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200B1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200B1
KR102317200B1 KR1020150138188A KR20150138188A KR102317200B1 KR 102317200 B1 KR102317200 B1 KR 102317200B1 KR 1020150138188 A KR1020150138188 A KR 1020150138188A KR 20150138188 A KR20150138188 A KR 20150138188A KR 102317200 B1 KR102317200 B1 KR 10231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olyoxymethylene
polyoxymeth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40A (ko
Inventor
강경민
조인기
신범식
서보헌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늄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0.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0.5 내지 3.0 중량부; 및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catie) 화합물 0.05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Produc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는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이 균형이 잡힌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서 알려져있으며, 전자기기 용품, 자동차 부품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옥시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는 압출가공 또는 사출성형 시, 열과 마찰열에 의해 열분해 반응이 진행되어 극히 미량이지만 포름알데히드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최종 성형품의 고급스러운 메탈감의 외관을 위하여 폴리옥시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를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입자를 함유하는 안료와 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메탈릭 안료를 사용할 경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분해가 더욱 촉진되어 포름알데히드 발생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성형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는 환경호르몬 문제뿐만 아니라, 금형의 오염이나 성형 작업에 따른 불량률 상승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폴리옥시메틸렌을 이용한 성형품 제조시 포름알데히드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은 시급한 해결과제이다. 이에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포름알데하이드를 억제하는 첨가제로서 멜라민계 화합물, 히드라진계 화합물, 요소계 화합물, 아민계나 아미드계 화합물등의 질소계 화합물 등이 종래에 검토되어 왔다.
포름알데히드 발생 억제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일본 특개 2012-92185호에는 알루미늄 입자,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및 포름알데히드 반응성 질소를 함유시킴으로써, 메탈릭 감과 내후성은 향상시키고 포름알데히드 발생은 억제하는 폴리옥시 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9-155418호에는 헤미포르말(hemiformal) 말단기를 포함한 폴리아세탈 공중합체의 말단기의 양을 특정함으로써 포름알데히드의 발생을 억제한 폴리옥시 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제공개공보 2011-129445호에는 포름알데하이드 포착제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저감 및 사출 성형 성 개선을 달성하는 폴리옥시 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조성으로는 포름알데히드 발생 억제는 충분하다 말하기 어렵고, 포름알데히드 저감과 동시에 흐름성 및 분산성도 함께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알루미늄 입자가 다량 첨가가 되면 흐름성이 나빠져 수지가 체류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압출 가공시 마찰열에 의한 열분해 및 이로 인한 가스 발생 억제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사출 성형 시 열분해로 인해 발생된 가스는 금형 표면을 오염시키고, 알루미늄 안료의 용융 흐름에 영향을 미쳐 성형품의 표면 광택을 저하시키거나 플로우 마크(flow mark)등을 형성시켜 불량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성형품이 크기가 대형화될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무 도장(塗裝) 성형품에 대한 니즈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 속에서 폴리옥시메틸렌 가공시 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금형의 오염을 줄이고 알루미늄 안료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표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메탈질감을 가지면서도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발생량 저감과 동시에 우수한 용융 흐름성 및 안료의 분산성을 나타내는 폴리옥시 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은 꾸준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을 통해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 등의 물성은 유지하면서 열안정성, 흐름성 및 분산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출 시 발생하는 플로우 마크(flow mark)를 저감하고, 보다 메탈에 가까운 감성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구현예는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늄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0.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0.5 내지 3.0 중량부; 및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catie) 화합물 0.05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알루미늄 안료는 평균 직경이 5 내지 30㎛인 판상 또는 구형의 알루미늄 플레이크(flak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몬타네이트 중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4000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화합물은 1g 당 KOH 흡착량(adsorption)이 180mg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열감량(TGA) 평가법에 의거하여, air 분위기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240℃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240℃를 유지하였을 때 무게 감량이 10%가 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의 합이 45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구현예는 상기 제 1 구현예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 등의 물성은 유지하면서도, 사출 성형시 체류에 의한 수지 분해 및 이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큰 제품의 사출 시에도 플로우마크(flow mark)가 현저히 줄어들어 우수한 외관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무엇보다 성형시 마찰열에 의한 수지 분해(포름알데히드 발생)현상이 줄어들어 우수한 표면 광택과 금속 느낌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에 페인팅, 코팅 등을 포함하는 도장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보다 메탈과 같은 느낌의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사출 성형시 흐름성이 불량하여 플로우 마크(flow mark)가 발생한 종래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성형품(가) 및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성형품(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늄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0.