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97B1 - 현상제 보충기구 - Google Patents

현상제 보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97B1
KR970001197B1 KR1019950031522A KR19950031522A KR970001197B1 KR 970001197 B1 KR970001197 B1 KR 970001197B1 KR 1019950031522 A KR1019950031522 A KR 1019950031522A KR 19950031522 A KR19950031522 A KR 19950031522A KR 970001197 B1 KR970001197 B1 KR 97000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lid
container
cartrid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0923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536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0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05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005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23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006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88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167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43495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20008128A external-priority patent/KR0132139B1/ko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97B1/ko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제 보충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사신장치의 입면단면도.
제2도는 형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 및 현상제 수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가 현상제 수납용기상의 적소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제2도의 선(A-A)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카아트리지가 상기 용기상의 적소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제2도의 선(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현상제 수납용기의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의 밀봉시이트가 제거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밀봉시트의 제거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상기 현상제 수납용기의 덮개가 폐쇄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상기 덮개의 폐쇄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a), 제10도(b) 및 제10도(c)는 로킹기구(locking mechanism)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도(a) 및 제11도(b)는 카아트리지의 상승 및 로킹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a) 내지 제12도(d)는 덮개에 대한 미끄럼부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3도(a) 내지 제13도(c)는 로킹기구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 제15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완충실(buffer chamber)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8도, 제19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완충실의 다른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2도는 밀봉시이트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23도는 그리퍼(griffer)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제 수납용기 2 : 현상제 수납용기의 덮개
2a : 손잡이 3 :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
3a :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의 용기 3b : 돌기부
4 : 미끄럼덮개 5 : 밀봉시이트
6 : 그리퍼 7, 600, 700 : 로킹기구
8, 9 : 판스프링 15 : 보조덮개
30 : 현상제 공급용개구부 33, 34, 41, 62, 76 : 돌출부
42 : 동공 43, 44 : 판부재
51 : 제1시이트부 52 : 제2시이트부
71, 73, 602 : 로킹포올 100 : 현상제 통과용개구부
200 : 완충실 201 : 과잉량의 현상제 도입용개구부
202 : 완충실의 바닥면의 개구부 300 : 완충실용 덮개
400 : 탄성부재 900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파우더현상제로 정전잠상을 현상해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제 수납장치 및 이 현상제 수납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981,218호에는, 현상제용기에 가요성필름이 박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용기의 현상제공급용 구멍을 밀봉하도록 되어 있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 수납장치내에 현상제를 보충할 경우, 상기 용기로부터 가요성 필름을 박리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카아트리지가 현상제 수납장치내에 완전히 장착되기 전에 용기로부터 필름을 박리하면, 현상제가 그 주위로 흩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현상제 수납장치내에 카아트리지가 장착되기 전에 상기 수납장치의 현상제 통과구멍(현상제 수납구멍)을 개방해야만 하나, 이렇게 하면, 이물질이 상기 구멍을 통해 현상제 수납장치로 들어갈 우려가 있다.
또, 일본국 실공소 57-38673호 공보에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와 현상제 수납장치의 양자위에 미끄럼 덮개를 설치하여 상호 동시에 미끄럼덮개를 이동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491,161호에 개시된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에 있어서는, 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의 현상제공급구멍이 가용성 필름과 미끄럼 덮개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서, 이 현상제공급구멍은 현상제 수납장치의 덮개의 이동과 동시에 개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일본국 실공소 57-38673호 공보의 것과 마찬가지로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실공소 57-38763호 공보의 것보다 우수한 밀폐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현상제 수납장치의 덮개가 개방되고 있는 경우, 카아트리지의 필름에 부착된 현상제가 덮개에 부착되기 쉽다. 또한, 현상제 수납장치의 덮개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작업자가 현상제 수납장치로부터 카아트리지를 제거할 우려가 있다. 이와같이 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손상되거나 현상제가 그 주위로 흩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상당한 양의 현상제가 남아있는 현상제 수납장치안으로 현상제를 보충하는 경우에는, 과잉량의 현상제가 현상제 수납장치내에 가득차거나 이 현상제 수납장치밖으로 넘쳐서, 덮개를 닫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가 장치주위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작동성을 구비한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특성등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150)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는 전자사진 감광부재(1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감광부재(151)는 먼저 대전기(152)에 의해 대전되고, 그후 노광장치(153)에 의해 기록화상광을 조사함으로써, 이 감광부재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현상유닛(154)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유닛(154)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전잠상으로 현상제(D)를 공급하는 현상로울러(15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이 해서 형성된 현상화상은 전사대전기(156)에 의해 전자시(157)상으로 전사된후, 정착수단(158)에 의해 전사지(157)에 영구적으로 정착된다. 전사동작후, 감광부재(151)는 클리이닝장치(159)에 의해 깨끗하게 된다.
현상유닛(154)에 의해 소모된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서, 현상제(D)는 현상제 수납장치의 현상제 수납용기(호퍼)(1)로부터 나사컨베이어등의 반송장치(160)를 통해 현상유닛(154)으로 공급된다. 현상제 수납용기(1)내의 현상제(D)의 양이 허용가능한 양이하로 줄어들면, 작업자는 현상제 보충용 카아트리지로부터 현상제 수납용기(1)안으로 새로운 현상제를 보충하여야 한다.
