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582A - 견인형승강기장치 - Google Patents

견인형승강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82A
KR19990083582A KR1019990015320A KR19990015320A KR19990083582A KR 19990083582 A KR19990083582 A KR 19990083582A KR 1019990015320 A KR1019990015320 A KR 1019990015320A KR 19990015320 A KR19990015320 A KR 19990015320A KR 19990083582 A KR19990083582 A KR 19990083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elevator
pulley
suspension rope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658B1 (ko
Inventor
고바야시기요시
무나까따다다시
가미무라고세이
와가쓰마야스유끼
야마모또히사오
야지마고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570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8358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0119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103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993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2805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8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Abstract

제한된 높이를 가진 승강로를 구비한 승강기 장치가 제공된다. 권회비 1 : 1 하에 견인 활차(1)와 구동 기구(2)를 가진 얇은 구동 유닛은 승강로(3)의 내벽 (3a)과 승강로(3)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사이에 위치한다. 현가 로프(7)의 한 단부는 승강기(4) 천정(4c) 밑의 위치에서 승강기(4)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치로 승강기(4)는 효과적으로 승강기(4)의 천정(4c)에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3)와 승강기 장치가 갖추어진 빌딩의 높이를 각각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형 승강기 장치{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의 승강로(혹은 hoistway)내에 위치한 구동 기구를 가진 견인형 승강기 장치의 개량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특히 도시 지역에서 빌딩 자체의 효과적인 사용이 요구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건물 꼭대기 등에 있는 승강기의 기계실의 경우에서 조차도 조광, 외적인 미관 등이 고려되어져 왔다.
그러한 경우에 지금까지 소형 승강기를 제공하기 위해 승강기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승강로 내에서 제어 유닛을 수용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제 2593288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 활차 승강기를 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견인 활자(1)를 가진 편평화된 구동 기구(2)는 승강로(3)에서의 측벽(3a)과 상하 방향으로 승강기(4)의 투영면에 의해 획정된 공간 사이에 위치한다. 현가 로프(7)는 승강기(4) 밑의 활차(5a)와 평형추(6)의 활차(5b) 주위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7)의 양 단부는 승강로(3)를 획정하는 상부벽 (3b)상에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낸 배치에 따르면 승강로(3)의 홈(3c)은 1층(1F)의 바닥면(3d) 아래에 위치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도 1의 승강기는 가동 풀리(pulley)와 같이 승강기(4)가 구동되고 승강기(4) 밑의 활차(5a)에 현가 로프(7)를 감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동 기구의 모터 용량을 줄이고 승강기(4) 위의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함께 구동 기구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평 9-156855는 도 2에 나타낸 또다른 승강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편평화된 구동 기구(2)는 평형추(6)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고 방향 전환 활차(8a, 8b, 8c)를 통해 승강기(4)를 현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견인 활차(1)를 가진 구동 기구(2)는 승강로(3)내의 측벽(3a)과 상하 방향으로 승강기(4)의 투영면에 의해 획정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이 배치는 지붕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 전 장치가 점유하고 있는 공간을 최소화 하여 승강기 장치가 공간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고 효율을 나타내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승강기 장치에서 권회비 2 : 1에 따라 가동 풀리 구동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가동 로프의 속도가 승강기의 속도보다 2배나 빠르므로 고속 승강기가 요구될 경우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 기구가 승강기의 투영면과 승강로의 내벽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기 때문에 대용량을 가진 기구에 대한 요구사항의 측면에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한편 후자의 승강기 장치에서 현가 로프의 속도는 방향 전환 활차의 설비로 인해 승강기의 속도와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 측상에 방향 전환 활차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승강로 내에서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의 측면에서 문제가 남아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을 갖추지 않는 승강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승강로의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며 승강기를 고속으로 운전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변형례에서 다른 구동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승강기 장치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실시예의 변형례에서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실시예의 변형례에서 승강기 장치의 필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
한 단부는 승강기에 고정되고 또다른 단부는 균형추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가 로프, 및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내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의 단부는 승강기의 천정 밑의 위치에서 승강기에 고정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승강기 장치에 의하면 권회비 1 : 1을 이루기 때문에 현가 로프와 같은 속도로의 승강기의 구동이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승강기가 승강기의 천정 아래의 위치에서 현가 로프에 접속되고 승강기 위의 공간에 방향 전환 활차 등을 구비하지 않는 배치로, 승강로의 상부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고속이고 소형인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이 각각 견인 활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현가 로프가 구동 기구의 각 견인 활차에 감겨지고 최종적으로는 승강기와 균형추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구가 승강로 내에서 상하로 배치되고, 현가 로프는 복수의 권회를 가진 상부 구동 기구와 연관된 견인 활차에 감겨진다.
또다른 방법에 의하면 구동 기구가 승강로 내에서 좌우측에 배치되어 견인 활차의 각 평면이 상부 구동 기구 좌측에 연관되어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배치는 모두 구동 유닛이 복수의 구동 기구로 구성되므로, 고속으로 동작하고 큰 수송 용량을 가진 승강기 장치의 제공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 유닛의 측면에 위치한 승강기 안내 레일중 하나가 H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H모양의 단면을 구성하는 평행한 측면부가 승강기의 측벽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승강기가 승강기를 안내하기 위해 평행한 측면부의 좌우측 롤러 사이에서 롤러의 각 쌍이 평행한 측면부중 하나를 개재하는 두 쌍의 롤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정된 승강기 안내 레일의 구성에 의해 승강기 장치는 높은 강성을 구비하여 보다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배치에서는 승강기 장치가 수직빔과 수평빔으로 구성되며 그 위에 승강기를 장착하고 운반하기 위한 L모양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수평빔이 그 정점부에 승강기를 안내하기 위해 구동 유닛의 반대측 상에 놓여진 다른 승강기 안내 레일이 사이에 개재된 다른 롤러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L모양 프레임의 구비로 인해 승강기 장치는 보다 안정하게 상승 및 하강 할 수 있고 승강기는 그러한 단순한 구조로 튼튼하게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현가 로프는 그 단부가 각각 승강기의 대향하는 바깥면 상의 상이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이한 위치들이 승강기의 평면도에서 서로 대칭적인 로프들의 두가지 경로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조와 현가 로프의 배치에 의해 안정한 자세를 가진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기 장치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이 승강로 내에서 1층의 근처에 위치한다. 이 경우 구동 유닛의 위치로 인해 승강로의 천정의 높이를 최소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치는 작업자로 하여금 지면 근처에서 승강기 장치에 대한 유지와 검사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 안내 레일은 승강로를 획정하는 대향 내벽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현가 로프가 각각의 단부가 추 안내 레일의 안내하에 상승 및 하강하는 쌍으로 된 균형추에 고정되고, 각각의 다른 단부가 쌍으로 된 구동 유닛을 통해 승강기에 고정된다. 이 경우 쌍으로 된 구동 유닛이 각각 쌍으로 된 균형추에 접속되므로 큰 수송 용량을 갖는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쌍으로 된 현가 로프는 각각의 단부가 승강기의 대향하는 바깥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다른쪽 단부는 대향하는 바깥면에 대응하여 구비된 구동 유닛의 견인 활차를 통해 승강기 뒤쪽의 승강로의 내벽을 따라 부착된 하나의 균형추상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로 큰 수송 용량을 갖는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은 내벽의 어느 한쪽이나 승강로의 지붕벽에 부착된다.
