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440A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440A
KR19980032440A KR1019970050118A KR19970050118A KR19980032440A KR 19980032440 A KR19980032440 A KR 19980032440A KR 1019970050118 A KR1019970050118 A KR 1019970050118A KR 19970050118 A KR19970050118 A KR 19970050118A KR 19980032440 A KR19980032440 A KR 1998003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ode
capillary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501B1 (ko
Inventor
가즈시 히가시
노리히토 쓰카하라
다카히로 요네자와
요시히코 야기
요시후미 기타야마
히로유키 오타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064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23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83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9048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3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11001Involving a temporary auxiliary member not forming par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e.g. removable or sacrificial coating, film or substrate
    • H01L2224/11003Involving a temporary auxiliary member not forming par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e.g. removable or sacrificial coating, film or substrate for holding or transferring the bump pre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113Manufacturing methods by local deposition of the material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133Manufacturing methods by local deposition of the material of the bump connector in solid form
    • H01L2224/1134Stud bumping, i.e. using a wire-bon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118Post-treatment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182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in-situ coating
    • H01L2224/11822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in-situ coating by dipping, e.g. in a solder b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1Shape
    • H01L2224/13016Shape in side view
    • H01L2224/13017Shape in side view being non uniform along the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1Shape
    • H01L2224/13016Shape in side view
    • H01L2224/13018Shape in side view comprisin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1Shape
    • H01L2224/13016Shape in side view
    • H01L2224/13018Shape in side view comprisin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 H01L2224/13019Shape in side view comprisin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at the bonding interface of the bump connector, i.e. on the surface of the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75Plural core members
    • H01L2224/1308Plural core members being stacked
    • H01L2224/13082Two-lay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17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400°C and less than 950°C
    • H01L2224/13124Aluminium [Al]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13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131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13155Nickel [Ni]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13199Material of the matrix
    • H01L2224/1329Material of the matrix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13298Fillers
    • H01L2224/13299Base material
    • H01L2224/133Base 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1Shape
    • H01L2224/45012Cross-sectional shape
    • H01L2224/45015Cross-sectional shape being circ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17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400°C and less than 950°C
    • H01L2224/45124Aluminium (Al)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55Nickel (Ni)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01Capillary
    • H01L2224/78302Shape
    • H01L2224/78303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e.g. tip or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3Fully indexed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3Vanadium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9Yttrium [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7Lanthanum [L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4Solde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9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metal fusion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 전극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볼 접합 형성 위치 보다 높은 위치로 접합 캐필러리의 강하 위치를 사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볼 접합(ball bonding) 방법 또는 금속의 박선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즉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하여, 범프가 전극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 반도제 소자의 제조 방법, 반도체 소자로 제조된 반도체 디바이스 및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설비는 콤팩트한 사이즈, 경량화 및 고기능을 가지도록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것은 또한 콤팩트한 사이즈, 경량화 및 고기능을 가지도록 또한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된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와이어 접합 기술의 수단에 의한 설치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된 종래의 와이어 접합 기술에 의하여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된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종래의 범프 전극 형성 방법의 개략도이다. 금선(101), 금(Au) 볼(102), 접합 캐필러리(103), 기판(170)상의 IC 전극(104), 볼 접합 부분(105) 및 범프 전극(106)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IC 전극상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다음에 기술된다.
도 17A에서, 금선(101)에 형성된 금 볼(102)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IC 전극(104)으로 공급되어, 접합 캐필러리(103)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접합된다. 계속적으로, 접합 캐필러리(103)는 위로, 측방으로, 그런 다음 아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선(101)을 볼 접합 부분(105)에 접속한다. 계속적으로, 접합 캐필러리(103)는 위로 이동하여 금선(101)을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범프 전극을 형성한다.
즉, 상기 동작은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종래의 볼 접합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에 범프를 형성하는 방법 및 범프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를 접속하는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661,19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이 기술된다.
도 1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천 볼트의 고전압이 캐필러리(103)로부터 돌출되는 금선(101)의 끝 단부(101a)에 방전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토오치(160)에 적용된다. 이러한 고전압의 적용에 의하여, 금선(101)은 방전 전류가 토오치(160)와 끝 단부(101a) 사이에서 흐르는 동안 온도가 증가되어 끝 단부(101a)로부터 용융되어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형상의 용융 부분이 형성된다. 금 볼(102)이 형성된 후에, 접합 캐필러리(103)는 반도체 소자 측부 아래로 이동되어서, 금(102)은 반도체 소자(170)의 전극(104)에 대하여 접합하도록 만들어진다. 전극(104)에 접합된 금 볼(102)에 대하여 접합 캐필러리(103)가 추가적으로 아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금 볼(102)은 전극(104)에 접합되고, 금 볼(102)은 접합 캐필러리(103)의 끝 단부 부분(103a)에 의하여 형성되어서,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범프 베이스 부분(8)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캐필러리(103)가 반도체 소자의 반대편쪽을 향해 위로 이동함으로써 접합 캐필러리(103)에 의하여 금선(101)을 클램핑하면서 금선(101)은 범프 베이스 부분(8)의 부근에서 찢어지게 되는 것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170)은 전극(104)에 범프(30)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돌출 부분(30a)이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30)의 범프 베이스 부분(8)에 직립하여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04)상에 범프(30)가 형성된 반도체 소자(1)에 있어서, 범프(30)가 평면(21a)이 형성된 베이스 물질(21)을 향하여 눌려져서, 돌기부(30a)를 평면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31a)을 가지는 범프(31)가 형성된다. 계속적으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31)는 스테이지(41)상에 형성된 도전성 접합제(18)와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범프(31)의 평면(31a) 및 그 주변으로 운반된다. 계속적으로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접합제(18)가 회로 기판(19)상에 있는 전극(20)으로 운반된 범프(31)를 적소에 정렬시킨 후, 범프(31)를 전극(20)에 대하여 접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범프(31)는 반도체 소자(170)와 회로 기판(19)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성취를 위하여 전극(20)에 접합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범프 전극 형성 방법에 따라서, 금선(101)은 금선(101)이 접합 캐필러리(103)에 의하여 절단될 때 IC 전극(104)과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06a, 106b)은 비정상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IC 전극 물질은 금선(101)의 끝 단부에 접합되어, 금 볼(102a)이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없는 문제를 유발한다.
상기된 문제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의 비정상적인 형상을 유발함이 없이 IC 전극상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프 전극 및 IC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 전극상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있는 접합 캐필러리의 단면도.
도 3A는 상기 실시예에 있는 캐필러리 구동 장치의 사시도.
도 3B는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상에 형성된 범프의 형상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범프를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위하여 제공되는 범프의 제조 공정의 흐름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범프의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도면.
