도는 장전후의 측면도.
제 6 도는 토너팩을 나타낸 사시도.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토너팩에 설치된 누름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와 정면도 및 상면도.
제10도는 누름기구의 누름레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장치본체와 토너팩과의 강전전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12도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커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로서, 제13도는 본체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14도는 장착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 1a : 케이스
2 : 토너팩 2a : 케이스
3 : 토너주입구 4 : 가이드레일
5 : 토너팩끼움구멍 6 : 스토퍼
7 : 광폭부 8 : 돌기
9 : 누름부 10 : 누름편
11 : 토너방출구 12,13,14 : 플랜지
14a : 기립편 15 : 탄성완
15a : 테이퍼면 16 : 오목부
17 : 시트 18 : 누름레버
19 : 축 20,21 : 축누름부
22 : 지지부 23 : 가스켓
30 : 커버 31 : 기판
32 : 가이드레일 33 : 지지부재
34 : 스토퍼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사사진기록장치에 설치되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및 레이저프린터등으로서 사용되는 전사사진기록장치는 감광드럼의 주위에 그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된 대전장치, 노광장치,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정착장치를 갖추어, 감광드럼을 회전시켜 대전장치로 드럼표면을 대전한 후, 노광장치로 드럼표면을 노광하여 잠상(潛像)을 형성하고, 이어 현상장치로 드럼표면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을 행함으로써 토너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사장치로 드럼표면의 토너상을 기록지에 전사하고, 또 정착장치로 기록지의 토너상을 정착시켜 기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사사진기록장치에 설치되는 현상장치는 장치본체에 토너를 저장하고 있다가 장치본체로부터 감광드럼의 표면에 그 토너를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서, 토너의 사용에 의해 장치본체내의 토너가 감소한 경우에는 장치본체의 내부에 토너를 보충하게 된다.
현상장치의 장치본체에 토너를 보충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팩(toner pack)을 장치본체에 장전하고, 이 토너팩으로부터 토너를 장치본체에 보충하여, 장치본체내의 토너가 일정량 이하인 때는 토너팩을 장치본체로부터 밖으로 빼내고 새로운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하는 토너팩교환방식이 있다.
토너팩교환방식을 채용한 현상장치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장치본체는 상면부에 토너주입구가 설치됨과 더블어, 그 토너주입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은 단면이 갈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토너팩의 양측 가장자리를 측방 및 상방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토너팩의 하면부에는 토너방출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토너팩의 토너 방출구는 예컨대 띠형상의 종이가 밀착되게 부착되어 봉쇄되어 있다.
또한, 토너팩을 장치본체의 상면부에 놓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레일에 조합하면, 이것에 의해 토너팩의 양측 가장자리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측방 및 상방으로부터 눌러지게 된다. 그리고, 토너팩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토너주입구까지 슬라이딩시켜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한 후, 외부로 나온 띠형상의 종이끝을 잡아당겨 토너팩에 부착되어 있던 띠형상의 종이를 분리해냄으로써 토너방출구를 개방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토너팩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가 토너방출구로부터 토너주입구를 통해 장치본체의 내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장치본체내의 토너가 부족하여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 장치본체에 장전되어 있는 사용완료된 토너팩을 슬라이딩시켜 장치본체로부터 밖으로 빼내게 된다.