승강로의 측면상에 구동 유닛을 장착하여, 승강기 안내 레일상에 인가되는 부담이 경감되고 따라서 구동 유닛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
한 단부는 승강기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균형추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가 로프, 및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홈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 활차 감겨진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는 승강로 위에 위치한 각각의 방향 전환 활차를 통해 승강기 천정과 균형추 아래의 승강기 위치에 고정되는 승강기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성된 승강기 장치에서는 권회비 1 : 1을 이루기 때문에 현가 로프와 같은 속력으로 승강기를 구동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구동 유닛이 승강로의 홈에 위치하고 승강기가 승강기의 천정 아래의 위치에서 현가 로프와 접속되는 배치에 의해, 승강로의 상부 영역이 효율적으로 이용됨으로써 고속이고 대용량인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측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양측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측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에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뒷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뒷면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그 기저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측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그 천정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측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그 뒷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그 기저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측벽중 어느 하나와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양 측면과 그 천정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승강기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7가지 승강기 장치는 모두 승강로의 상하에 기계실 등을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절약 승강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7가지 승강기 장치는 모두 승강로의 측벽에 추 안내 레일이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배치는 충분한 폭의 공간을 가진 승강로가 구비된 승강기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7가지 승강기 장치는 모두 승강로의 뒷벽에 추 안내 레일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배치는 충분한 깊이의 공간을 가진 승강로가 구비된 승강기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후자의 5가지 승강기 장치는 모두 승강기의 뒷면 또는 측면상의 방향 전환 활차가 승강기의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승강기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는 과도하게 편중된 하중이 승강기 안내 레일 등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7가지 승강기 장치는 모두 구동 유닛이 각각 견인 활차를 갖는 복수의 박형 와인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는 견인 하의 대형 승강기를 구동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서는 박형 와인더가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동기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는 승강기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과 청구항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크게 두개의 군으로 분할된다. 제 1 내지 7 실시예의 제 1군은 모두 현가(또는 호이스트) 로프가 승강기 지붕 아래 위치에서 승강기에 결합되는 하나의 단부를 갖는다. 다음의 실시예의 제 2군은 모두 승강기의 한쪽 또는 양쪽상에 현가 로프가 감겨진 방향 전환 활차가 구비된다.
실시예의 제 1군을 통해 유의할 점은 도 1과 도 2의 상기 종래 승강기 장치의 요소들과 유사한 요소들은 각각 같은 참조 번호들로 지칭되고 유사한 요소들의 세부 설명은 삭제된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승강기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T 형상의 단면을 가진 승강기 안내 레일(9a,9b)의 쌍이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bracket)을 통해 승강로(3)를 획정하는 측벽(3a)에 부착된다. 승강기(4)의 좌측 바닥(4a) 상에서 연결부(hitch part)(4b)는 승강기(4)의 지붕 (4c) 아래의 위치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결부(4b)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스프링을 통해 현가 로프(7)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다.
"편평하고 얇은"형의 구동 기구(2)는 안내 레일(9a)의 상부에 고정되고 견인 활차(1)를 구비한다. 도 4의 평면도에서 견인 활차(1)는 승강로(3)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3)의 측벽(3a) 간에 획정되는 틈새에 수용된다. 현가 로프(7)이 견인 활차(1) 주위에 감겨진다. 승강기(4)를 위한 승강기 안내 레일(9a)에 인접하여 한 쌍의 추 안내 레일(10a,10b)이 균형추(6)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배치된다. 현가 로프(7)의 다른 끝은 균형추(6)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의 승강기 장치에서는 구동 기구(2)와 연관된 견인 활차(1)의 회전 동작 때문에, 현가 로프(7)의 각 단부에 연결된 승강기(4)와 균형추(6) 모두는 각각 안내 레일(9a,9b)과 안내 레일(10a,10b)의 안내 하에 상하로 움직인다.
상기 움직임에 관해서는 승강기(4)가 올려질 때 승강기 지붕(4c) 아래의 히치 부(4b)에 현가 로프(7)에 연결된 승강기(4)가 있는 배치 때문에 구동 기구(2)의 높이를 초과하여 승강기 지붕(4c)이 상승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는 권회비 1:1로 구성되므로 승강기(4)와 현가 로프(7) 모두가 같은 속도로 구동되어 고속 작동이 실현된다. 게다가, 상하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3)의 측벽(3a) 간에 획정되는 틈새에 견인 활차(1)와 구동 기구(2)로 구성되는 구동 유닛이 수용되기 때문에, 승강기(4)가 승강로(3)의 천정 부근까지 상승할 수 있어 승강로(3)의 높이를 최소로 유지하여 장치의 공간 절약을 이룩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예]
비록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동 유닛이 단일의 구동 기구(2)에 의해 구성되지만 변형례에서는 고속 승강 장치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승강기를 실현하기 위해 둘이상의 기구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고속 및 대용량 승강기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구동 유닛이 복수의 구동 기구들로 구성되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에서는 도 3 또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T형 단면의 레일(9a) 상부에 있는 편평하고 얇은 구동 유닛이 각각 구동 견인 활차(1A, 1B)에 대한 장치의 수직(도 5) 또는 수평(도 6) 방향으로 위치한 구동 기구(2A, 2 B)로 구성된다.
도 5에서 하부 균형추(6)와 연결된 하나의 단부을 가진 현가 로프(7)는 상부 견인 활차(1A)의 상반 외주와 하부 견인 활차(1B)의 다음의 하반 외주 주위에 감겨 진다. 그 후에 상부 견인 활차(1A)의 상반 외주를 통해서 다시 로프(7)는 하부 방향으로 매달리게 되고 결국 승강기(4)의 하측에 있는 연결부(4b)에 연결된다. 이 배치에 따르면, 상부 견인 활차(1A)에 두번 감는 조건에 의해 활차(1A)의 홈 폭은 하부 견인 활차(1B)의 홈폭의 두배가 된다. 게다가, 현가 로프(7)는 도 5에서의 상부 견인 활차(1A)의 상반 외주상에 두번 감긴다. 그러므로 이는 현가 로프(7)가 상부 및 하부 방향 전환 활차(1A,1B)상에 결국 3/4번 감기는 것을 통해 균형추(6)와 승강기(4)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에서 나타낸 배치에서도 같은 설명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4)는 로프(7)의 속도와 동일한 고속으로 움직일 수 있고 승강기(4)는 견인 활차(1A,1B)에 의해 증가된 추력을 가진 대형의 승강기가 될 수 있다.
