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02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83029A KR20040083029A KR1020040062167A KR20040062167A KR20040083029A KR 20040083029 A KR20040083029 A KR 20040083029A KR 1020040062167 A KR1020040062167 A KR 1020040062167A KR 20040062167 A KR20040062167 A KR 20040062167A KR 20040083029 A KR20040083029 A KR 200400830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wall
- counterweight
- hoistway
- shea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박형(thin type)의 권양기는 승강로 내에서의 정상부와 피트부(pit portion)를 제외한 높이에서 승강로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 카와 승강로 벽 사이에 배치시키고, 방향전환풀리는 권양기의 상방 위치에서 승강로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 승강로 벽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카와, 카운터웨이트와, 양자를 현가하는 로프와, 이 로프를 구동하는 권양기와 이 로프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풀리(direction -change-pulley)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명세서의 도 2 및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싣는 카, 2는 카(1)의 중량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 3은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현가하는 로프, 4는 로프(3)에 의해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구동시켜 승강시키는 박형의 권양기, 4a는 권양기의 시브(sheave), 5a, 5b는 로프(3)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풀리, 6은 카 안내용 가이드레일, 7은 카운터웨이트안내용 가이드레일, 8은 승강로, 11은 카(1)용 현가풀리, 12는 카운터웨이트(2)용 현가풀리, 13은 카 측의 로프 고정부, 14는 카운터웨이트 측의 로프 고정부이다.
다음으로, 도 12 ~ 도 13에 의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양기(4)의 시브(4A)에 현가된 로프(3)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카(1) 및 카운터웨이트(2)가 승강한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이 카(1)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고,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여 승강로 내의 다른 기기나 승강로 벽과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와의 접촉, 간섭을 방지한다. 여기서 카(1), 카운터웨이트(2) 및 권양기(4)의 수직투영은 서로 떨어져 있고,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면에 평행하게 놓여져 있다.
최근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점유 공간의 최소화를 위하여,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권양기를 승강로에 내장하는 각종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는, (1) 박형의 권양기를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상한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방식, (2) 권양기를 승강로 내의 정상부(top), 즉, 카가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카의 천장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방식, (3) 권양기를 승강로내의 피트부(pit), 즉, 카가 최하층에 정지했을 때의 카 바닥면보다 아래쪽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 중, (1) 및 (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필요한 최소한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승강로 높이를 필요로 한다. 또, 승강로 정상부 부근 카 상에서, 권양기의 보수 점검을 할 때 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장에 머리를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방호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결점이 있다.
방식(2)의 경우는 권양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승강로의 정상부, 즉, 권양기 자체의 부근에 체류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기가 쉽다.
방식(3)은 물로 채워지기가 가장 쉬운 피트부에 권양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방식(1)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권양기의 수직투영면의 상방 및 하방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걸쳐 불사용 공간이 발생되는 새로운 결점을 초래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의 수직투영면 상방 및 하방의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불사용 공간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실시예 5에서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의 「배면」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구(entrance)와, 그 승강구 양측면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카벽과, 제1 및 제2 카벽과 접속되고, 승강구와 대향하여 있는 제3 카벽을 구비하여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cage)와;
그 카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guide rail)과;
승강로의 수평단면 내에서, 제3 카벽과, 그 제3 카벽에 대향하는 제1 승강로 벽 사이에 배치시켜 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 (counterweighter)와;
그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
시브와 그 시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권양기로서, 승강로의 수평단면에서 제1 승강로 벽의 폭방향으로 카운터웨이트에서 분리되어 배치되고, 시브가 제1 승강로 벽과 대향하여 있으며, 모터가 제3 카벽 측면상에 배치되고, 시브의 회전축 방향의 외부면의 크기가 시브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의 외부면의 크기보다 작은 시브가 포함된 권양기와;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며, 시브에 감겨지는 로프와;
시브에서 카에 이르는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지는 제1 방향전환풀리와;
시브에서 카운터웨이트에 이르는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지는 제2 방향전환풀리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도3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객 또는 화물을 싣는 카이고, 2는 카(1)의 중량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이며, 3은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현가하는 로프이고, 4는 로프(3)를 통하여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구동시켜 승강시키는 박형 권양기이며, 4a는 권양기(4)의 시브이고, 4b는 권양기 (4)의 모터이며, 5a, 5b는 로프(3)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풀리이고, 6은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며, 7은 카운터웨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고, 8은 승강로이며, 8a는 승강로(8)의 정상부(top portion)이고, 8b는 승강로(8)의 피트부 (pit portion)이며, 9는 권양기(4)를 지지하는 빔(beam)이고, 10은 방향전환풀리 (5a), (5b)를 지지하는 빔이며, 11은 카(1)용 현가풀리이고, 12는 카운터웨이트(2)용 현가풀리이며, 13은 카 측의 로프 고정부이고, 14는 카운터웨이트 측의 로프 고정부이며, 15는 제어반이다. 또 도 1에서 1점 쇄선 A는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때 카 천장의 높이를 나타낸다.