다음에,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 및 현상제 수납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현상제 수납용기(1)의 상부 개구부(100)(예를들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로부터 방출된 현상제를 현상제 수납용기(1) 안으로 넣을때 현상제가 통과하는 개구부(100))는, 현상제 수납용기(1)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안내홈(1b)에 의해 지지된 덮개(2)가 화살표 방향(0) 및 이 방향과 반대인 화살표 방향(C)으로 미끄럼이동을 함으로써 개폐된다. 또한, 이 용기(1)의 상부면에는, 카아트리지(3)의 돌기부(3b)를 수용하는 오목부(14)와, 이 오목부안으로 돌출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의 상부면에는 미끄럼방향으로 연장된 슬롯(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적정량의 보충용 현상제(D)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의 용기(3a)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카아트리지의 현상제 공급용 개구부(30)는, 용기(3a)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안내홈(32)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덮개(4)가 방향(0) 및 이 방향(0)과 반대인 방향(C)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된다. 또한, 미끄럼덮개(4)에는 푸시인(push-in)(미끄럼폐쇄)방향(C)의 덮개단부에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덮개(2)의 푸시인 또는 미끄럼폐쇄방향(C)의 일단부(22)에 의해 걸리게 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방향으로 그 양단부에 개구부를 가진 얇은 동공(42)이 미끄럼덮개(4)에 형성되어 있다. 즉, 미끄럼덮개(4)는 동공(42)을 경유해서 제1판부재(43)와 제2의 대향판부재(4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등으로 이루어진 필름(가요성 밀봉시이트)(5)은, 현상제(D)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3a)의 하부개구부를 형성하는 주변가장자리면(31)에 예를 들면 가열용접에 의해 박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밀봉시이트(5)가 미끄럼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에 대비하여, 시이트의 길이전체는 시이트박리방향을 따라 공급용 개구부(30)의 길이보다 2배이상 큰 값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주변가장자리면(31)에 부착되지 않은 시이트(5)의 나머지부분인 제2시이트(52)는, 되접혀서 미끄럽덮개(4)의 내부공동(42)을 관통하여 카아트리지(3)로부터 밀봉시이트(5)가 돌출되지 않는 위치(61)에서 그리퍼(girffer)(6)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그리퍼(6)는 작업자가 개구부로부터 밀봉시이트를 박리하고자 할때에 사용된다.
즉, 주변가장자리면(31)(31')에 부착된 제1시이트부(51)는 공급용 개구부(30)를 밀봉하여 용기(3a)로부터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한다. 한편, 방향(0)쪽으로 되접혀 있는 제2시이트부(52)는, 그리퍼(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그리퍼(6)를 잡아당겨 방향(0)으로 제2시이트부(52)를 당기면, 제1시이트부(51)가 용기(3a)의 주변가장자리면(31)로부터 박리되어 공급용 개구부(30)를 개방한다.
이때에, 시이트의 박리방향의 후단부(31')는 용기(3a)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시이트를 잡아당길때 사용하는 시이트당김용 그리퍼(6)는, 덮개(2)의 미끄럼이동분만큼 빼낼 수 있어, 예를들면, 카아트리지(3)의 현상제 수납용기(1)에 장착하기 전에 핀치수단, 클립수단 또는 맞물림수단에 의해 용기(3a)의 플랜지부에 고정된다.
또한, 그리퍼(6)는 덮개(2)의 긴 슬롯(21)의 풀아웃 또는 미끄럼개방방향(0)의 후단부(23)에 결합되는 돌출부(62)를 구비하여, 그리퍼롤 용기(3a)에 결합하거나 해제한다.
이와같이 해서, 그리퍼(6)는 방향(0)으로 덮개(2)의 미끄럼운동을 완료하기 직전에 후단벽(23)과 결합함으로써, 용기(3a)로부터 해제되어도, 제2시이트부(52)의 길이는, 그리퍼(6)가 덮개(2)의 이동에 의해 용기(3a)로부터 해재될때 발생되는 충격이 제1시이트부(51)에 전달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즉, 제2시이트부(52)는 여분의 길이를 가지고 있어, 그리퍼(6)가 용기(3a)에 부착되면, 제2시이트부(52)의 여분의 길이는 카아트리지(3)로 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접힌상태로 미끄럼덮개(4)의 동공내에 수용된다.
