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981A - 동기검출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동기검출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981A
KR19990077981A KR1019990009006A KR19990009006A KR19990077981A KR 19990077981 A KR19990077981 A KR 19990077981A KR 1019990009006 A KR1019990009006 A KR 1019990009006A KR 19990009006 A KR19990009006 A KR 19990009006A KR 19990077981 A KR19990077981 A KR 1999007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rrelation
correlation value
detecting
rep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700B1 (ko
Inventor
데라시마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7Multi-step acquisition, e.g. multi-dwell, coarse-fine or valid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H04B1/7093Matched filte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동기검출장치 및 방법에서는, 검출되는 코드가 고속으로 식별될 수 있다. 매치필터수단에 주어질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공급은 원하는 타이밍에 정지되어 수신신호(S10)를 보존하고, 상관계수 발생수단(83)에서 발생된 복제코드(replica code)는 원하는 타이밍에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replica code)로 전환되어 그 시간의 상관값을 검출한다. 이에의해, 제 2코드, 제 3코드 및 제 1코드가 검출되어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형을 검출한다. 따라서, 각 상관검출은 매치필터수단이 고속으로 상관검출을 행하여 수신신호를 보존하므로 동일한 타이밍에 각 상관검출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수신신호에 포함된 제 1코드는 이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식별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기검출 장치 및 방법{Synchronization detection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동기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S-CDMA(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직접확산코드분할다중)방식에 따라 기지국 사이의 비동기 통신을 하도록 하는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DS-CDMA방식은 확산코드를 사용하는 멀티플렉싱 시스템이고, 이것을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엑세스 방식 중 하나로서 활발하게 검토중에 있다.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은 원하는 크기의 셀로 분할되고 고정국으로서의 기지국은 각 셀에 제공되고 이동국으로서의 통신단말장치가 최상통신상태를 갖는 기지국에 무선 접속된다.
이와같은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접속된 기지국을 탐색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셀탐색이라고 한다. 이 DS-CDMA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위해, 수신신호에 포함된 확산코드의 타이밍은 이 셀탐색과 동시에 포착되어야 한다.
DS-CDMA를 사용하는 이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은, 모든 기지국 사이에 시간적 동기가 행해지는 기지국 간의 동기 시스템과, 시간 동기가 행해지지 않는 기지국 간의 비동기 시스템의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지국 간의 동기 시스템은 IS-95규격에 의해 규격화되므로, 절대기준시간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무선파를 사용하여 각 기지국에 설정되고, 따라서 사간동기가 기지국간에 행해질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상기 절대기준시간에 의거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에 확산코드와 동일한 롱코드를 송신한다. 따라서, 셀탐색시간에, 이동국은 단지 롱코드의 타이밍을 포착하므로써 접속될 기지국을 탐색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들간의 비동기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기지국들을 식별하기 위해 다른 롱코드를 송신하고, 이에따라 셀탐색시에, 이동국이 롱코드의 유형 뿐만아니라 롱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지국들간의 비동기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지국들간의 동기 시스템에 비해 셀탐색에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반대로, 기지국들간의 비동기 시스템에서는, GPS무선파를 수신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서비스 영역이 GPS무선파가 도달할 수 없는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셀탐색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면, 이 시스템은 매우 효율적이다.
기지국들간의 비동기 시스템에서 셀탐색의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몇몇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방법들 중 하나는 롱코드와 이 롱코드그룹을 지정하는 그룹식별쇼트코드 뿐만아니라 기지국들간의 공통쇼트코드를 송신하고, 이 쇼트코드들에 의거하여 송신되는 롱코드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다음 설명에서, 코드타이밍과 코드 유형을 검출하는 방법을 동정(동정 ; identification)이라고 한다.
더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채널의 신호발생부(1)를 가지고, 이것은 롱코드, 공통쇼트코드 및 그룹식별쇼트코드가 신호발생부(1)를 사용하여 합성되는 송신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먼저, 제 1곱셈기(2)는 비교적 짧은 주기를 갖고, 각 기지국에 공통인 공통쇼트코드(Common short code ; CSC)로 "1" 등의 값을 갖는 입력정보비트(S1)를 순차적으로 확산하고, 확산데이터(S2)를 제 2곱셈기(3)에 출력한다. 제 2곱셈기(3)에는, 공통쇼트코드(CSC)보다 긴 주기를 갖는 롱코드(Long code ; LC)가 입력되고 확산데이터(S2)는 롱코드(Long code ; LC)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확산되고 이 확산데이터(S3)는 가산기(5)에 출력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롱코드(LC)는 모든 기지국에 매우 고유하고 기지국들은 이 롱코드(LC)에 의해 식별된다. 롱코드인에이블신호(SCE)는 AND회로(4)에 입력되고, 이 롱코드인에이블신호(SCE)를 소정 주기에서 레벨"L"로 설정하므로써, 제 2곱셈기(3)에 공급되는 롱코드(LC)는 레벨"L"의 구간까지 마스크될 것이다. 따라서, 제 2곱셈기(3)로부터 공급되는 확산데이터(S3)는 롱코드인에이블신호(SCE)가 레벨"L"을 갖는 구간까지 롱코드(LC)에서 확산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롱코드(LC)가 마스크되는 구간을 마스크구간이라 한다.
반면, 신호발생부(1)에서 사용되는 롱코드(LC)의 그룹을 나타내고 공통쇼트코드(CSC)와 동일한 주기를 갖는 그룹식별쇼트코드(Group identification short code ; GISC)는 제 3곱셈기(6)에 입력된다. 이 제 3곱셈기(6)는 값 "1" 등을 갖는 정보비트(S4)를 이 그룹식별쇼트코드(Group identification short code ; GISC)로 확산하고, 확산데이터(S5)를 가산기(5)에 출력한다. 이와 관련하여, 확산데이터(S5)는 롱코드(LC)의 마스크구간에 형성될 것이다.
이 확산데이터(S3, S5)를 가산하므로써, 가산기(5)는 제어채널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데이터(S6)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송신회로와 안테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어채널에 의해 이 송신데이터(S6)를 송신하므로써, 롱코드(LC), 공통쇼트코드(CSC) 및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포함하는 송신신호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이때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신호에 포함된 롱코드(LC), 공통쇼트코드(CSC) 및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통쇼트코드(CSC)는 송신신호에 반복적으로 존재한다. 또한 롱코드(LC)도 송신신호에 반복적으로 존재한다. 그런데, 롱코드(LC)는 주기(TMK)에서 공통쇼트코드(CSC)와 동기하는 구간까지만 마스크된다. 또한, 롱코드(LC)의 마스크 구간에서는, 확산데이터(S5)가 가산되므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는 그 마스크구간에 존재한다.
상기 타이밍에서 이동국에 의해 코드(CSC, GISC, LC)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이 송신신호에 포함된 롱코드(LC)를 식별하는 경우에, 먼저 마스크 구간에 존재하는 공통쇼트코드(CSC)가 수신신호로부터 검출되어 롱코드(LC)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이것이 검출되면, 마스크구간까지 존재하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결정된다. 이 경우에,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롱코드(LC)의 그룹을 나타내고, 만약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유형이 식별될 수 없으면, 롱코드(LC)의 후보가 그 그룹에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결정된 후에,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나타내는 그룹내의 롱코드(LC)로 후보의 범위를 한정하고 후보인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하므로써 수신신호에 포함된 롱코드(LC)의 유형이 식별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후보의 수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롱코드(LC)의 유형을 판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모든 롱코드(LC)를 후보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방법에 따라 수신신호에 포함된 롱코드(LC)를 식별하는 동기검출장치가 도 3에 도시될 것이다. 이 도 3에서, (10)은 안테나와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S10)를 수신할 뿐만아니라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최강 신호레벨을 갖는 롱코드(LC)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이동국에 장치될 동기검출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이것은 롱코드(LC)의 유형을 결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셀탐색시에, 이것은 최강신호레벨을 갖는 롱코드(LC)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을 결정하므로써 기지국을 판정한다.
먼저, 매치필터(11)는 수신신호(S10)와 쇼트코드발생기(12)에서 발생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replica code)(DCSC) 사이의 상관값을 연속하여 검출하고 이 상관값(S11)을 메모리(13)에 저장한다. 매치필터(11)는 적어도 대략 3주기의 롱코드 주기의 기간까지 상관값을 검출한다.
최대상관검출회로(14)는 메모리(13)에 저장된 상관값데이터(S11)를 검출하고 데이터(S11) 중에서 최대 상관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출한다. 최대상관값이 얻어지는 타이밍을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최강신호레벨을 갖는 롱코드(LC)의 타이밍으로 가정하면, 최대상관검출회로(14)는 그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정보(S12)를 출력한다. 이 타이밍정보(S12)는 타이밍정보(S12)로서 쇼트코드발생기(12)와 롱코드발생기(15)에 송신되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와 롱코드(LC)의 복제코드를 발생시킨다. 또한, 최대상관검출회로(14)는 최대값을 갖는 검출상관값데이터(S13)를 임계값 결정회로(18)에 출력한다.
쇼트코드발생기(12)가 타이밍정보(S12)를 수신할 때, 타이밍정보(S12)에 의해 나타내진 타이밍에 복수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서 제 1후보인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고 이 코드(DGISC)를 곱셈기(16)를 통해 슬라이딩상관기(17)에 출력한다.
한편, 임계값결정회로(18)는 상관값데이터(S13)에 의거하여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 1임계값과 롱코드(LC)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 2임계값을 결정하고 이것을 임계값데이터(S14)로서 판정부(19)에 출력한다.
슬라이딩 상관기(17)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입력 수신신호(S10)와 연속적으로 곱하고 1주기의 복제코드(DGISC)에 대한 곱셈결과를 적분하므로써 상관값을 산출하고 이 상관값(S15)을 판정부(19)에 출력한다.
판정부(19)는 슬라이딩상관기(17)로부터 송신된 상관데이터(S15)가 제 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고, 만약 제 1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신호(S16)를 쇼트코드발생기(12)에 출력하여 이 쇼트코드발생기(12)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그 다음 후보인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는 쇼트코드발생기(12)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고 그 복제코드(DGISC)의 상관값데이터(S15)는 슬라이딩상관기(17)에 의해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반대로, 만약 슬라이딩상관기(17)로부터 송신된 상관값데이터(S15)가 제 1임계값을 초과하면, 판정부(19)는 그 때의 복제코드(DGISC)가 검출될 롱코드(LC)의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인 것으로 판정하고 그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 의해 나타내진 그룹을 롱코드발생기(15)에 그룹정보(S17)로서 출력한다. 또한, 상관값데이터(S15)가 제 1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판정부(19)는 제어신호(S18)를 쇼트코드발생기(12)에 출력하고 이 쇼트코드발생기(12)가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롱코드발생기(15)가 그룹정보(S17)를 수신하면, 그룹정보(S17)가 타이밍정보(S12)에 의해 표시된 타이밍에 나타나는 그룹내의 롱코드(LC)의 제 1후보인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킨다. 이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는 곱셈기(16)에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와 곱해진 후에 슬라이딩상관기(17)에 입력된다.
