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033A - 자기기록및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및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033A
KR19990078033A KR1019990009198A KR19990009198A KR19990078033A KR 19990078033 A KR19990078033 A KR 19990078033A KR 1019990009198 A KR1019990009198 A KR 1019990009198A KR 19990009198 A KR19990009198 A KR 19990009198A KR 19990078033 A KR19990078033 A KR 1999007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arm
mode
tension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941B1 (ko
Inventor
히라바야시고이치로
고니시아키오
데라오타츠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를 구비한 회전 헤드 실린더 둘레에 소정의 원호로 통과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자기 테이프로부터 정보를 재생한다. 상기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제 1 섀시와, 회전 헤드 실린더가 그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 헤드 실린더를 향한 제 1 섀시의 이동 및 상기 회전 헤드 실린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섀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섀시에는 제 2 섀시에 대한 제 1 섀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섀시 구동판이 그위에 장착되어 있고, 제 2 섀시에는 제 1 섀시를 구동하기 위한 섀시 구동 아암이 그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섀시 구동판은 제 1 섀시의 이동의 방향에 수직이 아닌 부분을 구비한 캠면을 가지고, 상기 섀시 구동 아암은 상기 캠면과 맞물리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섀시 구동판은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명확하게 말하면, 메인 섀시에 대해 서브 섀시를 이동시키는 메카니즘을 구비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대한 일예가 일본 특허 공보 제 262746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6 내지 38을 참조로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36은 슬라이드 섀시(301)의 평면도이다. 홈(356)을 가진 스프링 후크(341)가 슬라이드 섀시(301)상에 장착되어 있다.
도 37은 메인 섀시(351)의 평면도이다. 슬라이드 섀시 구동 레버(359)는 스윙축(361)을 경유하여 메인 섀시(351)상에 스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캠 핀(363)은 슬라이드 섀시 구동 레버(359)로부터 연장되어 메인 섀시(353)의 슬라이드 섀시 구동 홈(357)과 맞물려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스프링 후크(341)는 스프링 후크(341)를 슬라이드 섀시(301)에 고정하기 위한 두개의 구멍(341A, 341B)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341A, 341B)은 슬라이드 섀시(301)의 슬라이딩 방향(화살표 B3으로 도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구멍(341A, 341B)을 사용하여 스프링 후크(341)의 위치가 B3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고, 그래서, 슬라이드 섀시(301)의 위치와 슬라이드 섀시 구동 레버(359)의 슬라이드 섀시 구동핀(365)의 위치가 로딩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된 이후에, 스프링 후크(341)는 스크류 등으로 슬라이드 섀시에 고정된다. 슬라이드 섀시를 구비한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섀시(301) 구동 메카니즘은 적어도 하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메카니즘에 있어서, 로딩 작업의 완료시에 슬라이드 섀시(301)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섀시(301)가 B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스프링 후크(341)는 B3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경유하여 슬라이드 섀시(30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딩/언로딩 작업 동안, 로딩/언로딩 작업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비정상적인 부하가 스프링 후크에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 후크(341)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시키려는 힘을 거슬러 B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메인 섀시(351)에 대한 슬라이드 섀시(301)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런 비정상적인 부하의 적용은 슬라이드 섀시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이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부가적으로, 카세트내의 테이프 릴(reel)을 구동하는 릴 베이스는 스프링 후크(341)로부터 B3 방향에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프링 후크(341)의 이동 공간을 보장하려는 시도는 메카니즘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는 소형 메카니즘을 가진 가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테이프 카세드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자기 테이프가 회전 헤드를 구비한 회전 헤드 실린더 둘레를 소정의 원호(arc)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자기 테이프로부터 정보를 재생한다. 상기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제 1 섀시와, 회전 헤드가 그위에 장착되어 회전 헤드 실린더를 향한 제 1 섀시의 이동 및 회전 헤드 실린더로부터 멀어지는 제 1 섀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섀시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섀시에는 제 2 섀시에 대한 제 1 섀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섀시 구동판이 그위에 장착되어 있고, 제 2 섀시에는 제 1 섀시를 구동하기 위한 섀시 구동 아암이 그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섀시 구동판은 제 1 섀시의 이동의 방향에 수직이 아닌 부분을 구비한 캠면을 가지고, 상기 섀시 구동 아암은 상기 캠면과 맞물리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섀시 구동판은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가 이용자에 의해 제 1 섀시내로 삽입되는 제 1 상태와, 자기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테이프 주행 경로가 설립되는 제 2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섀시 구동판은 상기 제 1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조절되는 제 1 섀시 구동판과, 상기 제 2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조절되는 제 2 섀시 구동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섀시 구동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섀시 구동판상에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1 섀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섀시 구동판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 1 섀시 구동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1 섀시 구동판상에 제 1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제 1 섀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1 섀시 구동판의 표면상에 형성되며, 사이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 2 섀시 구동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2 섀시 구동판상에 제 2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제 1 섀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섀시 구동판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제 1 섀시가 제 2 섀시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이 이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비정상적인 부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제 2 섀시에 대한 제 1 섀시의 상대적인 위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높은 신뢰성을 가진 소형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섀시 구동판의 이동이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섀시 구동판은 카세트내의 릴을 구동하는 릴 베이스와 서로 방해가 되지 않으며, 따라서, 메카니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은 높은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는 소형 메카니즘을 구비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상기한 바 및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카세트가 배치 및 제거될 수 있는 상태(언로드 모드)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인장 아암(tension arm) 및 그 근방에 위치된 부품의 평면도.
도 3은 언로드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서브 섀시 및 그 위에 제공된 부품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언로드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인장판 및 그 근방에 위치된 부품의 평면도.
도 5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메인 섀시 상에 제공된 S 보트 및 T 보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의 평면도.
도 7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핀치 아암 및 그 근방의 부품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핀치 아암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핀치 가압 아암의 도면.
도 10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MIC-SW의 단면도.
도 12는 도 1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인장 포스트 및 T4 포스트가 돌출된 상태(로딩 1 모드)를 도시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14는 서브 섀시가 전체 스트로크의 절반 만큼 이동한 상태(로딩 2 모드)를 도시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15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 및 고속-전진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16은 테이프가 주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정지 모드)를 도시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17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테이프의 재권취 및 역방향 재생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REV 모드)를 도시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18은 로딩 1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서브 섀시 및 그 위에 제공된 부품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로딩 2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서브 섀시 및 그 위에 제공된 부품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로딩 1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인장판 및 그 근방 부품의 평면도.
도 21은 로딩 2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인장판 및 그 근방 부품의 평면도.
도 22는 플레이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인장판 및 그 근방 부품의 평면도.
도 23은 정지 모드 및 REV 모드에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인장판 및 그 근방 부품의 평면도.
