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355B1 -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355B1
KR102191355B1 KR1020157031134A KR20157031134A KR102191355B1 KR 102191355 B1 KR102191355 B1 KR 102191355B1 KR 1020157031134 A KR1020157031134 A KR 1020157031134A KR 20157031134 A KR20157031134 A KR 20157031134A KR 102191355 B1 KR102191355 B1 KR 10219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al cavity
hlb
food waste
sugar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312A (ko
Inventor
마사노리 오야이즈
다이키 모리타
유시 고다마
도시히로 도이
유우이치 마에다
후미히로 오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5013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공. 중조, 산, 유화제, 및 기재를 함유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LEANING INSIDE ORAL CAVITY}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캔디, 젤, 추잉검 등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치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검, 구취의 억제를 목적으로 한 음식품 (특허문헌 1), 설태 제거 효과를 갖는 식품 (특허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음식 잔류물을 제거하는 등과 같은 구강 세정 능력을 충분히 갖는 것은 없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310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60734호
본 발명은 음식 잔류물 (음식 찌꺼기) 을 제거할 수 있는, 높은 세정력을 갖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발포성의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 은 실시예 2 의 결과 (음식 찌꺼기의 건조 중량) 를 나타낸다.
도 2 는 실시예 2 의 결과 (음식 찌꺼기 제거량) 를 나타낸다.
도 3 은 실시예 3 의 결과 (음식 찌꺼기의 건조 중량) 를 나타낸다.
도 4 는 실시예 3 의 결과 (음식 찌꺼기 제거량) 를 나타낸다.
도 5 는 실시예 4 의 결과 (음식 찌꺼기의 건조 중량) 를 나타낸다.
도 6 은 실시예 4 의 결과 (음식 찌꺼기의 건조 중량) 를 나타낸다.
도 7 은 실시예 4 의 결과 (음식 찌꺼기 제거량) 를 나타낸다.
도 8 은 실시예 5 의 결과 (음식 찌꺼기의 건조 중량) 를 나타낸다.
도 9 는 실시예 5 의 결과 (음식 찌꺼기 제거량)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중조 (重曹), 산, 유화제, 기재를 함유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은, 중조와 산이 서로 반응하여 발포됨으로써, 구강 내 세정 효과를 발휘한다. 중조는, 탄산수소나트륨, 혹은 중탄산나트륨이라고도 불린다. 산은 생체에 악영향이 없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로서 숙신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푸마르산, 아세트산, 락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인산 또는 시트르산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산미료로서도 작용한다.
유화제는 기포의 퍼짐이나 지속성의 향상과 같은 효과로, 구강 내 세정 효과를 증강시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유화제의 예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슈가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화제는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가 3 이상인 것이 1 종 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유화제의 배합량은 5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HLB 는 유화제의 친수성, 친유성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값이다. HLB 는 0 내지 20 까지의 값을 취하고, 0 에 가까울수록 친유성이 높고 20 에 가까울수록 친수성이 높다. HLB 는 계산 또는 실측에 의해 계측된다. 계산식으로는, 아틀라스법, 그리핀법, 데이비스법, 카와카미법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유화제의 혼합물의 HLB 값은 각 성분의 HLB 값의 가중평균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화제로서 슈가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슈가 에스테르란 자당과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결합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슈가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HLB 가 3 이상인 것이 1 종류 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한 예로서, 슈가 에스테르로서 HLB 가 5 미만인 것을 1 종 이상, HLB 가 5 이상인 것을 1 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고,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HLB 가 3 이하인 것을 1 종 이상, HLB 가 7 이상인 것을 1 종 이상 함유하는 것, 또한 HLB 값이 3 인 것과, HLB 값이 7 인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슈가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미츠비시 화학 푸즈 주식회사에서 시판되는 S-070, S-170, S-270, S-370, S-570, S-770, S-970, S-1170, S-1570, S-1670 등의 자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 P-170, P-1570, P-1670 등의 자당 팔미트산에스테르 ; M-1695 등의 자당 미리스트산에스테르 ; O-170, O-1570 등의 자당 올레산에스테르 ; L-195, L-595, L-1695 등의 자당 라우르산에스테르 ; B-370 등의 자당 베헤닌산에스테르 ; ER-190, ER-290 등의 자당 에루크산에스테르, 또,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에서 시판되는 DK 에스테르 SS, F-160, F-140, F-110, F-90, F-70, F-50, F-20W, F-10, F-A10E 등을 예로서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370, S-770, 혹은 이것들의 혼합물이다.