슬라이딩상관기(17)는 입력수신신호(S10)를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와 곱해진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와 연속적으로 곱하고, 복제코드(DLC)의 주기마다의 곱셈결과를 적분하므로써, 상관값을 산출하고 이 상관값데이터(S19)를 판정부(19)에 출력한다.
판정부(19)는 슬라이딩상관기(17)로부터 출력된 상관값데이터(S19)가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고, 만약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신호(S20)를 롱코드발생기(15)에 출력하여, 롱코드(LC)의 그 다음 후보, 즉 복제코드(DLC)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판정부(19)는 롱코드발생기(15)가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고, 그 복제코드(DLC)의 상관값데이터(S19)를 슬라이딩상관기(17)에 의해 얻는다.
반대로, 슬라이딩상관기(17)로부터 공급된 상관값데이터(S19)가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판정부(19)는 그 다음 복제코드(DLC)를 검출될 롱코드(LC)로서 판정하고, 그 롱코드(LC)의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S21)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이 동기검출장치(10)는 제 1단에서 공통쇼트코드(CSC)를 검출하므로써, 수신신호에서 최강신호레벨을 갖는 롱코드(LC)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그 다음 제 2단에서, 판정부(19)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식별하여 검출될 롱코드(LC)의 그룹을 검출하고, 제 3단에서, 그 그룹내의 롱코드(LC)를 후보로 하므로써 롱코드(LC)의 유형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 동기검출장치(10)에서, 수신신호에 포함된 최강신호레벨을 갖는 롱코드(LC)가 식별될 수 있다.
이제, 도 3에 도시된 공통쇼트코드(CSC)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매치필터(11)의 구성이 도 4에 도시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신신호(S10)는 QPSK(Quadrature-Phase-Shift-Keying ; 4상위상)변조되므로, 실제로 매치필터(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4위상구조를 갖는다. 먼저, 매치필터(11)에서, 수신신호(S10)는 곱셈기(20, 21)에 입력된다. 곱셈기(20)에는, 발진기(22)에서 발생된 캐리어신호(S25)를 이상기(23)로 π/2만큼 지연하므로써 발생된 캐리어신호(S26)가 입력된다. 이 캐리어신호(S26)를 수신신호(S10)와 곱하므로써 곱셈기(20)는 수신신호(S10)내의 동상(in-phase)성분(I)의 신호성분(SI)을 출력한다. 이 동상성분(I)의 위상성분(SI)은, 로패스필터(24)를 통해 그 불필요한 성분이 제거된 후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5)에 입력되어 디지털 동상데이터(UI)로 변환된다.
반면, 발진기(22)에서 발생된 캐리어신호(S25)는 곱셈기(21)에 입력된다. 곱셈기(21)는 캐리어신호(S25)를 수신신호(S10)와 곱하므로써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직교성분(Q)의 신호성분(SQ)을 출력한다. 이 직교성분(Q)의 신호성분(SQ)은, 그 불필요한 성분이 로패스필터(24)를 통해 제거된 후에,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7)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디지털변환이 행해져서 디지털직교데이터(UQ)로 변환된다.
상관기(28~31)는 각 신호성분마다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매치필터이다. 쇼트코드발생기(12)로부터 송신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중에서, 동상데이터(UI)와 동상성분의 복제코드(UIR)가 상관기(28)에 입력되고 상관기(28)는 동상데이터(UI)와 동상성분복제코드(UIR)사이의 상관값(UII)(= UI* UIR)을 산출하고, 이를 가산기(32)에 출력한다.
또한, 상관기(29)에는, 동상데이터(UI)와 쇼트코드발생기(12)로부터 송신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의 직교성분복제코드(UQR)가 입력된다. 상관기(29)는 동상데이터(UI)와 직교성분복제코드(UQR)사이의 상관값(UIQ)(= UI* UQR)을 산출하고, 이를 차분기(33)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상관기(30)에는, 상기 직교데이터(UQ)와 직교성분의 복제코드(UQR)가 입력된다. 상관기(30)는 직교데이터(UQ)와 직교성분복제코드(UQR) 사이의 상관값(UQQ)(= UQ* UQR)을 산출하고, 이를 가산기(32)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직교데이터(UQ)와 동상성분복제코드(UIR)는 상관기(31)에 입력되어 직교데이터(UQ)와 동상성분복제코드(UIR) 사이의 상관값(UQI)(= UQ* UIR)을 산출하여, 이를 차분기(33)에 출력한다.
가산기(32)는 상관값(UII)과 상관값(UQQ)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를 제곱회로에 출력한다. 반면, 차분기(33)는 상관값(UQI)과 상관값(UIQ) 사이의 차이를 산출하여, 이 감산 결과를 제곱회로(35)에 출력한다. 따라서, 가산결과와 감산결과는 제곱회로(34, 35)에 의해 각각 제곱되고 그 제곱결과를 가산기(36)에 의해 가산하므로써, 최종적으로 복제코드(DCSC)와의 상관값데이터(S11)(=(UII+ UQQ)2+ (UQI- UIQ)2)가 산출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롱코드(LC)의 식별방법에 따르면, 공통쇼트코드(CSC)를 사용하는 롱코드(LC)의 타이밍검출처리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사용하는 롱코드(LC)의 그룹식별처리와, 식별그룹상의 후보를 한정하는 롱코드(LC)의 식별처리가 매치필터와 슬라이딩상관기를 사용하여 시간순으로 행해지고, 기본적으로 각 처리는 다른 타이밍에 행해진다. 페이딩 등으로 인해 전송경로의 상태가 변화할 경우에, 롱코드(LC)가 식별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식별방법에 따르면, 전체 롱코드(LC)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등의 롱코드(LC)의 식별기간을 확장하므로써 이 가능성이 회피될 수 있지만, 이것은 롱코드(LC)를 식별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불편함을 야기한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될 코드를 고속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회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기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기지국에 장치된 제어채널의 신호 형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수신신호내의 각 코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동기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종래의 4상매치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동기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매치필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블록도이다.
도 7은 수신신호내의 각 코드의 구성과 각 코드에 대한 상관값의 검출타이밍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 8은 제 1실시예에서 그룹식별까지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제 1실시예에서 롱코드식별까지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 1실시에에 따른 쇼트코드상관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a 내지 11f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관값 산출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4상매치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a 내지 13i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관값산출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4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동기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관계수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반적인 PN복호화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PN복호화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복호화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 2실시예에 따른 그룹식별까지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롱코드식별까지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a 내지 21c는 그룹식별까지의 검출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신호발생부 2,3,6,16,20,21,43. 곱셈기
4,46,86,96. AND회로 5,32,36,55,65,71,85. 가산기
10,40,80. 동기검출장치 11,42,51,60,82. 매치필터
12,44,52. 쇼트코드발생기 13. 메모리
14. 최대상관검출회로 15,45. 롱코드발생기
17. 슬라이딩 상관기 18. 임계값결정회로
19. 판정부 22. 발진기
23. 이상기(移相器) 24. 로패스필터
25,27.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28~31,61,62. 상관기
33,67. 차분기 34,35,69,70,81. 제곱회로
41,53,64,81. 제어기 42A,101. 시프트레지스터
42B. 계수곱셈회로 42C. 합성회로
47,87. 비교기 48,88,89. 타이머
50. 쇼트코드상관검출장치 54,66,68,84,94. 래치회로
63,83. 상관계수발생기 90,91,100,103. PN복호화기
93. 스위치 95. 데이터복호화기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제 1코드와 이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알려진 제 2코드와 제 1코드의 그룹을 특정하는 제 3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을 검출하는 동기검출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이 동기검출장치는, 제 1, 제 2 또는 제 3코드에 대응하는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를 수신하고 공급된 데이터시프트클럭에 의거하여 수신신호를 포착할 뿐만아니라 제 1, 제 2또는 제 3복제코드와 수신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매치필터수단과,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매치필터수단에 공급하는 상관계수발생수단과, 원하는 타이밍에 데이터시프트클럭의 공급을 정지하고 매치필터수단으로 하여금 수신신호를 보존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상관계수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복제코드를 원하는 타이밍에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로 전환하고, 그 때의 상관값을 검출하고 이에의해 제 2코드, 제 3코드 및 제 1코드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을 검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매치필터수단에 공급되는 데이터시프트클럭은 원하는 시간에 정지되어 수신신호가 보존되고, 상관계수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복제코드는 원하는 타이밍에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로 전환되어 그 때의 상관값을 검출한다. 이에의해, 제 2, 제 3 및 제 1코드가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이 검출된다. 따라서, 매치필터수단은 수신신호를 보존하면서 고속으로 상관검출을 행할 수 있고 각 상관검출은 대략 동일한 타이밍에 행해질 수 있고, 이에의해 수신신호에 포함된 제 1코드가 종래의 장치에 비해 고속으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 원리 및 용도는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나 문자로 표시된 첨부도면과 함께 읽는다면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할 것이다.
도 5에서, (40)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동기검출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제어기(41)로 각 회로블록을 제어하므로써, 수신신호(S10)내에 포함된 롱코드(LC)를 고속으로 식별한다. 이 경우에, 롱코드(LC), 공통쇼트코드(CSC) 및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타이밍에 수신신호(S10)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치필터(42)는 공통쇼트코드(CSC)의 칩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단의 시프트레지스터(42A)와, 시프트레지스터(42A)의 단수와 동일한 개수의 곱셈기를 갖는 계수곱셈기(42B)와, 계수곱셈기(42B)의 곱셈기로부터 송신되는 곱셈결과를 합성하는 합성회로(42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서 수신신호(S10)의 비트열이 시프트레지스터(42A)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또한 시프트레지스터(42A)는 제어기(41)로부터 동작클럭(DCLK)을 수신하고 이 동작클럭(DCLK)에 의거하여 수신신호(S10)의 비트를 순차이동한다.
또한, 매치필터(42)에는 곱셈기(43)를 통해 계수 곱셈기(42B)의 각 곱셈기에 하나씩 공급되는 각 비트의 복제코드(DR)가 입력되고, 이 각 비트의 복제코드(DR)를 시프트레지스터(42A)의 각 레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각 비트와 계수곱셈기(42B)로 곱한다. 따라서, 매치필터(42)에서는, 계수곱셈기(42B)의 각 곱셈기로부터 송신된 곱셈결과를 합성회로(42C)로 합성하므로써, 상관값(S30)이 얻어지고, 이 결과의 상관값(S30)이 송신되는 것이다.