도 24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이 언로드 모드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5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이 로딩 1 모드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이 로딩 2 모드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로딩 2 모드에 인접한 플레이모드 이전의 모드로 구동되는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의 상태(프리 플레이 모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8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이 플레이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9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이 정지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0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보트 구동 아암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이 REV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1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핀치 아암 및 T4 아암이 언로드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2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핀치 아암 및 T4 아암이 로딩 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3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핀치 아암 및 T4 아암이 로딩 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4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핀치 아암 및 T4 아암이 플레이 모드 및 REV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5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핀치 아암 및 T4 아암이 정지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6은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슬라이드 섀시의 평면도.
도 37은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메인 섀시의 평면도.
도 38은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메인 섀시와 슬라이드 섀시의 작동을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카세트 2: 테이프
3: 서브 섀시 4: S 릴 베이스
5: T 릴 베이스 6: 아이들러
8: 메인 섀시 10: 중앙 기어
38: 실린더 100: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100)를 카세트를 배치 및 제거할 수 있는 언로드 모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일부 부품이 생략되어 있다.
테이프(2)는 카세트(1) 내에 놓인 2개의 릴(도시하지 않음) 상에 권취된다. 도 1에서는 보기 쉽도록 카세트(1)의 윤곽선과, 카세트(1)의 외부로 연장되는 테이프(2)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일점 쇄선). 카세트(1)는 서브 섀시(3) 상에 위치된다. S 릴 베이스(4)외 T 릴 베이스(5)는 서브 섀시(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카세트(1) 내부의 2개의 릴(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린다.
아이들러(6; idler))는 메인 섀시(8)로부터 연장되는 중앙 기어 축(9)에 스윙가능하게 부착된다. 중앙 기어(10)는 중앙 기어 축(9)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아이들러(6)의 축에 부착된 아이들러 기어(7)는 중앙 기어(10)에 의해 회전되고, S 릴 베이스(4) 및 T 릴 베이스(5)를 회전시키기 위해 S 릴 베이스(4) 및 T 릴 베이스(5)의 외부 기어들과 맞물린다. 카세트(1) 내의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메모리 판독 스위치(MIC-SW; 11)는 서브 섀시(3) 상에 장착된다.
인장 아암(12)은 인장 아암 축(13)을 통해 서브 섀시(3) 상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인장 아암(12) 주변부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장 포스트(14)는 인장 아암(12)의 단부에 배치된다. 인장 아암 규제핀(15)은 인장 아암(12)의 다른 단부(16)에 제공되어, 인장 아암(12)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서브 섀시(3)를 통해 형성된 구멍(17)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설치된 인장판(18;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3 및 4 참조)과 맞물린다.
인장 밴드(19)는 인장 아암(12)의 축(20)에 대해 한쪽 단부(124)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고,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축(22)에 대해 다른 단부(125)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은 축(23)을 통해 서브 섀시(3) 상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은 서브 섀시(3) 상에 배치된 스프링 후크 부(115)에 후크결합된다. 인장 아암 정지판(116)에 대해 접하여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이동이 한정되도록 적절히 조절된 이후에, 인장 아암 정지판(116)은 위치(117)에서 스크류(도시되지 않음)로 서브 섀시(3)에 고정된다.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 상에 제공된 핀(25)은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서브 섀시(3)의 구멍(17)을 통해 인장판(18)과 맞물린다. 인장 밴드(19)는 S 릴 베이스(4)의 실린더부(26) 둘레를 통과한다. 인장 아암(12)은 인장 스프링(27)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인장 스프링(27)의 단부는 서브 섀시(3)의 스프링 후크부에 후크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순화하기 위해 도면 전반에 걸쳐 모든 인장 스프링에 대해 점선으로 개요만을 도시한다. 인장 밴드(19)는 돌출부(118 및 119)를 구비하는 한편, 인장 아암(12)은 밴드 규제 돌출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밴드 규제 돌출부(120)에 대해 상기 돌출부(118, 119)가 접하게 됨으로써 인장 밴드(19)의 이동이 제한되고, 그래서, 인장 밴드(19)가 이완되어 S 릴 베이스(4)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T4 아암(28)은 축(29)을 통해 서브 섀시(3) 상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된다. T4 포스트(30)는 T4 아암(28)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고, T4 규제핀(31)은 그의 다른 쪽 단부에 제공된다. T4 아암(28)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캠판(32 및 33)은 각각 핀(34 및 35) 둘레에서 좌우측으로 스윙될 수 있고, 위치 조절 이후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서브 섀시(3)에 고정된다.
서브 섀시(3)를 통해 제공된 4개의 장공(36)이 메인 섀시(8)로부터 연장하는 4개의 축(37)과 맞물린다. 서브 섀시(3)는 장공(3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자기 헤드를 구비한 실린더(38)가 메인 섀시(8) 상에 설치되고, 테이프(2)가 실린더(38) 둘레로 통과함에 따라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이 수행된다.
S 보트(39) 및 T 보트(40)는 레일(42)의 장공(43)과 맞물린 핀(41A 및 41B), 및 핀(41C 및 41D) 각각을 구비하고, 그래서, S 보트(39) 및 T 보트(40)는 장공(43)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S 보트(39) 및 T 보트(40)는 S1 포스트(45) 및 S2 포스트(44)와 T1 포스트(46) 및 T2 포스트(47)를 구비하고, 그래서, 테이프(2)는 S 보트(39) 및 T 보트(40)가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38)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레일(48) 및 S3 포스트(49)는 메인 섀시(8) 상에 배치된다. T3 포스트(51)는 캡스턴 축(50)을 유지하는 캡스턴 하우징(52) 내에 배치된다. 캡스턴 축(50)은 캡스턴 모터(50A)에 의해 구동된다.
핀치 아암(53)은 축(54)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핀치 롤러(55)는 핀치 아암(53)의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핀치 가압 아암(56)은 핀치 아암(53)의 축(54)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된다. 핀치 가압 아암(56) 및 핀치 아암(5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함께 가압되어 유지된다. 인장 스프링(58)은 핀치 아암(53)과 서브 섀시(3) 사이에서 연장하고, 핀치 아암(53)을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핀치 아암(53)의 돌출부(59)는 서브 섀시(3)가 이동함에 따라 핀치 아암(53)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서브 섀시(3)의 벽(60)에 대해 접한다.
도 3은 서브 섀시 및 그 위에 제공된 부품이 메인 섀시(8)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언로드 모드의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언로드 모드의 인장판 및 그 근방의 부품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인장판(18)을 통해 형성된 2개의 장공(61)이 메인 섀시(8)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안내핀(62)과 맞물림으로써, 인장판(18)은 안내핀(6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안내된다.