또,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5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이다.
기재는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식품 소재이고, 본 발명의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의 배합 중, 대략 30 중량% ∼ 90 중량% 를 차지하는 소재로서, 여러 가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자일로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소르보스, 프룩토오스, 람노오스, 리보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의 단당류 ; 이소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룰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네오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말토오스, 멜리비오스, 락툴로오스, 락토오스 등의 이당류 ;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말토 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패노오스 등), 올리고-N-아세틸글루코사민, 갈락토실수크로오스, 갈락토실락토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글루코피라노오스, 자일로 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등), 겐티오 올리고당 (겐티오비오스, 겐티오트리오스, 겐티오테트라오스 등), 스타키오스, 테안데올리고, 니게로 올리고당 (니게로오스 등), 팔라티노오스 올리고당, 프룩토 올리고당 (케스토오스, 니스토오스 등), 프룩토프라노실니스토오스, 폴리덱스트로오스, 말토실-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 올리고당 (말토트리오스, 테트라오스, 펜타오스, 헥사오스, 헵타오스 등), 라피노오스, 대두 올리고당, 전화당 등의 올리고당류 ; 이소말티톨,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글리세롤, 소르비톨, 팔라티니트, 말티톨, 말토테트라이톨, 말토트리이톨, 만니톨, 락티톨, 환원 이소말토 올리고당, 환원 자일로 올리고당, 환원 겐티오 올리고당 등의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은, 상기 외에 증점제, 감미료, 향료, 산미료, 고결 방지제, 물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증점제에 한정은 없지만, 예로는, 펙틴, 구아검, 잔탄검, 키토산, 타마린드검, 카리기난,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등의 다당류 및 그 유도체, 그 밖에도,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세인나트륨,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감미료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로서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자일로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소르보오스, 프룩토오스, 람노오스, 리보오스, 이성화 액당,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의 단당류 ; 이소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룰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네오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말토오스, 멜리비오스, 락툴로오스, 락토오스 등의 이당류 ;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말토 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패노오스 등), 올리고-N-아세틸글루코사민, 갈락토실수크로오스, 갈락토실락토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글루코피라노오스, 자일로 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등), 겐티오 올리고당 (겐티오비오스, 겐티오트리오스, 겐티오테트라오스 등), 스타키오스, 테안데올리고, 니게로 올리고당 (니게로오스 등), 팔라티노오스 올리고당, 팔라티노오스 시럽, 프룩토 올리고당 (케스토오스, 니스토오스 등), 프룩토프라노실니스토오스, 폴리덱스트로오스, 말토실-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 올리고당 (말토트리오스, 테트라오스, 펜타오스, 헥사오스, 헵타오스 등), 라피노오스, 설탕 결합 물엿 (커플링 슈가), 대두 올리고당, 전화당, 물엿 등의 올리고당류 ; 이소말티톨,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글리세롤, 소르비톨, 팔라티니트, 말티톨, 말토테트라이톨, 