이와 같은 토너팩교환방식에 의하면, 토너팩이 수용된 토너를 외부에 흘리지 않고 장치본체내부에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토너가루에 의한 오손(汚損)을 수반하지 않고 토너보충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토너팩교환방식을 채용한 현상장치에서는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한 경우에 장치본체의 상면부와 토너팩의 하면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게 되면 장치본체내부의 토너가 그 틈새로부터 외부로 누출되게 되므로, 장치본체와 토너팩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지 않도록 밀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장치본체의 상면부에 스폰지등으로 이루어진 가스켓을 배치하고, 토너팩을 그 가스켓상에 올려놓아 장전함으로써 장치본체와 토너팩의 사이를 가스켓으로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토너팩교환방식의 현상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에서는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하기 위해 토너팩을 장치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된 가스켓에 올려놓고, 토너팩의 양측 가장자리를 장치본체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삽입하여 토너팩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이드레일에서 상층으로부터 눌러 고정시킨 후, 이 상태에서 토너팩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치본체의 토너주입구에 일치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때 토너팩의 하면부를 장치본체에 배치된 가스켓에 확실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토너팩이 가스켓을 상측으로부터 눌러 가스켓을 압축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토너팩을 누르는 가이드레일의 높이를 조절하여, 토너팩이 가스켓을 적절하게 압축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레일로 토너팩을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토너팩이 가스켓을 적절하게 압축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레일로 토너팩을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구성으로 하게 되면,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대해서 장착 또는 탈착시키기 위해 그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배치된 가스켓에 올려놓고 토너팩이 양측 가장자리를 장치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삽입하여 슬라이딩시킬 때에 토너팩의 양측 가장자리가 가이드레일과 가스켓에 끼여서 가스켓으로부터의 상기한 압축에 따른 반발력이 토너팩에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토너팩은 미끄러질 때에 강한 마찰저항을 받게 되므로, 그 강한 마찰저항에 대항하여 토너팩에 강한 힘을 가해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대해 장전 또는 탈착하기 위한 조작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토너팩에 의한 가스켓의 압축량을 작게 하게 되면, 이 경우에는 토너팩이 가스켓에 밀착되는 정도가 약화되어, 예컨대 가이드레일이나 토너팩의 제조상의 칫수오차관계로 토너팩이 경사지게 가이드레일이 삽입된 경우에는 토너팩과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토너팩과 장치와의 밀봉도가 불충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팩과 가스켓과의 밀봉도를 높이기 위해 토너팩으로 가스켓을 압축시키면 토너팩을 미끄럼운동시킬 때에 강한 마찰저항이 가해져서 조작성이 악화되고, 또 토너팩이 가스켓을 압축하는 양을 작게 하면 토너팩과 가스켓과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토너팩과 장치본체사이의 밀봉도가 불충분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토너팩을 미끄럼동작시킬 때의 조작성이 양호하고, 또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한 때의 토너팩과 장치본체와의 사이를 양호하게 밀봉시킬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너가 주입되는 토너주입구를 갖추고, 내부에 존재하는 토너를 감광체에 공급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토너주입구에 일치시켜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전됨과 더불어, 상기 토너주입구와 대면하는 토너방출구를 갖추어, 내부에 충전된 토너를 이들 구멍을 통해서 상기 장치본체에 공급하는 토너팩, 상기 장치본체에 상기 토너주입구를 에워싸면서 부착되어 상기 장치본체와 그 장치본체에 장전된 상기 토너팩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부재 및 상기 토너팩에 설치되어 그 토너팩이 상기 장치본체에 장전된 때에 상기 토너팩을 상기 시일부재측으로 누르는 누름기구수단으로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를 도시해 놓은 도면으로, 본 실시에에서는 토너공급구멍이 형성된 장치본체의 상면부로 토너방출구가 하면부에 형성된 토너팩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전되는 형식의 현상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현상장치는 전사사진기록장치에 설치 되는 것이다.
또, 도면중 참조부호 1이 현상장치의 장치본체이고, 2는 토너팩을 나타내는데, 이들 모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장치본체(1)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 제 9 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긴 호퍼(hopper)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a)를 갖추고 있는데, 이 케이스(1a)의 상판 중앙부에는 횡방향으로 긴 토너주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토너주입구(3)의 양쪽에 위치하는 상판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토너팩(2)이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레일(4)이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들 가이드레일(4)은 토너팩(2)의 양측 가장자리의 플랜지(12)를 측방으로만 누르는 볼록부분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1a)의 상판의 한쪽 끝부분에는 이들의 상면과 가이드레일(4)의 내측면으로 규정되는 토너팩끼움구멍(5)이 형성되고, 다른쪽 끝부위에는 양 가이드레일(4)을 브릿지로 하여 스토퍼(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쪽의 가이드레일은 다른쪽의 가이드레일에 대해서 한쪽 끝부위를 제외하고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 이 한쪽 가이드레일의 한쪽 끝부위는 평행부로부터 다른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와 이 경사부로부터 상기 평행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짧은 평행부로 구성되어, 외측으로 향하여 레일간격을 확대하는 광폭부(7)를 이루고 있는데, 이 광폭부(7)의 짧은 평행부의 내측면에는 후단의 장소에 테이퍼면(7a)이, 또 후단근방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면서 돌기(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가이드레일(4)의 일단, 즉 광폭부(7)의 끝부위의 상부 내측면과 다른쪽 가이드레일(4)의 끝부위의 상부 내측면에는 각각 토너팩끼움구멍(5)을 향해서 상판의 상면에 대해서 소정간격 떨어짐과 더불어, 평행하게 수평으로 뻗어 상호 소정간격을 갖추도록 대면한 누름부(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토퍼(6)의 상부 내측면에는 수평한 누름편(10)이 돌출되면서 설치되어 있다.