인장판(18) 상에 형성된 캠 홈(63)은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인장 아암 규제핀(15)과 맞물린다. 인장판 구동 아암(64)은 축(65)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스윙가능하게 설치된다. 캠 기어(66)는 축(67)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캠 기어(66)는 캠 홈(63)을 구비하고, 상기 캠 홈은 인장판 구동 아암(64)으로부터 연장되는 캠 종동핀(69)과 맞물린다. 인장판 구동 아암(64)으로부터 연장하는 핀(70)은 인장판(18) 상에 형성된 캠 홈(71)과 맞물린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으로부터 연장하는 핀(25)은 인장판(18)의 캠(72)에 대해 접한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인장판 구동 아암(64)은 캠 종동핀(69)을 캠 기어(66)의 캠 홈(63)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되고, 이어서, 인장판(18)은 캠 홈(71)을 인장판 구동 아암(64)의 핀(7)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된다.
인장 아암(12)은 인장 아암 규제핀(15)을 인장판(18)의 캠 홈(63)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되고, 그의 이동이 규제된다.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은 핀(25)을 인장판(18)의 캠(72)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되고, 그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5는 메인 섀시(8) 상에 설치된 S 보트(39) 및 T 보트(40)를 구동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보트 구동 아암(73)은 축(74)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 기어(66)로부터 연장하는 구동 핀(75)은 캠 기어(66)가 스윙함에 따라 보트 구동 아암(73)이 구동되도록 보트 구동 아암(73) 내에 제공된 내부 캠(76)에 대해 접한다.
보트 구동 아암(73)의 기어부(77)는 축(78)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S 로드 기어(79; S load gear)와 일체로 형성된 작은 기어부(80)와 맞물린다.
S 로드 아암(81)은 S 로드 기어(79)와 동축으로 스윙하도록 제공된다. S 로드 링크(82)는 축(83) 및 핀(41A) 각각을 통해 S 로드 아암(81) 및 S 보트(39)와 스윙 가능하게 결합된다.
T 로드 기어(84)는 축(85)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S 기어(79)와 맞물린다. T 로드 아암(86)은 T 로드 기어(84)와 동축으로 스윙하도록 제공된다. T 로드 링크(87)는 축(88) 및 핀(41C)을 통해 T 로드 아암(86) 및 T 보트(40) 각각과 스윙 가능하게 결합된다.
S 로드 아암(81) 및 S 로드 기어(79)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함께 움직이고, 축(78) 둘레로 스윙한다. S 로드 기어(7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S 로드 기어(79)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아암(86) 및 T 로드 기어(8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함께 움직이고, 축(85) 둘레로 스윙한다. T 로드 아암(86)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T 로드 기어(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T 로드 기어(8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S 로드 기어(79) 및 T 로드 기어(84)는 보트 구동 아암(73)이 스윙될 때 구동되어, S 보트(39) 및 T 보트(40)를 S 로드 링크(82) 및 T 로드 링크(87)의 이동을 통해 레일(42)에 따라 이동하게 한다.
도 6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1, 3 및 6을 참조하면,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은 축(90)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설치된다. 캠 기어(66)로부터 연장하는 구동 핀(75)은 보트 구동 아암(73)의 경우에서와 같이, 캠 기어(66)가 스윙함에 따라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이 구동되도록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 내에 제공된 내부 캠(91)에 대해 접한다.
안내핀(92)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브 섀시(3)에서 구멍(108)을 통해 캠판(32 및 34)에 대해 접한다(도 1 참조). 따라서,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은 캠 기어(66)에 의해 구동되고, 이어서, 서브 섀시(3)는 캠판(32 및 33)을 통해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에 의해 구동된다. 메인 섀시(8)에 관한 서브 섀시(3)의 위치는 캠판(32 및 33)의 위치를 좌우측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밍 벨트(93)는 캡스턴 축(50)의 회전을 메인 섀시(8) 상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 2단 기어(94)에 전송한다. 2단 기어(94)는 중앙 기어(10)와 맞물린다. 따라서, 캡스턴 축(50)의 회전은 타이밍 벨트(93), 2단 기어(94), 중앙 기어(10) 및 아이들러 기어(7)를 통해 S 릴 베이스(4) 및 T 릴 베이스(5)에 전달된다.
도 7은 핀치 아암(53) 및 그 근방의 부품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8은 핀치 아암(53) 자체를 도시하고, 도 9는 핀치 가압 아암(56)을 도시하고, 도 1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핀치 롤러(55)의 윤곽선만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아암(53) 및 핀치 가압 아암(56)은 통상적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축(54; 도1 참조) 둘레에서 일체로 스윙된다. 핀치 롤러(55)가 캡스턴 축(50)에 대해 접할 때, 핀치 아암(53) 및 핀치 가압 아암(56)이 스윙을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치 가압 아암(56)이 추가로 시계 방향으로 스윙될 때, 핀치 롤러(5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반발력에 의해 캡스턴 축(50)에 대해 가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핀치 캠 기어(95)는 축(96)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핀치 구동 아암(97)은 메인 섀시(8) 상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핀치 구동 아암(97)으로부터 연장하는 핀치 핀(99)은 핀치 캠 기어(95) 상에 제공된 캠 홈(100)과 맞물리므로써, 핀치 구동 아암(97)이 핀치 캠 기어(95)에 의해 구동된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T4 아암(28)의 T4 규제핀(31)은 서브 섀시(3)를 통해 형성된 구멍(101; 도 1)을 통해 핀치 구동 아암(97)의 돌출부(102)에 대해 접한다. 따라서, T4 아암(28)은 핀치 구동 아암(97)의 스윙에 의해 구동된다.
도 11은 도 1의 직선 A-A를 따라 취한 MIC-SW(1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11을 참조하면, MIC-SW(11)은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서브 섀시(3)에 고정된다. 서브 섀시 보강판(103)은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서브 섀시(3)에 고정된다. 서브 섀시 보강판(103)의 U-형상 단부(104)는 MIC-SW(11)를 보강시키도록 MIC-SW(11)의 단부(105)와 맞물린다. MIC-SW(11)는 신호의 출력/입력을 달성하기 위해 카세트(2) 내에 위치한 메모리(107)와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106)를 구비한다. 콘택트(106)가 카세트(2)에 의해 가압될 때, MIC-SW(11)는 반응력을 수신한다. MIC-SW(11)의 몸체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변형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MIC-SW(11)는 서브 섀시 보강판(103)에 의해 보강되어, MIC-SW(11)의 몸체를 얇게 만들므로써 전체 장치를 작게 만든다.