말토트리이톨, 만니톨, 락티톨, 환원 이소말토 올리고당, 환원 자일로 올리고당, 환원 겐티오 올리고당,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등의 당알코올 ; α-글루코실트랜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아, 아스파탐, 아세술팜칼륨, 알리탐, 감초 추출물 (글리시리진), 글리시리진산3암모늄, 글리시리진산3칼륨, 글리시리진산3나트륨, 글리시리진산2암모늄, 글리시리진산2칼륨, 글리시리진산2나트륨, 커큘린,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사이클라메이트, 수크랄로오스, 스테비아 추출물, 스테비아 분말, 둘신, 타우마틴 (소마틴), 텐료차 추출물, 나이지리아베리 추출물, 네오탐, 네오헤스페리딘디하이드로칼콘, 프룩토실트랜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아, 브라질 감초 추출물, 미라클 푸르트 추출물, 라칸카 추출물, 효소 처리 감초, 효소 분해 감초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향료의 예로는, 오렌지유, 레몬유, 그레이프프루트유, 라임유, 탄제린유, 만다린유 등의 감귤 정유류, 페퍼민트유, 스페어민트유 등의 민트 정유류, 올스파이스, 아니스시드, 바질, 로럴, 카르다몬, 샐러리, 클로브, 시나몬, 쿠민, 딜, 갈릭, 파슬리, 메이스, 머스타드, 어니언, 파프리카, 파슬리, 로즈마리, 페퍼와 같은 공지된 스파이스 정유류 또는 올레오레진류, 리모넨, 리날로올, 네롤, 시트로네롤, 게라니올, 시트랄, L-멘톨, 오이게놀, 신나믹알데하이드, 아네톨, 페릴라알데하이드, 바닐린, γ-운데카락톤, 카프로산알릴, L-카르본, 말톨 등과 같은 공지된 단리, 또는 합성 향료, 및, 이것들 감귤 정유류, 민트 정유류, 스파이스 정유류, 합성 향료를 목적에 따른 비율로 혼합한 시트러스 믹스, 믹스 민트, 각종 프루트 등을 표현시킨 조합 향료를 들 수 있다. 고결 방지제의 예로는, 미립 산화규소, 인산3칼슘, 규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의 예로서, 표 1 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성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제법은 이하와 같다. 먼저 기재와 구아검, 슈가 에스테르의 일부, 향료의 일부를 혼합하고, 평균 입자경이 70 ㎛ ∼ 500 ㎛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조립 (造粒) 시키고, 조립시킨 것에 그 밖의 원료인 말산이나 중조, 나머지의 슈가 에스테르 등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압축 타정함으로써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기재만을 처음에 평균 입자경이 70 ㎛ ∼ 500 ㎛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조립시키고, 조립시킨 기재에 그 밖의 원료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압축 타정함으로써 성형하여 제조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발포성 태블릿의 중량은 1.55 g 이고, 형상은 편평 원주상이다.
표 1 중, 각 원료의 비율은 완성 후의 중량% 로 나타내고 있다. 유화제에는, 미츠비시 화학 푸즈 주식회사에서 시판되는 슈가 에스테르인 S-170, S-370, S-770 및 S-1670 의 1 또는 2 종류 이상을 여러 가지 비율로 첨가하였다. 이것들 슈가 에스테르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기재에는 말티톨 또는 소르비톨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1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2
실시예 2
슈가 에스테르의 종류가 상이한 발포성 태블릿의 구강 내 세정 효과의 비교
시료
실시예 1 의 방법으로, 이하 4 종류의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단 기재로는, 모두 소르비톨을 사용하였다.
발포성 태블릿 S-170 10.0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10.0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5.0 %, S-770 5.0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1670 10.0 % 배합품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
(태블릿 무섭식 조건)
야마자키 나비스코사 제조의 크림을 끼운 쿠키인 오레오 (등록상표) 1 장을 평소와 같이 씹어 삼킨 후, 물 20 ㎖ 를 입에 머금고, 180 회/분의 페이스로 입을 움직여, 10 초간 세구 (洗口) 를 실시하였다. 10 초간 경과 후, 세구액을 전체량 회수하였다. 세구액에 대하여 8000 × g, 10 분간의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상청을 제외한 침전물을 감압 건조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하, 건조 중량 A).
