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735B1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35B1
KR102119735B1 KR1020140194416A KR20140194416A KR102119735B1 KR 102119735 B1 KR102119735 B1 KR 102119735B1 KR 1020140194416 A KR1020140194416 A KR 1020140194416A KR 20140194416 A KR20140194416 A KR 20140194416A KR 102119735 B1 KR102119735 B1 KR 10211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xymethylen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olyoxym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432A (ko
Inventor
강경민
신범식
박은하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EP14876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91051B1/en
Priority to PL14876051T priority patent/PL3091051T3/pl
Priority to US15/108,819 priority patent/US20160326363A1/en
Priority to JP2016544158A priority patent/JP6357238B2/ja
Priority to PCT/KR2014/013100 priority patent/WO2015102405A1/ko
Priority to CN201480071947.XA priority patent/CN105874006B/zh
Publication of KR2015008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4Copolyoxymeth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2Polyacetals containing polyoxymethylene sequenc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0.01 ~ 0.5 중량부;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0.01 ~ 1 중량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0.01 ~ 1 중량부;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02 ~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고유의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과 같은 물성은 유지하면서도, 열안정성과 성형품의 몰드 이형성(mold deposit)이 개선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Extrudin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는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이 균형이 잡힌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서, 전자기기 용품, 자동차 부품으로서 광범위한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는 구조상 가열 산화 분위기하, 산성 또는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분해되기 쉽고 오랫동안의 사출을 하게 되면 몰드(mold)에 이물이 끼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열안정성 및 몰드 이형성(mold deposit)의 부족한 점을 개선시키고자 화학적으로 활성인 말단을 안정화시키고 몰드 이형제를 첨가하여 몰드 이형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성형시 또는 압출시에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가스(gas) 및 다당류의 발생으로 인해 시작되는 Formose 반응으로 인한 황갈색으로의 변색과 몰드에 이물이 끼는 현상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 방안으로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힌다드 페놀과 탄소수 10~20의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산화 및 열분해에 대해 안정화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이 일본국 특허공고 소55-22508호 공보에 있고,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에 힌다드 페놀과 탄소수 22~36의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을 함유시킴으로써, 산화 및 열분해에 대해 안정화되고, 변색이 억제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이 일본국 특허공고 소60-56784호 공보에 있다.
특개평 3-14857호 공보에는 힌다드 아민(amin) 화합물과 분자량 400 이상의 힌다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탄소수 12이상의 카르본산의 금속염과의 편성이, 특개소 62-45662호 공보에는 지방산과 인산염과의 편성이, 특개평 11-29692호 공보에는 지방산과 인산염과 카본블랙(carbonblack)과 퀴놀린(quinoline) 화합물, 아미드(amide)화합물 및 아민(amine)화합물의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안정제의 편성이 제안되어 있다. 특공소 34-5440호 공보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배합한 폴리옥시 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 조성물은 고온, 장시간으로의 열안정성은 우수하나,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와의 작용, 및 산소의 작용을 받은 황갈색에의 변색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개평 10-251481호 공보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수지에 인산칼슘(calcium)을 배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힌다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의 열안정제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물질, 수산 아닐리드(anilide) 계 물질, 힌다드 아민(amine)계 물질 등의 빛 안정제를 배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고 소62-4422호 공보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에 폴리아미드와, 탄소수 12~35의 지방산, 탄소수 12~35의 지방산 칼슘염, 탄소수 12~36의 지방족 알코올의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시킴으로써, 성형시에 금형에 석출물이 극히 적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일본국 특허공고 소62-58387호 공보에서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에 아민 치환된 트리아진 화합물과 힌다드 페놀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무기산염, 카복실산염 또는 알콕시드를 함유시킴으로써, 열안정성이 높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금형 이형성과 유동성을 동시에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특개평4-239566호 공보에는 액상 에틸렌ㆍα-올레핀계 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첨가제와 폴리아세탈 수지중에의 분산성에 뒤떨어져, 사출 성형품 및 압출 성형품에 있어서 층 박리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제를 적절하게 조합시키고 배합한 폴리옥시메틸렌(polyox methylene) 수지 조성물도 성형 및 압출성형시에 성형기의 실린더(cylinder)중에서 열이나 산소의 작용을 받아 중합체의 말단 또는 주쇄가 분해되고 포름알데히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고 몰드에 이물이 