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852B1 - 차량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852B1
KR102277852B1 KR1020197010715A KR20197010715A KR102277852B1 KR 102277852 B1 KR102277852 B1 KR 102277852B1 KR 1020197010715 A KR1020197010715 A KR 1020197010715A KR 20197010715 A KR20197010715 A KR 20197010715A KR 102277852 B1 KR102277852 B1 KR 10227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light source
light emit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051A (ko
Inventor
가츠미 후지타
고오조오 오노
쇼타 노지리
다쿠오 야마모토
시즈오 나가타
유우키 우에쿠보
마사시 나카무라
고오타 후쿠토미
타다아키 이시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182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75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18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65406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182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40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361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32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104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76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89368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77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53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336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3318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88024A1/ja
Publication of KR2019004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multiple visual outputs, e.g. combined instruments with analogue meters and addition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22Pointers, e.g. settable poin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B60K2350/20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6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7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7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 B60K2360/28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for instruments which are not visible when in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1Electroluminesc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1Illumination of d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5Di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8Pointers of combined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지표부(22)를 목시측에 갖는 문자판(20)과, 문자판(20) 중 목시측과는 반대인 배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화상을 발광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40)과, 문자판(20)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광원(70)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54a, 54b)를 구비한 광 투과성 표시판(50)을 구비한다. 문자판(20) 중 화상 표시 패널(40)이 대향하는 영역이, 그 영역을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이 투과하도록 광 투과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11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18284호, 2016년 11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18281호, 2016년 11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18282호, 2016년 11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18283호, 2017년 1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0424호, 2016년 12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36157호, 2017년 4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89368호, 2017년 8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53486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여기에 그것들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 정보로서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숫자, 눈금이 인쇄된 투과 조명형 문자판과, 각종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문자판과 액정 표시 패널은, 동일 평면 내에 가로 나열 상태로 배치되고, 목시측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시켜 문자판 및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에 대해 중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반사부를 갖는 투명 표시판이,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1442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첫 번째로, 문자판, 액정 표시 패널이 동일 평면 내이면서 가로 나열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자 사이의 상대적인 깊이감이 없다. 두 번째로, 투명 표시판의 반사부와 액정 표시 패널의 거리는, 문자판의 위치에 따라 일의적으로 결정되므로, 투명 표시판과 액정 표시 패널의 조합에 있어서 양자 사이의 상대적인 깊이감의 부여는 비교적 제한을 받는다.
이와 같이, 깊이감은 표시의 입체감으로 연결되므로, 종래에 있어서는, 문자판 및 반사부의 표시와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사이에 상대적인 입체감이 부족하고, 특히 액정 표시 패널 및 반사부에서만의 다양한 가변성이 있는 표시를 효과적으로 입체감으로 연결시킬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문자판 및 반사부의 표시와 액정 표시 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지표부를 목시측에 갖는 문자판과,
문자판 중 목시측과는 반대인 배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화상을 발광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과,
문자판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표시판을 구비한다.
문자판 중 화상 표시 패널이 대향하는 영역이, 그 영역을 화상 표시 패널의 화상이 투과하도록 광 투과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화상 표시 패널은 문자판에 대해 동일 평면 내에 가로 나열의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판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나열 상태에 비해 문자판 및 광 투과성 표시판에 대한 화상 표시 패널의 깊이감이 증가한다. 그리고 화상 표시 패널의 화상은 문자판의 광 투과성 영역을 통해 광 투과성 표시판의 방향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패널의 깊이감이 증가함으로써, 문자판 및 광 투과성 표시판의 반사부에 의한 표시와, 화상 표시 패널의 표시의 조합에 있어서, 이들의 상대적인 입체감이 향상된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지표부를 목시측에 표시하는 문자판과,
화상을 목시측에 발광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과,
문자판 및 화상 표시부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표시판을 구비한다.
반사부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 소자이며, 광 투과성 표시판의 연설(沿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도안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반사 소자를 갖는다.
도안은, 광 투과성 표시판 중 지표부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지표부의 테두리를 두르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 도안을 포함한다.
외주 도안의 단부는, 광 투과성 표시판 중 화상 표시 패널이 대향하는 영역까지 연신되고,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으로서, 외주 도안의 단부를 더욱 연장하도록 선 형상으로 마련된 연장 화상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면,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으로서, 외주 도안의 단부를 더욱 연장하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연장 화상이 외주 도안과 연속된 것처럼 보임으로써, 입체감을 발생시키면서도, 지표부, 반사부 및 화상 표시 패널과의 사이에 일체감이 얻어진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화상을 목시측에 발광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과,
화상 표시부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표시판을 구비한다.
반사부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 소자이며, 광 투과성 표시판의 연설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도안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반사 소자를 갖는다.
도안은, 표시 대상물 중 외관 윤곽이 표현된 윤곽 도안을 포함하고,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으로서, 표시 대상물 중 내부 상태가 표현된 내부 화상을, 윤곽 도안에 중첩시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면,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으로서, 표시 대상물 중 내부 상태가 표현된 내부 화상을, 표시 대상물 중 외관 윤곽이 표현된 윤곽 도안에 중첩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중첩 표시에 의하면, 윤곽 도안이 목시측으로 튀어나온 것처럼 표시되므로, 차량의 탑승인은, 외관 윤곽에 의해 표시 대상물을 적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내부 상태가 배면측에 표시되므로, 차량의 탑승인은, 외관 윤곽과 혼동하는 것을 피하여, 내부 상태를 적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체감을 활용한 시인성이 높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A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광 투과성 표시판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소자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판용 광원을 소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B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C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C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D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D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표시 타입 E의 경우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각 반사부의 반사면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의 그라데이션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광 투과성 표시판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제4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의 발광 소자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동체 화상이 페이드 인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제4 실시 형태의 발광 소자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동체 화상이 중앙에서 정지하고 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제4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의한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차량에의 탑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제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의한 플로차트이다.
도 25는 변형예 5에 있어서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XXVII-XXVII선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XXVII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6의 XXIX-XXIX선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7의 XXX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에 있어서 도광판을 XXXI 방향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XXXII-XXXII선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XXXIII-XXXIII선 단면도이다.
도 34는 각 도광판의 반사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XXXVI-XXXVI선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XXXVI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의 XXXVIII-XXXVIII선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외연 부재를 XXXIX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0은 도 38의 외연 부재를 XL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1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XLII-XLII선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XLII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4는 도 42의 XLIV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5는 도 44에 있어서 발광판을 XLV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6은 도 45의 XLVI-XLVI선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XLVII-XLVII선 단면도이다.
도 48은 발광판의 발광 영역에 의한 도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는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L-L선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L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2는 도 51의 LI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3은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판의 정면도이다.
도 54는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LV-LV선 단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LV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7은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판의 정면도이다.
도 58은 제10 실시 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의 각 표시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9는 표시 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0은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1은 아크릴 도광판의 형성 범위에 형성된 오목부의 형상, 배치, 및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미세한 오목부를 과장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2는 아크릴 도광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며, 오목부의 형상 및 배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3은 PWM 제어부의 펄스 폭 변조 제어에 의해, 개개의 투광 표시 광원의 점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있는 경우의 펄스 신호의 상세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64는 듀티 제어부의 펄스 주파수 변조 제어에 의해, 개개의 투광 표시 광원의 점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있는 경우의 펄스 신호의 상세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65는 오프닝 표시에서 표시되는 표시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6은 도 65에 나타내는 오프닝 표시에서 표시되는 표시 요소 중에서,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7은 도 65에 나타내는 오프닝 표시에서 표시되는 표시 요소 중에서, 아크릴 도광판에 표시되는 표시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8은 오프닝 표시의 개시 직후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9는 오프닝 표시의 중간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0은 오프닝 표시의 최종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1은 오프닝 표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2는 경고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3은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4는 오목부의 횡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3의 LXXIV-LXXIV선 단면도이다.
도 75는 오목부의 종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3의 LXXV-LXXV선 단면도이다.
도 76은 오프닝 표시의 개시 직후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7은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8은 도 77의 LXXVIII-LXXVIII선 단면도이다.
도 79는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광 구획부를 투광판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0은 도 79의 LXXX-LXXX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81은 도 80의 LXXXI-LXXX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82는 도 79의 LXXXII-LXXXII선 단면에 있어서, 차광 구획부와 투광판 및 광원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3은 도 79의 LXXXIII-LXXXIII선 단면도이다.
도 84는 도 78의 LXXXIV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5는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사부에 있어서의 배열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86은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회로 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7은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의한 플로차트이다.
도 88은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투광 표시부가 표시 상태이고, 경보 표시부가 비표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9는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투광 표시부가 비표시 상태이고, 경보 표시부가 표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0은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투광 표시부 및 경보 표시부가 중첩 표시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1은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2는 도 91의 XCII-XCII선 단면도이다.
도 93은 도 92의 XCII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4는 도광판의 정면도이며, 제1 광원 광과 제2 광원 광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5는 도 91의 XCV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6은 도 91의 XCVI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7은 도 95의 눈금 도안의 반사 소자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제1 반사 소자의 예, (b)는 제2 반사 소자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8은 도 97의 XCVIII-XCVIII선 단면도이다.
도 99는 도 97의 XCIX-XCIX선 단면도이다.
도 10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도 95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101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외연부와 광원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2는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3은 도 102의 CIII-CIII선 단면도이다.
도 104는 도 102의 반사 표시부의 도안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5는 도 104의 CV-CV선 단면도이다.
도 106은 도 105의 CVI-CVI선 단면도이다.
도 107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8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9는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0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1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12는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3은 도 110의 CXIII-CXIII선 단면도이다.
도 114는 도 111의 CXIV-CXIX선 단면도이다.
도 115는 도 102의 CXV-CXV선 단면도이다.
도 116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주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7은 도 111의 CXVII-CXVII선 단면도이다.
도 118은 도 102의 CXVIII-CXVIII선 단면도이다.
도 119는 도 112의 CXIX-CXIX선 단면도이다.
도 120은 도 119의 CXX부 확대도이다.
도 121은 도 112의 CXXI부 확대도이다.
도 122는 도 121의 CXXII-CXXII선 단면도이다.
도 123은 도 112의 CXXIII-CXXIII선 단면도이다.
도 124는 도 123의 CXXIV부 확대도이다.
도 125는 도 102의 CXXV-CXXV선 단면도이다.
도 126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조사 유닛의 보유 지지 케이스에의 조립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7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도 10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8은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9는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0은 광 투과성 표시판이 평판 형상인 경우와 만곡판 형상인 경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1은 제15 실시 형태의 도안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2는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의한 플로차트이다.
도 133은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4는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일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당해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 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차량에 탑재되고, 당해 장치(100)를 시인하는 탑승인이 착좌하는 좌석과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탑승인이 위치하게 되는 목시측을 향해 차량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를 탑재하는 차량은, 예를 들어 구동 수단으로서 엔진과 전동 모터의 양쪽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도 2,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10), 문자판(20), 지침(30), 화상 표시 패널(40), 화상 제어부(82), 광 투과성 표시판(50), 표시판용 광원(70), 및 광원 제어부(8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차광성을 갖는 배면 케이스(12) 및 윈도우 플레이트(14), 그리고 장치(100)에 있어서 가장 시인측에 배치되고, 광 투과성을 갖는 투광판(16)을 갖고 있다. 투광판(16)은, 예를 들어 착색된 아크릴 수지 등의 광 반투과성 수지에 의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판(16)은, 스모크조의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30%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문자판(20)은, 투광판(16) 및 광 투과성 표시판(50)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면측이라 함은, 목시측과는 반대가 되는 측이다. 문자판(20)은,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목시측의 표면에, 광 반투과성 또는 차광성의 인쇄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대신에, 도장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문자판(20)은,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지표부(22)를 목시측에 갖고 있다. 지표부(22)는, 문자판(20)에 있어서, 차광성의 인쇄에 둘러싸여, 반투명의 인쇄가 실시됨으로써, 문자 또는 눈금 등의 지표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문자판(20)의 지표부(22)는,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눈금, 또는 마크를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문자판」이라고 하는 명칭이라고 해도, 반드시 문자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지표부(22)는, 문자판(20)보다 배면측에 있는 메인 회로 기판(80)에 실장된 지표 조명용 발광 소자(28)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조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표부(22)에서는, 후술하는 지침(30)에 맞추어, 문자판(20)의 좌측의 영역에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문자 및 눈금, 우측 상단의 영역에 연료 잔량을 나타내는 문자 및 눈금, 우측 하단의 영역에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나타내는 문자 및 눈금이 배치되어 있다.
지침(30)은, 문자판(20)의 좌측의 영역에 대응하여 1개, 우측 상단의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 우측 하단의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 합계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지침(30)은, 연결부(32) 및 지시부(34)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결부(32)는, 문자판(20)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메인 회로 기판(80)에 보유 지지된 스테핑 모터(36)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다. 지시부(34)는, 문자판(20)과 광 투과성 표시판(5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침상을 이루고 있다. 각 지침(30)의 지시부(34)는, 스테핑 모터(36)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문자판(20)의 좌우의 영역에 각각 부분 환상으로 배치된 각 지표부(22)를 지시함으로써, 차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측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30)은, 차량 정보로서,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 상단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30)은, 차량 정보로서, 연료 잔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 하단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30)은, 차량 정보로서,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표시 패널(40)은, 메인 회로 기판(80)과 문자판(20) 사이에, 당해 문자판(20)의 배면측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문자판(20)과 화상 표시 패널(40)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패널(40)은, 문자판(20)의 중앙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 패널(40)은, 좌우의 지침(30)에 의한 표시 사이에 끼워지는 배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패널(40)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액정 패널이며,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화소로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화상 표시 패널(40)은, 백라이트(42)에 배면측으로부터 조명됨으로써, 목시측을 향하는 직사각 형상의 표시면(40a)으로부터 목시측으로 표시광을 사출함으로써, 화상을 발광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제어부(82)는, 특히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메인 회로 기판(80)에 실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판(20) 중 화상 표시 패널(40)이 대향하는 중앙의 영역에서는, 인쇄가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문자판(20)의 광 투과성 기재가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판(20)에 있어서 중앙의 영역은,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의 표시광이 투과하도록, 광 투과성을 갖는 투과 영역(24)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투과 영역(24)은, 표시면(40a)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투과 영역(24)이, 흑색의 인쇄에 의해 차광성을 갖는 차광 영역(26)에 둘러싸여 있음으로써, 그 윤곽이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 투과성 표시판(50)은,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 투과성 표시판(50)은, 문자판(20) 및 지침(30)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문자판(20)과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연설 방향(ED)은, 표시면(20a)의 연설 방향 및 문자판(20)의 연설 방향을 따르고 있어,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판 두께 방향(TD)은, 표시면(20a)에 대한 수직 방향 및 문자판(20)의 판 두께 방향을 따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판 두께 방향(TD)은,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가장 면적이 큰 표면에 대한 수직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광 투과성 표시판(50)은, 문자판(20)의 전체면을 목시측으로부터 덮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판용 광원(7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좌우로 이격된 2개의 발광부(72a, 72b)를 갖고 있다. 각 발광부(72a, 72b)는, 외연부(52)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각 발광부(72a, 72b)는, 광원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73a, 73b)가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외연부(52)를 따라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73a, 73b)는, 광원용 회로 기판(81)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이며,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 소자(73a, 73b)가 멀티 컬러의 발광 다이오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판용 광원(70)은, 컬러 광원을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 발광부(72a)에 있어서의 각 발광 소자(73a)는,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외연부(52) 중 하측의 한 변에 있어서, 당해 외연부(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발광부(72b)에 있어서의 각 발광 소자(73b)는,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외연부(52) 중 하측의 한 변에 있어서, 당해 외연부(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각 발광 소자(73a, 73b)가 대향하는 측면을 향해 광원 광을 발함으로써,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내부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당해 광원 광이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외연부(52)를 통해,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내측으로 입사하는 각 발광 소자(73a, 73b)의 광원 광은, 서로 일부분이 연설 방향(ED)으로 어긋난 조명 범위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판용 광원(70)은, 탑승인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면도의 일부에서는 설명을 위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원 제어부(83)는, 예를 들어 메인 회로 기판(80)에 실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판용 광원(70)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제어부(83)는, 표시판용 광원(70)의 각 발광 소자(73a, 73b)의 점등 및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광원 제어부(83)는, 각 발광 소자(73a, 73b)의 발광색을 다양한 색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제어부(83)는, 발광부(72a, 72b)마다 점등 및 소등의 전환, 그리고 발광색의 변경을 행한다.
광 투과성 표시판(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인 영역에 반사부(54a, 54b)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발광부(72a, 72b)에 대응하여, 2개의 반사부(54a, 54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반사부(54a, 54b)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은, 사선의 해칭이 실시됨으로써 나타나 있다(이하, 대응하는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임).
더 구체적으로,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반사부(54a, 54b)는,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연설 방향(ED)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반사 소자(56)를 갖고 있다. 각 반사 소자(56)는, 미세한 사이즈로 설정되고,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배면측으로부터 당해 표시판(5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반사 소자(56)는, 반사면(57a) 및 경사 배면(57b)을 갖고 있다.
반사면(57a)은, 반사 소자(56) 중, 발광부(72a 또는 72b)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57a)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사면(57a)은,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경사진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당해 경사 방향은,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예를 들어 39 내지 45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배면(57b)은 반사면(57a)과는 반대측을 향해 설치됨으로써, 당해 반사면(57a)과는 표리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경사 배면(57b)은,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예를 들어 25도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 배면(57b)은, 반사면(57a)의 경사보다 경사각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각 반사부(54a, 54b)에 있어서 각 반사 소자(56)는,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연설 방향(ED)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58)를 개재시킴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반사부(54a, 54b)에 있어서의 반사 소자(56)의 밀도는, 각 개소에서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되어 있고, 또한 반사 소자(56)의 형상도 각 개소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부(54a)에, 표시판용 광원(70)의 발광부(72a)로부터 광원 광이 도달하면, 발광부(72a)와 대향하는 각 반사 소자(56)의 반사면(57a)에 의해 광원 광이 목시측으로 반사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반사부(54b)에, 표시판용 광원(70)의 발광부(72b)로부터 광원 광이 도달하면, 발광부(72b)와 대향하는 각 반사 소자(56)의 반사면(57a)에 의해 광원 광이 목시측으로 반사되게 된다. 따라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반사부(54a)에 대응하는 발광부(72a)가 점등될 때에는, 당해 반사부(54a)에 있어서 배열된 각 반사 소자(56)에 의해 구성된 도안(60a)이 발광하며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반사부(54b)에 대응하는 발광부(72b)가 점등될 때에는, 당해 반사부(54b)에 있어서 배열된 각 반사 소자(56)에 의해 구성된 도안(60b)이 발광하며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도안(60a, 60b)은, 좌우의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외주 도안(61a, 61b)으로 되어 있다. 반사부(54a)에 의해 구성된 외주 도안(61a)은, 광 투과성 표시판(50) 중, 좌측의 지표부(22)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당해 지표부(22)를 테두리를 두르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외주 도안(61a)의 양단부(62a, 63a)는, 광 투과성 표시판(50) 중 화상 표시 패널(40)과 대향하는 영역까지 연신되어 있다. 반사부(54b)에 의해 구성된 외주 도안(61b)은, 광 투과성 표시판(50) 중, 좌측의 지표부(22)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당해 지표부(22)를 테두리를 두르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외주 도안(61b)의 양단부(62b, 63b)는, 광 투과성 표시판(50) 중 화상 표시 패널(40)과 대향하는 영역까지 연신되어 있다.
각 외주 도안(61a, 61b)은, 각각 대응하는 발광부(72a, 72b)의 점등 및 소등에 수반하여, 표시 및 비표시가 전환될 뿐만 아니라, 컬러 광원을 포함함으로써 색을 개별적으로 변경하여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외주 도안(61a, 61b)은, 각각 대응하는 발광부(72a, 72b)가 소등되는 비표시의 경우에는, 반사 소자(56)의 사이즈 및 밀도 등의 설정에 의해, 목시측으로부터는 거의 시인되지 않는다.
이러한 발광부(72a, 72b)의 점등 및 소등, 및 그리고 색 변경은, 화상 표시 패널(40)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과 연계하여 제어된다. 화상의 표시 타입은,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전환 스위치에 의해, 탑승인이 기호에 따라서 선택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차량의 모드나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에 의한 주변 감시의 상황에 의해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표시 타입도 존재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타입 A는, 화상에 있어서, 차량 정보로서의 차량의 속도를, 문자 화상(ILT)에 의해 디지털 표시하는 표시 타입이다. 차량에 있어서 에코 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발광부(72a, 72b)가 백색으로 발광함으로써, 각 외주 도안(61a, 61b)도 백색으로 표시된다. 한편, 에코 모드가 선택되면, 각 발광부(72a, 72b)가 예를 들어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색 변경되고, 각 외주 도안(61a, 61b)도 녹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에코 모드라 함은,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를 조금 낮게 억제하는 차량 제어가 행해지는 모드이다.
도 7에 도시하는 표시 타입 B는, 화상에 있어서, 차량 정보로서의 차량의 속도를, 문자 화상(ILT)에 의해 디지털 표시하면서, 다른 차량 정보로서의 전동 모터의 전류값을 지침 화상(IPO)이 눈금 화상(ISC)을 지시함으로써 아날로그 표시하는 표시 타입이다. 차량에 있어서 에코 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발광부(72a, 72b)가 백색으로 발광함으로써, 각 외주 도안(61a, 61b)도 백색으로 표시된다. 한편, 에코 모드가 선택되면, 각 발광부(72a, 72b)가 예를 들어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색 변경되고, 각 외주 도안(61a, 61b)도 녹색으로 표시된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표시 타입 C는, 표시면(40a)의 좌측에 기어 포지션, 우측에 차량의 속도를 문자 화상(ILT)으로 표시함과 함께, 표시면(40a)의 중앙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타입이다.
이 표시 타입 C에 있어서, 차량에 있어서 아이들 스톱 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부(72a, 72b)가 백색으로 발광함으로써, 각 외주 도안(61a, 61b)도 백색으로 표시된다. 이때, 화상 표시 패널(40)은, 각 외주 도안(61a, 61b)의 하측의 단부(62a, 62b)를 더욱 연장함과 함께, 당해 하측의 단부(62a, 62b)끼리를 연결하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 화상(IE1)을 표시한다. 게다가, 화상 표시 패널(40)은, 각 외주 도안(61a, 61b)의 상측의 단부(63a, 63b)를 더욱 연장함과 함께, 당해 상측의 단부(63a, 63b)끼리를 연결하도록 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장 화상(IE2)을 표시한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서 아이들 스톱 모드가 선택되면, 좌측의 발광부(72a)가 소등됨으로써, 좌측의 외주 도안(61a)이 비표시로 됨과 함께, 우측의 발광부(72b)가 백색으로 점등됨으로써, 우측의 외주 도안(61b)이 백색으로 표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연장 화상(IE1)이 비표시로 됨과 함께, 연장 화상(IE2)는 표시된 상태 그대로이다. 또한, 차량의 아이들 스톱 모드라 함은, 예를 들어 신호 대기로 정차하였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차량 제어가 행해지는 모드이다.
또한,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타입 D로서, 차량에 있어서 오토 크루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표시면(40a)의 좌측에 기어 포지션, 우측에 차량의 속도를 문자 화상(ILT)으로 표시함과 함께, 표시면(40a)의 중앙에는, 예를 들어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 등, 도로의 상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표시에 있어서, 화상 표시 패널(40)은, 외주 도안(61a)의 단부(62a, 63a) 중, 하측의 단부(62a)를 더욱 연장하도록, 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장 화상(IEA)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 패널(40)은, 외주 도안(61b)의 단부(62b, 63b) 중, 하측의 단부(62b)를 더욱 연장하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 화상(IEB)을 표시한다. 각 연장 화상(IEA, IEB)은, 도로의 상황의 표시에 있어서의 차량 화상(ICA)을 좌우 사이에 두고, 대응하는 단부(62a, 62b)로부터 표시면(40a)의 중앙을 향해 직선 형상으로 연신함으로써, 탑승인으로부터는 차도 외측선(예를 들어 백색선)을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화상(IEA, IEB) 및 외주 도안(61a, 61b)은, 주변 감시 장치가 주변에 장애물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백색으로 표시된다. 한편, 주변 감시 장치가 차량 밖의 측방에 장애물을 검지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중 장애물이 검지된 측의 연장 화상 및 외주 도안만, 엄버(주황색)로 색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는, 차량 밖의 우측방에 장애물이 검지되었기 때문에, 우측의 연장 화상(IEB) 및 외주 도안(61b)만, 엄버(주황색)로 색 변경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색 변경된 부분이 도트 해칭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타입 E로서, 차량이 장시간에 걸쳐 고속도로를 계속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면(40a)의 좌측에 기어 포지션, 우측에 차량의 속도를 표시함과 함께, 표시면(40a)의 중앙에는, 휴식을 촉구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화상 표시 패널(40)은, 각 외주 도안(61a, 61b)의 하측의 단부(62a, 62b)를 더욱 연장하는 동시에, 당해 하측의 단부(62a, 62b)끼리를 연결하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 화상(IE1)을 표시한다. 게다가, 화상 표시 패널(40)은, 각 외주 도안(61a, 61b)의 상측의 단부(63a, 63b)를 더욱 연장하는 동시에, 당해 상측의 단부(63a, 63b)끼리를 연결하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 화상(IE2)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휴식을 촉구하는 화상은, 연장 화상(IE1, IE2) 및 외주 도안(61a, 61b)으로 전체 둘레를 둘러싼 것처럼 시인된다. 이러한 연장 화상(IE1, IE2) 및 외주 도안(61a, 61b)은, 각각 주의 환기를 위해 엄버(주황색)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과, 반사 소자(56)에 의해 구성된 도안(60a, 60b)이 연계된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화상 표시 패널(40)은 문자판(20)에 대해 동일 평면 내에 가로 나열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판(20)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나열 상태에 비해 문자판(20) 및 광 투과성 표시판(50)에 대한 화상 표시 패널(40)의 깊이감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은 문자판(20)의 투과 영역(24)을 통해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방향으로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패널(40)의 깊이감이 증가함으로써, 문자판(20) 및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반사부(54a, 54b)에 의한 표시와, 화상 표시 패널(40)의 표시의 조합에 있어서, 이것들의 상대적인 입체감이 향상된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반사 소자(56)가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연설 방향(ED)으로 배열되어 도안(60a, 60b)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안(60a, 60b)이 화상 표시 패널(40)로부터 목시측으로 튀어나온 것처럼 표시되므로, 입체감은 더 각별한 것이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표시 패널(40)은, 화상으로서, 선 형상의 외주 도안(61a, 61b)의 단부를 더욱 연장하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 화상(IEA, IEB, IE1, IE2)을 표시한다. 이러한 연장 화상(IEA, IEB, IE1, IE2)이 외주 도안(61a, 61b)과 연속된 것처럼 보임으로써, 입체감을 발생시키면서도, 지표부(22), 반사부(54a, 54b) 및 화상 표시 패널(40)과의 사이에 일체감이 얻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원(70)은, 도안(60a, 60b)의 색을 변경 가능한 컬러 광원을 포함하므로, 입체감을 발생시키면서도, 상황에 따른 다양한 미관을 연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부(222)로서, 문자판(220)의 좌측의 영역에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문자 및 눈금, 우측의 영역에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문자 및 눈금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서, 지침(30)은, 문자판(220)의 좌측의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 우측의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 합계 2개 설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패널(40)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220)의 배면측과 대향하는 동시에, 문자판(220)의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문자판(220)에 있어서 중앙의 영역은,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의 표시광이 투과하도록 투과 영역(24)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광 투과성 표시판(250)은, 상이한 도안(260a, 260b)을 구성하도록, 2개의 반사부(254a, 254b)를 갖고 있다. 반사부(254a)는, 광 투과성 표시판(250) 중 화상 표시 패널(40) 중 상측의 영역과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반사부(254b)는, 광 투과성 표시판(250) 중 화상 표시 패널(40) 중 하측의 영역과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표시판용 광원(270)은, 2개의 발광부(272a, 272b)를 갖고 있다. 발광부(272a)는, 반사부(254a)에 대응하고 있다. 발광부(272a)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273a)는, 광 투과성 표시판(250)의 외연부(252) 중 상측의 한 변에 있어서, 당해 외연부(2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각 발광 소자(273a)가 측면을 향해 광원 광을 발함으로써 광 투과성 표시판(250)의 내부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당해 광원 광이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반사부(254a)에 있어서의 각 반사 소자(256a)의 반사면(257a)은, 서로 동일한 방향인 상측을 향하고 있다. 즉 발광부(272a)는, 외연부(252) 중 대응하는 반사부(254a)의 반사면(257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부(254a)에, 발광부(272a)로부터 광원 광이 도달하면, 발광부(272a)와 대향하는 각 반사 소자(256a)의 반사면(257a)에 의해 광원 광이 목시측으로 반사되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272a)가 점등될 때에는, 반사부(254a)에 있어서 배열된 각 반사 소자(256a)에 의해, 도안(260a)이 발광하며 표시된다.
발광부(272b)는, 반사부(254b)에 대응하고 있다. 발광부(272b)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273b)는, 광 투과성 표시판(250)의 외연부(252) 중 좌측의 한 변에 있어서, 당해 외연부(2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각 발광 소자가 측면을 향해 광원 광을 발함으로써, 광 투과성 표시판(250)의 내부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당해 광원 광이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반사부(254b)에 있어서의 각 반사 소자(256b)의 반사면(257b)은, 서로 동일한 방향인 좌측을 향하고 있다. 즉 발광부(272b)는, 외연부(252) 중 대응하는 반사부(254b)의 반사면(257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반사부(254a)의 반사면(257a)과 반사부(254b)의 반사면(257b)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90도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반사부(254b)에, 발광부(272b)로부터 광원 광이 도달하면, 발광부(272b)와 대향하는 각 반사 소자(256b)의 반사면(257b)에 의해 광원 광이 목시측으로 반사되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272b)가 점등될 때에는, 반사부(254b)에 있어서 배열된 각 반사 소자(256b)에 의해, 도안(260b)이 발광하며 표시된다.
이러한 발광부(272a, 272b) 및 반사부(254a, 254b)의 배치에서는, 발광부(272a)로부터의 광이 반사부(254b)에도 도달할 수 있지만, 반사부(254b)의 반사면(257b)은, 반사부(254a)의 반사면(257a)과는 상이한 방향을 향하고 있고, 발광부(272a)와 대향하는 방향은 아니다. 따라서, 발광부(272a)가 점등되어도, 반사부(254b)에 의한 도안(260b)이 발광하며 표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여기서, 반사부(254a)에 의해 구성된 도안(260a)은, 표시 대상물 중 외관 윤곽이 표현된 윤곽 도안(261a)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대상물은, 차량으로 되어 있고, 윤곽 도안(261a)에서는 차량의 외관 윤곽이 표현되어 있다.