수평으로 병치된 견인 활차(1A,1B)를 갖는 도 6에 나타낸 배치의 경우에서 유의할 점은 견인 활차(1A,1B) 서로에 대한 증가된 감는 각도 때문에 보다 큰 견인 성능을 장점으로 갖는다는 점이다.
[제 3 실시예]
비록 안내 레일(9a,9b)이 제 1 및 2 실시예에서는 모두 T 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변형례에서는 한편 안내 레일(9a)이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H 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더욱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는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H 형 단면의 하나의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레일(9a,9c)중 하나, 즉 안내 레일(9 c)은 도 8에서 또한 크게 나타낸 H 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안내 레일(9c)은 레일(9c)의 평행측이 승강기(4)에 대향하는 방식으로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에 의해 승강로(3) 측벽(3a) 상에 고정된다.
견인 활차(1)를 갖는 편평하고 얇은 구동 기구(2)는 안내 레일(9c)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3)의 측벽(3 a) 간에 획정되는 틈새에 수용된다.
또한, L 형태 프레임(11)이 무게 중심에서 승강기(4)를 운반하고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레임(11)은 수직빔(11a)과 수평빔(11b)으로 구성된다. 수직빔 (11a)의 상부 및 하부 측상에 안내 레일(9c)의 평행측 부의 복수의 롤러(12aa, 12 ab) 안내부(9ca)를 각각 갖는 상부 및 하부 안내 롤러 조립체(12a,12b)가 각각 부착된다. 도 8에서 확대되어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롤러 조립체(12a, 12b )에서 승강기(4)에 근접한 측부(9ca)는 양측부(9ca) 상에서 롤러(12aa)와 동반하는 롤러(12aa) 간에 삽입되고 또한 롤러(12ab)와 동반하는 롤러(12ab) 간에도 삽입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T 형 단면의 안내 레일(9a)을 따라 승강기 (4)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롤러 조립체(12c)가 프레임(11)의 수평빔(11b) 단부에 구비된다.
비록 균형추(6)를 위한 안내 레일(10a,10b)이 도 7과 도 8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레일(10a,10b)은 승강기(4)를 위한 안내 레일(9c)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유사하게, 한쪽 단부가 균형추(6)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L 형태 프레임( 11)아래의 연결부(4b)에 연결된 현가 로프(7)가 견인 활차(1)에 감겨진다.
제 3 실시예의 상기 배치에서 승강기(4)는 수직빔(11a)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상부 및 하부 롤러 조립체(12a,12b)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면 안내 레일(9c)의 세로축에 대한 승강기의 로울링(rolling)이 내부와 외부로부터 측부(9ca)를 지지하는 롤러(12aa,12ab)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승강기의 피칭(pitching)에 관해서는 안내 레일(9a)을 삽입하는 동안에 수평빔(11b)의 단부에 있는 안내 롤러 조립체(12c)의 안내 때문에 승강기(4)가전후로 흔들리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상승 및 하강이 성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건물의 지붕상에 별도의 기계실을 형성하지 않고 공간 절약 및 고속의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를 나타내는 H 형 단면의 안내 레일(9c)의 채택으로 인해 승강기(4)의 안정적인 상승 및 하강이 실현 가능하다.
더우기, 프레임(11)의 횡행빔(11b) 덕분에 승강기(4)는 단순한 구조로 가볍고 영구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비록 승강기(4)가 제 1, 2, 3 실시예에서는 모두 하나의 현가 로프(7)를 통해 균형추(6)에 연결되지만, 하나의 로프는 더욱 안정되고 고속으로 움직이는 승강기(4)의 관점에서 두개 이상의 현가 로프(7)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두개(복수)의 현가 로프(7)의 매개를 통해 승강기(4)가 균형추(6)와 연관된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도 9와 도 10에서 제 1 내지 3 실시예와 유사하게 견인 활차(1)에 결합된 편평하고 얇은 구동 기구(2)는 승강기(4)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9a,9b)중 하나에 부착되고 승강로(3)의 측벽(3a)과 승강기(4) 간의 공간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안내 레일(9a)의 상부에서 두개의 활차(8d,8e)가 승강기 (4)의 양측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된 공간외의 승강로(3)의 위치에서 하나의 활차(8f)는 45도의 각도로 활차(8d,8e)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승강기(4)의 하부에서 현가 로프(7)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ba,4bb)는 승강기(4)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연결부(4ba, 4 bb)와 상응하는 활차(8d,8g)는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승강로(3)를 획정하는 측벽(3a) 상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균형추(6)에 결합된 하나의 단부를 각각 가진 두개의 현가 로프(7)는 추(6)상의 상부벽(3b)에 부착되는 활차(8e)를 통해 견인 활차(1)에 감긴 다음 다른 방향, 즉 두개의 코스로 분할된다.
이렇게 분할된 현가 로프(7)중 하나는 벽(3a)상에 부착된 활차(8d)의 매개를 통해 연결부(4ba)에서 승강기(4)와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를 가진다. 반면에, 다른 현가 로프(7)는 대략 45도의 각도로 벽(3a)상에 부착된 활차(8f)와 역시 대략 45도의 각도로 우측벽(3a)상에 부착된 다음 활차(8g)의 매개를 통해 연결부(4bb)에서 승강기(4)와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를 가진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2)의 구동 때문에 현가 로프(7)는 한편으로는 활차(8d,8f,8g)를 통해 승강기(4)를 상승 및 하강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활차(8e)를 통해 균형추(6)를 작동하는 두개의 루트로 분할된다.
그러므로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4)는 권회비 1:1 로 인해 현가 로프(7)의 속도와 동일한 고속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더우기, 대각선 방향에서 승강기(4)의 양측이 작동중에 두개의 루트의 현가 로프(7)에 의해 매달리게 되기 때문에 승강기의 자세가 안정될 수 있다.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된 공간과 간섭하지 않게 구동 유닛과 각각의 활차(8d,8e,8f,8g)가 위치한 배치 때문에 지붕(4c)이 승강로(3)의 지붕벽 근방에 도달하게 승강기(4)를 올릴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로(3)를 포함하는 승강기 장치는 승강로(3)를 사용하여 효율의 향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승강기(4)의 양측 상에 매달리는 위치가 승강기(4)의 무게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때 그리고 승강기 장치의 좌우측에 도 3에서 나타난 구동 유닛이구비될 때 승강기의 용량이 증가함이 기대된다.