쇼트코드발생기(44)는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SCS) 또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는 회로이고, 제어기(4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S31)에 의거하여 복제코드(DCSC또는 DGISC) 중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 복제코드(DCSC또는 DGISC)는 복제코드(DR)로서 곱셈기(43)를 통해 매치필터(42)에 공급되어 상관검출된다.
반면, 롱코드발생기(45)는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키는 회로이고, 여기에서는 제어기(41)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S32)에 의거하여 복제코드(DLC)가 발생되어 AND회로(46)에 출력된다. 마스크제어신호(SMSK)는 AND회로(46)의 입력단자의 다른 단에 공급되고, 따라서 마스크제어신호(SMSK)의 레벨이 "H"일 때만, 복제코드(DLC)가 AND회로(46)로부터 출력된다. 복제코드(DLC)가 AND회로(46)로부터 출력되는 경우에, 복제코드(DLC)는 곱셈기(43)에 입력되고 복제코드(DCSC또는 DGISC)와 곱해진 후에, 검출될 복제코드(DR)로서 매치필터(42)에 입력된다.
제어기(41)로부터 임계값데이터(DTH)를 수신한 비교기(47)는 이 임계값(DTH)과 매치필터(42)로부터 송신된 상관값(S30)의 값을 비교한다. 이 결과, 만약 상관값(S30)이 임계값데이터(DTH)의 값을 초과하면, 비교기(47)는 검출데이터(SDET)를 제어기(41)에 출력한다. 제어기(41)는 내부에 기억된 임계값(VTH1~VTH3)과 상관값(S30)에 의해 결정된 임계값(VTH4) 중에서 원하는 임계값을 임계값데이터(DTH)로서 비교기(47)에 출력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이머(48)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식별한 후에 공통쇼트코드(CSC)의 1주기 길이만의 수신신호(S10)를 입력하는 시각을 카운트하는 장치이고, 타이머(48)가 제어기(41)로부터 카운트시작명령(S34)을 수신하면,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고, 그 후에 길이(T1)만큼 시각을 카운트한다. 타이머(48)가 길이(T1)의 시각까지 카운트하면, 카운트 종료정보(S35)를 제어기(41)에 출력한다. 수신신호(S10)를 부분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카운트 동작을 행하는 타이머(48)를 사용하는 이유는 롱코드(LC)가 부분상관에 의해 동정되고 동정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때문이다.
이제, 이 동기검출장치(40)에서,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롱코드(LC)를 동정하는 처리순서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될 것이다. 도 8은 공통쇼트코드(CSC)에 의한 롱코드(LC)의 타이밍 검출에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식별까지의 처리를 나타내고, 도 9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 의한 그룹식별로부터 공통쇼트코드(CSC)의 식별까지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롱코드(LC)의 그룹을 식별하는 경우에, 제어기(41)는 스텝(SP1) 다음의 스텝(SP2)에서 제어신호(S31)를 출력하므로써 쇼트코드발생기(44)가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그 다음 스텝(SP3)에서, 제어기(41)는 공통쇼트코드(CSC)를 검출하는 제 1임계값(VTH1)을 비교기(47)에 설정한다.
그리고나서, 다음 스텝(SP4)에서, 제어기(41)는 동작클럭(DCLK)을 매치필터(42)에 공급하므로써, 매치필터(42)의 홀드상태를 해제하여 매치필터(42)가 상관값산출동작을 하도록 한다. 다음 스텝(SP5)에서, 제어기(41)는 매치필터(42)로부터 송신된 상관값(S3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는지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비교기(47)는 상관값(S30)을 제 1임계값(VTH1)과 비교하고, 만약 상관값(S3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면, 검출데이터(SDET)를 출력하여, 제어기(41)는 이 검출데이터(SDET)가 얻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이 판정을 행한다.
이 스텝(SP5)에서의 판정의 결과로서, 만약 상관값(S3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면, 제어기(41)는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되었다는 가정하에 그 다음 스텝(SP6)으로 진행한다. 스텝(SP6)에서, 제어기(41)는 매치필터(42)에 공급되는 동작 클럭(DCLK)을 정지하므로써 매치필터(42)의 시프트레지스터(42A)의 비트 시프트 동작을 정지한다. 이 구성으로, 제어기(41)는 공통쇼트코드(CSC)가 시프트레지스터(42A)에서 검출될 때의 수신신호(S10)를 보존한다.
다음 스텝(SP7)에서, 제어기(41)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검출하는 제 2임계값(VTH2)을 비교기(47)에 설정한다. 그리고나서 다음 스텝(SP8)에서, 제어기(41)는 제어신호(S31)를 출력하므로써 쇼트코드발생기(44)가 복수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 중에서 복제코드(DCSC)의 제 1후보를 발생시키도록한다. 그리고나서 매치필터(42)는 현재 시프트레지스터(42A)에 보존된 수신신호(S10)와 복제코드(DGISC) 사이의 상관값을 산출한다.
다음 스텝(SP9)에서, 제어기(41)는, 스텝(SP5)의 판정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매치필터(42)로부터 공급된 상관값(S3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만약 상관값(S3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기(41)는 스텝(SP10)으로 이동하여 쇼트코드발생기(44)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그 다음 후보인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다시 스텝(SP9)으로 복귀하여, 상관값(S30)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따라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후보들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관값(S30)을 판정한 결과, 만약 상관값(S3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면, 제어기(41)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스텝(SP11)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물론, 스텝(SP9)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복제코드(DGISC)는 수신신호(S10)에 존재하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된다. 또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검출될 수 있다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롱코드(LC)에 대해 삽입되는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것은 롱코드(LC)의 타이밍이 식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될 수 있으므로, 이것은 수신신호(S10)에서 롱코드(LC)의 유형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나타내는 그룹에 특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d 및 도 7e는 쇼트코드의 검출타이밍을 나타낸다. 마스크 구간까지 존재하는 공통쇼트코드(CSC)가 매치필터(42)의 시프트레지스터(42A)에 포착될 때 복제코드(DCSC)의 상관값(S30)은 커지고, 그 타이밍에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는 상관값(S30)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되는 수신신호(S10)가 매치필터(42)에 보존되고 매치필터(42)의 계수곱셈회로(42B)에 주어질 복제코드(DGISC)는 고속으로 후보의 순으로 이동되므로, 복제코드(DGISC)의 상관값(S30)은 공통쇼트코드(CSC)에 대해 상관값(S30)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에 검출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롱코드(LC)의 식별 까지의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이 도 9에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도 8에 도시된 처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할 때 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사용하여 롱코드(LC)가 식별될 것이다. 이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텝(SP20) 다음의 스텝(SP21)에서, 제어기(41)는 제어신호(S31)를 출력하여, 쇼트코드발생기(44)가 먼저 검출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다음 스텝(SP22)에서, 제어기(41)는 그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검출하는 제 3임계값(VTH3)을 비교기(47)에 설정한다.
다음 스텝(SP23)에서, 제어기(41)는 매치필터(42)에 동작 클럭(DCLK)을 공급하므로써 매치필터(42)의 홀드상태를 해제하고 매치필터(42)가 상관값 산출동작을 시작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다음 스텝(SP24)에서, 제어기(41)는 매치필터(42)로부터 송신된 상관값(S30)이 비교기(47)로부터 공급된 검출데이터(DDET)에 의거하여 제 3임계값(VTH3)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로서, 상관값(S30)이 제 3임계값(VTH3)을 초과하면, 제어기(41)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검출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다음 스텝(SP25)으로 진행한다. 스텝(SP25)에서, 제어기(41)는 카운트시작명령(S34)을 출력하고 타이머(48)가 시각(T1)까지 카운트하도록 한다. 이 시각(T1)은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에 대해 부분상관을 취하는데 필요한 수신신호(S10)를 수신하는 시각을 나타낸다.
다음 스텝(SP26)에서, 제어기(41)는 카운트정지정보(S35)에 의거하여 시각(T1)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만약 경과하였다면, 다음 스텝(SP27)으로 진행한다. 스텝(SP27)에서, 제어기(41)는 매치필터(42)로의 동작클럭(DCLK)의 공급을 정지하므로써 매치필터(42)의 시프트레지스터(42A)의 비트이동동작을 정지하여, 시프트레지스터(42A)에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한다.
다음 스텝(SP28)에서, 제어기(41)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검출되었을 때의 상관값(S30)에 의거하여 롱코드(LC)를 검출하는 제 4임계값(VTH4)을 산출하고 이 제 4임계값(VTH4)을 비교기(47)에 설정한다. 다음 스텝(SP29)에서, 제어기(41)는 쇼트코드발생기(44)에 제어신호(S31)를 출력하여, 쇼트코드발생기(44)가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다음 스텝(SP30)에서, 제어기(41)는, 롱코드발생기(45)에 제어신호(S32)를 출력하므로써, 롱코드발생기(45)가 롱코드(LC)의 제 1후보인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다음 스텝(SP31)에서, 제어기(41)는, 마스크제어신호(SMSK)를 레벨 "H"로 전환하므로써, 롱코드발생기(45)에서 발생된 복제코드(DLC)를 곱셈기(43)에 출력한다. 그리고나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와 곱하므로써 구해진 복제코드(DR)를 매치필터(42)에 공급한다. 따라서, 매치필터(42)는 이 복제코드(DR)와 시프트레지스터(42A)내에 현재 존재하는 수신신호(S10) 사이의 상관값을 산출한다.
다음 스텝(SP32)에서, 제어기(41)는 비교기(47)로부터의 검출데이터(SDET)에 의거하여, 매치필터(42)로부터 송신된 상관값(S30)이 제 4임계값(VTH4)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결과, 상관값(S30)이 제 4임계값(VTH4)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기(41)는 스텝(SP23)으로 진행하고 롱코드발생기(45)가 롱코드(LC)의 다음 후보인,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키도록하고, 스텝(SP32)으로 복귀하여, 상관값(S30)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순차적으로 롱코드(LC)의 후보를 발생시키고 상관값(S30)을 판정한 결과, 상관값(S30)이 제 4임계값(VTH4)을 초과하면, 제어기(41)는 스텝(SP34)으로 이동하여 롱코드(LC)가 식별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 물론, 스텝(SP32)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복제코드(DLC)는 수신신호(S10)에 존재하는 롱코드(LC)가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처리 직후에 롱코드(LC)를 식별하는 경우에, 도 9의 스텝(SP24)까지의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e 및 7f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상관검출타이밍과 롱코드(LC)의 상관검출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더 구체적으로, 복제코드(DGISC)의 상관값(S30)이 검출된 후에, 시각(T1)의 수신신호(S10)가 수신되고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와 이 수신신호(S10)의 상관값(S30)이 산출되어, 롱코드(LC)의 상관검출타이밍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상관이 검출된 후에 경과된 대략 시각(T1)의 시각이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 제 1실시예에서, 먼저 롱코드(LC)의 타이밍은,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SCS) 사용시에 수신신호(S10)에 존재하는 마스크구간까지의 공통쇼트코드(CSC)를 검출하므로써 검출된다. 그리고나서, 공통쇼트코드(CSC)가 매치필터(42)에서 검출되었을 때의 수신신호(S10)를 보존하면서, 수신신호(S10)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 사이의 상관을 순차검출하므로써, 수신신호(S10)내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된다.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검출될 수 있을 때, 그룹식별쇼트코드(GISC) 다음의 수신신호(S10)가 수신되고 수신신호(S10)가 매치필터(42)에 보존되고, 수신신호(S10)와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사이의 상관값을 순차검출하므로써 수신신호(S10)내의 롱코드(LC)가 식별된다.