(태블릿 섭식 조건)
오레오 1 장을 평소와 같이 씹어 삼킨 후, 발포성 태블릿 1 장을 잘 씹어 부수어, 5 초 동안 입을 움직이지 않고 유지한 후에 삼켰다. 그 때, 삼키는 횟수는 1 회로 하였다. 직후, 물 20 ㎖ 를 입에 머금고, 180 회/분의 페이스로 입을 움직여, 10 초간 세구를 실시하였다. 10 초간 경과 후, 세구액을 전체량 회수하였다. 세구액에 대하여 8000 × g, 10 분 동안의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상청을 제외한 침전물을 감압 건조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하, 건조 중량 B).
이상의 실험 결과 등으로부터, 음식 찌꺼기 제거량을 이하와 같이 구하였다.
음식 찌꺼기 제거량 (㎎) = (건조 중량 A) - (건조 중량 B)
또, 음식 찌꺼기 제거율은, 이하와 같이 구하였다.
음식 찌꺼기 제거율 (% ) = (각 조건의 음식 찌꺼기 제거량)/(건조 중량 A) × 100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슈가 에스테르가 구강 내의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목적으로, HLB 값이 상이한 슈가 에스테르를 합계 10.0 % 배합한 발포성 태블릿을 준비하고,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발포성 태블릿 섭식시의 음식 찌꺼기 건조 중량을 도 1 에, 음식 찌꺼기 제거량을 도 2 에, 음식 찌꺼기 제거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결과, 슈가 에스테르를 조합한 S-370·5.0 %, S-770·5.0 % 배합품이 가장 높은 제거량을 나타내고, 이하, S-1670·10 % 배합품, S-370·10 % 배합품, S-170·10 % 배합품의 순서로 제거량이 감소하였다. 이 중, S-170·10 % 배합품을 제외한 3 종에서는 80 % 를 초과하는 음식 찌꺼기 제거율이 확인되었다.
HLB 값이 가장 낮은 S-170 배합품의 제거량이 낮았던 요인으로는, 발포성이 약하고, 기포가 입 전체에 퍼지지 않는 것, 물성이 무르기 때문에 구강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짧은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이 경향은, HLB 값이 3 이상인 슈가 에스테르 (S-370) 에서 개선되고, S-1670 배합품에 대해서도, S-170 배합품과 비교하여 많은 음식 찌꺼기 제거량이 확인되었다. 또, 가장 제거량이 많았던 S-370·S-770 배합품과 비교하여, S-370 배합품은 발포성은 강하지만, 기포의 질이 거칠기 때문에, 각각의 기포의 소포가 빠르고, S-1670 배합품은 기포의 질이 과도하게 크리미하여, 각각의 기포의 지속 시간은 길지만, 기포의 퍼짐은 약간 약한 인상이었다 (실시예 6, 표 8 참조). 따라서, 음식 찌꺼기 제거에 있어서, 기포의 질로는, 적당한 소포감·확대·지속 시간을 가진 성질이 요구되어, S-370·S-770 배합품은 양 슈가 에스테르의 장점을 살린 배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3
실시예 3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이 상이한 발포성 태블릿의 구강 내 세정 효과
시료
실시예 1 의 방법으로, 이하 6 종류의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단 기재로는, 모두 소르비톨을 사용하였다.
발포성 태블릿 슈가 에스테르 미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0.5 %, S-770 0.5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2.5 %, S-770 2.5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5.0 %, S-770 5.0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10.0 %, S-770 10.0 % 배합품
발포성 태블릿 S-370 12.5 %, S-770 12.5 % 배합품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
실시예 2 의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 의 결과에 있어서, 가장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가 높았던 S-370, S-770 의 조합에 대하여, 각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을 0 % ∼ 12.5 % 의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나누어 태블릿에 배합하고,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각 발포성 태블릿 섭식시의 음식 찌꺼기 건조 중량을 도 3 에, 음식 찌꺼기 제거량을 도 4 에, 음식 찌꺼기 제거율을 표 4 에 나타낸다. 결과에 의하면, 5.0 % 씩 슈가 에스테르를 배합한 발포성 태블릿이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고, 슈가 에스테르 미배합품이 가장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에 대하여, 5.0 % 를 사이에 두는, 2.5 % 배합품과 10.0 % 배합품은 5.0 % 배합품과 비교하여 약간 제거율은 낮아지지만, 이들을 사이에 두는 0.5 % 배합품, 12.5 % 배합품과 비교하여 높은 제거율을 유지하였다. 각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이 2.5 %, 5.0 %, 10.0 %인 배합품에서는, 80 % 를 초과하는 값이 확인되었다.