이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제 5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구동 유닛을 가진 대 용량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4)를 안내하기 위한 각각의 안내 레일(9a,9b)의 상부의 부근에서 견인 활차(1A,1B)에 연결된 한 쌍의 구동 기구(2A,2B)가 제공된다 . 균형추(6A)를 위한 안내 레일(10aa,10ba)은 안내 레일(9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 유사하게 또다르 균형추(6B)를 위한 안내 레일(10ab,10bb)은 안내 레일(9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승강기(4)의 좌우측 상에서 연결부(4ba,4bb)는 서로 대칭적으로 승강기(4)에 부착된다. 연결부(4ba,4bb)에 결합된 각 단부를 가진 현가 로프( 7A,7B)는 견인 활차(1A,1B)에 감겨지고 결국 각각 균형추(6A,6B)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승강기(4)의 양측 상의 구동 기구(2A,2B)는 동시 작동의 요구를 위해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승강기(4)는 구동 기구(2A,2B)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기(4)에 대한 큰 추력이 제공된다. 더우기, 현가 로프(7A,7B)에 의한 권회비 1:1 덕분에 승강기(4)의 이동 속도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각 현가 로프(7A,7B)와 같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동 기구(2A,2B)가 배치되기 때문에 지붕 위등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서 승강로(3)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현가 로프(7A,7B)의 각각의 위치는 승강기(4)의 무게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므로 움직이는 승강기의 자세가 또한 안정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비록 상기 제 5 실시예에서는 승강기의 좌우측 상에 균형추(6A,6B)가 위치하지만,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공통 균형추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제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레일(9a,9b)의 부근에 각각 배치된 견인 활차(1 A,1B)를 갖는 구동 기구(2A,2B)가 제공된다. 안내 레일(9a, 9b) 간의 승강로(3)의 후부에서 공통 균형추(6)가 레일(10a,10b)의 안내 하에 상승 및 하강하도록 채용된 다.
승강기(4)의 좌우측 상에서 승강기 지붕(4c) 아래의 연결부(4ba,4bb)에 각각 연결된 현가 로프(7A,7B)는 견인 활차(1A,1B)에 각각 감겨지고, 결국 로프(7A,7B)는 공통 균형추(6)에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좌우 구동 기구(2A,2B)는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므로 같은 속도에서의 장치의 동시 작동 덕분에 승강기(4)는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승강기(4)는 구동 기구(2A,2B)에 의한 추력 때문에 현가 로프(7A,7B)의 속도와 같은 속도로 상승 및 하강한다.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동 유닛과 활차(8 ha,8hb,8ia,8ib)가 배치되기 때문에 승강기(3)의 높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서는 모두 구동 유닛이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 (4)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간섭하지 않게 배치되고 승강로(3)의 벽과 안내 레일(9 a)의 상부중 하나에 부착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변형례에서는 구동 유닛이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4)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간섭하지 않게 제공된다. 1층에 인접한 승강로(3)에 배치될 수 있다. 안내 레일상에 구동 유닛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안내 레일상에 하중을 가하는 것 외에 부착 및 고정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승강로(3)의 벽상에 구동 유닛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치가 안내 레일상에 하중을 가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만약 구동 유닛(2)이 승강로의 1층 부근에 위치한다면 상기 언급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승강로의 지붕 높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지면 주위에서의 유지 점검 작업 때문에 작업자에게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제 7 실시예]
상기 실시예를 통해 반복적으로 구동 유닛(2)이 승강기(4)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게 하기 위해 승강로의 상부 또는 1층 부근에 배치되므로 승강로의 높이가 증가됨을 제한한다. 유사하게 심지어 구동 유닛이 승강로의 홈에 위치할 때에도 승강로의 높이 또는 건물의 높이를 감소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이제 도 15를 참조하여 구동 유닛(2)이 승강로(3)의 홈( 3c)에 위치한 제 7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 활차와 구동 기구(2)로 구성된 구동 유닛은 승강로(3)의 홈(3c)내에 배치된다. 견인 활차(1)에 감겨진 현가 로프(7)의 한쪽 단부는 승강로(3)의 지붕 부근에 있는 활차(8j)를 통해 연결부(4b)에 연결되는 한편 로프(7)의 다른 단부는 승강로(3)의 지붕 부근에 있는 활차(8k)를 통해 균형추 (6)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4)를 들어올릴 경우에 승강로(3)의 지붕 주위의 사용까지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더우기 권회비 1:1 로 인해 고속 승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실시예가 하나의 구동 기구(2)를 채용하더라도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장치와 유사하게 대용량을 실현하기 위해 홈(3c)내에 있는 한쌍의 구동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기(21)는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을 통해 승강로(24)의 측벽(24a)에 장착된 두개의 평행한 안내 레일(20a,20b)에 의해 안내된다. 방향 전환 활차(22)는 승강기 (21)의 측면(21a)에 즉 승강기(21)의 입구로 사용되는 전면(21b)의 양측 상에 있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중 하나에 부착된다. 그래서 방향 전환 활차(22)의 회전면은 측면(21a)과 평행한다. 승강기(21)가 방향 전환 활차(22)를 통해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는 동안에 현가 로프(23)는 방향 전환 활차(22)에 감긴다.
방향 전환 활차(22)측에 있는 안내 레일(20a)의 상부에,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24)의 측벽(24a) 간에 위치하는 편평하고 얇은 견인 활차(25)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26)이 고정된다. 현가 로프 (23)는 견인 활차(25)에 감기고 또한 견인 활차(25)의 회전에 의해 "두레박"식으로 감기거나 되감긴다.