반사부(254b)에 의해 구성된 도안(260b)은, 차량이 표현되어 있지만, 이쪽은, 차량을 후방이면서 상방으로부터 부감한 차량 부감 도안(261b)으로 되어 있다.
발광부(272a)가 점등되고, 발광부(272b)가 소등된 상태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윤곽 도안(261a)이 표시되어 있지만, 차량 부감 도안(261b)은 비표시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화상 표시 패널(40)은, 표시 대상물 중 내부 상태가 표현된 내부 화상(IIS)을, 윤곽 도안(261a)에 중첩시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대상물이 차량이기 때문에, 내부 화상(IIS)은, 차량의 내부 상태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내부 화상(IIS)은, 윤곽 도안(261a)에 맞춘 위치에 엔진 및 축전지를 표시하여, 엔진, 전동 모터 및 축전지의 사이를 에너지가 흐르는 동화상에 의해, 차량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현재 어떠한 제어로 되어 있는지를 표시한다.
발광부(272a)가 소등되고, 발광부(272b)가 점등된 상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윤곽 도안(261a)이 비표시로 되어 있지만, 차량 부감 도안(261b)이 표시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화상 표시 패널(40)은, 주변 도로 및 시가지가 표현된 내비게이션 화상(INV)을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화상(INV)이 예를 들어 우측으로 도는 화살표 등을 표시함으로써, 탑승인을 목적지까지 내비게이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사면(257a, 257b)은, 동일한 반사부(254a 또는 254b)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동시에, 상이한 반사부(254a, 254b) 사이에 있어서 상이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각 반사부(254a, 254b)에 대응하여, 발광부(272a, 272b)는, 각각 대향하는 반사면(257a, 257b)을 향해 광을 발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발광부(272a, 272b)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함으로써, 동일한 광 투과성 표시판(250)에 있어서 상이한 복수의 도안(260a, 260b)을 표시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표시 패널(40)은, 화상으로서, 표시 대상물 중 내부 상태가 표현된 내부 화상(IIS)을, 표시 대상물 중 외관 윤곽이 표현된 윤곽 도안(261a)에 중첩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중첩 표시에 의하면, 윤곽 도안(261a)이 목시측으로 튀어나온 것처럼 표시되므로, 차량의 탑승인은, 외관 윤곽에 의해 표시 대상물을 적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내부 상태가 배면측에 표시되므로, 차량의 탑승인은, 외관 윤곽과 혼동하는 것을 회피하여, 내부 상태를 적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체감을 활용한 시인성이 높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표시판용 광원(370)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발광부(372a, 372b)를 갖고 있다. 단,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부(372a, 372b)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373a, 373b)는, 광 투과성 표시판(350)의 외연부(352) 중 상측의 한 변에 있어서, 당해 외연부(3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각 발광 소자(373a, 373b)가 측면을 향해 광원 광을 발함으로써,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내부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당해 광원 광이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의 발광부(372a, 372b)에 각각 대응하여, 2개의 반사부(354a, 354b)가 배치되어 있다. 각 반사부(354a, 354b)는, 그라데이션 영역(GRD)을 갖고 있다. 도 17에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 영역(GRD)에서는, 반사 소자(56)의 오목부 치수 또는 반사 소자(56)의 밀도 중 적어도 한쪽이, 개소에 따라 점차 변화되고 있다. 발광부(372a, 372b)로부터의 광원 광이 목시측으로 반사되는 양이 개소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라데이션 영역(GRD)에서는, 각 반사 소자(56)에 의한 도안(60a, 60b)의 표시 휘도가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되게 된다. 또한, 도 16에서는, 사선 해칭의 굵기를 변화시켜 그라데이션이 모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사부(354a, 354b)는, 반사 소자(56)의 형상 또는 밀도를 점차 변화시킴으로써, 도안(60a, 60b)의 표시 휘도를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시킨 그라데이션 영역(GRD)을 가지므로,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표시판용 광원(470)은, 특히 도 20,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발광부(472)를 갖고 있다. 발광부(472)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473)는, 광 투과성 표시판(450)의 외연부(452) 중 하측의 한 변에 있어서, 당해 외연부(4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제4 실시 형태의 광원 제어부(483)는, 발광부(472)의 발광 소자(473)마다, 개별적으로 점등 및 소등의 전환을 행한다.
제4 실시 형태의 반사부(454)는, 광 투과성 표시판(450) 중 화상 표시 패널(40)과 대향하는 개소를 포함하여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반사부(454)는, 화상 표시 패널(40) 중 하측과 대향하는 개소를 포함하여 설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반사부(454)는, 문자판(20) 중 하측과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사부(454)의 각 반사 소자(56)에 의해 구성된 도안(460)은, 지면이 표현된 지면 도안(461)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 도안(461)은, 좌우로 평행하게 연신되는 복수의 가로선과, 상하로 연신되고, 위를 향할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세로선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로선과 세로선이 격자 형상으로 지면 도안(461)을 구성함으로써, 지면의 원근감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지면 도안(461)에 대해, 각 발광 소자(473)는, 외연부(452)를 따라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지면 도안(461) 중, 서로 발광 소자(473)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어긋난 일부분을 향해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면 도안(461) 중 점등되는 발광 소자(473)에 대응하는 일부분만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패널(40)은, 이동체가 표현된 이동체 화상(IMV)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로서는, 이동체로서 차량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이동체 화상(IMV)은, 차량이 표현된 차량 화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400)(주로 화상 제어부(482) 및 광원 제어부(48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 22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2의 플로차트의 개시 시에는,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은 비표시 상태로 하고, 차량의 기동 스위치(402)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한다. 또한, 기동 스위치(402)는 차량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이그니션 스위치나, 전기 자동차의 전원 스위치가 해당된다.
먼저, 스텝 S410에서는, 차량의 기동 스위치(402)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10에서 긍정 판정이 내려지면, 스텝 S4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410에서 부정 판정이 내려지면, 소정 시간 후 또는 소정의 계기에 따라서, 다시 스텝 S410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420에서는, 특히 도 18,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제어부(482)는, 표시면(40a)의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이동체 화상(IMV)이 페이드 인한다. 페이드 인과 연동하여, 광원 제어부(483)는, 점등하는 발광 소자(473)를 좌측의 발광 소자(473)로부터 우측의 인접하는 발광 소자(473)로 차례로 전환한다. 즉, 이동체 화상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점등하는 발광 소자(473)가 어긋나게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동체로서의 차량이 마치 주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연출을 행할 수 있다. 스텝 S420의 처리 후, 스텝 S430으로 이행한다.
스텝 S430에서는, 특히 도 19,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제어부(482)는, 이동체 화상(IMV)이 표시면(40a)의 중앙까지 이동하면, 이동체 화상을 당해 중앙에서 정지한 채 표시시킨다. 광원 제어부(483)는, 스텝 S420과 마찬가지로, 점등하는 발광 소자(473)를 좌측의 발광 소자(473)로부터 우측의 인접하는 발광 소자(473)로 차례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광원 제어부(483)는, 소등된 발광 소자(473) 사이에, 연속 배치된 3개의 발광 소자(473)가 점등되도록 하여, 차례로 점등되는 발광 소자(473)를 어긋나게 하여 간다. 이와 같이 하면, 이동체 화상(IMV)이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어도, 이동체로서의 차량이 마치 주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연출을 행할 수 있다. 스텝 S430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로 어긋난 일부분을 향해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473) 중, 점등하는 발광 소자(473)가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에 의해, 도안(460)이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당해 도안(460)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어,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표시 패널(40)이 표시하는 이동체 화상(IMV)에 맞추어, 점등되는 발광 소자(473)가 인접하는 발광 소자로 차례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지면 도안(461) 중 표시되는 일부분이 이동하여 보이므로, 이동체 화상(IMV)을 마치 이동시키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454)에 의한 지면 도안(461)과 화상 표시 패널(40)에 의한 이동체 화상(IMV)의 연계에 의해, 입체감과 함께 일체감을 연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3,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500)가 탑재된 차량은, 이동 장애물을 검출하는 이동 장애물 검출부(5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장애물 검출부(503)는,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 레이더, 음파 탐지기, 라이더(LIDER: Light Detection and Ranging/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등의 주변 감시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차량 주변의 보행자 등의 이동 장애물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표시판용 광원(570)은, 하나의 발광부(572)를 갖고 있다. 발광부(572)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573)는, 광 투과성 표시판(550)의 외연부(552) 중 상측의 한 변에 있어서 배열되고, 당해 외연부(552)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제5 실시 형태의 광원 제어부(582)는, 발광부(572)의 발광 소자(573)마다, 개별적으로 점등 및 소등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광원 제어부(582)는 예를 들어 차량의 ECU를 통해 이동 장애물 검출부(503)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사부(554)의 각 반사 소자(56)에 의해 구성된 도안(60)은, 이동 장애물을 발광 소자(573)가 배열되는 방향에 맞추어 복수 배열하여 표현된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은, 이동 장애물로서의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모습을 모션마다 배열하여 표현한 도안이다.
이러한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에 대해, 각 발광 소자(573)는, 외연부(552)를 따라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도안(561) 중, 서로 발광 소자(573)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어긋난 일부분을 향해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 중 점등하는 발광 소자(573)에 대응하는 하나의 모션만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500)(주로 광원 제어부(58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 24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 S510에서는, 광원 제어부(582)는, 이동 장애물 검출부(503)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차량 밖 전방에 좌우로 이동하는 보행자(504)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10에서 긍정 판정이 내려지면, 스텝 S5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510에서 부정 판정이 내려지면, 소정 시간 후 또는 소정의 계기에 따라서, 다시 스텝 S510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520에서는, 광원 제어부(582)는, 보행자(504)의 이동 방향에 맞추어, 점등하는 발광 소자(573)를 인접하는 발광 소자(573)로 차례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에 있어서, 표시되는 보행자의 모션이 순차 전환되어, 플립 북처럼 보행자가 걷는 것과 같은 연출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제어부(582)는, 각 발광 소자(573)에 대해, 점등과 소등을 순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휘도가 변화되게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가장 표시 휘도가 높은 모션에 인접하는 모션이, 잔상과 같이 표현되어,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보행자(504)가 횡단보도 중간에서 멈춘 경우에는, 당해 일시 정지에 연동하여, 광원 제어부(582)는, 점등하는 발광 소자(573)의 전환을 일시 정지해도 된다. 스텝 S520의 처리 후, 스텝 S530으로 이행한다.
스텝 S530에서는, 광원 제어부(582)는, 검출되어 있던 보행자(504)가 차량 밖 전방으로부터 다른 개소로 이동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스텝 S530에서 긍정 판정이 내려지면, 스텝 S540으로 이행한다. 스텝 S530에서 부정 판정이 내려지면,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의 표시를 계속하고, 소정 시간 후 또는 소정의 계기에 따라서, 다시 스텝 S510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540에서는, 광원 제어부(582)는, 모든 발광 소자(583)를 소등하고,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의 표시를 종료한다. 스텝 S540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로 어긋난 일부분을 향해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573) 중, 점등하는 발광 소자(573)가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에 의해, 도안(561)이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당해 도안(561)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어,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동 장애물 검출부(503)가 이동 장애물로서의 보행자(504)를 검출한 경우, 당해 보행자(504)에 맞추어, 점등되는 발광 소자(573)가 인접하는 발광 소자(573)로 차례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에서 표현된 보행자(504)의 표현물이 차례로 표시되게 되어, 보행자(504)의 존재를 적확하게 차량의 탑승인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1로서는, 화상 표시 패널(40)에는, 액정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의한 패널이 채용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2로서는, 문자판(20) 중 화상 표시 패널(40)이 대향하는 영역은, 화상 표시 패널의 화상이 투과하도록 광 투과성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광 반투과성을 갖는 반투과 영역이어도 된다.
변형예 3으로서는, 반사면(57a)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4로서는, 화상 제어부(82)와 광원 제어부(83)는, 프로세서 등을 공유하고 있어도 된다.
변형예 5로서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투과성 표시판(50)은, 외연부(52)에 있어서, 외측을 향할수록 배후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평면 형상의 외연 반사면(52b)과, 외연 반사면(52b)으로부터 배후측으로 연장되는 외연 도광부(52a)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5의 예에서는, 외연 도광부(52a)의 배후측의 선단면에 대향하여, 광원(70)의 복수의 발광 소자(73a, 73b)가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73a, 73b)가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발한 광원 광은, 외연 도광부(52a)에 의해 외연 반사면(52b)으로 도광되고, 다시 외연 반사면(52b)에 의해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내측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외연부(52)를 통해, 광 투과성 표시판(50)의 내측으로 입사하는 각 발광 소자(73a, 73b)의 광원 광은, 서로 일부분이 연설 방향(ED)으로 어긋난 조명 범위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 6으로서는, 광원 제어부(483, 582) 등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 간이적인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2100)는, 차량에 탑재되고, 당해 장치(2100)를 시인하는 탑승인이 착좌하는 좌석과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2100)는, 탑승인이 위치하게 되는 시인측을 향해 차량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2100)는, 도 27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010), 표시부(2020), 복수의 도광판(2030, 2040), 복수의 도광판용 광원부(2050, 2060), 및 복수의 외연 부재(207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판(2030, 2040) 및 도광판용 광원부(2050, 2060)는,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부(2010)는, 배면 케이스(2012), 윈도우 플레이트(2014), 및 투광판(2016)을 갖고 있다. 배면 케이스(2012)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부(2020)를 배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윈도우 플레이트(2014)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부(2020)의 외주 윤곽을 따라 시인측 및 배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판(2016)은, 예를 들어 착색된 아크릴 수지 등의 반투광성 수지에 의해, 윈도우 플레이트(2014)의 시인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2030, 2040)은 투광판(2016)에 시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투광판(2016)은, 스모크조의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30%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부(2020)는, 표시판(2021)을 사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표시한다. 표시판(2021)은, 일반적으로 문자판이라고도 불리고 있고, 배면 케이스(2012)와 도광판(2030, 20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판(2021)은,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시인측의 표면에, 반투광성 또는 차광성의 인쇄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대신에, 도장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부(2020)는, 복수의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 및 화상 표시부(2027)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표시부(2027)가 2개의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의 좌우 사이에 놓인 배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는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좌측의 기계식 표시부(2022a)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기계식 표시부(2022a)는, 스테핑 모터(2023), 지침(2024), 및 지침용 광원부(2025)를 갖고 있다. 스테핑 모터(2023)는, 배면 케이스(2012)와 표시판(2021) 사이에, 즉 표시판(2021)보다 배면측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2018)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지침(2024)은, 연결부(2024a) 및 지시부(2024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결부(2024a)는, 표시판(2021)에 뚫린 관통 구멍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스테핑 모터(2023)의 회전축(2023a)과 연결되어 있다. 지시부(2024b)는, 표시판(2021)과 도광판(2030, 2040) 사이에, 즉 표시판(2021)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고, 침상을 이루고 있다. 지침(2024)은, 스테핑 모터(2023)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표시판(2021) 상에 환상으로 배치된 지표(2021a)를 지시함으로써, 차량의 상태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표(2021a)는, 눈금 및 숫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침용 광원부(2025)는, 메인 회로 기판(2018)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2025a)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 소자(2025a)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제어 회로를 통해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지침용 광원부(2025)의 광이 지침(2024)을 조명함으로써, 지침(2024)이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측의 기계식 표시부(2022a)는 차량의 상태로서, 차속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의 기계식 표시부(2022b)는, 차량의 상태로서,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2027)는, 표시판(2021)보다 배면측에, 표시판(2021)과 근접하여 배치된 액정 표시기(2028)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기(2028)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한 액정 패널이며,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화소로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2028)는, 시인측에 화상을 표시하는 직사각 형상의 표시면(2028a)을 갖고 있다.
또한 표시판(2021)에 있어서 표시면(2028a)과 겹치는 개소에는, 특히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에 의해 차광성을 갖는 표시판 차광부(2021b)에 둘러싸이고, 투광성을 갖는 표시판 투광부(2021c)가 표시면(2028a)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면(2028a)에 표시된 화상의 광은, 표시판 투광부(2021c)를 투과한다.
이러한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 및 화상 표시부(2027)에 의해, 표시부(2020)의 표시판(2021)은 시인측에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DA)을 갖고 있다. 한편,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와 화상 표시부(2027)의 경계 부분, 및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 및 화상 표시부(2027)의 외주 부분에는, 당해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시인측에 표시를 행하지 않는 주변 영역(SA)이 마련되어 있다.
각 도광판(2030, 2040)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도광판(2030, 2040)은, 표시부(2020)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도광판(2030, 2040)은, 서로 중첩 배치되어 있고, 서로 판 두께 방향(TD)을 맞추어 배치됨으로써, 대략 평행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각 도광판(2030, 2040)의 판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고, 도광판(2030)과 도광판(2040) 사이에는, 1매분의 판 두께 정도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판 두께 방향(TD)은, 각 도광판(2030, 2040)의 가장 면적이 큰 표면의 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각 도광판용 광원부(2050, 2060)는, 각 도광판(2030, 2040)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대응하는 도광판(2030, 2040)과 쌍을 이루고 있다. 각 도광판용 광원부(2050, 2060)는, 복수의 발광 소자(2052, 2062)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 소자(2052, 2062)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제어 회로를 통해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광원 광을 발한다. 각 광원부(2050, 2060)에 속하는 각 발광 소자(2052, 2062)는, 각각 점등 또는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인측의 도광판(2040)과 쌍을 이루는 광원부(2060)에 속하는 각 발광 소자(2062)와, 배면측의 도광판(2030)과 쌍을 이루는 광원부(2050)에 속하는 각 발광 소자(2052)는,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광원부(2050, 2060)는, 서로 다른 색의 광원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광원 광의 색으로서는, 안전을 나타내는 색, 쾌적 주행을 나타내는 색, 위험 주의를 나타내는 색 등이 각각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2050)는 청색의 광원 광을 발하고, 광원부(2060)는 적색의 광원 광을 발하지만, 다른 색이 채용되어도 된다. 그리고 각 광원부(2050, 2060)는, 각각 대응하는 도광판(2030, 2040)의 외연부(2032, 2042)를 통해, 각각의 도광판(2030, 2040)의 내측으로 광원 광을 입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각 광원부(2050, 2060)의 발광 소자(2052, 2062)의 배치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광판(2030, 2040)보다 외주에는,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광원용 회로 기판(2019)이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2052, 2062)는, 이 광원용 회로 기판(2019) 상에, 각각의 광원부(2050, 2060)에 대응하는 도광판(2030, 2040)의 외연부(2032, 2042)를 전체 둘레에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광원부(2050, 2060)에 속하는 발광 소자(2052, 2062)끼리는, 서로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부(2020)의 표시판(2021)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광원부(2050)에 속하는 발광 소자(2052)와 광원부(2060)에 속하는 발광 소자(2062)가 겹쳐 있다.
각 외연 부재(2070)는, 평판 형상의 각 도광판(2030, 2040)의 외연부(2032, 2042)와 각 발광 소자(2052, 20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외연 부재(2070)는, 복수의 외연 도광부(2072a, 2072b)와 광원 광 구획부(2076)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외연 도광부(2072a, 2072b)는, 도광판(2030, 2040)과 동일 수인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는, 쌍을 이루는 도광판(2030)과 광원부(2050) 사이, 및 도광판(2040)과 광원부(206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광원 광을 도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는, 대응하는 광원부(2050, 2060)의 발광 소자(2052, 2062)와 대향하여, 매끄러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된 광원 대향면(2073)을 갖고 있다. 또한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는, 대응하는 도광판(2030, 2040)의 외연부(2032, 2042)와 대향하여, 매끄러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판 대향면(2074)을 갖고 있다. 각 판 대향면(2074)의 사이즈는, 도광판(2030, 2040)의 판 두께에 맞추어져 있고, 각 광원 대향면(2073)의 사이즈는, 각 판 대향면(2074)의 사이즈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는, 대응하는 광원부(2050, 2060)의 광원 광을 광원 대향면(2073)에 입사시키고, 판 대향면(2074)으로부터 사출한다.
외연 도광부(2072a)와 외연 도광부(2072b) 사이에는, 광원 광 구획부(2076)가 배치되어 있다. 광원 광 구획부(2076)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에스트라마에 의해 형성되고, 광원 광을 차광하도록 되고 있다. 광원 광 구획부(2076)는,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 중 대향면(2073, 2074)을 제외한 개소를 에워싸는 통 형상의 구멍을, 각 외연 도광부(2072a, 2072b)에 대응하여 복수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광원 광 구획부(2076)는, 각 광원 대향면(2073)보다 광원부(2050, 2060)측 및 각 판 대향면(2074)보다 도광판(2030, 2040)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또한 광원 광 구획부(2076)의 광원부(2050, 2060)측에 설치된 포위부(2077)가 광원용 회로 기판(2019)을 에워싸고 있다.
광원 광 구획부(2076)가 각 쌍을 광학적으로 구획함으로써, 예를 들어 광원부(2050)로부터 광원 광이 발해져도, 그것이 상이한 쌍에 속하는 도광판(2040)에 입사하는 것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광원부(2060)로부터 광원 광이 발해져도, 그것이 상이한 쌍에 속하는 도광판(2030)에 입사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러한 외연 부재(2070)는, 배면 케이스(2012)와 윈도우 플레이트(2014) 사이에 끼워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광원 광 구획부(2076)의 도광판(2030, 2040) 측단부가 각 외연부(2032, 2042)를 끼움으로써, 외연 부재(2070)가 각 도광판(2030, 2040)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도광판(2030, 2040)의 외연부(2032, 2042)의 네 코너에는 판 두께 방향(TD)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034, 2044)이 마련되어 있고, 배면 케이스(2012)로부터 시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핀(2012a)이 각 관통 구멍(2034, 2044)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각 도광판(2030, 2040)은 위치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2040)의 관통 구멍(2044)의 직경은, 도광판(2030)의 관통 구멍(2034)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돌출 핀(2012a)의 직경은, 관통 구멍(2044)을 관통하는 개소 쪽이 관통 구멍(2034)을 관통하는 개소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광판(2030, 2040)의 배면 케이스(2012)에의 조립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광원 광 구획부(2076)의 에스트라마의 유연성에 의해, 차량의 진동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도광판(2030, 2040)과 케이스부(2010)의 충돌음 등의 이음이 억제된다.
또한 각 도광판(2030, 2040)은, 각각, 도 30 내지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부(2036, 2046)를 갖고 있다. 반사부(2036, 2046)는, 대응하는 광원부(2050, 2060)로부터의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배면측의 도광판(2030)에 대해 대표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부(2036)는, 도광판(2030)의 배면측으로부터 도광판(2030)의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요철부(2037)를 갖고 있다. 각 요철부(2037)의 돌출 치수는, 15㎛이다. 각 요철부(2037)는, 광원부(2050)를 향하는 경사 반사면(2037a)과, 당해 경사 반사면(2037a)과는 표리 관계로 배치된 경사 벽면(2037b)을 갖고 있다. 경사 반사면(2037a)은, 도광판(203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도광판(2030) 내부를 도광된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 가능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벽면(2037b)은, 도광판(203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5°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반사면(2037a) 및 경사 벽면(2037b)이 연신하는 방향(ED)의 치수는 75㎛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 반사면(2037a)의 측단부와 경사 벽면(2037b)의 측단부 사이에는, 경사 측면(2037c)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에 설치된 각 경사 측면(2037c)은, 도광판(203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5°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요철부(2037)는, 하나씩, 도광판(2030)의 평탄부(2038)를 통해 이격되어, 소정의 배열 피치 PED, PND로, 2차원 방향 ED, ND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 ED의 배열 피치 PED는, 150㎛이고, 당해 방향 ED와 직교하는 방향 ND의 배열 피치 PND는, 75㎛로 되어 있다.
시인측의 도광판(2040)에 있어서의 요철부(2047), 경사 반사면(2047a), 경사 벽면(2047b), 경사 측면(2047c)도 도광판(2030)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복수의 요철부(2047)도, 하나씩, 도광판(2040)의 평탄부(2048)를 통해 이격되어, 소정의 배열 피치 PED, NED로, 2차원 방향 ED, ND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요철부(2047)의 상세 형상의 도시는, 도 31 내지 도 33과 공통화하여, 괄호를 붙인 부호로 나타나 있다.
각 도광판(2030, 2040)에 있어서, 복수의 요철부(2037, 2047)의 배치에 의해, 도 26,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안이 형성되어 있다. 도안은, 각 도광판(2030, 2040)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6에서는, 도광판(2030)에 의한 반사부(2036)의 요철부(2037)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사선의 해칭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광원부(2050, 2060) 중 광원부(2050)만을 점등하면, 도광판(2040)의 반사부(2046)는 거의 시인되지 않고, 도 26과 같이 시인되게 된다. 광원부(2060)만을 점등한 경우도 반사부(2036)는 거의 시인되지 않는다. 도 34에서는, 도광판(2040)에 의한 반사부(2046)의 요철부(2047)의 배치에 대해서도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각 도광판(2030, 2040)에 있어서 반사부(2036, 2046)는, 서로 적어도 일부가 어긋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측의 도광판(2030)에 있어서, 반사부(2036)는, 주변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주변 반사부(2036a)로 되어 있다. 시인측의 도광판(2040)에 있어서, 반사부(2046)는,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광원 광을 표시부(2020)의 표시에 중첩시키는 표시 중첩 반사부(2046a)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변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이라 함은, 주변 영역(SA)과, 표시판(2021)의 수직 방향 또는 도광판(2030, 2040)의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치는 도광판(2030) 상의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이라 함은, 표시 영역(DA)과, 표시판(2021)의 수직 방향 또는 도광판(2030, 2040)의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치는 도광판(2040) 상의 영역이다.
더 상세하게, 주변 반사부(2036a)는, 기계식 표시부(2022a)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원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변 반사부(2036a)는, 기계식 표시부(2022b)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원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변 반사부(2036a)는, 화상 표시부(2027)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직사각형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계식 표시부(2022a 또는 2022b)와 화상 표시부(2027)의 근접 개소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주변 반사부(2036a)의 테두리는, 서로 연결된다.
표시 중첩 반사부(2046a)는, 주변 반사부(2036a)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중 전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기계식 표시부(2022a, 2022b) 및 화상 표시부(2027)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3개소로 이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4에서는, 좁은 경사 해칭이 반사부(2036)(즉, 주변 반사부(2036a))의 배치에 대응하고, 넓은 경사 해칭이 반사부(2046)(즉, 표시 중첩 반사부(2046a))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원부(2050, 2060)로부터의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2036, 2046)가 설치된 도광판(2030, 2040)은, 서로 중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광판(2030, 2040)과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복수의 광원부(2050, 2060)는, 서로 다른 색의 광원 광을, 대응하는 도광판(2030, 2040)의 외연부(2032, 2042)를 통해 내측으로 광원 광을 입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광원부(2050, 2060)가 점등 및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각 반사부(2036, 2046)의 반사에 의해 색 또는 도안의 변화 또는 조합이 실현되어, 미관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반사부(2036, 2046)는, 서로 적어도 일부가 어긋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광원부(2050, 2060)의 점등 및 소등의 전환에 의해, 반사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이한 광원부(2050, 2060)에 속하는 발광 소자(2052, 2062)끼리는, 서로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점등하는 광원부(2050 또는 2060)를 다른 광원부(2060 또는 2050)로 전환하는 경우에, 그 전후에 있어서, 도광판(2030, 2040) 상의 휘도 밸런스가 변화되어 시인되기 어려우므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어,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광판(2030, 2040)의 배면측으로부터 당해 도광판(2030, 2040)의 내부로 돌출되는 요철부(2037, 2047)가 도안을 형성한다. 이러한 요철부(2037, 2047)에 의해, 반사부(2036, 2046)는, 광원 광을 용이하게 시인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안이 각 도광판(2030, 2040)에 있어서 서로 다르므로, 점등하는 광원부(2050, 2060)를 전환함으로써, 상이한 도안을 시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느 도광판(2030)에서는, 주변 반사부(2036a)가 표시부(2020)의 주변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다른 어느 도광판(2040)에서는, 표시 중첩 반사부(2046a)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광원 광을 표시부(2020)의 표시에 중첩시킨다. 주변 반사부(2036a) 및 표시 중첩 반사부(2046a)가 이러한 표시부(2020)의 영역 배치에 맞추어 디자인됨으로써, 미관이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로서는, 하나의 도광판에, 복수의 광원부가 대응한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35 내지 도 40의 예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2200)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도광판(2230)을 갖고 있다. 도광판(2230)은,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용 광원부(2250, 2260)는, 하나의 도광판(2230)에 대해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광원부(2250, 226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발광 소자(2252, 2262)를 갖고, 광원부(2250)에 속하는 각 발광 소자(2252)와 광원부(2260)에 속하는 각 발광 소자(2262)는,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상이한 광원부(2250, 2260)에 속하는 발광 소자(2252, 2262)끼리는, 서로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발광 소자(2252, 2262)가 광원부(2250, 2260)마다 2열로 배열됨으로써, 발광 소자(2252)와 발광 소자(2262)를 교대로 1열로 배열한 경우보다, 동일한 광원부(2250 또는 2260)에 속하는 발광 소자(2252 또는 2262)끼리의 배열 피치를 좁힐 수 있다. 발광 소자(2252 또는 2262)끼리의 배열 피치를 좁힘으로써, 반사부(2236)에 반사되는 광원 광의 휘도 불균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 외연 부재(2270)는, 도 37 내지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도광판(2230)의 외연부(2232)와 각 발광 소자(2252, 22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외연 부재(2270)는, 외연 도광부(2272)와 차광부(2276)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외연 도광부(2272)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광원 광을 도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연 도광부(2272)는, 하나의 도광판(2230)과 대향하는 판 대향면(2274), 및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치는 2개의 발광 소자(2252, 2262)와 각각 개별적으로 대향하는 2개의 광원 대향면(2273a, 2273b)을 갖고 있고, 각 대향면(2273a, 2273b)을 접속하는 분기가 형성된 단면 Y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광원 대향면(2273a, 2273b) 및 판 대향면(2274)은, 각각 매끄러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연 도광부(2272)는, 광원부(2250, 2260)의 광원 광을 광원 대향면(2273a, 2273b)으로 입사시키고, 판 대향면(2274)으로부터 사출한다.
차광부(2276)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에스트라마에 의해 형성되고, 외연 도광부(2272) 중 대향면(2273a, 2273b, 2274)을 제외한 개소를 에워싸는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2252, 2262)가 발한 광원 광이, 외연 도광부(2272)에 의해 도광될 때, 차광부(2276)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차광부(2276)는, 판 대향면(2274)보다 도광판(2230)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또한 외연 부재(2270)는, 배면 케이스(2012)와 윈도우 플레이트(2014) 사이에 끼워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광부(2276)의 도광판(2230) 측단부가 도광판(2230)을 끼움으로써, 외연 부재(2270)가 도광판(2230)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2200)는, 2개의 광원부(2250, 2260) 중 하나를 점등하도록, 점등하는 광원부(2250, 2260)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광원부(2250, 2260)에 대응한 상이한 색(예를 들어 적색 또는 청색)에 의해, 반사부(2236)에 의해 시인되는 색을 전환하여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광원부(2250, 2260)가 양쪽 동시에 점등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2로서는, 도광판(2030, 2040)은,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3으로서는, 각 도광판(2030, 2040)에 있어서의 반사부(2036, 2046)는, 전역이 서로 겹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요철부(2037, 2047)가 형성하는 도안은, 각 도광판(2030, 2040)에 있어서 동일해도 된다.