이 경우에, 공통쇼트코드(CSC)의 검출로부터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식별까지의 처리동안,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될 때의 수신신호(S10)는 매치필터(42)에 보존되고 상관검출이 수신신호(S10)에 행해져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되므로, 공통쇼트코드(CSC)의 타이밍에 수신신호를 포착하고 공통쇼트코드(CSC)를 일단 철처하게 검출한 후에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식별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처리간의 시간간격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식별하기까지의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에, 이 수신신호(S10)를 보존하므로써, 검출처리는 동일한 수신신호(S10)에 행해져서, 종래의 경우와 달리 전송경로의 상태변화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또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식별에서 롱코드(LC)의 식별까지의 처리동안, 시산(T1)길이에 대한 수신신호(S10)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된 때의 수신신호(S10)에 의거하여 포착되고, 롱코드(LC)는 이 수신신호(S10)에 대해, 복제코드(DLC)에 의해 부분상관을 검출하므로써 식별될 것이므로, 롱코드(LC)를 식별하기까지의 처리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고속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매치필터(42)에 데이터가 보존되고 그 데이터에 대해 복제코드(DCSC, DGISC, DLC)를 전환하므로써, 상관검출이 각 코드를 식별하는데 행해지므로, 롱코드(LC)의 식별까지의 처리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고속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10에서, (50)은 공통쇼트코드(CSC)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쇼트코드들간의 상관값들을 가산하므로써 롱코드(LC)의 타이밍을 구하는 쇼트코드상관검출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매치필터(51)에는, 상관검출될 수신신호(S10)가 입력되고, 매치필터(5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시프트클럭(DCLK1)에 의거하여 이 수신신호(S10)를 내부 시프트레지스터내에 순차 수신한다. 그리고나서, 매치필터(51)는 이 수신신호(S10)와 쇼트코드발생기(52)로부터 번갈아 공급되는 공통쇼트코드(CSC) 및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각 복제코드(DCSC, DGISC) 사이의 상관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여 래치회로(54)와 가산기(55)에 출력한다.
래치회로(54)는 제어기(5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래치클럭(DCLK3)에 의거하여 매치필터(51)로부터 송신되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에 대한 상관값을 래치하고, 이것을 상관값(S41)으로서 가산기(55)에 출력한다. 가산기(55)는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에 대한 상관값(S40)과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에 대한 상관값(S41)을 가산하므로써 합성 상관값(S42)을 산출하고, 이를 검출 상관값으로서 출력한다.
쇼트코드발생기(52)는 제어기(5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S43)에 의거하여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번갈아 발생시키고 이를 매치필터(51)에 출력한다.
이제, 쇼트코드상관검출장치(50)에서의 상관검출동작을 도 11a 내지 11f에 도시된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쇼트코드상관검출장치(50)에서, 각 비트의 입력 수신신호(S10)의 타이밍에 대해 대략 중간타이밍에서 상승하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이 공급되고, 수신신호(S10)의 비트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상승하는 가장자리에서 내부 시프트레지스터로 수신된다.
또한, 쇼트상관검출장치(50)에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은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레벨이 "L"인 구간까지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고,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이 "H"인 구간까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복제코드(DCSC또는 DGISC)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1주기내에서 번갈아가며 발생된다.
매치필터(51)는, 상기 타이밍에서 발생된 각 복제코드(DCSC및 DGISC)와 시프트레지스터에 입력된 수신신호(S10) 사이의 상관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므로써, 도 11d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제코드(DCSC및 DGISC)에 대한 상관값(S40)을 번갈아가며 발생시킨다.
도 11e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기(53)는 복제코드(DGISC)에 대한 상관값(S40)을 발생시키는 타이밍에 그 레벨이 "H"가 되는 데이터래치클럭(DCLK2)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래치회로(54)는 이 데이터래치클럭(DCLK2)에 의거하여 상관값(S40)을 래치하므로써 복제코드(DGISC)에 대한 상관값(S40)을 보존하고, 이것을 상관값(S41)으로서 송신한다.
그리고나서, 도 11f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산기(55)에서는, 복제코드(DCSC)에 대한 이 상관값(S40)을 출력하는 타이밍에 이 상관값(S41)을 상관값(S40)에 가산하므로서, 복제코드(DGISC)에 대한 상관값과 복제코드(DCSC)에 대한 상관값이 합성되는 합성 상관값(S42)이 구해질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제 1실시예의 경우처럼 이 합성 상관값(S42)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롱코드(LC)의 타이밍이 검출되면, 롱코드(LC)의 타이밍이 공통쇼트코드(CSC)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 모두를 고려하여 검출될 수 있고, 따라서 롱코드(LC)의 타이밍이 매우 정밀하게 검출될 수 있다.
복제코드(DCSC)에 대한 상관값(S40)과 복제코드(DGISC)에 대한 상관값(S41)은 가산기(55)에서 합성됨을 유의한다. 그런데, 합성 상관값(S42) 뿐만아니라 합성 상관값(S42)에서의 복제코드(DGISC, DGSC) 사이의 상관값비도 산출될 수 있고, 이 상관값비는 송신되는 수 있다. 이 구성으로, 상관값비에 의거하여 각 상관값를 고려하는 타이밍검출이 행해질 수 있고, 따라서 롱코드(LC)의 타이밍은 고정밀도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처럼 공통쇼트코드(CSC)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이미 알려져 있으면, 원하는 국으로부터의 신호는 단지 상관값비를 사용하는 판정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이에의해 상승하는 시간이 가속화되고 파워가 더 효율적으로 세이브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매치필터(51)의 데이터 시프트 타이밍 동안에 복수의 복제코드(DGISC, DGISC)를 전환하므로써, 거의 동시에 복수의 복제코드의 상관값이 산출되고 합성 상관값(S42)이 산출되어, 이 합성 상관값(S42)을 사용하는 롱코드(LC)의 타이밍 검출이 행해진다면, 타이밍검출이 매우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신신호(S10)는 4상위상(QPSK)변조되므로, 도 5와 10에 도시된 매치필터는 실제로 4상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4상구성을 갖는 매치필터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의 대응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시된 도 12에서, (60)은 본 발명에 의한 4상구성을 갖는 매치필터(51)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수신신호(S10)에서 분리된 동상성분(SI)과 직교성분(SQ)을 디지털변환하여 얻어진 동상데이터(UI)와 직교 데이터(UQ)는 각각 상관기(61, 62)에 입력될 것이다.
상관기(61, 62)는 각 신호성분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매치필터이다. 그리고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은 이 상관기(61, 62)에 입력되고, 상관기(61, 62)는 이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에 의거하여 그 내부 시프트레지스터에 동상데이터(UI)와 직교 데이터(UQ)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상관계수발생기(63)는 제어신호(S50)에 의거하여 상관검출에 대한 복제코드를 발생시키는 회로이고, 여기에서 복제코드 중에서 동상성분복제코드(UIR)와 직교성분복제코드(UQR)가 번갈아 발생되어 상관계수로서 상관기(61, 62)에 각각 출력된다.
상관기(61)는 상관계수로서 번갈아 공급되는 각 복제코드(UIR, UQR)와 동상데이터(UI) 사이의 상관값(UII(= UI* UIR))와 (UIQ(= UI* UQR))을 검출하여, 가산기(65)와 래치회로(66)에 상관값(S51)으로서 출력한다. 래치회로(66)는 제어기(53)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래치클럭(DCLK2)에 의거하여 상관값(S51) 중에서 상관값(UIQ)을 래치홀드하여 상관값(S52)으로서 차분기(67)에 출력한다.
반면, 상관기(62)는 상관계수로서 번갈아 공급되는 각 복제코드(UIR, UQR)와 직교 데이터(UQ) 사이의 상관값(UQI(= UQ* UIR))과 (UQQ(= UQ* UQR))을 번갈아 검출하고, 이를 상관값(S53)으로서 차분기(67)와 래치회로(68)에 출력한다. 래치회로(68)는 제어기(6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래치클럭(DCLK2)에 의거하여 상관값(S53) 중에서 상관값(UQQ)을 래치홀드하여 이것을 상관값(S54)으로서 가산기(65)에 전송한다.
가산기(65)는 상관값(S51) 중의 상관값(UII)과 상관값(S54)으로서 공급된 상관값(UQQ)을 가산하고 이 결과의 상관값(VI(= U11+ UQQ))을 제곱회로(69)에 전송한다. 차분기(67)는 상관값(S53) 중의 상관값(UQI)과 상관값(S52)으로서 공급되는 상관값(UIQ) 사이의 차이를 산출하고 이 결과의 상관값(VQ(= UQI- UIQ))을 제곱회로(70)에 출력한다.
이와같이 구해진 상관값(VI, VQ)은 제곱회로(69, 70)로 각각 제곱되고, 이 제곱된 결과(VI 2, VQ 2)를 가산기(71)로 가산하므로써 수신신호(S10)와 상관검출되는 복제코드 사이의 상관값(S55)이 구해질 수 있다.
이제, 4상구성 매치필터(60)에서의 상관검출동작을 도 13a 내지 13i에 도시된 타이밍차트를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매치필터(60)에서, 각 비트의 입력 동상데이터(UI)와 직교 데이터(UQ)의 타이밍에 대해 대략 중간 타이밍에서 상승하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이 상관기(61, 62)에 공급된다. 상관기(61, 62)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상승하는 가장자리에서 내부 시프트레지스터로 동상데이터(UI)와 직교데이터(UQ)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관계수발생기(63)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레벨이 "L"인 구간까지 동상성분의 복제코드(UIR)를 발생시키고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레벨이 "H"인 구간까지 직교성분의 복제코드(UQR)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동상성분과 직교성분의 복제코드(UIR, UQR)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매 1주기마다 번갈아 발생된다.