균형추를 위한 안내 레일(27a,27b)의 쌍은 그들의 안내 하에 균형추(28)의 상승 및 하강을 허용하기 위해 안내 레일(20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추(28)를 매달도록 현가 로프(23)가 역시 감겨진 방향 전환 활차(29)가 균형추(28)의 상부에 부착된다. 현가 로프(23)의 양쪽 끝은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역시 도시하지 않은 연결 스프링의 매개를 통해 승강기(21)상의 승강로(24)의 천정에 만들어진 부재에 의해 운반된다.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구동 유닛(26)에 의해 견인 활차(25)가 회전되고 따라서 그 위에서 구르는 현가 로프(23)는 감기고 되감기므로 각 안내 레일(20a,20b ; 27a,27b)의 안내 하에 승강기(21)와 균형추(28)가 반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한다. 승강기(21)가 천정(지붕)면(21c) 아래 있는 측면(21a)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22)를 통해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게 되므로 승강기(21)는 천정면(21c)이 승강로(24)에서 구동 유닛(26)을 초과하여 위쪽으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올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는 승강기(21)는 방향 전환 활차(22)로 인해 이동 풀리와 같은 작동을 구현하므로 견인 활차(25)에 의해 직접적으로 매달리는 승강기(21)에서의 구동 유닛(26)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 용량에 비해 구동 유닛(26)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 용량을 감소할 수 있다. 구동 장치(26)가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24)의 측벽(24a) 간의 승강로(24)내의 공간에 배치되고 승강로(2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추가의 공간을 요하지 않고 승강기(21)가 승강로(24)의 천정 및 바닥에 근접하여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24)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제 9 실시예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제 9 실시예는 방향 전환 활차(22)가 승강기(21)의 뒷면(21d)에 구비된다는 점과 추의 자유 상승을 위해 승강로(24)의 뒷벽(24b) 상에 구비되는 안내 레일(27a,27b)에 의해 균형추 (28)가 안내된다는 점에서 제 8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우기, 제 9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는 얇고 편평한 구동 유닛(26)이 균형추를 위한 안내 레일(27a)상에 장착된다는 점과 견인 활차(25)가 움직이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24)의 뒷벽(24b) 간의 틈새에 위치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실시예의 다른 구조는 도 16과 도 17의 제 8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제 8 실시예의 요소들과 유사한 요소들은 각각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가진 승강로(24)에 설치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제 10 실시예]
도 20을 참조하여 이제 제 10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으로 대칭된 방향 전환 활차(22a,22b)의 쌍은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을 통해 승강로(24)의 측벽에 고정된 안내 레일(20a,20b)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기(21)의 측면(21a,21e) 상에 각각 부착되고, 승강기(21)는 또한 바닥면(21f)과 평행한 각각의 회전면을 가지는 방향 전환 활차(22c,22d)를 바닥면(2 1f)의 아래에 구비한다. 현가 로프(23)는 방향 전환 활차(22a 내지 22d)에 감긴다 . 안내 레일(20b)에 인접하여 안내 레일(27a,27b)의 쌍이 균형추( 28)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기 위해 승강로(24)의 측벽상에 고정된다. 균형추(28)가 상부에 방향 전환 활차(29)를 구비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 견인 활차(25)가 움직이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승강로(24)의 측벽 간의 틈새에 위치하는 반면 구동 유닛(26)은 안내 레일(20b)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현가 로프(23)는 견인 활차(25), 승강기(21)의 측면(21a, 21e) 상의 방향 전환 활차(22a,22b), 바닥면상의 방향 전환 활차(22c,22d), 균형추 (28)를 위한 방향 전환 활차(29)에 순서대로 감긴다. 한편, 로프(23)의 양끝은 히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승강로(24) 상의 천정 상에 있는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에서는 구동 유닛(26)을 구동함으로써 현가 로프( 23)가 구동 유닛(26)과 견인 활차(25)의 맞물림에 의해 구동되므로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는 균형추(28)와 승강기(21)는 각각의 안내 레일(20a,20b ;27a,27b)의 안내 하에 반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한다. 승강기(21)가 천정면( 21c) 밑에 있는 측면(21a, 21e)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22a,22b)를 통해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기 때문에 승강기(21)는 천정면(21c)이 승강로(24)내에서 구동 유닛 (26)을 초과하여 위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상승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는 승강기(21)는 또한 이동 풀리와 같은 작동을 구현하므로 구동 유닛(26)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용량을 감소할 수 있다. 반복적으로 견인 활차(25)를 갖는 구동 유닛(26)이 승강로( 24)의 측벽(24a)와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간에 배치되고 또한 승강기(21)가 통로(24)의 상하에 추가 공간을 요하지 않고 승강로(24)의 천정 및 바닥에 근접하여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24)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는 각각 승강기(21)의 측면(21a,21e)에 부착된 방향 전환 활차(22a,22b)의 위치를 바닥면(21f)상의 동반하는 방향 전환 활차(22c,22d)의 위치와 함께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 11 실시예]
도 21을 참조하여 이제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 제 11 실시예는 방향 전환 활차가 양측면(21a,21e)과 천정면(21c)에 위치하여 제 10 실시예의 배치에 수직으로 대향하게 된 배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방향 전환 활차(22g,22h)가 좌우 측면(21a,21e)의 상부 가장자리의 부근에 배치되는 한편 방향 전환(22e,22f)는 승강기(21)의 좌우측면(21a,21e)의 각 중앙부근에 위치한다. 게다가 천정면(21c)의 좌우 끝 부근에서 방향 전환 활차(22i,22j)는 회전면이 천정면(21c)과 평행하도록 천정면(21c)에 부착된다. 균형추(28)와 구동 유닛(26), 그리고 견인 활차(25)의 상호 배치에 관해서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0 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가 로프(23)에 의해 매달리는 승강기(21)는 또한 이동 풀리와 같은 작동을 구현하므로 구동 유닛(26)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용량을 감소할 수 있다. 반복적으로 견인 활차(25)를 갖는 구동 유닛(26)이 승강로(24)의 측벽( 24a)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간의 승강로(24) 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승강기(21)가 승강로(24)의 상하에 추가 공간을 요하지 않고 승강로(24)의 천정 및 바닥에 근접하여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 24)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는 각각 승강기( 21)의 측면(21a,21e)에 부착된 방향 전환 활차(22e,22f,22g,22h)의 위치를 천정면( 21c) 상의 동반하는 방향 전환 활차(22i,22j)의 위치와 함께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 12 실시예]
도 22과 도 23을 참조하여 이제 제 1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제 12 실시예는 도 21의 제 11 실시예의 상기 방향 전환 활차(22i,22j)대신에방향 전환 활차(22k,22l)가 뒷면(21d)상에 위치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더우기 구동 유닛(26)과 견인 활차(25) 뿐만 아니라 올려지는 균형추(28)가 승강로(24)의 뒷벽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간의 틈새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또한 제 1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동 유닛(26)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반복적으로 견인 활차(25)를 갖는 구동 유닛(26)은 승강로(24)의 뒷벽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간에 위치한다. 더우기, 승강기(21)는 승강로(24) 상하에 추가의 공간을 요하지 않고 승강로(24)의 천정 및 바닥에 근접하여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로(24)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는 각각 승강기(21)의 측면(21a,21e)에 부착된 방향 전환 활차(22e,22f,22g,22h)의 위치를 뒷면(21d)상의 동반하는 방향 전환 활차(22k,22l)의 위치와 함께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 13 실시예]
도 24와 도 25를 참조하여 제 13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기(21)는 전면에서 보아 우측면 상에서 측면(21a)에 부착된 방향 전환 활차(22m)와, 뒷면(21d)에 부착된 방향 전환 활차(22n)와, 면(21f)과 평행한 회전 평면에서 회전하기 위한 층면(21f) 상에 부착된 방향 전환(22o)를 가진다. 또한 구동 유닛(26)과 견인 활차(25)는 승강로(24)의 뒷벽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사이의 획정된 틈새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승강 균형추(28)는 같은 틈새에서 상승 및 하강하도록 위치한다.