변형예 4로서는, 요철부(2037, 2047)가 형성하는 도안으로서, 임의의 다양한 도안을 채용할 수 있다.
변형예 5로서는, 요철부(2037, 2047)에 있어서 경사 반사면(2037a, 2047a)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6으로서는, 상이한 광원부(2050, 2060)에 속하는 발광 소자(2052, 2062)끼리는, 서로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쳐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제6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1890호 공보에서는, 도광판이 하나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반사부에 따른 항시 동일한 도안밖에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장치의 미관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6 실시 형태에서는,
(1) 차량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20)를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투광성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표시부보다 시인측에 있어서 서로 중첩 배치된 복수의 도광판(2030, 2040)과,
각 도광판과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쌍을 이루고, 점등 및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대응하는 도광판의 외연부(2032, 2042)를 통해 내측으로 광원 광을 입사시키는 복수의 광원부(2050, 2060)를 구비하고,
각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의 광원 광을 발하고,
각 도광판은, 대응하는 광원부로부터의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2036, 2046)를 갖는다.
제6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특징은 이상이지만, 하위 계층의 특징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과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를 각 구성에 추가하여 설명한다.
(2) 각 상기 도광판에 있어서 각 반사부는, 서로 적어도 일부가 어긋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3) 각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2052, 2062)를 갖고,
각 상기 도광판은, 서로 판 두께 방향(TD)을 맞추어 배치되고,
상이한 상기 광원부에 속하는 발광 소자끼리는, 서로 상기 판 두께 방향으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
(4) 각 상기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돌출되어 도안을 형성하는 요철부(2037, 2047)를 갖는다.
(5) 상기 도안은, 각 상기 도광판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6) 상기 표시부는, 시인측에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SA)을 갖고,
상기 복수의 도광판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광판(2030)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부(2036)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주변 반사부(2036a)이고,
상기 복수의 도광판 중, 상기 주변 반사부가 설치된 상기 도광판과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광판(2040)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부(2046)는,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상기 광원 광을 상기 표시부의 표시에 중첩시키는 표시 중첩 반사부(2046a)이다.
이것에 의하면, 광원부로부터의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설치된 도광판은, 서로 중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광판과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복수의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의 광원 광을, 대응하는 도광판의 외연부를 통해 내측으로 광원 광을 입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광원부가 점등 및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각 반사부의 반사에 의해 색 또는 도안의 변화 또는 조합이 실현되어, 미관이 향상된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3100)는, 차량에 탑재되고, 당해 장치(3100)를 시인하는 탑승인이 착좌하는 좌석과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3100)는, 탑승인이 위치하게 되는 시인측을 향해 차량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3100)는, 도 4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3010), 표시 본체부(3020), 발광판(3030), 발광판용 광원부(3050) 및 복수의 외연 부재(307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3010)는, 배면 케이스(3012), 윈도우 플레이트(3014), 및 투광판(3016)을 갖고 있다. 배면 케이스(3012)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 본체부(3020)를 배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윈도우 플레이트(3014)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 본체부(3020)의 외주 윤곽을 따라 시인측 및 배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판(3016)은, 예를 들어 착색된 아크릴 수지 등의 반투광성 수지에 의해, 윈도우 플레이트(3014)의 시인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판(3030)은, 투광판(3016)에 시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투광판(3016)은, 스모크조의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30%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본체부(3020)는, 표시판(3021)을 사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표시한다. 표시판(3021)은, 일반적으로 문자판이라고도 불리고 있고, 배면 케이스(3012)와 발광판(30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판(3021)은,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반투광성 또는 차광성의 인쇄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대신에, 도장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본체부(3020)는, 복수의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및 화상 표시부(3027)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표시부(3027)가 2개의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에 좌우 사이에 놓인 배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는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는, 지침(3024)을 사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표시한다. 각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는, 스테핑 모터(3023), 지침(3024), 지침용 광원부(3025), 지표(3021a) 및 지표용 조명부(3026)를 갖고 있다. 스테핑 모터(3023)는, 배면 케이스(3012)와 표시판(3021) 사이에, 즉 표시판(3021)보다 배면측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3018)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지침(3024)은, 연결부(3024a) 및 지시부(3024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결부(3024a)는, 표시판(3021)에 형성된 관통 구멍(3021d)를 통해 배치되어 있고, 스테핑 모터(3023)의 회전축(3023a)과 연결되어 있다. 지시부(3024b)는, 표시판(3021)과 발광판(3030) 사이에, 즉 표시판(3021)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고, 침상을 나타내고 있다. 지침(3024)은, 스테핑 모터(3023)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지침용 광원부(3025)는, 관통 구멍(3021d)보다 배면측의 메인 회로 기판(3018)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3025a)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 소자(3025a)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제어 회로를 통해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지침용 광원부(3025)의 광이 배면측으로부터 지침(3024)을 조명함으로써, 지침(3024)이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지표(3021a)는, 표시판(3021) 상에 배치되고, 관통 구멍(3021d)을 중심으로 한 부분 원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지표(3021a)는, 눈금 및 숫자를 포함하고 있다. 눈금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숫자는, 눈금 중 일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대응하는 눈금보다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눈금 및 숫자는, 차광성 인쇄에 둘러싸여, 반투광성 인쇄가 실시됨으로써 윤곽을 구성하고 있다.
지표용 조명부(3026)는, 지침용 광원부(3025)보다 외주측이면서 지표(3021a)의 배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고 있다. 발광 소자에 의해 지표용 조명부(3026)가 배면측으로부터 지표(3021a)를 조명함으로써, 지표(3021a)가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표(3021a)를 지침(3024)이 지시함으로써, 각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는, 각각 지침(3024)을 사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측의 기계식 표시부(3022a)는, 차량의 상태로서, 차속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의 기계식 표시부(3022b)는, 차량의 상태로서,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에 있어서, 원환상의 지표(3021a)로부터 내주측의 원 형상 영역이 실질적으로 각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의 가시 범위를 구성하고 있게 된다.
화상 표시부(3027)는, 기계식 표시부(3022a)의 부근이면서 기계식 표시부(3022b)의 부근에 배치되고,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 표시부(3027)는, 표시판(3021)보다 배면측에, 표시판(3021)과 근접하여 배치된 액정 표시기(3028)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기(3028)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한 액정 패널이며,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화소로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3028)는, 시인측에 화상을 표시하는 직사각 형상의 액정 표시면(3028a)을 갖고 있다.
또한 표시판(3021)에 있어서 액정 표시면(3028a)과 겹치는 개소에는, 인쇄가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투광성을 갖는 표시판 투광부(3021c)가 액정 표시면(3028a)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배치되어 있다. 표시판 투광부(3021c)의 주위는, 인쇄가 실시됨으로써 차광성을 갖는 직사각 형상의 표시 프레임(3021b)으로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면(3028a)에 표시된 화상의 광은, 표시판 투광부(3021c)와 표시 프레임(3021b)의 경계선(PL)보다 내측이며, 표시판 투광부(3021c)와 겹치는 부분만 시인측으로 투과하여 시인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면(3028a) 중 표시판 투광부(3021c)와 겹치는 부분이 표시 노출면(3028b)으로서, 광학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화상을 시인측을 향해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표시 프레임(3021b)으로 둘러싸인 표시 노출면(3028b)이 실질적으로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를 구성하고 있다.
발광판(3030)은,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판(3030)은,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및 화상 표시부(3027)보다 시인측에 배치되고, 표시판(302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발광판(3030)은, 시인측을 향해 발광 가능하게 형성된 발광 영역(EA)을 갖고 있다.
발광판용 광원부(3050)는, 광원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3052)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 소자(3052)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제어 회로를 통해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각 발광 소자(3052)는, 점등 또는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3052)는, 서로 동일한 색으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부(3050)는, 각 발광 소자(3052)에 의해, 발광판(3030)의 외연부(3032)를 통해, 광원 광을 발광판(3030)에 입사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판(3030)보다 외주에는,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광원용 기판(3019)이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3052)는, 이 광원용 기판(3019) 상에 발광판(3030)의 외연부(3032)를 전체 둘레에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외연 부재(3070)는, 평판 형상의 발광판(3030)의 외연부(3032)와 각 발광 소자(30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외연 부재(3070)는, 외연 도광부(3072)와 차광부(3076)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외연 도광부(3072)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광원 광을 도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연 도광부(3072)는, 발광판(3030)의 외연부(3032)와 대향하는 판 대향면(3074) 및 발광 소자(3052)와 대향하는 광원 대향면(3073)을 갖고 있다. 광원 대향면(3073) 및 판 대향면(3074)은, 각각 매끄러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부(3076)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에스트라마에 의해 형성되고, 외연 도광부(3072) 중 대향면(3073, 3074)을 제외한 개소를 에워싸는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3052)가 발한 광원 광이, 외연 도광부(3072)에 도광될 때, 차광부(3076)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차광부(3076)는, 판 대향면(3074)보다 발광판(3030)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또한 외연 부재(3070)는, 배면 케이스(3012)와 윈도우 플레이트(3014) 사이에 끼워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광부(3076)의 발광판 측단부가 발광판(3030)을 끼움으로써, 외연 부재(3070)가 발광판(3030)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차광부(3076)의 에스트라마의 유연성에 의해, 차량의 진동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발광판(3030)과 케이스부(3010)의 충돌음 등의 이음이 억제된다.
발광판(3030)은, 발광 영역(EA)에 있어서 반사부(3036)를 갖고 있다. 반사부(3036)에는, 발광판(3030)의 배면측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형상의 경사면(3037a)이 마련되어 있다. 광원부(3050)로부터 도광된 광원 광을, 반사부(3036)의 경사면(3037a)이 시인측으로 반사함으로써, 발광판(3030)은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반사부(3036)는, 도 44 내지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판(3030)의 배면측으로부터 발광판(3030)의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반사 소자(3037)를 갖고 있다. 각 반사 소자(3037)의 돌출 치수는, 15㎛이다. 경사면(3037a)은, 이러한 각 반사 소자(3037)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3037a)은, 발광판(303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발광판(3030) 내부를 도광된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 가능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판 두께 방향(TD)은, 발광판(3030)의 가장 면적이 큰 표면의 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또한, 각 반사 소자(3037)에는, 경사면(3037a)과는 표리 관계로 설치된 경사 벽면(3037b)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 벽면(3037b)은, 발광판(303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5°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반사 소자(3037)에 있어서, 경사면(3037a) 및 경사 벽면(3037b)이 연신되는 방향의 치수는 75㎛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3037a)의 측단부와 경사 벽면(3037b)의 측단부 사이에는, 경사 측면(3037c)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에 설치된 각 경사 측면(3037c)은, 발광판(3030)의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5°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반사 소자(3037)는, 하나씩, 발광판(3030)의 평탄부(3038)를 통해 이격되어, 소정의 배열 피치 PED, PND로,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 ED의 배열 피치 PED는, 150㎛이고, 당해 방향 ED와 직교하는 방향 ND의 배열 피치 PND는, 75㎛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복수의 반사 소자(3037)는, 이러한 피치 설정에 의해 발광 영역 EA 내에 소정, 또한 일정 밀도로 배치됨으로써, 반사부(3036)를 형성하고 있다.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판(3030)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 소자(3037)가 반사부(3036)로서 발광 영역(EA)에 설치됨으로써, 도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판(3030)에 있어서 발광 영역(EA)은, 기계식 표시부(3022a)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발광 영역(EA)은, 기계식 표시부(3022b)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경계 부분(PA)에 대응하는 영역이라 함은, 당해 경계 부분(PA)과, 표시판(3021)의 수직 방향 또는 발광판(3030)의 판 두께 방향(TD)으로 겹치는 발광판(3030) 상의 영역이다.
더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영역(EA)은, 기계식 표시부(3022a)의 가시 범위, 기계식 표시부(3022b)의 가시 범위 및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발광 영역(EA) 중 기계식 표시부(3022a)에 대응하는 부분 EA1은, 기계식 표시부(3022a)의 가시 범위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원환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발광 영역(EA) 중 기계식 표시부(3022b)에 대응하는 부분 EA2는, 기계식 표시부(3022b)의 가시 범위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원환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발광 영역(EA) 중 화상 표시부(3027)에 대응하는 부분 EA3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직사각형 환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당해 부분 EA3은, 경계선(PL)을 전체 둘레에 걸쳐 넘도록 마련되어 있다.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 중, 기계식 표시부(3022a)와 화상 표시부(3027)가 근접하고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발광 영역(EA)이 전역에 마련되어 있고, 발광 영역(EA)의 각 부분 EA1과 EA3 또는 EA2와 EA3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 영역(EA)은, 광원부(3050)가 점등되어 있을 때에는, 발광하여 밝게 시인되지만, 광원부(3050)가 소등되어 있을 때에는, 반사 소자(3037)의 사이즈 및 밀도의 설정에 의해, 시인측으로부터는 거의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41, 도 48에서는, 발광 영역(EA)의 범위가 사선의 해칭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과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발광 영역(EA)이 마련된다. 이 발광 영역(EA)은 시인측을 향해 발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경계 부분(PA)이 어둡게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이 발광 영역(EA)은,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및 화상 표시부(3027)보다 시인측에 배치된 발광판(3030)에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 영역(EA)이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의 구조 및 화상 표시부(3027)의 구조와 기계적으로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발광판(3030)의 투광성에 의해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및 화상 표시부(3027)의 표시의 시인이 차단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3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광판(3030)은, 발광 영역(EA)에 있어서, 발광판(3030)에 오목 형상의 경사면(3037a)이 마련됨으로써, 도광된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3036)를 갖는다. 이러한 경사면(3037a)에서의 반사에 의해 발광 영역(EA)에서의 발광이 실현되는 구성에서는, 광원부(3050)를 소등한 경우에, 경사면(3037a)이 시인되기 어려워져, 발광 영역(EA)의 존재를 인식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3027)는,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를 구성하고, 광학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화상을 시인측을 향해 표시하는 표시 노출면(3028b)과, 표시 노출면(3028b)을 둘러싸고, 차광성을 갖는 표시 프레임(3021b)을 갖고, 발광 영역(EA)은, 표시 노출면(3028b)과 표시 프레임(3021b)의 경계선(PL)에 전체 둘레로 걸쳐서 마련된다. 이러한 발광 영역(EA)의 영역 설정에서는,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에 있어서의 외주 윤곽을, 시인자에게 인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부(3027)를 실제의 크기보다 크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미관이 향상된다.
(제8 실시 형태)
도 49 내지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는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제7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8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3200)에 있어서, 발광판(3230)은,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된 복수의 부위(3230a, 3230b, 3230c)에 의해, 1매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위(3230a, 3230b, 3230c)는,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및 화상 표시부(27)의 총 수에 대응하여 합계 3개 설치되어 있다. 부위(3230a)는, 발광판(3230) 중, 기계식 표시부(22a)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배치되어 있다. 부위(3230b)는, 발광판(3230) 중, 기계식 표시부(22b)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배치되어 있다. 부위(3230c)는, 발광판(3230) 중,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50 내지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위(3230a, 3230b, 3230c)는, 접합부(3240)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부위(3230a)와 부위(3230c) 사이, 및 부위(3230b)와 부위(3230c) 사이에 접합부(32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접합부(3240)에서는, 화상 표시부(27)에 대응하는 부위(3230c)로부터 발광판(3230)의 시인측 표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3241)와,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에 대응하는 부위(3230a, 3230b)로부터 발광판(3230)의 배면측 표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3242)가 조합된 조인트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위(3230c)와 부위(3230a 또는 3230b)는, 미리 접합 계면(3243)을 자외선에 의해 광산화 처리하고, 가압한 상태에서, 초단 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 방법에 의한 접합부(3240)는, 탑승인에 의해 시인측으로부터 접합 계면(3243)이 시인되는 것을 곤란하게 하면서도, 인접하는 부위(3230a 및 3230c, 3230b 및 3230c) 사이에서의 광원 광의 투과 왕래를 규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9,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판(3230)에 있어서 발광 영역(EA)은,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 제8 실시 형태의 발광 영역(EA)은, 각 접합부(324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각 부위(3230a, 3230b, 3230c)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영역(EA) 중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에 대응하는 부분 EA1은, 기계식 표시부(3022a)의 가시 범위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부위(3230a)에서 원환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당해 부분 EA1의 외주 윤곽은 8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발광 영역(EA) 중 기계식 표시부(3022b)에 대응하는 부분은, 기계식 표시부(3022b)의 가시 범위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부위(3230b)에서 원환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당해 부분 EA2의 외주 윤곽은 8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발광 영역(EA) 중 화상 표시부(3027)에 대응하는 부분 EA3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부위(3230c)에서 직사각형 환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접합부(3240)는, 당해 부분 EA3 중 기계식 표시부(22a, 22b)에 대응하는 부분 EA1, EA3과 근접하는 변을 따라 연신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판(3230)에 대해, 제8 실시 형태의 광원부(3250)는, 발광 소자(3252a, 3252b, 3252c)를 광원용 기판(3019) 상에, 각 부위(3230a, 3230b, 3230c)에 대응하여, 발광판(3230)의 외연부(3232)를 전체 둘레에 둘러싸도록 배치하고 있다. 단, 부위(3230a 및 3230b)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3252a, 3252b)와 부위(3230c)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3252c)가 상이한 색으로 발광함으로써, 광원부(3250)는 인접하는 부위(3230a 및 3230c, 3230b 및 3230c) 사이에서 서로 다른 색의 광원 광을 입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 영역(EA)은, 부위(3230a, 3230b, 3230c)마다 상이한 색으로 발광 가능해진다. 각 부위(3230a, 3230b, 3230c)가 각 표시부(3022a, 3022b, 3027)에 대응하여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 표시부(3022a, 3022b, 3027)에 맞춘 색으로 발광 영역(EA)을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부위(3230a, b)를 청색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부위(3230c)를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부위(3230c)는, 통상 시는 발광하지 않고, 경보를 표시할 때,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해도 된다.
제8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광판(3230)은, 복수의 부위(3230a, 3230b, 3230c)가 접합부(3240)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접합부(3240)가 인접하는 부위(3230a 및 3230c 또는 3230b 및 3230c) 사이의 광원 광의 투과 왕래를 규제하도록, 1매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부(3250)는, 인접하는 부위(3230a 및 3230c 또는 3230b 및 3230c) 사이에서 서로 다른 색의 광원 광을 입사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1매의 발광판(3230)에서 부위(3230a, 3230b, 3230c)마다 상이한 색의 발광을 실현 가능해지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제9 실시 형태)
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9 실시 형태는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제7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9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3300)에 있어서, 발광판(3330)은,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비해, 외연부(3332)가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제9 실시 형태의 발광판(3330)의 외연부(3332)는 전체 둘레에 걸쳐 굴곡 도광부(3333)를 갖고 있다.
굴곡 도광부(3333)는,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된 굴곡 경로(WP)를 형성하고, 광원 광을 당해 굴곡 경로(WP)를 통해 발광 영역(EA)을 향해 도광하도록 되어 있다. 굴곡 도광부(3333)는, 내부로부터 광원부(50)측을 향함에 따라서 시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평면 형상의 내부에 대해 90° 정도 구부러진 개소에 외연 부재(3370)와 대향하는 외연 대향면(3333a)이 설치되어 있다.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영역(EA)은, 도 54,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판(3330) 중 기계식 표시부(22a, 22b)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 및 화상 표시부(27)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대략 전역에 설정되어 있고, 굴곡 도광부(3333)에도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9 실시 형태의 발광 영역(EA)은, 당해 발광 영역(EA)을 실현하는 반사부(3036)에 있어서, 반사 소자(3037)의 밀도가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되는 밀도 변화 영역(EAG)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소자(3037)의 밀도는, 평면 형상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광 영역(EA)에 있어서 굴곡 도광부(3333)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고, 굴곡 도광부(3333)에 있어서의 발광 영역(EA)이 밀도 변화 영역(EAG)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굴곡 도광부(3333)에서는, 내부로부터 광원부(3050)측을 향함에 따라서, 반사 소자(3037)의 밀도가 증대되고 있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9 실시 형태의 외연 부재(3370)는,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연 도광부(3372)와 차광부(3376)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갖고 있지만, 제9 실시 형태의 외연 도광부(3372)는, 단면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외연 도광부(3372)에 있어서의 L자의 측면이 광원 대향면(3373)으로 되어 있고, 광원부(3050)의 발광 소자(3052)는 광원 대향면(3373) 중 배면측의 단부(3373a)와 대향하고 있다. 외연 도광부(3372)에 있어서 광원 광의 입사 개소 및 굴곡 개소 각각에는 반사면(3372a, 3372b)이 설치되어 있고, 광원 광은 반사면(3372a, 3372b)에 순차 반사되어, 광원부(3050) 및 발광판(3330)의 내부보다 시인측에 위치하는 판 대향면(3374)까지 도광되도록 되어 있다. 광원 광은, 외연 도광부(3372)로부터 판 대향면(3374)을 통해 사출되고, 외연 대향면(3333a)을 통해 발광판(3330)의 굴곡 도광부(3333)로 입사한다.
광원 광이 굴곡 경로(WP)를 통과하는 데 있어서, 굴곡 도광부(3333) 중 시인측의 표면(3333b)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굴곡 경로(WP)에 있어서의 광원 광은 시인측의 표면(3333b)에 반사되면서, 굴곡 도광부(3333) 중 배면측의 표면(3333c)에 달하는 일부는 반사 소자(3037)에 의해 시인측으로 반사되고, 반사 소자(3037)에 반사되지 않은 타부는, 내부의 발광 영역(EA)으로 도광된다.
제9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광 영역(EA)은, 반사 소자(3037)의 밀도가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되는 밀도 변화 영역(EAG)을 갖는다. 밀도 변화 영역(EAG)에서는, 반사 소자(3037)의 밀도에 따라서 발광 휘도가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되게 되므로, 시인자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연부(3332)는, 굴곡된 굴곡 경로(WP)를 형성하고, 광원 광을 굴곡 경로(WP)를 통해 발광 영역(EA)을 향해 도광하는 굴곡 도광부(3333)를 갖는다. 광원 광이 굴곡 경로(WP)를 통해 도광되므로, 발광 영역(EA)까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광원 광의 휘도가 당해 발광 영역(EA)에 도달할 때까지 균일화되므로, 휘도 불균일이 억제되어,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을 포함하는 데드 스페이스 전체가 발광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밝아짐으로써 미관이 향상된다.
제7 내지 제9 실시 형태의 변형예 1로서는, 기계식 표시부(22a, 22b)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부(27)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변형예 2로서는, 발광 영역(EA)은,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중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표시부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화상 표시부(3027)가 복수인 경우에는, 화상 표시부(3027)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표시부(3027)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더 구체적으로, 발광 영역(EA)은, 각 표시부(3022a, 3022b, 3027)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인접하는 표시부(3022a 및 3027, 3022b 및 3027)끼리가 가장 근접하는 개소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3으로서는, 반사부(3036)에 있어서 경사면(3037a)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4로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3100)는,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 및 화상 표시부(3027)보다 시인측에, 복수의 발광판(3030)을 서로 중첩 배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복수의 발광판(3030)의 도안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하고, 각 발광판(3030)에 대응하는 광원부(305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전환함으로써, 상이한 도안이 시인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5로서는, 발광판(3030)은, 광원부(3050)로부터의 광원 광을 반사부(3036)가 시인측으로 반사함으로써, 발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판(3030)에 발광 소자를 매설하여, 당해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7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3813호 공보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기계식 표시부의 가시 범위의 주위에는, 기계식 표시부를 위한 구조를 배치할 필요가 있고, 또한 화상 표시부의 가시 범위의 주위에도, 화상 표시부를 위한 구조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에 의해, 기계식 표시부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의 가시 범위 사이(즉, 경계 부분)에는, 표시를 행할 수 없는 무표시 범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무표시 범위는 대체로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고,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당해 무표시 범위의 존재에 의해, 차량용 표시 장치의 미관이 나빴다.
이에 비해,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7 내지 9 실시 형태에 있어서,
(1) 차량의 상태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지침(3024)을 사용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기계식 표시부(3022a, 3022b)와,
기계식 표시부의 부근에 배치되고,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3027)와,
기계식 표시부 및 화상 표시부보다 시인측에 배치되고, 투광성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발광판(3030, 3230, 3330)을 구비하고,
발광판은, 시인측을 향해 발광 가능하게 형성된 발광 영역(EA)을 갖고,
발광 영역은, 기계식 표시부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PA)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제7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특징은 이상이지만, 하위 계층의 특징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과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를 각 구성에 추가하여 설명한다.
(2) 차량용 표시 장치는, 상기 발광 영역에 도광되는 광원 광을, 상기 발광판의 외연부(3032, 3232, 3332)를 통해 상기 발광판에 입사시키는 광원부(3050, 32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판은, 상기 발광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발광판에 오목 형상의 경사면(3037a)이 설치됨으로써, 도광된 상기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3036)를 갖는다.
(3) 상기 발광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반사 소자(3037)를 소정의 밀도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소정의 밀도가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되는 밀도 변화 영역(EAG)을 갖는다.
(4) 상기 외연부는, 굴곡된 굴곡 경로(WP)를 형성하고, 상기 광원 광을 상기 굴곡 경로를 통해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해 도광하는 굴곡 도광부(3333)를 갖는다.
(5) 상기 발광판은, 복수의 부위(3230a, 3230b, 3230c)가 접합부(3240)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부가 인접하는 상기 부위 사이의 상기 광원 광의 투과 왕래를 규제하도록, 1매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인접하는 상기 부위 사이에서 서로 다른 색의 상기 광원 광을 입사시킨다.
(6) 상기 화상 표시부는,
상기 화상 표시부의 가시 범위를 구성하고, 광학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화상을 시인측을 향해 표시하는 표시 노출면(3028b)과,
상기 표시 노출면을 둘러싸고, 차광성을 갖는 표시 프레임(3021b)을 갖고,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표시 노출면과 상기 표시 프레임의 경계선(PL)에 전체 둘레로 걸쳐서 마련된다.
(7)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판 중, 상기 기계식 표시부의 가시 범위 및 상기 화상 표시부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전역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하면, 기계식 표시부의 가시 범위와 화상 표시부의 가시 범위의 경계 부분과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발광 영역이 마련된다. 이 발광 영역은 시인측을 향해 발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경계 부분이 어둡게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이 발광 영역은, 기계식 표시부 및 화상 표시부보다 시인측에 배치된 발광판에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 영역이 기계식 표시부의 구조 및 화상 표시부의 구조와 기계적으로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발광판의 투광성에 의해 기계식 표시부 및 화상 표시부의 표시 시인이 차단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도 58에 도시하는 제10 실시 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4100)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용 콤비네이션 미터로서 기능한다. 표시 장치(4100)는, 도 58에 도시하는 정면측의 표시 영역(4010a)을 운전석을 향하게 한 자세로,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4100)는, 차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 영역(4010a)에 표시한다.
표시 영역(4010a)에는, 스피드 미터 표시부(4011) 및 타코미터 표시부(4012)와 같은 지침 표시부, 멀티 표시부(4013), 그리고 발광 의장 표시부(401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스피드 미터 표시부(4011) 및 타코미터 표시부(4012)는, 회전하는 각 지침(4033)에 의해 정보를 표시한다. 멀티 표시부(4013)는, 표시 영역(4010a)의 중앙에 위치하고, 주로 액정 표시기(4020)의 표시 화면(4021)에 묘화되는 다양한 화상(PI)에 의해 정보를 표시한다. 발광 의장 표시부(4014)는, 멀티 표시부(4013)의 표시 화면(4021)의 화상(PI)에 중첩되는 발광 의장(LP)을 표시한다.
도 58 및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4100)는, 액정 표시기(4020), 2개의 지침 표시기(4030), 투과 표시기(4040), 하우징(4050), 및 회로 기판(405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4020)는, 하우징(4050)의 중앙에 보유 지지된 대형 TFT(Thin Film Transistor)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액정 표시기(4020)는, 백라이트(4023) 및 화상 표시 패널(4024) 등을 겹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정 표시기(4020)의 표시 화면(4021)이 향한 방향이며, 표시 화면(4021)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가상 축선을 따른 방향을, 표시 방향(SD)이라고 한다. 또한, 표시 방향(SD)과 반대 방향을 배면 방향(BD)이라고 한다. 또한, 표시 화면(4021)의 길이 방향이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수평 방향(HD)이라고 한다.
백라이트(4023)는, 액정 광원(4025)(도 60 참조) 및 확산판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백라이트(4023)는, 액정 광원(4025)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확산판에 의해 확산시키면서, 화상 표시 패널(4024)의 배면측에 입사시킨다. 백라이트(4023)는, 화상 표시 패널(4024)을 투과 조명한다. 화상 표시 패널(4024)은, 표시 화면(4021)을 형성하고 있다. 표시 화면(4021)에는, 다수의 화소가 2차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화상 표시 패널(4024)은, 각 화소에 마련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서브 화소의 광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화면(4021)에 다양한 화상(PI)을 컬러 표시한다.
2개의 지침 표시기(4030)는, 액정 표시기(4020)의 수평 방향(HD)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각 지침 표시기(4030)는, 지침 구동 모터(4031), 지침 표시 광원(4032), 지침(4033) 및 문자판(40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침 구동 모터(4031) 및 지침 표시 광원(4032)은, 후술하는 표시 제어 회로(4060)(도 60도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지침 구동 모터(4031)는,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지침(4033)을 회전시킨다. 지침 표시 광원(4032)은,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문자판(4034)에 형성된 눈금, 숫자, 문자, 및 아이콘 등의 의장, 그리고 지침(4033)을 발광시키는 광을 방출한다.
투과 표시기(4040)는, 아크릴 도광판(4041) 및 복수의 투광 표시 광원(404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투과 표시기(4040)는,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으로부터 방사되는 조명광에 의해, 표시 화면(4021)의 화상(PI)과 입체적으로 조합되는 발광 의장(LP)을, 아크릴 도광판(4041)에 설치된 발광 의장 표시부(4014)에 표시시킨다.
