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617B1 - 통기구 - Google Patents

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617B1
KR102127617B1 KR1020187003090A KR20187003090A KR102127617B1 KR 102127617 B1 KR102127617 B1 KR 102127617B1 KR 1020187003090 A KR1020187003090 A KR 1020187003090A KR 20187003090 A KR20187003090 A KR 20187003090A KR 102127617 B1 KR102127617 B1 KR 10212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flow
vent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868A (ko
Inventor
올라프 울렌부쉬
토마스 그륀벡
마르쿠스 랑바인
베른트 휘텔
게르하르트 엔드레스
Original Assignee
독토르 슈나이더 쿤스트슈토프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토르 슈나이더 쿤스트슈토프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독토르 슈나이더 쿤스트슈토프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9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한 통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흐름 공급 개구, 및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공기 흐름은 특히 자동차의 승객실용 난방, 환기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 내의 공기 공급 덕트 또는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통기구에 공급될 수 있다. 통기구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적어도 두 부분들 중 하나의 부분을 통해 벽 관통구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벽 관통구 후방에 조립될 수 있고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통기구의 비작동 상태에서, 하우징의 적어도 2개의 부분 중 하나는 하우징의 다른 부분 내에 또는 위에 배치된다.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흐름은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고, 개구를 통해 흘러 배출된다. 통기구의 작동 중에,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분 내에 또는 위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이동되거나 밀려지거나 당겨지거나, 또는 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멀리 변위되거나, 이동되거나, 밀려진다.

Description

통기구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통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기구, 특히 자동차용 통기구는 잘 알려져 있다.
DE 10 2011 100 059 A1에는 자동차용 환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환기 장치는, 리셉터클이 형성되고 콘솔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통기구를 구비한 콘솔 면을 갖는 콘솔을 포함한다. 통기구는 통기구가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는 개방 위치로, 그리고 통기구가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공기 가이드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 가이드 요소는 개방 위치에서 변위 가능하고, 폐쇄 위치에서는 콘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와 협력하여 휴지 위치로 변위 가능하다.
DE 10 2010 000 802 A1에는 자동차의 난방 및 환기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통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통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공기 라인에 연결된 노즐 하우징, 및 상기 노즐 하우징에 장착되며 공기 슬롯을 구비한 노즐 인서트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하우징은 상기 노즐 인서트용 선회 축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노즐 인서트는 공기 배출 위치와 음료 보관 위치 사이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은, 통기구의 비사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평평한 표면이 생기고, 통기구로부터 방출되어야 하는 소정 공기량에 따라, 비사용 상태와는 다른 위치에서 통기구가 삽입된 표면으로부터 빠져나오며, 확산된 공기 흐름 및 유도된 공기 흐름을 생성할 수 있도록, 공지된 통기구가 계기판 내에서 또는 그 설치 위치에서 완전히 삽입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전술한 단점을 피하며 해결한 통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통기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 예는 종속 청구항들, 상세한 설명, 특히 구체적인 실시 예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갖는 통기구를 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흐름 공급 개구 및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공기 흐름은 특히 자동차 내의 승객실용 난방, 환기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공급 덕트 또는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통기구에 공급될 수 있다. 통기구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적어도 2개의 부분들 중 하나를 통해 벽 관통구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벽 관통구의 후방에 조립될 수 있고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통기구의 비작동 상태에서, 하우징의 적어도 2개의 부분 중 하나는 하우징의 다른 부분 내에 또는 위에 배치된다. 개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 흐름은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고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를 통해 배출된다. 통기구의 작동 중에, 하우징의 적어도 다른 부분 내에 또는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상기 다른 부분 밖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밀려질 수 있거나 또는 당겨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멀리 변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밀려질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하우징의 적어도 다른 부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하우징의 제 2 부분이고, 벽 관통구 내에 삽입 가능하거나 또는 벽 관통구의 후방에 조립 가능하고 거기에 고정 가능한,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하우징의 제 1 부분이다.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하우징의 제 2 부분 내에는 하우징의 상기 제 2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벽과 함께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관통구의 일 측면 상에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를 형성하고, 맞은편 측면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 영역은 하우징의 제 2 부분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배출하고 공기 흐름을 공기 흐름 배출 개구로 유도한다.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와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외벽 내의 관통구의 맞은편 측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스타디움의 형상을 갖는다.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영역은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벽과 관통구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갭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벽은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의 방향으로 갭을 넘어 돌출하고, 이로써 공기 흐름은 갭을 빠져나온 후에 유도되고 가속된다.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관통구의 벽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로부터 맞은편 측면까지 연장된다.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갭은 1 내지 4 밀리미터의 갭 폭을 갖고,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벽은 갭 돌출 영역에서 1/2 밀리미터 내지 3 밀리미터의 반경을 갖는다.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영역은 갭과 함께 전체 개구 영역에 배치된다.