도 9는 범프의 정점 부분의 크기와 범프로 운반되는 도전성 접합체의 운반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제2돌기부의 다른쪽 반도체 소자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만들어진 도 7에 도시된 범프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의 반도체 소자로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의 흐름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로 제조된 반도체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로 제조된 반도체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로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범프가 납땜 수단에 의하여 회로 기판의 기판 전극에 접속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2돌기부의 다른쪽 단부가 도 7에 도시된 범프에 있는 제1돌기부의 높이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평면이 기판 수단에 의하여 도 15에 도시된 범프상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7A, 도 17B, 도 17C 및 도 17D는 범프 전극 및 IC 전극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A, 도 18B, 도 18C 및 도 18D는 종래의 범프를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종래의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A, 도 20B 및 도 20C는 IC 전극상에 형성된 범프 전극의 비정상적인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aspect)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볼 접합 형성 위치 보다높은 위치로 접합 캐필러리의 강하 위치를 사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의 지름 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볼 접합 부분을 만드는 90°이하의 접합 캐필러리의 모서리 각(chamfer angle)을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법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볼 접합 부분의 지름보다 큰 접합 캐필러리의 모서리 지름을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절단 스테이지에서의 절단력의 집중을 위한 테이퍼 두께를 가지는 접합 캐필러리의 외측 반경의 끝 단부 부분을 만드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접합 캐필러리의 외측 반경 부분이 볼 접합 부분의 경사부와 균일한 접촉을 가져오도록 각도를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서,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접합 캐필러리를 볼 접합 부분의 중심 부분 바로 위의 와이어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서, 2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하나의 범프 전극이 제1 내지 제 6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된 방법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회로 형성 표면상에 있는 IC 전극에 접합되며, 상기 2개의 돌기부들은 회로 기판상에 반도체 소자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라서, 범프 전극이 제1 내지 제6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한정된 방법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회로 형성 표면상에 있는 IC 전극에 접합되며, 상기 범프 전극은 와이어와 그 주변을 한번 용융시켜 고형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와이어의 용융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로부터 상기 전극에 있는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전극에 대하여 상기 제1돌기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투영하는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 영역 이상 연장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 때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라서, 제1돌기부는 캐필러리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의 용융부분을 형성하여, 이를 고형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용융부분의 부근에 있는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형성 부분의 정점 부분으로부터 상기 정점 부분의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형성 부분에 접합되는 와이어 물질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실시예에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형성 부분은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베이스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에 직립하여 제공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정점 부분으로부터 하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물질 부분은 상기 형성 부분 대신에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외측 단부면을 초과함이 없이 상기 외측 단부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 내지 제 11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돌기부는 사이 반도체 소자의 외측단부면 이상 상기 반도체 소자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 내지 제11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돌기부들의 정점 부분에 각각의 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 내지 제13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전극과 제7 내지 제14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한정된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상기 범프 전극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라서, 제1 내지 제6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의 회로 형성 표면상에 있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이 접합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으로서, 와이어의 용융부분과 그 주변을 고형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전극에 접합되는 제1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용융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로부터 상기 전극에 있는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전극에 대하여 상기 제1돌기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투영하는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 영역 이상 연장되는 제2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 때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라서, 캐필러리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와이어의 용융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용융 부분의 부근에 있는 와이어를 상기 형성 부분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정점 부분의 아래로 연장시키며, 상기 형성 부분에 제1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 물질 부분이 형성될 때, 상기 형성 부분 대신에 상기 물질 부분이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형성 부분의 형성 후에, 상기 형성 부분에 연속되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캐필러리가 상기 제1돌기부가 형성될 때 상기 형성 부분의 바로 수직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그린 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 또는 제18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라서, 열에 의하여 재결정화된 상기 와이어 부분은 상기 용융 부분이 형성될 때 상기 제2돌기부의 일단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 내지 제19실시예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재결정화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용융부분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에 적용되는 전압의 적용시간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0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돌기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2돌기부가 형성될 때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측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 내지 제21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돌기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2돌기부가 형성될 때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측부로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이상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 내지 제21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를 상기 범프 전극이 형성되며, 그런 후에 평면이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의 정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 내지 제23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라서, 제16 내지 제24실시예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에 도전성 접합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소자의 범프를 상기 회로 기판에 있는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6실시에에 따라서, 제23실시예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에 도전성 접합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소자의 범프를 상기 회로 기판에 있는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와; 이미지 픽업 디바이스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이상 상기 반도체 소자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향 돌기부의 이미지를 픽업하는 것으로 양호-불량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범프와 상기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속 성능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7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기 접속의 상기 양호-불량 테스트는 상기 이미지 픽업 디바이스에 의하여 픽업된 상기 외향 돌기부의 픽업 이미지 정보에 근거한 도전성 접합제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6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기 접속의 상기 양호-불량 테스트는 상기 이미지 픽업 디바이스 대신에 상기 외향 돌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6 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9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동작 확인은 다이오드 특성 테스트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8실시예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0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평면은 상기 도전성 접합체가 제공되기 전에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의 정점 부분에 형성되며, 그런 다음 성기 도전성 접합제가 상기 평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5 내지 제 2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1 실시예에 따라서, 납땜이 상기 도전성 접합제 대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5 내지 제30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배열로, 상기 와이어가 볼 접합 부분에 접합될 때, 와이어는 볼 접합 부분을 제외하고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되지 않아서, 범프 전극이 IC 전극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을 속행하기 전에, 동일한 부분은 첨부된 도면의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에 의하여 지시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기 전에,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실시예들이 아래에 간단하게 기술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장치(예를 들어 캐필러리 구동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금선을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선을 볼 접합 형성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접합 캐필러리의 강하 위치를 사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금선이 캐필러리에 의하여 절단될 때, 금선을 캐필러리에 의하여 눌려짐으로써 IC 전극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선은 금선의 지름 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볼 접합 부분을 만드는 90°이하의 접합 캐필러리의 모서리각을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금선이 접합 캐필러리에 의하여 절단될 때, 금선이 전극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 접합 부분의 높이는 높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선은 볼 접합 부분의 지름보다 큰 접합 캐필러리의 모서리 지름을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금선이 접합 캐필러리에 의하여 절단될 때 금선이 전극 부분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금선의 접합된 상태는 안정화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금선을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선은 와이어 절단 스테이지에서의 절단력의 집중을 위한 테이퍼 두께를 가지는 접합 캐필러리의 외측 반경의 끝단부 부분을 만드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금선이 절단 스테이지에서 전극 부분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금선은 작은 절단력에 의하여 절단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금선을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선은 접합 캐필러리의 외측 반경 부분이 볼 접합 부분의 경사부와 균일한 접촉을 가져오도록 각도를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금선이 안정화된 상태에서 절단되도록, 접합 캐필러리가 금선과 접촉되는 효과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금선을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선을 접합 캐필러리를 볼 접합 부분의 중심 부분 바로 위의 와이어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접합 캐필러리는 접합할 수 있으며, 안정화된 상태에서 금선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된다.
(제1실시예)
도 1A 내지 도 1C는 금선(101)이 볼 접합 부분(115)에 접합될 때 금선(101) 볼 접합 부분(115)이 아닌 어떠한 다른 부분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프 전극 형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와이어의 일례로서의 금선(101), 접합 캐필러리(113), IC 전극(104) 및 볼 접합 부분(115)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범프 전극과 IC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의 동작은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된다.