도 12는 도 1에서 화살표(B)로 도시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보트 구동 아암(73)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은 메인 섀시(8) 상에 설치된 캠 기어(66)로부터 연장하는 구동 핀(75)에 의해 구동된다. 장공(109 및 110)은 캠판(32 및 33)을 통해 형성되고, 서브 섀시(3)에 관하여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캠판(32 및 33)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스크류(111 및 112; 도 1에 도시하지 않음)는 서브 섀시(3)에 관하여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캠판을 안내함으로써 캠판(32 및 33)의 위치를 조절한 후, 도 1에 나타낸 위치(113 및 114)에서 캠판(32 및 33) 각각을 고정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실시에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에 도시된 카세트가 배치/제거될 수 있는 상태(언로드 모드) 이후로 테이프 기록 및 재생 모드로 될 때까지 각 상태의 장치를 순서대로 도시한다. 도 13 내지 17에 나타낸 부품의 모든 참조 번호는 도 1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한다.
도 13은 인장 포스트(14) 및 T4 포스트(30)가 카세트(1)로부터 돌출된 로딩 1 모드를 도시한다. 도 14는 서브 섀시(3)가 그의 전체 스트로크의 절반 만큼 이동한 로딩 2 모드를 도시한다. 도 15는 서브 섀시(3)의 이동이 완료되고, 테이프 로딩, 즉, 실린더(38) 둘레로 테이프(2)의 통과가 완료되어,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 고속 전진 등을 수행하기 위해 테이프를 S 릴 베이스(4)로부터 T 릴 베이스(5)로 전진 주행시킨다.
도 16은 테이프 주행이 정지된 정지 모드를 도시한다. 도 17은 테이프의 역방향 재생, 재권취 등을 수행하기 위해 플레이 모드 방향에 대해 역으로 주행되는 REV 모드를 도시한다.
도 18 및 19는 도 3과 유사한 도면,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100)의 평면도이고, 여기서 서브 섀시(3) 및 그 위에 제공된 부품들은 메인 섀시(8)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부품의 모든 참조 번호는 도 3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한다. 도 3, 18 및 19는 언로드 모드, 로딩 1 모드 및 로딩 2 모드를 각각 도시한다.
도 20 내지 23은 도 4와 유사한 도면, 즉, 인장판(18) 및 그 근방의 부품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23에 나타낸 부품의 참조 번호는 도 4에 도시된 것들에 대응한다. 도 4는 언로드 모드를 도시하고, 도 20은 로딩 1 모드를 도시하며, 도 21은 로딩 2 모드를 도시하고, 도 22는 플레이 모드를 도시하며, 도 23은 정지 모드 및 REV 모드를 도시한다. 인장판(18)의 위치는 정지 모드 및 REV 모드에서 동일하다.
도 24 내지 30은 보트 구동 아암(73) 및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이 캠 기어(66)로부터 연장하는 구동핀(75)에 의해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언로드 모드를 도시하고, 도 25는 로딩 1 모드를 도시하며, 도 26은 로딩 2 모드를 도시하고, 도 27은 로딩 2 모드로부터 플레이 모드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지기 직전의 모드인 프리-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도 28은 플레이 모드를 도시하고, 도 29는 정지 모드를 도시하며, 도 30은 REV 모드를 도시한다.
도 31 내지 35는 메인 섀시(8) 상의 핀치 아암(53) 및 서브 섀시(3) 상의 T4 아암(28)이 핀치 구동 아암(97)에 의해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T4 아암(28)은 도시하지 않고, T4 아암(28)의 T4 아암 규제핀(31)만이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31은 언로드 모드를 도시하고, 도 32는 로딩 1 모드를 도시하며, 도 33은 로딩 2 모드를 도시하고, 도 34는 플레이 모드 및 REV 모드를 도시하며, 도 35는 정지 모드를 도시한다. 핀치 구동 아암(97), 핀치 아암(53) 및 T4 아암(28)은 플레이 모드와 REV 모드에서 동일하다.
이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작동을 언로드 모드로부터 시작하여 REV 모드가 될 때까지 순서대로 각각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3, 4, 24 및 31을 참조하여 언로드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프(2)는 카세트(1)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1, 3 및 24를 참조하면, 서브 섀시(3)는 메인 섀시(8)로부터 최대 연장위치에 위치된다. 캠 기어(66)의 구동핀(75)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 및 보트 구동 아암(73)의 내부 캠(91 및 76)의 제 1 원호부(121 및 122) 각각과 접촉한다.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 및 보트 구동 아암(73)은 모두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시계 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 있다.
S 로드 기어(79)는 보트 구동 아암(73)의 기어부(77)에 의해 최대치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다. S 로드 기어(79)의 이러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S 보트(39)를 레일(42)의 장공(43) 내의 최전방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기어(84)는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시계 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 있다. T 로드 기어(84)의 이러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T 보트(39)를 레일(42)의 장공(43) 내의 최전방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한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인장판(18)는 인장판 구동 아암(64)에 의해 최전방 위치에 놓인다. 이어서, 인장 아암(12)은 인장판(18)의 캠 홈(63)과 맞물린 인장 아암 규제핀(15)에 의해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핀(25)은 인장판(18)의 캠(72)의 바닥 오목부(123)에 위치하는 한편,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위치는 인장 아암 정지판(116)에 의해 결정된다(도 2 참조). 보다 명확하게 말하면,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인장 아암 정지판(116)에 대해 접한다.
상기 상태에서, 인장 밴드(19)는 그의 단부(124)가 S 릴 베이스(4)에 근접하기 때문에 이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완은 인장 밴드(19)의 다른 단부(125)가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에 의해 S 릴 베이스(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감소된다.
도 1, 3 및 31을 참조하면, 핀치 아암(53)은 인장 스프링(58)에 의해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치 아암(53)은 핀치 구동 아암(97)과 접촉하지 않는다. T4 아암(28)은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된 위치에 놓인다.
이하, 로딩 1 모드를 도 13, 18, 20, 25 및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테이프(2)는 인장 포스트(14) 및 T4 포스트(30)에 의해 다소 인출된다. 또한, 테이프(2)는 S 보트(39) 위에 위치된 S1 포스트(45) 둘레로 통과하도록 경로가 설정되며, 실린더(38) 둘레를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도 13, 18 및 25를 참조하면, 캠 기어(66)로부터 연장하는 구동핀(75)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제 1 원호부(121)와 여전히 접촉하고, 따라서 서브 섀시(3)를 구동시키지 않고, 언로드 모드에서와 동일한 위치를 유지시킨다. 다른 한편, 구동 핀(75)은 보트 구동 아암(73)의 내부 캠(76)의 제 1 원호부(122)를 따라 그의 오목부(126)까지 통과한다. 구동 핀(75)을 오목부(126)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보트 구동 아암(73)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는 테이프(2)가 S 로드 기어(79) 및 T 로드 기어(84)의 이동을 통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레일(42)을 따라 S 보트(39) 및 T 보트(40)를 이동시킨다.
