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886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886B1
KR100804886B1 KR1020067002547A KR20067002547A KR100804886B1 KR 100804886 B1 KR100804886 B1 KR 100804886B1 KR 1020067002547 A KR1020067002547 A KR 1020067002547A KR 20067002547 A KR20067002547 A KR 20067002547A KR 100804886 B1 KR100804886 B1 KR 10080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ge
elevator
basket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677A (ko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8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서로 인접하도록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중의 적어도 1개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제 1 엘리베이터 칸과 서로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 2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였을 때,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유니트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165163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 사이의 스페이스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도 후방의 스페이스에 균형추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도 전방의 스페이스에 권상기(卷上機)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가 크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서로 인접하도록 승강로 내에 설치되며, 승강로 내를 각각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각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리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중의 적어도 1개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제 1 엘리베이터 칸과 서로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 2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였을 때,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있고, 오목부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서로 인접하도록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승강로 내를 각각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각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리는 복수의 가이드 슈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중의 적어도 1개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제 l 엘리베이터 칸과 서로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 2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였을 때,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는 도 9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설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승강로(1a)와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승강로(1b)가 연결되어 승강로(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므로, 주로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각각 T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4a))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로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로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4(4a))은, 엘리베이터 칸 틀(도시생략)과,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6)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은, 바닥부, 벽부 및 천정부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생략)가 설치된 전면(6a),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6b), 제 1 측면(6c), 및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6d)을 가지고 있다.
수직투영면(승강로 수평단면) 내에서, 제 1 측면(6c)에는 제 1 오목부(7a)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측면(6d)에는, 제 2 오목부(7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7a, 7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오목부(7a, 7b)는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7a, 7b)를 설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실(6) 내에는 약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돌기는 승객의 정원에게 영향을 미칠 정도의 것은 아니다.
제 1 오목부(7a) 내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4a))의 제 1 가이드 레일(2a)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4a))의 제 1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오목부(7b) 내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4a))의 제 2 가이드 레일(2b)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4a))의 제 2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오목부(7a, 7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 사이의 치수는, 제 1 및 제 2 측면(6c, 6d)의 오목부(7a, 7b) 이외 부분 사이의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라이딩 가이드 슈, 롤러 가이드 슈 또는 자기(磁氣)적 가이드 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오목부(7a, 7b)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7a, 7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은, 오목부(7a, 7b)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7a, 7b)는, 엘리베이터 칸 실(6)의 깊이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즉,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하게 됨과 동시에,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측면(6c) 및 제 2 측면(6d)으로부터 조금 돌출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 또는 거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로프 접속부(8a)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로프 접속부(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9)(도 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9)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 프레임(9)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하여도 좋다.
지지 프레임(9)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권상기)(10)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11)와, 구동 장치 본체(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2)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2)는 구동 장치 본체(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12)는, 감속 기구 없이 구동 장치 본체(11)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또, 구동 장치(10)는,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함)으로 연장되도록 수평(대략 수평을 포함함)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0)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刑)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 장치(10)는, 수직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쳐 있다. 즉, 구동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1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 군(群)(13)이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 군(13)은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 1 메인 로프(14)와,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 2 메인 로프(15)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메인 로프 군(13)에 의해, 1:1 로핑(roping)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제 1 메인 로프(14)는, 제 1 로프 접속부(8a)에 접속된 제 1 단부(14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단부(14b)를 가지고 있다. 제 2 메인 로프(15)는, 제 2 로프 접속부(8b)에 접속된 제 3 단부(15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4 단부(15b)를 가지고 있다.
지지 프레임(9) 위에는,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로프 접속부(8a)로 안내하는 제 1 풀리(l6)와, 제 2 메인 로프(15)를 제 2 로프 접속부(8b)로 안내하는 제 2 풀리(17)와,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4, 15)를 균형추(5)로 안내하는 제 3 풀리(18)와, 구동 쉬브(12)로부터 연장된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풀리(16)로 안내하는 전향 풀리(19)가 탑재되어 있다.