장치본체(1)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토너공급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장치본체(1)의 상판 상면에는 가이드레일(4), 토너팩끼움구멍(5) 및 스토퍼(6)에 둘러싸여진 부분에 토너주입구(3)를 둘러싸면서 가스켓(2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스켓(23)은 스폰지등과 같이 두께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한 탄력을 갖춘 시트형상의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토너팩(2)은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긴 케이스(2a)를 갖추고 있고, 이 케이스(2a)의 하부에는 횡방향의 긴 토너방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판의 토너방출구(11)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장치본체의 가이드레일(4)의 내측면에 각각 미끄러지면서 접합되거나 끼워맞춰지는 플랜지(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하판의 양단부 외측면에는 플랜지(12)의 양단부를 브릿지하도록 플랜지(13,14)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토너팩(2)의 타단부(앞부위)의 플랜지(14)의 상면에는 상호 폭방향으로 떨어진 한쌍의 기립편(14a)이 토너팩(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기립편은 전방 상면에 상기 플랜지(12)와 상접하는 테이퍼가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의 플랜지(13)부근의 한쪽의 플랜지(12)부분에는 바깥쪽 후방을 향해서 당겨지는 탄성을 갖추고, 후단부가 플랜지(12)와 평행한 탄성완(15)의 베이스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탄성완(15)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앞부위의 장소에 테이퍼면(15c)이, 또 앞부위부근의 장소에 오목부(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팩(2), 즉 케이스(2a)안에는 토너방출구(11)로부터 토너가 충전되는 후, 토너방출구(11)는 띠형상의 시트(17)로 피복되고, 이 시트는 케이스(2a)의 하판의 하면에 접착되게 된다. 이 때문에 토너팩(2)의 내부에 충전된 토너는 토너방출구(11)로부터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띠형상의 시트(17)는 토너팩(2)의 토너방출구(11)의 길이의 2배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대략 반정도길이의 부분이 케이스(2a)의 하면부에 접착되고, 접착되지 않는 부분은 토너팩(2)의 앞쪽 끝부위에서 되접어 꺽여 하면부에 접착된 부분의 하측에 겹쳐지게 된다.
토너팩(2)이 뒷쪽 플랜지(13)상에는 누름레버(18)가 설치되어 있다. 제 9 도 내지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레버(18)는 플랜지(13)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긴 베이스부를 갖추고, 이 베이스부에 이것을 따라 연장된 축(19)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누름레버(18)는 축(19)을 플랜지(13)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플랜지(1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데, 이때 플랜지(13)의 상면에는 폭방향의 끝부위부근에 서로 간격이 떨어져 있는 축(19)을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한쌍의 축누름부(20)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는 축(19)을 하측으로부터 누르는 축누름부(21)가 형성되어, 이들 축누름부(20,21)의 조합으로 누름레버(18)의 축(19)을 토너팩의 폭방향에서 연장한 수평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누르고, 누름레버(18) 전체를 플랜지(13)상에서 수직위치와 플랜지(13)의 뒷쪽을 향해서 아랫쪽으로 경사진 수평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누름레버(18)의 베이스부의 양측 끝부위는 상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지지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지부(22)는 누름레버(19)를 수직위치로 세운 때에 장치본체(1)의 가이드레일(4)에 형성된 누름편(9)의 하면에 맞닿아서 토너팩(2)의 플랜지(13)를 장치본체(1)에 설치된 가스켓(23)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지지부(22)와 축(19)의 하단과의 사이길이(ℓ)는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팩(2)을 가스켓(23)상에 올려놓은 때의 토너팩(2)의 플랜지(13)의 상면과 누름편(9)의 하면과의 사이간격길이(L)보다 크게 설정되고, 그 차(ℓ-L)는 토너팩(2)이 가스켓(23)을 충분한 실드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정의 압축량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2도는 토너팩을 장치본체로부터 밖으로 빼낼때에 사용하는 커버(30)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커버(30)는 토너팩의 하판과 거의 동일한 디멘전(dimension)을 갖는 기판(31)과, 이 기판(31)의 상면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설치된 가이드레일(3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레일(32)은 얇은 판의 측면 가장자리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토너팩(2)의 플랜지(12)를 외측면 및 상하면과 미끄러져서 접합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가로방향으로 "U"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 