즉, 이 1점 쇄선 A의 상방이 정상부이다. 또 도 1에서 1점 쇄선 B는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높이를 나타낸다. 즉 이 1점 쇄선 B의 하방이 피트부이다.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 쇄선 B의 상방에 있다. 즉,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서 정지할 때 카 천정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 권양기의 하단은 카가 최상층에서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projection face)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방향전환풀리(5b)는 벽면에 대하여 경사시켜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4)의 시브(4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상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보다도 카 측에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은 도 3의 C부분을 말한다. 이 예에서는 권양기(4)를 빔(9)에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방진구조(vibration proof struction)를 구성할 수 있도록 탄성체를 통하여 권양기(4)를 빔(9)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빔(9)과 카용 가이드레일(6) 사이와, 빔(9)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 사이에 탄성체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방향전환풀리(5a), (5b)를 빔(10)에 직접 고정시키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풀리(5a),(5b)를 빔(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빔(10)과 카용 가이드레일(6) 사이와, 빔(10)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 사이에 탄성체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제어반(15)은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상방에 제어반(15)의 하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어반(15)은 권양기(4)와 거의 같은 높이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의해 현가된 로프(3)가 방향전환풀리(5a), (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용 현가풀리(11) 및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를 통하여, 카(1) 및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고, 또 권양기(4)의 시브(4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 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보다도 카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가 점유하는 면적은 감소되고,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대한 불사용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권양기의 시브(4a) 둘레에 감겨있는 로프의감은 각(wrapping angle)은 180°보다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권양력(traction capacity)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 천정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상에서 작업하는 점검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에 머리를 부딪치는 염려가 없고,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승강로의 천정 상방으로 발산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는 일도 없다. 또, 방향전환풀리(5b)는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로프(3)가 시브(4a)의 로프홈에 들어가는 입력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빔(9)의 하부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 방향전환풀리(5a), (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방향 힘과 빔(10)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하방향 힘은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제공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권양기(4)의 하단 및 제어반(15)의 하단은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상방에 각각 위치되어 있고, 또 카 천정면 하방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피트가 관수되어도(cover with water)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이 타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가 1.2m에서 1.5m 정도이고, 이 위치에서 권양기와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에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면 1.2m에서 1.7m 높이의 범위(카가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높이는 피트 바닥에서 1.7m 임)에 있게 되어, 점검작업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의 하단과 제어반(15)의 하단을 카가 1층에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의 상방에 배치시키고, 또 카 천정면보다 하방에 배치했을 때에는 피트뿐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을 뒤집어써도, 권양기(4) 및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 기준층 정지시 카 바닥면의 상방에 배치시키고, 카 천정면 하방에 배치시키며 제어반(15)을 거의 같은 높이로 배치할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관리에 맞는 점검을 가장 쉽게 실시할 수 있다.
권양기(4)의 하단을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 상방에 배치시키고, 또 카의 천정면 하방에 배치시킬 경우,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의 높이가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점검하는 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 양자를 지지하는 빔을 일체로 되게 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5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운터웨이트의 승강 공간의 옆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면에서,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표시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 쇄선 B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즉,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의 천정보다 더 낮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또 하단이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의 카의 바닥면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 (4)와 일부 겹쳐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b)는 승강로(8)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시브(4a)의 로프홈에 대한 로프(3)의 들어가는 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양기(4)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에 밑에서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가 빔(9)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빔에 고정 할 수도 있다. 또, 빔(9)은 탄성체를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 (5b)는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시킨다.
