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98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98B1
KR102616198B1 KR1020220129544A KR20220129544A KR102616198B1 KR 102616198 B1 KR102616198 B1 KR 102616198B1 KR 1020220129544 A KR1020220129544 A KR 1020220129544A KR 20220129544 A KR20220129544 A KR 20220129544A KR 102616198 B1 KR102616198 B1 KR 10261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osed
display device
thicknes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272A (ko
Inventor
양태훈
이용수
김성철
김성훈
윤성식
이경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1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보호부재, 제1 접착부재, 표시부재, 제2 접착부재 및 윈도우부재를 포함한다. 표시부재의 두께는 보호부재와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표시부재가 표시패널층, 터치감지층,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더라도,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얇은 두께가 얇다. 표시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벤딩하더라도 접착부재의 디-라미네이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작은 곡률반경으로 표시장치를 벤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반복적으로 벤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표시장치의 형태로 그에 대응하게 변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자장치들은 평판형 표시장치를 구비하였다. 최근에 개발되는 전자장치들은 곡면형, 벤딩형, 롤링형과 같은 플렉서블형 표시장치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보호부재, 윈도우부재, 표시부재, 및 제1 및 제2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재는 외부에 노출된 제1 외면을 제공하고, 상기 윈도우부재는 외부에 노출된 제2 외면을 제공하며,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를 결합한다.
상기 표시부재는 제1 표시패널면 및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패널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층, 제1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터치감지층 및 제2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1 표시패널면, 상기 제2 표시패널면 및 상기 제2 베이스 면 중 어느 하나에 직접 배치된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2 표시패널면 또는 상기 제1 베이스 면에 직접 배치된다. 상기 표시부재의 두께는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상기 표시부재의 두께와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의 비율은 1:1.2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의 두께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비율은 5:3 내지 3:7 일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 두께와 상기 제2 접착부재의 두께의 비율은 상기 보호부재의 두께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비율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2 표시패널면 또는 상기 제1 베이스 면에 직접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차광부분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분은 상기 차광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광부분과 상기 베젤부분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젤부분은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층들 중 제1 층은 상기 차광부분과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층들 중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i번째층(여기서 i는 2 이상의 자연수)은 컬러층일 수 있다.
상기 차광부분과 상기 베젤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층은, 상기 제1 표시패널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층 및 상기 유기 발광소자층을 밀봉하며 상기 제2 표시패널면을 제공하는 박막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베이스층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제2 접착부재에 접촉하는 접착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접착면에 직접 배치되며,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각각이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금속함유층들 및 각각이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복수 개의 금속함유층들과 교번하게 적층된 유전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비발광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1 표시패널면, 상기 제2 표시패널면, 및 상기 제2 베이스 면 중 어느 하나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제1 도전패턴들,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을 커버하는 터치 절연층 및 상기 제1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패턴들 및 상기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재는 표시패널층 및 터치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층은 상기 제1 접착부재에 접촉하는 제1 표시패널면 및 상기 제1 표시패널면과 두께 방향에서 마주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패널면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2 접착부재에 접촉하는 제1 베이스 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패널면에 직접 배치된다.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2 표시패널면에 직접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제1 도전패턴들,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제2 도전패턴들 및 상기 비발광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각각 중첩하는 복수 개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패턴들과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을 절연시키는 터치 절연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재는 표시패널층 및 터치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층은 상기 제1 접착부재에 접촉하는 제1 표시패널면 및 상기 제1 표시패널면과 두께 방향에서 마주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패널면을 제공한다.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2 접착부재에 접촉하는 제1 베이스 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패널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층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직접 배치된 투명 도전층 및 상기 투명 도전층 상에 직접 배치된 제2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터치감지부재, 반사방지부재가 터치감지층, 반사방지층으로써 표시패널에 일체화된다. 표시장치의 두께가 감소된다. 접착부재의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벤딩하더라도 접착부재의 디-라미네이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작은 곡률반경으로 표시장치를 벤딩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3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3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3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봉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부재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2a는 도 11a의 AA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b 및 도 12c는 도 12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1b의 BB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b 및 도 13c는 도 13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는 도 11a 및 도 11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부재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5c는 도 15a 및 도 15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d는 도 15c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소드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3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3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도 2c는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일례로 폴더블 표시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말려지는 롤러블 플렉서블 표시장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화병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벤딩축(B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벤딩되는 벤딩영역(BA), 비벤딩되는 제1 비벤딩영역(NBA1), 및 제2 비벤딩영역(NB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제1 비벤딩영역(NBA1)의 표시면(IS)과 제2 비벤딩영역(NB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내측 벤딩(inner-bending)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I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측 벤딩(outer-bending)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벤딩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벤딩영역(BA)은 도 1b 및 도 1c와 달리 제1 방향축(DR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보호부재(PM), 윈도우부재(WM), 표시부재(DM),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를 포함한다. 표시부재(DM)는 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부재(AM1)는 표시부재(DM)와 보호부재(PM)를 결합하고, 제2 접착부재(AM2)는 표시부재(DM)와 윈도우부재(WM)를 결합한다.
보호부재(PM)는 표시부재(DM)를 보호한다. 보호부재(PM)는 외부에 노출된 제1 외면(OS-L)을 제공하고, 제1 접착부재(AM1)에 접착되는 접착면(AS1)을 제공한다. 이하, 보호부재(PM)의 접착면(AS1)은 다른 부재의 접착면과 구분하기 위해 제1 접착면(AS1)으로 지칭한다. 보호부재(PM)는 외부의 습기가 표시부재(DM)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부재(PM)는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PM)는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PM)를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PM)는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PM)는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재(WM)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부재(DM)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부재(WM)은 외부에 노출된 제2 외면(OS-U)을 제공하고, 제2 접착부재(AM2)에 접착되는 접착면(AS2)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표시면(IS)이 제2 외면(OS-U)일 수 있다. 이하, 윈도우부재(WM)의 접착면(AS2)은 다른 부재의 접착면과 구분하기 위해 제2 접착면(AS2)으로 지칭한다. 윈도우부재(WM)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부재(DM)는 연속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표시패널층(DP), 터치감지층(TS) 및 반사방지층(RPL)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패널층(DP)으로부터 반사방지층(RPL)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표시부재(DM)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층들의 적층 순서가 변결될 수 있고, 기능층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2개의 기능층들이 하나의 기능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표시패널층(DP)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IM, 도 1a 참조)를 생성한다. 표시패널층(DP)은 두께 방향(DR3)에서 마주하는 제1 표시패널면(BS1-L) 및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표시패널층(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 등일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터치감지층(TS)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터치감지층(TS)은 제2 표시패널면(BS1-U)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터치감지층(TS)은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감지층(TS)은 표시패널층(DP)과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감지층(TS)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감지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기 유도 방식과 같이, 2개 타입의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의 터치감지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감지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반사방지층(RPL)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흡수 또는 상쇄간섭시켜 표시장치의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반사방지층(RPL)은 외부광 반사를 방지하는 광학필름, 즉 편광필름 및 λ/4 파장필름을 대체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제1 베이스 면(BS2)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제2 베이스 면(BS3)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방지층(RPL)은 터치감지층(TS)과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터치감지층(TS) 및 반사방지층(RPL)은 표시장치(DD)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별도로 제작된 터치패널 및 광학필름은 표시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해 별도의 접착부재를 요구한다. 또한, 별도로 제작된 터치패널 및 광학필름은 자체 내구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소정 두께 이상을 갖는다.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터치감지층(TS) 및 반사방지층(RPL)은 접착부재를 생략할 수 있고, 얇은 두께로 표시패널층(DP)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 각각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 각각은 광경화 접착물질 또는 열경화 접착물질을 포함하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능층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관절 구조 또는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곡률반경(BR)으로 내측 벤딩(inner-bending)되고,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곡률반경(BR)으로 외측 벤딩(outer-bending)될 수도 있다. 표시장치(DD)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양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벤딩이 반복될 수 있다. 곡률반경(BR)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제1 비벤딩영역(NBA1)과 제2 비벤딩영역(NBA2)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반경(B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a에 도시된 비벤딩 상태로 표시장치(DD)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보호부재(PM)의 두께는 약 30 ㎛ 내지 약 80 ㎛ 일수 있다. 윈도우부재(WM)의 두께는 약 20 ㎛ 내지 약 150 ㎛, 바람직하게는 약 25 ㎛ 내지 약 150 ㎛ 일수 있다. 표시부재(DM)의 두께는 약 30 ㎛ 내지 약 50 ㎛ 일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 각각의 두께는 약 10 ㎛ 내지 약 80 ㎛ 일수 있다.
