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859A -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859A
KR20070087859A KR1020050134805A KR20050134805A KR20070087859A KR 20070087859 A KR20070087859 A KR 20070087859A KR 1020050134805 A KR1020050134805 A KR 1020050134805A KR 20050134805 A KR20050134805 A KR 20050134805A KR 20070087859 A KR20070087859 A KR 2007008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weigh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buty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찬
이수경
조정환
권영도
이동호
김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05013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859A/ko
Publication of KR2007008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보강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 87 내지 96.7 중량%; (b)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내지 10 중량%; 및 (c) 모노 카보디이미드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유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양호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커텍터 하우징 등의 부품으로 제조시, 고온다습한 환경 하에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깨짐이 발생하거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내충격성*내가수분해성*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모노 카보디이미드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High Impact and Hydrolysis Resist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보강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 정밀 성형성 및 내마모성 등에서 가장 균형을 이룬 수지로 알려져 있다. PBT 수지는 유리섬유, 무기 충전제, 난연제, 충격보강제 등 각종 첨가제나 다른 수지와 혼합되어,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일반 산업용 재료, 기타 고기능성을 요구하는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PBT 수지는 물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알카리 수용액이나 수증기와 높은 온도에서 접촉시 가수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PBT 수지는 수분 흡수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알칼리 수용액이나 수증기에 의해 하기 반응식 1 에 따라 에스테르 그룹이 히드록실 그룹(-OH)과 카르복실 그룹(-COOH)으로 가수분해된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1
상기 반응식 1에서, R과 R'는 각각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에스테르 가수분해는 에스테르 생성과정의 역반응으로서, 친핵성 치환(nucleophilic substitution) 반응에 의해 진행된다. 전자결핍 카르보닐 탄소(Electron-deficient carbonyl carbon)에서 -OR'그룹은 물의 전자충분(electron-sufficient) 그룹으로서 친핵제nucleophile)인 히드록실 그룹에 의해 치환된다. 또한, 이러한 반응은 산(H+) 존재 하에 일어나게 되면 카르보닐 산소의 양성자 첨가반응(protonation)에 의해 카르보닐 탄소는 물의 전자충분 그룹으로서 친핵제인 히드록실 그룹에 의해 친핵성 공격을 더 쉽게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PBT 수지의 기계적 물성은 저하된다.
한편, 자동차 커넥터 하우징과 같이 소형이며 내부 구조가 매우 미세하고 복잡한 부품을 PBT 수지로 제조하는 경우, 조립공정 중에 커넥터 성형품의 란스(Lance) 부위 등의 체결 부위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PBT 수지의 저온 및 상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보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PBT 수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PBT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01572호에서는 PBT 수지에 비스페놀-A계 난연제를 이용하여 난연성을 부여하고 유리섬유를 보강하여 강성을 부여한 재료에 폴리 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하여 절연 파괴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에 따라 제조된 PBT 수지 조성물은 유동성 및 충격성이 낮아, 미세한 성형 구조를 갖는 자동차 커넥터 하우징용 등의 용도로는 부적합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008908호에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계 폴리에테르를 연질 세그먼트로 하는 PBT 공중합체 수지를 중합하면서 폴리 카보디이미드를 도입하여 카르복실 말단기 함량을 줄임으로써 내가수분해성이 향상된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사출 공정 후 시편 상태에서의 내열습성 테스트를 통한 내가수분해성이 검증되지 않았고 연질 세그먼트를 도입한 PBT 공중합체 수지는 PBT 수지에 비해 사출성형 시 냉각속도가 길어져 짧은 성형 싸이클타임이 요구되는 사출 성형품에는 적합치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제51-91958호에는 PBT 수지와 α-올레핀 초산 비닐공중합체에 에폭시 1-2개를 도입하여 혼련 제조함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로 제조된 PBT 수지 조성물은 내가수분해 특성의 향상이 적고 사출성형 불량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43483호에서는 PBT 수지에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를 도입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에폭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추가하여 내가수분해성을 증진시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코아-쉘 타입의 충격보강제는 내열습성 테스트 후 분해가 급격히 발생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유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가수분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고온 다습한 환경 하에서도 재료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자동차 커넥터 하우징 부품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 87 내지 96.7 중량%;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내지 10 중량%; 및 (c)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 카보디이미드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유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양호하게 향상된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노르말 부틸이고, R2는 글리시딜이고, x, y 및 z는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이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및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모노 카보디이미드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노르말 부틸이고, m 및 n은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에폭시 수지 0.2 내지 0.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10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인 폴리부틸 렌테레프탈레이트(a)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데, 용융온도는 215~235℃ 정도이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6