도 13, 18 및 20을 참조하면, 인장판(18)은 인장판 구동 아암(64)에 의해 뒤쪽(실린더(38)를 향하여)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인장 아암 규제핀(15)은 인장판(18)의 안내홈(63) 내에서 이동하여, 테이프(2)를 인출하도록 인장 아암(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인장판(18)의 이동에 따라,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은 인장판(18)의 캠(72)의 돌출부(128)를 핀(25)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시계 방향으로 스윙된다. 이는 인장 밴드(19)를 S 릴 베이스(4)의 실린더부(26)에 관하여 이완되게 하고, S 릴 베이스(4)를 회전가능하게 한다.
도 12, 18 및 32를 참조하면, 핀치 아암(53)은 서브 섀시(3)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언로드 상태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남겨진다.
T4 아암(28)은 핀치 구동 아암(97)의 돌출부와 T4 규제핀(31)을 인접시킴으로써 테이프(2)를 시계 방향으로 인출한다.
도 14, 19, 21, 26 및 33을 참조하여 로딩 2 모드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세트(1)는 실린더(38)쪽으로 이동하고, 테이프(2)는 S2 포스트(44), S1 포스트(45), T1 포스트(47) 및 T2 포스트(46)를 통해 실린더(38) 둘레를 통과한다. S 보트(39) 및 T 보트(40)가 각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 완료되는 동안, 인장 포스트(14) 및 T4 포스트(30)는 여전히 이동 중에 있다. 따라서, 테이프(2)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소정의 테이프 주행 경로는 완성되지 않았다.
도 14, 19 및 26을 참조하면, 캠 기어(66)의 구동 핀(75)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내부 캠(91)의 제 1 원호부(121)를 따라 그의 오목부(127)로 통과한다. 구동핀(75)을 오목부(127)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서브 섀시(3)는 안내핀(92)을 통해 실린더(38)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구동핀(75)은 보트 구동 아암(73)의 내부 캠(91)의 오목부(126)로부터 결속 해지되어 그의 제 2 원호부(129)와 접촉하게 된다. 보트 구동 아암(73)은 구동 핀(75)이 오목부(126)에 있을 때 회전된다. 반대로, 보트 구동 아암(73)은 구동 핀(75)이 제 1 및 제 2 원호부(122 및 129)와 접촉하는 고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보트 구동 아암(73)은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회전된 위치에 놓인다. S 보트(39) 및 T 보트(40)는 보트 구동 아암(73)의 기어부(77), S 로드 기어(79) 및 T 로드 기어(84)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메인 섀시(8) 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들의 이동을 완료한다. S 보트(39) 및 T 보트(40)의 V-형상부(143 및 144) 각각은 S 보트(39) 및 T 보트(40)를 위치설정하도록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보트 정지부(141 및 142)와 맞물린다.
S 로드 기어(79) 및 S 로드 아암(81)은 S 보트(39)의 이동 중에 일체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기어(84) 및 T 로드 아암(86)은 T 보트(40)의 이동 중에 일체로 회전한다. S 로드 링크(82) 및 S 로드 아암(81)은 S 보트(39)가 로딩 1 모드로부터 로딩 2 모드로 모드 변환되기 직전에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링크(87) 및 T 로드 아암(86)은 T 보트(40)가 로딩 1 모드로부터 로딩 2 모드로 모드 변환되기 직전에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로딩 2 모드를 시작할 때까지 남아있는 시간 동안, 보트 구동 아암(73)은 S 로드 기어(7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T 로드 기어(8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S 로드 기어(79)는 S 로드 아암(81)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금 회전되기 때문에, S 로드 기어(79)와 S 로드 아암(81) 사이에서 위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트위스트된다. 트위스트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S 보트(39)는 보트 정지부(141)에 대해 가압되고, 그곳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기어(84)는 T 로드 아암(86)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금 회전되기 때문에, T 로드 기어(84)와 S 로드 아암(86) 사이에서 위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트위스트된다. 트위스트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T 보트(40)는 보트 정지부(142)에 대해 가압되고, 그곳에 고정된다.
도 14, 19 및 24를 참조하면, 서브 섀시(3)에 대한 인장 아암(12) 및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상대적 위치는 플레이 모드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지기 직전까지 테이프 로드 동안 인장판(18)에 의해 로딩 1 모드의 위치로부터 변화 없이 유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인장 아암(12)은 서브 섀시(3)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놓이고, 인장 밴드(19)는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을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여 S 릴 베이스(4)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S 릴 베이스(4)의 실린더부(26)에 대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4, 19 및 33을 참조하면, 핀치 아암(53)의 돌출부(59)는 서브 섀시(3)의 벽(60)에 대해 인접하여 서브 섀시(3)가 이동함에 따라 핀치 아암(5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서브 섀시(3)가 이동함에 따라, T4 아암(28)으로부터 연장된 T4 규제핀(31)은 핀치 구동 아암(97)의 돌출부(102)로부터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T4 가이드(145)로 이동한다.
T4 가이드(145)는 서브 섀시(3)의 이동 중에 로딩 1 모드에서와 같이 서브 섀시(3)에 관하여 T4 아암(28)의 동일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도 27을 참조하여, 플레이 모드 직전 모드인 프리-플레이 모드를 설명한다.
캠 기어(66)의 구동핀(75)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내부 캠(91)의 오목부(127)로부터 결속 해지되고, 그의 제 2 원호부(130)와 접촉하게 된다.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은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된 위치에 놓인다. 따라서, 서브 섀시(3)는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안내핀(92)이 맞물림으로써 소정의 위치까지의 그 이동을 완료한다. 보트 구동 아암(73)은 구동 핀(75)이 보트 구동 아암(73)의 내부 캠(76)의 제 2 원호 위치(129)와 접촉하기 때문에 로딩 2 모드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하, 도 15, 22, 28 및 34를 참조하여 플레이 모드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록 및 재생을 위한 테이프 주행 경로를 완성하기 위해, 카세트(1)로부터 테이프(2)의 인출이 완료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완성된 테이프 주행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카세트(1)의 좌측에 놓인 테이프 공급 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출된 테이프(2)는 테이프 기록 패턴에 대한 표준에 기초한 소정의 접촉각 및 경사각으로 실린더(38) 둘레로 통과하기 전에 인장 포스트(14), 메인 섀시(8) 상에 설치된 S3 포스트(49), S2 포스트(44) 및 이어서 S1 포스트(45) 둘레로 상기한 바와 같은 순서로 통과한다. 이후, 테이프(2)는 카세트(1)로부터 인출되었을 때의 원래 상태와 높이 차이 또는 비틀림이 없는 상태가 되도록 T1 포스트(46), T2 포스트(47) 및 T3 포스트(51) 둘레로 통과한다. 이어서, 테이프(2)는 카세트(1)의 우측에 위치하는 권취 릴(도시하지 않음) 상에 감겨지기 전에 테이프 통과 방향 및 T4 포스트(30)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캡스턴 축(50) 둘레로 통과한다.