슈가 에스테르 미배합품의 제거율이 낮았던 요인으로는, 중조에 의한 발포는 발생되기는 하지만, 기포의 퍼짐, 기포의 지속 시간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6, 표 8 참조). 또, 각 슈가 에스테르 0.5 % 배합품에 대해서도,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이 충분하지 않고, 동일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각 슈가 에스테르 12.5 % 배합품에 대해서는, 각 슈가 에스테르 5.0 % 배합품과 비교하여, 물성이 꽤 무르고, 태블릿이 입에 체류하는 시간이 짧게 느껴졌다. 또, 기포의 특징에 대해서도 5.0 % 배합품과 비교하여, 퍼지는 속도가 느리고, 지속 시간이 약간 떨어지기 때문에 제거율이 낮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4
실시예 4
기재가 상이한 발포성 태블릿의 구강 내 세정 효과
시료
실시예 1 의 방법으로, 이하 3 종류의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발포성 태블릿 S-370 10.0 % 배합품 (기재로서 포도당을 사용하였다)
발포성 태블릿 S-370 10.0 % 배합품 (기재로서 소르비톨을 사용하였다)
발포성 태블릿 S-370 10.0 % 배합품 (기재로서 말티톨을 사용하였다)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
실시예 2 의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결과
실시예 2, 3 에서는, 기재로서 소르비톨을 사용한 발포성 태블릿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슈가 에스테르 S-370 을 10.0 % 배합한 발포성 태블릿을 대상으로, 기재의 종류를 바꾸어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각 발포성 태블릿 섭식시의 음식 찌꺼기 건조 중량을 도 5, 도 6 에, 음식 찌꺼기 제거량을 도 7 에, 음식 찌꺼기 제거율을 표 5 에 나타낸다. 결과로부터, 음식 찌꺼기 제거율에 대해서는, 소르비톨 기재가 가장 높은 81.5 % 를 나타내고, 이어서, 말티톨 기재가 80.1 %, 포도당 기재가 75.0 % 를 나타내었다.
음식 찌꺼기 제거율에 대하여, 이번에 사용한 태블릿 3 종의 차는 최대 6.5 % (소르비톨 기재와 포도당 기재의 차)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에서는, 최대의 제거율의 차는 순서대로 14.7 %, 15.2 % 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식 찌꺼기의 제거율의 차는 지금까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슈가 에스테르를 배합한 발포성 태블릿에 대하여, 기재가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단, 관능 평가의 결과를 포함하면, 포도당 기재의 발포성 태블릿은 식감이 무르기 때문에 (실시예 6, 표 8 참조), 물성면을 고려하면 소르비톨, 말티톨이 보다 태블릿에 적합한 기재라고 생각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5
실시예 5
발포성 태블릿의 구강 내 세정 효과
시료
실시예 1 의 방법으로, 이하의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S-370 5.0 %, S-770 5.0 % 배합품 (기재로서 말티톨을 사용하였다).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 확인 시험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결과
실시예 1 에 따라 제작한 발포성 태블릿을 사용하여,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음식 찌꺼기의 건조 중량을 도 8, 음식 찌꺼기 제거량을 도 9, 음식 찌꺼기 제거율을 표 6 에 나타낸다. 결과, 음식 찌꺼기 제거율에 대해서는 80.4 % 의 값이 확인되었다. 동일한 말티톨 기재의 표 5 의 S-370·10.0 % 배합품의 음식 찌꺼기 제거율이 80.1 % 였던 점에서, 차는 작지만, 표 3 의 소르비톨 기재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말티톨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S-370·10.0 % 배합품과 비교하여, S-370·5.0 %, S-770·5.0 % 배합품 쪽이 제거 효과가 높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 S-370·5.0 %, S-770·5.0 % 배합품에 주목하면, 표 3 의 소르비톨 기재를 사용한 경우의 제거율 87.1 % 는, 표 6 의 말티톨 기재를 사용한 경우의 제거율 80.4 % 보다 높고, 표 5 와 동일하게, 슈가 에스테르의 종류가 상이해도, 소르비톨 기재를 사용한 경우 쪽이 말티톨 기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높은 제거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6
실시예 6
발포성 태블릿의 관능 평가 시험
전문 패널 4 명이 지금까지의 실시예에 사용된 발포성 태블릿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시험에서는, 「기포의 질」 「기포의 퍼짐」 「기포의 지속감」 「식감」의 4 항목에 대하여, 각 태블릿을 씹어 먹고, 1 ∼ 10 의 10 단계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4 항목에 대하여, 점수의 지표는 표 7 과 같다. 관능 평가의 결과는 표 8 과 같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7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8