도 1A는 볼 접합 부분(115)이 기판(170)의 IC 전극(104)상에 형성되었을때의 단면도이며, 도 1B는 금선(101)이 하강 위치에 위치된 접합 캐필러리(113)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115)에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범프 전극(116)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접합 캐필러리(113)의 단면도이며, 여기에는 모서리각도(107), 외경(108), 모서리 지름(109), 정면 각도(11) 및 원추각(111)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볼 접합 형성 스테이지에서의 접합 캐필러리(113)의 높이에 있어서의 위치는 도 1A에 있는 장치에 저장되며, 접합 캐필러리(113)가 볼 접합 부분(115)에 금(101)을 접합하도록 하향 이동될 때, 접합 캐필러리(113)의 높이에 있어서의 위치는 볼 접합 스테이지에서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예비적으로 세팅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캐필러리(113)는 지레 받침(150) 주위에서 1분마다 상하로 이동하도록 캐필러리 구동 장치(150)에 있는 음성 코일과 같은 초음파 발생 장치(152)에 의하여 구동된다. 캐필러리 구동 장치(150)는 모터(154, 155)에 의하여 X, Y 방향으로 구동되는 X-Y 테이블(153)상에 설정된다. 초음파 발생 장치(15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54, 155) 및 드라이버(180)의 동작은 콘트롤러(181)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된 실시예의 작동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3B의 세로 좌표축은 X, Y 방향에 직각인 Z축의 이동(높이)을 나타내며, 가로 좌표축은 실시예의 작동 시간을 나타낸다.
볼 접합 방법은 또한 아래에 기술된 제7실시예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3B에서, 먼저 콘트롤러(181)는 모터(154, 155)를 제어하여, 캐필러리(113)는 와이어(101)의 하부 단부에 볼을 형성하도록 토오치(160)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캐필러리(113)는 콘트롤러(181)의 메모리(182)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콘트롤러(181)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판(170)의 전극(104)상에 범프 전극(116,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서 제1와이어 좌표(X, Y, Z)로 이동된다. 제1와이어 좌표는 Z방향으로 전극(104)의 위치 바로 위에 위치된다. 이 때, 캐필러리 구동 장치(150)에 있는 캐필러리(113) 바로 위에 설정된 와이어(101)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159)는 와이어(101)를 클램핑하지 않도록 개방된다. 그런 다음, 초음파 발생 장치(152)의 드라이버(180)는 콘트롤러(181)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캐필러리(113)는 초음파 발생 장치(152)에 의하여 도 3B의 제1단계(1)에서 전극(104)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된다. 캐필러리(113)가 메모리(182)에 저장된 소정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되었을 때, 캐필러리(113)의 하강 속도는 캐필러리(113)가 손상을 주는 정도의 큰 힘으로 전극(104)을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로부터 아래로 변하게 된다. 즉, 캐필러리(113)는 전극(104)을 조사하기 위한 제2단계(2)에서 아래로 느리게 이동된다. 캐필러리(113)가 전극(104)을 접촉할 때, 캐필러리(113)는 드라이버(180)가 드라이버(180)를 통하여 구동하는 전류에 의하여 캐필러리(113)로부터 소정의 부하를 검출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하강한다. 제1접촉 신호의 수신에 근거하여, 콘트롤러(181)는 제3단계(3)에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04) 상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도록 제1부하와 함께 초음파 전동을 적용하도록 드라이버(180)를 제어한다. 그런 다음, 볼 접합 부분(115)의 형성 후에, 캐필러리(113)는 제4단계(4)에서 제2 및 제3단계(2, 3)의 하강 속도 보다 높은 속도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제5단계(5)의 시작시에, 클램프(159)는 와이어(101)를 클램핑하기 시작하여,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와이어(1)를 계속적으로 클램핑한다. 캐필러리(113)는 와이어(1)가 시간 주기 동안 클램프(159)에 의하여 클램핑 되는 동안 제5단계(5)에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로 매어지고 아래로 이동되며, 소정의 시간 주기 후에, 와이어(1)는 클램핑으로부터 해제된다.
필요하다면, 이동량의 보정이 제6단계에서 볼 접합 부분(115)의 형상에 따라 콘트롤러(181)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런 다음,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를 조사하는 제7단계에서, 캐필러리(113)는 캐필러리(113)가 손상을 주는 정도의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속으로 아래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된 바와 같이, 캐필러리(113)가 와이어(101)를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에 접합하도록 아래로 이동될 때, 캐필러리(113)는 볼 접합 스테이지에 있는 가장 낮은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예비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캐필러리(113)의 예비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근거하여, Z방향으로 캐필러리(113)의 이동량은 미리 측정되고, 메모리(182)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저장된 위치 및 이동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콘트롤러(181)는 캐필러리(113)가 저속으로 하강하도록 초음파 발생장치(152)를 제어한다. 와이어(1)를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에 접합하기 위하여, 볼 접합 부분(115)의 중심으로부터 X 및 Y 방향으로 캐필러리(113)의 이동량은 또한 미리 측정되어 메모리(182)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저장된 위치 및 이동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콘트롤러(181)는 모터(154, 155)들을 제어한다. 캐필러리(113)가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를 접촉할 때, 캐필러리(113)는 드라이버(180)가 드라이버(180)를 통하여 구동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캐필러리(113)로부터 소정의 부하를 검출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하강한다. 검출 후에, 드라이버(180)는 콘트롤러(181)로 제2접촉 신호를 송신한다. 제2접촉 신호의 수신에 근거하여 콘트롤러(181)는 제8단계(8)에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에 와이어(1)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제2부하와 함께 캐필러리(113)에 초음파 진동을 적용하도록 드라이버(180)를 제어한다.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에 와이어(1)를 접속시킨 후에, 캐필러리(113)는 제9단계(9)에서 클램프(159)가 와이어(1)를 클램핑하지 않는 동안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9단계(9)가 종료되고 클램프(159)가 와이어(1)를 다시 클램핑한 후에, 캐필러리(113)는 와이어(1)를 절단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10단계(10)에서 다음의 전극(104) 바로 위에서 다음의 좌표(X, Y, Z)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제11단계(11)에서, 다른 볼이 토오치(160)에 의하여 와이어(1)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그런 다음, 제1단계(1)로부터 제11단계911)가 다음이 전극(104)에 반복된다.