그러나,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의 공급용 개구부(30)와 현상제수납용기(1) 사이의 치수관계는, 치수(K1)가 치수(K2)보다 크고, 치수(W1)가 치수(W2)보다 크게 즉, 현상제 수납용기(1)의 개구부(100)가 카아트리지(3)의 공급용 개구부(30)보다 충분히 크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용기(3a)의 덮개(4)와 현상제 수납용기(1)의 덮개(2)의 안내홈이 카아트리지로부터 현상제 수납용기로 현상제를 공급할때 흩어진 현상제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밀봉시이트(5)가 부착된 용기(3a)의 주변가장자리면(31)에는, 시이트가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덮개(4)가 밀봉시이트(5)를 압착하지 않도록 미끄럼면(32)에 대해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카아트리지(3)의 공급용 개구부(30)와 현상제 수납용기(1)의 현상제 통과용 개구부(100)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장치상의 적소에 장착된 상태에서 즉, 덮개(2)가 미끄럼덮개(4)와 대향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덮개(2)의 손잡이(2a)에 의해 방향(0)으로 덮개(2)를 잡아당기면, 현상제 수납장치의 개구부(100)는 개방된다.
덮개(2)가 현상체 수납용기(1)의 개구부(100)를 완전히 개방하기 직전에, 덮개(2)에 형성된 긴 슬롯(21)의 후단벽(23)이 시이트당김용 그리퍼(6)의 돌출부(62)에 결합되어, 덮개(2)가 방향(0)으로 이동함으로써 용기(3a)로부터 그리퍼(6)가 해제되기 시작한다. 덮개(2)가 개구부(100)를 완전히 개방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리퍼(6)가 용기(3a)로부터 해제되어, 작업자는 쉽게 그리퍼를 잡아당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3a)의 공급용 개구부(3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현상제는 아직 용기(1)에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6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그리퍼(6)를 개재해서 밀봉시이트(5)를 잡아당기면 밀봉시이트 미끄럼덮개(4)의 판부재(43),(44)에 의해 안내되면서 동공(42)내에서 방향(0)으로 이동되어, 용기(3a)의 주변가장자리면(31)에 부착된 시이트(5)의 부분은 방향(0)을 따라 접힌 위치로부터 점차로 박리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접힌 위치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향(0)으로 점차로 이동한다. 접힌 위치(53)에서, 밀봉시이트(5)는, 소위 다이나믹 풀리블록(dynamic pulley block)의 원리에 따라, 미끄럼덮개(4)의 일부(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0)의 판부재(43)의 후단부 또는 방향(C)의 선단부)에 결합되므로, 미끄럽덮개(4)는 시이트(5)에 의해 부세되어 제2시이트부(52)와 함께 방향(0)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해서, 용기(3a)의 공급용 개구부(30)는 개방되기 시작하며, 현상제(D)는 화살표(F)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의 용기(3a)로부터 현상제 수납용기(1)안으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제7도는 카아트리지의 용기(3a)의 공급용 개구부(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미끄럼덮개(4)는 다시 덮개(2)가 대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밀봉시이트(5)는 부분(31')에서 용기(3a)에 아직까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용기(3a)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현상제 수납용기(1)에 현상제의 보충을 완료하면, 작업자는 덮개(2)의 손잡이(2a)를 방향(C)으로 밀어 넣어, 덮개(2)가 방향(C)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00)를 폐쇄한다. 덮개(2)가 방향(C)으로 미끄럼이동을 개시한 직후, 덮개(2)의 방향(C)의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부(22)는 미끄럼덮개(4)의 돌출부(41)에 접촉된다.
그 결과, 미끄럼덮개(4)는 덮개(2)로부터의 이동력을 받아 덮개(2)와 함께 방향(C)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밀봉시이트(5)는 (31')에서 용기(3a)에 고정된 상태로 있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접힌 위치에서 시이트가 미끄럼덮개(4)에 의해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미끄럼덮개(4)가 방향(C)으로 이동하면, 시이트(5)는 미끄럼덮개(4)로부터의 이동력을 받아 상기 언급한 방향과 반대인 방향(C)으로 이동하여 개구부(30)를 다시 폐쇄하기 시작한다. 또, 미끄럼덮개(4)의 동공(42)으로부터 빠져나온 시이트부는 동공(42)안으로 다시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해서, 용기(3a)의 개구부(30)는 폐쇄된다.
이 경우,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D)가 개구부(100)로부터 돌출되어도, 덮개(2),(4)는 그들의 선단부에서 푸시인방향 즉, 미끄럼폐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현상제(D)가 덮개(2),(4)사이로 들어 가지 않고 덮개에 의해 평평하게 된다.