끼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말단기를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포름알데히드가 산화되어 formic acid를 생성하고, 마찰열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 주쇄를 분해시키게 되며, 안정제가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여 성형품에 착색과 몰드에 이물의 발생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즉, 이러한 안정제 조성으로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성형 및 압출시 변색을 억제하고 몰드에 이물발생을 줄이는데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압출 후 결정화 및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높은 온도에서의 에이징(aging)후 변색이 발생하여, 상품 가치를 잃어버리게 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한 성형 및 압출 성형품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은 유지하면서도, 열안정성과 성형품의 몰드 이형성(mold deposit)이 개선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0.01 ~ 0.5 중량부;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0.01 ~ 1 중량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0.01 ~ 1 중량부;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02 ~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는 기공의 크기가 50nm 이하이고, 표면적이 200~2000㎡/g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LDPE는 그 밀도가 0.910~0.940 g/cm3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그 중량평균분자량이 300~1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200 ℃에서 3시간 에이징(aging) 후, 황색도 변화율(ΔYI, Delta Yellow Index) 가 3 이하 이고, 금형 이형성(mold deposit)가 500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2 구현예로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은 유지하면서도, 열안정성과 에이징(aging) 후 내변색 특성이 개선된 특징으로 나타내며,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은 변색이 적고 금형 이형성(MD, Mold Deposit)이 적어, 자동차의 내외장재, 정밀 전기전자 제품 및 생활용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하기 조건에 의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값으로 정의된다.
(1) Solvent: HFIP(hexafluoroisopropanol) + 0.02N trifluoroacetic acid Na salt (TFAcNa)
(2) Column (maker, model no.): PL HFIP gel
(3) Temperature: 35 ℃
(4) Detector: Waters RI 410 detector
(5) Flowing speed: 0.8 mL/min, Waters 515 pump
(6) Data system: multichro ver. 5.0
(7) Injection amount: 100 L, Concentration: 5mg / mL
(8) Standard sample: polymethylmethacrylate, Polymer Laboratories Co.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0.01 ~ 0.5 중량부;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0.01 ~ 1 중량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0.01 ~ 1 중량부;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02 ~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28200956-pat00001
여기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20의 정수이고, L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사출성 및 압출성을 고려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일 수 있다.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본 발명에 있어서, 수산화 알칼리토금속은 카니자르 반응을 통한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oxymethylene)의 준안정 말단 및 불안정 말단을 분해 시켜 2차 가공시 발생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의 발생을 줄이고, 색상(color) 및 열안정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알칼리토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등일 수 있다. 수산화 알칼리토금속은 구체적으로 수산화칼슘(Ca(OH)2) 일수 있다.
상기 수산화 알칼리토금속은 그 함량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0.5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수산화 알칼리토금속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불안정 말단을 충분히 분해시킬 수 없어 차후 사출시 포름알데히드 가스 발생원이 될 수 있고, 0.5중량부 초과이면 폴리머를 분해시켜 물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폴리머의 변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
본 발명에 있어서,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는 열안정성 향상, 성형 또는 압출시 변색 방지, 압출 성형 후 후결정 및 응력 제거를 위한 장시간 에이징(aging) 후 변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는 실리카전구체 60~98중량% 및 유기실란 2~40중량%를 계면활성제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시킨 뒤, 탈수 및 세척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4개 이상의 알콕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릴알킬렌, 테트라 알킬 오소실리케이트 및 4개 이상의 알콕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릴알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유기실란은 1~3개의 알콕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 알콕시알케닐실란, 알콕시아릴실란 및 알콕시아르알킬실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는 기공의 크기가 50nm 이하이고, 표면적이 200~2000㎡/g 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공의 크기와 표면적으로 인하여 Formic acid 및 VOCs물질과 같은 저분자 물질을 포착(capture)하여 변색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는 그 함량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 1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흡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1 중량부 초과이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말단기와 수지간의 결합력이 약해져 분해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가스가 방출되고 발포가 일어나 제조공정 중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 LDPE ]
본 발명에 있어서, LDPE는 무기물의 분산성을 향상을 고려하여 밀도가 0.910~0.940 g/cm3 인 일 수 있다.