그러므로, 볼 접합 스테이지에서의 위치 보다 높은 위치로 접합 캐필러리(113)의 하강 위치를 사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금선(101)은 금선(101)의 캐필러리(113)에 의하여 절단될 때 금선(101)이 캐필러리(113)에 의하여 눌려질 때조차도 IC 전극(104)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보다 크지 않은 각도로 접합 캐필러리(113)의 모서리 각(107)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115)의 높이는 금선(101)의 지름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볼 접합 부분(115)을 높게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금선(101)은 금선(101)이 접합 캐필러리(113)에 의하여 절단될 때 전극 부분(104)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캐필러리(113)의 모서리 지름(109)을 볼 접합 부분의 지름 보다 크게 만드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115)은 볼 접합 스테이지에서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금선(101)의 접합 상태가 안정화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금선(101)의 접합 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에 의하여, 금선(101)은 금선(101)이 접합 캐필러리(113)에 의하여 절단될 때 전극 부분(104)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4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캐필러리(113)의 외측 반경 부분(108)의 끝단부 부분의 두께를 예를 들어 10㎛ 이하로 설정하고 테이퍼 형상으로 만드는 것에 의하여, 절단력이 금선(101)의 절단시에 외측 반경 부분(108)의 끝 단부 부분에 집중될 수 있다. 금 선(101)이 상기된 바와 같이 작은 절단력에 의하여 절단되기 때문에, 금선(101)은 절단 스테이지에서 전극 부분(104)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캐필러리(113)의 외측 반경 부분이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와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외측 반경 부분의 각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금선(101)이 접합 캐필러리(113)가 접촉되는 효과가 개선되어서, 금선(101)은 안정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의 중심 부분 바로 위에서 금선(101)과 접합 캐필러리(113)가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금선 접촉이 변화될 때조차도, 금선(101)은 접합되고, 안정화된 상태로 절단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여, 볼 잡헙 형성 위치 보다 높은 위치로 접합 캐필러리(113)의 현재 하강 위치는 다음의 하나의 예로서 결정된다. 도 1D에서, 전극(104)과 와이어(101)의 곡선 부분의 최하부 지점(D)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필러리(113)의 외측 반경 부분(108)이 범프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를 접촉하는 지점(C)은 전극(104)의 표면으로부터 [(와이어(101)의 외측 반경)+α)]의 합계의 높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α는 상수이다. 지점(C)이 범프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의 중심에 설정될 때, 전극(104)으로부터 지점(C)의 높이(㎛)는 실제적으로 다음의 식 [C=-0.1*θ+34, 여기에서, θ는 범프 접합 부분(115)의 정점 각도(=접합 캐필러리(113)의 모서리각(107)]에 의하여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θ가 0°일때, C는 34; θ가 70°일 때, C는 27; θ가 80°일 때, C는 26; θ가 180°일 때, C는 16이다. α가 5㎛일 때, 식 θ≤90°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적으로, 지점(C)이 범프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의 중심에 설정되었을 때, 범프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의 중심과, 범프 접합 부분(115)의 경사부의 중심과 접촉되는 접합 캐필러리(113)의 중심 사이의 거리(B)는 식B=0.5*A+40을 만족시켜야 하며, 여기에서, A는 범프 접합 부분(115)의 폭이다. 거리(A)와 와이어(101)의 볼(101a)의 외경(F) 사이의 관계는 식 F(㎛)=A(㎛)-13(㎛)을 만족시켜야 한다. 실예로서, 범프 접합 부분(115)의 정점 각도인(θ, 접합 캐필러리(113)의 모서리각(107))가 60° 내지 90°의 범위에 놓이며, 와이어(101)의 외경은 25㎛일 때, 범프 접합 부분(115)의 거리(A)는 80±5㎛이며, 범프 접합 부분(115)의 중심과 접합 캐필러리(113)의 중심 사이의 거리(B)는 80±2㎛이며, 지점(2)의 높이는 80±10㎛이다.
비록, 금의 물질이 상기된 실시예에서 범프 전극 물질로서 사용될지라도, 범프 전극 물질의 금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효과가 다른 금속의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같이, 상기된 각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 접합 기술에 의하여 IC 전극에 볼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금선을 접합하는 단계와; 금선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선을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볼 접합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과 금선이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야기되는, 전극 부분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과 같은 금선의 접합 상태를 방지하여, 금선에 IC 전극 물질의 접합에 의하여 야기되는 범프 전극의 비정상적인 형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범프 전극이 고품질 및 높은 정확성을 IC 전극에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제7실시예)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다른 반도체 소자, 이러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이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또한 동일 구성 부재들은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로 지시된다.
상기된 반도체 소자가 먼저 기술된다.
하나의 범프가 반도체 소자(1)의 회로 형성 표면(1a)상에 있는 각 전극(2)에 접합된다. 제7실시예의 반도체 소자(1)에 있어서,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를 가지는 범프(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극(2)에 접합된다. 이러한 종류의 범프(3)는 바람직하게 반도체 소자(1)의 모든 전극(2)에 제공된다. 제2돌기부(50)는 전극(2)상에 있는 제1돌기부(40)를 투영하는 것에 의하여 한정된 평면 영역(III) 이상 연장하며, 제2돌기부(50)의 끝 단부인 다른쪽 단부(52)는 한쪽 단부(51)로부터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41)과 대략 동일한 높이까지 전극(2)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4는 다른쪽 단부(52)가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41)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 위치로 연장한 경우를 도시한 것에 유의한다. 도 15는 다른쪽 단부(52)가 한쪽 단부(51)의 높이 위치와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41)의 높이 위치 사이의 대략 절반의 위치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는 반도체 소자(1)의 인접한 전극(2)과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나의 범프(3)에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범프(3)의 정점 부분(7)의 영역은 증가될 수 있으며, 추후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접속 영역은 상기 범프(3)를 도전성 접합제의 수단에 의하여 회로 기판의 전극에 접속할 때 증가될 수 있어서, 접속 저항 값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범프(3) 위로 도전성 접합제의 운반량은 증가될 수있으며, 이러한 것은 전기 도전성의 결점 발생을 제거하며, 접속 신뢰성을 개선한다.
상기된 형태의 범프(3)는 거의 볼 접합 방법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단계(도 1에서 S에 의하여 지시됨)에서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다. 즉, 제1단계에서, 추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재결정화 영역은 방전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되어, 와이어(10)를 녹인다. 제2단계에서, 제1돌기부(40)는 전극(2)상에서 용융된 와이어로 형성된다. 제3단계에서, 제2돌기부(50)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동작들은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략 25㎛의 지름을 가지며 금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와이어(10)는 캐필러리(9)의 끝 단부 부분(9a)으로부터 약 길이(II)만큼 연장된다. 상기된 길이(II)는 대략 450㎛, 즉 종래에 있어서 투영길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와이어(10)의 물질은 상기된 금으로 한정되지 않고, 볼 접합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한,구리, 알루미늄, 니켈, 납땜 등에 의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와이어(10)의 지름에 따라서, 베이스 지름 및 높이와 같은 범프 치수는 목적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고전압이 종래와 유사하게 와이어(10)의 끝 단부 부분(10a)에 적용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과 끝 단부 부분(10a) 사이에 전자 방전에 의하여 용융되어서, 볼(11)을 형성한다. 볼(11)의 지름은 적용 전압값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볼(11) 지름은 적용 전압이 증가됨으로써 증가한다. 볼(11)과 볼(11)에 연속되는 와이어(10)의 특정 길이를 가지는 부분에서, 와이어(10)의 결정입자가 상기된 전자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열에 의하여 증가된다. 큰 결정 입자를 가지는 이러한 부분을 재결정화된 영역으로 작용하며, 방전 시간이 5㎳일 때 그 길이(IV)는 120㎛가 된다. 결정 입자 크기가 초기의 결정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정상적인 결정 영역과 상기된 재결정화 영역(16) 사이의 경계부에서 상이하게 되는 이유 때문에, 와이어(10)의 절단 강도가 약해지는 결정 입자 경계면(15)이 형성된다.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가 결정 입자 경계면(15)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되는 이유 때문에, 재결정화 영역(16)의 길이(IV)는 제2돌기부(50)의 형성을 위한 중요한 인자가 된다. 재결정화 영역(16)의 길이(IV)는 상기된 바와 같이 전자 방전이 실행되는 방전 시간에 의하여 제어된다.