청구항 제 8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나사 스핀들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 스핀들에 의해 하우징의 제 2 부분은 하우징의 제 2 부분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의 제 1 부분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나사 스핀들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는 관통 공동부가 존재하며, 상기 공동부 내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다.
청구항 제 9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나사 스핀들은 하우징의 제 1 부분 내에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나사 스핀들에는 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기어는 기어 롤러와 맞물린다.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파이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상기 파이프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관통하는 2개의 전기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제 2 부분에 배치된 조명 유닛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및/또는 파이프는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영역에서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내부 공간 내로 통하므로, 파이프를 통해 공기 흐름에 향료가 공급될 수 있고 및/또는 파이프 내에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에 의해 전기 유닛이 하우징의 제 2 부분 내에 또는 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기 모터는 기어 휠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제 2 부분은 나사 스핀들에 의해 전기 모터의 작동 중에 전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전기 모터와 기어 롤러 사이에 클러치가 배치된다.
이하, 통기구가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기초한 다음 설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로 본 발명의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통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통기구의 단면도.
도 4는 통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다른 통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다른 통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다른 통기구의 개략도.
도 8은 다른 통기구의 다른 개략도.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품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이러한 부분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서로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 1은 통기구(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통기구(1)는 하우징(4)을 포함한다. 하우징(4)은 제 1 부분(41)과 제 2 부분(42)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제 1 부분(41)으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다.
도 1에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나와, 통기구(1)의 작동 위치를 형성한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그 원주 및 치수 면에서 하우징(4)의 제 1 부분(41)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되므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 내로 거의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 예에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그 치수 면에서 하우징(4)의 제 1 부분(41)보다 약간 더 커서, 하우징(4)의 제 2 부분이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을 통해 이동 또는 변위될 수 있다.
하우징(4)은 공기 흐름 공급 개구(7)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 공급 개구(7)는 하우징(4)의 제 1 부분(41)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치는, 공기 흐름 공급 개구(7)를 통해 공급된 공기 흐름이 하우징(4) 내로 직접 도달하지 않고, 약간 측면으로, 하우징(4)의 내벽을 따라 미끄러져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의 실시 예에 따라, 공기 공급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측면으로 플랜지 연결된 파이프 또는 파이프 소켓의 형태로 실현된다.
하우징(4)은 도 1의 실시 예에서 바닥부(2)를 갖는 원통형 기본 형상을 갖기 때문에, 공기 흐름이 공기 흐름 공급 개구(7)를 통해 하우징(4) 내로 유입될 때, 공기 와류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와류는 하우징(4)을 통과하며, 나선형으로 감겨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로 연장된다.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는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의 상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 웨브(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장자리 웨브는 자동차의 계기판 내에 또는 상에 하우징(4)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서, 아래쪽에, 즉 바닥부(2)에 전기 모터(3)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 모터(3)는 기어 롤러(14)를 구동시킨다. 상기 기어 롤러는 도 1에 나타나지 않는 기어(13)를 통해 작용 연결되고, 상기 기어(13)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 스핀들(threaded spindle; 10)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4)의 중심에 직선의, 기립 파이프(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파이프(11)를 통해, 나사 스핀들(10)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통기구(1)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는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이 하우징(4)의 제 1 부분(41) 내로 거의 완전히 삽입되거나 밀려진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상부 면은 상기 가장자리 웨브(15)를 넘어 약간 돌출하는 것이 나타난다.
기어(13)와 작용 연결된 나사 스핀들(10)이 도시되어 있다. 기어(13)는 하부에서 나사 스핀들(10)에 고정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나사 스핀들 (10)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기어(13)는 나사 스핀들(10) 상에 성형된다.