보호부재(PM), 윈도우부재(WM), 표시부재(DM) 각각의 두께가 상술한 범위를 갖더라도, 표시부재(DM)의 두께는 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합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표시부재(DM)의 두께는 제1 표시패널면(BS1-L)으로부터 제2 표시패널면(BS1-U)까지의 두께를 의미한다. 터치패널 및 광학필름이 표시패널층(DP)에 일체화됨으로써 접착부재들이 생략되고 터치감지층(TS) 및 반사방지층(RPL)의 두께가 감소하여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표시부재(DM)의 두께가 감소됨으로써 벤딩시 표시장치에 발생하는 인장/압축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표시부재(DM)의 두께에 대한 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합의 비율(표시부재(DM)의 두께: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합)은 1:1 내지 1:8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시부재(DM)의 두께에 대한 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합의 비율은 1:1.2 내지 1:4 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재(DM)의 두께가 약 30 ㎛ 내지 약 50 ㎛일 때, 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합은 약 60 ㎛ 내지 약 120 ㎛ 일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PM)의 두께는 약 30 ㎛ 내지 약 50 ㎛, 윈도우부재(WM)의 두께는 약 30 ㎛ 내지 약 70 ㎛ 일 수 있다.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은 4:1 내지 1:5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은 5:3 내지 3:7 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보호부재(PM)의 두께가 약 30 ㎛ 내지 약 50 ㎛ 일 때, 윈도우부재(WM)의 두께는 약 30 ㎛ 내지 약 70 ㎛ 일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의 비율은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에 대응할 수 있다. 두께가 증가할수록 벤딩시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양이 증가된다. 반복적으로 벤딩됨에 따라 보호부재(PM)와 윈도우부재(WM) 각각은 열화되는데,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재의 두께가 증가될수록 벤딩시 발생하는 스트레스 감소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는 보호부재(PM) 및 윈도우부재(WM)의 두께에 대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큰 두께를 갖는 부재에 인접한 접착부재가 큰 두께를 갖는다.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은 1:3 일 때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의 비율은 1:3 일 수 있고,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은 1:1 일 때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의 비율은 1:1 일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의 비율이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과 반드시 동일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의 비율이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에 대응한다"는 것은 +30% 내지 -30%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보호부재(PM)의 두께와 윈도우부재(WM)의 두께의 비율은 1:3 일 때 제1 접착부재(AM1) 및 제2 접착부재(AM2)의 두께의 비율은 1:3.9 내지 1:2.1 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접착부재의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표시장치(DD)의 두께가 감소된다. 표시장치(DD)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벤딩하더라도 제1 및 제2 접착부재들(AM1, AM2)의 디-라미네이션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작은 곡률반경으로 표시장치(DD)를 벤딩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3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표시장치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들(DD)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형태로 표시장치(DD)가 양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벤딩영역(BA)이 좀더 원형에 가깝게 벤딩되어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표시장치(DD) 대비 벤딩영역(BA)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곡률반경(BR)보다 큰 곡률반경(BR)으로 벤딩시킴으로써 벤딩영역(BA)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층들의 적층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TS)은 제1 표시패널면(BS1-L)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는 제1 베이스 면(BS2)과 제1 접착면(AS1)을 결합한다. 반사방지층(RPL)은 제2 표시패널면(BS1-U)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M2)는 제2 베이스 면(BS3)과 제2 접착면(AS2)를 결합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방지층(RPL)은 제2 표시패널면(BS1-U)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터치감지층(TS)은 제2 베이스 면(BS3)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M2)는 제1 베이스 면(BS2)과 제2 접착면(AS2)를 결합한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로 형성되었던 반사방지층(RPL)은 다른 기능층에 통합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터치감지층(TS)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표시패널층(DP)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TS-R)은 반사방지층(RPL)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층(DP-R)은 반사방지층(RPL)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들(TS-R, TS) 각각은 제2 표시패널면(BS1-U)에 직접 배치된다. 제1 접착부재(AM1)는 제1 표시패널면(BS1-L)과 제1 접착면(AS1)을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층(DP)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이하, 플렉서블 표시패널층(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으로 설명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제2 표시패널면(BS1-U)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표시패널면(BS1-U)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비 매트릭스 형태, 예컨대 펜타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i번째 주사 라인(SLi)과 j번째 소스 라인(DLj)에 접속된 하나의 화소(PXij)의 등가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동일한 등가회로를 가질 수 있다.
화소(PXij)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TR1, TR2),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AP), 및 유기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트랜지스터들(TR1, TR2) 및 하나의 커패시터(CAP)를 포함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 구동회로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는 제2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전원라인(PWL)으로 인가된 제1 전원전압(ELVDD)을 수신한다. 유기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수신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j번째 소스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AP)는 제1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5에 표시된 일부 영역(DP-P)에 대응하고, 도 8a은 도 6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커패시터(CAP)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R2) 및 유기발광 소자(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8a 및 도 8b에는 제1 외면(OS-L)에 배치된 제1 접착부재(AM1) 및 보호부재(PM)가 도시되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으로 정의된다. 도 7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는 3개의 서로 다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는 화이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3개 타입의 서로 다른 컬러의 컬러필터들이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 각각 중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광영역에서 소정의 컬러의 광을 방출한다"는 것은 대응하는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을 그대로 방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의 컬러를 변환시켜서 방출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은 4개 타입 이상의 발광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을 에워쌓는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및 제1 비발광영역들(NPXA-1)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2 비발광영역(NPX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의 구동회로, 예컨대 트랜지스터들(TR1, TR2, 도 6 참조) 또는 커패시터(CAP, 도 6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발광영역(NPXA-2)에 신호 라인들, 예컨대 주사 라인(SLi, 도 6 참조), 소스 라인(DLj, 도 6 참조), 전원 라인(PWL, 도 6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비발광영역들(NPXA-1)과 제2 비발광영역(NPXA-2)은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은 마름모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복적으로 배치된 4개 타입의 발광영역들에 4개의 서로 다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층(DP)은 베이스층(SUB), 회로층(DP-CL), 유기발광소자층(DP-OLED), 및 박막봉지층(TFE)을 포함한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도전층과 복수 개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유기발광소자층(DP-OLED)은 복수 개의 도전층과 복수 개의 기능성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폴리 이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이 제1 표시패널면(BS1-L)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는 제1 표시패널면(BS1-L)과 제1 접착면(AS1)을 접착시킨다.