실시예 7
표 9 의 배합을 갖는 발포성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마무리 양은, 조립 공정에 있어서 원료를 혼합하여 건조시킨 결과 100.0 중량% 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발포성 태블릿에 있어서도, 입 속에서 유지시켰을 때, 현저한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가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09
실시예 8
표 10 의 배합을 갖는 발포성 태블릿을 제작하였다. 마무리 양은, 조립 공정에 있어서 원료를 혼합하여 건조시킨 결과 100.0 중량% 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10 의 발포성 태블릿에 있어서도, 입 속에서 유지시켰을 때, 현저한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가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104942325-pct00010
실시예의 요약
슈가 에스테르를 1 종 사용하는 경우, HLB 값 3 이상의 슈가 에스테르를 배합함으로써, 구강 내 식물 잔류물의 현저한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슈가 에스테르를 적어도 2 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 HLB 값 3 이하의 슈가 에스테르 1 종 이상과, HLB 값 7 이상의 슈가 에스테르 1 종 이상을 조합하여 배합하면, HLB 값 3 이상의 슈가 에스테르 1 종을 배합한 조건과 비교하여, 높은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가 얻어진다.
슈가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발포성 태블릿 총량 중 5 % ∼ 20 % 의 범위에서, 슈가 에스테르 미배합품보다 높은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10 % 배합품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슈가 에스테르를 배합한 발포성 태블릿의, 구강 내 식물 잔류물에 대한 제거 효과는, 기재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어느 기재에 대해서도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음식 찌꺼기 제거 효과와 물성면을 고려하면, 기재로서 소르비톨 또는 말티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출원은 2013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073533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중조, 산, 슈가 에스테르, 및 기재를 함유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로서,
    그 슈가 에스테르는, 자당과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서, HLB 가 3 이상인 것을 적어도 1 종 함유하고,
    그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중의 그 슈가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5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가 에스테르로서, HLB 가 5 미만인 것을 1 종 이상, HLB 가 5 이상인 것을 1 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가 에스테르로서, HLB 가 3 이하인 것을 1 종 이상, HLB 가 7 이상인 것을 1 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가 에스테르로서, HLB 값이 3 인 것과, HLB 값이 7 인 것을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말티톨 또는 소르비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에 의해 구강 내를 세정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7031134A 2013-03-29 2014-03-20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KR102191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3533 2013-03-29
JP2013073533A JP6266891B2 (ja) 2013-03-29 2013-03-29 口腔内洗浄用組成物
PCT/JP2014/001629 WO2014156096A1 (ja) 2013-03-29 2014-03-20 口腔内洗浄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312A KR20150138312A (ko) 2015-12-09
KR102191355B1 true KR102191355B1 (ko) 2020-12-15

Family

ID=5162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134A KR102191355B1 (ko) 2013-03-29 2014-03-20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266891B2 (ko)
KR (1) KR102191355B1 (ko)
CN (1) CN105120829B (ko)
HK (1) HK1216990A1 (ko)
TW (1) TWI610688B (ko)