중심을 통과하는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나사 스핀들(10)의 내부에는, 공동부가 존재하고, 상기 공동부 내에는 도 2에 따른 위치에서 파이프(11)가 놓인다. 나사 스핀들(10)은 기어(13)를 통해 기어 롤러(1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나사 스핀들(10)은 외부 면에 나사 스핀들을 나선의 형태로 감싸는 홈(16)을 포함한다. 나사 스핀들(10)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웨브(19)를 통해 하우징(4) 내에 지지된다. 상기 웨브(19)는 베어링(12)을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내에서 나사 스핀들(10)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베어링(12)은 볼 베어링으로서 설계된다.
베어링(12)은 이 경우 나사 스핀들(10)이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나사 스핀들(10)이 홈(16)을 통해 베어링(12) 내에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여짐으로써,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대해 이동 또는 변위된다.
전기 모터(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전기 모터는 기어 롤러(14)를 구동시킨다. 기어 롤러는 회전 운동을 기어(13)를 통해 나사 스핀들(10)로 전달하고, 나사 스핀들(10)은 상부로 또는 하부로 움직이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대해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킨다.
도 3에는 통기구(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밀려나와 있다. 기어(13)를 갖는 나사 스핀들(10)은 이 위치에서 기어 롤러(14)의 상단에 도달한다. 따라서,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이 최대로 밀려나온 위치가 달성된다.
나사 스핀들(10) 내의 공동부에는 파이프(11)가 배치된다. 파이프(11)는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의 전체 길이를 관통하여 하우징(4)의 하부 면을 지나 연장된다. 나사 스핀들(10)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웨브(19), 및 베어링 (12)을 통해 지지된다.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나사 스핀들(10)을 회전시키면, 나사 스핀들(10)의 외부 면 내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나선 형태로 형성된 홈(16)에 의해 나사 스핀들(10)이 베어링(12)을 통해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조여지거나 이동되고, 그에 따라 바닥부 측에서 나사 스핀들(10)의 상단에 연결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상기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밀려나오거나 또는 상기 제 1 부분 내로 당겨진다.
파이프(11)는 상단에,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내부 공간 내로 통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파이프(11)의 상기 개구를 통해 향료 또는 향료들이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내부 공간 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4) 내부의 공기 흐름은 와류를 발생시키므로, 향료가 공기 흐름에 의해 흡수되고, 통기구(1)를 빠져 나올 때 주변으로 방출된다.
하우징(4)의 제 1 부분(41)과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사이에 펠트 층(17)이 제공된다. 상기 펠트 층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빼낼 때 경우에 따라 생기는 연삭 잡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하우징(4)의 제 1 부분에 대해 회전시킬 때 연삭 잡음이 줄어들거나 방지되거나 댐핑된다. 동시에, 펠트 층(17)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과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사이의 밀봉을 수행한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대해 통기구(1)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및 배치되고,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빠져나올 수 있거나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가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따라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로부터 나온 공기 흐름은 각각의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 흐름의 방향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안내 요소들이 제공된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내에는 광 가이드(18)가 도입된다. 광 가이드(18)는 광을 방출하는 조명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LED이다. 광 가이드(18)는 조명 유닛에 의해 방출된 광을 통기구(1)를 따라 안내하고 분배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통기구(1)가 조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통기구(1)로부터 나온 공기가 자동차 내부 공간의 공기보다 차가우면, 청색 광으로 광 가이드(18)를 통해 통기구를 조명하는 것이 제공된다. 통기구(1)로부터 나온 공기가 자동차 내부 공간의 공기보다 따뜻하면, 조명은 적색 광으로 이루어지고, 통기구(1)로부터 나온 공기가 자동차 내부 공간의 공기와 대략 동일한 온도를 가지면 조명은 백색광으로 이루어지며, 통기구(1)로부터 나온 공기가 자동차의 내부 공간 내로 유입 전에 필터에 의해 또는 오존의 사용에 의해 정화 프로세스를 통과했다면 조명은 녹색 광으로 이루어진다.
조명 유닛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파이프(11)에 설치된 케이블을 통해 또는 직접 파이프 (11) 자체를 통해 수행된다. 파이프(11) 자체를 통한 공급인 경우, 파이프(11)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류가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파이프(11)는 길이방향 축에서 파이프를 관통하는 2개의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된 전기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므로, 파이프(11)가 전류를 공급 및 방출하기 위한 도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설치가 생략될 수 있다.