베이스층(SUB)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반도체 패턴(AL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반도체 패턴(AL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는 저온에서 형성되는 아몰포스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층(SUB)의 일면 상에 기능층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들은 배리어층 또는 버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은 배리어층 또는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SUB) 상에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12)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절연층(1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 상에 커패시터(CAP)의 제1 전극(E1)이 배치된다. 제1 제어전극(GE1), 제2 제어전극(GE2), 및 제1 전극(E1)은 주사 라인(SLi, 도 4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E1)은 주사 라인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 및 제1 전극(E1)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4)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절연층(14)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소스 라인(DLj, 도 6 참조) 및 전원 라인(PWL, 도 6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입력전극(S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1: 이하, 제1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2 트랜지스터(TR2)의 입력전극(S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2: 이하,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SE1)은 소스 라인(DLj)으로부터 분기된다. 제2 입력전극(SE2)은 전원 라인(PWL)으로부터 분기된다.
제2 절연층(14) 상에 커패시터(CAP)의 제2 전극(E2)이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소스 라인(DLj) 및 전원 라인(PW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전극(SE1)과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AL1)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전극(E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력전극(DE1)은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관통홀(미 도시)을 통해 제1 전극(E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전극(SE2)과 제2 출력전극(DE2)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AL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제2 트랜지스터(TR2)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1 입력전극(SE1), 제1 출력전극(DE1), 제2 입력전극(SE2), 및 제2 출력전극(DE2)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16)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6)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16)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6) 상에 화소정의막(PXL) 및 유기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다. 화소정의막(PX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XL)은 또 하나의 절연층과 같다. 도 8b의 개구부(OP)는 도 7의 개구부들(OP-R, OP-G, OP-B)에 대응할 수 있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16)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DE2)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도 7 참조)과 비발광영역(NPXA, 도 7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유기 발광층(EML), 전자 제어층(ECL)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정공 제어층(HCL)은 적어도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제어층(ECL)은 적어도 전자 수송층을 포함한다. 이후, 캐소드(CE)를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CE)의 층구조에 따라 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식의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CE) 상에 유기발광소자층(DP-OLED)을 봉지하는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된다. 박막봉지층(TFE)은 수분 및 이물질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TFE)이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버퍼층이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광이 생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영역(PXA)은 유기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AE) 또는 발광층(EML)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유기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유기 발광층(EML)은 비발광영역(NPXA, 도 5 참조) 및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도 5 참조)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기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봉지층들(TFE1, TFE2, TFE3)의 단면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봉지층들(TFE1, TFE2, TFE3)을 설명한다.
박막봉지층은 적어도 2개의 무기 박막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박막을 포함한다. 무기 박막들은 수분으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하고, 유기 박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한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봉지층(TFE1)는 캐소드(CE, 도 8b 참조)에 접촉하는 첫번째 무기 박막(IOL1)을 포함하여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무기 박막(IOL1)은 하부 무기 박막으로 정의되고,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 중 첫번째 무기 박막(IOL1) 이외의 무기 박막들은 상부 무기 박막들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1)는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을 포함하고,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은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최상층에 배치된 층은 유기층 또는 무기층일 수 있다.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은 평균적으로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 각각은 1개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이거나, 각각이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층을 가질 수 있다.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 각각은 유기 모노머들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모노머들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및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봉지층들(TFE2, TFE3) 각각에 포함된 무기박막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무기물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박막봉지층들(TFE2, TFE3) 각각에 포함된 유기박막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유기물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봉지층(TFE2)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 박막(IOL1), 제1 유기 박막(OL1), 제2 무기 박막(IOL2), 제2 유기 박막(OL2), 및 제3 무기 박막(IO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박막(IOL1)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층(S1)은 리튬 플로라이드층일 수 있고, 제2 서브층(S2)은 알루미늄 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1 유기 박막(OL1)은 제1 유기 모노머층이고, 제2 무기 박막(IOL2)은 제1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이고, 제2 유기 박막(OL2)은 제2 유기 모노머층이고, 제3 무기 박막(IOL3)은 제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일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봉지층(TFE3)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 박막(IOL10), 제1 유기 박막(OL1), 제2 무기 박막(IOL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박막(IOL1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층(S10)은 리튬 플로라이드층일 수 있고, 제2 서브층(S20)은 실리콘 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1 유기 박막(OL1)은 유기 모노머층이고, 제2 무기 박막(IOL2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무기 박막(IOL20)은 서로 다른 증착 환경에서 증착된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은 저전원 조건에서 증착되고 제2 서브층(S200)은 고전원 조건에서 증착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 각각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일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DM)의 단면도들이다. 반사방지층(RPL)은 단층으로 도시되었고, 표시패널층(DP)은 일부만 도시하였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TS)은 제1 도전층(TS-CL1), 제1 터치 절연층(TS-IL1), 제2 도전층(TS-CL2),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을 포함한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과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T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T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은 터치전극들 및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을 절연시키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의 형상에 따라 제1 터치 절연층(TS-IL1)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후술하는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거나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층(TS-CL1)은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박막봉지층(TFE)이 터치감지층(TS)이 배치되는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도 10b에 도시된 표시패널층(DP)은 도 10a에 도시된 표시패널층(DP) 대비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버퍼층(BF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이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버퍼층(BFL)은 유기층으로, 그 목적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굴절률 매칭을 위한 유기층/무기층이거나, 외부광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컬러필터층일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층(TS-CL1)은 제1 표시패널면(BS1-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상에 제1 터치 절연층(TS-IL1)이 배치되고,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제2 도전층(TS-CL2)이 배치되고, 제2 도전층(TS-CL2) 상에 제2 터치 절연층(TS-IL2)이 배치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층(TS)의 도전층들(TS-CL1, TS-CL2)의 평면도들이다. 도 12a는 도 11a의 AA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b 및 도 12c는 도 12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1b의 BB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b 및 도 13c는 도 13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는 도 11a 및 도 11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4b는 표시모듈의 구성들 중 터치감지층(TS)과 표시패널층(DP)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2b는 도 12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12c는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3b는 도 13a의 II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13c는 도 13a의 IV-IV'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4b는 도 14a의 V-V'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2b, 도 12c, 도 13b, 도 13c, 및 도 14b에서 회로층(DP-CL)은 간략히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2층형(2-layer) 정전용량식 터치감지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2층형(2-layer)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층은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좌표 정보 획득을 위한 구동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a의 제1 도전패턴들은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1 도전층(TS-CL1)에 대응하고, 도 11b의 제2 도전패턴들은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2 도전층(TS-CL2)에 대응한다.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에는 3개의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그에 연결된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이다. 메쉬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들(SP1)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도전패턴들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b에는 3개의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그에 연결된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절연 교차한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이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들(SP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은 정전결합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에 터치 감지 신호들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 사이에 커패시터들이 형성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센서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부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교차하는 부분으로 정의되면 충분하고, 센서부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비중첩하는 부분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일정한 너비를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센서부(SP1)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제1 센서부(SP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은 메쉬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쉬선의 선폭은 수 마이크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센서부(SP1)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구비한 메쉬 형상을 갖는다. 터치 개구부들(TS-OP)이 발광영역들(PXA)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터치 개구부(TS-OP)는 2 이상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한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2 표시패널면(BS1-U) 상에 배치되어 제1 센서부(SP1, 도 12a 참조), 즉 제1 가로부(SP1-L)를 커버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연결부(CP1) 및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표시패널면(BS1-U)은 박막봉지층(TFE)이 제공한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되고,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한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한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센서부(SP2)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된다. 제2 센서부(SP2)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제2 센서부(SP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세로부들(SP2-C)과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가로부들(SP2-L)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2 세로부들(SP2-C)과 복수 개의 제2 가로부들(SP2-L)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2 센서부(SP2)는 메쉬 형상을 갖는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되어 제2 센서부(SP2)를 커버한다.