상기 LDPE는 그 함량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 1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LDPE의 함량이 0.02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시 흐름성이 저하되거나 mold 이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1 중량부 초과이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기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본 발명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압출시 유동성 개선과 사출시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사출성 및 압출성을 고려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1000인 것일 수 있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과도하게 커지게 상용성이 저하되거나 유동성 개선, 활제 및 금형 이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몬타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그 함량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 0.5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이 0.02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시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고, 0.5 중량부 초과이면 용유시 흐름성이 과도하게 좋아져서 오히려 안정성이 저하됨으로 인해 다량의 포름알데히드가 잔여할 수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배합하여,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기 온도가 240~250℃에서 용융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200 ℃에서 3시간 aging 후, 황색도 변화율(ΔYI, Delta Yellow Index) 가 3 이하 이고, mold deposit가 500이상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전기전자 부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240 ℃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칩(Chip)상태로 만들고, 90 ℃, 5시간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 건조한 후, 역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때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240 ℃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의 칩(Chip)을 만들고, 90 ℃, 5시간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 건조한 후, 역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때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수산화 알칼리토금속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및 실시예 7
LDPE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및 실시예 9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수산화 알칼리토금속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6
LDPE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및 비교예 8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측정예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의 시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인장강도, 충격강도, 인장강도 유지율, 충격강도 유지율, 내염화성 및 표면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Delta YI (ΔYI*ab, 두 샘플의 Yellow Index 측정):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200℃ 전기 Oven에서 각각 30분, 3시간 체류시킨다. 그 후, Color meter를 이용하여 각각의 plate의 YI 값을 측정한 후, 아래의 식 1에 따라 계산하여 값을 구한다.
(식 1) ΔYI* = YI*t - YI*
여기서, YI*t는 30분 aging 후 샘플의 YI 값이고, YI*는 3시간 aging 후 샘플의 YI 값이다.
- YI(Yellow Index, 황색도): 다음 식 2에 따라 계산하고 소수점이하 2째자리까지 구한다.
(식 2) YI = 100 (1.28 X -1.06 Z) / Y
여기서, X, Y 및 Z는 각각 표준빛 C에 있어서 시험용시료 및 시험편의 3 자격치(刺激値)이다. 이때, 표준빛 C란 표준 광원으로 온도가 6,744K의 상관색 온도를 갖는 주광(晝光)을 나타낸 빛을 의미한다.
- 포름알데히드 (FA, Formaldehyde): 폴리옥시메틸렌 수지(Chip) 10g을 140 ℃에서 30분 aging 후 방출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가스를 GC(Gas Chromatograph)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함량을 측정한다.
- 금형 이형성 (MD, Mold Deposit): 사출성형기 실린더 온도: 240℃/240℃/240℃/190℃) 및 Hot runner 온도: 250℃에서 Dumbel 시편을 사출하여 금형에 가스나 이물이 묻어 나오는지 초기에는 사출 50cycle 마다 육안으로 확인 하고 300회이상부터는 사출 100cycle 단위로 육안으로 확인 후 이물이 묻어 나오는 시점을 횟수로 결정한다. 횟수가 증가할수록 금형 이형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한다.