기어(13)는 나사 스핀들(10)의 하부 면에 고정 배치된다. 기어 롤러(14)는 나사 스핀들(10)의 회전축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지만, 기어(13)는 기어 롤러(14)와 작용 연결된다. 기어 롤러(14)는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의 상부 및 하부에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기 모터와 기계적으로 작용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전기 모터(3)와 기어 롤러(14) 사이에는 마찰 클러치가 배치된다.
도 4는 통기구(1)의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베어링(12)을 형성하며 나사 스핀들(10)을 지지하는 웨브(19)는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의 내부 면에 연결된다. 나사 스핀들(10)을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나사 스핀들(10)은 지지부(19) 상의 장치와 결합하는 홈(16)에 의해, 회전 방향에 따라 하향 또는 상향 이동된다. 나사 스핀들(10)의 상단은 하우징(1)의 제 2 부분(42)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 2 부분은 나사 스핀들(10) 및 그 수직 운동과 결합된다. 그러나, 나사 스핀들(10)은,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이 스핀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의 제 2 부분(42)과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1)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통기구(1)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 예에서, 하우징(4)의 제 1 부분(41) 및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하우징 형상은 더 이상 기하학적으로 동일하지 않고 상이하다. 그러나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거나 상기 제 1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나사 스핀들(10)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11)는 여전히 존재한다. 파이프(11)는 웨브(19)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전기 모터(31)가 존재하고, 상기 전기 모터(31)는 기어(311)를 통해,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상에 배치된 리세스(312)와 맞물리며, 전기 모터(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밀어내거나 또는 상기 제 1 부분 내로 밀어 넣는다.
또한, 제 2 전기 모터(32)가 존재하고, 상기 전기 모터(32)는 기어(321)를 통해,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내부 면 내에 고정 배치된 기어 림(322)과 맞물리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대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전기 모터(32)는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과 함께 제 1 전기 모터(31)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된다.
또한, 기어(331)와 작용 연결되는 제 3 전기 모터(33)가 존재한다. 상기 기어(331)는 공기 흐름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층판들(333, 334)에 작용한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층판들(333)이 있고,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 내로 도입되어 거기에 있는 수직으로 배치된 층판(334)이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에 따라,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가 상부에 제공되며 추가로 수직으로 배치된 층판들(334)이 제공되고, 상기 층판들(334)은 전기 모터(33)를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 내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으로도 공기가 배출될 수 있고, 상기 공기의 방향은 층판(334)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7에는,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으로부터 밀려나온 하우징(4)의 제 1 부분(42)을 구비한 통기구(1)의 하우징(4)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는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완전히 통과하는 관통 개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통기구(1)가 갭 통기구로서 설계된다.
도 8에는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수평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에 마주 놓인 측면 상에는 갭(91)을 형성하는 개구(9)가 제공된다. 개구(9)는 전체 개구를 거의 둘러싼다.
갭(91)은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을 완전히 통과하는 관통구(5)의 벽(6)에 의해 형성된다.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에 마주 놓인 관통구(5)의 측면 상에 배출 영역(9)이 배치되고, 상기 배출 영역(9)은 갭(91)을 형성한다. 통기구(1)에 공급된 공기는 상기 배출 영역(9)을 통해 배출되고 공기 흐름 배출 개구(8)의 방향으로 유도된다. 이를 위해, 관통구(5)의 벽(6)과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 사이에 형성되는 갭(91)이 제공되고, 갭(91)의 영역에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이 관통구(5)의 벽(6)을 통해 내부로 돌출한다.
관통구(5)는 원형, 타원형 또는 소위 스타디움 형상을 갖는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 영역(9)은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 및 관통구(5)의 벽(6)에 의해 형성되는 갭(91)을 형성하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은 공급되는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의 방향으로 갭(91)을 넘어 돌출하므로, 공기 흐름은 갭(91)을 빠져나온 후에 개구(8)의 방향으로 유도된다.
갭(91) 및 그 형상에 의해 공급 흐름이 가속된다.
관통구(5)의 벽(6)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로부터 마주 놓인 측면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이 형상은 포물면으로서 구현된다.