인장 포스트(14), S3 포스트(49), S2 포스트(44), T2 포스트(47), 및 T4 포스트(30)는 테이프 통과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있는 한편, S1 포스트(45), T1 포스트(46), T3 포스트(51)는 테이프 통과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캠 기어(66)의 구동 핀(75)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39)의 제 2 원호부(130)와 접촉한다.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위치는 도 27에 나타낸 프리-플레이 모드에서와 동일하고, 서브 섀시(3)의 이동이 완료된다.
또한, 구동핀(75)은 보트 구동 아암(73)의 내부 캠(76)의 제 3 원호부(146)와 접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원호부(146; 범위 D)는 제 2 원호부(129; 범위 C)의 반경 보다 약간 더 큰 반경을 갖는다. 부분(147; 범위 E)은 제 2 원호부(129)와 제 3 원호부(146) 사이의 전이부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보트 구동 아암(73)은 도 27에 도시된 프리-플레이 모드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여, 보트 구동 아암(73)의 돌출부(149)를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보트 구동 아암 정지부(148)에 대해 인접하게 한다. 플레이 모드의 보트 구동 아암(73)이 프리 플레이 모드의 그 위치로부터 다소 복귀되는 양은 S 로드 기어(79)와 S 로드 아암(81) 사이의 회전 위상차 및 T 로드 기어(84)와 T 로드 아암(86) 사이의 회전 위상차보다 현저하게 적다. 따라서, S 보트(39) 및 T 보트(40)는 보트 정지부(141 및 142)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플레이 모드에서 및 그 이후에, S 보트(39) 및 T 보트(40)의 가압에 반하는 반응력은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의 구동 핀(75)에 의해서가 아니라 보트 구동 아암 정지부(148)에 의해서 유지된다. 따라서, 플레이 모드에서 및 그후에, 보트 구동 아암(73)의 위치는 구동 핀(75)에 의해서가 아니라 보트 구동 아암 정지부(148)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15 및 22를 참조하면, 인장 아암 규제핀(15)은 인장판(18)의 캠 홈(63)의 상단의 비규제부(150)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장판(18)은 인장 아암 규제핀(15)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핀(25)은 인장판(18)의 캠(72)의 상단 오목부(151)에 위치된다. 언로드 모드에서와 같이, 서브 섀시(3) 상의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위치는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이 인장 아암 정지판(116)에 대해 접할 때 결정된다.
인장 아암(12)의 위치는 인장 밴드(19)가 인장 스프링(27)의 비틀림에 의한 이완 없이 S 릴 베이스(4)의 실린더 돌출부(26) 둘레로 신장될 때 결정된다. S 릴 베이스(4)의 실린더부(26)와 인장 밴드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마찰력은 테이프(2)를 인장력을 받으면서 인장 포스트(14) 둘레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피드백되고, 그에 따라 테이프 인장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플레이 모드에서 인장 포스트(14)의 위치는 인장 아암 정지판(116)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고정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플레이 모드에서, 핀치 구동 아암(97)은 핀치 캠 기어(95)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스윙된다. 핀치 구동 아암(97)이 캠부(251)를 가압하는 것은 축을 경유하여 핀치 가압 아암(5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152)를 가압하게 된다. 이는 핀치 롤러(55)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힘에 의해 테이프(2)를 통해 캡스턴 축(50)에 대해 가압되므로써, 테이프(2)가 캡스턴 축(50)의 회전에 의해 주행되게 한다. T4 아암(28)의 위치는 T4 가이드(145)에 의해 변화 없이 유지된다.
도 16, 23, 29 및 35를 참조하여 정지 모드를 설명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 및 보트 구동 아암(73)의 위치는 도 28에 나타낸 플레이 모드에서의 위치와 동일하다. 캠 기어(66)의 구동 핀(75)의 위치만이 플레이 모드에서의 위치 상이하다.
도 16 및 23을 참조하면, 인장판(18)은 인장판 구동 아암(64)에 의해 도 22에 나타낸 플레이 모드에서 그의 위치로부터 약간 앞쪽으로 이동한다.
서브 섀시(3)에 대해 상대적인 인장 아암(12) 및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위치는 로딩 1 모드 및 로딩 2 모드에서와 동일하다.
도 16 및 35를 참조하면, 핀치 구동 아암(97)은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하고, 핀치 가압 아암(56)의 롤러(152)와 접촉하지 않는다. 핀치 아암(53)은 서브 섀시(3)의 벽(60)에 대해 접하도록 인장 스프링(5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치 롤러(55)는 캡스턴 축(50)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17, 23, 30 및 34를 참조하여 REV 모드를 설명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 및 보트 구동 아암(73)의 위치는 도 28에 도시된 플레이 모드 및 도 29에 도시된 정지 모드에서의 위치와 동일하다. 캠 기어(66)의 구동 핀(75)의 위치 만이 플레이 모드 및 정지 모드에서와 상이하다.
인장판(18)은 정지 모드에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인장 아암(12) 및 인장 밴드 규제 아암(21)의 위치는 도 16에 나타낸 정지 모드에서와 동일하다.
핀치 구동 아암(97)은 도 35에 나타낸 정지 모드의 위치로부터 도 34에 나타낸 플레이 모드의 위치로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핀치 아암(53)은 플레이 모드의 상태를 재개한다. T4 아암(28)의 상태는 플레이 모드, 정지 모드 및 REV 모드 전반에 걸쳐 변화 없이 유지된다.