현가 로프(23)는 방향 전환 활차(22m, 22n, 22o)와 균형추(28)를 위한 방향 전환 활차(29)와 견인 활차(25)에 감겨서 로프(23)의 양 단부가 승강로(24)의 천정 상의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한 제 13 실시예에서 이전 실시예와 같이 구동 유닛(26)에 요구되는 전력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되풀이해서 견인 활차(25)를 가진 구동 유닛( 26)이 승강로(24)의 뒷벽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2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사이의 획정된 틈새에 위치하여 승강로(24)의 높이를 최소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의 승강기 장치는 각각 승강기(21)의 각 면들(21a, 21d, 21f) 상에 부착된 방향 전환 활차(22m, 22n, 22o)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제 14 실시예]
도 26을 참조하여 제 14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측면(21a, 21e) 상의 방향 전환 활차(22g, 22h)와 도 22와 도 23에 나타낸 제 12 실시예의 뒷면(21d) 상의 방향 전환 활차(22k, 22l)를 대신하여, 제 12 실시예서는 방향 전환 활차 (22p, 22q)가 천정면(21c)의 양측면 상에 부착되어 활차(22p, 22q)의 회전 평면이 승강기(21)의 양 측면 상의 수직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현가 로프(23)가 방향 전환 활차(22e, 22f, 22p, 22q)와 균형추(28) 상부 상의 방향 전환 활차( 29)에 감겨지도록 배치됨으로써 특성화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장치는 제 12 실시예와 유사하게 동작하고 또한 유사한 효과를 가져온다. 게다가 방향 전환 활차의 수를 예를 들어 4개의 활차로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제 15 실시예]
도 27을 참조하여 제 15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6의 구동 유닛(26)을 대신하여 제 15 실시예는 복수의 구동 유닛(26a, 26b)를 동기적으로 동작하도록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 견인 활차(25a, 25b)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26a, 26b)이 활차(25a, 25b)를 동기적으로 감거나 되감기 위해 안내 레일(20b)의 상단부 상에 장착된다.
현가 로프(23)는 균형추(28) 상의 방향 전환 활차(29)에 감겨지고 로프( 23)의 한 단부(23)가 승강기(24)의 천정에 연결된다. 상부 견인 활차(25a)의 상부 절반 외주와 하부 견인 활차(25b)의 하부 절반 외주와 다시 상부 견인 활차(25a)의 상부 절반 외주와 승강기(21)의 측면(21e) 상의 방향 전환 활차(22)를 순서대로 함으로써 로프(23)의 다른 단부(23b)는 최종적으로 승강로(24)의 천정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감음으로써 각 활차의 전 외주의 3/4만큼 2개의 견인 활차(25a, 25b) 주위에 현가 로프(23)를 동등하게 감을 수 있다. 상부 견인 활차(25a)가 현가 로프(23)의 수용을 위해 그 폭이 하부 견인 활차(25B)의 폭보다 2배나 큰 홈을 구비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유닛(26a, 26b)이 현가 로프(23)를 감도록 작동하므로 승강기(21)를 구동하는 추력을 배로 함으로써 대용량 승강기( 21)의 구동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 유닛(26a, 26b)이 도 28의 변형례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가 로프(23)는 하측으로부터 전방 견인 활차(25 a)의 상부(전 외주의 1/4)로, 다음에 후방 견인 활차(25b)의 연속된 후측 구면의 절반을, 다음에 다시 하측으로부터 전방 견인 활차(25b) 구면의 절반으로, 그리고 다시 후방 견인 활차(25b)의 상부(전 외주의 1/4)를 지나서 아래로 인도된다. 마지막으로 로프(2 3)는 승강기(21)의 측면(21e) 상의 방향 전환 활차(22)에 감긴다. 이런 식으로 각 활차의 전 외주의 3/4만큼 2개의 견인 활차(25a, 25b)에 현가 로프(23)를 동등하게 감을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유닛을 병치하는 상기 배치와, 대응하는 견인 활차에 현가 로프를 감는 것은 하나의 구동 유닛(26)을 채택하는 상기 실시예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그런 식으로 복수의 구동 유닛을 채택하면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한 유닛의 동기 제어는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6 실시예]
도 29와 도 30을 참조하여 제 16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장치를 설명한다. 방향 전환 활차가 승강기(21)의 양 측면(21a, 21e)이나 측면(21a, 21e)과 뒷면(21 d) 혹은 지붕면(21c) 상에 장착되는 제 10 내지 14 실시예의 경우에서 방향 전환 활차(22a-22d)들은 도 29에 나타난 대칭적 배치(180°)와 같이 승강기(21)의 무게 중심(G)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 활차(22m, 22n, 22o)가 측면(21a, 21d)과 기저면(21f) 상에 각각 부착되는 경우에서도, 방향 전환 활차가 예를 들어 도 30에 나타난 대칭적 배치(90°)와 같이 승강기(21)의 무게 중심(G)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칭적 배치로, 무게 중심을 개재하는 방식으로 승강기(21)를 현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과도하게 편중된 부하가 안내 레일(20a, 20b) 상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장치와 견인 활차와 균형추가 일체로 장치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는 상기 실시예에 관해서는 변형례에서 당연히 장치의 반대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회비 1 : 1을 이루기 때문에 현가 로프와 같은 속도로의 승강기의 구동이 실현된 수 있다. 게다가 승강기가 승강기의 천정 아래의 위치에서 현가 로프에 접속되고 승강기 위의 공간에 방향 전환 활차 등을 구비하지 않는 배치로, 승강로의 상부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고속이고 소형인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의 상하에 기계실을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절약 승강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설명이 본 발명의 승강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임과 여러가지 변화와 변형례가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4)

  1.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
    한 단부는 승강기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균형추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가 로프, 및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내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의 단부는 승강기의 천정 밑의 위치에서 승강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각각 견인 활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현가 로프는 구동 기구의 견인 활차에 감겨지고, 최종적으로 승강기와 균형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승강로 내에서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현가 로프는 복수의 권회를 가진 상부 구동 기구와 연관된 견인 활차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승강로 내에서 좌우로 배치되어, 견인 활차의 각 평면이 상부 구동 기구 좌측에 연관되어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의 측면에 위치한 승강기 안내 레일의 하나는 H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H모양의 단면을 구성하는 평행한 측면부가 승강기의 측벽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를 안내하기 위한 두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롤러의 각 쌍은 평행한 측면부 중 하나를 평행한 측면부의 좌측 및 우측상의 롤러들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직빔과 수평빔으로 구성되며, 그 위에 승강기를 장착하고 운반하기 위한 L모양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빔은 그 정점부에 승강기를 안내하기 위해 구동 유닛의 반대측 상에 놓여진 다른 승강기 안내 레일이 사이에 개재된 다른 롤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로프는 그 단부가 각각 승강기의 대향하는 바깥면상의 상이한 위치에 고정되는 로프들의 두 경로로 분기되고,
    상기 상이한 위치는 승강기의 평면도 상에서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 내에서 1층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 안내 레일은 승강로를 획정하는 대향 내벽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현가 로프는 각각의 단부가 추 안내 레일의 안내 하에 상승 및 하강하는 쌍으로 된 균형추에 고정되고, 각각의 다른 단부가 쌍으로 된 구동 유닛을 통해 승강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쌍으로 된 상기 현가 로프는 각각의 단부가 승강기의 대향하는 바깥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다른 단부가 대향하는 바깥면에 대응하여 구비된 구동 유닛의 견인 활차를 통해 단일 균형추 상에 고정되며,