갭(91)은 1 내지 4 밀리미터 사이의 갭 폭을 갖는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은 갭(91) 돌출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1/2 밀리미터 내지 3 밀리미터의 반경을 갖는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상부 영역에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벽을 둘러싸는 광 가이드(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광 가이드는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를 둘러싼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전기 모터 대신에, 나사 스핀들을 구동하는 크랭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전기 모터들(3, 31, 32, 33)은 조작 유닛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은 스핀들 드라이브를 통해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공기 흐름 배출 개구(8) 및 그에 따라 공기 유동이 가변적이다.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회전에 의해, 공기 배출 방향은 여러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공기 배출 방향은 예를 들면 내부 공간 내로 유도되거나, 또는 윈드실드로 또는 측면 창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및/또는 층판(333, 334)이 사전 설정 가능한 상이한 위치들을 차지함으로써 자동차의 내부 공간에서 최적의 공기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 모터(3, 31, 32, 33)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공기 흐름이 거의 완전히 윈드실드로 유도되는 디프로스트(defrost) 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위한 특별한 공기 조화 기능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배향이 계속 바뀌므로, 차량 내부 공간 전체가 환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전기 모터(3) 및 나사 스핀들(10)은 하우징(4)의 외부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하우징(4) 내부의 공기 흐름은 관련 구성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1)가 운전자 측 및 조수석 측에서 자동차의 계기판 내에 배치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통기구(1)의 하우징(4)의 제 2 부분(42)의 배향은, 통기구들이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만 공기 배출 개구의 배향이 항상 반대 방향이므로 개별적인 공기 흐름이 직접 중첩 및/또는 소멸되지 않도록 하여 자동차에는 항상 공기 흐름이 존재하도록,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1 통기구
2 바닥부
3 전기 모터
31 전기 모터
32 전기 모터
33 전기 모터
311 기어
321 기어
332 기어
312 리세스
322 기어 림
333 층판
334 층판
4 하우징
41 (하우징의) 제 1 부분
42 (하우징의) 제 2 부분
421 (하우징의) 제 2 부분의 벽
5 관통구
6 (관통구의) 벽
7 공기 흐름 공급 개구
8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
9 배출 영역
91 갭
10 나사 스핀들
11 파이프
12 베어링
13 기어
14 기어 롤러
15 가장자리 웨브
16 홈
17 펠트 층
18 광 가이드
19 웨브

Claims (14)

  1. 적어도 2개의 부분(41, 42)으로 이루어진 하우징(4)을 구비한 통기구(1)로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흐름 공급 개구(7), 및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은 자동차의 난방, 환기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 내의 공기 공급 덕트 또는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통기구(1)에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통기구(1)는 상기 하우징(4)에 의해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41, 42)들 중 하나의 부분을 통해 벽 관통구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벽 관통구 후방에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벽 관통구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통기구(1)의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42)은 상기 하우징(4)의 다른 부분(41) 내에 또는 상기 하우징(4)의 다른 부분(41) 위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흐름 공급 개구(7)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흐름은 상기 하우징(4) 내에서 안내되고, 공기 흐름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출 개구(8)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통기구(1)의 작동 중에, 상기 하우징(4)의 적어도 다른 부분(41) 내에 또는 상기 하우징(4)의 적어도 다른 부분(41) 위에 배치된 상기 하우징(4)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42)은 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거나 밀려질 수 있거나 당겨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될 수 있거나,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거나, 멀어지게 밀려질 수 있고,
    상기 하우징(4)의 제 2 부분(42) 내에,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을 통과하고 벽(6)을 가지는 관통구(5)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관통구(5)의 일 측면 상에서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를 형성하고 맞은편 측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영역(9)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영역(9)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으로부터 공기 흐름을 배출하며 상기 공기 흐름을 공기 흐름의 배출을 위한 상기 배출 개구(8)로 유도하고,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 및 상기 관통구(5)의 맞은편 측면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외벽에서 원형, 타원형 또는 스타디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적어도 다른 부분(41)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42)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이고, 벽 관통구 내에 삽입 가능한 또는 벽 관통구 후방에 조립 가능하며 상기 벽 관통구에 고정 가능한, 상기 하우징(4)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41)은 상기 하우징(4)의 제 1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영역(9)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벽 