용기(1)의 개구부(100)가 덮개(2)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고 용기(3a)의 공급용 개구부(30)가 미끄럼덮개(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봉시이트(5)의 일부와 시이트당김용 그리퍼(6)는, 카아트리지(3)로부터 약간 돌출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2),(4)는 다시 서로 대향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자는 현상제 수납용기(1)의 개구부(100)와 그리퍼(6)가 카아트리지(3)로부터 해제된 경우에만 시이트당김용 그리퍼(6)에 접근가능하므로, 덮개(2)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 카아트리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현상제가 흩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의 미끄럼덮개(4)는 현상제 수납장치의 덮개(2)의 폐쇄운동과 동시에 폐쇄되므로, 카아트리지 덮개(4)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동안 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장치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 카아트리지(3)로부터 잔류현상제가 흩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아트리지(3)의 밀봉시이트(5)는 미끄럼덮개(4)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므로, 시이트가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현상제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아트리지가 개방되거나 밀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용기(3a)에서 현상제와 접촉되고 있는 제1시이트부(51)가 미끄럼덮개(4)의 동공(42)안으로 깊게 들어가 있으므로, 제1시이트부(51)에 부착된 현상제의 흩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이트(5)를 잡아당기는 경우(제6도)와, 시이트를 완전히 잡아당긴 경우(제7도)와, 시이트를 다시 집어넣는 경우(제8도) 및 시이트를 완전히 집어넣은 경우(제9)에는, 현상제 수납용기(1)의 덮개(2)의 상부면(장치로부터 노출된 면)은 현상제가 부착된 시이트면으로부터 덮개(4)의 판부재(44)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덮개(2)의 상부면은 시이트면에 부착된 현상제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현상제가 부착된 시이트부 덮개(4)의 판부재(43)에 의해 덮여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이러한 시이트부분에 부주의하게 접근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현상제에 의해 더렵혀지지 않게 된다.
또한, 밀봉시이트(5)는 카아트리지(3)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카아트리지 용기(3a)가 덮개(4) 및 시이트에 의해 폐쇄된 후, 용기(3a) 및 덮개(4)와 함게 현상제 수납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폐기된 시이트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로킹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제를 현상제 수납용기(1)에 보충하는 경우, 우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를 현상제 수납용기(1)상의 적소에 장착한다. 즉, 카아트리지의 용기(3a)를, 용기(3a)의 돌기부(3b)를 현상제 수납용기(1)의 오목부(14)안으로 삽입하여,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위치고정한다. 용기(3a)의 돌기부(3b)를,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안내부(1a)에 의해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카아트리지(3)는 돌기부(3b) 주위에 회동지지될 수 있다.
현상제 수납용기(1)상의 위치(101)에 로킹기구(7)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로킹기구(7)는 용기(1)에 부착된 축(71)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일체형 로킹포올(locking pawl)(71),(73)을 구비하고 있다. 판스프링(9)은 포올(71)의 부분(72)을 가압하여 포올(71),(73)을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부세시킨다.
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0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올(71)은 판스프링(9)의 부세력에 의해 덮개(2)의 구멍(24)안으로 결합되고, 그 결과 덮개(2)의 미끄럼운동을 방지하여, 제3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덮개(2)를 고정한다. 따라서, 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장착되기 전에 작업자가 덮개(2)를 부주위에 의해 개방하는 경우에 현상제 수납용기(1)안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의 돌기부(3b)가 현상제 수납용기(1)의 오목부(14)안으로 삽입되어 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의 상부면을 향해서 하강하면, 카아트리지용기(3a)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돌출부(33)는 로킹기구(7)의 로킹포올(73)의 상부면에 형성된 캠면(75)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카아트리지(3)가 더욱 하강하면, 대응하는 돌출부(33)에 의해 아래쪽으로 부세된 각각의 로킹포올(73)은 대응하는 판스프링(9)의 부세력과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결과, 대응하는 로킹포올(71)도 로킹포올(73)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로킹포올(71)은 덮개(2)의 구멍(74)으로부터 해제되어 덮개(2)의 미끄럼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돌출부(33)가 캠면(75)를 통과하면, 로킹포올(73)은 판스프링(9)의 부세력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33)의 상부면에 끼워맞춤된다(제10도(b)참조). 이와 같이 해서, 카아트리지(3)은 용기(1)상의 소정의 위치에 즉, 현상제가 카아트리지로부터 현상제 수납용기(1)안으로 보충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 카아트리지는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로킹포올(71)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로킹포올(73)과 돌출부(33)와의 결합에 의해 금지되고 있으므로, 덮개(2)의 해제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는 덮개(2)의 미끄럼운동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덮개(2)의 개방시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카아트리지(3)를 부주위로 탈착하는 작업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10도(b)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5도 내지 제9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현상제가 카아트리지(3)로부터 용기(1)안으로 보충된 후, 덮개(2)는 방향(C)으로 이동하여 들어가서, 개구부(100)가 완전히 폐쇄된 제3도의 위치를 약간 초월하는 위치에 덮개가 도달한다. 그 결과, 덮개(2)의 손잡이(2a)의 내면상에 형성된 캠면(25)이 로킹포올(71)에 대해서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덮개(2)가 방향(C)으로 더욱 이동하면, 각 로킹포올(71)은 캠면(25)에 의해 부세되어 대응하는 판스프링(9)의 부세력과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대응하는 일체형 로킹포올(73)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0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킹포올(73)은 카아트리지(3)의 돌출부(33)로부터 이탈되어, 카아트리지(3)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카아트리지(3)는, 로킹포올(73)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돌출부(33)의 상부면에 의해 결합될 수 없는 위치까지 나중에 설명되는 스프링(8)의 부세력에 의해 돌출부(3b)주위를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상승된다.
또한, 작업자는 카아트리지(3)의 자동상승을 확인함으로써 카아트리지(3)가 해방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카아트리지가 탈착된 사실은 쉽게 판단될 수 있으므로,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카아트리지(3)를 강제로 탈착하는 등의 작업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카아트리지(3)가 해제된 사실을 작업자가 확인한 후, 제10도(c)의 상태에서 덮개(2)의 손잡이(2a)를 해제하면, 덮개(2)는 다음과 같이 이동한다.