도 14a는 도 11a와 도 11b가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결부(CP1)는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제3 세로부들(CP1-C1, CP1-C2) 및 제3 세로부들(CP1-C1, CP1-C2)을 연결하는 제3 가로부들(CP1-L)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3 세로부들(CP1-C1, CP1-C2)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연결부(CP2)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된 제4 가로부들(CP2-L1, CP2-L2) 및 제4 가로부들(CP2-L1, CP2-L2)을 연결하는 제4 세로부들(CP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연결부(CP2) 또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및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메쉬 형상을 갖고, 제1 및 제2 절연층들(TS-IL1, TS-IL2)에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절연 개구부들(IL1-OP, IL2-OP)이 정의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플렉서블리티가 향상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DD)가 벤딩될 때,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및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에 인가되는 인장 스트레스/압축 스트레스가 감소됨으로써 그것들의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층(TS)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5c는 도 15a 및 도 15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d는 도 15c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d는 도 15c의 VI-V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5d에서 회로층(DP-CL)은 간략히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1층형(1-layer) 정전용량식 터치감지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좌표 정보 획득을 위한 구동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15a의 제1 도전패턴들은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1 도전층(TS-CL1)에 대응하고, 도 15b의 제2 도전패턴들은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2 도전층(TS-CL2)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5a의 제1 도전패턴들은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2 도전층(TS-CL2)에 대응하고, 도 15b의 제2 도전패턴들은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1 도전층(TS-CL1)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1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TE1-3),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도전패턴들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들(CP2)은 브릿지 기능을 갖는다.
도 15c 및 도 1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연결부(CP2)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TS-CH1)과 제2 관통홀(TS-CH2)을 통해 제2 센서부들(SP2) 중 제2 방향(DR2)에서 인접한 2개의 제2 센서부들(SP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절연층(TS-IL1)의 평면상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표시영역(DA) 전체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도 15b에 도시된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에 중첩하면 충분하고,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에 대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5d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부재의 도전패턴들을 도시하였다. 터치감지부재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감지부재는 노이즈 감소를 위한 노이즈 차폐패턴, 광학 밸런스 향상을 위한 더미패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표시장치의 구성들 중 표시부재(DM), 제2 접착부재(AM2) 및 윈도우부재(WM)가 도시되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2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 및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였다. 제1 베이스 면(BS2) 상에 상에 반사방지층(RPL)이 배치된다. 반사방지층(RPL)은 블랙매트릭스(BM-P1, BM-P2) 및 컬러필터들(CF)를 포함한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비발광영역(NPXA) 및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하고, 컬러필터들(CF)은 발광영역들(PXA)에 각각 중첩한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 및 컬러필터들(CF)은 제2 베이스 면(BS3)을 정의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CF)은 복수 개의 그룹들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컬러필터들(CF)은 레드 컬러필터들, 그린 컬러필터들, 및 블루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CF)은 그레이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광을 차단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유기발광 소자들(OLED)로부터 생성된 광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하, 외부광)을 흡수한다. 예컨대,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광흡수율이 높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검정색 안료 또는 검정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감광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컬러필터들(CF)은 유기발광 소자들(OLED)로부터 생성된 광을 투과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외부광은 컬러필터들(CF)을 통과함에 따라 광량 중 약 1/3로 감소된다. 컬러필터들(CF)을 통과한 광은 일부 소멸되고, 컬러필터들(CF)의 아래에 배치된 구성들, 예컨대 유기발광소자층(DP-OLED), 및 박막봉지층(TFE) 등으로부터 일부 반사된다. 반사된 광은 컬러필터들(CF)로 다시 입사된다. 상기 반사광은 컬러필터들(CF)을 통과하면서 휘도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외부광 중 일부만이 표시장치로부터 반사된다. 즉,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한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하는 차광부분(BM-P1) 및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하는 베젤부분(BM-P2)을 포함한다. 차광부분(BM-P1)은 제1 두께(TH1)를 갖고, 베젤부분(BM-P2)은 제1 두께(TH1)보다 큰 제2 두께(TH2)를 갖는다. 베젤부분(BM-P2)은 차광부분(BM-P1)보다 큰 차광효율을 갖는다. 차광부분(BM-P1)은 발광영역들(PXA)로부터 생성된 광들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 충분하다. 그에 비해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 도 11a) 및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 도 11b 참조)이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기 위해 베젤부분(BM-P2)은 더 높은 차광율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베젤부분(BM-P2)은 차광부분(BM-P1)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차광부분(BM-P1)과 베젤부분(BM-P2)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면(BS2) 상에 예비 블랙매트릭스층(pre-black matrix layer)을 형성한 후, 컬러필터들(CF)이 형성될 영역을 완전히 제거하고, 차광부분(BM-P1)이 형성될 영역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예비 블랙매트릭스층의 두께를 영역에 따라 차등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영역에 따라 두께가 다른 일체형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차광부분(BM-P1)과 베젤부분(BM-P2)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도 있다.
제2 베이스 면(BS3) 상에 제2 접착부재(AM2)가 직접 배치된다. 제2 접착부재(AM2)는 제2 베이스 면(BS3)과 제2 접착면(AS2)을 접착한다.
윈도우부재(WM)는 베이스 필름(WBF), 하드코팅층(WHCL), 및 기능성 코팅층(HFL)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필름(WBF)이 제2 접착면(AS2)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WBF)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수지,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베이스 필름(WBF)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WBF)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WHCL)은 윈도우부재(WM)의 경도를 증가시킨다. 하드코팅층(WHCL)은 실리콘 계열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하드 코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HFL)은 지문 방지층, 반사방지층, 및 자기 복원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드코팅층(WHCL), 및 기능성 코팅층(HFL)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고, 어느 하나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WBF), 하드코팅층(WHCL), 및 기능성 코팅층(HFL)의 적층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WHCL), 및 기능성 코팅층(HFL) 각각은 코팅, 프린팅 방식 등에 의해 베이스 필름(WBF)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롤코팅, 실크스크린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릿 코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6c 내지 도 16e는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였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반사방지층(RPL)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젤부분(BM-P2)은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c는 3층 구조의 베젤부분(BM-P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복수 개의 층들 중 최하위층은 차광부분(BM-P1)과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예비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제1 층(최하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예비층과 제3 예비층을 형성한 후 각각 패터닝하여 제2 층과 제3 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예비층 내지 제3 예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영역에 따라 다르게 패터닝하여 3층 구조의 베젤부분(BM-P2)과 1층 구조의 차광부분(BM-P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층 내지 제3 층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검정색 안료 또는 검정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층 및 제3 층은 검정색이 아닌 다른 컬러층으로, 유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 및 제3 층은 동일한 컬러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은 헤어 라인이나 직조 패턴과 같은 기하학 무늬를 제공하는 장식층일 수 있다. 제3 층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조절하거나 외부광의 반사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광학층일 수 있다.