및 상기 관통구(5)의 벽(6)에 의해 형성된 갭(9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벽은 상기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의 방향으로 상기 갭(91)을 넘어 돌출함으로써, 상기 공기 흐름은 상기 갭(91)을 빠져나온 후에 유도되며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5)의 상기 벽(6)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로부터 상기 맞은편 측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갭(91)은 1 내지 4 밀리미터의 갭 폭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벽은 상기 갭(91)을 넘어 돌출되는 영역에서 1/2 밀리미터 내지 3 밀리미터의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갭(91)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영역(9)은 전체 개구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 내에 나사 스핀들(10)이 배치되고, 상기 나사 스핀들(10)에 의해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이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1 부분(41)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1 부분(41)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나사 스핀들(10)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내에 관통 공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공동부 내에 파이프(11)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스핀들(10)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1 부분(41) 내에 베어링(12)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나사 스핀들(10) 상에 기어(13)가 배치되며, 상기 기어(13)는 기어 롤러(14)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1)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11)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기 파이프(11)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는 2개의 전기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11)를 통해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 내에 배치된 조명 유닛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11)는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영역에서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는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내부 공간 내로 통하므로, 상기 파이프(11)를 통해 공기 흐름에 향료가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11) 내에 케이블이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에 의해 전기 유닛이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 내에 또는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 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3)가 상기 기어 롤러(14)에 연결될 수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은 상기 나사 스핀들(10)에 의해 상기 전기 모터(3)의 작동 중에 상기 전기 모터(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전기 모터(3)와 상기 기어 롤러(14) 사이에 클러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회전 운동은 상기 전기 모터(3)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1 부분(41)과의 접촉 영역에 펠트 층(17)을 포함하거나, 상기 펠트 층(17)은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13.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은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4)의 상기 제 2 부분(42)의 벽을 둘러싸는 광 가이드(18)에 의해 둘러싸이고, 및/또는 상기 광 가이드(18)는 공기 흐름의 배출 개구(8)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14.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 공급 개구(7)는 상기 하우징(4)의 제 1 부분(41)에 측면으로 플랜지 연결된 파이프 또는 파이프 스터브(stu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KR1020187003090A 2016-03-21 2017-03-20 통기구 KR102127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5160 2016-03-21
DE102016105158.6 2016-03-21
DE102016105160.8 2016-03-21
DE102016105158 2016-03-21
DE102016119547.2A DE102016119547A1 (de) 2016-03-21 2016-10-13 Luftausströmer
DE102016119547.2 2016-10-13
PCT/EP2017/056514 WO2017162562A1 (de) 2016-03-21 2017-03-20 Luftausströ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868A KR20180093868A (ko) 2018-08-22
KR102127617B1 true KR102127617B1 (ko) 2020-06-30

Family

ID=5975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090A KR102127617B1 (ko) 2016-03-21 2017-03-20 통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82899B2 (ko)
EP (1) EP3433118A1 (ko)
JP (1) JP6646141B2 (ko)
KR (1) KR102127617B1 (ko)
CN (1) CN107921845B (ko)
DE (1) DE102016119547A1 (ko)
WO (1) WO2017162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2080A1 (de) 2018-02-12 2019-08-1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düse mit Luftleitelement
DE102018203076A1 (de) * 2018-03-01 2019-09-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üftungs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DE102018217353B4 (de) * 2018-10-10 2022-02-17 Audi Ag Ausström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KR102602952B1 (ko) * 2018-11-20 202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벤트 유닛
CN109515120B (zh) * 2018-12-21 2023-09-15 华晨鑫源重庆汽车有限公司 可发光汽车空调出风口结构