상관기(61)는, 상기 타이밍에 발생된 각 복제코드(UIR, UQR)와 시프트레지스터에 수신된 동상데이터(UI) 사이의 상관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므로써, 도 13d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제코드(UIR, UQR)에 대한 상관값(UII, UIQ)을 번갈아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관기(62)는, 상기 타이밍에 발생된 각 복제코드(UIR, UQR)와 시프트레지스터에 수신된 직교데이터(UQ) 사이의 상관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므로써, 도 13e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제코드(UIR, UQR)에 대한 상관값(UQI, UQQ)을 번갈아 발생시킨다.
도 13f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기(64)는 그 레벨이 "H"인 데이터래치클럭(DCLK2)을 복제코드(UQR)에 대한 상관값(UIQ, UQQ)을 발생시키는 타이밍에 발생시킨다. 따라서, 래치회로(66)는 이 데이터래치클럭(DCLK2)에 의거하여 상관값(UIQ)을 보존하고 이를 차분기(67)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래치클럭(DCLK2)에 의거하여 상관값(UQQ)을 보존하고 이를 가산기(65)에 출력한다.
도 13g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산기(65)는 상관기(61)로부터 상관값(UII)을 전송하는 타이밍에 상관값(UQQ)을 상관값(UII)에 가산하므로써 상관값(VI(= UII+ UQQ))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차분기(67)는 상관기(62)로부터 상관값(UQI)을 전송하는 타이밍에 상관값(UQI)으로부터 상관값(UIQ)를 감산하므로써 상관값(VQ(= UQI- UIQ))을 산출한다.
상기 구성으로, 제곱회로(69, 70)에서 상관값(VI, VQ)을 각각 제곱한 후, 이 제곱된 결과(VI2, VQ2)를 가산하므로써, 상관검출될 복제코드에 대응하는 상관값(S55)이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매치필터(60)의 경우에, 상관계수(UIR, UQR)는 동상데이터(UI)와 직교 데이터(UQ)의 데이터시프트 타이밍 사이에 번갈아 발생되고 이 상관계수(UIR, UQQ)를 사용하여 상관값(UII, UIQ및 UQI, UQQ)이 상관기(61, 62)에서 번갈아 발생된다. 따라서, 4개의 상관값(UII, UIQ, UQI및 UQQ)이 종래의 장치처럼 별개의 4개의 상관기를 장치하지 않고 발생될 수 있고, 이에의해 4상매치필터의 회로구성이 종래의 장치에 비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동기검출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도 14에서, (8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동기검출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롱코드(LC)는 제곱회로(81)로 각 회로를 제어하므로써 고속으로 식별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또한, 수신신호(S10)는 매치필터(82)에 입력되고, 매치필터(82)는 제어기(8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에 의거하여 그 수신신호(S10)를 내부 시프트레지스터에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그리고나서, 매치필터(82)는 수신된 각 비트의 수신신호(S10)와 상관계수발생기(83)에서 발생된 상관검출될 복제코드(DR) 사이의 상관값(S60)을 순차적으로 산출하고, 이를 제어기(81), 래치회로(84) 및 가산기(85)에 전송한다.
상관계수발생기(83)는 제어기(81)로부터의 제어신호(S61)에 의거하여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나,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가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와 곱해진 복제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관검출된 복제코드(DR)로서 매치필터(82)에 전송한다.
래치회로(84)는 제어기(8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래치클럭(DCLK2)에 의거하여 매치필터(82)로부터 전송될 상관값(S52) 중에서 원하는 상관값을 래치홀드하고, 이를 AND회로(86)와 제어기(81)에 상관값(S62)으로서 출력한다. 제어기(81)로부터의 제어신호(S63)는 AND회로(86)의 다른 입력단에 입력되고, 제어신호(S63)의 입력레벨이 "H"이면, AND회로(86)는 이 상관값(S62)을 가산기(85)에 출력한다.
가산기(85)는 매치필터(82)로부터 공급된 상관값(S60)과 AND회로(86)를 통해 공급된 상관값(S62)을 가산하고, 이 결과의 상관값(S64)을 비교기(87)와 제어기(81)에 출력한다. 만약 상관값(S62)이 AND회로(86)로부터 출력되면, 가산기(85)는 상관값(S60)을 상관값(S64)으로서 그대로 출력한다.
비교기(87)는 제어기(81)로부터 임계값 데이터(DTH)를 수신하고, 이 임계값 데이터(DTH)가 나타내는 임계값을 수신되는 상관값(S64)과 비교하고, 만약 상관값(S64)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비교기(87)는 검출데이터(SDET)를 제어기(81)에 출력한다.
제어기(81)로부터 카운트시작명령(S65)을 수신하는 제 1타이머(88)는 도 7에 도시된 롱코드(LC)의 마스크주기(TMK)의 시각까지 카운트하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카운트종료정보(S66)를 제어기(81)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기(81)로부터 카운트명령(S67)을 수신하는 제 2타이머(89)는 부분상관을 검출하는 수신신호(S10)를 수신하는 시각까지 카운트하고, 카운트가 종료하면, 카운트종료정보(S66)를 제어기(81)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동기검출장치(80)에 장치된 상관계수발생기(83)를 도 15를 참고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관계수발생기(83)는 대략 2개의 의사잡음코드(PN)복호화기(90, 91)로 구성되고, 복제코드(DR)는 제어신호(S61)(즉, DSC-INT, DLC-INT, DCLK3, SMSK)에 의거하여 이 2개의 PN복호화기(90, 91)를 작동하므로써 발생된다.
제 1PN복호화기(90)는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는 복호화기이고, 이것이 공통쇼트코드(CSC)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초기값(DSC-INT)을 수신할 때, 즉시 1주기의 대응 쇼트코드(CSC 또는 GISC)의 데이터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복제코드(DCSC또는 DGISC)로서 출력한다.
반면, 제 2PN복호화기(91)는 부분상관을 검출하는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키는 복호화기이고, 스위치(93)를 통해 제어기(81)로부터 공급되는 롱코드(LC)의 제 1초기값(DLC-INT)이나 스위치(93)를 통해 래치회로(94)로부터 공급되는 롱코드(LC)의 제 2초기값(DLC-INT')에 의거하여, 롱코드(LC) 중에서 1주기의 쇼트코드만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 롱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복호화기(94)가 스위치(93)를 통해 롱코드(LC)의 초기값(DLC-INT)을 수신하면, 이것은 그 다음 1주기의 쇼트코드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 롱코드를 발생시키는 초기값(D1)을 형성하고, 이것을 래치회로(94)에 출력한다. 래치회로(94)는 제어기(8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래치클럭(DCLK3)에 의거하여 이 초기값(D1)을 보존하고, 이것을 제 2초기값(DLC-INT')으로서 출력한다.
스위치(93)를 통해 제 2초기값(DLC-INT)을 수신할 때, 복호화기(94)는 그 다음 1주기의 쇼트코드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 롱코드를 발생시키는 초기값(D1)을 형성하여 전송함을 유의한다. 그리고 이 처리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므로써, 데이터 복호화기(94)는 초기값(D1)을 형성하여 원하는 위상을 갖는 부분 롱코드를 발생시킨다.
제 2PN복호화기(91)에서 발생된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는 AND회로(96)에 입력된다. AND회로(96)의 다른 입력단에는 제어기(81)로부터 송신되는 마스크 제어신호(SMSK)가 입력되고, AND회로(96)는 마스크 제어신호(SMSK)가 "H"일 때만 복제코드(DLC)를 송출한다.
배타적OR회로(97)는 제 1PN복호화기(90)로부터 전송된 복제코드(DCSC또는 DGISC)와 AND회로(96)를 통해 전송된 복제코드(DLC)의 배타적OR 연산을 행하고, 이 결과의 코드를 매치필터(82)에 복제코드(DR)로서 출력한다. 이것은 배타적OR 연산이므로, 복제코드(DLC)가 AND회로(96)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복제코드(DCSC또는 DGISC)는 그대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PN복호화기(90, 91)의 복제코드발생의 원리를 설명할 것이다. 그런데, 설명을 간단히하기 위해, PN복호화기에서 발생되는 코드를 PN95라고 하자. 도 16에서, (100)은 PN95를 발생시키는 전체적인 PN복호화기이고, 이것은 9단의 시프트레지스터(101)와 배타적OR 회로(102)로 구성된다. 이 PN복호화기(100)에서는, 레지스터(D4)의 출력과 레지스터(D0)의 출력이 배타적OR 회로(102)에 입력되고, 배타적OR 연산의 결과를 레지스터(D8)에 입력하므로써, PN코드가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I8) ~ (I0)를 (D8) ~ (D0)의 초기값인 것으로 가정하면, T=0에서의 출력(O0)는 (I0)가 되고, T=1일 때 시프트레지스터(101)의 값은 1만큼 우측으로 이동하여 출력(O1)은 (I1)이 된다. 또한, 이때에 (I4)와 (I0)의 배타적OR 연산의 결과가 레지스터(D8)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T=2일 때, 출력(O2)는 (I2)가 되어, (I1)와 (I5)의 배타적OR 연산의 결과가 레지스터(D8)에 입력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PN복호화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출력코드는 초기값(I0 ~I8)이나 소정시각의 출력값의 배타적OR 연산의 결과가 된다. 이를 고려하면, 시각(T = 0 내지 19)에서의 출력코드(O0) 내지 (019)는 초기값(I0) 내지 (I8)에 의거하여 배타적OR연산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즉시 출력코드(O0) 내지 (019)를 출력하는 PN복호화기(10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타적OR회로(EX1~EX11)를 사용하는 게이트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PN복호화기(103)에 장치된 버퍼(B1~B9)는 배타적OR회로(EX1~EX11)에서 동작시간을 흡수하기 위한 지연시간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제 1 및 제 2복호화기(90, 91)는 상기한 원리에 의거하여 배타적OR회로를 사용하는 게이트회로로 구성된다. 초기값(DSC-INT)이 제 1PN복호화기(90)에 주어질 때, 이 제 1PN복호화기(90)는 1주기의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즉시 발생시키고, 초기값(DLC-INT또는 DLC-INT')이 제 2PN복호화기(91)에 주어질 때, 이 제 2PN복호화기(91)는 쇼트코드의 1주기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 롱코드의 복제코드(DLC)를 즉시 형성한다.
고정길이의 복제코드(DCSC, CGISC또는 DLC)를 발생시키는 PN복호화기(90, 91)가 이 동기검출장치(80)에 장치되므로, 상관검출이 고속으로 행해져서 매치필터(82)에 대한 상관계수를 모두 동시에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계열적으로 코드를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PN복호화기(100)는 소정길이의 복제코드를 발생시키고 이에의해 상관을 검출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일으킨다.