    상기 균형추는 승강기 뒤 승강로의 내벽을 따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내벽중 어느 하나와 승강로의 지붕벽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2.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
    한 단부는 승강기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균형추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가 로프, 및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홈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 활차에 감겨진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는 승강로 위에 위치한 각각의 방향 전환 활차를 통해 승강기 천정과 균형추 아래의 승강기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3.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서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위한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측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양측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측 단부 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4.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뒷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뒷면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5.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양 측면과 그 기저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측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6.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양 측면과 그 천정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측면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7.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양 측면과 그 뒷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8.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측면과 그 뒷면과 그 기저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측벽중 어느 하나와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9. 승강로 내에 위치한 한 쌍의 승강기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승강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위치한 추 안내 레일,
    승강로 내에서 추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균형추,
    승강기와 균형추를 현가하는 현가 로프,
    현가 로프가 감겨진 견인 활차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승강기의 양 측면과 그 천정면과 균형추 상에 위치한 방향 전환 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기에 의해 점유된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얇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가 로프는 승강기와 균형추 상의 방향 전환 활차에 감겨지고 현가 로프의 양측 단부가 승강로의 상부 단부상에 장착된 지지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0.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 안내 레일은 승강로의 한 측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1.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 안내 레일은 승강로의 뒷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2. 제 15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기의 측면과 뒷면중 어느 하나 상의 상기 방향 전환 활차는 승강기의 상측으로부터 볼 때 승강기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3.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각각 견인 활차를 갖는 복수의 박형 와인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와인더는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동기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KR10-1999-0015320A 1998-04-28 1999-04-28 견인형 승강기 장치 KR100374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19239A JPH11310372A (ja) 1998-04-28 1998-04-28 エレベータ装置
JP98-119239 1998-04-28
JP98-249938 1998-09-03
JP24993898A JP4262805B2 (ja) 1998-09-03 1998-09-03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82A true KR19990083582A (ko) 1999-11-25
KR100374658B1 KR100374658B1 (ko) 2003-03-04

Family

ID=2645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320A KR100374658B1 (ko) 1998-04-28 1999-04-28 견인형 승강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6247557B1 (ko)
EP (1) EP0953538B1 (ko)
KR (1) KR100374658B1 (ko)
CN (1) CN1120123C (ko)
DE (1) DE69918218T2 (ko)
MY (1) MY1217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89B1 (ko) * 2003-05-27 2008-11-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기 장치
KR100935900B1 (ko) * 1999-01-27 2010-01-07 코네 코퍼레이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WO2013167929A1 (en) * 2012-05-10 2013-11-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embly
KR102484427B1 (ko) 2022-10-19 2023-01-04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JP4200603B2 (ja) * 1999-06-03 2008-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51275B1 (ko) * 1999-07-19 2002-09-09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DE50011320D1 (de) * 1999-08-19 2006-02-23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in einem Aufzugsschacht angeordneten Antriebseinheit
DE69936399T2 (de) * 1999-12-06 2008-02-28 Mitsubishi Denki K.K. Aufzugsgeraet
CN1295131C (zh) * 1999-12-06 2007-01-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EP1184326B1 (en) * 2000-08-07 2006-05-17 Space Lift Srl Cable lift with in shaft machinery
FR2813874B1 (fr) * 2000-09-08 2003-01-31 Sodimas Installation d'ascenseur pourvue de moyens d'entrainement et de moyens de suspension independants
EP1319627B1 (en) * 2000-09-12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US7178636B2 (en) * 2003-03-25 2007-02-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ATE268307T1 (de) * 2000-09-27 2004-06-15 Inventio Ag Aufzug mit im aufzugsschacht oben seitlich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FI4928U1 (fi) * 2001-01-25 2001-05-23 Kone Corp Hissi
WO2003031310A1 (fr) * 2001-09-27 2003-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censeur sans local de machinerie
GB2395191B (en) * 2001-11-05 2005-10-19 Otis Elevator Co Traction sheave elevators
GB2411887B (en) * 2001-11-05 2005-12-14 Otis Elevator Co Modernization of hydraulic elevators
BR0214385B1 (pt) * 2001-11-23 2011-04-05 elevador com meio de transmissão semelhante à correia, particularmente, com correias de nervuras cÈnicas, como dispositivo de suporte e/ou dispositivo de acionamento.