PBT 수지의 기계적 물성 및 카르복실 말단기의 농도에 따른 내가수분해성을 고려할 때, PBT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IV)는 0.8 내지 1.1 (dl/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전체 PBT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 87 내지 96.7 중량% 정도이다. PBT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87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과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고, 96.7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충격보강제의 함량이 충분치 못하게 되어 충격물성이 저하됨에 따라 원하는 물성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b) 3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노르말 부틸이고, R2는 글리시딜이고, x, y 및 z는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유니트 15 내지 30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유니트 5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충격보강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유니트의 구조로 인하여 PBT 수지의 카르복실 말단기와 반응,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온 및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고,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다른 기계적 물성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충격 보강제로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모노 카보디이미드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8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노르말 부틸이고, m 및 n은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이며,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유니트 20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가공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 카보디이미드(c)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78225294-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및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이러한 모노카보디이미드로는 2,2',6,6'-테트라이소프로필디페닐 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가수분해제로 효과적인 화합물로는 에스터 결합의 가수분해를 억제하거나 분해속도를 늦출 수 있는 페놀계 안정화제가 있다. 여기에는 입체장애 페놀, 티오비스페놀, 알킬리덴비스페놀, 알킬페놀, 히드록시벤조일 화합물, 아실아미노 페놀 및 프로피온산 히드록시페닐 등이 포함된다. 또 다른 효과적인 내가수분해제 화합물로는 카르복실 말단기와의 반응을 통해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수지의 분해 속도를 늦추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화합물로는 모노 또는 폴리 카보디이미드, 옥사졸린, 에폭시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의 내가수분해제들 중 내열습성 테스트 이후 강도 저하가 큰 에폭시, 옥사졸린 화합물보다는 모노 또는 폴리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성능면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 카보디이미드보다 카르복실 말단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모노 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말 타입의 모노 카보디이미드를 사용하였다. 모노 카보디이미드는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카르복실 말단기와 반응하여 카르복실 말단기의 농도를 감소시키므로서 내가수분해 특성을 부여하게 된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0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및 R'는 각각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PBT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모노 카보디이미드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 내가수분해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PBT 수지 조성물의 원가가 너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가수분해제로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모노 카보디이미드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에폭시 수지 0.2 내지 0.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10이다.
화학식 4의 에폭시 수지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A의 공중합체 타입으로서,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카르복실 말단기와 반응하여 카르복실 말단기의 농도를 감소시키므로서 내가수분해 특성을 부여하게 된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2
상기 반응식 3에서, R 및 R'는 각각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PBT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화학식 4의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그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공지의 충격보강제 및 내가수분해제를 더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안료, 광안정제, 블랙 마스터 배치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예를 들어 PBT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3.0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0.95 (dl/g)인 PBT 수지 96 중량%에 충격보강제로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하, Et-nBA-GMA 공중합체라 함)[nBA 유니트 함량: 30 중량%, GMA 유니트 함량: 5.5 중량%] 3.0 중량%, 모노 카보디이미드(2,2',6,6'-테트라이소프로필디페닐 카보디이미드) 1.0 중량%를 첨가하였다.
상기 조성 성분들을 헨셀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산시킨 다음, L/D=40, Φ=25(mm)의 이축압출기에서 240℃~255℃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를 실린더 온도 245℃~260℃, 금형 온도 50℃~80℃에서 시편을 사출 성형하였다. 시편에 대해 내열습성 테스트 이전 및 이후의 기계적 물성 및 말단기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펠렛과 시편의 물성 측정 및 내열습성 테스트 조건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 유동지수: ASTM D1238 (250℃, 2.16kg)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
- 충격강도: ASTM D256 [1/8인치, 노치 아이조드, 상온, 저온(-40℃)]
- 말단기 농도: Pohl 방법(Analytical Chemistry, v. 26, n. 10, p. 1614-1616, 1954. ) [용매: 벤질 알코올, 클로로포름]
- 고유점도: ASTM D2857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50:50 중량%), 25℃]
- 내열습성: 가압이 가능한 PCT(Pressure Cook Test, PCT) 장비에 증류수를 넣고, 120℃, 2기압, 100% RH를 유지하면서 100시간 동안 처리함.