도 1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하고, 컬러필터들(CF)은 발광영역들(PXA)에 각각 중첩한다. 컬러필터들(CF)은 비발광영역(NPXA)에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제1 베이스 면(BD2) 상에 컬러필터들(CF)을 형성한 후 블랙매트릭스(BM-P1, BM-P2)를 형성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컬러필터들(CF) 및 블랙매트릭스(BM-P1, BM-P2)를 형성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컬러필터들(CF)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랙매트릭스(BM-P1, BM-P2)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하고, 컬러필터들(CF)은 발광영역들(PXA)에 각각 중첩한다. 컬러필터들(CF)은 비발광영역(NPXA)에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제1 베이스 면(BD2) 상에 블랙매트릭스(BM-P1, BM-P2)를 형성한 후 컬러필터들(CF)을 형성한다. 컬러필터들(CF)은 블랙매트릭스(BM-P1, BM-P2)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6d 및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광부분(BM-P1)과 베젤부분(BM-P2)은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분(BM-P1)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면들(SS1)을 포함한다. 베젤부분(BM-P2) 역시 경사진 제2 측면들(SS2)을 포함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블랙매트릭스(BM)를 제2 표시패널면(BS1-U)에 직접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측면들(SS1, SS2)은 경사를 갖는다.
블랙매트릭스(BM-P1, BM-P2)와 컬러필터들(CF)의 제조 순서에 따라 상기 측면들(SS1, SS2)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도 1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따라 상기 측면들(SS1, SS2)은 컬러필터들(CF)로부터 노출된 부분이 경사를 형성한다.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측면들(SS1, SS2)의 상기 노출된 부분의 경사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따라 상기 측면들(SS1, SS2)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다.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한 경사의 측면들(SS1, SS2)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들(SS1, SS2)의 경사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광부분(BM-P1)과 베젤부분(BM-P2)은 밑면(제2 터치 절연층(TS-IL2)에 접촉하는 일면)이 상면(제2 터치 절연층(TS-IL2)에 비접촉하는 타면)보다 큰 너비를 갖는다. 상기 너비는 제1 방향(DR1)에서 측정되었다.
도 16f 내지 도 16g는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였다. 도 16a 내지 도 16e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부재(WM) 및 반사방지층(RPL)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광부분(BM-P1)과 베젤부분(BM-P2)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윈도우부재(WM)는 제2 접착면(AS2)에 직접 배치된 에지 블랙매트릭스(WB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블랙매트릭스(WBM)는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할 수 있다. 에지 블랙매트릭스(WBM)은 베젤부분(BM-P2)을 보충하여 비표시영역(NDA)의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도 16g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젤부분(BM-P2)은 생략될 수 있고, 이때 에지 블랙매트릭스(WBM)은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에지 블랙매트릭스(WBM)의 층구조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a 내지 도 16e를 참조하여 설명한 베젤부분(BM-P2)의 층구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6g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a 및 도 17c는 도 12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17b 및 도 17d는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였다. 표시장치의 구성들 중 표시부재(DM), 제2 접착부재(AM2) 및 윈도우부재(WM)가 도시되었으며, 윈도우부재(WM)은 단층으로 간략히 도시되었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방지층(RPL)은 각각이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하는 금속함유층(ML1, ML2) 및 각각이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하는 유전체층들(IL1, IL2)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금속함유층(ML1, ML2)과 2개의 유전체층들(IL1, IL2)을 포함하는 반사방지층(RP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금속함유층(ML1, ML2)과 유전체층들(IL1, IL2)은 교번하게 적층될 수 있다. 적층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금속함유층(ML1)은 흡수율이 약 30%이상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함유층(ML1)은 굴절률(n)이 약 1.5 내지 7 사이이고, 흡수 계수(k)가 약 1.5 내지 7 사이의 물질일 수 있다. 제1 금속함유층(ML1)은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산화구리(CuO), 질화티타늄(TiNx) 및 황화니켈(Ni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함유층(ML1)은 상술한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층일 수 있다. 제2 금속함유층(ML2) 역시 상술한 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전체층(IL1) 및 제2 유전체층(IL2)은 산화실리콘(SiO2), 산화티타늄(TiO2), 불소화리튬(LiF), 불화칼슘(CaF2), 불화마그네슘(MaF2), 질화실리콘(SiNx), 산화탄탈륨(Ta2O5), 산화나이오븀(Nb2O5), 실리콘카본나이트라이드(SiCN), 산화몰리브덴(MoOx), 산화철(FeOx) 및 산화크롬(CrOx)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OL)은 제1 금속함유층(ML1)으로부터 일부 반사되고(이하, 제1 반사광(RL1)), 제2 금속함유층(ML2)으로부터 일부 반사된다(제2 반사광(RL2)).
제1 유전체층(IL1)은 제1 반사광(RL1)과 제2 반사광(RL2)의 위상 차이가 약 180°가 되도록 제1 유전체층(IL1)을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조절한다. 그에 따라 제1 반사광(RL1)과 제2 반사광(RL2)은 상쇄된다.
제1 금속함유층(ML1), 제2 금속함유층(ML2), 제1 유전체층(IL1), 및 제2 유전체층(IL2)의 두께, 재료 등은 제1 반사광(RL1)과 제2 반사광(RL2)이 상쇄 간섭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c 및 도 17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방지층(RPL)은 블랙매트릭스(BM-P1, BM-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e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랙매트릭스(BM-P1, BM-P2)와 동일한 형상의 블랙매트릭스(BM)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블랙매트릭스(BM-P1, BM-P2)의 형상, 두께, 적층 구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윈도우부재(WM)와 블랙매트릭스(BM-P1, BM-P2)의 형상은 도 16f 및 도 16g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g는 도 12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였다. 표시장치의 구성들 중 표시부재(DM), 제2 접착부재(AM2) 및 윈도우부재(WM)가 도시되었으며, 윈도우부재(WM)은 단층으로 간략히 도시되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7d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a 내지 도 18g에 도시된 표시장치들은 도 4c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체화된 실시예들이다. 터치감지층(TS-R)은 외부 입력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광 반사를 감소시킨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TS-R)은 컬러필터들(CF)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도 1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표시패널면(BS1-U) 상에 제1 터치 절연층(TS-IL1)이 배치된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에는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이 정의된다. 컬러필터들(CF)은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의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CF)의 컬러들은 유기발광 소자들(OLED)로부터 생성되는 광의 컬러들을 고려하여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마다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레드 컬러필터들은 레드 광을 생성하는 유기발광 소자들(OLED)에 중첩하게 배치되고, 그린 컬러필터들은 그린 광을 생성하는 유기발광 소자들(OLED)에 중첩하게 배치되고, 블루 컬러필터들은 블루 광을 생성하는 유기발광 소자들(OLED)에 중첩하게 배치된다.