하기에, 캠판(32, 33)을 사용한 서브 섀시(3)의 위치 조절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언로드 모드에서의 위치 조절을 설명한다. 언로드 모드에서 메인 섀시(8)에 대한 서브 섀시(3)의 위치는 좌전방 코너에서 메인 섀시(8)로부터 연장되는 축(202; 네개의 축(37)중 하부 좌측에 있는 축)과 좌전방 코너에서 서브 섀시(3)내에 형성된 장공(36)의 후방 단부면(203) 사이의 결합에 의해 고정밀도로 결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서브 섀시(3)는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핀(92)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도 3 참조). 그러므로, 축(202)이 장공(36)의 후방 단부면(203)에 대해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캠판(32)은 안내핀이 캠판(32)의 캠면(200)에 대해 접하도록 좌우측으로 이동됨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플레이모드에서의 위치 조절을 설명한다. 플레이 모드에서 메인 섀시(8)에 대한 서브 섀시(3)의 위치는 축(202)과 좌전방 코너에서 서브 섀시(3)내에 형성된 장공(36)의 전방 단부면(204) 사이의 결합에 의해 고정밀도로 결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서브 섀시(3)는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으로부터 연장하는 안내핀(92)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축(202)이 장공(36)의 전방 단부면(204)에 대해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캠판(33)은 안내핀(92)이 상기 캠판(33)의 캠면(201)에 대해 접하도록 좌우측으로 이동됨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좌우측으로 이동됨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캠판(32, 33)을 제공함으로써, 서브 섀시(3)가 메인 섀시(8)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이 이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비정상적인 부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메인 섀시(8)에 대한 서브 섀시(3)의 위치가 복귀되지 않는 높은 신뢰성을 가진 메카니즘이 얻어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캠판(32, 33)이 상기 서브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캠판(32, 33)은 카세트내의 릴을 구동하는 릴 베이스와 서로 방해되지 않고, 메카니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핀(34, 35)은 캠판을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캠판(32, 3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서브 섀시(3)에 수직인 표면상에 위치되고, 스크류(111, 112)는 캠판(32, 33)을 서브 섀시(3)에 고정하기 위해 서브 섀시(3)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반대로, 캠판(32, 33)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캠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안내핀(34, 35)을 서브 섀시(3)상에 배치하고, 캠판(32, 33)을 서브 섀시(3)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111, 112)를 서브 섀시(3)에 수직인 표면상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서브 섀시(3)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제 1 섀시에 대응하고, 실린더(38)는 청구범위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대응하며, 메인 섀시(8)는 청구범위의 제 2 섀시에 대응한다. 언로드 모드는 청구범위의 제 1 상태에 대응하고, 플레이 모드는 청구범위의 제 2 상태에 대응한다. 캠판(32, 33)은 청구범위의 섀시 구동판(또는, 각각 제 1 및 제 2 섀시 구동판)에 대응하고, 캠면(200, 201)은 청구범위의 캠면에 대응한다. 안내핀(92)은 청구범위의 캠면과 맞물리는 돌출부에 대응하고, 서브 섀시 구동 아암(89; 도 3)은 청구범위의 섀시 구동 아암에 대응한다. 상기 장공(109, 110)은 청구범위의 안내홈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가진 메카니즘이 얻어지고, 상기 메카니즘에서는 각각 캠면을 가지는 두개의 캠판이 서브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 서브 섀시에 고정된다. 이런 메카니즘에 의해, 서브 섀시가 메인 섀시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이 이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비정상적인 부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메인 섀시에 대한 서브 섀시의 위치는 변위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캠판이 서브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캠판이 카세트내의 릴을 구동하는 릴 베이스와 서로 방해되지 않으며, 메카니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섀시 구동판은 장공(안내홈)을 구비하고, 서브 섀시(제 1 섀시)는 안내핀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섀시 구동판이 안내핀을 구비하고, 서브 섀시가 안내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다양한 다른 변용들이 실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섀시가 제 2 섀시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이 이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비정상적인 부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제 2 섀시에 대한 제 1 섀시의 상대적인 위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높은 신뢰성을 가진 소형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섀시 구동판의 이동이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섀시 구동판은 카세트내의 릴을 구동하는 릴 베이스와 서로 방해가 되지 않으며, 따라서, 메카니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은 높은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는 소형 메카니즘을 구비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4)

  1.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를 구비한 회전 헤드 실린더 둘레에 소정의 원호로 통과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자기 테이프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제 1 섀시와, 회전 헤드 실린더가 그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헤드 실린더를 향한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및 상기 회전 헤드 실린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섀시에는 상기 제 2 섀시에 대한 상기 제 1 섀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섀시 구동판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섀시에는 상기 제 1 섀시를 구동하는 섀시 구동 아암이 장착되고,
    상기 섀시 구동판은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 아닌 부분을 가지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섀시 구동 아암은 상기 캠면과 맞물리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섀시 구동판은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제 1 섀시내로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제 1 상태와,자기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테이프 주행 경로가 설립되는 제 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 구동판은 상기 제 1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조절되는 제 1 섀시 구동판과, 제 2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조절되는 제 2 섀시 구동판을 포함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섀시 구동판을 안내하기 위해 섀시 구동판상에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1 섀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섀시 구동판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 섀시 구동판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섀시 구동판상에 제 1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제 1 섀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1 섀시 구동판의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섀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2 섀시 구동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2 섀시 구동판상에 제 2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제 1 섀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섀시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KR1019990009198A 1998-03-19 1999-03-18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70167 1998-03-19
JP7016798 1998-03-19
JP36452498A JP3500997B2 (ja) 1998-03-19 1998-12-22 磁気記録再生装置
JP98-364524 199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033A true KR19990078033A (ko) 1999-10-25
KR100287941B1 KR100287941B1 (ko) 2001-04-16

Family

ID=2641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198A KR100287941B1 (ko) 1998-03-19 1999-03-18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98592B1 (ko)
EP (1) EP0944063A1 (ko)
JP (1) JP3500997B2 (ko)
KR (1) KR100287941B1 (ko)
CN (1) CN111268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779B2 (ja) * 1998-12-08 2003-08-04 三星電子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器
JP3086700U (ja) * 2001-12-14 2002-06-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4288236A (ja) * 2003-03-19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6209831A (ja) * 2005-01-25 2006-08-10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527U (ko) 1978-07-27 1980-02-15
US4370682A (en) 1979-01-12 1983-01-2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loading apparatus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5114084A (en) 1979-02-23 1980-09-03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718047A (en) 1980-07-09 1982-01-29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591935A (en) 1981-07-31 1986-05-27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Idler drive mechanism with positional control
JPS5826751U (ja) 1981-08-13 1983-02-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つなぎ撮り機構
DE8222016U1 (de) 1982-08-04 1983-02-10 Basf Ag, 6700 Ludwigshafen Einstellvorrichtung fuer fuehrungselemente und magnetbandkassete mit solcher einstellvorrichtung
JPS6018848A (ja) 1983-07-11 1985-01-30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18756A (ja) 1984-06-20 1986-01-16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95552A (ja) 1985-02-25 1986-08-29 Hitachi Ltd イオンビ−ム装置
JPS61203443A (ja) 1985-03-06 1986-09-09 Fuji Photo Film Co Ltd 光重合性組成物
JPH0777053B2 (ja) 1985-03-07 1995-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テープ装置
JPH0785320B2 (ja) 1986-04-03 1995-09-13 ソニー株式会社 テ−プ引き出し装置