ITMI20012558A1 (it) * 2001-12-04 2003-06-04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US7117977B2 (en) * 2002-01-30 2006-10-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car with suspending pulley devices on opposite sides of the car
JP4129153B2 (ja) * 2002-08-08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JP2004075270A (ja) * 2002-08-14 2004-03-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4142927A (ja) * 2002-10-28 2004-05-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41699A1 (en) * 2002-11-04 2004-05-21 Kone Corporation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JP4339578B2 (ja) * 2002-11-27 2009-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0728419B1 (ko) * 2003-01-23 2007-06-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0341763C (zh) * 2003-03-10 2007-10-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AU2007221937B2 (en) * 2003-03-12 2009-12-17 Eastern Elevators Pty. Limited Elevator system
AU2003100189C4 (en) * 2003-03-12 2005-01-27 Eastern Elevators Pty. Limited Elevator system
US20060225965A1 (en) * 2003-04-22 2006-10-12 Siewert Bryan R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WO2004094289A1 (en) * 2003-04-22 2004-11-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DE10319731B4 (de) * 2003-04-30 2005-06-02 Wittur Ag Aufzug
EP1638881B1 (en) * 2003-06-12 2011-02-16 Otis Elevator Company Low overhead machine roomless elevator configuration
ATE501084T1 (de) * 2003-06-20 2011-03-15 Otis Elevator Co Kompakte grundplatte mit integrierten, zugänglichen endbefestigungen
FI116617B (fi) * 2003-08-12 2006-01-13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FI119769B (fi) * 2003-11-17 2009-03-13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116562B (fi) *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5211B (fi) * 2003-11-17 2005-03-31 Kone Corp Hissi ja järjestelmä
EP2390219B1 (en) * 2003-12-09 2012-1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CN100340465C (zh) * 2003-12-11 2007-10-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5080250A1 (ja) * 2004-02-19 2005-09-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EP1736431B1 (en) * 2004-04-14 2011-03-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CN101143677B (zh) * 2004-04-14 2010-06-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US20070131490A1 (en) * 2004-04-22 2007-06-14 Siewert Bryan R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WO2005105652A1 (ja) * 2004-04-28 2005-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US7156209B2 (en) * 2004-05-28 2007-01-02 Inventio Ag Elevator roping arrangement
CN100590053C (zh) * 2004-09-22 2010-02-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658067B2 (ja) * 2004-10-20 2011-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202005000138U1 (de) * 2004-12-16 2005-03-24 Feierabend Stefan Aufzug
JP5046489B2 (ja) * 2005-03-01 2012-10-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ITMI20062233A1 (it) * 2006-11-22 2008-05-23 Fata Fab App Sollevamento Impianto di magazzino multipiano con celle elevatrici
NZ562338A (en) * 2006-10-31 2009-07-31 Inventio Ag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lift shaft
US7661513B2 (en) * 2006-12-14 2010-02-16 Inventio Ag Dual-car elevator system with common counterweight
EP2167414B1 (en) * 2007-06-08 2013-04-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guide axis aligned with traction member
FI20070562L (fi) * 2007-07-20 2009-01-21 Kone Corp Hissi
DE102008051122A1 (de) * 2007-10-10 2009-04-16 Eastern Elevators Pty. Ltd., Arncliffe Aufzugsystem
US10332332B2 (en) * 2007-12-21 2019-06-25 Cfph, Llc System and method for slot machine game associated with financial market indicators
EP2345617B1 (en) * 2008-11-12 2016-02-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FI125068B (fi) * 2009-12-11 2015-05-29 Kone Corp Hissikorin ripustusjärjestely
EP2678258B1 (en) * 2011-02-23 2022-05-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FI124541B (fi) 2011-05-18 2014-10-15 Kone Corp Hissijärjestely
FI125114B (fi) 2011-09-15 2015-06-15 Kone Corp Hissin ripustus- ja ohjainjärjestely
EP2767496B1 (en) * 2013-02-14 2017-03-29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EP3006386B1 (en) * 2013-06-07 2021-10-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th low overhead and low pit
CN105293251B (zh) * 2014-07-25 2019-08-09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电梯设备及其系统
US10450167B2 (en) * 2015-06-30 2019-10-22 Shanghai Yangtze 3-Map Elevator Co., Ltd. Middle-drive type elevator
ES2953859T3 (es) * 2015-10-09 2023-11-16 Wittur Holding Gmbh Ascensor para cajas de pequeñas dimensiones
ITUB20155634A1 (it) * 2015-11-17 2017-05-17 Sematic S P A Assieme di guida e pattino
CN109018860B (zh) * 2018-07-11 2023-11-28 安徽海螺川崎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闸板运行导向结构及其使用方法
CN111924679A (zh) * 2020-09-14 2020-11-13 杭州奥立达电梯有限公司 高曳引比分绕式电梯曳引系统
CN114030969B (zh) * 2021-10-11 2023-02-17 浙奥电梯有限公司 井道内建筑施工升降机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29A (en) * 1868-06-09 Improvement in hoisting-machines
US170087A (en) * 1875-11-16 Improvement in platform-elevators
US1911834A (en) * 1931-02-26 1933-05-30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US3845842A (en) * 1973-06-13 1974-11-05 W Johnson Elevator system
JPH01256487A (ja) * 1988-04-05 1989-10-1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
JP2549837Y2 (ja) * 1991-10-25 1997-10-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ーのかご吊り構造
FI98210C (fi) * 1993-06-28 1997-05-12 Kone Oy Järjestely hissikoneiston liittämiseksi rakennukseen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FI93632C (fi) * 1993-06-28 1995-05-10 Kone Oy Alakoneistoinen vetopyörähissi
JP3152034B2 (ja) * 1993-10-28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FI95689C (fi) * 1994-06-23 1996-03-11 Kone Oy Hissikoneisto
US5899301A (en) * 1993-12-30 1999-05-04 Kone Oy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JPH08175623A (ja) * 1994-12-21 1996-07-09 Daifuku Co Ltd 昇降装置及びその昇降装置を備えた保管設備
FI98296C (fi) * 1994-12-28 1997-05-26 Kone Oy Vetopyörähissi ja vetopyörähissin koneistotila
FI100791B (fi) * 1995-06-22 1998-02-27 Kone Oy Vetopyörähissi
FI100793B (fi) * 1995-06-22 1998-02-27 Kone Oy Vetopyörähissi
FI99264C (fi) * 1995-09-21 1998-02-10 Kone Oy Konehuoneeton vetopyörähissi
JP3225811B2 (ja) * 1995-11-0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3148610B2 (ja) 1995-12-11 2001-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H09278310A (ja) * 1996-04-17 1997-10-28 Hitachi Ltd 巻胴式エレベータ
JP2998068B2 (ja) * 1996-06-25 2000-01-11 有限会社 幸福の光 昇降装置
JPH1087240A (ja) * 1996-09-10 1998-04-07 Daifuku Co Ltd 昇降装置のワイヤ巻取り装置
JP3374700B2 (ja) * 1997-04-22 2003-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2000072344A (ja) * 1998-09-03 2000-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0247559A (ja) * 1999-02-24 2000-09-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900B1 (ko) * 1999-01-27 2010-01-07 코네 코퍼레이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KR100870389B1 (ko) * 2003-05-27 2008-11-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기 장치
WO2013167929A1 (en) * 2012-05-10 2013-11-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embly
KR102484427B1 (ko) 2022-10-19 2023-01-04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09211A1 (en) 2001-07-26
US6247557B1 (en) 2001-06-19
US20010009209A1 (en) 2001-07-26
DE69918218D1 (de) 2004-07-29
MY121775A (en) 2006-02-28
EP0953538B1 (en) 2004-06-23
KR100374658B1 (ko) 2003-03-04
DE69918218T2 (de) 2005-06-30
US6382360B2 (en) 2002-05-07
CN1120123C (zh) 2003-09-03
US6390243B2 (en) 2002-05-21
CN1233583A (zh) 1999-11-03
EP0953538A2 (en) 1999-11-03
EP0953538A3 (en) 2001-01-03
US20010009210A1 (en) 2001-07-26
US6491136B2 (en) 200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658B1 (ko) 견인형 승강기 장치
KR100853662B1 (ko) 견인 로프풀리 엘리베이터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1310372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6011634A1 (en) Elevator system
JP2001048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JPH1124614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吊り構造
KR20030015379A (ko) 최소의 건물 공간을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74152B1 (ko)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7185B1 (en) Elevator
JP5056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36532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705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5008452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248474B2 (ko)
KR20040083029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