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0.5 내지 3.0 중량부; 및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catie) 화합물 0.05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
본 발명의 베이스 수지는 폴리옥시메틸렌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이때 상기 폴리옥시메틸렌은 중합체의 양말단이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기에 의해 봉쇄된 옥시메틸렌 단독중합체이거나 옥시메틸렌 모노머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쇄중에 폴리머 주쇄중에 탄소수 2∼8의 옥시알킬렌 단위가 랜덤하게 삽입되고, 중합체의 양말단이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기에 의해 봉쇄된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은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폴리옥시메틸렌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00 내지 300000이고, 융점은 165℃ 내지 17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옥시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옥시에틸렌 단독 중합체는 예를 들어, 유기 아민, 유기 혹은 무기의 주석 화합물, 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염기성 중합 촉매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중에 무수 포름알데히드를 도입하여 중합하고, 중합체를 여과한 후, 아세트산나트륨의 존재하에 무수아세트산 중에서 가열하여 말단을 아세틸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무수 트리옥산, 혹은 테트라옥산과 같은 포름알데히드의 환상 올리고머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3-디옥솔란, 1,3-프로판디올포르말, 1,4-부탄디올포르말, 1,5-펜탄디올포르말, 1,6-헥산디올포르말, 디에틸렌글리 콜포르말, 1,3,5-트리옥세판, 1,3,6-트리옥소칸 등과 같은 환상 에테르를 사이클로헥산이나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중에 용해 혹은 현탁한 후, 삼불소화붕소·디에틸에테레이트와 같은 루이스산 촉매를 첨가하여 중합하고 불안정 말단을 분해 제거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는,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셀프 클리닝형 교반기에 트리옥산과 공중합성분 및 촉매의 예비혼합물을 도입하여 괴상중합함으로써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를 조제할 수도 있다. 이때, 중합촉매의 실활제로는, 분자량 400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특히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및 충격성의 밸런스 관점에서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에서 옥시알킬렌 코모노머 단위의 함유량은,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의 열안정성 향상 및 성형시의 결정화도 개량의 관점에서 옥시메틸렌 모노머 단위 100 몰당 0.1∼1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7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몰일 수 있다.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일본국 특허공개 소62-25792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예를 들어 트리옥산과 환상 에테르 또는 환상 포르말을 삼불소화붕소·디에틸에테레이트와 같은 루이스산 촉매의 존재하에 괴상중합한 후,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정지시키고, 추가로 불안정 말단을 분해제거함으로써 안정화된 중합체이를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안료]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안료(pigment)는 페인팅(Painting), 코팅(Coating) 등을 포함한 도장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금속과 같은 색상 및 광택의 발현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다만, 수지의 압출 및 사출 성형시 타 조성물과는 다르게 용융이 되지 않으므로, 그 분산 정도와 플레이크의 입자 크기와 함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 상기 알루미늄 안료는 평균 직경이 5 내지 30㎛인 판상 또는 구형의 알루미늄 플레이크(flak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크기가 5 ㎛ 미만이면 입자 크기가 너무 작아 광택 효과가 미미하며 30 ㎛을 초과하면 분산성이 저하되어 알루미늄 플레이크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 수지 성형물 전체에 고른 금속감과 광택을 발현하지 못하고 수지 성형물 표면의 부위마다 다른 금속감과 광택이 나타나는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포함된 플레이크의 입자 크기가 5 ~ 30 ㎛ 범위인 알루미늄 안료를 적용하더라도 그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금속질감과 광택이 미미한 문제가 발생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되어 외부 충격에 견디지 못하여 깨지는 현상이 나타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내구성이 필요한 부품에 적용이 불가능해 지며 수지 조성물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본 발명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압출시 수지의 유동성을 개선하여 마찰열에 의한 열분해를 줄여주고, 결과적으로 포름알데하이드 저감에 기여한다. 다만, 분자량이 과도하게 커지면 상용성이 저하되거나 유동성 개선, 활제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압출성을 고려하여 분자량이 300~10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몬타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그 함량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시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고, 0.5 중량부 초과이면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으로 인한 금형 오염이 심해 질 수 있다.