복제코드(DLC)는 롱코드(LC)의 부분코드이다. 롱코드(LC)와의 상관을 검출하기 위해, 원하는 위상의 롱코드(LC)를 갖는 부분코드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PN복호화기의 코드발생의 원리를 고려하면, 출력코드는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소정 시간에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이 산출되고 이것이 제 2PN복호화기(91)에 입력된다면, 원하는 위상의 부분코드가 회로구조의 변화없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상술된 데이터복호화기(95)는 소정 시간에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복호화기(95)의 데이터 산출 원리를 설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시각(T=X)에서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은 시프트레지스터의 초기값과 시프트레지스터의 시프트의 양에 따른 매트릭스와의 배타적 OR연산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생되는 코드가 PN 95가 되도록 취해진다면, T=9에서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I8'∼ I0')은 아래의 수학식 1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 변환 매트릭스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나타낸 A로서 취해진다면, 이것은 시간("9")이 기준시간으로부터 경과될 경우에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을 구하기 위한 매트릭스이다.
따라서, 다음의 수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18)에서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I8"∼ I0")을 구하는 경우에, 이 값들은 T=9에서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I8'∼ I0')을 초기값으로하는 변환 매트릭스(A)를 사용하여 산출하므로써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복호화기로서, 이 변환 매트릭스에 따른 배타적 OR연산만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9")이 경과할 경우에, 시프트레지스터에서의 값을 얻기 위한 데이터 복호화기(105)는 배타적 OR회로(EX20∼ EX26)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데이터 복호화기(95)는 상기 원칙을 기초로 한 배타적 OR회로로만 형성되고, 소정 시간의 초기값(DLC-INT또는 DLC-INT')을 입력으로 하여 배타적 OR연산을 처리함으로써, 다음 위상의 롱코드(LC)의 부분코드를 발생시키는 초기값(DLC-INT')을 발생시킨다. 이 동기화 검출장치(80)에서, 이와같은 데이터복호화기(95)를 장치하므로써, 원하는 위상의 부분코드는 데이터 복호화기(95)에 의한 소망의 위상을 갖는 초기값(DLC-INT')을 산출함으로써 PN복호화기(91)의 회로구성의 변화없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동기화 검출회로(80)에서 동작순서는 도 19 및 2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9는 공통쇼트코드(common short code: CSC)에 의한 롱코드(LC)(long code: LC)의 타이밍검출로부터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식별까지의 처리를 나타내고, 도 20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 의한 그룹식별로부터 롱코드(LC)의 식별까지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롱코드(LC)의 그룹을 식별하는 경우에 시작 스텝(SP40) 다음의 스텝(SP41)에서, 상관 계수발생기(83)의 제 1 PN복호화기(90)에 제어신호(S61)로서 공통쇼트코드(CSC)의 초기값(DSC-INT)을 공급하는 제어기(81)는 상관계수발생기(83)가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replica code)(DC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SP42)에서, 제어기(81)는 임계값데이터(DTH)로서 공통쇼트코드(CSC)를 검출하기 위한 제 1임계전압값(VTH1)을 비교기(87)에 주어, 제 1임계전압값(VTH1)을 비교기(87)에 설정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SP43)에서는 제어기(81)가 매치필터(82)에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을 공급함으로써 매치필터(82)의 홀드상태를 해제하여 순차적으로 수신신호(S10)를 수신한다. 따라서, 매치필터(82)는 수신신호(S10)와 복제코드(DCSC) 사이의 상관값산출을 개시한다.
다음의 스텝(SP44)에서, 제어기(81)는 매치필터(82)로부터 출력된 상관값(S6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더 상세히 하면, 비교기(87)는 가산기(85)를 통하여 공급된 상관값(S64)과 제 1임계값(VTH1)을 비교하여, 상관값(S64)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할 경우에, 검출데이터(SDEFT)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어기(81)는 이 검출데이터(SDEF)가 얻어지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 판단을 행한다.
이 스텝(SP44)에서 이 판단결과로서, 매치필터(82)로부터 공급된 상관값(S6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할 경우에, 제어기(81)는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 스텝(SP45)으로 이동한다. 스텝(SP45)에서, 제어기(81)는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관값(S60)을 수신하고, 이 상관값(S60)을 제 2임계값(VTH2)으로서 비교기(87)에 설정한다.
다음 스텝(SP46)에서, 제어기(81)는 제 1타이머(88)에 카운트시작명령(S65)을 출력함으로써 제 1타이머(88)가 롱코드(LC)의 마스크주기(mask cycle)(TMK)를 카운트하도록 한다. 다음 스텝(SP47)에서, 제어기(81)는 제 1타이머(88)로부터 카운트종료정보(S66)가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마스크주기(TMK)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마스크주기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48)으로 이동하고, 마스크주기가 경과한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49)으로 진행한다.
스텝(SP48)에서, 제어기(81)는 매치필터(82)에 의해 출력된 상관값(S6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상관값(S6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45)으로 되돌아가서 제 2임계값(VTH2)으로서 상관값(S60)을 재설정하고,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상관값(S6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47)으로 되돌아가서 타이머 종료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더 상세히 하면, 스텝(SP45)∼ 스텝(SP48)의 처리에서, 최초에 검출된 상관값이 마스크주기(TMK)에서 가장 큰 상관값인지의 여부가 검출되고, 최대의 상관값이면, 스텝(SP49)으로 진행하고, 또다른 큰 상관값이 존재하면 마스크주기(TMK)내에 최대 상관값이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상기 순서로, 마스크주기(TMK)내에 최대 상관값이 검출될 경우에, 제어기(81)는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스텝(SP49)으로 이동한다. 스텝(SP49)에서, 제어기(81)는 매치필터(82)에 공급하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K1)을 정지함으로써, 매치필터(82)내의 시프트레지스터의 비트 시프트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공통쇼트코드(CSC)가 시프트레지스터에서 검출되는 때의 수신신호(S10)를 유지한다.
다음 스텝(SP50)에서, 제어기(81)는 최후에 비교기(87)에 설정한 제 2임계값(VTH2)의 값을 소정의 수로 곱하므로써, 이것을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검출하기 위한 제 3임계값(VTH3)으로서 새롭게 비교기(87)에 설정한다. 다음 스텝(SP51)에서, 제어기(81)는 제 1후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값(DSC-INT)을 상관계수발생기(83)의 제 1PN복호화기(90)에 공급함으로써, 상관계수발생기(83)가 제 1후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매치필터(82)는 시프트레지스터내에 보존되어 있는 수신신호(S10)와 복제코드(DGISC) 사이의 상관값 산출을 시작한다.
다음 스텝(SP52)에서, 제어기(81)는 비교기(87)로부터의 검출데이터(SDET)에 의거하여, 매치필터(82)로부터 출력된 상관값(S60)이 제 3의 임계값(VTH3)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상관값(S60)이 제 3의 임계값(VTH3)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53)으로 진행하고,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다음 후보의 복제코드(DGISC)를 상관계수발생기(83)에서 발생시키고, 다시 스텝(SP52)에 돌아가 상관값(S60)의 판정을 행한다.
따라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후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상관값(S60)을 판정한 결과로서, 상관값(S60)이 제 3의 임계값(VTH3)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54)으로 이동하고,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 물론, 스텝(SP52)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는 복제코드(DGISC)는 수신신호(S10)에 존재하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된다. 또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될 수 있으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롱코드(LC)내에 삽입되어 있는 위치가 알려지고, 이것은 롱코드(LC)의 타이밍이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는 식별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은 수신신호내에 존재하는 롱코드(LC)의 그룹을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 의해 나타내어진 그룹에 특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도 19의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그룹식별까지 타이밍챠트의 예를 도 21a ∼ 21c에서 나타낼 것이다. 먼저, 시각(t1)에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킬 뿐만아니라, 매치필터(82)에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을 공급하고, 매치필터(82)는 수신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복제코드(DCSC)와의 상관값(S60)을 산출한다. 결과적으로, 시각(t2)에서, 매치필터(82)로부터의 상관값(S6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면, 그 시각의 상관값(S60)을 제 2임계값(VTH2)으로서 설정하는 동시에 제 1타이머(88)을 기동하여 다시 매치필터(82)로부터 공급된 상관값(S60)을 제 2임계값(VTH2)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도 21a ∼ 21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관값(S60)이 제 1타이머(88)가 종료하기 전에 시각(t3)에서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면, 상관값(S60)의 값을 다시 제 2임계값(VTH2)으로써 설정하는 동시에, 제 1타이머(88)를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제 1타이머(88)가 종료하기 전에,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하는 상관값(S60)이 없을 경우에, 데이터시프트클럭(DCLK)은 매치필터(82)가 수신신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각(t4)에서 종료되는 동시에, 소정의 수로 곱해진 시각(t3)에서 검출된 상관값(S60)의 값이 제 3임계값(VTH3)으로서 재설정된다. 더욱이,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제 1후보 복제코드(DGISC)가 상관계수발생기(83)로부터 발생된다.
이 상태하에서, 매치필터(82)로부터 출력된 상관값(S60)의 값을 제 3임계값(VTH3)과 비교하여, 상관값(S60)이 제 3임계값(VTH3)을 초과하면, 다음의 후보 복제코드(DGISC)가 발생되어 또한 상관값(S60)이 판정된다. 결과적으로, 시각(t5)에 있어 상관값(S60)이 제 3임계값(VTH3)을 초과하면, 그 때의 복제코드(DGISC)를 수신신호(S10)내의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로서 판정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이 동기검출장치(80)에서는, 상술된 과정에 따라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식별된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롱코드(LC) 식별까지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처리에 따라서 과거에 그룹식별쇼트코드(GISC)가 검출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간헐적인 수신시에 그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사용하여 롱코드(LC)가 식별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작 스텝(SP60) 다음의 스텝(SP61)에서, 제어기(81)는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값(DSC-INT)과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값(DSC-INT)을 상관계수발생기(83)의 제 1 PN복호화기(90)에 교대로 할당함으로써, 상관계수발생기(83)에 복제코드(DCSC)와 복제코드(DGISC)를 번갈아 발생시킨다.
다음 스텝(SP62)에서, 제어기(81)는 공통쇼트코드(CSC) 및 그룹식별쇼트코드(GISC) 모두를 검출하기 위한 제 4임계값(VTH4)을 비교기(87)에 설정한다. 다음 스텝(SP63)에서, 제어기(81)는 매치필터(82)에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을 할당함으로써, 매치필터(82)의 홀드상태를 해재하고, 매치필터(82)가 상관산출동작을 시작하도록 한다. 따라서, 매치필터(82)는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1주기내에 번갈아 공급되는 복제코드(DCSC및 DGISC)를 수신하면서, 각 복제코드(DCSC및 DGISC)와 수신신호(S10) 사이의 상관값을 산출하고, 상관값(S60)으로서 출력한다. 이 때에, 제어기(81)는 래치회로(84)에 데어터래치클럭(DCLK2)을 줄 뿐만아니라, AND회로(86)에 대하여 레벨("H")의 제어신호(S63)을 할당하므로써, 래치회로(84)에서 복제코드(DGISC)의 상관값(S60)을 래치시키고, 이 값을 가산기(85)에 공급한다. 따라서, 가산기(85)는 복제코드(DCSC)의 상관값과 복제코드(DGISC)의 상관값을 가산하여 상관값(S64)를 산출한다.