즉, 덮개(2)가 로킹포올(71)과 캡면(25)을 경유해서 판스프링(9)의 부세력을 받고 있으므로, 로킹포올(71),(73)이 판스프링(9)의 부세력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덮개(2)는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서 방향(0)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덮개(2)가 방향(0)으로 약간 이동한 지점에서, 로킹포올(71)은 스프링(9)의 부세력하에서 덮개(2)의 대응하는 구멍(24)안으로 다시 들어가서, 제10도(a)에 도시한 상태로 복원된다. 제10도(a)에 도시한 상태에서, 덮개(2)는 제3도에 도시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는, 현상제 수납용기(1)의 개구부(100)가 완전히 폐쇄된 제3도의 잠금위치를 벗어나 더욱 덮개(2)가 밀릴때만 해제될 수 있고 또한 덮개(2)가 카아트리지의 해제후 고정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므로, 현상제 수납용기의 개구부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아트리지가 현상제 수납용기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도에 있어서, 현상제 수납용기(1)에는 개구부(100)의 양 측면에서 덮개(2)의 미끄럼방향으로 개구부(100)의 선단부와 후단부사이에 2개의 오목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102)에는 판스프링(8)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카아트리지용기(3a)의 플랜지부에는 오목부(102)에 삽입되는 2개의 돌출부(34)(도면에서는 한쪽만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카아트리지(3)가 장착되면, 돌출부(34)는 대응하는 판스프링(8)과 접촉하면서 오목부(102)안으로 끼워맞춤된다.
이들 판스프링(8)은 상향부세력을 카아트리지(3)에 인가한다(제11도(b)).
상기 판스프링(8)의 부세력은, 로킹포올(73)과 돌출부(33)간의 결합을 확실하게 해주고, 로킹, 로킹포올(73)이 돌출부(33)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3)를 상승시킨다.
한편, 카아트리지(3)의 덮개(4)가 방향(0)으로 약간 이동함에 따라, 카아트리지(3)자체가 방향(0)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돌출부(34)의 한쪽 측면(341)이 대응하는 오목부(102)의 한쪽 측면(103)에 접촉하여, 방향(0)으로 카아트리지(3)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4)가 방향(C)으로 약간 이동함에 따라, 카아트리지(3)자체가 방향(C)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돌출부(34)의 다른쪽측면(342)이 대응하는 오목부(102)의 다른쪽측면(104)에 접촉하여, 방향(C)으로 카아트리지(3)의 이동을 방지한다. 즉, 돌출부(34)와 오목부(102)는 로킹포올(73)에 의해 로킹동작을 돕는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34)와 오목부(10)는 개구부(30)의 개폐시에 로킹기구(7)에 과다하게 인가된 부하에 의해 부주의하에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02)는 카아트리지를 식별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오목부(102)에 대응하는 돌출부(34)를 가진 카아트리지지만이 현상제 수납용기의 소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의 종류에 대응해서 카아트리지의 돌출부(3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특정의 화상형성장치에 불필요한 현상제를 포함하는 어떠한 카아트리지도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제 수납용기상의 소정위치에 장착될 수 없으므로, 부적절하거나 불필요한 현상제를 현상제 수납용기안으로 보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판스프링이 돌출부(34)에 접촉되고 있었으나, 돌출부(34) 이외의 소정부분에서 카아트리지(3)와 접촉시켜도 된다. 또한, 돌출부를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형성하고 이러한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카아트리지에 형성하여, 상기 언급한 돌출부(34)와 오목부(120)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성할 수 있다.
제12도(a) 내지 제12도(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2)가 제12도(c)에 도시한 위치에 있는 경우와, 덮개가 제12도(c)의 위치로부터 방향(C)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10)이 덮개(2)의 방향(0)으로 후단부(26)에 접촉해서 방향(0)으로 덮개를 탄성부세시킨다. 제12도(a), 제12도(b) 및 제12도(d)는 각각 제10도(a), 제10도(b) 및 제10도(c)에 대응한다.
제12도(b)에 있어서, 덮개(2)가 해제되면, 덮개(2)는 고정위치로부터 스프링(10)에 의해 약간 방향(0)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제12도(c)참조).
이와같이 당김방향(방향 0)으로 덮개(2)를 자동이동함으로써, 작업자는 카아트리지(3)의 해제를 알 수 있다.
제12도(c)의 위치로부터, 덮개(2)가 방향(0)으로 미끄럼이동되면, 덮개는 스프링(10)으로부터 분리된다.
카아트리지(3)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스프링(10)의 부세력과 반대방향이 방향(C)으로 덮개(2)를 이동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덮개(2)가 카아트리지(3)의 해제위치로부터 덮개(2)의 자체의 고정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면, 스프링(10)의 부세력은 스프링(9)의 부세력뿐만 아니라 덮개(2)의 이러한 복귀온동을 도모한다.