[ 아크릴레이트 - 스틸렌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는 사출 시 흐름성 및 알루미늄 안료의 분산성을 양호하게 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사출품의 플로우 마크(flow mark) 발생을 줄여 금속질감 및 표면 광택 발현에 기여한다. 이때, 분자량이 과도 하게 낮게 되면 액상이기 때문에 첨가에 어려움이 있고, 분자량이 과도하게 커질 경우 분산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4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는 그 함량이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에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사출 성형 시 흐름성이 저하 및 분산성이 나빠지고, 3.0 중량부 초과이면 상용성이 떨어져 외관 품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 (silicate)]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 가공이나 사출 성형시 용융된 수지의 체류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화합물을 0.05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합성된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는 무정형의 다공성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산기(hydroxyl)에 대한 뛰어난 흡착력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는 수지의 일부 성분으로 존재하면서, 폴리옥시메틸렌 내 말단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의 수산기(hydroxyl)를 포획하여 2차 가공시 발생하는 가스 발생을 줄이고 열안정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에서 실리케이트기는 저분자 물질을 포획하고, 포름산(formic acid)과 같이 폴리머를 분해시키는 물질을 포착하므로 포름알데히드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기여한다.
이때,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화합물의 함량이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 가공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효율이 낮아져 가스의 체류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분해가 발생할 수 있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 공정에서 마찰열로 인한 열분해가 일어나 압출 및 사출 시 가스와의 반응으로 인한 사출 금형에 오염 시키는 물질이 발생되고, 이러한 오염 물질에 의한 사출 성형품 표면의 광택이 나빠지고,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화합물은 1g 당 KOH 흡착량(adsorption)이 180mg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흡착량은 커질수록 가스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므로 그 상한선에는 제약이 없으나 다만, 흡착량이 180mg 미만일 경우 폴리머내의 수산기(hydroxyl), 특히 포름산(formic acid)의 포획능이 떨어져 가스에 의해 폴리머의 준안정 및 불안정말단이 공격당하여 분해가 일어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칼슘 실리케이트(CaO:XSiO2) 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gO:XSiO2)와 같은 산화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인 것이 폴리옥시 메틸렌의 2차 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열감량(TGA) 평가법에 의거하여, air 분위기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240℃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240℃를 유지하였을 때 무게 감량이 10%가 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의 합이 45분 이상일 수 있다. 측정된 시간이 빠르다는 것은 곧 내열성이 부족하여 폴리머의 분해가 빨리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측정된 시간이 오래되는 것은 문제되지 않으나, 45분 미만일 경우 가공시 가스의 발생으로 용융 수지의 흐름성이 바뀌게 되면서 표면에 흐름자국(flow mark, 도 1의 왼쪽 그림 참조)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옥시 메틸렌(polyoxy methylene)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의 표면에 페인팅, 코팅 등을 포함하는 도장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출 성형물 자체의 금속 질감이 우수한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며, 폴리옥시 메틸렌 수지의 우수한 흐름성과 안료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으로 인해 성형제품에 플로우 마크가 현저히 줄어들어 우수한 표면광택 및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베이스 수지: K900(폴리옥시메틸렌, 코오롱플라스틱)
- 알루미늄 안료: NME020T2(토요알루미늄)
-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Glycerol mono-behenate(GM-B, Kao Corporation)
-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ADF1350(BASF, Mw 2000~4000)
-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Ambosol(PQ Corporation)
실시예 1