WO (1) WO2014156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6535A (zh) * 2015-01-06 2015-04-29 韩俊峰 一种能使牙膏及其洗涤剂清洗剂的功效更强的活性分解酶
RU2736072C1 (ru) * 2016-11-18 2020-11-11 Фертин Фарма А/С Таблетка, содержащая отдельное связывающее вещество и эритрит
US11351103B2 (en) 2016-11-18 2022-06-0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providing oral care benefi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611B2 (ko) * 1972-05-13 1978-05-18
JPH08157356A (ja) * 1994-12-06 1996-06-18 Kao Corp 口腔用錠剤
JPH097421A (ja) * 1995-06-16 1997-01-10 Nippon Kayaku Co Ltd 導体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3706204B2 (ja) * 1996-08-09 2005-10-12 花王株式会社 口腔用固形製剤
JPH11152217A (ja) * 1997-11-19 1999-06-08 Kao Corp 口腔用組成物
WO1999027901A1 (fr) * 1997-12-03 1999-06-10 Kao Corporation Preparation solide pour l'hygiene buccale
JP3818789B2 (ja) * 1999-02-18 2006-09-06 三菱化学フーズ株式会社 易崩壊性錠剤
JP2002308747A (ja) * 2001-04-10 2002-10-23 Lion Corp 発泡性口腔用固体組成物
JP2003113060A (ja) * 2001-10-02 2003-04-18 Lion Corp 発泡成分含有糖衣物
JP4965130B2 (ja) * 2006-01-26 2012-07-04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乾式直打速崩壊性錠剤
JP5089100B2 (ja) 2006-07-27 2012-12-05 株式会社ロッテ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並びに飲食品
CN101496591A (zh) * 2008-01-29 2009-08-05 北京康必得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生姜成分的泡腾片
JP2011160734A (ja) 2010-02-10 2011-08-25 Lotte Co Ltd 舌苔除去作用効果を有する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96278A (ja) 2014-10-16
WO2014156096A1 (ja) 2014-10-02
HK1216990A1 (zh) 2016-12-16
TWI610688B (zh) 2018-01-11
TW201532618A (zh) 2015-09-01
CN105120829A (zh) 2015-12-02
KR20150138312A (ko) 2015-12-09
CN105120829B (zh) 2018-05-08
JP6266891B2 (ja)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2816T3 (es) Procedimiento para el refuerzo del poder edulcorante y para el mejoramiento del sabor de una mezcla de materiales edulcorantes muy intensos.
JP4731542B2 (ja) セロオリゴ糖含有キャンディー
JP2006238826A (ja) ステビア由来甘味物質を含有する甘味料
WO2016157868A1 (ja) 甘味料組成物
KR102191355B1 (ko) 구강 내 세정용 조성물
WO2014148044A1 (ja) 知覚過敏緩和用口腔組成物
JP5000874B2 (ja) スクラーゼ活性又はグルコアミラーゼ活性を阻害する剤
JP2006306831A5 (ko)
KR102366454B1 (ko)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JP5716938B1 (ja) 経口組成物及び呈味改善組成物
JP6117079B2 (ja) チュアブル錠用組成物及びチュアブル錠
JP2017093428A (ja) 酸味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清涼飲料水、pH調整剤、酸味のマスキング方法
JP5507253B2 (ja) 「ナキ」の抑制されたラクトスクロース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とその製造方法
ES2526898T3 (es) Composiciones de edulcorante que contienen sucralosa
JP2018033453A (ja) 結着剤、結着成形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10244A1 (ja) 香味持続性を向上させた食用組成物
KR20200118187A (ko) 콜라겐 펩티드를 포함하는 액상 경구용 조성물 및 액상 경구용 조성물의 산미를 완화하는 방법
JP6133037B2 (ja) ポーラス状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57637A1 (ja) 空腹感を緩和する組成物
JP6904472B1 (ja) 固形物
JP2014082967A (ja) 易崩壊性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46779B (zh) 軟糖及其製造方法
JP2023030940A (ja) ビタミンc高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93800A (ja) 甘味料組成物
JP2022174474A (ja) 固形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