다음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의 끝단부 부분(10a)에 형성된 볼(11)은 압력, 열 또는 캐필러리(9)로부터 적용되는 초음파 진동의 수단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1)의 전극(2)에 접합된다. 그러므로, 와이어(10)를 용융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볼(11)에 의하여 전극(2)에 형성된 제1돌기부(40)의 형성부분(42)의 형상은 캐필러리(9)의 끝 단부 부분(9a)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형성 부분(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부분(422)이 형성된 베이스 부분(421)과, 베이스 부분(421) 상에 직립으로 제공되는 돌기부(424)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된 형태의 베이스 부분(421)을 가지는 범프(300)에 있어서, 어깨 부분(422)의 준비로 인하여, 도전성 접합제는 범프(300)로 도전성 접합제를 운반하는데 있어서 돌기부(424)에만 운반되며, 이러한 것은 도전성 접합제가 어깨 부분(422)과 베이스 부분(421)의 장점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1)의 회로 형성 표면(1a)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범프(300)가 다음의 기술에서 하나의 예로서 취해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와이어(10)에서, 볼 (11)의 부근에 있는 근인(proximate) 부분(10b)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421) 바로 위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서 진로(14)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캐필러리(9)에 의하여 루핑(looping)을 받는다. 도 5D에서,캐필러리(9)의 이동 거리는 루핑에 대하여 약간 과장되고, 루핑은 실제적으로 베이스 부분(421)의 평면 영역(III) 바로 위에서 수행된다. 평면 영역(III)이 본 제7실시예에서 약 80㎛의 지름을 가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된 루핑 이동의 마지막 운동(14a)에 의하여, 돌기부(424)에 연속되는 근인 부분(10b)은 형성 부분(42)의 정점 부분(41)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며,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인 부분(10b)은 압력, 열 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베이스 부분(421)의 주변 부분(423)에 접합된다. 그러므로, 제1돌기부(4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돌기부(40)는 형성 부분(42)과 와이어 물질 부분(43)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물질 부분(43)은 근인 부분(10b)으로 형성되며, 정점 부분(41)으로 부터 연장되어, 주변 부분(423)에 접합된다. 상기된 루핑은 형성 부분(42)의 정점 부분(41)으로 부터 근인 부분(10b)의 하향 운동에 따라서 반도체 소자 측부로 정점 부분(41)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다.
다음에, 캐필러리(9)를 위하여 준비된 클램프(120)는 캐필러리(9)의 내측에 연장하는 와이어(10)를 클램핑하며, 그런 후에, 베이스 부분(421)의 주변 부분(423)에 접합된 와이어(10)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필러리(9)의 상승으로 위쪽으로 정위(orient)되며, 캐필러리(9)의 추가적인 상승으로 결정 입자 경계면(15)에서 끊어진다. 그러므로, 상기된 제2돌기부(50)가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캐필러리(9)의 정의에 의하여,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는 상기된 주변 부분(423)에 접합된 한쪽 부분(51)과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41) 사이에 위치된 높이로 제1돌기부(40)의 평면 영역(III) 이상 연장한다. 결정 입자 경계면(15)이 상기된 바와같이 방전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10)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제어되어서, 다른쪽 단부(52), 즉 결정 입자 경계면(15)과 동일한 부분이 상기된 한쪽 부분(51)과 정점 부분(41) 사이의 위치에 있는 높이로 배열된 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전극(2)상에 있는 2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하나의 범프가 정위된다.
와이어(10)는 상기된 실시예에서 와이어 물질 부분(43)으로 부터 연속된다. 그러나, 베이스 부분(421)의 주변 부분(423)에 와이어 물질 부분(43)의 한쪽 단부를 접합하고, 이를 한 번 절단한 후, 제2돌기부(50)의 한쪽 부분(51)을 접합하고, 상기된 바와 같이 다른쪽 단부(52)를 연장시키는 것이 예측될 수 있다.
와이어(10)의 루핑은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41)이 상기된 실시예에서 전극(2)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있는 하나의 위치에 배열되도록 수행된다. 그러나, 루핑은 정점 부분(41)이 루핑의 수행함이 없이 수직 방향에 있는 하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범프(300, 3)들은 상기된 실시예에서 반도체 소자(1)의 전극(2)에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범프(300, 3)들은 반도체 소자(1)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상에 있는 기판 전극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 반도체 디바이스가 상기된 범프(330)을 경유하여 회로 기판상에 있는 범프(330 또는 3)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1)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다음에 기술된다. 범프(300)를 취하여 만들어진 다음의 기술은 하나의 예로서 기술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된 장착 동작은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기술된 동작과 유사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된 범프(300)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1)에 대하여, 반도체 소자(1)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물질 측부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7)과 범프(300)의 제2돌기부(50)는 기판(21)의 평면 영역(21a)을 향하여 눌려지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정점 부분(7)에 평면(31a)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300)의 측면을 스테이지(41)의 평면에 형성된 도전성 접합제(18)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도전성 접합제(18)는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 위로 운반된다.
다음에,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접합제(18)가 운반되는 범프(300)는 회로 기판(19)의 기판 전극(20)과 정렬되며, 각 범프(300)의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는 도전성 접합제(18)에 의하여 기판 전극(20)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반도체 디바이스(600)가 제조된다.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의 2개의 돌기부의 준비에 의하여, 정점 부분(7) 위로의 도전성 접합제(18) 도전성 접합제(18)의 운반량, 즉 도전성 접합제(18)의 높이(IV)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같이 증가된다. 추가적으로,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의 정점 부분(7)상에 평면(31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정점 부분(7)의 영역은 추가적으로 증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된 운반량은 정점 부분(7)의 영역이 증가됨으로써 증가되고, 그런 다음, 운반량은 평면(31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증가될 수 있다. 상기된 방식으로, 도전성 접합제(18)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같이 10 ㎛이상의 높이(IV)까지 범프(30) 위로 운반될 수 있다.
더욱이, 반도체 소자(1)가 회로 기판(19)에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19)의 랩(warp)은 도전성 접합제(18)의 운반량에 의하여 흡수되며, 상기된 바와 같은 운반량에 있어서의 증가는 랩의 흡수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반도체 소자(1)가 회로 기판(19)에 접속되는 부분에서의 랩의 명세는 종래의 4㎛의 명세로부터 10㎛로 완화될 수 있으며, 또한 회로 기판(19)의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다.
더욱이, 회로 기판(19)상의 범프(300)과 기판 전극(20)의 접속 영역뿐만 아니라 도전성 접합제(18)의 양은 증가되어서, 기판 전극(20)에 대한 범프(300)의 접속 강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접속 저항값이 낮은 값으로 억제된다.
범프(300)에서의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의 형성에 의하여, 범프(300) 위로의 도전성 접합제(18)의 충분한 운반량이 평면(31a)을 형성함이 없이 보장되는 경우에, 평면(31a)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가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7)의 높이로 연장하지 않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의 평면 영역(21a)이 다른쪽 단부(52)를 접촉하는 정도로 반도체 소자(1) 가 상기된 기판(21)을 향하여 눌려지지 않는 경우에, 이는 때때로 평면(31a)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7)에만 형성되고, 평면(31a)이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이다.
상기된 경우에 있어서, 도전성 접합제(18)는 다른쪽 단부(52) 위로 운반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돌기부(40)의 정점 부분(7)의 높이로 연장하지 않는 경우에, 반도체 소자(1)가 기판 측부로 눌려질 때 기판 전극(20)의 평면(21a)과 다른쪽 단부(52) 사이의 틈새(V)는 범프(300)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접합제(18)와 접촉될 때 도전성 접합제(18)가 다른쪽 단부(52)로 운반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다시말하면,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부(40)의 정접 부분(7)의 높이까지 연장하지 않는 경우에, 반도체 소자(1)의 범프(300)는 기판 전극(20)을 향하여 눌려지는 것이 요구되어서, 기판 전극(20)의 평면(21a)과 다른쪽 단부(52) 사이에 있는 틈새의 치수는 상기된 틈새(V)보다 크지않게 된다.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가 정위되는 방향이 다음에 기술된다. 상기된 바와같이 형성된 범프(300)에 있는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는 반도체 소자(1)의 주변 측부에 정위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는 반도체 소자(1)의 주변의 외측 단부면(1b)의 연장선 이상 연장될 수 있다. 다른쪽 단부(52)의 정위는 캐피러리(9)의 정위에 의하여 실행된다는것에 유의해야 한다. 범프(300)에 대하여, 다른쪽 단부(52)가 반도체 소자(1)의 주변의 외측 단부면(1b)의 연장선 이상 연장되는 범프(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310)에 의하여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와이어(10)에 속하며 외측 단부면(1b)의 연장선 이상 연장하는 부분은 외향 돌출 부분(53)에 의하여 표시된다.