컬러필터들(CF)은 유기발광 소자들(OLED)로부터 생성된 광을 투과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외부광은 컬러필터들(CF)을 통과함에 따라 광량 중 약 1/3로 감소된다. 컬러필터들(CF)을 통과한 광은 일부 소멸되고, 유기발광소자층(DP-OLED), 및 박막봉지층(TFE) 등으로부터 일부 반사된다. 반사된 광은 컬러필터들(CF)로 입사된다. 상기 반사광은 컬러필터들(CF)을 통과하면서 휘도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외부광 중 일부만이 표시장치로부터 반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절연층(TS-IL1)과 컬러필터들(CF)은 하나의 층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도 16b 및 도 16c에서 설명한 블랙매트릭스(BM)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제2 터치 절연층(TS-IL2)이 배치된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에는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절연 개구부들(IL2-OP)이 정의된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과 컬러필터들(CF)은 단차진 형상의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치감지층(TS-R)은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과 제2 터치 절연층(TS-IL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한번의 공정을 통해서 대응하는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가 형성된 후 컬러필터들(CF)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CF)은 잉크젯 프린팅과 같은 인쇄방식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2c와 동일하거나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된 블랙매트릭스(BM-P1, BM-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a의 II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8a에 도시된 것과 센서부의 위치만 상이하다.
도 1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된다. 도 18a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2 터치 절연층(TS-IL2)에 복수 개의 제2 절연 개구부들(IL2-OP)이 정의되지 않는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이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한다.
도 1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컬러필터(CF)는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의 내측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이 동시에 형성됨에 따라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는 서로 얼라인된다. 컬러필터(CF)는 제1 절연 개구부(IL1-OP)의 내측으로부터 제2 절연 개구부(IL2-OP)의 내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컬러필터(CF)의 두께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의 두께들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과 컬러필터들(CF)이 평탄한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랙매트릭스(BM)가 제2 터치 절연층(TS-I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에는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투과 개구부들(BM-OP)이 정의된다. 블랙매트릭스(BM)와 컬러필터들(CF)이 단차진 형상의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랙매트릭스(BM)는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 각각의 내측벽을 더 커버할 수 도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8a 및 도 18c에 도시된 제1 터치 절연층(TS-IL1)과 제2 터치 절연층(T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블랙매트릭스(BM)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블랙매트릭스(BM)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8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봉지층(TFE)이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컬러필터들(CF)은 제2 표시패널면(BS1-U) 상에 배치된다. 컬러필터들(CF) 각각은 중심부분(CF-C) 및 엣지부분(CF-E)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분(CF-C)은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 중 대응하는 발광영역에 중첩한다. 엣지부분(CF-E)은 중심부분(CF-C)으로부터 연장되고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하며 제1 도전패턴 즉, 제1 센서부(SP1)의 제1 가로부(SP1-L)에 중첩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컬러필터들(CF)은 제1 연결부(CP1)에도 중첩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CF) 각각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엣지부분(CF-E)이 중심부분(CF-C)을 에워싸을수 있다.
인접한 컬러필터들(CF) 각각의 엣지부분(CF-E)은 제1 가로부(SP1-L)에 접촉하고, 제1 가로부(SP1-L)을 커버할 수 있다. 인접한 컬러필터들(CF) 의 엣지부분들(CF-E)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인접한 컬러필터들(CF) 의 엣지부분들(CF-E)은 제1 가로부(SP1-L)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며, 상보 보완적으로 제1 도전패턴을 완전히 커버한다.
블랙매트릭스(TS-BM)가 컬러필터들(CF) 상에 배치된다. 도 18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랙매트릭스(TS-BM)는 컬러필터들(CF)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TS-BM)에는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투과 개구부들(BM-OP)이 정의된다. 블랙매트릭스(TS-BM)와 컬러필터들(CF)이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한다.
블랙매트릭스(TS-BM)은 비발광영역(NPXA)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과 복수 개의 투과 개구부들(BM-OP)의 평면상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랙매트릭스(TS-BM)은 비발광영역(NPX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예컨대 블랙매트릭스(TS-BM)은 비발광영역(NPXA)과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서 동일한 너비들을 가짐)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과 복수 개의 투과 개구부들(BM-OP)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8f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TS-R)은 제1 블랙매트릭스(TS-BM1)와 제2 블랙매트릭스(TS-BM2)를 포함한다. 제1 블랙매트릭스(TS-BM1)는 제2 표시패널면(BS1-U) 상에 배치되고, 제1 도전패턴, 즉 제1 가로부(SP1-L)를 커버한다. 제1 블랙매트릭스(TS-BM)에는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투과 개구부들(BM1-OP)이 정의된다.
인접한 컬러필터들(CF)의 엣지부분들(CF-E)은 제1 블랙매트릭스(TS-BM1)에 접촉하고, 제1 블랙매트릭스(TS-BM1)를 커버할 수 있다. 인접한 컬러필터들(CF)은 상보 보완적으로 제1 블랙매트릭스(TS-BM1)를 완전히 커버한다.
제2 블랙매트릭스(TS-BM2)는 컬러필터들(CF) 상에 배치된다. 제2 블랙매트릭스(TS2-BM)에는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투과 개구부들(BM2-OP)이 정의된다. 제2 블랙매트릭스(TS-BM2)와 컬러필터들(CF)이 제1 베이스 면(BS2)을 제공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소드의 단면도들이다. 도 19a는 도 12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19b는 도 12a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표시부재(DM)의 구성들 중 표시패널층(DP) 및 터치감지층(TS)이 도시되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8f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표시장치는 도 4d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체화된 실시예들이다. 표시패널층(DP)은 이미지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외부광 반사를 감소시킨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표시패널층(DP)의 캐소드(CE-R)는 반사감지층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터치감지층(TS)은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터치감지층(TS)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도 18a 내지 도 18f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소드(CE-R)는 제1 금속층(CE-M1), 제1 금속층(CE-M1) 상에 직접 배치된 투명 도전층(CE-M2) 및 투명 도전층(CE-M2) 상에 직접 배치된 제2 금속층(CE-M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캐소드(CE-R)는 전원전압을 수신할 뿐만 아니라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OL)은 제1 금속층(CE-M1), 투명 도전층(CE-M2), 및 제2 금속층(CE-M3)에서 각각 반사된다. 제1 금속층(CE-M1), 투명 도전층(CE-M2), 및 제2 금속층(CE-M3)에서 반사된 광들을 제1 반사광(RL1), 제2 반사광(RL2) 및 제3 반사광(RL3)으로 각각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광(RL2) 및 제3 반사광(RL3)이 제1 반사광(RL1)과 상쇄 간섭하여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반사광(RL2) 및 제3 반사광(RL3)의 합산된 광량이 제1 반사광(RL1)의 광량과 같고 위상이 정반대(위상차 180도를 가짐)라면, 상쇄 간섭이 발생한다.
제1 금속층(CE-M1)은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크롬(Cr), 타타늄(Ti), 니켈(Ni), 금(Au), 탄탈룸(Ta), 구리(Cu), 칼슘(Ca), 코발트(Co), 철(Fe), 몰리브덴(Mo), 텅스텐(W), 백금(Pt), 이터븀(Yb) 및 바륨(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들은 낮은 저항을 갖기 때문에 전원 전압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 금속층(CE-M1)으로 적합하다. 또한, 증착이 용이하고, 산소 및 수분과의 반응성이 낮아 적합하다. 제1 금속층(CE-M1)의 두께는 50nm 내지 500nm일 수 있다.