구분
(중량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LDPE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K300, 코오롱플라스틱 수산화 칼슘, Rheinchemie TS-1, 태성환경연구소 BF500, LG chemical Glycerol mono-behenate, Kao Corporation
실시예1 100 0.3 0.5 0.5 0.3
실시예2 100 0.01 0.5 0.5 0.3
실시예3 100 0.5 0.5 0.5 0.3
실시예4 100 0.3 0.01 0.5 0.3
실시예5 100 0.3 1 0.5 0.3
실시예6 100 0.3 0.5 0.01 0.3
실시예7 100 0.3 0.5 1 0.3
실시예8 100 0.3 0.5 0.5 0.02
실시예9 100 0.3 0.5 0.5 0.5
비교예1 100 0.008 0.5 0.5 0.3
비교예2 100 0.52 0.5 0.5 0.3
비교예3 100 0.3 0.008 0.5 0.3
비교예4 100 0.3 1.2 0.5 0.3
비교예5 100 0.3 0.5 0.008 0.3
비교예6 100 0.3 0.5 1.2 0.3
비교예7 100 0.3 0.5 0.5 0.01
비교예8 100 0.3 0.5 0.5 0.52
Delta YI YI FA(ppm) MD (횟수)
실시예1 2.4 -4.51 15.5 1000
실시예2 2.7 -6.53 21.6 800
실시예3 2.3 -4.13 23.8 700
실시예4 2.4 -5.12 17.2 1100
실시예5 2.1 -6.21 20.5 600
실시예6 2.8 -4.92 8.9 600
실시예7 2.7 -4.81 16.2 700
실시예8 2.3 -4.74 22.4 600
실시예9 2.8 -3.78 9.2 700
비교예1 2.6 -5.15 120.2 150
비교예2 3.5 -3.56 92.8 100
비교예3 4.2 -4.87 51.2 400
비교예4 1.9 -6.12 51.4 100
비교예5 2.5 -4.43 62.1 200
비교예6 2.6 -4.51 74.2 300
비교예7 2.3 -5.12 14.6 300
비교예8 5.1 -2.51 65.7 400
물성측정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처럼, 수산화 알칼리 토금속이 적정 함량 미만인 경우 FA 발생량이 증가하고,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2처럼, 수산화 알칼리 토금속이 적저 함량 초과인 경우, Delta YI값이 증가하여 변색이 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울러 FA 발생량이 증가하고,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처럼,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가 적정 함량 미만인 경우, Delta YI값이 증가하여 변색이 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울러 FA 발생량이 증가하고,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으며, 비교예 4처럼, 다공성 유무기 혼성 실리케이트가 적정 함량 초과인 경우, FA 발생량이 증가하고,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5 및 비교예 6처럼, LDPE가 적정 함량 미만이거나 초과이면 FA 발생량이 증가하고,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7처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적정 함량 미만인 경우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8처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적저 함량 초과인 경우, Delta YI값이 증가하여 변색이 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울러 FA 발생량이 증가하고, 금형 이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Delta YI값이 3이하이고, MD가 500 이상으로서, 변색의 우려가 적고 금형 이형성이 좋으며 FA 발생량이 적어, 자동차의 내외장재, 정밀 전기전자 제품 및 생활용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0.01 ~ 0.5 중량부;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 0.01 ~ 1 중량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0.01 ~ 1 중량부;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02 ~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ㆍ무기 혼성 실리케이트는 기공의 크기가 50nm 이하이고, 표면적이 200~200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DPE는 밀도가 0.910~0.94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200 ℃에서 3시간 에이징(aging) 후, 황색도 변화율(ΔYI, Delta Yellow Index) 가 3 이하 이고, 금형 이형성(MD, mold deposit)가 500이상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140194416A 2013-12-31 2014-12-30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1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76051.5A EP3091051B1 (en) 2013-12-31 2014-12-31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ntaining same
PL14876051T PL3091051T3 (pl) 2013-12-31 2014-12-31 Kompozycja żywicy polioksymetylenowej i zawierający ją wyrób formowany
US15/108,819 US20160326363A1 (en) 2013-12-31 2014-12-31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ntaining same
JP2016544158A JP6357238B2 (ja) 2013-12-31 2014-12-31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成形品
PCT/KR2014/013100 WO2015102405A1 (ko) 2013-12-31 2014-12-3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201480071947.XA CN105874006B (zh) 2013-12-31 2014-12-31 聚甲醛树脂组合物以及含有该组合物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8006 2013-12-31
KR1020130168006 2013-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432A KR20150080432A (ko) 2015-07-09