제 1 풀리(16)는, 제 1 로프 접속부(8a)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풀리(17)는, 제 2 로프 접속부(8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 제 3 풀리(16~18)는, 그들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함)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10) 및 풀리(16~19)는, 공통의 지지 프레임(9)에 탑재되어 유니트화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에서 공통의 지지 프레임(9)을 이용하고,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구동 장치(10) 및 풀리(16~19)를 하나의 유니트로 하여도 좋다.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피치(suspension pitch)(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4a)와 제 3 단부(15a) 사이의 치수)를 F0,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배면 사이 피치(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배면간의 치수)를 G1, 가이드 슈 사이 피치(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 사이의 치수)를 E1으로 하면, F0 ≥ G1 > E1이 된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22)(도 3)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22)는, 기계적인 조작력의 전달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의 것으로도, 전기적인 작동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전기식의 것으로도 좋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비상 정지 장치(22)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7a, 7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맞물림부의 전체가 오목부(7a, 7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는, 각각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엘리베이터 칸(4)을 제 1 엘리베이터 칸(4a),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엘리베이터 칸(4)을 제 2 엘리베이터 칸(4b)으로 하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서로 인접하도록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엘리베이터 칸(4a)과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은, 승강로(1)의 평단면에 있어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오목부(7b)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엘리베이터 칸(4b)에 대향하는 측면(6d)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오목부(7a`)는,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엘리베이터 칸(4a)에 대향하는 측면(6c`)에 설치되어 있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오목부(7b)와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오목부(7a`)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오목부(7b)와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오목부(7a`)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의 깊이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가이드 레일(2a`)의 배면은,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가이드 레일(2b)의 배면에 대향하고 있다.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오목부(7b)와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오목부(7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가이드 레일 지지기둥(7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레일(2b)과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가이드 레일(2a`)은, 가이드 레일 지지기둥(71)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 지지기둥(71)은,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레일 브래킷(bracket)(도시생략)을 통하여 승강로 벽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로프 접속부(8b)와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측면(6c`) 사이의 간격,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로프 접속부(8a`)와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측면(6d) 사이의 간격은, 각각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이 서로 지나칠 때에 간섭하지 않는 최소의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로프 접속부(8b)와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측면(6c`) 사이의 간격,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로프 접속부(8a`)와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측면(6d) 사이의 간격은,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오목부(7a, 7b) 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승강로(1) 내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한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오목부(4b)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오목부(7a`)가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 사이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을 공통의 가이드 레일 지지기둥(71)으로 지지할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F0 ≥ G1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F0 > E1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오목부(7a, 7b)를 설치함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단면적의 감소분보다도, 오목부(7a, 7b)를 설치함으로 인한 승강로(1)의 단면적의 감소분 쪽이 크면,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22)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7a, 7b)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 정지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을 배치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 배치하여도 좋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 양쪽에 오목부(7a, 7b)를 설치하였으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어느 한쪽에만 오목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제 1 엘리베이터 칸에만 오목부를 설치하고,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를 오목부 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까지,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 1 측면(6c)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1 모따기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배면(6b)과 제 2 측면(6d)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2 모따기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배면(6b)과 제 1 측면(6c)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3 모따기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 2 측면(6d)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4 모따기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모따기부(21a ~ 21d)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사각형의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모퉁이를 모따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모따기부(21a ~ 21d)는, 코너 노치부(notched corner portion), 또는 단면 노치부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제 1 모따기부(21a)의 바닥면(모따기면)과 제 2 모따기부(21b)의 바닥면은 서로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다. 제 3 모따기부(21c)의 바닥면과 제 4 모따기부(21d)의 바닥면은, 서로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다.