다음 스텝(SP64)에서, 제어기(81)는 가산기(85)로부터 전송된 상관값(S64)이 제 2임계값(VTH4)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판단의 결과로서, 상관값(S64)이 제 4임계값(VTH4)을 초과하면, 제어기(81)는 공통쇼트코드(CSC)와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검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다음의 스텝(SP65)으로 이동한다. 스텝(SP65)에서, 제어기(81)는 카운트시작명령(S67)을 제 2타이머(89)에 출력하여, 제 2타이머(89)에 부분상관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신신호(S10)를 포획하기 위한 시각(T1)까지 카운트한다.
다음의 스텝(SP66)에서, 제어기(81)는 제 2타이머(89)로부터의 카운트종료정보(S68)에 의거하여 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할 경우에, 제어기(81)는 스텝(SP67)으로 진행한다. 스텝(SP67)에서, 제어기(81)는 매치필터(82)로의 데이터시프트클럭(DCLK1)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매치필터(82)내의 시프트레지스터의 비트시프트동작을 정지하고, 이에 의해 시프트레지스터내에 현존하는 수신신호(S10)를 유지시킨다.
다음의 스텝(SP68)에서, 제어기(81)는 롱코드(LC)를 검출하기 위한 제 5임계값(VTH5)을 비교기(87)에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SP69)에서,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값(DSC-INT)을 상관계수발생기(83)의 제 1 PN복호화기(90)에 공급하므로써, 제어기(81)는 제 1 PN복호화기(90)에서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킨다. 다음의 스텝(SP70)에서, 제 1후보 롱코드(LC)의 부분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초기값(DLC-INT)을 상관계수발생기(83)의 제 2 PN복호화기(91)에 공급하므로써, 제 2 PN복호화기(91)에 제 1후보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킨다. 다음의 스텝(SP71)에서, 제어기(81)는 마스크제어신호를 레벨("H")에 설정함으로써, 상관계수발생기(83)에TJ 복제코드(DCSC)와 복제코드(DLC)를 곱한 복제코드(DR)를 발생시킨다. 그리고나서, 상기 매치필터(82)는 보존된 수신신호(S10)와 복제코드(DCSC및 DLC)로 구성된 복제코드(DR) 사이의 상관값(S60)을 산출한다.
그리고나서, 다음의 스텝(SP72)에서, 제어기(81)는 비교기(87)로부터 출력된 검출데이터(SDET)에 의거하여, 매치필터(82)로부터 출력된 상관값(S60)이 제 5임계값(VTH5)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상관값(S60)이 제 5임계값(VTH5)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제어기(81)는 스텝(SP73)으로 진행한다. 다음의 스텝(SP73)에서, 제어기(81)는 그 다음 후보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값(DLC-INT)을 제 2 PN복호화기(91)에 공급하므로써, 제 2 PN복호화기(91)에서 그 다음 후보 복제코드(DLC)를 발생시키고, 스텝(SP72)으로 되돌아 가서, 상관값(S60)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더 상세히 하면, 그 다음 후보로 이동하기 전에, 위상 이동된 복제코드(DLC)가 그 후보에 대해 순차적으로 발생되어 상관이 검출된다. 그 결과, 후보내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관값이 없을 경우에, 제어기(81)는 다음의 후보로 이동한다. 이 구성으로, 동기검출장치(80)에서, 롱코드(LC)의 위상이 롱코드(LC)의 식별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롱코드(LC)의 후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므로써, 상관값(S60)을 판정한 결과로서, 상관값(S60)이 제 5상관값(VTH5)을 초과하면, 제어기(81)는, 롱코드(LC)가 식별되었다고 가정하고 다음 스텝(SP74)에 이동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 당연히 스텝(SP72)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는 복제코드(DLC)는 수신신호(S10)내에 존재하는 롱코드(LC)가 된다. 더욱이, 도 19에 나타낸 처리 직후에 계속하여 롱코드(LC)를 식별하는 경우에, 도 20에 나타낸 처리에서 스텝(SP20)까지의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먼저, 이 동기검출장치(80)는 롱코드(LC)의 타이밍을 규정하는 공통쇼트코드(CSC)를 검출하기 위하여 공통쇼트코드(CSC)의 복제코드(DCSC)를 발생시키고, 매치필터(82)에 순차적으로 수신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복제코드(DCSC)와 수신신호(S10) 사이의 상관값(S60)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동기검출장치(80)는, 상관값(S60)이 제 1임계값(VTH1)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공통쇼트코드(CSC)를 검출한다.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될 수 있는 경우에, 이 동기검출장치(80)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발생시키고, 매치필터(82)에서 공통쇼트코드(CSC)가 검출되는 때의 수신신호(S10)를 홀드시키고, 수신신호(S10)와 복제코드(DGISC) 사이의 상관값(S60)을 산출한다. 그리고나서,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의 복제코드(DGISC)를 순차적으로 변화하여, 이 상관값(S60)이 제 2임계값(VTH2)을 초과했는지를 판정함으로써, 동기검출장치(80)는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식별한다.
그룹식별쇼트코드(GISC)를 검출한 후에, 롱코드(LC)의 부분상관을 산출하기 위한 수신신호(S10)는 매치필터(82)에 수신되고, 이 처리가 종료될 경우에, 매치필터(82)는 홀드상태로 설정되고, 롱코드(LC)의 부분복제코드(DLC)가 발생되고, 매치필터(82)로 수신신호(S10)와 복제코드(DLC)사이의 상관값(S60)을 산출한다. 그리고, 그룹식별쇼트코드(GISC)에 의해 특정된 그룹내에서 롱코드(LC)의 복제코드(DLC)는 순차적으로 변화되고, 상관값(S60)이 제 5임계값(VTH5)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롱코드(LC)가 식별된다.
따라서, 이 동기검출장치(80)에서는, 매치필터(82)내에 수신신호(S10)를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복제코드 DR(DCSC, DGISC, DLC)를 변화함으로써, 각 복제코드에 대하여 상관값을 고속으로 구할 수 있고, 각 코드가 고속으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 비해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롱코드(LC)가 더 빠른 속도로 식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수신신호(S10)를 매치필터(82)내에 유지할 수 있고, 복제코드(DCSC, DGISC, DLC)를 소정 타이밍에서 변화함으로써, 상관값(S60)이 산출될 수 있고, 각 코드가 식별될 수 있어서, 수신신호(S10)에 포함된 롱코드(LC)가 고속으로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DS-CDMA방식으로 기지국들 간에 비동기통신하는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에, 상술된 경우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관하여 설명될 경우에, 이 분야에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그러한 변화와 수정이 첨부된 청구항에 미치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타이밍에서 수신신호를 홀드하기 위하여 매치필터수단에 주어질 데이터시프트클럭을 정지하고, 상관계수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복제코드를 원하는 타이밍에서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로 변환하고, 그 때의 상관값을 산출함으로써, 제 2코드, 제 3코드 및 제 1코드가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그룹이 검출된다. 그것에 의해, 매치필터(82)수단은 수신신호를 유지하는 상관검출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각 상관검출이 거의 동일한 타이밍에서 행해질 수 있고, 수신신호에 포함된 제 1코드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고속으로 식별될 수 있다.

Claims (14)

  1. 제1코드와,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알려진 제 2코드와, 상기 제 1코드의 그룹을 특정하는 제 3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을 검출하는 동기검출장치에 있어서,
    공급된 데이터시프트클럭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코드에 대응하는 복제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와 상기 수신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상관검출장치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상관검출장치에 공급하는 상관계수발생장치와,
    원하는 타이밍에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의 공급을 정지하여 상관검출장치가 상기 수신신호를 보존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될 복제코드를 원하는 타이밍에 제 1, 제 2 또는 제 3복제코드로 전환하여 그 시각의 상기 상관값을 검출하고, 이에의해 상기 제 2코드, 상기 제 3코드 및 상기 제 1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코드유형을 검출하는 제어장치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제코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비교기의 상기 임계값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므로써 상기 상관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먼저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가 상기 제 2복제코드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상기 상관검출장치에 공급하여, 상기 상관검출장치가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검출하도록하는 단계와, 상기 상관값이 제 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므로써, 상기 제 2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상기 제 2코드가 검출될 때,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의 공급을 정지하여 상기 상관검출장치가 상기 수신신호를 보존하도록 하고,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가 후보로 고려될 수 있는 제 3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고, 그 때의 상기 상관검출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상관값이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므로써, 상기 제 3코드의 유형을 검출하고,
    상기 제 3코드가 검출될 때, 소정 주기의 시간동안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공급하여 상기 상관검출장치가 상기 소정길이의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보존하도록 하고,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가 상기 제 3코드에 의해 특정된 그룹의 상기 제 1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고, 그때의 상기 상관검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관값이 제 3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므로써 상기 제 1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복제코드는 상기 제 1코드에 대응하는 부분코드이고, 상기 제 1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경우에, 부분상관이 상기 상관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상기 제 3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에 가산하므로써 발생된 동기상관값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비교출력에 의해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과 상기 제 3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가산하므로써 발생된 상기 동기상관값의 상기 제 2복제코드와 상기 제 3복제코드의 상관값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먼저 상기 제 2복제코드를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 1소정의 시간주기동안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상기 상관검출장치에 공급하여 상기 상관검출장치가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 1소정 주기내의 최대상관값에 대응하는 값을 제 1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가, 후보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제 3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하고, 그 때의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 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므로써, 상기 제 3코드의 유형을 검출하고,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과 상기 제 3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가산하므로써 발생된 동기상관값이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지는 판정하여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상기 제 2소정시간주기동안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공급하여 상기 상관검출장치가 상기 소정길이의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보존하도록하고, 상기 상관계수발생장치가 상기 제 3코드에 의해 특정된 그룹의 상기 제 1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하고, 그 때에 상기 상관검출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상관값이 제 3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 1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검출장치는 매치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장치.