본 예에서는 방향전환풀리(5a), (5b)가 빔(1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빔(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빔(10)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상에서 그 제어반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의하여 현가된 로프(3)가 방향전환풀리(5a), (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용 현가풀리(11) 및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를 통하여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와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 배치되고,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에서 제어반(15)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쳐지는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이 감소된다. 또, 권양기 (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천정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의 정상부에서 점검보수작업자가 카상의 권양기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할 때 승강로의 천정에 점검보수작업자의 머리가 예측할 수 없게 충돌되는 일이 없고,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승강로의 천장 상방으로 발산되어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는 일이 없다.
또, 빔(9) 밑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는 방향전환풀리(5a),(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상방향의 힘과, 빔(10)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하방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제공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되어있고, 또,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상에서 제어반(15)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트부가 물로 관수되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은 물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이 타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가 1.2m에서 1.5m 정도이다. 이 위치에서 권양기와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어 1.2m에서 1.7m까지의 높이 범위(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의 높이가 피트 바닥에서 1.7m임)에 있게 되어, 점검보수작업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1)가 일층에서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 카 천정면 아래에서 배치되어, 제어반(15)이 승강로(8)의 수평단면에서 권양기(4)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된 경우에는 피트만이 아니라, 지하층 전체에 물이 유입되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기준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위쪽에 배치되고,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위치에 배치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따른 점검작업을 가장 쉽게 실시할 수 있다.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 카 천정면의 아래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 (5a),(5b)의 높이가 접근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점검하는 데 편리하다.
또, 양자를 지지하는 빔을 일체로 되게 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6 과 도 7 및 도 3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이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3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운터웨이트와 같은 쪽에서 승강로의 수평단면상에서 권양기의 투영면이 카운터웨이트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면에서,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표시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즉,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의 천정보다 더 낮은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은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브(4a)에 대한 로프(3)의 투입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양기(4)는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에 아래쪽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4)의 모터(4b)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 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 카 측에 위치하여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이라는 것은 도 3의 C 부분을 말한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가 빔(9)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빔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빔(9)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카용 가이드레일(6) 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 (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방향전환풀리 (5a),(5b)가 빔(1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빔(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빔(10)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의해 현가된 로프(3)가 방향전환풀리(5a),(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용 현가풀리(11) 및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를 통하여,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와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 배치되고, 또 권양기(4)의 모터(4b)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 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보다도 카 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은 감소된다. 또,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천정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의 정상부에서 점검보수작업자가 카 상의 권양기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할 때 승강로의 천장에 점검보수작업자의 머리가 예측할 수 없게 충돌되는 일이 없어,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가 온도상승에 의해 고장나는 일이 없다.
또, 빔(9)의 아래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는 방향전환풀리(5a), (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방향의 힘과, 빔(10)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 (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하방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고, 건물에제공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권양기(4)의 하단과 제어반(15)의 하단은 각각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카 천정면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트가 물로 관수되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은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이 타입의 기계실이 없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가 1.2m에서 1.7m 정도이다. 이 위치에 권양기와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을 때 점검보수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 손이 닿는 범위, 예로써 1.2m에서 1.7m 높이의 범위(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의 높이는 피트 바닥에서 1.7m임)에 위치되어, 점검보수작업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1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그 권양기의 상단을 카 천정면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며, 또 제어반(15)을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한 경우에는 피트만이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로 차 있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기준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그 권양기의 상단이 카 천정면 아래 위치에 배치되며, 또 제어반(15)이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관리에 맞는 점검보수를 가장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그 권양기의 상단이 카 천정면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가 높이에 대하여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양자는 점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 ~ 도 10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4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요부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의 측면에서, 또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천정높이의 바로 아래에서 방향전환풀리를 지지하는 빔의 아래측에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어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16은 빔(10)의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이다.