모따기부(21a ~ 21d)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모따기부(21a)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가이드 레일(2a)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모따기부(21b)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레일(2b)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모따기부(21a, 21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가이드 슈(20a)는 실질적으로, 수직투영면에서 전면(6a)을 연장한 직선과 제 1 측면(6c)을 연장한 직선과 제 1 모따기부(21a)의 바닥면이 둘러싸는 삼각형 영역의 내측(제 1 모따기부(2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슈(20b)는, 실질적으로, 수직투영면에서 배면(6b)을 연장한 직선과 제 2 측면(6d) 연장한 직선과 제 2 모따기부(21b)의 바닥면이 둘러싸는 삼각형 영역의 내측(제 2 모따기부(2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모따기부(21a, 21b)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모따기부(21a, 2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의 바닥면에 대향하고 있다. 즉,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동일 직선(엘리베이터 칸 실(6)의 대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투영면 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22) 의 적어도 일부는, 모따기부(21a, 2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22)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맞물림부의 전체가 모따기부(21a, 21b)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레일 브래킷(도시생략)을 통하여 승강로 벽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거의 동일하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 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승강로(1) 내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 및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엘리베이터 칸(4)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가 있고,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 칸(4)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이 억제되어, 엘리베이터 칸(4)을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로서 비교적 저가의 슬라이딩 가이드 슈 등을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모퉁이에 모따기부(21a ~ 21d)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승강로(1)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가 엇갈려도, 모따기부(21a ~ 21d)를 통하여 공기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엇갈릴 때의 충격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비상 정지 장치(22)의 적어도 일부가 모따기부(21a, 21b)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 정지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2 로프 접속부(8b)와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1 로프 접속부(8a`)를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ε만큼 겹쳐서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의 간격은, 측면(6c`, 6d)으로부터의 로프 접속부(8a`, 8b)의 돌출량의 2배(도면의 δ × 2)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4 및 제 3 모따기부(21d, 21c)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풀리(16, 17)는, 제 4 및 제 3 모따기부(21d, 21c)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장치(10) 및 전향 풀리(19)의 레이아웃도 실시의 형태 2와는 약간 다르게 되어 있다.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 사이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또는 2b))의 외형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a, 4b) 사이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또는 2b)을 배치할 수 없을 때까지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 접속부(8a, 8b)가 모따기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 사이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기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제 2 모따기부(21b, 21b`)가 서로 인접하여 있다. 그리고,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레일(2b) 및 제 1 균형추의 제 2 가이드 레일(3b)과,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레일(2b`) 및 제 2 균형추의 제 1 가이드 레일(3a`)이 한곳에 집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의 설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가이드 레일(2b, 2b`, 3a`, 3b)이 한곳에 집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2b, 2b`, 3a`, 3b)을 공통의 브래킷(23)에 의해 승강로 벽(24)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도 11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레일(2b, 2b`)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b, 2b`, 3a`, 3b)은, 일체물(一體物)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로프 접속부(8a, 8b)가 모따리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또, 4개의 가이드 레일(2b, 2b`, 3a`, 3b)이 한 곳에 집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3, 4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1 측면(6c) 측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2 측면(6d`) 측에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의 형태 1 ~ 4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3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유니트를 나란히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균형추(5)(제 1 균형추)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a)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1 측면(6c)에 대향하도록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균형추(5`)(제 2 균형추)는, 제 2 엘리베이터 칸(4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2 측면(6d`)에 대향하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 사이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기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 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승강로(1) 내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균형추(5)가 엘리베이터 칸(4)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깊이 방향(도 12의 좌우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프 접속부(8a, 8b)가 모따기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5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배면(6b)측에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6.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35a, 35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서스펜딩 풀리(35a)는, 그 일부가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4 모따기부(21d)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서스펜딩 풀리(35b)는, 그 일부가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3 모따기부(21c)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서스펜딩 풀리(35a, 35b)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를 포함하는 메인 로프 군(13)이 감겨져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 쉬브(12)로부터의 메인 로프 군(13)을 엘리베이터 칸의 서스펜딩 풀리(35b)로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37)와, 구동 쉬브(12)로부터의 메인 로프 군(13)을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로 안내하는 균형추측 리턴 풀리(38)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37, 38)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되어 있다.