아크릴 도광판(4041)은, 아크릴 수지 등의 무색 투명의 수지 재료에 의해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크릴 도광판(4041)은, 판 두께 방향으로 높은 광의 투과성을 갖고 있다. 아크릴 도광판(4041)은, 표시 화면(4021)의 표시 방향(SD)에 위치하고 있다. 아크릴 도광판(4041)의 긴 쪽 방향은, 표시 장치(4100)의 수평 방향(HD)을 따르고 있다. 아크릴 도광판(4041)은, 표시 화면(4021)을 평면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표시 화면(4021)으로부터 표시 방향(SD)으로 10 내지 15㎜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하우징(4050)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아크릴 도광판(4041)은, 멀티 표시부(4013)의 표시 화면(4021) 및 각 지침 표시부의 지침(4033)을 전면적으로 덮고 있다. 아크릴 도광판(4041)에는, 도 61 및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입사 단부면(4041e) 및 복수의 형성 범위(4042)가 마련되어 있다.
입사 단부면(4041e)은, 아크릴 도광판(4041)에 4개의 단부면 중에서, 차량에 설치된 자세에서 하방을 향하는 하측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입사 단부면(4041e)은, 수평 방향(HD)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신되는 형상이며,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사 단부면(4041e)은, 복수의 투광 표시 광원(4043)이 실장된 광원 기판(4044)과 대향하고 있다. 입사 단부면(4041e)은, 복수의 투광 표시 광원(4043)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아크릴 도광판(4041)의 내부에 입사시킨다.
형성 범위(4042)는, 아크릴 도광판(4041)의 양면 중, 배면 방향(BD)을 향하는 이면(4041b)에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형성 범위(4042)는, 투광 표시 광원(4043)의 광이 입사하는 입사 단부면(4041e)으로부터, 아크릴 도광판(4041)의 중앙을 향해 선 형상으로 연신되는 형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즉, 복수의 형성 범위(4042) 중에서 입사 단부면(4041e)의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형성 범위(4042)는, 입사 단부면(4041e)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신되어 있다. 이에 비해, 입사 단부면(4041e)의 한가운데로부터 먼 형성 범위(4042)일수록, 입사 단부면(4041e)에 대해 중앙측으로 경사진 자세로 연신되어 있다(도 67 참조). 각 형성 범위(4042)는, 입사 단부면(4041e)의 연신 방향인 수평 방향(HD)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형성 범위(4042)의 간격은, 예를 들어 수 ㎜ 정도로 마련되어 있고, 인접하는 2개의 투광 표시 광원(4043)의 간격보다 좁게 배치되어 있다.
각 형성 범위(4042)에 속하는 아크릴 도광판(4041)의 이면(4041b)에는, 미세한 다수의 오목부(4045)가 마련되어 있다. 각 오목부(4045)는, 미세 가공에 의해, 아크릴 도광판(4041)의 이면(4041b)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들어가 있다. 다수의 오목부(4045)는, 각 형성 범위(4042)에 있어서, 아크릴 도광판(4041)의 긴 쪽 방향 및 짧은 쪽 방향 각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소정, 또한 일정 밀도로 2차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오목부(4045) 사이의 간격은, 아크릴 도광판(4041)의 긴 쪽 방향(수평 방향(HD))에 있어서 100 내지 200㎛의 범위로 설정되고, 아크릴 도광판(4041)의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 60 내지 120㎛로 설정된다. 일례로서,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4045)의 배열 피치는, 긴 쪽 방향에서 150㎛로 설정되고,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 75㎛로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4045)는, 아크릴 도광판(4041)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연신되는 V자 형상의 홈이다. 개개의 오목부(4045)는, 운전석에 착좌하는 운전자로부터 시인 곤란한 사이즈, 또는 운전자에게 신경쓰이지 않는 가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례로서, 하나의 오목부(4045)의 길이는, 75㎛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면(4041b)을 기준으로 한 오목부(4045)의 깊이 치수는, 5 내지 20㎛의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4045)를 구성하는 2개의 경사면 중에서 입사 단부면(4041e)에 가까운 한쪽은, 입사 단부면(4041e)과 대향하는 자세의 대향 경사면(4045r)이 된다. 대향 경사면(4045r)은, 아크릴 도광판(4041)의 내부를 향해 볼록 형상이 되는 만곡 형상이며, 곡률 반경이 100㎛ 정도인 부분 원통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형성 범위(4042)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4045)는, 투광 표시 광원(4043)이 소등 상태에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운전자로부터 시인되지 않게 된다. 이에 비해, 투광 표시 광원(4043)이 점등 상태에 있는 경우, 각 형성 범위(4042)는, 입사 단부면(4041e)으로부터 아크릴 도광판(4041)에 입사한 광을, 다수의 오목부(4045)의 각 대향 경사면(4045r)에 의해 표시 방향(SD)을 향해 반사시킨다. 그 결과, 아크릴 도광판(4041)에 설치된 발광 의장 표시부(4014)에는, 개개의 형성 범위(4042)와 동일 형상의 발광 의장(LP)이 표시 화면(4021)의 화상(PI)(도 58 참조)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소정 밀도의 오목부(4045)의 배열에 의하면, 개개의 형성 범위(4042)는, 불균일 없이 발광 가능하다. 복수의 형성 범위(404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지면의 이미지를 운전자에게 상기시키는 조사 표시를 형성한다(도 67 참조).
투광 표시 광원(4043)은, 다색 발광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이다. 투광 표시 광원(4043)은, 아크릴 도광판(4041)을 에지 라이트 조명하는 광원이다. 투광 표시 광원(4043)은, 펄스 형상의 구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광한다. 투광 표시 광원(4043)은, 입사 단부면(4041e)으로부터 아크릴 도광판(4041)에 광을 입사시킨다.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은, 광원 기판(4044)의 실장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있다.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은, 아크릴 도광판(4041)의 입사 단부면(4041e)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투광 표시 광원(4043)의 간격은, 예를 들어 10 내지 15㎜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인접하는 2개의 형성 범위(4042)의 간격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도 58 참조).
도 58 및 도 59에 도시하는 하우징(4050)은, 표시 장치(4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있고, 표시 장치(4100)의 각 구성을 수용함으로써, 이들 구성을 분위기 중의 티끌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하우징(4050)은, 스모크 패널(4051) 및 하부 커버(4052)와, 이것들이 조립 장착되는 본체 패널(405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모크 패널(4051)은, 스모크조 등의 암색으로 착색된 투과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스모크 패널(4051)의 광 투과율은,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스모크 패널(4051)은, 액정 표시기(4020) 및 투과 표시기(4040)의 표시 방향(SD)에 위치하고, 본체 패널(4053)에 정면측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투과율이 낮게 설정된 스모크 패널(4051)은, 아크릴 도광판(4041)에 형성된 미세한 오목부(4045)(도 61 참조)를, 운전자로부터 한층 더 보이기 어렵게 하고 있다.
하부 커버(4052)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흑색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4052)는, 회로 기판(4057)의 배면 방향(BD)에 위치하고, 본체 패널(4053)에 배면측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본체 패널(4053)은, 차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 패널(4053)은, 액정 표시기(4020), 투과 표시기(4040) 및 회로 기판(4057) 등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본체 패널(4053)에는, 페이싱부(4054) 및 플레이트 윈도우(4055) 등이 형성되어 있다. 페이싱부(4054)는, 표시 화면(4021)의 수평 방향(HD)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스피드 미터 표시부(4011) 및 타코미터 표시부(4012)와 멀티 표시부(4013)를 표시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플레이트 윈도우(4055)는, 표시 영역(4010a)의 외연을 규정하고 있다.
회로 기판(4057)은, 액정 표시기(4020)의 배면 방향(BD)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4057)은, 하우징(4050)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회로 기판(4057)에는, 도 60에 도시하는 전원 회로(4069), 미터 구동 드라이버(4071), 미터 조명 드라이버(4072),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 액정 화상 드라이버(4074), 액정 조명 드라이버(4075), 및 표시 제어 회로(40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것들의 상세를, 도 60 및 도 5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원 회로(4069)는, 리니어 방식 또는 스위칭 방식의 DC-DC 컨버터이다. 전원 회로(4069)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전원과 접속되어 있다. 전원 회로(4069)는, 배터리 전원(+B)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예를 들어 5볼트 정도의 출력 전압으로 변압하여, 표시 제어 회로(4060) 및 각 드라이버(4071 내지 4075)에 출력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미터 구동 드라이버(4071)는,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각 지침 구동 모터(4031)을 향해 출력한다. 미터 구동 드라이버(4071)는, 각 지침 구동 모터(4031)를 구동함으로써, 각 지침(4033)의 지시 위치를 제어한다. 미터 조명 드라이버(4072)는,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지침 표시 광원(4032)을 향해 출력한다. 미터 조명 드라이버(4072)는, 지침 표시 광원(4032)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문자판(4034)의 각 의장 및 지침(4033)을 발광 표시시킨다.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는,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펄스 신호를 투광 표시 광원(4043)을 향해 출력한다.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는,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에 인가하는 펄스 신호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발광 표시되는 발광 의장(LP)의 발광 양태를, 표시 화면(4021)의 화상(PI)에 맞추어 변화시킨다.
액정 화상 드라이버(4074)는,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를 화상 표시 패널(4024)을 향해 출력한다. 액정 조명 드라이버(4075)는, 표시 제어 회로(406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휘도 신호를 액정 광원(4025)을 향해 출력한다. 액정 화상 드라이버(4074) 및 액정 조명 드라이버(4075)는, 표시 화면(4021)에 표시되는 화상(PI)의 표시 양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 회로(4060)는, 표시 영역(4010a)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회로이다. 표시 제어 회로(4060)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 네트워크(4110)의 통신 버스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표시 제어 회로(40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RAM 및 기억부(4067) 등을 갖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4067)에는, 정보 표시에 필요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화상(PI)을 묘화하기 위한 다수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표시 제어 회로(4060)는, 기억부(4067)에 기억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정보 취득부(4061), 지침 표시 회로부(4062), 화상 제어 회로부(4063), 및 발광 제어 회로부(4064) 등의 기능 블록을 구축한다.
정보 취득부(4061)는, 차량 탑재 네트워크(4110) 등으로부터,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상태 정보에는, 차량의 기동을 나타내는 기동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기동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속도, 연료 잔량, 각종 온도 등의 차량 탑재 초기 모드 신호이다. 게다가 상태 정보에는,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정보 취득부(4061)는, 차량의 기동 중에 있어서 상태 정보를 계속적으로 취득한다.
지침 표시 회로부(4062)는, 미터 구동 드라이버(4071) 및 미터 조명 드라이버(4072)와 협동하여, 지침 표시기(4030)에 의한 지침 표시를 실현한다. 지침 표시 회로부(4062)는, 정보 취득부(4061)에서 취득된 주행 속도 및 엔진 회전 속도의 각 정보에 대응한 지령을 미터 구동 드라이버(4071)로 공급함으로써, 지침(4033)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화상 제어 회로부(4063)는, 액정 화상 드라이버(4074) 및 액정 조명 드라이버(4075)와 협동하여, 액정 표시기(4020)에 의한 화상(PI)의 표시를 제어한다. 발광 제어 회로부(4064)는,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와 협동하여, 복수의 투광 표시 광원(4043)의 발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발광 제어 회로부(4064)는, 개개의 투광 표시 광원(4043)을 구동하는 펄스 신호의 상승 타이밍을 서로 어긋나게 하는 제어에 의해, 명암의 변화에 의한 흐름 동작을 표현한 발광 의장(LP)을 발광 의장 표시부(4014)에 표시시킨다(도 69 참조). 화상 제어 회로부(4063) 및 발광 제어 회로부(4064)는, 화상(PI)과 발광 의장(LP)의 양태 변화를 협조시킴으로써, 표시 영역(4010a)에 입체적인 표시 의장을 표시한다.
발광 제어 회로부(4064)는, PWM 제어부(4065) 및 듀티 제어부(4066)를 포함하고 있다. PWM 제어부(4065) 및 듀티 제어부(4066)는, 펄스 신호의 제어에 의해 개개의 투광 표시 광원(4043)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효값을 증감시켜,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의 발광 휘도를 조정한다. 발광 제어 회로부(4064)는, PWM 제어부(4065) 및 듀티 제어부(4066)에 의한 각 제어의 전환 또는 각 제어의 조합에 의해, 발광 의장(LP)의 발광 양태를 변화시킨다. PWM 제어부(4065) 및 듀티 제어부(4066)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지령에 기초하여,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로부터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에 펄스 신호가 인가된다.
PWM 제어부(4065)는, 소정의 주기의 펄스 신호에 있어서, 전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시간 비율을 변경하여,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의 휘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펄스폭 변조 제어에서는, 전류를 온 상태로 하는 펄스 폭이 넓어져, 단위 주기당 온 상태로 되는 시간 비율이 높아질수록, 투광 표시 광원(4043)의 발광 휘도는 높아진다(도 63 참조).
듀티 제어부(4066)는, 전류가 온 상태로 되는 온 시간을 일정 시간으로 하고, 오프 시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각 투광 표시 광원(4043)의 휘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펄스 주파수 변조 제어에서는, 전류의 오프 시간이 짧아지고,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높게 변조될수록, 투광 표시 광원(4043)의 발광 휘도는 높아진다(도 64 참조).
다음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표시 장치(4100)에 표시되는 오프닝 표시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오프닝 표시는, 화상(PI)에 발광 의장(LP)을 중첩시켜 이루어지는 연출 표시 중 하나이다. 오프닝 표시에서는, 도 66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4021)의 화상(PI)과, 도 67에 도시하는 발광 의장 표시부(4014)의 발광 의장(LP)을 중첩함으로써, 도 65에 도시하는 각 표시 요소가 표시된다. 이하, 오프닝 표시에서 표시되는 화상(PI) 및 발광 의장(LP)의 상세를, 도 65 내지 도 67에 기초하여, 도 58 및 도 6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오프닝 표시에서는, 스테이터스 화상부(Ps), 차량 모델(Mv), 및 노면 의장(Dr) 등이 표시된다. 스테이터스 화상부(Ps)는, 차량의 상태 정보 등을, 문자에 의한 메시지 및 소정의 아이콘 등을 조합하여 통지하는 화상부이다. 스테이터스 화상부(Ps)는, 표시 화면(4021) 중에서, 발광 의장(LP)과 겹치지 않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에서 표시 화면(4021)의 중앙보다 상측의 영역에 표시된다.
차량 모델(Mv)은, 표시 장치(4100)를 탑재하는 차량의 외관 형상에 기초한 형태로 묘화되어 있다. 차량 모델(Mv)은, 오프닝 표시에 있어서 표시 화면(4021) 상을 이동하는 이동 화상부(Pm) 중 하나이다. 차량 모델(Mv)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21)의 중앙에 표시된다. 차량 모델(Mv)의 전후 방향은, 수평 방향(HD)을 따르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모델(Mv)은, 수평 방향(HD)을 따라 표시 화면(4021) 상을 이동한다. 차량 모델(Mv)의 하연 부분에는, 발광 의장(LP)의 상연 부분이 중첩된다.
노면 의장(Dr)은, 아크릴 도광판(4041)의 발광 의장(LP) 및 표시 화면(4021) 상의 배경 화상부(Pb)가 중첩됨으로써, 입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발광 의장(LP)은, 상술한 각 형성 범위(4042)의 형상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세로 줄무늬 형상의 표시로 되어 있다. 입사 단부면(4041e)(도 61 참조)에 입사한 광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감쇠 및 반사에 의해 약해짐으로써, 발광 의장(LP)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휘도가 저하되는 그라데이션 형상의 발광 양태가 된다.
배경 화상부(Pb)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21)의 중앙보다 하측의 영역이며, 발광 의장(LP)과 겹치는 범위에 표시된다. 배경 화상부(Pb)는, 수평 방향(HD)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의 의장을 복수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줄무늬 형상의 화상부이다. 이러한 가로 줄무늬 형상의 배경 화상부(Pb)에 세로 줄무늬 형상의 발광 의장(LP)이 중첩됨으로써, 노면 의장(Dr)은, 차량 모델(Mv)이 배치된 지면을 상기시키는 격자 형상의 표시 양태가 된다.
다음으로, 오프닝 표시에서 동적으로 변화되는 표시 양태의 상세를, 도 68 내지 도 70에 기초하여, 도 58 및 도 60을 참조하면서 차례로 설명한다.
도 6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기동되면, 스테이터스 화상부(Ps)의 표시 화면(4021)으로의 표시가 개시됨과 함께, 이동 화상부(Pm)인 차량 모델(Mv)이 표시 화면(4021)의 우측 에지로부터 표시 화면(4021) 내에 슬라이드 인된다. 차량 모델(Mv)은, 표시 화면(4021)의 우측 에지로부터 중앙을 향해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이러한 차량 모델(Mv)의 이동에 맞추어, 발광 의장(LP)의 발광 양태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발광 의장(LP)에는, 서로 발광 휘도가 다른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이 포함되어 있다. 밝은 영역(Ba)은, 어두운 영역(Sa)보다 표시 휘도가 높은 영역이다. 발광 의장(LP)의 발광 양태의 변화와 배경 화상부(Pb)의 표시 양태의 변화를 동조시키는 각 제어 회로부(4063, 4064)의 협조 제어에 의해, 차량 모델(Mv)의 이동에 맞춘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의 형상 및 위치의 변화가 실현되어 있다.
오프닝 표시의 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은, 차량 모델(Mv)의 이동에 맞추어, 차량 모델(Mv)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모델(Mv)의 전방에 표시된 어두운 영역(Sa)이 차량 모델(Mv)과 함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연출을, 각 제어 회로부(4063, 4064)는 실시한다. 이러한 연출로 인해, 발광 제어 회로부(4064) 및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는, 투광 표시 광원(4043)의 발광 상태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변경하는 제어를 실시한다(도 68의 화살표 참조). 이상에 의해, 차량 모델(Mv)의 이동이 강조된다.
도 6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모델(Mv)이 멀티 표시부(4013)의 중앙까지 이동하면,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은, 수평 방향(HD)에 있어서 번갈아 표시되어,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이때 발광 의장(LP)은, 인접하는 투광 표시 광원(4043)의 교호 점등 및 밝기 변화에 따라(도 63 및 도 64 참조), 차량 모델(Mv)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흐르는 동작을 표현한다(도 69의 화살표 참조). 이러한 발광 의장(LP)의 양태 변화에 맞추어, 배경 화상부(Pb)도 후방으로 흐르는 영상 양태로 변경된다. 이상의 발광 의장(LP) 및 배경 화상부(Pb)에 의해, 노면 의장(Dr)은, 차량 모델(Mv)이 주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0에 도시하는 오프닝 표시의 최종 화면에서는, 차량 모델(Mv)이 멀티 표시부(4013)의 중앙에 정차한 것과 같은 표시 양태가 된다. 차량 모델(Mv)의 후방이 되는 우측에는, 잔상 화상부(Mr)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 단계에서는, 투광 표시 광원(4043)이 균일한 밝기로 모두 점등되기 때문에, 어두운 영역(Sa)(도 69 참조)이 소실되고, 발광 의장(LP)은, 모두 밝은 영역(Ba)만이 된다. 이상에 의해, 오프닝 표시는 종료된다.
이상의 오프닝 표시를 행하는 표시 제어 처리의 상세를, 도 7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시 제어 처리는, 전원 회로(4069)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개시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4060)에 의해 개시된다.
S4101에서는, 차량의 기동을 나타내는 기동 정보로서, 차량 탑재 초기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S4102로 진행한다. S4101에 의해, 차량에 있어서의 다양한 상태 정보의 취득이 개시된다. S4102에서는, 차량 모델(Mv), 배경 화상부(Pb), 및 스테이터스 화상부(Ps) 등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S4103으로 진행된다. S4103에서는, S4102에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모델(Mv), 배경 화상부(Pb), 및 스테이터스 화상부(Ps) 등을 표시 화면(4021)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를 개시하고, S4104로 진행된다. S4104에서는, 표시 화면(4021) 상의 화상(PI)과 중첩 합성되는 발광 의장(LP)의 표시 처리를 개시하고,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한 오프닝 표시가 종료되면, 표시 영역(4010a)의 표시는, 통상 주행 시의 표시로 전환된다.
여기서, 이상의 표시 제어 처리의 S4101에서, 예를 들어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정보가 취득된 경우를 설명한다. S4101에서 이상 정보가 취득되면, 표시 장치(4100)는, 오프닝 표시로부터 도 72에 도시하는 경고 표시로 표시를 전환한다. 경고 표시에서는, 이상이 검출된 특정 개소를, 차량 모델(Mv)을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경고 표시에서는, 차량 모델(Mv) 중에서 특정 개소에 상당하는 위치가, 일부의 형성 범위(4042)에 의해 지시된다. 발광 제어 회로부(4064)(도 60 참조)는, 특정 투광 표시 광원(4043)의 발광 제어에 의해, 복수의 형성 범위(4042) 중의 상기 일부의 형성 범위(4042)를, 다른 형성 범위(4042)와는 다른 양태로 발광시킨다. 예를 들어 일부의 형성 범위(4042)는, 다른 형성 영역과는 상이한 발광색(예를 들어, 적색)으로 점멸 표시된다. 일례로서, 좌측 전륜의 공기압의 저하가 검출된 경우, 도 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모델(Mv)의 좌측 전륜에 연결되는 형성 범위(4042)가 경고색으로 점멸 표시(도 72의 파선 참조)된다. 경고 표시에서는, 연료 잔량 및 배터리 잔량의 저하, 그리고 각 부의 고장 등이 통지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4021)에 표시된 차량 모델(Mv) 등의 이동 화상부(Pm)와, 아크릴 도광판(4041)에 표시되는 발광 의장(LP)은, 표시 방향(SD)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동 화상부(Pm)와 발광 의장(LP)이 중첩된 오프닝 표시 등의 연출 표시는, 입체감이 있는 표시가 될 수 있다. 게다가 오프닝 표시에서는, 이동 화상부(Pm)가 표시 화면(4021)을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이동 화상부(Pm)에 중첩된 발광 의장(LP)도 발광 양태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 화상부(Pm) 및 발광 의장(LP)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각각 동적으로 변화됨으로써, 표시 장치(4100)는 입체감이 있는 연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제10 실시 형태의 오프닝 표시에서는, 차량 모델(Mv)의 이동에 맞추어, 발광 의장(LP)을 포함하는 노면 의장(Dr)의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이 이동한다. 특히 제10 실시 형태의 오프닝 표시에서는, 차량 모델(Mv)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어두운 영역(Sa)도 이동한다. 이러한 어두운 영역(Sa)의 이동에 의하면, 차량 모델(Mv)의 이동이 한층 더 강조된다. 그 결과, 차량 모델(Mv)이 주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연출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화면(4021) 중에서 발광 의장(LP)과 겹치는 범위에 표시된 배경 화상부(Pb)가, 발광 의장(LP)의 발광 양태의 변화에 맞추어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그 결과, 배경 화상부(Pb)에 발광 의장(LP)이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노면 의장(Dr)의 입체감은, 연계가 취해진 배경 화상부(Pb) 및 발광 의장(LP)의 동적인 변화에 따라, 한층 강조된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의 배경 화상부(Pb)는, 세로 줄무늬 형상의 발광 의장(LP)과 겹쳐져 격자 형상의 노면 의장(Dr)을 형성하는 가로 줄무늬 형상의 화상부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격자 형상의 표시에 의하면, 노면 의장(Dr)은, 차량 모델(Mv)이 배치된 노면이라고 운전자에게 상기되기 쉬운 표시 양태가 된다.
게다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개의 형성 범위(4042)는, 입사 단부면(4041e)으로부터 아크릴 도광판(4041)의 중앙을 향해 선 형상으로 연신되는 형상이다. 그 때문에, 입사 단부면(4041e)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입사 단부면(4041e)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점차 약해지고, 발광 의장(LP)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휘도가 저하되는 그라데이션 형상의 발광 양태가 된다. 이상에 의하면, 발광 의장(LP)은, 깊이감이 있는 표시가 되어, 표시 장치(4100)의 표시의 입체감을 한층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형성 범위(4042)의 간격이, 2개의 투광 표시 광원(4043)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 형상을 이루는 형성 범위(4042)의 간격을 밀하게 설정함으로써, 발광 의장(LP)은, 깊이가 있는 평면으로서 운전자에게 인식되기 쉬운 표시 양태가 되어, 오프닝 표시의 입체감의 창출에 공헌할 수 있다.
게다가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정보 취득부(4061)에 취득된 경우, 경고 표시가 제시된다. 이 경고 표시와 같이, 일부의 형성 범위(4042)를 다른 형성 범위(4042)와 상이한 양태로 발광시켜 차량 모델(Mv)의 이상 개소를 지시하면, 표시 장치(4100)는, 차량의 이상 개소를 알기 쉽게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노면 의장(Dr)이 「표시 의장」에 상당하고, 액정 표시기(4020)가 「화상 표시기」에 상당하고, 아크릴 도광판(4041)이 「표시판」에 상당하고, 입사 단부면(4041e)이 「단부면」에 상당하고, 투광 표시 광원(4043)이 「광원부」에 상당한다. 또한, 화상 제어 회로부(4063) 및 액정 화상 드라이버(4074)가 「화상 제어부」에 상당하고, 발광 제어 회로부(4064) 및 플레이트 조명 드라이버(4073)가 「광원 제어부」에 상당한다.
(제11 실시 형태)
도 73 내지 도 76에 도시하는 제11 실시 형태는, 제10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73 내지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 방향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오목부(4245a 내지 4245c)가 형성 범위(4242)에 혼재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4245a 내지 4245c)는, 형성 범위(4242)에 랜덤한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4245a 내지 4245c)의 형상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게다가, 각 오목부(4245a 내지 4245c)의 배열 피치는,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4245a)의 방향을 규정하는 가상의 기준선 RLa는, 수평 방향(HD)을 따르고 있다. 오목부(4245b)의 방향을 규정하는 가상의 기준선 RLb는, 기준선 RLa에 대해 +30도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245c)의 방향을 규정하는 가상의 기준선 RLc는, 기준선 RLa에 대해 -30도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각 오목부(4245a 내지 4245c) 랜덤 배치는, 예를 들어 컴퓨터 등에서 생성된 의사 난수에 기초하여 3종류의 방향을 할당함으로써 설계 가능하다. 또한, 오목부의 방향의 종류는, 2종류여도 되고, 또는 4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도 76에 도시하는 제11 실시 형태의 오프닝 표시에서는, 차량의 기동 직후에 차량 모델(Mv)이 표시 화면(4021)에 슬라이드 인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점등 상태에 있는 투광 표시 광원(4043)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점등 제어가 실시된다. 이상에 의해,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의 표시 위치는, 차량 모델(Mv)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은,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차량 모델(Mv)의 후방으로 흘러가는 노면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1 실시 형태에서도,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고, 차량 모델(Mv) 및 발광 의장(LP) 각각의 동적인 변화에 의해, 입체감이 있는 연출 표시가 실현된다. 게다가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모델(Mv)을 향해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이 흐르는 것과 같은 노면 의장(Dr)의 표시에 의해, 오프닝 표시는, 차량 모델(Mv)이 주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질주감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의장의 발광 양태의 변화로서, 밝은 영역 및 어두운 영역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발광 의장의 발광 양태의 변화는, 상기한 바와 같은 휘도(명암)의 변화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색의 색상 및 농담 등의 변화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색이 상이한 영역의 위치 변화, 또는 농담이 상이한 영역의 위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차량 모델 등의 이동 화상부의 움직임이 강조되어도 된다. 또한 발광 의장에 의해 표현되는 움직임의 방향은, 이동 화상부의 이동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 의장은, 이동 화상부를 중심으로 한 방사상의 움직임을 표시해도 되고, 이동 화상부의 이동 방향과는 관계가 없는 상하 방향 등의 움직임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동 화상부는, 차량 모델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경 화상부와 조합되어 격자 형상이 되는 세로 줄무늬 형상의 발광 의장이 발광 의장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발광 의장의 형태, 즉, 형성 범위의 형상, 배치, 수 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게다가, 투광 표시 광원은, 아크릴 도광판의 수평 방향(HD)의 양측, 또는 아크릴 도광판의 상측 등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투광 표시 광원의 배치에 의하면, 발광 의장 표시부는, 임의의 개소에 고휘도의 발광 의장을 표시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기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이었다. 그러나 표시 화면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기는, 직사각 형상이 아닌 이형의 표시 패널을 사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 화면은, 만곡된 형상이어도 된다. 게다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기로서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 액정 디스플레이와는 상이한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기는, 표시 영역의 중앙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표시 영역 전체가 액정 표시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지침 표시기는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화상부와 발광 의장을 조합한 연출 표시로서 오프닝 표시를 예시하였지만, 연출 표시는, 오프닝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회로에 상당하는 구성은, 상기와는 상이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혹은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의 기억부로서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다양한 비천이적 실체적 기록 매체(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가 채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본 개시의 특징 부분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특징 부분을 적용 가능한 표시 장치는, 콤비네이션 미터로서 기능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콤비네이션 미터와는 상이한 표시 장치에도, 본 개시의 특징 부분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차량과는 상이한 이동체, 예를 들어 항공기나 선박 등에 탑재되는 계기로서의 표시 장치, 그리고 산업용 기계 및 가전 제품의 컨트롤 패널을 겸한 표시 장치 등에도, 본 개시의 특징 부분은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제10, 제11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일본 특허 공개 제2015-71369호 공보에는, 액정 표시기의 표시 화면에, 원근감을 가진 격자 형상의 이펙트 화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용 표시 장치는, 격자 형상의 이펙트 화상을, 표시 화면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으로서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71369호 공보의 이펙트 화상은, 원근감을 갖는 격자 형상으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표시 화면에 표시된 평면 형상의 화상에 불과하다. 그 때문에, 이펙트 화상과 같은 연출 표시는, 애니메이션으로서 격자 형상의 양태를 변화시켰다고 해도, 충분한 입체감을 시인자에게 부여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비해, 제10, 제11 실시 형태에 기초하면, 입체감이 있는 연출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1)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4021)에 화상(PI)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기(4020)와,
표시 화면이 향하는 표시 방향(SD)에 배치되는 투과성의 표시판(4041), 및 표시판의 단부면(4041e)으로부터 표시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복수의 광원부(4043)를 갖고, 표시판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4045, 4245a, 4245b, 4245c)에서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표시 방향을 향해 반사시킴으로써, 표시 화면의 화상에 중첩되는 발광 의장(LP)을 표시판에 표시하는 투과 표시기(4040)와,
화상 표시기의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제어부(4063, 4074), 및 복수의 광원부의 발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4064, 4073)를 갖고,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 이동 화상부(Pm)를 이동시키면서, 당해 이동 화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발광 의장의 발광 양태를 이동 화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변화시키는 표시 제어 회로(4060)를 구비한다.
제10, 제11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특징은 이상이지만, 하위 계층의 특징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과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를 각 구성에 추가하여 설명한다.
(2) 상기 발광 의장은, 서로 발광 휘도가 다른 밝은 영역(Ba) 및 어두운 영역(Sa)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밝은 영역 및 상기 어두운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표시 위치를 상기 이동 화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이동시킨다.