  9. 제 1코드와,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제 2코드와, 상기 제 1코드의 그룹을 특정하는 제 3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유형을 검출하는 동기검출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시프트클럭의 공급은 원하는 타이밍에 정지되어 상기 수신신호를 보존하고, 상기 제 2코드, 상기 제 3코드 및 상기 제 1코드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복제코드를 전환하므로써 그 때의 상기 상관값에 의거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순차적으로 검출되어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과 유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제 2복제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공급하여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기 수신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고, 상기 상관값이 제 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여 상기 제 2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단계와,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의 공급을 정지하여 상기 수신신호를 보존하고, 후보로 고려될 수 있는 제 3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 3복제코드와 그 때에 보존된 상기 수신신호 사이의 상관값이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므로써, 상기 제 3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 후에,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소정의 시간주기동안 공급하여 소정의 길이의 상기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보존하고, 상기 제 3코드에 의해 특정된 그룹의 상기 제 1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그 때의 상관값이 제 3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므로써 상기 제 1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복제코드는 상기 제 1코드에 대응하는 부분코드이고, 상기 제 1코드의 유형은 부분상관을 검출하므로써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동기상관값은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상기 제 3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에 가산하므로써 발생되고, 상기 동기상관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은 상기 동기상관값의 상기 제 2복제코드와 상기 제 3복제코드의 상관비에 의거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복제코드를 발생시키고 제 1소정의 시간주기동안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공급하여 상기 제 2복제코드와 상기 수신신호사이의 상관값을 검출하고, 상기 제 1소정 주기내의 최대상관값에 대응하는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후보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제 3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그 때의 상관값이 상기 제 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여, 상기 제 3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을 상기 제 3복제코드에 대한 상관값에 가산하므로써 발생된 동기상관값이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하여, 상기 제 1코드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소정시간주기동안 상기 데이터시프트클럭을 공급하여 상기 소정길이의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보존하고, 상기 제 3코드에 의해 특정된 그룹의 상기 제 1복제코드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그 때의 상관값이 제 3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 1코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검출방법.
KR1019990009006A 1998-03-18 1999-03-17 동기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687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68838 1998-03-18
JP06883898A JP3856261B2 (ja) 1998-03-18 1998-03-18 同期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981A true KR19990077981A (ko) 1999-10-25
KR100687700B1 KR100687700B1 (ko) 2007-02-27

Family

ID=1338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06A KR100687700B1 (ko) 1998-03-18 1999-03-17 동기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5232B1 (ko)
EP (2) EP0944178B1 (ko)
JP (1) JP3856261B2 (ko)
KR (1) KR100687700B1 (ko)
CN (1) CN1284393C (ko)
DE (2) DE699377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575B1 (en) * 1998-05-13 2005-04-12 Hitachi, Lt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142584B1 (en) * 1998-09-08 2006-11-28 Siemens Ag Synchronizing a bash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JP3964998B2 (ja) * 1999-01-14 2007-08-2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移動局の受信機
JP3323453B2 (ja) * 1999-02-09 2002-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受信装置及びcdma受信方法
JP3367475B2 (ja) * 1999-07-06 2003-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機の消費電力制御方法
KR100429545B1 (ko) * 1999-08-17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JP2001061176A (ja) * 1999-08-20 2001-03-06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装置
KR20010035967A (ko) * 1999-10-05 2001-05-07 서평원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신호 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FI111578B (fi) 1999-10-13 2003-08-15 U Nav Microelectronics Corp Korrelaattori
FI111579B (fi) 1999-10-13 2003-08-15 U Nav Microelectronics Corp Hajaspektrivastaanotin
FI119011B (fi) 1999-10-13 2008-06-13 U Nav Microelectronics Corp Sovitettu suodatin ja hajaspektrivastaanotin
FI114887B (fi) * 1999-10-13 2005-01-14 U Nav Microelectronics Corp Hajaspektrivastaanottimen signaalinhakujärjestelmä
JP3439399B2 (ja) * 1999-10-14 2003-08-25 エヌイーシー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Cdmaベースバンド受信装置
US6873649B1 (en) * 1999-11-12 2005-03-2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stationary dither code
US6324210B1 (en) * 1999-12-17 2001-11-27 Golden Bridge Technology Incorporated Sliding matched filter with flexible hardware complexity
GB2369189C (en) * 2000-02-18 2008-06-24 Sensei Ltd Method of measuring the battery level in a mobile telephone
JP3808280B2 (ja) 2000-04-28 2006-08-09 富士通株式会社 同期確立装置と同期確立方法及び受信機
JP3473695B2 (ja) * 2000-08-30 2003-12-0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W−cdma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サーチ方法及び回路
CA2361247C (en) * 2000-11-06 2008-10-07 Ntt Docomo, Inc. Transmitter, transmitting metho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for mc-cdma communication system
CA2361083C (en) 2000-11-06 2006-05-16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multi-carrier cdma scheme using short code and long code
AU2002217057A1 (en) * 2000-11-27 2002-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085313B2 (en) * 2001-02-17 2006-08-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channel joint decoding at mobile handset
JP2002247119A (ja) * 2001-02-20 2002-08-30 Advantest Corp シンボル点推定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変調解析装置
US6535548B1 (en) * 2001-04-26 2003-03-18 Motorola, Inc.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receiving spread spectrum signals and methods therefor
US7130331B2 (en) 2001-06-01 2006-10-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time-division multiplexed synchronization sequences
JP3394530B2 (ja) * 2001-08-07 2003-04-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セルサーチ装置およびセルサーチ方法
DE10142102A1 (de) 2001-08-30 2003-03-27 Schleifring Und Appbau Gmbh Vorrichtung zur störarmen Signalübertragung
JP2003188767A (ja) * 2001-12-13 2003-07-04 Oki Electric Ind Co Ltd 同期捕捉回路
US7050485B2 (en) * 2002-05-07 2006-05-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terative CDMA phase and frequency acquisition
US7292624B2 (en) * 2002-08-27 2007-11-06 Itt Manufactu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acquisition of spread spectrum signals
EP1427116B1 (en) * 2002-12-04 2018-03-2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pread-spectrum demodulator
CA2433139C (en) * 2003-06-23 2012-03-27 Wavesat Wireless Inc. Synchroniz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556862B1 (ko) * 2003-06-2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의 주파수 자동 조절 장치
EP1665569A1 (en) * 2003-09-03 2006-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sss signal
US7876738B2 (en) * 2004-03-02 2011-01-25 Nokia Corporation Preventing an incorrect synchronization between a received code-modulated signal and a replica code
US7362840B2 (en) * 2004-11-18 2008-04-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ircuit and method for adjusting timing alignment using programmable codes
CN101043506B (zh) * 2006-03-20 2010-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判断接入业务类型的方法
JP4814698B2 (ja) * 2006-06-14 2011-11-16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機およびその方法
US8090007B1 (en) * 2006-09-26 2012-01-03 Rockwell Collins, Inc. Position-based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US8264927B2 (en) * 2009-01-06 2012-09-11 Panasonic Corporation Write-on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WO2010079578A1 (ja) * 2009-01-07 2010-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追記型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US8599903B2 (en) * 2010-08-27 2013-12-03 Collision Communications, Inc. QR-RLS adaptive digital filter with 18-bit pipeline architecture
EP3849145A3 (en) * 2014-05-26 2021-09-15 Kvaser AB High speed embedded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
JP6375250B2 (ja) * 2015-03-03 2018-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ダ装置
WO2018148864A1 (zh) * 2017-02-14 2018-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0940A (ja) * 1986-02-17 1987-08-21 Nec Corp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
EP0668663B1 (en) * 1993-09-06 2000-02-1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liding correlation detector
JP3003839B2 (ja) * 1993-11-08 2000-01-31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Cdma通信方法および装置
US5530716A (en) * 1994-06-30 1996-06-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coded communication signal
WO1996020544A1 (fr) * 1994-12-28 1996-07-0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Dispositif et procede permettant de synchroniser initialement un code a etalement du spectre d'un systeme de transmission a acces multiple par difference de code (amdc)
US5627855A (en) * 1995-05-25 1997-05-06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Programmable two-part matched filter for spread spectrum
US5790588A (en) * 1995-06-07 1998-08-0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pread spectrum transmitter and receiver employing composite spreading codes
US6167037A (en) * 1996-03-05 2000-12-2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Inc. Signal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er, receiver, and spread-spectrum code synchroniz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9298490A (ja) * 1996-04-30 1997-11-18 Yozan:Kk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US6151353A (en) * 1996-07-12 2000-11-21 General Electric Company Pre-acquisition frequency offset removal in a GPS receiver
JP3376224B2 (ja) * 1996-10-23 2003-0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JP3373746B2 (ja) * 1997-01-07 2003-02-04 株式会社鷹山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US6205168B1 (en) * 1998-11-12 2001-03-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equentia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daptive bi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6280A (zh) 1999-11-24
DE69937760T2 (de) 2008-12-04
DE69937760D1 (de) 2008-01-24
EP1564900A1 (en) 2005-08-17
JPH11266181A (ja) 1999-09-28
EP1564900B1 (en) 2007-12-12
CN1284393C (zh) 2006-11-08
EP0944178A3 (en) 2003-04-02
DE69925188D1 (de) 2005-06-16
EP0944178B1 (en) 2005-05-11
DE69925188T2 (de) 2006-03-02
US6385232B1 (en) 2002-05-07
KR100687700B1 (ko) 2007-02-27
EP0944178A2 (en) 1999-09-22
JP3856261B2 (ja)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981A (ko) 동기검출장치및방법
KR0143825B1 (ko) 슬라이딩 상관기
US61413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ple matched-filter PN vectors in a CDMA demodulator
US6470000B1 (en) Shared correlator system and method for direct-sequence CDMA demodulation
JP3872220B2 (ja) 拡散帯域通信システムの受信装置
KR20050053720A (ko) 파이프라인화된 벡터 처리를 사용하여 직접 시퀀스스펙트럼 확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3964998B2 (ja) 移動局の受信機
KR100768612B1 (ko) 동기 검출 장치
JP4358161B2 (ja) 拡散符号及びタイミング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0209124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用相関回路
JP2914312B2 (ja) 同期捕捉回路
JP3883713B2 (ja) 拡散符号及びタイミング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10071566A (ko) 상이한 칩 시퀀스들을 기억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332064B1 (ko) 순환코드를 이용한 파일럿/트래픽 채널신호 전송장치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기지국 코드 획득장치 및 그 방법
US6546064B1 (en) Synchronization acquiring method synchronization acquiring apparatus
JP2001094471A (ja) 受信機
JP2000165294A (ja) Cdma復調装置におけるpn同期検出装置
JPH08256086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JP2764152B2 (ja) スライディング相関検出器
JP2007252008A (ja) 移動局及び移動局における相関検出方法
JPH1198116A (ja) Cdma通信システム用受信装置
JP2000101477A (ja) Cdma受信装置
JP2000196499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用相関回路
JP2000307479A (ja) マッチドフィルタ及びcdma受信機
JP2001237741A (ja) 同期検出回路およ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