메인 로프 군(13)의 제 1 단부(엘리베이터 칸측 단부) 및 제 2 단부(균형추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되어 있다. 또, 메인 로프 군(13)은, 제 1 단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 칸의 서스펜딩 풀리(35a, 35b),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37), 구동 쉬브(12), 균형추측 리턴 풀리(38)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 감겨져 있다. 즉,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메인 로프 군(13)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또, 메인 로프 군(13)의 일부는, 제 3 모따기부(21c) 및 제 4 모따기부(21d) 내를 통과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3과 거의 동일하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 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승강로(1) 내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의 일부가 수직투영면 내에서 모따기부(21d, 21c) 내에 배치되어 있고, 메인 로프 군(13)이 모따기부(21d, 21c) 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6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엘리베이터 칸(4a)의 제 1 측면(6c)측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4b)의 제 2 측면(6d`)측에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모든 실시의 형태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로핑 방식을 2:1 로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7.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풀리(16, 17)는,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모따기부(21c)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가이드 레일(2a)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1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모따기부(21d)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레일(2b)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제 2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모따기부(21c, 21d)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동시에,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의 바닥면에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5)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로 공유화되어 있다. 이 균형추(5)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는, 메인 로프 군(13)이 감겨져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메인 로프 군(13)은, 연속하여 있다. 즉,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구동 쉬브(12)로부터 제 3 풀리(18)를 경유하여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 감겨 걸려진 메인 로프 군(13)은,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제 3 풀리(18)를 경유하여,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2)의 구동 쉬브(12)에 감겨 걸려져 있다.
또,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 사이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기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추(5)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로 공유화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5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비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개구 방향의 승강로(1)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을 설치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5)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주위 4면의 어느 면에나 승차장(출입구)을 설치할 수가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8.
다음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므로, 주로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로(1a) 내의 상부에는, 제 1 구동 장치(41) 및 제 2 구동 장치(44)가 설 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장치(41)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 1 구동 장치 본체(42)와, 제 1 구동 장치 본체(42)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 쉬브(43)를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 장치(44)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 2 구동 장치 본체(45)와, 제 2 구동 장치 본체(45)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구동 쉬브(46)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43, 46)는, 구동 장치 본체(42, 45)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41, 44)는, 구동 쉬브(43, 46)의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함)으로 연장되도록 수평(대략 수평을 포함함)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41, 44)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구동 쉬브(43, 46)의 지름 치수 또는 구동 장치 본체(42, 45)의 지름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 장치(41, 44)는, 수직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쳐 있다. 즉, 구동 장치(41, 44)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동 장치(41, 44)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쉬브(43)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 1 메인 로프(14)가 감겨 걸려져 있다. 제 2 구동 쉬브(46)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 2 메인 로프(15)가 감겨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메인 로프(14, 15)에 의해, 1:1 로핑 방법으로 매달려 있다.
승강로(1a) 내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로프 접속부(8a)로 안내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측 제 1 리턴 풀리(47), 제 1 메인 로프(14)를 균형추(5)로 안내하는 제 1 균형추측 제 1 리턴 풀리(48), 제 1 구동 쉬브(43)로부터의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균형추측 제 1 리턴 풀리(48)로 안내하는 전향 풀리(49), 제 2 메인 로프(15)를 제 2 로프 접속부(8b)로 안내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측 제 2 리턴 풀리(50), 및 제 2 메인 로프(15)를 균형추(5)로 안내하는 제 1 균형추측 제 2 리턴 풀리(5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측 제 1 리턴 풀리(47), 제 1 균형추측 제 1 리턴 풀리(48), 제 1 엘리베이터 칸측 제 2 리턴 풀리(50) 및 제 1 균형추측 제 2 리턴 풀리(51)는, 그들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49)는, 그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프(14)의 제 1 구동 쉬브(43)와 제 1 엘리베이터 칸측 제 1 리턴 풀리(47) 사이의 부분, 제 1 메인 로프(14)의 전향 풀리(49)와 제 1 균형추측 제 1 리턴 풀리(48)와의 사이 부분, 제 2 메인 로프(15)의 제 2 구동 쉬브(46)와 제 1 엘리베이터 칸측 제 2 리턴 풀리(50)와의 사이 부분, 및 제 2 메인 로프(15)의 제 2 구동 쉬브(46)와 제 1 균형추측 제 2 리턴 풀리(51)와의 사이 부분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프(14)의 제 2 단부(균형추측 단부) 및 제 2 메인 로프(15)의 제 4 단부(균형추측 단부)는, 균형추(5)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41, 43)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가 승강되기 때문에, 많은 승차 정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구동 장치(41, 43)를 이용하는 경우로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 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승강로(1) 내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로프 접속부(8a, 8b)가 모따기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 축소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다음으로,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실시의 형태 5(도 12)에서 나타낸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102)가 2조(組) 설치되어 있다. 즉, 승강로(1) 내에는, 제 1 ~ 제 4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 10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 제 4 엘리베이터 칸(4a ~ 4d)의 전면(6a)은, 수직투영면 내에서 승강로 벽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유니트(101 ~ 104)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5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유니트를 나란히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 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의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9에서는 실시의 형태 5에서 나타낸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 유니트를 엘리베이터 칸의 깊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였으나, 실시의 형태 1 ~ 4, 6 ~ 8에서 나타낸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 유니트를 엘리베이터 칸의 깊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도 좋다.