투명 도전층(CE-M2)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예컨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AZO), 인듐 갈륨 옥사이드(IGO), 갈륨 인듐 징크 옥사이드(GIZO),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및 징크 옥사이드(Z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CE-M2)은 금속 및 유전체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CE-M2)은 제1 반사광(RL1)과 나머지 반사광들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시킨다. 투명 도전층(CE-M2)의 두께는 상술한 상쇄간섭이 발생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3 반사광(RL3)은 제1 반사광(RL1)과 상쇄 간섭을 일으킨다. 소멸간섭을 일으키기 위해서 제3 반사광(RL3)과 제1 반사광(RL1)은 서로 위상이 반대이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소멸간섭은 아니더라도 효과적인 상쇄간섭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3 반사광(RL3)과 제1 반사광(RL1)은 유사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금속층(CE-M3)은 광 흡수량이 큰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흡수량이 큰 금속은 상쇄간섭으로 완전히 소멸되지 않은 광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속의 광 흡수량은 굴절률과 흡수계수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굴절률과 흡수계수의 곱의 값이 큰 금속일수록 제2 금속층(CE-M3)의 재료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제2 금속층(CE-M3)은 크롬(Cr), 티타늄(Ti), 마그네슘(Mg), 몰리브덴(Mo), 코발트(Co), 니켈(Ni), 텅스텐(W), 알루미늄(Al), 은(Ag), 금(Au), 구리(Cu), 철(Fe), 칼슘(Ca), 백금(Pt), 이터븀(Y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층(CE-M3)의 두께는 1nm 내지 25nm일 수 있다.
도 2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소드(CE-R)는 제2 금속층(CE-M3) 상에 배치된 제3 금속층(CE-M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금속층(CE-M4)으로부터 반사된 제4 반사광(RL4) 역시 제1 반사광(RL1)과 상쇄 간섭하도록 캐소드(CE-R)를 설계할 수 있다.
제3 금속층(CE-M4)은 전하(전자)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낮은 일함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금속층(CE-M4)이 캐소드(CE-R)의 최상층을 구성하는 경우, 산소 및 수분과 반응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금속층(CE-M4)은 일함수가 4.6 eV 이하인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 제3 금속층(CE-M4)은 일함수가 3.7 eV 이하인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3 금속층(CE-M4)은 이터븀(Yb),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티나늄(Ti), 마그네슘(Mg), 리튬(Li), 세슘(Cs), 바륨(Ba) 및 칼륨(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금속층(CE-M4)의 두께는 1nm 내지 15n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금속층(CE-M1), 투명 도전층(CE-M2), 및 제2 금속층(CE-M3)은 캐소드(CE-R)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방지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해 캐소드(CE)와 별도로 표시패널층(DP)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WM: 윈도우부재 DM: 표시부재
AM1: 제1 접착부재 AM2: 제2 접착부재
PM: 보호부재

Claims (20)

  1. 보호부재;
    윈도우부재;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재;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결합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를 결합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제2 면에 접촉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에 마주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직접 배치된 터치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의 두께는 30 μm 내지 50 μm이고,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보다 작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면을 제공하는 최상측의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4 면을 제공하는 최상측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상측의 절연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최상측의 무기층과 상기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제3 면을 제공하는 최하측의 절연층 및 상기 최상측의 절연층과 상기 최하측의 절연층 사이에 배치된 도전패턴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유기층과 무기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베이스층보다 더 두꺼운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의 두께와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의 비율은 1:1.2 내지 1:4인 것을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두께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비율은 5:3 내지 3:7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와 상기 제2 접착층의 두께의 비율은 상기 보호부재의 두께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제2 접착층 상에 배치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터치감지층 상에 직접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최상측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최상측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각각 중첩하는 복수 개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측의 절연층은 무기물질 또는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4. 보호부재;
    윈도우부재;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재;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결합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를 결합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들;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들 상에 배치된 무기층;
    상기 무기층 상에 배치된 도전 패턴; 및
    상기 도전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착층에 접촉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절연층의 상기 상면 사이의 두께는 30 μm 내지 50 μm이고,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15. 보호부재;
    윈도우부재;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부재;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결합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를 결합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마주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제2 면에 접촉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에 마주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직접 배치된 터치감지층; 및
    상기 제4 면에 접촉하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에 마주하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6 면 사이에 접착층이 미-배치되도록 상기 제4 면 상에 직접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6 면 사이의 두께는 30 μm 내지 50 μm이고,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윈도우부재의 두께의 합보다 작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은 복수 개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컬러필터들 각각은 상기 제6 면을 정의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4 면 상에 직접 배치된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차광부분; 및
    상기 차광부분에 인접한 베젤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분은 상기 차광부분보다 더 두꺼운 플렉서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분과 상기 베젤부분은 일체의 형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분은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층들 중 제1 층은 상기 차광부분과 일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층은 도전패턴 및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220129544A 2016-03-25 2022-10-11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1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44A KR102616198B1 (ko) 2016-03-25 2022-10-11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371A KR102454824B1 (ko) 2016-03-25 2016-03-25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220129544A KR102616198B1 (ko) 2016-03-25 2022-10-11 플렉서블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71A Division KR102454824B1 (ko) 2016-03-25 2016-03-25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272A KR20220141272A (ko) 2022-10-19
KR102616198B1 true KR102616198B1 (ko) 2023-12-22

Family

ID=583876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71A KR102454824B1 (ko) 2016-03-25 2016-03-25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220129544A KR102616198B1 (ko) 2016-03-25 2022-10-11 플렉서블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71A KR102454824B1 (ko) 2016-03-25 2016-03-25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347700B2 (ko)
EP (1) EP3223122B1 (ko)
KR (2) KR102454824B1 (ko)
CN (2) CN116863825A (ko)
TW (1) TWI721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61B1 (ko)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KR101821782B1 (ko) * 2016-03-11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3536B1 (ko) 2016-06-28 2023-03-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장식 및 디스플레이 커버 적용(application)을 위한 커브드(curved) 몰딩된(molded) 플라스틱 표면에 대한 얇은 강화된 유리의 적층(laminating)
TWI730140B (zh) 2016-07-05 2021-06-11 美商康寧公司 冷成形玻璃製品及其組裝製程
CN115403280B (zh) 2016-10-25 2024-03-19 康宁公司 用于显示器的冷成形玻璃积层
US10712850B2 (en) 2017-01-03 2020-07-14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EP3981590A1 (en) 2017-01-03 2022-04-13 Corning Incorporated Kit having a curved glass substrate
JP7357546B2 (ja) 2017-05-15 2023-10-0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輪郭形成済みガラス物品及びその作製方法
KR102363844B1 (ko) 2017-07-14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WO2019017915A1 (en) 2017-07-18 2019-01-24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GLASS ARTICLES WITH COMPLEX CURVATURE
KR102564868B1 (ko) 2017-09-12 2023-08-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장식용 유리 상에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데드프론트 및 관련 방법
TW202340816A (zh) 2017-09-13 2023-10-16 美商康寧公司 用於顯示器的基於光導器的無電面板、相關的方法及載具內部系統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KR102374754B1 (ko) * 2017-09-27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6547B1 (ko) 2017-09-29 2022-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TWI844520B (zh) 2017-10-10 2024-06-11 美商康寧公司 具有改善可靠性的彎曲的覆蓋玻璃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
WO2019074932A1 (en) * 2017-10-11 2019-04-18 Corning Incorporated FOL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HAVING SHOCK RESISTANCE AND FLEXIBILITY
KR102460376B1 (ko) * 2017-10-27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765921B (zh) * 2017-10-31 2021-06-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柔性基板及柔性基板制作方法
WO2019103469A1 (en) 2017-11-21 2019-05-31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1656254B (zh) 2017-11-30 2023-06-02 康宁公司 用于真空成形非球面镜的系统与方法
US11550148B2 (en) 2017-11-30 2023-01-10 Corning Incorporate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KR102370712B1 (ko) * 2017-11-30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8752B1 (ko) * 2018-01-03 2022-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155219B (zh) * 2018-01-04 2024-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弯折方法及显示装置
CN108054191B (zh) * 2018-01-11 2020-0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94730B1 (ko) 2018-02-01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62900B1 (ko) 2018-02-02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장치 및 터치감지 표시장치