(3)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밝은 영역 및 상기 어두운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표시 위치를, 상기 이동 화상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4)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밝은 영역 및 상기 어두운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표시 위치를, 상기 이동 화상부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5) 상기 화상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발광 의장과 겹치는 범위에 배경 화상부(Pb)를 더 표시시키고, 상기 발광 의장의 발광 양태의 변화에 맞추어 상기 배경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6) 상기 표시판에는, 다수의 미세한 상기 오목부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형성 범위(4042, 4242)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개개의 상기 형성 범위는, 상기 광원부의 광이 입사하는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표시판의 중앙을 향해 선 형상에 연신되는 형상이다.
(7) 상기 화상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발광 의장과 겹치는 범위에 배경 화상부(Pb)를 표시시키고, 상기 발광 의장의 발광 양태의 변화에 맞추어 상기 배경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배경 화상부는, 상기 발광 의장과 겹쳐져 격자 형상의 표시 의장(Dr)을 형성하는 가로 줄무늬 형상의 화상부이다.
(8) 복수의 상기 광원부는, 상기 단부면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형성 범위는,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형성 범위의 간격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원부의 간격보다 좁게 마련되어 있다.
(9) 상기 표시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이동 화상부는, 상기 차량의 외관 형상에 기초한 형태의 차량 모델(Mv)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의장은, 상기 차량 모델이 배치된 지면을 상기시키는 발광 형태이다.
(10)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4061)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의장은, 상기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경우에, 상기 차량 모델 중에서 상기 특정 개소에 상당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일부를, 다른 부분과는 상이한 양태로 발광시킨다.
이러한 양태이면, 표시 화면에 표시된 이동 화상부와, 표시판에 표시되는 발광 의장은, 표시 화면이 향하는 표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동 화상부와 발광 의장이 중첩된 표시(이하 「연출 표시」)는, 입체감이 있는 표시가 될 수 있다. 게다가 연출 표시에서는, 이동 화상부가 표시 화면을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이동 화상부에 중첩된 발광 의장도 발광 양태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중첩된 이동 화상부 및 발광 의장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각각 동적으로 변화됨으로써, 표시 장치는, 입체감이 있는 연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도 7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5100)는, 차량에 탑재되고, 당해 장치(5100)를 시인하는 탑승인이 착좌하는 좌석과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표시 장치(5100)는, 탑승인이 위치하게 되는 시인측을 향해 차량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5100)는, 도 78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5010), 지침 표시부(5020a, 5020b), 액정 표시부(5030), 경고 표시부(5040a, 5040b), 투광 표시부(5050a, 5050b) 및 메인 회로 기판(507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5010)는, 배면 케이스(5012), 프레임 케이스(5014), 및 스모크판(5016)을 구비하고 있다. 배면 케이스(5012)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각 표시부(5020a, 5020b, 5030, 5040a, 5040b) 및 메인 회로 기판(5070)을 배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프레임 케이스(5014)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장치(5100)의 외주 윤곽을 따라 시인측 및 당해 시인측과는 반대측의 배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모크판(5016)은, 예를 들어 착색된 아크릴 수지 등의 반투광성 수지에 의해, 프레임 케이스(5014)의 시인측 개구부의 전체면을 폐색하는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표시부(5020a, 5020b, 5030, 5040a, 5040b, 5050a, 5050b)는, 스모크판(5016)을 통해 탑승인에게 시인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스모크판(5016)은, 스모크조의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30%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지침 표시부(5020a, 5020b)는, 지침(5024)이 지표(5022)를 지시함으로써, 차량의 상태를 표시한다. 지표(5022)는, 표시판(5018)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판(5018)은, 일반적으로 문자판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표시판(5018)은,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시인측의 표면에, 반투광성 또는 차광성의 인쇄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대신에, 도장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판(5018)의 좌측의 영역 및 우측의 영역에 각각, 지침 표시부(5020a, 5020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지침 표시부(5020a, 5020b)는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우측의 지침 표시부(5020a)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지침 표시부(5020a)의 지표(5022)는, 표시판(5018) 상의 인쇄에 의해, 눈금 및 당해 눈금에 대응하는 문자를 원환상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침(5024)은, 연결부(5024a) 및 지시부(5024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결부(5024a)는, 표시판(5018)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표시판(5018)보다 배면측의 메인 회로 기판(5070)에 보유 지지된 지침 구동 모터(5026)(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5026a)과 연결되어 있다. 지시부(5024b)는, 표시판(5018)보다 시인측에 배치되고, 표시판(5018)을 따라 연신되는 침상을 나타내고 있다. 지침(5024)은, 지침 구동 모터(5026)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5024)은, 차량의 상태로서, 차량의 속도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5024)은, 차량의 상태로서,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5030)는, 표시판(5018)의 중앙의 영역에, 2개의 지침 표시부(5020a, 5020b) 사이에 놓인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5030)는, 표시판(5018)보다 배면측에 배치된 액정 패널(5032)로부터의 표시 광이 표시판(5018)에 인쇄가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 투과 영역(5036)을 시인측에 투과함으로써,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패널(5032)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한 액정 패널이며,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화소로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로 되어 있다. 액정 패널(5032)은, 시인측에 직사각 형상의 표시면을 형성하고 있다. 액정 패널(5032)이 백라이트(5034)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조명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지침 표시부(5020a, 5020b)보다 하측의 2개소에, 표시판의 외연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있다.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경고를 표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각종 경고를 나타내는 복수의 경고등(5042)을 갖고 있다. 각 경고등(5042)은, 표시판(5018)에 인쇄된 마크로서 형성되어 있다.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각 경고등(5042)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5044)를, 메인 회로 기판(507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갖고 있다. 당해 경고등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발광 소자(5044)가 발광하고, 당해 경고등(5042)의 마크를 배면측으로부터 조명함으로써,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발광 표시된다. 각 발광 소자(5044)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있고, 각 발광 소자(5044)는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경고등(5042)의 마크로서는, 탑승인이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고 마크, 차량의 문이 덜 닫힌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고 마크,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고 마크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 표시는, 통상 시에는 비표시 상태로 되어 있고, 이상 발생 시 등에 표시된다.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의 표시색은 적색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다른 엄버(주황색) 등의 표시색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투광 표시부(5050a, 5050b)는, 경고 표시부(5040a, 5040b)가 표시되는 표시판(5018)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투광판(5052)을 사용하여 표시를 행한다. 투광판(5052)은,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표시판(5018)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투광판(5052)은, 그 투광성에 의해, 경고 표시부(5040a, 5040b)에 의한 경고의 표시를 탑승인에 의해 시인 가능하게 투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판(5052) 중, 각 경고 표시부(5040a, 5040b)와 대향하는 2개의 영역, 즉 각 경고 표시부(5040a, 5040b)에 의한 경고의 표시와 중첩하는 2개소의 영역(SPa, SPb)에 대응하여, 투광 표시부(5050a, 505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투광 표시부(5050a) 및 좌측의 투광 표시부(5050b)는, 하나의 투광판(5052)을 공유하고, 또한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우측의 투광 표시부(5050a)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투광 표시부(5050a)는, 광원부(5058), 차광 구획부(5060) 및 반사부(5054)를 갖고 있다.
광원부(5058)는, 광원용 회로 기판(5058b)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5058a)를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5058a)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있고, 각 발광 소자(5058a)는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 소자(5058a)가 멀티 컬러의 발광 다이오드로 되어 있지만, 점등 상태의 발광 소자(5058a)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휘도로 발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광원부(5058)는, 투광판(5052)의 외연부(5052a)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5058a)로부터 발해진 광이 당해 외연부(5052a)를 통해 투광판(5052)의 내부에 입사함으로써, 광원부(5058)는, 투광판(5052)의 내부에 광을 제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광 구획부(5060)는, 도 77, 도 79 내지 도 8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에스트라마에 의해 탄성을 갖고 형성되고, 광원부(5058)의 각 발광 소자(5058a)를 에워싸는 중공의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차광 구획부(5060)에 있어서 투광판(5052)측에는, 당해 투광판(5052)의 외연부(5052a)와 맞닿고, 각 발광 소자(5058a)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5061)를 복수 배열하고 있다. 차광 구획부(5060)에 있어서 투광판(5052)의 반대측은, 광원용 회로 기판(5058b)을 배치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지만, 광원용 회로 기판(5058b)의 외연부와 간극 적게 맞닿는 맞닿음벽(5065)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각 발광 소자(5058a)의 광의 누광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차광 구획부(5060)는, 각 개구부(5061)로부터 광원용 회로 기판(5058b)의 표면을 향해 연설된 구획벽(5062)을 갖고 있고, 당해 구획벽(5062)에 의해, 각 발광 소자(5058a)에 대응한 직사각형 통 형상의 통 형상 공간(5063)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통 형상 공간(5063)마다 하나의 발광 소자(5058a)가 배치되고, 구획벽(5062)의 단부가 광원용 회로 기판(5058b)의 표면과 맞닿음으로써, 각 발광 소자(5058a)의 광의 다른 통 형상 공간(5063)으로의 누광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광 구획부(5060)는, 광원부(5058)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발광 소자(5058) 사이에 배치된 구획벽(5062)에 의해, 각 발광 소자(5058a)를 구획한다. 각 발광 소자(5058a)는 각각, 투광판(5052) 중, 외연부(5052a)의 연신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조명 범위에, 광을 제공한다.
또한, 차광 구획부(5060)의 투광판(5052)측에는, 투광판(5052)의 외연부(5052a) 근방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부(506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5064)에는, 투광판(5052)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당해 커버부(5064)로부터 투광판(505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핀(5064a)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투광판(5052)에는, 핀(5064a)에 대응한 끼워 맞춤 구멍(5052c)이 형성되어 있고, 핀(5064a)이 끼워 맞춤 구멍(5052c)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한 그 커버부(5064)는, 프레임 케이스(5014)에 있어서 시인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014a)에 압접되고, 프레임 케이스(5014)와 투광판(505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광 구획부(5060)가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됨과 함께, 광원부(5058)의 광이 누광을 방지되면서, 확실하게 투광판(5052)의 내부에 제공된다.
반사부(5054)는, 도 7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판(5052)에 형성되고,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점등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부(5054)는, 복수의 미세한 사이즈로 설정된 반사 소자(5055)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반사 소자(5055)는, 투광판(5052)의 배면측으로부터 당해 투광판(5052)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반사 소자(5055)는 반사면(5056a), 이면(5056b), 및 2개의 측면(5056c)을 갖고 있다.
반사면(5056a)은, 반사 소자(5055) 중,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외연부(5052a)측을 향해 배치되고,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한다. 반사면(5056a)은, 투광판(5052)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각 발광 소자(5058a)의 조명 범위가 어긋난 방향으로 곡률을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면(5056a)은, 원통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모선(GL)은, 배면측으로부터 시인측을 향할수록, 광원부(5058)로부터 멀어지도록, 투광판(5052)의 판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면(5056b)은, 반사면(5056a)과는 반대측을 향해 설치됨으로써, 반사면과는 표리 관계로 배치된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2개의 측면은, 반사면의 측단부와 이면의 측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반사부(5054)에 있어서 각 반사 소자(5055)는, 투광판(5052)의 연설 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5052b)를 개재시킴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 소자(5055)가 배열된 배열 영역(AA)에서는 광이 시인측으로 반사됨으로써, 영역(AA) 전체가 발광되어 표시된다. 한편 반사 소자(5055)가 배치되지 않고, 평탄부(5052b)만으로 구성된 평탄 영역(PA5)에서는,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이 시인측으로 대략 반사되지 않으므로,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배열 영역(AA)과 평탄 영역(PA5)의 배치에 의해, 반사부(5054)는, 도안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5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이 반사되는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도안은, 도 7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판(5052)의 외연부(5052a)를 따라 서로 배열된 복수의 눈금(5067a)을 포함하는 눈금 도안(5067)을, 표시 내용으로서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눈금(5067a)은, 광원부(5058)의 각 발광 소자(5058a)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상세하게, 각 눈금(5067a)은, 각 발광 소자(5058a)로부터 차광 구획부(5060)의 각 개구부(5061)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그 눈금(5067a) 자신도, 당해 연장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각 눈금(5067a)의 연신 치수는, 투광판(5052)의 외연부(5052a) 중 한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의 투광 표시부(5050a)는, 영역 SPa에서, 경고 표시부(5040a)와는 다른 표시 내용으로서, 차량의 연료 잔량을 통상 시에 점등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투광 표시부(5050b)는 영역 SPb에서, 경고 표시부(5040b)와는 다른 표시 내용으로서, 차량의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통상 시에 점등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의 표시색은 백색으로 설정되지만, 중첩하는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 표시와 상이한 표시색이면 다른 색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광원부(5058)의 발광 소자(5058a)를 모두 소등한 경우에는, 각 반사 소자(5055)의 반사면(5056a)에는 광은 제공되지 않고, 또한 각 반사 소자(5055)가 미세한 사이즈이면서 평탄부(5052b)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탑승인으로부터 눈금 도안(5067)은 거의 시인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메인 회로 기판(5070)은, 도 7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판(5018) 및 액정 패널(5032)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배면 케이스(5012)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메인 회로 기판(5070)에는, 도 86에 도시하는 전원 회로(5071), 미터 구동 드라이버(5072), 미터 조명 드라이버(5073), 액정 표시 드라이버(5074), 투광 표시 드라이버(5075a, 5075b) 및 제어 회로(507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5071)는, 리니어 방식 또는 스위칭 방식의 DC-DC 컨버터이다. 전원 회로(5071)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전원과 접속되어 있다. 전원 회로(5071)는, 배터리 전원(+B)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예를 들어 5볼트 정도의 출력 전압으로 변압하여, 제어 회로(5076) 및 각 드라이버(5072, 5073, 5074, 5075a, 5075b)에 출력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미터 구동 드라이버(5072)는, 제어 회로(507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각 지침 구동 모터(5026)를 향해 출력한다. 미터 구동 드라이버(5072)는, 각 지침 구동 모터(5026)를 구동함으로써, 각 지침(5024)의 지시 위치를 제어한다.
미터 조명 드라이버(5073)는, 제어 회로(507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지침 표시 광원(5028)을 향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터 조명 드라이버(5073)는, 지침 표시 광원(5028)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표시판(5018) 상의 각 지표(5022) 및 각 지침(5024)을 점등 표시시킨다.
또한, 미터 조명 드라이버(5073)는, 제어 회로(507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경고 표시부(5040a, 5040b)를 표시시키는 발광 소자(5044)를 향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터 조명 드라이버(5073)는,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표시 양태를 제어한다.
액정 표시 드라이버(5074)는, 제어 회로(507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액정 패널(5032) 및 백라이트(5034)를 향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정 표시 드라이버(5074)는, 표시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양태를 제어한다.
투광 표시 드라이버(5075a, 5075b)는, 좌우의 투광 표시부(5050a, 5050b)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각 투광 표시 드라이버(5075a, 5075b)는, 제어 회로(507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광원부(5058)를 향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투광 표시 드라이버(5075a, 5075b)는, 대응하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양태를 제어한다.
제어 회로(5076)는, 장치(5100)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회로이다. 제어 회로(5076)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 네트워크(2)의 통신 패스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507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기억부(5079) 등을 갖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5079)에는, 표시에 필요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화상을 묘화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 회로(5076)는, 기억부(5079)에 의해 기억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정보 취득부(5077), 표시 제어부(5078) 및 발광 제어부(5080) 등의 기능 블록을 구축하고 있다.
정보 취득부(5077)는, 차량 탑재 네트워크(2) 등으로부터,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하는 정보로서는,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잔량, 엔진 냉각수의 수온 등 외에,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정보 등이 채용되어 있다. 정보 취득부(5077)는, 차량의 기동 중에 있어서 정보를 계속적으로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5078)는, 정보 취득부(5077)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드라이버(5072, 5073, 5074, 5075a, 5075b)와 협동하여, 장치(5100)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5078)는, 예를 들어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5078)는, 정보 취득부(5077)가 취득한 차량의 연료 잔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의 투광 표시부(5050a)의 광원부(5058)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5058a)의 점등 및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즉, 연료 잔량이 만탱크(차량의 연료 탱크의 상한까지 급유된 상태)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5078)는, 눈금 도안(5067)의 각 눈금(5067a)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5058a)를 모두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각 눈금(5067a)이 모두 점등 표시된 상태가 되어, 연료 잔량이 만탱크인 것이 표시된다. 한편, 연료 잔량이 만탱크보다 적은 소정량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5078)는, 눈금 도안(5067)의 각 눈금(5067a)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5058a) 중, 연신 치수가 작은 좌측의 일부의 눈금(5067a)에 대응하는 일부의 발광 소자(5058a)를 점등시키고, 타부의 발광 소자(5058a)를 소등시킨다. 이에 의해, 일부의 발광 소자(5058a)에 대응하는 눈금(5067a)만이 점등 표시된 상태가 되어, 연료 잔량이 소정량인 것이 표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5078)는, 정보 취득부(5077)가 취득한 차량의 엔진 냉각수의 수온의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의 투광 표시부(5050b)의 광원부(5058)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5058a)의 점등 및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5078)는, 또한 예를 들어 각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5078)는, 정보 취득부(5077)가 취득한 이상 정보에 기초하여, 각 경고 표시부(5040a, 5040b)에 있어서의 각 발광 소자(5044)의 점등 및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즉,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정보가 취득된 경우에, 표시 제어부(5078)는, 각 발광 소자(5044) 중, 당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등(5042)을 표시시키기 위한 발광 소자(5044)를 점등시킨다. 이상 정보가 아무것도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5078)는, 경고등(5042)을 표시시키기 위한 발광 소자(5044)를 모두 소등시킨다.
게다가, 표시 제어부(5078)는, 경고 표시부(5040a)와 투광 표시부(5050a) 사이에서, 또한 경고 표시부(5040b)와 투광 표시부(5050b) 사이에서, 표시 양태를 조정한다. 표시 제어부(5078)는, 경고 표시부(5040a)의 경고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경우에, 당해 경고 표시부(5040a)와 중첩하는 투광 표시부(5050a)의 표시 내용을 일시적으로 소등시킨다. 즉, 우측의 경고 표시부(5040a)에 배치된 경고등(5042)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투광 표시부(5050a)에 있어서의 연료 잔량의 표시가 일시적으로 소등된다.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5078)는, 우측의 경고 표시부(5040b)의 경고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경우에, 당해 경고 표시부(5040b)와 중첩하는 투광 표시부(5050b)의 표시 내용을 일시적으로 소등시킨다. 즉, 경고 표시부(5040b)에 배치된 경고등(5042)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좌측의 투광 표시부(5050b)에 있어서의 수온의 표시가 일시적으로 소등된다.
더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5078)는, 경고 표시부(5040a)의 경고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투광 표시부(5050a)의 표시 내용을 점멸시킨다. 즉, 경고 표시부(5040a)에 배치된 경고등(5042)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투광 표시부(5050a)의 연료 잔량의 표시가 일시적인 소등과 일시적인 점등을 반복함으로써 점멸된다.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5078)는, 경고 표시부(5040b)의 경고가 표시되어 있는 동안, 투광 표시부(5050b)의 표시 내용을 점멸시킨다. 즉, 경고 표시부(5040b)에 배치된 경고등(5042)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투광 표시부(5050b)의 수온의 표시가 일시적인 소등과 일시적인 점등을 반복함으로써 점멸된다.
그 밖에, 표시 제어부(5078)는 지침 표시부(5020a, 5020b)의 표시 및 액정 표시부(5030)의 화상 표시 등도 제어한다.
발광 제어부(5080)는, PWM 제어부(5081) 및 듀티 제어부(5082)를 포함하고 있다. PWM 제어부(5081) 및 듀티 제어부(5082)는, 발광 제어부(5078)와 협동하여, 펄스 신호의 제어에 의해 각 발광 소자(5058a)에 인가되는 전류의 실효값을 증감시켜, 각 발광 소자(5058a)의 발광 휘도를 조정한다. 발광 제어부(5080)는, PWM 제어부(5081) 및 듀티 제어부(5082)의 각 제어의 전환 또는 각 제어의 조합에 의해,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PWM 제어부(5081) 및 듀티 제어부(5082)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지령에 기초하여, 투광 표시 드라이버(5075a, 5075b)로부터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각 발광 소자(5058a)에 펄스 신호가 인가된다.
PWM 제어부(5081)는, 소정의 주기의 펄스 신호에 있어서, 전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시간 비율을 변경하여, 각 발광 소자(5058a)의 휘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펄스폭 변조 제어에서는, 전류를 온 상태로 하는 펄스 폭이 넓어져, 단위 주기당 온 상태가 되는 시간 비율이 높아질수록, 발광 소자(5058a)의 휘도가 높아진다.
듀티 제어부(5082)는, 전류가 온 상태가 되는 시간을 일정 시간으로 하고, 오프 시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각 발광 소자(5058a)의 휘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펄스 폭 변조 제어에서는, 전류의 오프 시간이 짧아지고,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높게 변조될수록, 발광 소자(5058a)의 휘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5100)(주로 표시 제어부(5078))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특히 경고 표시부(5040a, 5040b) 및 투광 표시부(5050a, 5050b)와 관련되는 처리를, 도 87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차트는, 차량의 엔진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 것에 의해 개시되고, 차량의 엔진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는 대로 종료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스텝 S5101에서는, 상술한 각종 제어 신호가 제어 회로(5076)에 입력된다. 스텝 S5101의 처리 후, 스텝 S5102로 이행한다.
스텝 S5102에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표시 제어 사양을 결정한다. 스텝 S5102의 처리 후, 스텝 S51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5103에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 및 각 경고 표시부(5040a, 5040b)를, 순간적으로, 중첩 표시한다. 스텝 S5103의 처리 후, 스텝 S5104로 이행한다.
스텝 S5104에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스텝 S5102에서 결정된 표시 제어 사양에 기초하여,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차량의 상태 표시를 개시하고, 계속한다(도 88 참조). 스텝 S5104의 처리 후, 스텝 S5105로 이행한다.
스텝 S5105에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정보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각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각 경고등(5042)에 점등 표시해야 할 경고등(5042)이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105에서 부정 판정이 내려진 경우, 스텝 S5104로 돌아간다. 스텝 S5105에서 긍정 판정이 내려진 경우, 스텝 S51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5106에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점등 표시해야 할 경고등(5042)을 점등시켜, 경고의 표시를 개시한다. 이와 함께, 각 투광 표시부(5050a, 5050b) 중, 점등한 경고등(5042)이 속하는 경고 표시부(5040a 또는 5040b)에 대응하는 투광 표시부(5050a 또는 5050b)를, 일시적으로 소등한다.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양쪽에 점등 표시하는 경고등(504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양쪽을, 일시적으로 소등한다(도 89 참조).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일시적인 소등은, 1 내지 3초 정도의 소정 시간 계속되고, 그 후, 스텝 S5107로 이행한다.
스텝 S5107에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스텝 S5106에서 점등을 개시한 경고등(5042)에 대해, 경고의 표시를 계속시키면서, 일시적으로 소등하고 있던 투광 표시부(5050a 또는 5050b)를 점등 표시시켜, 경고 표시부(5040a 또는 5040b)와 이것에 대응하는 투광 표시부(5050a 또는 5050b)를 중첩 표시한다(도 90 참조). 스텝 S5107의 처리 후, 다시 스텝 S5105로 이행한다.
즉, 스텝 S5105 내지 스텝 S5107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경고 표시부(5040a 또는 5040b)의 경고등(5042)의 경고가 표시되어 있는 동안은, 대응하는 투광 표시부(5050a 또는 5050b)의 표시 내용은 점멸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그리고 차량의 특정 개소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정보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즉, 이상이 해소되어 경고의 표시가 불필요해지면, 스텝 S5105에서 부정 판정되게 되므로, 이번에는 스텝 S5104와 스텝 S5105의 처리가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만이 계속적으로 표시되어,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는, 비표시 상태로 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눈금(5067a) 등이 복수 설치된 요소에는, 그 일부에만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투광 표시부(5050a, 5050b)는, 투광판(5052)에 있어서, 경고의 표시와 중첩되는 영역(SPa, SPb)에 경고 표시부(5040a, 5040b)와는 다른 표시 내용을 점등 표시한다. 여기서, 경고의 표시를 투과시키는 투광판(5052)은, 경고 표시부(5040a, 5040b)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고의 표시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보다 안쪽에 표시되게 되어, 입체감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시에 점등 표시되고 있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은, 경고 표시부(5040a, 5040b)에서 경고를 표시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소등된다.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이 사라짐으로써, 경고의 표시가 시인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소등에 의한 표시의 변화에 의해 경고의 표시가 눈에 띄기 때문에, 시인자의 주목을 모으기 쉬워진다. 이상에 의해, 입체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시인성 양호하게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시인자가 경고를 인식하기 쉬운 차량용 표시 장치(5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이 점멸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점멸에 의해 경고의 표시에 관심이 가기 쉬워짐과 함께,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을 전혀 인식할 수 없게 되는 사태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 표시부(5040a, 5040b 및 5050a, 5050b)의 표시색이 서로 다르므로, 양 표시의 구별을 하기 쉬워져, 시인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투광 표시부(5050a, 5050b)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의 점등 표시는, 투광판(5052)의 내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5054)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내용의 점등 표시에서는, 참신한 미관에 의해, 경고의 표시와의 입체감은 한층 향상된다. 그리고, 참신한 미관의 표시 내용이 시인자의 관심을 끌면서, 경고 표시부(5040a, 5040b)에서 경고를 표시하는 경우에 소등되므로, 경고의 표시의 주목성도 한층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으로서, 눈금 도안(5067)의 눈금(5067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점등 표시됨으로써, 차량의 상태가 표시된다.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의 표시와 중첩된 영역 SPa, SPb에 있어서 경고와는 다른 차량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표시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투광 표시부(5050a, 5050b)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발광 소자(5058a) 사이에, 각 발광 소자(5058a)를 구획하는 차광성의 차광 구획부(5060)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발광 소자(5058a)로부터 발해지는 광이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각 발광 소자(5058a)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눈금(5067a)을 독립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실현 가능해진다.
제12 실시 형태의 변형예 1로서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는, 눈금 도안(5067) 이외의 표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내용으로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마크, 가식을 위한 모양 등이 채용되어도 된다.
변형예 2로서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는, 광원부(5058)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5054)에 의해, 표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판(5052)으로서,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당해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 내용이 표시되어도 된다.
변형예 3으로서는,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표시판(5018)에 인쇄된 경고등(5042)을 점등시켜 경고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고 표시부(5040a, 5040b)는, 액정 패널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화상에 의해 경고를 표시해도 된다.
변형예 4로서는, 표시 제어부(5078)는, 경고 표시부(5040a, 5040b)의 경고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투광 표시부(5050a, 5050b)의 표시 내용을 계속 소등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제12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22214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판을 갖고 있다. 표시 패널은, 각종 경고 메시지 내지는 경고등 등의 경고를 표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표시판은, 표시 패널보다 시인측에 배치되고, 창부에 있어서 경고의 표시를 투과시킨다.
또한, 표시판은, 창부 이외의 영역에 헤어라인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표시 패널은, 헤어라인 모양으로 연속된 모양을, 배경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경고의 표시와 헤어라인 모양과 같은 표시 내용의 양쪽을, 동일한 표시 패널에 의해 표시하고 있으므로, 양 표시가 평면적으로 시인되어, 입체감이 부족하다. 또한, 양 표시를 동시에 표시해 버리고 있기 때문에, 경고의 표시가 눈에 띄기 어려워, 시인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시인자가 경고를 인식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제12 실시 형태에 기초하면, 입체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시인성 양호하게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시인자가 경고를 인식하기 쉬운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경고를 표시 가능하게 형성된 경고 표시부(5040a, 5040b)와,
경고 표시부보다 시인측에 배치되고, 경고의 표시를 투과시키는 투광판(5052)을 갖고, 투광판에 있어서, 경고의 표시와 중첩하는 영역(SPa, SPb)에 경고 표시부와는 다른 표시 내용을 통상 시에 점등 표시하는 투광 표시부(5050a, 5050b)와,
경고 표시부 및 투광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5078)를 구비하고,
표시 제어부는, 경고 표시부의 경고를 표시하는 경우에, 투광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일시적으로 소등시킨다.
제12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특징은 이상이지만, 하위 계층의 특징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과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를 각 구성에 추가하여 설명한다.
(2)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경고 표시부의 상기 경고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상기 투광 표시부의 상기 표시 내용을 점멸시킨다.
(3) 상기 투광 표시부의 상기 표시 내용의 표시색은, 상기 경고 표시부의 상기 경고의 표시색과 상이하다.
(4) 상기 투광 표시부는,
상기 투광판의 내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5058)와,
상기 투광판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상기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함으로써, 상기 표시 내용을 점등 표시하는 반사부(5054)를 갖는다.
(5) 상기 반사부는, 상기 투광판의 외연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눈금(5067a)을 포함하는 눈금 도안(5067)을 상기 표시 내용으로서 갖고,
상기 광원부는, 각 상기 눈금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5058a)를 갖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각 상기 발광 소자의 점등 및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눈금 도안의 눈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 표시시켜, 상기 차량의 상태를 표시시킨다.
(6) 상기 투광 표시부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 사이에, 각 상기 발광 소자를 구획하는 차광성의 차광 구획부(5060)를 갖는다.
이것에 의하면, 투광 표시부는, 투광판에 있어서, 경고의 표시와 중첩하는 영역에 경고 표시부와는 다른 표시 내용을 점등 표시한다. 여기서, 경고의 표시를 투과시키는 투광판은, 경고 표시부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고의 표시는, 투광 표시부의 표시 내용보다 안쪽에 표시되게 되어, 입체감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시에 점등 표시되어 있는 투광 표시부의 표시 내용은, 경고 표시부에서 경고를 표시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소등된다. 투광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사라짐으로써, 경고의 표시가 시인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소등에 의한 표시의 변화에 의해 경고의 표시가 눈에 띄기 때문에, 시인자의 주목을 모으기 쉬워진다. 이상에 의해, 입체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시인성 양호하게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시인자가 경고를 인식하기 쉬운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도 9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3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600)는, 차량에 탑재되고, 당해 장치(600)를 시인하는 탑승인이 착좌하는 좌석과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표시 장치(600)는, 탑승인이 위치하게 되는 시인측을 향해 차량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하는, 수평면 상의 차량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좌우는, 좌석에 착좌한 탑승인이 장치(600)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600)는, 도 9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610), 표시 본체부(620), 도광판(630), 복수의 제1 광원부(650a, 650b) 및 복수의 제2 광원부(660a, 660b, 660c, 660d, 660e, 660f)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610)는, 배면 케이스(612), 윈도우 플레이트(614) 및 투광판(616)을 갖고 있다. 배면 케이스(612)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 본체부(620)를 배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윈도우 플레이트(614)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표시 본체부(620)의 외주 윤곽을 따라 시인측 및 당해 시인측과는 반대의 배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판(616)은, 예를 들어 착색된 아크릴 수지 등의 반투광성 수지에 의해, 윈도우 플레이트(614)의 시인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630)은 투광판(616)에 의해 시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투광판(616)은, 스모크조의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30%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본체부(620)는, 표시판(621)을 사용하여, 차량의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판(621)은, 일반적으로 문자판이라고도 불리고 있고, 배면 케이스(612)와 도광판(6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판(621)은,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시인측의 표면에, 반투광성 또는 차광성의 인쇄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대신에, 도장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본체부(620)는, 화상 표시부(627), 표시등부(629), 및 지침 표시부(622)를 갖고 있다.