DE102020213691A1 (de) 2020-10-30 2022-05-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090A (ja) * 2002-12-24 2004-07-22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の吹き出し口構造
JP2014202416A (ja) 2013-04-04 2014-10-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002202L (sv) * 1990-06-20 1991-12-21 Stratos Ventilation Prod Ab Omstaellbart tilluftsdon
JPH0535414A (ja) 1991-07-26 1993-02-12 Shizuoka Nippon Denki Software Kk 磁気テープフアイルアクセス方式
JP2546288Y2 (ja) * 1991-10-21 1997-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空調用吹出口構造
JP3316096B2 (ja) * 1994-11-11 2002-08-19 しげる工業株式会社 ベントグリル
US6364760B1 (en) * 2000-05-23 2002-04-02 David A. Rooney Air outlet system
DE10057421B4 (de) * 2000-11-20 2006-01-1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tritt für Belüftungsanlagen
EP1244167A1 (de) * 2001-03-24 2002-09-25 Stefan Höller Endplattenanordnung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der Polymerelektrolytmembranbauart
DE20216677U1 (de) * 2002-10-29 2003-03-13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Luftausströmer mit Getränkehalter
FR2863946B1 (fr) * 2003-12-23 2007-09-14 Renault Sas Aer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JP4388398B2 (ja) * 2004-03-29 2009-12-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空調用アスピレータ
JP4670749B2 (ja) * 2006-06-20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JP2008024241A (ja) * 2006-07-25 2008-02-07 Howa Kasei Kk 車室内用空気吹出装置
JP2008056006A (ja) * 2006-08-30 2008-03-13 Howa Kasei Kk 車両用空調吹出装置
GB2463698B (en) * 2008-09-23 2010-12-01 Dyson Technology Ltd A fan
DE102008051251B4 (de) * 2008-10-10 2013-06-06 Airbus Operations Gmbh Versorgungsvorrichtung für ein Verkehrsmittel
DE102009058111A1 (de) * 2009-12-12 2010-07-29 Daimler Ag Luftauslass für eine Belüftung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Belüftungseinrichtung
DE102010000802A1 (de) 2010-01-12 2011-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ich. Luftausströmer mit einem Getränkehalter
DE102011100059A1 (de) 2011-04-29 2012-10-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Belüftungsanordnung für Kraftfahrzeug
US10113765B1 (en) * 2011-10-03 2018-10-30 Matthew Ryan May Remote controlled vent register
DE102013208944B3 (de) * 2013-05-15 2014-05-15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 Co. KG Luftausströmbaugruppe, insbesondere zum Leiten von Luft in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13113319B3 (de) * 2013-12-02 2014-11-27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Luftausströmer
DE202014002057U1 (de) * 2014-03-11 2015-06-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Luftausströmer
CN203995567U (zh) * 2014-08-12 2014-12-10 周爱娟 汽车顶棚用出风口总成
CN203995568U (zh) * 2014-08-29 2014-12-10 华创车电技术中心股份有限公司 车用升降式出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090A (ja) * 2002-12-24 2004-07-22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の吹き出し口構造
JP2014202416A (ja) 2013-04-04 2014-10-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1845B (zh) 2020-10-27
JP6646141B2 (ja) 2020-02-14
JP2018529573A (ja) 2018-10-11
US20190001792A1 (en) 2019-01-03
EP3433118A1 (de) 2019-01-30
DE102016119547A1 (de) 2017-09-21
WO2017162562A1 (de) 2017-09-28
CN107921845A (zh) 2018-04-17
US10682899B2 (en) 2020-06-16
KR20180093868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617B1 (ko) 통기구
US6107708A (en) Brushless motor
JP2007137282A (ja) 空調装置
US9267658B2 (en) Integral air vent and lamp assembly
JP2020104842A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照明装置
KR20060011840A (ko) 지붕 공기 조화기로부터 응축물을 제거하는 장치
US6831435B2 (en) Vehicle blower motor device and holder for blower motor device
KR20130058094A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US8241407B2 (en) Electrostatically atomizing kit for use in a vehicle
KR101390285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WO2020162097A1 (ja) 空調装置
US20190337352A1 (en) Vehicle hvac system
JP4677204B2 (ja) 自動車用の小型の暖房換気または空調装置
KR101673099B1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판넬용 에어덕트의 에어노즐 장치
KR10195073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4456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20753Y1 (ko) 철도차량 객실의 전등 커버 일체형 냉기 확산 장치
KR102021372B1 (ko) 자동차의 에어 벤트 구조
KR100880121B1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액츄에이터
JP2013032149A (ja) 寸法を低減した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JP2005022600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0140621B1 (ko) 자동차의 열냉기 배출 덕트 회전 장치
JP200506727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217615B1 (ko) 자동차용 벤트 홀을 갖는 자동차용 스톱 램프
KR880004058Y1 (ko) 풍력과 전기력을 겸용하는 자동차의 공기 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