실시예 2
실시예 1의 Et-nBA-GMA 공중합체를 5.0 중량%로 증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Et-nBA-GMA 공중합체를 7.0 중량%로 증량하고,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하, Et-BA 공중합체라 함)[BA 함량: 27 중량%]를 PBT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3 중량부로 도입하고, 화학식 4의 에폭시 수지를 0.3 중량%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의 Et-nBA-GMA 공중합체를 9.0 중량%로 증량하고, Et-BA 공중합체를 4 중량% 도입하며, 모노 카보디이미드를 1.5 중량%로 증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Et-nBA-GMA 공중합체 대신 코아-쉘 타입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5.0 중량%로 증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Et-nBA-GMA 공중합체를 1.0 중량%로 감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Et-nBA-GMA 공중합체를 5.0 중량%로 증량시키고, 모노 카보디이 미드0.1 중량%로 감량시키며, 화학식 4의 에폭시 수지를 1.0 중량%로 추가 도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Et-nBA-GMA 공중합체 대신, Et-BA 공중합체를 10 중량%로 도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물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3
표 1에서,
위첨자 1) 및 2)의 성분 함량은 전체 PBT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를 뜻함.
위첨자 3)의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 증가율(%) = (PCT 이후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 PCT 이전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PCT이전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 X 100 (%)
위첨자 4)의 고유점도 감소율(%) = (PCT 이전 카르복실 고유점도 - PCT 이후 고유점도)/(PCT 이전 고유점도) X 100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종류의 충격보강제와 내가수분해제를 적량 함유한 PBT 수지 조성물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내열습성 테스트 후의 기계적, 화학적 물성 저하가 뚜렷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유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양호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커텍터 하우징 등의 부품으로 제조시, 고온다습한 환경 하에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깨짐이 발생하거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Claims (6)

  1.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 87 내지 96.7 중량%;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 내지 10 중량%; 및
    (c)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 카보디이미드 0.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노르말 부틸이고, R2는 글리시딜이고, x, y 및 z는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5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및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 수지는 고유점도가 0.8 내지 1.1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유니트 15 내지 30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유니트 5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의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6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노르말 부틸이고, m 및 n은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유니트 20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의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에폭시 수지 0.2 내지 0.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05078225294-PAT00017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10이다.
KR1020050134805A 2005-12-30 2005-12-30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070087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05A KR20070087859A (ko) 2005-12-30 2005-12-30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05A KR20070087859A (ko) 2005-12-30 2005-12-30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59A true KR20070087859A (ko) 2007-08-29

Family

ID=3861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805A KR20070087859A (ko) 2005-12-30 2005-12-30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78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81B1 (ko) * 2006-03-28 2008-04-24 주식회사 코오롱 인성이 향상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14106251A (zh) * 2021-11-29 2022-03-01 广东莱尔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bt用增韧剂及其制备方法、用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81B1 (ko) * 2006-03-28 2008-04-24 주식회사 코오롱 인성이 향상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14106251A (zh) * 2021-11-29 2022-03-01 广东莱尔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bt用增韧剂及其制备方法、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5167B2 (en) Hydrolysis-resistance composition
KR101957284B1 (ko) 폴리아미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KR101023371B1 (ko) 공업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응용을 위한 난연제
CA2586682A1 (en)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12111138A (zh) 一种难燃的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1089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949742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CN111117185A (zh) 一种高抗冲玻纤增强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031915A (zh) 一种稳定的阻燃聚碳酸酯合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70087859A (ko) 내충격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2175497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7362996A (zh) 一种阻燃耐老化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
US10583691B2 (en)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EMI retention
KR1021971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3861687B (zh) 一种聚苯硫醚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0378700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KR101078837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13574112A (zh) 聚甲醛组合物
KR950001319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40006470B1 (ko) 개량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68654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 수지조성물
CN115368723A (zh) 一种高抗冲耐低温阻燃pc/pbt合金材料的配方及制备方法
KR20150076642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JP3034569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KR102011352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11

Effective date: 2008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