그러므로, 반도체 소자(1) 의 주변 측부로 다른쪽 단부(52)를 정위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른쪽 단부(52)는 반도체 소자(1)에 있는 인접한 전극(2)을 향하여 연장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른쪽 단부(52)는 도전성 접합제(18)가 범프(310)로 운반될 때, 다른 인접한 전극(2)과 접촉 또는 단락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반도체 소자(1)의 주변 측부에 대한 다른쪽 단부(52)의 정위는 도전성 접합제(18)의 운반량을 보장하며, 제1돌기부(40)에 더하여 제2돌기부(50)의 준비에 의하여 상기된 바와같이 단락의 발생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는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1단계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1)의 전극(2)상에 범프(300)를 형성하여, 제12단계에서 페이스-다운(face-down) 장착 방식으로 회로 기판(19)의 전극(20)위로 범프(300)를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된 바와같이 반도체디바이스를 제조하였을 때, 다른쪽 단부(52)는 범프(300)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1)에 있는 인접한 전극(2)과 접촉되거나 단락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범프(300)의 제2돌기부(50)는 외향 돌기부(53)를 가진다. 상기 이유 때문에, 범프(300)가 회로 기판(19) 상에 있는 전극(20)에 접속되었을 때, 이 접속 영역은 범프(300)의 영역 보다 크게 된다. 그러므로, 접속 강도가 크게 되고 접속 저항값이 작게 될 수 있다.
또한, 범프(300)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1)가 회로 기판(19)에 접속되는 반도체 디바이스(610)에 있어서, 회로 기판(19)상에 있는 전극(20)에 대한 범프(300)의 전기 접속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공정은 도 11에 도시된 제13단계에서와 같이 반도체 디바이스(610)의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프(300)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1)가 페이스-다운 장착 방식으로 회로 기판(19)상에 장착되었을 때, 제2돌기부(50)의 다른쪽 단부(52)는 반도체 소자(1)의 주변의 외측 단부면(1b)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범프(300)가 회로 기판(19)상에 있는 전극(20)에 접속되는 부분은 시각적으로 체크될 수 없다. 범프(310)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1)가 페이스-다운 장착 방식으로 회로 기판(19)에 설치될 때, 외향 돌출 부분(53)은 반도체 소자(1)의 주변의 외측 단부면(1b)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러므로, 범프(310)가 회로 기판(19)상에 있는 전극(20)에 접속된 부분은 외향 돌출 부분(53)을 경유하여 보여져, 시각적인 테스트를 받게된다.
또한,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5) 및 카메라(25)에 접속된 시각 테스터(26)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된 시각적 테스트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예측될 수 있다. 즉, 전극(20)에 범프(310)의 전기적인 접속은, 외향 돌출 부분(53)이 카메라(25)에 의하여 전극(20)에 접속된 부분의 상을 픽업하고, 시각 테스터(26)로 상을 취하고, 시각 테스터(26)의 수단에 의하여 접속 부분에 도전성 접합 제(18)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양호-불량 테스트에 대하여 체크된다.
또한, 범프(310)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1)를 채택하는 반도체 디바이스(610)에 있어서, 접촉 탐침(2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돌출 부분(53) 또는 외향 돌출 부분(53)을 덮는 도전성 접합제(18)와 접촉될 수 있다. 접촉 탐침(26)은 반도체 소자 성능 테스터(27)에 접속되고, 반도체 소자 성능 테스터(27)는 회로 기판(19)의 전극(20)에 대한 범프(310)의 접속 상태 또는 반도체 소자(1)의 작동을 체크할 수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다이오드 특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회로 기판(19)의 전극(20)에 대한 반도체 소자(1)의 전극(2)의 접속이 비도전성 상태 또는 단락인지를 짧은 시간에 체크할 수 있다.
상기한 다이오드 특성 테스트가 반도체 소자(1)의 회로를 통하여 과잉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위하여 반도체소자(1)의 회로에 형성된 다이오드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회로 기판(19)의 전극(20)에 대한 범프의 접속은 상기된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서 도전성 접합제(18)에 의하여 접합된다. 그러나,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28)이 도전성 접합제(18)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범프(300)가 하나의 예로서 취해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기술된 경우와 유사하게, 반도체 소자(1)의 범프(300)의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의 정점 부분(7)들은 평면(31a)을 각각 구비한다. 한편,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28)은 회로 기판(19)의 전극(20)에 제공된다. 그런 다음, 도 1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도체 소자(1)의 범프(300)의 위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19)의 전극(20)과 정렬 시키고, 범프(300)의 평면(31a)을 납땜(28)과 접촉시키고 이를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범프(300)의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의 2개의 돌기부들은 납땜(28)을 통하여 회로 기판(19)의 전극(20)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회로 기판(19)의 전극(20)을 납땜의 수단에 의하여 제1돌기부(40)와 제2돌기부(50)를 가지는 범프(300)에 접속시키는 것에 의하여, 납땜 리본이 형성된다. 이러한 리본의 준비에 의하여, 회로 기판(19) 상에 실행되는 응력에 대한 강도는 증가되고, 접속 신뢰성이 개선된다. 더욱이, 접속 영역이 증가되고, 접속 저항값이 감소된다.
2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범프는 상기된 실시예에서 볼 접합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범프상에 2개의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볼 접합 방법 대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요지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서, 2개의 돌기부들이 하나의 범프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회로기판상에 있는 기판 전극과 범프의 접촉 영역이 증가된다. 따라서, 접속 강도와 접속 신뢰성이 높게 될 수 있으며, 접속 저항 값은 낮게되어 회로 기판에 반도체 소자를 접속하는데 안정화 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반도체 디바이스 실시예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범프에 2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가 상기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의 회로 전극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열로, 회로 기판상에 있는 기판 전극과 범프의 접촉 영역은 증가되고, 따라서, 반도체 소자와 회로 기판의 접속 강도 및 접속 신뢰성이 증가되고, 접속 저항값이 낮게 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에 따라서,제2돌기부(50)의 단부 부분은 2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범프에서 반도체 소자의 주변 이상 반도체 소자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은 상기된 바와 같이 접속 강도 및 접속 신뢰성의 개선하고, 접속 저항의 감소 및 안정화를 이루어, 반도체 디바이스가 반도체 소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돌기부의 수단에 의하여 테스트되도록 한다.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1996년 10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평8-289836호 및 1996년 10월 1일 출원된 특허 출원 평8-260645호의 전체적인 개시는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참조적으로 본원에 결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에 기술되었을지라도,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알 수있을 것이다.