제13도(a) 내지 제13도(c)는 로킹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장치상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제 수납용기(1)의 덮개는 덮개자체에 형성된 구멍(24)을 통해서 로킹기구(600)의 로킹포올(602)에 의해 결합되어, 덮개의 이동을 방지한다.
로킹포올(602)은 현상제 수납용기(1)에 형성된 피벗핀(601)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탄성부재(판스프링)(8)에 의해서 덮개(2)의 구멍을 향하여 항상 부세되고 있다. 또한, 로킹포울(602) 자체를, 탄성부재로 구성해서 탄성부재(8)를 생략해도 된다.
한편, 다른 로킹기구(700)가 덮개(2)의 오목부(101)에 배치되어 있다. 로킹기구(700)는 상기 로킹기구(9)와 유사하나, 로킹포울(71)대신에, 캠결합부(76)가 로킹포올(73)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9) 대신에 코일스프링(900)이 로킹포올(73)에 걸려 있어 로킹포올(73)과 돌출부(76)를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되면, 이미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수납용기(1)의 돌출부(33)는 시계방향으로 로킹포올(73)을 회동시킨다. 카아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1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출부(33)는 로킹포올(73)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오목부(14)에 삽입된 카아트리지(3)의 돌출부(3b)와 결합하여 카아트리지의 탈착을 방지한다.
제1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가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수납용기(1)의 오목부(102)안으로 끼워맞춤된 카아트리지(3)의 돌출부(34)에 의해, 탄성부재(8)는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로킹포올(602)을 구멍(24)으로부터 해제함으로써, 로킹포올(602)을 덮개(2)로부터 해제하여, 덮개(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이 해서, 현상제가 상기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로부터 현상제 수납용기(1) 안으로 공급된다. 현상제가 보충된 후, 덮개(2)는 제3도의 위치로 밀린다. 이 상태로부터, 제13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2)가 방향(C)으로 더욱 밀리면, 덮개(2)의 갬면(25)은 로킹포올(73)과 일체화된 돌출부(76)를 부세하여, 코일 스프링(900)과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로킹포올(73)을 회동시킨다. 그 결과, 로킹포올(73)의 카아트리지(3)의 돌출부(33)로부터 해제되어, 카아트리지(3)는 탄성부재(8)의 부세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승된다. 이 상태에서, 카아트리지(3)는, 오목부(14)로부터 돌기부(3b)를 철회하면서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그후, 작업자가 덮개(2)로부터 손을 때면, 덮개는 압축코일스프링(900)에 의해 돌출부(76)를 경유해서 당김방향으로 복귀된다. 한편, 돌출부(33)로부터 해제된 탄성부재(8)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된 로킹포올(602)은 덮개(2)의 구멍(24)안으로 다시 들어가서, 덮개(2)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덮개(2)는 제13도(a)의 위치로 복귀된다. 또는, 제13도(c)의 위치로부터, 로킹포올(602)이 덮개(2)의 구멍(24)안으로 다시 들어갈 때까지 덮개(2)를 손으로 당겨도 된다.
그런데, 현상제를 보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상제 수납용기의 덮개가 고정되어 있는 현상제 보충시스템에서는, 작업자가 현상제의 잔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피에조형 센서가 현상제 수납용기에 장착되어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는 경우에도, 센서의 오동작이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당히 많은 양의 현상제가 남아 있는 현상제 수납용기안으로 현상제가 보충되고, 보충된 현상제의 양이 현상제 수납용기의 최대 현상제함유용량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덮개(2)는 과잉량의 현상제를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에 밀어넣도록 미끄럼덮개(4)의 돌출부(41)의 단부에 의해 현상제의 산형상을 밀어내면서 패쇄해야만 한다. 작은 입자로 구성된 형상제는 유동성이 우수하나 덩어리로 되기 쉽기 때문에, 덮개(2),(4)를 폐쇄하는 동안, 현상제가 덮개의 단부에 의해 함께 압압되어 제8도의 부분(T)에서 모여, 덮개(2),(4)의 폐쇄운동을 방해한다.
그 결과,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를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탈착할 수 없다고 하는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수납용기(1)에 초과량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완충실을 설치하여, 덮개(2),(4)의 폐쇄이동에 대한 방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의 미끄럼덮개(4)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완충실의 동작에 대해서 제14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4도에 있어서, 현상제 수납용기(1)는, 개구부(100)가 덮개(2)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때 덮개(2)의 푸시인방향(C)의 앞단부근방과 용기(1)의 개구부(100) 옆에 설치된 완충실(200)을 가지고 있다. 이 완충실(200)에는 현상제 수납용기(1)의 개구부와 대략 동일한 평면에 과잉량의 현상제를 도입하는 개구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01)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400)에 의해 폐쇄방향으로(덮개 (2),(4)의 개방 방향(0)으로) 부세된 덮개(30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의 밀봉시이트(5)가 부착되는 가장자리면(31)의 치수의 제한에 의해,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덮개(300)는, 탄성부재(스프링)(400)의 부세력에 대향해서, 덮개(2)의 폐쇄방향의 단부(26)에 의해 밀리어 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300)는 폐쇄상태를 유지해도 된다.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의 돌기부(3b)가 현상제 수납용기(1)의 안내부(1a)와 덮개(300) 사이에 삽입되면, 돌출부(3b)는 덮개(300)의 미끄럼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힘에 의해 덮개(300)와 접촉하는 반면, 돌출부의 상방향이동은 안내부(1a)에 의해 제한된다.