여기서, 방향전환풀리(5a),(5b)의 승강로 벽에 대한 경사각은 변경할 수 있고, 2개의 방향전환풀리(5a),(5b) 상호간의 간격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변구조는, 예를 들면, 빔(10)과 방향전환풀리(5a),(5b)의 프레임이 서로 볼트로 고정시키고, 또 그 고정 구멍을 긴 구멍으로 형성시키면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변구조가 이 실시예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가변구조는 실시예 1∼실시예 3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방향전환풀리(5a),(5b)를 지지하는 빔(10)의 아래쪽에 권양기(4)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력에 의한 권양기(4)의 시브(4a)의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방향전환풀리(5a), (5b)에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은 서로 상쇄된다. 즉 빔(10)에 작용하는 힘이 내측의 힘으로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가 같은 빔(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호간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가 동일한 빔(10)에 부착되어 있고, 빔(10)은 탄성체(16)를 통하여 카의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의 가이드레일 (7)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의 진동을 절연할 수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 (5b)의 승강로 벽과의 경사각이 가변적이고, 2개의 방향전환풀리(5a),(5b) 사이의 간격도 가변적이므로, 다른 사이즈의 카(1)에서 카용 현가풀리(11)와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의 승강로 평면에서의 위치관계가 변하여도 같은 설계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1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17은 2개 있었던 방향전환풀리(5a),(5b) 중 하나를 치환시킨 구동장치이다. 또, 이 치환은 실시예 1∼실시예 4에 적용할 수 있다.
2개의 방향전환풀리(5a),(5b) 중 하나를 구동장치(17)로 치환하고, 권양기 (4)에 의해 동기구동할 때, 구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용량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카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
로프를 권양기 주위에 감으며, 승강로내에서 로프를 통하여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고, 박형(thin type)으로 형성시키며, 승강로의 최하층에서 카가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위쪽 위치와 승강로의 최상층에서 카가 정지할 때 카 천정의 아래쪽 위치에서 승강로의 수평단면 내 하나의 벽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권양기와;
권양기의 위쪽 위치에서 벽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킨 방향전환풀리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위에서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불사용공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4)
- 승강구(entrance)와, 상기 승강구의 양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카벽과, 상기 승강구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벽과 연결된 제3 카벽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상기 카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서, 상기 제3 카벽과, 상기 제3 카벽에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제1 승강로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카운터웨이트와;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시브(sheave)와 상기 시브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서, 상기 제3 카벽과 상기 제1 승강로벽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승강로벽의 폭방향으로 상기 카운터웨이트와는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시브는 상기 제1 승강로 벽에 대향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3 카벽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브의 회전축 방향의 외형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외형치수보다도 작은 권양기와;상기 시브에 감겨짐과 동시에,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상기 시브에서 상기 카에 이르는 상기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진 제1 방향전환풀리와;상기 시브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이르는 상기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진 제2 방향전환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방향전환풀리는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서, 상기 로프의 일부가 상기 제1 카벽과, 상기 제1카벽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제2 승강로 벽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전환풀리의 회전면은 상기 제2 승강로 벽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 있어, 상기 권양기의 일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보다 상기 제3 카벽 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카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카용 현가풀리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배치되어 있는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는 상기 카용 현가풀리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에 감겨져서,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현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167A KR100524363B1 (ko) | 2004-08-06 | 2004-08-06 | 엘리베이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167A KR100524363B1 (ko) | 2004-08-06 | 2004-08-06 | 엘리베이터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3730A Division KR100470427B1 (ko) | 2004-01-19 | 2004-01-19 | 엘리베이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3029A true KR20040083029A (ko) | 2004-09-30 |
KR100524363B1 KR100524363B1 (ko) | 2005-10-26 |
Family
ID=3736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2167A KR100524363B1 (ko) | 2004-08-06 | 2004-08-06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4363B1 (ko) |
-
2004
- 2004-08-06 KR KR10-2004-0062167A patent/KR1005243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24363B1 (ko) | 2005-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73094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4191331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10061846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4882195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030015379A (ko) | 최소의 건물 공간을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 |
JP3991657B2 (ja) | エレベータ | |
JP4934941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WO2003020628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415749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438994B1 (ko) | 엘리베이터장치 | |
KR10068550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47042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52436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48095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05105652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3508768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100597941B1 (ko) |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11051736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4002045A5 (ko) | ||
JPWO2005082767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804886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75286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04002045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003176087A5 (ko) | ||
KR10080488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