화상 표시부(627)는, 표시판(6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627)는, 표시판(621)보다 배면측에, 표시판(621)과 근접하여 배치된 액정 표시기(628)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기(628)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한 액정 패널이며,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화소로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628)는, 시인측에 화상을 표시하는 직사각 형상의 표시면(628a)을 갖고 있다.
또한 표시판(621)에 있어서 표시면(628a)과 겹치는 영역에는, 인쇄가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투광성을 갖는 투광 영역(621c)이 인쇄에 의해 차광성을 갖는 차광 영역(621d)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 영역(621c)은 표시면(628a)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면(628a)에 표시된 화상의 광은, 표시판(621)을 투과한다.
표시등부(629)는, 표시판(621)의 하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등부(629)는, 헤드 램프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등, 각종 경고를 나타내는 표시등 등의 복수의 표시등을 갖고 있다. 각 표시등은, 표시판(621)보다 배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가 표시판(621)에 인쇄된 마크를 조명함으로써,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지침 표시부(622)는, 표시판(621)의 좌측의 영역 및 우측의 영역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화상 표시부(627)가 2개의 지침 표시부(622)에 좌우 사이에 놓인 배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지침 표시부(622)는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좌측의 지침 표시부(622)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지침 표시부(622)는, 스테핑 모터(623), 지침(624)을 갖고 있다. 스테핑 모터(623)는, 배면 케이스(612)와 표시판(621) 사이에, 즉 표시판(621)보다 배면측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618)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지침(624)은, 연결부(624a) 및 지시부(624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결부(624a)는, 표시판(62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스테핑 모터(623)의 회전축(623a)과 연결되어 있다. 지시부(624b)는, 표시판(621)과 도광판(630) 사이에, 즉 표시판(621)보다 시인측이면서 도광판(630)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침상을 이루고 있다. 지침(624)은, 스테핑 모터(623)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지표부(680)를 지시함으로써, 차량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침(624)은, 표시판(621)보다 배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625)에 의해 조명됨으로써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지표부(680)는, 표시판(621) 상에 부분 원환상으로 배치된 문자(621a) 및 부 눈금(621b), 및 도광판(630)에 도안(639)으로서 부분 원환상으로 배치된 눈금 도안(639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표부(680)의 문자(621a) 및 부 눈금(621b)은, 표시판(621)에 있어서, 차광성의 인쇄로 둘러싸여, 반투광성의 인쇄가 실시됨으로써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 회로 기판(618)에 실장된 발광 소자(681)가 문자(621a) 및 부 눈금(621b)을 배후측으로부터 조명함으로써, 문자(621a) 및 부 눈금(621b)이 발광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표부(680)가, 지침(624)보다 배면측의 문자(621a) 및 부 눈금(621b)과 지침(624)보다 시인측의 눈금 도안(639a)으로 나뉘어 있음으로써, 차량의 탑승인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측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624)은, 차량의 정보로서, 차량의 속도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의 영역에 대응한 지침(624)은, 차량의 정보로서,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광판(630)은,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판 두께 방향(TD)에 수직인 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광판(630)은, 표시 본체부(620)보다 시인측에 배치되고, 표시판(621)과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광판(630)은, 시인측을 향하는 시인측 판면(630a) 및 배면측을 향하는 배면측 판면(630b)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광판(630)의 판 두께 방향(TD)은, 시인측 판면(630a) 및 배면측 판면(630b)의 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제1 광원부(650a, 650b)는, 도광판(630)의 외연부(632) 중, 좌측의 좌측 외연부(632L) 및 우측의 우측 외연부(632R)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합계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외연부(632L)와 대향하는 제1 광원부(650a)는, 좌측 외연부(632L)를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652)를 갖고 있다. 우측 외연부(632R)와 대향하는 제1 광원부(650b)는, 우측 외연부(632R)를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652)를 갖고 있다.
각 제1 광원부(650a∼b)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652)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있고, 각 발광 소자(652)는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 소자(652)가 멀티 컬러의 발광 다이오드로 되어 있지만, 동일한 제1 광원부(650a 또는 650b) 내의 각 발광 소자(652)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휘도로 발광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2 광원부(660a∼f)는, 도광판(630)의 외연부(632) 중, 상측의 상측 외연부(632T)에 대응하여 3개소 및 하측의 하측 외연부(632B)에 대응하여 3개소, 합계 6개소에 설치되어 있다(도 94도 참조). 상측 외연부(632T)와 대향하는 3개소의 제2 광원부(660a∼c)는, 서로 좌우로 나열되어 있다. 이 중 좌측의 제2 광원부(660a)는, 상측 외연부(632T) 중 좌측부를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662)를 갖고 있다. 중앙의 제2 광원부(660b)는, 상측 외연부(632T) 중 중앙부를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662)를 갖고 있다. 우측의 제2 광원부(660c)는, 상측 외연부(632T) 중 우측부를 따라 배열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662)를 갖고 있다.
하측 외연부(632B)와 대향하는 3개소의 제2 광원부(660d∼f)는, 서로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이 중 좌측의 제2 광원부(660d)는, 하측 외연부(632B) 중 좌측을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662)를 갖고 있다. 중앙의 제2 광원부(660e)는, 하측 외연부(632B) 중 중앙부를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662)를 갖고 있다. 우측의 제2 광원부(660f)는, 하측 외연부(632B) 중 우측을 따라 설치된 광원용 기판(619) 상에, 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고 있다.
각 제2 광원부(660a∼f)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662)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있고, 각 발광 소자(662)는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 소자(662)가 멀티 컬러의 발광 다이오드로 되어 있지만, 동일한 제2 광원부(660a∼f) 내의 각 발광 소자(662)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휘도로 발광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광원부(650a∼c, 660a∼f)의 각 발광 소자(652, 662)에 의해, 도광판(630)의 외연부(632)는,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여 있다.
여기서, 각 광원부(650a∼c, 660a∼f)의 발광 소자(652, 662)와 도광판(630)의 외연부(632) 사이에는, 도 9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외연 부재(670)가 설치되어 있다. 외연 부재(670)는, 외연 도광부(672)와 차광부(676)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외연 도광부(672)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제1 광원 광 또는 제2 광원 광을 도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연 도광부(672)는, 도광판(630)의 외연부(632)와 대향하는 판 대향면(674), 및 발광 소자(652 또는 662)와 대향하는 광원 대향면(673)을 갖고 있다. 광원 대향면(673) 및 판 대향면(674)은, 각각 매끄러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부(676)는, 예를 들어 차광성을 갖는 에스트라마에 의해 형성되고, 외연 도광부(672) 중 각 대향면(673, 674)을 제외한 개소를 에워싸는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652 또는 662)가 발한 광원 광이, 외연 도광부(672)에 도광될 때, 차광부(676)에 의해 외측으로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차광부(676)는, 판 대향면(674)보다 도광판(630)측으로 연신되고 있다.
또한 외연 부재(670)는, 배면 케이스(612)와 윈도우 플레이트(614) 사이에 끼워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광부(676)의 도광판 측단부가 도광판(630)을 끼움으로써, 외연 부재(670)가 도광판(630)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차광부(676)의 에스트라마의 유연성에 의해, 차량의 진동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도광판(630)과 케이스부(610)의 충돌음 등의 이음이 억제된다.
도 9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외연부(632)를 통해, 각 광원부(650a∼c, 660a∼f)의 발광 소자(652, 662)로부터 발해진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이 도광판(630)의 내부에 제공된다. 도광판(630)의 내부에서는, 각 광원부(650a∼c, 660a∼f)에 의한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은, 도광판(630)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이하,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진행되게 된다. 여기서, 도광판(630)의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진행하는 광원 광이라 함은, 도광판(630)의 내부를 연장 설치 방향(ED)을 따라 직선적으로 진행하는 광이어도 되고, 도광판(630)의 내부를 양측의 판면(630a, 630b)에 반사되면서 지그재그로 진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광판(630)이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진행하는 광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광원부(650a)로부터의 제1 광원 광은, 도광판(630)의 내부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한다. 제1 광원부(650b)로부터의 제1 광원 광은, 도광판(630)의 내부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진행한다. 제2 광원부(660a∼c)로부터의 각 제2 광원 광은, 도광판(630)의 내부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진행한다. 제2 광원부(660d∼f)로부터의 각 제2 광원 광은, 도광판(630)의 내부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진행한다. 즉, 제1 광원 광은, 도광판(630)의 내부에서, 제2 광원 광과 교차하도록,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진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광원 광은, 도광판(630)의 내부에서, 제1 광원 광과 교차하도록,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광원 광 중 강도가 최대인 진행 방향(PD1)과 제2 광원 광 중 강도가 최대인 진행 방향(PD2)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
그리고 도 9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630)은, 제1 광원 광과 제2 광원 광의 교차 개소에 있어서, 반사 표시부(633)를 갖고 있다. 반사 표시부(633)는, 표시 영역(DA)이 도안(639)의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시인측에 당해 도안(639)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사 표시부(633)의 표시 영역(DA)에서는, 제1 광원 광 또는 제2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 소자(634)가 연장 설치 방향(ED)을 따라(즉, 도광판(630)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상하 좌우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반사 소자(634)는, 도 95, 도 9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세한 사이즈로 설정되고, 도광판(630)의 배면측 판면(630b)으로부터 당해 도광판(63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7 내지 도 99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소자(634)에는, 제1 광원 광 또는 제2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면(635)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 소자(634)에는, 반사면(635)으로서, 제1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제1 반사면(635a)을 갖는 제1 반사 소자(634a)와, 반사면(635)으로서, 제2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제2 반사면(635b)을 갖는 제2 반사 소자(634b)가 존재한다. 그 밖에, 각 제1 반사 소자(634a) 및 각 제2 반사 소자(634b)는 경사 배면(636) 및 2개의 측면(637)을 갖고 있다.
제1 반사면(635a)은, 제1 광원 광이 입사하는 외연부(632) 쪽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630)의 좌반부에 배치된 제1 반사 소자(634a)에서는, 제1 반사면(635a)이 제1 광원부(650a)에 대응하여 좌측 외연부(632L) 쪽을 향하고, 도광판(630)의 우반부에 배치된 제1 반사 소자(634a)에서는, 제1 반사면(635a)이 제1 광원부(650b)에 대응하여 우측 외연부(632R) 쪽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제1 반사면(635a)은,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반사면(635a)은, 배면측으로부터 시인측을 향할수록, 대응하는 제1 광원부(650a 또는 650b)로부터 멀어지도록,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사면(635a)과 판 두께 방향(TD)이 이루는 각은, 39 내지 45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45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반사면(635a)은,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 중, 제1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반사면(635b)은, 제2 광원 광이 입사하는 외연부(632)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630)의 상반부에 배치된 제2 반사 소자(634b)에서는, 제2 반사면(635b)이 제2 광원부(660a∼c)에 대응하여 상측 외연부(632T) 쪽을 향하고, 도광판(630)의 하반부에 배치된 제2 반사 소자(634b)에서는, 제2 반사면(635b)이 제2 광원부(660d∼f)에 대응하여 우측 외연부(632R)를 향하고 있다. 이러한 제2 반사면(635b)은, 연장 설치 방향(ED)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2 반사면(635b)은, 배면측으로부터 시인측을 향할수록, 대응하는 제2 광원부(660a∼c 또는 660d∼f)로부터 멀어지도록,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사면(635b)과 판 두께 방향(TD)이 이루는 각은, 39 내지 45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45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반사면(635b)은,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 중, 제2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경사 배면(636)은, 반사면(635)과는 반대측을 향해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반사 소자(634)에 있어서 반사면(635)과는 표리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경사 배면(636)은,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예를 들어 5도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 배면(636)은, 반사면(635)의 경사보다 경사각이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경사 배면(636)에 제1 광원 광 또는 제2 광원 광이 반사되었다고 해도, 탑승인으로부터는 시인할 수 없는 방향으로 반사되게 된다.
2개의 측면(637)은 하나의 반사 소자(634)에 있어서, 반사면(635)의 측단부와 경사 배면(636)의 측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637)은, 반사면(635)의 경사보다 경사각이 작게 설정되고, 또한 경사 배면(636)의 경사와 동일 정도 혹은 경사 배면(636)의 경사보다 경사각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637)에 제1 광원 광 또는 제2 광원 광이 반사되었다고 해도, 탑승인으로부터는 시인할 수 없는 방향으로 반사되게 된다.
도 91, 도 95, 도 9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반사 소자(634a, 634b)에 의해, 반사 표시부(633)는, 표시 영역(DA)으로서,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갖고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반사 소자(634) 중, 제1 반사 소자(634a)가 복수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에 있어서 각 제1 반사 소자(634a)는, 연장 설치 방향(ED)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638)를 개재시킴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 영역(DA1)에 있어서 각 제1 반사 소자(634a)는, 연장 설치 방향(ED) 중, 진행 방향(PD1) 및 진행 방향(PD2)에 맞추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2차원 방향으로 서로 배열되어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반사 소자(634) 중, 제2 반사 소자(634b)가 복수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 있어서 각 제2 반사 소자(634b)는, 연장 설치 방향(ED)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638)를 개재시킴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표시 영역(DA2)에 있어서 각 제2 반사 소자(634b)는, 연장 설치 방향(ED) 중, 진행 방향(PD1) 및 진행 방향(PD2)에 맞추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2차원 방향으로 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 표시부(633)는, 도광판(630) 중 지침 표시부(622)와 대향하는 개소, 즉 제1 광원부(650a)로부터의 제1 광원 광과 제2 광원부(660a, 660d)로부터의 제2 광원 광이 교차하는 개소 및 제1 광원부(650b)로부터의 제1 광원 광과 제2 광원부(660c, f)로부터의 제2 광원 광이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각각, 도안(639)으로서, 상술한 눈금 도안(639a)을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반사 표시부(633)는, 도광판(630) 중 화상 표시부(627)와 대향하는 개소, 즉 제1 광원부(650a, 650b)로부터의 제1 광원 광과 제2 광원부(660b, 660e)로부터의 제2 광원 광이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도안(639)으로서, 화상 표시부(627)를 에워싸는 프레임 도안(639b)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2개의 눈금 도안(639a)은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좌측의 눈금 도안(639a)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도 9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금 도안(639a)은, 표시판(621)의 문자(621a) 및 부 눈금(621b)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분 원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눈금 도안(639a)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 눈금 도안(639a) 중 내측에 배치된 내측 부분은, 회전축(623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연신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표시 영역(DA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측 부분에 있어서, 지침(624)측으로서의 내주측은, 선단을 향할수록 폭이 작아지고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눈금 도안(639a) 중 외측에 배치된 외측 부분은, 내측 부분을 지침(624)과는 반대측이 되는 외주측으로부터 에워싸는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표시 영역(D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측 부분에 있어서, 지침(624)측으로서의 내주측은, 선단을 향할수록 폭이 작아지고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반사 표시부(633)는, 내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외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 평탄부(638)만으로 구성된 간극의 영역(CA)을 갖고 있다.
눈금 도안(639a)을 표시하는 각 표시 영역(DA)의 외측 윤곽은, 도안(639)의 적절한 표현을 위해, 제1 광원 광의 진행 방향(PD1) 및 제2 광원 광의 진행 방향(PD2)에 대해 경사지는 부분을 갖고 있다. 외측 윤곽의 경사 부분에 접하고 있는 반사 소자(634)에는, 외측 윤곽에 맞추어 진행 방향(PD1, PD2)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신하는 절단 측면(637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외측 윤곽의 경사 부분에 접하고 있는 반사 소자(634)에는, 표시 영역(DA)(제1 표시 영역(DA1) 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반사 소자(63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대 반사 소자(634c)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 반사 소자(634c)를 설치함으로써, 절단 측면(637a)을 갖는 반사 소자(634)에, 소정 이상의 사이즈의 반사면(635)이 담보된다.
도 96에 도시하는 프레임 도안(639b)은, 화상 표시부(627)의 표시면(628a)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각 변이 진행 방향(PD1) 또는 진행 방향(PD2)을 따라 연신하는 직사각형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도안(639b)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 프레임 도안(639b) 중, 중앙에 배치된 직사각형 환상 중앙 프레임 부분은, 제1 표시 영역(DA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도안(639b) 중, 내주측에 배치된 직사각형 환상의 내측 프레임 부분 및 외주측에 배치된 직사각형 환상의 외측 프레임 부분은, 제2 표시 영역(D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도안(639b)에 있어서는, 중앙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내측 프레임 부분 및 외측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는, 간극의 영역(CA)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도안(639)의 표시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제1 광원부(650a, 650b)의 각 발광 소자(652)와 제2 광원부(660a∼f)의 각 발광 소자(652)가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650a, 650b)의 각 발광 소자(652)가 적색으로 발광함과 함께, 제2 광원부(660a∼f)의 각 발광 소자(662)가 청색으로 발광하면, 제1 표시 영역(DA1)이 적색으로 표시되고, 제2 표시 영역(DA2)이 청색으로 표시된다. 즉, 눈금 도안(639a)에 있어서는, 내측 부분이 적색으로 표시되고, 외측 부분이 청색으로 표시된다. 프레임 도안(639b)에 있어서는, 중앙 프레임 부분이 적색으로 표시되고, 내측 프레임 부분 및 외측 프레임 부분이 청색으로 표시된다.
한편, 차량에 있어서 스포츠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광원부(650a, 650b)의 각 발광 소자(652) 및 제2 광원부(660a∼f)의 각 발광 소자(662)가 동일한 색으로 발광한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650a, 650b)의 각 발광 소자(652) 및 제2 광원부(660a∼f)의 각 발광 소자(662)가 적색으로 발광하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이 적색으로 표시된다. 차량의 스포츠 모드라 함은, 탑승인이 스포티한 운전을 즐길 수 있는 차량 제어가 행해지는 상태이며,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가 비교적 높게 제어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제1 광원부(650a, 650b)의 각 발광 소자(652) 및 제2 광원부(660a∼f)의 각 발광 소자(652) 중 한쪽이 점등되고, 한쪽을 소등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하면, 눈금 도안(639a) 및 프레임 도안(639b) 중 일부분을 표시시킬 수 있다. 즉, 광원 광이 제공되지 않는 반사면(635a, 635b)은, 발광 표시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각 반사 소자(634)가 미세한 사이즈이면서 평탄부(638)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원 광이 제공되지 않는 반사면(635)을 갖는 반사 소자(634)를 탑승인으로부터는 거의 시인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반사 소자(634) 등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그 일부에만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광판(63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에 대해, 제1 반사면(635a)은 제1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고, 제2 반사면(635b)은 제2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에 의해, 제1 광원 광은 제1 반사면(635a)에 의해 반사되고, 제2 광원 광은 제2 반사면(635b)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광원부(650a, 650b) 및 제2 광원부(660a∼f)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 또한 예를 들어 휘도의 조합, 또한 예를 들어 색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실현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해, 도안(639)의 표시에 있어서의 미관이 눈에 띄게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6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표시 영역(DA1)에는, 제1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제1 반사면(635a)을 갖는 반사 소자(634a)가 복수 배치된다. 제2 표시 영역(DA2)에는, 제2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제2 반사면(635b)을 갖는 반사 소자(634b)가 복수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사용하여, 도안(639)이 표시되므로, 도안(639)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는 상이한 표현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안(639)의 표시에 있어서의 미관이 눈에 띄게 양호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 간극의 영역(C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 부분만, 예를 들어 휘도가 높게 시인되거나, 또한 예를 들어 색이 혼합되어 시인되거나 해 버리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도안(639)의 표시에 있어서의 미관이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침(624)에 지시되는 눈금 도안(639a)이 표시 영역(DA)에 의해 표시된다. 지침(624)에 지시됨으로써 관심이 가기 쉬운 눈금 도안(639a)의 표시에 있어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지므로, 미관이 양호한 인상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도광판(630)의 판면(630b)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반사 소자(634)를 표시 영역(DA)에 있어서 서로 복수 배열한 구성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DA)의 외측 윤곽에 있어서, 가령 중앙부에 배치된 반사 소자(634)와 동일한 사이즈의 반사 소자(634)를 배치하려고 하면, 외측 윤곽으로부터 반사 소자(634)가 비어져 나와, 도안(639)의 미관이 떨어질 것이 우려된다. 한편, 가령 외측 윤곽에 있어서의 반사 소자(634)를 외측 윤곽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사이즈를 작게 하면, 반사 소자(634)가 점과 같이 되어, 각 광원 광을 난반사하여 도안(639)의 미관이 떨어질 것이 우려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영역(DA)의 외측 윤곽에 접하고 있는 반사 소자(634)가 표시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반사 소자(63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대 반사 소자(634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대 반사 소자(634c)의 단부가 외측 윤곽에 접하도록 절단되어 있었다고 해도, 각 광원 광을 난반사해 버리는 것은 억제되므로, 도안(639)의 표시에 있어서의 미관이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제1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광원부(650a, 650b)와 제2 광원부(660a∼f)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제공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안(639)의 색 표현이 다양한 것이 되므로, 미관은 한층 양호해진다.
제13 실시 형태의 변형예 1로서는, 도 10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의 외측 윤곽에 접하고 있는 반사 소자(634)에 있어서, 대 반사 소자(634c)가 포함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2로서는, 도 10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630)은, 외연부(632)에 있어서, 외측을 향할수록 배후측으로 경사져 설치되는 평면 형상의 외연 반사면(632b)과, 외연 반사면(632b)으로부터 배후측으로 연장되는 외연 도광부(632a)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01의 예에서는, 외연 도광부(632a)의 배후측의 선단면에 대향하여, 광원부(650a, b 또는 660a∼f)의 복수의 발광 소자(652 또는 662)가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652, 662)가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발한 광원 광은, 외연 도광부(632a)에 의해 외연 반사면(632b)으로 도광되고, 다시 외연 반사면(632b)에 의해 도광판(630)의 내측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이 도광판(630)의 내부에 제공된다.
변형예 3으로서는, 제2 광원부(660a, 660d)의 각 발광 소자(662)와 제2 광원부(660b, e)의 각 발광 소자(662)와 제2 광원부(660c, 660f)의 각 발광 소자(662)가,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눈금 도안(639a) 및 프레임 도안(639b)을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변형예 4로서는, 제1 광원부(650a, 650b)의 각 발광 소자(652)의 발광량과 제2 광원부(660a∼f)의 각 발광 소자(662)의 발광량이 서로 다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안(639) 중 일부분을 높은 휘도로 표시시킬 수 있어, 하나의 도안(639) 내에서 휘도 콘트라스트를 대비시킨 표현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5로서는, 반사면(635)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제13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1890호 공보에 개시된 차량용 표시 장치는, 투광성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도광판과, 도광판의 외연부를 통해 도광판의 내부에 광원 광을 입사시키는 1개소의 광원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은, 광원부로부터의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이 설치된 반사 소자가 도광판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된 표시 영역에 의해, 시인측에 도안을 표시하는 반사 표시부를 갖고 있다. 이 반사면은, 광원부로부터의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1개소의 광원부로부터의 광이, 당해 광원부로부터의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반사면에 반사되어, 도안이 표시될 뿐이다. 이 때문에, 도안의 표시에 있어서 단일적인 표현밖에 실현할 수 없어, 미관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 제13 실시 형태에 기초하면, 도안의 표시에 있어서의 미관이 눈에 띄게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투광성을 갖는 판상으로 연장 설치된 도광판(630)과,
도광판의 내부에서, 도광판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ED)으로 진행하는 제1 광원 광을 제공하는 제1 광원부(650a, 650b)와,
도광판의 내부에서, 제1 광원 광과 교차하도록, 도광판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광원 광을 제공하는 제2 광원부(660a∼f)를 구비한다.
도광판은, 제1 광원 광과 제2 광원 광의 교차 개소에 있어서, 제1 광원 광 또는 제2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면(635)이 설치된 반사 소자(634)가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된 표시 영역(DA)에 의해, 시인측에 도안(639)을 표시하는 반사 표시부(633)를 갖는다.
반사 표시부는, 반사면으로서, 제1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제1 반사면(635a)과, 반사면으로서, 제2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는 제2 반사면(635b)을 갖는다.
제13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특징은 이상이지만, 하위 계층의 특징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과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를 각 구성에 추가하여 설명한다.
(2) 상기 반사 표시부는,
상기 표시 영역으로서, 상기 반사 소자 중, 상기 제1 반사면을 갖는 상기 반사 소자(634a)가 복수 배치된 제1 표시 영역(DA1)과,
상기 표시 영역으로서, 상기 반사 소자 중, 상기 제2 반사면을 갖는 상기 반사 소자(634b)가 복수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을 갖는다.
(3) 상기 반사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간극의 영역(CA)을 갖는다.
(4) 차량용 표시 장치는, 회동하는 지침(624)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사 표시부는, 상기 도안으로서, 상기 지침에 지시되는 눈금 도안(639a)을 표시한다.
(5) 각 상기 반사 소자는, 상기 도광판의 판면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있어서 서로 배열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 윤곽에 접하고 있는 상기 반사 소자는,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반사 소자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대 반사 소자(634c)를 포함한다.
(6)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제공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면, 도광판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 광원 광 및 제2 광원 광에 대해, 제1 반사면은 제1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고, 제2 반사면은 제2 광원 광의 입사에 대응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에 의해, 제1 광원 광은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고, 제2 광원 광은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의 점등 및 소등의 조합, 또한 예를 들어 휘도의 조합, 또한 예를 들어 색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실현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해, 도안의 표시에 있어서의 미관이 눈에 띄게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4 실시 형태)
도 10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4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700)는, 차량에 탑재되고, 당해 장치(700)를 시인하는 탑승인이 착좌하는 좌석과 대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표시 장치(700)는, 탑승인이 위치하게 되는 시인측을 향해 차량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있어서 상면부는, 차량 상측으로 볼록해지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 하측이라 함은, 수평면 상의 차량에 있어서 중력이 발생하는 측을 나타낸다. 차량 상측이라 함은, 차량 하측의 반대측을 나타낸다. 차량 좌측 또는 차량 우측은, 좌석에 착좌한 탑승인을 기준으로 한 좌측 또는 우측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700)는, 도 10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710), 본체 표시부(720), 투광 표시판(730), 및 광 조사 유닛(74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부(710)는, 배면 케이스(711), 보유 지지 케이스(712),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 및 스모크판(714)을 갖고 있다. 배면 케이스(71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차광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표시부(720)를 시인측과는 반대측의 배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배면 케이스(711)보다 시인측에 배치된 보유 지지 케이스(71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차광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표시부(720)를 외주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케이스(712)는, 투광 표시판(730) 및 광 조사 유닛(740)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차광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표시부(720)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는, 장치(700)의 외주 윤곽을 따라 시인측 및 배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모크판(714)은, 예를 들어 착색된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반투광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의 시인측 개구부의 전체면을 폐색하는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체 표시부(720) 및 투광 표시판(730)은, 스모크판(714)을 통해 탑승인에 의해 시인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스모크판(714)은, 스모크조의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3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30%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체 표시부(720)는, 배면측 표시판(721), 복수의 지침 표시부(722a, 722b) 및 화상 표시부(725)를 갖고 있다. 배면측 표시판(721)은, 일반적으로 문자판이라고도 불리고 있고, 배면 케이스(711)와 투광 표시판(7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배면측 표시판(721)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을 갖는 기재의 시인측의 표면에, 반투광성 또는 차광성의 인쇄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대신에, 도장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지침 표시부(722a, 722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고, 배면측 표시판(721)의 차량 좌측의 영역 및 차량 우측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지침 표시부(722a, 722b)는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차량 우측의 지침 표시부(722a)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지침 표시부(722a)는, 스테핑 모터(723) 및 지침(724)을 갖고 있다. 스테핑 모터(723)는, 배면 케이스(711)와 배면측 표시판(721) 사이에, 즉 배면측 표시판(721)보다 더욱 배면측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726)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지침(724)은, 연결부(724a) 및 지시부(724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결부(724a)는, 배면측 표시판(721)에 형성된 관통 구멍(744)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스테핑 모터(723)의 회전축(723a)과 연결되어 있다. 지시부(724b)는, 배면측 표시판(721)보다 시인측이면서 투광 표시판(730)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침상을 이루고 있다. 지침(724)은, 스테핑 모터(723)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지표(721a)를 지시함으로써, 지시 위치에 따른 차량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지표(721a)는, 배면측 표시판(721) 상의 인쇄에 의해, 눈금 및 당해 눈금에 대응하는 문자를 부분 원환상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의 지침 표시부(722a)에 있어서의 지표(721a)는, 차량의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표로 되어 있다. 한편, 좌측의 지침 표시부(722b)에 있어서의 지표(721a)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기 위한 지표로 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725)는, 배면측 표시판(7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725)는, 배면측 표시판(721)과 메인 회로 기판(726) 사이에, 배면측 표시판(721)과 근접하여 배치된 액정 표시기(725a)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기(725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한 투과형 TFT 액정 패널이며, 2차원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화소로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725a)는, 시인측에 화상을 표시하는 직사각 형상의 표시면(725b)을 갖고 있다.
또한 배면측 표시판에 있어서 표시면(725b)과 대향하는 영역에는, 인쇄가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투광성을 갖는 투광 영역(721b)이, 인쇄에 의해 차광성을 갖는 차광 영역(721c)에 둘러싸임으로써,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 영역(721b)은, 표시면(725b)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면(725b)에 표시된 화상의 광은, 표시판(721)의 투광 영역(721b)을 시인측으로 투과하고, 다시 투광 표시판(730)을 투과한다.
투광 표시판(730)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투광성으로 형성되고, 시인측 판면(731a) 및 배면측 판면(731b)을 갖는 평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투광 표시판(730)은, 배면측 표시판(721)과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인측 판면(731a)은, 시인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 판면(731b)은, 배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투광 표시판(730)은, 배면측 표시판(721)과 대향하는 영역 중, 화상 표시부(725)와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여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투광 표시판(730)은, 배면측 표시판(721)의 전체면을 시인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투광 표시판(730)은, 본체 표시부(720)의 화상 표시부(725)에 의한 표시를, 광의 투과에 의해 시인측으로 투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투광 표시판(730)에는, 광 조사 유닛(740)으로부터의 광원 광이, 당해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를 통해, 내부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상측의 외연부(732)로부터 차량 하측을 향해 광원 광이 조사되고, 투광 표시판(730)의 내부에서도 차량 상측으로부터 차량 하측을 향해 광원 광이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외연부(732)에 있어서, 광 조사 유닛(740)과 대향하는 개소에는, 한 쌍의 외연 변(733)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연 변(733)은, 투광 표시판(730) 내부측에 둔각을 이루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외연 변(733)에 의해, 외연부(732)의 광 조사 유닛(740)과 대향하는 개소에서, 투광 표시판(730)은, 차량 상방의 당해 광 조사 유닛(740)측으로 돌출되는 외연 돌출부(734)를 갖고 있다.