KR102488080B1 (ko) 2018-02-05 2023-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0422B1 (ko) 2018-03-0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EP3765425B1 (en) 2018-03-13 2023-11-08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rack resistant curved cover glas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102547124B1 (ko) * 2018-03-30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42878B1 (ko) * 2018-06-11 2024-03-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하는 광 조사 장치
CN108807485B (zh) * 2018-06-25 2020-12-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566782A (zh) 2018-07-16 2021-03-26 康宁公司 具冷弯玻璃基板的车辆内部系统及其形成方法
CN108986664B (zh) * 2018-07-18 2023-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制造方法、柔性显示装置及制造方法
JP2020027190A (ja) * 2018-08-13 2020-02-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14820B1 (ko) * 2018-08-21 2023-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77329B2 (en) * 2018-09-04 2021-11-16 Apple Inc. Viewing angle color shift control
US10872939B2 (en) 2018-09-04 2020-12-22 Apple Inc. Viewing angle color shift control
KR102488401B1 (ko) 2018-09-05 202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192762B (zh) * 2018-09-06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580792B1 (ko) * 2018-09-27 2023-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708167B1 (ko) 2018-10-05 202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715075B1 (ko) 2018-10-12 2024-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14975B1 (ko) * 2018-10-15 2024-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57392A (ko) * 2018-11-16 2020-05-26 (주)대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덮는 투명 커버, 투명 커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645189B1 (ko) * 2018-11-20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705173B1 (ko) * 2018-11-30 2024-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0123367A1 (en) 2018-12-10 2020-06-18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CN113272880A (zh) * 2019-01-11 2021-08-17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显示器的基板
KR102668852B1 (ko) 2019-01-14 2024-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91982A (ko) * 2019-01-23 2020-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0889A (ko) * 2019-02-18 2020-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705238B1 (ko) * 2019-02-19 2024-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627613B1 (ko) * 2019-02-22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9801955A (zh) * 2019-02-27 2019-05-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668705B1 (ko) * 2019-03-21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44268B2 (en) 2019-03-26 2022-09-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 cover layers
KR20200124099A (ko) * 2019-04-23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688018B1 (ko) * 2019-05-13 202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10004006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39429B1 (ko) 2019-07-12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771695A1 (en) 2019-07-31 2021-02-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CN110597420B (zh) * 2019-09-25 2023-06-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组件和显示装置
KR102708171B1 (ko) * 2019-11-04 2024-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10826B (zh) * 2019-11-29 2020-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EP4065366A1 (en) 2019-11-30 2022-10-05 DuPont Electronics, Inc. Cover window assembly, related articles and methods
KR20210069768A (ko) * 2019-12-03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77848A (ko) 2019-12-17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106611A (ko) 2020-02-20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8535A (ko) * 2020-02-25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KR20210156914A (ko) * 2020-06-18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533811B2 (en) * 2020-08-14 2022-12-20 Au Optronic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KR20220033643A (ko) * 2020-09-09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N112117313B (zh) * 2020-09-10 2024-01-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屏及电子设备
KR20220037007A (ko) * 2020-09-16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39952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42022A (ko) * 2020-09-25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51750B (zh) 2020-10-22 2022-01-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顯示裝置的製造方法與導光觸控模組的製造方法
KR20220086771A (ko) 2020-12-16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220102190A (ko) * 2021-01-12 2022-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140073A (ko) * 2021-04-08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2091357B2 (en) 2021-08-05 2024-09-17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KR20230174330A (ko) * 2022-06-17 2023-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3437A1 (en) * 2003-10-31 2005-05-05 Ouyang Michael X. OLED structures with strain relief, antireflection and barrier layers
KR100730113B1 (ko) * 2004-04-03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0873080B1 (ko) 2007-05-10 2008-12-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100112411A (ko) * 2009-04-09 201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911653B2 (en) * 2009-05-21 2014-12-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KR101155907B1 (ko) 2009-06-04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3847B1 (ko) * 2012-11-16 2019-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45511B1 (ko) * 2012-12-27 2021-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127188B2 (en) * 2012-12-27 2015-09-08 Cheil Industries, Inc. Adhesive film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154813B1 (ko) 2013-01-17 2020-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TWI692280B (zh) * 2013-03-07 2020-04-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101745678B1 (ko) * 2013-05-09 2017-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필름, 플렉서블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감김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0011B1 (ko) * 2013-06-13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90713B1 (ko) * 2013-06-25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127791B1 (ko) * 2013-07-31 2020-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92842B1 (ko) * 2013-08-07 2020-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4761B1 (ko) * 2013-08-14 2020-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496B1 (ko)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JP2015052742A (ja) * 2013-09-09 2015-03-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93781B1 (ko) * 2013-10-29 2020-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2266941B1 (ko) 2013-12-19 2021-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71485B1 (ko) * 2014-01-13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50084257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60922B1 (ko) * 2014-04-08 2021-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11361B1 (ko) * 2014-04-16 2021-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브드 이차 전지
TWI699023B (zh) * 2014-06-30 2020-07-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模組,及電子裝置
KR102242540B1 (ko) 2014-08-13 2021-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71659B1 (ko) * 2014-08-29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50043B1 (ko) 2014-09-11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6067141A1 (en) * 2014-10-28 2016-05-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188098A1 (en) * 2014-12-26 2016-06-30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KR102378361B1 (ko) * 2015-04-15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5121B1 (ko) * 2015-05-22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68844B2 (en) * 2015-06-2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JP6396879B2 (ja) * 2015-11-20 2018-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0299390B2 (en) * 2015-12-31 2019-05-21 L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606432B2 (ja) * 2016-01-06 2019-1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7848B2 (ja) * 2016-02-10 2018-08-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34273B1 (ko) * 2016-03-25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866632B1 (ko) * 2016-04-29 2018-06-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컬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4290B1 (ko) * 2016-05-23 2023-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13394B1 (ko) * 2016-07-29 2018-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1618B1 (ko) * 2017-08-28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7700B2 (en) 2019-07-09
US20230363235A1 (en) 2023-11-09
KR102454824B1 (ko) 2022-10-18
US20170278899A1 (en) 2017-09-28
CN107230693B (zh) 2023-08-08
EP3223122A2 (en) 2017-09-27
TWI721134B (zh) 2021-03-11
CN116863825A (zh) 2023-10-10
KR20170113822A (ko) 2017-10-13
US11075251B2 (en) 2021-07-27
CN107230693A (zh) 2017-10-03
EP3223122A3 (en) 2017-10-11
TW201737483A (zh) 2017-10-16
US11744132B2 (en) 2023-08-29
EP3223122B1 (en) 2022-10-19
KR20220141272A (ko) 2022-10-19
US20190214435A1 (en) 2019-07-11
US20220020825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19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3427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823949B2 (ja)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102311316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68136B1 (ko) 표시모듈
KR10244391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6886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3893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6931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2871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30069748A1 (en) Display device
US2024003240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