Claims (31)

  1.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1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101)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볼 접합 형성 위치 보다 높은 위치로 접합 캐필러리의 강하 위치를 사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2.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1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101)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의 지름 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볼 접합 부분을 만드는 90° 이하의 접합 캐필러리의 모서리 각(107)을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3.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1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101)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볼 접합 부분의 지름 보다 큰 접합 캐필러리의 모서리 지름(109)을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4.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1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101)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절단 스테이지에서의 절단력의 집중을 위한 테이퍼 두께를 가지는 접합 캐필러리의 외측 반경의 끝 단부 부분을 만드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5.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1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101)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접합 캐필러리의 외측 반경 부분이 볼 접합 부분의 경사부와 균일한 접촉을 가져오도록 각도를 세팅하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6. 와이어 접합 장치에 의하여 IC 전극(104)에 볼 접합 부분(115)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1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접합 캐필러리를 측방으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볼 접합 부분에 와이어(101)를 접합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접합 캐필러리를 볼 접합 부분의 중심 부분 바로 위의 와이어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볼 접합 부분 외에는 볼 접합 부분의 주변과 접촉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7. 2개의 돌기부(40, 50)를 가지는 하나의 범프 전극(3, 300, 310)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된 방법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회로 형성 표면상에 있는 IC 전극(2)에 접합되며, 상기 2개의 돌기부들은 회로 기판상에 반도체 소자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8. 범프 전극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된 방법에 의한 반도체 소자(1)의 회로 형성 표면상에 있는 IC 전극(2)에 접합되며;
    상기 범프 전극은 와이어와 그 주변을 한번 용융시켜 고형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제1돌기부(40)와;
    상기 와이어의 용융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로부터 상기 전극에 있는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전극에 대하여 상기 제1돌기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투영하는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 영역 이상 연장되는 제2돌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2 돌기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 때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돌기부는 캐필러리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의 용융 부분을 형성하여, 이를 고형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42)과, 상기 용융 부분의 부근에 있는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형성 부분의 정점 부분(41)으로부터 상기 정점 부분의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형성 부분에 접합되는 와이어 물질 부분(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형성 부분은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베이스 부분(421)과, 상기 베이스 부분에 직립하여 제공되는 돌기부(4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점 부분으로부터 하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물질 부분은 상기 형성 부분 대신에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외측 단부면을 초과함이 없이 상기 외측 단부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반도체소자의 외측 단부면(1b)이상 상기 반도체 소자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4.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돌기부들의 정점 부분에 각각의 평면(31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5. 회로 기판상에 있는 전극(20)과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4중 어느 하나에 한정된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상기 범프 전극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에서 한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의 회로 형성 표면상에 있는 IC 전극에 범프 전극이 접합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으로서,
    와이어와 그 주변의 용융 부분을 고형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전극(2)에 접합되는 제1돌기부(4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용융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로부터 상기 전극(2)에 있는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전극에 대하여 상기 제1돌기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투영하는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 영역 이상 연장되는 제2돌기부(5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 때 상기 회로 기판상에 있는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캐필러리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42)으로 상기 와이어의 용융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용융 부분의 부근에 있는 와이어를 상기 형성 부분의 정점 부분(41)으로부터 상기 정점 부분의 아래로 연장시키며, 상기 형성 부분에 와이어를 접합하여, 결과적으로 와이어 물질 부분(4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물질 부분이 형성될 때, 상기 형성 부분 대신에 상기 물질 부분이 상기 전극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형성 부분의 형성 후에, 상기 형성 부분에 연속되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캐필러리가 상기 제1돌기부가 형성될 때 상기 형성 부분의 바로 위의 수직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그린 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0.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에 의하여 재결정화된 상기 와이어 부분은 상기 용융 부분이 형성될 때 상기 제2돌기부의 일단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결정화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용융 부분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에 적용되는 전압의 적용 시간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22.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2돌기부가 형성될 때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측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3.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2돌기부가 형성될 때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측부로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 이상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4.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를 가지는 상기 범프 전극이 형성되며, 그런 후에 평면(31a)이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의 정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5.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4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에 도전성 접합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소자의 범프를 상기 회로 기판에 있는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26. 청구항 23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돌기부에 도전성 접합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소자의 범프를 상기 회로 기판에 있는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와;
    이미지 픽업 디바이스 수단(25, 26)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의 주변이상 상기 반도체 소자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향 돌기부(53)의 이미지를 픽업하는 것으로 양호-불량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범프와 상기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속 성능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의 상기 양호-불량 테스트는 상기 이미지픽업 디바이스에 의하여 픽업된 상기 외향 돌기부의 픽업 이미지 정보에 근거한 도전성 접합제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의 상기 양호-불량 테스트는 상기 이미지픽업 디바이스 대신에 상기 외향 돌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동작 확인은 다이오드 특성 테스트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30. 청구하 25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31a)은 상기 도전성 접합제가 제공되기 전에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부의 정점 부분에 형성되며, 그런 다음 상기 도전성 접합제가 상기 평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디바이스 제조 방법.
  31.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납땜이 상기 도전성 접합제 대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1019970050118A 1996-10-01 1997-09-30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83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60645 1996-10-01
JP26064596A JP3532361B2 (ja) 1996-10-01 1996-10-01 Ic電極上への突起電極形成方法
JP96-289836 1996-10-31
JP28983696A JP3439048B2 (ja) 1996-10-31 1996-10-31 半導体素子、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40A true KR19980032440A (ko) 1998-07-25
KR100283501B1 KR100283501B1 (ko) 2001-03-02

Family

ID=2654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118A KR100283501B1 (ko) 1996-10-01 1997-09-30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207549B1 (ko)
EP (3) EP1158578B1 (ko)
KR (1) KR100283501B1 (ko)
CN (2) CN100353499C (ko)
DE (3) DE69737621T2 (ko)
SG (2) SG103272A1 (ko)
TW (1) TW366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8578B1 (en) * 1996-10-01 2004-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grated circuit or circuit board with bump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407275B2 (ja) * 1998-10-28 2003-05-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バンプ及びその形成方法
US6926796B1 (en) * 1999-01-29 2005-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parts mount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ATE371265T1 (de) * 2000-04-20 2007-09-15 Elwyn Paul Michael Wakefield Verfahren zur herstellung elektrischer/mechanischer verbindungen
US6715658B2 (en) 2001-07-17 2004-04-06 Kulicke & Soffa Investments, Inc. Ultra fine pitch capillary