KR102119735B1 true KR102119735B1 (ko) 2020-06-08

Family

ID=537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416A KR102119735B1 (ko) 2013-12-31 2014-12-30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26363A1 (ko)
EP (1) EP3091051B1 (ko)
JP (1) JP6357238B2 (ko)
KR (1) KR102119735B1 (ko)
CN (1) CN105874006B (ko)
PL (1) PL309105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00B1 (ko) * 2015-09-30 2021-10-25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41590B1 (ko) * 2016-10-10 2022-09-06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1182242A1 (ja) * 2020-03-12 2021-09-1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押出成形品および射出成形品
CN114807653B (zh) * 2022-02-28 2022-12-13 上海富驰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mim钨合金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83B1 (ko) 2003-10-10 2007-11-08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85C (zh) * 1996-11-13 2003-06-11 旭化成株式会社 树脂组合物
JP3667023B2 (ja) * 1997-02-25 2005-07-0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1142176A (ja) * 1999-11-12 2001-05-25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感光材料用成形品
JP5008256B2 (ja) * 2004-04-23 2012-08-22 東レ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DE102005001793A1 (de) * 2005-01-13 2006-07-27 Basf Ag Polyoxymethylen und Zeolith enthaltende Formmasse
JP5281240B2 (ja) * 2006-12-25 2013-09-0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5301794B2 (ja) * 2007-05-23 2013-09-2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5101229B2 (ja) * 2007-09-28 2012-12-19 太陽化学株式会社 アルデヒド吸着剤
JP5601792B2 (ja) * 2009-05-20 2014-10-0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摺動部材
US20110237727A1 (en) * 2010-03-29 2011-09-29 Jung-Pao Chang Durable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KR101711942B1 (ko) * 2010-12-31 2017-03-03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83B1 (ko) 2003-10-10 2007-11-08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051A4 (en) 2017-11-29
JP6357238B2 (ja) 2018-07-11
EP3091051A1 (en) 2016-11-09
CN105874006A (zh) 2016-08-17
CN105874006B (zh) 2017-10-20
US20160326363A1 (en) 2016-11-10
KR20150080432A (ko) 2015-07-09
JP2017501284A (ja) 2017-01-12
PL3091051T3 (pl) 2021-05-04
EP3091051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735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S62288649A (ja) ポリアセタ−ルの安定化組成物
EP2928962B1 (en) Polyamide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JP6210163B2 (ja) ポリアミド樹脂を含む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CN111057303A (zh) 一种抗老化pe袋及其加工工艺
KR101711942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4280972B2 (ja) 変色に対して安定化されたポリアセタール成形品
KR102176593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6424649B2 (ja) ガスバリア性成形体
KR101504667B1 (ko) Peek-pek 얼로이 수지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806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17200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5102405A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4401391B2 (ja) 耐燃料性に優れた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とそれからの成形品
CN107759965B (zh) 一种膨胀型复配阻燃体系阻燃聚甲醛及其制备方法
JPWO2017018346A1 (ja) 耐熱老化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ポリアミド樹脂の耐熱老化性向上方法
KR20220084281A (ko) 폴리에스터용 열안정제
KR102308833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2574559A (zh) 一种高耐热无卤阻燃聚酰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78778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JP5890754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KR2022005640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WO2017131008A1 (ja) 耐熱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20070087859A (ko)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40092461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