한쪽의 가이드레일(32)의 앞부위에는 상술한 돌기(8)와 오목부분(16)에 의한 로크기구를 해제하는 해제부재(3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해제부재(33)는 가이드레일(32)의 앞부위로부터 외부 뒷쪽으로 연장된 탄성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편은 양호한 가이드레일(32)을 되접어 꺽어 형성하게 되고, 또 기판(31)의 상면 후단에는 스토퍼편(34)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판(31)과 가이드레일(32), 해제부재(33) 및 스토퍼편(34)은 합성수지시트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해제부재(33)는 가이드레일(32)의 안쪽에 돌출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상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토너팩(2)을 이하와 같이 장치본체(1)에 장전한다. 즉, 토너팩(2)에 설치된 누름레버(18)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위치로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4 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팩(2)을 장치본체(1)의 토너팩 끼움구멍(5)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토너팩(2)의 앞쪽 플랜지(14)를 장치본체(1)의 상면부에 배치된 가스켓(23)상에 올려놓고, 그 플랜지(14)를 선두로 하여 토너팩(2)을 장치본체(1)의 토너주입구(3)를 향해 슬라이드시킨다. 이때 토너팩(2)의 양쪽 플랜지(12)의 바깥측이 장치본체(1)의 가이드레일(4)의 안쪽에 접촉되어 그 가이드레일(4)에 안내되므로 토너팩(2)은 가스켓(23)의 위를 미끄러지게 된다. 그리고 토너팩(2)의 앞쪽 플랜지(14)가 장치본체(1)의 후부에 설치된 스토퍼(6)에 충돌하여 플랜지(14)에 형성된 기립편(14a)의 앞부위가 장치본체(1)의 누름편(10)의 하측에 들어간 시점에서, 토너팩(2)의 토너방출구(6)가 장치본체(1)의 토너주입구(4)와 일치하게 되고, 이때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팩(2)의 후단부가 장치본체(1)의 가이드레일(4)의 후단부에 이르러, 토너팩(2)에 설치된 탄성완(15)이 한쪽의 가이드레일(4)에 형성된 광폭부(7)의 돌기(8)에 탄성력으로 접촉되어 광폭부(7)의 돌기(8)가 탄성완(15)의 오목부(16)에 이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토너팩(2)은 슬라이드를 방지하는 장치본체(1)에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팩(2)의 뒷쪽 플랜지(13)에 설치된 누름레버(18) 및 띠형상의 시트(17)의 끝부위는 장치본체(1)의 토너주입구(5)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토너팩(2)을 장치본체(1)에 장전하는 경우에 토너팩(2)은 장치본체(1)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전혀 받지 않고 장치본체(1)에 설치된 가스켓(23)상을 슬라이드되게 되므로 토너팩(2)을 극히 경쾌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띠형상의 시트(17)의 끝부위를 누름레버(18)로부터 벗겨 후방으로 빼냄으로써 띠형상의 시트(17)의 접착되지 않는 부분을 장치본체(1)로부터 토너팩(2)과 장치본체(1)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동시에 띠형상의 시트(17)중 토너팩(2)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있는 부분도 순차 벗겨져서 장치본체(1)의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토너팩(2)의 내부에 충전된 토너가 토너방출구(11)로부터 장치본체(1)의 토너주입구(3)를 통해 장치본체(1)의 내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누름레버(18)를 이하와 같이 조작하여 토너팩(2)의 하면으로 장치본체(1)에 설치된 가스켓(23)을 누른다. 즉, 토너팩의 장전시에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레버(18)는 수평에 이르는 위치로 되고, 누름레버(18)의 지지부(22)가 장치본체(1)의 가이드레일(4)의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편(9)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레버(18)를 조작하여 제 1 도 내지 제 3 도,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나타낸 수평위치로부터 축(19)을 중심으로 하여 누름레버(18)를 히동시켜 수직위치로 세우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누름레버(18)와 함께 그 누름레버(18)에 형성된 지지부(2)가 세워진 위치로 이동하여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의 상면이 장치본체(1)의 가이드레일(4)의 일단부에 형성된 누름편(9)의 하면에 맞닿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22)와 축(19)을 가로지르는 상하방향의 길이(ℓ)는 가스켓(23)에 놓여진 토너팩(2)의 플랜지(13)의 상면과 누름편(9)의 하면과의 사이의 간격길이(L)에 대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부(22)와 축(19)은 플랜지(13)와 누름편(9)의 사이에 돌출된 상태로 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누름편(9)은 고정된 상태로 있고, 토너팩(2)의 플랜지(13)는 탄력이 있는 가스켓(23)에 놓여 상하고 그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축(19)의 양단이 토너팩(2)의 플랜지(13)를 윗쪽으로 누르게 되고, 그 결과 플랜지(13)측으로 변위되면서 가스켓(23)을 윗쪽으로 눌러 압축시키게 된다. 이 경우, 플랜지(13)의 하측으로의 변위량은 지지부(2)와 축(19)을 가로지르는 상하방향의 길이(ℓ)와 가스켓(23)에 놓여진 토너팩(2)의 플랜지(13)의 상면과 누름편(9)의 하면사이의 간격길이(L)의 차의 길이로 디고, 이 길이차가 플랜지(13)가 가스켓(23)을 억압하여 압축시키는 양이 된다.