베이스 수지(K900)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루미늄 안료(NME020T2, 토요알루미늄) 2.1 중량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GM-B, Kao Corporation) 0.2 중량부,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ADF1350, BASF) 1.0 중량부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Ambosol, PQ Corporation) 0.1 중량부를 배합하였고, 압출기 온도가 180~200℃인 이축 압출기를 통해서 용융 혼합한 후, 칩 형태로 압출하였다. 칩 형태로 제조 된 폴리옥시 메틸렌 수지를 130℃의 열풍건조기에서 4시간 건조 하였고, 제조된 칩의 일부를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때와 동일한 온도조건에서 4㎝ ⅹ 8㎝, 두께 0.3㎝의 사출 시편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9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알루미늄 플레이크, 다가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각각 하기 표 1에 나타난 비율로 배합하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를 제조한 후, 칩과 사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알루미늄 플레이크, 다가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각각 하기 표 1에 나타난 비율로 배합하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를 제조한 후, 칩과 사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물성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아래 방법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금속질감 평가: 사출 시편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금속질감과 표면광택을 우수(О), 보통(Δ), 불량(ⅹ)으로 나누어 육안평가 하였다.
(2) Flow mark 평가: 사출 시편의 게이트(gate) 부위의 플로우 마크를 자국미발생(О), 미세자국발생(Δ), 자국발생(ⅹ)으로 나누어 육안평가하였다.
(3) TGA ( Thermogravimetric analysis): Air 분위기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240℃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과 240℃에서 holding하였을 때 무게가 10% 감량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분)을 합한 총 시간을 확인하였다.
(4) 사출기 체류 포름알데히드 (FA, Formaldehyde): 사출 온도를 195℃로 한 후, 수지를 사출기내에 충진을 하고 10분 동안 체류 한 다음 사출하여 발생한 포름알데히드(Fomaldehyde)를 VDA 275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 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 시편을 상온(23℃), 상대습도 50%에 하루 방치 후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e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중량부)
K900 NME020T2 GM-B ADF 1350 Ambosol
실시예1 100 2.1 0.2 1.0 0.1
실시예2 100 1.0 0.2 1.0 0.1
실시예3 100 2.1 0.2 1.0 0.1
실시예4 100 2.1 0.1 1.0 0.1
실시예5 100 2.1 0.5 1.0 0.1
실시예6 100 2.1 0.2 0.5 0.1
실시예7 100 2.1 0.2 1.5 0.1
실시예8 100 2.1 0.2 1.0 0.05
실시예9 100 2.1 0.2 1.0 0.5
비교예1 100 0.8 0.2 1.0 0.1
비교예2 100 4.0 0.2 1.0 0.1
비교예3 100 2.1 0.05 1.0 0.1
비교예4 100 2.1 0.6 1.0 0.1
비교예5 100 2.1 0.2 0.3 0.1
비교예6 100 2.1 0.2 4.0 0.1
비교예7 100 2.1 0.2 1.0 0.03
비교예8 100 2.1 0.2 1.0 0.6
구분 금속질감
(육안평가)
Flow mark
(육안평가)
TGA
(분)
사출체류 FA
(ppm)
충격강도
(Kg·f㎝/㎝)
실시예1 О О 47.8 10.2 7.5
실시예2 О О 52.6 9.5 7.6
실시예3 О О 48.7 9.3 7.0
실시예4 О О 49.1 11.5 7.7
실시예5 О О 50.8 7.6 7.3
실시예6 О О 49.9 12.8 7.6
실시예7 О О 53.2 6.5 7.4
실시예8 О О 46.6 9.6 7.7
실시예9 О О 48.9 14.3 7.6
비교예1 X О 49.6 8.7 7.7
비교예2 О Δ 42.1 24.5 5.7
비교예3 О О 43.2 20.9 7.5
비교예4 Δ Δ 51.2 8.7 7.6
비교예5 О X 46.3 13.2 7.7
비교예6 Δ Δ 52.4 10.5 7.8
비교예7 О О 38.8 29.4 7.6
비교예8 Δ X 35.6 35.7 7.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안료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1은 금속질감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고, 지나치게 높은 비교예 2는 흐름성에 문제가 있어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며 기계적강도 저하와 포름알데히드 발생 증가가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 4, 7 및 8과 같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나 알칼리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함량이 낮거나 높으면 TGA 무게감량 시간이 빠르고, 사출 체류시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며 외관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비교예 5 및 6과 같이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의 함량 차이에 따라서는 분산성이 저하되어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 폴리옥시 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금속질감이 우수하고 플로우 마크(flow mark)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충격강도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알칼리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함량이 낮은 실시예 8의 경우 다른 비교예 1, 4 및 6에 비해서는 TAG 무게 감량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았으나 비교예 1, 4 및 6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적합하지 못하여 실시예 8보다 표면의 외관이 좋지 않았다. 즉, 실시예 1 내지 9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표면 외관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사출 체류 시 포름알데히드 발생량도 적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늄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0.1 내지 0.