현상제가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로부터 공급되면, 덮개(2)는 개방방향(0)으로 이동하여 덮개(300)에 대해 단부(26)를 경유한 부세력을 해제하고,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300)는 탄성부재(400)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부세되어 현상제 보충용 용기(3a)의 돌기부(3b)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완충실(200)의 개구부(201)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흘러넘친 현상제는 완충실(200)로 들어가지 않고 현상제 보충용 용기(3a)에 남아 있는다. 이 상태에서, 덮개(2)가 강제로 폐쇄되면, 덮개(2)의 단면(22)은 덮개(4)의 돌출부(41)와 결합해서 덮개(4)를 밀어, 덮개(2),(4)는 돌출부(41)에 의해 현상제를 밀어내면서 전진하게 된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제 보충용 용기(3a)의 공급용개구부(30)가 미끄럼덮개(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현상제(D)는 어느 곳으로도 움직이지 않고 부분(T)에서 함께 압압되어, 덮개(4)는 더이상의 폐쇄이동이 어렵게 된다.
이 지점에서, 덮개(2)의 폐쇄방향(0)의 단부(26)가 덮개(300)와 결합하기 시작하여 탄성부재(400)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강제로 덮개(300)를 개방하고, 그 결과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분(T)에서의 과잉량의 현상제가 덮개(2),(4)의 부세력에 의해 개구부(201)를 통해 완충실(200)안으로 밀려들어가 덮개(4)의 완전한 폐쇄를 확실하게 해준다.
또한,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덮개(300)가 덮개(2)에 의해 부세됨으로써 개방되었으나, 덮개(4)에 여분의 연장부를 형성해서, 이 연장부에 의해 덮개(2)를 부세하여 덮개(300)를 개방해도 된다.
또 다른 실시예가 제18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실(200)의 바닥부에 또다른 개구부(202)가 형성되어 현상제 수납용기(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제18도에 있어서, 완충실(200)의 바닥면에는 개구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완충실(200)로부터 현상제 수납용기(1)의 오목부(14)의 입구(카아트리지의 돌출부(3b)용)를 통하여 현상제의 자연적인 흩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입구에 보조덮개(15)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상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15)는 그 자체의 무게나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서 덮개(2)의 단면(22)에 접촉되어 입구를 폐쇄한다.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는,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기부(3b)에 의해 덮개(15)를 개방하면서 현상제 수납장치상에 장착되어 있다.
선행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덮개(300)는 덮개(2)에 의해 강제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상제가 보충되고 있는 경우,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300)는 완충실(200)의 개구부(201)를 스프링이나 탄성부재(400)의 부세력에 의해서 폐쇄한다. 현상제 수납용기(1)안으로의 현상제의 보충은 선행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개구부(202)는, 현상제의 보충시에 완충실(200)이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개구부(202)를 통해서 현상제로 채워지는 정도의 치수로 되어있다.
그런데, 덮개(2)의 단면(22)은 볼록쐐기형상이고, 덮개(4)의 돌출부(41)는, 상보형 오목쐐기형상을 가지고 단면(22)에 의해 결합될 내부면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덮개(2)의 단면(22)에 의해 결합되는 돌출부(41)의 내면은 미끄럼폐쇄방향(C)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덮개(2)가 강제로 폐쇄되면, 그 단면(22)은 덮개(4)의 돌출부(41)와 밀착되어, 현상제가 덮개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덮개(4)의 자유단부는, 돌출부(41)와 부가적인 돌출부(43)에 의해 형성된 쇄기형상을 가지므로, 덮개(2),(4)가 폐쇄되면, 덮개는 현상제를 쉽게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밀봉시이트(5)의 이동은 현상제를 밀어내면서 덮개(2),(4)가 폐쇄되고 있는 동안 현상제와 덮개사이의 저항을 저감하는 것을 도모한다.
덮개(2),(4)의 폐쇄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3)의 공급용 개구부(30)가 덮개(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덮개(300)가 덮개(2)의 단부(26)에 의해 강제로 개방되어, 초과량의 현상제를 완충실(200)안으로 밀어넣기 때문에,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부(30)는 덮개(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4)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 덮개(4)의 돌출부(43)는 카아트리지용기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목부(3d)안으로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카아트리지(3)가 현상제 수납용기(1)로부터 탈착된 후, 예를들면, 작업자가 용기(3a)의 돌기부를 잡아 용기(3a)를 가로방향으로 매달아 놓은 경우에도, 덮개(4)의 돌출부(43)는 용기(3a)의 오목부(3d)를 형성하는 돌출부(3c)에 의해 걸려, 덮개(4)가 용기(3a)로부터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빠져나오거나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4)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있는 경우, 돌출부(43)는 돌출부(3c)에 접촉해서 아래쪽으로 탄성변형되어 합성수지제의 덮개(4)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으므로, 덮개의 개폐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4)의 돌출부(43)가 용기(3a)의 오목부(3d)에 끼워맞춤되어 있었으나, 용기(3a)의 돌출부(3c)를 수용하는 오목부 덮개(4)에 형성해도 된다.