투광 표시판(730)은, 반사 표시부(735)를 갖고 있다. 반사 표시부(735)는, 도 102, 도 10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 깊이 5 내지 20㎛ 정도의 미세한 사이즈의 복수의 반사 소자(736)를 서로 2차원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거시적으로 시인 가능한 도안(735a)을 형성하고 있다. 각 반사 소자(736)가 투광 표시판(730) 내부에 도입된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함으로써, 도안(735a)이 광휘하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안(735a)은, 투광 표시판(730) 중, 화상 표시부(725)와 배면측 표시판(72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도안(735a)은, 화상 표시부(725)의 표시면(725b)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테두리를 두르도록, 직사각형 환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도안으로 되어 있다.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수용부(712a)가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를 예를 들어 전체 둘레에 걸쳐 수용함으로써, 투광 표시판(730)은, 보유 지지 케이스(712)와 맞닿아 있다. 또한, 수용부(712a)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보유 지지 핀(712e)이 투광 표시판(730)측의 보유 지지 구멍(730a)에 삽입됨으로써, 투광 표시판(730)이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투광 표시판(730)은,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와 함께,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를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로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13a)가 압박함으로써, 투광 표시판(730)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되어 있다.
각 반사 소자(736)는 도 104 내지 도 10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 표시판(730)의 배면측 판면(731b)으로부터, 시인측 판면(731a)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삼각뿔 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10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반사 소자(736)는, 판면(731b)에 수직인 판 두께 방향(TD)을 따라 본 평면도 상에서는, 이등변 삼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반사 소자(736)는, 2개의 반사면(737) 및 소자 이면(738)을 갖고 있다.
2개의 반사면(737)은, 평면도 상의 이등변 삼각 형상에 있어서 등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광원 광이 도입되는 차량 상방의 외연부(732)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각 반사면(737)은 삼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도 상의 이등변 삼각 형상의 등변을 따라 서로 비스듬히 외측을 향하고 있다.
각 반사 소자(736)는, 평면도 상의 이등변 삼각 형상의 꼭지각(또는 저변)을 이등분하는 단면을 따라, 2개의 반사면(737)끼리를 접속하는 직선 형상의 접속변(736b)을 갖고 있다. 접속변(736b)은, 배면측 판면(731b)으로부터 시인측 판면(731a)측을 향할수록, 광원 광이 도입되는 차량 상방의 외연부(732)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고, 특히 도 10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예를 들어 745도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각 반사면(737)에 있어서도, 상술한 꼭지각을 이등분하는 단면과 평행한 단면 상에서는, 접속변(736b)과 마찬가지로,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예를 들어 45도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삼각뿔 형상의 각 반사 소자(736)에 있어서, 가장 오목부 깊이가 깊은 오목 저부(736a)를 포함하고, 특히 도 10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꼭지각을 이 등분하는 단면에 수직인 수직 단면 상에서는, 각 반사면(737)은 배면측 판면(731b)에 대해 10도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소자 이면(738)은, 평면도 상의 이등변 삼각 형상에 있어서 저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광원 광이 도입되는 차량 상방의 외연부(732)와는 반대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소자 이면(738)은, 삼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자 이면(738)은, 배면측 판면(731b)으로부터 시인측 판면(731a)측을 향할수록, 광원 광이 도입되는 차량 상방의 외연부(732)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고, 판 두께 방향(TD)에 대해, 예를 들어 5도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도 10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각 반사 소자(736)에 광원 광이 차량 상방으로부터 차량 하방을 향해 입사하면, 상술한 45도의 경사각을 이루는 각 반사면(737)에 의해, 당해 광원 광이 시인측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반사 소자(736)가 시인측의 탑승인에 의해 광휘하여 시인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사 소자(736)는, 배면측 판면(731b)에 있어서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739)를 개재시킴으로써, 서로 소정의 배열 피치만큼 이격되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반사 소자(736)는, 그 오목 저부(736a)의 위치를, 1열마다 배열 피치의 반값만큼 어긋나게 한, 소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각 반사 소자(736)가 배열된 반사 표시부(7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반사면(737)이 광원 광을 반사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도안(735a)을 면 광원 형상으로 광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보는 각도에 따라 각 반사면(737)에 의한 반사 상태가 바뀌기 때문에, 탑승인의 눈의 위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안(735a)이 반짝반짝 시인된다.
이러한 도안(735a)은, 본체 표시부(720)에 의한 표시와 중첩 표시된다. 한편, 광 조사 유닛(740)이 소등에 의해 광원 광을 투광 표시판(730)의 내부에 도입하지 않을 때에는, 각 반사 소자(736)가 미세한 사이즈이면서 평탄부(739)를 통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인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07 내지 도 126에 도시하는 광 조사 유닛(740)은,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를 통해, 투광 표시판(730)에 광원 광을 조사하는 유닛이다. 광 조사 유닛(740)은,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보유 지지되어 있지만, 당해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착탈 가능한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광 조사 유닛(740)은, 보유 지지 부재(741), 한 쌍의 실장 기판(760), 복수의 발광 소자(770), 한 쌍의 광학 시트 부재(78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74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차광성 기재에 의해,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특히 외연 돌출부(734))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표면(743a)과, 당해 표면(743a)과는 반대측의 이면(743b)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연 돌출부(734)에 있어서 서로 둔각을 이루는 한 쌍의 외연 변(733)에 대응하여, 보유 지지 부재(741)는, 서로 둔각을 이루어 가늘고 길게 연설된 한 쌍의 평판부(742)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 돌출부(734)의 형상에 맞추어, 한 쌍의 평판부(742)의 표면(743a)측이 180도 미만의 둔각을 이루고 있다. 한 쌍의 평판부(742)가 한 쌍의 외연 변(733)과 대략 동등한 각도를 이룸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741)와 외연 돌출부(734)는, 전체에 걸쳐 대략 등거리에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보유 지지 부재(741)는, 각 평판부(742)의 긴 쪽 방향(LD)을, 투광 표시판(730)의 연설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741)가 구부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차량용 표시 장치(7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곡면 형상의 상면부에 대해, 데드 스페이스가 적은 상태로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평판부(742)는, 표면(743a)과 이면(743b) 사이(즉 외주벽(746))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744)을 복수 형성하고 있다. 각 관통 구멍(744)은, 긴 쪽 방향(LD)으로 배열되어 격자 형상을 이루고, 각각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관통 구멍(744)과 관통 구멍(744) 사이를 이격하는 구멍 격벽(745)의 두께는, 관통 구멍(744)의 배열을 둘러싸는 외주벽(746)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구멍 격벽(745)은 외주벽(746)에 대해 이면(743b)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외주벽(746)과 함께 이면(743b)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한편, 표면(743a)에 대해서는 약간 안으로 들어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744)은,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9개, 합계 18개 형성되고, 관통 구멍(744) 사이의 구멍 격벽(745)은,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8개, 합계 16개 마련되어 있다.
실장 기판(760)은, 도 107, 도 1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판부(742)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실장 기판(760)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가늘고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실장 기판(760)은, 복수의 발광 소자(770)를 실장하는 실장면(761a), 및 당해 실장면(761a)의 반대측에 있어서,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급전 커넥터(764)를 배치한 커넥터 배치면(761b)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각 실장 기판(760)은, 실장면(761a)을 보유 지지 부재(741)의 이면(743b)과 맞닿게 하여, 보유 지지 부재(74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보유 지지 부재(741)에 의한 실장 기판(760)의 보유 지지에 대해, 도 110, 도 113 내지 도 116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유 지지 부재(741)는, 그 이면(743b)측에 있어서, 복수의 기판 지지 리브(747), 복수의 탄성 돌기(748) 및 복수의 위치 결정 리브(749)를 갖고 있다.
기판 지지 리브(747)는, 각 실장 기판(760)의 에지부(762) 중, 시인측의 에지부(762b)에 대응하여,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2개,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각 기판 지지 리브(747)는, 맞닿음면(747a) 및 작은 볼록편부(747b)를 갖고 있다. 맞닿음면(747a)은, 대응하는 에지부(762b)와, 실장 기판(760)의 연설 방향에 맞닿아 있다. 작은 볼록편부(747b)는 맞닿음면(747a)으로부터 커넥터 배치면(761b)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돌출되는 직사각형 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 지지 리브(747)는, 맞닿음면(747a)에 의해 실장 기판(760)의 연설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면서, 작은 볼록편부(747b)에 의해 실장 기판(760)의 에지부(762b)를 이면(743b)과의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당해 에지부(762b)를 지지하고 있다.
탄성 돌기(748)는, 각 실장 기판(760)의 에지부(762) 중, 기판 지지 리브(747)에 의해 지지되는 에지부(762b)와는 당해 실장 기판(760)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에지부(762a), 즉 배면측의 에지부(762a)에 대응하여,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2개, 합계 4개(즉, 기판 지지 리브(747)와 동일 수)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탄성 돌기(748)는, 기판 지지 리브(747)와 실장 기판(76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돌기(748)는, 가요 암(748a), 선단면(748b) 및 작은 볼록편부(748c)를 가진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요 암(748a)은, 보유 지지 부재(741)의 받침대부(755)(상세는 후술함) 중, 맞닿음판(756)의 시인측이면서 표면(743a)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 구멍(744)보다 맞닿음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표면(743a)과 이면(743b)을 관통하여 형성된 암 관통 구멍(748d)에 관통됨으로써, 이면(743b)측까지 도달하고 있다. 가요 암(748a)은, 예를 들어 수지 탄성에 의해 가요성을 갖고 있다. 선단면(748b)은, 가요 암(748a)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실장 기판(760)의 에지부(762a)와, 당해 실장 기판(760)의 연설 방향에 맞닿아 있다. 작은 볼록편부(748c)는 선단면(748b)으로부터 커넥터 배치면(761b)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돌출되는 직사각형 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돌기(748)는, 실장 기판(760)의 기판 지지 리브(747)의 지지측과는 반대측의 에지부(762a)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가요 암(748a)의 탄성 반력에 의해 기판 지지 리브(747)측으로 압박하면서, 작은 볼록편부(748c)에 의해 에지부(762a)를 이면(743b)과의 사이에 끼워 넣고 있다. 이러한 보유 지지 부재(741)에 의한 보유 지지에 의해, 각 실장 기판(760)의 실장면(761a)은 이면(743b)과 밀착 상태로 맞닿아 있다.
위치 결정 리브(749)는,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리브(749)는, 이면(743b)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실장 기판(760)에 있어서 위치 결정 리브(749)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에지부(762)로부터 슬릿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슬릿부(763)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리브(749)가 슬릿부(763)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각 실장 기판(760)이 보유 지지 부재(741)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실장 기판(760)의 실장면(761a)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770)는, 관통 구멍(744)과 동일 수 설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770)는, 각 관통 구멍(744)의 내부에, 하나씩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각 평판부(742)의 긴 쪽 방향(LD)(바꾸어 말하면, 투광 표시판(730)의 연설 방향)을 따라, 서로 배열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각 발광 소자(770)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744)의 중심에 맞추어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770)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있고, 각 발광 소자(770)는, 실장 기판(760) 상의 도통 패턴을 통해 전원과 접속됨으로써 발광한다. 복수의 발광 소자(770)는,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을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동일한 색으로 광원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 소자(770)는, 백색의 광원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광학 시트 부재(780)는, 도 108, 도 1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판부(742)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광학 시트 부재(780)는, 각 발광 소자(770)로부터 발해진 광원 광에, 광학 작용을 미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각 광학 시트 부재(780)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을 갖는 기재의 편면 전체에, 반투광성 인쇄가 실시됨으로써, 두께가 예를 들어 0.5㎜ 정도인 가늘고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투광성 인쇄에 의해, 각 광학 시트 부재(780)는, 반투광성의 예를 들어 청색으로 착색되어 있고, 광학 작용으로서, 광원 광에 대해 투과 가능한 파장을 선택하는 파장 선택 작용을 미치는 컬러 필터로 되어 있다.
광학 시트 부재(780)는, 각 관통 구멍(744)과 대향하여, 각 발광 소자(770)로부터의 광원 광을 입사시키는 구멍 대향면(781a), 및 구멍 대향면(781a)의 반대측에 있어서, 광학 작용을 작용시켜 청색광으로 변환된 후의 광원 광을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를 향해 투사하는 투사면(781b)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각 광학 시트 부재(780)는, 구멍 대향면(781a)을 보유 지지 부재(741)의 표면(743a)과 맞닿게 하여, 보유 지지 부재(74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보유 지지 부재(741)에 의한 광학 시트 부재(780)의 보유 지지에 대해 도 111, 도 113, 도 117 내지 도 122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유 지지 부재(741)는, 표면(743a)측에 있어서, 복수의 시트 지지 리브(750), 복수의 삽입 핀(753), 또한 한 쌍의 평판부(742)가 접속된 개소에 있어서 한 쌍의 충돌부(754)를 갖고 있다. 한편, 광학 시트 부재(780)는, 시트 지지 리브(750)에 대응한 복수의 키 형상 요철부(783) 및 삽입 핀(753)에 대응한 복수의 위치 결정 구멍(786)을 갖고 있다.
시트 지지 리브(750)에는, 각 광학 시트 부재(780)의 에지부(782) 중, 배면측의 에지부(782a)에 대응하는 배면측 리브(751) 및 시인측의 에지부(782b)에 대응하는 시인측 리브(752)의 2종류의 리브가 포함되어 있다. 배면측 리브(751)는,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2개,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시인측 리브(752)는,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2개,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 리브(751)와 시인측 리브(752)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평판부(742)의 긴 쪽 방향(LD)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광학 시트 부재(780)의 키 형상 요철부(783)에는, 배면측 리브(751)에 대응하는 키 형상 볼록부(784) 및 시인측 리브(752)에 대응하는 키 형상 오목부(785)의 2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키 형상 볼록부(784)는,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2개, 합계 4개(즉, 배면측 리브(751)와 동일 수) 설치되어 있다. 각 키 형상 볼록부(784)는, 광학 시트 부재(780)의 배면측의 에지부(782a)로부터, 더욱 배면측으로 키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 형상 오목부(785)는,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2개, 합계 4개(즉, 시인측 리브(752)와 동일 수) 설치되어 있다. 각 키 형상 오목부(785)는, 광학 시트 부재(780)의 시인측의 에지부(782b)로부터, 배면측으로 키 형상으로 들어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각 키 형상 오목부(785)는, 시인측의 에지부(782b)로부터 약간 들어가는 작은 오목부(785a) 및 작은 오목부(785a)에 인접하여 당해 작은 오목부(785a)보다 크게 들어가는 큰 오목부(785b)를 갖고 있음으로써, 2단계로 들어가 있다.
배면측 리브(751)는, 키 형상 볼록부(784)와 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면측 리브(751)는, 맞닿음면(751a) 및 큰 볼록편부(751b)를 갖는 L자 형상의 리브이다. 맞닿음면(751a)은, 대응하는 키 형상 볼록부(784)의 선단과, 광학 시트 부재(780)의 연설 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큰 볼록편부(751b)는, 맞닿음면(751a)으로부터 투사면(781b)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돌출되고, 투사면(781b)과 맞닿는 직사각형 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시인측 리브(752)는, 키 형상 오목부(785) 중 작은 오목부(785a)와 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인측 리브(752)에 대해 한 쌍의 평판부(742)가 서로 접속된 보유 지지 부재(741)의 중앙부측에, 동일한 키 형상 오목부(785)에 속하는 큰 오목부(785b)가 작은 오목부(785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시인측 리브(752)는 대향면(752a), 큰 볼록편부(752b), 변형용 돌기(752c)를 갖는 L자 형상의 리브이다. 대향면(752a)은, 대응하는 작은 오목부(785a)와, 당해 광학 시트 부재(780)의 연설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큰 볼록편부(752b)는, 대향면(752a)으로부터 투사면(781b)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돌출되는 직사각형 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큰 볼록편부(752b)의 돌출 치수는, 작은 오목부(785a)의 오목 치수보다 크고, 또한 큰 오목부(785b)의 오목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741)에 있어서, 표면(743a)측의 큰 볼록편부(751b, 752b)는, 이면(743b)측의 작은 볼록편부(747b, 748c)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 지지 리브(750)는, 광학 시트 부재(780)의 에지부(782)를 평판부(742)의 짧은 쪽 방향(PD)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변형용 돌기(752c)는, 특히 도 1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 형상의 선단을 갖고, 큰 볼록편부(752b) 중 투사면(781b)과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당해 투사면(781b)측을 향해, 예를 들어 0.2 내지 0.3㎜ 정도 돌출되어 있는 미소한 돌기이다. 변형용 돌기(752c)의 선단이 투사면(781b)에 맞닿음으로써, 광학 시트 부재(780)의 전체가 휘어, 스프링과 같이 탄성 변형 상태로 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 상태에 의해, 광학 시트 부재(780)의 두께에 대한 표면과 큰 볼록편부(751b) 사이의 간극이 메워져, 보유 지지 부재(741)에 의한 광학 시트 부재(780)의 안정적 보유 지지가 실현된다.
삽입 핀(753)은, 특히 도 111, 1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평판부(742)에 대해 하나, 합계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삽입 핀(753)은, 각 평판부(742) 중, 보유 지지 부재(741)의 중앙부와는 반대측(즉, 보유 지지 부재(74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삽입 핀(753)은, 표면(743a)으로부터 당해 표면(743a)의 법선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더 상세하게, 각 삽입 핀(753)은, 한 쌍의 평판부(742)가 이루는 둔각의 이등분선(BS)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삽입 핀(753)끼리도 서로 평행한 관계로 되어 있다.
한편, 광학 시트 부재(780)의 위치 결정 구멍(786)은, 삽입 핀(753)과 동일 수 형성되고, 구멍 대향면(781a)과 투사면(781b)을 관통하여 뚫리어 있다. 각 위치 결정 구멍(786)에 있어서, 평판부(742)의 짧은 쪽 방향(PD)의 직경은, 삽입 핀(753)의 직경과 동일 정도로 설정되고, 평판부(742)의 긴 쪽 방향(LD)의 직경은, 삽입 핀(753)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삽입 핀(753)이 위치 결정 구멍(786)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광학 시트 부재(780)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되어 있다.
충돌부(754)는, 도 119, 도 1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판부(742)가 접속된 보유 지지 부재(741)의 중앙부에 있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충돌부(754)는, 한쪽의 평판부(742)의 표면(743a)의 단부로부터 투광 표시판(730)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다른 쪽의 평판부(742)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L자 형상의 리브로 되어 있다. 충돌부(754)는, 충돌면(754a) 및 연장 돌출부(754b)를 갖고 있다. 충돌면(754a)은, 다른 쪽의 평판부(742)의 표면(743a)에 맞닿아 있는 광학 시트 부재(780)의 중앙부측의 단부가 충돌함으로써, 당해 광학 시트 부재(780)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고 있다. 연장 돌출부(754b)는, 충돌면(754a)으로부터 광학 시트 부재(780)의 투사면(781b)측으로 돌아 들어가 연장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광학 시트 부재(780)를 표면(743a)과의 사이에 끼워 넣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23, 도 1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평판부(742)에 있어서, 실장 기판(760)이 이면(743b)에 밀착 상태로 맞닿음과 함께, 광학 시트 부재(780)가 표면(743a)에 밀착 상태로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770)가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744)에 의한 공간(SP)이 광학적으로 밀폐성 높게 폐쇄되어 있다. 관통 구멍(744)에 의한 공간(SP)은, 상술한 구멍 격벽(745)이 표면(743a)에 대해 들어가 있음으로써, 관통 구멍(744) 사이에 있어서 연통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770)가 배치된 공간(SP)의 연통에 의해, 광학 시트 부재(780) 중 공간(SP)에 접하는 영역 전체로부터 면 광원 형상으로 광원 광이 투사된다. 또한, 상술한 큰 볼록편부(751b, 752b)는, 광학 시트 부재(780) 중 당해 공간(SP)에 접하는 영역보다 외주측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 부재(780)와 표면(743a)의 랩 영역은, 예를 들어 도 1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인측에 있어서 배면측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인측의 랩 영역이 배면측의 랩 영역에 대해 3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741)의 받침대부(755)는, 도 109 내지 도 1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판부(742)보다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부(755)는, 한 쌍의 맞닿음판(756), 한 쌍의 위치 결정 핀(758) 및 복수의 체결 받침대(759a, 759b, 759c)를 갖고 있다. 맞닿음판(756)은, 한 쌍의 평판부(742)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고, 보유 지지 부재(741)에 있어서 가장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맞닿음판(756)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유 지지 케이스(712)는, 받침대부(755)에 맞춘 형상의 대향부(712b)를 갖고 있음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741)의 맞닿음판(756)과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대향부(712b)가 맞닿아 있다.
한 쌍의 위치 결정 핀(758)은, 받침대부(755)에 있어서 한 쌍의 맞닿음판(756)보다 외측의 플랜지부(757)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대향부(712b)에 있어서 각 위치 결정 핀(758)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대응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각 위치 결정 핀(758)이 각 대응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741)가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체결 받침대(759a, 759b, 759c)는, 합계 3개 설치되어 있다. 체결 받침대(759a)는, 보유 지지 부재(741)의 중앙부에 한 쌍의 맞닿음판(756)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체결 받침대(759a)는, 한 쌍의 평판부(742)보다 시인측이면서 관통 구멍(744)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맞닿음판(756)에 대해 시인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도 1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결 받침대(759a)는, 비스(717)를 통과시키는 비스 관통 구멍(759d)을 갖고 있다. 한편,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대향부(712b)에 있어서 체결 받침대(759a)와 대향하는 개소에는, 체결 받침대(759a)의 오목부에 맞추어 돌출되는 돌출 받침대(712c)와, 돌출 받침대(712c)에 형성된 비스 체결 구멍(712d)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 받침대(759a)에 있어서, 비스(717)가 비스 관통 구멍(759d)를 통과한 후, 비스 체결 구멍(712d)에 체결되어 있다.
체결 받침대(759b, 759c)는, 플랜지부(757)에 배치되어 있다. 체결 받침대(759b, 759c)는, 한 쌍의 평판부(742)보다 시인측이면서 관통 구멍(744)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맞닿음판(756)에 대해 시인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체결 받침대(759a)와 마찬가지로, 체결 받침대(759b, 759c)에도 대응하여, 비스 관통 구멍(759d), 비스 체결 구멍(712d) 등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 받침대(759b, 759c)에 있어서도, 비스(717)가 비스 관통 구멍(759d)을 통과한 후, 비스 체결 구멍(712d)에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741)는,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복수 개소에 있어서 비스(717)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체결 시에는, 보유 지지 부재(741)의 각 맞닿음판(756)이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대향부(712b)와 밀착 상태로 맞닿아 있음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741)는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한편, 보유 지지 부재(741)를 포함하는 광 조사 유닛(740)은,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착탈 가능한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광 조사 유닛(740)의 부품 교환(예를 들어 광학 시트 부재(780)의 컬러 필터색의 변경 등)도 쉬워진다.
보유 지지 케이스(712)측으로부터 발광 소자(770)로의 급전은, 도 110, 도 1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커넥터(764) 및 급전 케이블(718)을 통해 실현된다. 급전 커넥터(764)는, 각 실장 기판(760)에 하나씩 설치되고, 대응하는 실장 기판(760)의 커넥터 배치면(761b)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급전 커넥터(764)는, 평판부(742)의 짧은 쪽 방향(PD)으로 폭을 갖고, 커넥터 배치면(761b)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구(764a)를 갖는다.
급전 케이블(718)은, 각 급전 커넥터(764)에 대해 1개씩 설치되고,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 형상부(718a)를 갖고 있다. 급전 케이블(718)은, 일단부가 급전 커넥터(764)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예를 들어 메인 회로 기판(726) 등의 전원측에 접속된다. 급전 케이블(718)은, 삽입구(764a)와 접속되는 접속부(718b)에, 가동 기구(718c)를 갖고 있다. 급전 케이블(718)은, 가동 기구(718c)에 의해, 삽입구(764a)에 대해 띠 형상부(718a)를 수직으로 연신시키는 자세와, 평행하게 연신시키는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급전 케이블(718)을 급전 커넥터(764)에 삽입할 때에는, 띠 형상부(718a)가 평행하게 연신되는 자세로 삽입을 행하고, 그 후 가동 기구(718c)를 사용하여 띠 형상부(718a)를 쓰러뜨림으로써, 당해 띠 형상부(718a)를 수직으로 연신시키는 자세로 변경한다. 띠 형상부(718a)를 수직으로 연신시키는 자세에서는, 급전 케이블(718)이 실장 기판(760)을 따라 배치되므로, 광 조사 유닛(740)을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15, 도 116, 도 118, 도 1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가 수용벽(713b)을 갖는다.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대향부(712b)와,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의 수용벽(713b)이 조합됨으로써, 광 조사 유닛(740)이 수용되는 수용실(A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실(AC)에 의해, 광 조사 유닛(740)으로부터 투사된 광원 광의 누광이 규제됨으로써, 당해 광원 광은, 효율적으로 투광 표시판(730)의 내부에 도입된다.
또한, 광 조사 유닛(740)이 수용되는 수용실(AC)에 있어서,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 돌출부(734)의 판면(731a)과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의 돌출부(713a) 사이에는, 방진 부재(715)가 개재 삽입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방진 부재는, 예를 들어 에스트라마재에 의해 탄성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광 표시판(730)과 플레이트 윈도우 부재(713) 사이의 밀착성을 높여, 방진 기능을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방진 부재(715)는, 수용실(AC)측의, 예를 들어 먼지, 티끌, 파편 등의 작은 이물이 수용실(AC) 외부, 특히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보유 지지된 투광 표시판(730)의 시인될 수 있는 범위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동시에 방진 부재(715)의 탄성을 활용하여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한 이음의 발생도 억제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용 표시 장치(700)의 제조 방법, 특히 광 조사 유닛(740) 내의 각 부품의 조립에 대해, 부분적이면서 간결하게 설명한다.
보유 지지 부재(741)는, 한 쌍의 성형 형을 사용하여 형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 표면(743a)측의 성형 형과 이면(743b)측의 성형 형을 조합하여, 가열 유동화시킨 상태의 합성 수지 재료를 양 성형 형 사이에 사출한다. 합성 수지 재료의 냉각 후, 양 성형 형을, 한 쌍의 평판부(742)가 이루는 둔각의 이등분선(BS)을 따라 빼냄으로써 이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유 지지 부재(741)가 성형된다.
각 실장 기판(760)은, 각각 대응하는 평판부(742)의 이면(743b)측에 조립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텐션 스프링을 갖는 지그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741)의 각 탄성 돌기(748)를, 배면측에 형성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741)의 위치 결정 리브(749)와, 실장 기판(760)의 슬릿부(763)의 위치를 맞추면서, 실장 기판(760)의 시인측의 에지부(762b)를 각 기판 지지 리브(747)에 걸리게 한다. 그 후, 지그를 떼어내면, 각 탄성 돌기(748)가 탄성 반력에 의해 실장 기판(760)의 배면측의 에지부(762b)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실장 기판(760)이 보유 지지 부재(741)의 이면(743b)과 밀착한다.
각 광학 시트 부재(780)는, 각각 대응하는 평판부(742)의 표면(743a)측에 조립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광학 시트 부재(780)를 약간 휘게 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741)에 대해 완성 시보다 조금 외측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시인측 리브(752)가 키 형상 오목부(785)의 큰 오목부(785b)와 정확하게 겹쳐, 광학 시트 부재(780)를 표면(743a)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광학 시트 부재(780)를 보유 지지 부재(741)의 외측으로부터 중앙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시인측 리브(752)가 키 형상 오목부(785)의 작은 오목부(785a)와 겹침과 함께, 배면측 리브(751)가 키 형상 볼록부(784)와 겹친다. 다시 광학 시트 부재(780)의 휨을 복귀시켜 삽입 핀(753)을 위치 결정 구멍(786)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광학 시트 부재(780)가 보유 지지 부재(741)의 표면(743a)과 밀착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보유 지지 부재(741), 복수의 발광 소자(770)가 실장된 실장 기판(760) 및 광학 시트 부재(780)에 의해 일체물로서 구성된 광 조사 유닛(740)이 완성된다.