또, 실시의 형태 9에서 나타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3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유니트를 나란히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1 로핑 방식 및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로핑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 내에 배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구동 장치나 제어판이 기계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장치나 제어판이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에 특히 효과가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이 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승강로 내의 하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구동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탑재된 자주식(自走式, self-propelled)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또, 메인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로프, 또는 벨트 모양 로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메인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강철제 로프, 또는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층 피복체가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피복 로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작은 콘택트각(contact angle)으로 큰 트랙션력(traction force)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 피복 로프는, 단순한 강철제 로프보다도 유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기(구동 장치, 리턴 풀리, 전향 풀리 등)를 공통의 지지 틀에 탑재하여 유니트화 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모따기부 내에 배치하였으나, 일측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만을 모따기부 내에 배치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유니트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6)

  1.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서로 인접하도록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각각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리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중의 적어도 1개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과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 2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였을 때, 수직투영면(垂直投影面) 내에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귀퉁이부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귀퉁이부에는, 각각 모따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모따기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실질적으로, 수직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연장한 직선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을 연장한 직선과 상기 모따기부의 바닥면이 둘러싸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수직투영면 내에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네 귀퉁이에는, 상기 모따기부가 설치되고 있고, 대각(對角)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모따기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며, 나머지 한 쌍의 상기 모따기부에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접속되는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에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 걸려져 있으며,
    수직투영면 내에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네 귀퉁이에는 상기 모따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대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모따기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며, 나머지의 한 쌍의 모따기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포함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을 포함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구성 기기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유니트의 구성 기기는, 수직투영면 내에서 선대칭(線對稱)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단면의 80% 이상이 상기 모따기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수직투영면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사이에는, 균형추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균형추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에 감겨 걸려서 상기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 1 균형추, 및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 2 균형추
    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6. 삭제
KR1020067002547A 2006-02-06 2004-06-0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2547A KR100804886B1 (ko) 2006-02-06 2004-06-07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2547A KR100804886B1 (ko) 2006-02-06 2004-06-07 엘리베이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489A Division KR100804887B1 (ko) 2007-10-12 2004-06-07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677A KR20060060677A (ko) 2006-06-05
KR100804886B1 true KR100804886B1 (ko) 2008-02-20

Family

ID=3715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547A KR100804886B1 (ko) 2006-02-06 2004-06-0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31996A (zh) * 2021-12-23 2023-06-2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框架、电梯轿厢和电梯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2177A (ja) * 1989-04-20 1990-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10139327A (ja) * 1996-11-08 1998-05-26 Riko Kogyo Kk エレベーター
JPH11106159A (ja) * 1997-10-06 1999-04-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WO2002022486A1 (fr) * 2000-09-12 2002-03-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scenseu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2177A (ja) * 1989-04-20 1990-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10139327A (ja) * 1996-11-08 1998-05-26 Riko Kogyo Kk エレベーター
JPH11106159A (ja) * 1997-10-06 1999-04-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WO2002022486A1 (fr) * 2000-09-12 2002-03-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scens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677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100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311452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20882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007034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165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2284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105652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512652A1 (en) Elevator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154099B1 (en) Elevator device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400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704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0753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2436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80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36042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225627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