따라서, 토너팩(2)으 플랜지(13)가 가스켓(23)을 눌러 압축시킴으로써 플랜지(13)에 연속하는 토너팩(2)의 플랜지(12)의 부분도 가스켓(23)을 눌러 압축하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팩(2)의 앞쪽의 플랜지(14)에 형성된 기립편(14a)이 장치본체(1)의 후단부의 누름편(10)의 하측에 인입하여 누름편(10)의 하면에 접촉되게 된다. 이 때문에 누름편(10)이 기립편(14a)을 통해서 플랜지(14)를 상측으로부터 내리누르게 됨으로써 플랜지(14)도 플랜지(13)와 마찬가지로 가스켓(23)을 눌러 압축시키게 되고, 또 토너팩(2)의 플랜지(14)가 가스켓(23)을 눌러 압축하게 됨으로써 플랜지(14)에 연속하는 토너팩(2)의 플랜지(12)부분도 가스켓(23)을 눌러 압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스켓(23) 전체가 토너팩(2)의 플랜지에 눌려져 충분한 압축량을 갖도록 압축되게 된다.
이에 따라 토너팩(2)의 플랜지(12~14)가 가스켓(23)에 양호하게 밀착되어 토너팩(2)과 장치본체(1)와의 사이가 양호하게 밀봉되게 되므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토너팩(2)은 누름레버(18)와 누름편(10)에 의해 눌려져서 장치본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이드레일(4)을 종래와 같이 토너팩(2)의 플랜지를 측방과 상방으로 누르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장치본체(1)의 내부에 공급된 토너는 장치본체(1)의 토너공급구멍으로부터 감광체가 공급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감광체로의 공급에 의해 장치본체(1)의 내부이 토너가 감소하여 보충이 필요로 된 경우에는 장치본체(1)에 장전되어 있는 사용완료의 토너팩(2)을 장치본체(1)로부터 빼내어 비사용의 새로운 토너팩을 새롭게 장전하게 된다.