JPH079721B2 (ja) 1986-06-25 1995-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ピンチロ−ラ圧着装置
JPH07111801B2 (ja) 1987-02-10 199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
KR910010165B1 (ko) 1987-05-13 1991-12-1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951161A (en) 1987-08-28 1990-08-21 Clarion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sticking of a magnetic tape to a rotating magnetic head drum
US4985789A (en) 1987-10-02 1991-01-15 Sanyo Electric Co., Ltd.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cassette
AU2506488A (en) 1987-11-16 1989-05-18 Ici Americas Inc. Transportable compositions containing a toxicant and a method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WO1989008309A1 (en) 1988-03-04 1989-09-08 Nippon Hoso Kyokai Tape drive mechanism
JPH087897B2 (ja) 1988-08-31 1996-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に於けるストップモード設定装置
JPH0752531B2 (ja) 1988-08-31 1995-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に於けるテープ弛み処理装置
JPH02154352A (ja) 1988-12-07 1990-06-13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01757A (ja) 1989-01-31 1990-08-09 Toshiba Corp カセットテープのたるみ防止装置
US5293550A (en) 1989-02-10 1994-03-08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707312B1 (en) 1989-03-31 1999-06-02 Sony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stable tape-traveling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961747B2 (ja) 1989-04-27 1999-10-1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CA2015431C (en) 1989-04-29 1995-06-20 Yoshikazu Sasaki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JP2656618B2 (ja) 1989-06-14 1997-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2820Y2 (ja) 1989-09-04 1996-01-29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テープレコーダ
KR940006037Y1 (ko) 1989-12-13 1994-09-01 주식회사 금성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2548992B2 (ja) 1989-12-25 1996-10-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3207046A (ja) 1990-01-08 1991-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磁気ヘッド装置
US5333770A (en) 1990-03-01 1994-08-02 Hitachi, Ltd. System for controlling tape traveling height and tape guide with tape edge detector therefor
US5327306A (en) 1990-03-30 1994-07-05 Sony Corporation Compact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movable reels and reel spindles
US5307215A (en) 1990-04-13 1994-04-26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tape in magnetic recorder
JPH0417151A (ja) 1990-05-10 1992-01-21 Sharp Corp テープガイドポール傾斜角度可変機構
US5222685A (en) 1990-07-18 1993-06-29 Sharp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orque generator generating the most appropriate torque and rotation detecting function
JP2631415B2 (ja) 1990-08-31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129054A (ja) 1990-09-19 1992-04-30 Hitachi Ltd テープ走行装置
US5461520A (en) 1990-10-15 1995-10-2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and a dew condensation detecting facility
JP2664281B2 (ja) 1990-11-09 1997-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27465B2 (ja) 1991-03-25 1997-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5365386A (en) 1991-04-16 1994-1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ading post driving device
JPH04356755A (ja) 1991-06-03 1992-12-10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プロ−ディング装置
JP3013508B2 (ja) 1991-06-19 2000-02-28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US5335877A (en) 1991-07-10 1994-08-09 Funai Electric Co., Ltd. Device for exchanging a tape drive mode
JPH0520748A (ja) 1991-07-10 1993-01-29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ツドドラム装置
JPH0528600A (ja) 1991-07-18 1993-02-05 Sony Corp 回転ヘツドドラム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磁気記録再生装置
US5262909A (en) 1991-11-12 1993-11-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ape loading device for a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50009662B1 (ko) 1992-01-16 199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5217254A (ja) 1992-01-31 1993-08-27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092325B2 (ja) 1992-05-13 2000-09-25 ソニー株式会社 リールサーボ装置
JPH05342834A (ja) 1992-06-15 1993-12-24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DE4319929A1 (de) 1992-06-17 1994-01-05 Gold Star Co Deckmechanismus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e
DE4319863C2 (de) 1992-06-17 2001-03-29 Gold Star Co Bandlaufsystem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e
JPH0636424A (ja) 1992-07-20 1994-02-10 Sony Corp リニヤスケートシャーシ移動機構
US5452160A (en) 1992-09-25 1995-09-19 Tokyo Pigeon Co., Ltd. Mode switching transmitt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JPH06131763A (ja) 1992-10-14 1994-05-13 Sanyo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CA2108429A1 (en) 1992-10-19 1994-04-20 Gerald W. Tarpley, Jr. Cassette tape player having circuit for detecting reverse rotation of tape-up reel
US5546259A (en) 1992-11-25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trans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tape guide with variable restricting force regions, each used depending upon the amount of tape tension
JPH06215455A (ja) * 1992-11-30 1994-08-05 Sony Corp 回転ヘッド方式テーププレーヤ
JPH06203431A (ja) 1992-12-28 1994-07-22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H06251457A (ja) 1993-02-26 1994-09-09 Samsung Electron Co Ltd テープレコーダの走行装置
JP3552734B2 (ja) 1993-07-30 2004-08-11 三星電子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巻き戻し装置
JP3117857B2 (ja) 1993-10-29 2000-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ープ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2980499B2 (ja) 1993-10-29 1999-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970011522B1 (ko) 1993-12-22 1997-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광제에 의한 광학 비선형 고분자 박막에서의 광표백 시간단축방법
JPH07282427A (ja) 1994-04-08 1995-10-27 Alps Electric Co Ltd 磁気ヘッド装置及び磁気テープ走行系
EP0678864A3 (en) * 1994-04-20 1999-08-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7296347A (ja) 1994-04-28 1995-11-10 Canon Inc シリンダ装置
CN1115681C (zh) 1994-09-15 2003-07-23 三星电子株式会社 磁录/放设备的走带机构
JPH0963159A (ja) 1994-11-25 1997-03-07 Sanyo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84073B2 (ja) * 1994-12-28 2004-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又は再生装置
KR0162213B1 (ko) 1995-01-14 1998-12-15 김광호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JP3234849B2 (ja) 1995-03-08 2001-1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装置
JPH08279209A (ja) 1995-04-07 1996-10-22 Sony Corp リール台ブレーキ装置
KR0176513B1 (ko) 1995-04-13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장치
JP3531293B2 (ja) 1995-06-29 2004-05-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AU4009695A (en) 1995-10-23 1997-05-15 Lots Technology Dynamic tracking and focus for optical tape systems
JPH09180314A (ja) 1995-12-26 1997-07-11 Mitsumi Electric Co Ltd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US5655724A (en) 1996-01-16 1997-08-12 Ford Motor Company Autoreverse cassette tape mechanism with tape-eating prevention
KR970076641A (ko) 1996-05-31 1997-12-12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 조정장치
JPH10275382A (ja) 1997-01-29 1998-10-13 Sony Corp 磁気テープ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6948A (zh) 1999-12-01
JPH11328788A (ja) 1999-11-30
US6198592B1 (en) 2001-03-06
CN1112688C (zh) 2003-06-25
JP3500997B2 (ja) 2004-02-23
EP0944063A1 (en) 1999-09-22
KR100287941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936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41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EP0944065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944059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94406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621561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rotary head cylinder and a mechanism for passing a magnetic tape around the rotary head cylinder for a predetermined arc
KR100287940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EP0944060A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94406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94406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00287937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US20040201916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