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 0.5 내지 3.0 중량부; 및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catie) 화합물 0.05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안료는 평균 직경이 5 내지 30㎛인 판상 또는 구형의 알루미늄 플레이크(flake)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몬타네이트 중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스틸렌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4000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화합물은 1g 당 KOH 흡착량(adsorption)이 180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silicate) 화합물은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감량(TGA) 평가법에 의거하여, air 분위기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240℃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240℃를 유지하였을 때 무게 감량이 10%가 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의 합이 45분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 
KR1020150138188A 2015-09-30 2015-09-30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1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88A KR102317200B1 (ko) 2015-09-30 2015-09-30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88A KR102317200B1 (ko) 2015-09-30 2015-09-30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40A KR20170039040A (ko) 2017-04-10
KR102317200B1 true KR102317200B1 (ko) 2021-10-25

Family

ID=5858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88A KR102317200B1 (ko) 2015-09-30 2015-09-30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52B1 (ko) * 2017-09-29 2022-02-07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192B1 (ko) 2003-04-30 2011-10-12 바스프 에스이 폴리옥시메틸렌 성형 배합물
WO2011129445A1 (ja) 2010-04-16 2011-10-2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76B1 (ko) * 2013-03-27 2015-03-20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유리섬유가 강화된 폴리옥시메틸렌-폴리락트산 조성물
KR102119735B1 (ko) * 2013-12-31 2020-06-08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192B1 (ko) 2003-04-30 2011-10-12 바스프 에스이 폴리옥시메틸렌 성형 배합물
WO2011129445A1 (ja) 2010-04-16 2011-10-2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40A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147B2 (en) Sulfur-containing fuel contact body provided with molded article including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acid resistance
JPS62288649A (ja) ポリアセタ−ルの安定化組成物
DE112005002482B4 (de) Polyoxymethylenharzzusammensetzung mit ausgezeichneter Wärmestabilität
CN114044966B (zh) 一种抗雾化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19735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17200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5096951A (en) Color stabilized polyoxymethylene molding compositions
EP3162851B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fuel contactor provided with molded article of the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KR102176593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3140626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4280972B2 (ja) 変色に対して安定化されたポリアセタール成形品
JP4999764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KR2021003810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683247B1 (en) Oxymethylene-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KR102308833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5640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80914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769287B2 (ja) モ−ルドデポジットの改良された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の成形方法
CN114402028B (zh) 氧亚甲基共聚物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和氧亚甲基共聚物树脂组合物
KR20130078778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JP2006169310A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
KR100566998B1 (ko)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KR20200036329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230044814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44170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