한편, 사용완료된 토너팩(2)을 장치본체(1)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누름레버(18)가 수평상태로 되도록 토너팩(2)의 플랜지의 누름부를 해제하고, 그 후 토너팩(2)을 가이드레일(4)을 따라 슬라이드시켜 장치본체(1)의 토너팩 끼움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빼낸다. 이때 제12도에 도시된 커버(30)를 사용하게 되면 토너팩(2)의 내면에 부착된 토너가 토너팩으로부터 빠져나와 장치본체 및 그 주위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커버(30)의 사용방법을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누름레버(18)를 수평위치로 회동시킨 후, 커버(30)를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팩(2)과 대면하도록 장치본체(1)의 전방으로 수평으로 위치시킨다. 이어, 그 커버(30)를 전방으로 시프트시켜 이것의 해제부재(33)를 로크기구의 탄성완(15)의 앞부위와 광폭부(7)의 앞부위사이에 삽입하고,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를 안쪽으로 시프트시킨다. 그 결과 로크기구가 해제되어 토너팩(2)이 장치본체(1)에 대하여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그리고, 토너팩(2)을 뒷쪽으로 빼내게 되는데, 이에 따라 그 플랜지(12)가 가이드레일(32)중으로 들어가서 안내가능상태로 되고, 그 토너팩(2)을 더욱 빼내게 되면 플랜지(12)는 장치본체(1)의 가이드레일(4)로부터 외부 커버(30)의 가이드레일(3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너팩(2)의 토너방출구는 장치본체(1)의 상면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벗어나는 것과 동시에 커버(30)의 기판(31)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그 결과 토너방출구로부터 외부로 토너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토너팩을 눌러서 가스켓을 누르는 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전하는 형식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토너팩을 장치본체의 상면부에 상측으로부터 올려놓는 형식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장치본체와 토너팩을 로크하는 기구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또 장치본체 및 토너팩의 구성도 상기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소에 병기한 도면참조부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할 의도에서 병기한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할 때에 토너팩을 장치 본체의 소정의 장전위치까지 강한 마찰저항을 받지 않고 경쾌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토너팩이 소정의 장전위치에 도달된 때에는 누름기구를 작용시켜 토너팩으로 시일(seal)부재를 누름으로써 시일부재를 압축시켜 토너팩과 시일부재를 충분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되며, 토너팩을 이동시킬 때의 조작성이 양호하고 또 토너팩을 장치본체에 장전한 때의 토너팩과 장치본체와의 사이를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된 현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토너가 주입되는 토너주입구(3)를 갖추고, 내부에 존재하는 토너를 감광체에 공급하는 장치본체(1)와, 상기 토너주입구(3)에 일치시켜 상기 장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장전됨과 더불어, 상기 토너주입구(3)와 대면하는 토너방출구(11)를 갖추어, 그 내부에 충전된 토너를 이들 구멍(3,11)을 통해서 상기 장치본체(1)에 공급하는 토너팩(2), 상기 장치본체(1)에 상기 토너주입구(3)를 에워싸면서 부착되어 상기 장치본체(1)와 그 장치본체(1)에 장전된 상기 토너팩(2)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부재(23) 및, 상기 토너팩(2)에 설치되어 그 토너팩(2)이 상기 장치본체(1)에 장전된 때에 상기 토너팩(2)을 상기 시일부재(23)측으로 누르는 누름기구수단(12,13,14,1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기구수단은 상기 토너팩(2)에 회동가능한 레버(18)와, 이 레버(18)를 회동시켜 장치본체(1) 방향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상기 시일부재(23)를 누르는 수단(12,13,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팩(2)은 상기 토너방출구(11)를 갖춘 케이스(2a)와, 이 케이스(2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누름수단을 구성하는 플랜지(12,13,14)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본체(1)는 상기 토너주입구(3)를 갖춘 케이스(1a)와, 상기 토너팩(2)의 플랜지(12,13,14)를 상기 토너주입구(3)에 토너방출구(11)가 대면하도록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수단(4)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8)는 상기 플랜지(12,13,14)의 일단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장치본체(1)는 레버(18)가 회동된 때에 그 레버(18)와 맞닿아 레버(18)를 매개로 플랜지(12,13,14)를 시일부재(23)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수단(9)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토너를 주입받는 토너주입구(3)를 갖추고, 내부에 남아있는 토너를 감광체에 공급하는 장치본체(1)와, 이 장치본체(1)에 상기 토너주입구(3)가 일치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장전되고, 상기 토너주입구(3)와 대면하는 토너방출구(11)를 갖추어, 내부에 장전된 토너를 이들 구멍(3,11)을 매개로 상기 장치본체(1)에 공급하는 토너팩(2), 이 토너팩(2)을 장치본체(1)로부터 빼낼때에 상기 장치본체(1)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토너팩(2)을 받아서 상기 토너팩(2)의 토너방출구(11)를 봉쇄하는 커버(30), 상기 장치본체(1)와 그 장치본체(1)에 장전된 토너팩(2)을 상호 로크하는 로크기구(8,16) 및, 상기 커버(30)에 설치되면서 상기 로크기구(8,16)의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33)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KR1019900014704A 1989-09-18 1990-09-18 현상장치 KR94001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241116 1989-09-18
JP1241116A JP2831047B2 (ja) 1989-09-18 1989-09-18 現像装置
JP1242822A JP2862284B2 (ja) 1989-09-19 1989-09-19 現像装置
JP01-242822 1989-09-19
JP02-242822 1990-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798A KR910006798A (ko) 1991-04-30
KR940011867B1 true KR940011867B1 (ko) 1994-12-27

Family