US6910612B2 (en) 2001-07-17 2005-06-28 Kulicke & Soffa Investments, Inc. Capillary with contained inner chamfer
US7229906B2 (en) * 2002-09-19 2007-06-12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umps for semiconductor interconnections using a wire bonding machine
US6815836B2 (en) * 2003-03-24 2004-11-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 bonding for thin semiconductor package
JP4219781B2 (ja) * 2003-10-03 2009-02-0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159267A (ja) * 2003-10-30 2005-06-16 Shinkawa Ltd 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US7407080B2 (en) * 2004-04-02 2008-08-05 Chippac, Inc. Wire bond capillary tip
DE102006024213A1 (de) * 2006-05-23 2007-11-29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steins mit einer elektrischen Kontaktierung
US20100186991A1 (en) * 2006-10-18 2010-07-29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conductive bumps, wire loops including the improved conductive bump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TWI427719B (zh) * 2007-01-15 2014-02-21 Nippon Steel & Sumikin Mat Co The joint structure of the joining wire and its forming method
JP4625858B2 (ja) * 2008-09-10 2011-02-02 株式会社カイジョー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制御プログラム
JP2010123817A (ja) * 2008-11-21 2010-06-03 Fujitsu Ltd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および電子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12004464A (ja) * 2010-06-18 2012-01-0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US9502371B2 (en) * 2012-07-17 2016-11-22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Methods of forming wire interconnect structures
US9385052B2 (en) 2012-09-14 2016-07-05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build-up interconnect structures over carrier for testing at interim stages
US9443797B2 (en) 2012-09-14 2016-09-13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wire studs as vertical interconnect in FO-WLP
US9818734B2 (en) 2012-09-14 2017-11-14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build-up interconnect structures over a temporary substrate
TWI518814B (zh) * 2013-04-15 2016-01-21 新川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以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9093515B2 (en) * 2013-07-17 2015-07-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Wire bonding capillary with working tip protrusion
TWI541920B (zh) * 2013-07-23 2016-07-11 矽品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打線結構之製法
US9893017B2 (en) 2015-04-09 2018-02-13 STATS ChipPAC Pte. Ltd. Double-sided semiconductor package and dual-mold method of making same
ITTO20150229A1 (it) * 2015-04-24 2016-10-24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produrre bump in componenti elettronici, componente e prodotto informatico corrispondenti
DE102016115221A1 (de) * 2016-08-17 2018-02-22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mindestens zwei Substraten zur Bildung eines Modul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0021A (en) * 1977-07-26 1981-10-14 Welding Inst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S59208751A (ja) * 1983-05-13 1984-11-27 Hitachi Ltd バンプ形成方法
US4661192A (en) * 1985-08-22 1987-04-28 Motorola, Inc. Low cost integrated circuit bonding process
US5476211A (en) * 1993-11-16 1995-12-19 Form Facto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tacts, using a sacrificial member
US5917707A (en) * 1993-11-16 1999-06-29 Formfactor, Inc. Flexible contact structure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ell
JPS62256445A (ja) * 1986-04-30 1987-11-09 Toshiba Corp キヤピラリツ−ル
JP2506861B2 (ja) 1987-12-08 1996-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的接続接点の形成方法
US5014111A (en) * 1987-12-08 1991-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tact bump and a package provided with the same
US4974767A (en) * 1988-04-25 1990-12-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ouble cone wire bonding capillary
JPH01273325A (ja) * 1988-04-25 1989-11-01 Toshiba Corp キャピラリ及び該キャピラリを使用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551150B2 (ja) 1989-06-13 1996-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ンプ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装置
US5060843A (en) 1989-06-07 1991-10-29 Nec Corporation Process of forming bump on electrode of semiconductor chip and apparatus used therefor
JPH0666356B2 (ja) * 1989-06-15 1994-08-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
JP2830109B2 (ja) 1989-07-19 1998-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ンプ形成方法およびバンプ形成装置
US5246159A (en) * 1989-07-19 1993-09-21 Nec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 bump by bonding a ball on an electrod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JP2501126B2 (ja) * 1989-09-22 1996-05-29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リ―ド端子への金線ボンデイング方法
US5172851A (en) * 1990-09-20 1992-12-22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bump electrode and manufacturing a resin-encapsulated semiconductor device
JPH04334034A (ja) * 1991-05-09 1992-11-20 Fujitsu Ltd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3257011B2 (ja) * 1992-01-08 2002-0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組立方法
JPH06309985A (ja) * 1993-02-24 1994-11-04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マイクロ接点の形成方法
JP3022151B2 (ja) 1993-04-30 2000-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用のキャピラリー及びそのキャピラリーを用いた電気的接続バンプの形成方法
US5485949A (en) * 1993-04-30 1996-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pillary for a wire bon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 connection bump using the capillary
US5508561A (en) * 1993-11-15 1996-04-16 Nec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a double-bump structure used for flip-chip mounting
JPH088308A (ja) * 1994-06-22 1996-01-12 Tanaka Denshi Kogyo Kk ボンディング方法及び半導体装置
US5518964A (en) * 1994-07-07 1996-05-21 Tessera, Inc. Microelectronic mounting with multiple lead deformation and bonding
JP3559936B2 (ja) * 1994-08-09 2004-09-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ンプボンディング装置
US5421503A (en) * 1994-08-24 1995-06-06 Kulicke And Soffa Investments, Inc. Fine pitch capillary bonding tool
JPH08162489A (ja) * 1994-11-30 1996-06-21 Rohm Co Ltd ワイヤボンディング機のキャピラリ
US5686353A (en) * 1994-12-26 1997-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9181120A (ja)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47598B2 (ja) * 1996-08-21 2002-11-20 株式会社新川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用キャピラリ
EP1158578B1 (en) * 1996-10-01 2004-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grated circuit or circuit board with bump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94387B2 (en) 2005-05-17
EP0834919A2 (en) 1998-04-08
CN1179625A (zh) 1998-04-22
DE69737621T2 (de) 2007-12-20
EP1158578B1 (en) 2004-06-30
CN100353499C (zh) 2007-12-05
US20050146029A1 (en) 2005-07-07
EP1158579A1 (en) 2001-11-28
CN1181531C (zh) 2004-12-22
US6207549B1 (en) 2001-03-27
EP0834919B1 (en) 2007-04-18
US20010005054A1 (en) 2001-06-28
DE69737621D1 (de) 2007-05-31
CN1549305A (zh) 2004-11-24
EP0834919A3 (en) 2000-02-09
DE69729759T2 (de) 2005-07-07
SG79222A1 (en) 2001-03-20
TW366542B (en) 1999-08-11
US7071090B2 (en) 2006-07-04
EP1158579B1 (en) 2008-11-19
DE69739125D1 (de) 2009-01-02
EP1158578A1 (en) 2001-11-28
DE69729759D1 (de) 2004-08-05
KR100283501B1 (ko) 2001-03-02
SG103272A1 (en)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501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021521B2 (en) Bump conne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aid connection
US6163463A (en) Integrated circuit chip to substrate interconnection
US56332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ump structure used for flip-chip mounting, the bump structure and the flip-chip
US5960262A (en) Stitch bond enhancement for hard-to-bond materials
US6179198B1 (en) Method of soldering bumped work by partially penetrating the oxide film covering the solder bumps
JP2000200859A (ja) チップサイズ半導体パッケ―ジ及びその集合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110162204A1 (en) Integrated device
US5894984A (en) Structure of electronic parts and method of soldering electronic parts to substrate
US52168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onded connections
EP0482940A1 (en) Method of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ntegrated circuit
EP0844656A1 (e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JPS62257738A (ja) ワイヤ・ボンデイング用溶接装置
JPH04225542A (ja) 半導体装置
JPH0348435A (ja) フリップチップ素子の実装構造
JP3439048B2 (ja) 半導体素子、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006957B2 (ja) 半導体装置の実装体
JP2001237271A (ja) 半導体チップ実装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H05206359A (ja) 半導体電子部品及び半導体電子部品の実装方法
JPH05347473A (ja) 配線基板
JPH09214128A (ja) ボンディングツール
JPH0529402A (ja) 電子部品のリード線接続方法
JPH11330125A (ja) キャピラリ、バンプ形成方法、並びに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15519A (ja) 半導体素子
JPH0846088A (ja) Bgaパッケージ,及びbgaパッケージを実装するのに適したプリント回路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