현상제 수납용기(1)내에 현상제를 완전히 소모하여 현상제 수납용기(1)내의 현상제가 바닥면의 개구부(202)로부터 제거되면, 완충실(200)안으로 도입된 현상제가 용기(1)로 공급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완충실의 기능은 완충실의 용적에 좌우되지 않으므로, 완충실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봉시이트(5)는, 현상제 보충용 용기(3a)의 개구부(30)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면에 부착된 시이트단면에서의 공급용 개구부(30)의 폭보다 넓은 폭(W3)과, 미끄럼덮개(4)로부터 빠져나온 시이트단면에서의 폭보다 좁은 폭(W4)을 가진다. 밀봉시이트의 폭(W4)이 덮개(2)의 미끄럼방향과 수직인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두개의 제1손잡이부(28) 사이로 시이트가 통과할 정도로 충분히 좁게 되어 있으므로, 덮개(2)가 폐쇄되고 있는 경우, 시이트(5)는 덮개(2)의 제1손잡이부(28)사이를 통해서 덮개(4)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손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손잡이(2a)의 제1손잡이부(28)를 간단히 밀 수 있다.
또한, 제1손잡이부(28) 사이의 손잡이(2a)에는 제2손잡이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27)는 매달려 있는 밀봉시이트(5)가 미끄럼가능하게 접촉되고 있는 경사면을 지니고 있다. 이 경사면은 제1손잡이부(밀기용 손잡이부)(28)아래에 위치되어 있다(제23도 참조). 현상제 보충동작시에 벗겨진 밀봉시이트(5)는, 덮개(2)가 강제로 폐쇄됨에 따라 덮개(2)의 제1밀기용 손잡이부(28)보다 아래쪽에 있는 경사면을 통해서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안으로 들어가므로, 덮개의 폐쇄이동의 작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는 제2손잡이부(27)를 당김으로써 덮개(2)를 빼낼 수 있다.

Claims (4)

  1.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 개구부를 가진 현상제 수납용기와, 내부에 현상제를 포함하고 또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용개구부를 가진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와, 배출용개구부의 위치와 수납용개구부의 위치가 일정한 상태에서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를 잠그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현상제 보충기구에 있어서, 수납용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를 탄성적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의 잠금을 해제할때에, 상기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가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수납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덮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제1덮개부재에 의해 수납용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배출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덮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제1덮개부재에 의해 수납용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배출용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2덮개부재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충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용카아트리지는, 상기 잠금수단에 의해 잠겨지는 제1돌출부와,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부세력을 수용하는 제2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충기구.
KR1019950031522A 1991-05-14 1995-09-23 현상제 보충기구 KR970001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09233A JP2953678B2 (ja) 1991-05-14 1991-05-14 現像剤容器
JP91-109233 1991-05-14
JP3120056A JP2810559B2 (ja) 1991-05-24 1991-05-24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JP3120055A JP2862399B2 (ja) 1991-05-24 1991-05-24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JP3120064A JP2738885B2 (ja) 1991-05-24 1991-05-24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JP91-120056 1991-05-24
JP91-120064 1991-05-24
JP91-120055 1991-05-24
JP03167038A JP3143495B2 (ja) 1991-07-08 1991-07-08 現像剤補給装置と現像剤補充容器
JP91-167038 1991-07-08
KR1019920008128A KR0132139B1 (ko) 1991-05-14 1992-05-14 현상제 보충용 카아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97B1 true KR970001197B1 (ko) 1997-01-29

Family

ID=2755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522A KR970001197B1 (ko) 1991-05-14 1995-09-23 현상제 보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9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139B1 (ko) 현상제 보충용 카아트리지
US6289193B1 (en) Toner supply container and toner 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oner from same
JPH0720681Y2 (ja) 現像装置の現像剤供給装置
KR970001197B1 (ko) 현상제 보충기구
JP3143495B2 (ja) 現像剤補給装置と現像剤補充容器
CA2241025C (en) Developer replenishing cartridge and developer receiving apparatus within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ed
JP3287778B2 (ja) 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3165746B2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H0412378A (ja) トナー補給機構
JP2810559B2 (ja)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JP281091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176301B2 (ja) 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H0626917Y2 (ja) トナ−供給装置
JP3119442B2 (ja) 現像剤補給機構
JPH04346377A (ja)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JPH03103881A (ja) 現像装置
JPS63318579A (ja) 現像剤補給装置
JPH05289512A (ja) 現像剤補給容器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0181208A (ja) 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補給容器
JPH04346379A (ja) 現像剤補充容器、及び、現像剤補充方法
JPH0416872A (ja) 現像装置
JPH0412377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