게다가, 광 조사 유닛(740)의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의 조립 장착에 대해, 간결하게 설명한다. 먼저, 보유 지지 부재(741)의 한 쌍 위치 결정 핀(758)을, 보유 지지 케이스(712)의 대응 구멍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광 조사 유닛(740)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비스(717)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741)의 받침대부(755)를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체물로서의 광 조사 유닛(740)을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한 번에 조립 장착할 수 있고, 착탈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관통 구멍(744), 구멍 격벽(745), 발광 소자(770) 등은, 모두 부호를 붙이지 않고, 부호의 일부는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770), 실장 기판(760) 및 보유 지지 부재(741) 등에 의해 광 조사 유닛(740)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 조사 유닛(740)이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착탈 가능한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용 표시 장치(700)의 제조 시에,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광 조사 유닛(740)을 한 번에 조립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의 부품의 조립 장착 횟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장착에 수반하여, 예를 들어 먼지, 티끌, 파편 등의 작은 이물이 보유 지지 케이스(712) 내에 섞여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투광 표시판(730)을 보유 지지시켜도, 당해 투광 표시판(730)의 판면(731a, 731b)으로의 이물의 부착도 억제된다. 이 결과, 복수의 발광 소자(770)를 사용하여, 광 조사 유닛(740)이 광원 광을 투광 표시판(730)에 조사해도, 도안(735a)과 함께 이물이 동시에 발광해 버리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투광 표시판(730)에 의한 표시의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7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장 기판(760)은, 발광 소자(770)를 실장하는 실장면(761a)을 이면(743b)과 맞닿게 하여,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보유 지지된다. 이러한 실장 기판(760)에 실장된 각 발광 소자(770)는, 각 관통 구멍(744)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발광 소자(770)로부터 발해진 광원 광이 이면(743b)과 실장 기판(760) 사이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억제되어, 확실하게 표면(743a)측으로 도광된다. 이 때문에, 표면(743a)과 대향하는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에 효율적으로 광원 광을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휘도 효율을 높여 도안(735a)이 광휘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장 기판(760)은, 기판 지지 리브(747)에 의해 에지부(762b)가 지지됨과 함께, 당해 에지부(762b)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탄성 돌기(748)의 탄성 반력에 의해 기판 지지 리브(747)측으로 압박됨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741)에 보유 지지된다. 이러한 탄성 반력을 이용한 보유 지지에 의해, 차량 진동에 의한 실장 기판(760)의 상대적 위치 변동은 흡수된다. 따라서, 광 조사 유닛(740)에 의해, 투광 표시판(730)에 광원 광을 확실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 조사 유닛(740)은, 조사광에 광학 작용을 미치는 광학 시트 부재(780)를 더 갖는다. 광원 광이 광학 시트 부재(780)에 의해 광학 작용을 받음으로써, 한층 미관 좋게 도안(735a)을 광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학 시트 부재(780)는, 삽입 핀(753)이 위치 결정 구멍(786)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면서, 시트 지지 리브(7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741)에 보유 지지된다. 이러한 삽입 핀(753)의 삽입을 사용한 보유 지지에 의해, 광학 시트 부재(780)를 휘게 하면서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진동에 의한 실장 기판(760)의 상대적 위치 변동은 흡수된다. 따라서, 광 조사 유닛(740)에 의해, 투광 표시판(730)에 광원 광을 확실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학 시트 부재(780)로부터 시트 지지 리브(750)를 향해 돌출되는 변형용 돌기(752c)의 선단이, 당해 시트 지지 리브(750)에 맞닿는다. 이러한 맞닿음에 의해, 광학 시트 부재(780) 자신은 휘어 탄성 변형 상태가 된다. 광학 시트 부재(780)가 스프링과 같이 기능하여, 차량 진동에 의한 상대적 위치 변동은 흡수된다. 또한, 광학 시트 부재(780)의 휨을 전제로 한 광학 시트 부재(780)의 보유 지지 공간에 대해 광학 시트 부재(780)를 상술한 탄성 변형 상태보다 휠 수 없는 상태로 조립 장착함으로써 공간에 여유가 생기므로, 용이하게 조립 장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유 지지 부재(741)는, 표면(743a)이 투광 표시판(730)의 외연부(732)와 대향하도록, 보유 지지 케이스(712)에 대해 비스(717)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비스(717)를 사용한 체결에 의해, 광 조사 유닛(740)의 모든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차량 진동에 의해서도, 광 조사 유닛(740)과 투광 표시판(730)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광이 도안(735a)에 안정적으로 제공되므로, 미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4 실시 형태의 변형예 1로서는, 투광 표시판(730)에 있어서, 광 조사 유닛(740)으로부터의 광원 광이 도입되는 외연부(732)는, 외연 돌출부(734)와 같이 광 조사 유닛(740)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도 1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연부(732)의 광 조사 유닛(740)에 대응하는 개소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2로서는, 반사 소자(736)에는,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소자(736)에 있어서, 삼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반사면(737) 대신에, 곡면 형상으로 만곡된 단일의 반사면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삼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반사면(737) 대신에,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의 반사면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반사면(737)의 경사각은, 광원 광을 시인측으로 반사하는 기능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3으로서는, 투광 표시판(730)은, 내부에 광원 광을 도입함으로써, 도안(735a)을 광휘시켜 표시하는 것이면, 반사 표시부(735)의 미세한 사이즈의 반사 소자(736)에 의해 도안(735a)을 광휘시키는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사 소자(736) 대신에, 광원 광을 확산하는 확산 소자에 의해, 도안이 광휘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사 소자(736) 대신에, 배면측 판면(731b)으로부터 시인측 판면(731a)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시인 가능한 사이즈의 오목 형상 구멍을 마련하고, 당해 오목 형상 구멍의 측벽면을 광원 광에 의해 조명하여, 당해 측벽면에 의한 윤곽이 광휘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4로서는, 투광 표시판(730)은, 배면측 표시판(721)의 일부분을 시인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5로서는, 도안(735a)으로서, 예를 들어 지침이 지시하는 지표 등, 임의의 다양한 도안을 채용할 수 있다.
변형예 6으로서는, 보유 지지 부재(741)는, 한 쌍의 평판부(742) 대신에, 단일의 평판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평판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변형예 7로서는, 본체 표시부(720)로서, 다양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침 표시부(722a, b)를 설치하는 대신에, 전체면에 화상 표시부(725)가 채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4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1890호 공보에 기재된 차량용 표시 장치는, 투광 표시판(투명 도광판) 및 복수의 발광 소자(광원)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 표시판은, 페이싱판에 의해 압박되고, 투광성을 가짐과 함께, 도안을 형성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발한 광원 광이, 투광 표시판의 내부에 도입됨으로써, 도안이 광휘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가 어떻게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에 대한 개시는 없다.
또한, 제14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선행예인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70993호 공보에는, 보유 지지 케이스(프레임체)에 대해 보유 지지된 액정 표시 소자에 광원 광을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광원)의 보유 지지에 관한 개시가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는, 보유 지지 케이스의 주위벽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고정된 플렉시블 배선판에 설치되는 도전로에 실장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투광 표시판에 조사하는 광원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보유 지지에 대해, 상세한 검토를 행하였다. 이 결과,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보유 지지되는 투광 표시판에 대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70993호 공보의 구성, 동일한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복수의 발광 소자를 고정하는 구성을 적용한 경우, 이하의 과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 과제라 함은,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조 시에,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복수의 발광 소자를 직접적으로 조립 장착해 가면, 보유 지지 케이스에의 조립 장착 횟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어, 이 조립 시에, 예를 들어 먼지, 티끌, 파편 등의 작은 이물이 보유 지지 케이스 내로 섞여 들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투광 표시판도 이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투광 표시판의 판면에도 이들 이물이 부착되어 버려, 도안을 표시할 때에 이러한 이물도 동시에 광휘되어, 투광 표시판에 의한 표시의 미관이 현저하게 악화되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비해, 제14 실시 형태에 기초하면, 투광 표시판에 의한 표시의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보유 지지 케이스(712)와,
상기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보유 지지되고, 투광성을 가짐과 함께, 도안(735a)을 형성한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광원 광을 도입함으로써, 상기 도안을 광휘시켜 표시하는 투광 표시판(730)과,
상기 광원 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770)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하는 실장 기판(760)과, 상기 실장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741)를 갖고, 상기 투광 표시판의 외연부(732)를 통해, 상기 투광 표시판에 상기 광원 광을 조사하는 유닛이며, 상기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한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광 조사 유닛(740)을 구비한다.
제14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특징은 이상이지만, 하위 계층의 특징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과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를 각 구성에 추가하여 설명한다.
(2)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차광성의 기재에 의해 표면(743a) 및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743b)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744)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이 상기 외연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장 기판은, 상기 발광 소자를 실장하는 실장면(761a)을 상기 이면과 맞닿게 하여,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고,
각 상기 발광 소자는, 각 상기 관통 구멍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3)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이면측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판의 에지부(762)를 지지하는 기판 지지 리브(747)와,
탄성 변형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 중 상기 기판 지지 리브에 지지되는 상기 에지부(762b)와는 상기 실장 기판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상기 에지부(762a)를 탄성 반력에 의해 상기 기판 지지 리브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돌기(748)를 갖는다.
(4)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광원 광에 광학 작용을 미치는 광학 시트 부재(780)를 더 갖는다.
(5)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광학 시트 부재의 에지부(782)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리브(750)와,
상기 광학 시트 부재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786)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 핀(753)을 갖는다.
(6) 상기 시트 지지 리브는, 상기 광학 시트 부재를 향해 돌출됨과 함께, 선단을 상기 시트 지지 리브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시트 부재를 휘게 하여 탄성 변형 상태로 하는 변형용 돌기(752c)를 갖는다.
(7)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비스(717)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 실장 기판 및 보유 지지 부재 등에 의해 광 조사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 조사 유닛이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한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조 시에,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광 조사 유닛을 한 번에 조립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유 지지 케이스에의 부품의 조립 횟수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장착에 수반하여 예를 들어 먼지, 티끌, 파편 등의 작은 이물이 보유 지지 케이스 내에 섞여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보유 지지 케이스에 대해 투광 표시판을 보유 지지시켜도, 당해 투광 표시판의 판면에의 이물의 부착도 억제된다. 이 결과, 복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광 조사 유닛이 광원 광을 투광 표시판에 조사해도, 도안과 함께 이물이 동시에 발광해 버리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투광 표시판에 의한 표시의 미관이 양호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
도 128 내지 도 1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5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15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800)에 있어서, 광 투과성 표시판(850)은, 도 128, 도 1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목시측의 표면(851)은, 중앙부가 배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목시측의 표면(851)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원통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광 투과성 표시판(850)에는, 목시측으로부터 예를 들어 태양광, 차내의 광원으로부터의 광 등의 외광이 입사하는 경우가 있고, 이들 외광이 당해 광 투과성 표시판(850)에 반사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130을 사용하여, 광 투과성 표시판이, 평판 형상인 경우와, 곡면 판상인 경우에서의 광의 반사 방향의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0은 차량용 표시 장치(800)의 좌우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0에 있어서, 타원으로 도시된 범위는, 아이립스(ELP)라고 불리고 있다. 아이립스(ELP)는, 탑승인으로서의 운전자의 눈의 위치의 분포를 통계적으로 나타낸 아이 레인지를, 긴 원으로서 나타낸 것이다(상세는, JISD0021: 1998 참조).
평판 형상의 광 투과성 표시판의 경우(도 130의 파선 참조)에 있어서, 광 투과성 표시판의 우측 영역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소정의 외광 Ai가 입사한 경우를 생각한다. 평판 형상의 광 투과성 표시판에 대한 외광 Ai의 입사각은 α가 되고, 반사광 Ar의 궤적은, 우안의 아이립스(ELP)에 외접한다. 외광 Ai의 입사각 α보다 조금 큰 입사각 γ로 입사하는 외광 Ci에 대한 반사광 Cr은, 반사광 Ar보다 좌측을 통과하게 되므로, 아이립스(ELP) 내를 통과한다. 즉, 입사각 α보다 큰 입사각으로 우측 영역에 입사하는 외광은, 탑승인으로서의 운전자에게 시인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만곡판 형상의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경우(도 130의 실선 참조)에 있어서,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우측 영역에 있어서의 외주부, 외광 Ai와 동일한 궤적의 외광 Bi가 입사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목시측의 표면(851)의 만곡에 의해, 우측 영역에서는 목시측의 표면(851)이 조금 중앙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만곡판 형상의 광 투과성 표시판(850)에 대한 외광 Ai의 입사각은 β가 되고, 입사각 β는, 입사각 α, γ와 비교하여 상당히 큰 값이 된다. 이 때문에 반사광 Br의 궤적은, 좌안의 아이립스(ELP)보다 더욱 좌측을 통과하게 된다. 또한 외광 Ci와 동일한 궤적의 외광 입사광이 입사해도, 그 반사광은, 반사광 Br보다 더욱 좌측을 통과하게 되므로, 탑승인으로서의 운전자에게 시인될 가능성은, 평판 형상의 광 투과성 표시판의 경우에 비해 낮아진다.
또한, 제15 실시 형태의 광 투과성 표시판(850)에는, 지침(830)에 대응하여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지침(830)의 연결부(832)가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있음으로써, 도 128, 도 1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침(830)의 지시부(834)가 광 투과성 표시판(850)보다 목시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5 실시 형태의 문자판(820)은, 광 투과성 표시판(850)과 대략 동일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자판(820)과 광 투과성 표시판(850)이 간극 적게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문자판(820)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지표부(8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판(820)의 좌측의 영역에 차량의 전동 모터의 전류값에 대응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822a)로서, 눈금 및 문자가 배치되어 있다. 문자판(820)의 우측의 영역에 차량의 전동 모터의 전원 배터리의 전압값을 표시하는 지표(822b)로서, 눈금 및 문자가 배치되어 있다.
제15 실시 형태의 도안(860)은, 좌우의 영역에 있어서, 지표부(822)와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설치된 다른 지표부(859)를 갖고 있다. 다른 지표부(859)는, 지침(830)의 지시부(834)에 지시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점에서는 지표부(822)와 마찬가지이지만, 지표부(822)가 표시하는 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지표부(859)는, 도 128, 도 1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822a)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지표 도안(861a)을 갖고, 지표(822b)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지표 도안(861b)을 갖고 있다. 지표 도안(861a)은,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눈금 및 문자를 갖고 있다. 지표 도안(861b)은,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눈금 및 문자를 갖고 있다.
제15 실시 형태의 광원 제어부(883)는, 표시판용 광원(870)과 함께, 지표 조명용 광원(827)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표 조명용 광원(827)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지표 조명용 발광 소자(828)가 복수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제어부(883)는, 표시판용 광원(870)의 각 발광 소자(873)의 점등 및 소등의 전환, 및 지표 조명용 광원(827)의 각 발광 소자(828)의 점등 및 소등의 전환을 행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안(860)은, 각 발광 소자(873)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표시 상태가 되어, 목시측으로부터 시인될 수 있다. 그러나 도안(860)은, 각 발광 소자(873)가 소등되는 경우에는, 비표시 상태가 되어, 목시측으로부터 거의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문자판(820)의 지표부(822)는, 각 발광 소자(828)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표시 상태가 되어, 목시측으로부터 시인될 수 있다. 그러나 지표부(822)는, 각 발광 소자(828)가 소등되는 경우에는, 비표시 상태가 되어, 목시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광원 제어부(883)는, 표시판용 광원(870)의 발광 소자(873) 및 지표 조명용 광원(827)의 발광 소자(828) 중 한쪽을 점등하고, 다른 쪽을 소등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다른 지표부(859) 및 문자판(820)의 지표부(822) 중 한쪽만이 표시 상태가 된다. 지침(830)은, 다른 지표부(859) 및 지표부(822) 중 표시 상태로 되어 있는 쪽에 맞추어 회동한다. 즉, 광원 제어부(883)에 의해, 지침(830)의 지시부(834)가 지시하는 지시 대상이 지표부(822)와 다른 지표부(859) 사이에서 전환된다.
이러한 제15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800)(주로 광원 제어부(88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 132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차트는, 소정의 계기 또는 소정 시간마다 실행된다.
먼저, 스텝 S810에서는, 광원 제어부(883)는, 다른 지표부(859)를 표시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있어서의 조건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인이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의 온 및 오프의 상태를 참조하여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판정 시에, 엔진 및 전동 모터 중 어느 쪽을 주로 하여 차량이 구동되고 있는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스텝 S810에서 긍정 판정이 내려지면, 스텝 S8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810에서 부정 판정이 내려지면, 스텝 S830으로 이행한다.
스텝 S820에서는, 광원 제어부(883)는, 표시판용 광원(870)의 각 발광 소자(873)를 점등시킴과 함께, 지표 조명용 광원(827)의 각 발광 소자(828)를 소등시킨다. 이에 의해, 도 1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지표부(859)의 지표 도안(861a, 861b)가 표시 상태가 되고, 지표부(822)가 비표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시부(834)가 지시하는 지시 대상이 다른 지표부(859)로 설정된다. 지표부(862)와 화상 표시 패널(40)의 화상은, 부분적으로 중첩 표시된다. 스텝 S820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30에서는, 광원 제어부(883)는, 표시판용 광원(870)의 각 발광 소자(873)를 소등시킴과 함께, 지표 조명용 광원(827)의 각 발광 소자(828)를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도 1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지표부(859)의 지표 도안(861a, 861b)이 비표시 상태가 되고, 지표부(822)가 표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시부(834)가 지시하는 지시 대상이 지표부(822)로 설정된다. 스텝 S830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1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자판(820)에는, 지표 도안(861b)에 대응한 레드 존 지표(829)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레드 존 지표(829)는, 지표부(822)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표부(822)가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는 레드 존 지표(829)가 배면측으로부터의 조명에 의해 표시 상태가 되고(도 133 참조), 지표부(822)가 표시 상태인 경우에는 배면측으로부터의 조명이 정지되어 비표시 상태가 된다(도 134 참조).
이상 설명한 제15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 투과성 표시판(850)은,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 투과성 표시판(850) 중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목시측으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광 투과성 표시판(850) 내에서 입체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5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목시측의 표면(851)은 중앙부가 배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 투과성 표시판(850)의 중앙부와 외주부 사이에서 입체감이 발생한다. 이와 함께, 외광이 당해 표면(851)에 반사될 때의 반사광이 탑승인에게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표시의 시인성이 높아지게 되어, 이들 각 표시의 조합에 의한 상대적인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제15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판용 광원(870)의 점등 상태에 의해 도안(860)의 표시 상태가 변경되고, 지시부(834)가 지시하는 지시 대상은, 지표부(822)와 다른 지표부(859) 사이에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에서는, 동일한 지침(830)에 의한 지시 대상을 전환함으로써, 표시의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본 개시는, 적합한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적합한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것들에 한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6)

  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지표부(22)를 목시측에 표시하는 문자판(20)과,
    화상을 목시측에 발광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40)과,
    상기 문자판 및 상기 화상 표시 패널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광원(70)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54a, 54b)를 구비한 광 투과성 표시판(50)과,
    상기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83)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 소자이며,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의 연설 방향(ED)을 따라 배열되어 도안(60a, 60b)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반사 소자(56)를 갖고,
    상기 도안은,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 중 상기 지표부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지표부의 테두리를 두르도록 선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 도안(61a, 61b)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 도안은, 상기 광원의 점등 및 소등에 따라 표시 및 비표시가 전환되고,
    상기 외주 도안의 단부(62a, 62b, 63a, 63b)는,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 중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이 대향하는 영역까지 연신되고,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상기 광원이 점등되어 있을 때,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외주 도안의 단부를 더욱 연장하도록 선 형상으로 마련된 연장 화상(IEA, IEB, IE1, IE2)을 표시하고,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상기 광원이 소등하고 있을 때, 상기 연장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비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도안의 색을 변경 가능한 컬러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동일한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도안을 구성하도록 복수 설치되고,
    동일한 상기 반사부에 있어서, 각 상기 반사 소자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반사면(257a, 257b)을 가짐과 함께, 상이한 상기 반사부 사이에 있어서, 각 상기 반사 소자의 상기 반사면은 상이한 방향을 향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의 외연부(252)를 따라 배치되는 발광부(272a, 272b)를 복수 갖고,
    각 상기 발광부는, 각 상기 반사부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상기 외연부 중 대응하는 상기 반사부의 상기 반사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대향하는 상기 반사면을 향해 광을 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은, 표시 대상물 중 외관 윤곽이 표현된 윤곽 도안(261a)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 대상물 중 내부 상태가 표현된 내부 화상(IIS)을, 상기 윤곽 도안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 소자의 형상 또는 밀도를 점차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도안의 표시 휘도를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변화시킨 그라데이션 영역(GRD)을 갖는, 차량용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을 전환 가능한 복수의 발광 소자(473, 573)를 갖고,
    각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도안 중, 서로 어긋난 일부분을 향해 광을 발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각 상기 발광 소자 중 점등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전환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상기 화상으로서, 이동체가 표현된 이동체 화상(IMV)을 표시하고,
    상기 도안은, 지면이 표현된 지면 도안(4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 화상에 맞추어, 점등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인접하는 상기 발광 소자로 차례로 전환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이동 장애물을 검출하는 이동 장애물 검출부(503)를 구비하고,
    상기 도안은, 상기 이동 장애물을 복수 나열하여 표현된 이동 장애물 모션 도안(5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이동 장애물 검출부가 상기 이동 장애물을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 장애물에 맞추어, 점등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인접하는 상기 발광 소자로 차례로 전환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은,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의 목시측의 표면(851)은, 중앙부가 배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
  13.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회동하여 지시 위치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부(834)를 갖는 지침(830)을 더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회동하는 지시부를 갖는 지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안은, 상기 지표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지표부가 표시하는 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지표부(859)를 갖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점등 상태에 따라 상기 도안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지시부가 지시하는 지시 대상을, 상기 지표부와 상기 다른 지표부 사이에서 전환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5. 삭제
  16.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화상을 목시측에 발광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40)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보다 목시측에 배치되고 광원(270)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254a)를 구비한 광 투과성 표시판(250)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시측으로 반사하는 반사 소자이며, 상기 광 투과성 표시판의 연설 방향(ED)을 따라 배열되어 도안(260a)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반사 소자(256a)를 갖고,
    상기 도안은, 표시 대상물 중 외관 윤곽이 표현된 윤곽 도안(261a)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 대상물 중 내부 상태가 표현된 내부 화상(IIS)을, 상기 윤곽 도안에 중첩시켜 표시하고,
    상기 도안은, 상기 차량을 후방이면서 상방으로부터 부감한 모습이 표현된 차량 부감 도안(261b)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2개의 발광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발광부 중 한쪽의 발광부가 상기 윤곽 도안을 발광시키고, 다른 쪽의 발광부가 상기 차량 부감 도안을 발광시키며,
    상기 차량 부감 도안은, 상기 화상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개소 중 상기 윤곽 도안보다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발광부가 소등하고 상기 다른 쪽의 발광부가 점등할 때에,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상기 윤곽 도안과 대향하는 영역에 상기 차량을 목적지까지 내비게이션하는 내비게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97010715A 2016-11-08 2017-09-14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277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8283 2016-11-08
JPJP-P-2016-218284 2016-11-08
JP2016218282A JP6597561B2 (ja) 2016-11-08 2016-11-08 車両用表示装置
JP2016218283A JP6540657B2 (ja) 2016-11-08 2016-11-08 表示装置
JPJP-P-2016-218282 2016-11-08
JP2016218281A JP6624015B2 (ja) 2016-11-08 2016-11-08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16-218281 2016-11-08
JP2016218284 2016-11-08
JP2016236157A JP6583236B2 (ja) 2016-12-05 2016-12-05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16-236157 2016-12-05
JPJP-P-2017-010424 2017-01-24
JP2017010424A JP6597656B2 (ja) 2017-01-24 2017-01-24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17-089368 2017-04-28
JP2017089368A JP6597704B2 (ja) 2017-04-28 2017-04-28 車両用表示装置
JP2017153486A JP6583363B2 (ja) 2016-11-08 2017-08-08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17-153486 2017-08-08
PCT/JP2017/033185 WO2018088024A1 (ja) 2016-11-08 2017-09-14 車両用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051A KR20190047051A (ko) 2019-05-07
KR102277852B1 true KR102277852B1 (ko) 2021-07-16

Family

ID=6665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715A KR102277852B1 (ko) 2016-11-08 2017-09-14 차량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17468B2 (ko)
KR (1) KR102277852B1 (ko)
CN (1) CN109964101B (ko)
DE (1) DE112017005615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8776B2 (ja) * 2016-06-24 2019-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US10838133B2 (en) * 2017-06-30 2020-11-17 Sioptica Gmbh Screen for a free and a restricted viewing mode
JP6947051B2 (ja) * 2018-01-19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自動車
DE102018203121B4 (de) * 2018-03-02 2023-06-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rechnung einer AR-Einblendung von Zusatzinformationen für eine Anzeige auf einer Anzeigeeinheit,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Kraftfahrzeug und Computerprogramm
USD916730S1 (en) * 2018-06-11 2021-04-20 Claas Kgaa Mbh Vehicle display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71805B2 (en) * 2019-01-09 2022-06-28 Bushnell Inc. Range finding display with power and angle indicators
DE102019207322B4 (de) * 2019-05-20 2021-07-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sche Ablesevorrichtung für ein Zeigerinstrument
CN110539639B (zh) * 2019-08-28 2020-12-01 南斗六星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基于仪表的渐变圆环显示方法、介质、仪表和装置
EP3796103A1 (fr) * 2019-09-20 2021-03-2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rticle decoratif avec effet lumineux
KR20210073064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그먼트 lcd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
US11150259B2 (en) * 2019-12-13 2021-10-1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of gauge graphic
USD1009888S1 (en) * 2019-12-26 2024-01-02 Hyundai Mobis Co., Ltd. Cluster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2594S1 (en) * 2019-12-26 2023-04-04 Hyundai Mobis Co., Ltd. Cluster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8300S1 (en) 2020-10-30 2023-12-19 Stryker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6078S1 (en) * 2020-10-30 2024-02-27 Stryker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21914S1 (en) * 2020-11-11 2024-04-0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CN113752832B (zh) * 2021-09-13 2022-03-29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仪表盘
CN113895228B (zh) * 2021-10-11 2022-05-17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组合仪表盘及汽车
KR20230108559A (ko) * 2022-01-11 2023-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서 클리닝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4756316A (zh) * 2022-03-29 2022-07-15 南斗六星系统集成有限公司 基于液晶屏的表情互动的显示方法、介质、仪表和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233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Ltd 透明ディスプレイ
JP2013080120A (ja) * 2011-10-04 2013-05-02 Fujikura Ltd 表示装置
JP2015083965A (ja) * 2013-09-17 2015-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2016057101A (ja) *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16122002A (ja) * 2014-12-24 2016-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6128777A (ja) * 2015-01-09 2016-07-1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計器
JP2016141366A (ja) * 2015-02-05 2016-08-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20170144544A1 (en) 2014-07-18 2017-05-25 Denso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284Y2 (ko) 1975-04-30 1980-09-13
US5982540A (en) * 1994-03-16 1999-11-0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ith polarization function
JPH08159818A (ja) 1994-11-30 1996-06-21 Nippon Seiki Co Ltd 板体固定構造
DE19721107B4 (de) 1996-05-21 2011-01-13 DENSO CORPORATION, Kariya-shi Anzeigeinstrument für Kraftfahrzeuge
JP3006489B2 (ja) * 1996-05-28 2000-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H09318399A (ja) 1996-05-28 1997-12-12 Denso Corp 表示装置
JPH10207408A (ja) * 1997-01-27 1998-08-07 Yazaki Corp 導光ユニット及び車両用表示装置
JPH11353920A (ja) 1998-06-05 1999-12-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多色発光型面状光源ユニット
JP3178819B2 (ja) * 1999-04-02 2001-06-25 株式会社カシイ 看 板
JP2000337930A (ja) * 1999-05-31 2000-12-08 Denso Corp 車両用計器
JP2002071394A (ja) 2000-09-01 2002-03-08 Denso Corp 車両用計器
JP2002156251A (ja) * 2000-11-17 2002-05-31 Denso Corp 車両用計器
JP2002340629A (ja) * 2001-05-17 2002-11-27 Denso Corp 計 器
JP2002365097A (ja) 2001-06-04 2002-12-18 Denso Corp 計 器
JP2005009957A (ja) * 2003-06-18 2005-01-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5091218A (ja) 2003-09-18 2005-04-07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4637546B2 (ja) * 2004-11-02 2011-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4437550B2 (ja) * 2006-01-13 2010-03-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指針計器
JP4895321B2 (ja) * 2006-01-30 2012-03-14 日本精機株式会社 指示計器
JP4826911B2 (ja) * 2006-11-13 2011-11-30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243743B2 (ja) * 2007-08-01 2013-07-24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装置
JP2009042121A (ja) 2007-08-09 2009-02-26 Denso Corp 車両用計器
JP2009096063A (ja) 2007-10-17 2009-05-07 Nakai Meihan Kk 発光表示装置の導光板加工方法
JP2009186400A (ja) * 2008-02-08 2009-08-2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計器照明構造
JP5258092B2 (ja) 2008-08-20 2013-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247339B2 (ja) 2008-10-06 2013-07-2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239925B2 (ja) * 2009-02-16 2013-07-17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板と、この表示板を用いた計器装置
JP5182216B2 (ja) * 2009-05-18 2013-04-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5491780B2 (ja) * 2009-06-25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灯
JP5594525B2 (ja) 2010-07-29 2014-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メータユニット
JP5413744B2 (ja) 2010-07-30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US8691518B2 (en) 2010-09-24 2014-04-08 Global Life Science Partner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response to minoxidil for the tr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
JP5925489B2 (ja) 2011-12-28 2016-05-25 株式会社恭和 液晶表示部の立体感を向上させた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
JP5896217B2 (ja) 2012-02-22 2016-03-30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5992704B2 (ja) * 2012-03-23 2016-09-1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995056B2 (ja) 2012-03-29 2016-09-21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9701199B2 (en) * 2013-01-11 2017-07-11 Nissan Motor Co., Ltd. Display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2014177166A (ja) 2013-03-14 2014-09-25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6150607B2 (ja) 2013-05-10 2017-06-21 林テレンプ株式会社 発光装置
JP5849998B2 (ja) * 2013-06-25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6285656B2 (ja) 2013-07-17 2018-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6148582B2 (ja) * 2013-09-10 2017-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
JP6244157B2 (ja) 2013-10-03 2017-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15107164A (ja) 2013-12-03 2015-06-11 奥村遊機株式会社 遊技機の発光表示装置
JP6232670B2 (ja) * 2014-01-22 2017-11-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文字板照明構造
JP6469666B2 (ja) 2014-05-28 2019-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37502B2 (ja) 2014-07-03 2017-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6359403B2 (ja) * 2014-09-25 2018-07-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用メータ表示装置
JP6455119B2 (ja) 2014-12-12 2019-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6412795B2 (ja) 2014-12-24 2018-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6510229B2 (ja) 2014-12-24 2019-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6218282A (ja) 2015-05-21 2016-12-2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微粒子配列の作成および配向制御方法
JP6400526B2 (ja) 2015-05-21 2018-10-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声合成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42115B2 (ja) 2015-05-21 2017-06-07 スリック株式会社 三脚
JP6270780B2 (ja) 2015-06-25 2018-01-31 横河レンタ・リース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JP6858513B2 (ja) 2015-11-06 2021-04-14 株式会社クボタ 鋼管連結機構
JP6264360B2 (ja) 2015-11-27 2018-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16122022A (ja) 2016-04-07 2016-07-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方法、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DE112017005617T5 (de) 2016-11-08 2019-09-12 Denso Corporation Anzeigevorrichtung für Fahrzeug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233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Ltd 透明ディスプレイ
JP2013080120A (ja) * 2011-10-04 2013-05-02 Fujikura Ltd 表示装置
JP2015083965A (ja) * 2013-09-17 2015-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US20170144544A1 (en) 2014-07-18 2017-05-25 Denso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JP2016057101A (ja) *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16122002A (ja) * 2014-12-24 2016-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6128777A (ja) * 2015-01-09 2016-07-1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計器
JP2016141366A (ja) * 2015-02-05 2016-08-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051A (ko) 2019-05-07
US11117468B2 (en) 2021-09-14
US20190248240A1 (en) 2019-08-15
CN109964101A (zh) 2019-07-02
CN109964101B (zh) 2021-10-29
DE112017005615T5 (de)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852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US10551618B2 (en) Vehicle display device
US10513220B2 (en) Display device with backlight
CN109562725B (zh) 经照明的装饰件
US9041740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and vehicular display system
US9908413B2 (en) Vehicle display device
US20160221440A1 (en) Vehicular display device
KR101947927B1 (ko) 표시 장치
US11073650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JP2008116766A (ja) 表示器および虚像表示装置
JP6911894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8088024A1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2032286A (ja) 表示装置
WO2016035304A1 (ja) 表示装置
WO2014171078A1 (ja) 車両用表示装置
CN112721633A (zh) 用于机动车辆的内部空间的显示器
JP4701594B2 (ja) 車両用計器の表示装置
US1046447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09198465A (ja) 指針計器
JP659756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228977B2 (ja) 表示装置
JP6583236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6687851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0807472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6597656B2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