ID=2653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704A KR940011867B1 (ko) 1989-09-18 1990-09-18 현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75588A (ko)
EP (1) EP0418824B1 (ko)
KR (1) KR940011867B1 (ko)
CA (1) CA2025503C (ko)
DE (1) DE690187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390A (en) * 1990-03-20 1993-08-10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ing device with toner cartridge cover shaped to prevent leakage
CA2068358C (en) * 1991-05-14 1998-12-22 Yoshihiko Yamada Developer replenishing cartridge and developer receiving apparatus within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ed
US5337125A (en) * 1991-05-29 1994-08-09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feeding device
US5475479A (en) * 1991-11-08 1995-12-1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having an automatic lid closing mechanism
JP2907625B2 (ja) * 1992-02-03 1999-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KR0127279B1 (ko) * 1992-07-24 1997-12-29 사또 후미오 전자사진장치용 용기 및 현상장치
JPH06313996A (ja) * 1993-04-28 1994-11-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現像装置
US5383502A (en) * 1993-12-03 1995-01-24 Xerox Corporation Automatic toner dispenser lid latching and unlatching system
US5555080A (en) * 1995-12-08 1996-09-10 Eastman Kodak Company Slide cover for marking particle cartridge
US5970284A (en) * 1998-03-31 1999-10-19 Eastman Kodak Company Slide cover for marking particle receptacle
US5999770A (en) * 1999-05-05 1999-12-07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Developer container with sliding cover means
US7257363B2 (en) 2005-09-22 2007-08-14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moving toner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JP4511583B2 (ja) * 2007-11-09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CN101639647B (zh) * 2009-06-12 2013-02-2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锁定机构的碳粉盒
KR101702436B1 (ko) * 2010-05-10 2017-02-0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385A (en) * 1975-03-14 1977-12-13 Eastman Kodak Company Toner handling apparatus
JPS60153065A (ja) * 1984-01-20 1985-08-12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における操作機構
JPH0695245B2 (ja) * 1985-01-24 1994-11-24 三田工業株式会社 トナ−カ−トリツジの着脱機構
JPS62289872A (ja) * 1986-06-10 1987-12-16 Toshiba Corp 現像装置
US4870463A (en) * 1987-03-02 1989-09-26 Mita Industrial Co., Ltd. Latent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JP2662869B2 (ja) * 1987-12-28 1997-10-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US4862210A (en) * 1988-02-25 1989-08-29 Access Computer Products, Inc. Replaceable seal assembly for toner cartidges and method of use
JPH0720679Y2 (ja) * 1988-03-01 1995-05-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738089B2 (ja) * 1988-11-30 1995-04-26 三田工業株式会社 現像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798A (ko) 1991-04-30
US5175588A (en) 1992-12-29
EP0418824A2 (en) 1991-03-27
EP0418824B1 (en) 1995-04-19
EP0418824A3 (en) 1992-02-26
DE69018743D1 (de) 1995-05-24
DE69018743T2 (de) 1995-11-23
CA2025503C (en) 1998-11-17
CA2025503A1 (en) 199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867B1 (ko) 현상장치
KR0132139B1 (ko) 현상제 보충용 카아트리지
TWI587103B (zh) 具有致動顯影劑單元閘檔之接合特徵的碳粉匣
US6289193B1 (en) Toner supply container and toner 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oner from same
JP2887046B2 (ja) トナー補給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268722A (en) Detachable developer supply container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prohibiting detachment
JPS63243978A (ja) トナ−カ−トリツジ
US5812914A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shutter member, and toner cartridge for use therein
JP2009134239A (ja) 現像剤格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831047B2 (ja) 現像装置
JPH05216344A (ja) トナー補給装置
JPH0695245B2 (ja) トナ−カ−トリツジの着脱機構
JPH06167882A (ja) トナー供給装置
JP2991265B2 (ja) 電子写真装置
JP2862284B2 (ja) 現像装置
JP3143495B2 (ja) 現像剤補給装置と現像剤補充容器
JPH11327276A (ja) 容 器
JP2926879B2 (ja) 現像装置
JP2862399B2 (ja)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KR970001197B1 (ko) 현상제 보충기구
JPH0412378A (ja) トナー補給機構
JP2509229B2 (ja) 現像剤補給装置
JP2909975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2701292B2 (ja) トナー補給装置
CA2241025C (en) Developer replenishing cartridge and developer receiving apparatus within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